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0662B1 - 광학필름 재단장치 - Google Patents

광학필름 재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0662B1
KR102350662B1 KR1020170123184A KR20170123184A KR102350662B1 KR 102350662 B1 KR102350662 B1 KR 102350662B1 KR 1020170123184 A KR1020170123184 A KR 1020170123184A KR 20170123184 A KR20170123184 A KR 20170123184A KR 102350662 B1 KR102350662 B1 KR 1023506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optical film
blade
central axis
knif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3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4765A (ko
Inventor
김영태
홍유식
Original Assignee
산진 옵토일렉트로닉스 (쑤저우)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진 옵토일렉트로닉스 (쑤저우)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산진 옵토일렉트로닉스 (쑤저우)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20170123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0662B1/ko
Publication of KR20190034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47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0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0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1/40Cutting-out; Stamping-out using a press, e.g. of the ram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006Cutting memb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1/44Cutters therefor; Die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학필름의 재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광학필름을 재단하기 위한 재단장치로서, 프레스; 및 프레스에 장착된 나이프를 포함하며, 나이프는 프레스의 이동방향에 평행한 중심축을 갖고, 광학필름과 접촉하며 재단하는 절삭면의 적어도 일부가 중심축과 평행하게 마련된 광학필름 재단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광학필름 재단장치{Cutting apparatus for optical film}
본 발명은 광학필름 재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학 필름, 예를 들어,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되는 편광판은, 편광자를 얻는 공정, 편광자 보호층을 적층하는 공정, 및 보호 필름이나 이형 필름을 적층하는 공정을 통해 제조된다.
편광자를 얻는 공정에서는 주로 폴리비닐알코올(PVA) 필름을 염색 및 연신하여 편광자를 얻는다. 편광자 보호층을 적층하는 공정에서는 상기 편광자의 양면에 점착제(예를 들어, PSA)를 통해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필름을 부착하여 편광자 보호층을 적층한다.
롤 투 롤(Roll to roll) 공정으로 양산된 편광판 제품을 디스플레이 패널 크기로 만드는 공정은, 재단 공정과 면취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도 1은 일반적인 광학필름의 재단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2 및 3은 도 1의 재단장치로 재단 시 편광판의 불량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들이며, 도 4는 재단장치에 사용되는 칼날의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광학필름 재단장치(10)는 프레스(20), 나이프(40) 및 스폰지와 같은 완충부재(30)를 포함한다.
나이프(40)는 프레스(20)에 장착된 지그(42) 및 지그(42)에 장착된 칼날(41)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스(20)의 하향 이동에 따라 칼날(41)이 이동하면, 광학필름(11, 예를 들어 편광판)의 재단이 이루어진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칼날(41)은 단도 또는 이단도일 수 있다.
재단 시 광학필름(11)은 하드 플레이트(13) 및 기판(12) 상에 놓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칼날(41)은 재단시 광학필름(11)과 접촉하는 절삭면(41a)이 칼날(41)의 중심축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이다. 즉, 칼날(41)은 칼날(41)의 폭이 재단방향(하향)을 따라 좁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도 2의 A영역에서와 같이, 광학필름의 들뜸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들뜸은 면취 시 그대로 남아 불량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은 광학필름의 재단시 들뜸을 방지할 수 있는 광학필름 재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광학필름을 재단하기 위한 재단장치로서, 프레스; 및 프레스에 장착된 나이프를 포함하며, 나이프는 프레스의 이동방향에 평행한 중심축을 갖고, 광학필름과 접촉하며 재단하는 절삭면의 적어도 일부가 중심축과 평행하게 마련된 광학필름 재단장치가 제공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와 관련된 광학필름의 재단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재단 시, 광학필름에 좌우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들뜸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광학필름의 재단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 및 3은 도 1의 재단장치로 재단 시 편광판의 불량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들이다.
도 4는 재단장치에 사용되는 칼날의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광학필름의 재단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의 재단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광학필름의 재단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들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광학필름의 재단장치는, 면취 공정 이전에, 광학필름(예를 들어, 편광판)을 재단하기 위한 재단장치로서, 프레스(20, 도 1 참조) 및 프레스(20)에 장착된 나이프(100)를 포함한다.
나이프(100)는 프레스(20)의 이동방향(예를 들어, 도 1을 기준으로 하향 이동)에 평행한 중심축(C)을 갖고, 광학필름(11)과 접촉하며 재단하는 절삭면(111, 121)의 적어도 일부가 중심축(C)과 평행하게 마련된다.
또한, 나이프(110)는 광학필름(11)의 재단 시 나이프에 의해 분리되는 양면에 각각 접촉하는 제1 칼날(110) 및 제2 칼날(1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칼날(110) 및 제2 칼날(120)은 각각 광학필름과 접촉하며 재단하는 제1 및 제2 절삭면(111, 121)을 갖는다. 이때, 제1 및 제2 절삭면(111, 121)은 적어도 일부가 중심축(C)과 평행하게 마련된다. 또한, 제1 및 제2 절삭면(111, 121)은 재단되는 광학필름의 두께 이상의 길이만큼 중심축(C)과 평행하게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재단 시, 광학필름의 재단에 관여하는 제1 및 제2 절삭면(111, 121)의 전체 영역은 중심축(C)과 평행하게 마련된다.
또한, 제1 칼날(110)과 제2 칼날(120)은 중심축(C)을 기준으로 대칭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칼날(110)과 제2 칼날(120)은 제1 절삭면(111) 및 제2 절삭면(121)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칼날(110)은 제1 절삭면(111)의 하부 영역에서 중심축 측으로 상향 연장된 제1 연결면(112)을 갖고, 제2 칼날(120)은 제2 절삭면(121)의 하부 영역에서 중심축 측으로 상향 연장된 제2 연결면(122)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절삭면(111)과 제1 연결면(112)은 소정 각도(θ)로 기울어지고, 제2 절삭면(121)과 제2 연결면(122)은 소정 각도(θ)로 기울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절삭면(111)과 제1 연결면(112)은 제1 절삭면(111)에서 중심축(C)을 향하는 방향으로 예각으로 기울어지고, 제2 절삭면(121)과 제2 연결면(122)은 제2 절삭면(121)에서 중심축(C)을 향하는 방향으로 예각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면(112)과 제2 연결면(122)은 중심축에서 만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1 연결면(112) 및 제2 연결면(122)은 평면 또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나이프(100)는 제1 연결면(112) 및 제2 연결면(122)은 평면인 경우이고, 도 7에 도시된 나이프(100')는 제1 칼날(110')과 제2 칼날(120')의 제1 연결면(112) 및 제2 연결면(122)은 곡면인 경우이다.
또한, 광학필름의 재단장치는 제1 칼날(110)과 제2 칼날(120) 사이, 제1 칼날(110) 외곽, 및 제2 칼날(120) 외곽에 배치되며, 압축 가능한 재질의 완충부재(31, 3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가로축의 1, 2, 3은 각각 도 3에 도시된 칼날(41)로 재단한 경우의 PSA(PVA와 TAC 사이의 점착제) 파손지점을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 가로축의 1은 단도(도 4의 (a)참조)로서, 중심축에 대한 절삭면의 각도가 28도인 칼날을 나타내고, 가로축의 2는 단도(도 4의 (a)참조)로서, 중심축에 대한 절삭면의 각도가 19도인 칼날을 나타내며, 가로축의 3은 단도(도 4의 (a)참조)로서, 중심축에 대한 절삭면의 각도가 14도인 칼날을 나타낸다. 또한, 가로축의 4는 이단도(도 4의 (b)참조)인 칼날을 나타내고, 가로축의 5는 본 발명에서 설명한 나이프(100)를 나타내며, 중심축에 대한 절삭면의 각도가 28도인 경우를 나타낸다.
또한, 세로축의 normalized value는 가로축의 1의 결과를 기준으로, 나머지 값을 플롯(plot)한 것으로서, 점착제(PSA)의 파손 길이를 의미한다.
가로축의 1, 2, 3 결과를 참조하면, 중심축에 대한 절삭면의 각도가 작아질수록, 즉 평행에 가까워질수록, 대체적으로 성능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고, 가로축의 5의 결과가 PSA 파손지점이 제일 짧아져 재단 시 들뜸이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광학필름 재단장치
30, 31: 완충부재
100, 100': 나이프

Claims (10)

  1. 광학필름을 재단하기 위한 재단장치로서,
    프레스; 및
    프레스에 장착된 나이프를 포함하며,
    나이프는 프레스의 이동방향에 평행한 중심축을 갖고, 광학필름과 접촉하며 재단하는 절삭면의 적어도 일부가 중심축과 평행하게 마련되며,
    나이프는 광학필름의 재단 시 나이프에 의해 분리되는 양면에 각각 접촉하는 제1 칼날 및 제2 칼날을 포함하며,
    제1 칼날 및 제2 칼날은 각각 광학필름과 접촉하며 재단하는 제1 및 제2 절삭면을 갖고,
    제1 및 제2 절삭면은 재단되는 광학필름의 두께 이상의 길이만큼 각각 중심축과 평행하게 마련되고,
    제1 칼날과 제2 칼날은 제1 절삭면 및 제2 절삭면이 연결되고,
    제1 칼날은 제1 절삭면의 하부 영역에서 중심축 측으로 상향 연장된 제1 연결면을 가지며,
    제2 칼날은 제2 절삭면의 하부 영역에서 중심축 측으로 상향 연장된 제2 연결면을 갖고,
    제1 칼날과 제2 칼날 사이, 제1 칼날 외곽, 및 제2 칼날 외곽에는 압축 가능한 재질의 완충부재가 각각 배치되며,
    재단 시, 광학필름의 재단에 관여하는 제1 및 제2 절삭면의 전체 영역은 중심축과 평행하게 마련되고,
    제1 절삭면과 제1 연결면은 제1 절삭면에서 중심축을 향하는 방향으로 예각으로 기울어지고,
    제2 절삭면과 제2 연결면은 제2 절삭면에서 중심축을 향하는 방향으로 예각으로 기울어진 광학필름 재단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제1 칼날과 제2 칼날은 중심축을 기준으로 대칭된 형상을 갖는 광학필름 재단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제1 연결면과 제2 연결면은 중심축에서 만나는 광학필름 재단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제1 연결면 및 제2 연결면은 평면 또는 곡면으로 형성된 광학필름 재단장치.
  10. 삭제
KR1020170123184A 2017-09-25 2017-09-25 광학필름 재단장치 KR102350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184A KR102350662B1 (ko) 2017-09-25 2017-09-25 광학필름 재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184A KR102350662B1 (ko) 2017-09-25 2017-09-25 광학필름 재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4765A KR20190034765A (ko) 2019-04-03
KR102350662B1 true KR102350662B1 (ko) 2022-01-14

Family

ID=66164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3184A KR102350662B1 (ko) 2017-09-25 2017-09-25 광학필름 재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066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42445A (ja) * 2004-11-22 2006-06-08 Nitto Denko Corp 積層体の切断方法、積層体の切断装置及び積層体の切断用台座
JP2013083707A (ja) * 2011-10-06 2013-05-09 Mitsubishi Rayon Co Ltd 光学シートの製造方法および光学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81801B2 (ja) * 1995-11-30 2005-08-10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写真フイルム穿孔用パン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42445A (ja) * 2004-11-22 2006-06-08 Nitto Denko Corp 積層体の切断方法、積層体の切断装置及び積層体の切断用台座
JP2013083707A (ja) * 2011-10-06 2013-05-09 Mitsubishi Rayon Co Ltd 光学シートの製造方法および光学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4765A (ko) 2019-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82918B (zh) 偏光板之製造方法及其製造裝置
KR102172966B1 (ko) 절삭 가공 방법
JP4662357B2 (ja) 光学フィルムシートの切断方法、および光学フィルムシートの切断装置
TW201144244A (en) Cutter wheel, scribing method and cutting method for fragile material substrate using the cutter whe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utter wheel
TWI783983B (zh) 經非直線加工之附黏著劑層之光學積層體之製造方法
KR102652292B1 (ko) 절삭 가공된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
US11022735B2 (en) Method of producing polarizing plate
US10914868B2 (en) Polarizing plate
EP1868016A1 (en) Polarizing plate manufacturing method and polarizing plate manufacturing equipment
KR20180041614A (ko) 광학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102350662B1 (ko) 광학필름 재단장치
JP6420511B1 (ja) 枚葉フィルムの製造方法
TWI461760B (zh) 偏光膜的裁切方法及其裁切系統
KR20190138786A (ko)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화상 표시 장치
JP6209015B2 (ja) 切断装置及び切断方法
KR101877462B1 (ko) 디스플레이 패널 절단 방법
TWI842838B (zh) 偏光板
JP7213834B2 (ja) 積層体の端面を加工する方法、及び、端面加工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102448997B1 (ko) 필름 절단기의 칼날
JP6581033B2 (ja) 液晶装置用偏光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584064B1 (ko) 편광판의 제조 방법
WO2019232986A1 (zh) 一种导向装置及切割设备
TW202041897A (zh) 偏光板
KR101717846B1 (ko) 재단 제품의 생산방법 및 재단 시스템
JP2011242749A (ja) 偏光板の検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1000431;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10219

Effective date: 20211130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