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0824A - 페라이트 적층체 및 노이즈 억제 시트 - Google Patents

페라이트 적층체 및 노이즈 억제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0824A
KR20180030824A KR1020187000880A KR20187000880A KR20180030824A KR 20180030824 A KR20180030824 A KR 20180030824A KR 1020187000880 A KR1020187000880 A KR 1020187000880A KR 20187000880 A KR20187000880 A KR 20187000880A KR 20180030824 A KR20180030824 A KR 201800308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rite
laminate
present
mol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0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2806B1 (ko
Inventor
요지 오카노
아키히로 요시다
가즈미 야마모토
유지 오모테
Original Assignee
도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도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30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08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2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28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81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 H05K9/0088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comprising a plurality of shielding layers; combining different shielding material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0Thin magnetic films, e.g. of one-domain structure
    • H01F10/08Thin magnetic films, e.g. of one-domain structure characterised by magnetic layers
    • H01F10/10Thin magnetic films, e.g. of one-domain structure characterised by magnetic layer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H01F10/18Thin magnetic films, e.g. of one-domain structure characterised by magnetic layer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being compounds
    • H01F10/20Ferri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i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0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one layer of ceramic material, e.g. porcelain, ceramic t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9/04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1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 H01F1/3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non-metallic substances, e.g. ferrites
    • H01F1/342Oxides
    • H01F1/344Ferrites, e.g. having a cubic spinel structure (X2+O)(Y23+O3), e.g. magnetite Fe3O4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1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 H01F1/3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non-metallic substances, e.g. ferrites
    • H01F1/36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non-metallic substances, e.g. ferrites in the form of part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3Arrangements for noise dam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22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32B2307/208Magnetic, paramagne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32B2307/212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Den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48Releas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oft Magnetic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0㎒로부터 1㎓까지의 넓은 주파수 범위에 있어서 노이즈를 흡수하는 노이즈 억제 시트를 제공한다. 도전성 필러와 수지를 포함하는 도전성층과, 페라이트를 포함하는 자성층을 적층한 페라이트 적층체이고, 상기 도전층의 표면 전기 저항이 100 내지 5000Ω/□이고, 상기 페라이트가 소편상으로 분할되어 있고, 페라이트의 10㎒에 있어서의 투자율의 실수부가 130 내지 480이고, 투자율의 허수부가 30 내지 440이다.

Description

페라이트 적층체 및 노이즈 억제 시트
본 발명은 도전성 필러와 수지를 포함하는 도전성층과 소결 페라이트를 포함하는 자성층을 포함하는 페라이트 적층체 및 당해 페라이트 적층체를 포함하는 노이즈 억제 시트에 관한 것이다.
근년의 디지털 전자 기기의 진보는 놀라운 것이 있지만, 특히 스마트폰, 휴대 전화, 디지털 카메라나 노트북 컴퓨터로 대표되는 모바일 전자 기기에 있어서는, 동작 신호의 고주파화와 함께, 소형화나 경량화를 위해, 전자 부품이나 배선 기판의 고밀도 실장을 최대의 기술 과제로 들고 있다.
전자 기기 내의 전자 부품이나 배선 기판의 고밀도 실장과 동작 신호의 고주파화가 진행되어 왔기 때문에, 발생한 불필요 복사가 주위의 부품에 큰 악영향을 미쳐 왔다. 따라서, 전자 기기의 마이크로프로세서, LSI나 액정 패널 등으로부터 방사되는 불필요 복사를 억제할 목적으로 노이즈 억제 시트를 전자 회로 또는 배선 기판 등에 부착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7-21207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9-29007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3-229541호 공보
특허문헌 1에 있어서, 연자성 분말로서 평균 입경 10㎛의 편평상의 Fe-Al-Si 합금 분말을 함유시킨 노이즈 억제 시트가 개시되어 있고, 수백 ㎒ 내지 수㎓에 있어서 노이즈 억제 효과를 갖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 있어서, Ni-Zn 페라이트 소결체를 포함하는 노이즈 억제 시트가 개시되어 있다. 해당 문헌은 Ni-Zn 페라이트의 복소 투자율과 체적 저항률을 제어함으로써, 10㎒ 내지 1㎓에 있어서 전자파의 반사가 적은 노이즈 억제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지만, 10㎒에서의 흡수량은 수%로 낮은 것이다.
특허문헌 3에 있어서는, 도전성 필러와 수지를 포함하는 도전층에, 연자성 분말과 수지를 포함하는 자성층을 적층한 노이즈 억제 시트가 개시되어 있고, 수백㎒ 내지 수㎓에 있어서 노이즈 억제 효과를 갖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백㎒ 내지 수㎓에 있어서 노이즈 억제 효과를 갖는 노이즈 억제 시트는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지만, 수십㎒에 있어서도 노이즈를 발생하는 전자 부품에 대하여 충분한 효과를 갖는 노이즈 억제 시트는 아직 제안되어 있지 않다.
그래서 본 발명은 10㎒ 및 1㎓에 있어서 충분한 노이즈 억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페라이트 적층체, 노이즈 억제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다음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도전성 필러와 수지를 포함하는 도전성층과 소결 페라이트를 포함하는 자성층을 포함하는 페라이트 적층체이다(본 발명 1).
또한, 본 발명은, 당해 적층체의 마이크로스트립 라인 측정에 의한 투과 감쇠량이 1㎓에 있어서 3.6 내지 8㏈이며, 루프 안테나 측정에 의한 투과 감쇠량이 10㎒에 있어서 12 내지 30㏈인 본 발명 (1)에 기재된 페라이트 적층체이다(본 발명 2).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자성층의 10㎒에 있어서의 투자율의 실수부가 130 내지 480이고, 투자율의 허수부가 30 내지 440인 본 발명 1 또는 2에 기재된 페라이트 적층체이다(본 발명 3).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도전층의 표면 전기 저항이 100 내지 5000Ω/□인 본 발명 1 내지 3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페라이트 적층체이다(본 발명 4).
또한, 본 발명은, 도전층과 자성층이 점착층을 통해 적층되어 있는 본 발명 1 내지 4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페라이트 적층체이다(본 발명 5).
또한, 본 발명은, 당해 적층체 중 적어도 한쪽의 표면에 점착층 또는 보호층을 더 형성한 본 발명 1 내지 5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페라이트 적층체이다(본 발명 6).
또한, 본 발명은, 당해 적층체의 한쪽의 표면에 점착층을 더 형성하고, 반대측의 표면에 보호층을 더 형성한 본 발명 1 내지 6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페라이트 적층체이다(본 발명 7).
또한, 본 발명은, 소결 페라이트의 조성이, 산화물 환산으로 47 내지 50mol%의 Fe2O3, 8 내지 16mol%의 NiO, 24 내지 35mol%의 ZnO, 7 내지 12.5mol%의 CuO를 포함하고, 합계로 100mol%인 본 발명 1 내지 7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페라이트 적층체이다(본 발명 8).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 1 내지 8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페라이트 적층체를 포함하는 노이즈 억제 시트이다(본 발명 9).
본 발명에 관한 페라이트 적층체는 고주파대의 1㎓뿐만 아니라, 저주파대의 10㎒에 있어서도 노이즈를 흡수하므로, 모바일 전자 기기 등의 노이즈 억제 시트로서 적합하다.
본 발명의 구성을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관한 페라이트 적층체는, 도전성 필러와 수지를 포함하는 도전성층과, 소결 페라이트를 포함하는 자성층을 적층하여 이루어진다. 도전성층 및/또는 자성층은 복수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소결 페라이트의 조성은, 산화물 환산으로 47 내지 50mol%의 Fe2O3, 8 내지 16mol%의 NiO, 24 내지 35mol%의 ZnO, 7 내지 12.5mol%의 CuO가 바람직하고, 합계로 100mol%가 된다. 단, 원료나 제조 공정으로부터 불회피적으로 혼입되는 미량의 불순물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페라이트에 있어서의 Fe2O3의 조성이 47mol% 미만인 경우는 μ'이 작아진다. 50mol%를 초과하는 경우는 소결할 수 없게 된다. 더 바람직한 Fe2O3의 조성은 47.5 내지 49.5mol%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페라이트에 있어서의 NiO의 조성이 8mol% 미만인 경우는 μ"이 커진다. 16mol%를 초과하는 경우는 μ'이 작아진다. 더 바람직한 NiO의 조성은 8.5 내지 15.5mol%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페라이트에 있어서의 ZnO의 조성이 24mol% 미만인 경우는 μ'이 작아진다. 35mol%를 초과하는 경우는 μ"이 커진다. 더 바람직한 ZnO의 조성은 24.5 내지 34.5mol%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페라이트에 있어서의 CuO의 조성이 7mol% 미만인 경우는 소결할 수 없게 된다. 12.5mol%를 초과하는 경우는 μ'이 작아진다. 더 바람직한 CuO의 조성은 7.5 내지 12.0mol%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페라이트판의 밀도는 4.8 내지 5.3g/㎤가 바람직하다. 밀도가 4.8g/㎤ 미만인 경우는 페라이트가 소결 불충분으로 균열되기 쉬워져, 제조 공정에 있어서 취급이 곤란해진다. 본 발명에서 얻어지는 밀도의 최댓값은 5.3g/㎤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페라이트의 두께는 20 내지 110㎛가 바람직하다. 두께가 20㎛ 미만인 페라이트는 공업적으로 생산하는 것이 곤란하다. 110㎛를 초과하면 박막화의 요청에 합치하지 않고, 또한 중량이 무거워지므로 경량화의 요청에도 합치하지 않는다. 더 바람직한 두께는 25 내지 105㎛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페라이트의 10㎒에 있어서의 투자율의 실수부 μ'은 130 내지 480이 바람직하다. 실수부 μ'이 130 미만인 경우는 투자율의 허수부 μ"이 작아져, 노이즈 억제 효과가 낮아진다. 본 발명에서는 480을 초과하는 μ'은 얻어지지 않는다. 더 바람직한 실수부 μ'은 150 내지 460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페라이트의 10㎒에 있어서의 투자율의 허수부 μ"은 30 내지 440이 바람직하다. 허수부 μ"이 30 미만인 경우는 노이즈 억제 효과가 낮아진다. 본 발명에서는 440을 초과하는 μ"은 얻어지지 않는다. 더 바람직한 허수부 μ"은 35 내지 420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자성층은 상기와 같은 특정한 소결 페라이트를 포함하고, 수지 등의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다. 이에 의해, 특허문헌 1, 3과는 달리, 본 발명의 페라이트 적층체는 10㎒ 및 1㎓에 있어서 충분한 노이즈 억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도전층은 수지 중에 도전성 필러를 분산시키고, 시트상으로 성형된 것이다. 도전성 필러로서는, 도전성 카본을 들 수 있다. 도전성 카본으로서는, 도전성 카본 블랙, 탄소 섬유를 가공한 섬유상 카본, 카본 나노 튜브가 바람직하고, 도전성 카본 블랙으로서는, 입경 20 내지 60㎚, BET 비표면적 30 내지 1300㎡/g의 것이 바람직하고, 입경 30 내지 40㎚, BET 비표면적 700 내지 1300㎡/g의 중공 쉘 구조를 갖는 고도전성 카본 블랙이 보다 바람직하다. 탄소 섬유를 가공한 섬유상 카본으로서는, 섬유 길이 30 내지 150㎛의 밀드 파이버, 혹은 섬유 길이 3 내지 24㎜의 커트 파이버가 바람직하다. 카본 나노 튜브로서는, 섬유 직경 40 내지 160㎛, BET 비표면적 16 내지 34㎡/g, 순도 99% 이상의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도전층에는 도전성 필러를 5 내지 25wt%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전성 필러의 함유량이 5wt% 미만인 경우는 표면 전기 저항이 높아져, 원하는 노이즈 억제 효과를 얻을 수 없다. 도전성 필러의 함유량이 25wt%를 초과하는 경우는 마이크로스트립 라인 측정에 있어서 반사량이 커져, 신호를 전달하기 어려워진다. 더 바람직한 함유량은 7 내지 24wt%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도전층에는 수지를 10 내지 30wt%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의 함유량이 10wt% 미만인 경우는 시트 형상을 유지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수지의 함유량이 30wt%를 초과하는 경우는 원하는 노이즈 억제 효과를 얻을 수 없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도전층에 사용하는 수지는 아크릴 수지, 또는 페놀 수지가 바람직하고, 아크릴 수지와 페놀 수지를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아크릴 수지와 페놀 수지는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도전층은 난연제를 함유해도 된다. 난연제로서는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등이 예시된다. 도전층 중의 난연제의 함유량은 0 내지 30wt%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한 함유량은 13 내지 26wt%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도전층에는 도전성 필러의 분산 보조제로서 평균 입자 직경이 0.05 내지 5㎛인 분말을 함유해도 되고, 특히 도전성 필러가 섬유상인 경우, 원료의 혼합 공정에 있어서, 그 분산 효과가 높다. 분산 보조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헤마타이트이나 마그네타이트 등의 산화철 분말, 페라이트 분말, 산화규소 분말, 산화알루미늄 분말 등의 각종 산화물 분말을 들 수 있다. 또한, 금속 분말이어도 된다. 마그네타이트나 페라이트 분말 등의 자성을 갖는 분산 보조제를 함유하는 경우는, 루프 안테나 측정에 의한 투과 감쇠량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의 함유량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산 보조제의 함유량은 30 내지 70wt%가 바람직하다. 이 범위 외의 경우는 분산 보조제로서의 기능이 낮아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도전층의 두께는 15 내지 90㎛가 바람직하다. 두께가 15㎛ 미만인 경우는 마이크로스트립 라인 측정에 의한 투과 감쇠량이 작아지므로, 원하는 노이즈 억제 효과를 얻을 수 없다. 두께가 90㎛를 초과하는 경우는 마이크로스트립 라인 측정에 있어서 반사량이 커져, 신호를 전달하기 어려워진다. 더 바람직한 두께는 20 내지 85㎛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도전층의 표면 전기 저항은 100 내지 5000Ω/□가 바람직하다. 표면 전기 저항이 100Ω/□ 미만인 경우, 마이크로스트립 라인 측정에 의한 투과 감쇠량이 작아지므로, 원하는 노이즈 억제 효과를 얻을 수 없다. 표면 전기 저항이 5000Ω/□를 초과하는 경우는 마이크로스트립 라인 측정에 있어서 반사량이 커져, 신호를 전달하기 어려워진다. 더 바람직한 표면 전기 저항은 110 내지 4900Ω/□이다.
본 발명에 관한 페라이트 적층체의 마이크로스트립 라인 측정에 의한 투과 감쇠량은 1㎓에 있어서 3.6 내지 8㏈이 바람직하다. 투과 감쇠량이 3.6㏈ 미만인 경우는 원하는 노이즈 억제 효과를 얻을 수 없다. 투과 감쇠량이 8.0㏈을 초과하는 경우는 마이크로스트립 라인 측정에 있어서 반사량이 커져, 신호를 전달하기 어려워진다. 더 바람직한 투과 감쇠량은 3.8 내지 7.5㏈이다.
본 발명에 관한 페라이트 적층체의 루프 안테나 측정에 의한 투과 감쇠량은 10㎒에 있어서 12 내지 30㏈이 바람직하다. 투과 감쇠량이 12㏈ 미만인 경우는 원하는 노이즈 억제 효과를 얻을 수 없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30㏈을 초과하는 투과 감쇠량은 얻어지지 않는다. 더 바람직한 투과 감쇠량은 13 내지 29㏈이다.
본 발명에 관한 페라이트 적층체를 구성하는 자성층 가운데 페라이트와 도전층의 두께의 비(페라이트/도전층)는 0.3 내지 4.0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페라이트 적층체의 전체의 두께는 35 내지 200㎛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페라이트 적층체는 도전층과 자성층을 점착층을 통해 적층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점착층으로서는, 양면 점착 테이프를 들 수 있다. 양면 점착 테이프로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PET 필름이나 폴리이미드 필름을 기재로 하거나, 또는 기재를 포함하지 않는 공지의 양면 점착 테이프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을 적층한 것이어도 된다. 박막화의 요청에 의해, 점착층의 두께는 3 내지 30㎛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페라이트 적층체는 적층체의 적어도 한쪽의 표면에 점착층 또는 보호층을 형성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보호층은 이것을 형성함으로써 페라이트를 분할할 때의 분말 낙하에 대한 신뢰성 및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해당 보호층으로서는, 노이즈 억제 시트를 굴곡시킨 경우에 파단하지 않고 연신되는 수지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PET 필름, 폴리이미드 필름, 수지를 함유하는 도료 등이 예시된다. 또한, 보호층으로서, 페라이트의 편면에 점착제, PET 필름이나 폴리이미드 필름 등의 굴곡성이고 또한 신축성인 필름을 순차 적층한 것이어도 된다. 나아가, 보호층을 2층 이상 형성해 두고, 노이즈 억제 시트의 제조 공정 및 그 가공 공정에 있어서 보호층에 흠집, 오염, 찢어짐 등이 발생한 경우, 순차 그 보호층을 제거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최상층에 흠집, 오염, 찢어짐 등이 없는 청정한 보호층을 얻을 수 있다. 박막화의 요청에 의해, 보호층의 두께는 3 내지 30㎛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페라이트 적층체는 굴곡한 부분에 밀착시켜 부착하기 위해서와, 사용 시에 균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미리, 자성층을 구성하는 페라이트는 소편상으로 분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미리, 페라이트의 적어도 한쪽의 표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홈을 기점으로 하여 페라이트를 분할하거나, 홈을 형성하지 않고 페라이트 소결판을 분할하여 소편상으로 하는 방법의 어느 것이어도 된다. 상기 홈은 연속하고 있어도 되고, 단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또한 다수의 미소한 오목부를 형성함으로써, 홈의 대용으로 할 수도 있다. 홈의 단면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U자형 또는 V자형이 바람직하다.
페라이트는 홈에 의해 임의의 크기의 삼각형, 사변형, 다각형 또는 그것들의 조합으로 분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삼각형, 사변형, 다각형의 1변의 길이는, 통상 1 내지 12㎜이고, 피부착물의 접착면이 곡면인 경우는 바람직하게는 1㎜ 이상이고 그 곡률 반경의 1/3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이상이고 1/4 이하이다. 나아가, 페라이트는 홈에 의해 분할되지 않고, 부정형으로 분할되어 있어도 된다.
페라이트에 형성하는 홈의 개구부의 폭은, 통상 250㎛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0㎛이다. 개구부의 폭이 250㎛를 초과하는 경우는 노이즈 억제 시트의 투자율의 저하가 커져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홈의 깊이는 페라이트의 두께의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1/4,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1/6이다.
이어서, 본 발명에 관한 페라이트 적층체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한 페라이트 적층체는 미리 따로따로 제작한 자성층과 도전층을 적층하여 얻을 수 있다.
페라이트를 포함하는 자성층은, 예를 들어 하기와 같이 하여 제조할 수 있다.
먼저, 페라이트 분말은 페라이트를 구성하는 각 원소의 산화물, 탄산염, 수산화물, 옥살산염 등의 원료를 소정의 조성 비율로 혼합하여 얻어진 원료 혼합물, 또는 수용액 중에서 각 원소를 침전시켜 얻어진 침전물을, 대기 중에 있어서 700 내지 900℃의 온도 범위에서 1 내지 20시간 가소성한 후, 분쇄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얻어진 페라이트 분말과 결합제 수지를 혼합한 후, 분말 압축 성형법, 사출 성형법, 캘린더법, 압출법 등에 의해 페라이트 함유 수지판을 성형하고, 필요에 따라 탈지 처리한 후, 소결 처리하여 페라이트판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페라이트 분말과 결합제 수지와 용매를 혼합한 후, 필름 또는 시트 위에 닥터 블레이드 등으로 도포하여 그린 시트를 얻고, 필요에 따라 탈지 처리한 후, 얻어진 그린 시트를 소결 처리하여 페라이트판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얻어진 그린 시트를 복수매 적층한 후, 소결해도 된다.
필요에 따라, 페라이트판에 홈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페라이트판의 성형 중, 성형 후 또는 소결 처리 후에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말 압축 성형법 또는 사출 성형법으로 성형하는 경우는 성형 중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캘린더법 또는 압출법으로 성형하는 경우는 성형 후이고 소결 전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린 시트를 경유하여 페라이트판을 제조하는 경우는 그린 시트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탈지 처리는 통상 150 내지 500℃의 온도에서 행해진다. 소결 온도는 통상 850 내지 970℃, 바람직하게는 870 내지 960℃이다. 소결 시간은 통상 30 내지 180분,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20분이다. 소결 온도가 850℃ 미만인 경우는 입자의 소결이 곤란해지고, 얻어진 페라이트판의 강도가 충분하지 않고, μ'도 낮은 것이 된다. 또한, 소결 온도가 970℃라면 입자의 소결은 충분히 진행되기 때문에, 970℃를 초과하여 높게 할 필요가 없다. 소결 시간이 30분 미만인 경우는 입자의 소결이 곤란해지고, 얻어진 페라이트판의 강도가 충분하지 않고, μ'도 낮은 것이 된다. 또한, 소결 시간이 180분이라면 입자의 소결은 충분히 진행하기 때문에, 180분을 초과하여 길게 할 필요가 없다.
계속해서, 얻어진 페라이트판의 한쪽의 표면에 대하여 점착층, 예를 들어 양면 점착 테이프를 설치하고, 다른 쪽의 표면에 대하여 점착층 혹은 보호층을 형성한 후, 롤러 등에 의해 분할 처리함으로써, 페라이트에 보호층 및/또는 점착층을 부착한 자성층을 얻을 수 있다. 얻어지는 자성층은 소결 페라이트판을 포함하여 페라이트판의 적어도 한쪽의 표면에 점착층 또는 보호층이 형성된 적층 구조를 갖는 것이며, 수지 등의 결합제 성분과 페라이트가 혼합 상태에 있는 복합체와는 다른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도전층의 제작 방법은 공지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는, 예를 들어 용제에 도전성 필러나 수지 등을 첨가하고, 교반함으로써 얻어진 분산액을, 바 코터, 콤마 코터, 다이 코터 등을 사용하여 박리성 필름 위에 임의의 두께로 도포한 후, 가열 등에 의해 건조하여 용제를 제거함으로써 도전층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용제로서는,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 이소포론 등의 케톤 용제,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등의 에스테르 용제,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 용제, 셀로솔브아세테이트, 메틸셀로솔브아세테이트 등의 셀로솔브 용제,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등의 에테르 용제, 이소프로필알코올, n-부틸알코올 등의 알코올, 디메틸포름아미드 등의 비프로톤성 극성 용제를 들 수 있다. 수지 용액 중의 용제 함유량은 용액에 요구되는 점도 등을 기초로 하여 적절히 결정된다.
상기 박리성 필름으로서는, 폴리프로필렌 필름, 불소 수지계 필름,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종이 및 이것들에 실리콘 수지로 박리 처리를 실시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두께는 10 내지 200㎛가 바람직하다.
상기 페라이트에 보호층과 점착층을 부착한 소결 페라이트판을 포함하는 자성층의 한쪽의 표면에 설치되어 있는 점착층을 통해, 상기 도전층을 적층함으로써, 본 발명에 관한 페라이트 적층체를 얻을 수 있다. 도전층의 다른 쪽의 표면에는 필요에 따라 점착층 혹은 보호층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페라이트 적층체는 노이즈 억제 시트로서 사용할 수 있다. 노이즈 억제 시트는 대상물에 부착함으로써, 노이즈 억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노이즈 억제 시트는, 대상물에 대한 설치의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노이즈를 억제하고 싶은 면에 대하여 자성층이 접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용>
본 발명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점은 본 발명에 관한 노이즈 억제 시트는 도전층의 표면 전기 저항이 적절한 범위인 것에 의해 1㎓에 있어서 충분한 노이즈 억제 효과를 갖고, 또한 페라이트의 10㎒에 있어서의 μ"이 큰 것에 의해 10㎒에 있어서 충분한 노이즈 억제 효과를 갖는 점이다.
실시예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 형태는 다음과 같다.
페라이트의 조성은 형광 X선 분석 장치 3530(리가쿠 전기 공업(주)제)을 사용하여 측정했다.
본 발명에 관한 두께는 마이크로미터로 측정했다.
페라이트의 밀도는 노기스와 마이크로미터로 측정한 외형 치수와 전자 천칭으로 측정한 중량으로부터 계산으로 구했다.
자성층인 페라이트의 투자율의 실수부 μ'과 허수부 μ"은, 점착층 혹은 보호층을 형성한 페라이트를 분할 처리한 후, 외경 20㎜, 내경 10㎜로 펀칭한 링을 임피던스 애널라이저 E4991A(애질런트ㆍ테크놀로지(주)제)를 사용하여 10㎒의 주파수에 있어서 측정했다.
도전층의 표면 전기 저항은 저항률계 Loresta-GP(미츠비시 가가쿠(주)제)를 사용하여 측정했다. 세로 35㎜ 가로 45㎜의 크기로 제작한 도전층의 중앙부에 4탐침 프로브 MCP-T600을 압착하여 측정했다.
마이크로스트립 라인 측정에 의한 투과 감쇠량은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했다.
길이 75㎜, 폭 2.3㎜, 두께 35㎛ 및 임피던스를 50Ω으로 조정한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을 시공한 기판에, 세로 35㎜ 가로 45㎜의 크기로 제작한 적층체를,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의 길이 방향으로 적층체의 횡방향을 맞추고, 각각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장착했다. 세로 35㎜, 가로 45㎜ 및 두께 10㎜의 발포 배율 약 25배의 발포 폴리스티렌을 포함하는 판을 적층체에 겹치고, 그 위에 560g의 하중을 적재한 상태에서,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에 접속한 네트워크 애널라이저 N5230A(애질런트ㆍ테크놀로지(주)제)를 사용하여 S파라미터를 측정했다. 얻어진 S파라미터 중, S21의 크기(단위:㏈)를 마이크로스트립 라인 측정에 의한 투과 감쇠량으로 했다. 또한, 투과 감쇠량은 값이 클수록, 노이즈를 억제하는 효과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루프 안테나 측정에 의한 투과 감쇠량은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했다.
한 쌍의 직경 4㎜의 루프 안테나를 0.5㎜의 간격, 루프면이 평행, 그것들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설치하고, 세로 35㎜, 가로 45㎜의 크기로 제작한 적층체를, 그 중심이 루프 안테나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배치했다. 루프 안테나에 접속한 네트워크 애널라이저 N5230A(애질런트ㆍ테크놀로지(주)제)를 사용하고, 적층체를 배치하고 있지 않을 때의 S21을 기준으로 하여, 적층체를 배치했을 때의 S21의 크기(단위:㏈)를 측정하고, 이것을 루프 안테나 측정에 의한 투과 감쇠량으로 했다. 또한, 투과 감쇠량은 값이 클수록 노이즈를 억제하는 효과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 1:
페라이트의 조성이 소정의 조성이 되도록 각 산화물 원료를 칭량하고, 볼 밀을 사용하여 20시간 습식 혼합을 행한 후, 혼합 슬러리를 여과 분리ㆍ건조하여 원료 혼합 분말을 얻었다. 해당 원료 혼합 분말을 730℃에서 2시간 소성하여 얻어진 가소성물을 볼 밀로 분쇄하고, Ni-Zn-Cu 페라이트 분말을 얻었다.
얻어진 Ni-Zn-Cu 페라이트 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결합 재료로서 폴리비닐부티랄 8중량부, 가소제로서 프탈산벤질-n-부틸 3중량부, 용제로서 3메틸-3메톡시-1부탄올 50중량부를 가한 후, 충분히 혼합하여 슬러리를 얻었다. 이 슬러리를 닥터 블레이드식 코터에 의해 PET 필름 위에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한 후, 건조함으로써 두께 31㎛의 그린 시트를 얻었다. 그 한쪽의 표면에, 날형을 사용하여 격자 상의 홈을 형성했다.
얻어진 그린 시트를 400℃에서 탈지한 후에, 880℃에서 2시간 소결함으로써, 페라이트판을 얻었다. 해당 페라이트판의 조성은 Fe2O3이 49.4mol%, NiO가 8.7mol%, ZnO가 34.3mol%, CuO가 7.6mol%이고, 두께는 26㎛이고, 밀도는 4.83g/㎤였다. 얻어진 페라이트판의 한쪽의 표면에 두께 10㎛의 PET 필름을 부착하고, 다른 한쪽의 표면에 두께 10㎛의 양면 테이프를 부착했다. 얻어진 페라이트판의 적층물을 롤러에 의해 페라이트를 소편상으로 분할하고, 페라이트에 보호층과 점착층을 부착한 적층물을 얻었다(자성층). 얻어진 페라이트의 μ'은 170이고, μ"은 128이고, 두께는 46㎛였다.
이어서 도전층을 이하의 방법으로 제작했다. 섬유상 도전성 카본(그라녹 밀드 파이버 HC-600-15M(일본 그래파이트 파이버제)) 8wt%, 아크릴 수지(테이산 레진 SG-P3(나가세 켐텍스제)) 12wt%, 페놀 수지(CKM-908(쇼와 덴코제)) 2wt%, 난연제로서 수산화알루미늄 14wt%, 분산 보조제로서 입상 마그네타이트(MAT-305(도다 고교제)) 64wt%를 메틸에틸케톤에 가하고 교반하여, 도전성 도료를 얻었다. 얻어진 도전성 도료를 PET 필름 위에 도포하고, 열풍 순환형 건조기 중 150℃에서 가열 건조하여 도전층을 얻었다. 얻어진 도전층의 두께는 20㎛이고, 표면 전기 저항은 4860Ω/□였다.
상기에서 얻어진 자성층의 양면 테이프의 박리지를 박리하여 점착층을 노출시키고, 상기에서 얻어진 도전층의 PET 필름을 박리하고 당해 점착층에 도전층을 적층한 후, 도전층의 한쪽의 표면에 두께 10㎛의 점착층(양면 테이프)을 형성함으로써 적층체를 얻었다. 얻어진 적층체는 PET 필름, 페라이트판, 점착층, 도전층 및 점착층(양면 테이프)의 순으로 적층된 것이다.
얻어진 적층체의 두께는 76㎛이고, 자성층과 도전층의 두께의 비(페라이트/도전층)는 1.3이었다. 또한, 마이크로스트립 라인 측정에 의한 투과 감쇠량이 1㎓에 있어서 3.8㏈이고, 루프 안테나 측정에 의한 투과 감쇠량이 10㎒에 있어서 19.9㏈이었다.
실시예 2 내지 4: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적층체를 얻었다. 이때의 제조 조건을 표 1에, 얻어진 적층체의 제특성을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1:
페라이트의 조성 및 소성 온도를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자성층을 얻었다. 이때의 제조 조건을 표 1에, 얻어진 자성층 단층의 제특성을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2:
시클로헥사논에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를 20중량% 용해한 용액에, 용제를 제거 후의 체적비가 편평상 철-알루미늄-규소 합금 분말(철, 알루미늄, 규소의 중량비가 85:6:9, 애스펙트비가 20 내지 30, 평균 입자 직경이 40㎛)이 55vol%, 스티렌계 엘라스토머가 45vol%가 되도록 계량하고, 충분히 혼합하여 슬러리를 얻었다. 그때, 점도 조정을 위해 에틸시클로헥사논을 첨가했다. 이 슬러리를 닥터 블레이드 방식 코터에 의해, PET 필름 위에 도포하고 건조했다. 얻어진 도막을 온도 130℃, 압력 90㎫, 가압 시간 5분의 조건에서 성형하고, 두께 50㎛의 편평상 철-알루미늄-규소 합금 분말 함유 시트를 얻었다. 얻어진 시트의 10㎒에 있어서의 투자율 중 실수부 μ'은 89, 허수부 μ"은 22이고, 표면 전기 저항은 2×108Ω/□였다. 마이크로스트립 라인 측정에 의한 투과 감쇠량이 1㎓에 있어서 1.2㏈이고, 루프 안테나 측정에 의한 투과 감쇠량이 10㎒에 있어서 10.8㏈이었다.
얻어진 적층체의 투과 감쇠량을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3:
실시예 1에서 얻어진 도전층과, 비교예 2에서 얻어진 편평상 철-알루미늄-규소 합금 분말 함유 시트를 두께 10㎛의 양면 테이프를 통해 접합하여 적층체를 얻었다. 얻어진 적층체의 마이크로스트립 라인 측정에 의한 투과 감쇠량은 1㎓에 있어서 3.7㏈이고, 루프 안테나 측정에 의한 투과 감쇠량은 10㎒에 있어서 10.9㏈이었다.
얻어진 적층체의 투과 감쇠량을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Claims (9)

  1. 도전성 필러와 수지를 포함하는 도전성층과 소결 페라이트를 포함하는 자성층을 포함하는 페라이트 적층체.
  2. 제1항에 있어서, 당해 적층체의 마이크로스트립 라인 측정에 의한 투과 감쇠량이 1㎓에 있어서 3.6 내지 8㏈이며, 루프 안테나 측정에 의한 투과 감쇠량이 10㎒에 있어서 12 내지 30㏈인 페라이트 적층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층의 10㎒에 있어서의 투자율의 실수부가 130 내지 480이고, 투자율의 허수부가 30 내지 440인 페라이트 적층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의 표면 전기 저항이 100 내지 5000Ω/□인 페라이트 적층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도전층과 자성층이 점착층을 통해 적층되어 있는 페라이트 적층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당해 적층체 중 적어도 한쪽의 표면에 점착층 또는 보호층을 더 형성한 페라이트 적층체.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당해 적층체의 한쪽의 표면에 점착층을 더 형성하고, 반대측의 표면에 보호층을 더 형성한 페라이트 적층체.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소결 페라이트의 조성이, 산화물 환산으로 47 내지 50mol%의 Fe2O3, 8 내지 16mol%의 NiO, 24 내지 35mol%의 ZnO, 7 내지 12.5mol%의 CuO를 포함하고, 합계로 100mol%인 페라이트 적층체.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페라이트 적층체를 포함하는 노이즈 억제 시트.
KR1020187000880A 2015-07-14 2016-07-11 페라이트 적층체 및 노이즈 억제 시트 KR1025728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40871 2015-07-14
JP2015140871 2015-07-14
PCT/JP2016/070393 WO2017010447A1 (ja) 2015-07-14 2016-07-11 フェライト積層体及びノイズ抑制シー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0824A true KR20180030824A (ko) 2018-03-26
KR102572806B1 KR102572806B1 (ko) 2023-08-29

Family

ID=57757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0880A KR102572806B1 (ko) 2015-07-14 2016-07-11 페라이트 적층체 및 노이즈 억제 시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096318B2 (ko)
JP (1) JP6939551B2 (ko)
KR (1) KR102572806B1 (ko)
CN (1) CN107836140B (ko)
TW (1) TWI703048B (ko)
WO (1) WO20170104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10707B2 (en) * 2020-03-26 2023-07-25 Shibaura Mechatronics Corporation Electromagnetic wave attenuator, electronic device, film formation apparatus, and film formation method
JP7331817B2 (ja) * 2020-10-07 2023-08-23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フェライト焼結体および巻線型コイル部品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2079A (ja) 1994-01-20 1995-08-11 Tokin Corp 電磁波干渉抑制体
JPH10224079A (ja) * 1997-02-06 1998-08-21 Tdk Corp 電波吸収体
JP2008296431A (ja) * 2007-05-30 2008-12-11 Kitagawa Ind Co Ltd セラミックシート
JP2009290075A (ja) 2008-05-30 2009-12-10 Toda Kogyo Corp ノイズ抑制シート
JP2010114246A (ja) * 2008-11-06 2010-05-20 Alps Electric Co Ltd 多層型磁性シート
JP2013229541A (ja) 2011-06-17 2013-11-07 Toda Kogyo Corp 電磁波干渉抑制体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63236B2 (ja) * 1996-09-26 2004-09-08 触媒化成工業株式会社 透明導電性被膜形成用塗布液、透明導電性被膜付基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表示装置
JP2000156592A (ja) * 1998-11-19 2000-06-06 Tomoegawa Paper Co Ltd 電磁波シールド用金属繊維シート
JP2000296431A (ja) 1999-04-12 2000-10-24 Inst Of Physical & Chemical Res 超精密6軸加工装置
CN100388873C (zh) * 2003-03-25 2008-05-14 信越聚合物株式会社 电磁波噪声抑制体、具有电磁波噪声抑制功能的物品及其制造方法
JP2005213115A (ja) 2004-01-30 2005-08-11 Tdk Corp フェライト組成物、フェライトコアおよび電子部品
JP4935824B2 (ja) * 2006-10-19 2012-05-23 日立金属株式会社 電波吸収材料及び電波吸収体
KR101187172B1 (ko) * 2007-03-07 2012-09-28 도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페라이트 성형 시트, 소결 페라이트 기판 및 안테나 모듈
JP5332185B2 (ja) * 2007-11-16 2013-11-06 ソニー株式会社 磁性粉の製造方法、磁性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アンテナ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CN100589215C (zh) * 2007-12-29 2010-02-10 电子科技大学 NiZn系铁氧体材料及制备方法
CN102390984B (zh) * 2011-07-29 2013-06-12 电子科技大学 高磁导率高居里温度NiZn铁氧体材料及制备方法
CN102690109B (zh) * 2012-03-19 2014-06-04 横店集团东磁股份有限公司 一种软磁镍铜锌铁氧体材料及其制备方法
AU2013204683B2 (en) * 2012-11-21 2015-02-05 Nomacorc Llc Electroanalytical method for predicting the oxidability of a wine or a grape must
WO2014088954A1 (en) * 2012-12-06 2014-06-1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errite green sheet, sintered ferrite sheet, ferrite composite sheet comprising the same, and conductive loop antenna module
JP2015117174A (ja) * 2013-12-20 2015-06-25 Tdk株式会社 フェライトプレート、アンテナ素子用部材、およびアンテナ素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2079A (ja) 1994-01-20 1995-08-11 Tokin Corp 電磁波干渉抑制体
JPH10224079A (ja) * 1997-02-06 1998-08-21 Tdk Corp 電波吸収体
JP2008296431A (ja) * 2007-05-30 2008-12-11 Kitagawa Ind Co Ltd セラミックシート
JP2009290075A (ja) 2008-05-30 2009-12-10 Toda Kogyo Corp ノイズ抑制シート
JP2010114246A (ja) * 2008-11-06 2010-05-20 Alps Electric Co Ltd 多層型磁性シート
JP2013229541A (ja) 2011-06-17 2013-11-07 Toda Kogyo Corp 電磁波干渉抑制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199474A1 (en) 2018-07-12
WO2017010447A1 (ja) 2017-01-19
JP6939551B2 (ja) 2021-09-22
KR102572806B1 (ko) 2023-08-29
TWI703048B (zh) 2020-09-01
TW201716230A (zh) 2017-05-16
CN107836140B (zh) 2019-12-06
US11096318B2 (en) 2021-08-17
CN107836140A (zh) 2018-03-23
JPWO2017010447A1 (ja) 2018-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9872B1 (ko) 페라이트 성형 시트, 소결 페라이트 기판 및 안테나 모듈
JP6509123B2 (ja) フェライトグリーンシート、焼結フェライトシート、これを含むフェライト複合シート、及び導電性ループアンテナモジュール
CN108141994B (zh) 磁场屏蔽单元、包括其的模块及包括其的便携式设备
KR101549988B1 (ko) 커버레이 분리형 자성시트와 이를 포함하는 연성인쇄회로기판 및 이들의 제조방법
US20110159317A1 (en) Flexible sheet with high magnetic permeability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EP3147270B1 (en) Sintered ferrite plate and sintered ferrite sheet
JP5218396B2 (ja) 電磁波干渉抑制シート、高周波信号用フラットケーブル、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及び電磁波干渉抑制シートの製造方法
TW201440629A (zh) 電磁波干擾抑制體
KR20180030824A (ko) 페라이트 적층체 및 노이즈 억제 시트
TWI422320B (zh) Suppression of noise slices
JPH06244583A (ja) 積層型電波反射防止体及び電波反射防止方法
KR100712836B1 (ko) 전자기파 간섭 차폐용 다층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회로기판
JPS62206861A (ja) セラミツクス多層回路板及び半導体実装構造
KR20130009532A (ko) 소성 페라이트 파우더, 이를 적용한 전자파 흡수체 시트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CN203157260U (zh) 具有高导热效应的复合式电磁屏蔽铜箔基板
JP2004123404A (ja) 高周波帯用スピネル型フェライト焼結体、スピネル型フェライト粒子粉末及び該スピネル型フェライト粒子粉末を用いたグリーンシート
KR20170062414A (ko) 자기장 차폐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다기능 복합모듈
KR20170038751A (ko) 무선전력 전송용 자기장 차폐유닛, 이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전송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