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4883A - 화장품 - Google Patents

화장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4883A
KR20180044883A KR1020187002937A KR20187002937A KR20180044883A KR 20180044883 A KR20180044883 A KR 20180044883A KR 1020187002937 A KR1020187002937 A KR 1020187002937A KR 20187002937 A KR20187002937 A KR 20187002937A KR 20180044883 A KR20180044883 A KR 201800448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elastic body
sample
fibers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2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3202B1 (ko
Inventor
레이코 야마나카
유키코 도이
도시히코 오히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타이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810007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80044883(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타이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타이키
Publication of KR20180044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48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3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3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05Flexible holders, pouches for powder or powder puff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34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41Composite fibres, e.g. sheath-core, sea-island or side-by-side; Mixed fib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41Composite fibres, e.g. sheath-core, sea-island or side-by-side; Mixed fibres
    • D04H1/5412Composite fibres, e.g. sheath-core, sea-island or side-by-side; Mixed fibres sheath-core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41Composite fibres, e.g. sheath-core, sea-island or side-by-side; Mixed fibres
    • D04H1/5414Composite fibres, e.g. sheath-core, sea-island or side-by-side; Mixed fibres side-by-side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41Composite fibres, e.g. sheath-core, sea-island or side-by-side; Mixed fibres
    • D04H1/5416Composite fibres, e.g. sheath-core, sea-island or side-by-side; Mixed fibres sea-island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41Composite fibres, e.g. sheath-core, sea-island or side-by-side; Mixed fibres
    • D04H1/5418Mixed fibres, e.g. at least two chemically different fibres or fibre ble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36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ntaining a cosmetic substance, e.g. impregnated with liquid or containing a soluble solid substanc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4Heat-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41Heat-responsive characteristics thermoplastic; thermosetting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06/00Special receptacle or package
    • Y10S206/823Cosmetic, toilet, powder puff

Abstract

화장료를 피부 등에 도포할 때에 사용되는 퍼프를 비롯하여, 파운데이션 등의 화장료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로서, 구성 섬유로서 복합 섬유를 함유하고, 당해 복합 섬유가 수지 A 및 당해 수지 A 보다 용융 온도가 높은 수지 B 를 함유하고, 구성 섬유끼리의 접촉부가 복합 섬유의 수지 A 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 당해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에 화장료를 함유하는 화장료 함유 탄성체, 및 당해 화장료 함유 탄성체를 갖는 화장품.

Description

화장품{COSMETIC}
본 발명은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화장료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 당해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에 화장료를 함유하는 화장료 함유 탄성체, 당해 화장료 함유 탄성체를 갖는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는, 예를 들어 화장료를 피부 등에 도포할 때에 사용되는 퍼프를 비롯하여, 파운데이션 등의 각종 화장품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파운데이션 등의 액상 화장료는, 콤팩트 등의 화장품 용기 내에 수용되어 있다. 화장품 용기는, 용기 본체 및 덮개체를 갖고, 용기 본체 내에는 액상 화장료를 유지하기 위한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가 수납되어 있다.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에는, 종래 폴리에틸렌 폼, 폴리우레탄 폼, 고무 폼 등의 연질 스펀지가 사용되고 있지만, 최근 안정적인 화장료의 유지성을 갖는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로서, 폴리에테르계 우레탄 폼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그러나, 폴리에테르계 폴리우레탄 폼은, 그 표면에 존재하는 액상 화장료를 퍼프 등에 용이하게 부착시킬 수 있지만, 기포 구조를 가지므로, 그 내부에 받아들여진 액상 화장료는, 기포 내에서 받아들여지기 때문에, 퍼프 등에 의해 용이하게 외부로 꺼낼 수 없다. 이러한 점에서, 폴리에테르계 폴리우레탄 폼의 내부에는, 사용되지 않는 액상 화장료가 다량으로 잔존한다는 결점이 있다. 또한, 폴리우레탄 폼은, 섬유가 아니라 우레탄 결합을 갖는 폼이고, 또한 전체의 표면적이 큰 점에서, 내광성이 떨어져 태양광선 등에 의해 황변되기 쉽기 때문에, 상품적 가치의 저하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일본 특허 제5465357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내부에 받아들여진 화장료를 효율적으로 외부로 꺼낼 수 있는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 당해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에 화장료를 함유하는 화장료 함유 탄성체, 및 당해 화장료 함유 탄성체를 갖는 화장품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1) 화장료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로서, 구성 섬유로서 복합 섬유를 함유하고, 당해 복합 섬유가 수지 A 및 당해 수지 A 보다 용융 온도가 높은 수지 B 를 함유하고, 구성 섬유끼리의 접촉부가 복합 섬유의 수지 A 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
(2) 상기 (1) 에 기재된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에 화장료를 함유하는 화장료 함유 탄성체, 및
(3) 상기 (2) 에 기재된 화장료 함유 탄성체를 갖는 화장품
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는, 내부에 받아들여진 화장료를 효율적으로 외부로 꺼낼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함유 탄성체는, 상기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에 화장료가 함유되어 있으므로, 내부에 받아들여진 화장료를 효율적으로 외부로 꺼낼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발휘한다. 또, 본 발명의 화장품은, 상기 화장료 함유 탄성체를 가지므로, 내부에 받아들여진 화장료를 효율적으로 외부로 꺼낼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발휘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를 제조할 때에 사용되는 웨브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의 일 실시양태를 나타내는 개략 설명도이다.
도 2(a) 는 실시예 1 에서 얻어진 샘플 A 의 평면 방향의 단면에 있어서의 도면 대용 광학 현미경 사진, 도 2(b) 는 샘플 A 의 두께 방향의 단면에 있어서의 도면 대용 광학 현미경 사진이다.
도 3(a) 는 실험예 1 에 있어서의 샘플 A 의 내광성 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대용 광학 현미경 사진, 도 3(b) 는 실험예 1 에 있어서의 샘플 B 의 내광성 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대용 광학 현미경 사진, 도 3(c) 는 실험예 1 에 있어서의 샘플 C 의 내광성 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대용 광학 현미경 사진, 도 3(d) 는 실험예 1 에 있어서의 샘플 R1 의 내광성 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대용 광학 현미경 사진, 도 3(e) 는 실험예 1 에 있어서의 샘플 R2 의 내광성 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대용 광학 현미경 사진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는, 상기한 바와 같이, 화장료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로서, 구성 섬유로서 복합 섬유를 함유하고, 당해 복합 섬유가 수지 A 및 당해 수지 A 보다 용융 온도가 높은 수지 B 를 함유하고, 구성 섬유끼리의 접촉부가 복합 섬유의 수지 A 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복합 섬유를 구성하는 수지 A 의 용융 온도는, 수지 B 의 용융 온도보다 낮다. 수지 A 의 용융 온도는, 복합 섬유의 주저앉음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수지 B 의 용융 온도보다 20 ℃ 이상 낮은 것이 바람직하고, 30 ℃ 이상 낮은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수지 A 의 용융 온도는, 복합 섬유의 주저앉음을 방지하여, 구성 섬유끼리의 접촉부를 수지 A 에 의해 강고하게 일체화시키는 관점에서, 130 ∼ 22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지 A 의 용융 온도 및 수지 B 의 용융 온도, 그리고 후술하는 합성 섬유의 용융 온도를 명확하게 측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당해 용융 온도는, 연화 온도로 치환된다.
수지 A 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폴리에스테르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헥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테트라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1,4-디메틸시클로헥산테레프탈레이트, 폴리하이드로락톤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폴리에스테르는 각각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이들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중에서는, 내광성이 우수한 점에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헥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본 발명의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의 내광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가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엘라스토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폴리에스테르를 하드 세그먼트로 하고, 폴리(알킬렌옥사이드)글리콜을 소프트 세그먼트로 하는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 코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 코폴리머는, 예를 들어 디카르복실산과 디올과 폴리(알킬렌옥사이드)글리콜을 반응시킴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상기 디카르복실산으로는, 예를 들어 o-프탈산, m-프탈산, 테레프탈산, 나프탈렌-2,6-디카르복실산, 나프탈렌-2,7-디카르복실산, 디페닐-4,4'-디카르복실산, 디페녹시에탄디카르복실산, 3-술포이소프탈산나트륨 등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1,4-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등의 지환족 디카르복실산, 숙신산, 옥살산, 아디프산, 세바스산, 도데칸디오산 (dodecanedioic acid), 다이머산 등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디카르복실산은 각각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상기 디올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 트리메틸렌글리콜, 테트라메틸렌글리콜, 펜타메틸렌글리콜, 헥사메틸렌글리콜, 1,4-부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데카메틸렌글리콜 등의 지방족 디올, 1,1-시클로헥산디메탄올,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 등의 지환족 디올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디올은 각각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상기 폴리(알킬렌옥사이드)글리콜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1,2-프로필렌옥사이드)글리콜, 폴리(1,3-프로필렌옥사이드)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옥사이드)글리콜,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 코폴리머, 에틸렌옥사이드-테트라하이드로푸란 코폴리머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폴리(알킬렌옥사이드)글리콜은 각각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폴리(알킬렌옥사이드)글리콜의 수 평균 분자량은, 통상 400 ∼ 500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의 고유 점도는, 구성 섬유끼리의 접촉부를 수지 A 에 의해 강고하게 일체화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8 ∼ 1.7, 보다 바람직하게는 0.9 ∼ 1.5 이다.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는, 예를 들어 폴리올과 디이소시아네이트를 사슬 연장제의 존재하에서 중합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폴리올로는, 예를 들어 디하이드록시폴리에테르, 디하이드록시폴리에스테르, 디하이드록시폴리카보네이트, 디하이드록시폴리에스테르아미드 등의 분자량이 500 ∼ 6000 정도인 폴리올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폴리올은 각각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디이소시아네이트로는, 예를 들어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화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이소시아네이트메틸카프로에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분자량이 500 이하인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디이소시아네이트는 각각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사슬 연장제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 아미노알콜, 비스하이드록시에톡시벤젠, 1,4-부탄디올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사슬 연장제는 각각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구성 섬유끼리의 접촉부를 수지 A 에 의해 강고하게 일체화시키는 관점에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하드 세그먼트로 하고, 폴리옥시부틸렌글리콜을 소프트 세그먼트로 하는 폴리에테르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하드 세그먼트에 있어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원료로서 사용되는 산 성분의 일부는, 본 발명의 목적이 저해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테레프탈산 이외의 디카르복실산, 옥시카르복실산 등의 산으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또, 폴리옥시부틸렌글리콜의 원료로서 사용되는 부틸렌글리콜의 일부는, 본 발명의 목적이 저해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른 다가 알코올과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소프트 세그먼트에 있어서, 폴리옥시부틸렌글리콜의 원료로서 사용되는 부틸렌글리콜의 일부는, 본 발명의 목적이 저해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른 다가 알코올과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수지 B 로는, 예를 들어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헥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테트라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1,4-디메틸시클로헥산테레프탈레이트, 폴리하이드로락톤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는 각각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이들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중에서는, 내광성이 우수한 점에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헥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수지 B 의 용융 온도는, 복합 섬유의 주저앉음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수지 A 의 용융 온도보다 20 ℃ 이상 높은 것이 바람직하고, 30 ℃ 이상 높은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수지 B 의 용융 온도는, 복합 섬유의 주저앉음을 방지하여, 구성 섬유끼리의 접촉부를 수지 A 에 의해 강고하게 일체화시키는 관점에서, 150 ∼ 27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160 ∼ 270 ℃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복합 섬유는, 내광성을 향상시키고, 복합 섬유의 주저앉음을 방지하여, 구성 섬유끼리의 접촉부를 수지 A 에 의해 강고하게 일체화시키는 관점에서, 수지 A 가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이고, 수지 B 가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복합 섬유의 주저앉음을 방지하여, 구성 섬유끼리의 접촉부를 수지 A 에 의해 강고하게 일체화시키는 관점에서, 복합 섬유의 표면적의 30 ∼ 70 % 가 수지 A 로 구성되고, 복합 섬유의 표면적의 70 ∼ 30 % 가 수지 B 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합 섬유는, 수지 A 및 당해 수지 A 보다 용융 온도가 높은 수지 B 를 함유하지만, 본 발명의 목적이 저해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지 A 및 수지 B 이외의 수지가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복합 섬유로는, 예를 들어 심초 (core/sheath) 형 복합 섬유, 사이드·바이·사이드형 복합 섬유, 해도 (海島) 형 복합 섬유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중에서는, 구성 섬유끼리의 접촉부를 효율적으로 일체화시키는 관점에서, 심초형 복합 섬유가 바람직하고, 가열에 의해 권축을 발생시키는 경우에는, 사이드·바이·사이드형 복합 섬유가 바람직하다.
복합 섬유는, 수지 A 및 수지 B 를 함유하는데, 예를 들어 심초형 복합 섬유 및 사이드·바이·사이드형 복합 섬유에 있어서는, 통상 수지 A 및 수지 B 의 2 종류의 수지가 이용되고, 해도형 복합 섬유에 있어서는, 통상 수지 A 및 수지 B 를 함유하는 2 ∼ 4 종류, 바람직하게는 2 또는 3 종류, 보다 바람직하게는 수지 A 및 수지 B 가 사용된다.
심초형 복합 섬유에 있어서는, 구성 섬유끼리의 접촉부를 수지 A 에 의해 강고하게 일체화시키는 관점에서, 심 성분에는 수지 B 가 사용되고, 초 성분에는 수지 A 가 사용된다.
심초형 복합 섬유에 있어서, 심 성분이 복합 섬유의 표면에 노출되어 있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심 성분의 섬유 직경 방향의 중심과 초 성분의 섬유 직경 방향의 중심이 일치하고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심초형 복합 섬유는, 동심원상으로 심초 구조가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편심상으로 심초 구조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편심상으로 심초 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심초 구조를 갖는 복합 섬유는, 가열에 의해 권축을 일으키기 때문에, 권축이 요구되는 용도에 적합하다. 심초형 복합 섬유의 단면 형상으로는, 예를 들어 원형, 삼각형, 사각형 등의 다각형상, 타원, 장원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형상 중에서는, 원형이 바람직하다. 또, 심초형 복합 섬유의 심 성분과 초 성분의 용량비는, 단 (單) 섬유 강도를 향상시킴과 함께 구성 섬유끼리의 접촉부를 수지 A 에 의해 강고하게 일체화시키는 관점에서, 심 성분 : 초 성분 (용량비) 은, 30 : 70 ∼ 70 : 3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복합 섬유가 심초형 복합 섬유인 경우, 당해 심초형 복합 섬유는, 예를 들어 심 성분 및 초 성분을 각각 구성하는 수지 B 및 수지 A 를 가열 용융시켜, 심초형 복합 섬유 제조용 복합 방사 장치에 도입하고, 심초형 복합 노즐로부터 압출하고, 방사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수지 A 및 수지 B 를 가열 용융시킬 때에는, 예를 들어 단축 압출기, 2 축 압출기, 니더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심초형 복합 노즐로서, 예를 들어 지그재그 배열 또는 환상 배열로 구금 세공이 배열된 심초형 복합 노즐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방사된 심초형 복합 섬유에 예를 들어 냉풍을 내뿜는 등에 의해 당해 심초형 복합 섬유를 냉각시켜, 고화시킬 수 있다.
복합 섬유의 섬도는,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의 내부에 받아들여진 화장료를 효율적으로 외부로 꺼낼 수 있고,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를 얻는 관점에서, 0.5 ∼ 15 데니어인 것이 바람직하고, 1 ∼ 10 데니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섬유의 섬도는, 섬유 길이 9000 m 당 섬유 (필라멘트) 의 질량 (g) 을 의미한다.
복합 섬유의 섬유 길이는,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의 내부에 받아들여진 화장료를 효율적으로 외부로 꺼낼 수 있고,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를 얻는 관점에서, 20 ∼ 150 ㎜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복합 섬유에는, 화장품에 사용되는 화장료 등의 방부의 관점에서, 필요에 따라, 예를 들어 방균 가공, 항균 가공 등의 가공이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이들 가공에는 다양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러한 방법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는, 구성 섬유로서 복합 섬유를 함유하는 것으로, 당해 구성 섬유가 복합 섬유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복합 섬유 및 당해 복합 섬유 이외의 그 밖의 섬유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그 밖의 섬유로는, 예를 들어 면, 마, 견 등의 천연 섬유, 레이온 등의 재생 섬유, 합성 섬유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의 다른 섬유 중에서는,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의 내부에 받아들여진 화장료를 효율적으로 외부로 꺼낼 수 있고,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를 얻는 관점에서, 합성 섬유가 바람직하다.
합성 섬유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등의 폴리에스테르 섬유, 폴리염화비닐계 섬유, 폴리염화비닐리덴 섬유, 폴리프로필렌 섬유, 폴리비닐알코올 섬유, 나일론 6 등으로 대표되는 폴리아미드 섬유, 폴리이미드 섬유, 폴리아미드이미드 섬유, 아세트산셀룰로오스 섬유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섬유는 각각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이들 합성 섬유 중에서는,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의 내부에 받아들여진 화장료를 효율적으로 외부로 꺼낼 수 있고, 내광성이 우수한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를 얻는 관점에서,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폴리아미드 섬유가 바람직하고, 폴리에스테르 섬유가 보다 바람직하다.
합성 섬유에는, 화장품에 사용되는 화장료 등의 방부의 관점에서, 필요에 따라, 예를 들어 방균 가공, 항균 가공 등의 가공이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이들 가공에는 다양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러한 방법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합성 섬유의 용융 온도는, 복합 섬유의 주저앉음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수지 A 의 용융 온도보다 20 ℃ 이상 높은 것이 바람직하고, 30 ℃ 이상 높은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합성 섬유의 용융 온도는, 복합 섬유의 주저앉음을 방지하고, 복합 섬유와 합성 섬유의 교차부에서 복합 섬유와 합성 섬유를 효율적으로 열융착시키는 관점에서, 150 ∼ 27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160 ∼ 270 ℃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합성 섬유의 섬도는,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의 내부에 받아들여진 화장료를 효율적으로 외부로 꺼낼 수 있는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를 얻는 관점에서, 0.5 ∼ 15 데니어인 것이 바람직하고, 1 ∼ 10 데니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합성 섬유의 섬유 길이는,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의 내부에 받아들여진 화장료를 효율적으로 외부로 꺼낼 수 있고,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를 얻는 관점에서, 20 ∼ 150 ㎜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의 내부에 받아들여진 화장료를 효율적으로 외부로 꺼낼 수 있고, 내광성이 우수한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를 얻는 관점에서, 복합 섬유와 그 밖의 섬유로서 합성 섬유가 병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복합 섬유와 합성 섬유로서 폴리에스테르 섬유 또는 폴리아미드 섬유가 병용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복합 섬유와 폴리에스테르 섬유가 병용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복합 섬유와 합성 섬유의 질량비 (복합 섬유/합성 섬유) 는, 복합 섬유와 합성 섬유의 교차부에서 복합 섬유와 합성 섬유를 효율적으로 열융착시킴과 함께,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의 내부에 받아들여진 화장료를 효율적으로 외부로 꺼낼 수 있는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를 얻는 관점에서, 10/90 ∼ 100/0 인 것이 바람직하고, 30/70 ∼ 80/20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하에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를 제조할 때에 사용되는 웨브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당해 도면에 기재된 실시양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에 있어서는, 복합 섬유와 합성 섬유를 병용했을 경우의 예가 나타나 있지만, 복합 섬유만을 사용해도 되고, 복합 섬유와 합성 섬유 이외의 다른 섬유를 병용해도 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를 제조할 때에 사용되는 웨브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의 일 실시양태를 나타내는 개략 설명도이다.
도 1(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웨브 (1) 가 적층되어 있다. 웨브 (1) 는, 예를 들어 복합 섬유 및 합성 섬유를 각각 해섬하고, 양자를 소정의 비율이 되도록 칭량하여, 양자를 균일한 조성이 되도록 혼섬함으로써 형성시킬 수 있다.
형성된 웨브의 두께는, 사용되는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의 크기에 따라 적절히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예를 들어 웨브 (1) 를 2 장의 평판 사이 (도시 생략) 에 끼워, 필요에 따라, 당해 웨브 (1) 를 소정의 두께가 되도록 가압하고, 그 상태에서 웨브 (1) 에 함유되어 있는 복합 섬유를 구성하고 있는 수지 A 의 용융 온도 이상의 온도로 또한 복합 섬유를 구성하고 있는 수지 B 및 합성 섬유의 용융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웨브 (1) 를 가열하고, 수지 A 를 용융시켜, 복합 섬유 및 합성 섬유를 함유하는 구성 섬유끼리의 접촉부를 용융한 수지 A 에 의해 융착 일체화시킴으로써, 도 1(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웨브 시트 (2) 를 얻을 수 있다. 그 때, 필요에 따라, 웨브 시트 (2) 가 소정의 밀도를 갖도록 성형형 내에 넣고, 상기와 동일하게 하여 웨브 시트 (2) 를 가열하고, 수지 A 를 용융시킴으로써, 구성 섬유끼리의 교차부를 용융한 수지 A 로 융착시켜, 당해 교차부에서 수지 A 로 이루어지는 괴상 (아메바상) 의 융착부를 형성시킬 수 있다. 도 1(b) 에 있어서, 상기 융착부는 부호 A 로 나타낸다.
상기에서 얻어진 웨브 시트 (2) 는, 구성 섬유끼리의 교차부가 용융한 수지 A 에 의해 점상으로 접합하고, 접합된 섬유끼리가 웨브 시트 (2) 의 평면 방향으로 가지런하게 되어 잇다.
다음으로, 상기에서 얻어진 웨브 시트 (2) 는, 도 1(c) 의 화살표 B 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직 방향으로 재단된다. 도 1(d)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재단된 웨브 시트 (3) 는, 재단면이 상면 또는 하면이 되도록 배치된다. 당해 웨브 시트 (3) 는, 두께 방향에 있어서 정글 짐과 같은 구조체 (삼차원 입체 구조체) 를 형성하고 있는 점에서, 웨브 시트 (3) 의 상면으로부터의 압력에 대하여 반발이 크기 때문에, 쿠션성이 우수하여,「주저앉음」에 대한 저항성도 우수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복합 섬유 및 합성 섬유를 혼합할 때, 복합 섬유 및 합성 섬유의 쌍방의 섬유를 섬유의 길이 방향으로 병행하도록 나열하여 적층시킴으로써 웨브 시트 (3) 를 제조한 경우에는, 당해 웨브 시트 (3) 를 도 1(d) 의 화살표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잡아 늘렸을 때에, 복합 섬유 및 합성 섬유의 쌍방의 섬유가 병행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줄무늬가 나타난다. 당해 줄무늬는, 웨브 시트 (3) 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임을 나타내는 지표가 된다.
다음으로, 상기에서 얻어진 웨브 시트 (3) 를 원하는 크기 및 형상이 되도록 재단함으로써,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를 얻을 수 있다.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의 크기 및 형상은, 당해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의 용도에 따라 상이하므로 일률적으로는 결정할 수 없다. 따라서,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의 크기 및 형상은, 당해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의 용도에 따라 적절히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의 일례로서, 예를 들어 평면 형상이 직경 3 ∼ 15 ㎝ 정도의 원형이며, 두께가 0.5 ∼ 5 ㎝ 정도인 원주상의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 등을 들 수 있다. 당해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는, 예를 들어 파운데이션 등의 액상 화장료를 유지하기 위한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의 밀도는, 당해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의 용도 등에 따라 상이하므로 일률적으로는 결정할 수 없지만, 통상 바람직하게는 6 ∼ 50 ㎏/㎥ 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6 ∼ 30 ㎏/㎥ 정도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의 아스카 (F) 경도는, 당해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의 용도 등에 따라 상이하므로 일률적으로는 결정할 수 없지만, 통상 30 ∼ 6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의 아스카 (F) 경도는, 고분자 계기 (주) 제조의 아스카 고무 경도계 F 형을 이용하고, 25 ℃ 의 온도에서 측정했을 때의 값이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는, 사용시에 있어서의 주저앉음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점 접합된 복합 섬유 및 합성 섬유의 쌍방의 섬유는, 도 1(d)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웨브 시트 (3) 의 두께 방향으로 나열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의 계속 사용에 의한 주저앉음의 크기 (이하, 주저앉음도라고 한다) 는, 사용시에 있어서의 주저앉음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2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이하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의 주저앉음도는, 식 :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의 주저앉음도 (%)〕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의 주저앉음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의 초기 두께 (㎜)〕]× 100
에 기초하여 구했을 때의 값이다. 또,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의 주저앉음 (㎜) 은, 이하의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기초하여 측정했을 때의 값이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지는 본 발명의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는, 복합 섬유가 수지 A 및 당해 수지 A 보다 용융 온도가 높은 수지 B 를 함유하고, 구성 섬유끼리의 접촉부가 복합 섬유의 수지 A 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는 점에서 구성 섬유간에 공극이 존재하고, 당해 공극이 고정화되어 있으므로, 종래의 표면적이 큰 폴리우레탄 폼 및 고무 폼과 대비하여,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의 내부에 받아들여진 화장료를 구성 섬유의 섬유간 공극으로부터 효율적으로 외부로 꺼낼 수 있기 때문에, 사용 후에 있어서의 화장료의 잔존율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는, 삼차원 입체 구조를 갖는 점에서, 종래의 폴리우레탄 폼과 대비하여, 탄성체의 내부에 받아들여진 화장료가 사용 초기부터 취해지는 양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는, 내광성이 우수하여, 태양광선 등에 의한 황변을 억제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당해 내광성은, 복합 섬유로서 수지 A 가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이고, 수지 B 가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인 복합 섬유이며, 구성 섬유 중에 다른 섬유가 함유되어 있는 경우에는, 당해 다른 섬유로서 폴리에스테르의 단섬유 (필라멘트) 가 이용되고 있을 때 효과적으로 발현된다.
또, 본 발명의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는, 화장료에 함유되어 있는 자외선 흡수제의 유지성 (비흡착성) 도 우수하고, 또한 반복된 사용에 의한 주저앉음이 작기 때문에 내구성도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는, 당해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에 화장료를 유지시킴으로써, 화장료 함유 탄성체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고, 당해 화장료 함유 탄성체는 각종 화장품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함유 탄성체는, 상기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가 이용되고 있으므로, 상기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에 기초하는 효과를 발현한다. 또, 본 발명의 화장품은, 상기 화장료 함유 탄성체가 이용되고 있으므로, 상기 화장료 함유 탄성체에 기초하는 효과를 발현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함유 탄성체에 사용할 수 있는 화장료로는, 예를 들어 파운데이션, 화장 하지, 아이쉐도우, 아이라이너, 마스카라, 볼연지, 분, 눈썹 연필, 클렌징 크림, 클렌징 밀크, 클렌징 리퀴드, 세안 크림, 세안 폼, 맛사지 크림, 콜드 크림, 배니싱 크림, 스킨 크림, 스킨 젤, 유액, 화장수, 미용액, 각종 로션, 자외선차단료, 보디 크림, 보디 오일, 헤어 샴푸, 헤어 린스, 헤어 컨디셔너, 헤어 트리트먼트, 헤어 리퀴드, 헤어 토닉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화장료 중에서는, 본 발명의 화장료 함유 탄성체는, 액상 화장료에 대하여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는 점에서, 액상 화장료가 바람직하다.
화장료의 점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25 ℃ 에 있어서의 화장료의 점도는 바람직하게는 500 ∼ 50000 mPa·s,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 ∼ 30000 mPa·s,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 ∼ 20000 mPa·s,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 ∼ 10000 mPa·s 이다. 또한, 화장료의 점도는, BM 형 점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했을 때의 값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함유 탄성체에 사용되는 화장료의 양은, 화장품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므로 일률적으로는 결정할 수 없지만, 예를 들어 화장품이 리퀴드 파운데이션인 경우, 직경이 5 ㎝ 이고, 두께가 1.5 ㎝ 인 화장료 함유 탄성체에, 25 ℃에 있어서의 점도가 6000 mPa·s 인 리퀴드 파운데이션을 10 ∼ 20 g 정도의 양으로 사용할 수 있다.
화장료 유지체는, 본 발명의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를 함유한다. 화장료 유지체는, 상기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를 함유하는 점에서, 상기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에 기초하는 효과를 발현한다.
화장료 유지체는, 본 발명의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만을 함유하는 것이어도 되고,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 이외의 탄성체, 섬유, 수지, 필름 등을 함유하는 것이어도 된다.
화장료 유지체는, 적층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된다. 화장료 유지체가 적층 구조를 갖는 경우, 화장료 유지체의 내부에 받아들여진 화장료를 효율적으로 외부로 꺼낼 수 있는 화장료 유지체를 얻는 관점에서, 화장료 유지체의 평면 방향의 층 중 적어도 표면층이 본 발명의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장료 유지체는, 필요에 따라 원하는 크기 및 형상이 되도록 재단한 후에 사용할 수 있다. 화장료 유지체의 크기 및 형상은, 당해 화장료 유지체의 용도에 따라 상이하므로 일률적으로는 결정할 수 없다. 따라서, 화장료 유지체의 크기 및 형상은, 당해 화장료 유지체의 용도에 따라 적절히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장료 유지체의 일례로서, 예를 들어 평면 형상이 직경 3 ∼ 15 ㎝ 정도의 원형이며, 두께가 0.5 ∼ 5 ㎝ 정도인 원주상의 화장료 유지체 등을 들 수 있다. 당해 화장료 유지체는, 예를 들어 파운데이션 등의 액상 화장료를 유지하기 위한 화장료 유지체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화장료 유지체의 밀도는, 당해 화장료 유지체의 용도 등에 따라 상이하기 때문에 일률적으로는 결정할 수 없지만, 통상 바람직하게는 6 ∼ 50 ㎏/㎥ 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6 ∼ 30 ㎏/㎥ 정도이다.
화장료 유지체의 아스카 (F) 경도는, 당해 화장료 유지체의 용도 등에 따라 상이하기 때문에 일률적으로는 결정할 수 없지만, 통상 30 ∼ 6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화장료 유지체의 아스카 (F) 경도는, 상기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의 아스카 (F) 경도와 동일한 방법에 기초하여 측정했을 때의 값이다.
화장료 유지체의 주저앉음도는, 사용시에 있어서의 주저앉음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2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이하이다. 또한, 화장료 유지체의 주저앉음도는, 상기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의 주저앉음도와 동일한 방법에 기초하여 구했을 때의 값이다.
화장료 유지체는, 당해 화장료 유지체에 화장료를 유지시킴으로써, 화장료 함유 유지체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고, 당해 화장료 함유 유지체는 각종 화장품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화장료 함유 유지체는, 상기 화장료 유지체가 이용되고 있으므로, 상기 화장료 유지체에 기초하는 효과를 발현한다. 또, 상기 화장품은, 상기 화장료 함유 유지체가 이용되고 있으므로, 상기 화장료 함유 유지체에 기초하는 효과를 발현한다.
화장료 함유 유지체에 사용할 수 있는 화장료로는, 상기 화장료 함유 탄성체에 사용할 수 있는 화장료와 동일한 것을 예시할 수 있다. 또, 화장료의 점도 및 화장료 함유 유지체에 사용되는 화장료의 양은, 상기와 동일한 점도 및 그 양을 예시할 수 있다.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심초형 복합 섬유〔심 성분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초 성분 : 열가소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도 : 6 데니어〕와 폴리에스테르 섬유 (수지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도 : 3 데니어) 를 40 : 60 의 질량비로 각 섬유가 병행이 되도록 혼방한 웨브를 가압한 상태로 초 성분을 가열 용융시킴으로써,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를 제작하였다. 이에 절삭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직경 5 ㎝, 두께 1.4 ㎝ 의 샘플 A (밀도 : 13.4 ㎏/㎥) 를 얻었다.
상기에서 얻어진 샘플 A 를 도 1(d) 에 나타내는 화살표 C 방향으로 연신시켰을 때, 제조시에 웨브 (1) 를 적층시킨 것에서 기인하는 줄무늬가 관찰되었지만, 당해 화살표 C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연신시켜도 줄무늬가 관찰되지 않았다.
다음으로, 상기에서 얻어진 샘플 A 의 평면 및 측면을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도 2 에 나타낸다. 도 2 에 있어서, 도 2(a) 는 샘플 A 의 평면 방향의 단면에 있어서의 광학 현미경 사진이고, 도 2(b) 는 샘플 A 의 두께 방향의 단면에 있어서의 현미경 사진이다. 또한, 각 사진의 확대 배율은, 각 사진의 하부에 나타나 있고, 그 1 눈금은 25 ㎛ 이다.
도 2 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섬유 밀도는, 샘플 A 의 평면보다 측면쪽이 높은 것, 및 구성 섬유끼리의 접촉부에서 괴상 (아메바상) 의 융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심초형 복합 섬유〔심 성분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초 성분 : 열가소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도 : 6 데니어〕와 폴리에스테르 섬유 (수지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도 : 3 데니어) 를 70 : 30 의 질량비로 각 섬유가 병행이 되도록 혼방한 웨브를 가압한 상태로 초 성분을 가열 용융시킴으로써,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를 제작하고, 이에 절삭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직경 5 ㎝, 두께 1.5 ㎝ 의 샘플 B (밀도 : 12.9 ㎏/㎥) 를 얻었다.
상기에서 얻어진 샘플 B 를 도 1(d) 에 나타내는 화살표 C 방향으로 연신시켰을 때, 제조시에 웨브 (1) 를 적층시킨 것에서 기인하는 줄무늬가 관찰되었지만, 당해 화살표 C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연신시켜도 줄무늬가 관찰되지 않았다. 또,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구성 섬유끼리의 접촉부에서 괴상 (아메바상) 의 융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3
심초형 복합 섬유〔심 성분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초 성분 : 열가소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도 : 6 데니어〕와 폴리에스테르 섬유 (수지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도 : 3 데니어) 를 50 : 50 의 질량비로 각 섬유가 병행이 되도록 혼방한 웨브를 가압한 상태로 초 성분을 가열 용융시킴으로써,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를 제작하고, 이에 절삭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직경 5 ㎝, 두께 1.6 ㎝ 의 샘플 C (밀도 : 17.1 ㎏/㎥) 를 얻었다.
상기에서 얻어진 샘플 C 를 도 1(d) 에 나타내는 화살표 C 방향으로 연신시켰을 때, 제조시에 웨브 (1) 를 적층시킨 것에서 기인하는 줄무늬가 관찰되었지만, 당해 화살표 C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연신시켜도 줄무늬가 관찰되지 않았다. 또,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구성 섬유끼리의 접촉부에서 괴상 (아메바상) 의 융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4
심초형 복합 섬유〔심 성분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초 성분 : 열가소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도 : 6 데니어〕와 폴리에스테르 섬유 (수지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도 : 3 데니어) 를 70 : 30 의 질량비로 각 섬유가 병행이 되도록 혼방한 웨브를 가압한 상태로 초 성분을 가열 용융시킴으로써,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를 제작하고, 이에 절삭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직경 5 ㎝, 두께 1.5 ㎝ 의 샘플 D (밀도 : 14.0 ㎏/㎥) 를 얻었다.
상기에서 얻어진 샘플 D 를 도 1(d) 에 나타내는 화살표 C 방향으로 연신시켰을 때, 제조시에 웨브 (1) 를 적층시킨 것에서 기인하는 줄무늬가 관찰되었지만, 당해 화살표 C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연신시켜도 줄무늬가 관찰되지 않았다. 또,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구성 섬유끼리의 접촉부에서 괴상 (아메바상) 의 융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5
심초형 복합 섬유〔심 성분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초 성분 : 열가소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도 : 6 데니어〕와 폴리에스테르 섬유 (수지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도 : 3 데니어) 를 40 : 60 의 질량비로 각 섬유가 병행이 되도록 혼방한 웨브를 가압한 상태로 초 성분을 가열 용융시킴으로써,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를 제작하고, 이에 절삭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직경 5 ㎝, 두께 1.6 ㎝ 의 샘플 E (밀도 : 14.2 ㎏/㎥) 를 얻었다.
상기에서 얻어진 샘플 E 를 도 1(d) 에 나타내는 화살표 C 방향으로 연신시켰을 때, 제조시에 웨브 (1) 를 적층시킨 것에서 기인하는 줄무늬가 관찰되었지만, 당해 화살표 C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연신시켜도 줄무늬가 관찰되지 않았다. 또,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구성 섬유끼리의 접촉부에서 괴상 (아메바상) 의 융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6
심초형 복합 섬유〔심 성분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초 성분 : 열가소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도 : 6 데니어〕와 폴리에스테르 섬유 (수지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도 : 3 데니어) 를 50 : 50 의 질량비로 각 섬유가 병행이 되도록 혼방한 웨브를 가압한 상태로 초 성분을 가열 용융시킴으로써,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를 제작하고, 이에 절삭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직경 6 ㎝, 두께 1.1 ㎝ 의 샘플 F (밀도 : 16.4 ㎏/㎥) 를 얻었다.
상기에서 얻어진 샘플 F 를 도 1(d) 에 나타내는 화살표 C 방향으로 연신시켰을 때, 제조시에 웨브 (1) 를 적층시킨 것에서 기인하는 줄무늬가 관찰되었지만, 당해 화살표 C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연신시켜도 줄무늬가 관찰되지 않았다. 또,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구성 섬유끼리의 접촉부에서 괴상 (아메바상) 의 융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7
심초형 복합 섬유〔심 성분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초 성분 : 열가소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도 : 6 데니어〕와 폴리에스테르 섬유 (수지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도 : 3 데니어) 를 70 : 30 의 질량비로 각 섬유가 병행이 되도록 혼방한 웨브를 가압한 상태로 초 성분을 가열 용융시킴으로써,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를 제작하고, 이에 절삭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직경 6 ㎝, 두께 1.5 ㎝ 의 샘플 G (밀도 : 17.1 ㎏/㎥) 를 얻었다.
상기에서 얻어진 샘플 G 를 도 1(d) 에 나타내는 화살표 C 방향으로 연신시켰을 때, 제조시에 웨브 (1) 를 적층시킨 것에서 기인하는 줄무늬가 관찰되었지만, 당해 화살표 C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연신시켜도 줄무늬가 관찰되지 않았다. 또,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구성 섬유끼리의 접촉부에서 괴상 (아메바상) 의 융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8
심초형 복합 섬유〔심 성분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초 성분 : 열가소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도 : 6 데니어〕와 폴리에스테르 섬유 (수지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도 : 3 데니어) 를 20 : 80 의 질량비로 각 섬유가 병행이 되도록 혼방한 웨브를 가압한 상태로 초 성분을 가열 용융시킴으로써,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를 제작하고, 이에 절삭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직경 5 ㎝, 두께 1.4 ㎝ 의 샘플 H (밀도 : 18.9 ㎏/㎥) 를 얻었다. 또한, 샘플 H 의 아스카 (F) 경도는, 39 였다.
상기에서 얻어진 샘플 H 를 도 1(d) 에 나타내는 화살표 C 방향으로 연신시켰을 때, 제조시에 웨브 (1) 를 적층시킨 것에서 기인하는 줄무늬가 관찰되었지만, 당해 화살표 C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연신시켜도 줄무늬가 관찰되지 않았다. 또,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구성 섬유끼리의 접촉부에서 괴상 (아메바상) 의 융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9
심초형 복합 섬유〔심 성분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초 성분 : 열가소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도 : 6 데니어〕와 폴리에스테르 섬유 (수지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도 : 3 데니어) 를 40 : 60 의 질량비로 각 섬유가 병행이 되도록 혼방한 웨브를 가압한 상태로 초 성분을 가열 용융시킴으로써,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를 제작하고, 이에 절삭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직경 5 ㎝, 두께 1.4 ㎝ 의 샘플 I (밀도 : 20.5 ㎏/㎥) 를 얻었다. 또한, 샘플 I 의 아스카 (F) 경도는, 51.4 였다.
상기에서 얻어진 샘플 I 를 도 1(d) 에 나타내는 화살표 C 방향으로 연신시켰을 때, 제조시에 웨브 (1) 를 적층시킨 것에서 기인하는 줄무늬가 관찰되었지만, 당해 화살표 C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연신시켜도 줄무늬가 관찰되지 않았다. 또,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구성 섬유끼리의 접촉부에서 괴상 (아메바상) 의 융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10
심초형 복합 섬유〔심 성분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초 성분 : 열가소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도 : 6 데니어〕와 폴리에스테르 섬유 (수지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도 : 3 데니어) 를 50 : 50 의 질량비로 각 섬유가 병행이 되도록 혼방한 웨브를 가압한 상태로 초 성분을 가열 용융시킴으로써,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를 제작하고, 이에 절삭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직경 5 ㎝, 두께 1.4 ㎝ 의 샘플 J (밀도 : 19.9 ㎏/㎥) 를 얻었다. 또한, 샘플 J 의 아스카 (F) 경도는, 54.2 였다.
상기에서 얻어진 샘플 J 를 도 1(d) 에 나타내는 화살표 C 방향으로 연신시켰을 때, 제조시에 웨브 (1) 를 적층시킨 것에서 기인하는 줄무늬가 관찰되었지만, 당해 화살표 C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연신시켜도 줄무늬가 관찰되지 않았다. 또,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구성 섬유끼리의 접촉부에서 괴상 (아메바상) 의 융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11
심초형 복합 섬유〔심 성분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초 성분 : 열가소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도 : 6 데니어〕와 폴리에스테르 섬유 (수지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도 : 3 데니어) 를 70 : 30 의 질량비로 각 섬유가 병행이 되도록 혼방한 웨브를 가압한 상태로 초 성분을 가열 용융시킴으로써,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를 제작하고, 이에 절삭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직경 5 ㎝, 두께 1.4 ㎝ 의 샘플 K (밀도 : 18.9 ㎏/㎥) 를 얻었다. 또한, 샘플 K 의 아스카 (F) 경도는, 51.4 였다.
상기에서 얻어진 샘플 K 를 도 1(d) 에 나타내는 화살표 C 방향으로 연신시켰을 때, 제조시에 웨브 (1) 를 적층시킨 것에서 기인하는 줄무늬가 관찰되었지만, 당해 화살표 C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연신시켜도 줄무늬가 관찰되지 않았다. 또,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구성 섬유끼리의 접촉부에서 괴상 (아메바상) 의 융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12
심초형 복합 섬유〔심 성분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초 성분 : 열가소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도 : 6 데니어〕만으로 이루어지는 웨브를 가압한 상태로 초 성분을 가열 용융시킴으로써,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를 제작하고, 이에 절삭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를 제작하고, 이에 절삭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직경 5 ㎝, 두께 1.4 ㎝ 의 샘플 L (밀도 : 15.4 ㎏/㎥) 을 얻었다. 또한, 샘플 L 의 아스카 (F) 경도는, 43.2 였다.
상기에서 얻어진 샘플 L 을 도 1(d) 에 나타내는 화살표 C 방향으로 연신시켰을 때, 제조시에 웨브 (1) 를 적층시킨 것에서 기인하는 줄무늬가 관찰되었지만, 당해 화살표 C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연신시켜도 줄무늬가 관찰되지 않았다. 또,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구성 섬유끼리의 접촉부에서 괴상 (아메바상) 의 융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비교예 1
폴리에테르계 폴리우레탄 폼으로 이루어지고, 직경 5 ㎝, 두께 1.5 ㎝ 의 샘플 R1 을 준비하였다.
비교예 2
니트릴 고무 폼으로 이루어지고, 직경 5 ㎝, 두께 1.5 ㎝ 의 샘플 R2 를 준비하였다.
실험예 1
샘플 A, 샘플 B, 샘플 C, 샘플 R1 및 샘플 R2 의 내광성 시험을 이하의 조건에 기초하여 실시하였다.
〔내광성 시험의 조건〕
·시험 기기 : 가스 시험기 (주) 제조, 상품명 : 자외선 오토 페이드 미터 U48AU
·시험 방법 : 상기 시험 기기를 이용하여, 각 샘플에 자외선을 7 시간 조사시켜, 자외선 조사 전후의 샘플의 표면 상태를 조사하였다.
각 샘플의 내광성 시험의 결과를 각각 차례로 도 3(a) ∼ 도 3(e) 에 나타낸다. 각 도면에 있어서, 지면 (紙面) 을 향해 왼쪽 절반이 자외선 조사 전의 샘플의 표면 상태이고, 오른쪽 절반이 자외선 조사 후의 샘플의 표면 상태이다.
도 3 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샘플 A ∼ C 에서는, 도 3(a) ∼ 도 3(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 상태에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지만, 샘플 R1 에서는, 도 3(d)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외선 조사에 의해 현저한 황변이 관찰되고 (지면을 향해 오른쪽 절반의 농색 부분), 샘플 R2 에서는, 도 3(e)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외선 조사에 의해 약간 황변이 관찰되었다 (지면을 향해 오른쪽 절반의 농색 부분).
따라서, 각 실시예에 의하면, 샘플 A ∼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광성이 우수한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가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샘플 A ∼ E 및 샘플 G ∼ L 로부터 각각 덤벨형 시험편 (시험부의 길이 : 30 ㎜, 시험부의 폭 : 10 ㎜, 시험부의 두께 : 15 ㎜) 을 잘라내어, 척간 거리가 30 ㎜ 가 되도록 설정하고, 인장 시험기〔(주) 시마즈 제작소 제조, 상품명 : 오토 그래프 AGS-100G〕의 척에 파지 (把持) 시켜, 인장 속도 100 ㎜/min 로 인장 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또한, 시험편에는, 시험편의 인장 방향으로 섬유에 의한 세로줄무늬가 뻗어 있는 시험편을 종형 시험편으로 하고, 시험편의 인장 방향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섬유에 의한 가로줄무늬가 뻗어 있는 시험편을 횡형 시험편으로 하고, 이들 2 종류의 시험편을 사용하였다.
Figure pct00001
표 1 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각 실시예에서 얻어진 샘플은, 모두 양호한 인장 강도를 갖고, 인장 강도를 폭넓게 조정할 수 있는 점에서, 화장품의 종류에 따라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의 인장 강도를 적절히 조정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시험편의 인장 방향으로 섬유에 의한 세로줄무늬가 뻗어 있는 시험편은, 시험편의 인장 방향으로 섬유에 의한 가로줄무늬가 뻗어 있는 시험편과 대비하여, 인장 강도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샘플 E, 샘플 F, 샘플 G, 샘플 R1 및 샘플 R2 를 이용하여, 각 샘플의 초기 질량을 칭량하였다.
각 샘플의 평면에 미네랄 워터리 파운데이션〔(주) 시세이도 제조, 점도 : 2000 mPa·s〕15 g 을 균일하게 도포한 후, 1 시간 정치 (靜置) 시킴으로써, 당해 파운데이션을 각 샘플에 함침시켰다.
다음으로, 패널리스트에 의해, 화장용 퍼프로 각 샘플의 표면을 가볍게 가압한 후, 화장용 퍼프에 부착된 파운데이션을 닦아내는 조작을 1 사이클로 하여 반복 실시하고, 화장용 퍼프에 파운데이션이 거의 묻어나지 않게 될 때까지의 사이클수를 카운트하여, 당해 사이클수를 화장료의 지속성의 지표로 하였다. 또, 화장용 퍼프에 파운데이션이 거의 묻어나지 않게 되었을 때의 각 샘플의 최종 질량을 칭량하였다.
각 샘플의 초기 질량 및 각 샘플의 최종 질량에 기초하여, 화장료 (파운데이션) 의 잔존율을 식 :
〔화장료의 잔존율〕
={〔(샘플의 초기 질량) ― (샘플의 최종 질량)〕÷〔화장료의 사용량(15 g)〕}×100
에 기초하여 구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표 2 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샘플 E ∼ G 는, 종래의 샘플 R1 및 R2 와 대비하여, 화장료의 지속성이 우수하고, 또한 샘플의 사용 후에 있어서의 화장료의 잔존율이 현저하게 낮은 점에서, 화장료를 끝까지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또, 샘플 H, J 및 K 의 화장료의 지속성 (사이클) 을 실험예 3 과 동일하게 하여 평가한 결과, 샘플 H 는 180 회, 샘플 J 는 192 회 및 샘플 K 는 178 회였다. 이들 결과 및 표 2 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샘플 H, J 및 K 의 화장료의 지속성은, 종래의 샘플 R1 및 R2 의 화장료의 지속성과 대비하여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유동 파라핀 900 g 과 자외선 흡수제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틸헥실) 100 g 을 혼합함으로써, 시험액을 조제하였다.
시험액 30 g 을 샬레에 넣은 것 (블랭크), 시험액 30 g 을 샘플 A 에 함침시킨 것, 시험액 30 g 을 샘플 R1 에 함침시킨 것, 및 시험액 30 g 을 샘플 R2 에 함침시킨 것을 준비하여, 실온 25 ℃, 상대습도 60 % 의 항온 항습실 내에 4 일간 정치시킨 후, 블랭크 및 각 샘플에 있어서의 시험액에 함유되어 있는 자외선 흡수제를 이하의 측정 조건으로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정량하였다. 또한, 자외선 흡수제의 양은, 미리 작성해 둔 검량선에 기초하여 구하였다.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의 측정 조건〕
·측정 장치 : 워터즈사 제조, 상품명 : ACQUITY UPLCH-Class
·검출기 : 워터즈사 제조, 상품명 : TUV (검출 파장 : 310 ㎚)
·칼럼 : 워터즈사 제조, 상품명 : ACQUITY UPLC-BEH C-8 (내경 : 2.1 ㎜, 길이 : 10 ㎝)
·측정 온도 : 50 ℃
·이동상 : 물 50 질량% 과 아세토니트릴 50 질량% 의 혼합 용매
·유량 : 0.5 mL/min
Figure pct00003
표 3 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얻어진 샘플 A 는, 종래의 샘플 R1 및 샘플 R2 와 대비하여, 자외선 흡수제의 잔존율이 높은 점에서, 자외선 흡수제를 장기간에 걸쳐 유지하는 성질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는, 자외선 흡수제의 유지성이 우수한 점에서, 예를 들어 파운데이션 등의 화장품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5
샘플 A ∼ G 및 샘플 R1 의 평면에 미네랄 워터리 파운데이션〔(주) 시세이도 제조〕15 g 을 균일하게 도포한 후, 1 시간 정치시킴으로써, 당해 파운데이션을 각 샘플에 함침시켰다.
다음으로, 패널리스트에 의해, 화장용 퍼프로 각 샘플의 표면을 가볍게 가압한 후, 화장용 퍼프에 부착된 파운데이션을 닦아내는 조작 1 일당 2 회 실시하는 조작을 1 사이클로 하여 30 일간 반복 실시하였다. 그 결과, 샘플 A ∼ G 의 주저앉음은, 샘플 R1 의 주저앉음과 대비하여 손색이 없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 30 일간 반복하여 사용한 후의 샘플 A ∼ G 의 표면을 육안으로 관찰했는데, 어느 샘플에서도 그 표면에 보풀일기가 관찰되지 않았다.
실험예 6
실험예 3 에서 화장료의 지속성 (사이클) 을 평가한 후의 샘플 K 의 최종 두께를 측정하였다. 샘플 K 의 초기 두께 (1.4 ㎝) 및 상기 샘플 K 의 최종 두께에 기초하여, 샘플 K 의 주저앉음 (㎜) 을 식 :
〔샘플 K 의 주저앉음 (㎜)〕
=〔샘플 K 의 초기 두께 (㎜)〕-〔샘플 K 의 최종 두께 (㎜)〕
에 기초하여 구한 결과, 1.1 ㎜ 였다.
상기에서 구한 샘플 K 의 주저앉음 (㎜) 으로부터, 샘플 K 의 주저앉음도를 구한 결과, 7.8 % 였다. 이 결과로부터, 샘플 K 는, 계속 사용에 의한 주저앉음이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는, 계속 사용에 의한 주저앉음이 작고, 또한 화장용 퍼프에 의해 반복하여 미끄럼 마찰된 경우에도 보풀이 일지 않는 양호한 표면 상태를 유지하는 점에서, 예를 들어 파운데이션 등의 화장품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 웨브
2 웨브 시트
3 재단된 웨브 시트

Claims (3)

  1. 화장료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로서,
    구성 섬유로서 복합 섬유를 함유하고, 당해 복합 섬유가 수지 A 및 당해 수지 A 보다 용융 온도가 높은 수지 B 를 함유하고, 구성 섬유끼리의 접촉부가 복합 섬유의 수지 A 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
  2. 제 1 항에 기재된 화장료 유지용 탄성체에 화장료를 함유하는 화장료 함유 탄성체.
  3. 제 2 항에 기재된 화장료 함유 탄성체를 갖는 화장품.
KR1020187002937A 2015-08-21 2016-08-16 화장품 KR1021532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63434 2015-08-21
JP2015163434 2015-08-21
PCT/JP2016/073885 WO2017033797A1 (ja) 2015-08-21 2016-08-16 化粧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4883A true KR20180044883A (ko) 2018-05-03
KR102153202B1 KR102153202B1 (ko) 2020-09-07

Family

ID=58100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2937A KR102153202B1 (ko) 2015-08-21 2016-08-16 화장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413037B2 (ko)
EP (1) EP3338592B1 (ko)
JP (1) JP6614679B2 (ko)
KR (1) KR102153202B1 (ko)
CN (1) CN107847035B (ko)
HK (1) HK1252947A1 (ko)
WO (1) WO20170337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532B1 (ko) * 2015-01-15 2015-06-11 (주)씨아이티 화장품용 함침폼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JP7098274B2 (ja) * 2016-03-23 2022-07-11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化粧料保持体及びそれが収納された化粧料容器
CN109475215B (zh) * 2016-07-07 2021-11-23 株式会社黛怡茜 化妆品
KR101906804B1 (ko) * 2017-05-04 2018-10-11 코스맥스 주식회사 액상 화장료 함침용 3차원 직물 함침재를 구비하는 화장품
JP7234218B2 (ja) * 2017-05-26 2023-03-07 エスティー ローダー インターナショナ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捲縮繊維を含む化粧品基材
JP2019004919A (ja) * 2017-06-20 2019-01-17 株式会社トキワ 液状化粧品
CN210841936U (zh) * 2017-07-20 2020-06-26 韩国科玛株式会社 化妆料组合物浸渍用材料和化妆品
CN112469308A (zh) * 2018-06-15 2021-03-09 株式会社黛怡茜 化妆料浸渗用载体
FR3082708B1 (fr) * 2018-06-21 2021-12-03 Lvmh Rech Support absorbant deformable pour ensemble de conditionnement et/ou d'application de produit cosmetique
WO2020204207A1 (ja) * 2019-04-04 2020-10-08 花王株式会社 毛髪用化粧品
JP7254277B2 (ja) * 2019-10-22 2023-04-10 株式会社タイキ 化粧品及び液体化粧料用のパッド並びに液体化粧料含浸体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06778A (ja) * 2007-12-14 2011-03-03 Esファイバービジョンズ株式会社 低温加工性を有する複合繊維、これを用いた不織布及び成形体
JP5465357B2 (ja) 2011-03-24 2014-04-09 株式会社アモーレパシフィック 化粧料組成物が含浸されたポリエーテル系ウレタンフォームを含む化粧品
JP2015513987A (ja) * 2012-04-13 2015-05-18 株式会社アモーレパシフィックAmorepacific Corporation スクリーンネットを含む化粧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3223A (ja) * 1996-10-15 1998-05-06 Toray Ind Inc 化粧綿
JP4549056B2 (ja) * 2003-12-19 2010-09-22 ダイワボウ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化粧料含浸用基材及びこれを用いた顔面被覆化粧料シート
JP4791175B2 (ja) * 2005-12-26 2011-10-12 帝人ファイバー株式会社 高弾性繊維球状体からなる成型品
WO2008041384A1 (fr) * 2006-10-03 2008-04-10 Daiwabo Co., Ltd. Fibre composite de crêpage et masse fibreuse comprenant cette dernière
KR20090108696A (ko) * 2007-02-09 2009-10-16 코니카 미놀타 옵토 인코포레이티드 구동장치
JP5961972B2 (ja) * 2011-10-12 2016-08-03 Jnc株式会社 伸縮性嵩高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4022988A1 (en) * 2012-08-08 2014-02-13 Daiwabo Holdings Co., Ltd. Nonwoven, sheet for absorbent article from the same, and absorbent article using the same
JP6285737B2 (ja) * 2014-02-06 2018-02-28 ダイワボウ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ウェットシート用不織布、ウェットワイピングシート、および液体含浸皮膚被覆シー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06778A (ja) * 2007-12-14 2011-03-03 Esファイバービジョンズ株式会社 低温加工性を有する複合繊維、これを用いた不織布及び成形体
JP5465357B2 (ja) 2011-03-24 2014-04-09 株式会社アモーレパシフィック 化粧料組成物が含浸されたポリエーテル系ウレタンフォームを含む化粧品
JP2015513987A (ja) * 2012-04-13 2015-05-18 株式会社アモーレパシフィックAmorepacific Corporation スクリーンネットを含む化粧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235344A1 (en) 2018-08-23
WO2017033797A1 (ja) 2017-03-02
EP3338592A4 (en) 2019-04-17
EP3338592B1 (en) 2021-10-06
CN107847035A (zh) 2018-03-27
HK1252947A1 (zh) 2019-06-06
JPWO2017033797A1 (ja) 2018-06-07
KR102153202B1 (ko) 2020-09-07
US10413037B2 (en) 2019-09-17
EP3338592A1 (en) 2018-06-27
JP6614679B2 (ja) 2019-12-04
CN107847035B (zh) 2021-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44883A (ko) 화장품
US5183708A (en) Cushion structure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20080080144A (ko) 고탄성 섬유 구상체로 이루어지는 성형품
JP2014224335A (ja) 熱寸法安定性に優れた網状構造体
CN106120161B (zh) 一种轻量化高弹性能的立体网状结构
CN109068833A (zh) 用于面膜片的非织造片材
KR102593673B1 (ko) 화장료 함침용 담체
JP7141573B2 (ja) 化粧品
JP5418936B2 (ja) 顕在捲縮性複合繊維及びこれを用いた繊維集合物
WO2016175293A9 (ja) 網状構造体
WO2021039127A1 (ja) 化粧料含浸用担体
KR20200092137A (ko) 화장용 패드
JP3344514B2 (ja) 多成分網状構造体及びその製法
JP6428868B2 (ja) 網状構造体の製造方法
KR20170038291A (ko)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부직포층을 갖는 폼 및 상기 폼을 포함하는 화장품
JPH0696809B2 (ja) 熱融着性複合繊維
JPH10158981A (ja) 耐ヘタリ性の改善された硬綿構造体
JP2005068579A (ja) 熱接着性複合繊維及び繊維構造体
JPH10110312A (ja) 耐有機溶剤特性が改善されたパッド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