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5168A - 저중심 차량 및 공중 작업 플랫폼 - Google Patents

저중심 차량 및 공중 작업 플랫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5168A
KR20180025168A KR1020170090335A KR20170090335A KR20180025168A KR 20180025168 A KR20180025168 A KR 20180025168A KR 1020170090335 A KR1020170090335 A KR 1020170090335A KR 20170090335 A KR20170090335 A KR 20170090335A KR 20180025168 A KR20180025168 A KR 201800251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arm
telescopic
box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0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슈건 수
Original Assignee
제지앙 딩리 머쉬너리 컴퍼니,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지앙 딩리 머쉬너리 컴퍼니, 엘티디 filed Critical 제지앙 딩리 머쉬너리 컴퍼니,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80025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51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A62B35/0075Details of ropes or similar equipment, e.g. between the secured person and the lifeline or anch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 B60K1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of change-speed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12Arrangement of engine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 B66C23/70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 B66C23/701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telescopic
    • B66C23/705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telescopic telescoped by hydraulic j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 B66F11/046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of the telescoping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 B66F7/04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tiltable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13Details concerning the chas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3/00Common construc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지니어링 역학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엔지니어링 작업 차량에 관한 것이고, 특히 저중심 및 공중 작업 플랫폼을 구비한 차량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프레임의 측면에 장착된 차량 프레임, 동력 시스템, 연료 탱크 및 유압 탱크를 포함한다. 그에 상응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보다 나은 오프로드 성능 및 등급 능력을 제공하고, 복잡한 환경에서 작업 할 수 있고, 더 긴 수평 범위 및 더 넓은 작업 범위를 소유하는 공중 작업 플랫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유지 관리 및 수리 비용이 절감되고 수명이 연장되며 무결성이 향상되고 외관이 개선된다.

Description

저중심 차량 및 공중 작업 플랫폼 {Vehicle with a low gravity center and aerial work platform}
본 발명은 엔지니어링 역학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엔지니어링 작업 차량에 관한 것이고, 특히 저중심 차량 및 공중 작업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공중 작업 플랫폼은 진보된 공중 작업 기계 장치이며 고도에서 작업자의 효율성, 안전성 및 안락함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노동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공중 작업 플랫폼은 선진국에서 널리 사용된다. 이 공중 작업 플랫폼은 또한 도시의 가로등 유지 보수, 가로수 절단 작업 등과 같은 많은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중국 경제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공중 작업 플랫폼은 엔지니어링 건설, 산업 설비, 장비 수리, 공장 정비, 선박 제조, 전력, 도시 건설, 공항, 통신, 도시 공원 및 운송과 같은 많은 상황에서 점차 요구되고 있다.
종래의 공중 작업 플랫폼에서, 엔진, 연료 탱크 및 유압 탱크는 모두 터릿(turret)에 측 방향으로 장착된다. 그러나, 터릿이 차량의 차체 프레임 상에 배치될 때, 차량에 대해 무게 중심이 상대적으로 높게 위치된다. 이것은 공중 작업 플랫폼의 오프로드(off-road) 능력과 등급 능력을 제한하게 된다. 또한 이것은 공중 작업 플랫폼의 수평 거리도 제한하게 된다. 즉, 작업 플랫폼의 수평 도달 범위가 제한된다.
그러나, 공중 작업 플랫폼은 종종 복잡한 환경에서 작동하기 때문에, 차량의 관련 구성 요소의 구조 및/또는 설치 방식에 약간의 개선이 요구된다. 따라서, 전술한 종래의 공중 작업 플랫폼의 결점을 극복하기 위한 공중 작업 플랫폼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고 저중심 및 공중 작업 플랫폼을 구비한 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동력 시스템, 연료 탱크 및 유압 탱크는 차량의 차체 프레임의 측면에서 저중심 차량 및 전체 공중 작업 플랫폼에 장착되며, 오프로드 능력 및 공중 작업의 등급 능력을 향상시키며, 공중 작업 플랫폼의 수평 거리를 증가시켜 공중 작업 플랫폼의 작업 범위를 확대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공중 작업 플랫폼을 위한 저중심을 갖는 차량을 제안한다. 상기 차량은 차량 프레임, 동력 시스템, 연료 탱크 및 유압 탱크를 포함하는데, 이들은 차량 프레임의 일측에 모두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동력 시스템, 연료 탱크 및 유압 탱크는 모두 차량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또한,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제 1 박스 및 제 2 박스가 설치된다. 전원 시스템은 제 1 박스에 탑재되지만 연료 탱크와 유압 탱크는 제 2 박스에 탑재된다.
특히, 동력 시스템은 제 1 박스에 위치되고 브래킷을 통해 차량 프레임 상에 고정되는 엔진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엔진과 브래킷이 서로 연결된 위치에 댐핑 장치가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연료 탱크, 유압 탱크 및 제 2 박스는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제 2 박스에 제어 박스가 배치되고, 상기 제어 박스는 제 2 박스에 대하여 접어서 넣고 빼낼 수 있게 되어있다.
또한, 동력 시스템은 냉각 요소, 연료 변속기 요소 및 흡기-배기 요소를 더 포함한다.
이에 상응하여,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저중심을 갖는 차량, 차량 상에 피벗 가능하게 장착된 텔레스코픽 변속기 요소 및 텔레스코픽 변속기 요소의 말단부에 배치된 작동 플랫폼을 포함하는 공중 작업 플랫폼을 추가로 제공한다.
또한, 터릿이 차량의 차체 프레임 상에 배치된다. 텔레스코픽 변속기 요소의 일단부는 작동 플랫폼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되, 이러한 일단부는 지지 아암을 통해 터릿과 함께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작업 플랫폼은 텔레스코픽 연결 구성 요소를 통해 텔레스코픽 변속기 요소와 연결됩니다. 지지 부재는 지지 아암과 텔레스코픽 변속기 요소 사이에 배치되고, 유사하게, 다른 지지 부재는 텔레스코픽 변속기 요소와 텔레스코픽 연결 요소 사이에 배치된다.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를 가져온다.
본 발명에서, 동력 시스템으로서, 연료 탱크 및 유압 탱크는 모두 차체 프레임의 일측에 위치하고, 관련 재료의 주입 후에 이들 및 기타 관련 부품의 총 중량은 1000Kg 내지 1500Kg이 되며, 공중 작업 플랫폼의 무게 중심을 0.4m ~ 0.6m 낮추어 전체 플랫폼의 오프로드 성능과 그레이드 능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공중 작업 플랫폼은 다양한 복잡한 환경에서 작동할 수 있다. 또한, 공중 작업 플랫폼의 수평 도달 범위도 증가하고, 동일 작업 범위도 확장된다.
이에 따라, 동력 시스템은 제 1 박스에 배치되고, 연료 탱크 및 유압 탱크는 제 2 박스에 배치된다. 제 1 및 제 2 박스는 관련 구성 요소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고, 이들 구성 요소와 외부 물체의 충돌을 회피하여 이들에 대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또한 먼지를 감소시키고 구성 요소의 노후화를 감소시켜 유지 보수 및 수리 비용을 추가로 절감하고 구성 요소의 내구 수명을 연장시킨다. 또한, 엔진과 브래킷 사이에 댐핑 장치가 제공되므로, 공중 작업 플랫폼의 주행 중 차량의 흔들림으로 인한 엔진의 손상이 효과적으로 방지되므로, 유지 보수 및 수리 비용을 추가로 절감하고 부품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연료 탱크, 유압 탱크 및 제 2 박스가 일체로 형성되므로, 제조 및 설치가 편리하고, 전체 구조가 간단하고 콤팩트하며 외관이 개선된다.
요약하면, 본 발명의 공중 작업 플랫폼은 오프로드 성능 및 등급 능력이 더 우수하고, 복잡한 환경에서 작업 할 수 있으며, 더 긴 수평 범위 및 더 넓은 작업 범위를 가진다. 또한 유지 관리 및 수리 비용이 절감되고 수명이 연장되며 무결성이 향상되고 외관이 개선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예에 따른 공중 작업 플랫폼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차량의 도면이다.
도 3은 제 2 박스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도 1의 차량의 다른 도면을 도시한다.
도 4는 제 1 박스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도 1의 차량의 다른 도면을 도시한다.
도 5는 엔진 및 제 2 박스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도 1의 차량의 다른 도면을 도시한다.
도 6은 도 1의 M 부분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1의 공중 작업 플랫폼의 전방 요소의 또다른 도면으로서, 전방 요소는 텔레스코픽 연결 요소, 작업 플랫폼 및 관련 연결 요소를 포함한다.
도 8은 도 1의 공중 작업 플랫폼의 텔레스코픽 변속기 요소의 개략도이다.
도 9는 도 8의 A 부분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8의 B 부분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1은 확장된 형태의 도 8의 텔레스코픽 변속기 요소의 도면이다.
도 12는 도 8의 텔레스코픽 변속기 요소의 내부 주요 변속기 부재의 구조도를 나타내며, 주요 변속기 부재는 제 1 스프로킷 휠, 제 2 스프로킷 휠, 로프 - 팽창 체인, 로프-신장 체인, 수축식 실린더를 포함한다.
도 13은 도 8의 텔레스코픽 변속기 요소의 내부 주요 변속기 부재의 개략도이다.
도 14는 도 8의 텔레스코픽 변속기 요소의 내부 주요 변속기 부재의 개략도이다.
도 15는도 8의 텔레스코픽 변속기 요소의 수축식 실린더의 구조도를 나타낸다.
도 16은 도 15의 C 부분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중 작업 플랫폼의 전방 요소의 도면을 도시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 및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더 설명될 것이다. 여기서, 동일한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할 필요가 없다면, 종래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0038] 도 1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공중 작업 플랫폼의 전형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공중 작업 플랫폼은 차량(1), 차량(1)에 피봇식으로 설치된 텔레스코픽 변속기 요소(2), 및 텔레스코픽 연결 요소(5)를 통해 텔레스코픽 변속기 요소(2)의 말단부에 연결된 작동 플랫폼(3)을 포함한다.
차량(1)은 차량 프레임(102), 구동 시스템, 연료 탱크(121) 및 유압 탱크(122)를 포함한다. 구동 시스템은 동력 시스템, 변속 메커니즘, 제어 시스템, 구동 메커니즘, 휠 조립체를 포함한다. 동력 시스템, 연료 탱크(121) 및 유압 탱크(122)는 모두 프레임(102)의 길이 방향을 따라 프레임(102)의 일측에 설치된다. 터릿(101)은 차량(1)의 프레임(102)의 상단에 제공된다. 텔레스코픽 변속기 요소(2)의 일단부는 작동 플랫폼(3)으로부터 멀어지게 배치되어 있는데, 상기 일단부는 지지 아암(4)을 통해 터릿(10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작동 플랫폼(3)은 텔레스코픽 연결 요소(5)에 의해 텔레스코픽 변속기 요소(2)에 연결된다. 지지 부재(예를 들면, 일종의 기능이 있는 원통형 임)는 지지 아암(4)과 텔레스코픽 변속기 요소(2)의 사이에 배치되고, 마찬가지로 다른 지지 부재는 텔레스코픽 변속기 요소 (2)과 텔레스코픽 연결요소(5) 사이에 배치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한다. 제 1 박스(11)와 제 2 박스(12)는 각각의 길이 방향을 따라 차량 프레임(102)의 두 측면에 각각 고정된다. 동력 시스템은 제 1 박스(11)에 탑재되지만, 상기 연료 탱크(1210 및 유압 탱크(122)는 제 2 박스(12)에 탑재된다. 상기 동력 시스템은 엔진(112), 냉각 요소, 연료 전달 요소 및 흡기-배기 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엔진(112)은 제 1 박스(11) 내에 위치되고 브래킷(114)에 의해 프레임(102) 상에 장착된다. 엔진(112)과 브래킷(114)이 서로 연결된 위치에 댐핑 장치(도시되지 않음)가 배치된다. 연료 탱크(121), 유압 탱크(122) 및 제 2 박스(12)는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제 2 박스(12)에는 제어 박스(123)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어 박스(123)는 제 2 박스(12)의 안팎으로 접을 수 있다. 상기 제어 박스(123)는 제어 시스템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있다. 구체적으로, 제 2 박스(12)의 측면에는 제어 박스(123)를 제 2 박스(12) 안팎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개구(turning opening)가 형성된다. 상부 에지(제어 박스(123)의 도 3에서 제어 박스의 방향 참조)는 회전 개구의 상부 에지로 힌지 결합된다. 제어 박스(123)의 지면에 대한 높이는 제어 박스(123)가 회전 개구를 통해 제 2 박스(12) 밖으로 회전될 때 지면에 서있는 작업자가 제어 박스(123)에 편안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또한, 관련 제어 장치가 작동 플랫폼(3) 상에 제공 될 수 있고 제어 시스템과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요약하면, 동력 시스템으로서, 연료 탱크(121) 및 유압 탱크(122)는 모두 차량(1)의 차량 프레임(102)의 일 측면에 위치되고, 이들 및 다른 관련 구성 요소의 총 중량은 관련 소재 주입후 1000kg-1500Kg에 도달하게 되며, 공중 작업 플랫폼의 중력 중심을 0.4m-0.6m 낮출 수 있으므로 전체 플랫폼의 오프로드 성능과 그레이드 능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공중 작업 플랫폼은 다양한 복잡한 환경에서 작동할 수 있다. 또한, 공중 작업 플랫폼의 수평 도달 범위도 증가하고, 동일 작업 범위도 확장된다.
텔레스코픽 연결 요소(5)는 외부 아암(51), 외부 아암(51)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 외부 아암(51)의 일단부로부터 이동 가능한 내부 아암(52), 및 외부 아암(51) 및 내부 아암(52) 사이에 배치된 전방아암 텔레스코픽 실린더(53)를 포함한다.
전방아암 텔레스코픽 실린더(53)는 실린더 본체(미도시) 및 실린더 본체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 피스톤로드(미도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실린더 본체는 외부 아암(51)의 외벽에 고정되고, 피스톤로드의 연장 단부는 내부 아암(52)의 외벽에 고정된다.
텔레스코픽 변속기 요소(2)와 텔레스코픽 연결 요소(5) 사이에는 제 1 레벨링 실린더(55)가 배치된다. 텔레스코픽 연결 요소(5)의 텔레스코픽 변속기 요소(2)에 연결된 일단부에는 전방아암 헤드(54)가 힌지 결합된다. 제 1 레벨링 실린더(55)의 단부는 텔레스코픽 변속기 요소(2)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전방아암 헤드(54)에 힌지 결합된다. 텔레스코픽 연결 요소(5)는 추가로 전방아암 러핑(luffing) 실린더(57)를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전방아암 러핑 실린더는 그 일단부는 전방아암 헤드(54)에 힌지 결합되며, 타단부는 외부 아암(51)의 외부 벽에 힌지 결합된다. 이 수단에 의해, 전방아암 헤드(54), 외부 아암(51) 및 전방아암 러핑 실린더(57)는 삼각형의 러핑 머케니즘을 구성한다.
상기 전방아암 헤드(54), 외부 아암(51) 및 텔레스코픽 변속기 요소(2)는 핀(512)에 의해 서로 힌지 결합된다. 제 1 레벨링 실린더(55), 전방아암 헤드(54), 전방아암 러핑 실린더(57) 및 외부 아암(51)은 4-바 링크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제 1 레벨링 실린더(55)는 전기적으로 또는 유압식으로 작동 할 수 있다. 전기 방식으로 작동하는 경우, 제 1 레벨링 실린더(55)와 매칭(match)되는 각도 센서(도시되지 않음)는 전방아암 헤드(54), 외부 아암(51) 및 텔레스코픽 변속기 요소(2)를 서로 힌지 결합하는 핀(512)에 설치된다. 유압 방식으로 작동하는 경우, 제 1 레벨링 실린더(55)와 일치하는 유압 레벨링 장치가 텔레스코픽 변속기 요소(2) 상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레벨링 실린더(55)는 전기적으로 레벨링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여기서, 상기 전방아암 헤드(54)는 상기 전방아암 헤드(54)에 대한 상기 제 1 레벨링 실린더(55)의 밀고 당김 작용에 의해 레벨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방아암 헤드(54)에 설치된 각도 센서는 전방아암 헤드(54)의 각도를 0으로 설정한다. 상기 텔레스코픽 변속기 요소(2)를 러핑(luffing)하는 동안, 전방아암 헤드(54)는 이에 따라 기울어지게 된다. 결과적으로, 전방아암 헤드(54)의 각도 신호는 각도 센서를 통해 해당 제어기로 전송된다. 신호를 수신한 후, 제어기는 대응하는 명령을 발생시켜 제 1 레벨링 실린더(55)의 텔레스코픽 운동을 유발하여, 전방아암 헤드(54)의 레벨링을 실현한다. 즉, 전방아암 헤드(54)는 소정의 제로 각도로 배향되도록 제어된다. 또한, 텔레스코픽 연결 요소(5)의 상하 러핑은 또한 전방아암 송풍 실린더(57)의 텔레스코픽 운동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또한, 제 3 레벨링 실린더(58)는 텔레스코픽 연결 요소(5)와 작업 플랫폼(3) 사이에 배치된다. 제 3 레벨링 실린더(58)의 일단부는 내부 아암(52)에 힌지 결합되고, 타 단부는 회전 플랫폼(3)에 고정되어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2 레벨링 실린더(56)는 전방아암 헤드(54)와 텔레스코픽 연결 요소(5) 사이에 위치된다. 제 2 레벨링 실린더(56)의 일단부는 전방아암 헤드(54)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는 외부 아암(51)의 외부 벽에 힌지 결합된다. 제 2 레벨링 실린더(56)의 캐비티는 오일 튜브에 의해 제 3 레벨링 실린더(58)의 캐비티와 연통한다.
제 2 레벨링 실린더(56) 및 제 3 레벨링 실린더(58)의 배열은 텔레스코픽 연결 요소(5)를 러핑하는 동안 작업 플랫폼(3)이 경사지게 되는 것을 방지함을 알 수 있다. 즉, 작업 플랫폼(3)은 텔레스코픽 연결 요소(5)를 러핑하는 동안에 항상 수평 위치에 유지된다. 따라서, 제 2 레벨링 실린더(56) 및 제 3 레벨링 실린더(58)는 제 2 레벨링 기능을 갖는다(제 1 기능 실린더(55) 및 관련 장치는 제 1 레벨링 기능을 실현한다). 제 2 레벨링 실린더(56)의 캐비티는 오일 튜브에 의해 제 3 레벨링 실린더(58)의 캐비티와 연통하므로, 제 2 및 제 3 레벨링 실린더(56, 58)의 텔레스코픽 운동을 조정함으로써 레벨링이 달성될 수 있다. 자세한 레벨링 작업은 아래에서 설명된다. 텔레스코픽 연결 요소(5)가 상방으로 러핑되면, 전방아암 러핑 실린더(57)의 텔레스코픽 로드가 빠져 나오면서 동시에 제 2 레벨링 실린더(56)의 텔레스코픽 로드도 빠져 나온다. 이 때, 제 2 레벨링 실린더(56)의 로드 챔버 내부의 유압 매체는 압력하에 제 3 레벨링 실린더(58)의 로드 챔버 내로 유동하게 된다. 다음으로, 제 3 레벨링 실린더(58)의 텔레스코픽 로드가 후퇴하고, 제 3 레벨링 실린더(56, 58)의 비-도르 챔버 내부에 있는 유압 매체는 오일 튜브를 통하여 제 2 레벨링 실린더(56)의 비-로드 챔버로 유동하게 되어 제 2 및 제 3 레벨링 실린더(56, 58)의 관련 챔버 내부의 균형 압력에 의해 레벨링이 구현된다. 이러한 원리는 텔레스코픽 연결 요소(5)가 유압 매체의 흐름 방향 및 관련 구성 요소의 이동 방향을 제외하고 아래로 러핑될 때 적용된다. 여기서, 실린더의 단면적, 제 2 및 제 3 레벨링 실린더(56, 58)의 텔레스코픽 로드 및 이러한 텔레스코픽 로드의 이동 거리는 미리 정해지고 서로 매칭된다.
도 1 및 도 6-16은 본 발명의 공중 작업 플랫폼의 텔레스코픽 변속기 요소의 전형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텔레스코픽 변속기 요소(2)는 베이스 아암(21), 제 2 아암(22), 제 3 아암, 텔레스코픽 실린더(24), 로프-신장 체인(27) 및 로프-수축 체인(28)을 포함한다.
제 2 아암(22)은 베이스 아암(21)에 삽입되고 베이스 아암(21)을 벗어나서 이동할 수 있다(도 11의 상부 참조). 제 3 아암(23)은 제 2 아암(22)에 삽입되고, 제 2 아암(22)의 연장 단부로부터 빠져 나올 수 있다(도 11의 상부를 참조).
텔레스코픽 실린더(24)는 제 2 아암(22)에 고정된 실린더 배럴(241)과, 이 배럴(241)에 삽입된 텔레스코픽 로드(242)를 포함한다. 텔레스코픽 로드(242)는 실린더 배럴(241)의 캐비티와 연통하는 중공부(247: hollow arrangement)을 구비한다. 오일 가이드 튜브(245)는 텔레스코픽 로드(242)의 중공부(247)에 제공되고, 텔레스코픽 로드(242)의 연장 단부는 베이스 아암(21) 상에 고정된다(도 13의 하부를 참조). 텔레스코픽 로드(242)의 연장 단부의 단 부면은 장착 플레이트(8)를 통해 베이스 아암(21)에 고정된다. 제 2 아암(22)에 배럴(241)을 고정하기 위하여 텔레스코픽 로드(242)의 연장 단부에 인접한 위치에서 실린더 배럴(241)에 연결부가 제공된다. 상기 연결부는 액슬 구멍(axle hole)의 형태일 수 있다. 즉, 실린더 배럴(241)은 상기 액슬 구멍에 핀을 삽입함으로써 제 2 아암(22)에 장착될 수 있다. 물론, 배럴(241)의 연결부는 배럴(241)의 다른 위치, 예를 들어 중간 위치에 위치하도록 설계 될 수도 있다.
또한, 텔레스코픽 실린더(24)에는 제 1 스프로킷 휠(25)이 설치되고, 제 2 아암(22)에는 제 2 스프로킷 휠(26)이 설치되며, 상기 제 2 스프로킷 휠(26)은 제 1 스프로킷 휠(25)보다 상기 실린더 배럴(241)의 연장 단에 더 근접하게 배치된다. 로프-신장 체인(27)의 일단부는 상기 베이스 아암(210 상에 부착되며, 그 타단부는 제1 스프로킷 휠(25) 주위로 연장되어, 제 3 아암(23) 상에 부착된다. 즉, 제 1 스프로킷 휠 로프-신장 체인(27)의 양단부는 모두 제 1 스프로킷 휠(25) 아래에 위치한다(도면의 방향 참조). 로프-수축 체인(28)의 일단부는 제 3 아암(23)에 부착되고, 타단부는 제 2 스프로킷 휠(26) 주위로 이어져 베이스 아암(21)에 부착된다. 즉, 로프-수축 체인(28)의 양 단부는 모두 제 2 스프로킷 휠(26) 위에 위치한다(도면의 방향 참조). 바람직하게는, 제 1 스프로킷 휠(25)은 텔레스코픽 실린더(24)의 연장 단부로부터 떨어진 일 단부에 실린더 헤드가 위치하는 실린더 헤드 상에 위치된다. 제 2 스프로킷 휠(26)은 텔레스코픽 로드(242)의 연장 단부에 인접한 위치에서 제 2 아암(22)상에 배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 1 및 제 2 스프로킷 휠(25, 26)은 실린더 배럴(241)의 위 및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도면의 방향 참조). 이는 실린더 배럴(241)의 안정된 이동을 보장하고, 따라서 또한 관련 부품의 안정된 회전 및 텔레스코픽 운동을 보장한다. 물론, 제 1 및 제 2 스프로킷 휠(25, 26)은 다른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스프로킷 휠(25)은 실린더 배럴(241)의 중간 영역에 위치하며, 제 2 스프로킷 휠(26)은 실린더 배럴(241)의 중간 부분에 가까운 위치에서 제 2 아암(22)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6에 도시 된 바와 같이, 텔레스코픽 실린더(24)의 실린더 배럴(241)의 내부 캐비티는 분리되어 로드 챔버(244) 및 비-로드 챔버(243)를 형성한다. 즉, 배럴(241)의 내부 캐비티의 부분 공간은 텔레스코픽 로드(242)와 겹치게 되며 따라서 로드 챔버(244)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배럴(241)의 내부 캐비티의 부분 공간은 로드(242)에 겹치지 않고 원위 단부(distal end)의 우측 상부(도 16 참조)에 위치하며, 따라서 비-로드 챔버(243)를 형성하게 된다. 텔레스코픽 로드(242)의 중공부(247)는 연결 통로(246)를 통해 로드 챔버(244)와 연통한다. 로드(242)의 중공부(247)는 중공부(247)의 내부의 오일 가이드 튜브(245)와 함께 외부의 오일 튜브와 연통된다.
또한, 로프-수축 체인(28)의 일단부는 체인 연결 부재(29)에 의해 제 3 아암(23)에 부착되고, 마찬가지로 로프-신장 체인(27)의 일단부도 체인 연결 부재(29)에 의해 제 3 아암(23)에 부착되며, 이러한 2개의 단부는 체인 연결 부재(29)의 양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로프-신장 체인(27), 로프-수축 체인(28) 및 제3 아암(23)의 움직임은 이들 상호간에 조정이 된다. 선택적으로, 로프-신장 체인(27)과 로프-수축 체인(28)은 상이한 연결 부재로 제 3 아암(23)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로프-신장 체인(27)에는 체인 검출 장치가 설치되어 관련 체인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검출한다. 체인이 끊어지거나 사전 설정된 느슨한 값을 초과하면, 체인 감지 장치가 텔레스코픽 변속기 요소(2)의 안전을 보장하는 경고 신호를 생성하고 작업자 및 기타 스탭들의 안전을 더욱 보장하게 된다. 특히 체인 검출 장치는 로프-신장 체인(27)이 베이스 아암(21)에 연결되는 그 일단부에서 로프-신장 체인(27)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아암(21), 제 2 아암(22) 및 제 3 아암(23)은 모두 중공의 구조로 된다. 이들 암은 이러한 중공의 구조에 결코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제로 이들 구성은 다른 구성일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 아암(21), 제 2 아암(22) 및 제 3 아암(23)의 중공 구조는 텔레스코픽 실린더(24), 제 1 스프로킷 휠(25), 제 2 스프로킷 휠(26), 로프-신장 체인(27), 로프-수축 체인(28)이 수용되는 텔레스코픽 캐비티를 형성하게 되어, 텔레스코픽 변속기 요소(2)를 위한 콤팩트한 구조를 유도하고, 구성 요소의 마모 및 노후화를 더욱 감소시켜 수명을 연장시키게 된다. 또한 수리 및 유지 보수 빈도가 감소하게 도며 수리 및 유지 보수가 편리해지므로 관련 비용이 절감된다. 또한, 이들 구성 요소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의도하지 않은 구성 요소와의 충돌로 인해 작업자가 부상을 입을 위험이 감소된다. 물론, 텔레스코픽 실린더(24), 제 1 스프로킷 휠(25), 제 2 스프로킷 휠(26), 로프-신장 체인(27) 및 로프-수축 체인(28)을 텔레스코픽 캐비티 외부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즉, 베이스 아암(21)의 외벽, 제 2 아암(22) 및 제 3 아암(23) 상에 이들을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요약하면, 적절한 액체 매질에 의해 구동 될 때, 텔레스코픽 로드(242)가 베이스 아암(21) 상에 고정되므로, 상기 실린더 배럴(241)은 제 2 아암(22)과 함께 상방으로 이동하여 제 2 아암(22)은 상기 베이스 아암(21)을 빠져나오도록 움직이게 된다. 대응하여, 로프-신장 체인(27) 및 제 1 스프로킷 휠(25)의 견인력하에, 제 3 아암(23)이 당겨져서 제 2 아암(22)의 상단부 밖으로 이동한다. 액체 매질을 실린더 배럴(241) 내부로 연속적으로 주입하면, 제 2 아암(22) 및 제 3 아암(23)은 원하는 주행 거리 또는 사전 설정된 최대 거리에 도달할 때까지 상단부를 향해 계속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이동 중에, 제 1 스프로킷 휠은 가동 풀리로서 기능하고, 이 상태에서 베이스 아암(21)에 대한 제 3 아암(23)의 변위는 실린더 배럴(241)의 이동 거리(베이스 아암(21)에 대해 제 2 아암(22)의 이동거리)의 2 배가 된다. 이 경우 텔레스코픽 거리가 확실히 연장된다.
오일이 텔레스코픽 로드(242)의 중공부(247)를 통해 실린더 배럴(241)의 로드 챔버(244)로 진입할 때, 배럴(241)은 함께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제 2 아암(22)을 구동하여, 제 2 아암(22)은 베이스 아암(21)의 상단부로부터 물러나게 된다. 대응하여, 로프-수축 체인(28) 및 제 2 스프로킷 휠(26)에 의해 구동될 때, 제 3 아암(23)은 제 2 아암(22) 내로 후퇴될 것이다. 텔레스코픽 로드(242)로 오일을 연속적으로 주입함으로써, 제 2 아암(22) 및 제 3 아암(23)은 원하는 후퇴 위치 또는 완전한 후퇴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하측 단부를 향해 계속 후퇴할 것이다. 이러한 후퇴시에, 제 2 스프로킷 휠(26)은 베이스 아암(21)에 대한 제 3 아암(23)의 변위가 실린더 배럴(241)의 이동 거리(즉, 베이스 아암(21)에 대하여 제 2 아암(22)의 이동거리)의 2 배가되도록 가동 풀리로서 작용한다.
특히, 도 1 및 다른 관련 도면을 참조하면, 제 3 아암(23)은 상기 텔레스코픽 연결 요소(5)에 의해 작업 플랫폼(3)에 힌지 결합된다. 즉, 제 3 아암(23)은 텔레스코픽 연결 요소(5)의 외부 아암(51)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요소(5)의 내부 아암(52)은 작동 플랫폼(3)에 연결된다. 텔레스코픽 연결 요소(5)는 작동 플랫폼(3)이 수평 방향을 따라 더 이동하는 것을 돕는다. 또한, 베이스 아암(21)은 차량(1)의 관련 요소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된 지지 아암(4)에 의해 차량(1)에 힌지 고정된다. 또한, 베이스 아암(21) 및 지지 아암(4) 사이에는 러핑 실린더(6)가 배치된다. 이와 같이, 베이스 아암(21), 지지 아암(4) 및 러핑 실린더(6)는 서로 연결되어 있고 이들은 함께 신뢰성 있는 삼각형 구조를 형성한다. 이를 통하여 공중 작업 플랫폼이 더 많은 안정성과 보안을 지니게 된다.
공중 작업 플랫폼에서 그 아암이 신장될 필요가 있을 때, 제 2 및 제 3 아암(22, 23)은 텔레스코픽 변속기 요소(2)를 연장시키도록 제어된다. 이때, 텔레스코픽 변속기 요소(2)와 결합된 작동 플랫폼(3)은 제 3 아암(23)에 의해 구동될 때 역시 연장된다. 이때, 작업 플랫폼(3)이 이동하여 소정의 작업 위치 또는 최대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관련 실린더(6), 지지 아암(4) 및 텔레스코픽 연결 요소(5)는 제어되어 관련 아암의 각도 또는 위치를 조정한다.
유사하게, 공중 작업 플랫폼이 그의 아암을 인출시킬 필요가 있을 때, 텔레스코픽 변속기 요소(2)의 제 2 및 제 3 아암(22, 23)은 수축되도록 제어된다. 이때, 텔레스코픽 변속기 요소(2)와 결합된 작동 플랫폼(3)은 제 3 아암(23)에 의해 구동될 때에도 후퇴된다. 이 때, 관련 실린더(6), 지지 아암(4) 및 텔레스코픽 연결 요소(5)는 제어되어, 신장되는 과정 없이 작업 플랫폼(3)이 소정의 작업 위치로 이동하거나 원래 위치로 복귀할 때까지 관련 암의 각도 또는 위치를 조절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공중 작업 플랫폼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 17을 참조한다. 이 실시예는 위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다음의 사항과 관련하여 차이점이 있다: 위 실시예의 제 1 레벨링 요소를 대신하여 그리고 지지 부재로서 기능하는 러핑 실린더(57)는 텔레스코픽 변속기 요소(2)와 텔레스코픽 연결 요소(5) 사이에 배치되며;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 3 레벨링 실린더(58)는 유압 레벨링 방식이 아닌 전자 레벨링 방식으로 작동하는데, 즉 제 3 레벨링 실린더(58)과 함께 작동하는 각도 센서(59)는 회전 실린더(33) 상에 제공된다.
작동 중에, 텔레스코픽 연결 요소(5)의 상하 러핑 작동은 텔레스코픽 변속기 요소(2)와 텔레스코픽 연결 요소(5) 사이에 위치한 러핑 실린더(57)의 텔레스코픽 운동에 의해 실현된다. 작동 플랫폼의 레벨링 동작은 제 3 레벨링 실린더(58)의 텔레스코픽 운동에 의해 수행되어, 따라서 플랫폼의 수평 배향을 항상 보장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회전 실린더(33)에 설치되는 각도 센서(59)는 작업 플랫폼(3)의 위치를 0으로 설정한다. 텔레스코픽 연결 요소(5)의 러핑 동작 중, 상기 각도 센서(59)는 신호를 수신할 때 전기적 신호를 대응하는 제어기로 전송하며, 제 3 레벨링 실린더(58)의 텔레스코픽 운동을 유발하도록 제어 명령을 송신하여, 작업 플랫폼의 레벨링 작동을 구현한다. 즉, 작업 플랫폼이 항상 제로 위치에 있는 것이 유지된다.
유사하게, 본 발명의 공중 작업 플랫폼은 오프로드 성능 및 등급 능력이 더 우수하고, 복잡한 환경에서 작업 할 수 있으며, 더 긴 수평 범위 및 더 넓은 작업 범위를 소유한다(종래의 공중 작업 플랫폼보다 적어도 1.2 미터 연장된다). 또한 유지 관리 및 수리 비용이 절감되고 수명이 연장되며 무결성이 향상되고 외관이 개선된다.
이상,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설명되었지만, 통상의 기술자라면,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한 변형 및 개량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고,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 및 그 균등물에 의해 제한된다.
11: 제 1 박스 12: 제 2 박스
51: 외부 아암 52: 내부 아암
102: 프레임 112: 엔진
121: 연료 탱크 122: 유압 탱크

Claims (10)

  1. 공중 작업 플랫폼을 위한 저중심 차량으로서,
    차량 프레임, 동력 시스템, 연료 탱크 및 유압 탱크를 구비하며,
    상기 차량 프레임, 상기 동력 시스템, 상기 연료 탱크 및 상기 유압 탱크는 모두 차량 프레임의 일측에 장착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중심 차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시스템, 상기 연료 탱크 및 상기 유압 탱크는 모두 차량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중심 차량.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차체 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제 1 박스 및 제 2 박스가 설치되되,
    상기 동력 시스템은 상기 제 1 박스에 수용되며,
    상기 연료 탱크와 상기 유압 탱크는 상기 제 2 박스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중심 차량.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시스템은 상기 제 1 박스 내에 위치되고 브래킷을 통해 상기 차량 프레임 상에 고정되는 엔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중심 차량.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과 브래킷이 서로 연결되는 위치에 댐핑 장치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중심 차량.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탱크, 상기 유압 탱크 및 상기 제 2 박스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중심 차량.
  7.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박스 상에 제어 박스가 배치되되,
    상기 제어 박스는 상기 제 2 박스에 대하여 접어서 넣거나 빼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중심 차량.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시스템은 냉각 요소, 연료 전달 요소 및 흡기-배기 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중심 차량.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저중심 차량;
    상기 차량 상에 피벗 가능하게 장착된 텔레스코픽 변속기 요소; 및 상기 텔레스코픽 변속기 요소의 원위 단부에 배치된 작동 플랫폼;을 포함하는 공중 작업 플랫폼.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차량 프레임 상에 터릿이 배치되고,
    텔레스코픽 변속기 요소에서 작동 플랫폼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배치된 일단부는 지지 아암을 통해 상기 터릿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작업 플랫폼은 텔레스코픽 연결 요소를 통해 텔레스코픽 변속기 요소와 연결되며,
    상기 지지 아암과 텔레스코픽 변속기 요소 사이에 지지 부재가 배치되고,
    텔레스코픽 변속기 부품과 텔레스코픽 연결 부품 사이에 또다른 지지 부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작업 플랫폼.
KR1020170090335A 2016-08-31 2017-07-17 저중심 차량 및 공중 작업 플랫폼 KR2018002516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107786758 2016-08-31
CN201610778675.8A CN106430018B (zh) 2016-08-31 2016-08-31 具有低重心的车体及高空作业平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5168A true KR20180025168A (ko) 2018-03-08

Family

ID=58091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0335A KR20180025168A (ko) 2016-08-31 2017-07-17 저중심 차량 및 공중 작업 플랫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315902B2 (ko)
EP (1) EP3290388A1 (ko)
JP (1) JP6495975B2 (ko)
KR (1) KR20180025168A (ko)
CN (1) CN106430018B (ko)
AU (1) AU2017204042B2 (ko)
CA (1) CA2976477C (ko)
SG (1) SG10201705739U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55561A1 (zh) * 2015-03-27 2016-10-06 江苏省电力公司常州供电公司 绝缘高空作业平台的幅度限制系统
US20210219489A1 (en) * 2018-06-19 2021-07-22 Kubota Corporation Work Machine
EP3849933B1 (en) * 2018-09-12 2023-07-19 JLG Industries, Inc. Below grade access platform
CN109368513A (zh) * 2018-12-14 2019-02-22 山河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隧道模板转运车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56108A (en) * 1973-05-25 1974-12-24 Fulton Industries Three wheel aerial platform apparatus
JPS572215Y2 (ko) * 1974-05-07 1982-01-14
DE3334059A1 (de) * 1983-09-21 1985-04-18 Peter 5000 Köln Zeuner Vorrichtung zur reinigung und pflege von flugzeugen
US4775029A (en) * 1987-10-08 1988-10-04 Jlg Industries, Inc. Collapsible tower boom lift
JPH0650480Y2 (ja) * 1989-06-30 1994-12-21 株式会社アイチコーポレーション リフト作業車の遠隔操作装置
US5021917A (en) * 1990-01-29 1991-06-04 Kidde Industries, Inc. Control panel power enabling and disabling system for aerial work platforms
JPH0742077B2 (ja) * 1990-02-09 1995-05-10 極東開発工業株式会社 高所作業車の作業範囲規制装置
DE9302376U1 (ko) * 1993-02-18 1993-06-24 Ec Engineering + Consulting Spezialmaschinen Gmbh, 7900 Ulm, De
JPH09104598A (ja) * 1995-10-06 1997-04-22 Nippon Yusoki Co Ltd 荷役車両の荷役操作装置
US5743149A (en) * 1996-02-26 1998-04-28 Skyjack Equipment Inc. Articulated telescopic boom having slide-through knuckle
JP2000095499A (ja) * 1998-09-24 2000-04-04 Aichi Corp 電気駆動作業装置におけるバッテリ容量算出システム
JP2000247598A (ja) * 1999-02-26 2000-09-12 Komatsu Forklift Co Ltd フォークリフトトラックにおける作業機用操作レバーの取付け構造
JP2000344134A (ja) * 1999-06-09 2000-12-12 Komatsu Ltd ホイール式多目的作業車
CN1915783A (zh) * 2001-09-28 2007-02-21 神钢建设机械株式会社 自走式作业机械
JP2005262978A (ja) * 2004-03-17 2005-09-29 Hitachi Constr Mach Co Ltd 作業機械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6225054A (ja) * 2005-02-15 2006-08-31 Seirei Ind Co Ltd 高所作業車
JP2006225055A (ja) * 2005-02-15 2006-08-31 Seirei Ind Co Ltd 高所作業車
CN201193191Y (zh) * 2008-03-13 2009-02-11 广东力士通机械股份有限公司 轮胎起重机
CN201473280U (zh) * 2009-09-23 2010-05-19 湖南山河智能机械股份有限公司 回转式伸缩臂叉装车
IT1400017B1 (it) * 2010-04-20 2013-05-09 Cte S P A Piattaforma aerea di lavoro telescopica
CN202729731U (zh) * 2012-05-30 2013-02-13 美通(南通)重工有限公司 剪叉车底盘电控装置
US9139409B2 (en) * 2013-03-12 2015-09-22 Oshkosh Corporation Weighted boom assembly
CN203728454U (zh) * 2014-01-22 2014-07-23 宝鸡南车时代工程机械有限公司 用于铁路施工的起重轨道车
US9440577B2 (en) * 2014-04-07 2016-09-13 Miller Industries Towing Equipment, Inc. Vehicle wrecker with improved controls
CN204356033U (zh) * 2014-04-16 2015-05-27 河南江河起重机有限公司 一种高空作业平台底盘
CN204529249U (zh) * 2015-04-03 2015-08-05 上海智远弘业机器人有限公司 一种低高度全向移动升降平台车
CN206634990U (zh) * 2016-08-31 2017-11-14 浙江鼎力机械股份有限公司 具有低重心的车体及高空作业平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495975B2 (ja) 2019-04-03
US10315902B2 (en) 2019-06-11
CN106430018B (zh) 2021-04-16
CA2976477C (en) 2020-01-14
CN106430018A (zh) 2017-02-22
EP3290388A1 (en) 2018-03-07
US20180057332A1 (en) 2018-03-01
NZ732662A (en) 2018-06-29
AU2017204042A1 (en) 2018-03-15
CA2976477A1 (en) 2018-02-28
JP2018034782A (ja) 2018-03-08
AU2017204042B2 (en) 2018-11-29
SG10201705739UA (en) 2018-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25168A (ko) 저중심 차량 및 공중 작업 플랫폼
EP3287411B1 (en) Telescopic connection component and aerial work platform
EP3287413B1 (en) Vehicle with a rotary control box and aerial work platform
KR20180106801A (ko) 전자 감지 타입의 보호 장치를 구비한 공중 워크 플랫폼
US20130187354A1 (en) Stairway assembly for a machine
US9404238B1 (en) Construction machine
CN103895616B (zh) 摆动式伸缩支腿装置及集装箱侧面自装卸运输车
RU2520630C1 (ru) Рабочее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с регулируемой по высоте кабиной
NZ732662B (en) Vehicle with a low gravity centre and aerial work platform
KR200377476Y1 (ko) 고소작업차량의 아웃트리거
NZ733244B (en) Telescopic connection component and aerial work platform
CN103671314A (zh) 摆动支腿安装结构、控制装置、系统、控制方法及工程机械
JP3781662B2 (ja) 高所作業車のポスト伸長ロック装置
NZ733251B (en) Vehicle with a rotary control box and aerial work platform
CN117681979A (zh) 一种横担辅助高空作业施工车
NZ732668B (en) Aerial work platform with protection device of electronic sensing type
JPH0582986U (ja) 伸縮ブーム装置
JP2011149158A (ja) 自走式作業機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