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1842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1842A
KR20220031842A KR1020200113277A KR20200113277A KR20220031842A KR 20220031842 A KR20220031842 A KR 20220031842A KR 1020200113277 A KR1020200113277 A KR 1020200113277A KR 20200113277 A KR20200113277 A KR 20200113277A KR 20220031842 A KR20220031842 A KR 202200318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pixel
sub
line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3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선권
신동희
차나현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13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1842A/ko
Priority to US17/232,043 priority patent/US11963418B2/en
Priority to CN202110760602.7A priority patent/CN114141819A/zh
Publication of KR20220031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18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8Ti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H01L27/3293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3Display of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8Structural electrical arrangements for semiconductor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in combination with batteries
    • H01L23/60Protection against electrostatic charges or discharges, e.g. Faraday shield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8Dummy elements, i.e. elements having non-functional featur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6Video wall, i.e. juxtaposition of a plurality of screens to create a display screen of bigger dimens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26Layout of electrodes and conne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4Display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표시 장치는 제1 서브 표시 패널 및 제1 서브 표시 패널과 제1 방향으로 인접하는 제2 서브 표시 패널을 포함한다. 제1 서브 표시 패널은 제2 서브 표시 패널에 인접하는 제1 화소 및 제1 화소와 제2 서브 표시 패널 사이에 배치되고, 제1 방향에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그라운드 배선을 포함한다. 제2 서브 표시 패널은 제1 서브 표시 패널에 인접하는 제2 화소 및 제2 화소와 제1 서브 표시 패널 사이에 배치되고,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그라운드 배선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복수의 서브 표시 패널들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평판 표시 장치는 경량 및 박형 등의 특성으로 인하여, 음극선관 표시 장치를 대체하는 표시 장치로써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평판 표시 장치의 대표적인 예로서 액정 표시 장치와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있다.
최근, 적어도 2개의 서브 표시 패널들을 결합하여 대형 표시 패널을 구현하는 표시 장치(예컨대, 타일링 표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상기 대형 표시 패널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상기 서브 표시 패널들 각각에 정전기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표시 패널들 사이의 심(seam) 영역이 시청자에 의해 시인됨에 따라, 상기 시청자가 시각적으로 부자연스러움을 인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신뢰성이 향상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심 영역의 시인성이 개선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상술한 목적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서브 표시 패널 및 상기 제1 서브 표시 패널과 제1 방향으로 인접하는 제2 서브 표시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서브 표시 패널은 상기 제2 서브 표시 패널에 인접하는 제1 화소 및 상기 제1 화소와 상기 제2 서브 표시 패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방향에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그라운드 배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서브 표시 패널은 상기 제1 서브 표시 패널에 인접하는 제2 화소 및 상기 제2 화소와 상기 제1 서브 표시 패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그라운드 배선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라운드 배선 및 상기 제2 그라운드 배선은 서로 인접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서브 표시 패널과 상기 제2 방향으로 인접하는 제3 서브 표시 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서브 표시 패널은 상기 제1 화소와 상기 제3 서브 표시 패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그라운드 배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소는 상기 제3 서브 표시 패널에 인접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라운드 배선과 상기 제3 그라운드 배선은 서로 수직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라운드 배선의 일부는 상기 제3 그라운드 배선의 일부와 중첩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3 그라운드 배선들은 상기 제1 및 제3 그라운드 배선들이 중첩하는 부분에서 콘택홀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표시 패널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화소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게이트 배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라운드 배선은 상기 게이트 배선과 교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표시 패널은 상기 제1 화소에 인접하며 상기 제1 화소에 의해 상기 제2 서브 표시 패널과 이격되고, 상기 게이트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 화소 및 상기 제1 화소와 상기 제3 화소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더미 배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더미 배선은 상기 게이트 배선과 교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더미 배선은 상기 제1 그라운드 배선과 동일한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표시 패널은 상기 제1 화소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3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게이트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4 화소 및 상기 제1 화소와 상기 제4 화소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게이트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 배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연결 배선은 상기 제1 그라운드 배선과 동일한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표시 패널은 기판, 상기 기판 위에 배치되는 제1 절연층, 상기 제1 절연층 위에 배치되는 게이트 전극, 상기 게이트 전극을 커버하는 제2 절연층 및 상기 제2 절연층 위에 배치되는 연결 전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그라운드 배선은 상기 연결 전극과 동일한 층에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3 그라운드 배선은 상기 게이트 전극과 동일한 층에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배선은 상기 게이트 전극과 동일한 층에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라운드 배선은 상기 제2 그라운드 배선과 접촉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라운드 배선은 상기 제2 그라운드 배선과 이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그라운드 배선들은 상기 제1 및 제2 화소들을 정전기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가장자리에 그라운드 배선들이 배치되는 복수의 서브 표시 패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정전기가 상기 서브 표시 패널들 각각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표시 장치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상기 서브 표시 패널들 각각에 포함된 더미 배선들 중 일부를 그라운드 배선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 표시 패널들 사이의 심 영역의 시인을 방지하거나 줄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제1 서브 표시 패널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1 서브 표시 패널을 확대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B' 영역에 대응되는 레이아웃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Ⅰ-Ⅰ' 라인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Ⅱ-Ⅱ' 라인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Ⅲ-Ⅲ' 라인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3의 'C' 영역에 대응되는 레이아웃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Ⅳ-Ⅳ' 라인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Ⅴ-Ⅴ' 라인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의 'A' 영역에 대응되는 레이아웃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Ⅵ-Ⅵ' 라인을 따라 자른 일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Ⅵ-Ⅵ' 라인을 따라 자른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1의 Ⅵ-Ⅵ' 라인을 따라 자른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10)에 포함된 제1 서브 표시 패널(101)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0)는 표시 패널(100) 및 패널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 구동부는 구동 제어부(CON), 게이트 구동부(GDV) 및 데이터 구동부(DDV)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 패널(100)은 복수의 서브 표시 패널들을 포함하는 타일링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100)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제1 내지 제4 서브 표시 패널들(101, 102, 103, 104)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 서브 표시 패널(102)은 제1 서브 표시 패널(101)과 제1 방향(DR1)으로 인접할 수 있다. 제3 서브 표시 패널(103)은 제1 서브 표시 패널(101)과 제1 방향(DR1)에 교차하는 제2 방향(DR2)으로 인접할 수 있다. 제4 서브 표시 패널(104)은 제2 서브 표시 패널(101)과 제2 방향(DR2)으로 인접하고, 제3 서브 표시 패널(103)과 제1 방향(DR1)으로 인접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서브 표시 패널들은 일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에는 표시 패널(100)이 4개의 서브 표시 패널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기 서브 표시 패널들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서브 표시 패널(101)은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에 이웃하여 배치되는 주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브 표시 패널(101)은 복수의 화소들(PX), 복수의 게이트 배선들(GL), 복수의 데이터 배선들(DL), 복수의 연결 배선들(CL), 복수의 더미 배선들(DML) 및 복수의 그라운드 배선들(GNL)을 포함할 수 있다.
화소들(PX)은 게이트 및 데이터 배선들(GL, DL)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화소들(PX)은 게이트 및 데이터 배선들(GL, DL)로부터 신호 및/또는 전압을 전달받아 빛을 방출할 수 있다. 게이트 및 데이터 배선들(GL, DL)은 서로 교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게이트 배선들(GL) 각각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고, 데이터 배선들(DL) 각각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방향(DR1)과 제2 방향(DR2)은 서로 수직할 수 있다.
연결 배선들(CL) 각각은 게이트 배선들(GL) 각각과 교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결 배선들(CL) 각각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연결 배선들(CL) 각각은 게이트 배선들(GL)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결 배선들(CL) 각각은 게이트 배선들(GL) 각각과 일대일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 배선들(CL) 각각은 게이트 구동부(GDV)에서 생성된 게이트 신호들을 게이트 배선들(GL) 각각에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그라운드 배선들(GNL) 각각은 제1 서브 표시 패널(101)의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그라운드 배선들(GNL)은 제1 서브 표시 패널(101)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들(PX)을 전체적으로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그라운드 배선들(GNL)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는 제1 그라운드 배선(GNL1) 및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는 제2 그라운드 배선(GNL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그라운드 배선(GNL1)은 제1 서브 표시 패널(101)의 제1 방향(DR1) 측(예컨대, 우측) 가장자리 및 제1 방향(DR1)에 반대되는 제3 방향(DR3) 측(예컨대, 좌측)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그라운드 배선(GNL2)은 제1 서브 표시 패널(101)의 제2 방향(DR2)(예컨대, 하측) 측 가장자리 및 제2 방향(DR2)에 반대되는 제4 방향(DR4) 측(예컨대, 상측)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그라운드 배선들(GNL1, GNL2) 각각은 접지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그라운드 배선들(GNL1, GNL2)은 제1 서브 표시 패널(101)의 가장자리에서 발생하는 정전기로부터 화소들(PX)과 같은 제1 서브 표시 패널(101)의 내부 구조물들을 보호할 수 있다. 표시 장치(10)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제1 서브 표시 패널(101)에 정전기가 발생하거나 유입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기판(mother glass)에서 제1 서브 표시 패널(101)을 절단하거나, 제1 서브 표시 패널(101)을 제2 내지 제4 서브 표시 패널들(102, 103, 104)과 합착할 때 제1 서브 표시 패널(101)에 정전기가 발생하거나 유입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그라운드 배선들(GNL1, GNL2)은 상기 정전기가 제1 서브 표시 패널(101)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줄일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그라운드 배선들(GNL1, GNL2)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접지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10)의 신뢰성이 개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더미 배선들(DML) 각각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될 수 있다. 더미 배선들(DML) 각각에는 임의의 정전압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더미 배선들(DML) 각각에는 게이트 턴오프 전압(Voff)이 인가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더미 배선들(DML) 각각은 전기적으로 플로팅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더미 배선들(DML)은 생략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내지 제4 서브 표시 패널들(102, 103, 104) 각각은 제1 서브 표시 패널(10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내지 제4 서브 표시 패널들(102, 103, 104) 각각은 화소들(PX), 게이트 배선들(GL), 데이터 배선들(DL), 연결 배선들(CL), 더미 배선들(DML) 및 그라운드 배선들(GNL)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제어부(CON)는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입력 영상 데이터(IDAT) 및 입력 제어 신호(CTRL)에 기초하여 게이트 제어 신호(GCTRL), 데이터 제어 신호(DCTRL) 및 출력 영상 데이터(ODAT)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 영상 데이터(IDAT)는 적색 영상 데이터, 녹색 영상 데이터 및 청색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RGB 데이터일 수 있다. 입력 제어 신호(CTRL)는 마스터 클럭 신호, 입력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제어 신호(CTRL)는 수직 동기 신호 및 수평 동기 신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구동부(GDV)는 구동 제어부(CON)로부터 제공되는 게이트 제어 신호(GCTRL)에 기초하여 복수의 게이트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게이트 제어 신호(GCTRL)는 수직 개시 신호 및 게이트 클럭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구동부(GDV)는 상기 게이트 신호들을 연결 배선들(CL)에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게이트 배선들(GL)은 연결 배선들(CL)을 통해 게이트 구동부(GDV)로부터 상기 게이트 신호들을 순차적으로 전달받을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DDV)는 구동 제어부(CON)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 제어 신호(DCTRL) 및 출력 영상 데이터(ODAT)에 기초하여 복수의 데이터 전압들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 제어 신호(DCTRL)는 출력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 수평 개시 신호 및 로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DDV)는 상기 데이터 전압들을 복수의 배선들(DL)에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0)는 연성 회로 기판(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게이트 구동부(GDV) 및 데이터 구동부(DDV)는 연성 회로 기판(2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게이트 구동부(GDV)는 복수의 게이트 구동 칩들을 포함하고, 데이터 구동부(DDV)는 복수의 소스 구동 칩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및 소스 구동 칩들(210)은 연성 회로 기판(2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연성 회로 기판(200)은 상기 게이트 구동 칩 및 상기 소스 구동 칩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게이트 및 소스 구동 칩들은 표시 패널(100)을 기준으로 같은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 장치(10)는 인쇄 회로 기판(도면 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동 제어부(CON)은 상기 인쇄 회로 기판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성 회로 기판(200)의 일측은 표시 패널(100)의 상기 주변 영역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인쇄 회로 기판과 연결될 수 있다.
연성 회로 기판(200)은 상기 인쇄 회로 기판과 표시 패널(1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방성 도전 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 ACF) 등과 같은 도전성 필름에 의해 상기 인쇄 회로 기판과 연성 회로 기판(20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연성 회로 기판(200)과 표시 패널(100)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게이트 구동부(GDV) 및/또는 데이터 구동부(DDV)는 표시 패널(100) 상에 실장되거나,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 TCP) 형태로 표시 패널(10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게이트 구동부(GDV) 및/또는 데이터 구동부(DDV)는 표시 패널(100)에 집적될 수도 있다.
도 3은 도 2의 제1 서브 표시 패널(101)을 확대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서브 표시 패널(101)은 화소들(PX), 게이트 배선들(GL), 데이터 배선 그룹들(DLG), 연결 배선들(CL), 더미 배선들(DML), 제1 및 제2 그라운드 배선들(GNL1, GNL2)을 포함할 수 있다.
화소들(PX)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서브 표시 패널(101)의 상기 표시 영역은 복수의 행들(row) 및 복수의 열들(column)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열들은 제3 방향(DR3)을 따라 배열된 제1 화소열(PXc1) 내지 제(m) 화소열(PXc(m))들을 포함할 수 있다(단, m은 2 이상의 정수). 상기 행들은 제4 방향(DR4)을 따라 배열된 제1 화소행(PXr1) 내지 제(n) 화소행(PXr(n))들을 포함할 수 있다(단, n은 2 이상의 정수). 즉, 제1 서브 표시 패널(101)에는 (n x m) 개의 화소들(PX)이 배치될 수 있다.
화소들(PX) 각각은 복수의 서브 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소들(PX) 각각은 적색을 갖는 빛을 방출하는 제1 서브 화소, 녹색을 갖는 빛을 방출하는 제2 서브 화소 및 청색을 갖는 빛을 방출하는 제3 서브 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브 표시 패널(101)에 배치되는 게이트 배선들(GL) 각각은 상기 화소행들 각각에 배치된 화소들(PX)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서브 표시 패널(101)의 상기 화소행의 개수와 게이트 배선들(GL)의 개수는 동일할 수 있다. 즉, 제1 서브 표시 패널(101)에는 n개의 게이트 배선들(GL)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서브 표시 패널(101)에 배치되는 데이터 배선 그룹들(DLG) 각각은 상기 화소열들 각각에 배치된 화소들(PX)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 배선 그룹들(DLG) 각각은 상기 제1 내지 제3 서브 화소들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내지 제3 데이터 배선(DL)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서브 표시 패널(101)의 상기 화소열의 개수와 데이터 배선 그룹들(DLG)의 개수는 동일할 수 있다. 즉, 제1 서브 표시 패널(101)에는 m개의 데이터 배선 그룹들(DLG)이 배치되고, 3m개의 데이터 배선들(DL)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서브 표시 패널(101)에 배치되는 연결 배선들(CL) 각각은 게이트 배선들(GL)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결 배선들(CL) 각각은 게이트 배선들(GL) 각각과 일대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연결 배선들(CL)의 개수는 게이트 배선들(GL)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서브 표시 패널(101)에는 n개의 연결 배선들(CL)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서브 표시 패널(101)의 가장자리에는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그라운드 배선(GNL1) 및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그라운드 배선(GNL2)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그라운드 배선(GNL1)은 제1 서브 표시 패널(101)의 제1 및 제3 방향(DR1, DR3)측(예컨대, 좌우측) 가장자리에 각각 배치되고, 제2 그라운드 배선(GNL1)은 제2 및 제4 방향(DR2, DR4)측(예컨대, 상하측) 가장자리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서브 표시 패널(101)에는 2개의 제1 그라운드 배선들(GNL1) 및 2개의 제2 그라운드 배선들(GNL2)이 화소들(PX)을 전체적으로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더미 배선들(DML)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더미 배선들(DML)은 연결 배선들(CL)의 외곽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더미 배선들(DML)은 제1 그라운드 배선들(GNL1) 각각과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더미 배선들(DML) 각각은 연결 배선들(CL)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더미 배선들(DML)은 생략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더미 배선들(DML), 제1 그라운드 배선들(GNL1) 및 연결 배선들(CL)은 실질적으로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게이트 배선들(GL)에 게이트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연결 배선들(CL)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배선들이 상기 화소열들 각각과 상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배선들은 연결 배선들(CL), 더미 배선들(DML), 제1 그라운드 배선들(GNL1)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m개의 상기 제1 배선들 각각이 상기 화소열들 각각과 상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화소열들 각각의 사이에는 1개의 상기 제1 배선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m개의 상기 제1 배선들 중 최외곽(예컨대, 좌우측 끝단)에 배치되는 2개의 상기 제1 배선들 각각을 제1 그라운드 배선(GNL1)으로 이용할 수 있다. m개의 상기 제1 배선들 중 n개의 상기 제1 배선들을 연결 배선들(CL)로 이용할 수 있다. m개의 상기 제1 배선들 중 나머지 배선을 더미 배선들(DML)로 이용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복수의 상기 제1 배선들이 하나의 화소열과 상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화소열들 각각의 사이에는 복수의 상기 제1 배선들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2개의 상기 제1 배선들이 하나의 화소열과 상응하여 배치되는 경우, 2m개의 상기 제1 배선들이 제1 서브 표시 패널(101)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2m개의 상기 제1 배선들 중 최외곽에 배치되는 2개의 상기 제1 배선들 각각을 제1 그라운드 배선(GNL1)으로 이용할 수 있다. 2m개의 상기 제1 배선들 중 n개의 상기 제1 배선들을 연결 배선들(CL)로 이용할 수 있다. 2m개의 상기 제1 배선들 중 나머지 배선을 더미 배선들(DML)로 이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복수의 더미 배선들(DML) 중 최외곽(예컨대, 좌우측 끝단) 배선들을 제1 그라운드 배선(GNL1)으로 이용함으로써, 제1 서브 표시 패널(101)에 포함되는 화소들(PX) 사이의 피치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제2, 제5 및 제6 화소들(PX1, PX2, PX5, PX6)은 제1 화소행(PXr1)에 배치되며, 제1 게이트 배선(GL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3, 제4, 제7 및 제8 화소들(PX3, PX4, PX7, PX8)은 제2 화소행(PXr2)에 배치되며, 제2 게이트 배선(GL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및 제3 화소들(PX1, PX3)은 제1 화소열(PXc1)에 배치되며, 제1 데이터 배선 그룹(DLG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및 제4 화소들(PX2, PX4)은 제2 화소열(PXc2)에 배치되며, 제2 데이터 배선 그룹(DLG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5 및 제7 화소들(PX5, PX7)은 제(k-1) 화소열(PXc(k-1))에 배치되며, 제3 데이터 배선 그룹(DLG3)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6 및 제8 화소들(PX6, PX8)은 제(k) 화소열(PXc(k))에 배치되며, 제4 데이터 배선 그룹(DLG4)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및 제3 데이터 배선 그룹들(DLG2, DLG3)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배선 그룹(DLG)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데이터 배선 그룹들(DLG) 각각은 복수의 데이터 배선들(DL)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그라운드 배선들(GNL1) 각각은 제1 및 제(m) 화소열들(PXc1, PXc(m)) 각각과 상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화소열(PXc1)의 제1 방향(DR1) 및 제m 화소열(PXc(m))의 제3 방향(DR3)에는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는 제1 그라운드 배선들(GNL1) 각각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그라운드 배선들(GNL2) 각각은 제1 화소행(PXr1)의 제2 방향(DR2) 및 제(n) 화소행(PXr(n))의 제4 방향(DR4)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그라운드 배선들(GNL2) 각각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제1 서브 표시 패널(101)에는 복수의 화소들(PX)을 둘러싸도록 2개의 제1 그라운드 배선들(GNL1)과 2개의 제2 그라운드 배선들(GNL2)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연결 배선(CL1)은 제(k-1) 화소열(PXc(k-1))과 상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 연결 배선(CL1)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며, 제1 게이트 배선(GL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결 배선(CL2)은 제(k) 화소열(PXc(k))과 상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2 연결 배선(CL2)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며, 제2 게이트 배선(GL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더미 배선(DML)은 제2 화소열(PXc2)과 상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즉, 더미 배선(DML)은 제1 연결 배선(CL1)과 제1 그라운드 배선(GNL1)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더미 배선(DML)은 연결 배선들(CL)의 사이에 배치되거나, 더미 배선(DML)이 생략될 수도 있다. 더미 배선(DML)이 생략되는 경우, 제1 연결 배선(CL1)이 제1 화소(PX1)와 인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서브 표시 패널(101)은 고전원 전압 배선, 저전원 전압 배선, 센싱 배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화소들(PX) 각각은 고전원 전압 배선으로부터 고전원 전압(ELVDD)을 제공 받고, 저전원 전압 배선으로부터 저전원 전압(ELVSS)을 제공 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전원 전압(ELVDD)은 저전원 전압(ELVSS)보다 클 수 있다. 즉, 고전원 전압(ELVDD)은 하이 전원 전압일 수 있고, 저전원 전압(ELVSS)은 로우 전원 전압일 수 있다. 화소들(PX) 각각은 센싱 배선으로부터 초기화 전압을 제공 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서브 표시 패널(101)에 포함된 화소들(PX) 및 배선들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며 제1 서브 표시 패널(101)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가상의 중심선(IL)에 대하여 서로 대칭일 수 있다. 즉, 제1 화소열(PXc1) 및 제1 화소열과 상응하여 배치되는 배선들과 제(m) 화소열(PXc(m)) 및 제(m) 화소열(PXc(m))과 상응하여 배치되는 배선들은 중심선(IL)에 대하여 서로 대칭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제1 서브 표시 패널(101)에 포함된 화소들(PX) 및 배선들은 모두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도 4는 도 3의 'B' 영역에 대응되는 레이아웃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Ⅰ-Ⅰ' 라인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Ⅱ-Ⅱ' 라인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4의 Ⅲ-Ⅲ' 라인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화소들(PX1, PX2)의 제1 방향(DR1)에는 제2 서브 표시 패널(102)이 위치하고, 제1 및 제3 화소들(PX1, PX3)의 제2 방향(DR2)에는 제3 서브 표시 패널(103)이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화소(PX2)는 제1 화소(PX1)와 제3 방향(DR3)에 인접하며, 제1 화소(PX1)에 의해 제2 서브 표시 패널(102)과 이격될 수 있다. 제3 화소(PX3)는 제1 화소(PX1)와 제4 방향(DR4)에 인접하며, 제1 화소(PX1)에 의해 제3 서브 표시 패널(103)과 이격될 수 있다. 제4 화소(PX4)는 제2 화소(PX2)와 제4 방향(DR4)에 인접하며, 제3 화소(PX3)와 제3 방향(DR3)에 인접할 수 있다.
제1 화소(PX1)는 제1 내지 제3 서브 화소들(SPX1a, SPX1b, SPX1c)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서브 화소(SPX1a)는 적색을 갖는 빛을 방출하고, 제2 서브 화소(SPX1b)는 녹색을 갖는 빛을 방출하고, 제3 서브 화소(SPX1c)는 청색을 갖는 빛을 방출할 수 있다. 제2 내지 제4 화소들(PX2, PX3, PX4)은 제1 화소(PX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화소들(PX1, PX2) 각각은 제1 게이트 배선(GL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 게이트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제3 및 제4 화소들(PX3, PX4) 각각은 제2 게이트 배선(GL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2 게이트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제1 및 제2 게이트 배선들(GL1, GL2) 각각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및 제3 화소들(PX1, PX3) 각각은 제1 데이터 배선 그룹(DLG1)에 포함된 제1 내지 제3 데이터 배선들(DL1a, DL1b, DL1c)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및 제4 화소들(PX2, PX4) 각각은 제2 데이터 배선 그룹(DLG2)에 포함된 제1 내지 제3 데이터 배선들(DL2a, DL2b, DL2c)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및 제3 화소들(PX1, PX3)에 포함된 제1 내지 제3 서브 화소들(SPX1a, SPX3a, SPX1b, SPX3b, SPX1c, SPX3c) 각각은 제1 데이터 배선 그룹(DLG1)에 포함된 제1 내지 제3 데이터 배선들(DL1a, DL1b, DL1c)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데이터 전압을 전달받을 수 있다. 제2 및 제4 화소들(PX2, PX4)에 포함된 제1 내지 제3 서브 화소들(SPX2a, SPX4a, SPX2b, SPX4b, SPX2c, SPX4c) 각각은 제2 데이터 배선 그룹(DLG2)에 포함된 제1 내지 제3 데이터 배선들(DL2a, DL2b, DL2c)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데이터 전압을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배선들(DL1a, DL1b, DL1c, DL2a, DL2b, DL2c) 각각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그라운드 배선(GNL1)은 제1 화소(PX1)의 제1 방향(DR1)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그라운드 배선(GNL1)은 제1 화소(PX1)와 제1 방향(DR1)에 인접할 수 있다. 즉, 제1 그라운드 배선(GNL1)은 제1 화소(PX) 및 제2 서브 표시 패널(10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그라운드 배선(GNL1)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그라운드 배선(GNL1)과 제1 및 제2 게이트 배선들(GL1, GL2) 각각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그라운드 배선(GNL1)과 제1 및 제2 게이트 배선들(GL1, GL2) 각각은 평면도 상에서 중첩할 수 있다. 제1 그라운드 배선(GNL1)과 제1 및 제2 게이트 배선들(GL1, GL2) 각각은 서로 다른 층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그라운드 배선(GNL1)과 제1 및 제2 게이트 배선들(GL1, GL2) 각각이 중첩하는 영역에는 콘택홀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그라운드 배선(GNL1)과 제1 및 제2 게이트 배선들(GL1, GL2) 각각은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제2 그라운드 배선(GNL2)은 제1 화소(PX1)의 제2 방향(DR2)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그라운드 배선(GNL2)은 제1 화소(PX1)와 제2 방향(DR2)에 인접할 수 있다. 즉, 제2 그라운드 배선(GNL2)은 제1 화소(PX) 및 제3 서브 표시 패널(10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그라운드 배선(GNL2)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그라운드 배선(GNL2)과 데이터 배선들(DL1a, DL1b, DL1c, DL2a, DL2b, DL2c) 각각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그라운드 배선(GNL2)과 데이터 배선들(DL1a, DL1b, DL1c, DL2a, DL2b, DL2c) 각각은 평면도 상에서 중첩할 수 있다. 제2 그라운드 배선(GNL2)과 데이터 배선들(DL1a, DL1b, DL1c, DL2a, DL2b, DL2c) 각각은 서로 다른 층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그라운드 배선(GNL2)과 데이터 배선들(DL1a, DL1b, DL1c, DL2a, DL2b, DL2c) 각각이 중첩하는 영역에는 콘택홀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그라운드 배선(GNL2)과 데이터 배선들(DL1a, DL1b, DL1c, DL2a, DL2b, DL2c) 각각은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및 제2 그라운드 배선들(GNL1, GNL2)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그라운드 배선들(GNL1, GNL2)은 평면도 상에서 중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및 제2 그라운드 배선들(GNL1, GNL2)은 평면도 상에서 서로 수직하게 교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그라운드 배선들(GNL1, GNL2) 각각은 서로 다른 층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그라운드 배선들(GNL1, GNL2) 각각이 중첩하는 영역에는 제1 콘택홀(CNT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그라운드 배선들(GNL1, GNL2)은 서로 접촉할 수 있다.
더미 배선(DML)은 제1 화소(PX1)와 제2 화소(PX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더미 배선(DML)은 제1 화소(PX1)와 제3 방향(DR3)에 인접하고, 제2 화소(PX2)와 제1 방향(DR1)에 인접할 수 있다. 더미 배선(DML)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될 수 있다.
더미 배선(DML)과 제2 그라운드 배선(GNL2), 제1 및 제2 게이트 배선들(GL1, GL2) 각각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더미 배선(DML)과 제2 그라운드 배선(GNL2), 제1 및 제2 게이트 배선들(GL1, GL2) 각각은 평면도 상에서 중첩할 수 있다. 제2 그라운드 배선(GNL2), 제1 및 제2 게이트 배선들(GL1, GL2) 각각은 서로 다른 층에 배치될 수 있다. 더미 배선(DML)과 제2 그라운드 배선(GNL2), 제1 및 제2 게이트 배선들(GL1, GL2) 각각이 중첩하는 영역에는 콘택홀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더미 배선(DML)과 제2 그라운드 배선(GNL2), 제1 및 제2 게이트 배선들(GL1, GL2) 각각은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화소(PX)에 포함된 제1 서브 화소(SPX1a)는 제1 내지 제3 트랜지스터들, 스토리지 커패시터 및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및 제3 서브 화소들(SPX1b, SPX1c) 각각은 제1 서브 화소(SPX1a)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나노 발광 다이오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2 트랜지스터와 연결되는 제어 단자, 상기 고전원 전압 배선과 연결되는 제1 단자 및 상기 발광 소자와 연결되는 제2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트랜지스터는 구동 트랜지스터로 지칭될 수 있다.
상기 제2 트랜지스터는 제1 게이트 배선(GL1)과 연결되는 제어 단자, 제1 데이터 배선(DL1a)과 연결되는 제1 단자 및 상기 제1 트랜지스터와 연결되는 제2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트랜지스터는 스위칭 트랜지스터로 지칭될 수 있다.
상기 제3 트랜지스터는 제1 게이트 배선(GL1)과 연결되는 제어 단자, 상기 발광 소자와 연결되는 제1 단자 및 상기 센싱 배선과 연결되는 제2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3 트랜지스터는 센싱 트랜지스터로 지칭될 수 있다.
상기 스토리지 커패시터는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어 단자와 연결되는 제1 단자 및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2 단자와 연결되는 제2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는 상기 제1 트랜지스터와 연결되는 제1 단자 및 상기 저전원 전압 배선과 연결되는 제2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단자는 애노드(anode) 단자일 수 있고, 상기 제2 단자는 캐소드(cathode) 단자일 수 있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는 기능층들(예컨대, 전자/정공 주입층들 및 전자/정공 수송층들) 및 상기 기능층들 사이에 배치되는 유기물질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유기물질층을 구성하는 물질에 따라 일정한 파장대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상기 나노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제1 트랜지스터와 연결되는 제1 단자 및 상기 저전원 전압 배선과 연결되는 제2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단자는 애노드 단자일 수 있고, 상기 제2 단자는 캐소드 단자일 수 있다. 상기 나노 발광 다이오드는 반도체층들(예컨대, n형 반도체층 및 p형 반도체층) 및 상기 반도체층들 사이에 배치되는 활성물질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활성물질층을 구성하는 물질에 따라 일정한 파장대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서브 표시 패널(101)은 기판(110), 액티브 패턴(120), 제1 절연층(ILD1), 게이트 전극(130), 제2 절연층(ILD2), 연결 전극(140), 비아 절연층(VIA), 제1 전극(151), 발광층(152) 및 제2 전극(15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기판(110)은 유리 기판, 석영 기판, 플라스틱 기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액티브 패턴(120)은 기판(1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액티브 패턴(120)은 비정질 실리콘, 다결정 실리콘, 산화물 반도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액티브 패턴(120)에는 이온이 선택적으로 주입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내지 제3 트랜지스터들 각각이 N형 트랜지스터들인 경우, 액티브 패턴(120)은 음이온이 주입되는 소스 영역과 드레인 영역 및 상기 음이온이 주입되지 않는 채널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기판(110)과 액티브 패턴(120) 사이에는 버퍼층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버퍼층은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절연층(ILD1)은 액티브 패턴(120)을 커버하며, 기판(1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절연층(ILD1)은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전극(130)은 제1 절연층(ILD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게이트 전극(130)은 제1 게이트 배선(GL1)을 통해 제1 게이트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게이트 전극(130)은 금속, 합금, 도전 금속 산화물, 투명 도전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게이트 전극(131)은 은(Ag), 은을 함유하는 합금, 몰리브데늄(Mo), 몰리브데늄을 함유하는 합금, 알루미늄(Al), 알루미늄을 함유하는 합금, 알루미늄 질화물(AlN), 텅스텐(W), 텅스텐 질화물(WN), 구리(Cu), 니켈(Ni), 크롬(Cr), 크롬 질화물(CrN), 티타늄(Ti), 탄탈륨(Ta), 백금(Pt), 스칸듐(Sc), 인듐 주석 산화물(ITO), 인듐 아연 산화물(IZO)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절연층(ILD2)은 게이트 전극(130)을 커버하며, 제1 절연층(ILD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절연층(ILD2)은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전극(140)은 제2 절연층(ILD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결 전극(140)은 금속, 합금, 도전 금속 산화물, 투명 도전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결 전극(140)은 은(Ag), 은을 함유하는 합금, 몰리브데늄(Mo), 몰리브데늄을 함유하는 합금, 알루미늄(Al), 알루미늄을 함유하는 합금, 알루미늄 질화물(AlN), 텅스텐(W), 텅스텐 질화물(WN), 구리(Cu), 니켈(Ni), 크롬(Cr), 크롬 질화물(CrN), 티타늄(Ti), 탄탈륨(Ta), 백금(Pt), 스칸듐(Sc), 인듐 주석 산화물(ITO), 인듐 아연 산화물(IZO)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 전극(140)은 소스 전극(141) 및 드레인 전극(142)을 포함할 수 있다. 소스 전극(141)은 제1 데이터 배선(DL1a)으로부터 데이터 전압을 전달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스 전극(141)은 제1 데이터 배선(DL1a)과 동일한 층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스 전극(141)은 제1 데이터 배선(DL1a)의 일부일 수 있다. 소스 전극(141)은 제1 및 제2 절연층들(ILD1, ILD2)에 형성되는 콘택홀을 통해 액티브 패턴(120)과 접촉할 수 있다. 드레인 전극(142)은 제1 및 제2 절연층들(ILD1, ILD2)에 형성되는 콘택홀을 통해 액티브 패턴(120)과 접촉할 수 있다. 소스 및 드레인 전극들(141, 142)각각은 게이트 전극(130)과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소스 전극(141)은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1 단자와 대응할 수 있고, 드레인 전극(142)은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2 단자와 대응할 수 있으며, 게이트 전극(130)은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어 단자와 대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티브 패턴(120), 게이트 전극(130), 소스 전극(141) 및 드레인 전극(142)은 상기 제2 트랜지스터를 구성할 수 있다.
비아 절연층(VIA)은 연결 전극(140)을 커버하며, 제2 절연층(ILD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아 절연층(VIA)은 실질적으로 평탄한 상면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비아 절연층(VIA)은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아 절연층(VIA)은 포토레지스트, 폴리아크릴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151)은 비아 절연층(VI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전극(151)은 금속, 합금, 도전 금속 산화물, 투명 도전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층(152)은 제1 전극(15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전극(151)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개구를 포함하는 화소 정의막이 제1 전극(151) 상에 배치될 수 있고, 발광층(152)은 상기 개구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발광층(152)은 유기 발광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 발광 물질은 전류를 제공받아 빛을 방출할 수 있다. 제2 전극(153)은 발광층(15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전극(153)은 금속, 합금, 도전 금속 산화물, 투명 도전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전극(151), 발광층(152) 및 제2 전극(153)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그라운드 배선(GNL1) 및 더미 배선(DML)은 제2 절연층(ILD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그라운드 배선(GNL1) 및 더미 배선(DML)은 연결 전극(140), 데이터 배선들(DL1a, DL1b, DL1c, DL2a, DL2b, DL2c)과 동일한 층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그라운드 배선(GNL1) 및 더미 배선(DML)은 연결 전극(140) 및 데이터 배선들(DL1a, DL1b, DL1c, DL2a, DL2b, DL2c)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며, 실질적으로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그라운드 배선(GNL2)은 제1 절연층(ILD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그라운드 배선(GNL2)은 게이트 전극(130), 제1 및 제2 게이트 배선들(GL1, GL2)과 동일한 층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그라운드 배선(GNL2)은 게이트 전극(130), 제1 및 제2 게이트 배선들(GL1, GL2)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며, 실질적으로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그라운드 배선(GNL1)과 제1 및 제2 게이트 배선들(GL1, GL2), 제2 그라운드 배선(GNL2) 각각의 사이에는 제2 절연층(ILD2)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그라운드 배선(GNL1)과 제1 및 제2 게이트 배선들(GL1, GL2) 각각이 중첩하는 영역의 제2 절연층(ILD2)에는 콘택홀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그라운드 배선(GNL1)은 제1 및 제2 게이트 배선들(GL1, GL2) 각각과 접촉하지 않으며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그라운드 배선(GNL1)과 제2 그라운드 배선(GNL2)이 중첩하는 영역의 제2 절연층(ILD2)에는 제1 콘택홀(CNT1)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그라운드 배선들(GNL1, GNL2)은 서로 접촉하며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미 배선(DML)과 제1 및 제2 게이트 배선들(GL1, GL2), 제2 그라운드 배선(GNL2) 각각의 사이에는 제2 절연층(ILD2)이 배치될 수 있다.
더미 배선(DML)과 제1 및 제2 게이트 배선들(GL1, GL2), 제2 그라운드 배선(GNL2) 각각이 중첩하는 영역의 제2 절연층(ILD2)에는 콘택홀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그라운드 배선(GNL1)은 제1 및 제2 게이트 배선들(GL1, GL2), 제2 그라운드 배선(GNL2) 각각과 접촉하지 않으며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도 8은 도 3의 'C' 영역에 대응되는 레이아웃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Ⅳ-Ⅳ' 라인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8의 Ⅴ-Ⅴ' 라인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제5 및 제6 화소들(PX5, PX6)은 제1 및 제2 화소들(PX1, PX2)로부터 제3 방향(DR3)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5 화소(PX5)는 제1 화소(PX1)로부터 제3 방향(DR3)으로 이격될 수 있다. 즉, 제5 화소(PX5)는 제2 화소(PX2)와 제3 방향(DR3)으로 인접하거나 이격될 수 있다. 제7 및 제8 화소들(PX7, PX8) 각각은 제5 및 제6 화소들(PX5, PX6) 각각의 제4 방향(DR4)에 인접할 수 있다. 제5 내지 제8 화소들(PX5, PX6, PX7, PX8) 각각은 제1 화소(PX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제5 및 제6 화소들(PX5, PX6) 각각은 제1 게이트 배선(GL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게이트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제7 및 제8 화소들(PX7, PX8) 각각은 제2 게이트 배선(GL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게이트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제5 및 제7 화소들(PX5, PX7) 각각은 제3 데이터 배선 그룹(DLG3)에 포함된 데이터 배선들(DL3a, DL3b, DL3c)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데이터 전압을 전달받을 수 있다. 제6 및 제8 화소들(PX6, PX8) 각각은 제4 데이터 배선 그룹(DLG4)에 포함된 데이터 배선들(DL4a, DL4b, DL4c)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데이터 전압을 전달받을 수 있다.
제2 그라운드 배선(GNL2)은 제5 및 제6 화소들(PX5, PX6)의 제2 방향(DR2)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2 그라운드 배선(GNL2)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며, 제1, 제2, 제5 및 제6 화소들(PX1, PX2, PX5, PX6) 및 제3 서브 표시 패널(10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연결 배선(CL1)은 제1 화소(PX1)와 제5 화소(PX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연결 배선(CL1)은 제5 화소(PX5)와 제1 방향(DR1)에 인접할 수 있다. 제2 연결 배선(CL2)은 제5 화소(PX6)와 제6 화소(PX7)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연결 배선들(CL1, CL2) 각각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및 제2 연결 배선들(CL1, CL2) 각각은 제2 절연층(ILD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연결 배선들(CL1, CL2) 각각은 제1 그라운드 배선(GNL1) 및 더미 배선(DML)과 동일한 층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및 제2 연결 배선들(CL1, CL2)은 제1 그라운드 배선(GNL1) 및 더미 배선(DML)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며, 실질적으로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및 제2 연결 배선들(CL1, CL2) 각각은 제1 및 제2 게이트 배선들(GL1, GL2), 제2 그라운드 배선(GNL2) 각각과 평면도 상에서 중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및 제2 연결 배선들(CL1, CL2) 각각은 제1 및 제2 게이트 배선들(GL1, GL2), 제2 그라운드 배선(GNL2) 각각과 평면도 상에서 수직으로 교차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 배선(CL1)과 제1 및 제2 게이트 배선들(GL1, GL2), 제2 그라운드 배선(GNL2) 각각의 사이에는 제2 절연층(ILD2)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연결 배선(CL1)과 제1 게이트 배선(GL1)이 중첩하는 영역의 제2 절연층(ILD2)에는 제2 콘택홀(CNT2)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연결 배선(CL1)과 제1 게이트 배선(GL1)은 서로 접촉하며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연결 배선(CL1)은 게이트 구동부(GDV)에서 생성된 제1 게이트 신호를 제1 게이트 배선(GL1)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제1 연결 배선(C1)과 제2 게이트 배선(GL2) 및 제2 그라운드 배선(GNL2) 각각이 중첩하는 영역의 제2 절연층(ILD2)에는 콘택홀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연결 배선(CL1)은 제2 게이트 배선(GL2) 및 제2 그라운드 배선(GNL2) 각각과 접촉하지 않으며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연결 배선(CL2)과 제1 및 제2 게이트 배선들(GL1, GL2), 제2 그라운드 배선(GNL2) 각각의 사이에는 제2 절연층(ILD2)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연결 배선(CL2)과 제2 게이트 배선(GL2)이 중첩하는 영역의 제2 절연층(ILD2)에는 제3 콘택홀(CNT3)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연결 배선(CL2)과 제2 게이트 배선(GL2)은 서로 접촉하며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연결 배선(CL2)은 게이트 구동부(GDV)에서 생성된 제2 게이트 신호를 제2 게이트 배선(GL2)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제2 연결 배선(C2)과 제1 게이트 배선(GL1) 및 제2 그라운드 배선(GNL2) 각각이 중첩하는 영역의 제2 절연층(ILD2)에는 콘택홀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2 연결 배선(CL2)은 제1 게이트 배선(GL1) 및 제2 그라운드 배선(GNL2) 각각과 접촉하지 않으며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1은 도 1의 'A' 영역에 대응되는 레이아웃 도면이고, 도 12는 도 11의 Ⅵ-Ⅵ' 라인을 따라 자른 일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1의 Ⅵ-Ⅵ' 라인을 따라 자른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1의 Ⅵ-Ⅵ' 라인을 따라 자른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제2 서브 표시 패널(102)은 제21 화소(PX21)를 포함하고, 제3 서브 표시 패널(103)은 제31 화소(PX31)를 포함하고, 제4 서브 표시 패널(104)은 제41 화소(PX4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1 화소(PX21)은 제1 서브 표시 패널(101)과 제1 방향(DR1)으로 인접하고, 제4 서브 표시 패널(104)과 제4 방향(DR4)으로 인접할 수 있다. 제31 화소(PX31)은 제1 서브 표시 패널(101)과 제2 방향(DR2)으로 인접하고, 제4 서브 표시 패널(104)과 제3 방향(DR3)으로 인접할 수 있다. 제41 화소(PX41)은 제2 서브 표시 패널(102)과 제2 방향(DR2)으로 인접하고, 제3 서브 표시 패널(103)과 제1 방향(DR1)으로 인접할 수 있다. 즉, 제1, 제21, 제31 및 제41 화소들(PX1, PX21, PX31, PX41) 각각은 제1 내지 제4 서브 표시 패널들(101, 102, 103, 104)이 결합된 표시 패널(100)의 중앙부(즉, 제1 내지 제4 서브 표시 패널들(101, 102, 103, 104) 각각의 모서리)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서브 표시 패널(101, 102)은 접촉면에 대하여 서로 대칭일 수 있다. 즉, 제1 서브 표시 패널(101)에 포함된 제1 화소(PX1), 제1 그라운드 배선(GNL1), 제2 그라운드 배선(GNL2) 및 제1 게이트 배선(GL1) 각각은 제2 서브 표시 패널(102)에 포함된 제21 화소(PX21), 제21 그라운드 배선(GNL21), 제22 그라운드 배선(GNL22) 및 제21 게이트 배선(GL21) 각각과 대칭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및 제3 서브 표시 패널(101, 103)은 서로 대칭이고, 제2 및 제4 서브 표시 패널(102, 104)은 서로 대칭이고, 제3 및 제4 서브 표시 패널(103, 104)은 서로 대칭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1 그라운드 배선들(GNL1, GNL21) 각각은 제1 방향(DR1)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는 제2 및 제22 그라운드 배선들(GNL2, GNL22) 각각은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2 및 제22 그라운드 배선들(GNL2, GNL22) 사이에는 제2 및 제22 그라운드 배선들(GNL2, GNL22)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성 필름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도전성 필름은 제1 및 제2 서브 표시 패널들(101, 102) 각각에 포함된 게이트 라인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도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1 그라운드 배선들(GNL1, GNL21) 각각은 제1 방향(DR1)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및 제22 그라운드 배선들(GNL2, GNL22) 각각은 제2 방향(DR2)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1 그라운드 배선들(GNL1, GNL21) 각각은 접촉할 수 있다. 제2 및 제22 그라운드 배선들(GNL2, GNL22) 각각은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10)에 의하면, 상기 화소열들 각각과 상응하는 상기 제1 배선들 중 최외곽에 위치하는 상기 제1 배선을 제1 그라운드 배선(GNL1)으로 이용할 수 있다. 즉, 제1 그라운드 배선(GNL1)은 제1 및 제2 서브 표시 패널들(101, 10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화소(PX1)와 제21 화소(PX21) 사이의 피치(pitch)와 제1 화소(PX1)와 제2 화소(PX2) 사이의 피치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서브 표시 패널들(101, 102) 사이의 심 영역의 시인을 방지하거나 줄일 수 있다.
상술한 바에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표시 장치들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차량용, 선박용 및 항공기용 디스플레이 장치들, 휴대용 통신 장치들, 전시용 또는 정보 전달용 디스플레이 장치들, 의료용 디스플레이 장치들 등과 같은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기들에 적용 가능하다.
10: 표시 장치 100: 표시 패널
101, 102, 103, 104: 제1 내지 제4 서브 표시 패널들
200: 연성 회로 기판 PX: 화소
GL: 게이트 배선 DL: 데이터 배선
CL: 연결 배선 DML: 더미 배선
GNL1, GNL2: 제1 및 제2 그라운드 배선들

Claims (20)

  1. 제1 서브 표시 패널; 및
    상기 제1 서브 표시 패널과 제1 방향으로 인접하는 제2 서브 표시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서브 표시 패널은,
    상기 제2 서브 표시 패널에 인접하는 제1 화소; 및
    상기 제1 화소와 상기 제2 서브 표시 패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방향에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그라운드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서브 표시 패널은,
    상기 제1 서브 표시 패널에 인접하는 제2 화소; 및
    상기 제2 화소와 상기 제1 서브 표시 패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그라운드 배선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라운드 배선 및 상기 제2 그라운드 배선은 서로 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서브 표시 패널과 상기 제2 방향으로 인접하는 제3 서브 표시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서브 표시 패널은,
    상기 제1 화소와 상기 제3 서브 표시 패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그라운드 배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소는 상기 제3 서브 표시 패널에 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라운드 배선과 상기 제3 그라운드 배선은 서로 수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라운드 배선의 일부는 상기 제3 그라운드 배선의 일부와 중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3 그라운드 배선들은 상기 제1 및 제3 그라운드 배선들이 중첩하는 부분에서 콘택홀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8.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표시 패널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화소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게이트 배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라운드 배선은 상기 게이트 배선과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표시 패널은,
    상기 제1 화소에 인접하며 상기 제1 화소에 의해 상기 제2 서브 표시 패널과 이격되고, 상기 게이트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 화소; 및
    상기 제1 화소와 상기 제3 화소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더미 배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배선은 상기 게이트 배선과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배선은 상기 제1 그라운드 배선과 동일한 물질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3.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표시 패널은,
    상기 제1 화소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3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게이트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4 화소; 및
    상기 제1 화소와 상기 제4 화소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게이트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 배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배선은 상기 제1 그라운드 배선과 동일한 물질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5.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표시 패널은,
    기판;
    상기 기판 위에 배치되는 제1 절연층;
    상기 제1 절연층 위에 배치되는 게이트 전극;
    상기 게이트 전극을 커버하는 제2 절연층; 및
    상기 제2 절연층 위에 배치되는 연결 전극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그라운드 배선은 상기 연결 전극과 동일한 층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그라운드 배선은 상기 게이트 전극과 동일한 층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배선은 상기 게이트 전극과 동일한 층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라운드 배선은 상기 제2 그라운드 배선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라운드 배선은 상기 제2 그라운드 배선과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그라운드 배선들은 상기 제1 및 제2 화소들을 정전기로부터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KR1020200113277A 2020-09-04 2020-09-04 표시 장치 KR2022003184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3277A KR20220031842A (ko) 2020-09-04 2020-09-04 표시 장치
US17/232,043 US11963418B2 (en) 2020-09-04 2021-04-15 Display device
CN202110760602.7A CN114141819A (zh) 2020-09-04 2021-07-06 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3277A KR20220031842A (ko) 2020-09-04 2020-09-04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1842A true KR20220031842A (ko) 2022-03-14

Family

ID=80394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3277A KR20220031842A (ko) 2020-09-04 2020-09-04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963418B2 (ko)
KR (1) KR20220031842A (ko)
CN (1) CN114141819A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59249B2 (en) * 2009-10-12 2012-09-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ubstrat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display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display substrate
KR101762247B1 (ko) * 2010-12-02 2017-07-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KR102656664B1 (ko) * 2016-10-06 2024-04-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417989B1 (ko) * 2017-05-23 2022-07-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180807B1 (ko) 2018-03-27 2020-11-1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
KR20200091059A (ko) * 2019-01-21 2020-07-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141819A (zh) 2022-03-04
US20220077278A1 (en) 2022-03-10
US11963418B2 (en) 2024-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785392B (zh) 显示装置
KR20200031738A (ko) 표시 장치
KR102632130B1 (ko) 표시 장치
KR20230033660A (ko) 발광 표시 장치
JP7337882B2 (ja) 表示装置
KR20180024314A (ko) 표시장치
CN115004376A (zh) 显示基板及显示装置
CN113973506A (zh) 显示基板、显示面板以及显示装置
CN113763883B (zh) 显示基板及显示装置
CN215578564U (zh) 显示基板及显示装置
KR20230015483A (ko) 표시장치
CN115394201A (zh) 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20220031842A (ko) 표시 장치
KR102632118B1 (ko) 베젤이 감소된 표시장치
CN113838892A (zh) 包括下部金属线的显示装置
KR20220082123A (ko) 표시 장치
KR20160027903A (ko)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KR20220034290A (ko) 표시 패널
US20240188328A1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US20240023399A1 (en) Display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CN219999921U (zh) 显示基板
KR20190048557A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
US20240164164A1 (en) Display device
WO2023115406A1 (en) Array substrate and display apparatus
KR20240079389A (ko) 발광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