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9968B1 - 금속 캔 뚜껑 - Google Patents

금속 캔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9968B1
KR102539968B1 KR1020207036347A KR20207036347A KR102539968B1 KR 102539968 B1 KR102539968 B1 KR 102539968B1 KR 1020207036347 A KR1020207036347 A KR 1020207036347A KR 20207036347 A KR20207036347 A KR 20207036347A KR 102539968 B1 KR102539968 B1 KR 1025399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metal
sealing
weakness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6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0918A (ko
Inventor
그레고르 안톤 피흐
Original Assignee
탑 캡 홀딩 게엠바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탑 캡 홀딩 게엠바하 filed Critical 탑 캡 홀딩 게엠바하
Publication of KR20210010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09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9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99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 B65D17/401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partially by means of a tearing tab
    • B65D17/401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partially by means of a tearing tab and provided with attached means for reclosing or resea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4Details of the lines of wea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1Action for opening container
    • B65D2517/0013Action for opening container pull-out tear panel, e.g. by means of a tear-ta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31Reclosable openings
    • B65D2517/004Reclosable openings by means of an additional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58Other details of container end panel
    • B65D2517/0059General cross-sectional shape of container end panel
    • B65D2517/0064General cross-sectional shape of container end panel inverted U-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58Other details of container end panel
    • B65D2517/008Materials of container end panel
    • B65D2517/0082Coated or laminated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Opened By Tearing Frangible Portions (AREA)
  • Piezo-Electric Or Mechanical Vibrators, Or Delay Or Filter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 단부 표면과 개구부 주변에 제공된 마이크로 갭(4) 또는 취약선을 가지며, 고정된 단부 표면(2)에 연결되고 개구부 영역을 둘러싸는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된 실링 프레임(5)을 가지며, 마이크로 갭(4) 또는 취약선 내에 배치되고, 위쪽으로 피봇 가능한 금속 단부 영역(3)에 연결되고, 피봇 베어링(7)을 통해 고정된 단부 표면(2)에 피봇 가능하게 부착되고, 바람직하게는 피봇 베어링(7)과 정반대 방향으로 위쪽으로 피봇 가능한 방식으로 밀봉 유닛(6)에 연결되는 인열-개방 부재(8)가 제공되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밀봉 유닛(6)을 가지며, 실링 프레임(5)과 밀봉 유닛(6)은 바람직하게는 실링 및 래칭 리브(12, 13, 14) 및 관련된 수용 홈(15, 16, 17)들을 통해 실링 방식으로 협력하며, 주변 마이크로 갭(4) 또는 취약선 내에 배치된 금속 단부 영역(3)은 뚜껑(1)의 개구부 영역에 수용되어 유지되며, 바람직하게는 식품에 사용하기에 적합하고/적합하거나 윤활 특성을 갖는 접착성 래커 층을 사용하는 특히 열 공정에 의해 실링 프레임(5)은 고정된 단부 표면(2)에 접착되고 밀봉 유닛(6)은 위쪽으로 피봇 가능한 금속 단부 영역(3)에 접착되며, 제공될 수 있는 래커 층을 제외하고, 내부 단부측에는 적어도 대부분 라미네이션 등이 없는, 특히 음료 캔 및 식품 및 기타 액체, 반죽, 분말 또는 고체 제품들을 저장하기 위한 용기를 위한 재밀봉 가능한 개구부를 가지는 금속 캔 뚜껑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금속 캔 뚜껑
본 발명은 특히 음료 캔 및 식품 및 기타 액체, 반죽, 분말 및/또는 고체 제품들을 저장하는 용기를 위한, 재밀봉 가능한 개구부를 갖는 금속 캔 뚜껑에 관한 것이다.
재밀봉 가능한 개구부를 갖는 캔 뚜껑은 유럽 특허출원공개 EP 1 607 341 A1호에 공지되어 있으며, 이 문헌에서 개구부는 금속 캔 뚜껑에 도입되고 이 개구부의 마진은 조립식 플라스틱 밀봉 부품에 대한 고정 가능성을 생성하기 위해 비딩(beaded)된다. 플라스틱 밀봉 부품은 캔 개구부의 비드 림에 연결되는 베이스 부분을 포함하고, 그 안에 평평한 스토퍼에 의해 밀봉되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평평한 스토퍼는 플라스틱 인열 이음매(tear seam)를 통해 개구부 마진에 연결되며, 이에 따라 인열 탭에 연결된 평평한 스토퍼는 당김에 의해 인열 탭을 통해 베이스 플라스틱 부품에서 분리될 수 있고 개방 지점으로 피봇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부측이 원추형인 평평한 스토퍼를 눌러 개구부를 다시 일시적으로 밀봉할 수 있다.
재밀봉 가능한 캔 뚜껑들은, 예를 들어 독일 특허출원공개 DE 10 2010 013 531 A1호, 독일 특허출원공개 DE 10 2015 112 428 A1호, 및 영국 특허출원공개 EP 2 354 022 B1호에 추가로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에 특히 유리하고 한편으로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특히 작동하기 쉽고 다른 한편으로는 우수한 실링 특성을 갖는 재밀봉 가능한 캔 뚜껑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청구항 제1항의 특징을 갖는 금속 캔 뚜껑에 의해 충족된다.
마이크로 갭이 캔 뚜껑의 특히 간단한 개방을 보장하지만, 취약선도 일반적으로 적합하다. 효과적인 밀봉 및 재밀봉은 실링 및 래칭 리브들 및 관련된 수용 홈들을 통해 달성할 수 있다. 이 점에서, 실링 프레임이 고정된 단부 표면에 접착되고 밀봉 유닛이 위쪽으로 피봇 가능한 금속 단부 영역에 접착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캔 뚜껑의 내부측에 라미네이션 등, 예를 들어 플라스틱 필름들을 제공하면 저렴한 제조가 가능하다.
제공될 수 있는 래커 층을 제외한 전체 내부 단부측에 라미네이션 등이 없는 경우 제조가 특히 유리하다. 실링 프레임과 밀봉 유닛은 제조 과정에서 외부 단부측에만 부착하고 뚜껑에 고정식으로 연결하면 된다. 내부측은 특히 식품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래커 층으로 덮을 수 있다. 이러한 래커 층을 원료 최종 재료상에 적용하는 것은 이미 저렴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마이크로 갭의 천공된 가장자리들은, 예를 들어 스프레이 또는 탐폰 인쇄에 의해 후속적으로 래커로 다시 덮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내부 단부측에는 마이크로 갭 또는 취약선을 덮는 실링 필름이 제공되지만 그 외부에 배치된 영역에는 실링 필름이 제공되지 않는다. 따라서 완전히 평면으로 추가로 형성될 수 있는 비교적 작은 필름만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필름의 제조 및 내부 단부측에 대한 필름의 연결 모두를 특히 간단하고 저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실링 필름은 마이크로 갭 또는 취약선의 형상에 대응하는 환형 형상을 갖는다. 이와 관련하여, 필름은 마이크로 갭 또는 취약선의 양쪽을 넘어서 10분의 몇 mm, 특히 10분의 3 내지 4 mm까지만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마이크로 갭 또는 취약선의 안전한 커버링은 매우 작은 필름에 의해 달성될 수 있으며, 이로써 한편으로는 제조 비용이 더욱 감소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제조 자체가 단순화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실링 필름은 디스크 형상이고 마이크로 갭 또는 취약선 내의 전체 영역을 덮는다. 마찬가지로 이 필름은 마이크로 갭 또는 취약선을 넘어 바깥쪽으로 10분의 몇 mm, 바람직하게는 10분의 3 내지 4 mm까지만 연장하면 된다. 디스크 형상은 제조 및 내부 단부측으로의 부착을 매우 간단하게 한다. 이에 의해 제조 비용이 절감된다.
필름은 천공부로 형성하면 특히 유리하게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밀봉 유닛은 뚜껑이 개방되지 않는 한 외부로부터 마이크로 갭 또는 취약선을 덮는다. 이에 의해, 내부 커버측에 필름없이 뚜껑의 불투과성이 또한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밀봉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양측에서 마이크로 갭 또는 취약선을 적어도 0.3 mm, 특히 대략 1 mm 덮는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형태에 따르면, 밀봉 유닛은 마이크로 갭 또는 취약선 내에서 반경 방향으로 완전히 주변에 배치되고, 인열 개방될 수 없는 방식으로 위쪽으로 피봇 가능한 금속 단부 영역에, 특히 접착으로 연결되는 제1 실링 영역을 가지며, 또한 마이크로 갭 또는 취약선 외부에서 반경 방향으로 완전히 주변에 배치되고 미리 정의된 최대 힘으로의 단부 커버의 인열 개방시에 고정된 단부 표면으로부터 분리되도록 고정된 단부 표면에, 특히 접착으로 연결되는 제2 실링 영역을 갖는다. 여기서 최대 힘은 바람직하게는 10 N 이하, 특히 5 N 이하이다. 외부 공간에 대한 내부 용기 공간의 유리한 실링은 이러한 실링 영역들에 의해 생성되며, 원하는 밀봉 강도가 설정될 수 있다. 내부 필름없이 캔 뚜껑에 마이크로 갭이 있는 경우, 실링 및 밀봉 강도는 밀봉 유닛에 의해서만 달성되며; 취약선을 갖는 뚜껑도 대부분 마찬가지이다.
캔 뚜껑의 첫 번째 개방에서, 밀봉 유닛과 고정된 단부 영역 사이의 시일이 박리 방식으로 해제된다. 대조적으로, 밀봉 유닛과 위쪽으로 피봇 가능한 단부 영역 사이의 시일은 유지된다. 캔 뚜껑이 재밀봉될 때, 한편으로는 밀봉 유닛과 위쪽으로 피봇 가능한 단부 영역 사이, 다른 한편으로는 실링 프레임과 밀봉 유닛 사이의 시일에 의해 불투과성이 영향을 받는다.
바람직한 추가 개발에 따르면, 위쪽으로 피봇 가능한 단부 영역은 인열-개방 부재의 맞물림 지점에서는 뾰족한 영역을 갖고 상기 지점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피봇 베어링에서의 단부에서는 둥근 영역(a round region at the end remote therefrom at the pivot bearing)을 갖는, 일종의 물방울 형상을 갖는다. 이로써 특히 밀봉 유닛과 고정된 단부 영역 사이의 시일과 관련하여 유리한 인열-개방 동작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형태에 따르면, 캔 뚜껑은 마이크로 갭 또는 취약선에 의해 양측에 인접하는 인열-개방 부재의 영역에 긴 구멍을 가지며, 플라스틱 부품은 특히 뚜껑의 양측에 버섯 모양의 디자인 및 캔 뚜껑에 대한 접착 연결에 의해 긴 구멍내로 실링 삽입되며, 플라스틱 부품에는 금속 캔 뚜껑의 마이크로 갭 또는 취약선의 반대쪽 단부들을 서로 연결하는 취약선이 차례로 제공되어 있다. 플라스틱 부품의 취약선은 특히 시일의 설정시에 각인하여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개방력은 유리하게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형태에 따르면, 캔 뚜껑의 취약선은 눌려진 날카로운 노치에 의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취약선은 캔 뚜껑 재료의 딥 드로잉에 의해 생성된다. 쉽게 인열 개방될 수 있는 매우 얇은 벽의 인열-개방 라인이 이 마지막 변형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날카로운 노치 또한 유리한 인열-개방 특성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식품에 사용하기에 적합하고/적합하거나 윤활 특성을 갖는 접착제, 특히 접착성 래커를 사용하는 특히 열 공정에 의해 실링 프레임은 고정된 단부 표면에 접착되며 또한 밀봉 유닛은 위쪽으로 피봇 가능한 금속 영역에 접착되는, 이전에 설명된 종류의 금속 캔 뚜껑을 생산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접착제는 실링 프레임 및/또는 밀봉 유닛의 탈형 전에 각각의 플라스틱 재료에 혼합된다. 접착제는 특히 사출 성형 플라스틱 부품을 생산하는 데 사용되는 플라스틱 과립에 혼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부품들에 대한 접착제의 별도 도포가 생략되어 제조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접착제, 특히 접착성 래커를 사용하는 특히 열 공정에 의해 특히 금속 캔 뚜껑에 접착되는 캔 뚜껑 내의 마이크로 갭을 시일하기 위해 특히 내부 단부측상에 플라스틱 필름을 갖는 설명된 종류의 금속 캔 뚜껑을 제조하는 추가 방법에서, 접착제는 바람직하게는 필름으로 형성된다. 두 필름이 서로 쉽게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이것은 또한 제조에 유리하다.
접착제 필름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특히 공압출에 의해 2층 필름으로서 플라스틱 필름으로 제조된다. 따라서 제조가 훨씬 더 간단하고 저렴하다.
접착제는 또한 연결될 부품들 중 하나 또는 둘 모두, 즉 금속 뚜껑 재료 및/또는 실링 프레임, 밀봉 유닛 및 실링 필름에 접착성 래커로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도면에 나타나 있으며 다음에서 설명될 것이다. 각 경우에 개략적으로 표시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캔 뚜껑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캔 뚜껑의 상부측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선 A-A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선 B-B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캔 뚜껑의 변형예로써 도 4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B부분의 상세도이다.
도 7은 도 5의 C부분의 상세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캔 뚜껑의 추가 변형예로써 도 4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B부분의 상세도이다.
도 10은 도 9의 C부분의 상세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캔 뚜껑의 다른 변형예로써 도 4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B부분의 상세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C부분의 상세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캔 뚜껑의 개구부 영역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캔 뚜껑내로 삽입된 플라스틱 부품을 도시한다.
도 16은 버섯 모양으로 변형된 도 15의 플라스틱 부품을 도시한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캔 뚜껑의 단면의 평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선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7의 선 C-C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7의 선 D-D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캔 뚜껑(1)은 금속, 특히 알루미늄을 포함하고, 재밀봉 가능한 개구부를 갖는다. 이를 위해 고정된 단부 표면(2) 옆에 위쪽으로 피봇 가능한 단부 영역(3)이 제공된다. 위쪽으로 피봇 가능한 단부 영역(3)은 주변 마이크로 갭(4) 또는 취약선(특히, 도 6 참조)에 의해 고정된 단부 영역(2)으로부터 분리된다.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되고 개구부 영역을 둘러싸는 실링 프레임(5)은 고정된 단부 표면(2)에 연결되며, 실제로 뚜껑의 알루미늄과의 견고한 연결을 보장하기 위해, 특히 접착제를 사용하는 소위 핫 멜트 공정에 의해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플라스틱으로 구성되고 고정된 단부 표면(2)에 피봇 베어링(7)을 통해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 밀봉 유닛(6)이 또한 위쪽으로 피봇 가능한 금속 단부 영역(3)에 부착된다. 특히 피봇 베어링(7) 및 밀봉 유닛(6)은 고정된 단부 표면(2) 또는 위쪽으로 피봇 가능한 단부 영역(3)에 접착제를 사용하는 핫 멜트 연결을 통해 차례로 연결된다.
밀봉 유닛은 위쪽으로 피봇되지 않은 상태에서 피봇 베어링(7)의 정반대 측에서 상부 단부측(9)과 평행하게 배열된 위쪽으로 피봇 가능한 인열-개방 부재(8)에 연결된다. 인열-개방 부재(8)는 공지된 방식으로 환형으로 형성되고, 단부 표면 반대편의 맞물림 단부(10)에서 손가락에 맞물림으로써 피봇 베어링(11)을 중심으로 위쪽으로 피봇될 수 있다.
실링 프레임(5) 및 밀봉 유닛(6)은 실링 프레임(5)의 실링 및 래칭 리브(12, 13, 14)를 통해 그리고 밀봉 유닛(6)의 연관된 수용 홈(15, 16, 17)을 통해 실링 방식으로 협력한다. 이에 의해 캔 뚜껑의 개구부 영역이 밀봉되는 적어도 3개의 실링 에지(18, 19, 20)가 형성된다. 따라서 캔 뚜껑의 불투과성은 위쪽으로 피봇 가능한 단부 영역(3)과 고정된 단부 영역(2) 사이에 마이크로 갭(4)을 사용할 때도 보장된다.
캔 뚜껑(1)에는 도 5 내지 도 7의 실시형태에서 마이크로 갭(4)이 제공된다. 마이크로 갭은 밀봉 유닛(6)에 의해 파지되어, 밀봉 유닛(6)과 위쪽으로 피봇 가능한 단부 영역(3) 사이에 제1 실링 영역(26)이 그리고 밀봉 유닛(6)과 고정된 단부 영역(2) 사이에 제2 실링 영역(27)이 형성된다. 제1 실링 영역은 밀봉 유닛(6)이 인열-개방될 수 없는 방식으로 위쪽으로 피봇 가능한 단부 영역(3)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대조적으로, 제2 실링 영역(27)은 미리 정의된 최대 힘으로 캔 뚜껑(1)이 인열 개방될 때 고정된 단부 영역(2)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최대 힘은 바람직하게는 10 N 이하, 특히 5 N 이하이다. 양 실링 영역(26, 27)은 캔 뚜껑의 개구부 영역 완전히 주변으로 형성되어 캔 내부가 이들 2개의 실링 영역에 의해 완전히 시일된다.
제1 실링 영역(26) 및 제2 실링 영역(27)에서의 실링은 바람직하게는 열 공정, 특히 소위 핫 멜트 공정에 의해 접착된 방식으로 발생한다. 실링 표면(26, 27)의 형상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물방울 형상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선행 변형예에 따라 각각 형성되는, 밀봉 유닛(6)과 위쪽으로 피봇 가능한 단부 영역(3) 사이의 제1 실링 영역(26)뿐만 아니라 밀봉 유닛(6)과 고정된 단부 영역(2) 사이의 제2 실링 영역(27)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캔 뚜껑의 추가 변형예를 도시한다. 선행 변형예와의 차이점은 마이크로 갭(4) 대신에 고정된 단부 영역(2)과 위쪽으로 피봇 가능한 단부 영역(3) 사이에 제공되는 취약선(4')을 포함한다. 여기서 취약선(4')은 날카로운 노치로 형성된다.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변형예에서. 고정된 단부 영역(2)과 위쪽으로 피봇 가능한 단부 영역(3) 사이에 취약선(4")이 마찬가지로 제공된다. 선행 변형예와 달리 취약선(4")은 딥 드로잉 변형으로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취약선(4")은 밀봉 유닛(6)에 의해 파지되어, 밀봉 유닛(6)과 위쪽으로 피봇 가능한 단부 영역(3) 사이에 제1 실링 영역(26)이 그리고 밀봉 유닛(6)과 고정된 단부 영역(2) 사이에 제2 밀봉 영역(27)이 제공된다. 나머지 구성은 이전에 설명한 변형예와 동일하다.
도 15 내지 도 20에 도시된 변형예에서, 플라스틱 부품(28)은 캔 뚜껑(1)에 제공된 긴 구멍(29)내로 삽입된다. 마이크로 갭(4)은 각각 긴 구멍(29)의 2개의 좁은 단부에 인접한다. 도 16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플라스틱 부품(28)은 한편으로는 고정된 단부 영역(2) 위의 양쪽에서 맞물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위쪽으로 피봇 가능한 단부 영역(3) 위의 양쪽에서 맞물리도록 버섯 모양 방식으로 변형된다. 도 15는 변형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다.
버섯 모양 방식으로 변형된 플라스틱 부품(28)은 특히 접착제를 사용하는 열 공정에 의해 캔 뚜껑(1)에 접착된다. 또한, 취약선(30)이 플라스틱 부품(28)내로 각인되고 바람직하게 캔 뚜껑(1)의 실링 공정 중에 설정된다. 플라스틱 부품은 이러한 취약선(30)을 통해 캔 뚜껑의 인열 개방에서 두 부분으로 분리될 수 있다. 여기서 개방력은 플라스틱 부품(28)이 없는 것보다 작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캔 뚜껑의 내측은 전체 내부 단부측을 덮는 플라스틱 필름(25)으로 적층된다. 이것과는 달리, 플라스틱 필름은 환형으로도 형성될 수 있으며, 마이크로 갭(4) 또는 취약선을 넘어 양쪽에서 10분의 몇 mm, 특히 10분의 3 내지 4 mm만 연장될 수 있다. 다른 가능성은 마이크로 갭(4) 또는 취약선을 넘어 반경 방향 외측으로 10분의 몇 mm, 예를 들어 10분의 3 내지 4 mm로 연장되는 디스크 형상 실링 필름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경우 실링 필름은 대체로 평평한 디스크로 형성될 수 있다. 환형 및 디스크 형상 실링 필름 모두 바람직하게는 스탬프된 부품으로 형성된다.
실링 프레임(5) 및 밀봉 유닛(6)은 항상 캔 뚜껑(1)의 외측에 부착되고 접착제를 통해 캔 뚜껑에 연결되는 반면, 내부 단부측도 실시형태와 달리 적어도 대부분 라미네이션 등이 없을 수 있다. 그러나, 내부 단부측에는 캔에 함유된 제품이 금속 단부 재료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특히 식품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래커 층이 제공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13에 도시된 실시형태는 실링 필름이 없는 캔 뚜껑들을 나타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캔 뚜껑의 불투과성 및 밀봉 강도는 실링 영역(26, 27)에 의해 그리고 연관된 수용 홈(15, 16, 17)을 갖는 실링 및 래칭 리브(12, 13, 14)에 의해 보장된다.
1: 캔 뚜껑
2: 고정된 단부 영역
3: 위쪽으로 피봇 가능한 단부 영역
4: 마이크로 갭
4', 4'': 취약선
5: 실링 프레임
6: 밀봉 유닛
7: 피봇 베어링
8: 인열-개방 부재
9: 상부 캔 측면
10: 맞물림 단부
11: 8의 피봇 베어링
12: 실링 및 래칭 리브
13: 실링 및 래칭 리브
14: 실링 및 래칭 리브
15: 수용 홈
16: 수용 홈
17: 수용 홈
18: 실링 가장자리
19: 실링 가장자리
20: 실링 가장자리
21: 후크
22: 돌출부
23: 구멍
24: 연장부
25: 실링 필름
26: 제1 실링 영역
27: 제2 실링 영역
28: 플라스틱 부품
29: 긴 구멍
30: 취약선

Claims (21)

  1. 재밀봉 가능한 개구부를 갖는 금속 캔 뚜껑으로서,
    금속 단부 표면과 개구부 주변에 제공된 마이크로 갭(4) 또는 취약선을 가지며, 고정된 단부 표면(2)에 연결되고 개구부 영역을 둘러싸는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된 실링 프레임(5)을 가지며,
    마이크로 갭(4) 또는 취약선 내에 배치되고, 위쪽으로 피봇 가능한 금속 단부 영역(3)에 연결되고, 피봇 베어링(7)을 통해 고정된 단부 표면(2)에 피봇 가능하게 부착되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밀봉 유닛(6)을 가지며,
    실링 프레임(5)과 밀봉 유닛(6)은 실링 방식으로 협력하며,
    주변 마이크로 갭(4) 또는 취약선 내에 배치된 금속 단부 영역(3)은 뚜껑(1)의 개구부 영역에 수용되어 유지되며,
    실링 프레임(5)은 고정된 단부 표면(2)에 접착되고 밀봉 유닛(6)은 위쪽으로 피봇 가능한 금속 단부 영역(3)에 접착되며,
    제공될 수 있는 래커 층을 제외하고 내부 단부측은 라미네이션이 없으며,
    밀봉 유닛(6)은 뚜껑(1)이 개방되어 있지 않은 한 외부로부터 마이크로 갭(4) 또는 취약선을 덮는, 금속 캔 뚜껑.
  2. 제1항에 있어서,
    내부 단부측에는 마이크로 갭(4) 또는 취약선을 덮는 실링 필름이 제공되지만, 외부에 배치된 내부 단부측 영역에는 제공되지 않는, 금속 캔 뚜껑.
  3. 제2항에 있어서,
    실링 필름은 마이크로 갭(4) 또는 취약선의 형상에 대응하는 환형 형상을 갖는, 금속 캔 뚜껑.
  4. 제3항에 있어서,
    실링 필름은 마이크로 갭(4) 또는 취약선을 넘어서 양측에서 10분의 3 mm 내지 10분의 4 mm 가 연장되는, 금속 캔 뚜껑.
  5. 제2항에 있어서,
    실링 필름은 디스크 형상이고 마이크로 갭(4) 또는 취약선 내의 전체 영역을 덮는, 금속 캔 뚜껑.
  6. 제2항에 있어서,
    실링 필름은 스탬프된 부품으로 형성되는, 금속 캔 뚜껑.
  7. 제1항에 있어서,
    밀봉 유닛(6)은 마이크로 갭(4) 또는 취약선 양측의 적어도 0.3 mm를 덮는, 금속 캔 뚜껑.
  8. 제1항에 있어서,
    밀봉 유닛(6)은 마이크로 갭(4) 또는 취약선(4', 4") 내에서 반경 방향으로 완전히 주변에 배치되고 캔이 인열 개방되었을 때 밀봉 유닛(6)이 위쪽으로 피봇 가능한 금속 단부 영역(3)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연결되는 제1 실링 영역(26) 및 마이크로 갭(4) 또는 취약선(4', 4") 외부에서 반경 방향으로 완전히 주변에 배치되고 미리 정의된 최대 힘으로의 캔 뚜껑의 인열 개방시에 고정된 단부 표면(2)으로부터 분리되도록 고정된 단부 표면(2)에 연결되는 제2 실링 영역(27)을 갖는, 금속 캔 뚜껑.
  9. 제1항에 있어서,
    위쪽으로 피봇 가능한 단부 영역(3)은 인열-개방 부재(8)의 맞물림 지점에서는 뾰족한 영역을 갖고 상기 지점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피봇 베어링(7)에서의 단부에서는 둥근 영역을 갖는 일종의 물방울 형상을 갖는, 금속 캔 뚜껑.
  10. 제1항에 있어서,
    캔 뚜껑(1)은 마이크로 갭(4) 또는 취약선(4', 4")에 의해 양측에 인접하는 인열-개방 부재(8)의 영역에 긴 구멍(29)을 가지며; 플라스틱 부품(28)은 긴 구멍(29)내로 실링 삽입되며; 플라스틱 부품(28)에는 금속 캔 뚜껑(1)의 마이크로 갭(4) 또는 취약선(4', 4")의 반대쪽 단부들을 서로 연결하는 취약선(30)이 차례로 제공되는, 금속 캔 뚜껑.
  11. 제1항에 따른 금속 캔 뚜껑의 제조방법으로서,
    실링 프레임(5) 또는 밀봉 유닛(6)의 성형 전에, 접착제가 각각의 플라스틱 재료에 혼합되는, 금속 캔 뚜껑의 제조방법.
  12. 제1항에 따른 금속 캔 뚜껑의 제조방법으로서,
    접착제는 필름으로 형성되고,
    실링 프레임(5)은 고정된 단부 표면(2)에 연결되고 밀봉 유닛(6)은 접착제를 사용하는 열 공정에 의해서 위쪽으로 피봇 가능한 금속 단부 영역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캔 뚜껑의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접착제 필름은 2층 필름으로서 플라스틱 필름(25)으로 제조되는, 금속 캔 뚜껑의 제조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재밀봉 가능한 개구부는
    음료 캔 및 식품 및 액체, 반죽, 분말 또는 고체 제품들을 저장하기 위한 용기를 위한 것 임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캔 뚜껑.
  15. 제1항에 있어서,
    밀봉 유닛(6)은 피봇 베어링(7)과 정반대 방향으로 위쪽으로 피봇 가능한 방식으로 밀봉 유닛(6)에 연결되는 인열-개방 부재(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캔 뚜껑.
  16. 제1항에 있어서,
    실링 프레임(5)과 밀봉 유닛(6)은 실링 및 래칭 리브(12, 13, 14) 및 관련된 수용 홈(15, 16, 17)들을 통해 실링 방식으로 협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캔 뚜껑.
  17. 제1항에 있어서,
    실링 프레임(5)은 고정된 단부 표면(2)에 접착되고 밀봉 유닛(6)은 접착성 래커 층을 사용하는 열 공정에 의해서 위쪽으로 피봇 가능한 금속 단부 영역(3)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캔 뚜껑.
  18. 제10항에 있어서,
    플라스틱 부품(28)은 캔 뚜껑(1)의 양쪽에 버섯 모양의 디자인 및 고정된 단부 영역(2)과 위쪽으로 피봇 가능한 단부 영역(3) 모두에 대한 접착 연결에 의해 긴 구멍(29)내로 실링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캔 뚜껑.
  19. 제1항에 있어서,
    밀봉 유닛(6)은 접착제를 사용하는 열 공정에 의해서 위쪽으로 피봇 가능한 금속 단부 영역(3)에 접착되는, 금속 캔 뚜껑.
  20. 제11항에 있어서,
    접착제는 사출 성형 플라스틱 부품을 제조하는 플라스틱 과립에 혼합되는, 금속 캔 뚜껑의 제조방법.
  21. 제12항에 있어서,
    접착제 필름은 공압출에 의해 2층 필름으로서 플라스틱 필름(25)으로 제조되는, 금속 캔 뚜껑의 제조방법.
KR1020207036347A 2018-06-19 2019-06-17 금속 캔 뚜껑 KR1025399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8178571.8 2018-06-19
EP18178571.8A EP3584187A1 (de) 2018-06-19 2018-06-19 Metallischer dosendeckel
PCT/EP2019/065879 WO2019243254A1 (de) 2018-06-19 2019-06-17 Metallischer dosendeck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0918A KR20210010918A (ko) 2021-01-28
KR102539968B1 true KR102539968B1 (ko) 2023-06-02

Family

ID=62712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6347A KR102539968B1 (ko) 2018-06-19 2019-06-17 금속 캔 뚜껑

Country Status (26)

Country Link
US (1) US11878835B2 (ko)
EP (4) EP3741701B1 (ko)
JP (1) JP7224380B2 (ko)
KR (1) KR102539968B1 (ko)
CN (1) CN112424075B (ko)
AR (1) AR115591A1 (ko)
AU (1) AU2019289694B2 (ko)
BR (1) BR112020025254A2 (ko)
CA (1) CA3102898C (ko)
DK (1) DK3741701T3 (ko)
EA (1) EA202190063A1 (ko)
ES (1) ES2935714T3 (ko)
FI (1) FI3741701T3 (ko)
HR (1) HRP20230200T1 (ko)
HU (1) HUE061227T2 (ko)
LT (1) LT3741701T (ko)
MA (1) MA52576A (ko)
MX (1) MX2020013444A (ko)
PL (1) PL3741701T3 (ko)
PT (1) PT3741701T (ko)
RS (1) RS64047B1 (ko)
SI (1) SI3741701T1 (ko)
TW (1) TWI729413B (ko)
UY (1) UY38267A (ko)
WO (1) WO2019243254A1 (ko)
ZA (1) ZA20200744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0128491A1 (de) * 2020-10-29 2022-05-05 Top Cap Holding Gmbh Dosendeckel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Dosendeckels
DE102021131239A1 (de) * 2021-11-29 2023-06-01 Top Cap Holding Gmbh Dosendeckel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Dosendeckel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48659A1 (de) * 2016-03-03 2017-09-08 Gregor Anton Piech Dosendeckel wiederverschliessbar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355512A (en) 1971-03-30 1974-06-05 Crosweller & Co Ltd W Fluid mixing valves
FR2241460A1 (en) * 1973-08-21 1975-03-21 Bindschedler Pierre Lid for preserves container with tear-off strip - lines of weakness in groove in lid are protected by plastic coating
US3990603A (en) * 1975-12-09 1976-11-09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Easy open closure system
JPS5483590A (en) * 1977-12-15 1979-07-03 Tokan Kogyo Co Ltd Cover body
GB8523262D0 (en) * 1985-09-20 1985-10-23 Metal Box Plc Metal can end
CN1006879B (zh) 1985-10-29 1990-02-21 金属箱公共有限公司 容器封头
US4719824A (en) * 1986-04-28 1988-01-19 Robert Chagoya Pull tab opener
JPH0245354A (ja) * 1988-07-26 1990-02-15 Showa Denko Kk プラスチック製易開封性蓋
WO1998012118A2 (de) * 1996-09-18 1998-03-26 Cetoni Umwelttechnologie-Entwicklungsgesellschaft Mbh Behälter, insbesondere getränkedose, sowie deckel für einen solchen behälter
EP1308226A1 (en) 2001-11-06 2003-05-07 Impress B.V. Easy opening closure, container provided with such closure, and apparatus for producing such closure
DE10244349A1 (de) * 2002-09-24 2004-04-15 Sooth, Jürgen Verschluss für ausgießbare Flüssigkeiten enthaltene Dosen
WO2004065241A1 (ja) 2003-01-24 2004-08-05 Toyo Seikan Kaisha, Ltd. リシール性を備えた易開封性容器蓋及びその製法
JP4273773B2 (ja) * 2003-01-24 2009-06-03 東洋製罐株式会社 リシール性を備えた易開封性容器蓋の製法
DE102006020696A1 (de) 2006-05-04 2007-11-08 Krauss Maffei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eschichteten Thermoplastmaterials
CN201023709Y (zh) 2007-01-11 2008-02-20 谢恬妮 按扣式易拉罐
US10434757B2 (en) 2009-03-31 2019-10-08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Method of manufacturing a drug delivery device body
DE102009002726B3 (de) 2009-04-29 2010-07-08 Kunststofftechnik Waidhofen An Der Thaya Gmbh Wiederverschließbarer Verschluss sowie Getränkedose und Getränkekarton
EP2354021B1 (de) * 2010-02-02 2012-12-26 Klaus Thielen Behälterdeckel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ehälterdeckels
EP2354022B1 (de) 2010-02-02 2012-12-26 Klaus Thielen Dosendeckel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Dosendeckels
DE102010013531B4 (de) 2010-03-31 2020-10-29 Gregor Anton Piech Dosendeckel
JP6001565B2 (ja) * 2011-02-14 2016-10-05 レッド・ブル・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Red Bull Gmbh 再閉鎖可能飲料缶
US8844761B2 (en) 2012-08-10 2014-09-30 Daniel A. Zabaleta Resealable beverage containers and methods of making same
EP2913276A1 (fr) 2014-02-27 2015-09-02 Estavayer Lait SA Cannette en plastique et son procédé de fabrication
US20170129643A9 (en) * 2014-03-28 2017-05-11 World Bottling Cap Llc Bottle crown with opener assembly
DE102015112428A1 (de) 2015-07-29 2017-02-02 Gregor Anton Piech Dosendeckel
DE102015122548A1 (de) * 2015-12-22 2017-06-22 Gregor Anton Piech Dosendeckel
EP3189867B1 (en) 2016-01-06 2022-11-16 Ypsomed AG Method for manufacturing parts and assembling parts to an injection device using 2-component injection molding
DE102016112953A1 (de) * 2016-07-14 2018-01-18 Gregor Anton Piech Metallische Dose und zugehöriger Dosendeckel
US10421590B2 (en) * 2017-01-02 2019-09-24 Toddy Tech, LLC Tumbler lid with reservoir and repetitive measuring and disbursement mechanism
US10112752B2 (en) * 2017-01-02 2018-10-30 Toddy Tech, LLC Tumbler lid with reservoir and repetitive measuring and disbursement mechanism
EP3385184B1 (de) * 2017-04-05 2019-11-27 Gregor Anton Piech Behältnis zum hermetisch dichten aufbewahren von produkten, insbesondere von lebensmittel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48659A1 (de) * 2016-03-03 2017-09-08 Gregor Anton Piech Dosendeckel wiederverschliessb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729413B (zh) 2021-06-01
JP2021527599A (ja) 2021-10-14
JP7224380B2 (ja) 2023-02-17
BR112020025254A2 (pt) 2021-03-09
SI3741701T1 (sl) 2023-04-28
EP3981702A1 (de) 2022-04-13
TW202000540A (zh) 2020-01-01
ZA202007443B (en) 2024-01-31
PL3741701T3 (pl) 2023-04-11
ES2935714T3 (es) 2023-03-09
MX2020013444A (es) 2021-02-26
HRP20230200T1 (hr) 2023-03-31
US11878835B2 (en) 2024-01-23
EP3584187A1 (de) 2019-12-25
FI3741701T3 (fi) 2023-03-18
RS64047B1 (sr) 2023-04-28
HUE061227T2 (hu) 2023-05-28
CN112424075A (zh) 2021-02-26
AU2019289694B2 (en) 2022-05-26
DK3741701T3 (da) 2023-01-23
US20210253300A1 (en) 2021-08-19
CA3102898C (en) 2023-07-25
EP3790807A1 (de) 2021-03-17
WO2019243254A1 (de) 2019-12-26
KR20210010918A (ko) 2021-01-28
CA3102898A1 (en) 2019-12-26
MA52576A (fr) 2021-03-17
EA202190063A1 (ru) 2021-03-29
UY38267A (es) 2020-01-31
LT3741701T (lt) 2023-03-10
AU2019289694A1 (en) 2021-01-07
AR115591A1 (es) 2021-02-03
PT3741701T (pt) 2023-01-12
EP3741701A1 (de) 2020-11-25
EP3741701B1 (de) 2022-12-14
CN112424075B (zh) 2023-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90744B2 (ja) カン蓋
US8011566B2 (en) Hinged lid for a food container with plastic lower ring
JP6825012B2 (ja) 再封止可能な缶の蓋
KR102539968B1 (ko) 금속 캔 뚜껑
CN110678398B (zh) 金属罐盖
EP2563680B1 (en) Seal
KR20070067141A (ko) 재밀폐형 포일 덮개
CN112512933B (zh) 金属罐端件
OA19966A (en) Metallic can lid.
EA042647B1 (ru) Металлическая крышка банк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