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6714A -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6714A
KR20140086714A KR1020120157537A KR20120157537A KR20140086714A KR 20140086714 A KR20140086714 A KR 20140086714A KR 1020120157537 A KR1020120157537 A KR 1020120157537A KR 20120157537 A KR20120157537 A KR 20120157537A KR 20140086714 A KR20140086714 A KR 201400867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mmy
subpixels
sub
pixels
display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7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0383B1 (ko
Inventor
이경수
박인철
최지민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7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0383B1/ko
Priority to GB1322005.8A priority patent/GB2510689B/en
Priority to US14/106,789 priority patent/US9490305B2/en
Priority to DE102013114696.1A priority patent/DE102013114696B4/de
Priority to CN201310711874.3A priority patent/CN103915475B/zh
Publication of KR20140086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6714A/ko
Priority to US15/202,305 priority patent/US962745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0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03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8Dummy elements, i.e. elements having non-functional featur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7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09G3/3283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in which the data driver supplies a variable data current for setting the current through, or the voltage across, the light-emitting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10K59/3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comprising more than three subpixels, e.g. red-green-blue-white [RGBW]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10K59/353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ical arrangement of the RGB subpix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04Matrix technologies
    • G09G2300/0413Details of dummy pixels or dummy lines in flat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3Compensation electrodes or other additional electrodes in matrix displays related to distortions or compensation signals, e.g. for modifying TFT threshold voltage in column driv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39Pixel structures
    • G09G2300/0452Details of colour pixel setup, e.g. pixel composed of a red, a blue and two green compon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1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used for counteracting undesired variations, e.g. feedback or autozero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33Improving the luminance or brightness uniformity across the 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영역과 비표시영역이 정의된 기판; 기판의 표시영역에 형성된 서브 픽셀들; 및 기판의 비표시영역에 형성된 더미 서브 픽셀들을 포함하고, 더미 서브 픽셀들은 그 형상이 비표시영역의 위치별로 하나 이상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 사용되는 유기전계발광소자는 두 개의 전극 사이에 발광층이 형성된 자발광소자이다. 유기전계발광소자는 전자(election) 주입전극(cathode)과 정공(hole) 주입전극(anode)으로부터 각각 전자와 정공을 발광층 내부로 주입시켜, 주입된 전자와 정공이 결합한 엑시톤(exciton)이 여기 상태로부터 기저상태로 떨어질 때 발광하는 소자이다.
유기전계발광소자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빛이 방출되는 방향에 따라 상부발광(Top-Emission) 방식, 하부발광(Bottom-Emission) 방식 및 양면발광(Dual-Emission) 등이 있고, 구동방식에 따라 수동매트릭스형(Passive Matrix)과 능동매트릭스형(Active Matrix) 등으로 나누어진다.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복수의 서브 픽셀에 스캔 신호, 데이터 신호 및 전원 등이 공급되면, 선택된 서브 픽셀이 발광을 하게 됨으로써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표시 패널에는 더미 서브 픽셀이 포함된다. 더미 서브 픽셀은 표시 패널의 표시영역의 외측인 비표시영역에 형성된다. 더미 서브 픽셀은 표시 패널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공정 편차나 사이드 이펙트 등을 저감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더미 서브 픽셀은 표시 패널을 제작한 이후 구동전압이나 구동전류 등을 보상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밖에도 더미 서브 픽셀은 그 사용처가 다양하다. 그런데, 종래에는 목적이나 효과 등을 고려하지 아니하고 더미 서브 픽셀을 천편일률적으로 동일하게 형성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술한 배경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조공정부터 제품화 이후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사이드 이펙트를 최소화함과 더불어 공정을 단순화하고 공정 마진율을 증가시켜 고해상도의 표시 패널을 구현할 수 있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은 표시영역과 비표시영역이 정의된 기판; 기판의 표시영역에 형성된 서브 픽셀들; 및 기판의 비표시영역에 형성된 더미 서브 픽셀들을 포함하고, 더미 서브 픽셀들은 그 형상이 비표시영역의 위치별로 하나 이상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더미 서브 픽셀들은 서브 픽셀들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1더미 서브 픽셀과, 서브 픽셀들의 개구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제2더미 서브 픽셀과, 서브 픽셀들의 비개구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제3더미 서브 픽셀을 포함할 수 있다.
더미 서브 픽셀들은 제1 내지 제3더미 서브 픽셀들 중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내지 제3더미 서브 픽셀들은 선택된 두 개 또는 세 개가 교번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더미 서브 픽셀들은 비표시영역의 위치별로 개수가 다를 수 있다.
더미 서브 픽셀들은 표시영역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 더미 서브 픽셀들과 표시영역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 더미 서브 픽셀들은 동일한 배치 구조를 갖고, 표시영역의 우측에 형성된 우측 더미 서브 픽셀들과 표시영역의 좌측에 형성된 좌측 더미 서브 픽셀들은 동일한 배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더미 서브 픽셀들은 표시영역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 더미 서브 픽셀들과 표시영역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 더미 서브 픽셀들은 다른 배치 구조를 갖고, 표시영역의 우측에 형성된 우측 더미 서브 픽셀들과 표시영역의 좌측에 형성된 좌측 더미 서브 픽셀들은 다른 배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더미 서브 픽셀들은 표시영역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 더미 서브 픽셀들과 표시영역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 더미 서브 픽셀들은 동일한 배치 구조를 갖고, 표시영역의 우측에 형성된 우측 더미 서브 픽셀들과 표시영역의 좌측에 형성된 좌측 더미 서브 픽셀들은 다른 배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더미 서브 픽셀들은 표시영역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 더미 서브 픽셀들과 표시영역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 더미 서브 픽셀들은 다른 배치 구조를 갖고, 표시영역의 우측에 형성된 우측 더미 서브 픽셀들과 표시영역의 좌측에 형성된 좌측 더미 서브 픽셀들은 동일한 배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더미 서브 픽셀들은 3개의 더미 서브 픽셀들이 하나의 더미 픽셀로 정의되거나 4개의 더미 서브 픽셀들이 하나의 더미 픽셀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더미 서브 픽셀의 형상, 개수 및 배치 등을 달리하여 제조공정부터 제품화 이후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사이드 이펙트를 최소화함과 더불어 공정을 단순화하고 공정 마진율을 증가시켜 고해상도의 표시 패널을 구현할 수 있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서브 픽셀의 회로 구성 예시도.
도 3은 서브 픽셀의 단면 계층도를 나타낸 제1예시도.
도 4는 서브 픽셀의 보상 발광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서브 픽셀의 단면 계층도를 나타낸 제2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더미 서브 픽셀의 배치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7 내지 도 9는 더미 서브 픽셀의 다양한 형상을 나타낸 도면들.
도 10 내지 도 15는 더미 서브 픽셀들의 배치를 다양하게 나타낸 실시예들.
도 16은 더미 서브 픽셀들의 형상을 달리하는 이유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서브 픽셀의 회로 구성 예시도 이며, 도 3은 서브 픽셀의 단면 계층도를 나타낸 제1예시도 이고, 도 4는 서브 픽셀의 보상 발광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서브 픽셀의 단면 계층도를 나타낸 제2예시도 이다.
도 1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는 영상 처리부(110), 타이밍 제어부(120), 데이터 구동부(130), 게이트 구동부(140) 및 표시 패널(150)이 포함된다.
영상 처리부(110)는 RGB 데이터신호(RGB)를 RGBW 데이터신호(RGBW)로 변환한다. 영상 처리부(110)는 RGB 데이터신호(RGB)를 이용하여 평균화상레벨에 따라 최대 휘도를 구현하도록 감마전압을 설정하는 등 다양한 영상처리를 수행한 후 RGBW 데이터신호(RGBW)를 출력한다. 영상 처리부(110)는 RGBW 데이터신호(RGBW)와 더불어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를 출력한다. 영상 처리부(110)는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외에도 수직 동기신호(Vsync), 수평 동기신호(Hsync) 및 클럭신호(CLK) 중 하나 이상을 출력할 수 있으나 이 신호들은 설명의 편의상 생략 도시한다.
타이밍 제어부(120)는 영상 처리부(110)로부터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또는 수직 동기신호(Vsync), 수평 동기신호(Hsync) 및 클럭신호(CLK) 등을 포함하는 구동신호를 공급받는다. 타이밍 제어부(120)는 구동신호에 기초하여 게이트 구동부(14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GDC)와 데이터 구동부(13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DC)를 출력한다. 타이밍 제어부(120)는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GDC)와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DC)에 대응하여 RGBW 데이터신호(RGBW)를 출력한다.
데이터 구동부(130)는 타이밍 제어부(120)로부터 공급된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DC)에 응답하여 타이밍 제어부(120)로부터 공급되는 RGBW 데이터신호(RGBW)를 샘플링하고 래치하여 감마 기준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데이터 구동부(130)는 데이터라인들(DL1 ~ DLn)을 통해 RGBW 데이터신호(RGBW)를 출력한다. 데이터 구동부(130)는 IC(Integrated Circuit) 형태로 형성된다.
게이트 구동부(140)는 타이밍 제어부(120)로부터 공급된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GDC)에 응답하여 게이트전압의 레벨을 시프트시키면서 게이트신호를 출력한다. 게이트 구동부(140)는 게이트라인들(GL1 ~ GLm)을 통해 게이트신호를 출력한다. 게이트 구동부(140)는 IC(Integrated Circuit) 형태로 형성되거나 표시 패널(150)에 게이트인패널(Gate In Panel) 방식으로 형성된다.
표시 패널(150)은 광효율을 증가시키면서 순색의 휘도 저하 및 색감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백색 서브 픽셀(SPw), 적색 서브 픽셀(SPr), 녹색 서브 픽셀(SPg) 및 청색 서브 픽셀(SPb)(이하 RGBW 서브 픽셀로 약기)을 포함하는 서브 픽셀 구조로 구현된다. 즉, 하나의 픽셀(P)은 RGBW 서브 픽셀(SPw, SPr, SPg, SPb)로 이루어진다.
도 2와 같이 하나의 서브 픽셀에는 스위칭 트랜지스터(SW), 구동 트랜지스터(DR), 커패시터(Cst), 보상회로(CC) 및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가 포함된다.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는 구동 트랜지스터(DR)에 의해 형성된 구동 전류에 따라 빛을 발광하도록 동작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SW)는 제1게이트라인(GL1)을 통해 공급된 게이트신호에 응답하여 제1데이터라인(DL1)을 통해 공급되는 데이터신호가 커패시터(Cst)에 데이터전압으로 저장되도록 스위칭 동작한다. 구동 트랜지스터(DR)는 커패시터(Cst)에 저장된 데이터전압에 따라 제1전원배선(VDD)과 제2전원배선(GND) 사이로 구동 전류가 흐르도록 동작한다.
보상회로(CC)는 구동 트랜지스터(DR)의 문턱전압 등을 보상한다. 보상회로(CC)는 하나 이상의 트랜지스터와 커패시터로 구성된다. 보상회로(CC)의 구성은 매우 다양한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예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하나의 서브 픽셀은 스위칭 트랜지스터(SW), 구동 트랜지스터(DR), 커패시터(Cst) 및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를 포함하는 2T(Transistor)1C(Capacitor) 구조로 구성된다. 그러나 보상회로(CC)가 추가된 경우 3T1C, 4T2C, 5T2C 등으로 구성된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서브 픽셀은 구조에 따라 전면발광(Top-Emission) 방식, 배면발광(Bottom-Emission) 방식 또는 양면발광(Dual-Emission) 방식으로 형성된다.
RGBW 서브 픽셀(SPr, SPg, SPb, SPw)은 백색 유기 발광다이오드(WOLED)와 RGB 컬러필터(CFr, CFg, CFb)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구현되거나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에 포함된 발광 물질을 RGBW 색으로 구분하여 형성하는 방식 등으로 구현된다. 백색 유기 발광다이오드(WOLED)와 RGB 컬러필터(CFr, CFg, CFb)를 사용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
[백색 유기 발광다이오드와 RGB 컬러필터를 사용하는 방식]
도 3과 같이 RGB 서브 픽셀(SPr, SPg, SPb)은 트랜지스터부(TFT), RGB 컬러필터(CFr, CFg, CFb) 및 백색 유기 발광다이오드(WOLED)를 포함한다. 반면, W 서브 픽셀(SPw)은 트랜지스터부(TFT) 및 백색 유기 발광다이오드(WOLED)를 포함한다.
RGB 서브 픽셀(SPr, SPg, SPb)은 백색 유기 발광다이오드(WOLED)로부터 출사된 백색의 광을 적색, 녹색 및 청색으로 변환시키므로 RGB 컬러필터(CFr, CFg, CFb)가 포함된다. 이와 달리, W 서브 픽셀(SPw)은 백색 유기 발광다이오드(WOLED)로부터 출사된 백색의 광을 그대로 출사하므로 컬러필터가 미포함된다.
이 방식은 적색, 녹색 및 청색 발광 물질을 독립적으로 각 서브 픽셀에 증착하던 방식과 달리 백색 발광 물질을 모든 서브 픽셀에 증착한다. 이 때문에, 이 방식은 파인 메탈 마스크(Fine Metal Mask)를 미사용하고도 대형화가 가능하고 수명 연장과 더불어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표시 패널(150)은 색 순도 향상이나 표현력 향상은 물론 목표 색좌표를 맞추기 위해 서브 픽셀을 다양하게 배열한다. 예컨대, 표시 패널(150)은 RGBW 서브 픽셀(SPr, SPg, SPb, SPw)의 순서로 배열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150)은 WRGB 서브 픽셀(SPw, SPr, SPg, SPb)의 순서로 배열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150)은 WGBR 서브 픽셀(SPw, SPg, SPb, SPr)의 순서로 배열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150)은 RWGB 서브 픽셀(SPr, SPw, SPg, SPb)의 순서로 배열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150)은 BGWR 서브 픽셀(SPb, SPg, SPw, SPr)의 순서로 배열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표시 패널(150)은 앞서 도시 및 설명한 예시 외에도 다양한 순서로 배열된 서브 픽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앞서 설명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RGBW 서브 픽셀(SPr, SPg, SPb, SPw)을 이용하여 원하는 색좌표가 표시 패널(150)에 표현되도록 W 서브 픽셀(SPw)과 더불어 RGB 서브 픽셀(SPr, SPg, SPb) 중 일부 또는 전부를 보상 발광시킨다.
일례로, 표시 패널(150)에 원하는 화이트 색좌표(White)가 표현되도록 도 4의 (a)와 같이 W 서브 픽셀(SPw)과 더불어 GB 서브 픽셀(SPg, SPb)을 보상 발광시킨다. 또 다른 예로, 표시 패널(150)에 원하는 화이트 색좌표(White)가 표현되도록 도 4의 (b)와 같이 W 서브 픽셀(SPw)과 더불어 BR 서브 픽셀(SPb, SPr)을 보상 발광시킨다.
[유기 발광다이오드에 포함된 발광 물질을 RGBW 색으로 구분하여 형성하는 방식]
도 5와 같이 RGBW 서브 픽셀(SPr, SPg, SPb, SPw)은 트랜지스터부(TFT) 및 적색, 녹색, 청색 및 백색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를 포함한다. 이 방식은 적색, 녹색, 청색 및 백색 발광 물질을 독립적으로 각 서브 픽셀에 증착한다. 이 때문에, 이 방식은 파인 메탈 마스크(Fine Metal Mask)를 사용하여 적색, 녹색, 청색 및 백색 발광 물질을 독립적으로 형성하므로 컬러필터가 미포함된다.
위의 설명에서는 표시 패널(150)을 구성하는 하나의 픽셀(P)이 RGBW 이상 4개의 서브 픽셀로 이루어진 것을 일례로 하였다. 그러나 표시 패널을 구성하는 하나의 픽셀(P)은 RGB 이상 3개의 서브 픽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앞서 설명된 표시 패널(150)에는 더미 서브 픽셀이 포함된다. 더미 서브 픽셀은 표시 패널(150)의 표시영역의 외측인 비표시영역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표시 패널의 비표시영역에 형성된 더미 서브 픽셀은 형상, 개수 및 배치 구조 등이 위치별로 다르게 형성되는데 이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더미 서브 픽셀의 배치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7 내지 도 9는 더미 서브 픽셀의 다양한 형상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표시 패널을 구성하는 기판(150a)에는 외부로 빛을 발광하는 서브 픽셀들이 형성되는 표시영역(AA)과 표시영역(AA)의 외측에 위치하며 더미 서브 픽셀 등이 형성되는 비표시영역(NAx1 ~ NAy2)이 정의된다. 비표시영역(NAx1 ~ NAy2)은 표시영역(AA)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비표시영역(NAy2),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비표시영역(NAy1), 우측에 위치하는 우측 비표시영역(NAx2) 및 좌측에 위치하는 좌측 비표시영역(NAx1)으로 각각 정의된다.
상부 비표시영역(NAy2)은 상부 더미 서브 픽셀들이 형성되는 상부 더미 서브 픽셀영역(DSPUA), 하부 비표시영역(NAy1)은 하부 더미 서브 픽셀들이 형성되는 하부 더미 서브픽셀영역(DSPLA), 우측 비표시영역(NAx2)은 우측 더미 서브 픽셀들이 형성되는 우측 더미 서브 픽셀영역(DSPRA), 좌측 비표시영역(NAx1)은 좌측 더미 서브픽셀들이 형성되는 좌측 더미 서브 픽셀영역(DSPLA)으로 각각 재정의될 수도 있다. 상부 더미 서브 픽셀영역(DSPUA), 하부 더미 서브픽셀영역(DSPLA), 우측 더미 서브 픽셀영역(DSPRA) 및 좌측 더미 서브 픽셀영역(DSPLA) 중 적어도 하나는 생략될 수도 있다.
한편, 상부 더미 서브 픽셀영역(DSPUA), 하부 더미 서브픽셀영역(DSPLA), 우측 더미 서브 픽셀영역(DSPRA) 및 좌측 더미 서브 픽셀영역(DSPLA)에 형성되는 더미 서브 픽셀들의 형상은 도 7 내지 도 9와 같다. 다만, 더미 서브 픽셀은 서브 픽셀과 달리 컬러필터를 미포함할 수도 있으므로, 하기 도 7 내지 도 9에서는 더미 서브 픽셀의 개구부와 비개구부에 포함된 구성만을 도시하기 위해 컬러필터의 구성을 생략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더미 서브 픽셀(DSP1)은 표시영역(AA)에 형성된 서브 픽셀들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제1더미 서브 픽셀(DSP1)은 서브 픽셀들의 개구부가 되는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 부분과 서브 픽셀들의 비개구부가 되는 트랜지스터부(TFT) 부분을 포함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더미 서브 픽셀(DSP2)은 표시영역(AA)에 형성된 서브 픽셀들의 개구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다. 제2더미 서브 픽셀(DSP2)은 서브 픽셀들의 개구부가 되는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 부분만 포함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더미 서브 픽셀(DSP3)은 표시영역(AA)에 형성된 서브 픽셀들의 비개구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다. 제3더미 서브 픽셀(DSP3)은 서브 픽셀들의 비개구부가 되는 트랜지스터부(TFT) 부분만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픽셀이 RGBW 서브 픽셀로 구성된 것을 일례로 하였으므로, 더미 서브 픽셀들 또한 네 개의 더미 서브 픽셀들이 하나의 더미 픽셀(DP)로 정의되는 것을 일례로 하였다. 그러나, 하나의 픽셀이 RGB 서브 픽셀로 구성된 경우, 더미 서브 픽셀들 또한 세 개의 더미 서브 픽셀들이 하나의 더미 픽셀로 정의됨은 물론이다.
도 7 내지 도 9에서 설명된 더미 서브 픽셀들(DSP1 ~ DSP3)은 그 형상이 위치별로 하나 이상 다르게 형성된다. 예컨대, 본 발명과 같이 네 개의 더미 서브 픽셀들을 비표시영역(NAx1 ~ NAy2)의 상하좌우 측에 선택적으로 구성할 경우, 네 개의 더미 서브 픽셀들의 형상에 따른 조합 및 배치에 따라 1365 가지의 경우의 수가 도출된다. 이하, 도 7 내지 도 9를 함께 참조하여 그 실시예들 중 몇 가지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 내지 도 15는 더미 서브 픽셀들의 배치를 다양하게 나타낸 실시예들이다.
<제1실시예>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더미 서브 픽셀들은 표시영역(AA)을 기준으로 상하 또는 좌우의 형상이 동일하도록 배치된다.
표시영역(AA)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 더미 서브 픽셀들과 표시영역(AA)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 더미 서브 픽셀들은 동일한 배치 구조를 갖는다. 즉, 상부 더미 서브 픽셀영역(DSPUA) 및 하부 더미 서브픽셀영역(DSPLA)에는 제1더미 서브 픽셀들(DSP1)이 형성된다. 그리고 표시영역(AA)의 우측에 형성된 우측 더미 서브 픽셀들과 표시영역(AA)의 좌측에 형성된 좌측 더미 서브 픽셀들은 동일한 배치 구조를 갖는다. 즉, 우측 더미 서브 픽셀영역(DSPRA) 및 좌측 더미 서브 픽셀영역(DSPLA)에는 제2더미 서브 픽셀들(DSP2)이 형성된다.
한편, 도시된 더미 서브 픽셀의 배치 구조는 예시일 뿐, 상부 더미 서브 픽셀영역(DSPUA) 및 하부 더미 서브픽셀영역(DSPLA)에는 제2더미 서브 픽셀들(DSP2)이 형성되고, 우측 더미 서브 픽셀영역(DSPRA) 및 좌측 더미 서브 픽셀영역(DSPLA)에는 제1더미 서브 픽셀들(DSP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부 더미 서브 픽셀영역(DSPUA) 및 하부 더미 서브픽셀영역(DSPLA)에는 제3더미 서브 픽셀들(DSP3)이 형성되고, 우측 더미 서브 픽셀영역(DSPRA) 및 좌측 더미 서브 픽셀영역(DSPLA)에는 제2더미 서브 픽셀들(DSP2)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밖에,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더미 서브 픽셀들(DSP1 ~ DSP3)을 조합하면 당업자 수준에서 다른 배치도 가능하다. 예컨대, 상부 더미 서브 픽셀영역(DSPUA), 하부 더미 서브픽셀영역(DSPLA), 우측 더미 서브 픽셀영역(DSPRA) 및 좌측 더미 서브 픽셀영역(DSPLA)의 일부에 포함된 더미 서브 픽셀들을 삭제(또는 미형성)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배치를 달리할 수 있다.
<제2실시예>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더미 서브 픽셀들은 표시영역(AA)을 기준으로 상하 및 좌우의 형상이 다르도록 배치된다.
표시영역(AA)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 더미 서브 픽셀들과 표시영역(AA)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 더미 서브 픽셀들은 다른 배치 구조를 갖는다. 즉, 상부 더미 서브 픽셀영역(DSPUA)에는 제1더미 서브 픽셀들(DSP1)이 형성되는 반면 하부 더미 서브픽셀영역(DSPLA)에는 제3더미 서브 픽셀들(DSP3)이 형성된다. 그리고 표시영역(AA)의 우측에 형성된 우측 더미 서브 픽셀들과 표시영역(AA)의 좌측에 형성된 좌측 더미 서브 픽셀들은 다른 배치 구조를 갖는다. 즉, 우측 더미 서브 픽셀영역(DSPRA)에는 제2서브 픽셀들(DSP2)이 한 줄로 배치되는 반면 좌측 더미 서브 픽셀영역(DSPLA)에는 제2더미 서브 픽셀들(DSP2)이 네 줄로 배치된다.
한편, 도시된 더미 서브 픽셀의 배치 구조는 예시일 뿐, 상부 더미 서브 픽셀영역(DSPUA)에는 제2더미 서브 픽셀들(DSP2)이 형성되는 반면 하부 더미 서브픽셀영역(DSPLA)에는 제1더미 서브 픽셀들(DSP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우측 더미 서브 픽셀영역(DSPRA)에는 제2더미 서브 픽셀들(DSP2)이 네 줄로 배치되는 반면 좌측 더미 서브 픽셀영역(DSPLA)에는 제2더미 서브 픽셀들(DSP2)이 한 줄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부 더미 서브 픽셀영역(DSPUA)에는 제3더미 서브 픽셀들(DSP3)이 형성되는 반면 하부 더미 서브픽셀영역(DSPLA)에는 제2더미 서브 픽셀들(DSP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우측 더미 서브 픽셀영역(DSPRA)에는 제3더미 서브 픽셀들(DSP3)이 네 줄로 배치되는 반면 좌측 더미 서브 픽셀영역(DSPLA)에는 제1더미 서브 픽셀들(DSP1)이 한 줄로 배치될 수 있다. 이 밖에,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더미 서브 픽셀들(DSP1 ~ DSP3)을 조합하면 당업자 수준에서 다른 배치도 가능하다. 예컨대, 상부 더미 서브 픽셀영역(DSPUA), 하부 더미 서브픽셀영역(DSPLA), 우측 더미 서브 픽셀영역(DSPRA) 및 좌측 더미 서브 픽셀영역(DSPLA)의 일부에 포함된 더미 서브 픽셀들을 삭제(또는 미형성)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배치를 달리할 수 있다.
<제3실시예>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실시예에 따른 더미 서브 픽셀들은 표시영역(AA)을 기준으로 상하 및 좌우에서 상호 대응되는 영역별 형상이 다르도록 배치된다.
표시영역(AA)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 더미 서브 픽셀들과 표시영역(AA)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 더미 서브 픽셀들은 영역별로 다른 배치 구조를 갖는다. 즉, 상부 더미 서브 픽셀영역(DSPUA)에는 제1, 제2 및 제3더미 서브 픽셀들(DSP1, DSP2, DPS3)의 순으로 더미 서브 픽셀들이 형성되는 반면 하부 더미 서브픽셀영역(DSPLA)에는 제3, 제2 및 제1더미 서브 픽셀들(DSP3, DSP2, DSP1)의 순으로 더미 서브 픽셀들이 형성된다. 그리고 표시영역(AA)의 우측에 형성된 우측 더미 서브 픽셀들과 표시영역(AA)의 좌측에 형성된 좌측 더미 서브 픽셀들은 다른 배치 구조를 갖는다. 즉, 우측 더미 서브 픽셀영역(DSPRA)에는 제3, 제2 및 제1더미 서브 픽셀들(DSP3, DSP2, DSP1)의 순으로 더미 서브 픽셀들이 형성되는 반면 좌측 더미 서브 픽셀영역(DSPLA)에는 제1, 제2 및 제3서브 픽셀들(DSP1, DSP2, DSP3)의 순으로 더미 서브 픽셀들이 형성된다.
한편, 도시된 더미 서브 픽셀의 배치 구조는 예시일 뿐, 상부 더미 서브 픽셀영역(DSPUA)에는 제3, 제2 및 제1더미 서브 픽셀들(DSP3, DSP2, DSP1)의 순으로 형성되는 반면 하부 더미 서브픽셀영역(DSPLA)에는 제1, 제2 및 제3더미 서브 픽셀들(DSP1, DSP2, DSP3)의 순으로 더미 서브 픽셀들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우측 더미 서브 픽셀영역(DSPRA)에는 제1, 제2 및 제3더미 서브 픽셀들(DSP1, DSP2, DSP3)의 순으로 더미 서브 픽셀들이 형성되는 반면 좌측 더미 서브 픽셀영역(DSPLA)에는 제3, 제2 및 제1더미 서브 픽셀들(DSP3, DSP2, DSP1)의 순으로 더미 서브 픽셀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부 더미 서브 픽셀영역(DSPUA)에는 제2, 제1 및 제3더미 서브 픽셀들(DSP2, DSP1, DSP3)의 순으로 더미 서브 픽셀들이 형성되는 반면 하부 더미 서브픽셀영역(DSPLA)에는 제3, 제1 및 제2더미 서브 픽셀들(DSP3, DSP1, DSP2)의 순으로 더미 서브 픽셀들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우측 더미 서브 픽셀영역(DSPRA)에는 제2, 제3 및 제1더미 서브 픽셀들(DSP2, DSP3, DSP1)의 순으로 더미 서브 픽셀들이 형성되는 반면 좌측 더미 서브 픽셀영역(DSPLA)에는 제1, 제3 및 제2더미 서브 픽셀들(DSP1, DSP3, DSP2)의 순으로 더미 서브 픽셀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밖에,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더미 서브 픽셀들(DSP1 ~ DSP3)을 조합하면 당업자 수준에서 다른 배치도 가능하다. 예컨대, 상부 더미 서브 픽셀영역(DSPUA), 하부 더미 서브픽셀영역(DSPLA), 우측 더미 서브 픽셀영역(DSPRA) 및 좌측 더미 서브 픽셀영역(DSPLA)의 일부에 포함된 더미 서브 픽셀들을 삭제(또는 미형성)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배치를 달리할 수 있다.
<제4실시예>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실시예에 따른 더미 서브 픽셀들은 표시영역(AA)을 기준으로 상하 및 좌우에서 상호 대응되는 영역별 형상이 다르되, 상하 및 좌우의 사선 방향(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형상이 동일하도록 배치된다.
표시영역(AA)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 더미 서브 픽셀들과 표시영역(AA)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 더미 서브 픽셀들은 영역별로 다른 배치 구조를 갖지만, 사선 방향에서는 형상이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즉, 상부 더미 서브 픽셀영역(DSPUA)의 첫 번째 줄과 마지막 번째 줄에는 제1 및 제2더미 서브 픽셀들(DSP1, DSP2)이 형성되는 반면 하부 더미 서브픽셀영역(DSPLA)의 첫 번째 줄과 마지막 번째 줄에는 제2 및 제1더미 서브 픽셀들(DSP2, DSP1)이 형성된다. 그리고 표시영역(AA)의 우측에 형성된 우측 더미 서브 픽셀들과 표시영역(AA)의 좌측에 형성된 좌측 더미 서브 픽셀들은 영역별로 다른 배치 구조를 갖지만, 사선 방향에서는 형상이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즉, 우측 더미 서브 픽셀영역(DSPRA)의 첫 번째 줄과 마지막 번째 줄에는 제3, 제2 및 제1서브 픽셀들(DSP3, DSP2, DSP1)이 형성되는 반면 좌측 더미 서브 픽셀영역(DSPLA)의 첫 번째 줄과 마지막 번째 줄에는 제1, 제2 및 제3더미 서브 픽셀들(DSP1, DSP2, DSP3)이 형성된다.
한편, 도시된 더미 서브 픽셀의 배치 구조는 예시일 뿐, 상부 더미 서브 픽셀영역(DSPUA)의 첫 번째 줄과 마지막 번째 줄에는 제2 및 제3더미 서브 픽셀들(DSP2, DSP3)이 형성되는 반면 하부 더미 서브픽셀영역(DSPLA)의 첫 번째 줄과 마지막 번째 줄에는 제3 및 제2더미 서브 픽셀들(DSP3, DSP1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우측 더미 서브 픽셀영역(DSPRA)의 첫 번째 줄과 마지막 번째 줄에는 제2, 제3 및 제1서브 픽셀들(DSP2, DSP3, DSP1)이 형성되는 반면 좌측 더미 서브 픽셀영역(DSPLA)에는 제1, 제3 및 제2더미 서브 픽셀들(DSP1, DSP3, DSP2)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밖에,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더미 서브 픽셀들(DSP1 ~ DSP3)을 조합하면 당업자 수준에서 다른 배치도 가능하다. 예컨대, 상부 더미 서브 픽셀영역(DSPUA), 하부 더미 서브픽셀영역(DSPLA), 우측 더미 서브 픽셀영역(DSPRA) 및 좌측 더미 서브 픽셀영역(DSPLA)의 일부에 포함된 더미 서브 픽셀들을 삭제(또는 미형성)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배치를 달리할 수 있다.
<제5실시예>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실시예에 따른 더미 서브 픽셀들은 표시영역(AA)을 기준으로 상하에서 상호 대응되는 영역별 형상이 다르도록 두 개의 더미 서브 픽셀이 교번 배치된다. 다만, 표시영역(AA)을 기준으로 좌우에 위치하는 더미 서브 픽셀은 삭제(또는 미형성)된다.
표시영역(AA)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 더미 서브 픽셀들과 표시영역(AA)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 더미 서브 픽셀들은 두 개의 더미 서브 픽셀이 교번하는 배치 구조를 갖는다. 즉, 상부 더미 서브 픽셀영역(DSPUA)에는 제1 및 제2더미 서브 픽셀들(DSP1, DSP2)이 교번하여 형성되는 반면 하부 더미 서브픽셀영역(DSPLA)에는 제3 및 제2더미 서브 픽셀들(DSP3, DSP2)이 교번하여 형성된다.
한편, 도시된 더미 서브 픽셀의 배치 구조는 예시일 뿐, 상부 더미 서브 픽셀영역(DSPUA)에는 제1 및 제3더미 서브 픽셀들(DSP1, DSP3)이 교번하여 형성되는 반면 하부 더미 서브픽셀영역(DSPLA)에는 제3 및 제1더미 서브 픽셀들(DSP3, DSP1)이 교번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밖에,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더미 서브 픽셀들(DSP1 ~ DSP3)을 조합하면 당업자 수준에서 다른 배치도 가능하다. 예컨대, 상부 더미 서브 픽셀영역(DSPUA) 및 하부 더미 서브픽셀영역(DSPLA)의 일부에 포함된 더미 서브 픽셀들을 삭제(또는 미형성)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배치를 달리할 수 있다. 그리고, 위의 설명에서는 더미 서브 픽셀들 단위로 교번하여 배치된 것을 일례로 하였으나 더미 픽셀들 단위로 교번하여 배치될 수도 있다.
<제6실시예>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6실시예에 따른 더미 서브 픽셀들은 표시영역(AA)을 기준으로 상하에서 상호 대응되는 영역별 형상이 다르도록 세 개의 더미 서브 픽셀이 교번 배치된다. 다만, 표시영역(AA)을 기준으로 좌우에 위치하는 더미 서브 픽셀은 동일한 형상이 배치된 것을 일례로 한다.
표시영역(AA)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 더미 서브 픽셀들과 표시영역(AA)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 더미 서브 픽셀들은 세 개의 더미 서브 픽셀이 교번하는 배치 구조를 갖는다. 즉, 상부 더미 서브 픽셀영역(DSPUA)에는 제1, 제2 및 제3더미 서브 픽셀들(DSP1, DSP2, DSP3)이 교번하여 형성되는 반면 하부 더미 서브픽셀영역(DSPLA)에는 제3, 제2 및 제1더미 서브 픽셀들(DSP3, DSP2, DSP1)이 교번하여 형성된다.
한편, 도시된 더미 서브 픽셀의 배치 구조는 예시일 뿐, 상부 더미 서브 픽셀영역(DSPUA)에는 제2, 제3 및 제1더미 서브 픽셀들(DSP2, DSP3, DSP1)이 교번하여 형성되는 반면 하부 더미 서브픽셀영역(DSPLA)에는 제1, 제3 및 제2더미 서브 픽셀들(DSP1, DSP3, DSP2)이 교번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밖에,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더미 서브 픽셀들(DSP1 ~ DSP3)을 조합하면 당업자 수준에서 다른 배치도 가능하다. 예컨대, 상부 더미 서브 픽셀영역(DSPUA) 및 하부 더미 서브픽셀영역(DSPLA)의 일부에 포함된 더미 서브 픽셀들을 삭제(또는 미형성)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배치를 달리할 수 있다. 그리고, 위의 설명에서는 더미 서브 픽셀들 단위로 교번하여 배치된 것을 일례로 하였으나 더미 픽셀들 단위로 교번하여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6실시예와 같은 형태로 더미 서브 픽셀들을 형성하는 이유는 표시 패널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공정 편차나 사이드 이펙트 등을 저감하기 위함인데, 그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6은 더미 서브 픽셀들의 형상을 달리하는 이유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기판(150a) 상에 정의된 표시영역(AA)에 서브 픽셀들을 형성하는 공정에는 특정 패턴을 식각하는 공정이 포함된다. 식각 공정 중 건식 식각과 달리 습식 식각은 목표하는 금속만을 부식 용해하여 제거하기 위해 특정 액체의 약품(이하 에칭액)을 사용한다. 습식 식각을 진행한 이후에는 에어 나이프(Air Knife)를 이용하여 에칭액을 제거하는 공정이 수반된다. 예컨대, 에어 나이프(Air Knife)를 기판(150a)의 하부 방향에서 상부 방향으로 진행하게 되면 에칭액은 상부 더미 서브 픽셀영역(DSPUA)으로 몰리게 된다. 이 경우, 상부 더미 서브 픽셀영역(DSPUA)은 에칭액의 로드가 증가하는 영역이 된다. 따라서, 상부 더미 서브 픽셀영역(DSPUA)에 패턴의 밀도차 및 크기(또는 면적)가 큰 제1더미 서브 픽셀을 형성하면 에칭액이 상부 더미 서브 픽셀영역(DSPUA)에 머무르게 되므로 잔존하는 에칭액이 표시영역(AA)에 악영향을 끼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위의 설명은 하나의 예시일 뿐, 더미 서브 픽셀들의 형상을 달리하면 에칭액에 의한 로딩 이펙트(식각 공정시 패턴의 밀도차 및 크기에 따라 식각 속도가 달라지는 현상)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 밖에, 더미 서브 픽셀은 개구부에 증착되는 유기물이나 무기물 등의 증착률을 검사하기 위해 사용되거나 표시 패널을 제작한 이후 구동전압이나 구동전류 등을 보상하기 위해 사용되는 등 다양한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과 같이 더미 서브 픽셀들의 형상을 위치별로 달리하고 개수 및 배치 등을 달리하는 이유는 위의 설명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더미 서브 픽셀들의 형상을 위치별로 달리하고 개수 및 배치 등을 달리하는 방법은 목적 및 효과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바 위의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더미 서브 픽셀의 형상, 개수 및 배치 등을 달리하여 제조공정부터 제품화 이후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사이드 이펙트를 최소화함과 더불어 공정을 단순화하고 공정 마진율을 증가시켜 고해상도의 표시 패널을 구현할 수 있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진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영상 처리부 120: 타이밍 제어부
130: 데이터 구동부 140: 게이트 구동부
150: 표시 패널 AA: 표시영역
NAy2: 상부 비표시영역 NAy1: 하부 비표시영역
NAx2: 우측 비표시영역 NAx1: 좌측 비표시영역
OLED: 유기 발광다이오드 TFT: 트랜지스터부
DSPUA: 상부 더미 서브 픽셀영역 DSPLA: 하부 더미 서브픽셀영역
DSPRA: 우측 더미 서브 픽셀영역 DSPLA: 좌측 더미 서브 픽셀영역
DSP1: 제1더미 서브 픽셀 DSP2: 제2더미 서브 픽셀
DSP3: 제3더미 서브 픽셀

Claims (10)

  1. 표시영역과 비표시영역이 정의된 기판;
    상기 기판의 상기 표시영역에 형성된 서브 픽셀들; 및
    상기 기판의 상기 비표시영역에 형성된 더미 서브 픽셀들을 포함하고,
    상기 더미 서브 픽셀들은 그 형상이 상기 비표시영역의 위치별로 하나 이상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서브 픽셀들은
    상기 서브 픽셀들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1더미 서브 픽셀과,
    상기 서브 픽셀들의 개구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제2더미 서브 픽셀과,
    상기 서브 픽셀들의 비개구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제3더미 서브 픽셀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서브 픽셀들은
    상기 제1 내지 제3더미 서브 픽셀들 중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더미 서브 픽셀들은
    선택된 두 개 또는 세 개가 교번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서브 픽셀들은
    상기 비표시영역의 위치별로 개수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서브 픽셀들은
    상기 표시영역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 더미 서브 픽셀들과 상기 표시영역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 더미 서브 픽셀들은 동일한 배치 구조를 갖고,
    상기 표시영역의 우측에 형성된 우측 더미 서브 픽셀들과 상기 표시영역의 좌측에 형성된 좌측 더미 서브 픽셀들은 동일한 배치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서브 픽셀들은
    상기 표시영역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 더미 서브 픽셀들과 상기 표시영역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 더미 서브 픽셀들은 다른 배치 구조를 갖고,
    상기 표시영역의 우측에 형성된 우측 더미 서브 픽셀들과 상기 표시영역의 좌측에 형성된 좌측 더미 서브 픽셀들은 다른 배치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서브 픽셀들은
    상기 표시영역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 더미 서브 픽셀들과 상기 표시영역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 더미 서브 픽셀들은 동일한 배치 구조를 갖고,
    상기 표시영역의 우측에 형성된 우측 더미 서브 픽셀들과 상기 표시영역의 좌측에 형성된 좌측 더미 서브 픽셀들은 다른 배치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서브 픽셀들은
    상기 표시영역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 더미 서브 픽셀들과 상기 표시영역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 더미 서브 픽셀들은 다른 배치 구조를 갖고,
    상기 표시영역의 우측에 형성된 우측 더미 서브 픽셀들과 상기 표시영역의 좌측에 형성된 좌측 더미 서브 픽셀들은 동일한 배치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서브 픽셀들은
    3개의 더미 서브 픽셀들이 하나의 더미 픽셀로 정의되거나,
    4개의 더미 서브 픽셀들이 하나의 더미 픽셀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1020120157537A 2012-12-28 2012-12-28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1020503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7537A KR102050383B1 (ko) 2012-12-28 2012-12-28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GB1322005.8A GB2510689B (en) 2012-12-28 2013-12-12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14/106,789 US9490305B2 (en) 2012-12-28 2013-12-15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ving dummy sub-pixels with different shapes
DE102013114696.1A DE102013114696B4 (de) 2012-12-28 2013-12-20 Organische Leuchtdiodenbildschirmvorrichtung
CN201310711874.3A CN103915475B (zh) 2012-12-28 2013-12-20 有机发光显示装置
US15/202,305 US9627454B2 (en) 2012-12-28 2016-07-05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ving dummy sub-pixe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7537A KR102050383B1 (ko) 2012-12-28 2012-12-28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6714A true KR20140086714A (ko) 2014-07-08
KR102050383B1 KR102050383B1 (ko) 2019-11-29

Family

ID=50928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7537A KR102050383B1 (ko) 2012-12-28 2012-12-28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9490305B2 (ko)
KR (1) KR102050383B1 (ko)
CN (1) CN103915475B (ko)
DE (1) DE102013114696B4 (ko)
GB (1) GB2510689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3160A (ko) * 2015-01-28 2016-08-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80038621A (ko) * 2016-10-06 2018-04-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180104260A (ko) * 2017-03-10 2018-09-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00057339A (ko) * 2018-11-16 2020-05-26 주식회사 세미콘라이트 마이크로 반도체 발광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4851B1 (ko) * 2013-07-17 2020-01-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리페어 방법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218624B1 (ko) 2014-05-26 2021-02-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WO2015182098A1 (ja) * 2014-05-27 2015-12-03 株式会社Joled 基板、および、パネルの製造方法
KR102283007B1 (ko) * 2014-10-10 2021-07-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US9093023B1 (en) * 2014-11-19 2015-07-28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pixel repairing method
KR102332255B1 (ko) * 2015-04-29 2021-11-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9672765B2 (en) * 2015-09-30 2017-06-06 Apple Inc. Sub-pixel layout compensation
JP2017219586A (ja) * 2016-06-03 2017-12-1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信号供給回路及び表示装置
KR102507763B1 (ko) * 2016-07-29 2023-03-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373566B1 (ko) 2016-09-23 2022-03-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8022553B (zh) * 2016-10-31 2020-12-01 乐金显示有限公司 可弯曲显示面板和包括可弯曲显示面板的可弯曲显示装置
CN108305576B (zh) * 2017-01-13 2021-11-30 元太科技工业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KR102377906B1 (ko) 2017-04-21 2022-03-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0607549B2 (en) 2017-09-01 2020-03-31 Apple Inc. Data signal adjustment for displays
JP7118618B2 (ja) * 2017-10-17 2022-08-1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CN107870493B (zh) * 2017-11-01 2021-06-04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07966838B (zh) * 2017-12-18 2020-09-18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液晶面板及显示装置
CN108281476B (zh) * 2018-03-30 2024-05-2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像素界定层和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CN110969982B (zh) * 2018-09-28 2022-09-1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显示结构、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20200053716A (ko) * 2018-11-08 2020-05-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1834395A (zh) 2019-09-30 2020-10-27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透明显示面板、显示装置及其显示面板
US11475837B2 (en) * 2020-03-27 2022-10-18 Beijing Boe Technology Development Co., Ltd. Silicon-bas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silicon-bas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metho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24415A1 (en) * 2006-07-27 2008-01-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panel, mask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080082397A (ko) * 2007-03-08 2008-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계발광표시장치
KR20080082399A (ko) * 2007-03-08 2008-09-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계발광표시장치
KR20090006615A (ko) * 2007-07-12 2009-01-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소자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67154B2 (ja) 1997-06-17 2006-04-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用基板、電気光学装置、電子機器及び投写型表示装置
CN101477991B (zh) 1997-06-17 2010-12-22 精工爱普生株式会社 电光器件基片、电光器件、电子器件和投影显示设备
JP4431958B2 (ja) * 2001-06-01 2010-03-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及び電気光学装置
KR100538325B1 (ko) * 2002-12-31 2005-12-22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일렉트로 루미네센스 표시소자와 그 제조방법 및 장치
KR100698689B1 (ko) * 2004-08-30 2007-03-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발광 표시장치와 그의 제조방법
KR100740133B1 (ko) * 2006-07-31 2007-07-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발광 표시 장치
KR100815765B1 (ko) * 2007-05-15 2008-03-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9020199A (ja) * 2007-07-10 2009-01-29 Mitsubishi Electric Corp 表示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10037789A1 (en) 2008-04-24 2011-02-17 Sharp Kabushiki Kaisha Backlight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JP5310372B2 (ja) * 2009-08-12 2013-10-09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輝度劣化補正方法および電子機器
KR101139477B1 (ko) * 2010-06-25 2012-04-30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이미지 센서
CN102169260B (zh) 2010-10-15 2015-01-2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Tft-lcd像素电极层结构、制备方法及其掩膜板
KR101717076B1 (ko) * 2010-11-20 2017-03-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네로우 베젤 타입 어레이 기판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WO2012086111A1 (ja) * 2010-12-20 2012-06-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有機el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24415A1 (en) * 2006-07-27 2008-01-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panel, mask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080082397A (ko) * 2007-03-08 2008-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계발광표시장치
KR20080082399A (ko) * 2007-03-08 2008-09-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계발광표시장치
KR20090006615A (ko) * 2007-07-12 2009-01-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소자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3160A (ko) * 2015-01-28 2016-08-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9583542B2 (en) 2015-01-28 2017-02-28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KR20180038621A (ko) * 2016-10-06 2018-04-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180104260A (ko) * 2017-03-10 2018-09-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0234625B2 (en) 2017-03-10 2019-03-1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KR20200057339A (ko) * 2018-11-16 2020-05-26 주식회사 세미콘라이트 마이크로 반도체 발광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183481A1 (en) 2014-07-03
GB2510689A (en) 2014-08-13
DE102013114696A1 (de) 2014-07-03
CN103915475B (zh) 2017-03-01
GB2510689B (en) 2015-07-08
US9627454B2 (en) 2017-04-18
US9490305B2 (en) 2016-11-08
GB201322005D0 (en) 2014-01-29
KR102050383B1 (ko) 2019-11-29
US20160315128A1 (en) 2016-10-27
CN103915475A (zh) 2014-07-09
DE102013114696B4 (de) 2024-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0383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101158873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20210082145A (ko) 유기발광표시패널 및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표시장치
JP4909041B2 (ja) 電界発光表示装置とその駆動方法
KR101306843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JP2015125366A (ja) 表示装置
JP4688732B2 (ja) 有機電界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9071726A1 (zh) Amoled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US20140354520A1 (en) Organic el display device
KR20150037325A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102058706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와 이의 제조방법
KR20160018936A (ko) 유기발광표시패널
CN106157877A (zh) 像素结构和显示装置
US11538869B2 (en) Display device
CN109785783B (zh) 显示面板
KR101671512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20100119653A (ko) 유기전계발광소자와 그 구동방법 및 제조방법
JP2016051845A (ja) 表示装置
KR102182012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US11342386B2 (en) Array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each having a data line connecting sub-pixels of different colors
KR102553137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KR101365761B1 (ko) 전계발광표시장치
KR102537973B1 (ko) 전계발광표시장치
US11864424B2 (en) Pixel having capacitor overlapping with opening area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210202614A1 (en)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