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9600A - 반연속 결정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반연속 결정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9600A
KR20180019600A KR1020177036877A KR20177036877A KR20180019600A KR 20180019600 A KR20180019600 A KR 20180019600A KR 1020177036877 A KR1020177036877 A KR 1020177036877A KR 20177036877 A KR20177036877 A KR 20177036877A KR 20180019600 A KR20180019600 A KR 201800196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ystallization
liquid
feed mixture
purified
liquid f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6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6871B1 (ko
Inventor
마티아스 페일
맨프레드 스테판스키
Original Assignee
술저 켐테크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술저 켐테크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술저 켐테크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80019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96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6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68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9/00Crystallisation
    • B01D9/0004Crystallisation cooling by heat exchange
    • B01D9/0013Crystallisation cooling by heat exchange by indirect heat exchan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9/00Crystallisation
    • B01D9/004Fractional crystallisation; Fractionating or rectifying colum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BGENERAL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APPARATUS THEREFOR
    • C07B63/00Purification; Separ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15/00Cycl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six-membered aromatic rings as cyclic parts
    • C07C15/02Monocyclic 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15/00Cycl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six-membered aromatic rings as cyclic parts
    • C07C15/02Monocyclic hydrocarbons
    • C07C15/067C8H10 hydrocarbons
    • C07C15/08Xyl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1/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s or their salts, halides or anhydrides
    • C07C51/42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 C07C51/43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by change of the physical state, e.g. crystall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9/00Compounds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and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OH, O—metal, —CHO, keto, ether, groups, groups, or groups
    • C07C59/01Saturated compounds having only one carboxyl group and containing hydroxy or O-metal groups
    • C07C59/08Lactic aci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7/00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 C07C7/14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by crystallisation; Purification or separation of the cryst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9/00Crystallisation
    • B01D2009/0086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50 중량% 미만의 농도로 분리 및 정제될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 공급 혼합물로부터 물질을 분리하고, 분별층 결정화에 의해 상기 물질을 정제하기 위한 공정으로서, 다음의 주어진 순서에 따라
(a) 하나 이상의 표면을 구비한 결정화 구역 내로 상기 표면 중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액체 공급 혼합물과 접촉하도록 상기 액체 공급 혼합물을 공급하는 단계,
(b) 상기 분리 및 정제될 물질로 부화된 결정층이 하나 이상의 냉각면 상에 침착되고, 이에 따라 상기 액체 공급 혼합물보다 낮은 농도의 상기 분리 및 정제될 물질을 가진 모액(mother liquid)이 상기 액체 공급 혼합물로부터 형성되도록, 상기 결정화 구역의 하나 이상의 표면을 상기 액체 공급 혼합물의 평형 응고 온도 미만의 온도까지 냉각시키는 단계,
(c) 상기 결정화 구역으로부터 상기 모액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
(d) 상기 결정화 구역 내에 추가의 액체 공급 혼합물을 첨가하는 단계,
(e) 상기 하나 이상의 냉각면 상에 상기 분리 및 정제될 물질로 부화된 결정층이 추가로 침착되도록 허용하는 단계,
(f) 선택적으로 스웨팅(sweating) 단계를 실행하고, 스웨팅 잔류물을 제거하는 단계, 및
(g) 상기 분리 및 정제될 물질을 얻기 위해 상기 결정층을 용융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반연속 결정화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액체 공급 혼합물로부터 물질을 분리하고, 결정화에 의해, 특히 분별층 결정화(fractional layer crystallization)에 의해 물질을 정제하기 위한 공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액체 공급 혼합물은 50 중량% 미만의 농도로 분리 및 정제될 물질을 포함한다.
결정화는 증류 및 추출 이외에 혼합물로부터 물질을 분리 및 정제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산업 공정 중 하나이고, 여기서 정제될 물질은 고농도, 중농도, 또는 심지어 저농도로 함유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 분리 및 정제될 물질이 순수한 형태에서 이 물질과 용액 또는 융액 내에 각각 포함된 기타 물질의 혼합물보다 더 높은 응고 온도를 갖는 경우, 분리 및 정제될 물질로 부화된 고체 결정은 결정화 중에 용액 또는 융액으로부터 석출된다. 결정화는 특히 증류에 비해 상당한 저온에서 감열성 물질의 분리 및 정제를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상당한 비용 효율적인 설비만을 필요로 하고, 상당한 에너지 효율적이라는 이점을 갖기 때문에 결정화 공정은 산업에서 점점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통상적으로, 결정화 공정은 층 결정화 및 현탁 결정화로 세분된다.
현탁 결정화 시에는 2 개 이상의 상이한 화합물을 포함하는 융체가 용기 내에서 냉각되어, 정제될 물질로 부화된, 그리고 정제될 물질이 고갈된 융체 내에 분산된 결정질 입자의 현탁물을 형성하는 결정을 형성한다. 냉각의 대안으로서, 혼합물의 화합물 중 하나를 증발시킴으로써 용질 농도를 용해도 한계치를 초과하여 증가시킴으로써 결정의 석출이 실행될 수 있다. 결정화가 완료된 후, 결정은 현탁물로부터 분리되고, 필요하면, 예를 들면, 제 2 결정화 단계에서 또는 다른 정제 방법에 의해 추가로 정제된다.
이와 대조적으로, 분별층 결정화 시에는 결정이 냉각된 벽면 상에서 성장하고, 여기서 발생된 결정화 열은 결정층을 통해 운반된다. 이로 인해, 분별층 결정화 방법에서는 결정이 융체보다 저온이고, 반면에 현탁 결정화 방법에서는 결정이 융체와 적어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온도를 갖는다. 이러한 이유로, 분별층 결정화 방법 중에 결정층과 융체 사이에 온도 기울기가 발생되고, 여기서 이 온도 기울기는 결정화를 위한 구동력이다. 분별층 결정화 공정은 특히 산업적으로 중요하다.
현재, 2 가지 일반적인 종류의 분별층 결정화, 즉 정적 결정화 및 폴링 필름(falling film) 결정화가 공지되어 있고, 전형적으로 두 가지 모두 배치 공정으로서 수행된다.
예를 들면, 폴링 필름 결정화 공정은 전형적으로 결정화 용기 내에서 수행되며, 이것은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치되는, 그리고 결정화 용기의 상부 부분으로부터 결정화 용기의 저면 영역까지 연장되는 튜브를 포함한다. 특정 농도로 분리 및 정제될 물질과 하나 이상의 기타 (원하지 않는)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 공급 혼합물은 결정화 공정이 시작되기 전에 결정화 용기의 저면 영역 내에 충전된다. 결정화 공정 시, 액체 공급 혼합물의 일부는 하나 이상의 펌프에 의해 결정화 용기의 저면 영역으로부터 결정화 용기의 상부 부분까지 연속적으로 펌핑되고, 튜브의 상단부에 도입되고, 폴링 필름이 결정화 용기의 저면 영역으로 역행함에 따라 튜브를 따라 하강하도록 허용된다. 동시에, 튜브의 외벽은 폴링 필름이 튜브의 외면을 따라 하강함에 따라 냉각 열전달 매질이 유동하도록 허용함으로써 액체 공급 혼합물의 평형 응고 온도 미만의 온도까지 냉각되어, 분리 및 정제될 물질로 부화된 결정층이 튜브의 냉각된 내벽면 상에 침착된다. 액체 혼합물 내의 이러한 물질의 고갈을 초래하는 튜브의 냉각된 내벽면 상에 분리 및 정제될 물질의 결정이 침착된 결과, 액체 공급 혼합물로부터 모액(mother liquid)이 형성되며, 이것은 액체 공급 혼합물보다 낮은 농도의 분리 및 정제된 물질을 갖는다. 모액의 순환은 모액으로부터 원하는 양의 분리 및 정제된 물질을 분리하여 이것을 튜브의 내벽면 상에 결정으로서 침착시키는데 필요한 만큼 수행된다. 결정화가 완료된 후, 모액은 결정화 용기로부터 완전히 제거되고, 튜브의 내벽면 상에 침착된 결정화 층은 분리 및 정제된 물질을 획득하기 위해 용융된 후에 결정화 용기로부터 제거된다. 선택적으로, 목표 생성물의 순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결정화 층은 결정을 용융시키기 전에 부분적으로 용융시키도록 정제된 물질의 용융 온도에 근접한 온도까지 완만하게 가열함으로써 스웨팅(sweating)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얻어진 물질은 다른 결정화 공정 또는 증류와 같은 상이한 공정에 의해 더욱 정제될 수 있다. 액체상이 튜브를 통해, 따라서 결정층 주위로 연속적으로 및 강제적으로 이동되므로 폴링 필름 결정화는 동적 결정화 공정으로 간주된다.
폴링 필름 결정화와 대조적으로, 정적 결정화 시에 액체상은 이동되지 않으며, 따라서 결정은 정적 액체상으로 형성 및 성장된다. 더 구체적으로, 전형적인 정적 결정화장치(static crystallizer)는 플레이트와 같은 복수의 벽을 포함하며, 플레이트는 이 플레이트의 내부를 통해 열전달 매질을 순환시킴으로써 냉각 및 가열될 수 있다. 최초에, 정적 결정화장치는 특정 농도로 분리 및 정제된 물질 및 하나 이상의 기타 (원하지 않는)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 공급 혼합물로 충전되어 플레이트는 액체 공급 혼합물과 접촉한다. 다음에, 정적 결정화 용기의 플레이트는 액체 공급 혼합물의 평형 응고 온도 미만의 온도까지 냉각되어 분리 및 정제될 물질로 부화된 결정이 플레이트의 냉각된 외면 상에 형성 및 침착된다. 마찬가지로, 플레이트의 냉각된 외면 상에 분리 및 정제될 물질이 침착된 결과, 액체 공급 혼합물로부터 이 액체 공급 혼합물보다 낮은 농도의 분리 및 정제될 물질을 갖는 모액이 형성된다. 결정화는 모액으로부터 원하는 양의 분리 및 정제될 물질을 분리하는데 필요한 만큼 수행된다. 결정화가 완료된 후, 모액은 결정화 용기로부터 완전히 제거되고, 플레이트의 냉각이 종료되고, 선택적으로 플레이트는 플레이트의 외면 상에 형성된 결정층이 용융되도록 가열되고, 그 후에 분리 및 정제된 물질을 얻기 위해 융체가 결정화 용기로부터 제거된다. 이 경우에도, 목표 생성물의 순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결정층은 결정층을 용융시키기 전에 부분적으로 용융시키도록 정제된 물질의 용융 온도에 근접한 온도까지 완만하게 가열함으로써 스웨팅될 수 있다. 더욱이, 필요한 경우, 얻어진 물질은 다른 결정화 공정 또는 증류와 같은 상이한 공정에 의해 더욱 정제될 수 있다.
그러나, 공지된 결정화 공정은 상당한 저농도로 분리 및 정제될 물질 또는 목표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 공급 혼합물로부터 물질을 분리 및 정제하는 경우에 특히 여전히 불만족스럽다. 이것의 일례는 무엇보다도 파라-크실렌, 메타-크실렌, 오르토-크실렌, 에틸벤젠 등을 포함하는, 그리고 약 20 중량% 이하의 파라-크실렌의 함량을 갖는 방향족 C8-혼합물의 정제용 원료와 같은 미가공 탄화수소 혼합물로부터 파라크실렌을 분리 및 정제하는 것이다. 파라-크실렌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의 주요 성분인 테레프탈산의 제조를 위한 출발 물질로서 사용되므로 산업적으로 상당히 중요하다. 그러나, 공지된 결정화 공정은 특히 70 중량% 미만, 최대 50 중량% 또는 심지어 최대 20 중량%의 상당히 적은 양으로 분리 및 정제될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 공급 혼합물로부터 물질을 분리 및 정제하는 경우에 불만족스러운 저조한 결정화 효율을 갖는다. 더 구체적으로, 기존의 방법은 비용이 많이 들고, 대형 플랜트를 필요로 하고, 소량의 분리 및 정제될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 공급 혼합물으로부터 물질의 분리 및 정제에 사용되는 경우에 에너지 요구량이 크다.
이를 고려하여 본 발명의 기본적인 목적은 50 중량% 미만의 농도로 분리 및 정제될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 공급 혼합물로부터 물질을 분리하고, 분별층 결정화에 의해 물질을 정제하기 위한 공정을 제공하는 것이며, 이 공정은 결정화 효율이 개선되고, 따라서 고수율로 목표 물질을 생산하고, 비용 효율적이고, 상당히 작은 플랜트를 필요로 하고, 에너지 효율이 우수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목적은 50 중량% 미만의 농도로 분리 및 정제될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 공급 혼합물로부터 물질을 분리하고, 분별층 결정화에 의해 상기 물질을 정제하기 위한 공정에 의해 충족되며, 이 공정은
(a) 하나 이상의 표면을 구비한 결정화 구역 내로 상기 표면 중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액체 공급 혼합물과 접촉하도록 상기 액체 공급 혼합물을 공급하는 단계,
(b) 상기 분리 및 정제될 물질로 부화된 결정층이 하나 이상의 냉각면 상에 침착되고, 이에 따라 상기 액체 공급 혼합물보다 낮은 농도의 상기 분리 및 정제될 물질을 가진 모액이 상기 액체 공급 혼합물로부터 형성되도록, 상기 결정화 구역의 하나 이상의 표면을 상기 액체 공급 혼합물의 평형 응고 온도 미만의 온도까지 냉각시키는 단계,
(c) 상기 결정화 구역으로부터 상기 모액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
(g) 분리 및 정제된 물질을 얻기 위해 상기 결정층을 용융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단계 (c) 후 및 단계 (g) 전에
(d) 상기 결정화 구역 내로 추가의 액체 공급 혼합물을 첨가하는 단계,
(e) 상기 하나 이상의 냉각면 상에 상기 분리 및 정제될 물질로 부화된 결정층이 추가로 침착되도록 허용하는 단계, 및
(f) 선택적으로 스웨팅(sweating) 단계를 실행하고, 스웨팅 잔류물을 제거하는 단계가 실시된다.
본 발명은 결정화가 개시된 후 특정 시간 후에 결정화 구역으로부터 액체 공급 혼합물에 비해 분리 및 정제될 물질이 고갈된 모액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고, 그 후에 결정화 구역 내로 제거된 모액 부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상하는 추가의 액체 공급 혼합물을 첨가하고, 결정화 구역 내로 추가의 액체 공급 혼합물을 첨가한 후에 하나 이상의 냉각면 상에서 분리 및 정제될 물질로 부화된 결정층의 추가의 침착이 발생하도록 허용함으로써 분별층 결정화 공정의 결정화 효율이 상당히 향상된다는 놀라운 발견에 기초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결정화 공정에 의해 현저히 높은 수율의 목표 물질 및 현저히 높은 결정 밀도가 달성된다. 종래의 현탁 결정화에서 최대 35 체적%에 불과한 결정이 얻어질 수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결정화 공정은 최대 80 체적%의 결정의 결정 밀도를 달성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결정화 공정은, 공지된 결정화 공정과 비교하면, 소량의 목표 물질을 함유하는 혼합물로부터 물질을 분리하는데 사용되는 경우, 비용 효율이 높고, 에너지 효율이 높고, 더 작은 플랜트를 요구한다. 전술한 효과 및 이점은 단계 (a)에서 첨가되는 100 중량%의 초기 액체 공급 혼합물에 기초하여 70 중량% 미만의 상당히 적은 양의 분리 및 정제될 물질을 함유하는 액체 공급 혼합물이 가해지는 경우에 특히 달성된다. 분리 및 정제될 물질의 초기 농도가 최대 50 중량%, 또는 심지어 최대 20 중량%인 액체 공급 혼합물의 경우에 특히 우수한 결과가 얻어진다. 종래의 분별층 결정화 방법은 그 한계로 인해 이러한 소량의 목표 물질을 함유하는 액체 혼합물을 정제하는데 성공적으로 사용되지 못하였다. 어떤 이론이나 메커니즘에도 구속되기를 바라지 않으면서, 전술한 이점 및 효과는 다음의 이유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첫째,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배치 결정화 방법에서 모액은 분리 및 정제될 물질이 연속적으로 고갈된다. 이러한 이유로, 특히 종래의 결정화 방법의 실행의 말기에는 모액 내에 소량의 목표 물질만이 포함되므로 모액에서 매우 제한된 양의 목표 물질만을 결정화를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더욱이, 모액 내의 목표 물질의 연속적인 고갈은 분리 및 정제될 물질로 부화된 결정이 이미 침착되어 있는 결정화 표면과 모액 사이에 농도 기울기의 감소를 초래하고, 이것은 결정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종래의 결정화 방법의 결정화 효율의 감소에 더욱 기여한다. 이와 대조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공정에서는 결정화 중에 형성된 모액보다 고농도의 목표 물질을 갖는 액체 공급 혼합물이 결정화 중에 바람직하게 반복적으로 도입되므로 모액 내의 목표 물질의 고갈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완전히 보상되고, 따라서 모액 내의 목표 물질의 농도는 결정화 시간에 걸쳐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로 인해, 결정화 시간에 걸쳐 더 많은 목표 물질이 모액 내에 존재하고, 목표 물질로 부화된 결정이 이미 침착되어 있는 결정화장치의 결정화 표면과 모액 사이의 농도 기울기가 가능한 최소화된다. 이로 인해 물질 이동이 개선되고, 따라서 특히 액체 공급 혼합물 내에 함유된 목표 물질의 소량에 불과한 경우에도 결정화 효율이 향상된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공정의 단계 (c)에서 결정화 구역으로부터 모액의 부분적 제거 및 단계 (d)에서 결정화 구역 내로 액체 공급 혼합물의 첨가에 의한 제거된 액체의 보상은, 확산을 통해서만 물질 이동이 발생되는 종래 기술에 공지된 정적 결정화 방법과 달리, 모액의 강제 이동 및 유동 속도를 발생시키는 모액의 대류(convection) 및 이에 따른 모액의 균질화를 유발한다. 이로 인해 정적 결정화장치 내에서 물질 이동이 개선되고, 따라서 특히 액체 공급 혼합물 내에 함유된 목표 물질의 소량에 불과한 경우에도 결정화 효율이 향상된다.
단계 (c)에서 결정화 구역으로부터 모액의 일부를 제거하고, 이어서 단계 (d)에서 결정화 구역 내에 액체 공급 혼합물의 일부를 추가하는 것으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종래에는 배치 공정으로서 수행되던 분별층 결정화 방법을 반연속적인 방식 또는 심지어 연속적인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액 내의 분리 및 정제될 물질의 농도는 분광법 또는 크로마토크래피 방법, 바람직하게는 가스 크로마토크래피-질량 분석법과 같은 종래의 방법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더욱이, 물질의 응고 온도는 시차 주사 열량측접법(DSC)과 같은 종래의 방법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단계 (c)에서 모액 중 일부만이 결정화 구역으로부터 제거된다. 이는 단계 (d)에서 결정화 구역에 첨가된 액체 공급 혼합물의 일부가 결정화 구역에 유지되어 있는 모액의 나머지와 혼합되어 단계 (d)에서 첨가된 액체 공급 혼합물이 나머지 모액에 의해 희석되는 이점을 갖는다. 따라서, 모액의 평형 응고 온도는 단계 (d)에서 액체 공급 혼합물의 첨가에 의해 약간만 변화된다. 이와 대조적으로, 결정화 구역 내에 존재하는 모액의 전부가 단계 (c)에서 제거된다면, 단계 (d)에서 액체 공급 혼합물을 첨가하면 이 액체 공급 혼합물이 목표 물질이 고갈된 제거된 모액보다 고농도의 목표 물질을 가지므로 결정화 구역에서 혼합물의 평형 응고 온도의 상당히 급격한 변화가 초래될 것이다. 단계 (c)에 따라 일부의 모액의 완전한 제거 또는 실질적으로 완전한 제거가 결정화 중에 비교적 나중에 수행되는 경우, 결정화 구역에서 혼합물의 평형 응고 온도의 변화는 특히 급격해진다. 결정화 구역에서 혼합물의 평형 응고 온도의 이러한 급격한 변화는, 혼합물이 적절히 예비냉각되지 않은 경우, 냉각면 상에 이미 침착되어 있는 결정이 용융되어 목표 물질, 즉 액체 공급 혼합물로부터 분리되어 정제될 물질이 결정 필름으로부터 모액으로 되돌아갈 위험성과 관련된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 단계 (c)에서, 1 내지 20 체적%,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5 체적%, 예를 들면, 약10 체적%의 모액이 결정화 구역으로부터 제거되는 경우에 양호한 결과가 얻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특히 정적 분별층 결정화 방법에서 본 발명의 유리한 효과 중 하나는 단계 (c)에서 결정화 구역으로부터 모액의 일부를 제거하고, 이어서 단계 (d)에서 결정화 구역 내로 액체 공급 혼합물의 일부를 첨가하면 결정화 구역 내에서 액체의 강제 이동이 유발되고, 따라서 물질 이동이 개선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만일 지나치게 많은 모액이 단계 (c)에서 결정화 구역으로부터 제거되고, 이어서 단계 (d)에서 다량의 액체 공급 혼합물의 첨가에 의해 보상된다면, 결정화 구역에서 혼합물의 평형 응고 온도가 지나치게 많이 변화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냉각면 상에 이미 침착되어 있는 결정이 용융되어 목표 물질이 모액으로 되돌아갈 수 있다. 이는 모액의 다른 성분보다 높은 응고 온도를 가진 목표 물질의 감소로 인해 결정화 시간에 걸쳐 모액의 응고 온도가 연속적으로 감소된다는 사실에 기인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의 추가의 개발에서 단계 (c)에서 제거된 모액의 일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99 체적%, 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 체적%, 가장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 체적%를 결정화 구역으로 재순환시키는 것이 제안되며, 바람직하게는, 단계 (d)에서, 단계 (c)에서 제거된 결정화 구역으로 재순환되지 않는 모액의 체적에 대응하는 액체 공급 혼합물의 체적이 결정화 구역 내로 첨가된다. 따라서, 재순환된 모액과 단계 (d)에서 추가된 액체 공급물의 합이 결정화 구역에 포함된 혼합물 내의 강제 이동의 정도를 결정하며, 여기서 단계 (d)에서 추가된 액체 공급물의 양만이 결정화 구역에서 혼합물의 평형 응고 온도의 변화에 기여한다. 따라서, 단계 (d)에서 액체 공급물의 첨가와 단계 (c)에서 제거된 모액의 재순환 부분을 합한 것은 단지 단계 (d)에서 액체 공급 혼합물의 첨가한 것보다 더 큰 정도의 강제 이동을 결정화 구역 내에 포함된 혼합물에서 가능하게 한다. 이 실시형태에서,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체적%, 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 체적%의 모액이 단계 (c)에서 결정화 구역으로부터 제거되고, 제거된 모액의 50 내지 80 % 및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70 %는 결정화 구역으로 재순환된다. 제거된 모액의 나머지 부분은 폐기되거나, 다른 또는 추가의 분리 공정에 의해 정제되거나, 또는 생산 공정으로 복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단계 (d)에서 액체 공급 혼합물의 첨가로 인한 모액의 농도 변화가 가능한 모든 모액 부분에서 최소화되도록, 단계 (d)에서 첨가된 액체 공급 혼합물 및 선택적으로 단계 (c)에서 제거된 모액의 재순환된 부분으로부터의 액체 공급 혼합물을 결정화 구역의 수평 단면 상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분배하는 것이 제안된다. 이로 인해 모액의 응고 온도의 변화가 가능한 최소화되도록 보장된다. 이와 대조적으로, 단계 (d)에서 첨가된 액체 공급 혼합물의 부분이 결정화 구역에만 존재하는 모액의 특정 지점에 도입되는 경우, 이 위치에서 목표 물질에 관한 모액의 농도 변화가 급격하므로 결정화 구역의 이 지점에서의 혼합물의 응고점이 급격하게 변화되고, 따라서 이 위치에 근접한 냉각면 상에 이미 침착된 결정은 용융된다.
결정화 구역의 냉각면 상에 침착된 결정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전술한 실시형태에서 결정화 구역 내에 수용된 액체에서 층류만이 발생되도록, 즉 결정화 구역에서 액체의 난류가 방지되도록 모액과 액체 공급물을 분배하는 것이 더 제안된다. 이것은 결정화가 정적 결정화장치에서 실시되는 경우에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층류는 결정이 결정층을 파괴하지 않는 액체 흐름을 의미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단계 (c)에서 모액의 일부를 제거한 후에, 단계 (d)에서 추가의 액체 공급 혼합물이 결정화 구역에 첨가됨으로써 결정화 구역에 존재하는 혼합물 내의 목표 물질의 농도를 증가시키고, 결정화 구역에 존재하는 혼합물의 강제 이동을 유발하여 공정의 결정화 효율을 증가시킨다. 바람직하게는, 단계 (c)에서의 모액의 제거에 기인된 체적 손실은 단계 (d)에서 (신선한) 액체 공급 혼합물의 첨가에 의해 보상되며, 즉 단계 (d)에서 다량의 액체 공급 혼합물이 결정화 구역에 첨가되므로 결정화 구역의 액체 수준은 단계 (c)에서 모액의 제거 전과 동일하다. 따라서, 만일 단계 (c)에서 모액의 일부가 제거되어 완전히 폐시되는 경우, 단계 (d)에서 첨가되는 액체 공급 혼합물의 체적은 단계 (c)에서 제거된 모액의 체적과 동일하거나 적어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단계 (c)에서 제거된 모액의 일부가 결정화 구역으로 재순환되는 경우, 단계 (d)에서 첨가되는 액체 공급 혼합물의 체적은 단계 (c)에서 제거된 모액의 체적과 결정화 구역 내로 재순환된 제거된 모액 사이의 차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재순환에 관하여, 단계 (d)에서 액체 공급 혼합물의 일부는, 결정화 구역의 냉각면 상에 침착된 결정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결정화 구역 내에 수용된 혼합물에서 층류만이 발생되도록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결정화가 정적 결정화장치에서 실시되는 경우에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단계 (d)에서 결정화 구역 내로 첨가되는 액체 공급 혼합물의 부분은 단계 (d)에서 첨가되는 액체 공급물의 첨가 전에 결정화 구역에 존재하는 액체와 동일한 온도 또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온도를 갖는다.
단계 (e)에 따라 하나 이상의 냉각면 상에서 발생되는 분리 및 정제될 물질로 부화된 결정층의 추가의 침착을 허용하는 것은 소정 시간 동안 결정화 구역에 모액을 유지함으로써 수행되고, 결정 성장이 일어나는 조건 하에서 수행된다. 따라서, 결정 성장이 손상되지 않도록, 그리고 냉각면 상에 이미 침착된 결정이, 예를 들면, 난류에 의해 냉각면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모액 내에서 대류를 유지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물론, 단계 (e)는 단계 (d) 후에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정의 효율을 더 증가시키기 위해, 본 발명의 사상의 추가의 개발에서, 단계 (c) 내지 단계 (e)를 1 회 이상 반복하는 것이 제안된다. 단계 (c), 단계 (d) 및 단계 (e)가 더 많이 반복될 수록, 그리고 이 반복되는 단계들 사이의 기간이 더 짧을 수록, 본 발명에 따른 공정이 더 연속적이 된다. 그러나, 단계 (c)에 따른 모액의 임의의 제거 및 단계 (d)에 따른 액체 공급 혼합물의 임의의 추가는 에너지 집약적이고, 고비용의 출발 물질을 소모하므로, 최소 작동 시간에 단계 (c) 및 단계 (d)의 최소 반복 횟수로 원하는 높은 결정화 효율이 얻어지도록 단계 (c) 및 단계 (d)의 반복 횟수를 선택하고, 단계 (e)의 시간 간격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결정화 단계가 완료되었을 때, 70% 초과, 바람직하게는 80% 초과, 가장 바람직하게는 90% 초과의 이용가능한 결정 체적이 사용되거나 점유되는 경우에 양호한 결과가 얻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공정은 이론적으로 연속적으로 또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연속적으로 수행될지라도 실제로 반연속 분별층 결정화 공정이다.
바람직하게는, 단계 (c) 내지 단계 (e)는 최종 단계 (e) 후의 결정 밀도가 20 체적%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35 체적% 이상,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60 체적%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75 체적% 이상이도록 수행된다. 결정 밀도는 본 발명에서 단계 (a)에서 최초에 첨가된 액체 공급 혼합물의 체적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체적으로서 정의된다. 예를 들면, 결정 밀도는 혼탁도 측정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목표 생성물의 순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하나 이상의 스웨팅 단계 (f)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웨팅은 냉각면(들) 상에 침착된 결정층(들)이 정제된 물질의 용융 온도에 근접한 온도까지 완만하게 가열되어 결정을 부분적으로 용융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불순물을 함유한 포획된 점착성 융체는 결정의 부분적 용융 중에 배출되고, 다음에 결정화 구역으로부터 제거된다. 이러한 스웨팅을 수행하기 위해, 결정이 침착된 표면은 원하는 온도까지 열전달 매질로 가열된다. 그러므로, 단계 (f)를 개시하기 전에 모액을 완전히 제거하거나 또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모액의 전부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단계 (e)의 최종 수행 후에 선택적인 단계 (f)가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결정화는 폴링 필름 결정화장치에서 실시된다. 이러한 동적 결정화 공정은 유리하게 신속하고, 높은 작업능력을 갖는다. 또한, 폴링 필름 결정화는 결정 슬러리 취급 및 여과가 존재하지 않는 용이한 작업, 높은 신뢰성 및 낮은 작업 비용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결정화는 정적 결정화장치에서 실시된다. 본 특허 출원의 이 실시형태는 정적 결정화장치에서 실시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정이, 확산을 통해서만 물질 이동이 발생되는 종래 기술에 공지된 정적 결정화 공정에 비해, 단계 (c)에서 결정화 구역으로부터 모액의 부분적 제거와 단계 (d)에서 결정화 구역 내로 액체 공급 혼합물의 첨가에 의해 제거된 액체의 보상이 모액의 대류를 유발하므로 모액으로부터 냉각면(들)로의 물질 이동의 정도를 상당히 증가시키므로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대류로 인해 모액의 강제 이동 및 이에 따른 모액의 균질화가 발생되므로 물질 이동이 개선되고, 따라서 특히 목표 물질이 액체 공급 혼합물 내에 소량만 함유되어 있는 경우에 결정화 효율이 개선된다. 따라서, 정적인 정적 결정화장치에서 수행되는 종래의 결정화 공정에 대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결정화 공정은 정적 결정화장치 내에서 수행되는 경우에 반정적(semistatic)이다. 더욱이, 배치 공정인 공지된 정적 결정화 공정에 대비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공정은 반연속적 또는 심지어 연속적 또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연속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의 이 실시형태는 공지된 정적 결정화 공정의 이점을 추가로 달성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종래의 정적 결정화 공정과 같이 본 발명의 이 실시형태에 따른 공정은 고점성 액체를 결정화하는데 적합하다. 더욱이, 본 공정은 융통성이 크고, 작동 범위가 넓고, 결정 슬러리의 취급 및 여과가 없으므로 작업이 용이하고, 신뢰성이 높고, 이동 부품이 없으므로 작업 비용이 낮다는 이점을 갖는다.
하나 이상의 냉각면기 본 발명에 따른 공정을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결정화장치의 결정화 구역에서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치되는 경우에 추가의 이점을 갖는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 실시형태는 본 공정이 정적 결정화장치에서 수행되는 경우에 특히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직" 또는 "수평"과 관련되는 용어 "실질적으로"는 각각 중심선이 수직축선 또는 수평축선의 5 도 내에 있음을 의미한다.
단계 (e)의 최종 수행 후에 모액은 결정화 구역으로부터 완전히 제거되고, 다음에 결정질 층이 단계 (g)에서 용융되고, 마지막으로 용융된 생성물은 분리 및 정제된 물질을 얻기 위해 결정화 구역으로부터 제거된다. 단계 (f)에 따른 선택적인 스웨팅 단계가 수행되는 경우, 단계 (g)는 단계 (f) 후에 수행된다.
선택적으로, 단계 (g)에서 얻어진 리 및 정제된 물질은 후속 분리 공정에서 더욱 정제될 수 있다. 후속 분리 공정은 융체 결정화 공정과 같은 결정화 공정 및 특히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공정의 반복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언급된 사례에서, 얻어진 생성물은 단계 (a)에서 액체 공급 혼합물로 사용되고, 단계 (b) 내지 단계 (f)가 반복된다.
대안적으로, 후속 분리 공정은 기계적 분리 공정이거나, 또는 증류 공정과 같은 상이한 열적 분리 공정일 수 있다. 그러나, 열민감성 물질의 경우 선택적인 후속 분리 공정은 결정화 공정, 더 바람직하게는 융체 결정화 공정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것은 증류와 같은 다른 열적 분리 공정에 비해 강하지 않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먼저 단계 (e)에서 얻어진 생성물을 추가로 정제하고, 다음에 후속 결정화를 수행하고, 다음에 후속 증류 또는 기타 열적 또는 기계적 분리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전술한 두 실시형태를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정은 특히 저농도 내지 극저농도의 목표 물질을 가진 액체 혼합물의 정제에 특히 적합하다. 따라서, 본 공정 및 특히 단계 (a) 및 단계 (b)에서 50 중량% 미만의 분리 및 정제될 물질의 초기 농도를 갖는 액체 공급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30 중량% 이하,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25 중량%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20 중량% 이하의 분리 및 정제될 물질의 초기 농도를 갖는 액체 공급 혼합물이 사용된다. 이러한 저농도의 목표 물질을 가진 액체 공급 혼합물을 이용한 종래의 분별층 결정화 공정은 비활용 냉각면적의 단점을 가지며, 이것은 에너지면에서 비효율적이다. 더욱이, 종래의 공정에서는 이러한 저농도의 액체 공급 혼합물을 정제하기 위해 더 많은 수의 결정화장치가 필요할 것이다.
원칙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액체 공급 혼합물의 조성에 대해 제한되지 않는다. 특히 우수한 결과는 바이오매스 공정으로부터, 특히 발효 단계를 포함하는 바이오매스 공정으로부터 유도된 액체 공급 혼합물을 사용하여 달성된다. 바이오매스 공정 및 발효 공정으로부터의 흐름은 물 또는 기타 용매 또는 기타 불순물의 고농도로 인해 상당히 희석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공정에서 사용하기에 상당히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매스 공정은 식물 또는 동물 소스의 물질로부터 화합물 또는 물질을 획득하기 위한 공정이다.
예를 들면, 액체 공급 혼합물로부터 분리 및 정제될 물질은 크실렌, 듀렌, 카프로락탐, 락트산, 소르비톨, 소르비탄, 이소소르비드, 피토스테롤,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파라핀, 비스페놀 및 전술한 물질들 중 2 개 이상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이들 화합물 중 많은 것은 발효 공정에 의해, 또는 이성질체화 공정 등으로부터 폐기물 흐름과 같은 비교적 저농도 또는 희석 흐름으로서 얻어지는 상업적 제조 공정에서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정은 이러한 액체 공급 혼합물으로부터 높은 수율로 목표 물질을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정은, 특히 상당히 적은 양의 파라-크실렌을 포함하는 액체 공급 혼합물로부터, 특히 파라-크실렌, 메타-크실렌, 오르토-크실렌, 에틸벤젠 등을 포함하고, 최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최대 3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최대 25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최대 20 중량%의 함량의 파라-크실렌을 갖는 방향족 C8-혼합물의 정제용 원료로부터, 또는 하나 이상의 발효 단계를 포함하고, 최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최대 25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최대 20 중량%의 함량의 파라-크실렌을 갖는 바이오매스 공정에 의해 얻어진 액체 공급 혼합물로부터 파라-크실렌을 분리 및 정제하는데 적합하다.
추가의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술한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구현되는 50 중량% 미만의 농도로 물질을 분리 및 정제하기 위한 플랜트에 관한 것이며, 이 플랜트는,
(a) 50 중량% 미만의 농도로 분리 및 정제될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 공급 혼합물의 공급원, 및
(b) 정적 결정화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정적 결정화 장치는,
(c) 용기,
(d)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치된 냉각면,
(e) 선택적으로 상기 용기 내에 결정을 보유하기 위한 결정 보유 시스템,
(f) 상기 용기의 수평 단면 상에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액체를 분산시키도록 구현된 액체 유입 분배 시스템, 및
(g) 실질적인 수직벽과 상기 용기의 저면 사이에서 연부를 따라 균일하게 액체를 수집하도록 구현된 액체 유출 수집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정적 결정화 장치는 순환 루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순환 루프는 상기 액체 유출 수집 시스템과 상기 액체 유입 분배 시스템 사이에서 적어도 부분적 재순환을 제공하도록 구현된다.
특징 (f)에 따른 액체 유입 분배 시스템의 구성으로 인해, 본 정적 결정화 장치는 전술한 결정화 공정의 단계 (d)에서 첨가된 액체 공급물 및 이에 따라 상부로부터 결정화 구역의 수평 단면에 걸쳐 단계 (c)에서 제거된 모액의 선택적으로 재순환된 부분으로부터의 액체 공급물을 적어도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분배할 수 있게 함으로써 단계 (d)에서 액체 공급 혼합물의 첨가에 기인되는 모액의 농도 변화가 모액의 전체 부분에서 가능한 최소화되도록 한다. 이는 모액의 응고 온도의 변화가 가능한 최소화되도록 보장한다. 이와 대조적으로, 단계 (d)에서 첨가된 액체 공급물의 부분이 결정화 구역에 존재하는 모액의 특정 지점에만 도입되는 경우, 이 지점에서의 모액의 농도 변화는 급격할 수 있고, 경질 구성물질의 이 지점에서의 혼합물의 응고점은 급격하게 변화되고, 따라서 이 지점에 근접한 냉각면 상에 이미 침착되어 있는 결정은 용융될 것이다. 액체 유입 분배 시스템은 결정화 구역의 수평 단면에 걸쳐 분포된 노즐, 제트 또는 채널과 같은 일련의 액체 유출부에 접속되는 파이프 또는 채널을 포함할 수 있는 액체 분배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예를 들면, Sulzer Chemtech (brochure 22.51.06.40 - V.13 - 20)로부터의 "Internals for packed columns"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증류탑에서 사용되는 각각의 액체 유입 분배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다.
순환 루프는 서로 유체 연통되는, 뿐만 아니라 액체 유입 분배 시스템(f) 및 액체 유출 수집 시스템(g)과 유체 연통되는 펌프, 파이프 또는 기타 액체 분배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결정화 방법에 대한 전술한 바와 같이, 이로 인해 단계 (d)에서 액체 공급 혼합물을 첨가한 후에 응고 온도의 불필요한 상승없이 결정화 구역에서 액체의 강제 이동이 증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물질 이동이 향상될 수 있다. 이것은 본 실시형태에서 순환 루프를 통해 재순환된 모액과 단계 (d)에서 첨가된 액체 공급 혼합물의 함이 결정화 구역에 포함된 혼합물에서의 강제 이동의 정도를 결정한다는 사실에 기인하며, 여기서 단계 (d)에서 첨가된 액체 공급 혼합물의 양만이 결정화 구역에서 혼합물의 평형 응고 온도의 변화에 기여한다.
특징 (g)에 따른 액체 유출 수집 시스템의 구성에 기인되어, 본 정적 결정화 장치는 용기의 실질적 수직벽과 저면 사이의 연부를 따라 균일하게 액체를 수집하게 한다. 수집된 액체는 전술한 결정화 공정 후에 얻어진 실질적인 무결정 액체이다. 이 결정화 공정에서 형성된 결정은 결정화 구역 내의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치된 냉각면(d) 상에 보유될 수 있고(부착된 결정), 선택적으로 임의의 분리된 결정은 결정 보유 시스템(들)에 의해 보유될 수 있으며, 이 것은 체, 스트레이너, 시프터(sifter), 콜랜더(colander) 또는 스크린일 수 있다. 일부의 실시형태에서, 액체 유출 수집 시스템(g)은 용기의 실질적인 수직벽과 저면 사이의 하나 또는 두 쌍의 두 개의 반대쪽에 배치된 연부를 따라 균일하게 액체를 수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결정화 구역 내의 액체 유동장 내에 무반응 구역이 존재하지 않도록 보장한다. 액체 유출 수집 시스템(g)은 용기의 실질적인 수직벽(들)과 저면 사이의 연부(들)를 따라 일련의 노즐, 구멍 또는 기타 개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일련의 노즐, 구멍 또는 기타 개구는 순환 루프와 유체 연통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정적 결정화장치는 용기 내에 원하는 액체 수준을 유지하기 위해 구현되는 오버플로우 방지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것이 제안된다. 예를 들면, 액체 오버플로우 방지 시스템으로서 U 자형 튜브 사이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 실시형태는 특히 정적 결정화장치가 사용되는 경우에 특히 바람직하다.
특히 폴링 필름 결정화장치가 사용되는 경우, 본 방법 중에 결정화장치로부터 인출되는 액체의 체적이 결정화장치 내에 공급되는 액체의 체적과 동일하도록 제어하기 위해, 본 결정화 장치는 액체 수준 센서를 구비하는 외부 탱크 또는 버퍼 용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발명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수직 단면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공정에 적합하도록 구현된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결정화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2는 수평 단면으로 도 1의 결정화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3은 수평 단면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공정에 적합하도록 구현된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결정화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 및 도 2는 수직 단면 및 수평 단면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결정화 장치(1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결정화 장치(10)는 결정화 장치(10)의 작동 중에 분리 및 정제될 물질이 침착되는 복수의 수직으로 배치된 냉각 플레이트(12)를 포함한다. 본 결정화 장치(10)의 상부 부분의 냉각 플레이트(12)의 상측에는 액체 유입 분배 시스템(14)이 배치되어 있고, 결정화 장치(10)의 수평 단면에 걸쳐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모액를 분배하도록 구현되어 있다. 더욱이, 본 결정화 장치(10)는 저면 부분의 양측 상에 각각 양측을 따라 균일하게 액체를 수집하도록 구현된 액체 유출 수집 시스템(16)을 포함하며, 액체는 유출 라인(18)을 통해 결정화 장치(10)로부터 회수되거나 대안적으로 펌프(24)에 의해 순환 루프(22)를 통해 재순환된다.
도 3의 결정화 장치(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지만 양측 상에 각각 4 개의 유출 라인(18, 18', 18'', 18''')을 포함하고, 이들은 하나의 중앙 유출 라인(20)으로 합류된다. 이것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결정화 장치(10)에 의해 얻어지는 것보다 훨씬 균일한 유동장을 유발한다.
10 결정화 장치
12 냉각 플레이트
14 액체 유입 분배 시스템
16 액체 유출 수집 시스템
18, 18', 18'', 18''' 유출 라인
20 중앙 유출 라인
22 순환 루프
24 펌프

Claims (14)

  1. 50 중량% 미만의 농도로 분리 및 정제될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 공급 혼합물로부터 물질을 분리하고, 분별층 결정화(fractional layer crystallization)에 의해 상기 물질을 정제하기 위한 공정으로서,
    (a) 하나 이상의 표면을 구비한 결정화 구역 내로, 상기 표면 중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액체 공급 혼합물과 접촉하도록, 상기 액체 공급 혼합물을 공급하는 단계,
    (b) 상기 분리 및 정제될 물질로 부화된 결정층이 하나 이상의 냉각면 상에 침착되고, 이에 따라 상기 액체 공급 혼합물보다 낮은 농도의 상기 분리 및 정제될 물질을 가진 모액(mother liquid)이 상기 액체 공급 혼합물로부터 형성되도록, 상기 액체 공급 혼합물의 평형 응고 온도 미만의 온도까지 상기 결정화 구역의 하나 이상의 표면을 냉각시키는 단계,
    (c) 상기 결정화 구역으로부터 상기 모액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
    (g) 분리 및 정제된 물질을 얻기 위해 상기 결정층을 용융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단계 (c) 후 및 단계 (g) 전에
    (d) 상기 결정화 구역 내로 추가의 액체 공급 혼합물을 첨가하는 단계,
    (e) 상기 하나 이상의 냉각면 상에 상기 분리 및 정제될 물질로 부화된 결정층이 추가로 침착되도록 허용하는 단계, 및
    (f) 선택적으로 스웨팅(sweating) 단계를 실행하고, 스웨팅 잔류물을 제거하는 단계가 실시되는,
    물질의 정제 공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 1 내지 20 체적%,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5 체적%, 예를 들면 약 10 체적%의 상기 모액이 상기 결정화 구역으로부터 제거되는,
    물질의 정제 공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 제거되는 상기 모액의 부분 중 1 내지 99 체적%,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 체적%, 더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 체적%는 상기 결정화 구역으로 재순환되는,
    물질의 정제 공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에서 액체 공급 부분은 상기 결정화 구역 내에 수용된 액체 내에 층류만이 발생되도록 첨가되는,
    물질의 정제 공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 내지 (e)는 1 회 이상 반복되는,
    물질의 정제 공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e) 후의 결정 밀도는 20 체적% 이상, 바람직하게는 35 체적%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60 체적%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75 체적% 이상인,
    물질의 정제 공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화는 정적 결정화장치(static crystallizer)에서 실시되는,
    물질의 정제 공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냉각면은 상기 결정화 구역에서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치되는,
    물질의 정제 공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g)의 분리 및 정제된 물질은 분리 공정에서, 바람직하게는 기계적 또는 열적 분리 공정에서, 더 바람직하게는 융체 결정화 공정에서 더 정제되는,
    물질의 정제 공정.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공급 혼합물 내의 상기 분리 및 정제될 물질의 초기 농도는 50 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30 중량%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25 중량%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20 중량% 이하인,
    물질의 정제 공정.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공급 혼합물은 바이오매스 공정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발효 단계를 포함하는 바이오매스 공정으로부터 유도되는,
    물질의 정제 공정.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공급 혼합물로부터 분리 및 정제될 물질은 크실렌, 듀렌, 카프로락탐, 락트산, 소르비톨, 소르비탄, 이소소르비드, 피토스테롤,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파라핀, 비스페놀 및 전술한 물질들 중 2 개 이상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물질의 정제 공정.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공정에 적합하도록 구현된 50 중량% 미만의 농도로 물질을 분리 및 정제하기 위한 플랜트로서,
    (a) 50 중량% 미만의 농도로 분리 및 정제될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 공급 혼합물의 공급원, 및
    (b) 정적 결정화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정적 결정화 장치는,
    (c) 용기,
    (d)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치된 냉각면,
    (e) 선택적으로 상기 용기 내에 결정을 보유하기 위한 결정 보유 시스템,
    (f) 상기 용기의 수평 단면 상에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액체를 분산시키도록 구현된 액체 유입 분배 시스템, 및
    (g) 실질적인 수직벽과 상기 용기의 저면 사이에서 연부를 따라 균일하게 액체를 수집하도록 구현된 액체 유출 수집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정적 결정화 장치는 순환 루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순환 루프는 상기 액체 유출 수집 시스템과 상기 액체 유입 분배 시스템 사이에서 적어도 부분적 재순환을 제공하도록 구현되는,
    물질을 분리 및 정제하기 위한 플랜트.
  14. 제 13 항에 따른 정적 결정화 장치로서,
    상기 정적 결정화 장치는 상기 용기 내에 원하는 액체 수준을 유지하도록 구현된 오버플로우 방지 시스템을 추가로 포함하는,
    정적 결정화 장치.
KR1020177036877A 2015-06-24 2016-06-16 반연속 결정화 방법 및 장치 KR1025568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5173637.8 2015-06-24
EP15173637.8A EP3108947A1 (en) 2015-06-24 2015-06-24 Semi-continuous crystallization method and apparatus
PCT/EP2016/063889 WO2016207056A1 (en) 2015-06-24 2016-06-16 Semi-continuous crystallization method and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9600A true KR20180019600A (ko) 2018-02-26
KR102556871B1 KR102556871B1 (ko) 2023-07-17

Family

ID=53488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6877A KR102556871B1 (ko) 2015-06-24 2016-06-16 반연속 결정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981844B2 (ko)
EP (2) EP3108947A1 (ko)
KR (1) KR102556871B1 (ko)
CN (1) CN107750181B (ko)
TW (1) TWI677372B (ko)
WO (1) WO20162070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58863A (zh) * 2018-04-24 2018-10-16 河北美邦工程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利用熔融结晶法提纯己内酰胺的方法
US11471963B2 (en) 2019-01-25 2022-10-18 Black & Decker Inc. Reciprocating saw blade
CN114507112A (zh) * 2022-02-25 2022-05-17 潍坊弘润新材料有限公司 一种高纯度均四甲苯的制备方法
CN116983707B (zh) * 2023-09-27 2023-12-15 天津乐科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固液逆流热质交换提纯塔及提纯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21572A1 (en) * 1999-09-22 2001-03-29 Cognis Corporation Purification and recovery of dicarboxylic acids using melt crystallization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19722A (en) * 1961-12-05 1965-11-23 Chevron Res Cyclic crystallization process
AT279547B (de) * 1967-04-14 1970-03-10 Buchs Metallwerk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Trennung oder Reinigung schmelzflüssiger, flüssiger oder gelöster Stoffe durch fraktioniertes Kristallisieren
CN1027963C (zh) * 1990-11-29 1995-03-22 天津大学 参数泵分步结晶法及参数泵结晶器
US7102029B2 (en) * 2000-10-02 2006-09-05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Method of crystallization
DE102008029050A1 (de) * 2008-06-18 2009-12-24 Gea Messo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kontinuierlichen Herstellung eines Kristallisats mit konstanter Korngrößenverteilung
JP2014511150A (ja) * 2011-02-18 2014-05-12 スルザー ケムテック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ポリヒドロキシカルボン酸の製造方法
CN202191722U (zh) * 2011-08-29 2012-04-18 中北大学 一种熔融结晶器
DE102012101702B4 (de) * 2012-03-01 2017-10-05 Gea Messo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robkörnigen Ammoniumsulfat-Produkts durch Kristallisation und Anlage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CN103657137B (zh) * 2013-12-20 2015-07-15 西北大学 一种蒸发结晶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21572A1 (en) * 1999-09-22 2001-03-29 Cognis Corporation Purification and recovery of dicarboxylic acids using melt crystalliz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77372B (zh) 2019-11-21
KR102556871B1 (ko) 2023-07-17
US20180179121A1 (en) 2018-06-28
EP3313545A1 (en) 2018-05-02
CN107750181A (zh) 2018-03-02
WO2016207056A1 (en) 2016-12-29
CN107750181B (zh) 2021-04-06
US10981844B2 (en) 2021-04-20
TW201722531A (zh) 2017-07-01
EP3108947A1 (en) 2016-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12412A (en) Process for producing highly pure terephthalic acid
KR102556871B1 (ko) 반연속 결정화 방법 및 장치
JP2738958B2 (ja) 芳香族化合物の精製方法
US4588414A (en) Countercurrent, cooling crystallization and purification method for multi-component molten mixture
CZ303896B6 (cs) Zpusob cistení taveniny surové kyseliny akrylové
CN106957245A (zh) 通过熔融结晶精细提纯异佛尔酮腈
JPH08176045A (ja) ビスフェノールaの精製法
US4666456A (en) Process for the continuous partial crystallization and the separation of a liquid mixture
US3375082A (en) Process for the continuous separation of crystallizable substances
US3645699A (en) Solid-liquid continuous countercurrent purifier method and apparatus
US5814231A (en) Separation of liquid eutectic mixtures by crystallization on cold surfaces and apparatus for this purpose
KR101807906B1 (ko) 슬러리로부터 고체 입자들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S63185402A (ja) 液状混合物から純粋な物質を結晶化によつて回収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3501275A (en) Apparatus for continuously separating mixtures of substances by multistage rectifying column crystallization
KR20140010024A (ko) 인산 정제 방법
US422808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ractional crystallization separation
JPH067603A (ja) 結晶化によって混合液から物質を分離する装置
KR20090042205A (ko) 분산매 치환 방법
JP2004345994A (ja) N−ビニル−2−ピロリドンの精製方法
US2750262A (en) Process for separating components of a fusible material
JPH0691103A (ja) 向流式溶融物冷却精製装置とその方法
Hao et al. Continuous melt crystallization
KR0181003B1 (ko) 톨루엔술폰아미드 이성체 및 톨루엔술포닐클로라이드 이성체의 분리 방법 및 그의 장치
SU618120A1 (ru) Способ очистки ароматических нитросоединений
JPS594401A (ja) 結晶精製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