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1827A - 차량 윈도우의 체결 및 차량 윈도우와의 전기 접촉 설정을 위한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차량 윈도우의 체결 및 차량 윈도우와의 전기 접촉 설정을 위한 디바이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21827A KR20180021827A KR1020187002252A KR20187002252A KR20180021827A KR 20180021827 A KR20180021827 A KR 20180021827A KR 1020187002252 A KR1020187002252 A KR 1020187002252A KR 20187002252 A KR20187002252 A KR 20187002252A KR 20180021827 A KR20180021827 A KR 2018002182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ug
- window
- window glass
- holder
- windowpan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4
- 239000005357 flat glas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9
- 241001074085 Scophthalmus aquosu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1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11664 signa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7
- 239000011888 f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730 addi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26 adhesive bo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WYTGDNHDOZPMIW-RCBQFDQVSA-N alstonine Natural products C1=CC2=C3C=CC=CC3=NC2=C2N1C[C@H]1[C@H](C)OC=C(C(=O)OC)[C@H]1C2 WYTGDNHDOZPMIW-RCBQFDQV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4 free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27 ir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7 re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76 sold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41—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allowing different orientations of the cable with respect to the coupling direc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the vehicle front, e.g. structure of the glazing, mounting of the glaz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3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 E05F11/382—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for vehicle windows
- E05F11/385—Fixing of window glass to the carrier of the operating mechanism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8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5—Latching arms not integral with the hous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28—Coupling parts 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only to wire or cabl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engaging or disengaging the two parts of a coupling devic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4—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transparenc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23—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including defroster or demisting means
- B60S1/02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including defroster or demisting means using electrical mea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65—Power or signal transmission
- E05Y2400/654—Power or signal transmission by electrical cab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Bases; Cases formed as an integral body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6—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Surface Heating Bodie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전기 기능 요소(4)가 일체화되어 있는 차량 윈도우(2)의 체결 및 이와의 전기 접촉 설정을 위한 디바이스(1)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디바이스(1)는 차량 윈도우(2) 상에 고정을 위해 구성된 윈도우 어댑터(5)를 포함한다. 디바이스(1)는 윈도우 어댑터(5)를 차체와 결합하기 위해 구성된 윈도우 홀더(8)를 더 포함한다. 디바이스(1)는 윈도우-끼움 커넥터(7)를 더 포함하고, 이는 의도된 조립 상태에서, 차량 윈도우(2) 상에 윈도우-끼움 커넥터(7)를 장착하기 위해 차량 윈도우(2)의 기능 요소(4) 및 윈도우-끼움 커넥터 슈(6)와의 전기 접촉을 설정한다. 디바이스(1)는 기능 요소(4)와 제어 유닛 사이의 전기 접촉을 설정하기 위해 윈도우-끼움 커넥터(7)와 결합되도록 의도된 정합 커넥터(10)를 더 포함한다. 윈도우 어댑터(5) 및 윈도우-끼움 커넥터 슈(6) 뿐만 아니라 윈도우 홀더(8) 및 정합 커넥터(10)를 지지하는 커넥터 홀더(9)는, 윈도우 홀더(8) 상에 윈도우 어댑터(5)를 사용하여 차량 윈도우(2)가 조립될 때, 윈도우-끼움 커넥터(7)가 정합 커넥터(10)에 연결되도록 동적으로 결합된다. 게다가, 윈도우-끼움 커넥터 슈(6) 또는 커넥터 홀더(9) 상에는, 조립 중에 정합 커넥터(10)에 대해 의도된 바와 같은 윈도우-끼움 커넥터(7)의 결합을 위한 결합력을 인가하기 위해 의도되는 탄성 정지 요소(30)가 배열되고, 윈도우-끼움 커넥터(7) 및 정합 커넥터(10)는 의도된 조립 상태에서, 윈도우-끼움 커넥터 슈(6) 또는 커넥터 홀더(9) 상에 유극을 갖고 장착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전기 기능 요소가 일체화되어 있는 차량 윈도우 창유리(pane)의 체결 및 전기 접촉용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모터 차량(motor vehicle)에서, 특히 자동차에서, 전기 기능 요소를 갖는 차량 윈도우 창유리(이하 간략히 "차량 창유리"라 칭함)가 빈번히 사용된다. 이러한 기능 요소는 빈번히 후면 윈도우 창유리에서 대부분의 모터 차량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창유리 히터이다. 정면 윈도우, 및 선택적으로 또한 측면 윈도우를 응결된 그리고 가능하게는 빙결된 습기가 없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창유리 히터가 또한 현대식 차량의 정면 윈도우 및 측면 윈도우에 때때로 사용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창유리 히터에 추가로, 다른 기능 요소가 때때로 윈도우 창유리에 사용된다. 이들은 예를 들어, 층에 인가된 전기 제어 전압의 변화시에, 차량 창유리의 색 변화[흑화(darkening)] 또는 불투명화(opacification)를 야기하는 - 특히, 태양 또는 차량 내로의 바람직하지 않은 주시로부터의 보호의 견지에서 - 소위 "전자 투명(electro transparent)", 특히 전기변색(electrochromic)층이다.
전기 기능 요소는 전력을 제어하고 공급하기 위한 연계된 제어 유닛과의 접촉을 설정하는 것을 규칙적으로 요구한다. 빈번하게, 이 접촉은 예를 들어, 창유리측 플러그를 (제어측) 정합 플러그에 접속함으로써, 차체 상의 각각의 차량 창유리의 조립 후에 개별적으로 착수되거나 또는 창유리측 접속 접점은 제어 유닛의 대응 접점에 고정적으로 접속된다(예를 들어, 납땜에 의해).
본 발명의 목적은 차체 상에 일체형 전기 기능 요소를 갖는 차량 윈도우 창유리의 조립을 간단하게 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을 갖는 디바이스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성취된다.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실시예 및 개량, 때때로 본 발명 자체는 종속항 뿐만 아니라 이하의 설명에 설명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기능 요소가 일체화되어 있는 차량 윈도우 창유리(이하, 간략히 "차량 창유리")의 체결 및 전기 접촉을 위해 사용된다. 디바이스(이하 "체결 디바이스"라 칭함)는 차량 창유리 상에 고정(바람직하게는, 비가역적)을 위해 구성된 창유리 어댑터를 포함한다. 체결 디바이스는 차량의 바디(이하: "차체")와 창유리 어댑터를 결합하기 위해 구성된 창유리 홀더를 더 포함한다. 체결 디바이스는 의도된 조립 상태에서, 차량 창유리의 기능 요소와의 전기 접촉을 설정하는 창유리측 플러그(이하, 간략히: "창유리 플러그")를 더 포함한다. 체결 디바이스는 차량 창유리 상에 창유리 플러그를 장착하기 위해 구성되고 제공되고, 의도된 조립 상태에서, 차량 창유리 상에 직접 또는 간접 부착되는 창유리측 결합 슈(coupling shoe)를 더 포함한다. 더욱이, 체결 디바이스는 제어 유닛과 기능 요소의 전기 접촉을 위해 창유리 플러그에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제공된 정합 플러그를 포함한다. 체결 디바이스는 정합 플러그를 장착하기 위한 플러그 홀더를 더 포함한다. 창유리 어댑터 및 창유리측 결합 슈 뿐만 아니라 창유리 홀더 및 정합 플러그를 지지하는 플러그 홀더는, 차체 상의 차량 창유리의 조립 중에, 즉 창유리 홀더 상에 창유리 어댑터를 사용하여 차량 창유리의 조립 중에, 창유리 플러그가 바람직하게는 정합 플러그에 자동으로(즉, 특히 추가의 작용 없이) 연결되도록 동적으로 결합된다. 또한, 차량 창유리의 조립 중에 정합 플러그와 창유리 플러그의 의도된 결합을 위한 결합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된 탄성 정지 요소가 창유리측 결합 슈 상에 또는 플러그 홀더 상에 배열된다. (차체 상의 차량 창유리의)의도된 조립 상태에서, 창유리측 플러그 및 정합 플러그는 창유리측 결합 슈 상에 또는 플러그 홀더 상에 유극(play)을 갖고(즉, 조립 방향을 따라 적어도 약간 변위가능함) 장착된다(적어도 조립 방향을 따라, 이 조립 방향을 따라 창유리 홀더와 윈도우 창유리가 연결될 것임).
이 유극을 갖는 장착은 특히 탄성 정지 요소에 의해 가능해진다. 유극을 갖는 장착은 따라 바람직하게는, 탄성 정지 요소가 그 위에 배열되어 있는 구성요소(결합 슈 또는 플러그 홀더) 상에서, 의도된 조립 상태에서 항상 행해진다. 달리 말하면, 창유리 플러그는 탄성 정지 요소가 결합 슈 상에 배열되면 결합 슈 상에 유극을 갖고(변위가능하게, "부유식으로") 장착된다(안내된다). 이에 따라, 이 경우에, 정합 플러그는 바람직하게는 플러그 홀더(그와 연계된) 상에 유극 없이, 창유리 플러그 바로 위에 그러나 결합 슈 상에 유극을 갖고 장착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의도된 조립 상태에서 유극을 갖는 장착은 바람직하게는, 탄성 정지 요소가 플러그 홀더 상에 배열되면, 플러그 홀더 상에서 행해진다. 이에 따라, 최종 실시예 변형예에서, 창유리 플러그는 특히 유극 없이 결합 슈 상에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창유리 플러그는 또한 결합 슈 상에 유극을 갖고 차량 창유리(즉, 이것이 아직 차체 상에 설치되지 않았을 때)의 의도된 바와 같이 완전히는 아닌(그러나, 오히려, 부분 조립 상태에서) 조립 상태에서 미리 장착된다(또는,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정합 플러그는 플러그 홀더 상에 유극을 갖고 장착됨).
여기서 그리고 이하에서, 용어 "창유리 플러그" 및 "정합 플러그"는 특히, 한편으로는 전기 접촉을 설정하기 위한 필요 전기 접점, 및 또한 다른 한편으로는 바람직하게는 대응하는 다른 구성요소의 플러그 본체와 매체 기밀, 및 특히 포획 결합(captive coupling)(연결)을 위해 구현된 커넥터 접점을 둘러싸는 플러그 본체를 포함하는, 서로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의미한다. 원리적으로, 본 발명의 맥락에서, 포획 결합은 창유리 플러그와 정합 플러그 사이의(즉, 특히, 이들의 플러그 본체 사이의) 마찰 연결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결합을 분리하기 위해 요구되는 분리력(즉, 플러그 본체 사이에 존재하는 마찰력)은 바람직하게는 차량의 동작 중에 이러한 플러그 상에 일반적으로 작용하는 힘보다 더 크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창유리 플러그 및 정합 플러그는, 이들이 특히 의도된 조립 상태에서 그에 의해 서로 포지티브하게 래치결합되는(positively latched) 대응 래치결합 요소를 갖는다.
결합 슈와 창유리 어댑터의 동적 결합 뿐만 아니라 창유리 홀더와 플러그 홀더의 동적 결합에 기인하여, 차체 상의 차량 창유리의 "블라인드 조립(blind assembly)"이 유리하게 가능해진다. 달리 말하면, 차량 창유리의 조립 중에, 조립자는 창유리 홀더와 창유리 어댑터의 결합에 추가하여, 창유리 플러그가 또한 정합 플러그와 결합하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없고, 대신에 하나의 프로세스 단계에서,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차체 내로 또는 창유리 홀더 내로 창유리를 삽입할 수 있다 - 기능 요소의 전기 접촉이 자동으로(자체로) 발생함. 따라서, 전기 접촉을 위한 부가의 프로세스 단계가 제거되고, 이에 의해 차량 창유리의 조립이 간단화된다.
창유리 플러그와 그와 결합된 정합 플러그가 의도된 조립 상태에서 유극을 갖고 장착된다는 사실에 기인하여, 차량의 동작 중에(예를 들어, 특히 불균일한 울퉁불퉁한 도로 상에서 주행하는 동안), 제조 공차에 기인하여 빈번히 회피불가능한 차량 창유리와 창유리 홀더 사이의 상대 이동이 정합 플러그 또는 창유리 플러그의 전기 접속 접점에 전달되지 않는 것이 또한 유리하게 방지된다. 대신에, 이러한 상대 이동 중에, 서로 결합된 플러그(즉, 창유리 플러그 및 정합 플러그)는 결합 슈(또는 플러그 홀더)를 따라 함께 이동한다. 따라서, 전기 접점의 마모 뿐만 아니라 정합 플러그로부터 창유리 플러그의 바람직하지 않은 분리가 유리하게 회피되고, 따라서 차량 창유리 내에 일체화된 기능 요소의 기능 신뢰성이 증가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탄성 정지 요소는 특히 결합 슈 상에 배열된다. 달리 말하면, 의도된 조립 상태에서, 창유리 플러그(및 그에 결합된 정합 플러그)는 결합 슈 상에 유극을 갖고 장착된다. 결합 슈는 바람직하게는, 조립 방향을 따라 배향되고 창유리 플러그(바람직하게는 심지어 부분 조립 상태에서)가 조립 방향을 따라 변위가능하게 배열되어 있는 "가이드 슬리브"의 유형으로서 구현된다. 탄성 정지 요소는 차량 창유리를 향한 방향에서 창유리 플러그의 변위 경로를 제한하는 정지부를 형성하는데, 이 정지부에 대해 창유리 플러그가 정합 플러그와의 결합 중에 연장한다. 달리 말하면, 창유리 플러그는 조립 중에 정합 플러그에 의해 이 정지부에 대해 변위된다. 따라서, 정합 플러그와 창유리 플러그를 결합하기 위해 요구되는 결합력이 생성된다.
적합한 실시예에서, 탄성 정지 요소는, 정합 플러그와 창유리 플러그의 의도된 결합을 위해 요구된 결합력이 차체 상의 차량 창유리의 의도된 조립 상태를 성취하도록 요구된 조립력보다 작도록 구현된다. 달리 말하면, 탄성 정지부는 특히, 차량 창유리의 조립 중에, 초기에, 정합 플러그와 창유리 플러그의 의도된 결합을 위한 결합력이 탄성 정지 요소에 대해 소비되어야 하고, 그 후에 - 차량 창유리의 의도된 조립 상태를 형성하기 위해 - 결합력을 초과하는 조립력이 극복되어야 하도록 구현된다. 이 조립력은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변형에 대한 탄성 정지 요소의 저항으로부터 발생한다. 따라서, 차량 창유리가 차체 상에 의도된 바와 같이 설치되기 전에 창유리 플러그 및 정합 플러그가 의도된 바와 같이 결합되는 것이 유리하게 성취된다. 따라서, 차량 창유리의 의도된 조립 상태에서 창유리 플러그가 정합 플러그에 단지 부적절하게 결합되는 것을 회피하는 것이 간단한 방식으로 가능하다.
특히 적합한 실시예에서, 창유리 어댑터 및 창유리 홀더는, 요구된 조립력이 도달될 때, 창유리 어댑터와 창유리 홀더 사이의 래치결합(즉, 포지티브 결합)이 구현되도록 설계된다. 이를 위해, 창유리 어댑터 및 창유리 홀더는 바람직하게는 조립력이 도달될 때 서로 포지티브하게 래치결합하는 대응 래치결합 요소를 갖는다. 예를 들어, 래치결합을 위해 요구된 조립력은 이 경우에 래치결합 요소의 구조적 디자인으로부터, 즉 이동에 대한 래치결합 요소의 저항으로부터 발생한다. 대안적으로, 조립력은 탄성 정지 요소의 저항에,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래치결합 요소 및 탄성 정지 요소의 저항의 조합에 기초한다.
차체 상의 차량 창유리의 조립 중에 의도된 조립 상태의 간단한 모니터링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탄성 정지 요소는 유리한 실시예에서, 차체 상의 차량 창유리의 의도된 조립 상태를 신호화하기 위한 음향 및/또는 햅틱 피드백(특히, 차량 창유리의 조립자로의)을 방출하도록 구성되고 제공된다. 음향 피드백은 바람직하게는 크래킹(cracking) 또는 클릭킹 사운드(clicking sound)이다. 햅틱 피드백은 예를 들어, 조립 중에 발생하는 대향력의 후속의 상당한 감소를 갖고 요구된 조립력이 도달될 때 발생하는 부하 피크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탄성 정지 요소는, 차체 상의 차량 창유리의 의도된 조립 상태에서, 창유리 플러그 뿐만 아니라 정합 플러그(특히, 결합 슈 상의)의 유극을 갖는 장착이 적어도 대략 1 내지 3 mm의 구역에서 차량 창유리의 조립 방향을 따라 힘이 없도록(즉, 무시할만한 마찰 기반 힘 성분으로 감소함) 구현된다. 달리 말하면, 탄성 정지 요소는 의도된 조립 위치에서 창유리 플러그 및 그와 결합된 정합 플러그가 없어(따라서 그로부터 "결합해제됨"), 의도된 조립 상태에서 정합 플러그와 창유리 플러그가 차량 창유리의 방향으로 그리고 그로부터 이격하여, 특히 대략 1 mm 내지 3 mm의 유극을 갖고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특히, 차량 창유리의 조립 방향을 따라 디자인 관련 방식으로, 의도된 조립 상태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차량 창유리와 창유리 홀더 사이의 상대 이동의 경우에, 어떠한 힘도 창유리 플러그와 정합 플러그 사이의 연결부 상에 인가되지 않는다.
원리적으로 본 발명의 맥락에서 인식가능한 실시예에서, 탄성 정지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결합 슈에(또는, 선택적으로 플러그 홀더에) 단일편으로(사출 성형 기술을 사용하여)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핀형(pin-like) 돌출부이고, 요구된 조립력이 도달될 때, 결합 슈(또는 플러그 홀더)로부터 파단되어 따라서 돌출부에 의해 원래 형성된 정지부를 넘어 창유리 플러그의(뿐만 아니라 그에 결합된 정합 플러그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조적으로 설계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그러나, 탄성 정지 요소는 스프링이다. 스프링의 사용은, 특히 차량 창유리가 예를 들어 손상에 기인하여 교체되어야 하면, 결합력 뿐만 아니라, 선택적으로 조립력의 반복적인 인가를 유리하게 가능하게 한다.
의도된 조립 상태에서, 창유리 플러그 및 그와 결합된 정합 플러그가 결합 슈 내에(또는, 선택적으로, 플러그 홀더 상에) 힘이 없이 장착되면 특히 유리한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스프링은 특히 쌍안정성이다. 여기서, "쌍안정성"이라는 것은, 스프링이 각각의 경우에 조립 방향을 따라 상이한 위치를 취하는 2개의 안정한 상태를 갖는 것을 의미한다. 스프링은 특히, 대략 "클릭킹 프로그(clicking frog)"와 같이 구현된다. 그 제1 상태에서, 스프링은 바람직하게는 정합 플러그와 창유리 플러그를 결합하기 위한 전술된 정지부를 형성하도록 결합 슈 상에(또는, 선택적으로, 플러그 홀더 상에) 배열된다. 이 제1 스프링 위치에서, 차량 창유리의 조립 중에, 창유리 플러그(또는, 선택적으로, 정합 플러그)는 결합력이 형성되도록 스프링에 대해 연장한다. 따라서, 이 제1 스프링 위치는 또한 "정지 위치"라 칭한다. 조립력(정합 플러그와 결합된 창유리 플러그로부터 스프링으로 전달됨)이 도달될 때, 스프링은 그 제2 상태로, 및 따라서 제2 스프링 위치(또한 "해제 위치"라 칭함)로 갑자기 변경한다. 이 해제 위치에서, 스프링은 특히, 2개의 플러그가 유극을 갖고 장착되도록 창유리 플러그 및 그와 결합된 정합 플러그로부터 결합해제된다. 스프링이 결합 슈 상에 배열될 때, 이는 정지 위치에서보다 차량 창유리로부터 적은 거리로 해제 위치에 적합하게 배열된다. 적합하게는, 스프링은 특히 정지 위치에서 창유리 플러그 또는 정합 플러그를 향해 아치형성되고 해제 위치로 이들로부터 이격하여 아치형성된 후프형 또는 요크형 만곡된(아치형성된) 스프링 스트립으로서 구현된다.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갑작스런 변경시에, 스프링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음향 피드백으로서 클릭킹 프로그와 같은 클릭킹 사운드를 방출한다.
적합한 실시예에서, 창유리 어댑터는 창유리측 결합 슈에 일체로 연결되고, 창유리 홀더는 정합 플러그를 위한 플러그 홀더에 일체로 연결된다. 특히, 이들은 각각의 경우에 사출 성형 기술로 제조된 플라스틱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각각의 경우에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만이 차량 창유리 상에 또는 차체 상에 체결되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추가의 조립 노력이 경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인식가능한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창유리 어댑터 및 결합 슈 뿐만 아니라 창유리 홀더 및 플러그 홀더는 차량 창유리 또는 인접한 바디 구성요소를 사용하여 조립 중에 각각의 경우에 서로로부터 분리된 그리고 (동적으로) 서로 결합된 구성요소로서 구현된다.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창유리 어댑터 및 결합 슈 뿐만 아니라 창유리 홀더 및 플러그 홀더는 마찬가지로 각각 개별적으로 구현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 창유리 어댑터는 바람직하게는 결합 슈에 연결을 위한 연결 수단을 갖고, 대응적으로, 창유리 홀더는 전기 기능 요소를 갖지 않는 차량 창유리에 대해, 단지 창유리 어댑터 및 창유리 홀더만이 사용될 수 있도록 플러그 홀더에 연결을 위한 연결 수단을 갖는다. 전기 기능 요소를 갖는 차량 창유리에 있어서, 창유리 어댑터 및 창유리 홀더는 각각의 경우에 결합 슈(창유리 플러그가 그 내에 장착되어 있음) 또는 플러그 홀더(정합 플러그가 그 위에 장착되어 있음)에 의해 적합하게 증강된다.
다른 적합한 실시예에서, 의도된 조립 상태(및 바람직하게는 또한 의도된 "예비조립 상태", 즉 단지 창유리 플러그만이 차량 창유리 상에 설치되어 있음)에서 창유리 플러그는 창유리 플러그와 차량 창유리 사이의 상대 이동이 가능하도록 차량 창유리의 기능 요소와 전기적으로 접촉된다. 이는 창유리 플러그가 (창유리측) 결합 슈 내에 유극을 갖고 장착될 때 특히 유리하다. 기능 요소와 창유리 플러그의 접촉은, 창유리 플러그와 차량 창유리 사이의 상대 이동에 의해, 창유리 플러그와 기능 요소 사이의 접촉점에 대한 힘 영향 또는 이들 접촉점의 마모가 회피되거나 억제되도록 유리하게 설계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를 위해, 차량 창유리의 기능 요소는 "편평 컨덕터"라 칭하는 포일로 제조된 컨덕터와 접촉된다. 이 포일 컨덕터는 특히 창유리 플러그와 접촉을 위한 층으로서 구현된 복수의 컨덕터 트랙을 구비한다. 적합하게는, 이 포일 컨덕터는 적어도 "처짐 로프"와 같이, "처짐 길이"가 창유리 플러그와 차량 창유리 사이의 상대 이동을 보상하기 위해 형성되도록 차량 창유리와 창유리 플러그 사이에 사행형으로 적어도 1회 절첩된다. 포일 컨덕터는 이어서 바람직하게는 창유리 플러그 상에 "제로-삽입력 커넥터"에 의해 안내된다. 대안적으로, 창유리 플러그의 접속 접점은 포일 컨덕터의 컨덕터 트랙에 고정적으로 연결되는데, 특히 납땜된다. 포일 컨덕터는 예를 들어, 기능 요소에 분리불가능하게 연결된다(예를 들어, 납땜되거나 도전적으로 접착됨). 대안적으로, 포일 컨덕터 또는 상이한 유형의 접속 케이블이 창유리 어댑터에 부유식으로 연결된 접점 홀더 내에서 창유리측에서 고정된다. 이 접점 홀더는 바람직하게는 접점 홀더에 의해 기능 요소 상에, 특히 그 전기 도전성 구성요소 상에 가압되는 가요성 스프링 접점을 갖는다. 창유리 어댑터로의 접점 홀더의 부유 접속은, 접촉력이 접촉 스프링과 기능 요소 사이에 인가되지만, 동시에 접점 홀더가 창유리 어댑터와 차량 창유리 또는 포일 컨덕터(또는 접속 케이블) 사이의 이동에 의해, 이 접촉력에 대해 적어도 횡방향으로 거의 완전히 결합해제되도록 유리하게 설계된다.
다른 적합한 실시예에서, 창유리 어댑터 및/또는 창유리 홀더는 조립 중에 창유리 홀더에 대해 창유리 어댑터를 중심설정하기 위한 하나 또는 복수의 맞접 경사면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웨브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창유리 어댑터는 특히, 각각의 경우에 창유리 홀더가 조립 중에 그 사이에 삽입되어 조립 방향에 횡방향에서 유극을 제한하는 맞접 경사면을 갖는 2개의 가이드 웨브를 갖는다. 창유리 홀더는 2개의 가이드 웨브의 맞접 경사면에 상보형인 인입 경사면(lead-in incline)을 갖는다. 더욱이, 결합 슈는 바람직하게는 또한 조립 중에 정합 플러그를 중심설정하기 위한 인입 경사면을 갖는다. 맞접 경사면 또는 인입 경사면 뿐만 아니라 가이드 웨브에 의해, 플러그 홀더와 창유리 홀더 또는 결합 슈와 창유리 어댑터의 동적 결합의 제조 관련 공차가 유리하게 보상되고, 따라서 블라인드 조립이 더 용이해진다.
원리적으로, 본 발명의 맥락에서, 차량 창유리는 차량의 앞유리(windshield) 또는 후면 윈도우일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윈도우 창유리는 조정가능한 측면 윈도우 창유리이다. 이 경우에,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창유리 홀더는 차체와, 특히 차량의 윈도우 승강기 기구와 차량 창유리의 이동가능한(특히, 변위가능한) 결합을 위해 구성되고 제공된다. 창유리 홀더는 바람직하게는 의도된 조립 상태에서, 윈도우 승강기 기구의 부분을 형성하는 가이드 요소(또한 "창유리 캐리어"라 칭함)이다. 창유리 홀더는 이 경우에, 특히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차량 창유리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비조립 상태에서 차량 윈도우 창유리를 체결하고 전기 접촉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개략 사시도로 도시한다.
도 2는 의도된 조립 상태에서 디바이스를 도 1에 따른 개략 사시도로 도시한다.
도 3은 제1 조립 단계에서 디바이스를 부분 파단 개략 평면도로 도시한다.
도 4는 제2 조립 단계에서 디바이스를 도 3에 따른 개략 평면도로 도시한다.
도 5는 제3 조립 단계에서 디바이스를 도 3에 따른 개략 평면도로 도시한다.
도 6은 의도된 조립 상태에서 디바이스를 도 3에 따른 개략 평면도로 도시한다.
도 7은 디바이스를 도 6에 따른 VII-VII 단면도로 도시한다.
도 8 및 도 9는 각각의 경우에, 대안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2개의 구성요소를 개략 평면도로 도시한다.
대응 부분은 항상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구비한다.
도 1은 비조립 상태에서 차량 윈도우 창유리를 체결하고 전기 접촉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개략 사시도로 도시한다.
도 2는 의도된 조립 상태에서 디바이스를 도 1에 따른 개략 사시도로 도시한다.
도 3은 제1 조립 단계에서 디바이스를 부분 파단 개략 평면도로 도시한다.
도 4는 제2 조립 단계에서 디바이스를 도 3에 따른 개략 평면도로 도시한다.
도 5는 제3 조립 단계에서 디바이스를 도 3에 따른 개략 평면도로 도시한다.
도 6은 의도된 조립 상태에서 디바이스를 도 3에 따른 개략 평면도로 도시한다.
도 7은 디바이스를 도 6에 따른 VII-VII 단면도로 도시한다.
도 8 및 도 9는 각각의 경우에, 대안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2개의 구성요소를 개략 평면도로 도시한다.
대응 부분은 항상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구비한다.
도 1은 단지 부분적으로만 도시되어 있는 차량 윈도우 창유리[이하, 간략히 "차량 창유리(2)"라 칭함]의 체결을 위한 디바이스[이하, "체결 디바이스(1)"라 칭함]를 도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 창유리(2)는 (전기) 윈도우 승강기에 의해 변위가능한 차량의 (측면) 도어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차량의 측면 창유리이다. 기능 요소(4)[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차량 창유리(2)의 가변 흑화를 위한 전기변색층]가 2개의 창유리 요소(3) 사이에 샌드위치형으로 차량 창유리(2) 내에 일체화된다. 체결 디바이스(1)는 이 경우에 차량의 도어 내에 차량 창유리(2)를 기계적으로 결합하는 것과 그와 연계된 제어 유닛과 기능 요소(4)의 전기 접촉의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체결 요소(1)는 2개의 조립체를 포함하고, 그 중 하나의 조립체는 차량 창유리(2)와 연계되고, 다른 조립체는 차체, 특히 윈도우 승강기와 연계된다.
창유리측 조립체는 도 1에 도시된 부분 조립된 상태에서, 차량 창유리(2)에 고정 연결되는(특히, 접착제 접합에 의해) "창유리 어댑터(5)"라 칭하는 요소를 포함한다. 게다가, 창유리측 조립체는 창유리 플러그(7)(마찬가지로 창유리측 조립체와 연계됨)를 위한 "결합 슈(6)"라 칭하는 가이드 하우징을 포함한다. 윈도우 승강기측 조립체는 차량 창유리(2)를 유지하고 윈도우 승강기로부터 차량 창유리(2)로 힘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창유리 캐리어(8)"(또는 또한 "창유리 홀더")라 칭하는 유지 요소를 포함한다. 더욱이, 윈도우 승강기측 조립체는 플러그 홀더(9) 뿐만 아니라 플러그 홀더(9) 내에 배열되고 "정합 플러그(10)"라 칭하는 플러그를 포함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플러그 홀더(9)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사출 성형된 구성요소로서 창유리 캐리어(8)와 단일편으로 제조된다. 마찬가지로, 창유리 어댑터(5)는 사출 성형 기술을 사용하여 플라스틱 구성요소로서 결합 슈(6)와 단일편으로 구현된다.
창유리 어댑터(5)와 창유리 홀더(8) 사이의 기계적 결합을 위해, 창유리 어댑터(5)는 "래치결합 구멍(12)"이라 칭하는 개구를 갖는다. 창유리 캐리어(8)는 기계적 결합을 위해, 서로 대향하여 갈고리형으로 위치되고, 도 2에 따른 의도된 조립 상태에서, 그 상부측 및 하부측에서 창유리 어댑터(5)를 둘러싸는 하부 부분(14) 및 상부 부분(16)을 갖는다. 도 2에 따른 의도된 조립 상태에서, 창유리 어댑터(5)의 래치결합 구멍(12)에 맞물리는 래치결합 돌출부(18)가 상부 부분(16) 상에 구현된다. 조립을 위해, 차량 창유리(2)는 창유리 캐리어(8)의 하부 부분(14)과 상부 부분(16) 사이에서 조립 방향(20)을 따라 창유리 어댑터(5)와 함께 삽입된다. 래치결합 돌출부(18)는 창유리 어댑터(5) 상에 창유리 캐리어(8)를 분리에 대해 래치결합하는 역할을 한다. 창유리 캐리어(8) 내로의 창유리 어댑터(5)의 삽입 경로를 제한하기 위해, 정지 숄더(22)가 창유리 캐리어(8) 상에 구현된다.
차량 창유리(2)의 조립 중에, 창유리 캐리어(8)를 창유리 어댑터(5)와, 특히 래치결합 돌출부(18)를 래치결합 구멍(12)과 정렬하기 위해, 2개의 가이드 웨브(24)가 창유리 어댑터(5) 상에 배열되고, 이들은 조립 중에 창유리 캐리어(8)를 조립 방향(20)으로 안내하기 위해 상부 부분(16) 상에 측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면(26)과 협동한다. 조립을 간단화하기 위해, 가이드 웨브(24) 사이의 중간 공간은 창유리 캐리어(8)에 대면하는 가이드 웨브(24)의 단부 상에 배열된 맞접 경사면(27)에 의해 깔때기형으로 팽창된다. 상부 부분(16)은, 창유리 캐리어(8) 내로의 창유리 어댑터(5)의 삽입 중에, 조립 방향(20)에 횡방향의 약간의 오정렬이 보상될 수 있도록, 대응적으로 구현된 인입 경사면을 그 자유 단부에 갖는다.
플러그 홀더(9)와 창유리 캐리어(8)의 또는 결합 슈(6)와 창유리 어댑터(5)의 단일편 디자인의 결과로서, 그와 연계된 제어 유닛과 기능 요소(4)의 자동 접촉이 차량 창유리(2)의 조립 중에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 차량 창유리(2)의 조립 중에, 정합 플러그(10) 및 창유리 플러그(7)는 서로 자동으로 결합되고(즉, 조립자의 추가의 작용 없이), 전기 접촉이 구현된다. 조립의 추가의 간단화를 위해, 인입 경사면을 갖는 2개의 가이드 웨브(28)가 또한 결합 슈(6) 상에 구현된다 - 도 1 및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2에 따른 의도된 조립 상태에서, 특히 마모를 억제하기 위해, 창유리 플러그(7)의 그리고 정합 플러그(10)의 접속 접점에 대한 조립 방향(20)에 평행한 창유리 캐리어(8)와 차량 창유리(2) 사이의 상대 이동의 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해, 창유리 플러그(7)는 조립 방향(20)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즉 유극을 갖고 결합 슈(6) 내에 장착된다. 따라서, 의도된 조립 상태에서, 창유리 플러그(7)와 결합된 정합 플러그(10)는 또한 결합 슈(6)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차량 창유리(2)의 조립 중에 정합 플러그(10)와 창유리 플러그(7)의 포획 결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차량 창유리(2)의 조립 중에, 쌍안정성 스프링(30)의 형태의 탄성 정지 요소가 결합 슈(6) 내에 배열된다(도 3 참조). 쌍안정성 스프링(30)은, 후프형 아치형 스프링(30)이 창유리 플러그(7)의 방향에서 조립 방향(20)을 따라 전방으로 아치형성되어 있는 "정지 위치(32)"라 칭하는 그 제1 (안정한) 스프링 상태를 갖는다(도 3 참조). 그 제2 스프링 상태에서, 스프링(30)은, 차량 창유리(2)의 방향으로 아치형성되어 있는 "해제 위치(34)"라 칭하는 스프링 위치를 취한다(도 5 참조).
이제, 차량 창유리(2)의 조립 중에, 제1 조립 단계에서(도 3 참조), 창유리 어댑터(5)는 창유리 캐리어(8)의 하부 부분(14)과 상부 부분(16) 사이에 삽입되고 가이드 웨브(24)에 의해, 프로세스에서 중심설정된다. 정합 플러그(10)가 그 위에 배열되어 있는 플러그 홀더(9)는 또한 그 위의 가이드 웨브(28)에 의해 결합 슈(6)에 대해 중심설정되고 창유리 플러그(7)는 정합 플러그(10)와 접촉하게 된다. 창유리 캐리어(8) 내로의 차량 창유리(2) 또는 창유리 어댑터(5)의 추가의 삽입 중에, 창유리 플러그(7)가 숄더(36)(후방에 배열됨)와 함께 스프링(30)에 대해 연장할(즉, 이를 타격할) 때까지, 창유리 플러그(7)는 조립 방향(20)을 따라 더 멀리 정합 플러그(10)에 의해 결합 슈(6) 내에 삽입된다 - 결합 슈(6) 내에 이동가능하게 안내됨 -. 저항은 스프링(30)에 의해 창유리 플러그(7) 상에 인가되어[차량 창유리(2)의 추가의 삽입시에], 창유리 플러그(7)가 래치결합 요소(상세히 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의해 정합 플러그(10)에 래치결합되는 사실을 야기한다. 스프링(30)에 대해 인가될 창유리 플러그(7)를 정합 플러그(10)에 래치결합하기 위해 요구되는 힘은 또한 "결합력"이라 칭한다. 결합력은 정지 위치(32)로부터 해제 위치(34)로 스프링(30)을 갑자기 변경하는데 요구되는 힘보다 작다.
스프링(30)의 정지 위치(32)는 창유리 캐리어(8)의 래치결합 돌출부(18)가 창유리 어댑터(5)의 래치결합 구멍(12) 내로 아직 잠금할 수 없도록 선택된다. 따라서, 차량 창유리(2)의 조립 중에, 차량 창유리(2)가 창유리 캐리어(8) 내에 의도된 바와 같이 고정되기 전에, 정합 플러그(10)와 창유리 플러그(7)의 결합 및 따라서 연계된 제어 유닛과 기능 요소(4)의 전기 접촉이 먼저 발생하는 것이 유리하게 성취된다. 따라서, 윈도우 창유리(2)가 의도된 바와 같이 래치결합될 때, 기능 요소(4)의 전기 접촉이 미리 발생되는 것이 보장된다.
차량 창유리(2)의 의도된 조립을 위해, 창유리는 따라서 정합 플러그(10)와 창유리 플러그(7)의 결합 후에, 스프링(30)을 갑자기 변경하기 위해 필요한 힘이 초과될 때까지, 창유리 플러그(7)의 숄더(36)가 스프링(30)에 대해 더 멀리 가압되도록 창유리 캐리어(8)의 방향으로 더 멀리 압박된다. 스프링(30)은 그 정지 위치(32)로부터 해제 위치(34)로 갑자기 변경되고, 창유리 플러그(7) 뿐만 아니라 창유리 캐리어(8)는 조립 방향(20)을 따라 더 멀리 이동하는데, 래치결합 구멍(12)과 래치결합 돌출부(18)의 래치결합이 이어서 발생한다(도 5 및 도 2 참조).
도 6에서 식별가능한 바와 같이, 차량 창유리(2)의 의도된 조립 상태에서, 해제 위치(34)로의 스프링(30)의 갑작스런 변경에 의해, 차량 창유리(2)와 창유리 캐리어(8) 사이의 상대 이동이 창유리 플러그(7)와 정합 플러그(10) 사이의 접속에 영향 없이 잔류하도록 조립 방향(20)을 따라 숄더(36)와 스프링(30) 사이에 유극이 존재한다.
윈도우 창유리(2)의 조립 중에, 창유리 플러그(7)가 스프링(30)에 대해 놓일 때까지 초기에 거의 상승하지 않는 힘-변위 곡선이 생성된다. 다음에, 추가의 조립을 위해 인가될 힘은, 창유리 플러그(7)가 정합 플러그(10)와 초기에 맞물릴 때까지 증가한다. 그래서, 힘은 이후에(조립력에 도달시에) 스프링(30)이 갑자기 변경할 때까지 더 증가하고, 이 때 창유리 어댑터(5)는 또한 창유리 캐리어(8)와 맞물린다. 스프링(30)이 갑자기 변경할 때, 이는 더욱이 클릭킹 프로그와 같이, 조립자로의 차량 창유리(2)의 의도된 조립의 신호를 갖는 음향 피드백, 구체적으로 클릭킹 사운드를 방출한다.
차량 창유리(2)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창유리 플러그(7)를 장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창유리 플러그(7)는 기능 요소(4)와 이동가능하게 접촉된다. 이를 위해, 기능 요소(4)는 창유리 요소(3) 사이에 차량 창유리(2) 외로 라우팅되는 포일 컨덕터(40)와 접촉된다. 창유리 플러그(7)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포일 컨덕터(40)는 "처짐 길이"(처짐 로프와 같이)가 보유되도록 사행형으로 절첩된다. 구체적으로 "제로-삽입력-커넥터"를 형성하는 어댑터편(42)에 의해, 포일 컨덕터(40)는 창유리 플러그(7) 내에 배열된 접속 접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기계적 영향 뿐만 아니라 환경 영향, 특히 습기에 대해 포일 컨덕터(40)를 보호하기 위해, 캡(44)은 결합 슈(6)의 연장시에, 창유리측 조립체에, 구체적으로 결합 슈(6)에 연결된다. 이 캡(44)은 차량 창유리(2)와 포일 컨덕터(40)를 밀봉식으로 덮는다.
도 8 및 도 9는 체결 디바이스(1), 특히 창유리측 조립체 뿐만 아니라 윈도우 승강기측 조립체의 대안적인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양 경우에, 전기 접속과 연계된 각각의 조립체의 구성요소는 기계적 접속에 대해 언급된 구성요소와는 별개로 구현된다. 달리 말하면, 창유리 어댑터(5)는 결합 슈(6)[뿐만 아니라 그 위에 배열된 캡(44)]와는 별개로 구현된다. 그러나, 창유리 어댑터(5) 및 결합 슈(6)는 그에 의해 이들이 서로 연결될 수 있는(도 8 참조) 서로 상보형 연결 요소(50)(개략적으로 지시되어 있음)를 갖는다. 도 9로부터 식별가능한 바와 같이, 윈도우 승강기측 조립체는 이에 따라 구현된다. 달리 말하면, 창유리 캐리어(8)는 플러그 홀더(9)와는 별개로 구현되고, 양자 모두는 각각의 경우에 창유리 캐리어(8)와 플러그 홀더(9)의 선택적 결합을 위한 서로 상보형 연결 요소(52)(개략적으로 지시되어 있음)를 갖는다.
본 발명의 주제는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대조적으로, 통상의 기술자는 상기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유도할 수 있다. 특히,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개별 특징 및 이들의 변형 실시예는 또한 서로 다양하게 조합될 수 있다.
1: 체결 디바이스
2: 차량 창유리
3: 창유리 요소 4: 기능 요소
5: 창유리 어댑터 6: 결합 슈
7: 창유리 플러그 8: 창유리 캐리어
9: 플러그 홀더 10: 정합 플러그
12: 래치결합 구멍 14: 하부 부분
16: 상부 부분 18: 래치결합 돌출부
20: 조립 방향 22: 정지 숄더
24: 가이드 웨브 26: 가이드면
27: 맞접 경사면 28: 가이드 웨브
30: 스프링 32: 정지 위치
34: 해제 위치 36: 숄더
40: 포일 컨덕터 42: 어댑터편
44: 캡 50: 연결 요소
52: 연결 요소
3: 창유리 요소 4: 기능 요소
5: 창유리 어댑터 6: 결합 슈
7: 창유리 플러그 8: 창유리 캐리어
9: 플러그 홀더 10: 정합 플러그
12: 래치결합 구멍 14: 하부 부분
16: 상부 부분 18: 래치결합 돌출부
20: 조립 방향 22: 정지 숄더
24: 가이드 웨브 26: 가이드면
27: 맞접 경사면 28: 가이드 웨브
30: 스프링 32: 정지 위치
34: 해제 위치 36: 숄더
40: 포일 컨덕터 42: 어댑터편
44: 캡 50: 연결 요소
52: 연결 요소
Claims (11)
- 적어도 하나의 전기 기능 요소(4)가 일체화되어 있는 차량 윈도우 창유리(2)의 체결 및 전기 접촉용 디바이스(1)이며,
- 상기 차량 윈도우 창유리(2) 상에 고정을 위해 구성된 창유리 어댑터(5)를 갖고,
- 상기 창유리 어댑터(5)를 차체와 결합하기 위해 구성된 창유리 홀더(8)를 갖고,
- 의도된 조립 상태에서, 상기 차량 윈도우 창유리(2)의 기능 요소(4)와 전기 접촉을 설정하는 창유리측 플러그(7)를 갖고,
- 상기 차량 윈도우 창유리(2) 상에 상기 창유리측 플러그(7)를 장착하기 위한 창유리측 결합 슈(6)를 갖고,
- 제어 유닛과 상기 기능 요소(4)의 전기 접촉을 위해 상기 창유리측 플러그(7)와 결합되도록 구성된 정합 플러그(10)를 갖고,
상기 창유리 어댑터(5) 및 상기 창유리측 결합 슈(6) 뿐만 아니라 창유리 홀더(8) 및 상기 정합 플러그(10)를 지지하는 플러그 홀더(9)는, 상기 창유리 홀더(8) 상에 창유리 어댑터(5)를 사용하여 상기 차량 윈도우 창유리(2)의 조립 중에, 상기 창유리측 플러그(7)가 상기 정합 플러그(10)에 연결되도록 동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창유리측 결합 슈(6) 상에 또는 상기 플러그 홀더(9) 상에는, 조립 중에 상기 정합 플러그(10)와 상기 창유리측 플러그(7)의 의도된 결합을 위한 결합력을 인가하기 위해 구성되는 탄성 정지 요소(30)가 배열되고, 상기 창유리측 플러그(7) 및 상기 정합 플러그(10)는 의도된 조립 상태에서, 상기 창유리측 결합 슈(6) 또는 상기 플러그 홀더(9) 상에 유극을 갖고 장착되는, 디바이스(1).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정지 요소(30)는, 상기 정합 플러그(10)와 상기 창유리측 플러그(7)의 의도된 결합을 위한 결합력이 차체 상의 상기 차량 윈도우 창유리(2)의 의도된 조립 상태를 성취하도록 요구된 조립력보다 작도록 구현되는, 디바이스(1).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창유리 어댑터(5) 및 상기 창유리 홀더(8)는 요구된 조립력의 성취시에, 상기 창유리 어댑터(5)와 상기 창유리 홀더(8) 사이의 래치결합이 구현되도록 설계되는, 디바이스(1).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정지 요소(30)는 차체 상의 상기 차량 윈도우 창유리(2)의 의도된 조립 상태를 신호화하기 위한 음향 및/또는 햅틱 피드백을 방출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1).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정지 요소(30)는, 차체 상의 상기 차량 윈도우 창유리(2)의 의도된 조립 상태에서, 상기 창유리측 플러그(7)와 상기 정합 플러그(10)의 유극을 갖는 장착이 상기 차량 윈도우 창유리(2)의 조립 방향(20)을 따른 힘을 사실상 갖지 않도록 구현되는, 디바이스(1).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요소는 스프링(30)인, 디바이스(1).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30)은 쌍안정성인, 디바이스(1).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창유리 어댑터(5)는 상기 창유리측 결합 슈(6)에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창유리 홀더(8)는 상기 정합 플러그(10)를 위한 플러그 홀더(9)에 일체로 연결되는, 디바이스(1). -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창유리측 플러그(7)는 의도된 조립 상태에서, 상기 차량 윈도우 창유리(2)와 상기 창유리측 플러그(7) 사이의 상대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차량 윈도우 창유리(2)의 기능 요소(4)와 전기 접촉을 설정하는, 디바이스(1). -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창유리 어댑터(5) 및/또는 상기 창유리 홀더(8)는 조립 중에 상기 창유리 홀더(8)에 대해 상기 창유리 어댑터(5)를 중심설정하기 위한 하나 또는 복수의 맞접 경사면(27)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웨브(24)를 갖는, 디바이스(1). -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창유리 홀더(8)는 차체와 상기 차량 윈도우 창유리(2)의 이동가능한 결합을 위해 구성되는, 디바이스(1).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DE102015214377.5 | 2015-07-29 | ||
DE102015214377.5A DE102015214377A1 (de) | 2015-07-29 | 2015-07-29 | Vorrichtung zur Befestigung und elektrischen Kontaktierung einer Fahrzeug-Fensterscheibe |
PCT/EP2016/064572 WO2017016766A1 (de) | 2015-07-29 | 2016-06-23 | Vorrichtung zur befestigung und elektrischen kontaktierung einer fahrzeug-fensterscheib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21827A true KR20180021827A (ko) | 2018-03-05 |
KR102020864B1 KR102020864B1 (ko) | 2019-09-11 |
Family
ID=56203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7002252A KR102020864B1 (ko) | 2015-07-29 | 2016-06-23 | 차량 윈도우의 체결 및 차량 윈도우와의 전기 접촉 설정을 위한 디바이스 |
Country Status (14)
Country | Link |
---|---|
US (2) | US10230195B2 (ko) |
EP (1) | EP3329077B1 (ko) |
JP (1) | JP6538885B2 (ko) |
KR (1) | KR102020864B1 (ko) |
CN (1) | CN106716738B (ko) |
BR (1) | BR112017021480B1 (ko) |
CA (1) | CA2980126C (ko) |
DE (1) | DE102015214377A1 (ko) |
EA (1) | EA033329B1 (ko) |
ES (1) | ES2787774T3 (ko) |
HU (1) | HUE050185T2 (ko) |
MX (1) | MX2018001169A (ko) |
PL (1) | PL3329077T3 (ko) |
WO (1) | WO2017016766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14104418A1 (de) * | 2014-03-28 | 2015-10-01 | Küster Holding GmbH | Elektrisch schaltbare Kraftfahrzeugverglasung |
DE102015214377A1 (de) | 2015-07-29 | 2017-02-02 |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 Vorrichtung zur Befestigung und elektrischen Kontaktierung einer Fahrzeug-Fensterscheibe |
WO2017029253A1 (de) * | 2015-08-14 | 2017-02-23 | Saint-Gobain Glass France | Baueinheit mit scheibenträger für fahrzeugscheibe |
CN109070704B (zh) * | 2016-04-27 | 2021-10-08 | Agc株式会社 | 窗构件及车辆用窗玻璃 |
DE202016106541U1 (de) * | 2016-11-23 | 2016-12-15 | Oelschläger Metalltechnik GmbH | Steuerkasten mit Kabelzugentlastung |
DE102018107886B4 (de) * | 2018-04-04 | 2021-10-07 | Phoenix Contact Gmbh & Co. Kg | Steckverbindersystem mit einem bistabilen Element |
CN109094339A (zh) * | 2018-08-24 | 2018-12-28 | 芜湖莫森泰克汽车科技股份有限公司 | 汽车天窗导电变色玻璃通电结构 |
DE102018124213A1 (de) * | 2018-10-01 | 2020-04-02 |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 Türbaugruppe mit Sender- und Empfängereinheit zur drahtlosen Übertragung von Energie und/oder Daten |
DE102019109650A1 (de) * | 2019-04-11 | 2020-10-15 | Hettich-Oni Gmbh & Co. Kg | Öffnungsvorrichtung für ein Kühlgerät |
DE102019212015A1 (de) * | 2019-08-09 | 2021-02-11 |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 Montagevorrichtung eines Fensterhebers |
DE202021004324U1 (de) * | 2020-07-22 | 2023-09-05 |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 Schienengleiterbaugruppe und Fensterheber eines Kraftfahrzeugs mit einer solchen Baugruppe |
DE102020209448A1 (de) * | 2020-07-27 | 2022-01-27 |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 Verfahren zur Kontaktierung einer funktionalisierten Fensterscheibe mit einem Fensterheber einer Fahrzeugtür |
DE102020209572A1 (de) | 2020-07-29 | 2022-02-03 |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 Verfahren zur Kontaktierung einer funktionalisierten Fensterscheibe einer Fahrzeugtür sowie Fahrzeugtür |
KR20220066583A (ko) * | 2020-11-16 | 2022-05-24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의 도어글래스용 전력 공급 장치 |
KR102522129B1 (ko) * | 2021-02-17 | 2023-04-17 | (주)광진기계 |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 |
KR20220129318A (ko) * | 2021-03-16 | 2022-09-23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스마트 글라스를 위한 유선 전력 송신 시스템 및 차량 |
DE102021202669B3 (de) * | 2021-03-18 | 2022-05-25 |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 Baugruppe einer Verstelleinrichtung sowie Fensterheber eines Kraftfahrzeugs |
WO2022268776A1 (de) | 2021-06-25 | 2022-12-29 | Saint-Gobain Glass France | Fahrzeug mit verbesserter sicherheitsfunktion |
DE102023203453A1 (de) | 2023-04-17 | 2024-04-25 |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 Rahmenlose Fahrzeugtür sowie Türmodul |
DE102023203455A1 (de) | 2023-04-17 | 2024-04-25 |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 Fensterheberbaugruppe sowie Türmodul eines Kraftfahrzeugs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00240229A1 (en) * | 2009-03-20 | 2010-09-23 | Casco Products Corporation | Sliding window magnetic electrical connector |
DE102013003532A1 (de) * | 2013-03-02 | 2014-09-04 |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 Baugruppe für ein verstellbares Fahrzeugteil |
DE102013003533A1 (de) * | 2013-03-02 | 2014-09-04 |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 Vorrichtung zur elektrischen Kontaktierung einer elektrisch ansteuerbaren Funktionsschicht einer mittels eines Scheibenmitnehmers verstellbaren Fahrzeug-Scheibe |
EP2801689A1 (de) * | 2013-05-06 | 2014-11-12 | Küster Holding GmbH | Fensterhebe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
Family Cites Families (2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2638291B1 (fr) * | 1988-10-26 | 1990-12-07 | Labinal | Perfectionnements aux boitiers de connexions electriques |
JPH1167344A (ja) * | 1997-08-08 | 1999-03-09 | Yazaki Corp | コネクタの嵌脱構造 |
DE19827044C1 (de) * | 1998-06-18 | 1999-10-21 | Daimler Chrysler Ag | Licht-/Regen-Sensorik für ein Fahrzeug |
US6406192B1 (en) * | 1999-12-07 | 2002-06-18 | Molex Incorporated | Connector assembly floating mount |
DE10010599B4 (de) * | 2000-03-03 | 2005-12-15 | Daimlerchrysler Ag | Fahrzeugscheibe |
US6315590B1 (en) * | 2000-04-03 | 2001-11-13 | Molex Incorporated | Floating panel mounted connector assembly |
US6638075B2 (en) * | 2002-02-27 | 2003-10-28 | James R. Spaulding | Electrical connection to windshield/backglass |
DE20210286U1 (de) * | 2002-07-03 | 2002-12-12 | FUBA Automotive GmbH & Co. KG, 31162 Bad Salzdetfurth | Adapter für HF-Anschlüsse |
WO2006131139A1 (en) * | 2005-06-09 | 2006-12-14 | Fci | Electrical cennector system, in particular for an automotive vehicle |
JP5280752B2 (ja) * | 2008-06-27 | 2013-09-04 | アスモ株式会社 | ウインドガラス昇降装置、及びセンサの接続構造 |
US7549885B1 (en) * | 2008-09-03 | 2009-06-23 |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 Composite general purpose rectangular connector |
DE102008060407A1 (de) * | 2008-12-01 | 2010-06-02 |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 Fensterheberbaugruppe |
US8643933B2 (en) * | 2011-12-14 | 2014-02-04 | View, Inc. | Connectors for smart windows |
US8915018B2 (en) * | 2010-12-22 | 2014-12-23 | Magna Mirrors Of America, Inc. | Slider window assembly |
US8381446B2 (en) * | 2011-03-29 | 2013-02-26 |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Coburg | Device for connecting a window pane to a motor vehicle window lifter |
PT2695233T (pt) * | 2011-04-06 | 2019-01-30 | Saint Gobain | Elemento de ligação de condutor plano para uma estrutura de antena |
CA2788787C (en) | 2011-09-01 | 2019-06-04 | Sigma Electric Manufacturing Corporation | Conduit connector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
US8857883B2 (en) * | 2012-10-09 | 2014-10-14 | Chrysler Group Llc | Electrical circuit with passive wiring connector for electrical device mounted on vehicle window |
JP2014186274A (ja) * | 2013-03-25 | 2014-10-02 | Furukawa Electric Co Ltd:The | コネクタ |
DE102015214377A1 (de) | 2015-07-29 | 2017-02-02 |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 Vorrichtung zur Befestigung und elektrischen Kontaktierung einer Fahrzeug-Fensterscheibe |
-
2015
- 2015-07-29 DE DE102015214377.5A patent/DE102015214377A1/de not_active Withdrawn
-
2016
- 2016-06-23 PL PL16731892T patent/PL3329077T3/pl unknown
- 2016-06-23 WO PCT/EP2016/064572 patent/WO2017016766A1/de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6-06-23 CA CA2980126A patent/CA2980126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6-06-23 KR KR1020187002252A patent/KR10202086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06-23 CN CN201680002128.9A patent/CN106716738B/zh active Active
- 2016-06-23 US US15/563,541 patent/US10230195B2/en active Active
- 2016-06-23 JP JP2017564828A patent/JP6538885B2/ja active Active
- 2016-06-23 MX MX2018001169A patent/MX2018001169A/es unknown
- 2016-06-23 ES ES16731892T patent/ES2787774T3/es active Active
- 2016-06-23 HU HUE16731892A patent/HUE050185T2/hu unknown
- 2016-06-23 EA EA201890384A patent/EA033329B1/ru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6-06-23 EP EP16731892.2A patent/EP3329077B1/de active Active
- 2016-06-23 BR BR112017021480-6A patent/BR112017021480B1/pt active IP Right Grant
-
2019
- 2019-01-25 US US16/258,499 patent/US10439321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00240229A1 (en) * | 2009-03-20 | 2010-09-23 | Casco Products Corporation | Sliding window magnetic electrical connector |
DE102013003532A1 (de) * | 2013-03-02 | 2014-09-04 |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 Baugruppe für ein verstellbares Fahrzeugteil |
DE102013003533A1 (de) * | 2013-03-02 | 2014-09-04 |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 Vorrichtung zur elektrischen Kontaktierung einer elektrisch ansteuerbaren Funktionsschicht einer mittels eines Scheibenmitnehmers verstellbaren Fahrzeug-Scheibe |
EP2801689A1 (de) * | 2013-05-06 | 2014-11-12 | Küster Holding GmbH | Fensterhebe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7016766A8 (de) | 2017-04-13 |
EP3329077A1 (de) | 2018-06-06 |
EA033329B1 (ru) | 2019-09-30 |
PL3329077T3 (pl) | 2020-07-27 |
CN106716738A (zh) | 2017-05-24 |
CA2980126A1 (en) | 2017-02-02 |
CN106716738B (zh) | 2020-05-01 |
JP6538885B2 (ja) | 2019-07-03 |
WO2017016766A1 (de) | 2017-02-02 |
CA2980126C (en) | 2018-07-31 |
KR102020864B1 (ko) | 2019-09-11 |
US10230195B2 (en) | 2019-03-12 |
HUE050185T2 (hu) | 2020-11-30 |
ES2787774T3 (es) | 2020-10-16 |
BR112017021480B1 (pt) | 2022-11-22 |
MX2018001169A (es) | 2018-04-24 |
US10439321B2 (en) | 2019-10-08 |
DE102015214377A1 (de) | 2017-02-02 |
US20180090876A1 (en) | 2018-03-29 |
US20190157801A1 (en) | 2019-05-23 |
EP3329077B1 (de) | 2020-03-25 |
BR112017021480A2 (pt) | 2018-07-03 |
JP2018528112A (ja) | 2018-09-27 |
EA201890384A1 (ru) | 2018-06-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439321B2 (en) | Device for fastening and electrical contacting of a vehicle window pane | |
KR101209424B1 (ko) | 2단 래치를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 | |
CN101286595B (zh) | 车门用电缆连接器 | |
US10601156B2 (en) | Plug contact set and method for checking a latching of the plug contact set | |
KR102044207B1 (ko) | 차량 윈도우용 윈도우 지지체를 갖는 조립체 | |
US20170250483A1 (en) |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 |
KR101570222B1 (ko) | 커넥터 하우징을 구비하는 자동차용 제어 장치 | |
KR20150128851A (ko) | 직각형 헤더 어셈블리 | |
CA2975425A1 (en) | Plug connector with locking device | |
US10193273B2 (en) | Plug-in connection having a locking element | |
CN110838650A (zh) | 杠杆型连接器 | |
US20100003862A1 (en) | Electrical plug-in connector | |
KR101853973B1 (ko) | 전기 연결 장치 | |
JPH10505958A (ja) | 自動車用の制御装置 | |
KR20100070742A (ko) | 통전용 탄성편 및 이를 구비한 차폐 커넥터 세트 | |
KR101442297B1 (ko) | 전기 커넥터용 로우 프로파일 쇼팅 바아 | |
JP2006237019A5 (ko) | ||
KR102624069B1 (ko) | 커넥터의 하우징에 접촉 요소를 부착하기 위한 고정 디바이스 | |
US20130293044A1 (en) | Adjustment drive | |
US7862379B2 (en) | Shielded electrical connection arrangement | |
US20190260261A1 (en) | Combination of motor casing and plug connection and dedicated motor casing | |
KR20100090118A (ko) | 방수 커넥터용 하우징 조립체 | |
KR20170001283U (ko) | 축 장착장치 | |
CN110762487A (zh) | 接插件的限位结构 | |
KR20230145372A (ko) | 전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잠금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