KR20200116867A - 에스오메프라졸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고 이중방출 프로파일을 갖는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에스오메프라졸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고 이중방출 프로파일을 갖는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6867A
KR20200116867A KR1020200039952A KR20200039952A KR20200116867A KR 20200116867 A KR20200116867 A KR 20200116867A KR 1020200039952 A KR1020200039952 A KR 1020200039952A KR 20200039952 A KR20200039952 A KR 20200039952A KR 20200116867 A KR20200116867 A KR 202001168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ease
administration
pharmaceutical composition
hours
coated tab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9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2984B1 (ko
Inventor
조혁준
권택관
임호택
김용일
정진아
손한길
홍성희
Original Assignee
한미약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미약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미약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116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68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2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29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27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439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containing a five-membered ring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omeprazo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8Dragees; Coated pills or tablets, e.g. with film or compression coating
    • A61K9/2806Coating materials
    • A61K9/2813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8Dragees; Coated pills or tablets, e.g. with film or compression coating
    • A61K9/2806Coating materials
    • A61K9/282Organic compounds, e.g. fa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8Dragees; Coated pills or tablets, e.g. with film or compression coating
    • A61K9/2806Coating materials
    • A61K9/282Organic compounds, e.g. fats
    • A61K9/2826Sugars or sugar alcohols, e.g. sucrose;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8Dragees; Coated pills or tablets, e.g. with film or compression coating
    • A61K9/2806Coating materials
    • A61K9/2833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84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vinyl pyrrolidone
    • A61K9/2846Poly(meth)acry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8Dragees; Coated pills or tablets, e.g. with film or compression coating
    • A61K9/2806Coating materials
    • A61K9/2833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86Polysaccharides, e.g. gums; Cyclodextrin
    • A61K9/2866Cellulose; Cellulose derivatives, e.g.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8Dragees; Coated pills or tablets, e.g. with film or compression coating
    • A61K9/2806Coating materials
    • A61K9/2833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873Proteins, e.g. gela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8Dragees; Coated pills or tablets, e.g. with film or compression coating
    • A61K9/2886Dragees; Coated pills or tablets, e.g. with film or compression coating having two or more different drug-free coatings; Tablets of the type inert core-drug layer-inactive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480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capsule or the structure of the filling; Capsules containing small tablets; Capsules with outer layer for immediate drug relea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084Mixtures of one or more drugs in different galenical for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granules, microcapsules or (coated) microparticles according to A61K9/16 or A61K9/50, e.g. for obtaining a specific release pattern or for combining different drugs

Abstract

본 발명은 에스오메프라졸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고, 이중 방출 프로파일을 갖는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장시간 동안 약효를 지속할 수 있도록 속방정 방출과 서방정 방출의 이중 방출 패턴을 나타내는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에스오메프라졸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이중방출 프로파일 약학적 조성물은 기존의 에스오메프라졸 속방·장용 제형과 동등한 생체이용률을 확보할 수 있으며, 1일 1회 복용하더라도 이중 방출 패턴으로 약효를 장시간 동안 유지하여 야간 산 분비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야간 산 분비의 치료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에스오메프라졸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고 이중방출 프로파일을 갖는 약학적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esomeprazole,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with dual release profile}
본 발명은 에스오메프라졸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고 이중방출 프로파일을 갖는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에스오메프라졸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고 이중방출 프로파일을 갖는, 야간 산 분비의 예방 또는 억제에 사용되는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역류성 식도염 등의 위식도 역류성 질환, 위염, 십이지장염,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및 소화성 궤양 등의 위산 과다 분비와 관련된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해서 초기 치료제로는 양성자 펌프 억제제 (Proton Pump Inhibitor, PPI)를 사용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으며, 현재 국내 등록된 양성자 펌프 억제제 성분은 에스오메프라졸(esomeprazole), 오메프라졸(omeprazole), 판토프라졸(pantoprazole), 란소프라졸(lansoprazole) 등이며 초기 치료가 성공한 경우에도 75-92% 환자들이 재발을 경험하고 있다. 특히, 위식도역류질환(GERD) 환자들 중 80%가 야간 증상(heartburn, 가슴쓰림)을 경험하고 있고, 이로 인한 수면장애, 낮시간 활동의 저해 등과 같은 결과를 초래한다고 보고되고 있다(비특허문헌 1).
또한, 양성자 펌프 억제제는 벽세포의 H+/K+ ATP 가수분해 효소를 불활성화시켜 산분비를 억제하는데, 작용의 발현을 위해서는 활발한 산 분비가 필수적이라, 식사를 하는 주간에 억제 효과가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뿐만 아니라 약물의 반감기 또한 2시간 내외로 짧아 24시간 약효의 지속성이 떨어진다는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비특허문헌 2).
또한, 야간 산 분비(Nocturnal Acid Breakthrough, NAB)는, 야간 시간(22:00~06:00)에 최소 1시간 이상 위 내 pH가 4 미만으로 유지되는 경우를 의미하며, 야간 산 분비는 위식도 역류 질환 재발의 한 원인으로 주목 받고 있다.
위식도 역류질환 환자들은 야간 위식도 역류질환에 의한 속쓰림 또는 가슴의 작열감, 식도의 위산 역류와 같은 증상으로 인해 불편감을 느끼거나 삶의 질이 낮아질 수도 있으며, 사회 생활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그런데, 기존 양성자 펌프 억제제 제제들은 혈중 반감기가 2시간 내외에 불과하여 24시간 혈중에 존재하는 약효를 유지하지 못한다. 따라서 양성자 펌프는 약 70%만 억제되어 야간 위식도 역류 질환의 발생의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경구로 투여된 약물의 직접적인 흡수가 이루어지는 소화관에서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인자는 일반적으로 음식물의 섭취 여부이며, 양성자 펌프 억제제 성분인 에스오메프라졸 역시 식이영향을 받는 약물로 알려져 있어서 복용에 불편함이 있다.
이와 같이, 기존의 양성자 펌프 억제제 제제에서 해결하지 못한 야간 산 분비 억제를 개선하고, 약물 복용 시 식이영향을 줄이기 위한 미충족된 수요가 존재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속방성 방출과 서방성 방출의 이중 방출 패턴을 갖는 에스오메프라졸 제형을 제조하고, 상기 제형이 기존 양성자 펌프 억제제로 치료되지 못하였던 야간 산 분비의 치료 효과를 확인하고, 식이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제제를 개발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Nighttime Heartburn Is an Under-Appreciated Clinical Problem That Impacts Sleep and Daytime Function: The Results of a Gallup Survey Conducted on Behalf of the American Gastroenterological Association, Reza Shaker et al., THE AMERIC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Vol. 98, No. 7, 1487~1494 Proton Pump Inhibitors의 작용기전과 사용법, 대한소화기학회지, 2006, 48, 4~8
본 발명의 목적은 에스오메프라졸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고 이중방출 프로파일을 갖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야간 산 분비 치료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은, 유효성분으로 에스오메프라졸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속방 장용 코팅정과 유효성분으로 에스오메프라졸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서방 장용 코팅정을 포함하며,
(i) 투여 0 내지 3시간 내 상기 유효성분의 최고혈중농도(Cmax 0-3h)가 투여 0 내지 24시간 내 최고혈중농도(Cmax 0-24h)의 40% 내지 80%이고,
(ii) 투여 0 내지 24시간 내 최고혈중농도에 도달하는 시간(Tmax)이 투여 2시간 이후이며,
(iii) AUC3-24h가 AUC0-3h의 5배 이상인, 방출 특성의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의 AUC0-24h는 동일 용량의 에스오메프라졸 단일방출 제형의 AUC0-24h 대비 70 내지 130%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의 AUC4-24h는 동일 용량의 에스오메프라졸 단일방출 제형의 AUC4-24h 대비 120 내지 170%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투여 0 내지 24시간 내 최고혈중농도(Cmax 0-24h)가 되는 시점이 투여 후 3 시간 내지 7시간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ii) 투여 0 내지 24시간 내 최고혈중농도에 도달하는 시간(Tmax) 이 투여 3시간 이후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속방 장용 코팅정과 서방 장용 코팅정을 혼합하여 충진한 캡슐제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속방 장용 코팅정 및 서방 장용 코팅정은 다중 투여 단위 정제(Multi-Unit Spheroidal Tablets, MUST)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속방 장용 코팅정 및 서방 장용 코팅정을 1:1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속방 장용 코팅정 및 서방 장용 코팅정은 각각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는 희석제 diluents), 결합제(binder), 붕해제(disintegrant), 윤활제(lubricants), 계면활성제, 항산화제(antioxidants), 방부제 및 안정화제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부형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속방 장용 코팅정 및 서방 장용 코팅정은 각각의 코어 상에 형성된 내피 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내피 코팅층은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HPMC), 폴리비닐피롤리돈(PVP), 저치환된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HPC-L), 전분, 젤라틴, 에틸셀룰로오스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코팅기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속방 장용 코팅정은 내피 코팅층 상에 형성된 속방형 장용성 코팅층을 포함하고, 서방 장용 코팅정은 내피 코팅층 상에 형성된 서방형 장용성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에스오메프라졸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단위 제형당 10 내지 50 mg 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일일 1회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야간 산 분비의 예방 또는 치료용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의 방출 특성은, 조성물 투여 시 공복 또는 식전 상태에서 나타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에스오메프라졸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이중방출 프로파일 약학적 조성물은 기존의 에스오메프라졸 속방·장용 제형과 동등한 생체이용률을 확보할 수 있으며, 1일 1회 복용하더라도 이중 방출 패턴으로 약효를 장시간 동안 유지하여 야간 산 분비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야간 산 분비의 치료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음식물의 섭취(예컨대 공복 또는 고지방식이)에 따른 약물 흡수 편차를 감소시킴으로써 식사에 상관없이 복용할 수 있어서 복약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제형에서 용출 시간(분)에 따른 에스오메프라졸의 용출률(%)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실시예 4 및 비교예 2 제형에서 용출 시간(분)에 따른 에스오메프라졸의 용출률(%)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실시예 1과 비교예 1을 각각 단회 투여 후 채혈시점별 에스오메프라졸 평균 혈중농도-시간 양상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실시예 4와 비교예 2를 각각 단회 투여 후 채혈시점별 에스오메프라졸 평균 혈중농도-시간 양상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식이 조건(고지방식 또는 공복상태)에 따른 실시예 1의 단회 투여 후 채혈 시점별 에스오메프라졸 평균 혈중농도-시간 양상을 나타낸다.
도 6은 식이 조건(고지방식 또는 공복상태)과 시간에 따른 통합위산도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6에서 BASE는 기저치(Baseline)를 나타내고, DAY 1 은 단회투여후를 나타낸다.
도 7은 실시예 1의 단회 투여 후 식이 조건(고지방식 또는 공복상태)과 시간에 따른 평균 위내 pH 그래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는 에스오메프라졸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고 이중방출 프로파일을 갖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 에스오메프라졸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속방 장용 코팅정과 유효성분으로 에스오메프라졸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서방 장용 코팅정을 포함하며,
(i) 투여 0 내지 3시간 내 상기 유효성분의 최고혈중농도(Cmax 0-3h)가 투여 0 내지 24시간 내 최고혈중농도(Cmax 0-24h)의 40% 내지 80%이고,
(ii) 투여 0 내지 24시간 내 최고혈중농도에 도달하는 시간(Tmax)이 투여 2시간 이후이며,
(iii) AUC3-24h가 AUC0-3h의 5배 이상인, 방출 특성을 나타낸다.
일 양상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에스오메프라졸(esomeprazole, (S)-5-메톡시-2-[(4-메톡시-3,5-디메틸피리딘-2-일)메틸설피닐]-3H-벤조이미다졸)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 하기 화학식 2의 오메프라졸(omeprazole)의 (S)-광학이성질체로 알려져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화학식 2]
Figure pat00002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된 염을 의미하며, 이러한 제조방법은 당업자에 공지되어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약리학적 또는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하기 무기산 또는 염기로부터 유도된 염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에스오메프라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에스오메프라졸의 마그네슘염, 스트론튬염, 리튬염, 나트륨염, 칼륨염, 칼슘 염 등의 금속염 또는 암모늄염이 사용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스오메프라졸의 마그네슘염 또는 스트론튬염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에스오메프라졸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무수물 또는 수화물의 형태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약물농도-시간반응의 곡선하면적(area under curve, AUC)"은 투여한 약물의 혈중농도와 시간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로, 그려진 곡선과 가로축에 둘러싸인 부분의 면적을 말하며, "혈중농도 곡선하면적", "약물농도 곡선하면적", 또는 "혈중농도-시간곡선하면적"이라고도 한다.  용어 "AUCt"는 투약시간부터 최종 혈중농도 정량 시간 t까지의 혈중농도-시간곡선하면적을 지칭한다. 용어 "AUC0-24h"는 약물 투여 0 내지 24시간에 걸친 혈중농도 시간곡선하면적을 지칭한다. 용어 "AUC0-3h"는 약물 투여 0 내지 3시간에 걸친 혈중농도시간곡선하면적을 지칭한다.
일 양상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에서 이중방출 프로파일은 AUC0-24h와 같이 약물 농도-시간 반응의 곡선 하 면적(area under curve)의 특성을 해당 특성이 발휘되는 시간 구간으로 한정하여 정의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서 AUC0-24h는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투여한 후 첫 24시간 동안에 측정되는 유효성분인 에스오메프라졸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약물 농도-시간 반응의 곡선 하 면적을 가리키며, AUC3-24h는 투여 후 3시간째부터 24시간까지 시간 구간의 곡선 하 면적을 가리킨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최고혈중농도(Maximum concentration: Cmax)"는 약물 투여 후 최고혈중농도를 말한다. 용어 "Cmax 0-3h"는 약물 투여(0시간) 후 3시간 이내에 관찰되는 최고혈중농도를 말한다. 용어 "Cmax 0-24h"는 약물 투여(0시간) 후 24시간 이내에 관찰되는 최고혈중농도를 말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최고혈중농도 도달시간(Tmax)"은 약물 투여 후 최고혈중농도(Cmax) 도달하는 시간을 말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평균"은 산술평균을 의미하며, n개의 자료가 있는 경우 n개의 자료의 합을 n으로 나눈 값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중앙값"은 자료를 크기에 따라 늘어놓았을 때 가운데 값을 의미한다. 단, 자료의 개수가 짝수인 경우 가운데 값이 두 개이므로 이 경우에는 이 두 개의 평균을 중앙값으로 한다.
일 양상에 따른 이중방출형 약학적 조성물은 하기 (i) 내지 (iii)에 따른 방출 특성을 나타내며, (i) 내지 (iii)에 따른 방출 특성을 모두 포함하여 동시에 나타낼 수 있다.
(i) 투여 0 내지 3시간 내 상기 유효성분의 최고혈중농도(Cmax 0-3h)가 투여 0 내지 24시간 내 최고혈중농도(Cmax 0-24h)의 40% 내지 80%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투여 0 내지 3시간 내 유효성분의 Cmax는 투여 0 내지 24시간 내 Cmax의 50 내지 70%일 수 있다.
(ii) 투여 0 내지 24시간 내 최고혈중농도에 도달하는 시간(Tmax)은 투여 2시간 이후일 수 있다. 상기 Cmax 0-24h 에 도달하는 시간은 예컨대 투여 2.1시간, 2.2시간, 2.25시간, 2.5시간, 3.0 시간, 3.1시간, 3.5시간, 4.0시간, 또는 4.5시간일 수 있다.
(iii) AUC3-24h가 AUC0-3h의 5배 이상일 수 있다. 상기 AUC3-24h는 예컨대 AUC0-3h의 5.5배 이상, 6.0배 이상, 6.5배 이상, 7.0배 이상, 또는 7.5배 이상일 수 있다.
기존 양성자 펌프 억제제들은 혈중 반감기가 2 시간 내외에 불과하여 24 시간 혈중에 존재하는 약효를 유지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이중방출형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i) 내지 (iii)은 속방출성과 서방출성의 특징을 모두 함께 포함하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이중방출성, 즉 속방출성과 서방출성으로 인해 약효가 오랫동안 유지되어 위 내 pH를 4.0 이상으로 유지하는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이중방출형 약학적 조성물은 24시간 동안의 방출 특성이 본 발명과 같은 이중방출형이 아닌 종래 기술의 제형과 동등한 수준이다. 즉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이중방출형 약학적 조성물은 AUC0-24h가 동일 용량의 에스오메프라졸 비이중방출 제형, 예컨대 단일방출 제형, 즉 에스오메프라졸을 같은 양으로 함유하는 종래 기술의 속방 제형 또는 장용 제형의 AUC0-24h와 동등한 수준이다. 한 구체적인 실시 형태에서 이 동등한 수준은 이중방출 제형의 AUC0-24h 기준으로 비이중방출 제형(단일방출 제형) AUC0-24h의 70 내지 130%가 되는 방출도를 나타낸다. 여기서, 에스오메프라졸 비이중방출 제형 내지 종래 기술의 에스오메프라졸 속방장용 제형이란 제제내 장용기제를 포함하며 미국약전 (USP)에 따른 제2법 패들법에 따라, 37±0.5℃, 0.1N HCl, 300 mL의 수성 완충액에서 120 분 동안 100 rpm으로 용출 시험 후, 연속적으로 37±0.5℃, pH 6.8의 수성 완충액에서 90분 동안 100 rpm으로 용출 시험 시, 상기 0.1N HCl 속에서 120분 동안 10 중량% 이내의 에스오메프라졸 용출률을 가지면서, pH 6.8의 수성 완충액 중에서 30분 동안 85 중량% 이상의 에스오메프라졸 용출률을 가지는 제형을 의미한다. 상기 에스오메프라졸 속방·장용 제형은 예컨대 아스트라제네카에서 시판중인 넥시움(Nexium)정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AUC4-24h는 동일 용량의 에스오메프라졸 속방장용 제형의 AUC4-24h 대비 120 이상일 수 있고, 170% 이하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170%이다. 또 다른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투여 0 내지 24시간 내 최고 평균 혈중 농도가 되는 시점이 투여 3 시간 내지 7 시간을 나타낸다.
상기 AUC4-24h는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 투여 후 4시간부터 24시간까지의 유효성분인 에스오메프라졸의 약물 농도-시간 반응의 곡선하 면적을 정의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유효성분을 속방 장용 코팅정 및 서방 장용 코팅정 내에 적절한 비율 범위로 분리하여 함유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 5 내지 100 mg, 구체적으로 10 내지 75 mg, 또는 10 내지 50 mg, 보다 구체적으로 약 20 mg, 40 mg, 또는 50 mg의 에스오메프라졸 유리염기 또는 환산하였을 때 이와 같은 양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에스오메프라졸의 염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서 속방 장용 코팅정 및 서방 장용 코팅정은 에스오메프라졸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각각 2:1 내지 1:2의 중량비로 함유할 수 있고, 예컨대 1:1의 중량비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예를 들어, 성인 기준으로 약 0.001 ㎎/kg 내지 약 100 ㎎/kg, 약 0.01 ㎎/kg 내지 약 10 ㎎/kg, 또는 약 0.1 ㎎/kg 내지 약 1 ㎎/kg의 범위 내 일 수 있다. 상기 투여는 1일 1회, 1일 다회, 또는 1주일에 1회, 2주일에 1회, 3주일에 1회, 또는 4주일에 1회 내지 1년에 1회 단위 제형으로 경구 투여되며, 오전 또는 오후 중에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약학적 유효량, 유효 투여량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투여 시간 및/또는 투여 경로 등에 의해 다양해질 수 있으며, 약학 조성물의 투여로 달성하고자 하는 반응의 종류와 정도, 투여 대상이 되는 개체의 종류, 연령, 체중, 일반적인 건강 상태, 질병의 증세나 정도, 성별, 식이, 배설, 해당 개체에 동시 또는 이시에 함께 사용되는 약물 기타 조성물의 성분 등을 비롯한 여러 인자 및 의약 분야에서 잘 알려진 유사 인자에 따라 다양해질 수 있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목적하는 치료에 효과적인 투여량을 용이하게 결정하고 처방할 수 있다.
한 구체적인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유효성분의 총량이 에스오메프라졸 유리염기 기준으로 40 mg과 등가인 용량으로 1일 1회 투여시 투여 후 약 3 내지 7 시간 내에 최고혈중농도에 이르는 시간인 Tmax에 도달하며, 에스오메프라졸 유리염기 기준으로 약 550 내지 1,450 μg/L의 최고 평균 혈중 농도(Cmax), 및 약 1,800 내지 7,000 의 AUG0-24h를 나타낸다(표 9 참조).
다른 한 구체적인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유효성분의 총량이 에스오메프라졸 유리염기 기준으로 20 mg과 등가인 용량으로 1일 1회 투여시 투여 후 약 2.1 내지 6 시간 내에 최고혈중농도에 이르는 시간인 Tmax에 도달하며, 에스오메프라졸 유리염기 기준으로 약 250 내지 750 μg/L의 최고 평균 혈중 농도(Cmax), 및 약 900 내지 3,500의 AUC0-24h를 나타낸다(표 12 참조).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특징적인 이중방출 프로파일로 인해 약효가 오랫동안 유지되어 야간 위 식도 역류 질환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기존 양성자 펌프 억제제들은 혈중 반감기가 2 시간 내외에 불과하여 24 시간 혈중에 존재하는 약효를 유지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위내 pH를 4.0 이상으로 유지하는 시간을 증가시켜 야간 산 분비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야간 산 분비의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야간 산 분비(Nocturnal Acid Breakthrough, NAB)"는 야간 시간(오후 10시에서 다음날 오전 6시)에 최소 1시간 이상 위 내 pH가 4 미만으로 유지되는 경우를 의미한다. 야간 산 분비에 의해 새벽에 갑작스런 위 내 pH의 급강하로 인해 타는 듯한 가슴통증(heartburn)을 유발하기도 한다. 이에 따라 위식도 역류질환과 같은 위산 관련 질환(gastric acid-related diseases)이 오히려 재발하게 되며, 야간 수면에까지 방해를 받게 되어 큰 문제가 되어 왔으나, 기존 양성자 펌프 억제제(PPI)의 투여로는 야간 산 분비 증상을 해결하는 데에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양성자 펌프 억제제로서 일반적인 위산 관련 질환에 대한 치료 및 개선 효과를 가질 뿐 아니라, 이에 수반될 수 있는 야간 산 분비까지 억제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조성물의 1일 1회(오전 9시) 투여시 야간(오후 10시 내지 다음날 오전 6시)에 pH 4.0 이상을 유지하는 시간의 비율은 단회 투여시 45% 이상, 일주일 투여시 65% 이상일 수 있다(표 10 참조). 예컨대, 본 발명의 조성물의 1일 1회(오전 9시) 투여시 야간(오후 10시 내지 다음날 오전 6시)에 pH 4.0 이상을 유지하는 시간의 비율은 단회 투여시 35% 이상, 일주일 투여시 60% 이상일 수 있다(표 13 참조).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야간 산 분비의 예방 또는 치료용인 약학적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용어 "예방"은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상기 질환의 발생을 억제하거나 그의 발병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상기 용어 "치료"는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상기 질환의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하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또한, 위식도 역류성 질환, 위염, 십이지장염,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및 소화성 궤양으로 구성된 군에선 선택된 위산 과다분비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 에스오메프라졸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코어, 상기 코어 상에 형성된 내피 코팅층, 및 상기 내피 코팅층 상에 형성된 속방형 장용성 코팅층을 포함하는 속방 장용 코팅정; 및 유효성분으로 에스오메프라졸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코어, 상기 코어 상에 형성된 내피 코팅층, 및 상기 내피 코팅층 상에 형성된 서방형 장용성 코팅층을 포함하는 서방 장용 코팅정을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서, 에스오메프라졸은 코어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10 내지 40 중량%, 예컨대 25 내지 3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에스오메프라졸은 산성 조건에서 분해되거나 변형되기 쉽기 때문에, 에스오메프라졸을 포함하는 경구용 제형의 경우, pH가 거의 중성이고 빠른 흡수가 일어날 수 있는 위장관 부분으로 전달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위에서 위산에의 노출을 방지하고, 장에서의 흡수를 위한 장용코팅층을 형성한 제형이 필요하다.
일 측면에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복합 캡슐제일 수 있다. 상기 에스오메프라졸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을 함유하는 코어는 캡슐에 포함될 수 있는 임의의 고형 제제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펠렛, 미니정제, 정제,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코어는 미니정제, 보다 구체적으로는 구형에 가까운 미니정제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속방 장용 코팅정 및 서방 장용 코팅정은 다중 투여 단위 정제(Multi-Unit Spheroidal Tablets, MUST)로서 상기 복합 캡슐제 내에 충진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상기 속방 장용 코팅정의 코어 및 서방 장용 코팅정의 코어는 모두 미니정제의 형태를 가져, 모두 MUST로서 상기 복합 캡슐 내에 충진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미니정제는 지름이 1 mm 내지 4 mm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1.5 mm 내지 3 mm일 수 있다. 상기 미니정제는 캡슐 내부 공간에 속방 장용 코팅정 및 서방 장용 코팅정으로 각각 최소 4개 이상, 보다 구체적으로는 4개 내지 40개의 독립층으로 구분되는 미니정제가 충전될 수 있다. 상기 미니정제는 당해 기술 분야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특허문헌 KR2013-0115864)
상기 코어는 유효성분인 에스오메프라졸,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과 함께, 당해 기술분야에서 코어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약제학적 첨가제가 적절한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코어는 희석제(diluents), 결합제(binder), 붕해제(disintegrant), 윤활제(lubricants), 계면활성제, 항산화제(anti-oxidants), 방부제, 안정화제,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희석제로는 만니톨, 미결정 셀룰로오스, 락토오스, 셀룰로오스 및 그 유도체, 2염기성 또는 3염기성 인산 칼슘, 에리트리톨, 저치환된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프리젤라틴화(pregelatinized) 전분, 소르비톨, 자일리톨,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 구체예에서 만니톨 및/또는 미결정 셀룰로오스가 사용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희석제는 코어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10 내지 50 중량%, 예컨대 25 내지 4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결합제로는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HPC), 코포비돈(비닐피롤리돈의 기타 비닐유도체와의 공중합물),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HPMC), 폴리비닐피롤리돈(포비돈), 프리젤라틴화 전분, 저치환된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HPC-L),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 구체예에서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붕해제로는 크로스카멜로스 나트륨, 옥수수 전분, 크로스포비돈, 저치환된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HPC-L), 프리젤라틴화 전분,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 구체예에서 크로스카멜로스 나트륨이 사용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붕해제는 코어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10 내지 30 중량%, 예컨대 15 내지 3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윤활제로는 푸마르산스테아릴 나트륨, 스테아르산마그네슘, 활석, 폴리에틸렌글리콜, 베헨산칼슘, 스테아르산칼슘, 수소화 피마자유,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 구체예에서 푸마르산스테아릴 나트륨이 사용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붕해제는 코어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1 내지 10 중량%, 예컨대 2 내지 8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코어 상에 형성된 내피 코팅층은, 상기 코어와 장용성 코팅층 간의 상호작용을 차단할 수 있으면서, 상기 복합 캡슐제의 투여 후 장용성 코팅층의 붕괴 시 코어 내의 유효성분의 방출을 저해하지 않는 임의의 친수성 고분자를 코팅 기제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내피 코팅층의 코팅기제는 예를 들어,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HPMC), 폴리비닐피롤리돈(PVP), 저치환된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HPC-L), 전분(Starch), 젤라틴(gelatin), 에틸셀룰로오스(EC),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코팅기제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내피 코팅층은 코팅기제로서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내피 코팅층이 형성된 코어를 내피 코팅 코어라고 칭하기도 한다. 상기 내피 코팅층의 함량은 통상의 기술자가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나, 일 구체예에서 내피 코팅 코어에 대해 약 2 내지 6 중량%, 또는 약 3 내지 5 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속방 장용 코팅정은 코어를 내피 코팅층을 코팅한 내피 코팅 정제를 속방형 장용성 코팅층으로 코팅한 것일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서방 장용 코팅정은 코어를 내피 코팅층으로 코팅한 내피 코팅 정제를 서방형 장용성 코팅층으로 코팅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복합 캡슐제는 속방 장용 코팅정 및 서방 장용 코팅정 모두 장용성 코팅층을 포함하므로, 강산성의 위 내에서 내산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위를 거쳐 장에 도달 시에는 유효성분이 속방 장용 코팅정으부터 1차 방출이 신속히 이루어지고, 지연된 시간 이후에 순차적으로 서방 장용 코팅정으로부터 2차 방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복합 캡슐제는 위에서 약물의 분해를 회피하고, 장에 도달 시 신속한 약물의 용출이 이루어져 빠른 약효를 나타낼 수 있고, 약물의 이중 방출에 의해 장시간 약효가 지속될 수 있다.
상기 속방 장용 코팅정에 포함되는 속방형 장용성 코팅층은, 코팅기제로서 메타크릴산 코폴리머 LD를 함유할 수 있다. 메타크릴산 코폴리머 LD는 메타크릴산(methacrylic acid)과 에틸아크릴레이트 (ethyl-acrylate)가 약 1:1의 비율로 포함된 음이온공중합체(anionic copolymer)로서, 용액상태로 존재하며, 예컨대 20 내지 40% 분산액일 수 있고, 상품명 유드라짓 L30 D-55 (Eudragit L30 D-55)으로 시판중인 물질이다. IUPAC 명칭은 Poly(methacylic acid-co-ethyl acrylate) 1:1이다.
상기 서방 장용 코팅정에 포함되는 서방형 장용성 코팅층은, 코팅기제로서 메타크릴산 코폴리머 S와 메타크릴산 코폴리머 L의 1.5:1 내지 3.5:1(w/w), 보다 구체적으로는 2:1 내지 3:1(w/w)의 비율의 혼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메타크릴산 코폴리머 S는 메타크릴산(methacrylic acid)과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가 약 1:2의 비율로 포함된 음이온성 공중합체(anionic copolymers)로, 상품명 유드라짓 S-100(Eudragit S-100)으로 시판 중인 물질이며, IUPAC 명칭은 Poly(methacylic acid-co-methyl methacrylate) 1:2 이다.
메타크릴산 코폴리머 L는 메타크릴산(methacrylic acid)과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가 약 1:1의 비율로 포함된 음이온성 공중합체(anionic copolymers)로, 상품명 유드라짓 L-100(Eudragit L-100)으로 시판 중인 물질이다. IUPAC 명칭은 Poly(methacylic acid-co-methyl methacrylate) 1:1 이다. 상기 서방형 장용성 코팅층의 코팅 기제인 메타크릴산 코폴리머 LD는 내피 코팅 코어에 대해 고형분으로서 5 내지 50% (w/w), 보다 구체적으로는 8 내지 30% (w/w)로 함유될 수 있다. 내피 코팅 코어에 대해 고형분으로서 5% (w/w) 미만일 경우, 빠른 용출율을 나타낼 수 있지만, 0.1N HCl수용액에서 내산성을 확보하기가 어려워, 경구 투여 시 위장 내의 산성 환경에서 PPI 계열 특성상 유효성분의 분해가 이루어져 약효를 나타내기가 어려워질 수 있다. 또한, 내피 코팅 코어에 대해 고형분으로서 50% (w/w) 초과로 코팅될 경우, 0.1N HCl 수용액에서 충분한 내산성을 가질 수 있지만, 위를 통과한 후 장에서 유효성분의 용출이 과도하게 느려져 생체 내에서 약물 흡수가 지연되어 약효가 늦게 나타날 우려가 있다.
상기 서방형 코팅층의 코팅 기제인 메타크릴산 코폴리머 S와 메타크릴산 코폴리머 L의 비는 1.5:1 내지 3.5:1(w/w), 보다 구체적으로는 2:1 내지 3:1(w/w)의 비율일 수 있다. 상기 비율보다 낮을 경우, 상대적으로 낮은 pH에 용해되는 메타크릴산 코폴리머 L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아지기 때문에 위를 거쳐 장에 도달 시에 신속한 방출이 이루어져, 이중방출 특성을 나타내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율보다 높을 경우, 상대적으로 불용성 성분인 메타트릴산 코폴리머 S의 비율이 증가하여, 약물 방출이 과도하게 지연될 수 있으며, 따라서, 약물의 완전한 방출이 이루어지지 않은 채 배설되어 생체이용율이 낮아질 우려가 있다.
상기 메타크릴산 코폴리머 S와 메타크릴산 코폴리머 L의 혼합물은 고형분으로서 내피 코팅 코어에 대해 5 내지 40 %(w/w), 보다 구체적으로는 15 내지 35 %(w/w)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에 미달될 경우, 서방 장용 코팅정이 목적으로 하는 용출 지연이 확보되지 않고 장에 도달 시 빠른 용출이 이루어져 이중방출 특성을 확보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함량을 초과할 경우, 장용성 코팅층이 두꺼워져 서방 장용 코팅정의 약물 방출이 과도하여 지연될 수 있으며, 따라서, 약물의 완전한 방출이 이루어지지 않은 채 배설되어 생체이용율이 낮아질 우려가 있다.
상기 복합 캡슐제를 구성하는 캡슐은 경질 캡슐일 수 있으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경질 캡슐일 수 있다. 상기 경질캡슐의 기제는 예를 들어, 젤라틴, 히프로멜로오스(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PMC)), 풀루란(NP caps TM등, Capsugel사), 폴리비닐알콜,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복합 캡슐제는 강산성 환경인 위에서는 유효성분의 방출이 거의 일어나지 않고, 장에 도달 시 pH 5.5 이하 범위의 장내에서 속방 장용 코팅정으로부터 유효성분의 1차 방출이 신속히 진행되고, pH 6.5 내지 7.0 범위의 장내에서 서방 장용 코팅정으로부터 유효성분의 2차 방출이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복합 캡슐제는 용출시험시, 0.1N HCl 수용액 중에서 2시간 방치하고, 약 pH 6.8의 인공장액으로 이동하여 용출시험할 경우, 처음 2 시간 동안 방출이 거의 일어나지 않고, 인공장액에서 용출이 개시되어 용출시험 개시 후 135분에 복합 캡슐제의 총 유효성분 중 35%(w/w) 내지 65%(w/w)이 방출되고, 210분에 75%(w/w) 이상이 방출된다.
상기 캡슐제를 미국약전 (USP)에 따른 제2법 패들법에 따라, 37±0.5℃, 0.1N HCl, 300 mL에서 120 분 동안 100 rpm으로 용출시험 후, 연속적으로 37±0.5℃, pH 6.8의 수성 완충액에서 90분 동안 100 rpm으로 용출시험 시, 상기 0.1N HCl 속에서 120분 동안 내산성을 가지면서, 인공장액 중에서 15분 동안 40%(w/w) 내지 60%(w/w)의 유효성분이 용출되고, 90분 동안 75% 이상의 유효성분이 용출된다.
상기 복합 캡슐제의 속방 장용 코팅정 및 서방 장용 코팅정의 코어가 미니정제(MUST) 또는 정제일 경우, 직접 압축법 또는 간접 압축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간접 압축법은 건식과립 또는 습식과립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코어의 제조방법은 (a) 에스오메프라졸,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을 희석제와 혼합하는 단계; 상기 단계 (a)의 혼합물에 붕해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 의 혼합물을 건식 과립화한 후, 타정하여 미니정제 또는 정제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미니정제 또는 정제를 상기 내피 코팅층, 속방형 장용성 코팅층, 및 서방형 장용성 코팅층을 코팅하는 단계는 미니 정제 또는 정제를 코팅하는 임의의 코팅방법이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동층 코팅기를 이용하여 코팅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속방형 장용성 코팅층은 코팅기제로서 메타크릴산 코폴리머 LD를 내피 코팅층이 형성된 코어의 5 내지 50%(w/w)로 포함할 수 있고, 서방형 장용성 코팅층은 코팅기제로서 메타크릴산 코폴리머 S 및 메타크릴산 코폴리머 L의 1.5:1 내지 3.5:1 (w/w) 혼합물을 내피 코팅층이 형성된 코어의 10 내지 30 %(w/w)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에스오메프라졸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코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코어에 내피 코팅층을 코팅하는 단계; 상기 내피 코팅층 상에 속방형 장용성 코팅층을 피복하여 속방 장용 코팅정을 수득하는 단계; 및 별도로 상기 내피 코팅층 상에 서방형 장용성 코팅층을 피복하여 서방 장용 코팅정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수득된 속방 장용 코팅정 및 서방 장용 코팅정을 함께 캡슐제에 충전하여 복합 캡슐제를 형성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유효성분으로 에스오메프라졸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속방 장용 코팅정과 유효성분으로 에스오메프라졸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서방 장용 코팅정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류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야간 산 분비의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유효성분으로 에스오메프라졸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속방 장용 코팅정과 유효성분으로 에스오메프라졸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서방 장용 코팅정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류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역류성 식도염 등의 위·식도 역류성 질환, 위염, 십이지장염,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및 소화성 궤양 등의 위산 과다 분비와 관련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개체"는 원숭이, 소, 말, 개, 고양이, 토끼, 레트, 마우스 등의 포유 동물을 의미하며, 특히 인간을 포함한다. 상기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은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투여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야간 산 분비의 예방 또는 치료 또는 역류성 식도염 등의 위·식도 역류성 질환, 위염, 십이지장염,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및 소화성 궤양 등의 위산 과다 분비와 관련된 질환에 유효한 본 발명의 유효성분으로 에스오메프라졸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속방 장용 코팅정과 유효성분으로 에스오메프라졸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서방 장용 코팅정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의 양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을 투여함으로써, 징후의 발현 전에 질병 그 자체를 다룰 뿐만 아니라, 이의 징후를 저해하거나 피하는 것을 또한 포함한다. 질환의 관리에 있어서, 특정 활성 성분의 예방적 또는 치료학적 용량은 질병 또는 상태의 본성(nature)과 심각도, 그리고 활성 성분이 투여되는 경로에 따라 다양할 것이다. 용량 및 용량의 빈도는 개별 환자의 연령, 체중 및 반응에 따라 다양할 것이다. 적합한 용량 용법은 이러한 인자를 당연히 고려하는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쉽게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과 함께 질환 치료에 도움이 되는 추가적인 활성 제제의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투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활성제제는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과 함께 시너지 효과 또는 상가적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은 약학적 조성물을 성인 기준으로 약 0.001 ㎎/kg 내지 약 100 ㎎/kg, 약 0.01 ㎎/kg 내지 약 10 ㎎/kg, 또는 약 0.1 ㎎/kg 내지 약 1 ㎎/kg의 범위 내 일 수 있다. 상기 투여는 1일 1회, 1일 다회, 또는 1주일에 1회, 2주일에 1회, 3주일에 1회, 또는 4주일에 1회 내지 1년에 1회 단위 제형으로 경구 투여되며, 오전 또는 오후 중에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유효성분으로 에스오메프라졸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속방 장용 코팅정과 유효성분으로 에스오메프라졸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서방 장용 코팅정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의 야간 산 분비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유효성분으로 에스오메프라졸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속방 장용 코팅정과 유효성분으로 에스오메프라졸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서방 장용 코팅정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의 역류성 식도염 등의 위·식도 역류성 질환, 위염, 십이지장염,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및 소화성 궤양 등의 위산 과다 분비와 관련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유효성분으로 에스오메프라졸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속방 장용 코팅정과 유효성분으로 에스오메프라졸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서방 장용 코팅정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의 야간 산 분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의 제조를 위한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유효성분으로 에스오메프라졸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속방 장용 코팅정과 유효성분으로 에스오메프라졸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서방 장용 코팅정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의 역류성 식도염 등의 위·식도 역류성 질환, 위염, 십이지장염,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및 소화성 궤양 등의 위산 과다 분비와 관련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의 제조를 위한 용도를 제공한다.
약제의 제조를 위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허용되는 담체 등을 혼합할 수 있으며, 다른 작용제들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방출 특성은, 조성물 투여 시 공복 또는 식전 상태에서 나타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에스오메프라졸로서 20 mg 또는 40 mg을 1일 1회 또는 1일 2회 투여할 수 있으며, 치료 목적에 따라 1주 동안, 2주 동안, 4주 동안, 또는 8주 동안 투여될 수 있으며, 증상에 따라 투여 기간 동안 적절하게 용량을 증감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조성물을 1일 1회 투여할 경우, 약물 투여 전과 비교하여 약물 투여 후 24시간 동안 위 내 pH를 4.0 이상으로 유지하는 비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조성물을 1일 1회 오전에 투여하여 야간 시간 예컨대, 약물 투여 후 12시간 내지 22시간, 13시간 내지 22시간, 또는 16시간 내지 20시간에서의 위 내 pH를 4.0 이상으로 유지하는 비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임상시험용의약품(Investigational Product)"은 시험약 및 대조약을 말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 치료 방법 및 용도에서 언급된 사항은 서로 모순되지 않는 한 동일하게 적용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수치는 명시하지 않아도 "약"의 의미를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약"은 언급하는 값이 어느 정도 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상기 값은 10%, 5%, 2%, 또는 1%로 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또는 성분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에스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을 함유하는 이중방출 정제의 제조 (1)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으로, 우선 에스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과 만니톨을 혼합한 후 30 메쉬 원형체로 정립하였다. 준비된 혼합물을 저치환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크로스카르멜로오스 나트륨,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및 푸마르산스테아릴 나트륨과 함께 빈 블렌더에 넣어 15분간 혼합하여 최종 혼합부를 제조하였다. 최종 혼합부를 건식과립기(Roller compactor)에 투입하여 건식 과립화하였다. 수득한 과립을 20 메쉬 원형제로 정립하였다.
이어서 타정기로 지름이 2.0 mm인 다중 투여 단위 정제(Multi-Unit Spheroidal Tablets, MUST) 펀치를 사용하여 경도 약 1 내지 2 kp를 가지며 10 정의 중량이 75 mg이 되도록 타정하였다. 이어서 유동층 코팅기에서 표 1의 조성에 따라 상기 정제를 코팅하여 내피 코팅된 정제(내피 코팅 정제)를 획득하였다.
[표 1]
Figure pat00003
상기 제조된 내피 코팅 정제를 이용하여, 표 2의 조성에 따라 장용코팅하여 속방 장용 코팅정을 제조하여 수득하였다.
[표 2]
Figure pat00004
상기 제조된 내피 코팅 정제를 이용하여, 표 3의 조성에 따라 장용코팅하여 서방 장용 코팅정을 제조하여 수득하였다.
[표 3]
Figure pat00005
상기 수득된 장용코팅 정제(속방 장용 코팅정), 서방코팅 정제(서방 장용 코팅정)를 각각 2.0 mg/T 분량의 탤크로 활택하고 각각의 장용코팅 정제 10정과, 서방코팅 정제 10정을 2호 경질캡슐에 충전하였다.
실시예 2 내지 3: 에스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을 함유하는 이중방출 정제의 제조
실시예 1의 서방 장용 코팅정에서 표 3에 기재된 서방 코팅층의 조성비율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서방 코팅층의 중량을 약 16.5 mg 및 26.0 mg로 감량 또는 증량 하여 각각 실시예 2 (서방 장용 코팅정 총 중량 95.4 mg) 및 실시예 3 (서방 장용 코팅정 총 중량 104.9 mg)로 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2의 서방코팅층 조성은 하기 표 4와 같다.
[표 4]
Figure pat00006
실시예 3의 서방코팅층 조성은 하기 표 5와 같다.
[표 5]
Figure pat00007
실시예 4: 에스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을 함유하는 이중방출 정제의 제조 (2)
실시예 1에서 수득된 실시예 1의 장용코팅 정제(속방 장용 코팅정), 서방코팅 정제(서방 장용 코팅정)를 각각 2.0 mg/T 분량의 탤크로 활택하고 각각의 장용코팅 정제 5정과, 서방코팅 정제 5정을 2호 경질캡슐에 충전하였다.
비교예 1: 에스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을 함유하는 속방·장용 제형의 제조
비교예 1로서 에스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을 함유하는 속방·장용 제형인 시 판 제품 넥시움정® 40 mg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2: 에스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을 함유하는 속방·장용 제형의 제조
비교예 2로서 에스오메프라졸 마그네슘염을 함유하는 속방·장용 제형인 시판 제품 넥시움정® 20 mg을 사용하였다.
시험예 1. 용출 시험
하기 용출 조건 및 분석 조건 하에서,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2의 제형에 따른 에스오메프라졸의 용출률을 측정하였다.
<용출 조건>
용출액 : 2시간의 내산성 조건 (0.1N HCl 300mL) 시험 이후 0.086M NaHPO4 700mL을 넣어 pH 6.8로 한 액
장치 : 패들법, 100 ±2 rpm
온도 : 37 ±0.5 ℃
용출시간 : 125, 130, 135, 150, 180, 210분
<분석 조건>
사용기기 : HPLC(Hitachi 5000 series, 일본)
검출기 : 자외부흡광광도계(측정 파장 : 302 nm)
컬럼 : 안지름 약 4.6 mm, 길이 약 15 cm인 스테인레스 강관에 입경
5 ㎛의 액체크로마토그래프용 실리카겔이 충전된 컬럼
이동상 : 인산나트륨완충액 (pH 7.3):아세토니트릴:정제수 = 50:35:15
유속 : 1.0 mL/분
컬럼 온도 : 30℃
측정된 에스오메프라졸의 용출율을 하기 표 6 내지 7 및 도 1 내지 2에 나타내었다.
[표 6]
Figure pat00008
[표 7]
Figure pat00009
단일방출 패턴을 보이는 비교예 1과 비교하여, 실시예 1 내지 3은 약물인 에스오메프라졸의 이중방출 패턴이 확연하게 나타났다. 실시예 1 내지 3은 1 캡슐 내에 10 개의 장용코팅 정제(속방 장용 코팅정)와 10개의 서방코팅 정제(서방 장용 코팅정)가 충전되어 있으며, 내산성 시험 조건에서 2시간의 용출 이후 용출액을 pH 6.8로 변경시 10정의 장용 코팅 정제가 빠르게 용해되면서 135분에 장용 코팅 정제에 포함된 대부분의 약물이 방출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이후 서방코팅 정제가 용해되면서 135분 ~ 180분에 75% 이상의 용출도를 보이며 약물의 이중방출 패턴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1의 용출 양상과 실시예 2 및 3의 용출 양상을 비교 시 유사도 인자(similarity factor) f 2가 50 이상으로 유사한 용출 양상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하, 시험은 임상시험용의약품 용량군에 따라 Part A (40mg) 과 Part B (20mg), 두 개의 시험으로 나누어져 진행되었다.
시험예 2. 생체내 약동학 연구: PK 프로파일 (1), Part A (40mg)
건강한 성인 남성 자원자를 대상으로 임상 시험용 의약품인 실시예 1의 정제와 비교예 1의 넥시움정® 40mg을 사용하여 경구 투여 시의 약동학 및 약력학적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무작위 배정(randomized), 공개(open-label), 반복 투여(multiple dose), 교차 설계 임상 시험(crossover study)을 진행하였다.
총 48명의 선정된 시험 대상자를 무작위 배정하여 2개의 순서군으로 나눈 후 2기 교차 시험 형태로 진행하였다. 시험 대상자들은 각 순서군에 해당되는 임상시험용의약품을 1일 1회 총 7일간 반복 투여 하였다.
모든 시험 대상자는 각 시기별 임상시험용의약품 첫 투여 2일전 오후에 입원하여 순서군에 따라 무작위 배정을 받았다.
[표 8]
Figure pat00010
제1기와 제2기 사이에는 7일의 휴약기를 두고, 모든 시험 대상자는 오전 동일한 시간에 물 150 mL와 함께 비교예 1 또는 실시예 1을 복용하였다.
투약 1일 전 시험 대상자는 정해진 시각에 기저치 평가를 위하여 공복 상태에서 24시간 pH 관찰을 실시하였다. 시험 대상자는 임상시험용의약품 첫 투여일에 배정된 군에 따라, 공복 상태에서 실시예 1 또는 비교예 1을 투여하고 24시간 pH 관찰 및 정해진 일정에 따라 약동학 채혈을 수행하였다. 이후 5일간 시험 대상자는 투약 전 약동학 채혈을 실시하고, 정해진 시각에 배정된 군에 따라 임상시험용의약품을 투여하였다. 시험 대상자는 임상시험용의약품 7일째 투여일에 배정된 군에 따라, 공복 상태에서 임상시험용의약품을 투여하고 24시간 pH 관찰 및 정해진 일정에 따라 약동학 채혈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1 또는 비교예 1 투여 후 약동학 평가를 위한 예정된 채혈을 모두 완료하고, 정량 가능한 약물의 농도를 가지고 있는 44명의 대상자에 대해 약동학 분석을 시행하였다.
실시예 1과 비교예 1을 각각 단회 투여 후 채혈 시점별 에스오메프라졸 평균 혈중농도-시간 양상을 도 2에 제시하였다. 시판 제제인 비교예 1은 약물 투여후 약 2시간 시점에 최고혈중농도를 보였다. 실시예 1은 투여후 약 4시간에 혈중 최고 농도를 보였다. 비교예 1에서 에스오메프라졸이 1회에 걸쳐 방출되는 패턴(single peak)을 보인 것과 달리, 실시예 1은 에스오메프라졸이 2회에 걸쳐 방출되는 패턴(double peak)으로 제 1 피크는 약물 투여 후 약 1.75 시간 시점에 나타났고, 제 2 피크는 약물 투여 후 약 4.5 시간 시점에 나타났다.
실시예 1 과 비교예 1 단회 투여 후 약동학적 파라미터 값은 표 9에 비교 제시하였다.
[표 9]
Figure pat00011
실시예 1과 비교예 1 투여군에서 AUC0-24h의 산술 평균은 각각 4258.11, 4460.37 hХμg/L 이었고, Cmax의 경우 각각 1007.55, 1622.18 μg/L 이었다.
또한, 비교예 1 투여군 대비 실시예 1 투여군의 AUC0-24h (AUClast) 기하평균비와 90% 신뢰구간은 각각 0.9479와 [0.9056 - 0.9922]으로, 통계분석 계획에서 정의한 동등성 판정 기준인 Log 0.80 - Log 1.25 내에 포함되었다.
실시예 1을 단회 투여 후 0시간부터 3시간 시점에 Cmax는 537.1 μg/L이고, 0시간부터 24시간 시점에 Cmax는 884.7 μg/L이었으며, 비교예 1을 단회 투여 후 0시간부터 3시간 시점에 Cmax는 976.9 μg/L이고, 0시간부터 24시간 시점에 Cmax는 1167.1 μg/L이었다.
실시예 1을 단회 투여 후 AUC0-3h는 92.8 h×μg/L 이고, AUC3-24h는 709.0 h×μg/L 이었으나, 비교예 1을 단회 투여 후 AUC0-3h는 275.7 h×μg/L 이고, AUC3-24h는 493.6 h×μg/L 이었다.
실시예 1을 단회 투여 후 AUC4-24h는 628.5 h×μg/L 이었으나, 비교예 1을 단회 투여 후 AUC4-24h는 435.1 h×μg/L 이었다.
Tmax (h)1)은 최고혈중농도에 도달하는 시간을 의미하며, 중앙값으로 표현한다. 실시예 1을 단회 투여 후 Tmax (h)1)은 4.00이었으나, 비교예 1을 단회 투여 후 Tmax (h)1)은 2.00 이었다.
약효를 오랜 시간 동안 유지하는 제형을 개발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약물의 방출을 지연시키는 방법이 사용된다. 약물 방출이 과도하게 지연 될 경우 소화관 내에서 제제가 약물의 흡수 부위를 지날 때까지 완전한 약물의 방출이 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기존의 속방정과 대비해서 흡수되는 약물의 전체 양이 감소될 수 있고, 이는 AUC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과도한 약물의 방출 지연으로 인한 AUC의 감소는 생체이용률의 감소를 의미하며, 이는 약효의 감소를 야기할 수 있다. 실시예 1의 경우 시판제제인 비교예 1에 비해 혈중농도가 더 오랫동안 유지되면서 AUC는 동등하였다. 따라서 실시예 1은 비교예 1과 비교하였을 때 생체이용률의 감소 없이 약효가 오래 유지됨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3. 생체내 약력학 연구: 야간 산 분비에 대한 치료 효과 (1), Part A (40mg)
임상시험용의약품으로서 실시예 1 또는 비교예 1을 투여 후 모든 24시간 pH 측정을 완료하고, 평가 가능한 위내(intragastric) pH 정보를 얻은 41명의 대상자에 대해 약력학 분석을 시행하였다. 오전 9시부터 약물 투여를 시작하여 24시간 동안 위내 pH를 측정하였다.
위 내 pH 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비교예 1을 단회 및 7일간 1일 1회 40 mg을 반복 투여(에스오메프라졸로서 40 mg 투여) 시 '위 pH 4.0 이상을 유지하는 시간의 비율' 및 '야간 산 분비를 경험한 대상자의 비율' 표 10에 제시하였다.
[표 10]
Figure pat00012
7일간 반복 투여 후, '위 pH 4.0 이상을 유지하는 시간의 비율' 은 각각 24시간 동안에는 실시예 1이 75.52%, 비교예 1이 71.24%이었고, 야간시간I 동안에는 실시예 1이 70.62%, 비교예 1이 60.63%으로, 실시예 1이 비교예 1에 비해 24시간뿐 아니라, 야간 시간대 I(22시-6시)에서 위내 pH가 4이상인 시간이 더 오랫동안 유지되어 실시예 1의 약효 유지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고 이와 같은 결과는 단회 투여시에도 유사하였다. 그 외 특히 야간시간 중 단회 투여 후에는 야간시간 II(21시-1시)에서, 반복 투여 후에는 야간시간 III(1시-5시)에서 실시예 1이 비교예 1에 비해 각각 13.43%, 12.91% 더 오랫동안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위내 pH가 4 이상으로 유지되는 효과를 보였다.
'야간 산 분비를 경험한 대상자의 비율' 은 실시예 1과 비교예 1 각각 단회 투여시에는 32명 (78.05%), 33명 (80.49%) 으로 유사하였으나, 7일간 반복 투여 후에는 각각 18명(43.90%), 27명(65.85%) 으로 실시예 1에서 훨씬 더 낮은 경향성을 보여 야간 시간동안 약효 지속 능력이 우수함이 확인되었다.
또한, 7일간 반복투여 후 대조약 대비 시험약의 ‘24시간 동안 기저치 대비 통합위산도(integrated gastric acidity) 감소 분율’의 기하평균비 및 90% 신뢰구간은 각각 1.0422과 [0.9906 - 1.0964]으로, 통계분석계획에서 정의한 동등성 판정 기준인 Log 0.80 - Log 1.25 내에 포함되었다.
또한, 첫 투여 후 대조약 대비 시험약의 ‘24시간 동안 기저치 대비 통합위산도 감소 분율’의 기하평균비 및 90% 신뢰구간은 각각 1.0627과 [1.0198 - 1.1073]으로, 통계분석계획에서 정의한 동등성 판정 기준인 Log 0.80 - Log 1.25 내에 포함되었다.
시험예 4. 생체내 약동학 연구: PK 프로파일 (2), Part B (20mg)
임상시험용의약품으로서 실시예 4의 정제와 비교예 2의 넥시움정® 20mg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시험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임상 시험을 진행하였다.
총 48명의 선정된 시험 대상자를 무작위 배정하여 2개의 순서군으로 나눈 후 2기 교차 시험 형태로 진행하였다. 시험 대상자들은 각 순서군에 해당되는 임상시험용의약품을 1일 1회 총 7일간 반복 투여 하였다.
모든 시험 대상자는 각 시기별 임상시험용의약품 첫 투여 2일전 오후에 입원하여 순서군에 따라 무작위 배정을 받았다.
[표 11]
Figure pat00013
제1기와 제2기 사이에는 7일의 휴약기를 두고, 모든 시험 대상자는 오전 동일한 시간에 물 150 mL와 함께 비교예 2 또는 실시예 4를 복용하였다. 시험예 2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24시간 pH 관찰 및 정해진 일정에 따라 약동학 채혈을 수행하고, 정해진 시각에 배정된 군에 따라 임상시험용의약품을 투여하였다.
실시예 4 또는 비교예 2 투여 후 약동학 평가를 위한 예정된 채혈을 모두 완료하고, 정량 가능한 약물의 농도를 가지고 있는 38명의 대상자에 대해 약동학 분석을 시행하였다.
실시예 4와 비교예 2를 각각 단회 투여 후 채혈 시점별 에스오메프라졸 평균 혈중농도-시간 양상을 도 3에 제시하였다. 시판 제제인 비교예 2는 약물 투여후 약 2시간 시점에 최고혈중농도를 보였고, 실시예 4는 투여후 약 4시간에 최고혈중농도를 보였다. 비교예 2에서 에스오메프라졸이 1회에 걸쳐 방출되는 패턴(single peak)을 보인 것과 달리, 실시예 4는 에스오메프라졸이 2회에 걸쳐 방출되는 패턴(double peak)으로 제 1 피크는 약물 투여후 약 1.75 시간 시점에 나타났고, 제 2 피크는 약물 투여 후 약 4.5 시간 시점에 나타났다.
실시예 4와 비교예 2 단회 투여 후 약동학적 파라미터 값은 표 12에 비교 제시하였고, 기하 평균비 및 90% 신뢰구간 결과는 표 13에 제시하였다.
[표 12]
Figure pat00014
실시예 4와 비교예 2 투여군에서 AUC0-24h의 산술 평균은 각각 1824.00, 1981.43 hХμg/L 이었고, Cmax의 경우 각각 499.37, 859.48μg/L 이었다.
또한, 비교예 2 투여군 대비 실시예 4 투여군의 AUC0-24h (AUClast) 기하평균비와 90% 신뢰구간은 각각 0.9577와 [0.8791 - 1.0433]으로, 통계분석 계획에서 정의한 동등성 판정 기준인 Log 0.80 - Log 1.25 내에 포함되었다.
실시예 4를 단회 투여 후 0시간부터 3시간 시점에 Cmax는 237.0 μg/L이고, 0시간부터 24시간 시점에 Cmax는 409.2 μg/L이었으며, 비교예 1을 단회 투여 후 0시간부터 3시간 시점에 Cmax는 432.8 μg/L이고, 0시간부터 24시간 시점에 Cmax는 557.3 μg/L이었다.
실시예 4를 단회 투여 후 AUC0-3h는 39.9 h×μg/L 이고, AUC3-24h는 317.4 h×μg/L 이었으나, 비교예 2를 단회 투여 후 AUC0-3h는 134.8 h×μg/L 이고, AUC3-24h는 208.1 h×μg/L 이었다.
실시예 4를 단회 투여 후 AUC4-24h는 291.4 μg/L 이었으나, 비교예 2를 단회 투여 후 AUC4-24h는 251.1 h×μg/L 이었다.
Tmax (h)1)은 최고혈중농도에 도달하는 시간을 의미하며, 중앙값으로 표현한다. 실시예 4를 단회 투여 후 Tmax (h)1)은 2.25 이었으나, 비교예 2을 단회 투여 후 Tmax (h)1)은 2.00 이었다.
시험예 5. 생체내 약력학 연구: 야간 산 분비에 대한 치료 효과 (2), Part B (20mg)
임상시험용의약품으로서 실시예 4 또는 비교예 2를 사용하고, 평가 가능한 위내(intragastric) pH 정보를 얻은 38명의 대상자에 대해 진행한 점을 제외하고는 시험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약력학 분석을 시행하였다. 오전 9시부터 약물 투여를 시작하여 24시간 동안 위내 pH를 측정하였다.
위 내 pH 에 대하여 실시예 4와 비교예 2를 단회 및 7일간 1일 1회 20 mg 반복 투여(에스오메프라졸로서 20 mg 투여) 시 '위 pH 4.0 이상을 유지하는 시간의 비율' 및 '야간 산 분비를 경험한 대상자의 비율' 표 13에 제시하였다.
[표 13]
Figure pat00015
7일간 반복 투여 후, '위 pH 4.0 이상을 유지하는 시간의 비율' 은 각각 24시간 동안에는 실시예 4가 63.02%, 비교예 2가 56.47%이었고, 야간시간I 동안에는 실시예 4가 50.45%, 비교예 2가 42.31%으로, 실시예 4가 비교예 2에 비해 야간 시간대 I(22시-6시)에서 위내 pH가 4이상인 시간이 더 오랫동안 유지되어 실시예 4의 약효 유지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고 이와 같은 결과는 단회 투여시에도 유사하였다. 그 외 야간시간II(1시-5시)에서 단회 투여 후 실시예 4가 비교예 2에 비해 8.83%, 또는 반복 투여 후에 9.79% 더 오랫동안 위내 pH가 4 이상으로 유지되는 효과를 보였다.
'야간 산 분비를 경험한 대상자의 비율' 은 실시예 4와 비교예 2 각각 단회 투여시에는 35명(92.11%), 34명 (89.47%)이고, 7일간 반복 투여 후에는 각각 27명(71.05%), 28명(73.68%)으로 야간 시간동안 약효 지속 능력이 유사하게 확인되었다.
또한, 7일간 반복투여 후 대조약 대비 시험약의 ‘24시간 동안 기저치 대비 통합위산도(integrated gastric acidity) 감소 분율’의 기하평균비 및 90% 신뢰구간은 각각 1.0895,
[1.0053 - 1.1808]으로, 통계분석계획에서 정의한 동등성 판정 기준인 Log 0.80 - Log 1.25 내에 포함되었다.
또한, 첫 투여 후 대조약 대비 시험약의 ‘24시간 동안 기저치대비 통합위산도 감소 분율’의 기하평균비와 90% 신뢰구간은 각각 1.0694과 [1.0037 - 1.1394]으로, 통계분석계획에서 정의한 동등성 판정 기준인 Log 0.80 - Log 1.25 내에 포함되었다.
시험예 6. 제3상 임상시험 : 유효성 및 안전성 평가 (40mg)
(1) 임상시험 대상자의 선정
하기 선정 기준에 기초하여 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 환자를 시험 대상자를 선정하였다.
1) 동의 시점에 만 19세 이상 75세 이하인 자
2) 스크리닝 위식도내시경(EGD) 검사 상 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으로 확진된 환자로 LA 분류법에 따라 grade A 이상인 자
3) 스크리닝 시점 기준 7일 이내에 가슴쓰림(heartburn) 또는 산 역류(acid regurgitation) 증상을 경험한 환자
4) 본 임상시험에 대해 충분한 설명을 들은 후 서면동의서에 자발적으로 서명한 환자
(2) 임상시험 진행 방법
선정된 시험대상자에 시험약을 투여한 후의 유효성과 대조약을 투여한 후의 유효성을 비교하여 비열등함을 증명하고, 안전성을 비교평가하기 위하여 다기관(multicenter), 무작위배정(randomized), 이중눈가림(double blind) 방식으로 제3상 임상시험을 진행하였다.
실시예 1의 정제(에스오메프라졸로서 40mg)를 시험약으로 사용하고, 넥시움정® 40mg을 대조약으로 사용하였다. 상기 임상시험용 의약품을 배정된 시험 대상자군에 따라 1일 1회, 4+4주간 매일 경구 투여하였다(총 8주, 단 4주차 미란 완치 대상자는 4주차에 투여를 종료함).
(3) 임상시험 분석 집단
무작위배정 된 시험 대상자 총 213명 중 211명의 대상자가 임상시험용 의약품(시험약 또는 대조군)을 복용하였고, 투여군별로는 시험약(실시예 1) 투여군이 105명, 대조약(비교예 1) 투여군이 106명 이었다. 임상시험에 무작위배정 된 후 임상시험용 의약품을 한 번이라도 투여받은 모든 시험 대상자군을 안전성 분석군(Safety set)으로 하였다.
무작위배정 분석군(Full analysis set: FAS)에는 무작위배정 이후 1 차 유효성 평가를 한 번도 실시하지 않은 8명을 제외한 203명의 시험대상자가 포함되었고, 투여군별로는 시험약 투여군이 103명, 대조약 투여군이 100명 이었다.
계획서순응 분석군(Per protocol set: PPS)에는 FAS 대상자 중 임상시험계획서에 따라 임상시험을 완료한 194명의 시험대상자가 포함되었으며, 투여군별로는 시험약 투여군이 98명, 대조약 투여군이 96명이었다. 중대한 임상시험계획서 위반(Protocol deviations)에 해당하는 시험대상자는 19명으로 PPS에서 제외되었다. 임상시험 분석 집단의 요약을 표 14에 제시하였다.
[표 14]
Figure pat00016
(4) 유효성 및 안전성 평가 방법
1차 유효성 평가는 계획서순응 분석군(PPS)를 주 분석군으로하고, 무작위배정 분석군(FAS)을 보조 분석군으로 하였다. 2차 유효성 평가는 두 분석군에 대해 모두 분석하였다.
미란이 완치된 대상자 비율(complete healing rate)은 전체 대상자 중 임상시험용 의약품 투여 후 위식도내시경 검사상미란의 분류 기준(Los Angeles classification, LA classification)에 따라 '존재하지 않음(Not Present)'으로 판정된 대상자의 비율로 정의하였다.
1) 1차 유효성 평가 방법
8주 시점에 위식도내시경 검사 상 미란이 완치된 대상자 비율(complete healing rate)을 기준으로 1차 유효성을 평가하였다. 단, 4주 치료 후 위식도내시경 검사 상 미란이 완치(complete healing) 되어 정상 종료한 경우 미란이 완치된 대상자에 포함시켰다. 대조약 투여군 대비 시험약 투여군의 비열등성을 검정하기 위해 정규근사(Normal approximation) 방법으로 95% 신뢰구간을 산출하였다. 단, 기대빈도가 5 미만인 셀이 전체의 20%를 넘는 경우에는 exact method으로 95% 신뢰구간을 산출하였다. 미란이 완치된 대상자 비율의 두 군간 차이 (시험군 - 대조군)에 대한 95% 양측 신뢰구간의 하한치가 비열등성 허용범위인 -10% 보다 큰 경우에 시험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비열등 하다고 판단하였다.
2) 2차 유효성 평가 방법
4주 시점에 위식도내시경 검사 상 미란이 완치된 대상자 비율을 제시하고, 정규근사(Normal approximation) 방법으로 95% 신뢰구간을 산출하였다. 단, 기대빈도가 5 미만인 셀이 전체의 20%를 넘는 경우에는 exact method으로 95% 신뢰구간을 산출하였다.
주요 2차 유효성 평가 항목은 다음과 같다.
① 4주 시점에 위식도내시경 검사 상 미란이 완치된 대상자 비율(Complete healing rate)
② 4주, 8주 시점에 위식도역류질환 증상이 완전 해소된 대상자 비율(Complete resolution rate of each symptom in GERD) (여기서 증상의 완전 해소란 7일 동안 중증도(severity) 분류상'Score 0'에 해당하는 경우로 정의한다. 또한 8주 시점은 4주 시점에 미란이 완치되지 않아 8주까지 임상시험을 진행한 대상자를 기준으로 평가한다.)
③ 1, 2, 4, 8주 치료 후, 하루 동안 가슴쓰림, 산 역류 증상을 경험하지 않은 날의 비율(Proportion of heartburn-free days, acid regurgitation-free days)
④ 1, 2, 4, 8주 치료 후 야간 동안 가슴쓰림, 산 역류 증상을 경험하지 않은 날의 비율(Proportion of heartburn-free nights, acid regurgitation-free nights)
⑤ 하루 동안 가슴쓰림, 산 역류 증상이 해소된 상태가 유지될 때까지 걸린 시간(Time to sustained resolution heartburn, acid regurgitation)
⑥ 야간시간 동안 가슴쓰림, 산 역류 증상이 해소된 상태가 유지될 때까지 걸린 시간(Time to sustained resolution of nocturnal heartburn, nocturnal acid regurgitation)
3) 안전성 평가 항목은 다음과 같다.
① 이상반응
② 신체검진, 활력징후, 임상실험실검사(혈액학 검사, 혈액화학 검사, 요검사), 심전도
(5) 유효성 및 안전성 평가 결과
1) 1차 유효성 평가 결과
1차 유효성 평가는 PPS 를 주 분석군, FAS 를 보조 분석군으로, 미란이 완치된 대상자 수(N) 및 비율(%) 과 95% 신뢰구간(Confidential Interval)을 제시하였다. 임상시험용의약품 투여 후, 8주 시점에 위식도 내시경 검사상 미란이 완치된 대상자 비율(Complete Healing Rate)을 표 15 및 표 16에 나타내었다.
[표 15]
Figure pat00017
[표 16]
Figure pat00018
표 15에서와 같이, 일차 평가변수인 8주 시점에 위식도내시경 검사 상 미란이 완치된 대상자 비율(%, (N))은 PPS을 기준으로 시험약 투여군에서 97.96%(96/98), 대조약 투여군에서 96.88%(93/96)으로 시험약 투여군에서 1.08% 높았으며, 두 군간 차이의 95% 양측 신뢰구간은 [-4.46, 7.21]이었다.
또한, 상기 표 16에서와 같이 FAS을 기준으로 8주 시점에 위식도내시경 검사 상 미란이 완치된 대상자 비율(%, (N))은 시험약 투여군에서 98.06%(101/103), 대조약 투여군에서 95.00%(95/100)으로, 시험약 투여군에서 3.06% 높았으며, 두 군간 차이의 95% 양측 신뢰구간은 [-2.54, 9.72]이었다.
종합적으로 PPS 와 FAS에서의 두 군간 차이의 95% 양측 신뢰구간의 하한치는 각각 -4.46%, -2.54%으로 두 분석군 모두에서 비열등성 허용 범위인 -10% 보다 큰 결과를 나타냈으므로, 8주 투여 후 미란이 완치된 대상자 비율에 대하여 시험약 투여군이 대조약 투여군 대비 비열등함을 입증하였다.
2) 2차 유효성 평가 결과
PPS을 기준으로 4주 시점에 위식도내시경 검사 상 미란이 완치된 대상자 비율(%, (N))은 시험약 투여군에서 91.84%(90/98), 대조약 투여군에서 91.67%(88/96)으로, 시험약 투여군에서 0.17% 높았으며, 두 군간 차이의 95% 양측 신뢰구간은 [-7.57, 7.91]이었다.
FAS을 기준으로 4주 시점에 위식도내시경 검사 상 미란이 완치된 대상자 비율(%, (N))은 시험약 투여군에서 92.23%(95/103), 대조약 투여군에서 89.00%(89/100)으로, 시험약 투여군에서 3.23% 높았으며, 두 군간 차이의 95% 양측 신뢰구간은 [-4.79, 11.25]이었다.
PPS 와 FAS 에서의 95% 양측 신뢰구간의 하한치는 각각 -7.57%, -4.79%으로 두 분석군 모두에서 비열등성 허용범위인 -10% 보다 큰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결론적으로 본 임상시험에서 미란이 완치된 대상자 비율은 8주뿐 아니라 4주 투여 후에도 시험약 투여군이 대조약 투여군에 비해 비열등함을 만족하였다.
[표 17]
Figure pat00019
[표 18]
Figure pat00020
PPS에서 4가지 위식도역류질환의 증상이 모두 완전 해소된 대상자의 비율(%)은 4주 시점에서는 시험약 투여군에서 51.02%(N, 50/98), 대조약 투여군에서 51.04%(N, 49/96)이었으며, 8주 시점에서는 시험약 투여군에서 37.50%(N, 3/8), 대조약 투여군에서 25.00%(N, 2/8)이었다. 여기서 4가지 증상은 가슴쓰림, 산 역류, 연하곤란, 상복부통증을 의미한다.
PPS에서 1주 치료 후, 하루 동안 가슴쓰림 증상을 경험하지 않은 날의 비율(%, Mean(SD))은 시험약 투여군에서 57.14%(39.24%), 대조약 투여군에서 50.74%(37.36%), 2주 치료 후에는 시험약 투여군에서 62.35%(35.80%), 대조약 투여군에서 61.01%(34.04%), 4주 치료 후에는 시험약 투여군에서 70.28%(31.76%), 대조약 투여군에서 72.34%(28.19%)이었다. 전반적으로 투여 초기 1, 2주에 시험약 투여군에서 하루동안 가슴쓰림 증상을 경험하지 않은 날의 비율이 대조약 투여군보다 높은 경향으로, 1주 시점에서 가장 큰 차이(6.40%)를 보였다. 추가적으로 1주 시점에서 야간시간 동안 가슴쓰림 증상을 경험하지 않은 날의 비율은 시험약 투여군에서 75.80%(34.29%), HGP1705 투여군에서 74.26%(34.97%)이었다.
PPS에서 1주 치료 후, 하루 동안 산 역류 증상을 경험하지 않은 날의 비율(%, Mean(SD))은 시험약 투여군에서 62.24%(40.88%), 대조약 투여군에서 56.10%(42.09%), 2주 치료 후에는 시험약 투여군에서 67.09%(36.68%), 대조약 투여군에서 65.77%(36.77%), 4주 치료 후에는 시험약 투여군에서 73.69%(32.73%), 대조약 투여군에서 73.71%(30.49%)이었다. 전반적으로 투여 초기 1, 2주에 시험약 투여군에서 하루 동안 산 역류 증상을 경험하지 않은 날의 비율이 대조약 투여군보다 높은 경향으로, 1주 시점에서 가장 큰 차이(6.14%) 를 보였다. 추가적으로 1주 시점에서 야간시간 동안 산 역류 증상을 경험하지 않은 날의 비율은 시험약 투여군에서 78.43%(33.72%) HGP1705 투여군에서 76.64%(33.88%)이었다. PPS에서 하루 동안 가슴쓰림 증상이 해소된 상태가 유지될 때까지 걸린 시간(Median, [95% CI])은 시험약 투여군에서 7.00일[3.00, 15.00], 대조약 투여군에서 8.00일[6.00, 11.00] 이었으며, 산 역류 증상의 경우, 시험약 투여군에서 5.00일[2.00, 9.00], 대조약 투여군에서 6.00일[3.00, 9.00]으로 시험약 투여군서 증상 해소에 도달하는 시간이 1일 더 빠른 경향을 보였다.
추가적으로 야간 동안 가슴쓰림 증상이 해소된 상태가 유지될 때까지 걸린 시간(Median, [95% CI])은 시험약 투여군에서 1.00일[1.00, 3.00], 대조약 투여군에서 1.00일[1.00, 3.00]이었으며, 산 역류 증상의 경우, 시험약 투여군에서 1.00일[1.00, 2.00], 대조약 투여군에서 1.00일[1.00, 3.00]이었다.
3) 안전성 평가 결과
안전성 평가 결과, 시험약 투여군 및 대조약 투여군 모두 임상적으로 유의할만한 이상반응이 발생되지 않았다.
상기 유효성 및 안전성 평과 결과, 시험약 40mg 투여 시, 위식도 내시경 검사로 확인된 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의 치료효과가 4주 및 8주 시점 모두에서 대조약 투여 대비 비열등함을 입증하였으며, 안전성도 양호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에서 시험약의 투여가 효과적이고 안전할 것으로 판단된다.
시험예 7. 식이영향 평가-약동학/약력학 연구: PK/PD 프로파일 (40mg)
건강한 성인 자원자를 대상으로 음식물이 실시예 1의 경구 투여시의 약동학 및 약력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기 위하여 무작위 배정(randomized), 공개(open-label), 단회 투여(single dose), 교차 설계 임상시험(crossover study)을 진행하였다.
총 24명의 선정된 시험 대상자를 무작위 배정하여 2개의 순서군으로 나눈 후 2기 교차 시험 형태로 진행하였다. 시험 대상자들은 각 순서군에 해당되는 식이 조건(공복 상태 또는 고지방식이)하에서 임상시험용의약품을 1일 1회 단회 투여 하였다.
모든 시험 대상자는 각 시기별 임상시험용의약품 첫 투여 2일전 오후에 입원하여 순서군에 따라 무작위 배정을 받았다.
[표 19]
Figure pat00021
제1기와 제2기 사이에는 7일의 휴약기를 두고, 모든 시험 대상자는 오전에 배정된 식이조건에 따른 음식물 섭취 후 동일한 시간에 물 150 mL와 함께 실시예 1을 복용하였다.
투약 1일 전 시험 대상자는 정해진 시각에 기저치 평가를 위하여 순서군에 따라 공복 상태 또는 고지방식이 섭취 후 24시간 pH 관찰을 실시하였다. 시험 대상자는 임상 시험용 의약품 첫 투여일에 배정된 군에 따라, 공복 상태 또는 고지방식이(900kcal 이상, 지방 35% 이상)를 20분 내에 섭취 후 실시예 1을 투여하고 24시간 pH 관찰 및 정해진 일정에 따라 약동학 채혈을 수행하였다. 다음날 시험 대상자는 정해진 임상시험 일정에 따라 안전성, 약동학 및 약력학 평가(pH monitoring 포함)를 진행한 후 모든 입원 연구일정을 완료한 시점에 퇴원하였다.
식이조건에 따라 실시예 1을 투여 후 약동학 평가를 위한 예정된 채혈을 모두 완료하고, 정량 가능한 약물의 농도를 가지고 있는 23명의 대상자에 대해 약동학 분석을 시행하였다.
식이 조건에 따른 실시예 1의 단회 투여 후 채혈 시점별 에스오메프라졸 평균 혈중농도-시간 양상을 도 5에 제시하였다. 도 5는 식이 조건(고지방식 또는 공복상태)에 따른 실시예 1의 단회 투여 후 채혈 시점별 에스오메프라졸 평균 혈중농도-시간 양상을 나타낸다. 공복상태에서 약물 투여시에는 약 4시간 시점에 최고혈중농도를 보였고, 고지방식이 섭취 후 약물 투여시에는 약 5.5시간 시점에 최고혈중농도를 보였다. 또한 고지방식이 섭취 후 또는 공복상태에서 실시예 1 투여시 AUC0-24h의 산술 평균은 각각 1861.81, 2700.77 h×μg/L 이었고, Cmax의 경우 각각 460.30, 768.43 μg/L 이었다.
[표 20]
Figure pat00022
식이조건에 따라 실시예 1을 투여후 모든 24시간 pH 측정을 완료하고, 평가 가능한 위내(intragastric) pH 정보를 얻은 21명의 대상자에 대해 약력학 분석을 시행하였다.
임상시험용의약품 투여 후 24시간 동안 기저치 대비 통합위산도(integrated gastric acidity)감소 분율(%)의 기하평균(Geometric mean)는 고지방식이 섭취 후 67.82%, 공복상태에서 71.95% 이었다. 기하평균비 및 90% 신뢰구간은 0.9474, [0.8750-1.0258]으로 동등성 판정 기준인 0.80-1.25 내에 포함되었으므로 공복상태와 고지방식이 섭취 후 실시예 1을 단회 투여시 24시간 동안 약력학적 효과는 동등함이 확인되었다. 또한 위내 pH 4이상 유지 시간(%)의 경우, 고지방 식이 섭취 후 35.00%, 공복상태에서 35.99%으로 두 군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7868). 도 6은 식이 조건(고지방식 또는 공복상태)과 시간에 따른 통합위산도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7은 실시예 1의 단회 투여 후 식이 조건(고지방식 또는 공복상태)과 시간에 따른 평균 위내 pH 그래프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통합위산도"는 위의 pH 측정으로부터 계산될 수 있으며, 시간에 따른 위의 산도를 정량화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통합위산도는 아래와 같은 수식을 통해 계산하였다.
Figure pat00023
[표 21]
Figure pat00024
[표 22]
Figure pat00025
참고로 단일방출 제제로 개발된 에스오메프라졸(esomeprazole) 제제(비교예 1)는 기존에 보고된 식이 영향 평가 연구 결과에서 단회 투여시 공복 상태 대비 고지방식이 섭취 군에서 AUC가 약 44% 감소, Cmax는 약 66% 감소하고, Tmax는 약 2시간이 지연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Mark B. Sostek et al, Effect of timing of dosing in relation to food intake on the pharmacokinetics of esomeprazole. Br J Clin Pharmacol 2007; 64:3 386-390). 이와 같은 결과와 비교시, 이중방출 제형의 특징을 가지는 실시예 1의 약동학 결과는 고지방식이로 인해 AUC와 Cmax가 감소한 정도는 약 31%, 40%으로, 비교예 1에 비해 감소폭이 줄어들었을 뿐 아니라, 약물의 흡수가 지연되는 시간 역시 1.5시간으로 감소하였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식이 조건에 따른 실시예 1의 약력학 효과 평가 결과에서 통합위산도 감소 분율(%)은 생물학적으로 동등하였고, 위내 pH 4 이상 유지 시간(%) 역시 식이 조건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약동학/약력학 평가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실시예 1의 위산 분비 억제능에 대한 식이영향은 유의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며, 비교예 1에 비해 전반적으로 식이영향에 대한 영향이 적을 것으로 보인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5)

  1. 유효성분으로 에스오메프라졸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속방 장용 코팅정과 유효성분으로 에스오메프라졸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서방 장용 코팅정을 포함하며,
    (i) 투여 0 내지 3시간 내 상기 유효성분의 최고혈중농도(Cmax 0-3h)가 투여 0 내지 24시간 내 최고혈중농도(Cmax 0-24h)의 40% 내지 80%이고,
    (ii) 투여 0 내지 24시간 내 최고혈중농도에 도달하는 시간(Tmax)이 투여 2시간 이후이며,
    (iii) AUC3-24h가 AUC0-3h의 5배 이상인, 방출 특성의 약학적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AUC0-24h는 동일 용량의 에스오메프라졸 단일방출 제형의 AUC0-24h 대비 70 내지 130%인 약학적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AUC4-24h는 동일 용량의 에스오메프라졸 단일방출 제형의 AUC4-24h 대비 120 내지 170%인 약학적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투여 0 내지 24시간 내 최고혈중농도(Cmax 0-24h)가 되는 시간이 투여 후 3 시간 내지 7시간인 약학적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ii) 투여 0 내지 24시간 내 최고혈중농도에 도달하는 시점(Tmax)이 투여 3시간 이후인 약학적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속방 장용 코팅정과 서방 장용 코팅정을 혼합하여 충진한 캡슐제인 약학적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속방 장용 코팅정 및 서방 장용 코팅정은 다중 투여 단위 정제(Multi-Unit Spheroidal Tablets, MUST)인 약학적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속방 장용 코팅정 및 서방 장용 코팅정을 1:1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9. 제 1 항에 있어서, 속방 장용 코팅정 및 서방 장용 코팅정은 각각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는 희석제(diluents), 결합제(binder), 붕해제(disintegrant), 윤활제(lubricants), 계면활성제, 항산화제(antioxidants), 방부제 및 안정화제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부형제를 더 포함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10. 제 8 항에 있어서, 속방 장용 코팅정 및 서방 장용 코팅정은 각각의 코어 상에 형성된 내피 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내피 코팅층은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HPMC), 폴리비닐피롤리돈(PVP), 저치환된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HPC-L), 전분, 젤라틴, 에틸셀룰로오스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코팅기제를 포함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11. 제 9 항에 있어서, 속방 장용 코팅정은 내피 코팅층 상에 형성된 속방형 장용성 코팅층을 포함하고, 서방 장용 코팅정은 내피 코팅층 상에 형성된 서방형 장용성 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에스오메프라졸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단위 제형당 10 내지 50 mg 으로 포함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일일 1회 투여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14. 제 1 항에 있어서, 야간 산 분비의 예방 또는 치료용인 것인 약학적 조성물.
  15. 제 1 항에 있어서, 방출 특성은, 조성물 투여 시 공복 또는 식전 상태에서 나타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KR1020200039952A 2019-04-02 2020-04-01 에스오메프라졸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고 이중방출 프로파일을 갖는 약학적 조성물 KR1026129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8380 2019-04-02
KR20190038380 2019-04-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6867A true KR20200116867A (ko) 2020-10-13
KR102612984B1 KR102612984B1 (ko) 2023-12-13

Family

ID=72667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9952A KR102612984B1 (ko) 2019-04-02 2020-04-01 에스오메프라졸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고 이중방출 프로파일을 갖는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20202795A1 (ko)
EP (1) EP3949955A4 (ko)
KR (1) KR102612984B1 (ko)
CN (1) CN113597302A (ko)
BR (1) BR112021019630A2 (ko)
MX (1) MX2021011795A (ko)
WO (1) WO202020460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9095B1 (ko) * 2023-03-06 2023-09-15 주식회사 중헌제약 에스오메프라졸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제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6682A (ko) * 2016-10-28 2018-05-09 한미약품 주식회사 에스오메프라졸 함유 복합 캡슐제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4659B1 (ko) * 2008-12-30 2011-11-22 한미홀딩스 주식회사 에스오메프라졸의 과립 및 그 장용성 과립의 제조방법
KR101378973B1 (ko) * 2012-04-13 2014-03-28 한미약품 주식회사 구형에 가까운 형태의 다중 투여 단위 정제를 포함하는 경질 캡슐 복합 제형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586809A (zh) * 2015-01-08 2015-05-06 浙江亚太药业股份有限公司 一种埃索美拉唑镁微丸肠溶片及制备方法
KR101869406B1 (ko) * 2015-11-25 2018-07-24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주식회사 방출제어형 경질캡슐 제제
KR101907116B1 (ko) * 2016-07-25 2018-10-11 한미약품 주식회사 에스오메프라졸,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을 포함하는, pH-의존성 약물 방출 특성이 개선된 제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6682A (ko) * 2016-10-28 2018-05-09 한미약품 주식회사 에스오메프라졸 함유 복합 캡슐제 및 그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ighttime Heartburn Is an Under-Appreciated Clinical Problem That Impacts Sleep and Daytime Function: The Results of a Gallup Survey Conducted on Behalf of the American Gastroenterological Association, Reza Shaker et al., THE AMERIC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Vol. 98, No. 7, 1487~1494
Proton Pump Inhibitors의 작용기전과 사용법, 대한소화기학회지, 2006, 48, 4~8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9095B1 (ko) * 2023-03-06 2023-09-15 주식회사 중헌제약 에스오메프라졸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제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21019630A2 (pt) 2021-12-07
KR102612984B1 (ko) 2023-12-13
CN113597302A (zh) 2021-11-02
EP3949955A4 (en) 2023-01-04
US20220202795A1 (en) 2022-06-30
WO2020204609A1 (ko) 2020-10-08
EP3949955A1 (en) 2022-02-09
MX2021011795A (es) 2022-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030240A1 (en) Sustained-release formulations of colchicine and methods of using same
JP2009527477A (ja) 低紅潮ナイアシン製剤
US20210154180A1 (en) Formulation having improved ph-dependent drug-release characteristics containing esomeprazole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US20070160664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of proton pump inhibitor and prokinetic agent
KR102194174B1 (ko) 통증 및 오피오이드 장 기능장애 증후군의 치료를 위한 히드로모르폰 및 날록손
JP2011521977A (ja) 調節放出性ナイアシン処方物
CN109890372B (zh) 含埃索美拉唑的复合胶囊及其制备方法
CN109414423A (zh) 包含丙戊酸的延迟释放药物制剂和其用途
WO2004062552A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a nsaid and a benzimidazole derivative
KR102612984B1 (ko) 에스오메프라졸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고 이중방출 프로파일을 갖는 약학적 조성물
US10335376B2 (en) Raloxifene sprinkle composition
RU2807610C1 (ru)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содержащая ингибитор протонного насоса и антацидное средство
US20240100011A1 (en) Pediatric formulations of ferric citrate
EA044361B1 (ru) Составная капсула, содержащая эзомепразол, и способ ее получения
US20230330076A1 (en) Controlled release formulations of flavoxate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EA042135B1 (ru) Таблетка деферипрона с отсроченным высвобождением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Deepak Formulation of a modified release dosage form of a freely soluble drug, metoprolol
KR20180002437A (ko) 독실아민 및 피리독신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복합 제제
MXPA06007779A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a proton pump inhibitor and a prokinetic ag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