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8485A - 감량·감용 처리 장치 및 감량·감용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기류 형성 기구 - Google Patents

감량·감용 처리 장치 및 감량·감용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기류 형성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8485A
KR20180028485A KR1020187003729A KR20187003729A KR20180028485A KR 20180028485 A KR20180028485 A KR 20180028485A KR 1020187003729 A KR1020187003729 A KR 1020187003729A KR 20187003729 A KR20187003729 A KR 20187003729A KR 20180028485 A KR20180028485 A KR 201800284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air
heating
container
circ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3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7615B1 (ko
Inventor
겐고 시마
Original Assignee
시마 상요 코퍼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마 상요 코퍼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시마 상요 코퍼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80028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84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7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7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B09B3/008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10Temperatur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 F26B9/0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소형화되고 취급성이 우수한 감량·감용 처리 장치 및, 상기 감량·감용 처리 장치에 채용되는 기류 형성 기구를 제공한다. 가열에 의해서 피처리물을 감량·감용화하는 장치로서, 수용 용기(2)와, 가열 공기 공급부(10)를 구비하고 있고, 가열 공기 공급부(10)는, 순환부(20)와, 배출부(30)와, 흡인부(40)를 구비하고 있고, 순환부(20)는, 순환 유로(21)를 흐르는 기류를 가열하는 가열 수단(23)과, 순환 유로(21)에 기류를 형성하는 기류 형성 수단(22)을 구비하고 있고, 순환 유로(21)에 있어서, 수용 공간(2)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구가, 수용 용기(2) 내에 배치되는 내면에 형성되어 있고, 흡인부(40)의 흡인 유로(41)는, 수용 공간(2)측의 개구인 유출구가, 공급구와 인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감량·감용 처리 장치 및 감량·감용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기류 형성 기구
본 발명은, 감량·감용(減容) 처리 장치 및 감량·감용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기류 형성 기구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음식 쓰레기 등의 수분을 함유하는 폐기물을 감량·감용 처리하는 것이 가능한 감량·감용 처리 장치 및 감량·감용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기류 형성 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가정 등에서 발생하는 쓰레기를 폐기하는 비용을 삭감하기 위해서, 쓰레기를 감량·감용화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쓰레기를 감량·감용화할 수 있으면, 쓰레기의 운반 비용이나 연소 비용을 저감할 수 있고, 또한 지구 온난화 가스의 삭감에도 연결된다. 또한, 가정에서의 쓰레기의 보관을 위한 스페이스를 삭감할 수 있고, 부패를 억제하기 때문에 보관 기간을 어느 정도 길게 할 수 있다. 그러면, 쓰레기 배출 회수를 삭감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정으로부터 배출되는 음식 쓰레기와 같이 수분을 함유하는 폐기물에서는, 보관할 때에 부패 등에 의해서 악취를 발생시킬 가능성이 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수분을 함유하는 폐기물을 건조하는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특허 문헌 1 ~ 4). 이 장치를 이용하면, 수분을 함유하는 폐기물에 가열 공기를 닿게 하여 건조하는 것에 의해서 폐기물의 부패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보관시에 악취가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게다가, 수분이 없어지는 것으로써 폐기물을 감량·감용화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장치를 이용하는 것으로, 수분을 함유하는 폐기물이라도, 어느 정도 장기간의 보관이 가능하고, 또한 보관 스페이스를 삭감할 수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290061호 일본 실용공개공보 평04-11038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09-15935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25734호 일본 특허공보 제4073487호
상술한 장치에서는, 폐기물을 수용하는 공간을 가지는 케이스를 마련하고, 이 케이스에 모든 기기가 장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구성으로 하는 하나의 이유는, 음식 쓰레기 등의 폐기물을 가열했을 경우, 폐기물로부터 나오는 냄새가 강해지기 때문에, 그 냄새를 외부로 내보내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폐기물에 가열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송풍기 등을 마련하고 있지만, 케이스 내에 모든 기기가 봉입되어 들어가면, 이 송풍기의 작동음이나 송풍에 의한 기류에 의해서 발생하는 소리 등을 저하시키기 쉬워지는 것도 상기 구성으로 하는 하나의 이유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채용하는 것에 의해서, 장치 자체가 대형화되어 버리기 때문에, 가정 등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어느 정도의 공간을 장치의 설치 장소로 제공해야 한다.
장치를 싱크대의 밑 등에 넣어 두고, 사용할 경우에만 꺼내도록 하면, 장치에 의한 공간의 점유는 막을 수 있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상기 장치는, 모든 기기를 내장하고 있으므로 케이스가 대형화되어 있고 중량도 무거워져 있으므로, 부담없이 꺼내거나 수용하거나 하는 것이 어렵다. 그리고, 대형화되어 있으므로 수용해두기 위한 공간을 어느 정도 넓게 취하지 않으면 안되고, 수용하는 장소를 확보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에 비추어서, 소형화되고 취급성이 우수한 감량·감용 처리 장치 및, 상기 감량·감용 처리 장치에 채용되는 기류 형성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 발명의 감량·감용 처리 장치는, 가열에 의해서 피처리물을 감량·감용화하는 장치로서, 일단에 개구를 가지는 상기 피처리물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된 수용 용기와, 상기 수용 용기의 개구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된 가열 공기 공급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가열 공기 공급부는, 상기 수용 공간 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 유로를 구비한 순환부와, 상기 순환부의 순환 유로를 흐르는 공기의 일부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와, 상기 수용 용기의 개구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수용 용기 내에 배치되는 내면과 상기 수용 용기 외에 배치되는 외면과의 사이를 연통하고, 상기 수용 용기에 외기를 도입하는 흡인 유로를 구비한 흡인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순환부는, 상기 순환 유로를 흐르는 기류를 가열하는 가열 수단과, 상기 순환 유로에 기류를 형성하는 기류 형성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순환 유로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구가, 상기 수용 용기 내에 배치되는 내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흡인부의 흡인 유로는, 상기 수용 공간측의 개구인 유입구가, 상기 공급구와 인접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발명의 감량·감용 처리 장치는, 제1 발명에 있어서, 상기 흡인부의 흡인 유로는, 상기 유입구가 상기 공급구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 발명의 감량·감용 처리 장치는, 제1 또는 제2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순환 유로는, 상기 공급구가 상기 가열 공기 공급부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마련되어 있고, 상기 순환 유로는, 상기 공급구에 확산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 발명의 감량·감용 처리 장치는, 제1, 제2 또는 제3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순환 유로에 있어서의 상기 기류 형성 수단의 하류측의 유로와 외부와의 사이를 연통하는 배출 유로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배출 유로에는, 배출하는 공기를 정화하는 정화 부재가 수용된 정화 부재 수용 공간과, 상기 정화 부재 수용 공간의 상류측에 마련된 감속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감속 공간은, 그 단면적이, 상기 감속 공간보다 상류측의 상기 배출 유로보다 단면적이 커져 있고, 상기 배출 유로는, 상기 감속 공간에 공기가 유입되는 유출구의 축방향과, 상기 감속 공간과 상기 정화 부재 수용 공간을 연통하는 연통부의 축방향이, 비동일축이 되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5 발명의 감량·감용 처리 장치는, 제1, 제2 또는 제3 발명에 있어서,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가열 수단은, 상기 순환부에 있어서, 상기 기류 형성 수단의 하류측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류 형성 수단의 상류측에 마련된, 공기의 온도에 따라서 상기 가열 수단의 작동을 ON-OFF 제어하는 가열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가열 제어부에 의한 가열 수단의 ON-OFF의 주기에 기초하여, 피처리물의 건조 상태를 판단하여 장치의 작동을 정지하는 작동 정지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6 발명의 감량·감용 처리 장치는, 제1 내지 제5 발명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되는, 일단에 개구를 가지고 바닥부에 관통 구멍이 형성된 내장 케이스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순환 유로는, 상기 공급구가 상기 가열 공기 공급부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마련되어 있고, 상기 기류 형성 수단은, 상기 내장 케이스의 개구에 삽입되는 구분벽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구분벽은, 상기 내장 케이스의 개구에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그 외주면이 상기 내장 케이스의 개구 내면 근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7 발명의 감량·감용 처리 장치는, 제1 내지 제6 발명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순환 유로는, 상기 공급구가 상기 가열 공기 공급부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마련되어 있고, 상기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되는, 일단에 개구를 가지고 바닥부에 관통 구멍이 형성된 내장 케이스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바닥부의 중심 근방에, 주변부에 비해서 통기성이 낮은 저통기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8 발명의 감량·감용 처리 장치는, 제1 내지 제7 발명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되는, 일단에 개구를 가지고 바닥부에 관통 구멍이 형성된 내장 케이스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바닥부에 세워서 설치하는 축 형상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9 발명의 감량·감용 처리 장치는, 제1 내지 제8 발명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가열 공기 공급부는, 그 하단 가장자리가, 상기 가열 공기 공급부를 상기 수용 용기에 장착했을 때에 있어서의 장치의 중심축에 대해서 경사져 있고, 상기 가열 수단 및/또는 상기 기류 형성 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가열 공기 공급부의 기울기를 검출하는 기울기 검출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울기 검출부가 상기 가열 공기 공급부의 기울기를 검출하면, 상기 가열 수단 및/또는 상기 기류 형성 수단의 작동을 정지하는 작동 정지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0 발명의 감량·감용 처리 장치는, 제9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열 공기 공급부에는, 그 하단 가장자리의 경사 방향을 따라서, 상류측으로부터, 상기 가열 수단 및 상기 기류 형성 수단이 수용되는 기기 수용 공간, 상기 배출부가 마련되는 배출 공간의 순서로 나열되어 배치되어 있고, 상기 배출 공간에는, 배출하는 공기를 정화하는 정화 부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1 발명의 감량·감용 처리 장치는, 제9 또는 제10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배출 공간을 통하여, 상기 순환 유로에 있어서의 상기 기류 형성 수단의 하류측의 유로와 외부와의 사이를 연통하는 배출 유로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배출 유로에는, 상기 정화 부재가 수용된 정화 부재 수용 공간과, 상기 정화 부재 수용 공간의 상류측에 마련된 감속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출 유로는, 상기 감속 공간에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과, 상기 감속 공간으로부터 상기 정화 부재 수용 공간에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이, 비동일축이 되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2 발명의 감량·감용 처리 장치는, 제9, 제10 또는 제1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되는, 일단에 개구를 가지고 바닥부에 관통 구멍이 형성된 내장 케이스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가열 공기 공급부는, 상기 수용 용기에 장착했을 때에, 상기 수용 용기 내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삽입부는, 그 하단에 형성되고 있는 개구가, 상기 내장 케이스의 상단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3 발명의 감량·감용 처리 장치는, 가열 공기에 의해서 피처리물을 감량·감용화하는 장치로서, 해당 장치가, 제1, 제2, 제3, 제4, 제5, 제9, 제10 또는 제11 발명의 어느 하나에 기재의 가열 공기 공급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4 발명의 감량·감용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기류 형성 기구는, 수용 공간에 수용된 피처리물을 가열에 의해서 감량·감용화하는 장치에 있어서의 기류 형성 기구로서, 상기 수용 공간 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 유로를 구비한 순환부와, 상기 수용 공간과 외부와의 사이를 연통하고, 상기 수용 용기에 외기를 도입하는 흡인 유로를 구비한 흡인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순환부는, 상기 순환 유로를 흐르는 기류를 가열하는 가열 수단과, 상기 순환 유로에 기류를 형성하는 기류 형성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흡인부의 흡인 유로는, 상기 수용 공간측의 개구인 유입구가, 상기 순환 유로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구와 인접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5 발명의 감량·감용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기류 형성 기구는, 제14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순환부의 순환 유로를 흐르는 공기의 일부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배출부는, 상기 순환 유로에 있어서의 상기 기류 형성 수단의 하류측의 유로와 외부와의 사이를 연통하는 배출 유로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배출 유로에는, 배출하는 공기를 정화하는 정화 부재가 수용된 정화 부재 수용 공간과, 상기 정화 부재 수용 공간의 상류측에 마련된 감속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감속 공간은, 그 단면적이, 상기 감속 공간보다 상류측의 상기 배출 유로보다 단면적이 커져 있고, 상기 배출 유로는, 상기 감속 공간에 공기가 유입되는 유출구의 축방향과, 상기 감속 공간과 상기 정화 부재 수용 공간을 연통하는 연통부의 축방향이, 비동일축이 되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발명에 의하면, 수용 용기 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므로, 공기의 가열에 필요로 하는 에너지를 저감할 수 있다. 게다가, 순환 유로를 흐르는 공기의 일부를 배출부에서 외부로 배출하는 것에 의해서, 수용 용기의 수용 공간 내의 압력을 감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가열 공기 공급부를 수용 용기에 대해서 탈착 가능하게 설치해도, 피처리물의 악취 등이 외부로 새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순환부의 공급구로부터 내뿜어지는 기류에 의해서, 흡인부의 흡인 유로 내를 통하여 수용 공간으로 향하는 외기의 흐름을 증속(增速)할 수 있다. 그러면, 기류 형성 수단을 소형화할 수 있으므로, 장치의 소음도 저감할 수 있다. 게다가 기류 형성 수단을 소형화할 수 있으면, 가열 공기 공급부를 포함한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게다가, 가열 공기 공급부를 수용 용기에 대해서 탈착 가능하게 마련하고 있으므로, 양자를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다. 그러면, 가열 공기 공급부와 수용 용기가 일체화하고 있는 경우에 비해, 장치를 수납하는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경량화도 할 수 있으므로, 취급성을 향상할 수 있다.
제2 발명에 의하면, 흡인부의 흡인 유로 내를 통하여 수용 공간으로 향하는 외기의 흐름을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외기 도입의 효율을 좋게 할 수 있고, 건조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제3 발명에 의하면, 확산 플레이트에 의해서, 가열된 공기를 수용 용기의 수용 공간의 전체에 공급할 수 있으므로, 피처리물의 건조 상태의 편차를 억제할 수 있고, 건조 효율도 향상시킬 수 있다.
제4 발명에 의하면, 정화 부재 수용 공간에 유입되는 공기의 유속을 늦게 할 수 있으므로, 정화 부재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되어 있는 정화 부재 전체에 공기를 통하게 할 수 있다. 그러면, 정화 부재를 공기의 정화에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으므로, 정화 부재에 의한 소취(消臭) 등의 효율을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정화 부재 수용 공간 전체에 대해서 균등하게 공기를 통하게 할 수 있으므로, 정화 부재 수용 공간의 데드 스페이스 등이 줄어 들고, 단순하게 공기를 통하게 하는 것보다도 정화 부재의 장기 수명화가 가능하다.
제5 발명에 의하면, 피처리물의 건조 상태를 검출하여 장치의 작동을 정지하므로, 전기료를 절약할 수 있고, 효율적으로 피처리물을 건조할 수 있다. 게다가, 피처리물의 온도를 직접 측정하지 않기 때문에, 장치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제6 발명에 의하면, 공급구로부터 공급되는 가열 공기가 피처리물에 충분히 접촉하지 않는 상태로 순환되는 것을 막을 수 있으므로, 가열 공기에 의한 피처리물의 건조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제7 발명에 의하면, 내장 케이스의 주변부에 위치하는 피처리물에 가열 공기를 공급하기 쉬워지므로, 피처리물의 건조 상태의 편차를 억제할 수 있고, 건조 효율도 향상시킬 수 있다.
제8 발명에 의하면, 적층된 피처리물의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기 쉬워지므로, 피처리물의 건조를 촉진할 수 있고, 건조 얼룩이나 불충분한 건조가 생기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제9 발명에 의하면, 가열 공기 공급부를 바닥 등에 두었을 경우, 가열 공기 공급부는 기울게 되므로, 이 경사를 기울기 검출부가 검출하면, 제어부에 의해서 가열 수단 및/또는 기류 형성 수단의 작동이 정지된다. 따라서, 감용 건조 작업이 끝난 후에, 가열 수단 및/또는 기류 형성 수단의 정지를 잊어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0 발명에 의하면, 가열 공기 공급부를 바닥 등에 두었을 경우에 있어서의 안정성을 높게 할 수 있다.
제11 발명에 의하면, 정화 부재 수용 공간에 유입되는 공기의 유속을 늦게 할 수 있으므로, 정화 부재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되어 있는 정화 부재 전체에 공기를 통하게 할 수 있다. 그러면, 정화 부재를 공기의 정화에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으므로, 정화 부재에 의한 소취 등의 효율을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정화 부재 수용 공간 전체에 대해서 균등하게 공기를 통하게 할 수 있으므로, 정화 부재 수용 공간의 데드 스페이스 등이 줄어 들고, 단순하게 공기를 통하게 하는 것보다 정화 부재의 장기 수명화가 가능하다.
제12 발명에 의하면, 삽입부의 하단 가장자리는 경사져 있으므로, 그 선단 부분을 수용 용기 내에 넣으면, 가열 공기 공급부를 수용 용기에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가열 공기 공급부를 수용 용기에 장착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게다가, 가열 공기 공급부를 수용 용기에 장착했을 때에, 삽입부 내에 내장 케이스의 상단을 수용할 수 있으므로, 내장 케이스를 소정의 위치에 맞출 수 있다.
제13 발명에 의하면, 피처리물을 넣은 용기의 개구에 장치를 설치하면, 용기 내의 피처리물을 가열 공기에 의해서 건조할 수 있다. 게다가, 전용의 용기를 마련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피처리물을 전용의 용기로 옮기거나 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피처리물의 가열 건조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장치가 컴팩트하게 되므로, 장치를 수납하는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다.
제14 발명에 의하면, 순환부의 공급구로부터 내뿜어지는 기류에 의해서, 흡인부의 흡인 유로 내를 통하여 수용 공간으로 향하는 외기의 흐름을 증속할 수 있다. 그러면, 기류 형성 수단을 소형화할 수 있으므로, 장치의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제15 발명에 의하면, 정화 부재 수용 공간에 유입되는 공기의 유속을 늦게 할 수 있으므로, 정화 부재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되어 있는 정화 부재 전체에 공기를 통하게 할 수 있다. 그러면, 정화 부재를 공기의 정화에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으므로, 정화 부재에 의한 소취 등의 효율을 좋게 할 수 있다.
도 1의 (A)는 본 실시형태의 감량·감용 처리 장치(1)의 개략 외관 사시도이며, (B)는 본 실시형태의 감량·감용 처리 장치(1)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 단면을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이며, 순환 유로(21)의 커버(c1, c2)에 대하여 외관을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II선 단면을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이다.
도 4는 도 1의 IV-IV선 단면을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이다.
도 5는 도 1의 V-V선 단면을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이다.
도 6(A)는 도 3의 VIA-VIA선 단면을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이며, (B)는 도 2의 VIB-VIB선 단면을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이다.
도 7(A)는 도 2의 VIIA-VIIA선 단면을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이며, (B)는 도 2의 VIIB-VIIB선 단면을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이다.
도 8은 공기 유입구(11h)에 확산 플레이트(21p)를 마련한 본 실시형태의 감량·감용 처리 장치(1)의 개략 설명도이다.
도 9는 가열 공기 공급부(10)와 수용 부재(2)를 분리한 상태의 개략 설명도이다.
도 10은 가열 공기 공급부(10)만으로 이루어지는 감량·감용 처리 장치의 단체도(單體圖)이며, (A)는 측면도이며, (B)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실시형태의 감량·감용 처리 장치(1B)의 개략 외관 사시도이다.
도 12(A)는 본 실시형태의 감량·감용 처리 장치(1B)의 개략 평면도이며, (B)는 가열 공기 공급부(60)의 단체 개략 바닥면도이다.
도 13은 도 12(A)의 XIII-XIII선 단면을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이다.
도 14(A)는 도 13의 XIVA-XIVA선 단면을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이며, (B)는 도 13의 XIVB-XIVB선 단면을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이다.
도 15는 도 12(A)의 XV-XV선 단면을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이다.
도 16(A)는 가열 공기 공급부(60)의 단체 개략 측면도이며, (B)는 가열 공기 공급부(60)의 단체 개략 정면도이다.
도 17은 가열 공기 공급부(60)의 단체 개략 종단면도이다.
도 18은 가열 공기 공급부(60)를 바닥에 두는 상태의 설명도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감량·감용 처리 장치는, 피처리물을 감량·감용하기 위한 장치로서, 가열한 공기를 피처리물에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서 피처리물을 감량·감용하는 것이며,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고 소음 등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한 것에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감량·감용 처리 장치에 의해서 처리되는 피처리물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가정으로부터 배출되는 음식 쓰레기 등을 들 수 있지만, 이것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감량·감용 처리 장치(1)의 개략 설명)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감량·감용 처리 장치(1)는, 피처리물을 수용하는 수용 용기(2)와, 이 수용 용기(2)에 가열 공기를 공급하는 가열 공기 공급부(1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가열 공기 공급부(10)는, 수용 용기(2)에 대해서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고 있으므로(도 9 참조), 양자를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다. 그러면, 가열 공기 공급부(10)와 수용 용기(2)가 일체화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서, 본 실시형태의 감량·감용 처리 장치(1)를 수납하는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감량·감용 처리 장치(1)의 경량화도 할 수 있으므로, 취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각 부를 설명한다.
(수용 용기(2))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 용기(2)는, 상단에 개구(2s)를 가지는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부재이다. 이 수용 용기(2)는, 내부에 피처리물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2h)을 가지고 있고, 수용 공간(2h)은 개구(2s)에 의해서 외부와 연통되어 있다. 이 수용 용기(2)의 소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가열 공기 공급부(10)로부터 공급되는 가열 공기에 의해서 연화(軟化)되거나 변형되거나 하지 않는 소재로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또한, 도 2에서는, 수용 공간(2h) 내에 내장 케이스(51)가 수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내장 케이스(51)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내장 케이스(51)가 수용되어 있는 부분에 피처리물이 수용된다.
(가열 공기 공급부(10))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열 공기 공급부(10)는, 수용 용기(2)의 개구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수용 용기(2)의 개구(2s)에 장착하면, 가열 공기 공급부(10)에 의해서 개구(2s)를 막을 수 있고, 수용 공간(2h)과 외부와의 사이를 차단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수용 공간(2h)과 외부와의 사이를 차단할 수 있다」는 것은, 수용 공간(2h)과 외부와의 사이를 기밀하게 차단하고 있는 상태와, 수용 공간(2h)과 외부와의 사이에서 어느 정도의 통기성은 있지만 통기 저항이 커져 있는 상태의 양쪽 모두를 포함한 개념이다. 후자의 상태로서는, 수용 용기(2)의 개구(2s) 내면과 가열 공기 공급부(10)의 외면과의 사이에, 좁은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이 존재하는 상태를 들 수 있다.
이러한 가열 공기 공급부(10)는, 본체 케이스(11) 내에, 순환부(20)와, 배출부(30)와, 흡인부(40)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순환부(20), 배출부(30), 흡인부(40)가 효과적으로 배치되는 것에 의하여, 컴팩트한 구조로 하면서, 수용 용기(2)의 수용 공간(2h)에 대해서 가열 공기를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1이나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감량·감용 처리 장치(1)의 단면이 원형인 경우에는, 가열 공기 공급부(10)의 직경을 150 ~ 300mm 정도, 높이를 100 ~ 200mm로 하고, 가열 공기 공급부(10)를 수용 용기(2)에 장착한 높이가 200 ~ 400mm 정도가 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감량·감용 처리 장치(1)가 상술한 바와 같은 크기이면, 5리터 정도까지의 피처리물을 처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본 실시형태의 감량·감용 처리 장치(1)는, 동일한 정도의 양의 피처리물을 처리하는 종래의 장치에 비해서, 1/2 ~ 2/3 정도의 크기로 할 수 있다.
(순환부(20))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순환부(20)는, 수용 용기(2)의 수용 공간(2h) 내의 공기를 순환하기 위한 순환 유로(21)를 가지고 있다. 이 순환 유로(21) 내에는, 순환 유로(21) 내에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기류 형성 수단(22)과, 순환 유로(21) 내를 흐르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 수단(23)이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기류 형성 수단(22)을 작동하면, 수용 용기(2)의 수용 공간(2h) 내의 공기가 순환 유로(21) 내에 흡인된다. 흡인된 공기는, 순환 유로(21) 내를 흐르는 동안에 가열 수단(23)에 의해서 가열되어서 가열 공기가 된다. 그리고, 가열 공기는, 순환 유로(21)로부터 다시 수용 용기(2)의 수용 공간(2h) 내에 되돌려지므로, 이 가열 공기에 의해서 수용 공간(2h) 내의 피처리물을 가열하여 건조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도 3 및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열 공기 공급부(10)의 본체 케이스(11)에 있어서 수용 용기(2)의 내측 바닥면과 대향하는 면(이하, 본체 케이스(11)의 바닥면(11b)을 말한다)에는, 공기 유입구(11h)와, 배출구(21g)가 형성되어 있다. 즉, 본체 케이스(11)의 바닥면(11b)에, 공기 유입구(11h)와, 배출구(21g)가 형성되어 있다.
공기 유입구(11h)는, 가열 공기를 수용 용기(2)의 수용 공간(2h) 내에 공급하는 개구이며, 본체 케이스(11)의 바닥면(11b)의 거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도 6(A) 참조). 순환 유로(21)는, 이 공기 유입구(11h)로부터 본체 케이스(11)의 외면을 향하여 연장된 통 형상 프레임(21f)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통 형상 프레임(21f)은, 공기 유입구(11h)를 둘러싸도록, 그 하단이 본체 케이스(11)의 바닥판(11p)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통 형상 프레임(21f)의 내부의 공간을, 가열 공기를 수용 용기(2)의 수용 공간(2h) 내에 공급하는 순환 유로(21)의 공급 유로(21a)라고 말하는 경우도 있다.
이 통 형상 프레임(21f) 내(즉, 공급 유로(21a) 내)에는, 본체 케이스(11)의 외면측으로부터 바닥면(11b)측을 향하여, 기류 형성 수단(22)과 가열 수단(23)이, 이 순서로 나열되어 있다.
기류 형성 수단(22)은, 본체 케이스(11)의 외면측으로부터 바닥면(11b)측으로 향하는 기류(즉, 수용 용기(2)의 수용 공간(2h)으로 향하는 기류)를 형성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기류 형성 수단(22)에는, 일반적인 팬이나 블로어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상기와 같은 기류를 형성할 수 있는 장치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 기류 형성 수단(22)은, 도시하지 않는 제어부(가열 공기 공급부(10)에 내장되어 있다)에 의해서 작동이 제어되고 있다.
또한, 가열 수단(23)은, 기류 형성 수단(22)으로 형성된 기류를 가열하는 것이다. 가열 수단(23)에는, 일반적인 전기 히터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상기 기류를 가열할 수 있는 것이면 좋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가열 수단(23)은, 도시하지 않는 제어부의 가열 제어부에 의해서 작동이 제어되고 있다.
한편, 배출구(21g)는, 수용 용기(2)의 수용 공간(2h) 내의 공기를 순환 유로(21) 내에 흡인하는 개구이다. 다시 말하자면, 수용 용기(2)의 수용 공간(2h) 내의 공기를 순환 유로(21)로 배출하는 개구이다. 이 배출구(21g)는, 가열 공기 공급부(10)의 주변부를 따라서 나열된 복수의 관통 구멍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배출구(21g)의 복수의 관통 구멍은, 상술한 공급구(21a)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다(도 6(A) 참조).
순환 유로(21)는, 배출구(21g)의 복수의 관통 구멍과 통 형상 프레임(21f) 내부와의 사이를 연통하는 리턴 유로(21b)를 구비하고 있다. 이 리턴 유로(21b)는, 피복부(21c)와 통기부(21d)를 구비하고 있다. 피복부(21c)는, 배출구(21g)의 복수의 관통 구멍을 덮도록 마련된 커버 부재(c1)와 본체 케이스(11)의 바닥판(11p)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통기부(21d)는, 피복부(21c)와, 통 형상 프레임(21f) 내부에 있어서의 기류 형성 수단(22)으로부터 본체부(11)의 외면측의 공간(상부 공간)과의 사이를 연통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 통기부(21d)는, 통 형상 프레임(21f)의 외면과, 이 외면을 덮도록 마련된 커버 부재(c2)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이 커버 부재(c2)는, 통 형상 프레임(21f)의 상단까지 덮도록 마련되어 있다. 즉, 순환 유로(21)는, 리턴 유로(21b) 내에 통 형상 프레임(21f)이 수용된 상태가 되도록 마련되어 있다(도 3 참조).
(배출부(30))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열 공기 공급부(10)는, 배출부(30)를 구비하고 있다. 이 배출부(30)는, 통 형상 프레임(21f) 내와 외부와의 사이를 연통하는 배출 유로(31)를 구비하고 있다. 이 배출 유로(31)는, 통 형상 프레임(21f) 내에 있어서의 기류 형성 수단(22)으로부터 수용 용기(2)의 수용 공간(2h)측의 공간(하부 공간)과 외부와의 사이를 연통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통 형상 프레임(21f)에 있어서, 수용 용기(2)의 수용 공간(2h)으로 향하는 기류의 일부를, 배출부(30)의 배출 유로(3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배출부(30)의 배출 유로(31)는, 통기부(21d)의 커버 부재(c2)의 외면과 본체 케이스(11)의 내면과의 사이에, 커버 부재(c2)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정화 부재(35)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정화 부재(35)를 통하여 공기가 배출되게 되어 있다.
(흡인부(40))
그리고, 도 2 및 도 4,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열 공기 공급부(10)는, 흡인부(40)를 구비하고 있다. 이 흡인부(40)는, 배출부(30)에 의해서 외부로 배출된 공기를 보충하기 위해서 마련되어 있다. 이 흡인부(40)는, 외부와 통 형상 프레임(21f) 내부와의 사이를 연통하는 흡인 유로(41)를 구비하고 있다. 이 흡인 유로(41)는, 가열 공기 공급부(10)의 외면에 마련된 흡인구(41a)와, 통 형상 프레임(21f)의 상부 공간과의 사이를 연통하는 통상(通常) 유로(42)와, 흡인구(41a)와 통 형상 프레임(21f)의 하부 공간과의 사이를 연통하는 가속 유로(43)를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통기부(21d)의 커버 부재(c2)의 상부에는, 커버 부재(c2)의 상단을 덮는 덮개 부재(44)가 마련되어 있고, 이 덮개 부재(44)에 의해서 커버 부재(c2)의 상단이 덮여 있다. 이 덮개 부재(44)의 측면에는, 외기를 도입하는 흡인구(41a)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커버 부재(c2)의 상단의 중앙부에는, 그 상단과 덮개 부재(44)와의 사이의 공간(유입 공간(41h))과 커버 부재(c2) 내부의 공간(통 형상 프레임(21f)의 상부 공간)을 연통하는 유로, 즉, 통상 유로(4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통상 유로(42)는 단순한 관통 구멍으로 형성해도 좋고, 통 형상 부재에 의해서 형성해도 좋다.
또한, 커버 부재(c2)의 상단의 주변부에는, 통상 유로(42)와는 별도로, 한 쌍의 관통 구멍(g, g)이 마련되어 있다(도 4, 도 7(B) 참조). 이 한 쌍의 관통 구멍(g, g)은, 한 쌍의 접속 유로(43b, 43b)를 통하여, 통 형상 프레임(21f)의 하부 공간에 각각 연통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커버 부재(c2)의 내부에는, 배출구(21g)를 통하여 수용 용기(2)의 수용 공간(2h)으로부터 흡인된 공기가 흐르는 유로(리턴 유로(21b)의 통기부(21d))와 분리된 한 쌍의 접속 유로(43b, 43b)가 마련되어 있다. 이 한 쌍의 접속 유로(43b, 43b)가, 통 형상 프레임(21f)을 그 사이에 두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통 형상 프레임(21f)에는, 한 쌍의 접속 유로(43b, 43b)와 통 형상 프레임(21f)의 하부 공간을 연통하는 관통 구멍(h)이 복수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 접속 유로(43b)에, 각각 2개소의 관통 구멍(h)이 마련되어 있다.
이 복수의 관통 구멍(h)이 마련된 위치에는, 통 형상 프레임(21f)의 하부 공간 내를, 복수의 관통 구멍(h) 근방의 공간과 다른 공간으로 분리하는 분리벽(43w)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즉, 통 형상 프레임(21f)의 하부 공간 내에, 분리벽(43w)과 통 형상 프레임(21f) 내면에 의해서 둘러싸인 복수의 유출 통로(43c)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각 분리벽(43w)은, 그 하단이 통 형상 프레임(21f)의 하단 근방까지 연장되어 있다. 즉, 한 쌍의 관통 구멍(g, g), 한 쌍의 접속 유로(43b, 43b), 복수의 관통 구멍(h), 및 복수의 유출 통로(43c)에 의해서, 가속 유로(4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속 유로(43)에 있어서의 하단 개구(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말하는 유입구에 상당한다)는, 공기 유입구(11h)의 중심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다. 다시 말하자면, 가열 수단(23)의 위치를 통과하여 공기 유입구(11h)를 통하여 가열 기체를 수용 용기(2)의 수용 공간(2h) 내에 공급하는 유로(통 형상 프레임(21f))의 개구(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말하는 공급구에 상당한다)의 주위 및 근방에, 유출 통로(43c)의 하단 개구(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말하는 유입구에 상당한다)가 배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므로, 가열 공기 공급부(10)의 기류 형성 수단(22)을 작동하면, 통 형상 프레임(21f)으로부터 수용 용기(2)의 수용 공간(2h)으로 향하는 기류를 발생시킬 수 있고, 그 기류를 가열 수단(23)에 의해서 가열하고 나서 수용 용기(2)의 수용 공간(2h)에 공급할 수 있다.
한편, 기류 형성 수단(22)의 작동에 의해, 통 형상 프레임(21f)의 상부 공간은 기압이 낮은 상태가 된다. 그러면, 리턴 유로(21b) 내에는, 배출구(21g)로부터 통 형상 프레임(21f)의 상부 공간으로 향하는 흐름이 형성된다. 즉, 수용 용기(2)의 수용 공간(2h) 내의 공기가 통 형상 프레임(21f)의 상부 공간에 흡인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기류 형성 수단(22)을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수용 용기(2)의 수용 공간(2h) 내의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그러면, 수용 용기(2)의 수용 공간(2h) 내의 공기, 즉, 가열 공기를 순환시키므로, 공기의 가열에 필요로 하는 에너지를 저감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와 같이 공기 유입구(11h)와 배출구(21g)를 마련하면, 수용 용기(2)의 수용 공간(2h) 내에 있어서의 공기의 흐름을, 수용 용기(2)의 수용 공간(2h)의 중심축에 대해서 축대칭의 흐름으로 근사시킬 수 있다. 그러면, 수용 용기(2)의 수용 공간(2h) 내의 피처리물에 대해서 거의 균일하게 가열 공기를 접촉시킬 수 있으므로, 피처리물의 건조 상태의 편차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순환 유로(21)를 순환하는 일부의 가열 공기는 배출부(30)에 의해서 배출되므로, 수용 용기(2)의 수용 공간(2h) 내의 압력을 감압할 수 있다. 따라서, 가열 공기 공급부(10)를 수용 용기에 대해서 탈착 가능하게 마련해도, 피처리물의 악취 등이 외부로 새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순환 유로(21)를 순환하는 일부의 가열 공기는 배출부(30)에 의해서 배출되는 한편, 흡인부(40)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외기가 도입된다. 그러면, 가열 공기를 순환시키면서, 피처리물과 접촉하여 습도가 높아진 기체를 습도가 낮은 외기와 교체할 수 있으므로, 건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게다가, 흡인부(40)에 의해서 흡인되는 외기는, 순환부(20)의 기류 형성 수단(22)에 의해서 생성되는 부압에 의해서 외부로부터 흡인된다. 그러면, 흡인부(40)에 외기를 도입하기 위한 특별한 팬 등을 마련하지 않아도 좋기 때문에,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고 에너지 절약을 할 수 있다.
여기서, 기류 형성 수단(22)만으로, 순환 유로(21)를 흐르는 기류의 형성과 흡인부(40)의 흡인 유로(41)를 통한 외기의 도입을 실시하는 경우, 기류 형성 수단(22)을 대형화해야 하는 경우도 생긴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의 감량·감용 처리 장치(1)에서는, 흡인부(40)로서 통상 유로(42)에 더하여, 상기와 같이 배치된 가속 유로(43)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기류 형성 수단(22)을 대형화하지 않아도, 외기를 효율적으로 도입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속 유로(43)는, 그 유입구가 순환 유로(21)의 통 형상 프레임(21f)의 공급구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통 형상 프레임(21f)의 공급구로부터 수용 용기(2)의 수용 공간(2h) 내를 향하여 가열 공기가 흐르면, 그 가열 공기의 흐름에 기인하여, 가속 유로(43)의 유출 통로(43c)의 하단 개구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외기)를 증속할 수 있다. 또한, 기류 형성 수단(22)의 능력에 비해서, 순환 유로(21)로부터 수용 용기(2)의 수용 공간(2h)에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많게 할 수 있으므로, 기류 형성 수단(22)을 소형화할 수 있다. 그리고, 기류 형성 수단(22)이 소형화되면 기류 형성 수단(22)이 발생시키는 소리나 진동도 저감할 수 있으므로, 본 실시형태의 감량·감용 처리 장치(1)의 소음도 저감할 수 있다.
게다가, 가속 유로(43)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서, 습도가 낮은 외기를, 가열 공기와의 접촉이 적은 상태로 피처리물에 접촉시킬 수 있다. 그러면, 가열 공기만을 피처리물에 접촉시키는 경우에 비해서, 피처리물의 건조를 촉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감량·감용 처리 장치(1)에서는, 순환부(20)의 순환 유로(21)에 의해서 가열 공기를 순환시키고 있으므로, 기류 형성 수단(22)은 고온의 공기에 노출된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그러나, 통상 유로(42)를 통하여 외기를 통 형상 프레임(21f) 내에 공급하는 것으로, 기류 형성 수단(22)을 비교적 낮은 온도의 공기(외기)에도 접촉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고온의 공기에 노출된 상태로 작동하는 것에 의한 기류 형성 수단(22)의 손상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가속 유로(43)의 유입구를 배치하는 위치는, 상기와 같이, 순환 유로(21)의 통 형상 프레임(21f)의 공급구를 둘러싸도록 마련하지 않아도 좋다. 상기 기능(외기를 증속하는 기능)이 발휘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면 좋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배치하면, 피처리물에 접촉하는 외기의 편차를 억제할 수 있으므로, 피처리물의 건조 상태의 편차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가속 유로(43)의 유입구는, 순환 유로(21)의 통 형상 프레임(21f)의 공급구의 주위 전체를 둘러싸도록 배치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상기 기능(외기를 증속하는 기능)을 보다 효과적으로 발휘시킬 수 있으므로, 외기 도입의 효율을 좋게 할 수 있고, 건조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배출부(30)에 대해서)
배출부(30)는, 가열 공기를 그대로 배출해도 좋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정화 부재(35)를 통과하고 나서, 외부로 배출하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피처리물을 장치에 의해서 처리하고 있을 때, 장치의 주변의 환경이 악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정화 부재(35)로서는, 예를 들면, 공지의 탈취제나, 공기에 포함되는 유해한 성분을 제거하는 필터나 활성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배출부(30)의 배출 유로(31)에, 이하와 같은 정화 부재 수용 공간(34)을 마련하여, 그 정화 부재 수용 공간(34)에 정화 부재(35)를 배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으로 하면, 배출하는 공기를 단순하게 정화 부재(35)로 통하게 하는 것만의 경우와 비교해서, 정화 부재(35)를 공기의 정화에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그러면, 정화 부재(35)에 의한 소취 등의 효율을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정화 부재 수용 공간(34) 전체에 대해서 균등하게 공기를 통하게 할 수 있으므로, 정화 부재 수용 공간(34)의 데드 스페이스 등이 줄어 들고, 단순하게 공기를 통하게 하는 것보다 정화 부재(35)의 장기 수명화가 가능하다.
이하, 배출부(30)의 배출 유로(31)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케이스(11)에는, 배출 유로(31)가 마련되어 있다. 이 배출 유로(31)는, 통 형상 프레임(21f)의 주위에 마련된, 순환 유로(21)의 커버 부재(c1, c2)와 본체 케이스(11)의 측면과 상부 커버(12)에 의해서 둘러싸인 공간과 한 쌍의 연통 유로(32, 32)로 형성되어 있다(도 3 참조).
상술한 통 형상 프레임(21f)의 주위의 공간은, 한 쌍의 분리 플레이트(31a, 31a)와 복수의 분리 플레이트(31b)에 의해서, 배출 유로(31)의 정화 부재(35)를 수용하는 한 쌍의 정화 부재 수용 공간(34, 34)과, 한 쌍의 감속 공간(33, 33)으로 분리되어 있다.
한 쌍의 분리 플레이트(31a, 31a)는, 순환 유로(21)의 커버 부재(c2)와, 본체 케이스(11)의 측면과의 사이를 연결하도록, 본체 케이스(11)의 바닥판(11p)과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분리 플레이트(31a, 31a)는, 양 분리 플레이트(31a)에 있어서의 통 형상 프레임(21f)의 둘레방향의 서로 대향하는 단부 사이에 공간이 생기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분리 플레이트(31a, 31a)에 있어서의 통 형상 프레임(21f)의 둘레방향의 양단과 상부 커버(12)와의 사이에는, 분리 플레이트(31b)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즉, 분리 플레이트(31a)와 한 쌍의 분리 플레이트(31b, 31b)와, 순환 유로(21)의 커버 부재(c2)와, 본체 케이스(11)의 측면에 의해서 둘러싸인 상자 형상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 한 쌍의 상자 형상의 공간이, 한 쌍의 정화 부재 수용 공간(34, 34)으로 되어 있다. 즉, 순환 유로(21)의 커버 부재(c2)의 주위에는, 한 쌍의 정화 부재 수용 공간(34, 34)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정화 부재 수용 공간(34)을 구성하는 벽면 중, 한 쌍의 분리 플레이트(31b, 31b), 순환 유로(21)의 커버 부재(c2), 및 본체 케이스(11)의 측면은 통기성을 가지지 않는다. 한편, 상부 커버(12)에 있어서 각 정화 부재 수용 공간(34)을 형성하는 부분, 및, 분리 플레이트(31a)는, 통기성을 가지게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상부 커버(12)의 상기 부분이나 분리 플레이트(31a)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거나 메쉬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하고 있다. 즉, 각 정화 부재 수용 공간(34)은, 분리 플레이트(31a)로부터 상부 커버(12)로 향하는 방향에는, 공기가 흐를 수 있게 되어 있다.
한편, 통 형상 프레임(21f)의 주위의 상기 공간 중, 정화 부재 수용 공간(34)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 이외는, 감속 공간(33)으로 되어 있다. 이 감속 공간(33)은, 한 쌍의 상류측 공간(33a, 33a)과 한 쌍의 하류측 공간(33b, 33b)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한 쌍의 상류측 공간(33a, 33a)은, 다른 정화 부재 수용 공간(34)의 서로 대향하는 분리 플레이트(31b, 31b)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하류측 공간(33b, 33b)은, 분리 플레이트(31a)의 하방에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감속 공간(33)에 있어서의 한 쌍의 공간(33a, 33a)은, 한 쌍의 연통 유로(32, 32)에 의해서 통 형상 프레임(21f)의 하부 공간과 연통되어 있다. 이 한 쌍의 연통 유로(32, 32)는, 모두, 통 형상 프레임(21f)의 하부 공간측의 일단의 개구가 상기 기류 형성 수단(23)으로 향한 상태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연통 유로(32, 32)의 타단은, 모두, 그 개구가 본체 케이스(11)의 측면으로 향한 상태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배출 유로(31)가 이상과 같은 구성이므로, 기류 형성 수단(23)에 의해서 형성된 기류의 일부는, 한 쌍의 연통 유로(32, 32)를 통하여 감속 공간(33)에 있어서의 한 쌍의 공간(33a, 33a)에 유입된다. 한 쌍의 공간(33a, 33a)에 들어간 공기는, 한 쌍의 공간(33a, 33a)으로부터, 한 쌍의 하류측 공간(33b, 33b), 한 쌍의 정화 부재 수용 공간(34, 34)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즉, 한 쌍의 정화 부재 수용 공간(34, 34) 내의 정화 부재(35)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게다가, 한 쌍의 공간(33a, 33a)의 단면적이 한 쌍의 연통 유로(32, 32)의 단면적보다 매우 크고, 또한, 한 쌍의 공간(33a, 33a)과 한 쌍의 하류측 공간(33b, 33b)을 포함한 감속 공간(33)의 용적이 크다. 이 때문에, 한 쌍의 공간(33a, 33a)에 유입된 기류는, 한 쌍의 공간(33a, 33a)에 들어가면 감속된다. 그러면, 감속 공간(33)(즉, 한 쌍의 하류측 공간(33b, 33b))으로부터 한 쌍의 정화 부재 수용 공간(34, 34)에 공기가 유입되는 속도도 늦어지므로, 정화 부재 수용 공간(34) 내에 수용되어 있는 정화 부재(35) 전체에 공기를 통하게 할 수 있다. 즉, 유입 속도가 빠른 경우와 같은, 정화 부재(35)의 일부로 공기가 빠져 나가버리는 상태가 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그러면, 정화 부재(35)를 공기의 정화에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으므로, 정화 부재(35)에 의한 소취 등의 효율을 좋게 할 수 있다. 게다가, 정화 부재 수용 공간(34) 전체에 대해서 균등하게 공기를 통하게 할 수 있으므로, 정화 부재 수용 공간(34)의 데드 스페이스(공기가 통하지 않는 영역) 등이 줄어 들고, 단순하게 정화 부재(35)에 공기를 통하게 하는 것보다도 정화 부재(35)의 장기 수명화가 가능하다.
특히, 한 쌍의 연통 유로(32, 32)의 타단 개구의 방향(개구의 축방향)과, 감속 공간(33)으로부터 정화 부재 수용 공간(34)에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즉,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말하는 정화 부재 수용 공간을 연통하는 연통부의 축방향)이 다른 방향을 향하고 있다. 즉, 한 쌍의 연통 유로(32, 32)의 타단 개구의 축방향과 감속 공간(33)으로부터 정화 부재 수용 공간(34)에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 방향이 비동일축이 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그러면, 한 쌍의 연통 유로(32, 32)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정화 부재 수용 공간(34)에 직접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으므로, 정화 부재(35)의 일부로 공기가 빠져 나가버리는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하기 쉬워진다.
또한, 감속 공간(33)이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한 쌍의 연통 유로(32, 32)의 타단 개구의 축방향이, 본체 케이스(11)의 측면으로 향한 상태 그리고 경사의 상방이 되도록 배치하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배치로 하면, 한 쌍의 공간(33a, 33a)에 유입된 공기는, 흐르는 기세가 있어도, 한 쌍의 공간(33a, 33a)의 상부로 흐른다. 즉, 한 쌍의 연통 유로(32, 32)로부터, 한 쌍의 정화 부재 수용 공간(34, 34)은 물론, 한 쌍의 하류측 공간(33b, 33b)에도 직접 유입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한 쌍의 정화 부재 수용 공간(34, 34)에 유입되는 공기의 유속을 확실히 늦게 할 수 있다.
상기 예에서는, 정화 부재 수용 공간(34)을 한 쌍 마련하는 경우를 설명했다. 그러나, 정화 부재 수용 공간(34)은 하나라도 좋고, 3개 이상 마련해도 좋다.
또한, 도 1 ~ 도 5에서는, 상부 커버(12)의 상면에 피복 커버(13)가 마련되어 있지만, 이 피복 커버(13)는 마련하지 않아도 좋다. 피복 커버(13)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정화 부재 수용 공간(34) 내의 정화 부재(35)와 공기의 접촉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제어부에 대해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감량·감용 처리 장치(1)는,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어부는, 장치에 마련된 조작 버튼 등에 의한 입력에 기초하여, 감량·감용 처리 장치(1)의 작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전원의 ON-OFF에 대응하여, 기류 형성 수단(22)이나 가열 수단(23)의 작동을 제어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타이머에 의한 입력이 있었을 경우에는, 소정의 시간만큼, 기류 형성 수단(22)이나 가열 수단(23)을 작동시키거나, 소정의 시간으로부터 기류 형성 수단(22)이나 가열 수단(23)을 작동시켜서 피처리물의 건조 처리를 개시하거나 하는 등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특히, 제어부는, 피처리물의 건조 상태가 소정 상태가 되면, 장치의 작동, 즉, 기류 형성 수단(22)이나 가열 수단(23)의 작동을 정지하는 기능(즉, 가열 제어부)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가열 제어부가 피처리물의 건조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피처리물에 접촉하는 센서를 마련하여, 직접, 피처리물의 건조 상태를 판단해도 좋다. 또한, 수용 용기(2)의 수용 공간(2h) 내의 공기의 습도 및/또는 온도나, 순환 유로(21)를 흐르는 가열 공기의 습도 및/또는 온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치로부터 피처리물의 건조 상태를 판단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가열 제어부에 의해서, 가열 수단(23)의 작동을 ON-OFF 제어하여, 가열 공기를 소정의 온도로 유지하면서 피처리물을 건조하는 경우에는, 피처리물의 온도를 직접 측정하지 않고, 피처리물의 건조 상태를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열전대 등을 기류 형성 수단(22)의 상류측(즉, 통 형상 프레임(21f) 내부의 상부 공간)에 마련해 두면, 공기의 온도에 따라서, 가열 제어부는 가열 수단(23)의 작동을 ON-OFF 한다. 예를 들면, 공기의 온도가 일정 온도를 초과하면 가열 제어부는 가열 수단(23)을 OFF로 하고, 공기의 온도가 일정 온도를 하회하면 가열 제어부는 가열 수단(23)을 ON으로 한다. 이 경우, 가열 수단(23)의 ON-OFF 주기를 파악하면, 피처리물의 온도를 직접 측정하지 않고, 피처리물의 온도(즉, 건조 상태)를 대략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즉, 온도를 측정하는 특별한 센서를 마련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장치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가열 수단(23)의 ON-OFF 주기만으로 건조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것은, 이하의 이유에 의한다. 우선, 피처리물이 수분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는, 수분을 증발시키기 위해서 공기의 열이 빼앗긴다. 즉, 피처리물에 기화열을 공급한 것에 의해, 수용 공간(2h)으로부터 돌아온 공기는 온도가 저하되어 있고, ON의 시간이 길어진다. 한편, 피처리물의 건조가 진행됨에 따라서, 피처리물에 공급하는 기화열이 감소하므로, 수용 공간(2h)으로부터 돌아온 공기의 온도 저하가 적다. 따라서, 가열 수단(23)의 ON-OFF 주기가 짧아진다. 그리고, 일정 이상 피처리물이 건조되면, 기화열을 공급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ON-OFF 주기가 거의 일정하게 된다. 따라서, 가열 수단(23)의 ON-OFF 주기가 짧아지고, 거의 일정한 주기로 ON-OFF하게 되었을 때에 장치의 작동을 정지한다. 그러면, 피처리물이 적절히 건조된 상태로, 장치의 작동을 정지할 수 있고, 필요 이상으로 장치가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전기료를 절약할 수 있어 에너지 절약을 할 수 있다.
상술한 제어부의 가열 제어부에는, 예를 들면, 바이메탈식 서모스탯이나 습도 센서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물론 이것들로 한정되지 않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확산 플레이트)
또한, 가열 공기 공급부(10)의 중심에 공기 유입구(11h)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 수용 용기(2)의 수용 공간(2h) 내에 수용된 피처리물 중, 중앙부에 위치하는 피처리물에는 가열 기체를 공급하기 쉽다. 그러나, 수용 용기(2)의 수용 공간(2h) 내의 주변부에 위치하는 피처리물에 대해서는, 가열 공기를 접촉시키기 어렵다. 여기서, 수용 용기(2)의 수용 공간(2h) 내에 수용된 피처리물 전체에 균일하게 가열 공기를 접촉시키는데 있어서는, 가열 공기의 흐름을 확산시키는 확산 플레이트를 공기 유입구(11h)에 마련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재를 격자 형상으로 조합하여 형성한 확산 부재(21p)를 공기 유입구(11h)에 마련한다. 그리고, 확산 부재(21p)의 개구가 가열 수단(23)보다 수용 용기(2)의 수용 공간(2h)측의 개구의 쪽이 커지도록 형성한다. 즉, 확산 부재(21p)의 판재 사이에 형성되는 유로가, 수용 용기(2)의 수용 공간(2h)을 향함에 따라서 단면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한다. 그러면, 가열 공기의 흐름을 어느 정도 정류하면서, 그 흐름이 확산되는(퍼지도록 한다) 것이 가능하다. 그러면, 수용 용기(2)의 수용 공간(2h)의 전체에 가열된 공기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피처리물의 건조 상태의 편차를 억제할 수 있고, 건조 효율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확산 부재(21p)의 구성은, 상기와 같은 가열 공기의 흐름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면 좋고, 상기와 같은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한쪽의 면으로부터 다른쪽의 면을 향하여 단면이 넓어지도록 형성된 관통 구멍을 가지는 다공 플레이트 등을 확산 부재(21p)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내장 케이스(51))
상술한 바와 같이, 수용 용기(2)에 그대로 피처리물을 넣어서 가열 건조해도 좋다. 이 경우에서도, 본 실시형태의 감량·감용 처리 장치(1)에서는, 가열 공기 공급부(10)를 수용 용기(2)로부터 탈거할 수 있으므로, 수용 용기(2)의 청소 등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수용 용기(2) 자체를, 피처리물을 넣는 쓰레기통과 같이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수용 용기(2)는, 어느 정도의 크기를 가지므로, 싱크대의 싱크 등과 같이 스페이스가 한정되어 있는 장소에 두는 것은 어렵다. 여기서, 수용 용기(2)의 수용 공간(2h)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된 내장 케이스(51)를 마련해도 좋다. 이 경우, 싱크 등에 설치할 수 있는 크기로 내장 케이스(51)를 형성해 두면, 싱크대의 싱크 등의 폐기물을 넣은 내장 케이스(51)를 수용 용기(2)의 수용 공간(2h)에 넣는 것만으로, 폐기물의 처리를 할 수 있다. 즉, 폐기물(피처리물)을 수용 용기(2)로 옮길 필요가 없기 때문에, 폐기물의 처리가 용이하게 된다.
상기 내장 케이스(51)으로서는,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단의 개구(51s)에 의해서 외부와 연통된 중공(中空)의 공간(51h)를 내부에 가지고, 바닥부(51b)에 복수의 관통 구멍(51g)을 가지는 용기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의 내장 케이스(51)를 사용하면, 가열 공기 공급부(10)의 공기 유입구(11h)로부터 공급되는 가열 공기를, 개구(51s)로부터 공간(51h) 내부에 도입할 수 있다. 그리고, 내장 케이스(51)의 공간(51h) 내의 피처리물을 통과한 가열 공기를 바닥부(51b)의 복수의 관통 구멍(51g)으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그러면, 가열 공기를 피처리물에 효과적으로 접촉시킬 수 있으므로, 가열 공기에 의한 피처리물의 처리를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내장 케이스(51)는, 그 단면 형상이 수용 용기(2)의 수용 공간(2h)과 대략 닮은꼴이며, 그 외면과 수용 용기(2)의 수용 공간(2h) 내면과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수용 용기(2)의 수용 공간(2h) 내에 있어서의 가열 공기의 흐름을, 수용 공간(2h)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축대칭류에 근사시킬 수 있으므로, 피처리물의 처리 상태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내장 케이스(51)의 바닥부에는 다리부가 마련되어 있다. 이 다리부는, 내장 케이스(51)의 바닥부와 수용 용기(2)의 내측 바닥면과의 사이에 가열 공기를 흘리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서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내장 케이스(51)에 있어서, 바닥부가 아니라 측면에 가열 공기를 배출하는 구멍을 마련했을 경우에는, 다리부는 반드시 마련하지 않아도 좋다.
(내장 케이스(51)의 구성)
가열 공기 공급부(10)의 공기 유입구(11h)가 수용 공간(2h)의 중앙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내장 케이스(51)의 바닥부(51b)의 중심 근방에 공기가 통하기 어려운(통기 저항이 크다) 저통기부(低通氣部)를 마련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내장 케이스(51)의 바닥부(51b)에 형성하는 관통 구멍(51g)을, 바닥부(51b)의 중앙부에서는 적고(또는, 관통 구멍(51g)을 작게 하거나, 관통 구멍(51g)을 마련하지 않는다), 주변부에서 많게(또는 크게) 한다. 이 경우, 내장 케이스(51)의 개구(51s)의 위치에서, 내장 케이스(51)의 중심 근방에 공급된 가열 공기를, 바닥부(51b)를 향하여 흐르는 동안에 중심 근방으로부터 주변부로 확산되도록 흘릴 수 있다. 그러면, 내장 케이스(51)의 주변부에 위치하는 피처리물에 가열 공기를 공급하기 쉬워지므로, 피처리물의 건조 상태의 편차를 억제할 수 있고, 건조 효율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내장 케이스(51)에, 바닥부(51b)로부터 개구(51s)를 향하여 연장되는 축 형상의 부재를 마련해도 좋다. 내장 케이스(51) 내에 피처리물이 수용되어 있는 경우, 피처리물이 적층되어서 밀도가 높아지면, 가열 기체가 피처리물을 통과할 때의 저항이 커진다. 그러면, 저항이 작은 유로에만 가열 기체가 흐르고, 피처리물의 건조 상태의 편차가 커질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축 형상의 부재를 마련해 두면, 축 형상의 부재의 주변에는 간극이 형성되므로, 그 간극으로부터 가열 기체가 피처리물 내부까지 흐르게 된다. 그러면, 적층된 피처리물의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기 쉬워지므로, 피처리물의 건조를 촉진할 수 있고, 건조 얼룩이나 불충분한 건조가 생기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 경우, 축 형상의 부재를 마련하는 위치나 개수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바닥부(51b)의 중앙 근방에 1개만 축 형상의 부재를 마련해도 좋고, 바닥부(51b)의 중심축으로부터 동심원 형상으로 복수개의 축 형상의 부재를 마련해도 좋다.
또한, 축 형상의 부재의 단면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원형이나 별 모양 등의 단면으로 해도 좋다.
축 형상의 부재가 길이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그 선단이 적층된 피처리물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정도의 길이가 바람직하다.
또한, 내장 케이스(51)는, 내장 케이스(51)를 탑재해 두는 물받이부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상기 물받이부를 마련하면, 내장 케이스(51) 내의 피처리물로부터 나온 수분이 관통 구멍(51g)으로부터 떨어져도, 이 수분을 물받이부 내에 유지해 둘 수 있다. 그러면, 피처리물로부터 나온 수분에 의해서 수용 용기(2)가 오염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구분벽)
상술한 바와 같은 내장 케이스(51)를 마련하는 경우, 내장 케이스(51)에 공급한 가열 공기가, 피처리물 내에 흐르지 않고, 피처리물의 표면(상면)을 따라서 흘러가 버릴 가능성이 있다. 그러면, 이 가열 공기는, 내장 케이스(51)의 상단과 가열 공기 공급부(10)의 사이의 간극을 통하여, 순환 유로의 배출구로부터 배출될 가능성이 있다. 즉, 가열 공기가 피처리물의 건조에 기여하지 않고 수용 용기(2)로부터 배출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다.
여기서, 도 3 ~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장 케이스(51)를 마련했을 경우에는, 가열 공기 공급부(10)에, 내장 케이스(51)의 개구(51s)에 삽입되는 구분벽(11w)을 마련해도 좋다. 예를 들면, 가열 공기 공급부(10)의 공기 유입구(11h)를 둘러싸도록 구분벽을 배치한다. 그리고, 구분벽(11w)을, 그 선단이 내장 케이스(51) 내에 삽입되고, 또한 그 외경(外徑)이 내장 케이스(51)의 개구(51s)의 내면 근방에 위치하도록 형성한다. 이러한 구분벽(11w)을 마련하면, 공기 유입구(11h)로부터 공급되는 가열 공기는, 내장 케이스(51)의 상단과 가열 공기 공급부(10)의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빠져나가는 일이 없다. 그러면, 가열 공기가 피처리물에 충분히 접촉하지 않는 상태로 순환되는 것을 막을 수 있으므로, 가열 공기에 의한 피처리물의 건조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다른 감량·감용 처리 장치(1B))
상술한 감량·감용 처리 장치(1)에서는, 가열 공기 공급부(10)의 순환 유로(20)의 통 형상 프레임(21f)이 가열 공기 공급부(10)의 거의 중앙에 배치되고, 가열 공기 공급부(10)의 공기 유입구(11h)가 본체 케이스(11)의 바닥면(11b)의 거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를 설명했다.
그러나, 가열 공기 공급부(10)의 순환 유로(20)의 통 형상 프레임(21f)이나 공기 유입구(11h)는, 반드시 본체 케이스(11)나 바닥면(11b)의 중앙부에 배치되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면, 이하에 나타내는 감량·감용 처리 장치(1B)와 같은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감량·감용 처리 장치(1)와 실질적으로 공통되는 구성은 적절히 생략한다.
(감량·감용 처리 장치(1B))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량·감용 처리 장치(1B)는, 가열 공기 공급부(60)와, 수용 용기(2B)를 구비하고 있다.
(가열 공기 공급부(60))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량·감용 처리 장치(1B)의 가열 공기 공급부(60)는, 상술한 감량·감용 처리 장치(1)의 가열 공기 공급부(10)와 마찬가지로, 본체 케이스(61) 내에, 순환부(70)와, 배출부(80)와 흡인부(90)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가열 공기 공급부(60)는, 순환부(70), 배출부(80), 흡인부(90)의 배치를 연구하는 것에 의해서, 가열 공기 공급부(10)보다 컴팩트한 구조로 되어 있다.
(수용 용기(2B))
수용 용기(2B)는, 상술한 수용 용기(2)와 마찬가지로, 상단에 개구를 가지는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용기이다. 이 수용 용기(2B)는, 내장 케이스(50)를 수용하고 있던 부분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감량·감용 처리 장치(1)의 수용 용기(2)에서는, 가열 공기 공급부(10)의 본체 케이스(11)를 수용 용기(2)의 상부에 삽입할 수 있는 형상으로 되어 있었다. 한편, 감량·감용 처리 장치(1B)의 수용 용기(2B)에서는, 가열 공기 공급부(60)의 하단부만을 수용 용기(2B)의 상단 개구에 삽입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수용 용기(2B)는, 그 상단의 외경이, 가열 공기 공급부(60)의 본체 케이스(61)의 외경과 거의 동일한 크기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서, 수용 용기(2)는, 그 높이가 낮아지고 있다.
이상과 같이, 감량·감용 처리 장치(1B)에서는, 가열 공기 공급부(60) 및 수용 용기(2B)가 모두 컴팩트화 되어 있다. 게다가, 가열 공기 공급부(60)를 수용 용기(2B)의 상단에 탑재한 상태로, 수용 용기(2B) 내의 피처리물에 가열 공기를 공급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감량·감용 처리 장치(1B)는, 감량·감용 처리 장치(1)에 비해서, 장치 전체를 소형화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도 11이나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량·감용 처리 장치(1B)의 단면이 원형인 경우에는, 가열 공기 공급부(60)의 직경을 150 ~ 250mm 정도, 높이를 100 ~ 200mm로 하고, 가열 공기 공급부(60)를 수용 용기(2B)에 장착한 상태에서의 높이를 200 ~ 350mm 정도가 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감량·감용 처리 장치(1B)를 상술한 바와 같은 크기로 형성하면, 12리터 정도까지의 피처리물을 처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가열 공기 공급부(60))
이하에서는, 가열 공기 공급부(60)의 각 부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순환부(70))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순환부(70)는, 순환 유로(71)를 가지고 있고, 이 순환 유로(71) 내에는, 기류 형성 수단(72)과 가열 수단(73)이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3 ~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열 공기 공급부(60)의 본체 케이스(61)에 있어서, 본체 케이스(61)의 바닥면(61b)에는, 가열 공기 유입구(61h)와 배출구(61g)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열 공기 유입구(61h)의 근방에는, 외기 도입구(61s)가 형성되어 있다.
가열 공기 유입구(61h)는, 가열 공기를 수용 용기(2B)의 수용 공간(2h) 내에 공급하는 개구이며, 본체 케이스(61)의 바닥면(61b)의 중앙으로부터 치우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도 12(B) 참조). 순환 유로(71)는, 이 가열 공기 유입구(61h)로부터 본체 케이스(11)의 외면을 향하여 연장된 통 형상 프레임(71f)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통 형상 프레임(71f)은, 가열 공기 유입구(61h)를 둘러싸도록, 그 하단이 본체 케이스(61)의 바닥판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이 통 형상 프레임(71f)은, 본체 케이스(61)를 2분할하는 선의 한쪽측에 치우친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즉, 통 형상 프레임(71f)은, 본체 케이스(61)를 2분할하는 선의 한쪽측의 영역(특허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기기 수용 공간에 상당한다)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통 형상 프레임(71f)이 배치되어 있는 영역과 반대측의 영역에는, 후술하는 배출부(80)가 배치된다. 이 배출부(80)가 배치되는 영역이, 특허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배출 공간에 상당한다.
또한, 통 형상 프레임(71f)의 내부의 공간을, 가열 공기를 수용 용기(2B)의 수용 공간(2h) 내에 공급하는 순환 유로(71)의 공급 유로(71a)로 하는 경우도 있다.
이 통 형상 프레임(71f) 내(즉, 공급 유로(71a) 내)에는, 본체 케이스(61)의 외면측으로부터 바닥면(61b)측을 향하여, 기류 형성 수단(72)과 가열 수단(73)이, 이 순서로 나열되어 있다. 즉, 상술한 기류 형성 수단(22), 가열 수단(23)과 마찬가지로, 기류 형성 수단(72)은 수용 용기(2B)의 수용 공간(2h)으로 향하는 기류를 형성하고, 가열 수단(73)으로 기류를 가열하여, 이 가열 공기를 수용 용기(2B)의 수용 공간(2h)에 공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기류 형성 수단(22), 가열 수단(23)은, 도시하지 않는 제어부(가열 공기 공급부(60)에 내장되어 있다)에 의해서 작동이 제어되고 있다.
한편, 배출구(61g)는, 수용 용기(2B)의 수용 공간(2h) 내의 공기를 순환 유로(71) 내에 흡인하는 개구이다. 다시 말하자면, 수용 용기(2B)의 수용 공간(2h) 내의 공기를 순환 유로(71)로 배출하는 개구이다. 예를 들면, 도 12에서는, 배출구(61g)는, 본체 케이스(61)의 둘레가장자리에 3개소 마련되어 있지만, 배출구(61g)를 마련하는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순환 유로(71)는, 배출구(61g)와 통 형상 프레임(71f) 내부와의 사이를 연통하는 리턴 유로(71b)를 구비하고 있다. 이 리턴 유로(71b)는, 피복부(71c)와 통기부(71d)를 구비하고 있다. 피복부(71c)는, 배출구(61g)의 복수의 관통 구멍을 덮도록 마련된 커버 부재(c3)와 본체 케이스(61)의 바닥판(61p)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통기부(71d)는, 피복부(71c)와, 통 형상 프레임(71f) 내부에 있어서의 기류 형성 수단(72)보다 본체부(61)의 외면측의 공간(상부 공간)과의 사이를 연통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 통기부(71d)는, 통 형상 프레임(71f)의 외면과, 이 외면을 덮도록 마련된 커버 부재(c4)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이 커버 부재(c4)는, 통 형상 프레임(71f)의 상단까지 덮도록 마련되어 있다. 즉, 순환 유로(71)는, 리턴 유로(71b) 내에 통 형상 프레임(71f)이 수용된 상태가 되도록 마련되어 있다(도 13, 도 15 참조).
(배출부(80))
또한,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열 공기 공급부(60)는, 배출부(80)를 구비하고 있다. 이 배출부(80)는, 통 형상 프레임(71f) 내와 외부와의 사이를 연통하는 배출 유로(81)를 구비하고 있다. 이 배출 유로(81)는, 통 형상 프레임(71f) 내에 있어서의 기류 형성 수단(72)보다 수용 용기(2B)의 수용 공간(2h)측의 공간(하부 공간)과 외부와의 사이를 연통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즉, 통 형상 프레임(71f)에 있어서, 수용 용기(2B)의 수용 공간(2h)으로 향하는 기류의 일부를, 배출부(80)의 배출 유로(8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흡인부(90))
그리고, 도 13,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열 공기 공급부(60)는, 흡인부(90)를 구비하고 있다. 이 흡인부(90)는, 배출부(80)에 의해서 외부로 배출된 공기를 보충하기 위해서 마련되어 있다. 이 흡인부(90)는, 본체 케이스(61)의 상부와 바닥면(61b)에 마련된 외기 도입구(61s)의 사이를 연통하는 흡인 유로(91)를 구비하고 있다. 이 흡인 유로(91)는, 본체 케이스(61)의 외벽과 통기부(71d)의 커버 부재(c4)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고, 순환 유로(71)로부터 분리된 상태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므로, 가열 공기 공급부(60)의 기류 형성 수단(72)을 작동하면, 통 형상 프레임(71f)으로부터 수용 용기(2B)의 수용 공간(2h)으로 향하는 기류를 발생시킬 수 있고, 그 기류를 가열 수단(73)에 의해서 가열하고 나서 수용 용기(2B)의 수용 공간(2h)에 공급할 수 있다.
한편, 기류 형성 수단(72)의 작동에 의해, 통 형상 프레임(71f)의 상부 공간은 기압이 낮은 상태가 된다. 그러면, 리턴 유로(71b) 내에는, 배출구(71g)로부터 통 형상 프레임(71f)의 상부 공간으로 향하는 흐름이 형성된다. 즉, 수용 용기(2B)의 수용 공간(2h) 내의 공기가 통 형상 프레임(71f)의 상부 공간에 흡인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기류 형성 수단(72)을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수용 용기(2B)의 수용 공간(2h) 내의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면, 수용 용기(2B)의 수용 공간(2h) 내의 공기, 즉, 가열 공기를 순환시키므로, 공기의 가열에 필요로 하는 에너지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순환 유로(71)를 순환하는 일부의 가열 공기는 배출부(80)에 의해서 배출되므로, 수용 용기(2B)의 수용 공간(2h) 내의 압력을 감압할 수 있다. 따라서, 가열 공기 공급부(60)를 수용 용기에 대해서 탈착 가능하게 마련해도, 피처리물의 악취 등이 외부로 새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순환 유로(71)를 순환하는 일부의 가열 공기는 배출부(80)에 의해서 배출되는 한편, 흡인부(90)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외기가 도입된다. 그러면, 가열 공기를 순환시키면서, 피처리물과 접촉하여 습도가 높아진 기체를 습도가 낮은 외기와 교체할 수 있으므로, 건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게다가, 흡인부(90)에 의해서 흡인되는 외기는, 순환부(70)의 기류 형성 수단(72)에 의해서 생성되는 부압에 의해서 외부로부터 흡인된다. 그러면, 흡인부(90)에 외기를 도입하기 위한 특별한 팬 등을 마련하지 않아도 좋기 때문에,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고 에너지 절약을 할 수 있다.
게다가, 가열 공기 공급부(60)에서는, 가열 공기 유입구(61h)의 근방에 외기 도입구(61s)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면, 가열 공기 유입구(61h)로부터 수용부(2)의 수용 공간(2h)에 공급되는 가열 공기의 흐름도, 흡인부(90)로부터의 외기 도입에 기여하므로, 외기를 효율적으로 도입할 수 있다.
그리고, 순환 유로(71)와 분리된 흡인부(90)를 마련해 두면, 습도가 낮은 외기를, 가열 공기와의 접촉이 적은 상태로 피처리물에 접촉시킬 수 있다. 그러면, 가열 공기만을 피처리물에 접촉시키는 경우에 비하여, 피처리물의 건조를 촉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감량·감용 처리 장치(1)에서는, 순환부(70)의 순환 유로(71)에 의해서 가열 공기를 순환시키고 있으므로, 기류 형성 수단(72)은 고온의 공기에 노출된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그러나,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인부(90)와는 별도로, 순환 유로(71)와 외부를 연통하는 외기 도입 통로(72s)를 마련해 두면, 기류 형성 수단(72)을 비교적 낮은 온도의 공기(외기)에도 접촉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고온의 공기에 노출된 상태로 작동하는 것에 의한 기류 형성 수단(72)의 손상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외기 도입 통로(72s)를 마련했을 경우에는, 외기 도입 통로(72s)의 유로 지름을 작게 해 둔다. 그러면, 필요 이상의 외기가 외기 도입 통로(72s)로부터 도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으므로, 흡인부(90)로부터의 외기 도입 효과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배출부(80)에 대해서)
배출부(80)는, 가열 공기를 그대로 배출하도록 해도 좋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정화 부재(85)를 통하고 나서, 외부로 배출하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으로 하면, 피처리물을 장치에 의해서 처리하고 있을 때, 장치의 주변의 환경이 악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정화 부재(85)로서는, 예를 들면, 공지의 탈취제나, 공기에 포함되는 유해한 성분을 제거하는 필터나 활성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배출부(80)의 배출 유로(81)에, 이하와 같은 정화 부재 수용 공간(84)을 마련하여, 그 정화 부재 수용 공간(84)에 정화 부재(85)를 배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으로 하면, 배출하는 공기를 단순하게 정화 부재(85)에 통과시키는 것만의 경우와 비교해서, 정화 부재(85)를 공기의 정화에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그러면, 정화 부재(85)에 의한 소취 등의 효율을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정화 부재 수용 공간(84) 전체에 대해서 균등하게 공기를 통하게 할 수 있으므로, 정화 부재 수용 공간(84)의 데드 스페이스 등이 줄어 들고, 단순하게 공기를 통하게 하는 것보다 정화 부재(85)의 장기 수명화가 가능하다.
이하, 배출부(80)의 배출 유로(81)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13 및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케이스(61)에는, 배출 유로(81)가 마련되어 있다. 이 배출 유로(81)는, 그 하단이 본체 케이스(61)의 바닥판에 연결된 통 형상 프레임(81f)을 구비하고 있다(도 14(A) 참조). 이 통 형상 프레임(81f)은, 본체 케이스(61)를 2분할하는 선에 대해서, 통 형상 프레임(71f)의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통 형상 프레임(81f)은, 상단부에 상부 플레이트(81a)를 구비하고 있고, 상부 플레이트(81a)보다 하방에는 바닥판으로부터 약간 이격된 위치에 하부 플레이트(81b)를 구비하고 있다. 상부 플레이트(81a) 및 하부 플레이트(81b)는, 모두 통기성을 가지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13,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관통 구멍이 마련되어서 통기성을 가지게 되어 있어도 좋고, 슬릿을 복수 마련하여 통기성을 가지게 되어 있어도 좋다. 이 상부 플레이트(81a)와 하부 플레이트(81b)의 사이에, 정화 부재(85)가 배치되어 있다. 즉, 상부 플레이트(81a)와 하부 플레이트(81b)의 사이의 공간이 정화 부재 수용 공간(84)으로 되어 있다.
한편, 정화 부재 수용 공간(84)과 바닥판(61p)의 사이에는, 감속 공간(83)이 형성되어 있다(도 14 참조). 그리고, 감속 공간(83)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통 형상 프레임(81f)의 하부의 주위에는, 연통 유로(82)의 감속부(82b)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감속부(82b)는, 통 형상 프레임(81f)의 하부에 마련된 개구(s)에 의해서, 감속 공간(83)과 연통되어 있다.
또한, 이 감속부(82b)는, 연통 유로(82)의 유입부(82a)에 의해서, 통 형상 프레임(71f)의 하부 공간과 연통되어 있다. 이 유입부(82a)는, 통 형상 프레임(71f)의 하부 공간측의 일단의 개구가 상기 기류 형성 수단(72)으로 향한 상태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유입부(82a)의 타단은, 그 개구가 통 형상 프레임(81f)의 측면으로 향한 상태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배출 유로(81)가 이상과 같은 구성이므로, 기류 형성 수단(72)에 의해서 형성된 기류의 일부는, 연통 유로(82)의 유입부(82a) 및 감속부(82b)를 통하여 감속 공간(83)에 유입된다. 감속 공간(83)에 들어간 공기는, 감속 공간(83)으로부터 정화 부재 수용 공간(84)에 유입되고, 정화 부재(85)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즉, 정화 부재(85)에 의해서 공기를 정화하고, 정화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여기서, 감속부(82b)와 감속 공간(83)을 연통하는 개구(s)는, 그 방향이, 유입부(82a)로부터 감속부(82b)에 유입되는 방향과 다른 방향을 향하고 있다. 즉, 개구(s)는, 유입부(82a)의 타단과 대향하지 않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s)는, 유입부(82a)의 타단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통 형상 프레임(81f)의 중심축으로부터 90° 회전된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그러면, 유입부(82a)로부터 감속부(82b)에 유입된 공기는, 통 형상 프레임(81f)의 측면에 충돌하여 흐름의 방향을 변경하여, 통 형상 프레임(81f)을 따라서 흐른다. 그리고, 개구(s)의 위치에서 흐름의 방향을 다시 변경하여 감속 공간(83)에 유입된다. 즉, 유입부(82a)로부터 감속부(82b)에 유입된 공기는, 크게 흐름의 방향을 적어도 2회 변화시키고 나서 감속 공간(83)에 유입되므로, 감속 공간(83) 내에 유입된 단계에서는 속도가 크게 늦어지고 있다. 게다가, 정화 부재 수용 공간(84)에 유입될 때에는, 흐름의 방향을 다시 변화시키므로, 정화 부재(85)에 흘러드는 공기의 속도는 늦어지고 있기 때문에, 정화 부재(85) 전체에 공기를 통하게 할 수 있다. 즉, 유입 속도가 빠른 경우와 같은, 정화 부재(85)의 일부로 공기가 빠져 나가는 상태가 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그러면, 정화 부재(85)를 공기의 정화에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으므로, 정화 부재(85)에 의한 소취 등의 효율을 좋게 할 수 있다. 게다가, 정화 부재 수용 공간(84) 전체에 대해서 균등하게 공기를 통하게 할 수 있으므로, 정화 부재 수용 공간(84)의 데드 스페이스(공기가 통하지 않는 영역) 등이 줄어 들고, 단순하게 정화 부재(85)에 공기를 통하게 하는 것보다도 정화 부재(85)의 장기 수명화가 가능하다.
(가열 공기 공급부(60)의 하단 가장자리에 대해서)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열 공기 공급부(60)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그 하단 가장자리가 가열 공기 공급부(60)의 중심축에 대해서 경사진 상태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하자면, 가열 공기 공급부(60)를 수용 용기(2B)에 장착했을 때에 있어서의 장치의 중심축에 대해서, 그 하단 가장자리가 경사지도록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가열 공기 공급부(60)의 본체 케이스(61)는, 그 바닥판(61p)에 세워서 설치된 다리 부재(61r)를 구비하고 있다. 이 다리 부재(61r)는, 바닥판(61p)에 마련되어 있는 가열 공기 유입구(61h)를 둘러싸도록 마련되어 있고, 대략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다리 부재(61r)는, 그 중심축이 본체 케이스(61)의 중심축과 동일축이 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다리 부재(61r)의 하단 가장자리(61e)가, 원통을 그 중심축에 대해서 경사진 단면으로 잘라내진 상태가 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예를 들면, 다리 부재(61r)의 하단 가장자리(61e)는, 가열 공기 공급부(60)의 중심축에 대해서 5 ~ 20°정도 경사진 상태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어부에 대해서)
또한, 가열 공기 공급부(60)도, 가열 공기 공급부(10)와 마찬가지로,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어부는, 가열 공기 공급부(10)의 제어부의 기능에 더하여, 이하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가열 공기 공급부(60)의 제어부는, 기울기 검출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기울기 검출부는, 가열 공기 공급부(60)의 중심축이 연직 방향에 대해서 소정의 각도 이상 기울었을 때에, 신호를 발신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가열 공기 공급부(60)의 중심축이 연직 방향에 대해서 5° 이상 기운 상태가 되면 신호를 발신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리 부재(61r)의 하단 가장자리(61e)가, 가열 공기 공급부(60)의 중심축에 대해서 5 ~ 20°정도 경사져 있으면, 다리 부재(61r)의 하단 가장자리(61e)를 바닥에 접하도록 가열 공기 공급부(60)를 두면, 가열 공기 공급부(60)의 중심축이 연직 방향에 대해서 5° 이상 기운 상태가 된다(도 18(B)). 따라서, 기울기 검출부는, 가열 공기 공급부(60)가 기울어져 있다는 신호를 발신하게 된다.
그리고, 가열 공기 공급부(60)의 제어부는, 가열 공기 공급부(60)가 기울어져 있다는 신호를 기울기 검출부가 발신하면, 기류 형성 수단(72)과 가열 수단(73)의 양쪽 또는 한쪽의 작동을 정지하는 작동 정지 기능을 가지고 있다.
가열 공기 공급부(60)의 제어부가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가지고 있으면, 가열 공기 공급부(60)에 의한 감용 건조 작업이 끝난 후에, 가열 공기 공급부(60)를 수용 용기(2B)로부터 탈거하여 바닥 등에 두면, 자동으로 기류 형성 수단(72)이나 가열 수단(73)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즉, 기류 형성 수단(72)이나 가열 수단(73)의 작동을 정지하는 것을 잊고, 가열 공기 공급부(60)를 수용 용기(2B)로부터 탈거하여 바닥 등에 두어도, 기류 형성 수단(72) 및/또는 가열 수단(73)을 정지시킬 수 있다. 기류 형성 수단(72)이나 가열 수단(73)을 작동시킨 채로 바닥 등에 두면, 가열 공기에 의해서 바닥 등이 가열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상기 기능을 제어부에 마련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문제가 생기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만일, 상기 기능이 정지하지 않는 경우에는 특히, 다리 부재(61r)에 둘러싸인 부분이 가열 공기에 의해서 계속 가열되게 된다. 여기서, 다리 부재(61r)의 하단에 노치(g)를 마련하거나 관통 구멍을 마련하거나 하면, 가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으므로, 상기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다리 부재(61r)의 하단 가장자리(61e)의 경사는, 어떠한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어도 좋다. 그러나, 가열 공기 공급부(60)를 다리 부재(61r)의 하단 가장자리(61e)가 바닥에 접하도록 배치한 상태로, 가열 공기 공급부(60)의 무게중심을 통과하는 연직선이, 바닥 등에 있어서 다리 부재(61r)로 둘러싸인 공간의 중심 근방과 교차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으로 해 두면, 가열 공기 공급부(60)를 다리 부재(61r)의 하단 가장자리(61e)가 바닥에 접하도록 두었을 때에, 가열 공기 공급부(60)를 안정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특히, 다리 부재(61r)의 하단 가장자리(61e)의 경사 방향을 따라서, 상류측으로부터, 기기 수용 공간, 배출 공간의 순서로 나열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면, 가열 공기 공급부(60)를 바닥 등에 두었을 경우에 있어서의 안정성을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다리 부재(61r)의 하단 가장자리(61e)가 경사져 있으면, 그 선단(즉, 최하단, 도 16(A)에서는 좌하단)을 수용 용기(2B) 내에 넣기 쉬워진다. 즉, 다리 부재(61r)의 하단 가장자리(61e)를 수용 용기(2B)의 개구에 넣어서 가열 공기 공급부(60)를 아래로 내리면, 자연스럽게, 가열 공기 공급부(60)의 중심이 수용 용기(2B)의 중심과 맞도록 자세가 조정된다. 따라서, 가열 공기 공급부(60)를 수용 용기(2B)에 설치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게다가, 다리 부재(61r)의 하단 가장자리(61e)가 경사져 있으면, 그 선단을 수용 용기(2B)의 내면과 내장 케이스(50)의 외면과의 사이의 간극에 넣으면, 간단하게 내장 케이스(50)를 소정의 위치로 위치결정할 수 있다. 즉, 가열 공기 공급부(60)를 수용 용기(2B)의 개구에 넣어서 가열 공기 공급부(60)를 아래로 옮기는 것만으로, 다리 부재(61r)의 내면에 안내되어서, 내장 케이스(50)는 다리 부재(61r)의 내부에 수용되고, 소정의 위치(예를 들면, 내장 케이스(50)의 중심축이 가열 공기 공급부(60)의 중심축(즉, 수용 용기(2B)의 중심축)과 거의 일치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즉, 내장 케이스(50)를 위치결정하지 않고 수용 용기(2B)에 넣어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가열 공기 공급부(60)를 수용 용기(2B)에 설치하면, 자동적으로 내장 케이스(50)를 소정의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리 부재(61r)는, 상술한 가열 공기 공급부(60)와 같이, 가열 수단(73)이 치우친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경우 외에, 즉, 상술한 가열 공기 공급부(10)와 같은 구조의 경우라도 채용할 수 있다.
(덮개 플레이트(95))
상술한 가열 공기 공급부(60)의 본체 케이스(61)의 바닥면(61b)에는, 덮개 플레이트(95)가 마련되어 있다. 이 덮개 플레이트(95)는, 내장 케이스(50)의 상단 개구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어 있다. 게다가, 덮개 플레이트(95)는, 본체 케이스(61)의 바닥면(61b)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그 하단이 내장 케이스(50)의 상단 가장자리와 거의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덮개 플레이트(95)에는, 가열 공기 유입구(61h)와 대응하는 위치에, 가열 공기를 통하게 하기 위한 관통 구멍(95h)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내장 케이스(50)에 수용되어 있는 피가열물의 양이 많고, 내장 케이스(50)의 상단 개구보다 돌출되어 있는 상태라도, 피가열물이 내장 케이스(50)로부터 넘쳐흐르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감량·감용 처리 장치)
상술한 가열 공기 공급부(10)나 가열 공기 공급부(60)는, 단독으로 감량·감용 처리 장치로 되어도 좋다(도 10, 도 16 참조). 이 경우에도, 피처리물을 넣는 용기를 별도 마련하여, 그 개구에 감량·감용 처리 장치(즉, 가열 공기 공급부(10)나 가열 공기 공급부(60))를 설치하면, 감량·감용 처리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가열 공기를 용기 내의 피처리물에 접촉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가열 공기에 의해서 피처리물을 건조할 수 있다.
이 경우, 피처리물을 넣는 전용의 용기를 마련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음식 쓰레기 등을 넣는 용기를 마련해 두고, 그 용기에 감량·감용 처리 장치를 설치하면, 피처리물을 건조할 수 있다. 즉, 피처리물을 처리할 때에, 피처리물을 전용의 용기로 옮기거나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피처리물의 가열 건조 처리가 용이하게 된다.
게다가, 감량·감용 처리 장치는, 피처리물을 넣기 위한 전용의 용기를 마련하지 않기 때문에, 감량·감용 처리 장치 자체를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그러면, 감량·감용 처리 장치를 수납하는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열 공기 공급부(10)나 가열 공기 공급부(60)만으로 이루어지는 감량·감용 처리 장치만을 수납 선반 등에 보관해 두고, 피처리물을 넣는 용기는 싱크 등에 설치해 둘 수 있다. 그러면, 가열 공기 공급부(10)나 가열 공기 공급부(60)와 용기의 양쪽 모두를 보관하는 경우에 의해서도, 보관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가열 공기 공급부(10)나 가열 공기 공급부(60)만으로 이루어지는 감량·감용 처리 장치는, 용기 내의 대부분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고, 또한, 일부의 공기를 외기로부터 흡인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용기 내의 공기가 그대로 외부로 새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그러면, 피처리물이 음식 쓰레기 등의 악취를 발생하는 것이라도, 외부에 악취가 새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용기의 개구에 가열 공기 공급부(10)나 가열 공기 공급부(60)만으로 이루어지는 감량·감용 처리 장치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감량·감용 처리 장치의 외면과 용기의 내면과의 사이의 간극을 막는 시일 부재를 마련해도 좋다. 시일 부재를 마련하면, 용기 내의 공기가 외부로 새는 것을 보다 확실히 막을 수 있다.
(다른 기류 형성 기구)
또한, 상술한 가열 공기 공급부(10)나 가열 공기 공급부(60)의 기류 형성 기구를, 다른 감량·감용 처리 장치나 식품 건조기, 식재 건조기, 및 식기 건조기 등에 마련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기류 형성 기구를 마련한 감량·감용 처리 장치 등 에 있어서, 공기를 순환부에 의해서 순환시킬 수 있고, 순환부의 공급구로부터 내뿜어지는 기류에 의해서, 흡인부의 흡인 유로 내를 통하여 수용 공간으로 향하는 외기의 흐름을 증속할 수 있다. 그러면, 기류 형성 기구를 마련한 감량·감용 처리 장치 등을 소형화할 수 있으므로, 감량·감용 처리 장치 등의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가열 공기 공급부(10)나 가열 공기 공급부(60)와 같은 배출부를 마련하면, 정화 부재 수용 공간에 유입되는 공기의 유속을 늦게 할 수 있으므로, 정화 부재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되어 있는 정화 부재 전체에 공기를 통하게 할 수 있다. 그러면, 정화 부재를 공기의 정화에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으므로, 정화 부재에 의한 소취 등의 효율을 좋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감량·감용 처리 장치는, 음식 쓰레기 등의 수분을 가지는 피처리물을 건조 처리하는 장치로서 적합하다.
1: 감량·감용 처리 장치
2: 수용 용기
2h: 수용 공간
10: 가열 공기 공급부
20: 순환부
21: 순환 유로
22: 기류 형성 수단
23: 가열 수단
30: 배출부
31: 흡인 유로
33: 감속 공간
34: 정화 부재 수용 공간
35: 정화 부재
40: 흡인부
41: 흡인 유로
51: 내장 케이스
60: 가열 공기 공급부
70: 순환부
71: 순환 유로
72: 기류 형성 수단
73: 가열 수단
80: 배출부
81: 흡인 유로
83: 감속 공간
84: 정화 부재 수용 공간
85: 정화 부재
90: 흡인부
91: 흡인 유로

Claims (15)

  1. 가열에 의해서 피처리물을 감량·감용화하는 장치로서,
    일단에 개구를 가지는 상기 피처리물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된 수용 용기와,
    상기 수용 용기의 개구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된 가열 공기 공급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가열 공기 공급부는,
    상기 수용 공간 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 유로를 구비한 순환부와,
    상기 순환부의 순환 유로를 흐르는 공기의 일부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와,
    상기 수용 용기의 개구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수용 용기 내에 배치되는 내면과 상기 수용 용기 외에 배치되는 외면과의 사이를 연통하고, 상기 수용 용기에 외기를 도입하는 흡인 유로를 구비한 흡인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순환부는,
    상기 순환 유로를 흐르는 기류를 가열하는 가열 수단과,
    상기 순환 유로에 기류를 형성하는 기류 형성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순환 유로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구가, 상기 수용 용기 내에 배치되는 내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흡인부의 흡인 유로는,
    상기 수용 공간측의 개구인 유입구가, 상기 공급구와 인접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량·감용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부의 흡인 유로는,
    상기 유입구가 상기 공급구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량·감용 처리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 유로는,
    상기 공급구가 상기 가열 공기 공급부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마련되어 있고,
    상기 순환 유로는,
    상기 공급구에 확산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량·감용 처리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순환 유로에 있어서의 상기 기류 형성 수단의 하류측의 유로와 외부와의 사이를 연통하는 배출 유로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배출 유로에는,
    배출하는 공기를 정화하는 정화 부재가 수용된 정화 부재 수용 공간과,
    상기 정화 부재 수용 공간의 상류측에 마련된 감속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감속 공간은,
    그 단면적이, 상기 감속 공간보다 상류측의 상기 배출 유로보다 단면적이 커져 있고,
    상기 배출 유로는,
    상기 감속 공간에 공기가 유입되는 유출구의 축방향과, 상기 감속 공간과 상기 정화 부재 수용 공간을 연통하는 연통부의 축방향이, 비동일축(非同軸)이 되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량·감용 처리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가열 수단은,
    상기 순환부에 있어서, 상기 기류 형성 수단의 하류측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류 형성 수단의 상류측의 공기의 온도에 따라서 상기 가열 수단의 작동을 ON-OFF 제어하는 가열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가열 제어부에 의한 가열 수단의 ON-OFF의 주기에 기초하여, 피처리물의 건조 상태를 판단하여 장치의 작동을 정지하는 작동 정지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량·감용 처리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되는, 일단에 개구를 가지고 바닥부에 관통 구멍이 형성된 내장 케이스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순환 유로는,
    상기 공급구가 상기 가열 공기 공급부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마련되어 있고,
    상기 기류 형성 수단은,
    상기 내장 케이스의 개구에 삽입되는 구분벽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구분벽은,
    상기 내장 케이스의 개구에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그 외주면이 상기 내장 케이스의 개구 내면 근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량·감용 처리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 유로는, 상기 공급구가 상기 가열 공기 공급부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마련되어 있고,
    상기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되는, 일단에 개구를 가지고 바닥부에 관통 구멍이 형성된 내장 케이스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바닥부의 중심 근방에, 주변부에 비해서 통기성이 낮은 저통기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량·감용 처리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되는, 일단에 개구를 가지고 바닥부에 관통 구멍이 형성된 내장 케이스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바닥부에 세워져 설치되는 축 형상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량·감용 처리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공기 공급부는,
    그 하단 가장자리가, 상기 가열 공기 공급부를 상기 수용 용기에 장착했을 때에 있어서의 장치의 중심축에 대해서 경사져 있고,
    상기 가열 수단 및/또는 상기 기류 형성 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가열 공기 공급부의 기울기를 검출하는 기울기 검출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울기 검출부가 상기 가열 공기 공급부의 기울기를 검출하면, 상기 가열 수단 및/또는 상기 기류 형성 수단의 작동을 정지하는 작동 정지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량·감용 처리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공기 공급부에는,
    그 하단 가장자리의 경사 방향을 따라서, 상류측으로부터, 상기 가열 수단 및 상기 기류 형성 수단이 수용되는 기기 수용 공간, 상기 배출부가 마련되는 배출 공간의 순서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고,
    상기 배출 공간에는,
    배출하는 공기를 정화하는 정화 부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량·감용 처리 장치.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배출 공간을 통하여, 상기 순환 유로에 있어서의 상기 기류 형성 수단의 하류측의 유로와 외부와의 사이를 연통하는 배출 유로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배출 유로에는,
    상기 정화 부재가 수용된 정화 부재 수용 공간과,
    상기 정화 부재 수용 공간의 상류측에 마련된 감속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출 유로는,
    상기 감속 공간에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과, 상기 감속 공간으로부터 상기 정화 부재 수용 공간에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이, 비동일축이 되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량·감용 처리 장치.
  12.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되는, 일단에 개구를 가지고 바닥부에 관통 구멍이 형성된 내장 케이스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가열 공기 공급부는,
    상기 수용 용기에 장착했을 때에, 상기 수용 용기 내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삽입부는,
    그 하단 개구가, 상기 내장 케이스의 상단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량·감용 처리 장치.
  13. 가열 공기에 의해서 피처리물을 감량·감용화하는 장치로서,
    해당 장치가,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 제 5 항, 제 9 항, 제 10 항, 및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가열 공기 공급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량·감용 처리 장치.
  14. 수용 공간에 수용된 피처리물을 가열에 의해서 감량·감용화하는 장치에 있어서의 기류 형성 기구로서,
    상기 수용 공간 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 유로를 구비한 순환부와,
    상기 수용 공간과 외부와의 사이를 연통하고, 상기 수용 용기에 외기를 도입하는 흡인 유로를 구비한 흡인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순환부는,
    상기 순환 유로를 흐르는 기류를 가열하는 가열 수단과,
    상기 순환 유로에 기류를 형성하는 기류 형성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흡인부의 흡인 유로는,
    상기 수용 공간측의 개구인 유입구가, 상기 순환 유로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구와 인접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량·감용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기류 형성 기구.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부의 순환 유로를 흐르는 공기의 일부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배출부는,
    상기 순환 유로에 있어서의 상기 기류 형성 수단의 하류측의 유로와 외부와의 사이를 연통하는 배출 유로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배출 유로에는,
    배출하는 공기를 정화하는 정화 부재가 수용된 정화 부재 수용 공간과,
    상기 정화 부재 수용 공간의 상류측에 마련된 감속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감속 공간은,
    그 단면적이, 상기 감속 공간보다 상류측의 상기 배출 유로보다 단면적이 커져 있고,
    상기 배출 유로는,
    상기 감속 공간에 공기가 유입되는 유출구의 축방향과, 상기 감속 공간과 상기 정화 부재 수용 공간을 연통하는 연통부의 축방향이, 비동일축이 되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량·감용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기류 형성 기구.
KR1020187003729A 2015-07-10 2016-07-06 감량·감용 처리 장치 및 감량·감용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기류 형성 기구 KR1020376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39260 2015-07-10
JPJP-P-2015-139260 2015-07-10
JPJP-P-2015-241674 2015-12-11
JP2015241674A JP5959129B1 (ja) 2015-07-10 2015-12-11 減量・減容処理装置および減量・減容処理装置における気流形成機構
PCT/JP2016/069972 WO2017010362A1 (ja) 2015-07-10 2016-07-06 減量・減容処理装置および減量・減容処理装置における気流形成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8485A true KR20180028485A (ko) 2018-03-16
KR102037615B1 KR102037615B1 (ko) 2019-11-15

Family

ID=56550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3729A KR102037615B1 (ko) 2015-07-10 2016-07-06 감량·감용 처리 장치 및 감량·감용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기류 형성 기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959129B1 (ko)
KR (1) KR102037615B1 (ko)
CN (1) CN106660085B (ko)
WO (1) WO20170103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49679B1 (ja) * 2019-07-05 2020-09-02 島産業株式会社 減量・減容処理装置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10385A (ja) 1990-08-31 1992-04-10 Daikin Ind Ltd 熱伝達用流体
JPH0942845A (ja) * 1995-07-27 1997-02-14 Sanyo Electric Co Ltd 乾燥機
JPH09159358A (ja) 1995-12-08 1997-06-20 Tommy & Brain Corp 生ごみ乾燥機
JP2001025734A (ja) 1999-05-10 2001-01-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厨芥処理機
JP2001153553A (ja) * 1999-11-29 2001-06-08 Maruichi Kk 屋内用厨芥処理機
JP2001157889A (ja) * 1999-12-02 2001-06-12 Esutekku Kk 生ゴミ分解処理装置
JP4073487B2 (ja) 1996-05-13 2008-04-0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廃プラスチック処理装置
JP2008290061A (ja) 2007-05-22 2008-12-04 Hee Ja Lee 生ゴミ乾燥器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475200A1 (fr) * 1980-02-01 1981-08-07 Madre Marc Procede et moyens de mise en oeuvre pour le sechage de produits et de materiaux poreux, fibreux, hygroscopiques, et plus particulierement des bois
DK9400457U3 (da) * 1994-12-08 1996-03-08 Groennes Miljoe Aps Køkkenelement og anvendelse deraf til håndtering af portioner af husholdningsaffald ved kilden
JP2001259568A (ja) * 2000-03-17 2001-09-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厨芥処理機
JP2005144246A (ja) * 2003-11-11 2005-06-09 Maruichi Kk 厨芥乾燥機
JP2005152683A (ja) * 2003-11-20 2005-06-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生ごみ処理機
JP2007075722A (ja) * 2005-09-14 2007-03-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生ごみ処理装置
JP2007117901A (ja) * 2005-10-28 2007-05-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生ごみ処理装置
JP2007275752A (ja) * 2006-04-06 2007-10-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生ごみ処理装置
CN101191694A (zh) * 2006-11-30 2008-06-04 伸洋产业株式会社 轻便台式厨房垃圾干燥处理机
JP2009011944A (ja) * 2007-07-05 2009-01-22 Sharp Corp 生ごみ処理機
KR101010577B1 (ko) * 2008-03-27 2011-01-24 한경희 음식물처리기용 케이스
KR20100025778A (ko) * 2008-08-28 2010-03-10 주식회사 노비타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KR101306180B1 (ko) * 2010-11-19 2013-09-10 시마 상요 코퍼레이션 리미티드 건조 감용 처리 장치
DE102015110750B4 (de) * 2014-07-07 2021-12-09 Hildebrand Holztechnik Gmbh Trocknungsvorrichtung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10385A (ja) 1990-08-31 1992-04-10 Daikin Ind Ltd 熱伝達用流体
JPH0942845A (ja) * 1995-07-27 1997-02-14 Sanyo Electric Co Ltd 乾燥機
JPH09159358A (ja) 1995-12-08 1997-06-20 Tommy & Brain Corp 生ごみ乾燥機
JP4073487B2 (ja) 1996-05-13 2008-04-0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廃プラスチック処理装置
JP2001025734A (ja) 1999-05-10 2001-01-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厨芥処理機
JP2001153553A (ja) * 1999-11-29 2001-06-08 Maruichi Kk 屋内用厨芥処理機
JP2001157889A (ja) * 1999-12-02 2001-06-12 Esutekku Kk 生ゴミ分解処理装置
JP2008290061A (ja) 2007-05-22 2008-12-04 Hee Ja Lee 生ゴミ乾燥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020772A (ja) 2017-01-26
JP5959129B1 (ja) 2016-08-02
CN106660085A (zh) 2017-05-10
KR102037615B1 (ko) 2019-11-15
WO2017010362A1 (ja) 2017-01-19
CN106660085B (zh) 2018-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60669B2 (ja) 乾燥減容処理装置
ES2390239T3 (es) Sistema de descontaminación modular
CN114867902A (zh) 衣物处理装置
CN114652100B (zh) 鞋护理器
KR20180028485A (ko) 감량·감용 처리 장치 및 감량·감용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기류 형성 기구
JP5651373B2 (ja) 洗濯機
CN114901895B (zh) 衣物处理装置
WO2021129696A1 (zh) 衣物处理装置
TWI778379B (zh) 減量減容處理裝置
KR20230105505A (ko) 옷걸이 장치
CN114652256A (zh) 鞋护理器
JP2007152196A (ja) 脱臭装置
CN113272490B (zh) 衣物处理装置
KR20230105769A (ko) 옷걸이 장치 및 옷걸이 장치의 제어방법
JP2014050544A (ja) 脱臭機
JP2008292041A (ja) 吸引乾燥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115191907A (zh) 鞋护理器
KR20220096288A (ko) 휴대용 살균장치
KR20230105767A (ko) 옷걸이 장치 및 옷걸이 장치의 제어방법
KR20230105507A (ko) 옷걸이 장치
KR20230105750A (ko) 옷걸이 장치
KR20230105749A (ko) 옷걸이 장치
TWM454843U (zh) 奶瓶殺菌機改良
KR20230105504A (ko) 옷걸이 장치
KR20230105751A (ko) 옷걸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