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0732B1 - 전원차단블록 - Google Patents

전원차단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0732B1
KR102270732B1 KR1020190168436A KR20190168436A KR102270732B1 KR 102270732 B1 KR102270732 B1 KR 102270732B1 KR 1020190168436 A KR1020190168436 A KR 1020190168436A KR 20190168436 A KR20190168436 A KR 20190168436A KR 102270732 B1 KR102270732 B1 KR 1022707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part
block
pressing
guide
sh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8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7137A (ko
Inventor
임동환
선우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90168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0732B1/ko
Publication of KR20210077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7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0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07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1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the switch being a safety switch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1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battery or load disconnect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 예의 전원차단블록은 절연체로 형성되고, 파지홀이 형성된 제1 바디와, 외력에 의해 변형되는 가압부가 형성된 제2 바디로 형성되는 바디부; 및 상기 제2 바디의 일 측에 도체로 형성되어 인터락 회로를 완성하는 쇼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쇼트부는 상기 인터락 회로에 연결되는 한 쌍의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바디의 일 면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연결부로 형성되며, 상기 가압부의 변형에 의해 파손되어 배터리 시스템을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부품 수의 절감을 실현하고, 사용자의 편의를 현저히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전원차단블록{Power Off Block}
본 발명은 비상 시 고전압 배터리의 전원을 차단시키는 전원차단블록에 관한 것이다.
하이브리드 차량이나 전기차 등은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차량을 구동하므로, 고전압배터리를 사용이 불가피하다. 하지만, 고전압배터리는 매우 높은 전압을 출력할 수 있어 여러가지 전기적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으며, 특히 사고 또는 보수 등의 경우에 탑승자나 작업자에게 심한 전기 충격을 유발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고전압배터리의 고전압이 인출되는 부분의 노출을 방지하고, 안전을 강화하는 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었으며, 이와 같은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배터리와 연결되는 서비스 플러그를 신설하여, 필요에 따라 서비스 플러그를 사용자가 조작하여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고전압을 강제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였다.
다만, 서비스 플러그는 차량 실내 뒷자석 또는 트렁크에 설치되어 응급상황 시에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작하기 어려웠으며, 크가가 작지 않아 관리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사용자가 간단하고 신속하게 고전압을 차단할 수 있도록 서비스 플러그와 BMU(Battery Management Unit)를 연결하는 인터락 회로 및 BMU에서 엔진룸으로 연장되는 추가 인터락회로를 형성하고 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메일 커넥터와 피메일 커넥터가 결합되는 인터락 커넥터를 엔진룸에 신설하여 서비스플러그를 조작하지 않더라고 배터리 시스템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엔진룸에 추가 인터락 회로 및 인터락 커넥터를 형성하기 위해 필요 부품 수가 증가하면서 작업성 및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발생되었으며, 응급상황 시에 고전압 차단을 위해 인터락 커넥터에서 연장되는 와이어를 절단을 위한 절단기 등이 필요하여 신속하게 대처하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정션블록에 탈착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비상 시 탈거 또는 파손에 의해 고전압 배터리 시스템을 차단하여 안전성 및 편의성이 향상된 전원차단블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의 전원차단블록은 절연체로 형성되고, 파지홀이 형성된 제1 바디와, 외력에 의해 변형되는 가압부가 형성된 제2 바디로 형성되는 바디부; 및 상기 제2 바디의 일 측에 도체로 형성되어 인터락 회로를 완성하는 쇼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쇼트부는 상기 인터락 회로에 연결되는 한 쌍의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바디의 일 면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연결부로 형성되며, 상기 가압부의 변형에 의해 파손되어 배터리 시스템을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연결부의 일 측에 형성되어 상기 쇼트부를 고정하는 고정돌기와, 상기 연결부의 일 측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의 복귀를 방지하는 방지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가압부 및 방지돌기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가압부의 변형에 의해 파손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연결부의 파손 위치를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부와, 상기 연결부의 파손 방향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제1 가이드부의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지돌기는 상기 연결부의 일 측에 배치되되, 상기 가압부의 변형에 의해 상기 연결부가 파손되는 경우 상기 연결부의 타 측으로 배치되어 연결부의 복귀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가압부에 의해 변형되는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원차단블록은 제1,2 바디로 형성되어 전원차단블록의 착탈을 보다 용이하게 하여 작업자의 취급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외력에 의해 내부 쇼트부를 물리적으로 파손시켜 배터리 시스템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쇼트부에는 외력에 의해 파손되는 경우, 파손 위치 및 파손 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응급상황에서 배터리 시스템이 보다 확실하게 차단되도록 하여 화재 및 감전 등의 2차 사고를 방지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바디부에는 방지돌기가 형성되어 연결부가 외력에 의해 파손 후 제1 가이드부가 단부가 걸림 고정되는 방지돌기가 더 형성되어, 연결부의 복귀를 방지하여 안전성 향상 효과를 극대화한다.
바디부에는 가압부의 소성 변형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어 외력이 연결부의 미리 설계된 위치에 정확히 전달되도록 하여 안전성 향상 효과를 증대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의 전원차단블록이 정션블록에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의 전원차단블록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다른 방향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전원차단블록과 터미널 및 와이어부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2의 Ⅵ-Ⅵ 방향의 단면도.
도 7은 도 6에 연결부의 파손 방법을 도시한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상세한 설명에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생략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 및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정션블록의 설명의 내용에 본 발명의 전원차단블록의 설명을 포함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의 전원차단블록이 정션블록에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의 전원차단블록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다른 방향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전원차단블록과 터미널 및 와이어부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2의 Ⅵ-Ⅵ 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연결부의 파손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의 전원차단블록(100)은 절연체로 형성되고, 파지홀(1111)이 형성된 제1 바디(111)와, 외력에 의해 소성 변형되는 가압부(1121)가 형성된 제2 바디(112)로 형성되는 바디부(110) 및 상기 제2 바디(112)의 일 측에 도체로 형성되어 인터락 회로를 완성하는 쇼트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쇼트부(120)는 상기 인터락 회로에 연결되는 한 쌍의 연장부(121)와, 상기 연장부(121)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바디(112)의 일 면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연결부(122)로 형성되며, 상기 가압부(1121)의 소성 변형에 의해 파손되어 배터리 시스템을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전원차단블록(100)은 정션블록(10)의 외측에 퓨즈 및 릴레이와 같이 결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정션블록(10)의 외측에는 전원차단블록(100) 결합 시 바디부(110)가 안착되는 안착부와, 쇼트부(120)가 정션블록(10) 내부에 설치된 터미널(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안착부를 관통하여 체결홀이 형성된다.
터미널(200)은 정션블록(10)의 케이스 내측에 배치되고, 쇼트부(120)의 한 쌍의 연장부(121)와 각각 결합되어 터미널(200)의 내부에 연결되어 있는 한 쌍의 와이어부(300)와 쇼트부(120)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중계한다. 즉, 터미널(200)을 통해 쇼트부(120)와 한 쌍의 와이어부(300)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인터락 회로를 완성하여 BMU(Battery Management Unit)가 응급상황 여부를 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BMU는 고전압 배터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배터리 셀의 온도와 전압 등 상태를 측정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관리 유닛으로, 각 배터리 셀의 상태뿐만 아니라, 인버터와 연결되는 메인릴레이의 회로를 제어하여 배터리의 고전압을 공급여부를 관리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전원차단블록(100)이 정션블록(10)에서 탈거되는 경우 인터락회로가 개방되고, 이를 BMU가 S/W적으로 응급상황으로 인지하여 인버터와 연결된 메인릴레이를 강제로 오프(off)시켜 배터리 시스템에서 인버터로 제공되는 고전압을 차단하여, 이에 따라 인버터와 연결된 모터로 공급되는 전압이 차단되면서 차량 내부에 설치된 모터를 중지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원차단블록(100)이 종래와 같이 엔진룸에 별도로 형성되어 차체에 고정되지 않고, 정션블록(10)에 결합되도록 하여 부품 수의 절감을 실현하고, 엔진룸의 미관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전원차단블록(100)은 절연체로 형성되는 바디부(110)와, 바디부(110)의 일 측에 도체로 형성되어 인터락 회로를 완성하는 쇼트부(120)로 형성되고, 정션블록(10)의 외측으로 착탈되도록 형성된다.
바디부(110)는 사용자 또는 작업자가 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 바디(111)와, 외력에 의해 쇼트부(120)를 파손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2 바디(112)가 일체로 형성된다.
제1 바디(111)는 전원차단블록(100)의 정션블록(10)에 착탈되는 경우 작업자가 보다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파지홀(111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 바디(112)는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쇼트부(120)가 파손될 수 있도록 소성 변형되는 가압부(1121)와, 쇼트부(120)가 수용되는 수용공간(1122)이 형성된다.
가압부(1121)는 쇼트부(120)로 외력이 집중되어 전달될 수 있도록, 일정 이상의 넓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가압면(11211)와, 가압면(11211)의 하측에서 연장되어 응력을 연결부(122)가 형성된 방향으로 전달하는 연장리브(11212)와, 가압부(1121)의 변형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홀(11213)로 형성된다.
가이드홀(11213)은 가압부(1121)가 외력에 의해 연결부(122) 방향으로 소성 변형되는 동시에 연결부(122)가 가이드부(1221)를 따라 정확한 위치에서 파손될 수 있도록 방지돌기(1124)의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가압부(1121)는 가이드홀(11213)을 따라 탄성 변형되거나, 소성 변형 될 수 있다. 가압부(1121)의 탄성 변형에 의해 제1 가이드부(12211)가 파손되는 경우에도, 방지돌기(1124)에 걸림 고정되므로 가압부(1121)가 원위치로 복귀된 후에도 인터락 회로를 연결되지 않는다.
다만 가압부(1121)가 소성 변형되는 경우에는 연결부(122)의 파손 여부를 탑승자 또는 작업자가 육안으로 식별 가능하므로 보다 향상된 안전성 및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수용공간(1122)은 가압부(1121)의 하측에 형성되어 쇼트부를 수용 및 고정한다. 구체적으로 수용공간은 쇼트부(120)의 일부 즉, 연결부(122)가 가압부(1121)가 형성된 일 면의 내부면에 접하도록 수용하고, 연장부(121)는 연결부(122)에서 연장되되 각 말단이 수용공간(1122)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정션블록(10)에 형성된 체결홀을 통해 와이어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수용공간(1122)의 내측에는 쇼트부(120)를 고정하는 고정돌기(1123)와, 외력에 대한 반발력을 제공하는 방지돌기(1124)가 형성되어, 쇼트부(120)를 수용공간(1122) 내에 고정하는 동시에 외력에 의한 연결부(122)의 파손을 보조한다.
고정돌기(1123)는 수용공간(1122)의 일 측에 돌출 형성되어 쇼트부(12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그 단면은 쇼트부(120)가 결합되는 방향으로 그 단면적의 넓이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형성되어 쇼트부(120)의 결합에 대한 간섭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결합을 가이드한다. 또한 쇼트부(120)가 수용공간(1122)에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돌기(1123)와 맞닿는 면적을 증가시켜 고정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고정돌기(1123)는 쇼트부(120)가 고정된 상태에서, 연결부(122)의 저면에 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대칭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실시 예의 고정돌기(1123)는 연결부(122)와 연장부(121)가 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연결부(122)의 저면에 양 측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고정돌기(1123)의 위치 및 개수는 설계에 맞춰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방지돌기(1124)는 수용공간(1122)의 일 측에 돌출 형성되어 쇼트부(123)가 수용공간(1122)에 고정된 상태에서 연결부(122)의 하측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가압부(1121)에 의해 외력이 연결부로 전달되는 경우 외력에 대한 반발력을 발생시켜 연결부(122)가 보다 정확하게 파손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방지돌기(1124)는 제1 가이드부(12211)의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는 제1 가이드부(12211)의 양 측으로 배치되어 제1 가이드부(12211)가 파손되어 형성되는 파손 말단이 방지돌기(1124)에 걸려 원위치로 복귀하지 않도록 하여 인터락회로가 임의로 다시 연결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바디부(110)는 작업자가 전원차단블록(100)을 정션블록(10)에 착탈시키거나, 응급상황에서 구조자 또는 탑승자가 손 쉽게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고전압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쇼트부(120)와 전기적으로 차단되어야 하므로 절연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원차단블록(100)은 외력에 의해 소성 변형되는 가압부(1121)를 구비하여 응급상황에서 신속하게 고전압을 차단하고, 임의로 인터락회로가 연결되는 것을 방지하여 2차 사고 발생 가능성을 낮춰 사용자에게 보다 현저히 향상된 편의성 및 안전성을 제공한다.
쇼트부(120)는 바디부(110)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21)와, 연장부(121) 사이에 연결되는 연결부(122)로 형성되고, 터미널(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인터락 회로를 완성하는 것으로 와이어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하여 도체로 형성된다.
또한 응급상황에서 제2 바디(112)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연결부(122)가 파손되면서 강제적으로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고전압을 차단하기 위하여 가압부(1121)의 하측에 형성되는 수용공간(1122)에 고정되어 수용된다.
연장부(121)는 한 쌍으로 형성되고, 수용공간(1122)에서 제2 바디(112)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각각 정션블록(10)에 형성된 체결홀을 통해 터미널(200)에 결합된다. 이때 터미널(200)은 한 쌍으로 형성되고, 내측으로 인터락 회로를 형성하는 와이어부(3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전원차단블록(100)의 결합만으로 인터락 회로를 완성한다.
연결부(122)는 한 쌍의 연장부(121) 사이에 형성되고, 수용공간(1122)에 수용되어 제2 바디(112)의 일 면에 접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연결부(122)에는 외력에 의해 파손되는 위치 및 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221)가 형성된다.
가이드부(1221)는 연결부(122)의 파손 위치를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부(12211)와 연결부(122)의 파손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부(12212)로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연결부(122)가 제2 가이드부(12212)가 확장되는 방향으로 변형되는 동시에 제1 가이드부(12211)를 따라 파손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제1 가이드부(12211)는 가압부(1121)의 위치에 대응하여 연결부(122)의 저면에 요입 형성되고, 제2 가이드부(12212)는 제1 가이드부(12211)의 양 측으로 연결부(122)의 상면에 요입 형성된다. 따라서 연결부(122)는 가압부(1121)를 통해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 제2 가이드부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확장되고, 이에 따라 제1 가이드부(12211)의 요입된 양 측면이 벌어지다 파손되어 인터락 회로를 개방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전원차단블록(100)은 정션블록(10)에 결합되어 내측에 배치되는 터미널(200)을 통해 BMU에서 연장되는 와이어부(300)와 쇼트부(1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인터락 회로가 폐쇄되도록 하며, 사용자 또는 작업자의 탈거 또는 파손에 의해 인터락 회로를 개방시켜 BMU가 응급상황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BMU는 PRA의 내측에 형성되는 메인릴레이를 강제로 오프(off)하여, 비상 시에 서비스플러그가 탈거되지 않더라도 고전압 배터리 시스템이 차단되도록 한다.
따라서 가이드부(1221)는 가압부(1121)를 따라 전달되는 외력으로 연결부(122)가 파손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쇼트부(120)는 일정 이상의 외력에 의해 미리 설정된 위치가 파손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비상 시 고전압에 의한 2차 사고를 신속히 방지한다.
본 발명의 전원차단블록(100)은 엔진룸 정션블록(10)의 외측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작업자의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엔진룸의 미관을 향상시켜 유지 보수를 보다 용이하게 한다. 또한 응급상황에서 파손을 통해 보다 신속히 고전압을 차단하여 2차 사고를 예방하여 안전성 또한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에서는 연결부(122)의 파손 방법을 다시 한번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응급상황이 발생되는 운전자, 탑승자 또는 구조자 등은 정션블록(10)에서 전원차단블록(100)을 분리시켜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고전압을 신속히 차단시킬 수 있다. 다만 차체의 변형, 파손 등에 의해 정션블록(10)에서 전원차단블록(100)을 분리시키기 어려운 경우에는 가압부(1121)에 외력을 가해 강제적으로 인터락 회로를 개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운전자 등은 손으로 가압면(11211)을 가압하면, 연장리브(11212)를 통해 외력이 전달되고, 연장리브(11212)의 주변으로 가압부(1121)의 일 측면이 소성 변형 가능하도록 소정 길이를 갖는 가이드홀(11213)이 형성된다. 이때 가이드홀(11213)의 형성 방향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연결부(122)가 연장된 방향 또는 연장된 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소정 거리 이격되어 연장리브(11212)의 양 측으로 형성되어 가압부(1121)가 연결부(122) 방향으로 소성 변형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가압부(1121)가 외력에 의해 연결부(122)로 외력을 전달하는 동시에 소성 변형되고, 연결부(122)에 형성된 제1 가이드부(12211)는 요입 형성된 양 측면이 벌어지면서 소성 변형된다. 이때 제1 가이드부(12211)의 양 측으로 형성된 제2 가이드부(12212)는 제1 가이드부(12211)가 소성 변형 되는 방향으로 확장되고, 이에 따라 연결부는 제1 가이드부(12211)를 기준으로 파손되는 동시에 파손에 의해 형성되는 파손 말단이 방지돌기의 하측으로 배치되면서 걸림 고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원차단블록(100)은 응급상황에서 보다 신속하게 고전압을 차단하여 2차 사고의 발생 가능성을 현저히 낮추는 동시에, 외력이 사라지고 난 후에도 연결부(122)가 임의로 원래자리로 복귀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성 향상 효과를 극대화한다.
최근 들어 자동차 시장은 환경오염 및 에너지 고갈 문제 등이 심각해짐에 따라 친환경 자동차의 개발 및 요구가 확대되면서 차량에 고전압 배터리를 장착하는 것이 불가피해짐에 따라 전기 차량의 안전성이 중요한 문제가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원차단블록(100)은 정션블록(10)에 탈착 가능하여 작업자의 작업을 보다 편의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 동시에 응급상황에서는 파손을 통해 인터락 회로를 강제로 개방시켜 안전성을 현저히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해당한다.
10 정션블록
100 전원차단블록
110 바디부 1111 제1 바디 111 파지홀
112 제2 바디 1121 가압부 11211 가압면
11212 연장리브 11213 가이드홀
1122 수용공간 1123 고정돌기 1124 방지돌기
120 쇼트부 121 연장부 122 연결부
1221 가이드부 12211 제1 가이드부 12212 제2 가이드부
200 터미널 300 와이어부

Claims (6)

  1. 절연체로 형성되고, 파지홀이 형성된 제1 바디와, 외력에 의해 변형되는 가압부가 형성된 제2 바디로 형성되는 바디부; 및
    상기 제2 바디의 일 측에 도체로 형성되어 인터락 회로를 완성하는 쇼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쇼트부를 상기 제2 바디의 일 측에 고정시키는 고정돌기와, 상기 쇼트부의 파손 후 원위치로의 복귀를 방지하는 방지돌기와, 외력에 의한 상기 가압부의 변형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며,
    상기 쇼트부는
    상기 인터락 회로에 연결되는 한 쌍의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바디의 일 면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일 측에 상기 가압부 및 상기 방지돌기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연결부의 파손 위치를 가이하는 요입된 가이드부로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의 변형에 의해 파손되어 배터리 시스템을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차단블록.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연결부의 파손 위치를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부와, 상기 연결부의 파손 방향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부로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제1 가이드부의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차단블록.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돌기는
    상기 연결부의 일 측에 배치되되, 상기 가압부의 변형에 의해 상기 연결부가 파손되는 경우 상기 연결부의 타 측으로 배치되어 연결부의 복귀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차단블록.
  6. 삭제
KR1020190168436A 2019-12-17 2019-12-17 전원차단블록 KR102270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8436A KR102270732B1 (ko) 2019-12-17 2019-12-17 전원차단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8436A KR102270732B1 (ko) 2019-12-17 2019-12-17 전원차단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7137A KR20210077137A (ko) 2021-06-25
KR102270732B1 true KR102270732B1 (ko) 2021-06-29

Family

ID=76626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8436A KR102270732B1 (ko) 2019-12-17 2019-12-17 전원차단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073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86016A (ja) * 2011-03-04 2012-09-27 Yazaki Corp 電源回路遮断装置
JP2017091803A (ja) * 2015-11-10 2017-05-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インターロック機構
US20190108957A1 (en) * 2017-10-11 2019-04-11 Key Safety Systems, Inc. High voltage electric line cutter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86016A (ja) * 2011-03-04 2012-09-27 Yazaki Corp 電源回路遮断装置
JP2017091803A (ja) * 2015-11-10 2017-05-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インターロック機構
US20190108957A1 (en) * 2017-10-11 2019-04-11 Key Safety Systems, Inc. High voltage electric line cutte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7137A (ko) 2021-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24214A (en) Blade type fuse block terminal adapter
KR101910462B1 (ko) 고 전류 어플리케이션용 안전 시스템
KR102485376B1 (ko) 정션 블록
CN103872531B (zh) 用于高压电池的安全插头装置
CN103682235A (zh) 用于电动车的电池模块的安全装置
WO1996000456A1 (en) Automotive blade type fuse block terminal adapter
US6793510B2 (en) Protecting device and method of shutting off a power supply
JP4650041B2 (ja) 電源装置
KR102270732B1 (ko) 전원차단블록
KR102270733B1 (ko) 전원차단블록
KR101734249B1 (ko)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KR20160081016A (ko) 퓨즈기능을 갖는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 팩의 부스바 및 이를 적용한 친환경 자동차의 배터리 팩
KR102272451B1 (ko) 전원차단커넥터
JP2013138570A (ja) 高電圧機器
KR20210070044A (ko) 전원차단블록 및 이를 구비한 정션블록
KR102302286B1 (ko) 커넥터
KR20090070083A (ko) 고전압 커넥터
KR102179103B1 (ko)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의 고전압 배터리 시스템
CN101351933B (zh) 用于将插头连接至不同类型的电源插座的适配器
EP3971935A1 (en) Fuse-integrated electronic component
KR102651087B1 (ko) 충전장치
JP6326300B2 (ja) 電力ケーブルの回路遮断構造
KR20120107896A (ko) 이탈착 방식의 누전 차단기
CN210640170U (zh) 一种自恢复车载保险装置
CN215042110U (zh) 电动车辆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