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4909A - 캔 뚜껑 - Google Patents

캔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4909A
KR20180044909A KR1020187005061A KR20187005061A KR20180044909A KR 20180044909 A KR20180044909 A KR 20180044909A KR 1020187005061 A KR1020187005061 A KR 1020187005061A KR 20187005061 A KR20187005061 A KR 20187005061A KR 20180044909 A KR20180044909 A KR 201800449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metal
opening
joint ring
r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5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4556B1 (ko
Inventor
클라우스 틸렌
에바-마리아 틸렌
Original Assignee
피흐, 그레고르 안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흐, 그레고르 안톤 filed Critical 피흐, 그레고르 안톤
Publication of KR20180044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49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4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45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50Non-integral frangible members applied to, or inserted in, preformed openings, e.g. tearable strips or plastic plugs
    • B65D17/506Rigid or semi-rigid members, e.g. plu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 B65D17/401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partially by means of a tearing tab
    • B65D17/401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partially by means of a tearing tab and provided with attached means for reclosing or resea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1Action for opening container
    • B65D2517/0013Action for opening container pull-out tear panel, e.g. by means of a tear-ta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58Other details of container end panel
    • B65D2517/0059General cross-sectional shape of container end panel
    • B65D2517/0061U-shaped
    • B65D2517/0062U-shaped and provided with an additional U-shaped peripheral chan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50Non-integral frangible members applied to, or inserted in, a preformed opening
    • B65D2517/504Details of preformed openings
    • B65D2517/5064Details of preformed openings the punched-out part of the preformed opening is re-inserted in the preformed opening and forming part of the tear pa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Opened By Tearing Frangible Portions (AREA)
  • Packages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원은 스냅인 래칭 연결부를 통해 서로 결합 될 수 있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뚜껑 수납 부재 및 이음 고리 부재를 갖는 재폐쇄가능한 캔 뚜껑을 개시하며, 여기에서 본질적으로 폐쇄된 절취선은 부분적으로 천공되거나, 또는 톱니 분리선으로 형성되며, 뚜껑 덮개의 내측에 제공된 밀봉 필름에 의해 누설 방지성이 확보된다.

Description

캔 뚜껑
본 발명은 제 1 항의 전제부(preamble)에 따른 밀봉식으로 재폐쇄가능한(sealingly reclosable) 개구부를 갖는 캔 뚜껑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재폐쇄가능한 캔 뚜껑은 독일 특허 제 10 2010 013 531 A1 호에 공지되어 있다.
유럽 특허 제 2 354 022 B1 호는 이러한 유형의 유사한 캔 뚜껑을 추가로 기술하고 있다.
유럽 특허 제 1 607 341 A1 호는 재폐쇄가능한 개구부를 갖는 캔 뚜껑을 개시하고 있으며, 여기에서는 개구부가 금속 캔 뚜껑에 도입되고, 이 개구부의 가장자리는 조립식 플라스틱 덮개 부재(closure part)에 대한 고정 가능성을 제공하도록 비딩된다(beaded). 상기 플라스틱 덮개 부재는, 상기 캔 개구부의 비드 림(bead rim)에 연결되고 평평한 마개에 의해 폐쇄된 개구부가 형성되는 베이스 부재를 둘러싼다. 상기 평평한 마개는 플라스틱 절취 심(tear seam)을 통해 상기 개구부 가장자리에 연결되어, 절취 탭(tear tab)에 연결된 상기 평평한 마개가 장력에 의해 상기 절취 탭을 통해 상기 플라스틱 베이스 부재로부터 해제될 수 있고 피봇되어(pivoted) 개방 위치가 될 수 있다. 하부면이 바람직하게는 원뿔형인 상기 평평한 마개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개구부를 다시 일시적으로 폐쇄할 수 있다.
국제 특허 제 WO 2008/098558 A1 호는 재폐쇄가능한 개구부를 갖는 캔 뚜껑을 개시하고 있으며, 여기에서는 조립식의 절취 가능한(tearable) 플라스틱 덮개 부재가 삽입되는 개구부가 금속 캔 뚜껑에 마찬가지로 도입되고, 상기 조립식 플라스틱 요소는 가장자리 측에, 상기 펀칭된 캔 개구부의 가장자리가 결합되어 고정되는 이중 플랜지(double flange)를 갖는다. 상기 조립식 플라스틱 요소는 절취 심을 통해 상기 플라스틱 부재의 주변 가장자리에 연결된 덮개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덮개 부재에 연결된 절취 탭은 상기 플라스틱 부재의 주변 영역과 상기 뚜껑 부재 사이의 플라스틱 절취 심을 절취 개방할 수 있게 하고,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캔 개구부를 해제할 수 있게 한다. 재폐쇄를 위해, 바람직하게는 탭 영역을 통해 상기 주변 영역과 접촉한 채로 남아있는 상기 덮개 부재가 상기 개구부 내로 가압된다.
독일 특허 제 1 389 351 호는 재폐쇄가능한 캔 뚜껑을 개시하고 있으며, 여기에서는 특히, 탭을 통해 전형적인 금속 시트 캔을 개방할 때 발생하는 것과 같은 날카로운 가장자리의 생성을 피해야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상기 금속 캔 뚜껑에 제공된 펀칭은, 얇은 플라스틱 벽을 통해 상기 캔 개구부 내로 스냅 결합된(snapped) 베이스 부재에 연결된 뚜껑 부재를 갖는 조립식 플라스틱 부재에 스냅 결합된다. 상기 연결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 사이의 얇은 연결 벽은 절취 탭을 통해 파괴될 수 있으며 상기 캔 개구부가 노출될 수 있다. 이 측면에 있어서, 상기 덮개 부재는 스냅 인 래칭 연결부(snap-in latching connection)를 통해 상기 베이스 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를 재폐쇄하도록 설계된다.
독일 특허 제 89 11 286 U 호는 압입식(press-in) 덮개를 가진 음료 캔을 개시하고 있으며, 여기에서는 절취 탭이 뚜껑 벽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덮개 요소가 상기 뚜껑 벽에 제공되며, 이는 상기 절취 탭이 절취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회전시 상기 개방된 주입 개구부 위로 옮겨지고 상기 주입 개구부는 중첩 또는 폐쇄 방식으로 이와 결합한다.
독일 특허 제 90 05 150 U 호는 금속 시트로 구성된 뚜껑을 갖는 음료 캔을 개시하고 있으며, 여기에서는 감쇠선(attenuating line)이 형성되며, 상기 뚜껑 표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피봇 가능한 제거 개구부용 덮개 부재가 상기 뚜껑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감쇠선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 뚜껑 부재가 견인 탭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독일 특허 제 196 13 246 호는 음료 캔용 금속 뚜껑을 개시하고 있으며, 이는 뚜껑 표면에, 덮개 요소에 의해 밀봉식으로 폐쇄되며 제 1 개방 후에 다시 밀봉식으로 폐쇄될 수 있는 사전 천공된 주입 개구부를 갖는다. 이 측면에 있어서, 상기 뚜껑과 상기 덮개 요소는, 베이어닛 방식(manner of a bayonet)으로 서로 결합하고 상기 뚜껑 재료 또는 상기 덮개 요소로부터 직접 형성되는 요소들에 의해 형상 정합 방식(shape-matched manner)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품질의 기밀 및 액밀 폐쇄(gas-tight and liquid-tight closure)를 유지하면서 기능성이 더욱 개선되고, 특히 캔을 개방하는 공정이 용이해지거나 이를 위해 요구되는 힘이 감소되며, 또한 캔 뚜껑의 제조가 단순화되고 제조 비용이 보다 저렴해지며, 구조 설계로 인해 이전의 해결책들에 비해 자동 조립이 실질적으로 더 유리해지도록, 제 1 항의 전제부에 따른 재폐쇄가능한 캔 뚜껑을 추가로 개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음 고리 부재(collar part) 및 뚜껑 수납 부재(lid receiving part) 각각이 환형으로 배치된 복수의 성형된 노우즈들(noses)을 가지며, 이들 노우즈가 금속 뚜껑 부재 내의 개조된 개구부들을 통해 연장되며, 열의 영향 하에서의 상기 노우즈들의 리벳 유사 변형(rivet-like deformation)에 의해 접착 촉진층을 개재시키면서 상기 이음 고리 부재 및 상기 뚜껑 수납 부재가 밀봉식으로 그리고 형상 정합 및 힘 전달 방식으로(in a shape-matched and force-transmitting fashion) 상기 금속 뚜껑 부재에 연결된다는 점에서, 이러한 목적이 실질적으로 만족된다.
이러한 조치에 의해 플라스틱 구성 요소들 및 금속 구성 요소들을 별도로 생산할 수 있으며, 금속 및 플라스틱 복합 부재의 기술적인 사출 제작을 피할 수 있으므로, 기능 절충 없이 큰 기술적 생산 이점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캔 뚜껑의 개별 구성 요소들 간의 확고하고 영구적인 연결을 달성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상승된 온도(elevated temperature)에서 반응하는 접착 촉진층 또는 밀봉층이 상기 금속 뚜껑 부재의 양 표면 상으로, 즉 이 뚜껑 부재의 외부 및 내부 표면 상으로 연장되도록 제공된다.
상기 플라스틱 재료는, 이러한 방식으로 제공되며 밀봉 왁스일 수 있는 상기 밀봉층에 의해 상기 금속 부재에 밀봉식으로 고정되게 연결되며, 이는 바람직하게는 고온에서, 예를 들어 약 150°C 내지 160°C에서 열 밀봉에 의해 수행된다.
본 발명의 변형 구현예는 주변 절취선(peripheral tear line)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 개구부 영역이, 부분적으로 천공된, 특히 상기 절취 움직임(tear movement)과 관련된 시작 및 끝 영역에서 천공된 감쇠 홈(attenuating groove)(4)에 의해, 인접한 뚜껑 영역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폐쇄의 개방에 요구되는 힘은 적절하게 배치된 부분적인 천공들(이 경우 누설 방지성(leak-tightness) 또한 확실히 보장됨) 및 상기 금속 뚜껑의 하부면에 표면 전체에 걸쳐 제공되며 견고하게 접착되는 방식으로 부착되는 플라스틱 재료의 층에 의해 또는 그에 상응하게 부착된 플라스틱 필름에 의해 한정된 방식으로 감소될 수 있다.
기술적인 생산 측면에서, 본 발명의 추가 구현예는, 상기 이음 고리 부재, 상기 뚜껑 수납 부재 및 상기 견인 탭은 동일한 플라스틱 재료, 특히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며, 연결 탭들을 통해 결합되고 접음으로써 조립체 유닛(assembly unit)으로 변형될 수 있고 상기 금속 뚜껑 부재의 개구부들과 결합된 노우즈들을 통해 연결 단계에서 상기 금속 뚜껑 부재에 연결될 수 있는 사출 성형 부재에 의해 형성된다는 점에서 큰 이점을 갖는다.
이는 특히, 상기 금속 캔 뚜껑의 양면에 표면 전체에 걸쳐 전술된 밀봉층이 제공되며, 이는 단일 공정에서 단일 구성 요소, 특히 폴리프로필렌으로부터 모든 플라스틱 구성 요소들 또는 플라스틱 부재들을 사출 성형할 수 있게 하면서도, 상기 금속 캔 뚜껑에 대한 견고하고 밀봉된 연결을 보장한다. 서로 연결된 동일한 플라스틱 구성 요소의 3개의 부재들은, 상기 플라스틱 부재들에 제공된 돌출부들을 대응하는 개구부들이 구비된 캔 뚜껑 영역 내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밀봉층이 효력을 발생하면서 상기 리벳-유사 연결 및 열 밀봉이 발생하도록 하는 요소(element)가 존재하도록 서로 접힌다.
본 발명의 추가 구현예에 따르면, 전체 배치의 장기 누설 방지성을 보장하기 위해, 상기 뚜껑 수납 부재는 상기 금속 캔 뚜껑과 접촉하는 이의 외부 주변 가장자리에서 상기 금속 캔 뚜껑과 열 밀봉에 의해 밀봉식으로 연결되도록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견인 탭은 상기 금속 캔 부재까지 연장되고 밀봉 단계 동안 상기 뚜껑 부재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노우즈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뚜껑 부재를 갖는 용기의 폐쇄에 특히 유리한 스냅 인 래칭 연결부에 있어서, 상기 이음 고리 부재 및 상기 뚜껑 수납 부재 사이의 스냅 인 래칭 연결부는, 상기 뚜껑 수납 부재에 제공되며 상기 이음 고리 부재 내의 제 1 개조된 리세스와 결합하는 결합 및 밀봉 리브(coupling and sealing rib)를 포함하며, 상기 이음 고리 부재의 제 2 리세스와 래치 방식으로(latchingly) 결합하고 상기 결합 및 밀봉 리브를 향하여 상기 2개의 리세스 사이의 벽 리브를 가압하는 프리로딩 및 래칭 리브(preloading and latching ri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라스틱 부재들과 상기 금속 부재들의 연결 유형과 무관하게, 그리고 단지 하나의 플라스틱 재료가 사용되는지 또는 복수의 플라스틱 재료가 사용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특별한 이점을 갖는 본 발명의 추가 구현예는, 상기 금속 캔 뚜껑의 상기 개구부 영역은 절단 공정, 특히 펀칭(punching) 공정에 의해, 상호 결합된 돌출부들 및 리세스들을 형성하면서 이를 둘러싼 뚜껑 표면으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개구부 영역과 이를 둘러싼 뚜껑 표면은 이들 돌출부들 및 리세스들을 통해 형상 정합 및 힘 전달 방식으로 구성 요소로서 함께 유지되며(held together); 완성된 미개봉 캔 뚜껑의 누설 방지성(leak-tightness)은 안쪽으로 배치된 플라스틱 코팅 또는 필름에 의해 보장된다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이 측면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들 및 리세스들은 바람직하게는 언더컷들(undercuts)을 통해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특히 중요한 변형 구현예에서는, 상기 캔 뚜껑의 상기 개구부 영역이 먼저 톱니 구조를 형성하면서 절개되거나 펀치 아웃되고(punched-out), 이후에 바로, 생산의 다음 스테이션으로 보내질 수 있고 상기 플라스틱 부재에 연결될 수 있는 단일-부재 구조가 생성되도록 이 펀치 아웃된 뚜껑 개구부 영역이 상기 캔 뚜껑의 나머지 부분의 톱니 배치 내로 가압되며, 이에 따라, 상향 피봇될(pivoted upward) 수 있는 상기 뚜껑 부재의 완전 분열 자유 개방(absolutely splintering free opening)이 가능하며 상기 개방 공정은 특히 작은 힘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는 서로 분리되어야 할 금속 영역들이 상기 펀칭 공정에 의해 서로 완전히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개방 공정에서 금속 감쇠 홈이 파열 개방될 필요가 없다는 사실의 결과이다. 이러한 배치의 누설 방지성 또한, 상기 개구부 영역에 직접 인접한 주변 감쇠 홈 또는 노치(notch)를 갖는 안쪽으로 배치된 플라스틱 필름에 의해, 상기 누설 방지성을 보장하는 필름에 의해 상기 개방 공정이 어려워지지 않도록 확보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현예를 설명한다.
도면에는 하기 사항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재폐쇄가능한 캔 뚜껑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상기 덮개의 플라스틱 구성 요소들에 연결되기 전의 펀칭된 금속 뚜껑 표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캔 뚜껑의 사시 단면도이다.
도 4는 용기에 연결된 이음 고리 부재와 뚜껑 수납 부재 간의 밀봉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된 상세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일 제조 단계에서의 덮개 부재의 모든 플라스틱 구성 요소의 생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상기 플라스틱 구성 요소들에 연결되기 전의 금속 캔 뚜껑 부재의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의 사시 평면도이다.
도 7은 개략적으로 도시된 플라스틱 구성 요소들을 갖는 도 6에 따른 캔 뚜껑의 단면도이다.
도 1은 그 기본 형태에 있어 통상적으로 설계된 캔 뚜껑(1)을 도시하며, 이는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밀봉 재료를 개재하면서 각각의 관련 캔에 비드 림(2)을 통해 액밀 및 기밀 방식으로 연결된다.
아래에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재폐쇄가능한 개구부가 이 뚜껑에 통합되어 있으며, 중심에서 벗어난 위치에서 오프셋(offset)되어 있다.
도 1은 절취 탭(tear tab)(15)에 연결되고 상기 개구부 영역을 둘러싸며, 캔 뚜껑 표면(23)에 고정 연결되는 이음 고리 부재(5)를 도시한다. 뚜껑 수납 부재(10)가 상기 개구부 영역(11)을 둘러싸며, 개방 공정에서 상기 탭(15)에 의해 상향 피봇된다(pivoted upwardly). 이 측면에 있어서, 꼬임 스프링 요소(kink spring element)(22)는 상기 상향 피봇되는 뚜껑이 특히 90° 초과의 각도로 피봇 개방될 때 개방 위치에서 유지되도록 보장한다.
도 1로부터, 모든 관련 구성 요소를 갖는 재폐쇄가능한 개구부는 중심을 벗어나 배치되며, 실제로 재폐쇄가능한 개구부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캔과 같은 적재 능력이 변하지 않고 유지되도록 배치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한 필요 조건은 특히, 위치 결정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재폐쇄가능한 개구부의 콤팩트한 디자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캔 표면 위의 재폐쇄가능한 개구부의 구성 요소들의 돌출 정도는 단지 약 2 mm에 불과하다.
도 2는 상기 재폐쇄가능한 뚜껑의 관련 플라스틱 구성 요소들에 연결되기 전에 펀칭된 부재로서 형성되는 본 발명의 유리한 구현예에 따른 금속 캔 뚜껑을 도시한다.
이 도면으로부터, 상기 금속 캔 뚜껑에 상기 플라스틱 구성 요소들을 연결하는데 적합하며, 감쇠 홈(attenuating groove) 또는 절취 노치(tear notch)(4)의 양측에 환형으로 배치된 연속적인 개구부들(31)을 인식할 수 있다. 상기 감쇠 홈 또는 절취 노치(4)의 구현예의 특별한 특징은 종래의 해결책과 달리, 연속적이지 않고, 오히려 개방 공정이 촉진되는 유리한 효과, 즉 상기 상향 피봇 가능한 뚜껑 부재를 개방하는 데 필요한 힘이 감소되는 유리한 효과를 생성하는 천공들(perforations)(36)을 갖는다는 것이다. 이러한 천공들(36)은 상기 뚜껑의 펀칭 공정 중에 형성되지만, 상기 뚜껑 부재를 균일한 펀칭된 부재로 만든다. 요구되는 누설 방지성이 전체 내부 캔 뚜껑 표면 위로 그리고 상기 비드 영역(bead region) 내로 연장되는 안쪽으로 배치된 밀봉 필름에 의해 확보되기 때문에, 상기 캔 뚜껑에 의해 보장되는 누설 방지성은 상기 천공들(36)에 의해 손상되지 않는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따른 캔 뚜껑의 단면도를 도시하며, 이 배치는 폐쇄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절취선(4) 내에 배치된 상기 캔 뚜껑의 영역, 즉 상기 개구부 영역(11)은 도 2에 상세히 도시된 상기 개구부들(31)을 통해 연장되는 복수의 성형된 돌출부들(32)에 의해 이 금속 영역에 밀봉식으로 고정되게 연결된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뚜껑 수납 부재(10)에 의해 둘러싸인다. 고정된 연결부는 열의 영향 하에 이들 돌출부(32)의 리벳-유사 변형에 의해 형성되지만, 가열시 반응하는 접착제가 상기 플라스틱 부재와 상기 금속 부재 간의 접촉면에 제공된다는 점이 중요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금속 캔 뚜껑의 외부 표면 및 내부 표면 모두는 접착제로서 유효하고 적합한 물질로, 특히 밀봉 왁스와 같은 방식으로, 연결 및 밀봉 목적으로 상기 접착제가 필요한 곳 어디에서나 이용 가능하도록 코팅된다.
스냅 인 래칭 연결부 형태의 상기 뚜껑 수납 부재(10)와 협력하기 위해, 플라스틱으로 구성되고 개구부들(31)을 통과하는 노우즈들(30)을 통해 상기 뚜껑 수납 부재(10)와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금속 캔 뚜껑에 연결되는 이음 고리 부재(5)가 상기 개구부 영역의 반경 방향 외부에 제공된다.
상기 캔 뚜껑의 전체 하부면 위로 그리고 상기 비드 림(2)의 영역까지 연장되며 전체 표면에 걸쳐 이 하부면을 덮는 플라스틱 층 또는 플라스틱 필름의 제공은 상기 금속 부재들 및 상기 플라스틱 부재들 간의 연결을 위해 선택된 기술 및 특히 상기 절취선 또는 감쇠 홈(4)의 구성 모두에 있어 중요하다. 이 플라스틱 층(26)은 접착제, 특히 열의 도입시 효력을 발생하거나 반응하는 접착제를 통해 상기 금속 캔 뚜껑과 함께 형성된다.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이 밀봉층은 상기 금속 부재들과 플라스틱 부재들 간의 기계적 연결 지점들 및 상기 감쇠 홈(4) 위로 연장된다.
전술된 상기 금속 뚜껑과 상기 플라스틱 구성 요소들 간의 연결 기술의 실질적인 이점은 상기 펀칭된 금속 부재와 상기 플라스틱 부재를 별도로 제조할 수 있고, 금속 오버몰딩 공정이 불필요하며, 상기 금속 캔 뚜껑과 상기 플라스틱 구성 요소들 간의 연결이 상기 플라스틱 구성 요소들이 상기 금속 표면에 적용되고 상기 돌출부들(30)이 상기 개구부들(31)을 통과할 때 단일 단계에서 수행될 수 있다는 점이다.
도 4에 따른 상세도는 스냅 인 래칭 연결부에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재폐쇄가능한 캔 뚜껑에서도 유리하게 사용되는 설계 원리를 도시한다.
이 목적을 위해, 두 개의 주변 리브, 즉 바깥쪽으로 배치된 결합 및 밀봉 리브(34) 및 안쪽으로 배치된 프리로딩 및 래칭 리브(35)가 상기 뚜껑 수납 부재(10)에 제공된다. 상기 결합 및 밀봉 리브(34)는 상기 이음 고리 부재(5)의 제 1 리세스(39)와 밀봉식으로 결합하고, 상기 프리로딩 및 래칭 리브(35)는 상기 이음 고리 부재(5)의 제 2 리세스(40) 내로 연장되고 상기 리브와 상기 리세스 간에 스냅 인 래칭 연결부가 제공된다. 그러나, 상기 리브(35)가 래칭된 상태에서 상기 이음 고리 부재의 중간 벽 리브(41)를 향해 가압하여 이 벽 부재가 상기 밀봉 리브(39)를 향해 가압됨으로써 밀봉 효과가 더욱 확실하고 우수해지도록 상기 리브(35)의 치수를 정하고 설계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
도 4로부터 알 수 있듯이, 상기 금속 뚜껑 덮개는 양면의 전체 표면이 접착 촉진층(37)으로 덮여 있으며, 이는 또한 상기 접착 촉진층을 통해 밀봉식으로 상기 금속 캔 뚜껑 표면과 접촉하는 상기 뚜껑 수납 부재(10)의 외부 가장자리를 고정하여 충전된 캔의 누설 방지성을 개선할 수 있게 해준다
그러나 재폐쇄가능한 뚜껑을 사용하는 경우, 누설 방지성과 관련된 요구 사항을 만족해야 할 뿐만 아니라 작은 힘을 가하여 해당 캔을 간단하게 개방할 수 있어야 한다. 여기에는 용이하고 편안하게 파지할 수 있는(grippable) 견인 탭(15)이 한편으로는 기여하지만, 무엇보다도 본 발명에서는, 요구되는 인열력(tearing force)이 가능한 한 작다는 점이 중요하다. 상기 절취 개방선을 따라 또는 상기 감쇠 홈을 따라 제공되는 전술된 천공들(36)이 이러한 목적에 상응하며, 또한, 안쪽으로 배치된 플라스틱 필름(26)에는 상기 절취선 옆에 주변 감쇠 노치(38)가 제공되어, 상기 필름(26)은 방해가 되는 방식으로 개방 과정을 저해할 수 없다.
도 5a 내지 도 5c는 동일한 플라스틱 재료를 포함하는 재폐쇄가능한 캔 뚜껑의 모든 플라스틱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특히 유리한 구현예를 도시하며, 이로 인해 이들 플라스틱 구성 요소들의 생산은 단일 사출 성형 공정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도면들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이음 고리 부재(5), 상기 뚜껑 수납부재(10) 및 상기 견인 탭(15)은 단일 평면 내에 놓여 사출되고, 생산 공정에서 단일 단위로서 취급될 수 있고 상기 캔 뚜껑에 조립하려면, 서로 대략 동심으로(approximately concentrically) 배치된 상기 이음 고리 부재(5) 및 뚜껑 수납 부재(10)의 상기 노우즈들(30)이 단일 가압 공정에서 상기 금속 캔 뚜껑의 상기 개구부들(31)을 통해 가압될 수 있고 이후 전술된 방식으로 변형될 수 있도록 서로 접히기만 하면 되는, 실질적으로 단일 부재인 전체 구조(practically single-part total structure)가 수득되도록 연결 탭들(42)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와 같은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는 동일한 재료를 포함하며 적합한 접착제(37)와 반응하는 플라스틱 구성 요소의 제조의 단순화 이외에도, 상응하는 취급 및 조립 상의 이점이 획득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캔 뚜껑의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를 도시하며, 도 6에 도시된 금속 캔 뚜껑 부재는 특히 도 5에 따른 플라스틱 요소들과 결합되어 완성된 재폐쇄가능한 캔 뚜껑을 형성할 수 있다.
공지된 재폐쇄가능한 표준 캔에서는 금속 감쇠 홈을 절취함으로써 개방시 바람직하지 않고 피할 수 없는 틈 또는 매우 작은 금속 알루미늄 입자들이 발생하는 반면, 도 6에 따른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는 파편이 전혀 없고 건강에 대한 위험이 없는 개방이 가능하다.
이 목적을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금속 캔 뚜껑의 상기 개구부 영역(11)은 상호 결합된 돌출부들(32) 및 리세스들(33)를 형성하면서, 절단 공정 또는 특히 펀칭 공정에 의해 상기 영역을 둘러싸고 있는 외부의 고정된 캔 표면(43)으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바람직하게 사용된 펀칭 공정 직후에, 상기 2개의 초기에 분리된 부재들은, 상기 2개의 부재들이 실질적으로 다시 단일 부재로 취급될 수 있는 하나의 부재가 될 수 있도록 형상 정합 방식으로 다시 결합된다. 분리 및 결합 공정은 서로 직후에 발생한다, 즉 펀칭 스트로크(punchingstroke) 이후에 두 부재의 형상 정합 결합에 의한 리턴 스트로크(return stroke)가 이어져 전체 부재를 형성한다. 상기 두 부재 간의 형상 정합 및 힘 전달 연결은 적절한 성형을 통해 또는 충분한 상호 기계적 연결을 보장하는 언더컷들을 사용하여, 생산 시에, 이미 서로 분리되어 있는 상기 부재들을 균일한 단일 조립 부재로 취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달성된다.
도 6에 따른 금속 캔 뚜껑 부재를 갖는 도 5에 따른 플라스틱 구성 요소들이 전술된 방식으로 밀봉식으로 서로 연결되고, 상기 후방 플라스틱 필름(rear plastic film)(26)이 또한 적용되는 경우, 도 7의 단면도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배치가 제공된다.
도 7에 따른 도면에서, 상기 이음 고리 부재(5) 및 상기 뚜껑 수납 부재(10)는 전술된 방식으로 밀봉식으로 그리고 영구적으로 상기 금속 캔 뚜껑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스냅 인 래칭 연결부가 맞물린다. 상기 비드 림까지 연장된 상기 필름(26)에 의해 누설 방지성이 보장된다. 상기 절취선(4)은 상기 상호 결합하는 돌출부들(32)과 리세스들(33) 사이의 분리선에 의해 형성된다.
충전된 캔이 상기 견인 탭을 통해 개방되면, 상기 절취선을 규정하는 상기 돌출부들(32) 및 리세스들(33)은 결합이 해제되지만, 감쇠 금속 영역들이 파편을 형성하면서 서로 분리될 필요가 없으며, 오히려 상기 형상 정합 연결이 해제되기만 하면 되며, 이는 서로 분리되어야 하는 상기 2개의 부재들 간에 존재하는 금속 연결을 파열하는데 요구되는 것보다 상당히 작은 힘으로 가능하다.
상기 안쪽으로 배치된 밀봉 필름 내의 전술된 감쇠 노치(38)의 사용은, 이러한 재폐쇄가능한 캔 뚜껑에 대한 누설 방지성 및 이상적으로 만족될 수 있는 최소화된 개방력에 관한 요구에 기여하면서, 모든 뚜껑 구성 요소들의 경제적 생산 및 조립을 가능하게 한다.
1: 금속 캔 뚜껑
2: 비드 림(bead rim)
3: 덮개 표면
4: 감쇠 홈 또는 절취선
5: 이음 고리 부재
9: 결합 리브(coupling rib)
10: 뚜껑 수납 부재
11: 개구부 영역
12: 리세스(recess)
13: 고정 영역(fixing region)
15: 견인 탭(pulltab)
22: 꼬임 스프링 부재(kink spring part)
23: 캔 뚜껑 표면
26: 밀봉 플라스틱 층, 필름
30: 노우즈(nose)
31: 개구부
32: 돌출부
33: 리세스
34: 결합 및 밀봉 리브(coupling and sealing rib)
35: 프리로딩 및 래칭 리브(preloading and latching rib)
36: 천공(perforation)
37: 접착제, 밀봉 왁스
38: 감쇠 노치(attenuating notch)
39: 제 1 리세스
40: 제 2 리세스
41: 벽 리브(wall rib)
42: 연결 탭
43: 고정된 외부 뚜껑 표면

Claims (9)

  1. 밀봉식으로 재폐쇄가능한 개구부, 특히 음료 캔용 개구부를 갖는 캔 뚜껑으로서,
    뚜껑 표면(3)의 금속 뚜껑 재료에 제공된, 경계가 정해진 개구부 영역(11), 및 이 개구부 영역(11)을 개방하기 위한 2-아암 리프팅 부재(two-armed lifting member)를 포함하며,
    상기 리프팅 부재는 한편으로는 견인 탭(pull tab)(15)에 연결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뚜껑 표면(3)의 상기 개구부 영역(11)에 결합되며, 상기 견인 탭(15)에 적용되는 개방력을 전환하는 베어링을 통해 지지되고;
    상기 개구부 영역(11)은 폐쇄 뚜껑으로서 구성되고 이의 외부 가장자리에서,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된 이음 고리 부재(collar part)(5)에 힘 전달 방식으로(in a force-transmitting manner) 연결되며, 상기 개구부 영역(11) 외부의 상기 뚜껑 표면(3)에 힘 전달 방식으로 연결되고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된 뚜껑 수납 부재(lid receiving part)(10)가 상기 이음 고리 부재(5)와 결합되며;
    상기 이음 고리 부재(5)는 상기 뚜껑 수납 부재(10)와 추가로 결합하고, 하나 이상의 주변 결합 리브(peripheral coupling rib)(9) 및 이에 상보적인 형태의 컷아웃(cut-out)(12)을 갖는 밀봉 스냅 인 래칭 연결부(sealing snap-in latching connection)가 상기 이음 고리 부재(5)와 상기 뚜껑 수납 부재(10)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견인 탭(15)은 상기 뚜껑 수납 부재(10)의 반경 방향 외부에서 상기 이음 고리 부재(5)의 고정 영역(13)에 고정되고, 상기 개구부 영역을 개방하는 2-아암 레버(two-armed lever)가 상기 고정 영역(5)과 결합된 상기 이음 고리 부재(5)의 일부 주변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금속 뚜껑의 하부면은 특히 그 전체 표면이 플라스틱 재료에 의해 견고한 접착 방식으로 코팅되고, 이 코팅은 상기 개구부 영역을 감싸면서 감쇠되거나 더 얇아지며,
    상기 이음 고리 부재(5)와 상기 뚜껑 수납 부재(10) 각각은 환형으로 배치된 복수의 성형된 노우즈들(noses)(30)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노우즈들(30)은 금속 뚜껑 부재 내의 개조된 개구부들(31)을 통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이음 고리 부재(5)와 상기 뚜껑 수납 부재(10)는 접착 촉진층(37)을 개재시키면서, 형상 정합 및 힘 전달 방식으로(in a shape-matched and force-transmitting manner), 그리고 열의 영향 하에서의 상기 노우즈들(30)의 리벳-유사 변형(rivet-like deformation)에 의해 밀봉식으로 상기 금속 뚜껑 부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식으로 재폐쇄가능한 개구부, 특히 음료 캔용 개구부를 갖는 캔 뚜껑.
  2. 제 1 항에 있어서,
    상승된 온도에서 반응하는 상기 접착 촉진층 또는 밀봉층이 상기 금속 뚜껑 부재의 양 표면 상으로, 즉 이 뚜껑 부재의 외부 및 내부 표면 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주변 절취선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 상기 개구부 영역(11)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천공된, 특히 절취 움직임과 관련된 시작 및 끝 영역에서 천공된 감쇠 홈(attenuating groove)(4)에 의해, 인접한 뚜껑 영역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 고리 부재(5), 상기 뚜껑 수납 부재(10) 및 상기 견인 탭(10)은 동일한 플라스틱 재료, 특히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며, 연결 탭들을 통해 결합되고 접음으로써 조립체 유닛(assembly unit)으로 변형될 수 있고 연결 단계에서 상기 금속 뚜껑 부재에 연결될 수 있는 사출 성형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뚜껑 부재(10)와 접촉하는 상기 뚜껑 수납 부재의 외부 주변 가장자리가 상기 금속 뚜껑 부재와 열 밀봉에 의해 밀봉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 탭(15)은 상기 금속 뚜껑 부재까지 연장되고 밀봉에 의해 상기 뚜껑 부재에 연결되는 노우즈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
  7. 캔 뚜껑, 특히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따른 캔 뚜껑에 있어서,
    상기 이음 고리 부재(5) 및 상기 뚜껑 수납 부재(10) 사이의 스냅 인 래칭 연결부는, 상기 뚜껑 수납 부재(10)에 제공되며 상기 이음 고리 부재(5) 내의 제 1 개조된 리세스와 결합하는 결합 및 밀봉 리브(coupling and sealing rib)(34)를 포함하며, 상기 이음 고리 부재의 제 2 리세스와 래치 방식으로(latchingly) 결합하고 상기 결합 및 밀봉 리브(34)를 향하여 상기 2개의 리세스 사이의 벽 리브를 가압하는 프리로딩 및 래칭 리브(preloading and latching rib)(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 특히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따른 캔 뚜껑.
  8. 캔 뚜껑, 특히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따른 캔 뚜껑에 있어서,
    상기 금속 캔 뚜껑(1)의 상기 개구부 영역(11)은 절단 공정, 특히 펀칭 공정에 의해, 상호 결합된 돌출부들(32) 및 리세스들(33)을 형성하면서 이를 둘러싼 뚜껑 표면으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개구부 영역(11)과 이를 둘러싼 뚜껑 표면은 이들 돌출부들(32) 및 리세스들(33)을 통해 형상 정합 및 힘 전달 방식으로 구성 요소로서 함께 유지되며; 완성된 미개봉 캔 뚜껑의 누설 방지성(leak-tightness)은 안쪽으로 배치된 플라스틱 코팅 또는 필름에 의해 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 특히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따른 캔 뚜껑.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들(32) 및 리세스들(33)이 언더컷들(undercuts)을 통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
KR1020187005061A 2015-07-29 2016-04-01 캔 뚜껑 KR1020645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5112428.9A DE102015112428A1 (de) 2015-07-29 2015-07-29 Dosendeckel
DE102015112428.9 2015-07-29
PCT/EP2016/057225 WO2017016686A1 (de) 2015-07-29 2016-04-01 Dosendeck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4909A true KR20180044909A (ko) 2018-05-03
KR102064556B1 KR102064556B1 (ko) 2020-01-09

Family

ID=55650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5061A KR102064556B1 (ko) 2015-07-29 2016-04-01 캔 뚜껑

Country Status (26)

Country Link
US (1) US10273044B2 (ko)
EP (2) EP3310675B8 (ko)
JP (2) JP6993331B2 (ko)
KR (1) KR102064556B1 (ko)
CN (2) CN111498242B (ko)
AU (2) AU2016299451B2 (ko)
BR (2) BR122020014563B1 (ko)
CA (1) CA2993111C (ko)
CY (1) CY1122379T1 (ko)
DE (1) DE102015112428A1 (ko)
DK (1) DK3310675T3 (ko)
EA (1) EA034671B1 (ko)
ES (1) ES2756651T3 (ko)
HK (1) HK1255253A1 (ko)
HR (1) HRP20192025T1 (ko)
HU (1) HUE046475T2 (ko)
LT (1) LT3310675T (ko)
MA (2) MA43506B1 (ko)
MX (2) MX2018001235A (ko)
PL (1) PL3310675T3 (ko)
PT (1) PT3310675T (ko)
RS (1) RS59535B1 (ko)
SA (1) SA518390811B1 (ko)
SI (1) SI3310675T1 (ko)
WO (1) WO2017016686A1 (ko)
ZA (1) ZA20180031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0918A (ko) * 2018-06-19 2021-01-28 탑 캡 홀딩 게엠바하 금속 캔 뚜껑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HUE050822T2 (hu) 2017-04-05 2021-01-28 Gregor Anton Piech Fém dobozfedél
EP3385184B1 (de) 2017-04-05 2019-11-27 Gregor Anton Piech Behältnis zum hermetisch dichten aufbewahren von produkten, insbesondere von lebensmitteln
EP3395707B8 (de) 2017-04-26 2021-10-06 Speira GmbH Getränkedose aus einheitlicher aluminiumlegierung
EP3546199A1 (de) * 2018-03-28 2019-10-02 Top Cap Holding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dosendeckels aus einem verbundmaterial
EP3584191A1 (de) * 2018-06-19 2019-12-25 Top Cap Holding GmbH Metallischer dosendeckel
EP3590860B1 (de) * 2018-07-04 2021-06-16 Xolution GmbH Wiederverschliessbarer dosendeckel
DE102019004542A1 (de) 2019-06-24 2020-12-24 Gert Löwe Dosendeckel mit einer dicht wiederverschließbaren Trinköffnung
US11299334B2 (en) 2019-09-05 2022-04-12 Sonoco Development, Inc. Membrane lid with integrated two-stage tab system
DE102021106980A1 (de) 2021-03-22 2022-09-22 Ardagh Metal Packaging Europe Gmbh Deckelelement für einen Getränkebehälter und Verschlussanordnung für einen Getränkebehälter
DE102022129193A1 (de) * 2022-11-04 2024-05-08 Top Cap Holding Gmbh Dosendeckel
DE102022129183A1 (de) * 2022-11-04 2024-05-08 Top Cap Holding Gmbh Dosendeckel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72382A (en) * 1964-10-14 1966-09-13 Continental Can Co Easy opening container
US3287053A (en) * 1965-03-05 1966-11-22 Continental Can Co Plastic connector with insert
GB1389351A (en) 1971-11-23 1975-04-03 Nat Can Corp Easy opening containers
US3952912A (en) * 1972-03-02 1976-04-27 Walter Merton Perry Container with attached closure
US3804287A (en) * 1972-07-10 1974-04-16 American Can Co End closure for an easy opening resealable container
JPS5483590A (en) * 1977-12-15 1979-07-03 Tokan Kogyo Co Ltd Cover body
US4327842A (en) 1980-09-26 1982-05-04 The Continental Group, Inc. Container and closure therefor
JPS63105634U (ko) * 1986-12-25 1988-07-08
SE500540C2 (sv) * 1988-11-09 1994-07-11 Roby Teknik Ab Öppningsanordning vid en förpackningsbehållare
US5012959A (en) 1988-11-17 1991-05-07 International Paper Company Pour spout and carton construction
DE8911286U1 (ko) 1989-09-22 1989-11-02 Grau, Rainer, 8640 Kronach, De
DE9005150U1 (ko) 1990-05-07 1990-07-19 Wildhirt, Lothar, 6054 Rodgau, De
JP2532935Y2 (ja) * 1990-06-19 1997-04-16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注出キャップ
GB2246342B (en) * 1990-07-25 1994-05-04 Mohamed Foysol Chowdhury New drink can design with simple open and close feature
CN2197322Y (zh) * 1994-01-19 1995-05-17 钟兴泉 易开密封罐
DE19613246A1 (de) 1996-04-02 1997-10-09 Schmalbach Lubeca Wiederverschließbarer Deckel für Getränkedosen
CN1089307C (zh) * 1997-01-31 2002-08-21 利乐拉瓦尔集团及财务有限公司 饮料容器盖及其制造方法
JP3601980B2 (ja) * 1998-07-10 2004-12-1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電子機器
AU2000276540A1 (en) * 2000-09-12 2002-03-26 Tetenal Photowerk Gmbh And Co. Method for sealing a pouring opening of a container and container comprising a sealed pouring opening
JP2002290873A (ja) * 2001-03-26 2002-10-04 Nec Corp 表示パネルの支持枠製造方法、表示パネルの支持枠及び表示装置
JP2003104371A (ja) * 2001-09-26 2003-04-09 Showa Denko Plastic Products Co Ltd 容器およびその密封方法
JP2003185332A (ja) * 2001-12-20 2003-07-03 Hitachi Ltd 冷蔵庫扉及びその冷蔵庫扉の製造方法
JP4124077B2 (ja) 2003-09-19 2008-07-23 東洋製罐株式会社 易開封性容器蓋
WO2004065241A1 (ja) 2003-01-24 2004-08-05 Toyo Seikan Kaisha, Ltd. リシール性を備えた易開封性容器蓋及びその製法
FR2892393B1 (fr) * 2005-10-24 2008-01-25 Benjamin Dawidowicz Boite metallique pour boissons munie d'un couvercle et procede pour sa fabrication
DE102006051409A1 (de) * 2006-10-27 2008-04-30 C-A-P Technologies Gmbh Verpackung für rieselfähige oder fließfähige Produkte
DE102007007372A1 (de) 2007-02-12 2008-08-14 C-A-P Technologies Gmbh Verpackung für rieselfähige oder fließfähige Produkte
AU2008323856B2 (en) * 2007-11-09 2013-11-21 Crown Packaging Technology, Inc. Resealable beverage can end and methods relating to same
US8695832B2 (en) * 2010-02-02 2014-04-15 Klaus Thielen Can lid and method for producing a can lid
EP2354021B1 (de) 2010-02-02 2012-12-26 Klaus Thielen Behälterdeckel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ehälterdeckels
DE102010013531B4 (de) 2010-03-31 2020-10-29 Gregor Anton Piech Dosendeckel
EP2354022B1 (de) 2010-02-02 2012-12-26 Klaus Thielen Dosendeckel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Dosendeckels
ES2497865T3 (es) * 2010-04-06 2014-09-23 Can2Close Gmbh Dispositivo de cierre de envase y envase dotado de este
NL2007748C2 (nl) 2011-11-08 2013-05-13 Corstiaan Johannes Goolen Afsluitelement en houder voorzien van een dergelijk afsluitelement.
JP2013014378A (ja) * 2011-06-30 2013-01-24 Daizo Kotaki フレーム付きプラスチックダンボール容器及びその製法
JP2014226254A (ja) * 2013-05-21 2014-12-08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原料放出容器
US9120595B2 (en) * 2013-08-28 2015-09-01 Hsin-Hung Chou Tamper-evident food contain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0918A (ko) * 2018-06-19 2021-01-28 탑 캡 홀딩 게엠바하 금속 캔 뚜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3310675T3 (pl) 2020-02-28
BR112018001839A2 (pt) 2018-09-18
CA2993111A1 (en) 2017-02-02
EA201890398A1 (ru) 2018-06-29
US10273044B2 (en) 2019-04-30
DE102015112428A1 (de) 2017-02-02
HK1255253A1 (zh) 2019-08-09
CN108025831A (zh) 2018-05-11
CN108025831B (zh) 2020-02-04
ZA201800318B (en) 2018-12-19
MX2018001235A (es) 2018-05-22
JP2018526294A (ja) 2018-09-13
CY1122379T1 (el) 2021-01-27
EP3310675A1 (de) 2018-04-25
DK3310675T3 (da) 2019-10-14
EP3310675B8 (de) 2019-10-09
CA2993111C (en) 2021-02-16
MX2020010198A (es) 2020-10-19
AU2019272001A1 (en) 2019-12-19
KR102064556B1 (ko) 2020-01-09
BR122020014563B1 (pt) 2022-05-10
AU2019272001B2 (en) 2021-01-07
AU2016299451A1 (en) 2018-02-22
CN111498242B (zh) 2021-12-07
AU2016299451B2 (en) 2019-12-12
MA47272A (fr) 2019-11-20
RS59535B1 (sr) 2019-12-31
SI3310675T1 (sl) 2019-12-31
JP2020147377A (ja) 2020-09-17
ES2756651T3 (es) 2020-04-27
MA43506B1 (fr) 2019-12-31
JP6993331B2 (ja) 2022-01-13
PT3310675T (pt) 2019-11-25
JP6990744B2 (ja) 2022-01-12
SA518390811B1 (ar) 2021-06-10
MA43506A (fr) 2018-04-25
HRP20192025T1 (hr) 2020-02-07
CN111498242A (zh) 2020-08-07
HUE046475T2 (hu) 2020-03-30
EP3310675B1 (de) 2019-09-04
EA034671B1 (ru) 2020-03-04
LT3310675T (lt) 2019-11-25
WO2017016686A1 (de) 2017-02-02
BR112018001839B1 (pt) 2022-01-11
EP3569516A1 (de) 2019-11-20
US20180016058A1 (en) 2018-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44909A (ko) 캔 뚜껑
AU2017227868B2 (en) Resealable can lid
US8695832B2 (en) Can lid and method for producing a can lid
CN110678398B (zh) 金属罐盖
KR102539968B1 (ko) 금속 캔 뚜껑
KR20220116366A (ko) 금속 캔 단부
OA18557A (en) Can lid
JPS6119054Y2 (ko)
OA18840A (en) Resealable can l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