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1614A - 광학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광학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1614A
KR20180041614A KR1020170179478A KR20170179478A KR20180041614A KR 20180041614 A KR20180041614 A KR 20180041614A KR 1020170179478 A KR1020170179478 A KR 1020170179478A KR 20170179478 A KR20170179478 A KR 20170179478A KR 20180041614 A KR20180041614 A KR 201800416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arizer
side edge
protective film
optical film
side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9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9558B1 (ko
Inventor
야스노리 가토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41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16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9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95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1/00Optical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들뜸의 발생을 저감한 광학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광학 필름은, 편광판과 편광판의 표면에 접합된 프로텍트 필름을 갖는다. 편광판은, 편광자와, 편광자에 적층된 보호막을 포함한다. 프로텍트 필름은, 점착제층과, 점착제층을 통해 상기 편광판에 적층된 프로텍트층을 포함한다. 광학 필름의 폭 방향에 있어서, 보호막의 측단(側端)은, 편광자의 측단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프로텍트층의 측단은, 편광자의 측단보다 내측에 위치한다.

Description

광학 필름 및 그 제조 방법{OPTICAL FILM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광학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광학 필름으로서는, 일본 특허 공개 제2014-102353호 공보(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이 있다. 이 광학 필름은, 편광판과, 편광판의 표면에 접합된 프로텍트 필름을 갖는다. 편광판은, 편광자와, 편광자에 적층된 보호막을 포함한다. 프로텍트 필름은, 점착제층과, 점착제층을 통해 편광판에 적층된 프로텍트층을 포함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4-102353호 공보
그런데, 상기 종래의 광학 필름을 실제로 제조하여 사용하려고 하면, 다음의 문제가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광학 필름의 보관 또는 가공 중에, 광학 필름의 폭 방향의 단부에 있어서, 프로텍트 필름의 점착제층과 편광판의 보호막 사이에서 들뜸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 들뜸이 발생하면, 프로텍트 필름과 편광판 사이에 이물(異物) 등이 침입하여, 표시 불량 등의 원인이 된다.
그래서, 본원 발명자는, 들뜸의 발생에 대해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들뜸의 발생은, 광학 필름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각 부재(편광자, 보호막, 점착제층, 프로텍트층)의 측단(側端)의 위치 관계가 크게 관련되어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래서, 본 발명의 과제는, 들뜸의 발생을 저감한 광학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편광판과 상기 편광판의 표면에 접합된 프로텍트 필름을 갖는 광학 필름으로서,
상기 편광판은, 편광자와, 상기 편광자에 적층된 보호막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텍트 필름은, 점착제층과, 상기 점착제층을 통해 상기 편광판에 적층된 프로텍트층을 포함하며,
상기 광학 필름의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보호막의 측단은, 상기 편광자의 측단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프로텍트층의 측단은, 상기 편광자의 측단과 동일한 위치에 있거나, 상기 편광자의 측단보다 내측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에 의하면, 광학 필름의 폭 방향에 있어서, 프로텍트층의 측단은, 편광자의 측단과 동일한 위치에 있거나, 편광자의 측단보다 내측에 위치한다. 이에 의해, 편광자의 측단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보호막이, 흡습 등에 의해, 파형 형상으로 크게 변형해도, 편광자의 측단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보호막은, 프로텍트층에 간섭하기 어려워져, 프로텍트 필름의 점착제층과 편광판의 보호막 사이의 들뜸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편광판과 상기 편광판의 표면에 접합된 프로텍트 필름을 갖는 광학 필름으로서,
상기 편광판은, 편광자와, 상기 편광자에 적층된 보호막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텍트 필름은, 점착제층과, 상기 점착제층을 통해 상기 편광판에 적층된 프로텍트층을 포함하며,
상기 광학 필름의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보호막의 측단은, 상기 편광자의 측단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프로텍트층의 측단은, 상기 편광자의 측단보다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프로텍트층의 측단은, 상기 점착제층의 측단과 동일한 위치에 있거나, 상기 점착제층의 측단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보호막의 측단은, 상기 점착제층의 측단보다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프로텍트층의 측단과 상기 점착제층의 측단 사이의 폭 치수(L1)와, 상기 보호막의 측단과 상기 점착제층의 측단 사이의 폭 치수(L2)의 비율(L1/L2)은, 0 이상 0.27 이하이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에 의하면, 광학 필름의 폭 방향에 있어서, 프로텍트층의 측단은, 편광자의 측단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프로텍트층의 측단과 점착제층의 측단 사이의 폭 치수(L1)와, 보호막의 측단과 점착제층의 측단 사이의 폭 치수(L2)의 비율(L1/L2)은, 0 이상 0.27 이하이다. 이에 의해, 편광자의 측단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보호막이, 흡습 등에 의해, 파형 형상으로 크게 변형해도, 편광자의 측단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보호막은, 프로텍트층에 간섭하기 어려워져, 프로텍트 필름의 점착제층과 편광판의 보호막 사이의 들뜸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광학 필름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광학 필름은 매엽(枚葉)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광학 필름은 매엽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도, 프로텍트 필름의 점착제층과 편광판의 보호막 사이의 들뜸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광학 필름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광학 필름은 롤형으로 권회되어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광학 필름은 롤형으로 권회되어 있다. 이 경우에도, 프로텍트 필름의 점착제층과 편광판의 보호막 사이의 들뜸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편광판과 상기 편광판의 표면에 접합된 프로텍트 필름을 갖는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편광판은, 편광자와, 상기 편광자에 적층된 보호막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텍트 필름은, 점착제층과, 상기 점착제층을 통해 상기 편광판에 적층된 프로텍트층을 포함하며,
상기 광학 필름의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보호막의 측단을, 상기 편광자의 측단보다 외측에 위치시키고,
상기 프로텍트층의 측단을, 상기 편광자의 측단과 동일한 위치로 하거나, 상기 편광자의 측단보다 내측에 위치시켜, 광학 필름을 제조한다.
또한,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편광판과 상기 편광판의 표면에 접합된 프로텍트 필름을 갖는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편광판은, 편광자와, 상기 편광자에 적층된 보호막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텍트 필름은, 점착제층과, 상기 점착제층을 통해 상기 편광판에 적층된 프로텍트층을 포함하며,
상기 광학 필름의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보호막의 측단을, 상기 편광자의 측단보다 외측에 위치시키고,
상기 프로텍트층의 측단을, 상기 편광자의 측단보다 외측에 위치시키며,
상기 프로텍트층의 측단을, 상기 점착제층의 측단과 동일한 위치로 하거나, 상기 점착제층의 측단보다 외측에 위치시키고,
상기 보호막의 측단을, 상기 점착제층의 측단보다 외측에 위치시키며,
상기 프로텍트층의 측단과 상기 점착제층의 측단 사이의 폭 치수(L1)와, 상기 보호막의 측단과 상기 점착제층의 측단 사이의 폭 치수(L2)의 비율(L1/L2)을, 0 이상 0.27 이하로 하여, 광학 필름을 제조한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하면, 광학 필름의 폭 방향에 있어서, 프로텍트층의 측단은, 편광자의 측단과 동일한 위치에 있거나, 편광자의 측단보다 내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들뜸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하면, 광학 필름의 폭 방향에 있어서, 프로텍트층의 측단은, 편광자의 측단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프로텍트층의 측단과 점착제층의 측단 사이의 폭 치수(L1)와, 보호막의 측단과 점착제층의 측단 사이의 폭 치수(L2)의 비율(L1/L2)은, 0 이상 0.27 이하이기 때문에, 들뜸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의 제1 실시형태를 도시한 모식 단면도이다.
도 2는 광학 필름의 폭 방향의 단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의 제2 실시형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의 제3 실시형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의 제4 실시형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의 제5 실시형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의 제6 실시형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시된 실시형태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의 제1 실시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 필름(1)은, 편광판(10)과, 편광판(10)의 표면에 접합된 프로텍트 필름(20)을 갖는다.
편광판(10)은, 편광자(11)와, 편광자(11)의 일면에 적층된 보호막(12)과, 편광자(11)의 타면에 적층된 위상차 필름(13)을 포함한다. 한편, 위상차 필름(13)은 생략해도 좋다. 프로텍트 필름(20)은, 점착제층(21)과, 점착제층(21)을 통해 편광판(10)에 적층된 프로텍트층(22)을 포함한다.
편광자(11)는, 예컨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로 구성된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통상,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를 비누화함으로써 얻어진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비누화도는, 통상 85 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9~100 몰%이다.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로서는, 아세트산비닐의 단독 중합체인 폴리아세트산 비닐 외에, 아세트산비닐과 이것에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와의 공중합체, 예컨대,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로서는 상기 에틸렌 외에, 예컨대, 불포화 카르복실산류, 에틸렌 이외의 올레핀류, 비닐에테르류, 불포화 술폰산류 등을 들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중합도는, 통상 1000~10000, 바람직하게는 1500~5000 정도이다. 편광자(11)의 두께는, 통상 1~60 ㎛ 정도이고, 바람직하게는 5~40 ㎛ 정도이다.
보호막(12)은, 예컨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로 구성된다. 한편, 보호막(12)은, 예컨대, 위상차 필름과 같이, 광학 특성을 갖고 있어도 좋다. 보호막(12)의 두께는, 통상 30~100 ㎛ 정도이다.
위상차 필름(13)은, 예컨대, 시클로올레핀 폴리머로 구성된다. 한편, 위상차 필름(13)은 생략해도 좋고, 또는, 위상차 필름(13) 대신에, 보호막을 이용해도 좋다. 위상차 필름(13)의 두께는, 통상 30~100 ㎛ 정도이다.
점착제층(21)은, 예컨대, 아크릴계 점착제로 구성된다. 접착력은, 예컨대, 0.01~0.20 N/25 ㎜이다. 점착제층(21)의 두께는, 통상 10~20 ㎛ 정도이다.
프로텍트층(22)은, 예컨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로 구성된다. 한편, 프로텍트층(22)은, 예컨대, 위상차 필름과 같이, 광학 특성을 갖고 있어도 좋다. 프로텍트층(22)의 두께는, 통상 30~50 ㎛ 정도이다.
도 2는 광학 필름(1)의 폭 방향의 단부의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 필름(1)의 폭 방향에 있어서, 보호막(12)의 측단(側端; 12a)은, 편광자(11)의 측단(11a)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위상차 필름(13)의 측단(13a)은, 편광자(11)의 측단(11a)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프로텍트층(22)의 측단(22a)은, 편광자(11)의 측단(11a)보다 내측에 위치한다. 보호막(12)의 측단(12a)과 위상차 필름(13)의 측단(13a)은, 대략 동일한 위치에 있다. 프로텍트층(22)의 측단(22a)은, 보호막(12)의 측단(12a)보다 내측에 위치한다.
프로텍트층(22)의 측단(22a)은, 점착제층(21)의 측단(21a)보다 외측에 위치한다. 보호막(12)의 측단(12a)은, 점착제층(21)의 측단(21a)보다 외측에 위치한다. 프로텍트층(22)의 측단(22a)과 점착제층(21)의 측단(21a) 사이의 폭 치수를 L1로 한다. 보호막(12)의 측단(12a)과 점착제층(21)의 측단(21a) 사이의 폭 치수를 L2로 한다. 편광자(11)의 측단(11a)과 점착제층(21)의 측단(21a) 사이의 폭 치수를 W로 한다.
이와 같이, 폭 치수(L1)에 있어서, 프로텍트층(22)에는, 점착제층(21)이 존재하지 않는다. 폭 치수(L2)에 있어서, 보호막(12)에는, 점착제층(21)이 존재하지 않는다.
폭 치수(L1, L2)에 있어서, 점착제층(21)의 측단(21a)을 기준으로 하여, 프로텍트층(22)의 측단(22a) 및 보호막(12)의 측단(12a)이, 점착제층(21)의 측단(21a)보다 외측에 위치할 때를, 양의 수로 한다. 한편, 프로텍트층(22)의 측단(22a) 및 보호막(12)의 측단(12a)이, 점착제층(21)의 측단(21a)보다 내측에 위치할 때를, 음의 수로 한다. 점착제층(21)의 단부 노출에 의한 주변 설비나 광학 필름(1)의 더러워짐을 억제하기 위해서, 통상 폭 치수(L1)는 0 이상이다. 또한, 편광자(11)의 단부 보호를 위해서, 통상 보호막(12)의 측단(12a)은, 편광자(11)의 측단(11a)보다 외측에 위치한다.
폭 치수(W)에 있어서, 편광자(11)의 측단(11a)을 기준으로 하여, 점착제층(21)의 측단(21a)이, 편광자(11)의 측단(11a)보다 외측에 위치할 때를, 양의 수로 한다. 한편, 점착제층(21)의 측단(21a)이, 편광자(11)의 측단(11a)보다 내측에 위치할 때를, 음의 수로 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L1, L2는 양의 수가 되고, W는 음의 수가 된다. 또한, L1, L2, W의 절대값을 비교하면, |L2|>|W|>|L1|이 성립한다. 통상, 광학 필름(1)의 폭 1000 ㎜~2500 ㎜에 대해, 0<L1≤15 ㎜, 20 ㎜≤L2≤50 ㎜, 0<|W|<25 ㎜이다.
상기 광학 필름(1)의 제조 방법에서는, 보호막(12)의 측단(12a)을, 편광자(11)의 측단(11a)보다 외측에 위치시키고, 프로텍트층(22)의 측단(22a)을, 편광자(11)의 측단(11a)보다 내측에 위치시켜, 광학 필름(1)을 제조한다.
상기 광학 필름(1)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하면, 프로텍트층(22)의 측단(22a)은, 편광자(11)의 측단(11a)보다 내측에 위치한다. 이에 의해, 편광자(11)의 측단(11a)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보호막(12)이, 흡습 등에 의해, 파형 형상으로 크게 변형해도, 편광자(11)의 측단(11a)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보호막(12)은, 프로텍트층(22)에 간섭하기 어려워져, 프로텍트 필름(20)의 점착제층(21)과 편광판(10)의 보호막(12) 사이의 들뜸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그리고, 광학 필름(1)이, 매엽형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롤형으로 권회되어 있어도, 들뜸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요컨대, 본원 발명자는, 들뜸 발생의 메커니즘에 대해, 이하와 같이 추찰하였다. 광학 필름(1)의 보관 또는 가공 중에, 보호막(12)은, 습기를 빨아 들여, 파형 형상으로 변형할 가능성이 있다. 이 때, 편광자(11)와 겹쳐지는 보호막(12)에 있어서, 편광자(11)가 골재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보호막(12)의 변형은 발생하지 않거나, 또는 작아진다. 한편, 편광자(11)의 측단(11a)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보호막(12)에 있어서, 골재가 되는 편광자(11)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보호막(12)의 변형은 커진다. 이에 의해, 변형이 커진 보호막(12)은, 프로텍트층(22)에 간섭하여, 프로텍트층(22)은, 보호막(1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받는다. 이 결과, 점착제층(21)이 보호막(12)으로부터 박리되어, 점착제층(21)과 보호막(12) 사이에 들뜸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원 발명자는, 이 메커니즘을 검토하여, 프로텍트층(22)의 측단(22a)을 편광자(11)의 측단(11a)보다 내측에 위치시킴으로써, 변형이 커진 보호막(12)이 프로텍트층(22)에 간섭하기 어렵게 하였다.
(제2 실시형태)
도 3은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의 제2 실시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2 실시형태는, 제1 실시형태와는 프로텍트층과 편광자의 위치 관계가 상이하다. 이 상이한 구성을 이하에 설명한다. 한편,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호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 필름(1A)에서는, 프로텍트층(22)의 측단(22a)은, 편광자(11)의 측단(11a)과 동일한 위치에 있다. 그 외의 부재의 위치 관계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L1, L2는 양의 수가 되고, W는 음의 수가 된다. |L2|>|W|=|L1|이 성립한다. 통상, 광학 필름(1)의 폭 1000 ㎜~2500 ㎜에 대해, 0<L1≤15 ㎜, 20 ㎜≤L2≤50 ㎜, 0<|W|<25 ㎜이다.
상기 광학 필름(1A)의 제조 방법에서는, 보호막(12)의 측단(12a)을, 편광자(11)의 측단(11a)보다 외측에 위치시키고, 프로텍트층(22)의 측단(22a)을, 편광자(11)의 측단(11a)과 동일한 위치로 하여, 광학 필름(1)을 제조한다.
상기 광학 필름(1A)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하면, 프로텍트층(22)의 측단(22a)은, 편광자(11)의 측단(11a)과 동일한 위치에 있다. 이에 의해, 편광자(11)의 측단(11a)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보호막(12)이, 흡습 등에 의해, 파형 형상으로 크게 변형해도, 편광자(11)의 측단(11a)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보호막(12)은, 프로텍트층(22)에 간섭하기 어려워져, 프로텍트 필름(20)의 점착제층(21)과 편광판(10)의 보호막(12) 사이의 들뜸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도 4는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의 제3 실시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3 실시형태는, 제1 실시형태와는 프로텍트층과 점착제층의 위치 관계가 상이하다. 이 상이한 구성을 이하에 설명한다. 한편,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호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 필름(1B)에서는, 프로텍트층(22)의 측단(22a)은, 점착제층(21)의 측단(21a)과 동일한 위치에 있다. 그 외의 부재의 위치 관계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L1은 0이 되고, L2는 양의 수가 되며, W는 음의 수가 된다. |L2|>|W|가 성립한다. 통상, 광학 필름(1)의 폭 1000 ㎜~2500 ㎜에 대해, 20 ㎜≤L2≤50 ㎜, 0<|W|<25 ㎜이다.
상기 광학 필름(1B)에 의하면,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프로텍트층(22)의 측단(22a)은, 편광자(11)의 측단(11a)보다 내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프로텍트 필름(20)의 점착제층(21)과 편광판(10)의 보호막(12) 사이의 들뜸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프로텍트층(22)의 측단(22a)은, 점착제층(21)의 측단(21a)과 동일한 위치에 있기 때문에, 프로텍트층(22)의 폭 치수를 작게 할 수 있어, 프로텍트층(22)의 재료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제4 실시형태)
도 5는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의 제4 실시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4 실시형태는, 제1 실시형태와는 프로텍트층 및 점착제층과 편광자의 위치 관계가 상이하다. 이 상이한 구성을 이하에 설명한다. 한편,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호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 필름(1C)에서는, 프로텍트층(22)의 측단(22a)은, 편광자(11)의 측단(11a)보다 외측에 위치한다. 점착제층(21)의 측단(21a)은, 편광자(11)의 측단(11a)보다 외측에 위치한다. 그 외의 부재의 위치 관계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L1, L2, W는 양의 수가 된다. |L2|>|W|>|L1|이 성립한다. 그리고, 폭 치수(L1)의 폭 치수(L2)에 대한 비율(L1/L2)은, 0 이상 0.27 이하이다.
상기 광학 필름(1C)의 제조 방법에서는, 보호막(12)의 측단(12a)을, 편광자(11)의 측단(11a)보다 외측에 위치시키고, 프로텍트층(22)의 측단(22a)을, 편광자(11)의 측단(11a)보다 외측에 위치시키며, 프로텍트층(22)의 측단(22a)을, 점착제층(21)의 측단(21a)보다 외측에 위치시키고, 보호막(12)의 측단(12a)을, 점착제층(21)의 측단(21a)보다 외측에 위치시키며, 비율(L1/L2)을, 0 이상 0.27 이하로 하여, 광학 필름(1C)을 제조한다.
상기 광학 필름(1C)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하면, 프로텍트층(22)의 측단(22a)은, 편광자(11)의 측단(11a)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폭 치수(L1)의 폭 치수(L2)에 대한 비율(L1/L2)은, 0 이상 0.27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0.13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7 이하이다. 이에 의해, 편광자(11)의 측단(11a)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보호막(12)이, 흡습 등에 의해, 파형 형상으로 크게 변형해도, 편광자(11)의 측단(11a)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보호막(12)은, 프로텍트층(22)에 간섭하기 어려워져, 프로텍트 필름(20)의 점착제층(21)과 편광판(10)의 보호막(12) 사이의 들뜸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요컨대, 본원 발명자는, 제1 실시형태에서 서술한 들뜸 발생의 메커니즘을 검토하여, 프로텍트층(22)의 측단(22a)이, 편광자(11)의 측단(11a)보다 외측에 위치하여, 변형이 커진 보호막(12)이, 프로텍트층(22)에 간섭하기 쉬워져도, 폭 치수(L1)의 폭 치수(L2)에 대한 비율(L1/L2)을, 0 이상 0.27 이하, 바람직하게는 0.13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7 이하로 함으로써, 변형이 커진 보호막(12)이 프로텍트층(22)에 간섭하기 어렵게 하였다.
(제5 실시형태)
도 6은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의 제5 실시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5 실시형태는, 제4 실시형태와는 프로텍트층과 점착제층의 위치 관계가 상이하다. 이 상이한 구성을 이하에 설명한다. 한편, 제5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4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호는, 제4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 필름(1D)에서는, 프로텍트층(22)의 측단(22a)은, 점착제층(21)의 측단(21a)과 동일한 위치에 있다. 그 외의 부재의 위치 관계는, 제4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L1은 0이고, L1/L2는 0이 되며, L2, W는 양의 수가 된다. |L2|>|W|가 성립한다.
상기 광학 필름(1D)의 제조 방법에서는, 보호막(12)의 측단(12a)을, 편광자(11)의 측단(11a)보다 외측에 위치시키고, 프로텍트층(22)의 측단(22a)을, 편광자(11)의 측단(11a)보다 외측에 위치시키며, 프로텍트층(22)의 측단(22a)을, 점착제층(21)의 측단(21a)과 동일한 위치로 하고, 보호막(12)의 측단(12a)이, 점착제층(21)의 측단(21a)보다 외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광학 필름(1D)을 제조한다.
상기 광학 필름(1D)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하면, 상기 제4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프로텍트층(22)의 측단(22a)은, 편광자(11)의 측단(11a)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L1/L2는 0이기 때문에, 프로텍트 필름(20)의 점착제층(21)과 편광판(10)의 보호막(12) 사이의 들뜸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프로텍트층(22)의 측단(22a)은, 점착제층(21)의 측단(21a)과 동일한 위치에 있기 때문에, 프로텍트층(22)의 폭 치수를 작게 할 수 있어, 프로텍트층(22)의 재료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제6 실시형태)
도 7은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의 제6 실시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6 실시형태는, 제4 실시형태와는 편광자와 점착제층의 위치 관계가 상이하다. 이 상이한 구성을 이하에 설명한다. 한편, 제6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4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호는, 제4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 필름(1E)에서는, 점착제층(21)의 측단(21a)은, 편광자(11)의 측단(11a)보다 내측에 위치한다. 그 외의 부재의 위치 관계는, 제4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L1, L2는 양의 수가 되고, W는 음의 수가 된다. |L2|>|L1|>|W|가 성립한다. L1/L2는, 0 이상 0.27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0.13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7 이하이다. 또한, 제6 실시형태는, |W|가 매우 큰 케이스이며, 통상, |W|>5이고, 바람직하게는 |W|>10이다.
상기 광학 필름(1E)에 의하면, 상기 제4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프로텍트층(22)의 측단(22a)은, 편광자(11)의 측단(11a)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L1/L2는, 0 이상 0.27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0.13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7 이하이기 때문에, 프로텍트 필름(20)의 점착제층(21)과 편광판(10)의 보호막(12) 사이의 들뜸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설계 변경 가능하다.
상기 제1~상기 제5 실시형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프로텍트층(22)의 측단(22a)은, 점착제층(21)의 측단(21a)과 동일한 위치에 있고, W가 -5 ㎜ 이상 5 ㎜ 이하이다. 이것으로부터, 프로텍트층(22)의 폭 치수를 작게 할 수 있어, 프로텍트층(22)의 재료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실시예 1)
다음으로, 제1, 제2, 제3 실시형태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표 1에, 프로텍트층(22)의 측단(22a)이, 편광자(11)의 측단(11a)과 동일한 위치에 있거나, 편광자(11)의 측단(11a)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상태에 있어서, 「L1」, 「L2」, 「L1/L2」, 「W」, 「들뜸의 발생」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01
제1 실시예는 제3 실시형태에 상당하고, 제2~제4 실시예는 제1 실시형태에 상당하며, 제5 실시예는 제2 실시형태에 상당한다.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제5 실시예에 나타낸 것처럼, L1, L2, W에 관계 없이, 프로텍트층(22)의 측단(22a)이, 편광자(11)의 측단(11a)과 동일한 위치에 있거나, 편광자(11)의 측단(11a)보다 내측에 위치하면, 들뜸이 발생하지 않았다.
여기서, 「들뜸의 발생」의 평가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들뜸이란, 폭 방향으로 1 ㎝ 이상의 박리가 발생하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편광판에 프로텍트 필름을 접합하여 권취한 후, MD 방향으로 약 700 ㎜의 매엽형으로 커팅하여, 평평한 면에 놓는다. 클린룸 내(대략 22℃ 55%)에서 약 30분 방치 후, 프로텍트 필름 단부의 들뜸 상태를 평가한다. 약간이라도 터널링되어 있으면, NG(들뜸의 발생 있음)로 한다.
(실시예 2)
다음으로, 제4, 제5, 제6 실시형태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표 2에, 프로텍트층(22)의 측단(22a)이, 편광자(11)의 측단(11a)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상태에 있어서, 「L1」, 「L2」, 「L1/L2」, 「W」, 「들뜸의 발생」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02
제6 실시예는 제5 실시형태에 상당하고, 제7~제10 실시예는 제4 실시형태에 상당하며, 제11 실시예는 제6 실시형태에 상당한다.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6~제11 실시예에 나타낸 것처럼, 프로텍트층(22)의 측단(22a)이, 편광자(11)의 측단(11a)보다 외측에 위치할 때, L1/L2를 0 이상 0.27 이하로 하면, 들뜸이 발생하지 않았다. 한편, 제1~제12 비교예에 나타낸 것처럼, L1/L2를 0.27보다 크게 하면, 들뜸이 발생하였다.
1, 1A~1E: 광학 필름 10: 편광판
11: 편광자 11a: 측단
12: 보호막 12a: 측단
13: 위상차 필름 13a: 측단
20: 프로텍트 필름 21: 점착제층
21a: 측단 22: 프로텍트층
22a: 측단
L1: 프로텍트층의 측단과 점착제층의 측단 사이의 폭 치수
L2: 보호막의 측단과 점착제층의 측단 사이의 폭 치수
W: 편광자의 측단과 점착제층의 측단 사이의 폭 치수

Claims (4)

  1. 편광판과 상기 편광판의 표면에 접합된 프로텍트 필름을 갖는 광학 필름으로서,
    상기 편광판은, 편광자와, 상기 편광자에 적층된 보호막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텍트 필름은, 점착제층과, 상기 점착제층을 통해 상기 편광판에 적층된 프로텍트층을 포함하며,
    상기 광학 필름의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보호막의 측단(側端)은, 상기 편광자의 측단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프로텍트층의 측단은, 상기 편광자의 측단과 동일한 위치에 있거나, 상기 편광자의 측단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것인 광학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름은 매엽(枚葉)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광학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름은 롤형으로 권회되어 있는 광학 필름.
  4. 편광판과 상기 편광판의 표면에 접합된 프로텍트 필름을 갖는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편광판은, 편광자와, 상기 편광자에 적층된 보호막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텍트 필름은, 점착제층과, 상기 점착제층을 통해 상기 편광판에 적층된 프로텍트층을 포함하며,
    상기 광학 필름의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보호막의 측단을, 상기 편광자의 측단보다 외측에 위치시키고,
    상기 프로텍트층의 측단을, 상기 편광자의 측단과 동일한 위치로 하거나, 상기 편광자의 측단보다 내측에 위치시켜, 광학 필름을 제조하는,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KR1020170179478A 2016-10-14 2017-12-26 광학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1021695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202900 2016-10-14
JP2016202900A JP6453288B2 (ja) 2016-10-14 2016-10-14 光学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3564A Division KR101820627B1 (ko) 2016-10-14 2017-03-17 광학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1614A true KR20180041614A (ko) 2018-04-24
KR102169558B1 KR102169558B1 (ko) 2020-10-23

Family

ID=6102528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3564A KR101820627B1 (ko) 2016-10-14 2017-03-17 광학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1020170179478A KR102169558B1 (ko) 2016-10-14 2017-12-26 광학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3564A KR101820627B1 (ko) 2016-10-14 2017-03-17 광학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453288B2 (ko)
KR (2) KR101820627B1 (ko)
CN (1) CN107728238A (ko)
TW (2) TWI76604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70151A (ja) * 2019-04-02 2020-10-15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積層体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63445A (ja) * 2017-12-25 2018-04-19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689433B2 (ja) * 2018-05-31 2020-04-28 住友化学株式会社 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6721645B2 (ja) * 2018-09-03 2020-07-15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
KR102362872B1 (ko) 2021-06-08 2022-02-15 오브젠 주식회사 인공지능 학습을 위한 클린 라벨 데이터 정제 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6132A (ja) * 1999-12-06 2001-06-22 Sumitomo Chem Co Ltd 光学フィルム
KR20090073021A (ko) * 2007-12-28 2009-07-02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편광판 및 그 제조 방법
JP2009251213A (ja) * 2008-04-04 2009-10-29 Sumitomo Chemical Co Ltd 偏光板ロールの製造方法
JP2010139759A (ja) * 2008-12-11 2010-06-24 Casio Computer Co Ltd 保護板一体型液晶表示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4102353A (ja) 2012-11-19 2014-06-05 Nitto Denko Corp 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なら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KR20150070429A (ko) * 2012-11-09 2015-06-24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표시 패널의 연속 제조 방법 및 광학 표시 패널의 연속 제조 시스템
KR20160098061A (ko) * 2015-02-09 2016-08-18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적층 편광판의 제조방법 및 편광판의 제조방법
KR20160108212A (ko) * 2015-03-06 2016-09-19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 일체형 색변환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74261B2 (ja) * 2001-04-09 2012-07-11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部材
JP4208187B2 (ja) * 2002-10-28 2009-01-14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型光学フィルム、粘着型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7256898A (ja) 2006-02-24 2007-10-04 Seiko Epson Corp 光学素子及び光学素子の製造方法
JP5107540B2 (ja) * 2006-08-22 2012-12-26 三菱樹脂株式会社 光学部材
CN101470228A (zh) * 2007-12-28 2009-07-01 住友化学株式会社 偏振片及其制造方法
JP6055171B2 (ja) * 2011-07-29 2016-12-27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ロ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133792B2 (ja) * 2012-02-03 2017-05-24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性積層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154099B2 (ja) * 2012-02-03 2017-06-28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性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偏光板の製造方法
JP6045161B2 (ja) * 2012-03-07 2016-12-14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の製造方法
JP6275945B2 (ja) * 2012-12-10 2018-02-07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粘着剤付き光学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5997355B1 (ja) * 2015-11-26 2016-09-28 住友化学株式会社 粘着剤層付き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6132A (ja) * 1999-12-06 2001-06-22 Sumitomo Chem Co Ltd 光学フィルム
KR20090073021A (ko) * 2007-12-28 2009-07-02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편광판 및 그 제조 방법
JP2009251213A (ja) * 2008-04-04 2009-10-29 Sumitomo Chemical Co Ltd 偏光板ロールの製造方法
JP2010139759A (ja) * 2008-12-11 2010-06-24 Casio Computer Co Ltd 保護板一体型液晶表示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50070429A (ko) * 2012-11-09 2015-06-24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표시 패널의 연속 제조 방법 및 광학 표시 패널의 연속 제조 시스템
JP2014102353A (ja) 2012-11-19 2014-06-05 Nitto Denko Corp 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なら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KR20160098061A (ko) * 2015-02-09 2016-08-18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적층 편광판의 제조방법 및 편광판의 제조방법
KR20160108212A (ko) * 2015-03-06 2016-09-19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 일체형 색변환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70151A (ja) * 2019-04-02 2020-10-15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積層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31377B (zh) 2018-08-01
TWI766049B (zh) 2022-06-01
KR101820627B1 (ko) 2018-01-19
JP2018063402A (ja) 2018-04-19
KR102169558B1 (ko) 2020-10-23
TW201837509A (zh) 2018-10-16
TW201814336A (zh) 2018-04-16
CN107728238A (zh) 2018-02-23
JP6453288B2 (ja) 2019-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0627B1 (ko) 광학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CN107924019B (zh) 偏振板的制造方法及其制造装置
WO2018016285A1 (ja) 偏光板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装置
WO2018016520A1 (ja) 偏光板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装置
JP4562795B2 (ja) ロール原反及びロール原反製造方法
TWI457616B (zh) The manufacturing method of laminated film
JP6184637B1 (ja) 光学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980035B1 (ko) 편광자의 제조 방법
JP2017211643A (ja) 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偏光板の製造方法
TWI581039B (zh) 光學膜片組及防止黏片的方法
TWI666474B (zh) 附保護膜之光學膜的製造方法
CN106896441B (zh) 光学膜片及其制造方法
JP6772369B2 (ja) 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22093634A (ja) 偏光板の製造方法
JP7284141B2 (ja) 偏光板
JP2018063445A (ja) 光学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380204B1 (ko) 편광판의 결함 제거방법 및 그 방법이 구현된 시스템
KR102350662B1 (ko) 광학필름 재단장치
TWI842838B (zh) 偏光板
JP2017213611A (ja) 光学フィルム積層体のスリット装置及びスリット方法
JP2023021351A (ja) 巻き取りロールおよび該巻き取りロールに巻き取られた光学フィルムロール
JPWO2018061364A1 (ja) 粘着テープ巻回体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