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5130B1 - 인터락 커넥터가 제거된 친환경 자동차용 고전압 커넥터 - Google Patents

인터락 커넥터가 제거된 친환경 자동차용 고전압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5130B1
KR101745130B1 KR1020150125165A KR20150125165A KR101745130B1 KR 101745130 B1 KR101745130 B1 KR 101745130B1 KR 1020150125165 A KR1020150125165 A KR 1020150125165A KR 20150125165 A KR20150125165 A KR 20150125165A KR 101745130 B1 KR101745130 B1 KR 101745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mail
connector housing
high voltage
inter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5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8209A (ko
Inventor
박형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5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5130B1/ko
Publication of KR20170028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82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5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51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01R13/05Resilient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3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or blades having a rectangular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락 커넥터를 삭제하고, 메일 커텍터의 외측면에 접속여부를 체크할 수 있는 회로가 형성되도록 한 인터락 커넥터가 제거된 친환경 자동차용 고전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터락 커넥터가 제거된 친환경 자동차용 고전압 커넥터는, 전도체로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전압 부스바(11)를 포함하는 메일 커넥터(10)와, 상기 고전압 부스바(11)가 끼워지는 고전압 단자(21)를 포함하는 피메일 커넥터(20)로 이루어지는 친환경 자동차용 고전압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메일 커넥터(10)의 외측을 형성하는 메일 커넥터 하우징(12)의 외측면에는 각각 전도체를 재질로 하고 서로 절연되는 한 쌍의 도전라인(14)이 형성되고, 상기 피메일 커넥터(20)의 외측을 형성되는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22)의 내측면은 전도체를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메일 커넥터(10)와 피메일 커넥터(20)가 접속되면 상기 한 쌍의 도전라인(14)을 상기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22)의 내측면을 통하여 통전가능하게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터락 커넥터가 제거된 친환경 자동차용 고전압 커넥터{HIGH VOLTAGE CONNECTOR FOR ECO-FRIENDLY VEHICLES FOR INTER-LOCK CONNECTOR REMOVING}
본 발명은 친환경 자동차에서 고전압을 전달하는 케이블에 장착되는 고전압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터락 커넥터를 삭제하고, 메일 커텍터의 외측면에 접속여부를 체크할 수 있는 회로가 형성되도록 한 인터락 커넥터가 제거된 친환경 자동차용 고전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하이브리드 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 및 전기자동차와 같은 친환경 자동차에는 구동륜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각종 부품이 구비된다.
특히, 상기 구동모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고전압 전력변환부품과 케이블이 연결되는 부위, 또는 케이블과 케이블이 연결되는 부위 등에는 고전압 커넥터가 구비되고, 상기 고전압 커넥터의 접속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전압 커넥터의 내부에는 인터락 구조가 구비된다.
종래기술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의 구조를 도 1을 통하여 살펴보면, 상기 고전압 커넥터는 메일 커넥터(110)와, 상기 메일 커넥터(110)가 삽입되는 피메일 커넥터(120)를 한 쌍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메일 커넥터(110)에는 고전압의 통전에 사용되는 한 쌍의 고전압 부스바(111)와, 상기 고전압 부스바(111)와 이격되고 전도체로 이루어지는 메일 커넥터 하우징(112)과, 상기 고전압 부스바(111)와 상기 메일 커넥터 하우징(112)을 서로 절연시키는 메일 커넥터 절연부재(113)를 포함하다. 상기 피메일 커넥터(120)도 이와 유사하게 고전압 단자(121)와,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122) 및 피메일 커넥터 절연부재(123)를 포함하고, 상기 고전압 부스바(111)가 상기 고전압 단자(121)에 삽입되도록 상기 메일 커넥터(110)와 상기 피메일 커넥터(120)가 연결됨으로써, 통전이 가능해진다.
한편, 상기 고전압 커넥터에는 사용자 안전을 위하여, 상기 메일 커넥터(110)와 상기 피메일 커넥터(120)가 서로 완전히 접속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인터락 구조가 구비된다. 즉, 상기 메일 커넥터(110)에는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인터락 버스바(114)가 설치되고, 상기 피메일 커넥터(120)에는 상기 인터락 버스바(114)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인터락 단자(124)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메일 커넥터(110)와 상기 피메일 커넥터(120)가 정상적으로 접속되면, 도 2a 및 도 2b에서와 같이, 상기 2개의 인터락 버스바(114)와 상기 인터락 단자(124)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제어부에서 상기 메일 커넥터(110)와 상기 피메일 커넥터(120)가 정상적으로 접속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메일 커넥터(110)와 상기 피메일 커넥터(120)가 분리되면, 상기 인터락 버스바(114)도 상기 인터락 단자(124)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상기 상기 메일 커넥터(110)와 상기 피메일 커넥터(120)의 분리를 인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터락 버스바(114)와 상기 인터락 단자(124)이 결합이 스프링방식의 선접촉이므로, 상기 인터락 버스바(114)와 상기 인터락 단자(124)의 결합력이 상기 고전압 부스바(111)와 상기 고전압 단자(121)의 결합력보다 약하여 차량의 진동에 의해 상기 고전압 부스바(111)와 상기 고전압 단자(121)가 분리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인터락 버스바(114)와 상기 인터락 단자(124)가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메일 커넥터(110)와 상기 피메일 커넥터(120)의 내부에 상기 인터락 버스바(114)와 상기 인터락 단자(124)가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공간이 추가적으로 소요됨으로써, 상기 메일 커넥터(110)와 상기 피메일 커넥터(120)의 사이즈가 커지고, 이로 인하여 중량과 제조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에는 '고전압용 커넥터'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KR 10-2012-0025920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메일 커넥터와 피메일 커넥터에서 각각 인터락 구조를 갖지 않고, 상기 메일 커넥터의 외측면에 도전라인을 형성하여, 메일 커넥터와 피메일 커넥터의 접속 또는 분리 여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인터락 커넥터가 제거된 친환경 자동차용 고전압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터락 커넥터가 제거된 친환경 자동차용 고전압 커넥터는, 전도체로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전압 부스바를 포함하는 메일 커넥터와, 상기 고전압 부스바가 끼워지는 고전압 단자를 포함하는 피메일 커넥터로 이루어지는 친환경 자동차용 고전압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메일 커넥터의 외측을 형성하는 메일 커넥터 하우징의 외측면에는 각각 전도체를 재질로 하고 서로 절연되는 한 쌍의 도전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피메일 커넥터의 외측을 형성되는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의 내측면은 전도체를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메일 커넥터와 피메일 커넥터가 접속되면 상기 한 쌍의 도전라인을 상기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의 내측면을 통하여 통전가능하게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일 커넥터 하우징의 외측면에 전도체로 이루어지면, 상기 메일 커넥터 하우징의 외측면과 상기 도전라인이 절연되도록, 상기 메일 커넥터 하우징의 외측면에는 상기 도전라인을 따라 절연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절연라인의 표면에 상기 도전라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연라인의 폭은 상기 도전라인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일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은 단면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메일 커넥터 하우징의 외측면이 상기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의 내측면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일 커넥터 하우징은 높이가 폭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도전라인는 상기 메일 커넥터 하우징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전라인은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한 쌍의 도전라인이 상기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을 통하여 통전되면, 상기 메일 커넥터와 상기 피메일 커넥터가 접속된 것으로 인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락 커넥터가 제거된 친환경 자동차용 고전압 커넥터에 따르면, 메일 커넥터와 피메일 커넥터에서 인터락 구조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이 필요없으므로, 메일 커넥터와 피메일 커넥터의 크기와 중량이 감소되고 제조원가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일 커넥터와 상기 피메일 커넥터의 접속시 상기 메일 커넥터의 단부가 상기 피메일 커넥터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인터락 기능이 구현되기 때문에,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인터락 구조의 결합력이 약해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a는 종래기술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에서 인터락 버스바와 인터락 단자가 접속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b는 종래기술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에서 인터락 버스바와 인터락 단자가 접속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락 커넥터가 제거된 친환경 자동차용 고전압 커넥터의 메일 커넥터와 피메일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락 커넥터가 제거된 친환경 자동차용 고전압 커넥터의 메일 커넥터와 피메일 커넥터가 접속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락 커넥터가 제거된 친환경 자동차용 고전압 커넥터의 메일 커넥터와 피메일 커넥터가 접속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인터락 커넥터가 제거된 친환경 자동차용 고전압 커넥터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터락 커넥터가 제거된 친환경 자동차용 고전압 커넥터는, 전도체로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전압 부스바(11)를 포함하는 메일 커넥터(10)와, 상기 고전압 부스바(11)가 끼워지는 고전압 단자(21)를 포함하는 피메일 커넥터(20)로 이루어지는 친환경 자동차용 고전압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메일 커넥터(10)의 외측을 형성하는 메일 커넥터 하우징(12)의 외측면에는 각각 전도체를 재질로 하고 서로 절연되는 한 쌍의 도전라인(14)이 형성되고, 상기 피메일 커넥터(20)의 외측을 형성되는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22)의 내측면은 전도체를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메일 커넥터(10)와 피메일 커넥터(20)가 접속되면 상기 한 쌍의 도전라인(14)을 상기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22)의 내측면을 통하여 통전가능하게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는 인터락 커넥터가 제거된 친환경 자동차용 고전압 커넥터는 메일 커넥터(10)와, 상기 메일 커넥터(10)가 삽입되는 피메일 커넥터(20)로 이루어진다.
메일 커넥터(10)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고전압 부스바(11)와, 상기 고전압 부스바(11)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메일 커넥터 하우징(12)과, 상기 상기 고전압 부스바(11)와 상기 메일 커넥터 하우징(12)을 절연시키는 절연부재(미도시)를 포함한다.
고전압 부스바(11)는 전도체를 재질로 하여 제작되고, 한 쌍으로 마련되어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고전압 부스바(11)를 통하여 전력이 전송된다.
메일 커넥터 하우징(12)은 상기 고전압 부스바(11)를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메일 커넥터 하우징(12)은 단면이 대략 직사각형 형태의 박스형태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 상기 고전압 부스바(11)가 배치된다. 메일 커넥터 하우징(12)은 전도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절연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절연부재는 상기 메일 커넥터 하우징(12)의 내부에는 상기 메일 커넥터 하우징(12)의 단부와 인접한 부분, 즉 피메일 커넥터(20)와 접속되는 부분을 제외하고 상기 메일 커넥터 하우징(12)의 내부를 채운다. 상기 절연부재에 의해 상기 한 쌍의 고전압 부스바(11)끼리 서로 절연되도록 하고, 상기 메일 커넥터 하우징(12)이 전도체인 경우에는 상기 메일 커넥터 하우징(12)과도 절연되도록 한다.
피메일 커넥터(20)는 상기 고전압 부스바(11)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고전압 단자(21)와, 상기 고전압 단자(21)를 수용하는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22)과, 상기 고전압 단자(21)와 상기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22)과 절연되도록 하는 절연부재를 포함한다.
고전압 단자(21)는 상기 고전압 버스바(11)의 단부를 수용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메일 커넥터(10)와 상기 피메일 커넥터(20)가 접속되면, 상기 고전압 부스바(11)의 단부가 상기 고전압 단자(21)의 단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고전압 부스바(11)와 상기 고전압 단자(21)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22)은 상기 고전압 단자(21)와 이격되고 상기 고전압 단자를 수용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22)은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일 커넥터 하우징(12)의 외측면은 상기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22)의 내측면에 끼워지는 형태가 되도록 상기 메일 커넥터 하우징(12)과 상기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22)이 형성된다.
상기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22)은 외측면을 절연체로 재질로 하고, 내측면은 전도체를 재질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22)의 내측면은 전도체로 이루어진다.
절연부재는 상기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22)의 내부에서 상기 메일 커넥터(10)와 접속되는 상기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22)의 단부를 제외한 부분에 채워져 상기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22)의 내부에서 상기 고전압 단자(21)와 상기 상기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22)이 서로 절연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인터락 커넥터가 제거된 친환경 자동차용 고전압 커넥터에서는 인터락 기능, 즉 상기 메일 커넥터(10)와 상기 피메일 커넥터(20)의 접속여부를 감지하는 기능을 발휘하고자, 상기 메일 커넥터(10)의 외측면에 전도체로 이루어진 도전라인(14)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메일 커넥터(10)를 상기 피메일 커넥터(20)에 삽입하는 것만으로도 인터락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상기 메일 커넥터(10)의 메일 커넥터 하우징(12)의 외측에는 상기 제어부(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도전라인(14)이 선형(線型)으로 형성된다. 상기 도전라인(14)은 상기 제어부(30)와 전기적으로 도통해야 하므로, 2개의 라인으로 형성된다. 즉, 도 4에서 보이는 전면뿐만 아니라, 도 4에서는 보이지 않는 후면에도 상기 도전라인(14)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도전라인(14)과 상기 메일 커넥터 하우징(12) 사이에는 절연라인(1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일 커넥터 하우징(12)가 전도체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메일 커넥터 하우징(12)의 표면에 직접 상기 도전라인(14)이 형성되면, 상기 도전라인(14)과 상기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22)이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므로, 상기 도전라인(14)을 통하여 상기 메일 커넥터(10)와 상기 피메일 커넥터(20)의 접속여부를 감지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메일 커넥터 하우징(12)의 외측면이 전도체를 재질로 한 경우에는 상기 메일 커넥터 하우징(12)의 표면에 절연라인(13)을 선형(線型)으로 형성하고, 상기 절연라인(13)에 상기 도전라인(14)이 형성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메일 커넥터 하우징(12)에서 상기 절연라인(13)의 폭은 상기 도전라인(14)의 폭보다 넓게 형성된다.
상기 메일 커넥터 하우징(12)의 외측에 2개의 도전라인(14)이 상기 메일 커넥터 하우징(12)에 대하여 절연된 상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도전라인(14)의 단부를 연결하거나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인터락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일 커넥터 하우징(12)에서 상기 한 쌍의 도전라인(14)은 상기 메일 커넥터 하우징(12)에서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도록 한다. 즉, 상기 메일 커넥터 하우징(12)은 단면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상부면과 하부면은 그 길이가 길고, 양측면은 높이가 짧게 형성되는데, 상기 도전라인(14)은 상기 메일 커넥터 하우징(12)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메일 커넥터 하우징(12)이 상기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22)에 삽입되었을 때, 안정적으로 접촉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만약, 상기 도전라인(14)는 상기 메일 커넥터 하우징(12)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형성되면, 상기 메일 커넥터 하우징(12)이 상기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22)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메일 커넥터 하우징(12)의 외측면과 상기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22)의 내측면이 서로 이격될 수 있으므로, 상기 도전라인(14)은 상기 메일 커넥터 하우징(12)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락 커넥터가 제거된 친환경 자동차용 고전압 커넥터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는 상기 메일 커넥터(10)와 상기 피메일 커넥터(20)가 서로 접속되기 전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메일 커넥터(10)의 도전라인(14)은 각각 제어부(30)와도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메일 커넥터(10)와 상기 피메일 커넥터(20)가 서로 접속되지 않아 상기 메일 커넥터(10)에 형성된 한 쌍의 도전라인(14)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아,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메일 커넥터(10)와 피메일 커넥터(20)가 서로 연결되지 않았음을 인지한다.
도 5에는 상기 메일 커넥터(10)와 상기 피메일 커넥터(20)가 접속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메일 커넥터(10)와 상기 피메일 커넥터(20)가 서로 접속되면, 상기 메일 커넥터(10)에 형성된 한 쌍의 도전라인(14)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메일 커넥터 하우징(12)이 상기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22)의 내부로 삽입되면, 도 5에 점선으로 표시된 화살표와 같이 상기 회로가 형성된다.
즉, 메일 커넥터(10)에 형성된 도전라인(14)은 서로 상기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22)의 내측면을 통하여 서로 통전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 메일 커넥터 하우징(12)이 상기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22)에 끼워지면, 상기 도전라인(14)는 각각 전도체로 이루어진 상기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22)의 내측면과 접촉하므로 회로가 구성된다.
이와 같이 회로가 구성되면,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메일 커넥터(10)와 피메일 커넥터(20)의 접속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메일 커넥터(10)와 상기 피메일 커넥터(20)가 서로 분리되면, 상기 도전라인(14)끼리 다시 통전이 불가능한 상태가 되므로,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메일 커넥터(10)와 상기 피메일 커넥터(20)가 분리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다.
10 : 메일 커넥터 11 : 고전압 버스바
12 : 메일 커넥터 하우징 13 : 절연라인
14 : 도전라인 20 : 피메일 커넥터
21 : 고전압 단자 22 :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
30 : 제어부 110 : 메일 커넥터
111 : 고전압 버스바 112 : 메일 커넥터 하우징
113 : 절연부재 114 : 인터락 버스바
120 : 피메일 커넥터 121 : 고전압 단자
122 :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 123 : 절연부재
124 : 인터락 단자

Claims (6)

  1. 전도체로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전압 부스바를 포함하는 메일 커넥터와, 상기 고전압 부스바가 끼워지는 고전압 단자를 포함하는 피메일 커넥터로 이루어지는 친환경 자동차용 고전압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메일 커넥터의 외측을 형성하는 메일 커넥터 하우징의 외측면에는 각각 전도체를 재질로 하고 서로 절연되는 한 쌍의 도전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피메일 커넥터의 외측을 형성되는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의 내측면은 전도체를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메일 커넥터와 피메일 커넥터가 접속되면 상기 한 쌍의 도전라인을 상기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의 내측면을 통하여 통전가능하게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메일 커넥터 하우징의 외측면에 전도체로 이루어지면,
    상기 메일 커넥터 하우징의 외측면과 상기 도전라인이 절연되도록, 상기 메일 커넥터 하우징의 외측면에는 상기 도전라인을 따라 절연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절연라인의 표면에 상기 도전라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락 커넥터가 제거된 친환경 자동차용 고전압 커넥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라인의 폭은 상기 도전라인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락 커넥터가 제거된 친환경 자동차용 고전압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일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은 단면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메일 커넥터 하우징의 외측면이 상기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의 내측면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락 커넥터가 제거된 친환경 자동차용 고전압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일 커넥터 하우징은 높이가 폭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도전라인는 상기 메일 커넥터 하우징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락 커넥터가 제거된 친환경 자동차용 고전압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라인은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한 쌍의 도전라인이 상기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을 통하여 통전되면, 상기 메일 커넥터와 상기 피메일 커넥터가 접속된 것으로 인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락 커넥터가 제거된 친환경 자동차용 고전압 커넥터.
KR1020150125165A 2015-09-03 2015-09-03 인터락 커넥터가 제거된 친환경 자동차용 고전압 커넥터 KR1017451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5165A KR101745130B1 (ko) 2015-09-03 2015-09-03 인터락 커넥터가 제거된 친환경 자동차용 고전압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5165A KR101745130B1 (ko) 2015-09-03 2015-09-03 인터락 커넥터가 제거된 친환경 자동차용 고전압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8209A KR20170028209A (ko) 2017-03-13
KR101745130B1 true KR101745130B1 (ko) 2017-06-08

Family

ID=58411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5165A KR101745130B1 (ko) 2015-09-03 2015-09-03 인터락 커넥터가 제거된 친환경 자동차용 고전압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51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8903A (ko) 2018-01-19 2019-07-29 주식회사 엘지화학 분리형 고전압 커넥터 어셈블리 및 그 제조 방법
KR102586446B1 (ko) * 2018-08-06 2023-10-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넥터 장치
KR20220055950A (ko) 2020-10-27 2022-05-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전력 변환 장치의 커넥터 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79254A (ja) * 2004-12-22 2006-07-06 Sharp Corp 電気回路接続用コネクタ、および電子機器
JP2014512065A (ja) 2011-03-15 2014-05-19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コーポレイション 高電圧コネクタアセンブリ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9380B1 (ko) 2010-09-08 2016-08-18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고전압용 커넥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79254A (ja) * 2004-12-22 2006-07-06 Sharp Corp 電気回路接続用コネクタ、および電子機器
JP2014512065A (ja) 2011-03-15 2014-05-19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コーポレイション 高電圧コネクタアセンブリ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8209A (ko) 2017-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46997B1 (en) Electrical connector system
US9190782B2 (en) Power connection system
US7722372B2 (en) Direct mounting connector
KR101745130B1 (ko) 인터락 커넥터가 제거된 친환경 자동차용 고전압 커넥터
US20150229071A1 (en) Bused electrical center for electric or hybrid electric vehicle
WO2012125207A1 (en) High voltage connector assembly
CN104205516A (zh) 用于大电流应用的安全系统
CA2821276C (en) High-current insertion-type connector having annular resilient contact-making means
JP2011159556A (ja) 充電コネクタの端子保持構造
WO2015002252A1 (ja) コネクタ接続構造
KR20170024704A (ko)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US9640920B2 (en) Protective cover structure
US9059550B2 (en) Connector
WO2012023042A3 (en) Connector device and connector assembly for vehicle electrical power supply or transmission in a vehicle
EP2856572A1 (en) Interconnection assembly for vehicle devices and method of interconnection
KR102463690B1 (ko) 커넥터의 인터락 구조
KR101734249B1 (ko)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US11710605B2 (en) Power relay having terminal tabs
KR101201561B1 (ko) 인터락 기능을 갖는 커넥터
CN107819257B (zh) 电连接器及具有该电连接器的电机
KR102492963B1 (ko) 고전압 커넥터 어셈블리
US20140287629A1 (en) Plug-type element
KR20160124077A (ko) 플러그 연결
KR200457362Y1 (ko) 배선용 키트
KR102385903B1 (ko)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