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4207B1 - 차량 윈도우용 윈도우 지지체를 갖는 조립체 - Google Patents

차량 윈도우용 윈도우 지지체를 갖는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4207B1
KR102044207B1 KR1020187004018A KR20187004018A KR102044207B1 KR 102044207 B1 KR102044207 B1 KR 102044207B1 KR 1020187004018 A KR1020187004018 A KR 1020187004018A KR 20187004018 A KR20187004018 A KR 20187004018A KR 102044207 B1 KR102044207 B1 KR 102044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electrical
vehicle window
contact element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4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1008A (ko
Inventor
베른하르트 로일
카트야 베르너
마르셀 클라인
Original Assignee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filed Critical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180031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10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4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42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60J1/1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 B60J1/17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vert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3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 E05F11/382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for vehicle windows
    • E05F11/385Fixing of window glass to the carrier of the operating mechanism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8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945Holders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15Electric wiring; Electric connec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65Power or signal transmis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착층(55)에 의해 서로 접합되어 있는 2개의 개별 창유리(54, 54')를 갖는 차량 윈도우(50), 차량 윈도우(50)용 윈도우 지지체(1; 1'; 1"; 1''')로서, 윈도우 지지체는 차량 윈도우(50)를 기계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세그먼트(2)를 갖고, 연결 세그먼트는 차량 윈도우(50)용 홀더(4)를 형성하고, 윈도우 지지체(1; 1'; 1"; 1''')에 체결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홀더(4) 내에 배열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접촉 요소(3)를 갖는, 윈도우 지지체(1; 1'; 1"; 1''')를 포함하고, 전기 접촉 요소(3)는 차량 윈도우(50)의 전기 대응 접촉 요소(51)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역할을 하고, 전기 대응 접촉 요소(51)는 리본 도전체로서 형성되고, 2개의 개별 창유리(54, 54') 사이에서 차량 윈도우(50) 외부로 안내되고, 차량 윈도우(50)의 표면(56)에 체결되는, 조립체(100; 100'; 100"; 100''')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 윈도우용 윈도우 지지체를 갖는 조립체
본 발명은 차량 윈도우, 특히 차량 도어의 하강 가능한 측면 윈도우용 윈도우 지지체를 갖는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차량 윈도우는 전기 디바이스를 점점 더 갖는다. 예를 들어, 차량 윈도우는 창유리 가열부(pane heating), 라디오 및/또는 GPS용 안테나, 안전 장비, 또는 시각적으로 인식 가능한 이미지를 발생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구비한다. 전기 디바이스는 일반적으로 차량 윈도우의 제조 프로세스 중에 개별층으로 차량 윈도우 상에 직접 도포된다. 자동차에 통상적으로 제공된 복합 창유리에서, 전기 디바이스가 복합 창유리 내에 매립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기 디바이스를, 예를 들어 자동차의 전력 공급부에 접속하기 위해, 전기 디바이스는 전기 커넥터를 구비한다. 전기 커넥터는 통상적으로 그 단부 상에 배열된 플러그 요소를 갖는 차량 윈도우에 도포되거나 그 내에 매립된 리본 도전체에 의해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플랫 밴드 커넥터(flat-band connector)는 종방향 섹션을 넘어 차량 윈도우 외부로 돌출하여, 플러그 요소가 차량 윈도우로부터 이격하여, 차량의 전기 공급 라인의 연계된 소켓 요소에 접속될 수도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차량 도어의 하강 가능한 측면 윈도우로서 사용되는 차량 윈도우에서, 차량 윈도우로부터 돌출하는 리본 도전체는 비교적 길게 유지되어 차량 윈도우의 설치된 상태에서 하강을 위한 이동을 위한 적절한 여유 공간을 제공하고 하강 이동 중에 원하지 않는 케이블 긴장을 회피한다.
실제로, 차량 윈도우로부터 돌출하는 리본 도전체는 예를 들어 차량 도어 내에서 차량 윈도우의 설치를 복잡하게 하고, 리본 도전체의 열악한 배치는 차량 윈도우의 이동을 위해 비어 있는 상태로 유지될 구역에서 리본 도전체가 종결되게 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 결과, 리본 도전체의 손상 및/또는 전기 접속부의 탈착이 차량 윈도우의 하강 모션에 기인하여 발생할 수 있다.
더욱이, 차량 윈도우로부터 돌출하는 리본 도전체가 차량 윈도우의 제조시에 문제가 되는 것으로 실제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차량 윈도우의 제조 중에, 돌출하는 리본 도전체 및/또는 그에 부착된 플러그/소켓 요소는 쉽게 손상될 수 있다. 그 외에도, 리본 도전체의 손상은 또한 차량 윈도우의 수송 중에 가능하다.
독일 특허 출원 DE 10 2013 003533 A1호는, 창유리 홀더의 대응 접점에 접촉을 위한 전기 도전층의 접점이 차량 윈도우의 표면 상의 개별 창유리의 천공부에 의해 안내되는, 차량 윈도우용 윈도우 지지체를 갖는 조립체를 제시하고 있다. 이 디자인의 단점은 차량 윈도우에 대응 천공부를 제공할 필요성인데, 이는 대응 비용 및 비교적 높은 불량률과 연관된다.
다른 종래 기술이 DE 10 2013 003532 A1호, DE 103 28 929 A1호, 및 EP 2 801 689 A1호 공보에서 발견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윈도우용 윈도우 지지체를 갖는 서두에 언급된 종래 기술의 조립체의 단점을 회피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및 다른 목적은 청구항 1에 따른 조립체에 의해 본 발명의 제안에 따라 성취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는 종속 청구항으로부터 드러난다.
본 발명은 복합 창유리의 형태로 구현되고 접착층에 의해 서로 고정 접합되어 있는 2개의 (개별) 창유리를 갖는 차량 윈도우를 포함하는 조립체를 제시한다. 차량 윈도우는 차량 도어의 하강 가능한 측면 윈도우일 수 있다. 조립체는 차량 윈도우용 윈도우 지지체를 더 포함한다. 윈도우 지지체는 차량 윈도우를 기계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세그먼트는 갖는데, 이 연결 세그먼트는 차량 윈도우용 홀더를 형성한다. 게다가, 윈도우 지지체는 윈도우 지지체에 체결되고(즉, 부착됨) 적어도 부분적으로 홀더 내에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접촉 요소를 갖는다. 윈도우 지지체의 전기 접촉 요소는 차량 윈도우의 전기 대응 접촉 요소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역할을 한다. 전기 대응 접촉 요소는 리본 도전체, 예를 들어 2개의 개별 창유리 사이에서 차량 윈도우 외부로 안내되고 차량 윈도우의 표면에 체결되는 플랫 밴드 케이블의 형태로 구현된다. 종래 기술, 특히, 서두에 언급된 독일 특허 DE 10 2013 003533 A1호에 공지된 해결책으로부터 구별되는 바와 같이, 천공부의 형성을 통한 개별 창유리의 손상이 유리하게 회피될 수 있다. 리본 도전체는 간단하고 경제적인 방식으로, 복합 창유리의 에지 상의 2개의 개별 창유리 사이로 안내되고 차량 윈도우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의 산업 계열 제조에 있어서 불량률이 유리하게 낮게 유지될 수 있다.
차량 윈도우의 대응 접촉 요소는 예를 들어 복합 창유리 내에 매립된 차량 윈도우의 전기 디바이스의 접촉을 위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복합 창유리가 전기 디바이스를 갖는 부가의 층을 갖도록 전기 디바이스가 필름을 갖는 복합 창유리의 표면 상에 적층되거나 코팅에 의해 도포되게 하는 것이 또한 인식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에서, 윈도우 지지체는 예를 들어, 윈도우 지지체로부터 시작하여, 이어서 전력 공급부 또는 차량의 전기 시스템으로의 전기 접속을 생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차량 윈도우의 전기 디바이스의 전기 접속을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윈도우 지지체는, 차량 윈도우용 지지체로서의 그 기계적 기능 이외에, 차량 윈도우의 전기 디바이스로의 전기 접속을 생성하는 기능을 부가적으로 취한다.
윈도우 지지체의 전기 접촉 요소에 의해, 전기 접속을 위한 스트레인 완화가 차량 윈도우에 관하여 유리하게 실현된다. 게다가, 윈도우 지지체 상의 전기 접촉 요소에 의해, 차량 윈도우 상에 장착된 대응 접촉 요소와의 직접 전기 접촉이 이를 위한 접속 라인을 필요로 하지 않고 실현될 수 있다. 차량 윈도우 상의 리본 도전체의 배열을 통해, 차량 윈도우가 윈도우 지지체 상에 장착될 때 윈도우 지지체와 간단한 방식으로 전기 접촉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예를 들어, 돌출하는 리본 도전체에 기인하는 증가된 감시를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차량 윈도우의 수송 중에 뿐만 아니라 이들의 제조 중에 간단화가 야기된다. 또한, 차량 동작 중에 느슨한 케이블의 진동에 기인하는 가능한 노이즈가 상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특히 접속된 가능한 플러그 요소 또는 소켓 요소를 갖는 차량 윈도우로부터 돌출하는 리본 도전체로부터 발생하는 모든 결점이 제거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 접촉 요소가 윈도우 지지체에 체결되어, 연결 세그먼트로의 차량 윈도우의 기계적 연결시에, 전기 접촉 요소가 차량 윈도우의 대응 접촉 요소에 대해 자동으로 전기 접촉하게 되는 것이 제공된다. 따라서, 윈도우 지지체로의 차량 윈도우의 체결에 의해, 부가의 라인 접속부 또는 작업 단계를 필요로 하지 않고, 대응 접촉 요소와 접촉 요소의 원하는 전기 접촉이 동시에 발생하기 때문에, 차량 윈도우와 윈도우 지지체 사이의 전기 접촉이 기계적으로 간단한 방식으로 실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 세그먼트는 차량 윈도우용 홀더를 형성하고, 전기 접촉 요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홀더 내에 배열된다. 홀더는 따라서 이중 기능을 취한다. 첫째로, 홀더는 윈도우 지지체로의 차량 윈도우의 기계적 연결을 위한 역할을 한다. 둘째로, 홀더는 윈도우 지지체의 전기 접촉 요소와 차량 윈도우의 전기 대응 접촉 요소 사이에 전기 접촉을 생성하는 것에 관한 기능을 취한다. 전기 접촉 요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홀더 내에 배열되기 때문에, 차량 윈도우의 기계적 연결부에 의해, 차량 윈도우의 전기 접촉 요소와 윈도우 지지체 사이의 전기 접촉이 기술적으로 간단한 방식으로 동시에 발생한다.
특히 유리하게는, 홀더는 차량 윈도우가 홀더 내로 플러깅함으로써 기술적으로 간단한 방식으로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플러그인 리셉터클(receptacle)의 형태로 구현된다. 따라서, 윈도우 지지체로의 차량 윈도우의 안정하고 내구성이 있는 연결부가 존재한다. 홀더는 예를 들어, 윈도우 지지체의 2개의 레그가 있는 프로파일로서, 예를 들어 U형 단면을 갖는 프로파일로서 실현될 수 있다. U형 홀더에 의해, 전기 접촉 요소는 U형 홀더의 기부 섹션 상에 그리고/또는 측벽 중 적어도 하나 상에 배열되고, 특히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단순히 차량 윈도우를 홀더 내로 플러깅함으로써, 차량 윈도우와 그 윈도우 지지체 사이에 전기 접촉을 생성하는 것이 기술적으로 간단하다.
전기 접촉 요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홀더 내에 배열되기 때문에, 윈도우 지지체 상의 차량 윈도우의 설치 상태에서, 전기 접촉부는 기계적 영향에 대해 외부로부터 보호된다. 이는 또한 간단한 방식으로 가능한 습기에 대해 전기 접촉부를 보호하기 위한 수단을 도입한다. 홀더 내로의 차량 윈도우의 삽입에 의해, 기계적 침입에 대한 외부를 향해 밀봉된 연결 세그먼트 및 외부를 향한 보호 구역은 간단한 방식으로 실현되거나 실현될 수 있다.
이들 장점은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윈도우 지지체, 특히 연결 세그먼트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기 접속부를 위한 봉입체로서, 특히 외부에 대해 밀봉하는 봉입체로서 구현될 때 실현된다.
윈도우 지지체의 전기 접촉 요소가 편평부로서, 특히 리본 도전체로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윈도우 지지체는 윈도우 지지체 조립체의 확대를 필요로 하지 않고 전기 접촉 요소를 구비할 수 있다. 동시에, 이는 간단한 방식으로, 차량 윈도우의 연결을 위한 역할을 하는 홀더 내에 또는 구역에 전기 접촉 요소를 배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전기 접촉 요소가 윈도우 지지체 내로, 예를 들어 윈도우 지지체의 벽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성형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이 목적으로, 윈도우 지지체가 플라스틱으로 제조되거나 포함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접촉 요소는 플라스틱으로 오버몰딩될 수 있다. 따라서, 전기 접촉 요소는 윈도우 지지체 상에 구현될 수 있는데,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그 내에 일체화될 수 있다. 나사, 리벳과 같은 개별 연결 수단이 회피될 수 있다.
전기 접촉 요소는 또한 클램핑, 접착, 및/또는 다른 강제 잠금(force-locking), 재료 접합(materially-bonded), 및/또는 포지티브 연결(positive connection)에 의해 윈도우 지지체 상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윈도우 지지체, 특히 연결 세그먼트가 전기 접촉 요소일 수 있거나 그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기 커넥터를 갖고, 이 전기 접촉 요소에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공급 라인, 특히 전력 공급 라인 및/또는 전기 신호 라인이 접속될 수 있는 것이 제공된다. 따라서, 윈도우 지지체는 차량 윈도우의 전기 디바이스의 전력 공급을 위한 전기 커넥터를 형성한다. 가능한 조립력이 따라서 차량 윈도우 또는 차량 윈도우 상의 전기 접점으로 안내되는 전기 라인이 임의의 손상에 대해 미리 보호되도록 윈도우 지지체 상의 전기 커넥터에 대해 작용한다.
윈도우 지지체는 더 높은 유효력, 예를 들어 전기 공급 라인으로부터의 또는 전기 커넥터 상에 다른 방식으로 작용하는 힘을 견딜 수 있고 전기 접점의 가능한 손상 또는 분리가 방지되도록 전기 커넥터의 구역에서 특정하게 치수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 커넥터가 전기 공급 라인이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클램프, 스냅, 푸시버튼 또는 유사한 전기 접촉 요소를 갖거나 이들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이 수단에 의해, 윈도우 지지체로의 강인한 내구성이 있는 전기 접속이 실현된다.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 커넥터가 윈도우 지지체의 전기 접촉 요소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전기 접속 라인, 예를 들어 리본 도전체를 갖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전기 공급 라인 또는 윈도우 지지체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하여 종료하는 전기 공급 라인과의 전기 접촉이 실현될 수 있다. 공급 라인으로 안내될 수 있는 윈도우 지지체의 전기 접속 라인은 예를 들어, 소켓-플러그 접속부를 거쳐 전기 접촉을 생성하기 위해, 이 거리를 가교하는 역할을 한다. 이 목적으로, 전기 커넥터가 전기 접속 라인의 자유 단부 상에 제공된 플러그 또는 소켓을 또한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윈도우 지지체의 전기 접촉 요소가 전기 접속 라인, 예를 들어 리본 도전체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인식가능하다.
윈도우 지지체의 전기 커넥터의 플러그 또는 소켓은 특히, 윈도우 지지체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하여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접속 라인은 차량 윈도우용 홀더의 삽입 개구 외부로 안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실시예는, 접속 라인이 연결 세그먼트 상의 재료 리세스 내로 탈착가능하게 삽입되는 하우징에 의해 일 단부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이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상이한 길이를 갖는 접속 라인으로 접속 라인을 교환하기 위해 간단한 방식으로 접속 라인의 교체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종래 기술의 윈도우 지지체는 간단한 방식으로 개장될(retrofitted) 수 있다. 접속 라인의 전기 접촉부는 하우징에 의해 외부 기계적 영향 및/또는 습기에 대해 보호된다.
본 발명의 특히 유리한 실시예에서, 전기 대응 접촉 요소는 차량 윈도우의 에지 구역의 적어도 하나의 섹션에 걸쳐 연장한다. 이러한 수단은, 특히 홀더가 차량 윈도우용 플러그인 홀더의 형태로 구현되면, 차량 윈도우의 표면으로의, 복합 창유리 외부로 안내되는 리본 도전체의 부착뿐만 아니라 윈도우 지지체 상의 차량 윈도우의 설치를 적합하게 한다.
특히 유리한 방식으로, 전기 대응 접촉 요소는, 윈도우 지지체 상의 설치 위치에서, 대응 접촉 요소가 윈도우 지지체의 접촉 요소와 전기 접촉부를 형성하도록, 차량 윈도우 상에 위치된다.
대응 접촉 요소가 차량 윈도우의 표면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체결될 때, 차량 윈도우 상의 대응 접촉 요소의 안정한 내구성이 있는 연결이 실현된다. 대응 접촉 요소는 예를 들어, 접착에 의해 차량 윈도우 상에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대응 접촉 요소는 기술적으로 간단한 방식으로 차량 윈도우에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된 조립체를 갖는 차량으로 확장된다.
본 발명의 부가의 목적, 장점, 특징, 및 적용 가능성은 이하의 다수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드러난다. 모든 설명된 및/또는 예시된 특징은 자체로 또는 임의의 논리적 조합으로, 이들의 청구범위에서의 요약 또는 역참조에 무관하게, 본 발명의 주제를 구성한다.
도 1은 윈도우 지지체 및 연계된 차량 윈도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의 실시예를 분해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도 1의 조립체를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윈도우 지지체 및 연계된 차량 윈도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를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윈도우 지지체 및 차량 윈도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를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2-부분 플러그를 갖는 전기 공급 라인을 분해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윈도우 지지체 및 연계된 차량 윈도우를 갖는 조립체 상의 설치 상태에서 도 5의 플러그를 갖는 전기 공급 라인을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1 및 도 2는 윈도우 지지체(1) 및 차량 윈도우(50)를 갖는 조립체(100)의 실시예를 - 개략적으로 - 도시하고 있다. 도 1은 서로 분리되어 있는 윈도우 지지체(1) 및 차량 윈도우(50)를 도시하고 있고, 반면에 대조적으로, 도 2에서, 윈도우 지지체(1)와 차량 윈도우(50)는 조립되고 조립체(100)가 형성된다. 차량 윈도우(50)는 차량 도어의 하강 가능한 측면 윈도우일 수 있다. 이 경우에, 차량 윈도우(50)는 윈도우 지지체(1)와 함께 공동으로 이동되는데, 특히 공동으로 하강된다.
차량 윈도우(50)는 접착층(55)에 의해 서로 고정 접합되어 있는 2개의 (개별적인) 창유리(54, 54')를 포함하는 복합 창유리이다. 복합 창유리의 구조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져 있어, 도 1 및 도 2에 이를 더 상세히 제시하는 것은 불필요하게 된다.
윈도우 지지체(1)는 연결 세그먼트(2)를 갖고, 이 연결 세그먼트에 의해 차량 윈도우(50)가 윈도우 지지체(1)에 연결된다. 연결 세그먼트(2)는 홀더(4)로서 구현되는데, 이 홀더는 - 도시된 바와 같이 - 특히, 예를 들어 단면이 U 형상인 플러그인 리셉터클로서 구현될 수 있다.
차량 윈도우(50)는 일 단부 또는 단부 구역으로 홀더(4) 내에 플러깅되는데, 이는 차량 윈도우(50)와 윈도우 지지체(1) 사이에 기계적 연결이 생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차량 윈도우(50)는 전기 디바이스(도 1 및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와 연계된다. 전기 디바이스는 차량 윈도우(50)에 도포된 개별층의 부분일 수 있고, 또는 심지어 복합 창유리 내에 매립될 수 있다.
전기 에너지 공급부 및/또는 전기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전기 제어 디바이스에 전기 디바이스(도 1 및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접속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차량 윈도우(50)는 전기 디바이스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기 대응 접촉 요소(51)를 갖고, 예를 들어 윈도우 지지체(1)의 홀더(4) 내로 삽입되거나 삽입될 것인, 차량 윈도우(50)의 에지 구역(53)의 섹션(52) 내에 배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기 대응 접촉 요소(51)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에지 구역(53)의 섹션(52)에 걸쳐 연장한다.
대응 접촉 요소(51)는, 에지 구역에서 2개의 개별 창유리(54, 54') 사이에서 복합 창유리 외부로 안내되고 예를 들어 차량 윈도우(50)의 표면(56), 즉 측면에 접착에 의해 체결되는 리본 도전체의 형태로 구현된다.
윈도우 지지체(1)는 대응적으로, 차량 윈도우(50)의 전기 대응 접촉 요소(51)에 의해, 전기 접점을 형성하기 위해, 전기 접촉 요소(3)를 갖는다.
윈도우 지지체(1)의 전기 접촉 요소(3)는 바람직하게는 홀더(4)의 측벽 중 하나 상에서 그리고/또는 홀더(4)의 기부 상에서, 홀더(4)의 구역 내에 배열되어, 윈도우 지지체(1)의 홀더(4) 내로의 차량 윈도우(50)의 삽입에 의해, 전기 접촉 요소(3, 51) 사이의 전기 접점이 동시에 (자동으로) 생성되게 된다. 조립체(100)에 의해, 전기 디바이스(도 1 및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는, 이를 위한 차량 윈도우(50) 상의 개별 외향 케이블을 필요로 하지 않고, 전력 공급 네트워크, 예를 들어 차량의 전기 시스템에 접속될 수 있다.
도 3은 윈도우 지지체(1') 및 도 1 및 도 2에서 전술된 차량 윈도우(50)일 수 있는 연계된 차량 윈도우를 갖는 조립체(1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의 조립체(100')는 다른 무엇보다도, 윈도우 지지체(1')가 푸시버튼(6), 스냅, 클램프 또는 유사한 연결 요소에 의해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이러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는 전기 접속부(5)를 구비하는 점에서, 도 1 및 도 2의 조립체(100)와는 상이하다. 전기 공급 라인(도 3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이 그에 접속될 수 있다. 전기 공급 라인은 예를 들어, 자동차의 전기 시스템의 전력 공급 라인일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전기 공급 라인은 또한 예를 들어 적절한 제어 신호를 전기 디바이스에 유도하기 위한 전기 신호 라인일 수 있다.
도 4는 윈도우 지지체(1") 및 차량 윈도우(50)일 수 있는 차량 윈도우를 갖는 조립체(100")의 다른 가능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조립체(100")는 다른 무엇보다도, 조립체(100")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5)가 소켓(8) 및 전기 접속 라인(7)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이 전기 접속 라인은 이어서 윈도우 지지체(1)의 전기 접촉 요소(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점에서, 도 3의 조립체(100')와는 상이하다. 예를 들어, 전기 접속 라인(7)은 리본 도전체로서 구현되고, 소켓(8)이 전기 공급 라인(30)의 플러그(3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로, 차량 윈도우(50)의 홀더(4)의 삽입 개구(57) 외부로 외향으로 돌출한다.
도 5는 윈도우 지지체(1''') 및 차량 윈도우(50)일 수 있는 차량 윈도우를 갖는 조립체(100''')의 구성요소를 도시하고 있다. 조립체(100''')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구성요소는 단부 상에 배열된 전기 접점(10, 11)을 갖는 전기 접속 라인(9)에 관련된다. 전기 접점(11)은 그 하우징부(12, 13)가 기계력에 대해 전기 접점을 보호하고 그리고/또는 외부로부터 습기에 대해 밀봉하는, 바람직하게는 2-부분 하우징에 의해 둘러싸인다.
하우징부(12, 13)는 조립 상태에서, 예를 들어, 윈도우 지지체(1)의 홀더(4)의 벽의 리세스 내에 설치되는 목적의 전기 접속 라인(9)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리세스는 플러그인 리셉터클로서 구현될 수 있고, 이 리셉터클 내로 하우징부(12, 13)에 의해 형성된 하우징이 삽입되고 따라서 윈도우 지지체(1''')의 전기 접촉 요소(3)가 이에 의해 형성된다. 홀더(4)의 벽 내의 리세스는 섹션(14)에 의해 도 6에 지시되어 있다. 도 5의 전기 접속 라인(9)은 이어서 도 6에만 지시되어 있는 전기 접속 라인(30)에 접속된다.
1: 윈도우 지지체 1': 윈도우 지지체
1": 윈도우 지지체 1": 윈도우 지지체
2: 연결 세그먼트 3: 전기 접촉 요소
4: 홀더 5: 전기 커넥터
6: 푸시버튼 7: 전기 접속 라인
8: 소켓 9: 전기 접속 라인
10: 전기 접점 11: 전기 접점
12: 하우징부 13: 하우징부
14: 4(리세스)의 섹션 30: 전기 공급 라인
31: 플러그 50: 차량 윈도우
51: 전기 대응 접촉 요소 52: 섹션
53: 에지 구역 54: 개별 창유리
54': 개별 창유리 55: 접착층
56: 표면 57: 삽입 개구
100: 조립체 100': 조립체
100": 조립체 100''': 조립체

Claims (14)

  1. 조립체(100; 100'; 100"; 100''')이며,
    접착층(55)에 의해 서로 접합되어 있는 2개의 개별 창유리(54, 54')를 갖는 차량 윈도우(50),
    상기 차량 윈도우(50)를 기계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세그먼트(2)를 갖는 상기 차량 윈도우(50)용 윈도우 지지체(1; 1'; 1"; 1''')로서, 상기 연결 세그먼트는 상기 차량 윈도우(50)용 홀더(4)를 형성하고, 상기 윈도우 지지체(1; 1'; 1"; 1''')에 체결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홀더(4) 내에 배열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접촉 요소(3)를 갖는, 윈도우 지지체(1; 1'; 1"; 1''')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접촉 요소(3)는 상기 차량 윈도우(50)의 전기 대응 접촉 요소(51)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전기 대응 접촉 요소(51)는 리본 도전체의 형태로 구현되고, 상기 2개의 개별 창유리(54, 54') 사이에서 상기 차량 윈도우(50)의 에지 상에서 외부로 안내되고, 상기 차량 윈도우(50)의 표면(56)에 체결되고,
    상기 윈도우 지지체(1; 1'; 1"; 1''')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공급 라인(30)이 접속될 수 있는 전기 접촉 요소(3)에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하거나 접속되는 전기 커넥터(5)를 갖고,
    상기 전기 커넥터(5)는 상기 윈도우 지지체(1; 1'; 1"; 1''')의 전기 접촉 요소(3)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전기 접속 라인(9)을 갖고,
    상기 전기 접속 라인(9)은 상기 연결 세그먼트(2) 상의 재료 리세스(14) 내로 탈착가능하게 삽입되는 하우징에 의해 일 단부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이는 것인 조립체(100; 100'; 100"; 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접촉 요소(3)는 상기 윈도우 지지체(1; 1'; 1"; 1''')에 체결되어, 상기 연결 세그먼트(2)로의 상기 차량 윈도우(50)의 기계적 연결시에, 상기 전기 접촉 요소(3)는 상기 차량 윈도우(50)의 대응 접촉 요소(51)와 자동으로 전기 접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100; 100'; 100"; 100''').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세그먼트(2)의 홀더(4)는 상기 차량 윈도우(50) 내에 플러깅하기 위한 플러그 리셉터클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100; 100'; 100"; 100''').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커넥터(5)는, 상기 윈도우 지지체(1') 상에 또는 상기 연결 세그먼트(2) 상에 배열되고, 외부로부터 접근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100; 100'; 100"; 100''').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커넥터(5)는 상기 전기 공급 라인(30)이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클램프, 스냅, 푸시버튼(6) 또는 유사한 연결 요소를 갖거나 이들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100; 100'; 100"; 100''').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접속 라인(9)은 상기 윈도우 지지체(1; 1'; 1"; 1''')의 전기 접촉 요소(3)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100; 100'; 100"; 100''').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접속 라인(9)은 상기 홀더(4)의 삽입 개구(57) 외부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100; 100'; 100"; 100''').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지지체(1") 또는 상기 연결 세그먼트(2)는 상기 전기 커넥터(5)용 봉입체 또는 외향 밀봉 봉입체로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100; 100'; 100"; 100''').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 접촉 요소(51)는 접착에 의해 상기 차량 윈도우(50)의 표면(56)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100; 100'; 100"; 100''').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대응 접촉 요소(51)는 상기 차량 윈도우(50)의 에지 구역(53)의 적어도 하나의 섹션(52)에 걸쳐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100; 100'; 100"; 100''').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조립체(100; 100'; 100"; 100''')를 갖는, 자동차.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87004018A 2015-08-14 2016-08-15 차량 윈도우용 윈도우 지지체를 갖는 조립체 KR1020442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5181081.9 2015-08-14
EP15181081 2015-08-14
PCT/EP2016/069318 WO2017029253A1 (de) 2015-08-14 2016-08-15 Baueinheit mit scheibenträger für fahrzeugscheib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1008A KR20180031008A (ko) 2018-03-27
KR102044207B1 true KR102044207B1 (ko) 2019-11-13

Family

ID=53835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4018A KR102044207B1 (ko) 2015-08-14 2016-08-15 차량 윈도우용 윈도우 지지체를 갖는 조립체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0858875B2 (ko)
EP (1) EP3334884B1 (ko)
JP (1) JP6689364B2 (ko)
KR (1) KR102044207B1 (ko)
CN (1) CN107002444A (ko)
BR (1) BR112018000485A2 (ko)
CA (1) CA2992395C (ko)
MX (1) MX2018001834A (ko)
PL (1) PL3334884T3 (ko)
RU (1) RU2682311C1 (ko)
WO (1) WO20170292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O2018000469A1 (es) * 2017-11-30 2018-04-30 Agp America Sa Laminado automotriz con capa de compensación de sustrato de borde sólido invisible
JP2019137099A (ja) * 2018-02-06 2019-08-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
DE102018124213A1 (de) * 2018-10-01 2020-04-02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Türbaugruppe mit Sender- und Empfängereinheit zur drahtlosen Übertragung von Energie und/oder Daten
CN109552252B (zh) * 2018-11-22 2022-04-22 重庆金康新能源汽车设计院有限公司 汽车门窗玻璃加热器、自动加热装置及其自动加热方法
KR20220066583A (ko) * 2020-11-16 2022-05-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도어글래스용 전력 공급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15590A (zh) * 2013-03-02 2014-09-03 博泽哈尔施塔特汽车零件两合公司 用于电接触汽车窗玻璃的可电控功能层的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29074A (en) 1968-05-07 1970-09-15 Sierracin Corp External busbar system
JPS615936A (ja) 1984-06-21 1986-01-11 三菱油化株式会社 複合断熱材
DE3911178A1 (de) * 1989-04-06 1990-10-11 Lindenmeier Heinz Scheibenantennensystem mit antennenverstaerker
DE3937346A1 (de) * 1989-11-09 1991-05-16 Ver Glaswerke Gmbh Elektrisch beheizbare autoglasscheibe aus verbundglas
DE4011541A1 (de) 1990-04-10 1991-10-17 Ver Glaswerke Gmbh Elektrisch beheizbare alarmglasscheibe
JPH0575981U (ja) 1992-03-18 1993-10-15 矢崎総業株式会社 ガラス板用コネクタ
DE4235063A1 (de) * 1992-10-17 1994-04-21 Ver Glaswerke Gmbh Autoglasscheibe aus Verbundglas mit in der Zwischenschicht eingebetteten Drähten und einem Anschlußkabel
DE19832228C2 (de) 1998-07-17 2002-05-08 Saint Gobain Sekurit D Gmbh Antennenscheibe für Kraftfahrzeuge
DE10129664C2 (de) * 2001-06-20 2003-04-30 Saint Gobain Sekurit D Gmbh Antennenscheibe mit einem Hochfrequenzbauteil
DE10328929A1 (de) 2003-06-27 2005-01-13 Kiekert Ag Vorrichtung mit elektronischem, sensorgesteuertem Einklemmschutz-System
DE202004019286U1 (de) * 2004-12-14 2006-04-20 Saint-Gobain Sekurit Deutschland Gmbh & Co. Kg Flachleiter-Anschlusselement für Fensterscheiben
DE102007046320A1 (de) 2007-09-27 2009-04-02 Robert Bosch Gmbh Kontaktierungsanordnung und Kontaktierungsverfahren für Leiterbahnen von Heizungen und Antennen in Kraftfahrzeugscheiben
JP5058876B2 (ja) 2008-05-14 2012-10-24 矢崎総業株式会社 接続部品
EP2399735A1 (de) 2010-06-22 2011-12-28 Saint-Gobain Glass France Laminierte Glasscheibe mit elektrischer Funktion und Anschlusselement
CN202806307U (zh) * 2012-07-23 2013-03-20 长春光景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柔性显示屏的汽车前风挡玻璃
US20140238967A1 (en) 2013-02-26 2014-08-28 Spartan Motors, Inc. Heated moveable glass for vehicles
DE102013003532A1 (de) * 2013-03-02 2014-09-04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Baugruppe für ein verstellbares Fahrzeugteil
GB2511552A (en) * 2013-03-07 2014-09-10 Ford Global Tech Llc A heated window
DE102013104602A1 (de) 2013-05-06 2014-11-06 Küster Holding GmbH Fensterhebe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5214377A1 (de) * 2015-07-29 2017-02-02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Vorrichtung zur Befestigung und elektrischen Kontaktierung einer Fahrzeug-Fensterscheib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15590A (zh) * 2013-03-02 2014-09-03 博泽哈尔施塔特汽车零件两合公司 用于电接触汽车窗玻璃的可电控功能层的装置
US20140247473A1 (en) 2013-03-02 2014-09-04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Device for electrically contacting an electrically activatable functional layer of a vehicle windowpane that is adjustable by a windowpane dri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1008A (ko) 2018-03-27
PL3334884T3 (pl) 2022-10-10
EP3334884B1 (de) 2022-07-13
JP2018526779A (ja) 2018-09-13
CA2992395A1 (en) 2017-02-23
US20180222410A1 (en) 2018-08-09
WO2017029253A1 (de) 2017-02-23
EP3334884A1 (de) 2018-06-20
MX2018001834A (es) 2018-05-16
US10858875B2 (en) 2020-12-08
CN107002444A (zh) 2017-08-01
JP6689364B2 (ja) 2020-04-28
CA2992395C (en) 2020-02-11
BR112018000485A2 (pt) 2018-09-11
RU2682311C1 (ru) 2019-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4207B1 (ko) 차량 윈도우용 윈도우 지지체를 갖는 조립체
JP5957448B2 (ja) 電気的機能および接続要素を備える積層窓ガラス
US10439321B2 (en) Device for fastening and electrical contacting of a vehicle window pane
JP6196633B2 (ja) 建築用窓ガラスフレームシステム内の電気接続システム
JP6618907B2 (ja) ハンダ接合部用ケーシングを備えた窓組立体
JP5859340B2 (ja) シール部材付きウインドウガラス
CN108808350B (zh) 用于窗户电气连接装置的外壳组件
KR101660568B1 (ko) 호일 전도체와 전도체 사이의 전기 접속을 위한 하우징
EP3388270B1 (en) Connecting structure between a cowl louver and a windshield
KR101674439B1 (ko) 도어모듈의 와이어링 하네스 어셈블리
US10827628B2 (en) Assembly for connecting a flat body to a voltage supply with an embedded control unit
CN102804941B (zh) 用于机动车的电路组件以及所属的控制器
US11949198B2 (en) Electrified strip arrangement
KR200482980Y1 (ko) 파워 커넥터와 버스바의 전원연결 보호 기능이 구비된 브러쉬리스 모터
KR101879678B1 (ko) 자동차 유리용 발열 단자
KR101865718B1 (ko) 자동차의 접합박스
JP2010182500A (ja) 固定部材及び固定部材を有したコネクタ
JP2019110634A (ja) モータ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