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9424B1 - 2단 래치를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2단 래치를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9424B1
KR101209424B1 KR1020117012179A KR20117012179A KR101209424B1 KR 101209424 B1 KR101209424 B1 KR 101209424B1 KR 1020117012179 A KR1020117012179 A KR 1020117012179A KR 20117012179 A KR20117012179 A KR 20117012179A KR 101209424 B1 KR101209424 B1 KR 101209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housing
latch
header
connector subassembly
fl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2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9315A (ko
Inventor
아담 프라이스 타일러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10089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93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9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9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5Latching arms not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Bases or cases for heavy duty; Bases or cases for high voltage with means for preventing corona or ar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커넥터 조립체는 외부 하우징 및 부유 래치를 갖는다. 외부 하우징은 가요성 래치를 포함하며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와 정합한다. 부유 래치는 외부 하우징에 미끄럼 가능하게 결합된다. 부유 래치는 외부 하우징 및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 상에 래치된다. 외부 하우징이 헤더 조립체와 정합하도록 정합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경우, 부유 래치는 부유 래치의 대향 단부 중 하나가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와 결합할 때까지 외부 하우징과 함께 이동한다. 부유 래치가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와 결합한 후, 외부 하우징은 상기 부유 래치에 대해 정합 방향을 따라 이동을 계속하며, 부유 래치는 대향 단부 중 다른 하나가 외부 하우징의 가요성 래치와 결합할 때까지 외부 하우징에 대해 미끄럼 이동한다.

Description

2단 래치를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CONNECTOR ASSEMBLY WITH TWO STAGE LATCH}
본 발명은 커넥터 조립체, 특히, 래치를 구비하는 정합 서브 조립체들을 가져 서브 조립체들을 서로에 대해 고정하는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증가한 연료 비용 및 환경 오염을 감소시키는데 있어서의 증가한 노력은 자동차 산업을 전기 및 하이브리드 전기 차량(HEV)으로 이끌고 있다. 이들 차량의 하나의 디자인 양태는 높은 작동 전압에 대한 고려이다. 그 결과, 이러한 차량의 특정 구성요소가 고 전압을 수용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이들 차량의 전기 시스템은 고 전압에서 작동하며 커넥터를 포함하는 고 전압 경로를 필요로 하는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몇몇 공지된 전기 차량용 시스템은 600볼트까지 사용하여 작동하는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고 전압을 사용하는 커넥터 적용예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안전성을 제공하고 기타 시스템 구성요소 및 커넥터 자체에 손상을 입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특별한 요구 사항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커넥터가 활성 고 전압 하에서 정합하지 않는다면, 고 전압 커넥터의 정합 커넥터가 분리되는 순간, 고 전압 파워는 커넥터에 심각한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몇몇 적용예에 있어서, 고 전압 연동(HVIL) 회로는 커넥터 및 기타 시스템 구성요소를 고 전압 파워로 인한 손상으로부터 보호하도록 사용된다. HVIL 회로는 고 전압 파워를 제어하여 고 전압 파워가 고 전압 도체의 정합 및 비-정합에서 비활성이 되도록 한다. HVIL 회로에 있어서, 고 전압 도체의 정합 및 비-정합 및 HVIL 접점의 정합 및 비-정합 시퀀스는 사용자의 부상 또는 구성요소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제어된다. 예를 들면, HVIL 회로는 고 전압 도체가 HVIL 접촉 및 그에 따른 고 전압 파워 활성화 전에 정합되고, 고 전압 도체의 비-정합 이전 (및 바람직한 지연 후), 고 전압 파워를 비-활성화하는, HVIL 접점이 비-정합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이들 적용예에 사용되는 커넥터들은 고 전압 커넥터 및 금속성 모듈 사이의 안정된 밀봉형 기계식 및 전기식 연결, 적절한 이동된 HVIL, 커넥터로부터 금속성 하우징까지의 차폐 연속성을 제공하여야 하며, 커넥터가 비-정합되는 경우 터치 안전 조건을 제공하여야 한다. 하나의 문제점은 HVIL 보호 회로의 고 전압 커넥터와의 통합은 통상적으로 제 2 커넥터를 필요로 하거나 비-정합 순서 중에 현저한 지연을 제공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전술한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은 수용체 커넥터 조립체와 같은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 또는 비-플러그 커넥터 조립체일 수 있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커넥터 조립체에 의해 제공된다. 커넥터 조립체는 외부 하우징 및 부유(floating) 래치를 포함한다. 외부 하우징은 정합 단부로부터 종료 단부까지 연장한다. 외부 하우징은 정합 단부와 종료 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가요성 래치를 포함한다. 정합 단부는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와 정합하도록 구성된다. 부유 래치는 가요성 래치 및 외부 하우징의 정합 단부 사이의 외부 하우징에 미끄럼 가능하게 결합된다. 부유 래치는 외부 하우징 및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 상에 래치하도록 구성되는 대향 단부 사이에서 연장한다. 외부 하우징이 정합 방향을 따라 이동되어 헤더 조립체와 정합하는 경우, 부유 래치는 부유 래치의 대향 단부 중 하나가 헤더 커넥터 조립체와 결합할 때까지 외부 하우징과 함께 이동한다. 부유 래치가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에 결합된 후, 외부 하우징은 부유 래치에 대한 정합 방향을 따라 이동을 계속하며 부유 래치는 대향 단부 중 다른 하나가 외부 하우징의 가요성 래치와 결합할 때까지 외부 하우징에 대해 미끄럼 이동한다.
본 발명에 따라, 고 전압 커넥터 및 금속성 모듈 사이의 안정된 밀봉형 기계식 및 전기식 연결, 적절한 이동된 HVIL, 커넥터로부터 금속성 하우징까지의 차폐 연속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합 커넥터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플러그 커넥터 서브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 서브 조립체의 분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부유 래치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플러그 외부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정합 커넥터 조립체의 측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플러그 커넥터 서브 조립체가 단계 0의 비-정합 위치로부터 단계 1의 정합 위치까지 이동함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 서브 조립체 및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의 부분 절단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계 1의 플러그 커넥터 서브 조립체 및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를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의 측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단계 1 위치의 커넥터 조립체의 부분 절단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계 1의 플러그 커넥터 서브 조립체 및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의 상부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계 2 위치의 플러그 및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의 측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계 2 위치의 플러그 및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의 부분 절단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계 2 위치의 플러그 및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의 상부 단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합 커넥터 조립체(1)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플러그 커넥터 서브 조립체(2)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3)의 사시도이다. 커넥터 서브 조립체(1)는 일 실시예의 고 전압 커넥터이다. 예를 들면, 커넥터 조립체(1)는 일 실시예에 있어서 고 전압 커넥터 조립체이다. 예를 들면, 커넥터 조립체(1)는 대략 600볼트까지의 전압에서 전류를 전달할 수 있다. 커넥터 조립체(1)는 적어도 대략 42볼트의 전압에서 전류를 전달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커넥터 조립체(1)는 더 낮은 전압에서 전류를 전달하는 조립체일 수 있다. 커넥터 조립체(1)는 차량용 커넥터 조립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커넥터 조립체(1)는 자동차 내의 둘 또는 그 이상의 전자 소자 또는 모듈 사이에 전류를 전달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커넥터 조립체(1)는 플러그 커넥터 서브 조립체(2) 및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3)를 포함한다.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3)는 자동차 고 전압 적용예에서 금속성 모듈(도시하지 않음)과 같은 모듈에 장착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만,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3)는 공기 조화 또는 가열 유닛과 같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자 소자로서 작용하는 자동차의 배전 모듈의 외면에 장착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 서브 조립체(2)는 상부(202), 바닥(203) 및 두 개의 측면(204, 205)을 갖는 대체로 원통형 바디(201)를 갖는다. 플러그 외부 하우징(26)은 정합 단부(11)로부터 종료 단부(12)까지 연장한다. 정합 단부(11)는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3)와 정합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케이블(27)은 종료 단부(12)를 통해 또는 종료 단부(12)에서 플러그 커넥터 서브 조립체(2)까지 종료된다. 케이블(27)은 고 전압 차폐 케이블과 같은 차폐 케이블일 수 있다. 래치 커버(72)는 플러그 외부 하우징(26)의 상부(202) 위에 연장한다. 래치 커버(72)는 종료 단부(12)에서 개방공(73)을 갖는다. 예를 들면, 개방공(73)은 플러그 외부 하우징(26)의 종료 단부(12)를 향해 대면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도면에서는 보이지 않지만, 가요성 래치(406)는 정합 단부(11) 및 종료 단부(12) 사이의 플러그 외부 하우징(26) 에 결합된다. 예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래치 커버(72)에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가요성 래치(401)는 플러그 외부 하우징(26)에 고정된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유지 특징부(206)는 측면(204, 205)의 외면에 위치되어 케이블 실 리테이너(14)를 플러그 커넥터 서브 조립체(2)에 잠근다. 케이블 실 리테이너(41)는 플러그 외부 하우징(26)의 종료 단부(12)를 밀봉한다. 부유 래치(4)는 래치 커버(72) 내에 배치된다. 예를 들면, 부유 래치(4)는 래치 커버(72)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부유 래치(4)는 플러그 외부 하우징(26)과 미끄럼 가능하게 결합하여, 플러그 외부 하우징(26)과 결합을 유지하는 동안 부유 래치(4)가 플러그 외부 하우징(26)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할 수 있다. 가요성 래치(401)는 예시된 실시예에서 부유 래치(4)의 후방에 배치된다.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3)는 헤더 외부 하우징(31), 정합 단부(13, 도 3에 도시됨) 및 장착 단부(14, 도 1에 도시됨)를 포함한다. 정합 단부(13)는 플러그 커넥터 서브 조립체(2)와 정합하며 장착 단부(14)는 배전 모듈과 같은 모듈(도시하지 않음)에 장착 또는 결합된다. 예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헤더 외부 하우징(31)은 헤더 커넥터를 모듈(도시하지 않음)에 부착하는 몇 개의 관통 구멍(38)을 갖는 대체로 평면인 장착 섹션(37) 및 장착 섹션(37)을 통해 연장하는 대체로 원통형 바디 섹션(39, 도 3에 도시됨)을 포함한다. 바디 섹션은 상면(47)으로부터 연장하는 돌기(42, 도 3에 도시됨)를 갖는 상면(47, 도 3에 도시됨)을 더 포함한다. 돌기(42)는 헤더 외부 하우징(31)의 정합 단부(13)를 향해 대면하는 경사 표면(43, 도 3에 도시됨) 및 헤더 외부 하우징(31)의 장착 단부(14)를 향해 대면하는 정지면(44, 도 3에 도시됨)을 포함한다. 이하에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돌기(42)는 플러그 커넥터 서브 조립체(2)의 부유 래치(4)와 협동하여 부유 래치를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3)에 잠근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도체(35, 도 1에 도시됨)는 도체(36, 도 3에 도시됨)에 관련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도체(35)를 포함하는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3) 내로 연장한다. 도체 단자(36)는 플러그 커넥터 서브 조립체(2)의 대응 케이블 단자(28, 도 4에 도시됨)와 정합하여 플러그 커넥터 서브 조립체(2) 및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3)를 전기적으로 결합시킨다. 헤더 커넥터 조립체(3)는 또한 연동 단자(18) 및 관련 연동 도체(19)를 포함한다. 연동 단자(18)는 플러그 커넥터 서브 조립체(2)의 쇼팅 바(shorting bar, 23, 도 4에 도시됨)와 정합하여 플러그 커넥터 서브 조립체(2)를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3)에 전기적으로 결합시킨다.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3)의 도체 단자(36)는 플러그 커넥터 서브 조립체(2)의 케이블 단자(28)와 정합하여 전력 또는 전류를 그 사이에 전달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커넥터 조립체(1)는 도체 단자(36) 및 케이블 단자(28) 사이에 고 전압 전류를 전달한다. 케이블 단자(28)는 선택적으로 고 전압 단자로 지칭될 수 있으며 케이블 단자(28) 및 도체 단자(36)가 정합 시 폐쇄되는 회로는 고 전압 공급 회로로 지칭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 서브 조립체(2)의 쇼팅 바(23)는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3)의 연동 단자(18) 사이를 개방하는 연동 회로를 폐쇄한다. 연동 회로의 폐쇄는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3)가 장착되는 소자 또는 배전 모듈이 전력 또는 전류를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3)의 도체 단자(36)를 통해 플러그 커넥터 서브 조립체(2)의 케이블 단자(28)까지의 전달을 시작하도록 할 수 있다. 반대로, 연동 회로의 개방은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3)가 장착되는 소자 또는 배전 모듈이 전력 또는 전류를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3)의 도체 단자(36)를 통해 플러그 커넥터 서브 조립체(2)의 케이블 단자(28)까지의 전달을 멈추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 서브 조립체(2)의 분해도이다. 플러그 커넥터 서브 조립체(2)는 주변 실 리테이너(21) 및 주변 실(22)을 포함한다. 주변 실 리테이너(21)는 플러그 커넥터 서브 조립체(2)의 플러그 외부 하우징(26)의 정합 단부(11)의 외주 둘레에 연장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외주 실(22)은 정합 단부(11)의 외주 둘레에 연장하도록 구성되는 탄성 중합 바디를 포함한다. 외주 실은 외주 실 리테이너(21) 및 플러그 외부 하우징(26)의 정합 단부(11) 사이에 배치된다. 외주 실 리테이너(21)는 플러그 외부 하우징(26)에 결합되어 외주 실 리테이너(21) 및 정합 단부(11) 사이에 외주 실(22)을 고정한다. 외주 실(22)은 플러그 커넥터 서브 조립체(2)가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3, 도 1에 도시됨)와 정합하고 나면 정합 단부(11)를 통한 플러그 외부 하우징(26)의 내부로의 습기 및 기타 오염 물질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 서브 조립체(2)는 플러그 외부 하우징(26) 내에 배치되는 플러그 차폐물(25) 내에 배치되는 플러그 내부 하우징(24)을 포함한다. 예시된 예에 있어서, 플러그 내부 하우징(24)은 전방단부(40)로부터 후방 단부(48)까지 길게 형성되며 단부(40, 48) 사이의 플러그 내부 하우징(24)을 통해 연장하는 채널을 포함한다. 플러그 차폐물(25)은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거나 전도성 물질로 형성되는 전자기 차폐물일 수 있다. 플러그 차폐물(25)은 플러그 커넥터 서브 조립체(2)가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3)와 정합하는 경우 케이블(27) 및/또는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3, 도 1에 도시됨)를 통해 전기 접지 레퍼런스와 전기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플러그 차폐물(25)은 플러그 차폐물(25)의 외측에 배치되는 전자 소자를 플러그 차폐물(25)을 통해 흐르는 전류에 의해 생성되는 전자기 간섭 및/또는 전기장으로부터 차폐시킨다.
플러그 내부 하우징(24)은 플러그 내부 하우징(24)의 전방 단부에서 또는 그에 인접하여 쇼팅 바(23)를 홀딩한다. 쇼팅 바(23)는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거나 그로 형성되는 대체로 평면인 전도성 바디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쇼팅 바(23)는 플러그 내부 하우징(24) 내에 홀딩되는 전도성 접점일 수 있다. 쇼팅 바(23)는 플러그 커넥터 서브 조립체(2) 및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3)가 서로 정합하는 경우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3, 도 3에 도시됨)의 연동 단자(18, 도 3에 도시됨)와 정합하는 연장부(17)를 포함한다.
케이블 단자(28)는 케이블(27)과 결합한다. 케이블 단자(28)는 케이블(27)용 정합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케이블 단자(28)는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3, 도 3에 도시됨)의 도체 단자(36, 도 3에 도시됨)와 정합하여 케이블(27)을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3)에 전기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케이블 단자(28)는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거나 전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 단자(28)는 플러그 내부 하우징(24) 내의 채널(30)을 통해 연장하며 플러그 내부 하우징(24)의 전방 단부(40)를 통해 접근 가능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케이블 단자(28)는 전방 단부(40)를 넘지는 않지만 전방 단부(40)까지 연장할 수도 있고 채널(30) 내로 홈이 파일 수도 있다.
케이블 실(29)은 케이블 실 리테이너(41) 사이에 배치된다. 케이블 실(29)은 플러그 외부 하우징(26) 및 케이블 실 리테이너(41)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통한 플러그 외부 하우징(26) 내로의 습기 또는 기타 오염 물질의 침투를 방지하는 탄성 중합 바디일 수 있다. 케이블 실 리테이너(41)는 플러그 외부 하우징(26)의 래칭 커버(72) 내에 맞추도록 케이블 실 리테이너(41)의 상부로부터 연장하는 작동 커버(15)를 포함한다. 작동 커버(15)는 부유 래치(4)를 부분적으로 밀폐하지만 부유 래치(4)로의 접근을 제공한다. 부유 래치(4)에 제공되는 접근은 작업자 또는 사용자가 부유 래치(4)의 일부를 누를 수 있도록 하여 부유 래치(4)를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3) 및 가요성 래치(401)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분리시킨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 래치(4)의 사시도이다. 예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부유 래치(4)는 정합 단부(51) 및 래칭 단부(52)를 갖는 대체로 사각형 바디(45)를 포함한다. 정합 단부(51) 및 래칭 단부(52)는 서로 대향하며 바디(45)는 정합 단부(51)로부터 래칭 단부(52)까지 연장한다. 바디(45)는 정합 단부(51) 및 래칭 단부(52) 사이에 위치되는 대체로 사각형 절단부(36)를 포함한다. 부유 래치(4)는 반대 쪽에서 상호 연결되는 상부(53) 및 바닥(54)을 포함한다. 절단부(46)는 바디(45)를 통해 상부(53)로부터 바닥(54)까지 연장한다. 레일(57)은 측면(55, 56)을 따라 바닥(54)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한다. 예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레일(57)은 서로에 대해 대략 평행하며 정합 단부(51)로부터 래칭 단부(52)까지 연장한다. 레일(57)은 래칭 단부(52)에서 바닥 표면(67) 및 후방 표면(68)을 포함한다.
두 개의 정지부(58)는 정합 단부(51) 및 래칭 단부(52) 사이에서 레일(57)과 결합하거나 그로부터 돌출한다. 정지부(58)는 바디(45)의 바닥으로부터 연장하며 예시된 실시예에 있어서의 절단부(46)의 각각의 측면 상에서 정합 단부(51) 및 래칭 단부(52) 사이의 대략 중간에 배치된다. 정지부(58)는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4)가 헤더 외부 하우징(31)과 정합하는 경우 헤더 외부 하우징(31)에 대한 부유 래치(4)의 연속 이동을 정지시키도록 헤더 외부 하우징(31)과 상호 작용하는 정지 정합 표면(69, 도 5에 도시됨)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부유 래치(4)는 플러그 외부 하우징(26, 도 1에 도시됨)과 미끄럼 가능하게 결합하여 부유 래치(4)가 플러그 외부 하우징(26)과 결합하지만 플러그 외부 하우징(26)에 대해 길이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부유 래치(4)는 플러그 외부 하우징(26)이 헤더 외부 하우징(31)과 정합하는 경우 정지부(58)가 헤더 외부 하우징(31)과 결합할 때까지 플러그 외부 하우징(26)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헤더 외부 하우징(31) 내로의 플러그 커넥터 서브 조립체(2)의 연속 이동은 부유 래치(4)가 플러그 외부 하우징(26)의 가요성 래치(401, 도 1에 도시됨) 상에 결합 및 래치할 때까지 부유 래치(4)가 플러그 외부 하우징(26, 도 1에 도시됨)에 대해 후방으로 미끄럼 이동하도록 한다.
러그(59)는 바디(45)의 측면(55, 56)의 외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한다. 러그(59)는 라운드형 피벗 단부(70) 및 빔 섹션(71)을 포함한다. 피벗 단부(70)는 플러그 외부 하우징(26, 도 1에 도시됨)에 대한 부유 래치(4)의 피벗 이동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피벗 단부(70)는 플러그 외부 하우징(26)과 접촉하거나 그와 결합하여 플러그 커넥터 서브 조립체(2, 도 1에 도시됨)가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3, 도 1에 도시됨)에 대한 플러그 커넥터 서브 조립체(2)의 정합 중에 단계 0 위치로부터 단계 1 위치까지 천이하는 경우 부유 래치(4)가 피벗 단부(70)를 중심으로 피벗하도록 한다. 빔 섹션(71)은 플러그 커넥터 서브 조립체(2)가 단계 0 위치에서 단계 1 위치까지 천이하는 경우 플러그 외부 하우징(26)에 대한 부유 래치(4)의 미끄럼 이동을 허용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단계 0 위치에서, 플러그 커넥터 서브 조립체(2) 및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3)는 서로 정합하지 않는다. 단계 1 위치에서, 플러그 커넥터 서브 조립체(2)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3)와 정합하며 부유 래치(4)의 정합 단부(51)는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3)의 돌기(42, 도 3에 도시됨)와 결합 및 그 위에 래치된다. 러그(59)는 또한 플러그 커넥터 서브 조립체(2)가 단계 1 위치에 있는 경우 부유 래치(4)를 플러그 외부 하우징(26)에 고정하도록 유지 표면을 제공할 수 있다.
잠금 탭(60, 도 5에 도시됨)은 래칭 단부에서, 그에 인접하는 또는 그에 가까운 위치에서 부유 래치(4)의 바닥(54)으로부터 연장한다. 잠금 탭(60)은 잠금 표면(61) 및 경사 표면(62)을 포함한다. 잠금 표면(61) 및 경사 표면(62)은 예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서로 상호 작용한다.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3, 도 1에 도시됨)에 대한 플러그 커넥터 서브 조립체(2, 도 1에 도시됨)의 정합 중에, 경사 표면(62)은 가요성 래치(401, 도 1에 도시됨)를 따라 미끄럼 이동하며 부유 래치(4)를 가요성 래치(401)로부터 바이어스 시킨다. 잠금 탭(60)은 잠금 표면(61)이 가요성 래치(401)를 통과하여 가요성 래치(401)와 결합하도록 아래로 스냅할 때까지 가요성 래치(401)를 따라 미끄럼 이동을 계속한다. 잠금 탭(60) 및 가요성 래치(401) 사이의 결합은 부유 래치(4)를 가요성 래치(401)에 고정시킨다.
부유 래치(4)는 절단부(46)의 정합 단부(51)에서 래칭 표면(64)을 더 포함한다. 래칭 표면(64)은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3, 도 1에 도시됨)의 돌기(42, 도 3에 도시됨)와 결합하여, 플러그 커넥터 서브 조립체(2) 및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3)가 서로 정합하는 경우 플러그 커넥터 서브 조립체(2, 도 1에 도시됨)를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3)에 고정시킨다.
공구 작동 블록(65, 도 6에 도시됨)은 바디(45)의 래칭 단부(52)에 또는 그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공구 작동 블록(65)은 래칭 단부(52)에 인접하는 바디(45)의 상부(53) 상의 공구 작동 표면(66, 도 6에 도시됨)을 포함한다. 스크루드라이버 또는 기타 장치와 같은 공구는 공구 작동 블록(65)을 작동시켜 부유 래치(4) 및/또는 가요성 래치(401)를 해제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크루드라이버는 공구 작동 표면(66)과 결합하여 그를 눌러서 래칭 단부(52)를 아래로 바이어스 시키며 부유 래치(4)가 피벗 단부(70)를 중심으로 피벗하도록 한다. 플로팅 래치(4)의 피벗팅은 정합 단부(51)가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3, 도 1에 도시됨)로부터 일어서 헤더 커넥터 조립체(3)의 돌기(42, 도 3에 도시됨)로부터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 서브 조립체(2)는 그 후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3)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외부 하우징(26)의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래치(401)는 플러그 외부 하우징(26)의 상부(202)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한다. 가요성 래치(401)는 래치 커버(72) 내에 위치되어 개방공(73) 내로 연장할 수 있다. 가요성 래치(401)는 플러그 외부 하우징(26)에 결합되어 가요성 래치(401)가 플러그 외부 하우징(26)에 대한 위치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으며 플러그 외부 하우징(26)에 대해 길이방향 또는 측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가요성 래치(401)의 래칭 단부(16)는 개방공(73)을 통해 래치 커버(72)로부터 연장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가요성 래치(401)는 래칭 단부(16)로부터 먼 위치에서 플러그 외부 하우징(26)과 결합한다. 예를 들면, 가요성 래치(401)는 플러그 외부 하우징(26)에 결합되며 래칭 단부(16)까지 외향 연장하는 외팔보일 수 있다. 래칭 단부(16)는 부유 래치(4, 도 1에 도시됨)의 래칭 단부(52, 도 5에 도시됨)와 결합하여 가요성 래치(401) 및 부유 래치(4)를 서로 고정시킨다.
엄지(thumb) 작동 패드(450)는 가요성 래치(401)의 래칭 단부(16)에 또는 그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엄지 작동 패드(405)는 가요성 래치(401)의 래칭 단부(16)에서 엄지 작동 표면(406)을 갖는다. 가요성 래치(401)는 플러그 외부 하우징(26)의 정합 단부(11)와 대면하는 경사 표면(402) 및 잠금 표면(403)을 갖는 잠금 범프(locking bump, 400)를 포함한다. 경사 표면(402) 및 잠금 표면(403)은 예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서로 교차한다. 플러그 외부 하우징(26)은 가요성 래치(401)의 대향 측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트랙(404)을 포함한다. 트랙 정지부(407)는 각각의 트랙(404)의 종료 단부에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부유 래치(4, 도 1에 도시됨)는 래치 커버(72)의 개방공(73)을 통해 플러그 외부 하우징(26) 내로 설치된다. 가요성 래치(401)는 부유 래치(4)를 설치하도록 편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요성 래치(401)는 부유 래치(4)가 가요성 래치(401) 위의 개방공(73) 내로 로딩되도록 하향 바이어스될 수 있다. 가요성 래치(401)는 부유 래치(4)가 개방공(73)을 통해 래치 커버(72)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요성 래치(401)는 개방공(73)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막을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의 조립 또는 정합 단계를 도시하는 단면도 및 부분 절단도이다. 부유 래치(4) 및 가요성 래치(401)는 플러그 커넥터 서브 조립체(2) 및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3)의 정합 및 비-정합 래칭 시퀀스 중에 상호 작용한다. 정합/비-정합 래칭 시퀀스는 플러그 커넥터 서브 조립체(2) 및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3) 사이의 다양한 위치 및 상호 작용을 표시하는 몇몇 단계를 포함한다. 래칭 시퀀스는 플러그 및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2, 3) 내의 정합 및 비-정합 고 전압 도체용 적절한 시퀀스 및 정합 및 비-정합 사이의 적절한 경과 시간을 제공하여 기타 시스템 구성요소에 대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래칭 시퀀스를 사용하는 플러그 및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2, 3)의 정합은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3)가 도체 단자(36, 도 3에 도시됨) 및 플러그 커넥터 서브 조립체(2)의 케이블 단자(28, 도 4에 도시됨)가 정합하여 그 사이에 전류를 전달할 수 있을 때까지 연동 회로 개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반대 순서의 래칭 시퀀스를 사용하는 플러그 및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2, 3)의 비-정합은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3)의 도체 단자(36) 및 플러그 커넥터 서브 조립체(2)의 케이블 단자(28)가, 연동 회로가 플러그 및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2, 3)의 비-정합 중에 개방된 후, 상대적으로 짧은 기간 동안 정합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연동 회로의 개방 및 도체 단자(36)와 케이블 단자(28) 사이의 비-정합 사이의 이러한 지연은 용량성 구성요소를 위한 시간을 제공하여, 도체 단자(36)가 케이블 단자(28)로부터 분리되기 전에 빌트-업 전하를 방전할 수 있게 한다.
도 8은 커넥터 조립체(1)의 측 단면도를 도시하는바, 플러그 커넥터 서브 조립체(2) 및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3)가 단계 0 위치에 있거나, 플러그 커넥터 서브 조립체(3)가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3)로부터 비-정합 및 분리된다. 단계 0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 서브 조립체(2)의 케이블 단자(28, 도 4에 도시됨)는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3)의 도체 단자(36, 도 3에 도시됨)와 비-정합한다. 결과적으로, 플러그 커넥터 서브 조립체(2)는 일 실시예에 있어서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3)와 전력 또는 전류를 전송할 수 없다. 또한, 단계 0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 서브 조립체(2)의 쇼팅 바(23, 도 4에 도시됨)는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3)의 연동 단자(18, 도 3에 도시됨)와 비-정합한다. 그 결과,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3)가 장착되는 소자 또는 배전 모듈 내의 연동 회로는 개방 상태로 있을 수 있다. 소자 또는 배전 모듈은 연동 회로가 개방되는 경우 플러그 커넥터 서브 조립체(2)의 케이블 단자(28) 및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3)의 도체 단자(36)를 통해 전력 또는 전류를 전달하지 않는다.
단계 0 이전 및 단계 0에 있어서, 부유 래치(4)는 플러그 커넥터 서브 조립체(2) 내로 설치되며 가요성 래치(401)는 편향되어 부유 래치(4)가 플러그 외부 하우징(26)의 래치 커버(72) 내에 설치되도록 한다. 부유 래치(4)의 잠금 탭(60)은 가요성 래치(401)의 잠금 범프(400)의 경사 표면(402) 및 잠금 표면(403)과 잠금 또는 결합한다. 잠금 탭(60) 및 잠금 범프(400) 사이의 결합은 가요성 래치(401)를 편향 또는 하향 바이어스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실 리테이너(41)는 플러그 외부 하우징(26)의 종료 단부(12)에 설치되어 래칭 커버(72)가 가요성 래치(401) 위에서 연장하도록 한다. 부유 래치(4)는 플러그 외부 하우징(26) 내에 배치되어 플러그 커넥터 서브 조립체(2)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부유 래치(4)의 공구 작동 블록(65)은 작동이 자유로우며 기능적 상태에 있게 된다. 예를 들면, 공구 작동 블록(65)은 피벗 단부(70, 도 5에 도시됨)를 중심으로 부유 래치(4)를 피벗하도록 눌려질 수 있다. 반대로, 가요성 래치(401)의 엄지 작동 패드(405)는 작동이 자유롭지 않으며 비-기능적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요성 래치(401) 및 엄지 작동 패드(405)는 부유 래치(4)에 의해 하향 편향될 수 있으며 추가로 편향될 수 없을 수 있다.
도 9는 플러그 커넥터 서브 조립체(2)가 단계 0의 비-정합 위치로부터 단계 1의 정합 위치까지 이동함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 서브 조립체(2) 및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3)의 부분 절단도이다. 플러그 커넥터 서브 조립체(2)는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3)에 대해 정합 방향(A)을 따라 플러그 커넥터 서브 조립체(2)를 이동시킴으로써 단계 0으로부터 단계 1까지 이동된다. 플러그 커넥터 서브 조립체(2)는 정합 방향(A)으로 이동되어 플러그 외부 하우징(26)이 헤더 외부 하우징(31) 위로 이동되도록 한다. 플러그 커넥터 서브 조립체(2)가 헤더 서브 조립체(3)와 정합하도록 이동됨에 따라, 부유 래치(4)는 플러그 커넥터 서브 조립체(2)와 함께 이동하며 부유 래치(4)의 정합 단부(51)는 헤더 외부 하우징(31) 상의 돌기(42)의 경사면을 따라 타고 간다. 정합 단부(51)가 돌기(42)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부유 래치(4) 및 가요성 래치(401)는 서로 잠긴 상태 또는 결합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부유 및 가요성 래치(4, 401) 둘 다는 부유 래치(4)의 공구 작동 블록(65, 도 5에 도시됨) 및 가요성 래치(401)의 엄지 작동 패드(405, 도 7에 도시됨) 중 어느 것도 기능적이지 않도록 편향될 수 있다. 공구 작동 블록(65) 및 엄지 작동 패드(405)는 어느 것도 추가로 눌려지지 않도록 하향 편향될 수 있다.
도 10은 커넥터 조립체(1)의 측 단면도를 도시하되, 플러그 커넥터 서브 조립체(2) 및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3)는 단계 1 위치에 있다. 도 11은 단계 1 위치에서의 커넥터 조립체(1)의 부분 절단도이다. 단계 1 위치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2)의 부유 래치(4)는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3)와 결합 및 정합하지만 가요성 래치(401)로부터 분리 및 비-정합한다. 단계 1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 서브 조립체(2)는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3) 위의 제 1 잠금 위치 내로 이동되었다. 예를 들면, 부유 래치(4)의 정합 단부(51)는 경사 표면(43) 위를 통과하여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3)의 돌기(42) 위로 래치되었다. 부유 래치(4)의 래칭 표면(64)은 헤더 외부 하우징(31)으로부터 연장하는 돌기(42)의 정지 표면(44)과 정합한다. 부유 래치(4)의 정지 정합 표면(69)은 헤더 외부 하우징(31)의 정합 단부(13)와 접한다. 부유 래치(4) 및 돌기(42) 사이의 결합은 부유 래치(4)를 헤더 서브 조립체(3)와 잠그며 플러그 커넥터 서브 조립체(2)가 부유 래치(4)의 해제 없이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3)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정합 표면(69) 및 헤더 외부 하우징(31)의 정합 단부(13) 사이의 결합은 부유 래치(4)가 정합 방향(A)을 따라 추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예를 들면, 부유 래치(4)는 부유 래치(4)가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3)와 결합할 때까지 플러그 외부 하우징(26)과 함께 정합 방향(A)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합 후, 정합 방향(A)을 따른 플러그 커넥터 서브 조립체(2)의 연속 이동은 부유 래치(4)가 거의 고정 상태로 유지되는 동안 플러그 외부 하우징(26)이 정합 방향(A)을 따라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부유 래치(4)는 래치 커버(72) 내의 플러그 외부 하우징(26)에 대해 미끄럼 이동할 수 있다.
단계 1에 있어서, 부유 래치(4)는 더 이상 편향되지 않을 수 있으며 공구 작동 블록(65)은 개방공(73)을 통해 노출 또는 그를 통해 접근 가능할 수 있다. 작업자 또는 사용자는 공구 작동 블록(65)을 눌러서 부유 래치(4)가 피벗 단부(70, 도 5에 도시됨)를 중심으로 피벗하도록 하며 부유 래치(4)의 정합 단부(51)를 돌기(42) 위로 올려서 부유 래치(4)가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3)로부터 분리 및 해제되도록 한다. 가요성 래치(401)는 부유 래치(4)에 의해 하향 편향을 계속하여 엄지 작동 패드(405)가 눌려지지 않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계 1에 있어서, 엄지 작동 패드(405)는 비-기능적일 수 있다.
도 12는 단계 1 위치에서 플러그 커넥터 서브 조립체(2) 및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3)의 상부 단면도이다. 전력 또는 전류가 플러그 커넥터 서브 조립체(2) 및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3) 사이에 전달되는 회로는 단계 0에서 개방이지만 단계 1에서는 폐쇄된다. 예를 들면, 단계 1 이전에, 플러그 커넥터 서브 조립체(2)의 케이블 단자(28)는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3)의 도체 단자(36)와 정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플러그 커넥터 서브 조립체(2)는 전력 또는 전류를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3)와 전달할 수 없다. 단계 1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 서브 조립체(2)는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3)에 대해 정합 방향(A)을 따라 충분히 멀리 진행하여 케이블 단자(28)가 도체 단자(36)와 정합하도록 하였다. 예를 들면, 플러그 커넥터 서브 조립체(2)는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3)의 제 1 깊이 치수(20)까지 정합 방향(A)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제 1 깊이 치수(20)는 정합 방향(A)을 따른 플러그 커넥터 서브 조립체(2)의 정합 단부(11) 및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3)의 정합 단부(13) 사이의 거리를 표시한다. 제 1 깊이 치수(20)는 케이블 단자(28)를 도체 단자(36)에 정합하기 위해 플러그 외부 하우징(26)이 정합 방향(A)을 따라 진행하는 소정의 문턱 거리일 수 있다.
도체 단자(36)에 대한 케이블 단자(28)의 정합의 결과, 전력 또는 전류가 플러그 및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2, 3) 사이에 공급되는 회로는 폐쇄되고, 전력 또는 전류는 그 사이에 전달될 수 있다. 반대로, 연동 회로는 플러그 및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2, 3)의 단계 1 위치에서 개방 상태로 유지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 서브 조립체(2)의 쇼팅 바(23)는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3)의 연동 단자(18)와 비-정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3)가 장착되는 소자 또는 배전 모듈은 연동 회로가 개방되는 경우 플러그 커넥터 서브 조립체(2)의 케이블 단자(28) 및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3)의 도체 단자(36)를 통해 전력 또는 전류를 전달하지 않는다. 그에 따라, 어떤 전력 또는 전류도 도체 단자(36) 및 케이블 단자(28) 사이에 전달되지 않는다.
도 13은 단계 2 위치에서 플러그 및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2, 3)의 측 단면도이다. 도 14는 단계 2 위치에서 플러그 및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2, 3)의 부분 절단도이다. 플러그 및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2, 3)가 서로에 대해 정합 방향(A)을 따라 단계 1 위치로부터 단계 2 위치까지 이동함에 따라, 플러그 커넥터 서브 조립체(2)는 헤더 외부 하우징(31) 위에서 정합 방향(A)으로 이동을 계속한다. 부유 래치(4)는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3)에 대해 거의 고정 상태로 유지되어 가요성 래치(401)가 부유 래치(4)에 대해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부유 래치(4) 및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3) 사이의 결합은 플러그 커넥터 서브 조립체(2)가 정합 방향(A)으로의 이동을 계속함에 따라 부유 래치(4)의 추가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부유 래치(4)는 플러그 커넥터 서브 조립체(2)가 정합 방향(A)을 따라 이동을 계속함에 따라 정합 방향(A)과 반대 방향으로 플러그 외부 하우징(26)에 대해 미끄럼 이동할 수 있다.
가요성 래치(401)는 플러그 외부 하우징(26)이 정합 방향(A)으로 이동함에 따라 가요성 래치(401) 및 부유 래치(4)가 서로 정합할 때까지 부유 래치(4) 아래로 이동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부유 래치(4)의 작동 블록(65)은 가요성 래치(401)가 정합 방향(A)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부유 래치(4)가 가요성 래치(401)의 잠금 범프(400)의 잠금 표면(403) 상에 놓일 때까지 거의 고정 상태를 유지한다. 예를 들면, 가요성 래치(401)는 부유 래치(4)의 잠금 탭(60)의 잠금 표면(61)이 가요성 래치(401)의 잠금 표면(403)과 결합할 때까지 정합 방향(A)을 따라 부유 래치(4)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잠금 탭(60) 및 잠금 표면(403) 사이의 결합은 부유 래치(4)를 가요성 탭(401)에 고정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3) 및 플러그 커넥터 서브 조립체(2)의 가요성 래치(401)에 대한 부유 래치(4)의 결합은 플러그 및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2, 3)를 정합 관계로 고정시킬 수 있다.
부유 래치(4) 및 외부 하우징(26)의 트랙 정지부(407)는 부유 및 가요성 래치(4, 401)의 서로로부터의 의도하지 않은 해제를 방지하는 방식으로 서로 결합할 수 있다. 부유 래치(4)의 레일(57)은 외부 하우징(26)의 트랙 정지부(407) 상에 멈추며 트랙 정비부(407)에 의해 눌려지는 것이 방지된다. 그 결과, 작동 블록(65)은 비-기능 상태에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작동 블록(65)은 부유 래치(4)를 피벗하도록 눌려지는 것이 방지되어 부유 래치(4)의 정합 단부(51)를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3)의 돌기(42)로부터 해제한다. 반대로, 가요성 래치(401)의 엄지 작동 패드(405)는 단계 2에서 기능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작업자 또는 사용자는 부유 래치(4)의 잠금 탭(60)으로부터 멀리 가요성 래치(401)를 내리도록 엄지 작동 패드(405)를 눌러서 잠금 탭(60)을 가요성 래치(401)의 잠금 표면(403)으로부터 해제할 수 있다.
단계 2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 서브 조립체(2)는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3)에 대해 정합 방향(A)을 따라 충분히 멀리 진행하여 연동 회로가 폐쇄되도록 하였다. 연동 회로는 플러그 및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2, 3)가 단계 2 위치에 있을 때까지 폐쇄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러그 커넥터 서브 조립체(2)의 쇼팅 바(23)는 플러그 커넥터 서브 조립체(2)가 단계 2 위치에 있을 때까지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3)의 연동 단자(18)와 정합하지 않을 수 있다. 단계 2 위치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 서브 조립체(2)는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3)의 제 2 깊이 치수(50)에 있다. 제 2 깊이 치수(50)는 정합 방향(A)을 따른 플러그 커넥터 서브 조립체(2)의 정합 단부(11) 및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3)의 정합 단부(13) 사이의 거리를 나타낸다. 제 2 깊이 치수(50)는 플러그 외부 하우징(26)이 쇼팅 바(23)를 연동 단자(18)와 정합시키기 위해 정합 방향(A)을 따라 진행하는 소정의 문턱 거리일 수 있다.
도 15는 단계 2 위치의 플러그 및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2, 3)의 상부 단면도이다. 단계 2 위치에 있어서, 플러그 및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2, 3) 사이에 전력 또는 전류를 전달하는 회로는 폐쇄되며 연동 회로는 폐쇄된다. 전력 또는 전류를 전달하는 회로에 대해, 예를 들면, 플러그 커넥터 서브 조립체(2)의 케이블 단자(28)는 단계 1에서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3)의 도체 단자(36)와 정합하며 플러그 및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2, 3)가 단계 2 위치까지 이동함에 따라 서로에 대한 정합 상태를 유지한다. 연동 회로에 대해, 플러그 커넥터 서브 조립체(2)의 쇼팅 바(23)는 플러그 및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2, 3)가 단계 2 위치에 있을 때까지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3)의 연동 단자(18)와 비-정합 상태를 유지한다. 연동 회로가 폐쇄될 때까지 소자 또는 배전 모듈이 도체 단자(36) 및 케이블 단자(28)를 통해 전력을 전달하지 않는 실시예에 있어서, 플러그 및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2, 3)는 도 8 내지 도 15에 도시된 래칭 시퀀스에서 정합하여 연동 단자(18)에 대한 쇼팅 바(23)의 정합 이전에 도체 단자(36) 및 케이블 단자(28)를 정합시킨다.
플러그 및 헤더 커넥터 조립체(2, 3)를 서로로부터 비-정합 또는 해제하기 위해, 가요성 래치(401)의 엄지 작동 패드(405) 및 부유 래치(4)의 공구 작동 블록(65)은 반대 순서로 작동된다. 예를 들면, 엄지 작동 패드(405)는 전술한 바와 같이 부유 래치(4)를 가요성 래치(401)로부터 해제하도록 눌려진다. 플러그 및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2, 3)는, 전력 또는 전류를 그 사이에서 전달하는 회로 및 연동 회로가 폐쇄되는, 단계 2 위치로부터 단계 1 위치까지 이동될 수 있는바, 연동 회로는 개방되지만 전력 또는 전류를 전달하는 회로는 폐쇄 상태를 유지한다.
부유 래치(4)가 가요성 래치(401)로부터 해제되고 나면, 공구는 공구 작동 블록(65)을 누르도록 사용되어 부유 래치(4)가 피벗 단부(70, 도 5에 도시됨)를 중심으로 피벗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부유 래치(4)의 피벗팅은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3)의 돌기와의 결합으로부터 부유 래치(4)의 정합 단부(51)를 들어올릴 수 있다. 플러그 및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2, 3)는 서로로부터 분리되어, 전력 또는 전류를 전달 또는 공급하는 회로 및 연동 회로가 개방되는, 단계 0 위치까지 이동된다. 연동 회로의 개방 및 전력 또는 전류 공급 회로의 개방 사이의 지연은 커넥터 조립체(1)와 전기적으로 결합하는 용량성 요소의 시간을 제공하여 빌트-업 전하를 방전할 수 있게 한다.

Claims (10)

  1. 정합 단부(11)로부터 종료 단부(12)까지 연장하며 상기 정합 단부(11) 및 상기 종료 단부(12) 사이에 배치되는 가요성 래치(401)를 포함하되, 상기 정합 단부(11)는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3)와 정합하도록 구성되는, 외부 하우징(26); 및
    상기 가요성 래치(401) 및 상기 외부 하우징(26) 사이의 외부 하우징(26)에 미끄럼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외부 하우징(26) 및 상기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3) 상에 래치하도록 구성되는 대향 단부(51, 52) 사이에서 연장하는, 부유 래치(4)를 포함하되,
    상기 외부 하우징(26)은 상기 헤더 조립체(3)와 정합하도록 정합 방향을 따라 이동되며, 상기 부유 래치(4)는 상기 부유 래치(4)의 대향 단부 중 하나(51)가 상기 헤더 커넥터 조립체(3)와 결합할 때까지 상기 외부 하우징(26)과 함께 이동하며, 상기 부유 래치(4)가 상기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3)와 결합한 후, 상기 외부 하우징(26)은 상기 부유 래치(4)에 대해 상기 정합 방향을 따라 이동을 계속하며 상기 부유 래치(4)는 상기 대향 단부 중 다른 하나(52)가 상기 외부 하우징(26)의 가요성 래치(401)와 결합할 때까지 상기 외부 하우징(26)에 대해 미끄럼 이동하는 커넥터 조립체(1).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 래치(4) 및 상기 외부 하우징(26)은 상기 부유 래치(4)가 상기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3)와 결합하여 그 위에 래치하는 제 1 단계까지 상기 정합 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외부 하우징(26)은 상기 부유 래치(4)가 고정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제 2 단계까지 상기 정합 방향을 따라 이동을 계속하며, 상기 부유 래치(4)는 상기 제 2 단계에서 상기 외부 하우징과 결합하여 그 위에 래치하는 커넥터 조립체(1).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하우징(26)은 상기 부유 래치(4)가 상기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3)와 결합하는 경우 제 1 깊이 치수까지 상기 헤더 커넥터 조립체(3) 내로 수용되며, 상기 외부 하우징(26)은 상기 부유 래치(4)가 상기 외부 하우징(26)과 결합하는 경우 더 큰 제 2 깊이까지 상기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3) 내로 수용되는 커넥터 조립체(1).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 래치(4)는 상기 외부 하우징(26)이 상기 제 1 깊이 치수로부터 상기 제 2 깊이 치수까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외부 하우징(26)에 대해 이동하는 커넥터 조립체(1).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하우징(26) 내에 배치되는 케이블 단자(28) 및 전도성 쇼팅 바(23)를 더 포함하되, 상기 케이블 단자(28)는 상기 부유 래치(4)가 상기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3)와 결합하는 경우 상기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의 도체 단자(36)와 정합하며, 상기 쇼팅 바(23)는 상기 부유 래치(4)가 상기 외부 하우징(26)과 결합하는 경우 상기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3)의 연동 단자(18)와 정합하는 커넥터 조립체(1).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 래치(4)는 상기 쇼팅 바(23) 및 상기 연동 단자(18)를 정합 관계로 고정하기 전에 상기 케이블 단자(28) 및 상기 도체 단자(36)를 정합 관계로 고정하는 커넥터 조립체(1).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하우징(26) 내에 배치되는 케이블 단자(28) 및 쇼팅 바(23)를 더 포함하되, 상기 케이블 단자(28)는 그 사이에 전류를 전달하도록 상기 헤더 조립체(3)의 도체 단자(36)와 정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쇼팅 바(23)는 상기 헤더 조립체(3)의 연동 단자(18)와 정합하여 상기 케이블 단자(28) 및 상기 도체 단자(36) 사이의 전류의 전달을 제어하는 연동 회로를 폐쇄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조립체(1).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단자(28)는 상기 도체 단자(36)와 정합하며 상기 부유 래치(4)는 상기 쇼팅 바(23)가 상기 외부 하우징(26)과 결합하는 상기 연동 단자(18) 및 상기 부유 래치(4)와 정합하기 전에 상기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3)와 결합하는 커넥터 조립체(1).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 래치(4)는 상기 외부 하우징(26)에 피벗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3)와 결합하는 상기 부유 래치(4)의 단부(51)가 상기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3)로부터 올려져 해제되도록 하는 커넥터 조립체(1).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 래치(4)는 상기 외부 하우징(26)을 해제하여 상기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3)을 해제하기 전에 상기 쇼팅 바(23)를 상기 연동 단자(18)로부터 비-정합시켜, 상기 외부 하우징(26)이 상기 헤더 커넥터 서브 조립체(3)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상기 도체 단자(36)로부터 상기 케이블 단자(28)를 비-정합시키는 커넥터 조립체(1).
KR1020117012179A 2008-12-12 2009-12-11 2단 래치를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 KR1012094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0508P 2008-12-12 2008-12-12
US61/201,605 2008-12-12
US12/539,261 2009-08-11
US12/539,261 US7811115B1 (en) 2008-12-12 2009-08-11 Connector assembly with two stage latch
PCT/US2009/006521 WO2010068293A1 (en) 2008-12-12 2009-12-11 Connector assembly with two stage latc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9315A KR20110089315A (ko) 2011-08-05
KR101209424B1 true KR101209424B1 (ko) 2012-12-06

Family

ID=41664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2179A KR101209424B1 (ko) 2008-12-12 2009-12-11 2단 래치를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811115B1 (ko)
EP (1) EP2377206B1 (ko)
JP (1) JP5419183B2 (ko)
KR (1) KR101209424B1 (ko)
CN (1) CN102246361B (ko)
WO (1) WO20100682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3212B1 (ko) * 2009-11-09 2011-09-0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차량의 노이즈 제거용 커넥터
US8083533B2 (en) * 2010-02-11 2011-12-2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y for an interlock circuit
DE102010051954B3 (de) * 2010-08-13 2012-02-09 Harting Electronics Gmbh & Co. Kg Steckverbinder für differenzielle Datenübertragung
US8328581B2 (en) 2010-11-03 2012-12-11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In-line fused connector
JP2012150913A (ja) * 2011-01-17 2012-08-09 Yazaki Corp 電線ホルダ、及び、この電線ホルダの接続方法
CN202009112U (zh) * 2011-01-25 2011-10-12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组件
US8497611B2 (en) 2011-04-22 2013-07-30 Regal Beloit America, Inc. Motor end frame
KR101255790B1 (ko) 2011-07-21 2013-04-23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차폐커넥터
US8469732B2 (en) * 2011-08-16 2013-06-25 Motorola Solutions, Inc. Latching mechanism for a connector
DE202011107900U1 (de) * 2011-11-15 2011-11-28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Steckverbinder
JP6044881B2 (ja) * 2011-11-22 2016-12-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給電制御装置
US8998633B2 (en) * 2012-01-09 2015-04-07 Cree, Inc. Electrical connector apparatus, lighting device positioning apparatus and method of electrically connecting apparatus
CN104521075B (zh) * 2012-05-30 2016-11-02 德尔福国际业务卢森堡公司 用于车辆装置的互连组件以及互连方法
CN103199380B (zh) * 2012-07-12 2015-11-18 德尔福中央电气(上海)有限公司 一种高压连接器的断开延时结构
JP6055260B2 (ja) * 2012-10-05 2016-12-27 矢崎総業株式会社 充電コネクタ
US9252539B2 (en) 2012-11-02 2016-02-02 Hubbell Incorporated Internally switched female receptacle or connector with plug-latching safety interlock
CN103346432B (zh) * 2013-07-01 2015-03-11 苏州华旃航天电器有限公司 一种具有浮动结构的连接器
KR101491270B1 (ko) * 2013-07-05 2015-0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고전압 커넥터
US9099814B2 (en) 2013-07-16 2015-08-04 Delphi Technologies, Inc. Shielded electrical header assembly
CN104348024B (zh) * 2013-07-26 2017-12-08 深圳巴斯巴科技发展有限公司 高压连接器
US9203183B2 (en) * 2013-07-30 2015-12-0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6056706B2 (ja) * 2013-08-23 2017-01-11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6263064B2 (ja) * 2014-03-26 2018-01-17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9425561B2 (en) * 2014-11-05 2016-08-23 Hyundai Motor Company High voltage electrical connector
US9368911B2 (en) 2014-11-14 2016-06-1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self-closing electrical connector
US9397445B1 (en) * 2015-04-15 2016-07-19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system with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102015214284B4 (de) * 2015-07-28 2017-03-30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Elektrischer Steckverbinder mit vibrationsresistenter Kurzschlussbrücke und elektrische Steckverbindung
US9431771B1 (en) * 2015-11-04 2016-08-30 Delphi Technologies, Inc Electromagnetically shielded connector system
KR101734716B1 (ko) * 2015-12-11 2017-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US10118496B2 (en) * 2016-02-04 2018-11-06 Dragon Bite Industrial Co., Ltd. Waterproofing members integrally formed with elements of a charging coupler
CN105633716B (zh) * 2016-04-06 2018-05-25 深圳市思科赛德电子科技有限公司 高压连接器
DE102016107169A1 (de) * 2016-04-18 2017-10-19 Erni Production Gmbh & Co. Kg Steckkontaktset und Verfahren zum Prüfen einer Verrastung des Steckkontaktsets
DE102016005510A1 (de) * 2016-05-04 2017-11-09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HVIL-System
US9929508B2 (en) * 2016-05-20 2018-03-27 Delphi Technologies, Inc. Electrical connector
US9887489B1 (en) 2016-10-19 2018-02-06 Hubbell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with plug latching assembly
US10446814B2 (en) 2016-10-24 2019-10-15 Fca Us Llc High voltage test and service module with an interlock
US10027070B1 (en) 2017-02-28 2018-07-17 Fca Us Llc HVIL plug assembly
JP6574804B2 (ja) * 2017-03-27 2019-09-11 矢崎総業株式会社 防水部品
DE102017210005A1 (de) * 2017-06-14 2018-12-20 Eberspächer Catem Gmbh & Co. Kg Kabeldurchführung
JP2019008970A (ja) * 2017-06-23 2019-01-17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KR102390768B1 (ko) * 2017-07-20 2022-04-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용 커넥터
CN207320479U (zh) * 2017-10-17 2018-05-04 安费诺精密连接器(深圳)有限公司 一种高压连接器
JP2019096589A (ja) * 2017-11-17 2019-06-20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アセンブリ
JP6828835B2 (ja) * 2017-12-26 2021-02-10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US11276960B2 (en) * 2018-01-31 2022-03-15 Molex, Llc Connector with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CN108199164B (zh) * 2018-02-23 2024-03-12 宁波洛可信汽车零部件有限公司 有安全锁的高压连接器
JP6876659B2 (ja) * 2018-08-24 2021-05-26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構造
US11183793B2 (en) * 2018-10-08 2021-11-23 Aptiv Technologies Limited Connector system with a terminal retaining device having a reverse hinged lock feature
CN111384642A (zh) 2018-12-29 2020-07-07 李尔公司 具有连接器位置保证件的电连接器
US10910747B1 (en) * 2019-12-24 2021-02-02 Amphenol East Asia Electronic Technology Engagement structure of Ethernet connector for vehicle
JP7365931B2 (ja) * 2020-02-19 2023-10-20 住友電工オプティ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光コネクタ
JP7414635B2 (ja) 2020-05-07 2024-01-1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18413A (en) 1964-10-26 1965-11-16 Koch Rudolf Fused connecting plug having fuses which can be removed without dis-assembly of the housing and an indicating lamp for indicating a fuse disruption
US3320383A (en) 1965-11-02 1967-05-16 Koetter Leonard Multiple electrical outlet fused plug receptacle
US3626354A (en) 1970-03-04 1971-12-07 Philip M Banner Polarity-reversing adapter means
US4178061A (en) 1977-02-15 1979-12-11 Ahroni Joseph M Fused electrical plug
US4408822A (en) 1980-09-22 1983-10-11 Delta Electronic Manufacturing Corp. Coaxial connectors
US4426127A (en) 1981-11-23 1984-01-17 Omni Spectra, Inc. Coaxial connector assembly
US4575704A (en) 1984-01-27 1986-03-11 Fire Savr Electrical adaptor
JPH01132076U (ko) * 1988-03-04 1989-09-07
JPH0620303Y2 (ja) * 1989-08-09 1994-05-25 富士重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の結合確認装置
US5137473A (en) 1991-06-28 1992-08-11 Nickola Anne D Fused protection device
JPH05242927A (ja) * 1992-02-27 1993-09-21 Fujikura Ltd コネクタ
IT1275681B1 (it) 1993-12-04 1997-10-17 Interconnectron Gmbh Connettore da innesto elettrico con dispositivo di contatto per la schermatura emv del cavo.
JP3285307B2 (ja) * 1996-03-07 2002-05-27 矢崎総業株式会社 半嵌合防止コネクタ
DE19727453A1 (de) 1997-06-27 1999-01-07 Amp Gmbh Rundsteckverbinder für ein geschirmtes Kabel
JP3468451B2 (ja) * 1997-09-09 2003-11-17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嵌合構造
JP2001250646A (ja) 2000-03-02 2001-09-14 Yazaki Corp アーク放電防止コネクタ及びアーク放電防止回路
CA2353425C (en) * 2000-07-24 2004-09-07 Yazaki Corporation Connector fitting structure
US6753755B2 (en) 2001-06-28 2004-06-22 Safer Home, Inc. Electrical safety connector fuse
DE10255531B3 (de) 2002-11-27 2004-07-01 Yazaki Europe Ltd., Hemel Hempstead Stecker mit Schieber zum Verbinden mit einer Steckbuchse
EP2284964A1 (en) * 2004-10-22 2011-02-16 Panduit Corp. Push-pull plugs and tools
DE102007010515B3 (de) 2007-03-05 2008-09-18 Leoni Bordnetz-Systeme Gmbh Elektrischer Stecker sowie elektrische Steckkontaktanordn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419183B2 (ja) 2014-02-19
CN102246361A (zh) 2011-11-16
EP2377206B1 (en) 2015-06-10
WO2010068293A1 (en) 2010-06-17
US20100255709A1 (en) 2010-10-07
KR20110089315A (ko) 2011-08-05
JP2012511805A (ja) 2012-05-24
CN102246361B (zh) 2013-06-12
US7811115B1 (en) 2010-10-12
EP2377206A1 (en) 2011-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9424B1 (ko) 2단 래치를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
US8333613B2 (en) Header assembly
CN102474054B (zh) 熔断器连接器组件
KR101588072B1 (ko) 전기 커넥터 시스템, 이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기 장치, 및 이 시스템을 교합해제하기 위한 방법
KR101083449B1 (ko) 고전압 차폐 전기 커넥터 조립체
JP2602483B2 (ja) コネクタ位置保証システム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組立体
US10454199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position assurance device
US11050192B2 (en) Electric connector with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US11975622B2 (en) Charging inlet assembly having an AC charging module
JPH10223311A (ja) コネクタ嵌合構造
KR102385903B1 (ko) 커넥터
US20230018161A1 (en) Electrical Plug-in Connection and Clamping Device for an Electrical Plug-in Connection
US20230062271A1 (en) Connector device
KR20090105056A (ko) 통전용 탄성편, 이를 구비한 차폐 커넥터 및 차폐 커넥터세트
KR20230132719A (ko)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CN116867667A (zh) 电机驱动的锁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