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4704A -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 Google Patents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4704A
KR20170024704A KR1020150120035A KR20150120035A KR20170024704A KR 20170024704 A KR20170024704 A KR 20170024704A KR 1020150120035 A KR1020150120035 A KR 1020150120035A KR 20150120035 A KR20150120035 A KR 20150120035A KR 20170024704 A KR20170024704 A KR 201700247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terlock
connector
current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0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4670B1 (ko
Inventor
김석민
노명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0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4670B1/ko
Priority to US14/936,749 priority patent/US9634441B2/en
Publication of KR20170024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47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4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4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interlocked with contact members or counter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제1와이어와 연결되어 전류를 전달하며, 내부에는 인터락 신호를 판별하여 전압 전달을 개폐시키는 인터락 스위치부가 구비되는 제1커넥터와; 제2와이어와 연결되어 전류를 전달하며, 상기 제1커넥터의 인터락 스위치 일부를 가압하여 상기 인터락 스위치의 전압 전달 개폐를 제어하는 누름부가 구비되는 제2커넥터로 구성되어, 커넥터 사이즈를 소형화하여 체적 감소 및 중량을 절감시켜 차량 패키지 설계 시 공간 측면에 대한 여유를 제공함으로써 상품성을 향상시키고, 제1커넥터 내부에서 인터락 단자 접촉이 가능하게 하여 인터락 회로를 보호할 수 있게 하며, 커넥터 간 접촉 불안정으로 인한 고전압 차단 문제를 방지하여 상품성과 안전성을 증대시키는데 효과가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High voltage connecto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암커넥터에 별도의 인터락 터미널이 형성되지 않게 하는 대신 인터락 신호 판별을 위한 스위치와 스위치를 누를 수 있는 구조를 적용하여 인터락 구조가 가능하게 하기 위한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 조립체는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서로 결합되어 전기적인 연결을 수행한다. 즉, 제1 및 제2커넥터는 각각 외관을 구성하는 하우징에 각각 터미널이 구비되어 터미널이 전기적으로 연결됨에 의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한다.
최근에 엔진 이외에 모터를 구동원을 사용하는 자동차들이 개발되면서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커넥터들이 고전압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 졌다. 고전압에서 사용되는 커넥터, 즉 고전압 커넥터의 경우, 특히 제1 및 제2커넥터 사이의 결합이 분리되는 순간에 스파크가 발생하여 화재 등의 위험이 많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의 터미널의 물리적 결합의 해제 전에 통전이 끊어지도록 하고, 회로적인 연결이 된 것을 계속적으로 모니터할 필요가 있다.
이처럼 고전압을 적용하는 친환경 차량에서 안전을 위하여 사전 전류 차단장치인 인터락 구조가 적용된 커넥터를 사용하고 있다.
이때, 커넥터는 인터락 구조를 회로적으로 개폐시키기 위하여 스프링 구조의 인터락 터미널을 포함하는 암커넥터가 필요하며, 이로 인해 대전류 부근에 인터락 구조가 배치되어 전자파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사이즈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 1 :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2-0120810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암커넥터에 별도의 인터락 터미널이 형성되지 않게 하는 대신 인터락 신호 판별을 위한 스위치와 스위치를 누를 수 있는 구조를 적용하여 인터락 구조가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제1와이어와 연결되어 전류를 전달하며, 내부에는 인터락 신호를 판별하여 전압 전달을 개폐시키는 인터락 스위치부가 구비되는 제1커넥터와; 제2와이어와 연결되어 전류를 전달하며, 상기 제1커넥터의 인터락 스위치 일부를 가압하여 상기 인터락 스위치의 전압 전달 개폐를 제어하는 누름부가 구비되는 제2커넥터;를 포함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제1커넥터는, 하우징 내부에 전류를 전달하는 제1전류 단자 및 제2전류 단자가 구비되며, 상기 제1전류 단자와 상기 제2전류 단자 사이에는 상기 인터락 스위치부가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커넥터는, 상기 제1전류 단자 및 상기 제2전류 단자에 접촉하는 제1전류연결바 및 제2전류연결바가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터락 스위치부는, 상기 제1와이어와 연결되는 스위치 바디와; 상기 제2커넥터의 누름부에 의해 상기 스위치 바디 전단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스위치 로드와; 상기 스위치 바디와 상기 스위치 로드를 연결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위치 바디 전단에는 상기 제1와이어의 전압을 전달하는 인터락 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스위치 로드 후단에는 상기 인터락 단자가 선택적으로 삽입되게 하는 쇼트 스프링단자가 구비되어, 상기 쇼트 스프링단자에 상기 인터락 단자 삽입 시 인터락 회로가 미작동되고, 상기 쇼트 스프링단자에 상기 인터락 단자 미삽입 시 인터락 회로가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쇼트 스프링단자는 소정간격을 가지고 폴딩된 판스프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단은 상기 스위치 로드에 고정 장착되며, 타단은 개방되어 상기 인터락 단자에 대응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쇼트 스프링단자의 폴딩부에는 상기 쇼트 스프링단자가 스위치 로드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쇼트 스프링단자는, 상기 인터락 단자에 대응하여 상기 인터락 단자와 탄성 접촉하는 스프링부와; 상기 스프링부의 변형을 방지하는 변형방지부와; 상기 스프링부를 보호하도록 스프링부 외부에 형성되는 커버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누름부는 내측으로 걸림홈이 형성되어 스위치 로드에 대응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와이어와 연결되는 스위치 바디와, 상기 스위치 바디 전단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스위치 로드와, 상기 스위치 바디와 상기 스위치 로드를 연결하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인터락 신호를 판별하고 전압 전달을 개폐시키는 인터락 스위치부가 구비되되, 하우징 내부에는 전류를 전달하는 제1전류 단자 및 제2전류 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제1전류 단자와 상기 제2전류 단자 사이에는 상기 인터락 스위치부가 구비되는 제1커넥터와; 제2와이어와 연결되어 전류를 전달하며, 상기 제1커넥터의 인터락 스위치 일부를 가압하여 상기 인터락 스위치의 전압 전달 개폐를 제어하는 누름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전류 단자 및 상기 제2전류 단자에 접촉하는 제1전류연결바 및 제2전류연결바;를 포함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스위치 바디 전단에는 상기 제1와이어의 전압을 전달하는 인터락 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스위치 로드 후단에는 상기 인터락 단자가 선택적으로 삽입되게 하는 쇼트 스프링단자가 구비되어, 상기 쇼트 스프링단자에 상기 인터락 단자 삽입 시 인터락 회로가 미작동되고, 상기 쇼트 스프링단자에 상기 인터락 단자 미삽입 시 인터락 회로가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쇼트 스프링단자는 소정간격을 가지고 폴딩된 판스프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단은 상기 스위치 로드에 고정 장착되며, 타단은 개방되어 상기 인터락 단자에 대응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쇼트 스프링단자의 폴딩부에는 상기 쇼트 스프링단자가 스위치 로드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쇼트 스프링단자는, 상기 인터락 단자에 대응하여 상기 인터락 단자와 탄성 접촉하는 스프링부와; 상기 스프링부의 변형을 방지하는 변형방지부와; 상기 스프링부를 보호하도록 스프링부 외부에 형성되는 커버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전류의 출입구로 기능하는 제1전류단자 및 제2전류단자가 형성된 제1커넥터; 및 상기 전류단자와 접속되는 제1전류연결바 및 제2전류연결바가 형성되고 상기 제1커넥터와 탈거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1커넥터를 향해 돌출된 누름부가 형성된 제2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커넥터는, 상기 제1전류단자 및 상기 제2전류단자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누름부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제1전류단자와 상기 제2전류단자의 접속상태를 변경하는 인터락스위치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커넥터 사이즈를 소형화하여 체적 감소 및 중량을 절감시켜 차량 패키지 설계 시 공간 측면에 대한 여유를 제공함으로써 상품성을 향상시키고, 제1커넥터 내부에서 인터락 단자 접촉이 가능하게 하여 인터락 회로를 보호할 수 있게 하며, 커넥터 간 접촉 불안정으로 인한 고전압 차단 문제를 방지하여 상품성과 안전성을 증대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의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의 제1커넥터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의 쇼트 스프링단자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의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 체결 전후 인터락 스위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의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 체결 전후 인터락 단자와 쇼트 스프링단자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의 쇼트 스프링단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의 제2커넥터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의 제2커넥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에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 결합에 따른 인터락 시스템 작동 순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에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 결합에 따른 인터락 스위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락 스위치부(110)가 구비되는 제1커넥터(100)와, 인터락 스위치부(110)를 가압하여 인터락 스위치부(110)의 고전압 전달 개폐를 제어하는 제2커넥터(200)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커넥터(100)는 전류를 전달할 수 있도록 외부로부터 삽입되어 인터락 회로를 구성하는 제1와이어와 연결되어 전류를 전달하며, 내부에는 인터락 신호를 판별하여 전압 전달을 개폐시키는 인터락 스위치부(110)가 구비된다.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커넥터(200)는 전류를 전달할 수 있도록 외부로부터 삽입되는 제2와이어와 연결되어 전류를 전달하며, 제1커넥터(100)의 인터락 스위치부(110) 일부를 가압하여 인터락 스위치부(110)의 전압 전달 개폐를 제어하는 누름부(210)가 구비되도록 한다.
즉, 제1커넥터(100)는 메일커넥터이며, 제2커넥터(200)는 피메일커넥터로써 제1커넥터(100)와 제2커넥터(200)는 상호 결합 가능하게 구비된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커넥터(100)는 하우징 내부에 대전류를 전달하는 제1전류 단자(121) 및 제2전류 단자(122)가 구비되도록 한다.
이때, 제1전류 단자(121) 및 제2전류 단자(122)를 통해 전달되는 대전류는 제1와이어로부터 전달되는 전류가 아닌 제2커넥터(200)로부터 전달되는 대전류를 전달받는다. 한편 대전류는 인터락 스위치를 구비하는 제1커넥터(100) 측에서 제2커넥터(200) 측으로 전달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커넥터(100)의 제1전류 단자(121)와 제2전류 단자(122) 사이에는 인터락 스위치부(110)가 구비되도록 하여 제1커넥터(100)와 제2커넥터(200) 결합 시 인터락 시스템을 회로적으로 온/오프시킬 수 있게 한다.
도 1,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커넥터(200)는 제1커넥터(100)에 형성된 제1전류 단자(121) 및 제2전류 단자(122)에 접촉하는 제1전류연결바(221) 및 제2전류연결바(222)가 구비되도록 하여 제1커넥터(100)와 제2커넥터(200) 결합 시 제1커넥터(100)의 제2커넥터(200) 전류 전달이 가능하게 한다.
한편, 도 2,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락 스위치부(110)는 제1커넥터(100)와 제2커텍터 결합 시 인터락 시스템을 온/오프시키는 것으로, 제1커넥터(100)에 구비되어 제1와이어와 연결되는 스위치 바디(111)와, 제2커넥터(200)의 누름부(210)에 의해 스위치 바디(111) 전단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스위치 로드(112)와, 스위치 바디(111)와 스위치 로드(112)를 연결하는 코일스프링(113)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스위치 바디(111) 전단에는 제1와이어의 전압을 전달하는 인터락 단자(114)가 구비되고, 스위치 로드(112) 후단에는 인터락 단자(114)가 선택적으로 삽입되게 하는 쇼트 스프링단자(115)가 구비되도록 하여, 쇼트 스프링단자(115)에 인터락 단자(114)가 삽입되는 경우에는 인터락 회로가 미작동되고, 쇼트 스프링단자(115)에 인터락 단자(114) 미삽입되는 경우에는 인터락 회로가 작동되도록 한다.
또한, 누름부(210)는 내측으로 걸림홈(211)이 형성되어 스위치 로드(112)에 대응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인터락 스위치부(110)는 제1커넥터(100)와 제2커넥터(200) 결합 시 제2커넥터(200)가 제1커넥터(100)에 삽입되면서 누름부(210)가 스위치 로드(112)를 가압하여 스위치 로드(112)가 이동되면서 스위치 로드(112)에 구비된 쇼트 스프링단자(115)에 인터락 단자(114)가 삽입되면서 인터락 회로가 미작동되게 하고, 제1커넥터(100)와 제2커넥터(200)가 분리되는 경우에는 쇼트 스프링단자(115)도 인터락 단자(114)로부터 분리되면서 인터락 회로가 작동되도록 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쇼트 스프링단자(115)는 소정간격을 가지고 폴딩된 판스프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단은 스위치 로드(112)에 고정 장착되며, 타단은 개방되어 인터락 단자(114)에 대응할 수 있게 하여 인터락 단자(114)와 접촉 시 스프링 텐션에 의해 인터락 회로를 연결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쇼트 스프링단자(115)의 폴딩부에는 걸림부(116)가 형성되도록 하여 쇼트 스프링단자(115)가 스위치 로드(11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쇼트 스프링단자(115)의 다른 실시예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쇼트 스프링단자(115)는 인터락 단자(114)에 대응하여 인터락 단자(114)와 탄성 접촉하는 스프링부(118)와, 스프링부(118)의 변형을 방지하는 변형방지부(119)와, 스프링부(118)를 보호하도록 스프링부(118) 외부에 형성되는 커버(117)로 이루어져, 판 형태의 부재에 절삭 및 굽힘 가공을 수차례 반복하여 스프링부(118)와, 변형방지부(119)와, 커버(117)가 일체로 형성된 박스 구조의 피메일 단자이다.
판 형태의 커버(117)에 절삭 및 굽힘 가공을 수차례 반복하여 형성되며, 커버(117)에는 스위치 로드(11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부가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쇼트 스프링단자(115)는 스프링 변형을 방지하고 이로 인해 인터락 시스템의 전기적, 기계적 접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서 제1커넥터(100)와 제2커넥터(200) 결합에 따른 인터락 시스템 작동 순서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1) 제1커넥터(100)와 제2커넥터(200) 결합을 준비하며 이때는 제1커넥터(100)의 제1전류 단자(121) 및 제2전류 단자(122)가 제2커넥터(200)의 제1전류연결바(221) 및 제2전류연결바(222)와 접촉되지 않고, 인터락 접촉도 되지 않아 고전압 미통전 상태가 되며, 2) 그 후에 제1커넥터(100)에 제2커넥터(200)가 조금 더 결합되면 제1커넥터(100)의 제1전류 단자(121) 및 제2전류 단자(122)와 제2커넥터(200)의 제1전류연결바(221) 및 제2전류연결바(222)는 접촉이 되지만, 인터락 접촉은 이루어지지 않아 고전압 미통전 상태가 되고, 3) 그 후에 제1커넥터(100)에 제2커넥터(200)가 조금 더 결합되면 제1커넥터(100)의 제1전류 단자(121) 및 제2전류 단자(122)와 제2커넥터(200)의 제1전류연결바(221) 및 제2전류연결바(222)는 완벽하게 접촉이 되고, 스위치 로드(112)와 누름부(210)가 접촉하게 되어 고전압 통전을 준비하게 되고, 4) 그 후에 제1커넥터(100)에 제2커넥터(200)가 조금 더 결합되면 제1커넥터(100)의 제1전류 단자(121) 및 제2전류 단자(122)와 제2커넥터(200)의 제1전류연결바(221) 및 제2전류연결바(222)가 완벽하게 접촉된 상태에서, 누름부(210)가 스위치 로드(112)를 가압하여 인터락 단자(114)와 쇼트 스프링단자(115)가 결합되어 고전압 통전이 시작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전류의 출입구로 기능하는 제1전류단자(121) 및 제2전류단자(122)가 형성된 제1커넥터(100)와, 제1전류단자(121) 및 제2전류단자(122)와 접속되는 제1전류연결바(221) 및 제2전류연결바(222)가 형성되고 제1커넥터(100)와 탈거가능하게 연결되며 제1커넥터(100)를 향해 돌출된 누름부(210)가 형성된 제2커넥터(200)를 포함하고, 제1커넥터(100)는, 제1전류단자(121) 및 제2전류단자(122) 사이에 형성되고, 누름부(210)에 의해 이동되어 제1전류단자(121)와 제2전류단자(122)의 전압 전달을 개폐하는 인터락 스위치부(110)가 형성되도록 하여 커넥터 사이즈를 소형화하여 체적 감소 및 중량을 절감시켜 차량 패키지 설계 시 공간 측면에 대한 여유를 제공함으로써 상품성을 향상시키고, 제1커넥터(100) 내부에서 인터락 단자(114) 접촉이 가능하게 하여 인터락 회로를 보호할 수 있게 하며, 커넥터 간 접촉 불안정으로 인한 고전압 차단 문제를 방지하여 상품성과 안전성을 증대시킨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제1커넥터 110 : 스위치부
111 : 스위치 바디 112 : 스위치 로드
113 : 코일스프링 114 : 인터락 단자
115 : 쇼트 스프링단자 200 : 제2커넥터
210 : 누름부

Claims (15)

  1. 제1와이어와 연결되어 전류를 전달하며, 내부에는 인터락 신호를 판별하여 전압 전달을 개폐시키는 인터락 스위치부가 구비되는 제1커넥터와;
    제2와이어와 연결되어 전류를 전달하며, 상기 제1커넥터의 인터락 스위치 일부를 가압하여 상기 인터락 스위치의 전압 전달 개폐를 제어하는 누름부가 구비되는 제2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는, 하우징 내부에 전류를 전달하는 제1전류 단자 및 제2전류 단자가 구비되며, 상기 제1전류 단자와 상기 제2전류 단자 사이에는 상기 인터락 스위치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커넥터는, 상기 제1전류 단자 및 상기 제2전류 단자에 접촉하는 제1전류연결바 및 제2전류연결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인터락 스위치부는
    상기 제1와이어와 연결되는 스위치 바디와;
    상기 제2커넥터의 누름부에 의해 상기 스위치 바디 전단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스위치 로드와;
    상기 스위치 바디와 상기 스위치 로드를 연결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바디 전단에는 상기 제1와이어의 전압을 전달하는 인터락 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스위치 로드 후단에는 상기 인터락 단자가 선택적으로 삽입되게 하는 쇼트 스프링단자가 구비되어,
    상기 쇼트 스프링단자에 상기 인터락 단자 삽입 시 인터락 회로가 미작동되고, 상기 쇼트 스프링단자에 상기 인터락 단자 미삽입 시 인터락 회로가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쇼트 스프링단자는 소정간격을 가지고 폴딩된 판스프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단은 상기 스위치 로드에 고정 장착되며, 타단은 개방되어 상기 인터락 단자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쇼트 스프링단자의 폴딩부에는 상기 쇼트 스프링단자가 스위치 로드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쇼트 스프링단자는,
    상기 인터락 단자에 대응하여 상기 인터락 단자와 탄성 접촉하는 스프링부와;
    상기 스프링부의 변형을 방지하는 변형방지부와;
    상기 스프링부를 보호하도록 스프링부 외부에 형성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는 내측으로 걸림홈이 형성되어 스위치 로드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10. 제1와이어와 연결되는 스위치 바디와, 상기 스위치 바디 전단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스위치 로드와, 상기 스위치 바디와 상기 스위치 로드를 연결하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인터락 신호를 판별하고 전압 전달을 개폐시키는 인터락 스위치부가 구비되되, 하우징 내부에는 전류를 전달하는 제1전류 단자 및 제2전류 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제1전류 단자와 상기 제2전류 단자 사이에는 상기 인터락 스위치부가 구비되는 제1커넥터와;
    제2와이어와 연결되어 전류를 전달하며, 상기 제1커넥터의 인터락 스위치 일부를 가압하여 상기 인터락 스위치의 전압 전달 개폐를 제어하는 누름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전류 단자 및 상기 제2전류 단자에 접촉하는 제1전류연결바 및 제2전류연결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바디 전단에는 상기 제1와이어의 전압을 전달하는 인터락 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스위치 로드 후단에는 상기 인터락 단자가 선택적으로 삽입되게 하는 쇼트 스프링단자가 구비되어,
    상기 쇼트 스프링단자에 상기 인터락 단자 삽입 시 인터락 회로가 미작동되고, 상기 쇼트 스프링단자에 상기 인터락 단자 미삽입 시 인터락 회로가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쇼트 스프링단자는 소정간격을 가지고 폴딩된 판스프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단은 상기 스위치 로드에 고정 장착되며, 타단은 개방되어 상기 인터락 단자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쇼트 스프링단자의 폴딩부에는 상기 쇼트 스프링단자가 스위치 로드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쇼트 스프링단자는,
    상기 인터락 단자에 대응하여 상기 인터락 단자와 탄성 접촉하는 스프링부와;
    상기 스프링부의 변형을 방지하는 변형방지부와;
    상기 스프링부를 보호하도록 스프링부 외부에 형성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15. 전류의 출입구로 기능하는 제1전류단자 및 제2전류단자가 형성된 제1커넥터; 및
    상기 제1전류단자 및 상기 제2전류단자와 접속되는 제1전류연결바 및 제2전류연결바가 형성되고 상기 제1커넥터와 탈거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1커넥터를 향해 돌출된 누름부가 형성된 제2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커넥터는,
    상기 제1전류단자 및 상기 제2전류단자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누름부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제1전류단자와 상기 제2전류단자의 전압 전달을 개폐하는 인터락스위치부가 형성된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KR1020150120035A 2015-08-26 2015-08-26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KR101734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0035A KR101734670B1 (ko) 2015-08-26 2015-08-26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US14/936,749 US9634441B2 (en) 2015-08-26 2015-11-10 High voltage connector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0035A KR101734670B1 (ko) 2015-08-26 2015-08-26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4704A true KR20170024704A (ko) 2017-03-08
KR101734670B1 KR101734670B1 (ko) 2017-05-11

Family

ID=58096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0035A KR101734670B1 (ko) 2015-08-26 2015-08-26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634441B2 (ko)
KR (1) KR10173467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36624B2 (en) 2015-12-11 2019-03-19 Hyundai Motor Company High voltage connector for vehicle
KR20190056511A (ko) * 2017-11-17 2019-05-2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고전압 커넥터 어셈블리
KR20200050493A (ko) * 2018-11-01 2020-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의 고전압 배터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005510A1 (de) * 2016-05-04 2017-11-09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HVIL-System
HUE059976T2 (hu) * 2017-01-23 2023-01-28 Samsung Sdi Co Ltd Manuális karbantartási leválasztókapcsoló akkumulátorrendszer számára
CN111016656B (zh) * 2018-10-09 2023-01-24 上海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高压互锁检测回路以及检测方法
KR102100367B1 (ko) * 2019-03-18 2020-04-14 재단법인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장 부착능이 우수하고, 항노화 활성 및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srcm103306 균주 및 이의 용도
CN114498193A (zh) * 2022-02-24 2022-05-13 长春捷翼汽车零部件有限公司 微动控制高压互锁的高压连接器
CN116191130B (zh) * 2023-04-03 2023-10-31 苏州正北连接技术有限公司 一种具有控制开关功能的高压互锁模块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0810A (ko) 2011-04-25 2012-11-0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인터락 커넥터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42468B (sv) * 1983-04-14 1985-12-23 Stratos Ab Kopplingsanordning
JP2929900B2 (ja) * 1993-06-22 1999-08-03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の接続端子
DE10230379A1 (de) * 2002-07-05 2004-01-15 Era-Contact Gmbh Elektrokontaktkupplung
JP2004082830A (ja) * 2002-08-26 2004-03-18 Tokai Rika Co Ltd ドア用ジャンクションスイッチ装置
US6981887B1 (en) * 2004-08-26 2006-01-03 Lenovo (Singapore) Pte. Ltd. Universal fit USB connector
GB2421525B (en) * 2004-12-23 2007-07-11 Remote Marine Systems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ub-sea control and monitoring
KR100790339B1 (ko) 2006-06-22 2008-01-0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에 사용되는 암형 커넥터 및 그 암형 커넥터에접속되는 수형 커넥터
KR20110037217A (ko) 2009-10-06 2011-04-13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고전압용 멀티 커넥터
US7789690B1 (en) 2009-10-08 2010-09-0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y having multi-stage latching sequence
US8911260B2 (en) * 2010-06-21 2014-12-16 Apple Inc. External contact plug connector
US8597043B2 (en) 2011-03-15 2013-12-03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High voltage connector assembly
KR101839619B1 (ko) 2011-09-26 2018-04-27 엘에스이브이코리아 주식회사 커넥터 조립체
KR101491270B1 (ko) 2013-07-05 2015-0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고전압 커넥터
KR101446531B1 (ko) * 2013-07-11 2014-11-04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커넥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0810A (ko) 2011-04-25 2012-11-0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인터락 커넥터조립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36624B2 (en) 2015-12-11 2019-03-19 Hyundai Motor Company High voltage connector for vehicle
KR20190056511A (ko) * 2017-11-17 2019-05-2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고전압 커넥터 어셈블리
KR20200050493A (ko) * 2018-11-01 2020-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의 고전압 배터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4670B1 (ko) 2017-05-11
US20170062996A1 (en) 2017-03-02
US9634441B2 (en) 2017-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4670B1 (ko)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CN102460851B (zh) 用于安全约束系统的连接器
US6982393B2 (en) Lever fitting-type power supply circuit breaker
JP4191725B2 (ja) コネクタ装置
US9190782B2 (en) Power connection system
US7789690B1 (en) Connector assembly having multi-stage latching sequence
US7750789B2 (en) High-power breaker switch for a vehicle
US6746258B2 (en) Arc-resistant structure of connector
CN105633716A (zh) 高压连接器
JPH07335330A (ja) スイッチ付き電気コネクタ
US7749005B2 (en) High-power breaker switch with a wheel gear and a wheel rack
JP2009231171A (ja) 充電コネクタ及び電源システム
KR102463690B1 (ko) 커넥터의 인터락 구조
CN106450953B (zh) 一种防水插排
KR20130142516A (ko) 고전압 커넥터 조립체
KR101745130B1 (ko) 인터락 커넥터가 제거된 친환경 자동차용 고전압 커넥터
US7811103B2 (en) Interrupter for an electrical wire
CN107634379B (zh) 连接器
CN206148704U (zh) 一种直流充电接头
JP2017098103A (ja) シールド接続構造
JP2014051239A (ja) 回路導通遮断装置
JP3587182B2 (ja) ポジティブロック付電気コネクタ装置
CN208157704U (zh) 滑动开关和连接器模组
CN111668062A (zh) 配电箱
KR20240000694A (ko) 전기차용 전원공급소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