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7883A - 정션 블록 - Google Patents

정션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7883A
KR20190057883A KR1020170155338A KR20170155338A KR20190057883A KR 20190057883 A KR20190057883 A KR 20190057883A KR 1020170155338 A KR1020170155338 A KR 1020170155338A KR 20170155338 A KR20170155338 A KR 20170155338A KR 20190057883 A KR20190057883 A KR 201900578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switching circuit
main body
interlock
upp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5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5376B1 (ko
Inventor
권재민
김광섭
윤태홍
윤상훈
권광안
장지훈
홍총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티에이치엔
주식회사 경신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티에이치엔, 주식회사 경신,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5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5376B1/ko
Publication of KR20190057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78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5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5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6Rails or bus-bar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iscrete connecting locations for counterpar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05K5/0069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connector relating features for connecting the connector pins with the PCB or for mounting the connector body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8Short-circuiting members for bridging contacts in a counter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정션 블록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션 블록은 인터락 스위칭 회로부를 갖는 메인바디와, 인터락 스위칭 회로부를 개폐하는 버스바를 내부에 포함하여 메인바디와 결합 시에는 버스바가 인터락 스위칭 회로부를 폐쇄하고, 메인바디와 해체 시에는 버스바가 인터락 스위칭 회로부를 개방하도록 하는 어퍼커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정션 블록{Junction Block}
본 발명은 정션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전압을 사용하는 차량에 있어서 메인바디로부터 어퍼커버의 분리 시 전원이 자동 차단되도록 하는 정션 블록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전기에 의해 작동하는 다수의 전장 부품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들 부품들에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분배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많은 수의 퓨즈와 릴레이가 장착된다.
복수의 퓨즈와 릴레이를 분산시켜 배치하면 구조가 복잡해지고 제어가 어려우므로, 자동차에는 이러한 퓨즈 및 릴레이를 하나의 박스에 모아서 배치하고 있으며, 이를 정션 블록(junction block)이라 한다.
예컨대, 정션 블록은 연료탱크, 엔진, 에어컨, 등화장치, 경고 표시장치 등에 차량 전장 부품들의 과전류 및 과부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 장치로서 퓨즈, 릴레이, 다이오드 등을 포함하여 누전 및 전기적인 합선에 의한 화재로부터 배선 및 차량을 보호한다. 또한, 정션 블록은 램프, 전동 팬, 전원모드 등과 같은 회로를 구성하여 관련된 전장품을 컨트롤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최근 들어 전기 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같은 친환경 차량이 많이 판매되고 있으며, 이 자동차들은 내부에서 사용되는 전기가 종래 가솔린이나 디젤 등의 엔진 구동 차량보다 많기 때문에 고전압을 사용한다. 즉, 고전압을 사용하는 전기 차량, 연료전지 차량 및 두 가지 이상의 동력원을 활용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경우 고전압 배터리 및 모터 등 기존 가솔린이나 디젤 차량의 운전 전압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전압을 사용할 수 밖에 없다.
이와 같이 차량이 점점 전장화되고 고전압을 사용함에 따라, 전원공급원(예컨대, 배터리)과 부하(예컨대, 차량용 제어부인 MCU) 사이에서 전원 분배 및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정션 블록의 주위 관리가 중요시 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고전압 하에서는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퓨즈 및 릴레이 등을 탈거하면 아크에 의한 부품 소손 및 인체 부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6-0056712호(2016.05.20)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본체로부터 커버 분리 시 전원이 자동적으로 차단되도록 하여 고전압에 의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정션 블록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인터락 스위칭 회로부를 갖는 메인바디와, 인터락 스위칭 회로부를 개폐하는 버스바를 내부에 포함하여 메인바디와 결합 시에는 버스바가 인터락 스위칭 회로부를 폐쇄하고, 메인바디와 해체 시에는 버스바가 인터락 스위칭 회로부를 개방하도록 하는 어퍼커버를 포함하는 정션 블록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락 스위칭 회로부는 인터락 소켓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바디는 분리 마련된 상기 인터락 소켓이 결합되는 소켓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락 소켓은 서로 다른 크기로 마련되는 제1소결합돌기와 제1대결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소켓결합부는 상기 제1소결합돌기와 제1대결합돌기에 각각 대응되는 제1소결합홈과 제1대결합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스바는 버스바 어댑터를 포함하고, 상기 어퍼커버는 분리 마련된 상기 버스바 어댑터가 결합되는 어댑터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스바 어댑터는 서로 다른 크기로 마련되는 제2소결합돌기와 제2대결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어댑터결합부는 상기 제2소결합돌기와 제2대결합돌기에 각각 대응되는 제2소결합홈과 제2대결합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퍼커버는 적어도 일측면에 상기 메인바디의 인터락 스위칭 회로부가 어퍼커버가 결합된 상태에서도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커넥터홀을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는 상기 어퍼커버에 분리 마련되는 버스바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버스바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홀을 관통하여 상기 인터락 스위칭 회로부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바디와 어퍼커버 사이에 마련되는 서브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는 상기 서브커버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스바 또는 인터락 스위칭 회로부 중 하나에는 인터락 스위칭 회로부의 개방 시 신호를 출력하는 스마트블록이 더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션 블록은 메인바디로부터 어퍼커버 분리 시 메인바디의 인터락 스위칭 회로부에 체결되어 있는 어퍼커버의 버스바가 탈거되면서 인터락 스위칭 회로부를 개방하기 때문에 전원이 자동적으로 차단되어 고전압 아크에 의한 부품 손상 및 인적 사고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정션 블록을 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정션 블록의 메인바디와 어퍼커버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정션 블록의 어퍼커버에 마련되는 버스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정션 블록의 메인바디와 어퍼커버가 결합 해체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정션 블록을 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정션 블록의 메인바디와 어퍼커버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정션 블록을 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정션 블록을 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정션 블록을 분해 사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정션 블록의 어퍼커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정션 블록의 측단면도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제1 실시 예에 따른 정션 블록(100)은 인터락 스위칭 회로부(120)를 포함하는 메인바디(110)와, 메인바디(110)의 상부에 결합하여 인터락 스위칭 회로부(12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버스바(140)를 구비하는 어퍼커버(130)를 포함한다.
메인바디(110)는 차량(미도시) 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분배할 수 있다. 이러한 메인바디(110)는 하부에 로워커버(112)를 착탈가능하게 더 포함할 수 있다.
메인바디(11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전선(113)이 마련된 복수의 단자(115)를 포함할 수 있다. 단자(115)는 메인바디(110)의 하부로부터 어퍼커버(130)가 조립되는 상부 방향으로 조립될 수 있으며, 그 하측 단부에는 전선(113)이 압착되어 있다.
단자(115)는 인터락 스위칭 회로부(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인터락 스위칭 회로(interlock circuit)란 주로 기기의 보호와 조작자의 안전을 목적으로, 기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접점 스위치를 사용해서 상호 관련된 기기의 동작을 구속하는 회로이다. 이러한 인터락 스위칭 회로는 전기 분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자세한 회로도는 생략한다.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단자(115)들은 인터락 스위칭 회로부(120)의 각 접점(122, 124)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인터락 스위칭 회로부(120)는 후술한 어퍼커버(130)의 버스바(140)와 체결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메인바디(110)에 돌출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돌출된 인터락 스위칭 회로부(120)는 버스바(140)와의 체결 거리를 축소하여 버스바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어퍼커버(130)는 메인바디(110)의 인터락 스위칭 회로부(120)가 노출되어 있는 메인바디의 상면을 개폐하기 위한 커버이다. 어퍼커버(130)과 메인바디(110)는 상호간에 결합을 견고하게 유지하고 또한 반대로 결합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도록 블록돌기(134)와 블록홈(114)을 각각의 대응하는 측면에 구비할 수 있다.
버스바(140)는 어퍼커버(130)의 내부 예컨대, 인터락 스위칭 회로부(120)에 대응하는 어퍼커버의 내측면에 마련된다. 버스바(140)는 인터락 스위칭 회로부(120)의 릴레이 코일단 회로의 두 개 접점(122, 124)을 각각 전기적으로 폐쇄하거나 개방하는 금속재의 도전체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퍼커버(130)에 인서트 사출 등의 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버스바(140)는 'ㄷ'자 형태로 마련되어 중앙측이 어퍼커버(130)에 일체로 사출되고, 양 끝단이 어퍼커버(130)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어 인터락 스위칭 회로부(120)의 두 개의 접점(122, 124)에 체결된다. 체결성 증대를 위해 버스바(140)의 단부는 챔퍼 가공될 수 있으며, 미설명된 참조부호 142는 사출결합공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바디(110)에 어퍼커버(130)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버스바(140)가 인터락 스위칭 회로부(120)의 접점 스위치에 삽입된 상태(회로부 폐쇄 상태, Turn On)이므로 인터락 스위칭 회로부(120)에는 전원이 공급되고 있으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바디(110)에 어퍼커버(130)가 탈거된 결합 해체 상태에서는 버스바(140)가 인터락 스위칭 회로부(120)의 접점 스위치로부터 격리된 상태(회로부 개방 상태, Turn Off)이므로 인터락 스위칭 회로부(120)에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정션 블록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및 결합단면도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1 실시 예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실시 예에 따른 정션 블록(200)은 인터락 스위칭 회로부(220)를 포함하는 메인바디(210)와, 메인바디(210)의 상부에 결합하여 인터락 스위칭 회로부(22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버스바(240)를 포함하는 어퍼커버(230)를 포함한다.
메인바디(210)는 차량(미도시) 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분배할 수 있다. 이러한 메인바디(210)는 하부에 로워커버(212)를 착탈가능하게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인바디(210)는 내부에 전선(213)이 마련된 복수의 단자(215)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단자(215)는 인터락 스위칭 회로부(2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인터락 스위칭 회로부(220)는 메인바디(210)로부터 분리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터락 스위칭 회로부(220)는 블록 형태의 인터락 소켓(225) 내부에 마련되고, 메인바디(210)는 인터락 소켓(225)이 결합될 수 있도록 소켓결합부(21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터락 소켓(225)의 정확한 결합을 위해 인터락 소켓(225)과 소켓결합부(215)에는 오체결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가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장방형의 인터락 소켓(225)에는 결합돌기(226, 227)가 마련되고, 대응하는 소켓결합부(215)에는 결합홈(216, 217)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 예에서는 인터락 소켓(225)에 결합돌기가 마련되고 소켓결합부(215)에 결합홈이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와 반대로 결합돌기와 결합홈이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결합돌기는 장방형 인터락 소켓(225)의 서로 다른 면에 서로 다른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즉, 결합돌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소결합돌기(226)와 제1대결합돌기(227)로 마련됨으로써 인터락 스위칭 회로부의 두 접점 방향이 어긋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결합홈도 제1소결합홈(216)와 제1대결합홈(217)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어퍼커버(230)는 메인바디(210)의 인터락 스위칭 회로부(220)가 노출되어 있는 메인바디의 상면을 개폐하기 위한 커버이다. 어퍼커버(230)과 메인바디(210)는 상호간에 결합을 견고하게 유지하고 또한 반대로 결합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도록 블록돌기(234)와 블록홈(214)을 각각의 측면에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어퍼커버(230)에 마련되는 버스바(240)는 어퍼커버(230)로부터 분리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스바(240)는 블록 형태의 버스바 어댑터(245)에 마련되고, 어퍼커버(230)는 버스바 어댑터(245)가 결합될 수 있도록 어댑터결합부(23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버스바 어댑터(245)의 정확한 결합을 위해 버스바 어댑터(245)와 어댑터결합부(235)에는 오체결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가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장방형의 버스바 어댑터(245)에는 결합돌기(246, 247)가 마련되고, 대응하는 어댑터결합부(235)에는 결합홈(236, 237)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 예에서는 버스바 어댑터(245)에 결합돌기가 마련되고 어댑터결합부(235)에 결합홈이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와 반대로 결합돌기와 결합홈이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결합돌기는 장방형 버스바 어댑터(245)의 서로 다른 면에 서로 다른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즉, 결합돌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소결합돌기(246)와 제2대결합돌기(247)로 마련됨으로써 인터락 스위칭 회로부의 두 접점 방향이 어긋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결합홈도 제2소결합홈(236)과 제2대결합홈(237)으로 대응 마련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정션 블록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및 결합 단면도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1 및 제2 실시 예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 실시 예에 따른 정션 블록(300)은 인터락 스위칭 회로부(320)를 포함하는 메인바디(310)와, 메인바디(310)의 상부에 결합하는 어퍼커버(330)와, 어퍼커버(330)를 관통하여 메인바디(310)의 인터락 스위칭 회로부(320)에 체결되어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버스바(340)가 마련되어 있는 버스바 커넥터(350)를 포함한다.
메인바디(310)는 차량(미도시) 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분배할 수 있다. 이러한 메인바디(310)는 하부에 로워커버(312)를 착탈가능하게 더 포함할 수 있다.
어퍼커버(330)는 메인바디(310)의 상면을 개폐하기 위한 커버이다. 어퍼커버(330)와 메인바디(310)는 상호간에 결합을 견고하게 유지하고 또한 반대로 결합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도록 블록돌기(334)와 블록홈(314)을 각각의 측면에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어퍼커버(330)는 적어도 일측면에 메인바디(310)의 인터락 스위칭 회로부(320)가 어퍼커버(330)가 결합된 상태에서도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커넥터홀(335)을 포함한다.
버스바 커넥터(350)는 상기 제2 실시 예에서 설명한 버스바 어댑터(245)와 같이 블록 형태로 마련되어, 어퍼커버(330)의 커넥터홀(335)을 관통하여 메인바디(310)의 인터락 스위칭 회로부(320)에 체결된다.
따라서, 메인바디(310)로부터 어퍼커버(330)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버스바 커넥터(350)를 우선적으로 인터락 스위칭 회로부(320)로부터 탈거해야 하기 때문에 고전압 아크로 인한 부품 손상 및 인적 사고를 미연에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버스바 커넥터(350)의 정확한 결합을 위해 버스바 커넥터(350)와 인터락 스위칭 회로부(320)에는 오체결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가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장방형의 버스바 커넥터(350)에는 결합돌기(356, 357)가 마련되고, 대응하는 인터락 스위칭 회로부(320)에는 결합홈(326, 327)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 예에서는 버스바 커넥터(350)에 결합돌기가 마련되고 인터락 스위칭 회로부에 결합홈이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와 반대로 결합돌기와 결합홈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인터락 스위칭 회로부(320)는 메인바디(310)에 일체로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제2 실시 예와 같이 메인바디에 소켓 형태로 착탈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정션 블록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1 내지 제3 실시 예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4 실시 예에 따른 정션 블록(400)은 인터락 스위칭 회로부(420)를 포함하는 메인바디(410)와, 메인바디(410)의 상부에 결합하는 어퍼커버(430)와, 메인바디(410)와 어퍼커버(430) 사이에 마련되며 메인바디(310)의 인터락 스위칭 회로부(420)에 체결되어 인터락 스위칭 회로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버스바(440)가 마련되어 있는 서브커버(450)를 포함한다.
서브커버(450)는 메인바디(410)에 어퍼커버(430)를 결합하기에 앞서 메인바디(410)에 먼저 결합되는 이너커버로서 하부에 버스바(440)를 포함한다. 버스바(440)는 금속재의 도전체로 마련되며 서브커버(450)에 인서트 사출될 수 있다.
또한, 인터락 스위칭 회로부(42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브커버(450)의 버스바(440)가 안정적으로 체결되어 있음을 신호로 출력할 있도록 스마트블록(4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블록(460)은 사용자 또는 정비자가 정션 블록을 정비하는 과정에서 서브커버(450)를 제대로 체결하지 않았을 경우 이를 차량의 클러스터에 알람 형태로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즉, 인터락 스위칭 회로부(420)와 버스바(440)가 정상 체결되지 않았을 경우 스마트블록(460)은 통신 신호가 끊기게 되며, 이는 CAN 통신을 통해 클러스터에 전송될 수 있다.
100, 200, 300, 400..정션 블록
110, 210, 310, 410..메인바디
120, 220, 320, 420..인터락 스위칭 회로부
130, 230, 330, 430..어퍼커버
140, 240, 340, 440..버스바
450..서브커버
460..스마트블록

Claims (8)

  1. 인터락 스위칭 회로부를 갖는 메인바디와,
    상기 인터락 스위칭 회로부를 개폐하는 버스바를 내부에 포함하여 상기 메인바디와 결합 시에는 상기 버스바가 인터락 스위칭 회로부를 폐쇄하고, 상기 메인바디와 해체 시에는 상기 버스바가 인터락 스위칭 회로부를 개방하도록 하는 어퍼커버를 포함하는 정션 블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락 스위칭 회로부는 인터락 소켓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바디는 분리 마련된 상기 인터락 소켓이 결합되는 소켓결합부를 포함하는 정션 블록.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락 소켓은 서로 다른 크기로 마련되는 제1소결합돌기와 제1대결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소켓결합부는 상기 제1소결합돌기와 제1대결합돌기에 각각 대응되는 제1소결합홈과 제1대결합홈을 포함하는 정션 블록.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는 버스바 어댑터를 포함하고,
    상기 어퍼커버는 분리 마련된 상기 버스바 어댑터가 결합되는 어댑터결합부를 포함하는 정션 블록.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 어댑터는 서로 다른 크기로 마련되는 제2소결합돌기와 제2대결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어댑터결합부는 상기 제2소결합돌기와 제2대결합돌기에 각각 대응되는 제2소결합홈과 제2대결합홈을 포함하는 정션 블록.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커버는 적어도 일측면에 상기 메인바디의 인터락 스위칭 회로부가 어퍼커버가 결합된 상태에서도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커넥터홀을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는 상기 어퍼커버에 분리 마련되는 버스바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버스바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홀을 관통하여 상기 인터락 스위칭 회로부에 체결되는 정션 블록.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와 어퍼커버 사이에 마련되는 서브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는 상기 서브커버에 마련되는 정션 블록.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 또는 인터락 스위칭 회로부 중 하나에는 인터락 스위칭 회로부의 개방 시 신호를 출력하는 스마트블록이 더 마련되는 정션 블록.
KR1020170155338A 2017-11-21 2017-11-21 정션 블록 KR102485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338A KR102485376B1 (ko) 2017-11-21 2017-11-21 정션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338A KR102485376B1 (ko) 2017-11-21 2017-11-21 정션 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7883A true KR20190057883A (ko) 2019-05-29
KR102485376B1 KR102485376B1 (ko) 2023-01-06

Family

ID=66673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5338A KR102485376B1 (ko) 2017-11-21 2017-11-21 정션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537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2616A (ko) 2019-09-16 2021-03-25 (주)아람솔루션 디지털 클러스터를 포함하는 소형 전기 차량 제어 시스템
KR20210156521A (ko) 2020-06-18 2021-12-27 (주)아람솔루션 전장품 정보 통합 기능이 적용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기차량 제어시스템
KR20220094348A (ko) 2020-12-29 2022-07-06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스위치를 이용한 고전압 정션박스의 인터락장치
KR20220096939A (ko) * 2020-12-31 2022-07-07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조인트유닛이 구비된 정션블록
CN116353646A (zh) * 2023-02-15 2023-06-30 株洲桓基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机车空调漏电保护装置及其应用的空调控制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8841A (ja) * 1999-03-23 2000-10-06 Yazaki Corp 電気接続箱
JP2004080886A (ja) * 2002-08-14 2004-03-11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電気接続箱および電気接続箱のタブアライメント保持具
JP2014054070A (ja) * 2012-09-06 2014-03-20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電気接続箱
KR20150074811A (ko) * 2013-12-24 2015-07-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고전압 커넥터 인터락 장치
KR20160056712A (ko) 2014-11-12 2016-05-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정션 블록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8841A (ja) * 1999-03-23 2000-10-06 Yazaki Corp 電気接続箱
JP2004080886A (ja) * 2002-08-14 2004-03-11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電気接続箱および電気接続箱のタブアライメント保持具
JP2014054070A (ja) * 2012-09-06 2014-03-20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電気接続箱
KR20150074811A (ko) * 2013-12-24 2015-07-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고전압 커넥터 인터락 장치
KR20160056712A (ko) 2014-11-12 2016-05-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정션 블록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2616A (ko) 2019-09-16 2021-03-25 (주)아람솔루션 디지털 클러스터를 포함하는 소형 전기 차량 제어 시스템
KR20210156521A (ko) 2020-06-18 2021-12-27 (주)아람솔루션 전장품 정보 통합 기능이 적용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기차량 제어시스템
KR20220094348A (ko) 2020-12-29 2022-07-06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스위치를 이용한 고전압 정션박스의 인터락장치
KR20220096939A (ko) * 2020-12-31 2022-07-07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조인트유닛이 구비된 정션블록
CN116353646A (zh) * 2023-02-15 2023-06-30 株洲桓基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机车空调漏电保护装置及其应用的空调控制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5376B1 (ko) 2023-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57883A (ko) 정션 블록
US10446988B2 (en) Fuse assembly
JP6401697B2 (ja) 高電流アプリケーションのための安全システム
US8821190B2 (en) Fuse unit
US5476396A (en) Automotive blade type fuse block terminal adapter
US8488303B2 (en) Electrical distribution center
US5324214A (en) Blade type fuse block terminal adapter
JP5702314B2 (ja) 切り替え可能なヒューズ付き配電ブロック
US7445509B2 (en) In-line fuse holder for female fuse
KR101293956B1 (ko) 차량용 고전압 조인트 박스
KR20180125089A (ko) 배터리 시스템
US7108943B2 (en) Structure of connecting battery terminals to bus bars
JP2003141973A (ja) 電源遮断時における保護装置
CN103682225A (zh) 蓄电池正极连接结构
KR101720617B1 (ko) 인터락핀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CN112448344B (zh) 电连接箱及熔断体
KR102517859B1 (ko) 조인트유닛이 구비된 정션블록
KR102460150B1 (ko) 스위치를 이용한 고전압 정션박스의 인터락장치
WO2023203976A1 (ja) 電源用配電装置
KR102270732B1 (ko) 전원차단블록
KR20190021107A (ko) 세이프티 플러그 커넥터
KR20210070044A (ko) 전원차단블록 및 이를 구비한 정션블록
JP2008311089A (ja) 雌型ヒューズ用のインライン・ヒューズ・ホルダ
JP2024036052A (ja) 電気接続箱
KR101570102B1 (ko) 소형차단기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소형차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