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9380B1 - 고전압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고전압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9380B1
KR101649380B1 KR1020100088111A KR20100088111A KR101649380B1 KR 101649380 B1 KR101649380 B1 KR 101649380B1 KR 1020100088111 A KR1020100088111 A KR 1020100088111A KR 20100088111 A KR20100088111 A KR 20100088111A KR 101649380 B1 KR101649380 B1 KR 1016493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power
guide
interlock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8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5920A (ko
Inventor
이철섭
임근택
이상희
Original Assignee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8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9380B1/ko
Priority to CN201180043143.5A priority patent/CN103155299B/zh
Priority to PCT/KR2011/006137 priority patent/WO2012033293A2/en
Publication of KR20120025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59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9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9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Bases or cases for heavy duty; Bases or cases for high voltage with means for preventing corona or arcing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락 접속플러그 및 인터락 접속탭의 접속유무에 따라 연결되거나 단락되는 전원릴레이와 연결되는 고전압용 커넥터에 있어서, 내부에 전원접속 터미널과 전원접속 터미널보다 짧게 형성된 상기 인터락 접속플러그가 설치된 캡 하우징과, 내부에 상기 전원접속 터미널과 접속되게 설치된 전원접속 터미널탭 및 상기 인터락 접속플러그에 접속되게 상기 전원접속 터미널탭 보다 짧게 형성된 상기 인터락 접속탭이 설치되며 상기 캡 하우징이 내측으로 삽입가능하게 형성된 플러그 하우징 및 상기 캡 하우징에 상기 플러그 하우징이 삽입되거나 분리됨을 안내하되, 상기 인터락 접속플러그 및 상기 인터락 접속탭이 완전히 분리되어 상기 전원릴레이가 완전히 단락된 후 상기 전원접속 터미널과 전원접속 터미널 탭이 분리되도록 하는 전원릴레이 단락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전원릴레이가 완전히 단락된 후에 전원단자들의 분리되도록 전원릴레이 단락부가 구비됨에 따라 전원릴레이가 완전히 단락된 후에 전원단자들이 분리됨에 따라 빠른 속도로 커넥터가 분리되어도 전원릴레이가 연결된 상태에서 전원단자들이 분리되면서 아크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고전압용 커넥터 { Connector for high voltage }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캡 하우징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플러그 하우징에 의해 인터락 단자와 전원접속 단자들이 순차적으로 접속되거나 단락되되, 전원을 연결시키는 전원릴레이가 연결되거나 해제되는 시간을 고려하여 전원릴레이가 완전히 단락된 후 전원접속 단자들의 연결이 해제되도록 전원릴레이 단락부가 구비된 고전압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전압의 전류가 흐르는 도선에 장착되는 커넥터는 안전을 위하여 2중 차단구조를 가지고 있다. 특히 하이브리드 자동차에는 고전압의 전류가 공급되어야 함에 따라 이러한 2중 차단구조는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커넥터에는 고전압의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전원스위치의 단자들이 최초로 접속되거나 접속된 단자들의 연결이 해제될 때 각 단자들이 하나의 전극이 되어 단자들 사이에 아크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아크는 제품을 손상시킬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커넥터에는 전원스위치보다 낮은 전압의 전류가 인가되는 인터락 스위치를 더 설치한다.
이러한 고전압용 커넥터는 제1전원단자 및 제1인터락 단자가 설치된 제1하우징으로 삽입되는 제2하우징의 내부에 제1전원단자와 접속되는 제2전원단자 및 제1인터락 단자와 접속되는 제2인터락 단자가 설치되되, 제1,2인터락 단자들은 제1,2전원단자들보다 그 길이가 짧게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의 구성을 갖는 커넥터는 제2하우징이 제1하우징으로 삽입되면서, 제1,2전원단자들이 먼저 접속되고, 제2하우징이 제1하우징으로 더 깊이 삽입되면, 전원단자보다 더 짧은 길이로 형성된 제1,2인터락 단자들이 접속되도록 이루어지고, 반대로 제2하우징이 제1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면서 제1,2인터락 단자들이 먼저 분리된 후 제1,2전원단자들이 분리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러면, 제1,2전원단자들이 접속될 때 제1,2인터락 단자들은 아직 접속되지 않으므로 전원이 공급되더라도 전원은 연결되지 않은 상태이며, 제1,2인터락 단자들이 접속되면서 전원이 공급되는데, 고전압의 전류가 인가되는 제1,2전원단자들은 이미 접속된 상태이므로 아크발생이 방지된다. 반대로, 제1,2전원단자들이 분리될 때, 제1,2인터락 단자들이 먼저 분리되어 1차적으로 전원이 차단됨에 따라, 제1,2전원단자들이 분리될 때에도 아크발생이 방지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커넥터는 커넥터가 분리되는 경우, 빠른 속도로 제2하우징이 제1하우징에서 분리되면, 제1,2전원단자들과 제1,2인터락단자들이 거의 동시에 분리되면서 아크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커넥터가 결합되는 경우, 메인스위치가 되는 제1,2전원단자(101,201)들이 연결되어 접속되고, 제1,2인터락단자들(103,203)이 순차적으로 접속되면서 인터락 스위치를 연결시켜 전원릴레이(110)를 접속시키는데 인터락 스위치와 전원릴레이(110) 사이의 간극만큼 시간차가 발생한다.
즉, 커넥터가 결합될 때 인터락 스위치와 전원릴레이(110) 사이에 신호를 주고 받을 때 시간차가 발생하게 되므로 제1,2전원단자들과 제1,2인터락 단자들 사이의 작동거리에 의해 항상 제1,2전원단자들이 접속된 상태에서 전원릴레이(110)가 접속되므로 아크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그러나, 커넥터가 분리되는 경우, 커넥터를 분리하는 작업자에 따라 커넥터가 분리되는 속도가 달라질 수 있는데, 이때 커넥터가 빠른 속도로 분리되는 경우 인터락 스위치와 전원릴레이 사이의 신호를 주고 받는 시간차에 의해 전원릴레이가 아직 접속된 상태에서 제1,2전원단자들의 연결이 해지될 수 있어서 아크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제1,2전원단자들의 길이를 제1,2인터락 단자들의 길이보다 기존보다 더욱 더 길게 형성하여 제1,2전원단자들의 연결이 해지되는 시간이 인터락 스위치와 전원릴레이 사이의 시간차보다 길게 형성할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 길어져야 하는 제1,2전원단자들에 의해 커넥터의 크기가 지나치게 커져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고전압 전류가 흐르는 커넥터가 분리될 때 인터락 단자들이 완전히 분리된 후에 전원 릴레이가 단락되되, 전원릴레이가 단락되는 시간이 충분히 확보되도록 하여 전원릴레이가 완전히 단락된 후에 전원단자들이 단락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캡 하우징과 플러그 하우징이 결합되거나 분리됨에 있어서, 안내부재가 플러그 하우징의 일측으로 인출입되면서 캡 하우징에 형성된 안내돌기가 안내유로를 통과하는 시간이 전원릴레이를 단락시는 시간이 충분하도록 하는 목적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캡 하우징에서 플러그 하우징이 분리될 때 전원 단자들이 분리되기 전에 전원릴레이가 분리되는 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인입경로와 인출경로가 형성되되, 인출경로의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도록 하는 목적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캡 하우징에 플러그 하우징이 인출될 때, 전원릴레이의 단락과 전원 단자들의 분리 사이에 충분한 시간차가 발생하게 전원 단자들이 천천히 분리되도록 커넥터의 분리를 일시적으로 멈출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캡 하우징에 플러그 하우징이 인입된 후에 캡 하우징이 플러그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목적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캡 하우징에 플러그 하우징이 천천히 인입되되, 원활하게 인입되도록 안내하는 목적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캡 하우징에 삽입되거나 인출되는 플러그 하우징의 슬라이딩 반경을 안내하도록 하는 목적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은 캡 하우징에서 플러그 하우징이 분리될 때 전원 단자들이 분리되기 전에 전원릴레이가 분리되는 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안내유로를 형성하는 목적을 갖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고전압용 커넥터는 인터락 접속플러그 및 인터락 접속탭의 접속유무에 따라 연결되거나 단락되는 전원릴레이를 갖는 고전압용 커넥터에 있어서, 내부에 전원접속 터미널과 전원접속 터미널보다 짧게 형성된 상기 인터락 접속플러그가 설치된 캡 하우징과, 내부에 상기 전원접속 터미널과 접속되게 설치된 전원접속 터미널탭 및 상기 인터락 접속플러그에 접속되게 상기 전원접속 터미널탭보다 짧게 형성된 상기 인터락 접속탭이 설치되며 상기 캡 하우징이 내측으로 삽입가능하게 형성된 플러그 하우징 및 상기 캡 하우징에 상기 플러그 하우징이 삽입되거나 분리됨을 안내하되, 상기 인터락 접속플러그 및 상기 인터락 접속탭이 완전히 분리되어 상기 전원릴레이가 완전히 단락된 후 상기 전원접속 터미널과 전원접속 터미널 탭이 분리되도록 하는 전원릴레이 단락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원릴레이 단락부는 상기 캡 하우징의 일면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안내돌기와,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일면에 상기 안내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캡 하우징과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결합을 안내하도록 형성된 돌기삽입유로 및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일측이며, 상기 돌기삽입유로가 형성된 외측에 인입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면에 플러그 하우징이 상기 캡 하우징에 인출입될 때 상기 안내돌기가 인출입되면서 상기 캡 하우징과 플러그 하우징의 결합이나 분리를 안내하되, 상기 캡 하우징과 플러그 하우징이 분리될 때 상기 인터락 접속플러그 및 상기 인터락 접속탭이 완전히 분리된 후 상기 전원릴레이가 분리되는 시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안내유로가 형성된 안내부재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내유로는 상기 인터락 접속플러그 및 인터락 터미널탭이 분리될 때 분리되는 시간이 연장되도록 상기 안내돌기가 인출되는 경로가 인입된 경로와 반대방향으로 우회되어 절곡되게 인출경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출경로에는 상기 안내돌기가 인출되다가 일시적으로 멈출 수 있도록 상기 안내돌기가 수평으로 이동하는 수평이동구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내유로는 상기 인터락 접속플러그 및 인터락 터미널탭이 접속될 때 상기 안내돌기가 직선으로 인입되도록 인입경로가 형성되되, 상기 인입경로 상에는 탄성력을 갖는 스토퍼돌기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토퍼돌기는 상기 안내돌기가 인입되는 방향이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내부재에는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되는 면에 탄성부재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내부재의 측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게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는 상기 안내부재가 삽입되었을 때 상기 걸림돌기가 외측으로 인출되되, 상기 안내부재의 이동반경만큼의 길이로 안내홀이 형성되며, 상기 안내부재의 상면에는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손잡이부재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내유로는 상기 인터락 접속플러그 및 인터락 터미널탭이 분리될 때 분리되는 시간이 연장되도록 상기 안내돌기가 인입되는 경로와 인출되는 경로가 동일하되, 상기 안내돌기가 인입되는 최초의 위치에서 일측 또는 타측으로 우회되어 절곡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은 전원릴레이가 완전히 단락된 후에 전원단자들의 분리되도록 전원릴레이 단락부가 구비됨에 따라 전원릴레이가 완전히 단락된 후에 전원단자들이 분리됨에 따라 빠른 속도로 커넥터가 분리되어도 전원릴레이가 연결된 상태에서 전원단자들이 분리되면서 아크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안내돌기가 플러그 하우징에 삽입될 때 안내유로로 인입되고, 그에 따라 안내부재가 슬라이딩 부재의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자가 전원릴레이의 단락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캡 하우징에 플러그 하우징이 삽입될 때 플러그 하우징의 안내돌기가 안내부재에 형성된 안내유로를 따라 인출입되도록 함에 따라 플러그 하우징이 삽입되면서 전원릴레이가 단락되고 전원단자들의 연결이 해제되는 과정 사이에는 안내유로의 이동거리만큼 일정한 시간차가 발생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플러그 하우징이 캡 하우징이 분리됨에 있어서, 이를 안내하는 안내유로가 절곡되어 그 길이가 길게 형성됨에 따라 전원단자들이 분리되는 것이 최대한 천천히 이루어져 전원릴레이가 확실하게 단락된 후에 전원단자들이 분리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캡 하우징에서 플러그 하우징이 분리될 때, 안내유로의 수평이동구간에서 전원릴레이가 단락된 후 커넥터의 분리가 일시적으로 정지됨에 따라 전원릴레이의 단락과 전원단자들의 단락 사이에 소정의 시간차가 발생하게 천천히 인출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캡 하우징에 플러그 하우징이 인입될 때 걸림돌기에 의해 플러그 하우징에 인입된 캡 하우징이 임의로 플러그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됨에 따라 커넥터의 결합을 확실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걸림돌기에 경사면을 형성하여 캡 하우징에 플러그 하우징이 인입되어 걸림돌기에 천천히 인입되되, 원활하게 인입될 수 있음은 물론, 캡 하우징과 플러그 하우징이 인입경로에 의해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내부재에 탄성부재가 구비됨에 따라 플러그 하우징이 인출될 때 복원력에 의해 원활하게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캡 하우징에 삽입되거나 인출되는 플러그 하우징의 슬라이딩 반경을 안내할 수 있으므로, 전원릴레이를 안정적으로 연결하거나 단락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용 커넥터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2는 고전압용 커넥터의 전원릴레이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용 커넥터의 안내부재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a,4b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용 커넥터의 플러그 하우징과 캡 하우징이 결하되기 위한 준비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a,5b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용 커넥터의 플러그 하우징과 캡 하우징이 결합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a,6b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용 커넥터의 플러그 하우징이 캡 하우징으로 완전히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a,7b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용 커넥터의 플러그 하우징과 캡 하우징이 분리되기 위한 준비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a,8b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용 커넥터의 플러그 하우징과 캡 하우징이 분리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a,9b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용 커넥터의 플러그 하우징과 캡 하우징이 완전히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용 커넥터의 안내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용 커넥터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용 커넥터의 전원릴레이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고전압용 커넥터의 안내부재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전압용 커넥터(1)는 내부에 전원접속 터미널(101)과 전원접속 터미널(101)보다 짧게 형성된 인터락 접속플러그(103)가 설치된 캡 하우징(10)과, 내부에 전원접속 터미널(101)과 접속되게 설치된 전원접속 터미널탭(201) 및 인터락 접속플러그(103)에 접속되게 전원접속 터미널탭(201)보다 짧게 형성된 인터락 접속탭(203)이 설치되며 캡 하우징(10)이 내측으로 삽입가능하게 형성된 플러그 하우징(20)과, 인터락 접속플러그(103) 및 인터락 접속탭(203)의 접속유무에 따라 연결되거나 단락되는 전원릴레이(110) 그리고, 캡 하우징(10)에 플러그 하우징(20)이 삽입되거나 분리됨을 안내하되, 인터락 접속플러그(103) 및 인터락 접속탭(203)이 완전히 분리되어 전원릴레이(110)가 완전히 단락된 후 전원접속 터미널(101)과 전원접속 터미널탭(201)이 분리되도록 하는 시간차가 유지되도록 전원릴레이 단락부(3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캡 하우징(10)은 후술될 플러그 하우징(20)의 내부로 인입되면서 플러그 하우징(20)과 결합을 안내하도록 플러그 하우징(20)의 내면과 접하되, 전원접속 터미널(101)이 설치된 전원삽입부재(11) 및 인터락 접속플러그(103)가 설치된 인터락 삽입부재(13)가 형성된다.
여기서, 전원삽입부재(11)의 외면에는 후술될 전원릴레이 단락부(30)의 안내돌기(33)가 형성된다. 안내돌기(33)는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으로서, 인터락 삽입부재(13)의 외면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나, 후술될 전원릴레이 단락부(30)와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어야 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전원삽입부재(11)에 형성된 것으로 기재한다.
안내돌기(33)는 일측에 전원접속 터미널(101)이 설치되고, 타측에 전원접속 터미널(101)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된 인터락 접속플러그(13)가 설치된 캡 하우징(10)이 플러그 하우징(20)과 결합되는 것을 안내하도록 형성된다.
플러그 하우징(20)은 전원접속 터미널설치부(21) 및 인터락 터미널설치부(23)의 내부에 캡 하우징(10)의 전원접속 터미널(101) 및 인터락 접속플러그(103)와 각각 결합되는 전원접속 터미널탭(201) 및 인터락 접속탭(203)이 각각 마련되고, 일측에 후술될 전원릴레이 단락부(30)의 안내부재(31)가 삽입되는 안내부재 설치부(37)가 형성되며, 안내부재(31)에 형성된 안내유로들과 연통되되, 전술한 안내돌기(33)가 삽입되도록 돌기 삽입유로(310)가 형성된다.
안내부재 설치부(37)는 캡 하우징(10)과 플러그 하우징(20)이 결합될 때 전술한 캡 하우징(10)의 안내돌기(33)가 삽입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 2를 참조하면, 전원 릴레이(110)는 종래에 설명한 바와 같이, 전원접속 터미널(101) 및 전원접속 터미널탭(201)이 결합되고, 인터락 플러그(103)가 인터락 터미널탭(203)이 결합되면 인터락 터미널탭(203)에 의해 연결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인터락 플러그(103)와 인터락 터미널탭(203)이 접속됨과 아울러 전원릴레이(110)가 연결되어 커넥터(1)가 고전압의 전류를 연결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인터락 플러그(103)와 인터락 터미널탭(203)이 접속된 후에 전원릴레이(110)가 연결되므로 인터락 터미널탭(203)이 접속된 시점과 전원릴레이(110)가 연결되는 시점 사이에는 시간차가 발생되는 것이다.
한편, 전원릴레이 단락부(30)는 캡 하우징(10)과 플러그 하우징(20)을 분리시킴에 있어서 어떤 상황에서도 인터락 플러그(103)와 인터락 터미널 탭(203)이 분리된 후에 전원릴레이(100)가 단락되도록 인터락 단자들의 분리되어 전원릴레이(110)의 연결이 해제되는 시점과 전원접속 터미널(101)과 전원접속 터미널탭(201)이 분리되는 시점 사이에 시간차가 발생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면에 안내유로가 형성된 안내부재(31)와, 안내부재(31)의 안내유로에 삽입되는 안내돌기(33)와, 플러그 하우징(20)의 일측에 안내부재(31)가 삽입설치되는 안내부재 설치부(37)가 포함된다.
안내부재 설치부(37)는 플러그 하우징(20)의 일면에 안내부재(31)가 측면에서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안내부재(31)에는 전술한 캡 하우징(10)에 형성된 안내돌기(33)가 이동되는 다수의 안내유로가 형성된다. 안내유로는 안내돌기(33)가 삽입되어 캡 하우징(10)과 플러그 하우징(20)이 결합되는 인입경로(311)와, 결합된 캡 하우징(10)과 플러그 하우징(20)이 분리되는 인출경로(315)가 형성된다.
인입경로(311)는 전술한 돌기삽입유로(310)와 연통되게 직선으로 형성되어 캡 하우징(10)과 플러그 하우징(20)이 결합되는 것을 안내하되, 인터락 플러그(103) 및 인터락 접속탭(203)이 접속되는 시점에서 돌기삽입유로(310)로 인입된 안내돌기(33)가 돌기삽입유로(310)를 빠져나오지 않도록 스토퍼 돌기(313)가 형성되도록 한다.
여기서, 인입경로(311)는 인입경로(311)의 상측을 제외한 삼면 즉, 인입경로(311)를 둘러싸도록 절개홈(312)이 형성되어 인입경로(311)가 탄성력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스토퍼 돌기(313)는 안내돌기(33)가 인입되는 측은 경사면(313a)으로 형성되고, 반대측은 직각면(313b)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때, 안내돌기(33)와 플러그 하우징(20)에 형성된 돌기삽입유로(310) 및 안내부재(31)의 인입경로(311)는 일직선상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안내부재(31)에는 인입경로(311)가 형성된 타측으로 절곡되는 인출경로(315)가 형성된다. 인출경로(315)는 전술한 인입경로(311)의 내측 끝단과 연결되어 안내돌기(33)가 인입경로(311)와 반대방향으로 우회되도록 절곡되게 형성된다.
즉, 인출경로(315)는 인입경로(311)의 끝단과 연결되되, 안내돌기(33)가 소정의 간격만큼 수평이동하는 제1수평이동경로(315a)와 안내돌기(33)가 제1수평이동경로(315a)에 대하여 수직으로 이동하는 수직이동경로(315b)와, 수직으로 이동한 안내돌기(33)가 다시 소정의 간격만큼 수평이동하도록 형성된 제2수평이동경로(315c) 및 안내돌기(33)가 인입경로(311)의 상부가 되는 인입구 측으로 연결되도록 경사지게 절곡되게 형성된 절곡이동경로(315c)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안내부재(31)의 상측에는 안내부재(31)가 플러그 하우징(20)의 안내부재 설치부(37)에 삽입되게 설치되어 전술한 안내돌기(33)가 인입경로(311) 또는 인출경로(315)를 따라 이동될 때 안내부재(31)가 안내부재 설치부(37)의 내측으로 인입되거나 외측으로 인출되므로 안내부재(31)가 안내부재 설치부(37)를 이탈하지 않도록 상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319a)가 형성되고, 안내부재 설치부(37)에는 걸림돌기(319a)가 삽입되되, 안내부재(31)의 인출입 반경만큼의 길이로 안내홀(319b)이 형성된다.
이때, 걸림돌기(319a)는 안내홀(319b)에 삽입되기 용이하도록 절개홈을 형성하여 탄성력을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안내부재(31)에는 안내부재 설치부(37)로 인입되는 내측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탄성부재 설치돌기(36)가 형성되고, 탄성부재 설치돌기(36)에는 탄성부재(35)가 삽입설치된다. 이러한 탄성부재(35)는 안내돌기(33)가 제1수평이동경로(315a)를 따라 이동할 때 안내부재(31)가 안내부재 설치부(37)의 내측으로 인입됨에 따라 압축되었다가, 캡 하우징(10)과 플러그 하우징(20)이 분리되기 위하여 안내돌기(33)가 절곡이동경로(315d)를 따라 이동하여 시간차 유지부재(35)가 외측으로 인출될 때 탄성부재(35)의 복원력에 의해 이동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안내부재(31)에는 안내부재 설치부(37)와 반대 측에 손잡이부재(318)가 더 형성되어 작업자가 안내부재(31)가 안내부재 설치부(37)의 내측으로 인입되거나, 인출되도록 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이에, 안내부재 설치부(37)에는 탄성부재(35) 및 탄성설치돌기(36)의 외측을 커버하도록 연장되게 탄성부재 설치부(37a)가 형성된다.
도 4a,4b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용 커넥터의 플러그 하우징과 캡 하우징이 결합되기 위한 준비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a,5b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용 커넥터의 플러그 하우징과 캡 하우징이 결합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a,6b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용 커넥터의 플러그 하우징이 캡 하우징으로 완전히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용 커넥터의 결합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캡 하우징(10)과 플러그 하우징(20)을 결합시키려면, 최초에 캡 하우징(10)의 외면에 형성된 안내돌기(33)와 플러그 하우징(20)의 돌기삽입유로(310) 및 안내부재(31)의 인입경로(311)가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때,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부재(31)의 위치는 최초의 위치 즉, 안내부재 설치부(37)에 삽입설치되되, 내측으로 인입되지 않은 상태가 되는 것이다.
다음,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 하우징(10)과 플러그 하우징(20)이 결합되도록 캡 하우징(10)의 안내돌기(33)가 플러그 하우징(20)의 돌기삽입유로(310)와 연통되게 형성된 안내부재(31)의 인입경로(311)로 인입되어 먼저 전원접속 터미널(101)과 전원접속 터미널탭(201)이 접속된 후, 더 짧은 길이로 형성된 인터락 플러그(103) 및 인터락 접속탭(203)의 접속이 시작되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돌기(33)는 스토퍼 돌기(313)에 걸려 일시적으로 결합이 멈추게 된다.
그 후, 캡 하우징(10)과 플러그 하우징(20)을 결합시키는 결합력을 높이면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 하우징(10)과 플러그 하우징(20)은 완전히 결합되는데, 이때, 안내돌기(33)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홈((312)에 의해 탄성력을 갖는 인입경로(311)를 가압하면서 스토퍼돌기(313)의 경사면(313a)을 따라 스토퍼 돌기(313)를 지나게 되는 것이다.
이때, 결합된 캡 하우징(10)과 플러그 하우징(20)은 안내돌기(33)가 스토퍼 돌기(313)의 직각면(313b)과 접하게 되므로 인입경로(311)가 탄성력을 갖더라도 안내돌기(33)가 인입경로(311)를 다시 빠져나오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인터락 접속플러그(103)와 인터락 접속탭(203)이 접속된 후 스토퍼 돌기(313)에 의해 안내돌기(33)가 인입경로(311)를 다시 빠져나가는 것이 방지됨은 물론, 발생되는 일시정지 시간 동안 전원릴레이(110)가 정확하게 접속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7a,7b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용 커넥터의 플러그 하우징과 캡 하우징이 분리되기 위한 준비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a,8b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용 커넥터의 플러그 하우징과 캡 하우징이 분리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a,9b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용 커넥터의 플러그 하우징과 캡 하우징이 완전히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용 커넥터의 분리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안내부재(31)의 손잡이부재(318)를 가압하여 안내부재(31)가 안내부재 설치부(37)의 내측으로 인입되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 설치부(37a)의 내부에서 탄성부재(35)가 가압되면서 인입경로(311)의 끝단에 위치되었던 안내돌기(33)는 인입경로(311)의 끝단과 연결되게 형성된 인출경로(315)의 제1수평이동경로(315a)를 따라 수평이동한다.
이때, 캡 하우징(10)과 플러그 하우징(20)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함은 물론이다.
다음, 작업자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 하우징(10)과 플러그 하우징(20)이 분리되도록 서로 다른 방향으로 당기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돌기(33)는 인출유로(315)의 수직이동경로(315b)를 따라 이동하고, 제2수평이동경로(315c)에 걸려 그 이동이 멈추게 된다. 이때, 탄성부재(35)는 가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면, 캡 하우징(10)과 플러그 하우징(20)은 분리가 시작되어 전원접속 터미널(101) 및 전원접속 터미널탭(201)은 일부 분리가 되고, 인터락 접속플러그(103) 및 인터락 접속탭(203)은 완전히 분리가 된다. 이때, 안내돌기(33)는 수직이동경로(315b)와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된 제2수평이동경로(315c)에 걸려 전원접속 터미널(101) 및 전원접속 터미널탭(201)의 분리가 일시적으로 중단된다.
즉, 인터락 접속플러그(103) 및 인터락 접속탭(203)은 수직이동경로(315b)를 따라 이동하면서 완전히 분리되고 제2수평이동경로(315c)에 걸려 일시적으로 멈춘 후, 안내돌기(33)가 제2수평이동경로(315b)를 따라 이동하는 동안 전원릴레이(110)가 완전하게 단락되어 전원공급을 중단시킨다.
그 후,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 하우징(10)과 플러그 하우징(20)을 계속적으로 당겨 캡 하우징(10)과 플러그 하우징(20)을 완전히 분리시키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돌기(33)는 절곡이동경로(315d)를 따라 이동하여 인입유로(313)의 입구를 통해 빠져나가게 된다.
이때, 안내돌기(33)가 절곡이동경로(315d)를 따라 이동할 때, 가압되었던 탄성부재(35)는 복원되면서 안내돌기(33)의 이동이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안내부재 설치부(37)의 내측으로 인입되었던 안내부재(31)가 최초의 위치로 복원되도록 인출시킨다.
이에 따라, 안내돌기(33)가 수직이동경로(315b)를 따라 이동하는 동안, 인터락 접속플러그(103) 및 인터락 접속탭(203)이 완전하게 분리되고, 안내돌기(33)가 제2수평이동경로(315c)를 통과할 때 걸리는 시간 동안 전원릴레이(110)의 연결이 정확하게 해제된 후에 안내돌기(33)가 절곡이동경로(315d)를 따라 이동할 때 전원접속 터미널(101)과 전원접속 터미널탭(201)이 분리됨에 따라, 인터락 접속플러그(103) 및 인터락 접속탭(203)이 분리되는 시간과 전원릴레이(110)가 연결해제되는 시간 사이에 항상 안내돌기(33)가 제2수평이동경로(315c)를 따라 이동하는 시간만큼 시간차가 발생하도록 이루진다.
그러므로, 커넥터(1)는 인터락 접속플러그(103) 및 인터락 접속탭(203)이 해제된 후 전원릴레이(110)가 단락되는 시간이 충분히 확보되므로 전원접속 터미널(101)과 전원접속 터미널탭(201)이 분리될 때 전원접속 터미널(101)과 전원접속 터미널탭(201) 사이에 아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용 커넥터의 안내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안내부재(31')에는 전술한 안내부재(31)의 인출경로(315)와 동일하게 하나의 안내유로만을 형성하여 안내돌기를 동일한 유로로 인출입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인터락 접속플러그 및 인터락 터미널탭이 분리될 때 분리되는 시간이 연장되도록 안내돌기가 인입되는 경로와 인출되는 경로가 동일하되, 안내돌기가 인입되는 최초의 위치에서 일측 또는 타측으로 우회되어 절곡되게 형성되도록 안내유로(316)는 절곡이동경로(316a)와, 제1수평이동경로(316b)와, 수직이동경로(316c) 및 제2수평이동경로(316d)로 구성된다.
캡 하우징(10)과 플러그 하우징(20)이 결합되는 경우, 안내돌기(33a)가 먼저 절곡이동경로(316a)로 인입되어 인터락 접속플러그(103) 및 인터락 접속탭(203)이 연결되고, 안내돌기(33b)가 수직이동경로(316b)를 이동하는 동안, 전원접속 터미널(101)과 전원접속 터미널탭(201)이 결합된다.
이때, 탄성부재(35')가 가압되면서 안내부재(31')가 안내부재 설치부(37)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것이다.
그러면서, 안내돌기(33d)가 제2수평이동경로(316d)의 끝단으로 수평이동되는 동안 전원릴레이(110)가 정확하게 연결되고, 캡 하우징(10)과 플러그 하우징(20)이 정확하게 결합이 되며, 안내돌기(33d)가 안내유로(316)를 쉽게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한다.
이때, 가압되었던 탄성부재(35')는 복원되어 안내부재(31')의 위치도 복원된다.
반대로, 캡 하우징(10)과 플러그 하우징(20)이 분리되는 경우, 작업자는 안내부재(31')를 일시적으로 당겨 안내돌기(33d)가 제2수평이동경로(316d)를 빠져나가도록 하고, 작업자가 캡 하우징(10)과 플러그 하우징(20)이 분리되도록 당기면 안내돌기(33c)는 수직이동경로(316c)를 따라 제1수평이동경로(316b) 측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안내돌기(33b)는 안내부재(31)의 일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수평이동경로(316b)에서 일시적으로 정지되면서 인터락 접속플러그(103) 및 인터락 접속탭(203)이 분리되고, 안내돌기(33b)가 제2수평이동경로(316b)를 이동하는 동안 전원릴레이(110)가 완전하게 분리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탄성부재(35')는 일시적으로 가압되었다가 안내돌기(33a)가 절곡이동경로(316a)를 따라 이동할 때 함께 그 위치가 복원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캡 하우징(10)과 플러그 하우징(20)이 완전히 분리될 때 전술한 바와 같이, 전원접속 터미널(101)과 전원접속 터미널탭(201) 사이에는 아크발생이 방지되는 것이다.
1: 고전압용 커넥터
10 : 캡 하우징
11 : 전원접속 삽입부재 13 : 인터락 삽입부재
101 : 전원접속 터미널 103 : 인터락 접속플러그
110 : 전원릴레이
20 : 플러그 하우징
21 : 전원접속 터미널설치부 23 : 인터락 터미널설치부
201 : 전원접속 터미널탭 203 : 인터락 접속탭
30 : 전원릴레이 단락 310 : 돌기삽입유로
31 : 안내부재 33 : 안내돌기
35 : 탄성부재 36 : 탄성설치돌기
37 : 안내부재 설치부 37a : 탄성부재 설치부
311 : 인입경로 313 : 스토퍼돌기
313a : 경사면 313b : 직각면
315 : 인출경로 315a : 제1수평이동경로
315b : 수직이동경로 315c :제2수평이동경로
315d : 절곡이동경로

Claims (9)

  1. 인터락 접속플러그 및 인터락 접속탭의 접속유무에 따라 연결되거나 단락되는 전원릴레이(110)와 연결되는 고전압용 커넥터에 있어서,
    내부에 전원접속 터미널(101)과 전원접속 터미널(101)보다 짧게 형성된 상기 인터락 접속플러그(103)가 설치된 캡 하우징(10);
    내부에 상기 전원접속 터미널(101)과 접속되게 설치된 전원접속 터미널탭(201) 및 상기 인터락 접속플러그(103)에 접속되게 상기 전원접속 터미널탭(201)보다 짧게 형성된 상기 인터락 접속탭(203)이 설치되며 상기 캡 하우징(10)이 내측으로 삽입가능하게 형성된 플러그 하우징(20); 및
    상기 캡 하우징(10)에 상기 플러그 하우징(20)이 삽입되거나 분리됨을 안내하되, 상기 인터락 접속플러그(103) 및 상기 인터락 접속탭(203)이 완전히 분리되어 상기 전원릴레이(110)가 완전히 단락된 후 상기 전원접속 터미널(101)과 전원접속 터미널 탭(201)이 분리되도록 하는 전원릴레이 단락부(3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용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릴레이 단락부(30)는 상기 캡 하우징(10)의 일면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안내돌기;
    상기 플러그 하우징(20)의 일면에 상기 안내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캡 하우징과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결합을 안내하도록 형성된 돌기삽입유로; 및
    상기 플러그 하우징(20)의 일측이며, 상기 돌기삽입유로가 형성된 외측에 인입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면에 플러그 하우징이 상기 캡 하우징에 인출입될 때 상기 안내돌기가 인출입되면서 상기 캡 하우징(10)과 플러그 하우징(20)의 결합이나 분리를 안내하되, 상기 캡 하우징(10)과 플러그 하우징(20)이 분리될 때 상기 인터락 접속플러그(103) 및 상기 인터락 접속탭(203)이 완전히 분리된 후 상기 전원릴레이(110)가 분리되는 시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안내유로가 형성된 안내부재(31);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용 커넥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유로는 상기 인터락 접속플러그 및 인터락 터미널탭이 분리될 때 분리되는 시간이 연장되도록 상기 안내돌기가 인출되는 경로가 인입된 경로와 반대방향으로 우회되어 절곡되게 인출경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용 커넥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경로에는 상기 안내돌기가 인출되다가 일시적으로 멈출 수 있도록 상기 안내돌기가 수평으로 이동하는 수평이동구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용 커넥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유로는 상기 인터락 접속플러그 및 인터락 터미널탭이 접속될 때 상기 안내돌기가 직선으로 인입되도록 인입경로가 형성되되, 상기 인입경로 상에는 탄성력을 갖는 스토퍼돌기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용 커넥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돌기는 상기 안내돌기가 인입되는 방향이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용 커넥터.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에는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되는 면에 탄성부재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용 커넥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의 측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게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는 상기 안내부재가 삽입되었을 때 상기 걸림돌기가 외측으로 인출되되, 상기 안내부재의 이동반경만큼의 길이로 안내홀이 형성되며, 상기 안내부재의 상면에는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손잡이부재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용 커넥터.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유로는 상기 인터락 접속플러그 및 인터락 터미널탭이 분리될 때 분리되는 시간이 연장되도록 상기 안내돌기가 인입되는 경로와 인출되는 경로가 동일하되, 상기 안내돌기가 인입되는 최초의 위치에서 일측 또는 타측으로 우회되어 절곡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용 커넥터.

KR1020100088111A 2010-09-08 2010-09-08 고전압용 커넥터 KR1016493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8111A KR101649380B1 (ko) 2010-09-08 2010-09-08 고전압용 커넥터
CN201180043143.5A CN103155299B (zh) 2010-09-08 2011-08-19 高压连接器
PCT/KR2011/006137 WO2012033293A2 (en) 2010-09-08 2011-08-19 High voltage conn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8111A KR101649380B1 (ko) 2010-09-08 2010-09-08 고전압용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5920A KR20120025920A (ko) 2012-03-16
KR101649380B1 true KR101649380B1 (ko) 2016-08-18

Family

ID=45811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8111A KR101649380B1 (ko) 2010-09-08 2010-09-08 고전압용 커넥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649380B1 (ko)
CN (1) CN103155299B (ko)
WO (1) WO201203329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1888B1 (ko) * 2013-10-04 2020-12-1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KR101452458B1 (ko) * 2013-12-30 2014-10-2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인터락기능을 구비한 커넥터
KR101745130B1 (ko) 2015-09-03 2017-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인터락 커넥터가 제거된 친환경 자동차용 고전압 커넥터
KR101734716B1 (ko) 2015-12-11 2017-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3894A (ja) 2001-10-18 2003-04-25 Smk Corp 高電圧接続用コネクタ
KR100944960B1 (ko) 2007-12-26 2010-03-03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고전압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7872A (ja) * 1996-12-19 1998-06-30 Toshiba Eng Co Ltd リレー内蔵型端子装置
US6106320A (en) * 1999-03-31 2000-08-22 Cooper Industries, Inc. Detent lock mechanism for pin-and-sleeve heavy duty electrical connector
WO2008109109A1 (en) * 2007-03-06 2008-09-12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High voltage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7613003B2 (en) * 2007-12-07 2009-11-03 Lea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US7789690B1 (en) * 2009-10-08 2010-09-0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y having multi-stage latching sequen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3894A (ja) 2001-10-18 2003-04-25 Smk Corp 高電圧接続用コネクタ
KR100944960B1 (ko) 2007-12-26 2010-03-03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고전압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5920A (ko) 2012-03-16
WO2012033293A2 (en) 2012-03-15
WO2012033293A3 (en) 2012-05-24
CN103155299A (zh) 2013-06-12
CN103155299B (zh) 2015-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43697B2 (en) Connector having a housing with a fitting tube with guide walls with a lock arm inbettween
KR101649380B1 (ko) 고전압용 커넥터
US20180102612A1 (en) Internally switched female receptacle or connector with plug-latching safety interlock
US9543702B2 (en) Connector
US9711915B2 (en) Connector having a housing with a backlash preventing rib
US9093769B2 (en) High voltage connector
KR20170031621A (ko) 단자 접촉 보호 수단을 구비한 직각 커넥터
US20210091501A1 (en) Low profile high voltage connector and method for assemblying thereof
KR101899891B1 (ko) 피메일 단자 및 전기 커넥터
CN109565126A (zh) 用于电力连接器系统的具有凸片端子的插头连接器
EP1367678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shorting member
CN110679042B (zh) 将第一电线与第二电线连接的设备和方法
EP3188330B1 (en) Transportation device of withdrawable circuit breaker
US9673561B2 (en) Connector and structure for fixing connector to wiring harness
CN209592506U (zh) 一种接线装置及空调器
JPH01157073A (ja) 電気装置ユニットの電気的端子結合デバイス,該デバイスを備えたしゃ段器および関連する部品の組立品
US11996651B2 (en) Safely separating plug connector part
CN202034731U (zh) 一种侧拉式电缆接线盒
JPH05343128A (ja) カム作動型電気コネクタ
KR101617330B1 (ko) 와이어 분리 성능이 향상된 포크인 커넥터
CN112421290A (zh) 一种便于拔插的插头
JP2021103914A (ja) 電気接続箱、電気接続箱の製造装置、電気接続箱の製造方法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6052084B2 (ja) 電気接続箱
KR20180059247A (ko) 체결확인부를 구비한 커넥터
KR20100056186A (ko) 박스의 커버 결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