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4716B1 -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 Google Patents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4716B1
KR101734716B1 KR1020150177340A KR20150177340A KR101734716B1 KR 101734716 B1 KR101734716 B1 KR 101734716B1 KR 1020150177340 A KR1020150177340 A KR 1020150177340A KR 20150177340 A KR20150177340 A KR 20150177340A KR 101734716 B1 KR101734716 B1 KR 101734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terminal
housing
open circuit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7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재민
이영종
유문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77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4716B1/ko
Priority to US15/138,605 priority patent/US1023662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4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4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the switch being in series with coupling part, e.g. dead coupling, explosion proof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Bases or cases for heavy duty; Bases or cases for high voltage with means for preventing corona or ar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적 신호를 일방향으로 보내는 개방회로 터미널이 구비된 제 1커넥터 및 상기 제 1커넥터의 상기 개방회로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플레이팅(plating)부가 형성된 제 2커넥터를 포함하는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High voltage connecto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메일(Male)단자와 피메일(Female)단자간 체결 및 해제에 따른 아크(arc)를 방지하는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전기장치는 기관측 전기장치와 차체측 전기장치로 나눌 수 있다. 기관측 전기장치는 점화 코일, 배전기 고압 케이블, 점화 플러그 등으로 이루어지는 점화장치 및 발전기, 조정기로 이루어지는 충전장치로 되어 있다. 차체측 전기장치는 축전지를 비롯하여 조명용, 표지용, 신호용으로 이루어지는 등화장치, 인스트 루먼트 패널에 설치되는 계기류 경고 표시장치 및 냉, 난방장치 등이 있다.
이러한, 자동차의 전기장치들은 모두 와이어에 의해서 자동차의 엔진룸 내부에서 전자제어부(ECU)와 연결된다. 상기 와이어와 ECU를 서로 연결하는 중간 매개체로써 정션블록(Junction Block)가 사용된다.
정션블록은 차량의 내부에 배치되는 퓨즈 및 릴레이 등을 하나의 어셈블리로 구성한 블록이다. 정션블록은 상기 차량의 내부에 배선되는 각종 전기장치에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일련의 구조이다. 정션블록의 내부에는 퓨즈(Fuse)와 각종 단자 및 릴레이(Relay) 등이 설치된다. 그리고, 정션블록의 하부에는 이들 퓨즈와 각종 단자 및 릴레이 등에 연결되는 고전압 커넥터와 접속된다.
한편, 전기 자동차는 고전압을 사용함에 따라 노이즈(Noise) 저감이 중요시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 전기 자동차는 소비자들의 편의성 및 안정성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다양한 편의장치와 안전장치 등이 추가 장착됨에 따라 대용량의 전원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전기 자동차의 전원 분배 시스템은 점차적으로 14V 전원 시스템에서 36V 혹은 42V~48V의 전원 시스템으로 승압된 전원 체계가 검토되고 있으며, 일부 적용중에 있다.
전기 자동차는 각 전장요소에 전원 공급을 접속하는 전류단자의 삽입 및 이탈시에 다양한 전압의 범위에서 아크 방전이 발생한다. 아크 방전의 발생으로 운전자와 동승자 및 정비사 등에게 악영향을 초래할 수 있다. 고전압 전원체계인 42V의 전원 시스템을 적용하는 경우 단자 혹은 기타에서 발생되는 아크 방전은 14V의 전원 시스템에 비하여 몇 배 이상이 된다.
즉, 고전압 전원체계인 42V의 전원 시스템에서 아크 방전이 발생하는 경우 그 방전 전압은 대략 1000V 이상이 되어, 도로 주행중 진동의 의한 단자 접촉 불량으로 시동 꺼짐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단자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복잡한 구조물을 삭제하는데 있다. 또, 고전압 커넥터의 체결 및 해제에 따른 아크 발생을 방지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에 있어서, 전기적 신호를 일방향으로 보내는 개방회로 터미널이 구비된 제 1커넥터 및 상기 제 1커넥터의 상기 개방회로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플레이팅(plating)부가 형성된 홀더를 포함하는 제 2커넥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커넥터는, 외형을 이루는 제 1케이스와, 상기 제 1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된 제 1하우징과, 상기 제 1하우징의 외부에서 삽입된 와이어와 연결되는 메일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개방회로 터미널은 상기 제 1하우징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커넥터는, 외형을 이루는 제 2케이스와, 상기 제 2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된 제 2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제 2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개방회로 터미널과 접촉하여 제 1커넥터와 제 2커넥터간 폐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방회로 터미널은, 복수개로 구비되어 플레이팅부에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커넥터에는, 상기 제 1커넥터를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2커넥터는, 외형을 이루는 제 2케이스와, 상기 제 2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된 제 2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개방회로 터미널에 플레이팅부를 밀착시키도록 상기 제 2하우징을 탄성지지하는 상기 탄성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하우징은, 상기 메일단자가 삽입되는 피메일단자가 형성되고, 상기 피메일단자에 상기 메일단자와 연결되는 단자연결부가 배치되고, 상기 피메일단자와 직교되게 플레이팅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커넥터는, 상기 개방회로 터미널에 상기 플레이팅부을 밀착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연결부의 전방에서 상기 메일단자가 삽입되고, 상기 단자연결부의 후방에 상기 탄성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하우징은, 상기 제 2케이스로 삽입되는 삽입측에 상기 탄성부재가 배치되는 홀더안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방회로 터미널은, 사각형상 또는 통형의 단자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방회로 터미널의 전방은 상기 제 2커넥터에 삽입되는 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되어 플레이팅부와 접촉될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방회로 터미널은 상기 메일단자와 직각되게 배치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로, 본 발명의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에 따르면, 플레이팅은 피메일(Female)단자에 전도성 물질로 일체 형성되어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로, 본 발명의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에 따르면, 플레이팅은 커넥터의 위치에 제한이 없으므로 커넥터 설계에 이점이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로, 본 발명의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에 따르면, 개방회로 터미널과 플레이팅부가 접촉되지 아니하면, 메일단자와 피메일단자간 전류의 흐름을 차단함으로 아크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로, 본 발명의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에 따르면, 단자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복잡한 구조물을 삭제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제 1커넥터 및 제 2커넥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을 투영하여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제 1커넥터 및 제 2커넥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1을 투영하여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A-A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바람직한 차량의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인 경우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제 1커넥터 및 제 2커넥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1)를 설명하면, 전기적 신호를 일방향으로 보내는 개방회로 터미널(16)이 구비된 제 1커넥터(10) 및 제 1커넥터(10)의 개방회로 터미널(16)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플레이팅(plating)부가 형성된 홀더(30)를 구비한 제 2커넥터(20)를 포함한다.
제 1커넥터(10)는 외형을 이루는 제 1케이스(12)를 구비하고, 제 1케이스(12)의 내부에 구비된 제 1하우징(14)을 포함한다. 제 1커넥터(10)는 제 1커넥터(10)의 외부로부터 전기적으로 연결된 메일단자(18)를 포함한다.
제 1케이스(12)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제 1하우징(14)이 삽입된다. 제 1하우징(14)에는 개방회로 터미널(16)과 메일단자(18)가 구비된다. 제 1하우징(14)은 제 1케이스(12)의 수용공간에 삽입되어 후크걸림 등의 일반적인 결합방법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제 1하우징(14)은 제 1하우징(14)의 외부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된 메일단자(18)를 구비한다. 제 1하우징(14)은 전기적 신호를 일방향으로 보내는 개방회로 터미널(16)이 구비된다. 개방회로 터미널(16)은 제 1커넥터(10)에 전기적 신호를 일방향으로 보내도록 구비된다. 개방회로 터미널(16)은 사각형상 또는 통형의 단자로 형성될 수 있다. 개방회로 터미널(16)은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의하면, 일실시예에 의하면, 개방회로 터미널(16)은 메일단자(18)와 직각되게 배치된다. 개방회로 터미널(16)의 전방은 제 2커넥터(20)에 삽입되는 방향을 향해 돌출된다. 개방회로 터미널(16)의 후방은 와이어(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 2커넥터(20)는 제 1커넥터(10)의 개방회로 터미널(16)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플레이팅(plating)부가 형성된 홀더(30)를 포함한다. 제 2커넥터(20)는 외형을 이루는 제 2케이스(22)를 구비하고, 제 2케이스(22)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 2하우징(24)을 포함한다.
제 2케이스(22)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제 2하우징(24)이 수용공간에 삽입된다. 제 2하우징(24)은 제 2케이스(22)에 후크걸림 등의 일반적인 결합방법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제 2하우징(24)에는 메일단자(18)가 삽입되는 피메일단자(26)와 개방회로 터미널(16)과 접촉하는 플레이팅부가 형성된 홀더(30)를 구비한다.
도 4는 도 1을 투영하여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A-A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1)를 설명하면, 제 2하우징(24)은 홀더(30)가 배치되는 홀더안착부가 형성된다. 홀더안착부에는 홀더(30)를 지지하도록 탄성부재(40)가 결합된 홀더(30)가 배치된다.
피메일단자(26)는 메일단자(18)와 연결되는 단자연결부(26a)가 구비된다. 피메일단자(26)는 지면과 수평된 형성된다. 피메일단자(26)는 메일단자(18)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이 형성된다. 피메일단자(26)에는 메일단자(18)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연결부(26a)가 구비된다.
홀더(30)는 제 2하우징(24)에 배치되어, 개방회로 터미널(16)과 접촉할 수 있다. 홀더(30)는 제 2커넥터(20)에 제 1커넥터(10)를 삽입하면, 개방회로 터미널(16)과 접촉하는 플레이팅부가 형성된다. 홀더(30)는 피메일단자(26)와 직교되게 될 수 있다. 홀더(30)는 개방회로 터미널(16)과 접촉하는 전방에 플레이팅부가 형성되고, 플레이팅부의 후방에 탄성부재(40)가 배치된다.
홀더(30)는 사각형상 또는 통형의 단자로 형성된다. 홀더(30)의 플레이팅부와 개방회로 터미널(16)이 접촉하게 되면, 제 1커넥터(10)와 제 2커넥터(20)간 폐회로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메일단자(18)와 피메일단자(26)간 전류가 흐르게 되어, 아크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홀더(30)의 플레이팅부는 메일단자(18)와 접촉되게 탄성부재(40)에 의해 지지된다.
탄성부재(40)는 제 1커넥터(10)의 삽입방향을 따라 홀더(30)를 지지한다. 탄성부재(40)는 개방회로 터미널(16)에 홀더(30)의 플레이팅부를 밀착시키도록 제 2하우징(24)에 의해 탄성지지된다. 이에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해 작용을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을 투영하여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A-A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고전압 커넥터(1)는 제 1커넥터(10)를 제 2커넥터(20)에 삽입하여 결합시키는데 있어서, 메일단자(18)를 피메일단자(26)에 맞춰 삽입한다. 메일단자(18)의 삽입으로 메일단자(18)와 단자연결부(26a)는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개방회로 터미널(16)은 플레이팅부에 접촉하게 된다.
그러나, 제 1커넥터(10)의 삽입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압에 의해 제 2하우징(24)은 제 1커넥터(10)의 삽입방향으로 밀리게 된다. 이에 따라, 제 1커넥터(10)와 제 2커넥터(20)와의 사이에서 아크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제 2하우징(24)은 제 1커넥터(10)의 삽입반대방향으로 탄성부재(40)에 의해 지지된다. 제 2하우징(24)은 제 2케이스(22)와 제 2하우징(24)의 사이에서 탄성부재(40)로 지지한다. 탄성부재(40)는 개방회로 터미널(16)과 홀더(30)의 플레이팅부를 밀착시켜 개방회로 터미널(16)과 홀더(30)의 플레이팅부가 접촉되어, 메일단자(18)와 피메일단자(26)간에 고전압의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때, 개방회로 터미널(16)과 접촉된 홀더(30)의 플레이팅부로부터 미접촉 상태가 된다면,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어 단자간 아크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메일단자(18)는 피메일단자(26)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고, 홀더(30)의 플레이팅부는 개방회로 터미널(16)에 밀접하게 접촉하여, 아크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은 피메일(Female)단자에 전도성 물질의 플레이팅을 일체 형성시킴으로서, 원가를 절감하고, 개방회로 터미널과 플레이팅부가 접촉되지 아니하면, 메일단자와 피메일단자간 전류의 흐름을 차단함으로서 아크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주요 도면부호의 상세한 설명>
1: 고전압 커넥터 10: 제 1커넥터
16: 개방회로 터미널 18: 메일단자
20: 제 2커넥터 26: 피메일단자
30: 홀더 40: 탄성부재
50: 와이어

Claims (14)

  1. 전기적 신호를 일방향으로 보내는 개방회로 터미널이 구비된 제 1커넥터와;
    상기 제 1커넥터의 상기 개방회로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플레이팅(plating)부가 형성된 홀더를 포함하는 제 2커넥터를 포함하되;
    상기 제 1커넥터는, 외형을 이루는 제 1케이스와, 상기 제 1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된 제 1하우징과, 상기 제 1하우징의 외부에서 삽입된 와이어와 연결되는 메일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개방회로 터미널은 상기 제 1하우징에 형성되고,
    상기 제 2커넥터는, 외형을 이루는 제 2케이스와, 상기 제 2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된 제 2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제 2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홀더의 플레이팅부와 상기 개방회로 터미널과 접촉하여 제 1커넥터와 제 2커넥터간 폐회로를 형성하는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회로 터미널은, 복수개로 구비되어, 플레이팅부에 접촉하는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커넥터에는, 상기 제 1커넥터를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커넥터는, 외형을 이루는 제 2케이스와, 상기 제 2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된 제 2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개방회로 터미널에 플레이팅부를 밀착시키도록 상기 제 2하우징을 탄성지지하는 상기 탄성부재가 배치되는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하우징은,
    상기 메일단자가 삽입되는 피메일단자가 형성되고,
    상기 피메일단자에 상기 메일단자와 연결되는 단자연결부가 배치되고,
    상기 피메일단자와 직교되게 상기 홀더의 플레이팅부가 형성된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커넥터는, 상기 개방회로 터미널에 상기 플레이팅부을 밀착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피메일단자의 전방에서 상기 메일단자가 삽입되고,
    상기 피메일단자의 후방에 상기 탄성부재가 배치되는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하우징은,
    상기 제 2케이스로 삽입되는 삽입측에 상기 탄성부재가 배치되는 홀더 안착부가 형성된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회로 터미널은,
    사각형상 또는 통형의 단자로 형성된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회로 터미널의 전방은 상기 제 2커넥터에 삽입되는 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플레이팅부와 접촉되는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회로 터미널은 상기 메일단자와 직각되게 배치되는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13. 외형을 이루는 제 1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 1하우징과, 상기 제 1하우징에 외부로부터 삽입된 와이어와 연결되는 메일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메일단자와 같이 배열된 개방회로 터미널이 구비된 제 1커넥터 및
    외형을 이루는 제 2케이스의 내부에 제 2하우징이 구비되고, 상기 제 2하우징에 아크(arc)를 방지하는 플레이팅(Plating)부가 형성된 홀더를 포함하는 제 2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2커넥터에는,
    상기 제 1커넥터를 삽입하여, 플레이팅부에 상기 개방회로 터미널이 접촉하며, 상기 홀더는, 상기 제 2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홀더의 플레이팅부와 상기 개방회로 터미널과 접촉하여 제 1커넥터와 제 2커넥터간 폐회로를 형성하는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개방회로 터미널에 플레이팅부가 밀착되게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KR1020150177340A 2015-12-11 2015-12-11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KR101734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7340A KR101734716B1 (ko) 2015-12-11 2015-12-11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US15/138,605 US10236624B2 (en) 2015-12-11 2016-04-26 High voltage connector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7340A KR101734716B1 (ko) 2015-12-11 2015-12-11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4716B1 true KR101734716B1 (ko) 2017-05-11

Family

ID=58742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7340A KR101734716B1 (ko) 2015-12-11 2015-12-11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236624B2 (ko)
KR (1) KR10173471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21074B2 (ja) * 1993-07-22 2002-09-03 住友電装株式会社 電気自動車の充電用コネクタ及び電気自動車の充電制御方法
JP2008305683A (ja) * 2007-06-07 2008-12-18 Kawamura Electric Inc 電源プラグ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34172A (en) 1976-03-19 1977-07-05 Amp Incorporated High voltage connector with crow bar
JPH11254966A (ja) 1998-03-13 1999-09-21 Yazaki Corp 車両用ドアの給電用接続装置
JP4135266B2 (ja) 1999-08-27 2008-08-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源回路の接続装置
JP2002134198A (ja) 2000-10-23 2002-05-10 Fujikura Ltd オス型端子及びそれを用いたコネクタ並びに電気接続構造
JP2003323929A (ja) 2002-02-26 2003-11-14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耐アーク性端子対
US7575476B2 (en) * 2007-08-01 2009-08-18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Power distribution module and header assembly therefor
US8192212B2 (en) * 2008-08-04 2012-06-05 Fci Automotive Holding Electrical connector system with temporarily blocking during unmating of two connectors
US7985098B2 (en) * 2008-11-20 2011-07-26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Fuse connector assembly
US7811115B1 (en) * 2008-12-12 2010-10-12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y with two stage latch
US7892049B1 (en) * 2009-08-18 2011-02-2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lectrical connector assemblies
US7789690B1 (en) * 2009-10-08 2010-09-0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y having multi-stage latching sequence
JP5330197B2 (ja) 2009-11-13 2013-10-30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及び雌コネクタ
KR101649380B1 (ko) 2010-09-08 2016-08-18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고전압용 커넥터
US8328581B2 (en) * 2010-11-03 2012-12-11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In-line fused connector
US8333613B2 (en) * 2011-02-15 2012-12-18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Header assembly
DE102011004347A1 (de) * 2011-02-17 2012-08-23 Tyco Electronics Amp Gmbh Elektrischer Verbinder und Stecksystem
US8597043B2 (en) * 2011-03-15 2013-12-03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High voltage connector assembly
US9478900B1 (en) * 2015-07-16 2016-10-25 Eaton Corporation Power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ion element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KR101734670B1 (ko) 2015-08-26 2017-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21074B2 (ja) * 1993-07-22 2002-09-03 住友電装株式会社 電気自動車の充電用コネクタ及び電気自動車の充電制御方法
JP2008305683A (ja) * 2007-06-07 2008-12-18 Kawamura Electric Inc 電源プラ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236624B2 (en) 2019-03-19
US20170170597A1 (en) 2017-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716519B (zh) 电源线
US10272856B2 (en) Power distributor with plug-in electronics
CN104716520A (zh) 电源线
US7728704B2 (en) Method for reducing continuous charge
US7652552B2 (en) Fuse unit
CN101505041A (zh) 电接线盒
US6793510B2 (en) Protecting device and method of shutting off a power supply
US9011180B2 (en) Connector with integrated fuse
KR20190057883A (ko) 정션 블록
US20180151989A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A Safety Restraint System
KR20060061813A (ko) 자동차용 주파수 변환기
JP2018146264A (ja) 絶縁状態検出装置
KR101734716B1 (ko)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CN113043963A (zh) 用于车辆的充配电装置和车辆
US20180294129A1 (en) Fuse box
KR100609449B1 (ko) 정션박스
US11189450B2 (en) Low profile integrated fuse module
KR20180076021A (ko) 차량용 정션 블럭
KR20120109777A (ko) 인터락 기능을 갖는 커넥터
US20030022535A1 (en) Fuse and relay box in a motor vehicle
CN117096750A (zh) 电器接线盒及汽车
KR100488700B1 (ko) 아크 방전 저감용 콘넥터
CN214124052U (zh) 电池系统的电连接装置及电气盒
JP2013241050A (ja) 車両用コネクタ
KR19980035519A (ko) 자동차용 정션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