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8621A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8621A
KR20180038621A KR1020160129296A KR20160129296A KR20180038621A KR 20180038621 A KR20180038621 A KR 20180038621A KR 1020160129296 A KR1020160129296 A KR 1020160129296A KR 20160129296 A KR20160129296 A KR 20160129296A KR 20180038621 A KR20180038621 A KR 201800386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electrode
dummy
region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9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6664B1 (ko
Inventor
배성환
송승기
유찬솔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9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6664B1/ko
Priority to US15/711,268 priority patent/US11194187B2/en
Publication of KR20180038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8621A/ko
Priority to US17/543,559 priority patent/US20220091454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6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66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6Combining plural substrates to produce large-area displays, e.g. tiled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 G02F1/13398Spacer materials; Spacer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8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with constructional differences between the display region and the peripheral region
    • G02F2001/13398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12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electrode
    • G02F2201/123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electrode pixe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6Video wall, i.e. juxtaposition of a plurality of screens to create a display screen of bigger dimens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04Matrix technologies
    • G09G2300/0413Details of dummy pixels or dummy lines in flat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32Special driving of display border are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Abstract

표시장치는, 표시영역, 주변영역, 및 상기 표시영역과 상기 주변영역 사이의 중간영역이 정의된 제1 베이스기판 및 상기 표시영역에 중첩하는 화소회로를 포함하는 제1 표시기판, 상기 제1 베이스기판과 이격된 제2 베이스기판을 포함하는 제2 표시기판, 상기 표시영역에 중첩되어 상기 제1 베이스기판 및 상기 제2 베이스기판 사이에 배치되며, 각각이 액정층, 공통전극, 상기 화소회로에 연결된 화소전극을 포함하는 표시소자들, 상기 중간영역에 중첩되어 상기 제1 베이스기판 및 상기 제2 베이스기판 사이에 배치되며, 서로 전계를 형성하는 제1 더미전극과 제2 더미전극을 포함하는 더미표시소자, 상기 주변영역에 중첩되고 상기 제1 표시기판 및 상기 제2 표시기판 사이를 밀봉하는 밀봉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주변영역, 표시영역, 및 주변영역과 표시영역 사이의 중간영역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장치는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과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에 연결된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한 표시패널을 포함한다. 또한, 표시장치는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에 대응하는 게이트 신호들을 제공하는 게이트 구동회로 및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들을 출력하는 데이터 구동회로를 포함한다.
한편, 표시패널은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영역, 표시영역에 인접하며 구동회로들이 배치된 주변영역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주변영역은 표시장치의 베젤영역을 의미하며, 최근 들어 이러한 베젤영역을 줄이기 위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특히, 다수의 표시패널들을 통해 하나의 영상이 표시될 경우, 각 표시패널마다의 베젤영역으로 인해 하나의 영상이 분할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가 영상을 시인할 때 불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주변영역 및 표시영역 사이의 중간영역을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영역, 주변영역, 및 상기 표시영역과 상기 주변영역 사이의 중간영역이 정의된 제1 베이스기판 및 상기 표시영역에 중첩하는 화소회로를 포함하는 제1 표시기판, 상기 제1 베이스기판과 이격된 제2 베이스기판을 포함하는 제2 표시기판, 상기 표시영역에 중첩되어 상기 제1 베이스기판 및 상기 제2 베이스기판 사이에 배치되며, 각각이 액정층, 공통전극, 상기 화소회로에 연결된 화소전극을 포함하는 표시소자들, 상기 중간영역에 중첩되어 상기 제1 베이스기판 및 상기 제2 베이스기판 사이에 배치되며, 서로 전계를 형성하는 제1 더미전극과 제2 더미전극을 포함하는 더미표시소자, 상기 주변영역에 중첩되고 상기 제1 표시기판 및 상기 제2 표시기판 사이를 밀봉하는 밀봉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화소전극에는 복수의 영상전압들 중 대응하는 어느 하나의 영상전압이 상기 화소회로를 통해 제공되며, 상기 제1 더미전극에는 상기 영상전압들을 기반으로 생성된 중간전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중간전압은 상기 영상전압들의 평균에 해당하는 전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중간전압은, 상기 표시영역에 중첩된 표시소자들 중 상기 중간영역에 가장 인접하며 상기 표시영역의 최외곽에 배치된 표시소자들의 화소전극들에 각각 제공되는 영상 전압들의 평균에 해당하는 전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표시기판은 상기 제1 더미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더미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더미라인에 상기 중간전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화소전극은 상기 제1 베이스기판 상에 배치되며, 상기 공통전극은 상기 제2 베이스기판 상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공통전극은 상기 중간영역에 더 중첩하며, 상기 공통전극은 상기 제2 더미전극과 일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영역과 상기 중간영역을 노출하고 상기 주변영역에 중첩하는 블랙 매트릭스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평면상에서, 상기 밀봉부재의 내측은 상기 블랙 매트릭스의 내측과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밀봉부재는 블랙 색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화소전극 및 상기 공통전극 각각은 상기 제1 베이스기판 상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화소전극에는 복수의 영상전압들 중 대응하는 어느 하나의 영상전압이 상기 화소회로를 통해 제공되며, 상기 제1 더미전극에는 상기 영상전압들의 평균값을 갖는 중간전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공통전극 및 상기 제2 더미전극 각각에는 동일한 전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공통전극은 상기 중간영역에 더 중첩하며, 상기 공통전극은 상기 제2 더미전극과 일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더미전극은 복수 개로 제공되며, 상기 복수 개의 제1 더미전극들에는 서로 다른 중간전압이 각각 제공되며, 상기 제2 더미전극 및 상기 공통전극에는 공통전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표시기판은 상기 복수 개의 제1 더미전극들과 각각 연결된 복수 개의 더미라인들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표시기판 및 상기 제2 표시기판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표시영역에 중첩하는 컬러필터를 더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영역, 주변영역, 및 상기 표시영역과 상기 주변영역 사이의 중간영역이 정의되고, 상기 표시영역에 중첩된 복수의 화소들 및 상기 중간영역에 중첩된 더미표시소자를 포함하는 표시패널, 복수의 영상신호들 및 상기 영상신호들을 기반으로 생성된 중간전압을 출력하는 신호 제어부, 상기 영상신호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영상전압들 및 상기 중간전압을 상기 표시패널에 제공하는 데이터 구동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더미표시소자는 서로 전계를 형성하는 제1 더미전극 및 제2 더미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더미전극은 상기 중간전압을 수신하며, 상기 제2 더미전극은 공통전압을 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며, 상기 신호 제어부는 상기 중간전압을 생성하는 계조 판별부를 포함하고, 상기 계조 판별부는 상기 영상신호들의 평균 계조에 기반하여 상기 중간전압을 생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며, 상기 표시패널은 복수 개로 제공되며, 상기 복수 개의 표시패널들 각각은 상기 표시영역에 중첩된 복수의 화소들 및 상기 중간영역에 중첩된 더미표시소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장치는 주변영역 및 표시영역 사이의 중간영역을 포함한다. 특히, 표시장치는 표시영역을 통해 표시된 영상의 계조에 기반하여, 중간영역을 통해 특정 계조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처럼, 표시장치의 중간영역을 통해 특정 계조의 영상이 표시됨에 따라, 표시장치의 베젤영역이 전반적으로 축소된 착시 현상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화소의 회로도이다.
도 4는 도 3a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패널을 보여주는 일 예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패널을 보여주는 다른 예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3a에 도시된 I-I’를 따라 절단된 표시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 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전자장치(ED)의 일례로써 모니터를 도시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플랫한 표시면(DS)을 제공하는 모니터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ED)는 곡면의 표시면을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노트북, 텔레비전과 같은 중-대형 전자장치를 비롯하여, 휴대 전화, 테블릿, 게임기, 스마트 와치 등과 같은 소형 전자장치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전자장치(ED)는 제1 방향(DR1)과 제2 방향(DR2)이 정의하는 표시면(DS)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면(DS)의 법선 방향, 즉 전자장치(ED)의 두께 방향은 제3 방향(DR3)이 지시한다. 각 부재들의 전면(또는 상면)과 배면(또는 하면)은 제3 방향(DR3)에 의해 구분된다. 그러나, 제1 내지 제3 방향들(DR1, DR2, DR3)이 지시하는 방향은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다른 방향으로 변환될 수 있다. 이하, 제1 내지 제3 방향들은 제1 내지 제3 방향들(DR1, DR2, DR3)이 각각 지시하는 방향으로 동일한 도면 부호를 참조한다.
한편, 전자장치(ED)는 표시면(DS)을 제공하는 윈도우 및 윈도우와 결합된 보호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보호커버는 전자장치(ED)를 전반적으로 커버할 수 있다. 전자장치(ED)는 보호커버의 내측에 배치된 표시장치와 전자모듈 등을 더 포함한다. 또한, 윈도우는 보호커버의 내측에 수용된 표시장치와 결합될 수 있다. 윈도우는 글래스 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일 수 있다. 보호커버는 플라스틱 조립체, 금속 조립체, 또는 플라스틱-금속 조립체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표시장치(DD)는 탑샤시(TC), 표시패널(DP), 광학시트(PS), 및 바텀샤시(BC)를 포함한다.
탑샤시(TC)는 표시패널(DP) 상부에 배치되며, 중앙에 정의된 홀(OP)을 둘러싸는 테두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탑샤시(TC)는 표시패널(DP)의 측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일측을 커버하는 형상을 가지거나 또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표시장치(DD)는 영상을 투과시키는 윈도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윈도우 부재는 탑샤시(TC) 상부 또는 ?E사시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바텀샤시(BC)는 표시패널(DP) 하부에 배치되며, 표시패널(DP) 및 광학시트(PS)를 수납할 수 있다. 바텀샤시(BC)는 탑샤시(TC)와 결합될 수 있다.
표시패널(DP)은 탑샤시(TC) 및 광학시트(PS)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패널(DP)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액정 표시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플라즈마 표시 패널(plasma display panel), 전기영동 표시 패널(electrophoretic display panel), MEMS 표시 패널(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display panel) 및 일렉트로웨팅 표시 패널(electrowetting display panel) 등일 수 있다. 이하에서, 일 예로 본 발명의 표시패널(DP)은 액정표시패널인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실시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자세하게, 표시패널(DP)은 제1 표시기판(ST1), 제2 표시기판(ST2), 및 제1 표시기판(ST1) 및 제2 표시기판(ST2) 사이에 배치된 액정층(미도시)을 포함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 표시기판(ST1)에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복수의 화소들, 화소들을 구동하기 위한 복수의 구동라인들, 및 화소전극들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표시기판(ST2)에는 컬러 필터 및 공통 전극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컬러필터 및 공통전극이 제2 표시기판(ST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컬러필터 및 공통전극은 실시 예에 따라 제1 표시기판(ST1)에 배치될 수도 있다. 액정층은 화소전극 및 공통전극 간의 전압 차이에 기반하여 제어될 수 있다.
한편, 표시패널(DP)이 액정표시패널 외에 다른 표시패널일 경우, 이러한 액정층은 생략될 수 있으며, 제1 표시기판(ST1) 및 제2 표시기판(ST2)에 배치되는 구성 또한 달라질 수 있다. 일 예로, 표시패널(DP)이 유기전계발광 표시패널로 구현될 경우, 제1 표시기판(ST1) 및 제2 표시기판(ST2) 사이에 액정층이 배치되지 않으며, 제1 표시기판(ST1) 상에 발광유닛소자들이 배치될 수 있다.
표시패널(DP)은 표시영역(DA), 주변영역(PA), 및 표시영역(DA)과 주변영역(PA) 사이의 중간영역(IA)을 포함한다. 표시영역(DA)은 표시패널(DP)로부터 출력된 영상이 시인되는 영역일 수 있으며, 주변영역(PA)은 영상이 시인되지 않는 구동회로들이 배치된 영역일 수 있다. 즉, 주변영역(PA)은 베젤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일 예로, 주변영역(PA)이 표시영역(DA)을 둘러싸는 것으로 설명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주변영역(PA)은 표시영역(DA)에 인접하게 배치된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한편, 기존의 경우, 도 2에 도시된 중간영역 및 주변영역은 외부로 영상이 시인되지 않는 베젤영역으로 정의된다. 이 경우, 제1 표시기판 또는 제2 표시기판에 중간영역 및 주변영역에 중첩하는 블랙 매트릭스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 개의 표시패널들을 통해 하나의 영상을 표시하는 전자장치의 경우, 표시패널들 사이의 베젤영역으로 인해 하나의 영상이 복수 개의 영상들로 구분되어 보일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가 영상을 시인하는 데 불편함을 가질 수 있다. 베젤영역이 넓을수록 영상은 더 구분되어 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패널(DP)은 표시영역(DA)을 통해 영상을 표시하며, 중간영역(IA)을 통해 특정 계조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중간영역(IA)을 통해 표시되는 영상은 표시영역(DA)을 통해 표시되는 영상의 계조에 기반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중간영역(IA)을 통해 표시되는 영상은 표시영역(DA)을 통해 표시되는 영상과는 다르게, 하나의 계조를 기반으로 생성된 영상일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블랙 색상을 갖는 베젤영역 및 표시영역 간의 경계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표시영역(DA) 및 중간영역(IA) 간의 경계가 덜 구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DD)는 특정 계조를 표시하는 중간영역(IA)을 통해 베젤영역이 축소된 착시 현상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중간영역(IA)으로부터 특정 계조의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중간영역(IA)에 중첩하도록 더미전극(도 5a참조)이 제1 표시기판(ST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액정층은 더미전극 및 공통전극 간의 전압 차이에 기반하여 제어될 수 있다.
한편, 표시패널(DP)이 중간영역(IA)을 통해 어느 하나의 계조에 기반한 영상을 표시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1 표시기판(ST1)에 중간영역(IA)에 중첩하는 복수 개의 더미전극들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 개의 더미전극들 각각에 의해, 서로 다른 계조의 영상이 중간영역(IA)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중간영역(IA)에 배치된 더미전극에 대해서는 추후에 자세히 설명된다.
광학시트(PS)는 표시패널(DP) 및 바텀샤시(BC) 사이에 배치된다. 일 예로, 광학시트(PS)는 입사된 광을 확산시키는 확산시트 및 광을 집광하는 프리즘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지만, 표시장치(DD)는 광을 생성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이 표시패널(DP)에 광을 제공함에 따라, 표시패널(DP)의 표시영역(DA) 및 중간영역(IA)을 통해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화소의 회로도이다.
도 3a 및 3b를 참조하면, 제1 표시기판(ST1)은 복수 개의 게이트 라인들(GL1~GLn) 및 게이트 라인들(GL1~GLn)과 교차하는 복수 개의 데이터 라인들(DL1~DLm)을 포함한다. 또한, 제1 표시기판(ST1)은 게이트 라인들(GL1~GLn) 및 데이터 라인들(DL1~DLm)에 연결된 복수 개의 화소들(PX11~PXnm)을 포함한다. 복수 개의 게이트 라인들(GL1~GLn)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게이트 구동회로(미도시)에 연결된다. 복수 개의 데이터 라인들(DL1~DLm)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구동회로(DDC)에 연결된다.
한편, 이하 본 발명의 설명에 따르면, 데이터 구동회로 및 게이트 구동회로가 복수 개로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데이터 구동회로 및 게이트 구동회로 각각은 한 개의 단일 구동유닛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장치(DD)는 모바일 폰과 같은 소형의 전자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게이트 구동회로는 박막공정을 통해 화소들(PX11~PXnm)과 제1 표시기판(ST1) 상에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게이트 구동회로는 주변영역(PA)에 ASG(Amorphous Silicon TFT Gate driver circuit) 형태 또는 OSG(Oxide MSmiconductor TFT Gate driver circuit) 형태로 실장 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게이트 구동회로는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CP: Tape Carrier Package) 타입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도 3a에는 복수 개의 게이트 라인들(GL1~GLn) 중 일부와 복수 개의 데이터 라인들(DL1~DLm) 중 일부만이 도시되었다. 또한, 도 3a에는 복수 개의 화소들(PX11~PXnm) 중 일부만이 도시되었다. 복수 개의 화소들(PX11~PXnm)은 복수 개의 게이트 라인들(GL1~GLn) 중 대응하는 게이트 라인 및 복수 개의 데이터 라인들(DL1~DLm) 중 대응하는 데이터 라인에 각각 연결된다.
복수 개의 화소들(PX11~PXnm)은 표시하는 컬러에 따라 복수 개의 그룹들로 구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화소들(PX11~PXnm)은 주요색(primary color) 중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주요색은 레드, 그린, 블루, 및 화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주요색은 옐로우, 시안, 마젠타 등 다양한 색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복수 개의 화소들(PX11~PXnm) 중 어느 하나의 화소, 데이터 라인들(DL1~DLm) 중 어느 하나의 데이터 라인(DLj), 및 게이트 라인들(GL1~GLn) 중 어느 하나의 게이트 라인(GLi)이 도시되었다. 여기서, i 및 j는 자연수일 수 있다.
화소는 화소회로(PC) 및 화소회로(PC)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표시소자(DC)를 포함할 수 있다. 화소회로(PC)는 박막 트랜지스터(TFT)일 수 있으며, 박막 트랜지스터(TFT)는 제1 내지 제3 전극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제1 전극은 게이트 라인(GLi)에 연결되며, 제2 전극은 데이터 라인(DLj)에 연결된다.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제3 전극은 표시소자(DC)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전극은 게이트 전극일 수 있으며, 제2 전극은 드레인 전극일 수 있으며, 제3 전극은 소스 전극일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2 전극이 소스 전극일 수 있으며, 제3 전극이 드레인 전극일 수 있다.
게이트 라인(GLi)을 통해 제공된 게이트 신호가 제1 전극에 제공됨에 따라, 박막 트랜지스터(TFT)는 턴-온(turn-on)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TFT)가 턴-온됨에 따라, 데이터 라인(DLj)을 통해 제공된 영상전압이 제2 전극을 통해 제3 전극으로 전달될 수 있다.
표시소자(DC)는 액정 캐패시터(clc) 및 스토리지 캐패시터(cst)를 포함할 수 있다. 액정 캐패시터(clc)는 화소전극 및 공통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화소전극은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제3 전극과 연결될 수 있다. 그 결과,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제3 전극에 전달되는 영상전압이 화소전극에 제공될 수 있다. 공통전극에는 공통전압(Vcom)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공통전압(Vcom)은 접지전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다.
표시소자(DC)는 화소전극 및 공통전극 사이에 배치된 액정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상술된 바와 같이, 액정층은 화소전극에 전달된 영상전압 및 공통전극에 전달된 공통전압(Vcom) 간의 전압 차이에 기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스토리지 캐패시터(cst)는 액정 캐패시터(clc)에 병렬 연결될 수 있다. 스토리지 캐패시터(cst)는 제1 스토리지 전극 및 제2 스토리지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토리지 전극에는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제3 전극을 통해 전달된 영상전압이 제공되며, 제2 스토리지 전극에는 스토리지 전압(Vcst)이 제공된다. 한편, 스토리지 캐패시터(cst)가 액정 캐패시터(clc)에 연결된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실시 예에 따라 스토리지 캐패시터(cst)는 생략될 수 있다.
다시 도 3a를 참조하면, 신호 제어부(SC)는 메인 회로기판(PB)에 실장될 수 있다. 신호 제어부(SC)는 외부의 그래픽 제어부(미도시)로부터 영상신호 및 제어신호를 수신한다. 제어신호는 프레임 구간들을 구별하는 신호인 수직 동기 신호, 수평 구간들을 구별하는 신호, 즉 행 구별 신호인 수평 동기 신호, 데이터가 들어오는 구역을 표시하기 위해 데이터가 출력되는 구간 동안만 하이 레벨인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 및 클록 신호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어신호는 게이트 구동회로 및 데이터 구동회로(DDC)를 구동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구동 신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제어부(SC)는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게이트 구동회로를 제어하는 게이트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게이트 구동회로에 전달한다. 신호 제어부(SC)는 데이터 구동회로(DDC)를 제어하는 데이터 제어신호 및 영상신호를 데이터 구동회로(DDC)에 전달한다.
게이트 구동회로는 게이트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게이트 신호들을 생성한다. 게이트 구동회로는 게이트 신호들을 게이트 라인들(GL1~GLn)에 출력한다. 게이트 신호들은 수평 구간들에 대응하게 순차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일 예로서, 게이트 구동회로는 제2 방향(DR2)으로 나열되며 복수 개로 제공된다. 게이트 구동회로는 제1 표시기판(ST1)의 제1 측면(S1) 또는 제2 측면(S2)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게이트 구동회로는 제1 표시기판(ST1)의 제1 측면(S1) 및 제2 측면(S2) 양측 모두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표시기판(ST1)의 제1 측면(S1) 및 제2 측면에 배치된 두 개의 게이트 구동회로들로부터 게이트 신호들이 게이트 라인들(GL1~GLn)에 각각 출력될 수 있다.
데이터 구동회로(DDC)는 제1 방향(DR1)으로 나열되며 복수 개로 제공되어, 표시패널(DP)의 제1 표시기판(ST1)에 연결될 수 있다. 데이터 구동회로(DDC)는 신호 제어부(SC)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제어신호를 기반으로, 신호 제어부(SC)로부터 제공된 영상신호들에 대응하는 영상전압들을 생성한다. 데이터 구동회로(DDC)는 영상전압들을 복수 개의 데이터 라인들(DL1~DLm)에 출력한다.
데이터 구동회로(DDC)는 데이터 구동칩(DIC) 및 데이터 구동칩(DIC)을 실장하는 연성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이하: DCB)을 포함할 수 있다. 연성회로기판(DCB)은 메인 회로기판(PB)과 제1 표시기판(ST1)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복수 개의 구동칩들(DC)은 복수 개의 데이터 라인들(DL1~DLm) 중 대응하는 데이터 라인들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들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따르면, 데이터 구동회로(DDC)는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CP: Tape Carrier Package) 타입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데이터 구동칩(DIC)은 칩-온 글래스(Chip On Glass) 방식을 기반으로 제1 표시기판(ST1) 상에 직접 실장될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터 구동칩(DIC)은 제1 표시기판(ST1)의 주변영역(PA)에 실장될 수 있다.
메인 회로기판(PB)은 연성회로기판들(DCB)의 일단에 연결되고, 표시패널(DP)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표시패널(DP)의 배면은 영상이 직접적으로 시인되는 표시패널(DP)의 상면과 대향하는 면일 수 있다. 한편, 메인 회로기판(PB)은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플렉서블(flexible)한 성질을 가질 수 있다.
도 4는 도 3a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패널을 보여주는 일 예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패널을 보여주는 다른 예이다.
도 3a 및 도 4를 참조하면, 신호 제어부(SC)는 외부로부터 각 프레임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들을 수신하는 영상 신호 수신부(110) 및 계조 판별부(120)를 포함한다. 영상 신호 수신부(110)는 영상 데이터들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들을(RGB)을 출력할 수 있다. 영상 신호 수신부(110)는 영상신호들(RGB)을 데이터 구동회로(DDC) 및 계조 판별부(120)에 출력한다.
데이터 구동회로(DDC)는 영상신호들(RGB)을 수신하고, 영상신호들(RGB)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영상전압들(D1~Dm)을 생성한다. 데이터 구동회로(DDC)는 영상전압들(D1~Dm)을 표시패널(DP)에 출력한다. 영상전압들(D1~Dm)은 표시패널(DP)에 포함된 화소들(PX11~PXnm)에 각각 제공된다. 화소들(PX11~PXnm) 각각의 화소전극은 영상전압들(D1~Dm) 중 대응하는 영상전압을 제공받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계조 판별부(120)는 영상신호들(RGB)을 기반으로 중간전압(TEV)을 생성할 수 있다. 계조 판별부(120)로부터 생성된 중간전압(TEV)은 연성회로기판(DCB)을 통해 표시패널(DP)의 중간영역(IA)에 배치된 더미전극에 전달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표시기판(ST1)에는 더미전극 및 연성회로기판(DCB)을 연결하는 더미라인(TL)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중간전압(TEV)은 더미라인(TL)을 통해 연성회로기판(DCB)으로부터 더미전극에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영상신호들(RGB) 각각은 복수의 계조들 중 대응하는 어느 하나의 계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각 영상신호는 256 계조들 중 어느 하나의 계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중간전압(TEV)은 단일 프레임 동안 제공된 영상신호들(RGB)의 평균 계조에 대응하는 전압을 가질 수 있다. 즉, 중간전압(TEV)은 단일 프레임 동안 화소들(PX11~PXnm)에 제공된 영상전압들(D1~Dm)의 평균에 해당하는 전압일 수 있다. 따라서, 표시패널(DP)은 중간영역(IA)을 통해 단일 프레임 동안 제공된 영상신호들(RGB)의 평균 계조에 해당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패널(DP)은 표시영역(DA)의 제1 표시면(DS1)을 통해 제1 계조를 표시하며, 제2 표시면(DS2)을 통해 제2 계조를 표시한다. 여기서, 제1 계조는 화이트 계조에 근접한 색상일 수 있으며, 제2 계조는 블랙 계조에 근접한 색상일 수 있다. 이 경우, 표시패널(DP)은 중간영역(IA)을 통해 제1 계조 및 제2 계조의 평균에 해당하는 계조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계조가 255계조이며, 제2 계조가 0계조일 수 있다. 따라서, 표시패널(DP)은 중간영역(IA)을 통해 128 계조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중간전압(TEV)은 표시영역(DA)에 중첩된 화소들(PX11~PXnm) 중 중간영역(IA)에 가장 인접하며 표시영역(DA)의 최외곽에 중첩된 화소들에 각각 제공되는 영상전압들의 평균에 해당하는 전압일 수 있다. 따라서, 표시패널(DP)은 중간영역(IA)을 통해 표시영역(DA)의 테두리에 인접한 화소들로부터 출력된 영상의 평균 계조에 해당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패널(DP)은 표시영역(DA)의 제1 표시면(DS1)을 통해 제1 계조를 표시하며, 제2 표시면(DS2)을 통해 제2 계조를 표시한다. 여기서, 제1 계조는 화이트에 근접한 색상일 수 있으며, 제2 계조는 블랙 계조에 근접한 색상일 수 있다. 제1 표시면(DS1)에는 화소들(PX11~PXnm) 중 복수 개의 제1 화소들이 중첩되며, 제2 표시면(DS2)에는 화소들(PX11~PXnm) 중 복수 개의 제2 화소들이 중첩된다. 이 경우, 제2 화소들은 표시영역(DA)의 최외곽에 중첩된 화소들일 수 있다. 따라서, 표시패널(DP)은 중간영역(IA)을 통해 제2 계조에 해당하는 영상을 표시한다.
한편, 제2 표시면(DS2)을 통해 제2 계조가 표시되는 것으로 설명되나, 제2 표시면(DS2)을 통해 다양한 계조들이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패널(DP)은 중간영역(IA)을 통해 제2 표시면(DS2)을 통해 표시되는 계조들의 평균 계조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패널(DP)의 주변영역(PA)은 블랙 매트릭스에 의해 블랙 색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3a에 도시된 I-I’를 따라 절단된 표시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표시패널(DP)은 제1 표시기판(ST1), 제2 표시기판(ST2), 제1 표시기판(ST1)과 제2 표시기판(ST2) 사이에 배치된 액정층(LCL), 및 밀봉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표시기판(ST1)은 제1 베이스기판(BS1), 박막 트랜지스터(TFT), 및 표시소자(DC, 도 3b참조)에 포함된 화소전극(PE)을 포함한다. 제1 베이스기판(BS1) 상에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게이트 전극(GE)이 배치된다. 제1 베이스기판(BS1)은 투명 또는 불투명한 절연 기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베이스기판(BS1)은 실리콘 기판, 유리 기판, 및 플라스틱 기판일 수 있다.
제1 베이스기판(BS1) 상에 게이트 전극(GE)을 커버하도록 제1 절연막(INS1)이 배치된다. 제1 절연막(INS1)은 게이트 절연막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절연막(INS1)은 무기 물질을 포함하는 무기 절연막일 수 있다.
게이트 전극(GE)을 덮고 있는 제1 절연막(INS1) 상에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반도체 층(AL)이 배치된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반도체 층(AL)은 액티브 층 및 오믹 콘택층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 층(SM) 및 제1 절연막(INS1) 상에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드레인전극(DE) 및 소스전극(SE)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반도체 층(SM)은 드레인전극(DE) 및 소스전극(SE) 사이에서 전도 채널(conductive channel)을 형성한다. 또한, 제1 절연막(INS1) 상에 데이터 라인들(DLj) 및 더미라인(TL)이 배치된다. 더미라인(TL)은 더미전극(TE)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절연막(INS1) 상에 박막 트랜지스터(TFT), 데이터 라인들(DLj), 및 더미라인(TL)을 커버하도록 제2 절연막(INS2)이 배치된다. 제2 절연막(INS2)은 패시베이션(passivation)막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절연막(INS2)은 유기물질을 포함하는 유기 절연막일 수 있다. 제2 절연막(INS2)은 노출된 반도체 층(SM)의 상부를 커버 한다.
또한, 제2 절연막(INS2)을 관통하여 소스전극(SE)의 소정의 영역을 노출시키는 컨택홀(CH)이 형성된다. 표시영역(DA)에서, 제2 절연막(INS2) 상에 화소전극(PE)이 배치된다. 화소전극(PE)으로부터 분기된 연결전극(미도시)은 컨택홀(CH)을 통해 박막 트랜지스터(TTF)의 소스전극(SE)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중간영역(IA)에 중첩하도록 제2 절연막(INS2) 상에 더미전극(TE)이 배치될 수 있다. 더미전극(TE)은 제2 절연막(INS2) 상에 정의된 컨택홀(미도시)을 통해 더미라인(TL)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설명에 따르면, 더미전극(TE)이 제2 절연막(INS2) 상에 배치된 것으로 설명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더미전극(TE)은 제1 절연막(INS1) 상에 배치되어 더미라인(TL)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절연막(INS2) 상에 컨택홀이 정의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실시 예에 따라 화소전극(PE) 및 더미전극(TE)을 커버하도록 제3 절연막이 제2 절연막(INS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액정층(LCL)은 복수 개의 액정분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액정 분자들은 표시영역(DA) 및 중간영역(IA)에 중첩하도록 액정층(LCL)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표시기판(ST2)은 제2 베이스기판(BS2), 컬러필터(CF), 및 표시소자(DC)에 포함된 공통전극(CE), 및 블랙 매트릭스(BM)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베이스기판(BS2) 상에 적어도 중간영역(IA) 및 표시영역(DA)에 중첩하도록 공통전극(CE)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6a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공통전극(CE)이 중간영역(IA) 및 표시영역(DA)에 중첩하여 배치된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공통전극(CE)은 표시영역(DA)에 중첩하도록 제2 베이스기판(BS2) 상에 배치되며, 제2 더미전극이 중간영역(IA)에 중첩하도록 제2 베이스기판(BS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더미전극은 제1 더미전극(TE)과 전계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영역(DA)에 중첩하도록 컬러필터(CF)가 공통전극(CE)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도시되지 않았지만, 공통전극(CE) 및 컬러필터(CF) 사이에 절연막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상술된 바에 따르면, 중간영역(IA)에 중첩한 액정분자들은 더미전극(TE) 및 공통전극(CE) 간의 전계 차이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표시영역(DA)에 중첩한 액정분자들은 화소전극(PE) 및 공통전극(CE) 간의 전계 차이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특히, 표시영역(DA)을 통해 표시되는 제1 영상(IM1)은 컬러필터(CF)를 통해 외부로 표시된다. 이에 반해, 중간영역(IA)을 통해 표시되는 제2 영상(IM2)은 컬러필터(CF)를 통하지 않고 외부로 직접적으로 표시된다.
또한, 제2 베이스기판(BS2) 상에 표시영역(DA) 및 중간영역(IA)을 노출하며, 주변영역(PA)에 중첩하는 블랙 매트릭스(BM)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블랙 매트릭스(BM)는 주변영역(PA)을 통해 광이 외부로 출사되는 것을 방지한다.
밀봉부재(SB)는 주변영역(PA)에 중첩하며, 제1 표시기판(ST1) 및 제2 표시기판(ST2) 사이를 밀봉할 수 있다. 특히, 실시 예에 따르면, 평면상에서, 밀봉부재(SB)의 내측은 블랙 매트릭스(BM)의 내측과 정렬된다. 즉, 밀봉부재(SB)의 내측 및 블랙 매트릭스(BM)의 내측은 제3 방향(DR3)에서 정렬되며, 중간영역(IA)과의 경계를 정의할 수 있다.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표시패널(DP)과 비교하여 컬러필터(CF)의 구성이 달라졌을 뿐, 나머지 구성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나머지 구성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도 6b를 참조하면, 자세하게, 게이트 전극(GE)을 커버하는 제1 절연막(INSa)이 제1 베이스기판(BS1) 상에 배치된다. 드레인전극(DE), 소스전극(SE), 반도체 층(AL), 및 데이터 라인(DLj)을 커버하는 제2 절연막(INSb)이 제1 절연막(INSa) 상에 배치된다.
컬러필터(CF)는 표시영역(DA)에 중첩하도록 제2 절연막(INSb)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절연막(INSb) 상에 컬러필터(CF)를 커버하는 제3 절연막(INSc)이 배치될 수 있다. 화소전극(PE) 및 더미전극(TE)은 제3 절연막(INSc)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7a는 도 6a에 도시된 표시패널(DP)과 비교하여 밀봉부재(SB) 및 블랙 매트릭스(BM)의 구성이 달라졌을 뿐, 나머지 구성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나머지 구성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도 7a를 참조하면, 밀봉부재(SB)가 주변영역(PA)에 중첩하도록 제1 표시기판(ST1) 및 제2 표시기판(ST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밀봉부재(SB)는 주변영역(PA) 전체에 중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밀봉부재(SB)는 블랙 색상을 갖는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블랙 매트릭스(BM)는 생략될 수 있다. 즉, 밀봉부재(SB)가 블랙 매트릭스(BM)의 역할을 대체할 수 있다.
도 7b는 도 6a에 도시된 표시패널(DP)과 비교하여 공통전극(CE)의 구성이 달라졌을 뿐, 나머지 구성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나머지 구성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도 7b를 참조하면, 제1 베이스기판(BS1) 상에 게이트 전극(GE) 및 제어라인(CL)이 배치된다. 제1 절연막(INS1)은 게이트 전극(GE) 및 제어라인(CL)을 커버하도록 제1 베이스기판(BS1) 상에 배치된다.
제2 절연막(INS2)은 드레인전극(DE), 소스전극(SE), 반도체 층(AL), 및 데이터 라인(DLj)을 커버하도록 제1 절연막(INS1) 상에 배치된다. 제2 절연막(INS2) 상에 공통전극(CE)이 배치된다. 공통전극(CE)은 표시영역(DA)에 중첩한 제1 공통전극 및 중간영역(IA)에 중첩한 제2 더미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공통전극은 제2 절연막(INS2)에 정의된 제2 컨택홀(CH2)을 통해 제어라인(CL)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일 예로, 제어라인(CL)을 통해 접지전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1 공통전극 및 제2 더미전극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제1 공통전극이 제2 더미전극과 분리될 경우, 제2 더미전극에 공통전압을 인가할 더미라인이 제1 베이스기판(BS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절연막(INS3)은 공통전극(CE)을 커버하도록 제2 절연막(INS2) 상에 배치된다. 제3 절연막(INS3) 상에 제1 더미전극(TE) 및 화소전극(PE)이 배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화소전극(PE)은 제1 공통전극과 부분적으로 중첩되어, 제1 공통전극을 부분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다.
도 7b를 통해 공통전극(CE)이 제1 베이스기판(BS1) 상에 배치된 구조가 설명되었다. 특히, 도 7b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공통전극(CE) 및 화소전극(PE)이 서로 다른 층 구조를 가지며 제1 베이스기판(BS1) 상에 배치된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공통전극(CE) 및 화소전극(PE)은 제1 베이스기판(BS1) 상에 동일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도 3a 및 도 4에 도시된 표시패널(DP)과 비교하여 하나의 더미전극이 중간영역(IA)에 중첩되는 것이 아닌, 복수 개의 더미전극들(TEa~TEd)이 중간영역(IA)에 중첩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더미전극들(TEa~TEd)은 중간영역(IA)에 중첩하여 제1 베이스기판(BS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제1 더미전극(TEa)은 제1 베이스기판(BS1)의 제1 측면(S1)에 인접하도록 중간영역(IA)에 중첩될 수 있다. 제2 더미전극(TEb)은 제1 베이스기판(BS1)의 제2 측면(S2)에 인접하도록 중간영역(IA)에 중첩될 수 있다. 제3 더미전극(TEc)은 제1 베이스기판(BS1)의 제3 측면(S3)에 인접하도록 중간영역(IA)에 중첩될 수 있다. 제4 더미전극(TEd)은 제1 베이스기판(BS1)의 제4 측면(S4)에 인접하도록 중간영역(IA)에 중첩될 수 있다.
또한, 제1 베이스기판(BS1)에는 제1 내지 제4 더미전극들(TEa~TEd)에 제1 내지 제4 중간전압들(TEVa~TEVd)을 각각 전달하기 위한 제1 내지 제4 더미라인들(TLa~TLd)이 배치될 수 있다.
계조 판별부(120)는 영상 신호 수신부(110)로부터 제공된 영상신호들(RGB)을 기반으로 제1 내지 제4 중간전압들(TEVa~TEVd)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패널(DP)은 제1 내지 제4 더미전극들(TEa~TEd)에 기반하여, 중간영역(IA)에서 서로 다른 계조의 제1 내지 제4 영상들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복수 개의 표시패널들(DP1~DP4)이 제공될 수 있다. 표시패널들(DP1~DP4) 각각은 표시영역, 중간영역, 및 주변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내지 제4 표시패널들(DP1~DP4)은 제1 내지 제4 표시영역들(DA1~DA4)을 통해 하나의 영상을 표시하는 것으로 설명된다. 기존의 경우, 표시패널들 간의 베젤영역으로 인해, 영상이 구분되어 보이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여기서, 베젤영역은 중간영역 및 주변영역을 포함한 것으로 설명된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제1 내지 제4 표시패널들(DP1~DP4)은 각 표시영역을 통해 표시되는 영상의 계조에 기반하여, 특정 계조의 영상을 제1 내지 제4 중간영역들(IA1~IA4)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이 덜 구분되어 사용자에게 시인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실시 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TC: 탑샤시 PB: 메인 회로기판
BC: 바텀샤시 ST1: 제1 표시기판
PS: 광학시트 ST2: 제2 표시기판
DP: 표시패널 110: 영상 신호 수신부
DA: 표시영역 120: 계조 판별부
IA: 중간영역 DDC: 데이터 구동회로
PA: 주변영역
SC: 신호 제어부

Claims (20)

  1. 표시영역, 주변영역, 및 상기 표시영역과 상기 주변영역 사이의 중간영역이 정의된 제1 베이스기판 및 상기 표시영역에 중첩하는 화소회로를 포함하는 제1 표시기판;
    상기 제1 베이스기판과 이격된 제2 베이스기판을 포함하는 제2 표시기판;
    상기 표시영역에 중첩되어 상기 제1 베이스기판 및 상기 제2 베이스기판 사이에 배치되며, 각각이 액정층, 공통전극, 상기 화소회로에 연결된 화소전극을 포함하는 표시소자들;
    상기 중간영역에 중첩되어 상기 제1 베이스기판 및 상기 제2 베이스기판 사이에 배치되며, 서로 전계를 형성하는 제1 더미전극과 제2 더미전극을 포함하는 더미표시소자; 및
    상기 주변영역에 중첩되고 상기 제1 표시기판 및 상기 제2 표시기판 사이를 밀봉하는 밀봉부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전극에는 복수의 영상전압들 중 대응하는 어느 하나의 영상전압이 상기 화소회로를 통해 제공되며, 상기 제1 더미전극에는 상기 영상전압들을 기반으로 생성된 중간전압이 제공되는 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전압은 상기 영상전압들의 평균에 해당하는 전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전압은, 상기 표시영역에 중첩된 표시소자들 중 상기 중간영역에 가장 인접하며 상기 표시영역의 최외곽에 배치된 표시소자들의 화소전극들에 각각 제공되는 영상 전압들의 평균에 해당하는 전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기판은 상기 제1 더미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더미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더미라인에 상기 중간전압이 제공되는 표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전극은 상기 제1 베이스기판 상에 배치되며, 상기 공통전극은 상기 제2 베이스기판 상에 배치되는 표시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전극은 상기 중간영역에 더 중첩하며, 상기 공통전극은 상기 제2 더미전극과 일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영역과 상기 중간영역을 노출하고 상기 주변영역에 중첩하는 블랙 매트릭스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평면상에서, 상기 밀봉부재의 내측은 상기 블랙 매트릭스의 내측과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는 블랙 색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전극 및 상기 공통전극 각각은 상기 제1 베이스기판 상에 배치되는 표시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전극에는 복수의 영상전압들 중 대응하는 어느 하나의 영상전압이 상기 화소회로를 통해 제공되며, 상기 제1 더미전극에는 상기 영상전압들의 평균값을 갖는 중간전압이 제공되는 표시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전극 및 상기 제2 더미전극 각각에는 동일한 전압이 제공되는 표시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전극은 상기 중간영역에 더 중첩하며, 상기 공통전극은 상기 제2 더미전극과 일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더미전극은 복수 개로 제공되며, 상기 복수 개의 제1 더미전극들에는 서로 다른 중간전압이 각각 제공되며, 상기 제2 더미전극 및 상기 공통전극에는 공통전압이 제공되는 표시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기판은 상기 복수 개의 제1 더미전극들과 각각 연결된 복수 개의 더미라인들을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기판 및 상기 제2 표시기판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표시영역에 중첩하는 컬러필터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18. 표시영역, 주변영역, 및 상기 표시영역과 상기 주변영역 사이의 중간영역이 정의되고, 상기 표시영역에 중첩된 복수의 화소들 및 상기 중간영역에 중첩된 더미표시소자를 포함하는 표시패널;
    복수의 영상신호들 및 상기 영상신호들을 기반으로 생성된 중간전압을 출력하는 신호 제어부; 및
    상기 영상신호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영상전압들 및 상기 중간전압을 상기 표시패널에 제공하는 데이터 구동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더미표시소자는 서로 전계를 형성하는 제1 더미전극 및 제2 더미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더미전극은 상기 중간전압을 수신하며, 상기 제2 더미전극은 공통전압을 수신하는 표시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제어부는 상기 중간전압을 생성하는 계조 판별부를 포함하고, 상기 계조 판별부는 상기 영상신호들의 평균 계조에 기반하여 상기 중간전압을 생성하는 표시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은 복수 개로 제공되며,
    상기 복수 개의 표시패널들 각각은 상기 표시영역에 중첩된 복수의 화소들 및 상기 중간영역에 중첩된 더미표시소자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0160129296A 2016-10-06 2016-10-06 표시장치 KR1026566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9296A KR102656664B1 (ko) 2016-10-06 2016-10-06 표시장치
US15/711,268 US11194187B2 (en) 2016-10-06 2017-09-21 Display device
US17/543,559 US20220091454A1 (en) 2016-10-06 2021-12-06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9296A KR102656664B1 (ko) 2016-10-06 2016-10-06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8621A true KR20180038621A (ko) 2018-04-17
KR102656664B1 KR102656664B1 (ko) 2024-04-12

Family

ID=61829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9296A KR102656664B1 (ko) 2016-10-06 2016-10-06 표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11194187B2 (ko)
KR (1) KR1026566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004390B2 (en) 2018-10-23 2024-06-0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auxiliary pixel near through-ho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6664B1 (ko) * 2016-10-06 2024-04-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220031842A (ko) * 2020-09-04 2022-03-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7694B2 (ja) * 1978-11-20 1984-04-23 日本プラント協力株式会社 カプセル気送管終端部の速度制御装置
US20080278644A1 (en) * 2007-05-08 2008-11-13 Tetsuo Fukami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110037785A1 (en) * 2008-06-27 2011-02-17 Sharp Kabushiki Kaisha Control device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de, program, and storage medium
JP2014115361A (ja) * 2012-12-07 2014-06-26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20140086714A (ko) * 2012-12-28 2014-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20150058655A (ko) * 2013-11-19 2015-05-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패널,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8517A (ja) * 2001-03-15 2002-09-27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US20030085855A1 (en) * 2001-07-17 2003-05-08 Kabushiki Kaisha Toshiba Array substrate, method of inspecting array substr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JP4122828B2 (ja) * 2002-04-30 2008-07-23 日本電気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JP4419603B2 (ja) * 2004-02-25 2010-02-24 日本電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
JP2007093849A (ja) * 2005-09-28 2007-04-12 Sanyo Epson Imaging Devices Corp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KR20070059525A (ko) * 2005-12-07 2007-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컬러필터 기판과,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패널 및액정표시장치
KR20070068574A (ko) * 2005-12-27 2007-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어레이 기판 및 이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JP4775850B2 (ja) * 2006-09-07 2011-09-21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及び駆動回路
JP5216204B2 (ja) * 2006-10-31 2013-06-19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作製方法
KR101430525B1 (ko) * 2007-01-15 2014-08-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090032812A (ko) * 2007-09-28 2009-04-0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30128192A1 (en) * 2010-08-02 2013-05-23 Sharp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same
JP2012083513A (ja) * 2010-10-12 2012-04-26 Seiko Epson Corp 液晶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1295535B1 (ko) * 2010-11-22 2013-08-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5699741B2 (ja) * 2011-03-29 2015-04-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装置および投射型表示装置
JP5708133B2 (ja) * 2011-03-29 2015-04-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装置および投射型表示装置
JP2012208301A (ja) * 2011-03-29 2012-10-25 Seiko Epson Corp 液晶装置および投射型表示装置
KR101900915B1 (ko) * 2011-10-14 2018-09-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20130187962A1 (en) * 2012-01-23 2013-07-25 Pixel Qi Corporation Mixed Transmissive-Reflective-Transflective Liquid Crystal Display
KR101965207B1 (ko) * 2012-03-27 2019-04-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9524683B2 (en) 2012-07-20 2016-12-20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with signal lines routed to decrease size of non-display area
JP5978919B2 (ja) 2012-10-24 2016-08-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US20160011633A1 (en) * 2013-03-15 2016-01-14 Sharp Kabushiki Kaisha Electronic device
JP2014206622A (ja) * 2013-04-12 2014-10-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装置の駆動方法、液晶装置、電子機器
JP6428079B2 (ja) * 2013-11-08 2018-11-2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の駆動方法、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102185102B1 (ko) * 2014-01-10 2020-12-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어레이 기판, 이를 갖는 액정 표시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6014775A (ja) * 2014-07-02 2016-01-2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KR20160012309A (ko) * 2014-07-23 2016-02-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것의 구동 방법
KR102275228B1 (ko) 2014-11-27 2021-07-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타일형 표시 장치
KR102305456B1 (ko) * 2014-12-02 2021-09-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JP2016133634A (ja) * 2015-01-20 2016-07-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装置、液晶装置の駆動方法、電子機器
JP6394438B2 (ja) * 2015-02-27 2018-09-2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KR102299113B1 (ko) * 2015-06-02 2021-09-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JP2017078792A (ja) * 2015-10-21 2017-04-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6610171B2 (ja) * 2015-11-02 2019-11-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17116668A (ja) * 2015-12-22 2017-06-29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パネル
WO2017154657A1 (ja) * 2016-03-07 2017-09-14 シャープ株式会社 タッチセンサ内蔵型の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TWI629892B (zh) * 2016-05-09 2018-07-11 國立成功大學 景深包裝及解包裝之rgb格式與yuv格式的轉換與反轉換的方法及電路
JP6707416B2 (ja) * 2016-07-29 2020-06-1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JP2018025589A (ja) * 2016-08-08 2018-02-15 三菱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
KR102656664B1 (ko) * 2016-10-06 2024-04-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08572477B (zh) * 2017-03-08 2021-12-07 福州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彩膜基板、显示面板及其检测方法
KR102424168B1 (ko) * 2017-11-21 2022-07-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KR102043846B1 (ko) * 2017-11-29 2019-11-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계발광표시장치
US11551644B1 (en) * 2019-07-23 2023-01-10 BlueOwl, LLC Electronic ink display for smart ring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7694B2 (ja) * 1978-11-20 1984-04-23 日本プラント協力株式会社 カプセル気送管終端部の速度制御装置
US20080278644A1 (en) * 2007-05-08 2008-11-13 Tetsuo Fukami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110037785A1 (en) * 2008-06-27 2011-02-17 Sharp Kabushiki Kaisha Control device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de, program, and storage medium
JP2014115361A (ja) * 2012-12-07 2014-06-26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20140086714A (ko) * 2012-12-28 2014-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20150058655A (ko) * 2013-11-19 2015-05-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패널,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004390B2 (en) 2018-10-23 2024-06-0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auxiliary pixel near through-ho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101073A1 (en) 2018-04-12
KR102656664B1 (ko) 2024-04-12
US20220091454A1 (en) 2022-03-24
US11194187B2 (en) 202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41386B2 (en) Array substrate,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JP4572854B2 (ja)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JP5024110B2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102179011B1 (ko) 표시 장치
JP4539760B2 (ja) 電子機器
WO2020224379A1 (zh) 显示基板及其驱动方法、显示装置
US8300072B2 (en) Electrophoretic display having improved gray-scale generator and method thereof
KR20160017695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123915A (ko) 로컬 디밍 요소들을 갖는 디스플레이들
KR20170024182A (ko) 표시장치 및 표시패널
US8963897B2 (en) Display device with pixels of differing display types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US9343025B2 (en) Display device
CN108828817A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20240038153A1 (en) Display panel and electronic device
CN112037704B (zh) 显示面板及电子设备
WO2019227808A1 (zh) 全面屏模组及智能手机
KR102435900B1 (ko) 표시 장치
US7701533B2 (en)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220091454A1 (en) Display device
US10529293B2 (en) Display device
KR20180038114A (ko) 표시장치
US20160133200A1 (en) Display device
JP2007094025A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US20220036810A1 (en) Display device
JP2007086506A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