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8936A - 유기발광표시패널 - Google Patents

유기발광표시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8936A
KR20160018936A KR1020140101869A KR20140101869A KR20160018936A KR 20160018936 A KR20160018936 A KR 20160018936A KR 1020140101869 A KR1020140101869 A KR 1020140101869A KR 20140101869 A KR20140101869 A KR 20140101869A KR 20160018936 A KR20160018936 A KR 201600189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xel
sub
light emitting
organic light
subpix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1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동일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01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8936A/ko
Publication of KR20160018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89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10K59/353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ical arrangement of the RGB subpixels

Landscapes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발광표시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세 개의 서브픽셀들로 구성되는 인접되어 있는 두 개의 단위픽셀들이, 하나의 서브픽셀을 공유하고 있는, 유기발광표시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표시패널은, 복수의 그룹픽셀들을 포함하고, 상기 그룹픽셀들 각각은, 제1단위픽셀 및 제2단위픽셀을 포함하고, 상기 제1단위픽셀과 상기 제2단위픽셀들 각각은 세 개의 서브픽셀들로 형성되며, 상기 제1단위픽셀과 상기 제2단위픽셀들은, 세 개의 상기 서브픽셀들 중 어느 하나를 공유한다.

Description

유기발광표시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본 발명은 유기발광표시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개구율을 향상시키고, 고해상도로 구현될 수 있도록, 서브픽셀들의 구조가 변경된, 유기발광표시패널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 태블릿PC, 노트북 등을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전자제품에는 평판표시장치(FPD: Flat Panel Display)가 이용되고 있다. 평판표시장치에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Plasma Display Panel), 유기발광표시장치(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전기영동표시장치(EPD: ELECTROPHORETIC DISPLAY)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중, 유기발광표시장치(OLED)는 스스로 발광하는 자발광소자를 이용함으로써 응답속도가 빠르고 발광효율, 휘도 및 시야각이 크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유기발광표시장치는, 하부기판상에 유기발광다이오드가 형성되고, 유기발광다이오드에서 발생된 빛이 상부기판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는 탑 에미션(Top Emission)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유기발광표시장치는, 하부기판상에 유기발광다이오드가 형성되고, 유기발광다이오드에서 발생된 빛이 하부기판으로 방출되는 보텀 에미션(Bottom Emission)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최근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보텀 에미션 방식과 탑 에미션 방식을 결합하여, 양면으로 발광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유기발광표시패널을 나타낸 예시도로서, 특히, 서브픽셀들이 스트라이프(Stripe)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유기발광표시패널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종래의 유기발광표시패널에 적용되는 서브픽셀(11)들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라이프(Stripe)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서브픽셀에 형성되어 있는 유기발광다이오드(12)의 구동에 이용되는 구동 트랜지스터(TFT)와,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12)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택홀(PLN Hole)(13)들이 상기 유기발광표시패널에 형성되어 있다.
유기발광표시장치는, 상기 서브픽셀(11)들을 이용하여 영상을 구현한다. 즉, 유기발광표시장치에는, 적색 서브픽셀, 녹색 서브픽셀 및 청색 서브픽셀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서브픽셀들의 발광을 통해 다양한 컬러영상이 표시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적색 서브픽셀, 녹색 서브픽셀 및 청색 서브픽셀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형성되어 하나의 단위픽셀(10)을 형성한다. 상기 단위픽셀(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 이외에도, 다양한 개수의 서브픽셀들 및 다양한 색상의 서브픽셀들로 형성될 수 있다.
유기발광표시장치의 해상도가 점점 높아짐에 따라, 상기 단위픽셀의 크기도 점점 작아지고 있다. 단위픽셀의 크기가 작아짐에 따라, 각 서브픽셀들의 간격이 좁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유기발광표시패널의 제조가 어려워지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구조를 갖는 단위픽셀들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인접한 단위픽셀들 간에 동일한 색상의 빛을 발광시키는 서브픽셀들이 인접되도록 함으로써, 파인 메탈 마스크(fine metal mask, FMM)를 이용하여 유기발광표시패널을 형성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상기 파인 메탈 마스크는, 유기발광표시패널 내에, 유기발광층을 서브픽셀 단위로 증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미세한 패턴을 가진 마스크이다. 즉, 상기 파인 메탈 마스크에는, 하나의 서브픽셀 각각 대응되는 패턴들이 형성되어 있다.
고해상도의 유기발광표시패널이 제조될 때, 상기 파인 메탈 마스크의 패턴은 더 작게 제조되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 패턴을 작게 제조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이로 인해, 고해상도 유기발광표시패널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의 서브픽셀들의 구조가 형성되기 어렵다. 예를 들어, 300ppi 이상의 고해상도 유기발광표시패널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의 서브픽셀들의 구조가 형성되기 어렵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유기발광표시패널의 해상도가 증가함에 따라, 서브픽셀의 사이즈는 줄어들고 있다. 이 경우, 유기발광표시패널의 제조에 이용되는, 파인 메탈 마스크(Fine Metal Mask: FMM)의 두께에는 한계가 있고, 파인 메탈 마스크의 리브(Rib) 간의 거리가 부족하기 때문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서브픽셀들 및 단위픽셀들의 구조를 이용한 유기발광표시패널에서는, 원하는 개구율이 형성될 수 없다. 즉, 파인 메탈 마스크를 제작하는 방법의 한계로 인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의 단위픽셀들을 갖는 유기발광표시패널은, 고해상도로 제조되기 어렵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의 단위픽셀들을 갖는 유기발광표시패널에서는, 서로 인접되어 있는 서브픽셀들 간에, 비발광 영역이 존재한다. 따라서, 유기발광표시패널이 고해상도로 제조될 수록, 유기발광표시패널의 발광영역이 감소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세 개의 서브픽셀들로 구성되는 인접되어 있는 두 개의 단위픽셀들이, 하나의 서브픽셀을 공유하고 있는, 유기발광표시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표시패널은, 복수의 그룹픽셀들을 포함하고, 상기 그룹픽셀들 각각은, 제1단위픽셀 및 제2단위픽셀을 포함하고, 상기 제1단위픽셀과 상기 제2단위픽셀들 각각은 세 개의 서브픽셀들로 형성되며, 상기 제1단위픽셀과 상기 제2단위픽셀들은, 세 개의 상기 서브픽셀들 중 어느 하나를 공유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기발광표시패널의 발광 영역의 면적이 증대되고, 이에 따라, 높은 개구율이 확보할 수 있으며, 고해상도 구현 시 단위픽셀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발광 영역의 면적이 증가되기 때문에, 종래의 유기발광표시패널과 같은 전류로 구동되더라도, 고휘도가 얻어질 수 있다. 따라서, 유기발광표시패널의 수명이 길어질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유기발광표시패널을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표시패널이 적용되는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표시패널의 일부분의 평면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표시패널에 적용되는 그룹픽셀의 구조를 나타낸 다양한 예시도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표시패널에 적용되는 그룹픽셀의 구조를 나타낸 다양한 예시도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표시패널이 적용되는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고해상도 구현을 위한, 유기발광표시패널의 픽셀 배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증착(Evaporation) 공정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유기발광표시패널을 고해상도로 구현하는 것은, 파인 메탈 마스크(Fine Metal Mask: FMM)를 제작하는 데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서브픽셀들의 배치 구조가 변경되어, 고해상도가 구현될 수 있는 유기발광표시패널 및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표시패널이 적용되는 유기발광표시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 라인들(GL1 to GLg)과 데이터 라인들(DL1 to DLd)의 교차영역마다 서브픽셀(P)(110)이 형성되어 있는 유기발광표시패널(100), 상기 유기발광표시패널(100)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게이트 라인들(GL1 to GLg)에 순차적으로 게이트 펄스를 공급하기 위한 게이트 드라이버(200), 상기 유기발광표시패널(100)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데이터 라인들(DL1 ~ DLd)로 데이터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데이터 드라이버(300) 및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200)와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300)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컨트롤러(400)를 포함한다.
우선, 상기 패널(100)에는 복수의 게이트 라인(GL)과 데이터 라인(DL)이 교차하는 영역마다 서브픽셀(P)(11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서브픽셀(110)은 적색광 또는 녹색광 또는 청색광을 표현하기 위한 것으로서, 청색 서브픽셀, 적색 서브픽셀 및 녹색 서브픽셀이 모여 하나의 단위픽셀(unit pixel)을 형성한다. 즉, 하나의 단위픽셀은, 상기 청색 서브픽셀, 상기 적색 서브픽셀 및 상기 녹색 서브픽셀을 포함한다.
각 서브픽셀(110)은, 도 2의 확대된 원(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데이터 라인(DL)과 게이트 라인(GL)에 접속되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트랜지스터(TR1, TR2)들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상기 제1트랜지스터(TR1)는 스위칭 트랜지스터(switching TFT)라 하며, 상기 제2트랜지스터(102)는 구동 트랜지스터(driving TFT)라 한다.
첫째,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103)는 제1전극, 상기 제1전극상에 형성되는 유기발광층 및 상기 유기발광층 상에 형성되는 제2전극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2전극은, 애노드 전극 및 캐소드 전극일 수도 있으며, 또는 캐소드 전극과 애노드 전극일 수도 있다.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의 애노드 전극(anode)은 제1전원(VDD)에 접속되고, 캐소드 전극(cathode)은 제2전원(VSS)에 접속된다.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는, 제2트랜지스터(102)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에 대응되는 소정 휘도의 빛을 생성한다.
둘째, 상기 서브픽셀(110)에 형성되어 있는 각종 회로들은, 상기 게이트 라인(GL)에 게이트 펄스가 공급될 때, 상기 데이터 라인(DL)으로 공급되는 데이터 전압에 대응되는 전류가,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로 공급되는 전류량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상기 서브픽셀(110)에는 상기 제1전원(VDD)과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103)사이에 접속된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driving TFT)(102),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driving TFT)(102)와 상기 데이터 라인(DL)과 상기 게이트 라인(GL) 사이에 접속된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switching TFT)(TR1) 및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driving TFT)(102)의 게이트 전극과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103) 사이에 접속된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를 구비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서브픽셀이 대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특히, 도 2에는 두 개의 트랜지스터와 하나의 캐패시터만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기 서브픽셀(110)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서브픽셀은, 각종 보상용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하여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103)의 상기 애노드 전극 또는 상기 캐소드 전극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라인(101)을 통해,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driving TFT)(102)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패널(100)의 세부 구성은, 이하에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다음,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400)는 외부 시스템(미도시)으로부터 공급되는 수직/수평 동기신호와 클럭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200)를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제어신호(GCS)와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300)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제어신호(DCS)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400)는 상기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입력되는 입력영상데이터를 샘플링한 후에 이를 재정렬하여, 재정렬된 디지털 영상데이터(RGB)를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300)에 공급한다.
즉,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400)는, 상기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공급된 입력영상데이터를 재정렬하여, 재정렬된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300)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공급된 클럭신호와, 수평동기신호와, 수직동기신호(상기 신호들은 간단히 타이밍 신호라 함) 및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를 이용해서,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200)를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제어신호(GCS)와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300)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제어신호(DCS)를 생성하여,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200) 및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300)로 전송한다.
특히,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400)는, 상기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입력영상데이터와 상기한 바와 같은 각종 신호들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신호들 중 상기 입력영상데이터들을 상기 패널에 맞게 재정렬하여, 재정렬된 상기 디지털 영상데이터들을 생성하기 위한 영상데이터 처리부, 상기 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을 이용하여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200)와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300)를 제어하기 위한 상기 게이트 제어신호(GCS)와 상기 데이터 제어신호(DCS)들을 생성하기 위한 제어신호 생성부 및 상기 영상데이터 처리부에서 생성된 상기 영상데이터와 상기 제어신호들을 상기 데이터 구동부(300) 또는 상기 게이트 구동부(200)로 출력하기 위한 송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음,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300)는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400)로부터 입력된 상기 영상데이터를 아날로그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게이트 라인에 상기 게이트 펄스가 공급되는 1수평기간마다 1수평라인분의 데이터 전압을 상기 데이터 라인들에 공급한다. 즉,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300)는 감마전압 발생부(도시하지 않음)로부터 공급되는 감마전압들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데이터를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시킨 후 상기 데이터 라인들로 출력시킨다.
즉,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300)는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400)로부터의 소스 스타트 펄스(Source Start Pulse; SSP)를 소스 쉬프트 클럭(Source Shift Clock; SSC)에 따라 쉬프트시켜 샘플링 신호를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300)는 상기 소스 쉬프트 클럭(SSC)에 따라 입력되는 상기 화소 데이터(RGB)(영상 데이터)를 샘플링 신호에 따라 래치하여, 데이터 전압으로 변경한 후, 상기 소스 출력 인에이블(Source Output Enable; SOE) 신호에 응답하여 수평 라인 단위로 상기 데이터 전압을 상기 데이터 라인들에 공급한다.
이를 위해,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300)는 쉬프트 레지스터부, 래치부,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 및 출력버퍼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200)는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400)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게이트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패널(100)의 상기 게이트 라인들(GL1 to GLg)에 게이트 펄스를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이에 따라, 상기 게이트 펄스가 입력되는 해당 수평라인의 각각의 서브픽셀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switching TFT)들이 턴온되어, 각 서브픽셀(110)로 영상이 출력될 수 있다.
즉,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200)는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400)로부터 전송되어온 게이트 스타트 펄스(Gate Start Pulse; GSP)를 게이트 쉬프트 클럭(Gate Shift Clock; GSC)에 따라 쉬프트시켜, 순차적으로 상기 게이트 라인들(GL1 to GLg)에 게이트 온 전압(Von)을 갖는 게이트 펄스를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200)는 게이트 온 전압(Von)의 게이트 펄스가 공급되지 않는 나머지 기간 동안에는 상기 게이트 라인(GL1 내지 GLn)에 게이트 오프 전압(Voff)을 공급한다.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200)는, 상기 패널(100)과 독립되게 형성되어, 다양한 방식으로 상기 패널(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상기 패널(100) 내에 실장되어 있는 게이트 인 패널(Gate In Panel : GIP)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200)를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제어신호들에는, 스타트신호(VST) 및 게이트클럭(GCLK)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300),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200) 및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400)가 독립적으로 구성된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300) 또는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200)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400)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표시패널의 일부분의 평면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특히, 유기발광표시패널을 구성하는 그룹픽셀(130)들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표시패널에 적용되는 그룹픽셀의 구조를 나타낸 다양한 예시도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표시패널(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그룹픽셀(130)들을 포함한다. 도 3에는 설명의 편의상 6개의 그룹픽셀(130)들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유기발광표시패널(100)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그룹픽셀(130)들 각각은, 두 개의 단위픽셀들(131, 132)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각 그룹픽셀(130)에 형성되어 있는 두 개의 단위픽셀들 각각을, 제1단위픽셀(131) 및 제2단위픽셀(132)이라 한다.
상기 제1단위픽셀(131)과 상기 제2단위픽셀(132)들 각각은 세 개의 서브픽셀들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단위픽셀(131)은, 제1서브픽셀(111), 제2서브픽셀(112) 및 제3서브픽셀(113)을 포함하며, 상기 제2단위픽셀(132)은, 제1서브픽셀(111), 제2서브픽셀(122) 및 제3서브픽셀(123)을 포함한다.
상기 제1단위픽셀(131)과 상기 제2단위픽셀(132)들은, 세 개의 상기 서브픽셀들 중 어느 하나를 공유한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패널에서, 상기 제1단위픽셀(131)과 상기 제2단위픽셀(132)들은, 제1서브픽셀(111)을 공유하고 있다. 도 3에서, 상기 제1서브픽셀(111)에는 적색 유기발광다이오드(R)가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제1서브픽셀(111)에는 청색 유기발광다이오드(B)가 형성될 수도 있으며, 녹색 유기발광다이오드(G)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그룹픽셀(130)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기 그룹픽셀(130)들 각각은, 제1서브픽셀(111), 제1방향을 따라 상기 제1서브픽셀(111)의 상단과 하단에 일렬로 배치되는 두 개의 제2서브픽셀들(112, 122) 및, 상기 제1서브픽셀(111) 및 두 개의 상기 제2서브픽셀들(112, 122)과 나란하게 형성되며, 서로 이격되어 있는 두 개의 제3서브픽셀들(113, 123)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방향은 상기 데이터 라인과 나란한 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제2서브픽셀들(112, 122) 중 어느 하나(112)와, 상기 제3서브픽셀들(113, 123) 중 어느 하나(113) 및 상기 제1서브픽셀(111)은 상기 제1단위픽셀(131)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2서브픽셀들(112, 122) 중 나머지 하나(122)와, 상기 제3서브픽셀들(113, 123) 중 나머지 하나(123) 및 상기 제1서브픽셀(111)은 상기 제2단위픽셀(132)을 형성한다.
둘째, 도 3에서, 상기 제1단위픽셀(131) 및 상기 제2단위픽셀(132)은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일렬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단위픽셀(131)은 상기 제1서브픽셀(111), 상기 제2서브픽셀(112) 및 상기 제3서브픽셀(113)을 포함하며, 상기 제2단위픽셀(132)은 상기 제1서브픽셀(111), 상기 제2서브픽셀(122) 및 상기 제3서브픽셀(123)을 포함한다.
두 개의 상기 제2서브픽셀들(112, 122)은, 상기 제1서브픽셀(111)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일렬로 형성되어 있다.
두 개의 상기 제3서브픽셀들(113, 123)은 서로 이격되어 있고,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일렬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서브픽셀(111) 및 두 개의 상기 제2서브픽셀들(112, 122)과는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다.
셋째, 상기 제1단위픽셀(131)과 상기 제2단위픽셀(132)들은, 상기 제1서브픽셀(111)을 공유한다.
상기 제1서브픽셀(11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단위픽셀(131)과 상기 제2단위픽셀(132)의 경계지점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서브픽셀(111)의 중심부분에는 각 서브픽셀을 구분하는 뱅크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도 3에 도시된 각 서브픽셀들은 뱅크에 의해 구분되고 있으며, 상기 제1서브픽셀(111)의 외곽영역에도 뱅크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제1서브픽셀(111) 중 상기 제1단위픽셀(131)과 상기 제2단위픽셀(132)의 경계영역에는 뱅크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상기 제1서브픽셀(111)은 상기 제1단위픽셀(131)과 상기 제2단위픽셀(132)에 공유될 수 있다.
넷째, 도 3 및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서브픽셀(111)은, 적색 유기발광다이오드(R)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색 유기발광다이오드(B)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녹색 유기발광다이오드(G)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서브픽셀(111)이 적색 유기발광다이오드(R)로 형성된 경우,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서브픽셀(112)은 녹색 유기발광다이오드(G)로 형성되고, 상기 제3서브픽셀(113)은 청색 유기발광다이오드(B)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제2서브픽셀(112)은 청색 유기발광다이오드(B)로 형성되고, 상기 제3서브픽셀(113)은 녹색 유기발광다이오드(G)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서브픽셀(111)이 청색 유기발광다이오드(B)로 형성된 경우,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서브픽셀(112)은 적색 유기발광다이오드(R)로 형성되고, 상기 제3서브픽셀(113)은 녹색 유기발광다이오드(G)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제2서브픽셀(112)은 녹색 유기발광다이오드(G)로 형성되고, 상기 제3서브픽셀(113)은 청색 유기발광다이오드(B)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서브픽셀(111)이 녹색 유기발광다이오드(G)로 형성된 경우,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서브픽셀(112)은 청색 유기발광다이오드(B)로 형성되고, 상기 제3서브픽셀(113)은 적색 유기발광다이오드(R)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제2서브픽셀(112)은 적색 유기발광다이오드(R)로 형성되고, 상기 제3서브픽셀(113)은 청색 유기발광다이오드(B)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표시패널에 적용되는 그룹픽셀의 구조를 나타낸 다양한 예시도들이다.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표시패널(100)은, 복수의 그룹픽셀(130)들을 포함하고, 상기 그룹픽셀(130)들 각각은, 상기 제1단위픽셀(131) 및 상기 제2단위픽셀(132)을 포함하고, 상기 제1단위픽셀(131)과 상기 제2단위픽셀(132)들 각각은 세 개의 서브픽셀들(111, 112, 113 또는 111, 122, 123)로 형성되며, 상기 제1단위픽셀(131)과 상기 제2단위픽셀(132)들은, 세 개의 상기 서브픽셀들 중 어느 하나를 공유하고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그룹픽셀(130)들 각각은, 제1서브픽셀(111), 제1방향을 따라 상기 제1서브픽셀(111)의 상단과 하단에 일렬로 배치되는 두 개의 제2서브픽셀들(112, 122) 및 상기 제1서브픽셀 및 두 개의 상기 제2서브픽셀들과 나란하게 형성되며, 서로 이격되어 있는 두 개의 제3서브픽셀들(113, 123)을 포함하며, 상기 제1단위픽셀(131)과 상기 제2단위픽셀(132)들은, 상기 제1서브픽셀(111)을 공유한다.
상기 단위픽셀들 각각에는, 상기 단위픽셀에 형성되는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트랜지스터가 형성되어 있다.
첫째, 도 5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제1단위픽셀(131)에 형성되는 상기 제2서브픽셀(112)과 상기 제1서브픽셀(111) 사이에는, 상기 제1서브픽셀(111)과 상기 제1서브픽셀을 구동하는 제1구동 트랜지스터(미도시)를 연결하는 제1컨택홀(141), 상기 제2서브픽셀(112)과 상기 제2서브픽셀을 구동하는 제2구동 트랜지스터(미도시)를 연결하는 제2컨택홀(142) 및 상기 제3서브픽셀(113)과 상기 제3서브픽셀을 구동하는 제3구동 트랜지스터(미도시)를 연결하는 제3컨택홀(14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단위픽셀(132)에 형성되는 상기 제2서브픽셀(122)과 상기 제1서브픽셀(111) 사이에는, 상기 제2서브픽셀(122)과 상기 제2서브픽셀을 구동하는 제2구동 트랜지스터(미도시)를 연결하는 제2컨택홀 및 상기 제3서브픽셀(123)과 상기 제3서브픽셀을 구동하는 제3구동 트랜지스터(미도시)를 연결하는 제3컨택홀이 형성된다.
상기 컨텍홀들은,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각 단위픽셀에 형성되어 있는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상기 구동트랜지스터와 연결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1서브픽셀(111)은 상기 제1단위픽셀(131)과 상기 제2단위픽셀(132)에서 공유되고 있으나, 상기 제1서브픽셀(111)을 구동하는 구동트랜지스터는 하나이다.
따라서, 상기 제1서브픽셀(111)과 연결되어 있는 컨택홀(143)은 하나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서브픽셀(111)과 연결되는 상기 제1컨택홀(141)은,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단위픽셀(131)에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제2단위픽셀(132)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단위픽셀(131) 및 상기 제2단위픽셀(132)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1서브픽셀(111)과 연결되지 않은 더미컨택홀(144)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의 (a)에서는 상기 더미컨택홀(144)이 상기 제2단위픽셀(132)에 형성되어 있는 유기발광표시패널(100)이 도시되어 있다.
둘째, 도 5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제1단위픽셀(131)에 형성되는 상기 제2서브픽셀(112)과 상기 제1서브픽셀(111) 사이에는, 상기 제2서브픽셀과 상기 제2서브픽셀을 구동하는 제2구동 트랜지스터(미도시)를 연결하는 제2컨택홀(142) 및 상기 제3서브픽셀(113)과 상기 제3서브픽셀을 구동하는 제3구동 트랜지스터(미도시)를 연결하는 제3컨택홀(14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단위픽셀(132)에 형성되는 상기 제2서브픽셀(122)과 상기 제1서브픽셀(111) 사이에는, 상기 제2서브픽셀과 상기 제2서브픽셀을 구동하는 제2구동 트랜지스터(미도시)를 연결하는 제2컨택홀 및 상기 제3서브픽셀(123)과 상기 제3서브픽셀을 구동하는 제3구동 트랜지스터(미도시)를 연결하는 제3컨택홀이 형성된다.
이 경우, 두 개의 상기 제3서브픽셀들(113, 123) 사이에는, 상기 제1서브픽셀(111)과 상기 제1서브픽셀을 구동하는 제1구동 트랜지스터(미도시)를 연결하는 제1컨택홀(141)이 형성된다.
상기 컨텍홀들은,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각 단위픽셀에 형성되어 있는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상기 구동트랜지스터와 연결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1서브픽셀(111)은 상기 제1단위픽셀(131)과 상기 제2단위픽셀(132)에서 공유되고 있으나, 상기 제1서브픽셀(111)을 구동하는 구동트랜지스터는 하나이다.
따라서, 상기 제1서브픽셀(111)과 연결되어 있는 컨택홀(143)은 하나이다.
상기에서 도 5의 (a)를 참조하여 설명된 예에서는, 하나의 그룹픽셀(130)에 형성되어 있는 두 개의 단위픽셀들(131, 132) 중 어느 하나에만, 상기 제1서브픽셀(111)과 연결되어 있는 제1컨택홀(141)이 형성되며, 나머지 단위픽셀에는 상기 제1서브픽셀(111)과 연결되어 있지 않은 더미컨택홀(144)이 형성된다.
그러나, 도 5의 (b)에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 제1서브픽셀(111)과 연결되는 상기 제1컨택홀(141)이, 두 개의 상기 제3서브픽셀들(113, 123)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1서브픽셀(111)은, 상기 그룹픽셀(130) 내에서 서로 인접되어 있는 두 개의 단위픽셀에 공유되어 있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단위픽셀에 대응되는 데이터 전압에 의해서만 구동된다.
그러나, 동일한 색상의 광을 출력하는 두 개의 서브픽셀들이 서로 분리되어 있고, 서로 다른 구동트랜지스터에 의해 개별적으로 구동되더라도, 도 5에 도시된 상기 제1서브픽셀(111)과 유사하게 서로 인접되어 있다면, 두 개의 서브픽셀들로부터 출력되는 광은 혼합된다. 따라서, 두 개의 서브픽셀들로부터 출력되는 광을 구분하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과 같이, 두 개의 단위픽셀들(131, 132)에 의해 공유되는 상기 제1서브픽셀(111)이 하나의 단위픽셀로 공급되는 데이터 전압에 의해 구동되더라도, 사용자의 눈에는 불량으로 보이지 않는다. 오히려, 상기 제1서브픽셀(111)로부터 출력되는 광의 면적이 넓어지기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하면 휘도가 증가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된 본 발명을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유기발광표시패널의 새로운 픽셀 배열 구조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기발광표시패널의 개구율이 증가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개구율 향상 및 고해상도 구현을 위한, 새로운 픽셀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동일한 크기의 단위픽셀을 갖는 종래의 유기발광표시패널과 비교할 때,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표시패널에서는 개구율이 증대되기 때문에, 고해상도 구현 시 단위 픽셀 크기가 줄어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증착에 의한 발광영역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같은 면적대비 발광영역이 증가하므로, 유기발광표시패널의 개구율이 상승될 수 있으며, 유기발광표시패널로 같은 전류 인가시 휘도값이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해상도의 유기발광표시패널의 제조에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서브픽셀들의 발광영역이 증가될 수 있기 때문에, 좀 더 낮은 전력으로도 같은 휘도값이 얻어질 수 있다. 따라서, 장수명 유기발광표시패널의 구현이 가능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패널 200 : 게이트 구동부
300 : 데이터 구동부 400 : 타이밍 컨트롤러

Claims (6)

  1. 복수의 그룹픽셀들을 포함하고,
    상기 그룹픽셀들 각각은, 제1단위픽셀 및 제2단위픽셀을 포함하고,
    상기 제1단위픽셀과 상기 제2단위픽셀들 각각은 세 개의 서브픽셀들로 형성되며,
    상기 제1단위픽셀과 상기 제2단위픽셀들은, 세 개의 상기 서브픽셀들 중 어느 하나를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표시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픽셀들 각각은,
    제1서브픽셀;
    제1방향을 따라 상기 제1서브픽셀의 상단과 하단에 일렬로 배치되는 두 개의 제2서브픽셀들; 및
    상기 제1서브픽셀 및 두 개의 상기 제2서브픽셀들과 나란하게 형성되며, 서로 이격되어 있는 두 개의 제3서브픽셀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단위픽셀과 상기 제2단위픽셀들은, 상기 제1서브픽셀을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표시패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서브픽셀들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제3서브픽셀들 중 어느 하나 및 상기 제1서브픽셀은 제1단위픽셀을 형성하며,
    상기 제2서브픽셀들 중 나머지 하나와, 상기 제3서브픽셀들 중 나머지 하나 및 상기 제1서브픽셀은 제2단위픽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표시패널.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위픽셀에 형성되는 상기 제2서브픽셀과 상기 제1서브픽셀 사이에는, 상기 제1서브픽셀과 상기 제1서브픽셀을 구동하는 제1구동 트랜지스터를 연결하는 제1컨택홀, 상기 제2서브픽셀과 상기 제2서브픽셀을 구동하는 제2구동 트랜지스터를 연결하는 제2컨택홀 및 상기 제3서브픽셀과 상기 제3서브픽셀을 구동하는 제3구동 트랜지스터를 연결하는 제3컨택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2단위픽셀에 형성되는 상기 제2서브픽셀과 상기 제1서브픽셀 사이에는, 상기 제2서브픽셀과 상기 제2서브픽셀을 구동하는 제2구동 트랜지스터를 연결하는 제2컨택홀 및 상기 제3서브픽셀과 상기 제3서브픽셀을 구동하는 제3구동 트랜지스터를 연결하는 제3컨택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표시패널.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위픽셀에 형성되는 상기 제2서브픽셀과 상기 제1서브픽셀 사이에는, 상기 제2서브픽셀과 상기 제2서브픽셀을 구동하는 제2구동 트랜지스터를 연결하는 제2컨택홀 및 상기 제3서브픽셀과 상기 제3서브픽셀을 구동하는 제3구동 트랜지스터를 연결하는 제3컨택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단위픽셀에 형성되는 상기 제2서브픽셀과 상기 제1서브픽셀 사이에는, 상기 제2서브픽셀과 상기 제2서브픽셀을 구동하는 제2구동 트랜지스터를 연결하는 제2컨택홀 및 상기 제3서브픽셀과 상기 제3서브픽셀을 구동하는 제3구동 트랜지스터를 연결하는 제3컨택홀이 형성되며,
    두 개의 상기 제3서브픽셀들 사이에는, 상기 제1서브픽셀과 상기 제1서브픽셀을 구동하는 제1구동 트랜지스터를 연결하는 제1컨택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표시패널.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서브픽셀 중 상기 제1단위픽셀과 상기 제2단위픽셀의 경계지점에는 뱅크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표시패널.
KR1020140101869A 2014-08-07 2014-08-07 유기발광표시패널 KR201600189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869A KR20160018936A (ko) 2014-08-07 2014-08-07 유기발광표시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869A KR20160018936A (ko) 2014-08-07 2014-08-07 유기발광표시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8936A true KR20160018936A (ko) 2016-02-18

Family

ID=55457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1869A KR20160018936A (ko) 2014-08-07 2014-08-07 유기발광표시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8936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0558B1 (ko) * 2016-04-20 2017-01-3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70112275A (ko) * 2016-03-31 2017-10-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어레이 기판,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US10141380B2 (en) 2016-04-29 2018-11-27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10181499B2 (en) 2016-04-08 2019-01-15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10236326B2 (en) 2016-04-01 2019-03-19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ving sub pixels of different areas and distances
CN110945582A (zh) * 2019-10-31 2020-03-31 北京集创北方科技股份有限公司 子像素渲染方法、驱动芯片和显示装置
US10909904B2 (en) 2016-04-08 2021-02-02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WO2022116730A1 (zh) * 2020-12-01 2022-06-0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像素结构、精细金属掩膜板、显示装置和控制方法
US11871636B2 (en) 2020-02-12 2024-01-0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2275A (ko) * 2016-03-31 2017-10-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어레이 기판,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US11462588B2 (en) 2016-04-01 2022-10-04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ving sub pixels of different areas and distances
US10236326B2 (en) 2016-04-01 2019-03-19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ving sub pixels of different areas and distances
US10629656B2 (en) 2016-04-08 2020-04-21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11043539B2 (en) 2016-04-08 2021-06-22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10181499B2 (en) 2016-04-08 2019-01-15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10909904B2 (en) 2016-04-08 2021-02-02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N107305905B (zh) * 2016-04-20 2021-02-26 乐金显示有限公司 有机发光显示装置
US10490605B2 (en) 2016-04-20 2019-11-26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1700558B1 (ko) * 2016-04-20 2017-01-3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1205684B2 (en) 2016-04-20 2021-12-21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N107305905A (zh) * 2016-04-20 2017-10-31 乐金显示有限公司 有机发光显示装置
US10580833B2 (en) 2016-04-29 2020-03-03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10903281B2 (en) 2016-04-29 2021-01-26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10141380B2 (en) 2016-04-29 2018-11-27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11631721B2 (en) 2016-04-29 2023-04-18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green sub pixels disposed between at least one red sub pixel and at least one blue sub pixel
CN110945582A (zh) * 2019-10-31 2020-03-31 北京集创北方科技股份有限公司 子像素渲染方法、驱动芯片和显示装置
US11871636B2 (en) 2020-02-12 2024-01-0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O2022116730A1 (zh) * 2020-12-01 2022-06-0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像素结构、精细金属掩膜板、显示装置和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0132B1 (ko) 유기발광표시패널 및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표시장치
KR20160018936A (ko) 유기발광표시패널
CN111326100B (zh) 电致发光显示装置
US9064455B2 (en) Display device having a power line arrangement for reducing voltage drop
CN109285502B (zh) Oled显示面板
KR102141885B1 (ko)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331750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20140086714A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CN109872684B (zh) 一种显示面板、显示装置和显示面板的驱动方法
CN110767829B (zh) 显示装置及其显示面板、oled透明基板、oled基板
JP2016091003A (ja) 有機発光表示装置およびそれの駆動方法
CN104680972A (zh) 有机发光显示装置
WO2022110650A1 (zh) 一种显示基板、显示装置
KR102411043B1 (ko) 유기발광표시장치
US9990889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WO2017059628A1 (zh) Amoled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US10910444B2 (en) Display panel
CN106157877A (zh) 像素结构和显示装置
KR20160093153A (ko) 전계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전계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변 구동 방법
WO2020133969A1 (zh) 显示装置及其显示面板、oled阵列基板
KR102182012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20210014262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2491625B1 (ko) 표시 패널과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CN115731857A (zh) 显示面板和包含该显示面板的显示装置
KR100635507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