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3673B1 - 화장료 함침용 담체 - Google Patents

화장료 함침용 담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3673B1
KR102593673B1 KR1020207034414A KR20207034414A KR102593673B1 KR 102593673 B1 KR102593673 B1 KR 102593673B1 KR 1020207034414 A KR1020207034414 A KR 1020207034414A KR 20207034414 A KR20207034414 A KR 20207034414A KR 102593673 B1 KR102593673 B1 KR 102593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arrier
viscosity
impregnating
cosmetic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4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2687A (ko
Inventor
쇼코 이치이
유키코 도이
도시히코 오히라
고지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타이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타이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타이키
Publication of KR20210002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6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3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3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41Composite fibres, e.g. sheath-core, sea-island or side-by-side; Mixed fibres
    • D04H1/5412Composite fibres, e.g. sheath-core, sea-island or side-by-side; Mixed fibres sheath-co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08Tissues; Wipes;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34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41Composite fibres, e.g. sheath-core, sea-island or side-by-side; Mixed fibres
    • D04H1/5418Mixed fibres, e.g. at least two chemically different fibres or fibre ble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36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ntaining a cosmetic substance, e.g. impregnated with liquid or containing a soluble solid substance
    • A45D2200/1045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ntaining a cosmetic substance, e.g. impregnated with liquid or containing a soluble solid substance with one or more internal reservoirs, e.g. rupturable microcapsu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7Application Devices; Containers; Packaging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41Composite fibres, e.g. sheath-core, sea-island or side-by-side; Mixed fibres
    • D04H1/5414Composite fibres, e.g. sheath-core, sea-island or side-by-side; Mixed fibres side-by-side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41Composite fibres, e.g. sheath-core, sea-island or side-by-side; Mixed fibres
    • D04H1/5416Composite fibres, e.g. sheath-core, sea-island or side-by-side; Mixed fibres sea-island

Abstract

화장료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화장료 함침용 담체로서, 표면에서 이면에 이르는 관통공을 갖는 화장료 함침용 담체, 파운데이션 등의 화장료를 화장료 함침용 담체에 함침시켜 이루어지고, 화장료를 피부 등에 도포할 때에 사용되는 퍼프 등으로서 사용되는 화장료 함침체로서, 당해 화장료 함침용 담체로서 표면에서 이면에 이르는 관통공을 갖는 화장료 함침용 담체가 사용되고 있는 화장료 함침체, 및 당해 화장료 함침체를 함유하는 화장품.

Description

화장료 함침용 담체
본 발명은, 화장료 함침용 담체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화장료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화장료 함침용 담체, 당해 화장료 함침용 담체에 화장료를 함유하는 화장료 함침체, 및 당해 화장료 함침체를 갖는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함침용 담체는, 예를 들어, 파운데이션 등의 화장료를 함침시킨 화장료 함침체를 비롯하여, 화장료를 피부 등에 도포할 때에 사용되는 퍼프 등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파운데이션 등의 액상 화장료는, 컴팩트 등의 화장품 용기 내에 수용되어 있다. 화장품 용기는, 용기 본체 및 덮개체를 갖고, 용기 본체 내에 액상 화장료를 유지하기 위한 화장료 함침체가 수납되어 있다. 화장료 함침체에는, 종래, 폴리에틸렌 폼, 폴리우레탄 폼, 고무 폼 등의 연질 스펀지가 사용되고 있지만, 최근에는 안정적인 화장료의 유지성을 갖는 화장료 유지용 담체로서, 폴리에테르계 우레탄 폼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그러나, 폴리에테르계 폴리우레탄 폼은, 그 표면에 존재하는 액상 화장료를 퍼프 등에 용이하게 부착시킬 수 있지만, 기포 구조를 갖는 점에서, 액상 화장료가 기포 내에서 도입되기 때문에, 퍼프 등에 의해 용이하게 외부로 취출할 수 없다. 이러한 점에서, 폴리에테르계 폴리우레탄 폼의 내부에는, 사용되지 않는 액상 화장료가 다량으로 잔존한다는 결점이 있다. 또, 폴리우레탄 폼은, 섬유가 아니라, 우레탄 결합을 갖는 폼인 점에서, 내광성이 떨어져, 태양광선 등에 의해 황변되기 쉽기 때문에, 상품적 가치의 저하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또한, 폴리우레탄 폼에서는, 액상 화장료의 점도 등에 따라서는 액상 화장료를 충전시키기 곤란한 경우가 있다.
최근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화장료를 화장료 함침용 담체에 용이하게 다량으로 충전시킬 수 있음과 함께, 당해 화장료가 충전되어 있는 화장료 함침체로부터 당해 화장료를 계속해서 거의 균일하게 취출할 수 있는 화장료 함침용 담체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일본 특허공보 제5465357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화장료를 용이하게 다량으로 충전시킬 수 있음과 함께, 화장료 함침체로부터 화장료를 계속해서 거의 균일하게 취출할 수 있는 화장료 함침용 담체, 당해 화장료 함침용 담체에 화장료를 함유하는 화장료 함침체, 및 당해 화장료 함침체를 갖는 화장품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1) 화장료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화장료 함침용 담체로서, 당해 화장료 함침용 담체의 표면에서 이면에 이르는 관통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함침용 담체,
(2) 화장료가 고점도를 갖는 화장료인 상기 (1) 에 기재된 화장료 함침용 담체,
(3) 관통공의 공경 (孔徑) 이 0.5 ∼ 5 ㎜ 인 상기 (2) 에 기재된 화장료 함침용 담체,
(4) 화장료 함침용 담체의 표면의 면적에서 차지하는 전체 관통공의 면적의 비율이 1 ∼ 30 % 인 상기 (2) 또는 (3) 에 기재된 화장료 함침용 담체,
(5) 화장료가 저점도를 갖는 화장료인 상기 (1) 에 기재된 화장료 함침용 담체,
(6) 관통공의 공경이 0.1 ∼ 0.6 ㎜ 인 상기 (5) 에 기재된 화장료 함침용 담체,
(7) 화장료 함침용 담체의 표면의 면적에서 차지하는 전체 관통공의 면적의 비율이 0.1 ∼ 15 % 인 상기 (5) 또는 (6) 에 기재된 화장료 함침용 담체,
(8) 화장료 함침용 담체가 복합 섬유로 구성된 삼차원 입체 구조를 갖는 상기 (1) ∼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장료 함침용 담체,
(9) 화장료 함침용 담체의 구성 섬유로서 복합 섬유를 함유하고, 당해 복합 섬유가 수지 X 및 당해 수지 X 보다 용융 온도가 높은 수지 Y 를 함유하고, 구성 섬유끼리의 접촉부가 복합 섬유의 수지 X 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는 상기 (1) ∼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장료 함침용 담체,
(10) 조밀한 섬유상 표면층과 성긴 섬유상 기재를 갖고, 당해 조밀한 섬유상 표면층과 당해 성긴 섬유상 기재가 일체화되어 있는 상기 (1) ∼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장료 함침용 담체,
(11) 화장료 함침용 담체가 그 표면 상에 의장을 갖고, 당해 의장이 상기 관통공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기 (1) ∼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장료 함침용 담체,
(12) 상기 (1) ∼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장료 함침용 담체에 화장료를 함유하는 화장료 함침체, 및
(13) 상기 (12) 에 기재된 화장료 함침체를 갖는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함침용 담체는, 화장료를 용이하게 다량으로 충전시킬 수 있음과 함께, 화장료가 충전되어 있는 화장료 함침체로부터 당해 화장료를 계속해서 거의 균일하게 취출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함침체는, 상기 화장료 함침용 담체에 화장료가 함유되어 있으므로, 당해 화장료 함침체로부터 화장료를 계속해서 거의 균일하게 취출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의 화장품은, 상기 화장료 함침체를 가지므로, 당해 화장료 함침체로부터 화장료를 계속해서 거의 균일하게 취출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발휘한다.
도 1 의 (a) ∼ (h) 는, 각각 순서대로, 실시예 1 ∼ 6, 실시예 8 및 비교예 1 에서 얻어진 고점도 화장료 함침체로부터 고점도 화장료가 취해지는 상태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 의 (a) ∼ (g) 는, 각각 순서대로, 실시예 9 ∼ 14 및 비교예 2 에서 얻어진 고점도 화장료 함침체로부터 고점도 화장료가 취해지는 상태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 의 (a) ∼ (f) 는, 각각 순서대로, 실시예 16 ∼ 21 에서 얻어진 고점도 화장료 함침체로부터 고점도 화장료가 취해지는 상태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 의 (a) ∼ (e) 는, 각각 순서대로, 실시예 23 ∼ 26 및 비교예 8 에서 얻어진 고점도 화장료 함침체로부터 고점도 화장료가 취해지는 상태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 의 (a) ∼ (d) 는, 각각 순서대로, 실시예 28 ∼ 30 및 비교예 9 에서 얻어진 고점도 화장료 함침체로부터 고점도 화장료가 취해지는 상태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 의 (a) ∼ (c) 는, 각각 순서대로, 실시예 32 ∼ 34 에서 얻어진 고점도 화장료 함침체로부터 고점도 화장료가 취해지는 상태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 의 (a) ∼ (e) 는, 각각 고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의 표면 의장의 일 실시양태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8 의 (a) ∼ (c) 는, 각각 저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의 표면 의장의 일 실시양태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함침용 담체는, 상기한 바와 같이, 화장료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화장료 함침용 담체로서, 당해 화장료 함침용 담체의 표면에서 이면에 이르는 관통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장료 함침용 담체는, 화장료를 함침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담체를 의미한다. 또, 본 발명의 화장료 함침체는, 화장료 함침용 담체에 화장료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장료 함침체는, 상기 화장료 함침용 담체에 화장료가 함침되어 있는 함침체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함침용 담체는, 고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 또는 저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로서 사용할 수 있다. 고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는, 고점도 화장료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화장료 함침용 담체를 의미한다. 또, 저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는, 저점도 화장료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화장료 함침용 담체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화장료 함침용 담체는, 고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 및 저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의 쌍방을 포함하는 개념의 것이다.
화장료는, 25 ℃ 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바람직하게는 500 ∼ 100000 mPa·s,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 ∼ 80000 mPa·s 의 점도를 갖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고점도 화장료는, 25 ℃ 에 있어서의 점도가 20000 mPa·s 이상의 점도를 갖는 화장료를 의미한다. 고점도 화장료의 점도의 하한값은, 고점도 화장료를 고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에 용이하게 다량으로 충전시킬 수 있음과 함께, 고점도 화장료 함침체로부터 고점도 화장료를 계속해서 거의 균일하게 취출할 수 있는 것을 효과적으로 발현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20000 mPa·s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00 mPa·s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35000 mPa·s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0000 mPa·s 이상,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50000 mPa·s 이상이다. 고점도 화장료의 점도의 상한값은, 고점도 화장료를 고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에 용이하게 다량으로 충전시킴과 함께, 고점도 화장료 함침체로부터 고점도 화장료를 계속해서 거의 균일하게 취출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0000 mPa·s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0000 mPa·s 이하이다. 따라서, 25 ℃ 에 있어서의 고점도 화장료의 점도는, 바람직하게는 20000 ∼ 100000 mPa·s,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00 ∼ 80000 mPa·s,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35000 ∼ 80000 mPa·s, 더욱 바람직하게는 40000 ∼ 80000 mPa·s,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50000 ∼ 80000 mPa·s 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저점도 화장료는, 상기 화장료 중, 25 ℃ 에 있어서의 점도가 20000 mPa·s 미만의 점도를 갖는 화장료를 의미한다. 저점도 화장료의 점도의 하한값은, 저점도 화장료를 저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에 용이하게 다량으로 충전시킬 수 있음과 함께, 저점도 화장료 함침체로부터 저점도 화장료를 계속해서 거의 균일하게 취출할 수 있는 것을 효과적으로 발현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00 mPa·s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00 mPa·s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700 mPa·s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00 mPa·s 이상,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900 mPa·s 이상이다. 저점도 화장료의 점도의 상한값은, 저점도 화장료를 저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에 용이하게 다량으로 충전시킴과 함께, 저점도 화장료 함침체로부터 저점도 화장료를 계속해서 거의 균일하게 취출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20000 mPa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19900 mPa·s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9000 mPa·s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8000 mPa·s 이하,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17000 mPa·s 이하이다. 따라서, 25 ℃ 에 있어서의 저점도 화장료의 점도는, 바람직하게는 500 ∼ 20000 mPa·s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600 ∼ 19900 mPa·s,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700 ∼ 19000 mPa·s, 더욱 바람직하게는 800 ∼ 18000 mPa·s,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900 ∼ 17000 mPa·s 이다.
또한, 고점도 화장료 및 저점도 화장료의 점도는, BM 형 점도계를 사용하여 25 ℃ 의 온도에서 측정하였을 때의 값이다.
화장료 함침용 담체에는, 예를 들어, 복합 섬유, 고무 라텍스 탄성 발포체, 폴리우레탄 폼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것들 중에서는, 화장료를 화장료 함침용 담체에 용이하게 다량으로 충전시킴과 함께, 화장료 함침체로부터 화장료를 계속해서 거의 균일하게 취출하는 관점에서, 복합 섬유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 함침용 담체는, 화장료를 용이하게 다량으로 충전시킬 수 있음과 함께, 화장료가 충전되어 있는 화장료 함침체로부터 당해 화장료를 계속해서 거의 균일하게 취출할 수 있는 관점에서, 복합 섬유로 구성된 삼차원 입체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삼차원 입체 구조를 갖는 화장료 함침용 담체의 형상으로는, 예를 들어, 원기둥, 각기둥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합 섬유로는, 예를 들어, 심초 (core/sheath) 형 복합 섬유, 사이드·바이·사이드형 복합 섬유, 해도 (海島) 형 복합 섬유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복합 섬유 중에서는, 구성 섬유끼리의 접촉부를 효율적으로 일체화시키는 관점에서, 심초형 복합 섬유가 바람직하고, 가열에 의해 권축을 발생시키는 경우에는, 사이드·바이·사이드형 복합 섬유가 바람직하다.
복합 섬유 중에서는, 화장료를 화장료 함침용 담체에 용이하게 충전시킬 수 있음과 함께, 화장료 함침체로부터 화장료를 계속해서 거의 균일하게 취출할 수 있도록 하는 관점에서, 수지 X 및 당해 수지 X 보다 용융 온도가 높은 수지 Y 를 함유하고, 구성 섬유끼리의 접촉부가 복합 섬유의 수지 X 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는 복합 섬유가 바람직하다.
복합 섬유를 구성하는 수지 X 의 용융 온도는, 수지 Y 의 용융 온도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 X 의 용융 온도는, 복합 섬유의 주저앉음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수지 Y 의 용융 온도보다 20 ℃ 이상 낮은 것이 바람직하고, 30 ℃ 이상 낮은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수지 X 의 용융 온도는, 복합 섬유의 주저앉음을 방지하고, 구성 섬유끼리의 접촉부를 수지 X 에 의해 강고하게 일체화시키는 관점에서, 130 ∼ 22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지 X 의 용융 온도 및 수지 Y 의 용융 온도, 그리고 후술하는 합성 섬유의 용융 온도를 명확하게 측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당해 용융 온도는, 연화 온도로 치환된다.
수지 X 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폴리에스테르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헥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테트라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 1,4-디메틸시클로헥산테레프탈레이트, 폴리하이드로락톤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폴리에스테르는, 각각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이들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중에서는, 내광성이 우수한 점에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헥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것들 중에서는, 화장료 함침용 담체의 내광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가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엘라스토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폴리에스테르를 하드 세그먼트로 하고, 폴리(알킬렌옥사이드)글리콜을 소프트 세그먼트로 하는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 코폴리머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 코폴리머는, 예를 들어, 디카르복실산과 디올과 폴리(알킬렌옥사이드)글리콜을 반응시킴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상기 디카르복실산으로는, 예를 들어, o-프탈산, m-프탈산, 테레프탈산, 나프탈렌-2,6-디카르복실산, 나프탈렌-2,7-디카르복실산, 디페닐-4,4'-디카르복실산, 디페녹시에탄디카르복실산, 3-술포이소프탈산나트륨 등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1,4-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등의 지환족 디카르복실산, 숙신산, 옥살산, 아디프산, 세바크산, 도데칸디오산, 다이머산 등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디카르복실산은, 각각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상기 디올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 트리메틸렌글리콜, 테트라메틸렌글리콜, 펜타메틸렌글리콜, 헥사메틸렌글리콜, 1,4-부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데카메틸렌글리콜 등의 지방족 디올, 1,1-시클로헥산디메탄올,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 등의 지환족 디올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디올은, 각각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상기 폴리(알킬렌옥사이드)글리콜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1,2-프로필렌옥사이드)글리콜, 폴리(1,3-프로필렌옥사이드)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옥사이드)글리콜,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 코폴리머, 에틸렌옥사이드-테트라하이드로푸란 코폴리머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폴리(알킬렌옥사이드)글리콜은, 각각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폴리(알킬렌옥사이드)글리콜의 수평균 분자량은, 통상적으로 400 ∼ 500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의 고유 점도는, 구성 섬유끼리의 접촉부를 수지 X 에 의해 강고하게 일체화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8 ∼ 1.7, 보다 바람직하게는 0.9 ∼ 1.5 이다.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는, 예를 들어, 폴리올과 디이소시아네이트를 사슬 연장제의 존재하에서 중합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폴리올로는, 예를 들어, 디하이드록시폴리에테르, 디하이드록시폴리에스테르, 디하이드록시폴리카보네이트, 디하이드록시폴리에스테르아미드 등의 분자량이 500 ∼ 6000 정도인 폴리올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폴리올은, 각각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디이소시아네이트로는, 예를 들어,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화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이소시아네이트메틸카프로에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분자량이 500 이하인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디이소시아네이트는, 각각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사슬 연장제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 아미노알콜, 비스하이드록시에톡시벤젠, 1,4-부탄디올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사슬 연장제는, 각각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구성 섬유끼리의 접촉부를 수지 X 에 의해 강고하게 일체화시키는 관점에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하드 세그먼트로 하고, 폴리옥시부틸렌글리콜을 소프트 세그먼트로 하는 폴리에테르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하드 세그먼트에 있어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원료로서 사용되는 산 성분의 일부는, 본 발명의 목적이 저해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테레프탈산 이외의 디카르복실산, 옥시카르복실산 등의 산으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또, 폴리옥시부틸렌글리콜의 원료로서 사용되는 부틸렌글리콜의 일부는, 본 발명의 목적이 저해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른 다가 알코올과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소프트 세그먼트에 있어서, 폴리옥시부틸렌글리콜의 원료로서 사용되는 부틸렌글리콜의 일부는, 본 발명의 목적이 저해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른 다가 알코올과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수지 Y 로는, 예를 들어,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헥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테트라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 1,4-디메틸시클로헥산테레프탈레이트, 폴리하이드로락톤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는, 각각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이들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중에서는, 내광성이 우수한 점에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헥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수지 Y 의 용융 온도는, 복합 섬유의 주저앉음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수지 X 의 용융 온도보다 20 ℃ 이상 높은 것이 바람직하고, 30 ℃ 이상 높은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수지 Y 의 용융 온도는, 복합 섬유의 주저앉음을 방지하고, 구성 섬유끼리의 접촉부를 수지 X 에 의해 강고하게 일체화시키는 관점에서, 150 ∼ 27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160 ∼ 270 ℃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복합 섬유는, 내광성을 향상시키고, 복합 섬유의 주저앉음을 방지하고, 구성 섬유끼리의 접촉부를 수지 X 에 의해 강고하게 일체화시키는 관점에서, 수지 X 가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이고, 수지 Y 가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복합 섬유의 주저앉음을 방지하고, 구성 섬유끼리의 접촉부를 수지 X 에 의해 강고하게 일체화시키는 관점에서, 복합 섬유의 표면적의 30 ∼ 70 % 가 수지 X 로 구성되고, 복합 섬유의 표면적의 70 ∼ 30 % 가 수지 Y 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합 섬유는, 수지 X 및 당해 수지 X 보다 용융 온도가 높은 수지 Y 를 함유하지만, 본 발명의 목적이 저해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지 X 및 수지 Y 이외의 수지가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복합 섬유는, 수지 X 및 수지 Y 를 함유한다. 복합 섬유가 심초형 복합 섬유 또는 사이드·바이·사이드형 복합 섬유인 경우, 통상적으로 수지 X 및 수지 Y 의 2 종류의 수지가 사용된다. 복합 섬유가 해도형 복합 섬유인 경우, 통상적으로 수지 X 및 수지 Y 를 포함하는 2 ∼ 4 종류의 수지, 바람직하게는 2 종류 또는 3 종류의 수지, 보다 바람직하게는 수지 X 및 수지 Y 의 2 종류의 수지가 사용된다.
심초형 복합 섬유에 있어서는, 구성 섬유끼리의 접촉부를 수지 X 에 의해 강고하게 일체화시키는 관점에서, 심 성분에는 수지 Y 가 사용되고, 초 성분에는 수지 X 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심초형 복합 섬유에 있어서, 심 성분이 복합 섬유의 표면에 노출되어 있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심 성분의 섬유 직경 방향의 중심과 초 성분의 섬유 직경 방향의 중심이 일치하고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심초형 복합 섬유는, 동심원상으로 심초 구조가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편심상으로 심초 구조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편심상으로 심초 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심초 구조를 갖는 복합 섬유는, 가열에 의해 권축을 발생시키는 점에서, 권축이 요구되는 용도에 적합하다.
심초형 복합 섬유의 단면 형상으로는, 예를 들어, 원형, 타원, 장원, 삼각형, 사각형 등의 다각형상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형상 중에서는, 원형이 바람직하다.
심초형 복합 섬유의 심 성분과 초 성분의 용량비 (심 성분 : 초 성분) 는, 단섬유 강도를 향상시킴과 함께 구성 섬유끼리의 접촉부를 수지 X 에 의해 강고하게 일체화시키는 관점에서, 30 : 70 ∼ 70 : 3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복합 섬유가 심초형 복합 섬유인 경우, 당해 심초형 복합 섬유는, 예를 들어, 심 성분 및 초 성분을 각각 구성하는 수지 Y 및 수지 X 를 가열 용융시켜, 심초형 복합 섬유 제조용 복합 방사 장치에 도입하고, 심초형 복합 노즐로부터 압출하고, 방사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수지 X 및 수지 Y 를 가열 용융시킬 때에는, 예를 들어, 단축 압출기, 2 축 압출기, 니더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심초형 복합 노즐로서, 예를 들어, 지그재그 배열 또는 환상 배열로 구금 세공이 배열되어 있는 심초형 복합 노즐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방사된 심초형 복합 섬유에 예를 들어 냉풍을 분사하거나 함으로써, 당해 심초형 복합 섬유를 냉각시켜, 고화시킬 수 있다.
복합 섬유의 섬도는, 화장료 함침체로부터 화장료를 효율적으로 외부로 취출할 수 있고,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화장료 함침용 담체를 얻는 관점에서, 0.5 ∼ 15 데니어인 것이 바람직하고, 1 ∼ 10 데니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섬유의 섬도는, 섬유 길이 9000 m 당의 섬유 (필라멘트) 의 질량 (g) 을 의미한다.
복합 섬유의 섬유 길이는, 화장료 함침체로부터 화장료를 효율적으로 외부로 취출할 수 있고,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화장료 함침용 담체를 얻는 관점에서, 20 ∼ 150 ㎜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복합 섬유에는, 화장료 함침용 담체에 사용되는 화장료 등의 방부의 관점에서, 필요에 따라, 예를 들어, 방균 가공, 항균 가공 등의 가공이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이들 가공에는 다양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러한 방법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화장료 함침용 담체는, 복합 섬유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복합 섬유 및 당해 복합 섬유 이외의 그 밖의 섬유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그 밖의 섬유로는, 예를 들어, 면, 마, 견 (絹) 등의 천연 섬유, 레이온 등의 재생 섬유, 합성 섬유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다른 섬유 중에서는, 화장료 함침체로부터 화장료를 효율적으로 외부로 취출할 수 있고,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화장료 함침용 담체를 얻는 관점에서, 합성 섬유가 바람직하다.
합성 섬유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등의 폴리에스테르 섬유, 폴리염화비닐계 섬유, 폴리염화비닐리덴 섬유, 폴리프로필렌 섬유, 폴리비닐알코올 섬유, 나일론 6 등으로 대표되는 폴리아미드 섬유, 폴리이미드 섬유, 폴리아미드이미드 섬유, 아세트산셀룰로오스 섬유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섬유는, 각각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이들 합성 섬유 중에서는, 화장료 함침체로부터 화장료를 효율적으로 외부로 취출할 수 있고, 내광성이 우수한 화장료 함침용 담체를 얻는 관점에서,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폴리아미드 섬유가 바람직하고, 폴리에스테르 섬유가 보다 바람직하다.
합성 섬유에는, 화장료 함침용 담체에 사용되는 화장료 등의 방부의 관점에서, 필요에 따라, 예를 들어, 방균 가공, 항균 가공 등의 가공이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이들 가공에는 다양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러한 방법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합성 섬유의 용융 온도는, 복합 섬유의 주저앉음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수지 X 의 용융 온도보다 20 ℃ 이상 높은 것이 바람직하고, 30 ℃ 이상 높은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합성 섬유의 용융 온도는, 복합 섬유의 주저앉음을 방지하고, 복합 섬유와 합성 섬유의 교차부에서 복합 섬유와 합성 섬유를 효율적으로 열융착시키는 관점에서, 150 ∼ 27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160 ∼ 270 ℃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합성 섬유의 섬도는, 화장료 함침체로부터 화장료를 효율적으로 외부로 취출할 수 있는 화장료 함침용 담체를 얻는 관점에서, 0.5 ∼ 15 데니어인 것이 바람직하고, 1 ∼ 10 데니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합성 섬유의 섬유 길이는, 화장료 함침체로부터 화장료를 효율적으로 외부로 취출할 수 있고,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화장료 함침용 담체를 얻는 관점에서, 20 ∼ 150 ㎜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화장료 함침체로부터 화장료를 효율적으로 외부로 취출할 수 있고, 내광성이 우수한 화장료 함침용 담체를 얻는 관점에서, 복합 섬유와 그 밖의 섬유로서 합성 섬유가 병용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복합 섬유와 합성 섬유로서 폴리에스테르 섬유 또는 폴리아미드 섬유가 병용되고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복합 섬유와 폴리에스테르 섬유가 병용되고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복합 섬유와 합성 섬유의 질량비 (복합 섬유/합성 섬유) 는, 복합 섬유와 합성 섬유의 교차부에서 복합 섬유와 합성 섬유를 효율적으로 열융착시킴과 함께, 화장료 함침체로부터 화장료를 효율적으로 외부로 취출할 수 있는 화장료 함침용 담체를 얻는 관점에서, 10/90 ∼ 100/0 인 것이 바람직하고, 30/70 ∼ 80/20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화장료 함침용 담체는,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이 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 있어서는, 복합 섬유와 합성 섬유를 병용한 경우의 예가 예시되어 있지만, 복합 섬유만을 사용해도 되고, 복합 섬유와 합성 섬유 이외의 다른 섬유를 병용해도 된다.
먼저, 복합 섬유 및 합성 섬유를 각각 해섬 (解纖) 하고, 양자를 소정의 비율이 되도록 칭량하고, 양자를 균일한 조성이 되도록 혼섬함으로써 웨브를 형성시킨다.
형성된 웨브의 두께는, 당해 웨브가 사용되는 화장료 함침용 담체의 크기 등에 따라 적절히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예를 들어, 웨브를 2 장의 평판 사이에 넣고, 필요에 따라, 당해 웨브를 소정의 두께가 되도록 가압하고, 그 상태에서 웨브에 함유되어 있는 복합 섬유를 구성하고 있는 수지 X 의 용융 온도 이상의 온도이고 또한 복합 섬유를 구성하고 있는 수지 Y 및 합성 섬유의 용융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웨브를 가열하여, 수지 X 를 용융시키고, 복합 섬유 및 합성 섬유를 함유하는 섬유끼리의 접촉 부를 용융된 수지 X 에 의해 융착 일체화시킴으로써, 웨브 시트를 얻을 수 있다. 그 때, 필요에 따라, 상기에서 얻어진 웨브 시트가 소정의 밀도를 갖도록 성형형 내에 넣고, 상기와 동일하게 하여 웨브 시트를 가열하여, 수지 X 를 용융시킴으로써, 구성 섬유끼리의 교차부를 용융된 수지 X 로 융착시켜, 당해 교차부에서 수지 X 로 이루어지는 괴상 (아메바상) 의 융착부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복합 섬유 및 합성 섬유를 혼합할 때, 복합 섬유 및 합성 섬유의 쌍방의 섬유를 섬유 길이 방향으로 병행하도록 나열하여 적층시킴으로써 웨브 시트를 제조한 경우에는, 당해 웨브 시트를 두께 방향으로 잡아늘였을 때, 복합 섬유 및 합성 섬유의 쌍방의 섬유가 섬유 길이 방향으로 병행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줄무늬가 나타난다. 당해 줄무늬는, 웨브 시트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임을 나타내는 지표가 된다.
다음으로, 상기에서 얻어진 웨브 시트를 원하는 크기 및 형상이 되도록 재단함으로써, 화장료 함침용 담체를 얻을 수 있다.
화장료 함침용 담체의 크기 및 형상은, 당해 화장료 함침용 담체의 용도에 따라 상이하므로 일률적으로는 결정할 수 없는 점에서, 당해 화장료 함침용 담체의 용도에 따라 적절히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장료 함침용 담체의 일례로서, 예를 들어, 평면 형상이 직경 3 ∼ 15 ㎝ 정도의 원형이고, 두께가 0.5 ∼ 5 ㎝ 정도인 원기둥상의 화장료 함침용 담체 등을 들 수 있다. 화장료 함침용 담체는, 예를 들어, 파운데이션 등의 화장료를 유지하기 위한 화장료 함침용 담체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화장료 함침용 담체의 밀도는, 당해 화장료 함침용 담체의 용도 등에 따라 상이한 점에서 일률적으로는 결정할 수 없지만, 바람직하게는 6 ∼ 50 ㎏/㎥, 보다 바람직하게는 6 ∼ 30 ㎏/㎥ 이다.
또한, 화장료 함침용 담체에는, 사용시에 있어서의 주저앉음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복합 섬유 및 합성 섬유의 쌍방의 섬유가 섬유 길이 방향으로 병행하도록 적층된 웨브 시트가 사용되고, 화장료 함침용 담체의 두께 방향으로 각 섬유가 섬유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장료 함침용 담체는, 복합 섬유가 수지 X 및 당해 수지 X 보다 용융 온도가 높은 수지 Y 를 함유하고, 구성 섬유끼리의 접촉부가 복합 섬유의 수지 X 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는 경우, 섬유 간에 공극이 존재하고, 당해 공극이 고정화되어 있으므로, 고무 라텍스 탄성 발포체 및 폴리우레탄 폼과 대비하여, 화장료 함침체로부터 화장료를 섬유 간의 공극으로부터 효율적으로 외부로 취출할 수 있는 점에서, 사용 후에 있어서의 화장료의 잔존율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화장료 함침용 담체를 구성하는 구성 섬유로서 수지 X 가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이고, 수지 Y 가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인 복합 섬유가 함유되고, 당해 복합 섬유 이외의 다른 섬유로서 폴리에스테르의 단섬유 (필라멘트) 가 사용되고 있을 때, 내광성이 효과적으로 발현된다.
또, 화장료 함침용 담체는, 복합 섬유가 수지 X 및 당해 수지 X 보다 용융 온도가 높은 수지 Y 를 함유하고, 구성 섬유끼리의 접촉부가 복합 섬유의 수지 X 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는 경우, 화장료에 함유되어 있는 자외선 흡수제의 유지성 (비흡착성) 이 우수하고, 또한 반복 사용에 의한 주저앉음이 적은 점에서, 내구성도 우수하다.
화장료 함침용 담체는, 사용 개시시에 화장료가 대량으로 취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조밀한 섬유상 표면층과 성긴 섬유상 기재를 갖고, 당해 조밀한 섬유상 표면층과 당해 성긴 섬유상 기재가 일체화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밀한 섬유상 표면층과 성긴 섬유상 기재가 일체화되어 있는 화장료 함침용 담체는, 예를 들어, 웨브 시트를 가압하고, 압축된 상태에서 그 가압면을 가열하여, 웨브 시트의 표면에 조밀한 섬유층을 형성시킨 후, 냉각시키고, 제압 (除壓) 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조밀한 섬유상 표면층의 밀도는, 가열 온도, 가압 시간 및 당해 웨브 시트를 가압할 때의 가압력을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조밀한 섬유상 표면층과 성긴 섬유상 기재의 일체화는, 성긴 섬유상 기재의 표면에 조밀한 섬유상 표면층을 직접 형성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웨브 시트를 가압하고, 압축된 상태에서 그 가압면을 가열할 때의 가열 온도는, 치밀한 표면 구조를 형성시키는 관점에서, 15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 시간 및 가압력은, 웨브 시트가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웨브 시트를 가압하고, 압축된 상태에서 그 가압면을 가열할 때, 예를 들어, 웨브 시트를 구성하고 있는 수지의 용융 온도 이상의 온도에서 수 분간 가열함으로써, 조밀한 섬유상 표면층을 형성시킬 수 있다.
조밀한 섬유상 표면층의 두께는, 화장료 함침체의 내부에 도입된 화장료가 사용 초기에 한 번에 대량으로 취해지는 것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50 ㎛ ∼ 5 ㎜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성긴 섬유상 기재의 두께는, 화장료 함침용 담체의 내부에 도입되는 화장료의 유지량을 증가시키는 관점에서, 500 ㎛ ∼ 10 ㎝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5 ∼ 20 ㎜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화장료 함침용 담체에서는, 당해 화장료 함침용 담체의 내부에 도입된 화장료가 사용 초기에 한 번에 대량으로 취해지는 것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조밀한 섬유상 표면층의 밀도가 45 ∼ 60 ㎏/㎥ 정도이고, 성긴 섬유상 기재의 밀도가 13 ∼ 20 ㎏/㎥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조밀한 섬유상 표면층의 밀도를 성긴 섬유상 기재의 밀도로 나눈 값 (이하,「압축비」라고 한다) 은, 화장료 함침용 담체의 내부에 도입된 화장료가 사용 초기에 한 번에 대량으로 취해지는 것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2 ∼ 4 인 것이 바람직하고, 2.5 ∼ 3.5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화장료 함침용 담체의 조밀한 섬유상 표면층의 통기 저항은, 화장료 함침용 담체의 내부에 도입된 화장료가 사용 초기에 한 번에 대량으로 취해지는 것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0.0125 ∼ 0.0275 ㎪·s/m 인 것이 바람직하고, 0.0145 ∼ 0.0255 ㎪·s/m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 함침용 담체는, 당해 화장료 함침용 담체에 화장료를 유지시킴으로써, 화장료 함침체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함침체는, 각종 화장품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함침용 담체는, 그 표면에서 이면에 이르는 복수의 관통공을 갖는다. 본 발명의 화장료 함침용 담체는, 복수의 관통공을 갖는 점에서, 화장료를 당해 화장료 함침용 담체에 용이하게 다량으로 충전시킬 수 있음과 함께, 화장료가 당해 화장료 함침용 담체에 충전되어 있는 화장료 함침체로부터 당해 화장료를 계속해서 거의 균일하게 취출할 수 있다.
고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의 관통공의 공경 (직경) 은, 고점도 화장료를 고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에 용이하게 다량으로 충전시킴과 함께, 고점도 화장료 함침체로부터 고점도 화장료를 계속해서 거의 균일하게 취출하는 관점 및 관통공으로 형성된 의장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5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이상이고, 고점도 화장료를 고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에 용이하게 다량으로 충전시킴과 함께, 고점도 화장료 함침체로부터 고점도 화장료를 계속해서 거의 균일하게 취출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 이하이다. 따라서, 고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의 관통공의 공경은, 바람직하게는 0.5 ∼ 5 ㎜,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 3 ㎜,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2.5 ㎜ 이다.
저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의 관통공의 공경 (직경) 은, 저점도 화장료를 저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에 용이하게 다량으로 충전시킴과 함께, 저점도 화장료 함침체로부터 저점도 화장료를 계속해서 거의 균일하게 취출하는 관점 및 관통공으로 형성된 의장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1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 이상이고, 저점도 화장료를 저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에 용이하게 다량으로 충전시킴과 함께, 저점도 화장료 함침체로부터 저점도 화장료를 계속해서 거의 균일하게 취출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6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 이하이다. 따라서, 저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의 관통공의 공경은, 바람직하게는 0.1 ∼ 0.6 ㎜,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 0.5 ㎜ 이다.
관통공의 개구부의 형상은, 원형인 것이 일반적이지만, 본 발명은, 원형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타원형이어도 되고, 삼각형이어도 되고, 사각형, 육각형, 성형 (星形) 등의 다각형이어도 된다. 복수의 관통공은, 동일한 개구부의 형상을 갖는 것이어도 되고, 상이한 개구부의 형상을 갖는 것이어도 된다. 관통공의 형상이 원형 이외의 형상인 경우, 관통공의 공경은, 당해 관통공의 형상의 가장 긴 대각선의 길이를 의미한다.
복수의 관통공은, 동일한 공경을 갖는 것이어도 되고, 상이한 공경을 갖는 것이어도 된다.
고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에 있어서, 당해 고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의 표면의 면적에서 차지하는 전체 관통공의 면적의 비율은, 고점도 화장료를 고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에 용이하게 다량으로 충전시킴과 함께, 고점도 화장료 함침체로부터 고점도 화장료를 계속해서 거의 균일하게 취출하는 관점 및 관통공으로 형성된 의장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 ∼ 30 %, 보다 바람직하게는 3 ∼ 25 %, 더욱 바람직하게는 5 ∼ 20 % 이다. 또한, 고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의 표면은,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면이다.
예를 들어, 고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의 표면의 직경이 5 ㎝ 인 경우, 당해 고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의 표면의 면적은 약 19.6 ㎠ 이다. 당해 고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의 표면의 면적에서 차지하는 전체 관통공의 면적의 비율이 20 % 일 때, 전체 관통공이 차지하는 면적은 약 3.9 ㎠ 이다. 당해 고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의 관통공의 공경이 2 ㎜ 일 때, 관통공 1 개의 면적은 약 0.03 ㎠ 이다. 따라서, 당해 고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의 표면에 있어서의 관통공의 수는, 약 130 (3.9/0.03) 개이다.
저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에 있어서, 당해 저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의 표면의 면적에서 차지하는 전체 관통공의 면적의 비율은, 저점도 화장료를 저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에 용이하게 다량으로 충전시킴과 함께, 저점도 화장료 함침체로부터 저점도 화장료를 계속해서 거의 균일하게 취출하는 관점 및 관통공으로 형성된 의장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1 ∼ 15 %,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 13 %,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 10 % 이다. 또한, 저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의 표면은,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면이다.
예를 들어, 저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의 표면의 직경이 5 ㎝ 인 경우, 당해 저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의 표면의 면적은 약 19.6 ㎠ 이다. 당해 저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의 표면의 면적에서 차지하는 전체 관통공의 면적의 비율이 5 % 일 때, 전체 관통공이 차지하는 면적은 약 0.98 ㎠ 이다. 관통공의 공경이 0.5 ㎜ 일 때, 관통공 1 개의 면적은 약 0.0020 ㎠ 이다. 따라서, 저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의 표면에 있어서의 관통공의 수는, 약 490 (0.98/0.0020) 개이다.
화장료 함침용 담체의 표면에 형성되는 관통공의 수는, 화장료 함침용 담체의 표면의 면적 등에 따라 상이한 점에서 일률적으로는 결정할 수 없다. 당해 관통공의 수는, 통상적으로 화장료 함침용 담체의 표면의 면적에서 차지하는 전체 관통공의 면적의 비율 및 관통공의 공경이 상기한 범위 내가 되도록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장료 함침용 담체의 표면에 있어서의 복수의 관통공의 배열은, 임의이다. 당해 관통공은, 화장료를 화장료 함침용 담체에 용이하게 다량으로 충전시킴과 함께, 화장료 함침체로부터 화장료를 계속해서 거의 균일하게 취출하는 관점에서, 화장료 함침용 담체의 중심부로부터 복수의 동심원을 그리도록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격자를 그리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당해 관통공은, 화장료 함침용 담체의 표면 상에서 문자, 로고, 도형, 모양 등의 의장이 그려지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고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의 표면 의장의 일 실시양태를 도 7 에 나타낸다. 도 7 의 (a) ∼ (e) 는, 각각 고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의 표면 의장의 일 실시양태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지만, 본 발명은, 당해 실시양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저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의 표면 의장의 일 실시양태를 도 8 에 나타낸다. 도 8 의 (a) ∼ (c) 는, 각각 저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의 표면 의장의 일 실시양태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지만, 본 발명은, 당해 실시양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 및 8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고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 (1) 및 저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 (3) 는, 각각 원하는 의장을 형성하는 관통공 (2) 또는 관통공 (4) 을 갖는다.
화장료 함침용 담체의 표면에 관통공을 형성시키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레이저광선을 화장료 함침용 담체의 표면에 조사함으로써 화장료 함침용 담체의 표면에서 이면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을 형성시키는 방법, 톰슨형을 사용하여 화장료 함침용 담체의 표면에 타발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화장료 함침용 담체의 표면에서 이면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을 형성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과 같이 하여 형성되는 본 발명의 화장료 함침용 담체는, 화장료를 용이하게 다량으로 충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함침체는, 본 발명의 화장료 함침용 담체에 화장료를 함유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함침체는, 본 발명의 화장료 함침용 담체가 사용되고 있으므로, 화장료를 계속해서 거의 균일하게 취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함침체는, 고점도 화장료 함침체 또는 저점도 화장료 함침체로서 사용할 수 있다. 고점도 화장료 함침체는, 고점도 화장료를 함유하는 화장료 함침체를 의미한다. 또, 저점도 화장료 함침체는, 저점도 화장료를 함유하는 화장료 함침체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화장료 함침체는, 고점도 화장료 함침체 및 저점도 화장료 함침체의 쌍방을 포함하는 개념의 것이다.
화장료 함침체에 사용할 수 있는 화장료로는, 예를 들어, 파운데이션, 컨실러, 하이라이트, 컨트롤 컬러, 메이크업 베이스, 아이섀도, 아이라이너, 마스카라, 치크 컬러, 페이스 파우더, 아이브로 펜슬, 클렌징 크림, 클렌징 밀크, 클렌징 리퀴드, 세안 크림, 세안 폼, 마사지 크림, 콜드 크림, 배니싱 크림, 스킨 크림, 스킨 젤, 유액 (乳液), 화장수, 미용액, 각종 로션, 자외선 차단료, 보디 크림, 보디 오일, 헤어 샴푸, 헤어 린스, 헤어 컨디셔너, 헤어 트리트먼트, 헤어 리퀴드, 헤어 토닉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화장료 중에서는, 화장료 함침체로부터 화장료를 계속해서 거의 균일하게 취출하는 관점에서, 액상의 화장료가 바람직하다.
고점도 화장료 함침체에 사용되는 고점도 화장료의 양은, 고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므로 일률적으로는 결정할 수 없지만, 예를 들어, 고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가 리퀴드 파운데이션인 경우, 직경이 5 ㎝ 이고, 두께가 1.5 ㎝ 인 고점도 화장료 함침체에, 25 ℃ 에 있어서의 점도가 20000 mPa·s 인 리퀴드 파운데이션을 10 ∼ 20 g 정도의 양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저점도 화장료 함침체에 사용되는 저점도 화장료의 양은, 저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므로 일률적으로는 결정할 수 없지만, 예를 들어, 저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가 리퀴드 파운데이션인 경우, 직경이 5 ㎝ 이고, 두께가 1.5 ㎝ 인 저점도 화장료 함침체에, 25 ℃ 에 있어서의 점도가 10000 mPa·s 인 리퀴드 파운데이션을 10 ∼ 20 g 정도의 양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품은, 본 발명의 화장료 함침체를 갖는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품은, 상기 화장료 함침체를 가지므로, 당해 화장료 함침체로부터 화장료를 계속해서 거의 균일하게 취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품은, 화장료 함침체를 수납하는 수납부를 갖고, 본 발명의 화장료 함침체가 당해 수납부에 수납되어 있는 것이어도 된다. 상기 화장품으로는, 예를 들어, 화장용 컴팩트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심초형 복합 섬유〔심 성분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초 성분 : 열가소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도 : 6 데니어〕와 폴리에스테르 섬유 (수지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도 : 3 데니어) 를 70 : 30 의 질량비로 각 섬유가 병행이 되도록 혼방한 웨브를 가압한 상태에서 초 성분을 가열 용융시킴으로써, 고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를 제조하였다. 당해 고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에 절삭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직경 약 5 ㎝, 두께 약 1 ㎝ 의 삼차원 입체 구조를 갖는 원기둥상의 샘플 A (밀도 : 18.0 ㎏/㎥) 를 얻었다.
상기에서 얻어진 샘플 A 의 평면을 섬유가 병행으로 뻗어 있는 방향으로 연신시키면 섬유가 병행하여 나열되어 있는 것에 기초한 줄무늬가 관찰되었지만, 당해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연신시켜도 줄무늬가 관찰되지 않았다.
다음으로, 상기에서 얻어진 샘플 A 의 평면 및 측면을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 섬유 밀도는, 샘플 A 의 평면보다 측면의 쪽이 높은 것, 및 구성 섬유끼리의 접촉부에서 괴상 (아메바상) 의 융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제조예 2
심초형 복합 섬유〔심 성분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초 성분 : 열가소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도 : 6 데니어〕와 폴리에스테르 섬유 (수지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도 : 3 데니어) 를 70 : 30 의 질량비로 각 섬유가 병행이 되도록 혼방한 웨브를 가압한 상태에서 초 성분을 가열 용융시킴으로써, 고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를 제조하였다. 당해 고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에 절삭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직경 약 5 ㎝, 두께 약 1 ㎝ 의 삼차원 입체 구조를 갖는 원기둥상의 샘플 B (밀도 : 24.0 ㎏/㎥) 를 얻었다.
상기에서 얻어진 샘플 B 의 평면을 섬유가 병행으로 뻗어 있는 방향으로 연신시키면 섬유가 병행하여 나열되어 있는 것에 기초한 줄무늬가 관찰되었지만, 당해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연신시켜도 줄무늬가 관찰되지 않았다. 또, 제조예 1 에서 얻어진 샘플 A 와 동일하게, 구성 섬유끼리의 접촉부에서 괴상 (아메바상) 의 융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제조예 3
심초형 복합 섬유〔심 성분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초 성분 : 열가소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도 : 6 데니어〕와 폴리에스테르 섬유 (수지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도 : 3 데니어) 를 50 : 50 의 질량비로 각 섬유가 병행이 되도록 혼방한 웨브 (두께 : 16 ㎜) 를 준비하였다.
상기 웨브를 프레스 라미네이터 (열 프레스기) 에 끼우고, 당해 프레스 라미네이터의 일방 표면만을 219 ℃ 로 가열하여, 상기 웨브를 가압한 상태에서 초 성분을 72 초간 가열 용융시킴으로써 일방 표면에 두께가 1.5 ㎜ 인 치밀층을 형성시키고, 상기 웨브로 이루어지는 조밀한 섬유상 표면층과 상기 웨브로 이루어지는 성긴 섬유상 기재가 일체화된 고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를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에서 얻어진 고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에 절삭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직경 약 5 ㎝, 두께 약 1 ㎝ 의 삼차원 입체 구조를 갖는 원기둥상의 샘플 C (밀도 : 16.4 ㎏/㎥) 를 얻었다.
상기에서 얻어진 샘플 C 의 평면을 섬유가 병행으로 뻗어 있는 방향으로 연신시키면 섬유가 병행하여 나열되어 있는 것에 기초한 줄무늬가 관찰되었지만, 당해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연신시켜도 줄무늬가 관찰되지 않았다. 또, 제조예 1 에서 얻어진 샘플 A 와 동일하게, 샘플 C 에는 구성 섬유끼리의 접촉부에서 괴상 (아메바상) 의 융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1 ∼ 7
제조예 1 에서 얻어진 샘플 A 를 사용하고, 샘플 A 의 표면에서 이면에 이르는 관통공이 표 1 에 나타내는 배열을 갖도록 톰슨형으로 관통공을 형성시킴으로써, 고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를 얻었다. 상기에서 얻어진 고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의 관통공의 공경 및 표면의 면적에서 차지하는 전체 관통공의 면적의 비율 (이하,「면적 비율」이라고 한다) 을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8
제조예 1 에서 얻어진 샘플 A 를 사용하고, 샘플 A 의 표면에서 이면에 이르는 관통공으로서, 공경이 1 ㎜ 인 관통공 8 개가 중심부에 형성되고, 공경이 1.5 ㎜ 인 관통공 4 개가 공경 1 ㎜ 의 관통공의 외주에 동심원상으로 형성되고, 공경이 2 ㎜ 인 관통공 15 개가 공경 1.5 ㎜ 의 관통공의 외주에 동심원상으로 형성되도록 톰슨형으로 각 관통공을 형성시킴으로써, 고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를 얻었다. 상기에서 얻어진 고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의 관통공의 공경 및 면적 비율을 표 1 에 나타낸다.
비교예 1
제조예 1 에서 얻어진 샘플 A 를 그대로의 상태로 고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로서 사용하였다.
Figure 112020128985414-pct00001
실시예 9 ∼ 15
제조예 2 에서 얻어진 샘플 B 를 사용하고, 샘플 B 의 표면에서 이면에 이르는 관통공이 표 2 에 나타내는 배열을 갖도록 톰슨형으로 관통공을 형성시킴으로써, 고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를 얻었다. 상기에서 얻어진 고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의 관통공의 공경 및 면적 비율을 표 2 에 나타낸다.
비교예 2
제조예 2 에서 얻어진 샘플 B 를 그대로의 상태로 고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로서 사용하였다.
Figure 112020128985414-pct00002
실시예 16 ∼ 22
제조예 3 에서 얻어진 샘플 C 를 사용하고, 샘플 C 의 표면에서 이면에 이르는 관통공이 표 3 에 나타내는 배열을 갖도록 톰슨형으로 관통공을 형성시킴으로써, 고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를 얻었다. 상기에서 얻어진 고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의 관통공의 공경 및 면적 비율을 표 3 에 나타낸다.
비교예 3
제조예 3 에서 얻어진 샘플 C 를 그대로의 상태로 고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로서 사용하였다.
비교예 4
폴리우레탄 발포체〔쿠라시키 방적 (주) 제조, 품번 : 301WH〕에 절삭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직경 약 5 ㎝, 두께 약 1 ㎝ 의 샘플 D 를 얻었다. 상기에서 얻어진 샘플 D 를 고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로서 사용하였다.
비교예 5
비교예 4 에서 얻어진 샘플 D 를 사용하고, 샘플 D 의 표면에서 이면에 이르는 관통공이 표 3 에 나타내는 배열을 갖도록 톰슨형으로 관통공을 형성시킴으로써, 고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를 얻었다. 상기에서 얻어진 고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의 관통공의 공경 및 면적 비율을 표 3 에 나타낸다.
비교예 6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발포체〔(주) 타이키 제조〕에 절삭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직경 약 5 ㎝, 두께 약 1 ㎝ 의 샘플 E 를 얻었다. 상기에서 얻어진 샘플 E 를 고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로서 사용하였다.
비교예 7
비교예 6 에서 얻어진 샘플 E 를 사용하고, 샘플 E 의 표면에서 이면에 이르는 관통공이 표 3 에 나타내는 배열을 갖도록 톰슨형으로 관통공을 형성시킴으로써, 고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를 얻었다. 상기에서 얻어진 고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의 관통공의 공경 및 면적 비율을 표 3 에 나타낸다.
Figure 112020128985414-pct00003
시험예 1
실시예 1 ∼ 22 및 비교예 1 ∼ 7 에서 얻어진 고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에 고점도 화장료를 충전하였을 때의 고점도 화장료의 충전성 및 고점도 화장료 함침체로부터 고점도 화장료가 취해지는 상태 (취해지는 양의 균일성) 를 이하의 방법에 기초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1) 고점도 화장료의 충전성
고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를 이너 케이스에 넣고, 당해 고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에 고점도 화장료 (25 ℃ 에 있어서의 점도 : 20000 mPa·s) 17 g 을 수동식 크림 충전기로 충전함으로써, 고점도 화장료 함침체를 제조하였다. 그 때의 고점도 화장료의 충전성을 이하의 평가 기준에 기초하여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 : 고점도 화장료를 고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에 용이하게 충전할 수 있다.
△ : 고점도 화장료를 고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에 충전하는 데에 약간 시간이 걸린다.
× : 고점도 화장료를 고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에 충전하기 곤란하다.
(2) 취해지는 양의 균일성
상기「(1) 고점도 화장료의 충전성」에서 얻어진 고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를 제조 후 1 시간 정치 (靜置) 하였다. 상기 고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를 퍼프로 문지르고, 퍼프에 부착된 화장료를 부직포에 도포하는 조작을 1 사이클로 하여, 당해 조작을 30 회 실시할 때마다 화장료의 취해지는 양을 조사하였다.
또한, 표 4 에 기재된「화장료의 취해지는 양」의 란에는, 상기 조작을 1 ∼ 30 회, 31 ∼ 60 회, 61 ∼ 90 회 또는 91 ∼ 120 회 반복하여 실시하였을 때에 회수된 화장료의 취해지는 양 (g) 이 기재되어 있다.
Figure 112020128985414-pct00004
다음으로, 표 4 에 나타난 결과에 기초하여, 실시예 1 ∼ 6, 실시예 8 및 비교예 1 에서 얻어진 고점도 화장료 함침체로부터 고점도 화장료가 취해지는 상태의 측정 결과를 도 1 에, 실시예 9 ∼ 14 및 비교예 2 에서 얻어진 고점도 화장료 함침체로부터 고점도 화장료가 취해지는 상태의 측정 결과를 도 2 에, 실시예 16 ∼ 21 에서 얻어진 고점도 화장료 함침체로부터 고점도 화장료가 취해지는 상태의 측정 결과를 도 3 에 나타낸다.
도 1 에 기재된 (a) ∼ (h) 는, 각각 순서대로, 실시예 1 ∼ 6, 실시예 8 및 비교예 1 에서 얻어진 고점도 화장료 함침체로부터 고점도 화장료가 취해지는 상태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도 2 에 기재된 (a) ∼ (g) 는, 각각 순서대로, 실시예 9 ∼ 14 및 비교예 2 에서 얻어진 고점도 화장료 함침체로부터 고점도 화장료가 취해지는 상태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또, 도 3 에 기재된 (a) ∼ (f) 는, 각각 순서대로, 실시예 16 ∼ 21 에서 얻어진 고점도 화장료 함침체로부터 고점도 화장료가 취해지는 상태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표 4 에 나타난 결과로부터, 각 실시예에서 얻어진 고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는, 모두 고점도 화장료의 충전성의 평가가 △ 또는 ○ 인 점에서, 고점도 화장료를 용이하게 다량으로 충전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하여, 각 비교예에서 얻어진 고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는, 모두 고점도 화장료의 충전성의 평가가 × 인 점에서, 고점도 화장료를 충전하기 곤란함을 알 수 있다. 또, 폴리우레탄 발포체가 사용되고 있는 고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 (비교예 4 및 5) 및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발포체가 사용되고 있는 고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 (비교예 6 및 7) 는, 고점도 화장료의 충전성의 평가가 × 인 점에서, 이들 발포체를 고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로서 사용한 경우에는, 관통공의 유무에 상관없이, 충전성이 떨어짐을 알 수 있다.
또, 표 4 및 도 1 ∼ 3 에 나타난 결과로부터, 실시예 1 ∼ 6, 실시예 8 ∼ 14 및 실시예 16 ∼ 21 에서 얻어진 고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를 사용하여 얻어진 고점도 화장료 함침체는, 모두 고점도 화장료의 충전성의 평가가 ○ 이고, 고점도 화장료를 계속해서 거의 균일하게 취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들 실시예에서 얻어진 고점도 화장료 함침체가 사용된 화장품은, 고점도 화장료를 계속해서 거의 균일하게 취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1(f) 및 도 1(g), 도 2(c) 그리고 도 3(a) 에 의하면, 상기 조작을 91 ∼ 120 회 반복하였을 때, 화장료의 취해지는 양이 저하되어 있다. 당해 취해지는 양의 저하는, 고점도 화장료의 잔존량이 적었던 것에 기초한다.
실시예 23 ∼ 27
제조예 1 에서 얻어진 샘플 A 를 사용하고, 샘플 A 의 표면에서 이면에 이르는 관통공이 표 5 에 나타내는 배열을 갖도록 톰슨형으로 관통공을 형성시킴으로써, 고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를 얻었다. 상기에서 얻어진 고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의 관통공의 공경 및 면적 비율을 표 5 에 나타낸다.
비교예 8
제조예 1 에서 얻어진 샘플 A 를 그대로의 상태로 고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로서 사용하였다.
Figure 112020128985414-pct00005
실시예 28 ∼ 31
제조예 2 에서 얻어진 샘플 B 를 사용하고, 샘플 B 의 표면에서 이면에 이르는 관통공이 표 6 에 나타내는 배열을 갖도록 톰슨형으로 관통공을 형성시킴으로써, 고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를 얻었다. 상기에서 얻어진 고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의 관통공의 공경 및 면적 비율을 표 6 에 나타낸다.
비교예 9
제조예 2 에서 얻어진 샘플 B 를 그대로의 상태로 고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로서 사용하였다.
Figure 112020128985414-pct00006
실시예 32 ∼ 35
제조예 3 에서 얻어진 샘플 C 를 사용하고, 샘플 C 의 표면에서 이면에 이르는 관통공이 표 7 에 나타내는 배열을 갖도록 톰슨형으로 관통공을 형성시킴으로써, 고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를 얻었다. 상기에서 얻어진 고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의 관통공의 공경 및 면적 비율을 표 7 에 나타낸다.
Figure 112020128985414-pct00007
시험예 2
실시예 23 ∼ 35 및 비교예 8 ∼ 9 에서 얻어진 고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에 고점도 화장료를 충전하였을 때의 고점도 화장료의 충전성 및 고점도 화장료 함침체로부터 고점도 화장료가 취해지는 상태를 이하의 방법에 기초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8 에 나타낸다.
(1) 고점도 화장료의 충전성
고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를 이너 케이스에 넣고, 당해 고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에 고점도 화장료 (25 ℃ 에 있어서의 점도 : 50000 mPa·s) 17 g 을 수동식 크림 충전기로 충전함으로써, 고점도 화장료 함침체를 제조하였다. 그 때의 고점도 화장료의 충전성을 이하의 평가 기준에 기초하여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 : 고점도 화장료를 고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에 용이하게 충전할 수 있다.
△ : 고점도 화장료를 고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에 충전하는 데에 약간 시간이 걸린다.
× : 고점도 화장료를 고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에 충전하기 곤란하다.
(2) 고점도 화장료 함침체로부터 고점도 화장료가 취해지는 상태
상기 「(1) 고점도 화장료의 충전성」에서 얻어진 고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를 제조 후 1 시간 정치하였다. 상기 고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를 퍼프로 문지르고, 퍼프에 부착된 화장료를 부직포에 도포하는 조작을 1 사이클로 하여 당해 조작을 반복하고, 당해 조작을 30 회 실시할 때마다 화장료의 취해지는 양을 조사하였다.
또한, 표 8 에 기재된「화장료의 취해지는 양」의 란에는, 상기 조작을 1 ∼ 30 회, 31 ∼ 60 회, 61 ∼ 90 회 또는 91 ∼ 120 회 반복하여 실시하였을 때에 회수된 화장료의 취해지는 양 (g) 이 기재되어 있다.
Figure 112020128985414-pct00008
다음으로, 표 8 에 나타난 결과에 기초하여, 실시예 23 ∼ 26 및 비교예 8 에서 얻어진 고점도 화장료 함침체로부터 고점도 화장료가 취해지는 상태의 측정 결과를 도 4 에, 실시예 28 ∼ 30 및 비교예 9 에서 얻어진 고점도 화장료 함침체로부터 고점도 화장료가 취해지는 상태의 측정 결과를 도 5 에, 실시예 32 ∼ 34 에서 얻어진 고점도 화장료 함침체로부터 고점도 화장료가 취해지는 상태의 측정 결과를 도 6 에 나타낸다.
도 4 에 기재된 (a) ∼ (e) 는, 각각 순서대로, 실시예 23 ∼ 26 및 비교예 8 에서 얻어진 고점도 화장료 함침체로부터 고점도 화장료가 취해지는 상태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도 5 에 기재된 (a) ∼ (d) 는, 각각 순서대로, 실시예 28 ∼ 30 및 비교예 9 에서 얻어진 고점도 화장료 함침체로부터 고점도 화장료가 취해지는 상태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또, 도 6 에 기재된 (a) ∼ (c) 는, 각각 순서대로, 실시예 32 ∼ 34 에서 얻어진 고점도 화장료 함침체로부터 고점도 화장료가 취해지는 상태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표 8 에 나타난 결과로부터, 각 실시예에서 얻어진 고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는, 모두 고점도 화장료의 충전성의 평가가 △ 또는 ○ 인 점에서, 고점도 화장료를 용이하게 다량으로 충전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하여, 각 비교예에서 얻어진 고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는, 모두 고점도 화장료의 충전성의 평가가 × 인 점에서, 고점도 화장료를 충전하기 곤란함을 알 수 있다.
또, 표 8 및 도 4 ∼ 6 에 나타난 결과로부터, 실시예 23 ∼ 26, 실시예 28 ∼ 30 및 실시예 32 ∼ 34 에서 얻어진 고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를 사용하여 얻어진 고점도 화장료 함침체는, 모두 고점도 화장료의 충전성의 평가가 ○ 이고, 고점도 화장료를 계속해서 거의 균일하게 취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들 실시예에서 얻어진 고점도 화장료 함침체가 사용된 화장품은, 고점도 화장료를 계속해서 거의 균일하게 취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4(a) 및 도 5(c) 에서는, 상기 사이클을 91 ∼ 120 회 반복하였을 때, 화장료의 취해지는 양이 저하되어 있다. 당해 취해지는 양의 저하는, 고점도 화장료의 잔존량이 적었던 것에 기초한다.
실시예 36 ∼ 40
레이저 가공기 (유니버설 레이저 시스템사 제조, 품번 : VLS2.30) 를 사용해서 레이저광선을 제조예 1 에서 얻어진 샘플 A 의 표면에 조사하여 표 11 에 나타내는 배열을 갖도록 관통공을 형성시킴으로써, 고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를 얻었다. 상기에서 얻어진 고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의 관통공의 공경 및 면적 비율을 표 9 에 나타낸다.
실시예 36 ∼ 40 에서 얻어진 고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의 표면 의장을 도 7 에 나타낸다. 도 7 에 기재된 (a) 는, 실시예 36 에서 얻어진 관통공 (2a) 을 갖는 고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 (1a) 의 표면 의장, (b) 는, 실시예 37 에서 얻어진 관통공 (2b) 을 갖는 고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 (1b) 의 표면 의장, (c) 는, 실시예 38 에서 얻어진 관통공 (2c) 을 갖는 고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 (1c) 의 표면 의장, (d) 는, 실시예 39 에서 얻어진 관통공 (2d) 을 갖는 고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 (1d) 의 표면 의장, (e) 는, 실시예 40 에서 얻어진 관통공 (2e) 을 갖는 고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 (1e) 의 표면 의장이다.
실시예 36 ∼ 40 에서 얻어진 고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에 고점도 화장료를 충전하였을 때의 화장료의 충전성 및 고점도 화장료 함침체로부터 고점도 화장료가 취해지는 상태를 시험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조사하였다. 화장료의 충전성의 평가 결과를 표 9 에 기재한다.
Figure 112020128985414-pct00009
표 9 에 나타난 결과로부터, 각 실시예에서 얻어진 고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는, 모두 고점도 화장료의 충전성의 평가가 ○ 인 점에서, 고점도 화장료를 용이하게 다량으로 충전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 고점도 화장료가 취해지는 상태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우수한 것이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고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는, 공경을 바람직하게는 0.5 ∼ 5 ㎜,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 3 ㎜,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2.5 ㎜, 표면의 면적에서 차지하는 전체 관통공의 면적의 비율을 바람직하게는 1 ∼ 30 %, 보다 바람직하게는 3 ∼ 25 %, 더욱 바람직하게는 5 ∼ 20 % 로 설정한 경우, 공극률이 향상되므로, 고점도 화장료의 충전성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고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의 공경 및 표면의 면적에서 차지하는 전체 관통공의 면적의 비율이 각각 상기 범위를 구비하도록 설정함으로써, 소정 횟수 (예를 들어 30 회) 마다의 고점도 화장료의 취해지는 양이 균일해지는 점에서, 원하는 고점도 화장료의 취해지는 양이 되도록 적절히 조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1 ∼ 54
레이저 가공기 (유니버설 레이저 시스템사 제조, 품번 : VLS2.30) 를 사용해서 레이저광선을 제조예 1 에서 얻어진 샘플 A 의 표면에 조사하여, 표 10 에 나타내는 배열을 갖도록 관통공을 형성시킴으로써, 저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를 얻었다. 상기에서 얻어진 저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의 관통공의 공경 및 면적 비율을 표 10 에 나타낸다.
또한, 실시예 42, 실시예 45 및 실시예 48 에서 얻어진 저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는, 각각, 도 8 의 (a) ∼ (c) 에 도시되는 표면 의장을 갖는다.
비교예 10
레이저 가공기 (유니버설 레이저 시스템사 제조, 품번 : VLS2.30) 를 사용해서 레이저광선을 비교예 4 에서 얻어진 샘플 D 의 표면에 조사하여, 표 10 에 나타내는 배열을 갖도록 관통공을 형성시킴으로써, 저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를 얻었다. 상기에서 얻어진 저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의 관통공의 공경 및 면적 비율을 표 10 에 나타낸다.
Figure 112020128985414-pct00010
시험예 3
실시예 41 ∼ 54 및 비교예 10 에서 얻어진 저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의 표면 의장의 시인성, 관통공의 형상 및 당해 저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에 저점도 화장료를 충전하였을 때의 저점도 화장료의 충전성을 이하의 방법에 기초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11 에 나타낸다.
(1) 의장의 시인성
저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의 표면 의장을 육안으로 관찰하고, 이하의 평가 기준에 기초하여 의장의 시인성을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 : 의장을 바로 시인할 수 있다.
△ : 의장을 시인하는 데에 시간이 걸린다.
× : 의장을 전혀 시인할 수 없다.
(2) 관통공의 형상
레이저광선을 조사한 직후에 저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의 표면 의장을 육안으로 관찰하고, 이하의 평가 기준에 기초하여 관통공의 형상을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 : 관통공 내에 잔재가 없고, 양호한 형상의 관통공이 보인다.
△ : 관통공 내에 잔재가 약간 존재하고, 일부의 관통공이 약간 폐색되어 있다.
× : 대부분의 관통공이 잔재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3) 저점도 화장료의 충전성
저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를 이너 케이스에 넣고, 당해 저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에 저점도 화장료 (25 ℃ 에 있어서의 점도 : 5000 mPa·s) 17 g, 저점도 화장료 (25 ℃ 에 있어서의 점도 : 10000 mPa·s) 17 g 또는 저점도 화장료 (25 ℃ 에 있어서의 점도 : 19000 mPa·s) 17 g 을 수동식 크림 충전기로 충전함으로써, 저점도 화장료 함침체를 제조하였다. 그 때의 저점도 화장료의 충전성을 이하의 평가 기준에 기초하여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 : 저점도 화장료를 저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에 용이하게 충전할 수 있다.
△ : 저점도 화장료를 저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에 충전하는 데에 약간 시간이 걸린다.
× : 저점도 화장료를 저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에 충전하기 곤란하다.
(4) 취해지는 양의 균일성
상기 「(3) 저점도 화장료의 충전성」에서 얻어진 저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 (25 ℃ 에 있어서의 점도 : 10000 mPa·s) 를 제조한 후 1 시간 정치하였다. 상기 저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를 퍼프로 문지르고, 퍼프에 부착된 저점도 화장료를 부직포에 도포하는 조작을 1 사이클로 하여 당해 조작을 반복하고, 당해 조작을 30 회 실시할 때마다 저점도 화장료의 취해지는 양 (g) 을 조사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2) 취해지는 양의 균일성」과 동일하게, 상기 조작을 1 ∼ 30 회, 31 ∼ 60 회, 61 ∼ 90 회 또는 91 ∼ 120 회 반복하여 실시하였을 때에 회수된 저점도 화장료의 취해지는 양 (g) 을 조사하였다. 그 때의 저점도 화장료의 취해지는 양의 균일성을 이하의 평가 기준에 기초하여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 : 저점도 화장료의 취해지는 양이 균일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조작을 1 ∼ 30 회, 31 ∼ 60 회, 61 ∼ 90 회 또는 91 ∼ 120 회 반복하여 실시하였을 때에 회수된 저점도 화장료의 취해지는 양이 1.0 g 이상 5.0 g 이하의 범위 내에 있다.
△ : 저점도 화장료의 취해지는 양이 거의 균일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조작을 1 ∼ 30 회, 31 ∼ 60 회, 61 ∼ 90 회 또는 91 ∼ 120 회 반복하여 실시하였을 때에 회수된 저점도 화장료의 취해지는 양이 0.5 g 이상 1.0 g 미만이거나 또는 5.0 g 초과 6.0 g 이하이다.
× : 저점도 화장료의 취해지는 양이 불균일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조작을 1 ∼ 30 회, 31 ∼ 60 회, 61 ∼ 90 회 또는 91 ∼ 120 회 반복하여 실시하였을 때에 회수된 저점도 화장료의 취해지는 양이 0.5 g 미만이거나 또는 6.0 g 을 초과한다.
Figure 112020128985414-pct00011
표 11 에 나타난 결과로부터, 각 실시예에서 얻어진 저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는, 모두 시인성의 평가가 ○ 또는 △ 인 점에서, 의장의 시인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또, 각 실시예에서 얻어진 저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는, 관통공의 형상의 평가가 ○ 또는 △ 인 점에서, 저점도 화장료를 충전하기 쉽고, 저점도 화장료를 계속해서 거의 균일하게 취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하여, 비교예 10 에서 얻어진 저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는, 관통공의 형상의 평가가 × 인 점에서, 저점도 화장료를 충전하기 곤란하고, 저점도 화장료를 계속해서 거의 균일하게 취출하기 곤란함을 알 수 있다.
또, 표 11 에 나타난 결과로부터, 각 실시예에서 얻어진 저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는, 모두 저점도 화장료의 충전성의 평가가 ○ 인 점에서, 저점도 화장료를 용이하게 다량으로 충전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하여, 비교예 10 에서 얻어진 저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는, 저점도 화장료의 충전성의 평가가 × 인 것이 있는 점에서, 저점도 화장료를 충전하기 곤란하거나, 저점도 화장료를 충전할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저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는, 공경을 바람직하게는 0.1 ∼ 0.6 ㎜,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 0.5 ㎜, 표면의 면적에서 차지하는 전체 관통공의 면적의 비율을 바람직하게는 0.1 ∼ 15 %,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 13 %,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 10 % 로 설정한 경우, 저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의 표면 의장의 시인성 및 저점도 화장료의 충전성이 향상되고, 저점도 화장료를 계속해서 거의 균일하게 취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복합 섬유로 삼차원 입체 구조를 구성하고, 공경 및 표면의 면적에서 차지하는 전체 관통공의 면적의 비율이 각각 상기 범위를 구비하도록 설정한 경우, 저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의 표면 의장의 시인성 및 저점도 화장료의 충전성이 향상되고, 저점도 화장료를 계속해서 거의 균일하게 취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 저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의 공경 및 표면의 면적에서 차지하는 전체 관통공의 면적의 비율이 각각 상기 범위를 구비하도록 설정한 경우, 소정 횟수마다의 저점도 화장료의 취해지는 양이 균일해지는 점에서, 원하는 저점도 화장료의 취해지는 양이 되도록 적절히 조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복합 섬유로 삼차원 입체 구조를 구성하고, 공경 및 표면의 면적에서 차지하는 전체 관통공의 면적의 비율이 각각 상기 범위를 구비하도록 설정한 경우, 원하는 저점도 화장료의 취해지는 양이 되도록 적절히 조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 : 고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
2 : 관통공
3 : 저점도 화장료 함침용 담체
4 : 관통공

Claims (13)

  1. 화장료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화장료 함침용 담체로서,
    상기 화장료 함침용 담체가 당해 화장료 함침용 담체의 표면에서 이면에 이르는 관통공을 갖고,
    상기 화장료 함침용 담체의 구성 섬유로서 복합 섬유를 함유하고,
    상기 화장료 함침용 담체가 구성 섬유로 구성된 삼차원 입체 구조를 갖고,
    상기 복합 섬유로서 심초형 복합 섬유가 사용되고,
    상기 심초형 복합 섬유의 초 성분으로서 수지 X 가 사용되고, 상기 심초형 복합 섬유의 심 성분으로서 수지 Y 가 사용되고, 수지 Y 의 용융 온도가 수지 X 의 용융 온도보다 높고,
    상기 구성 섬유끼리의 접촉부가 상기 심초형 복합 섬유의 수지 X 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함침용 담체.
  2. 제 1 항에 있어서,
    화장료가 25 ℃ 에 있어서, 20000 mPa·s 이상의 점도를 갖는 화장료인, 화장료 함침용 담체.
  3. 제 2 항에 있어서,
    관통공의 공경이 0.5 ∼ 5 ㎜ 인, 화장료 함침용 담체.
  4. 제 2 항에 있어서,
    화장료 함침용 담체의 표면의 면적에서 차지하는 전체 관통공의 면적의 비율이 1 ∼ 30 % 인, 화장료 함침용 담체.
  5. 제 1 항에 있어서,
    화장료가 25 ℃ 에 있어서, 20000 mPa·s 미만의 점도를 갖는 화장료인, 화장료 함침용 담체.
  6. 제 5 항에 있어서,
    관통공의 공경이 0.1 ∼ 0.6 ㎜ 인, 화장료 함침용 담체.
  7. 제 5 항에 있어서,
    화장료 함침용 담체의 표면의 면적에서 차지하는 전체 관통공의 면적의 비율이 0.1 ∼ 15 % 인, 화장료 함침용 담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조밀한 섬유상 표면층과 성긴 섬유상 기재를 갖고, 당해 조밀한 섬유상 표면층과 당해 성긴 섬유상 기재가 일체화되어 있는, 화장료 함침용 담체.
  9. 제 1 항에 있어서,
    화장료 함침용 담체가 그 표면 상에 의장을 갖고, 당해 의장이 상기 관통공으로 형성되어 있는, 화장료 함침용 담체.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장료 함침용 담체에 화장료를 함유하는, 화장료 함침체.
  11. 제 10 항에 기재된 화장료 함침체를 갖는, 화장품.
  12. 삭제
  13. 삭제
KR1020207034414A 2018-06-15 2019-06-13 화장료 함침용 담체 KR1025936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14147 2018-06-15
JP2018114147 2018-06-15
PCT/JP2019/023498 WO2019240224A1 (ja) 2018-06-15 2019-06-13 化粧料含浸用担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687A KR20210002687A (ko) 2021-01-08
KR102593673B1 true KR102593673B1 (ko) 2023-10-24

Family

ID=68842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4414A KR102593673B1 (ko) 2018-06-15 2019-06-13 화장료 함침용 담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WO2019240224A1 (ko)
KR (1) KR102593673B1 (ko)
CN (1) CN112469308A (ko)
WO (1) WO20192402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6803B1 (ko) * 2015-03-23 2015-11-10 (주)아모레퍼시픽 표면을 녹여 양음각을 형성한 함침부재를 갖는 화장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0746B1 (ko) * 2014-01-08 2014-06-24 김진우 액상 화장료 함침을 위한 다공성 패드 및 이를 이용한 액상 화장료 함침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65357U (ko) 1977-10-18 1979-05-09
JP2009297535A (ja) * 2009-09-07 2009-12-24 Asahi Kasei Fibers Corp 化粧用基材及びこれを用いた皮膚洗浄用シート
KR102187728B1 (ko) * 2015-07-30 2020-12-07 로레알 섬유 및 스크린 네트를 갖는 함침된 물품
JP6584203B2 (ja) * 2015-08-05 2019-10-02 株式会社エイエムジー 化粧品容器
JP6614679B2 (ja) * 2015-08-21 2019-12-04 株式会社タイキ 化粧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0746B1 (ko) * 2014-01-08 2014-06-24 김진우 액상 화장료 함침을 위한 다공성 패드 및 이를 이용한 액상 화장료 함침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9240224A1 (ja) 2021-07-26
KR20210002687A (ko) 2021-01-08
CN112469308A (zh) 2021-03-09
WO2019240224A1 (ja) 2019-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3202B1 (ko) 화장품
EP3328344B1 (en) Impregnated article with fibers and screen net
CN101415639B (zh) 衬垫体、座椅以及它们的制造方法
CN105814249B (zh) 保液片及面膜
CN101443263B (zh) 座椅
CN211407953U (zh) 化妆料组合物浸渍用材料和化妆品
KR102593673B1 (ko) 화장료 함침용 담체
US11363873B2 (en) Cosmetic
WO2021039127A1 (ja) 化粧料含浸用担体
KR20170038291A (ko)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부직포층을 갖는 폼 및 상기 폼을 포함하는 화장품
JPH07197366A (ja) 熱接着性網状構造体及びその製法
WO2019131793A1 (ja) 化粧料含浸用弾性体
WO2021149557A1 (ja) 化粧品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化粧品用の調整シート
JPH07189106A (ja) 多成分網状構造体及びその製法
KR20220047133A (ko) 액상 화장료 함침용 부직포를 구비하는 화장품
CN111713840A (zh) 具有化妆料储存空间的化妆料载体
JP3769334B2 (ja) 耐有機溶剤特性が改善されたパッド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2143028A (ja) ボディスポンジ
JPH11200255A (ja) 人工皮革用基布として有用な非含浸型基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