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8447A - 압출기에 장입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압출기에 장입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8447A
KR20180018447A KR1020170102432A KR20170102432A KR20180018447A KR 20180018447 A KR20180018447 A KR 20180018447A KR 1020170102432 A KR1020170102432 A KR 1020170102432A KR 20170102432 A KR20170102432 A KR 20170102432A KR 20180018447 A KR20180018447 A KR 201800184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erial strip
extruder
strip
pressure surface
st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2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2634B1 (ko
Inventor
데니스 프라익
빌란트 호프만
오이겐 렌츠
Original Assignee
트뢰슈터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트뢰슈터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트뢰슈터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80018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84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2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26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30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58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B7/6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for feeding, e.g. end guides for the incoming material
    • B29C47/105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285Feeding the extrusion material to the extruder
    • B29C48/297Feeding the extrusion material to the extruder at several locations, e.g. using several hoppers or using a separate additive fee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285Feeding the extrusion material to the extruder
    • B29C48/288Feeding the extrusion material to the extruder in solid form, e.g. powder or granules
    • B29C48/2888Feeding the extrusion material to the extruder in solid form, e.g. powder or granules in band or in strip form, e.g. rubber st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74Mixing; Kneading using other mixers or combinations of mixers, e.g. of dissimilar mixers ; Plant
    • B29B7/7476Systems, i.e. flow charts or diagrams; Plants
    • B29B7/7495Systems, i.e. flow charts or diagrams; Plants for mixing rub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252Drive or actuation means; Transmission means; Screw supporting means
    • B29C48/2528Drive or actuation means for non-plasticising purposes, e.g. dosing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256Exchangeable extruder parts
    • B29C48/2567Hopper or feeder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285Feeding the extrusion material to the extruder
    • B29C48/298Feeding the extrusion material to the extruder in a location other than through a barrel, e.g. through a scre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395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using screws surrounded by a cooperating barrel, e.g. single screw extru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그재그 형상으로 접힌 배열 상태로 제공되고, 압출기(6)에 하나 이상의 컨베이어 벨트(3)에 의해서, 적어도 섹션 방식으로 깔때기 형상인 공급 요소(5)의 공급 영역(4)에 공급되는, 고무 혼합물 및/또는 플라스틱 혼합물로 이루어진 재료 스트립(2)을 스크루 압출기에 장입하기 위한 장치(1)에 관한 것이다. 공급 영역(4) 내부에는, 모터에 의해서 구동되는 재료 스트립(2)용 이송 장치(7)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 이송 장치는 재료 스트립(2)의 표면을 향해 밀착할 수 있는 그리고 역전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는 압력면(8)을 구비한다. 이 압력면(8)은 오로지 이송 방향(9)으로만 재료 스트립(2)의 표면을 향해 주행하고, 이송 방향(9)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는 재료 스트립(2)의 표면에 대해 이격된 복귀 위치를 취한다.

Description

압출기에 장입하기 위한 장치{DEVICE FOR CHARGING A EXTRUDER}
본 발명은, 특히 지그재그(zigzag) 형상의 또는 위그-왜그(wig-wag) 형상의 배열 상태로 제공되고, 압출기에 하나 이상의 이송 수단에 의해서, 적어도 섹션 방식으로 깔때기 형상인 공급 요소의 공급 영역에 공급될 수 있는, 고무 혼합물 및/또는 플라스틱 혼합물로 이루어진 재료 스트립을, 특히 스크루 압출기(screw extruder)로서 구현된 압출기에 장입하기 위한 장치와 관련이 있으며, 이 경우 공급 영역 내부에는 모터에 의해서 구동되는 재료 스트립용 이송 장치가 배치되어 있다.
스크루 압출기에 고무 혼합물 및/또는 열가소성 화합물을 장입하는 경우, 상기와 같은 장치들의 작동 중에 최적의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실제로 재료 조성 및 장입의 고도의 연속성(continuity)이 중요하다.
대부분의 경우에는, 예를 들어 DE 23 64 539 A1호에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펠트(pelt)로서도 언급되는 긴 스트립 형상의 가공될 혼합물이 팰릿(pallet) 상에 올려져서 전달되고,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서 스크루 압출기에 공급된다.
혼합물 펠트가 지그재그 형상으로 또는 위그-왜그 형상으로 놓여 있는 경우에는, 펠트 시작점이 손에 의해서 또는 특별히 개발된 보조 장치를 이용해서 장입 장치 내부로 또는 압출기 깔때기 내부로 직접 입력된다. 그 다음에, 이 혼합물 펠트가, 경우에 따라서는 또한 2개 또는 다수의 혼합물 펠트가 자동으로, 팰릿이 비워질 때까지 계속 진행한다. 이 경우의 또 다른 전제 조건은, 혼합 스트립(들)이 전체 횡단면에 걸쳐서 압출기에 의한 최적의 재료 수용에 가급적 우수하게 매칭되어야만 한다는 것이다.
상기 방법에서는, 지나치게 작은 스트립 횡단면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지나치게 적은 공급이 불충분하게 충전된 스크루를 야기하며, 이와 같은 상황은 압출기의 가소화 효과에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고, 현저한 출력 감소를 초래할 수 있다. 그와 달리, 지나치게 큰 펠트 공급-횡단면은 장입 장애로 인한 깔때기 막힘 또는 심지어 장입 중단을 결과로서 야기한다.
탄성 중합체 재료를 스크루 프레스 내부로 자동으로 삽입하기 위한 장치는 예를 들어 DE 28 37 463 A1호에 공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장치는 혼합 재료를 위한 하나 이상의 인입 롤러를 구비하며, 이 롤러는 압출기 스크루 앞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스크루와 무관하게 구동된다. 이 경우에는, 재료가 깔때기를 통해 압출기에 공급되며, 이는 압출기 스크루 앞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스크루와 무관하게 구동된다. 구동 장치로서는 유압 모터가 적합하다.
DD 2 32 876 A1호는, 공급 롤러 및 압출기의 유입 개구 앞에 설치된 인출 롤러를 구비하는 압출기에 연속으로 장입하기 위한 장치와 관련이 있다. 카운터 롤러와 인출 롤러의 조합은 필요에 따라 펠트 스트립의 인출 및 제동을 야기해야만 한다.
상기 간행물에 기재된 장치에서는, 균일한 공급의 요구 외에 경제적이고 전반적으로 자동화된 작동 방식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요구가 더 존재한다. 더 나아가서는, 적용 목적에 따라 2개 이상의 펠트를 동시에 공급하고자 하는 바람(wish)도 존재하며, 이와 같은 동시 공급에 의해서는 연속 형성의 경우에 소정의 불가피한 혼합 불균일성이 사라진다.
실제로, 펠트 장입은 순수하게 수동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와 같은 수동 작업은, 처리율이 높은 냉각 장입을 위한 대형 스크루 압출기의 개발로 인해 자체 한계에 도달하며, 결과적으로 기계적인 장입 방식으로 넘어가게 된다.
DE 27 46 187 B1호에는, 공급 장치와 입력 개구 사이에 배치된 깔때기 형상의 인입 통로(shaft)를 구비하는, 스트립 형상의 고무 혼합물을 스크루 기계의 입력 개구 내부로 제어된 상태로 공급하기 위한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일정한 전도 모멘트(overturning moment)로 작동되는 진자 타입 플랩(pendulum-type flap)이 인입 통로의 전체 횡단면을 덮는다. 인입 통로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는 진자 타입 플랩의 단부 내에는, 고정식 근접 스위치를 이용해서 공급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 펄스를 발생하기 위한 스위칭 장치가 제공되어 있다.
DE 22 44 059 C3호에는, 고무 혼합물의 스트립 섹션을 중량 계량된 상태에서 동일한 형태로 스크루 기계에 부가하기 위한 공급 장치가 기술되어 있다.
DE 19 61 632 A1호에는, 송출 깔때기 내부로 고무 스트립 또는 플라스틱 스트립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가 공지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장치에서는 컨베이어 및 절단 장치의 구동이 송출 깔때기의 충전 상태에 따라서 이루어진다. 이때, 송출 깔때기의 충전 상태는 광전자 방법으로 스캐닝 된다.
DE 19 28 293 C3호에 공지된 장치에서는, 소성으로 변형 가능한 물질을 스크루 프레스에 장입하는 과정이, 연속하는 스트립을 제어된 상태로 공급함으로써 이루어지며, 이 경우 이와 같은 소성으로 변형 가능한 물질의 공급은 스크루 프레스의 유입 깔때기 내에 형성된 비드(bead)를 스캐닝함으로써, 스트립에 작용하는 제동 장치를 통해서 제어된다.
DE 77 10 535 U호에 공지된 장치에서는, 압출기 쪽 유입 개구 내에서의 재료 정체를 토대로 해서 재료 공급의 보정이 이루어진다.
또한, DE 35 05 128 A1호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시트 재료(sheet material)로 이루어진 막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와 관련이 있다. 이와 같은 장치에서는, 탄성 중합체-공급 스트립을 위한 인출 롤러 쌍이 또 다른 조절 가능한 구동 장치에 의해서 회전 동작으로 변위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용이해지고 균일해진 장입 및 용이해진 조작에 도달하게 할 수 있는, 재료 스트립을 제어된 상태에서 동일한 형태로 공급하기 위한 장치를 제조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청구항 1의 특징들에 따른 장치에 의해서 해결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는 종속 청구항들로부터 얻을 수 있다.
더 상세하게 말하자면, 본 발명에 따라서는, 이송 장치가 재료 스트립의 표면을 향해 밀착할 수 있는 그리고 역전 방식으로 또는 회전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는 압력면을 구비하는 장치가 제공되어 있으며, 이 경우 압력면은 이송 방향으로는 재료 스트립의 표면에 접하고, 이송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는 재료 스트립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이로써, 압력면에 의해서는, 재료를 각각 순차적으로 이송 방향으로 운송하는, 운송을 위해 필요한 압력 또는 마찰력이 다만 이송 방향으로만 가해진다. 이 경우, 압착력은, 거리 제어를 토대로 하여 결과적으로 버팀벽(abutment)으로서 이용되는 면에 대하여 특정 간격이 유지되도록 실행되거나, 재료로 전달되는 힘이 수집되고, 목표 값에 도달한 경우에는 재료를 향한 압력면의 추가 전달이 중단되도록 실행된다. 이렇게 함으로써는, 예를 들어 재료 스트립의 복수의 층이 의도치 않게 서로 달라붙어서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공동으로 공급되는 경우에서와 같이, 공급되는 재료의 양이 변동되는 경우에도 재료 스트립의 신뢰할만한 공급이 보장된다. 그렇기 때문에, 공급 영역에 수동으로 결합 될 필요가 더 이상 없다. 오히려, 본 발명에 따라 이송 장치가 깔때기 형상 공급 요소 내부에서 재료의 공급을 담당하고, 이와 동시에 재료의 원치 않은 역류 정체 현상을 방지한다.
바람직하게, 모터에 의해서 구동되는 이송 장치는 재료 스트립을 위한 공급 영역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유입구와 공급 롤러의 간극 사이에서 연장된다.
따라서, 완전한 동작 시퀀스는, 재료의 표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이루어지는 재료에 대한 압력면의 전달 동작으로 시작된다. 힘 전달에 적합한 목표 위치에 도달하자마자, 이송 방향으로 병진 동작의 도입이 시작되며, 이 경우 압력면은 종동부 또는 슬라이드로서 작용한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서는, 재료가 특정 거리만큼 압출기의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병진 최종 위치에 도달하자마자, 압력면은 재료의 표면으로부터 분리되고, 개입 없이 출발 위치로 역-이동한다. 전체 동작 시퀀스는 바람직하게 연속 동작으로 이루어진다.
복수의 압력면이 이송 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이송 장치는 이송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 2개 이상의 압력면을 구비하며, 이들 압력면이 역-순환식으로 또는 반대-순환식으로 작동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압력면은 재료 스트립과 교대로 결합된다. 이로 인해, 항상 하나 이상의 압력면이 재료 스트립에 작용함으로써, 결과적으로는 재료 축적에 의해 야기되는, 원치 않게 그리고 조절되지 않은 상태로 이송 방향과 반대로 이동하는 재료 스트립의 동작이 신뢰할만하게 피해질 수 있다.
이송 장치의 또 다른 단순한 일 변형예에 따르면, 압력면이 단 하나의 평면에서 역-병진 방식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압력면은 공동의 또는 개별적인 프리휠(free wheel)이 설치된 복수의 롤러에 의해서 적어도 섹션 방식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단 하나의 평면에서 간단한 역전 동작이 충족되며, 이 경우 프리휠이 설치된 롤러는 이송 방향으로 자체 회전 자유도가 차단되어 있고, 그렇기 때문에 롤러의 주행 면과 재료 간의 마찰력에 의해서 원하는 이송 동작이 발생하여 재료상에서 반대 방향으로 자유롭게 롤링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깔때기 형상 공급 영역의 바람직하게 평평한 내부 벽면이 압착력을 위한 버팀벽으로서 이용된다. 이때, 압력면은 평평한 형상에 한정되어 있지 않다. 오히려, 압력면은 이송 방향에 대해 횡 방향으로도 규칙적으로 또는 불규칙적으로 반복되는, 돌출부 또는 홈으로서의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압력면은 예를 들어 볼록하게 구현될 수 있고, 깔때기의 내부 벽면에 맞추어 조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압력면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압력면이 특별한 톱니 형태의 프로파일링을 구비함으로써 실현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이송 방향으로의 힘 전달이 더욱 개선되며, 이 경우에는 프로파일링에 달라붙는 상황을 피하기 위해 추가의 스크레이퍼(scraper)가 제공될 수 있고, 이 스크레이퍼는 압력면이 리셋될 때 재료를 향해 주행하여 재료를 압력면으로부터 분리시킨다.
재료를 위한 버팀벽으로서는, 깔때기의 내부 벽면이 이용된다. 더 나아가서는, 이송 장치가 프리휠형 롤러를 갖춘 재료 스트립용 지지면을 구비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전진 이동 중에 발생하는 마찰 저항이 줄어들 수 있는 경우도 이미 실무에 특히 적합하다고 입증되었다.
대안적으로는, 동시에 이동할 수 있게 구동되는 2개의 압력면 사이에 재료가 포함되어 있는 일 변형예도 당연히 구현될 수 있다.
실무에 특히 적합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변형예에서는, 이송 효과에 도달하기 위하여, 이송 방향으로 연속하고 모터에 의해서 구동되는 복수 롤러의 원주 면에 의해서 압력면이 형성되며, 이 경우 구동된 롤러는 일면에서 또는 양면에서 재료에 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특히 바람직한 또 다른 일 변형예에 따르면, 이송 장치는 무한으로 순환하는 벨트를 구비하고, 이 벨트는 특히 연속으로 작동된다. 특히 신뢰할만한 재료 공급에 도달하기 위하여, 재료는 또한 서로 마주 놓여 있는 2개의 벨트 사이에도 물론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직물 벨트 또는 모듈 방식의 벨트로서 구현된 운송 벨트는 기존의 운송 벨트에 아무 문제 없이 통합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송 장치가 역주행 잠금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재료는 공급 영역으로부터 이송 방향과 반대로 배출될 수 없다. 이 목적을 위해, 역주행 잠금 장치는 예를 들어 재료 스트립이 다만 이송 방향으로만 통과할 수 있는 잠금 플랩을 구비한다.
특히 성공을 약속하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공급 영역이 적어도 섹션 방식으로 스크루 형상으로 구현된 상기 공급 요소의 제한 면, 특히 벽면에 의해 제한되어, 결과적으로 재료 스트립의 제1 에지가 재료 스트립의 마주 놓인 에지 아래로 시프트됨으로써 달성된다. 이로 인해, 재료 스트립이 이송 방향의 횡 방향으로 압축되지 않고 오히려 제한 면들에 의해 안으로 말려 들어감으로써, 재료 스트립의 특히 콤팩트한 형상에 도달하게 된다. 이 경우, 중요한 효과는, 서로 마주 놓여 있는 제한 면들의 상이한 곡률 반경에 의해서 달성되며, 이로 인해 상대적으로 더 적은 곡률 반경에 충돌하는 재료 스트립의 에지는 롤러 또는 권선의 코어를 형성하고, 재료 스트립의 마주 놓인 에지는 상기 코어의 둘레를 향해 놓인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해서는, 이송 방향으로 점차 작아지는 둘레를 갖는 좁은 롤러 또는 권선이 나타난다. 이때, 제한 면은 공급 영역 내부에 있는 별도의 가이드 요소로서 구현될 수 있거나, 공급 요소의 벽면을 구성하는 부분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히 유용한 본 발명의 다른 일 변형예는, 장치가, 링 형상이 아닌 형상으로 폐쇄된 분리선을 서로 위·아래로 적층된 2개 이상의 재료 스트립 내부로 삽입하기 위한 스탬프를 갖춘 스플라이싱 장치(splicing device)를 구비함에 의해서도 구현된다. 스탬프에 의해서 스탬프 면에 상응하는 제1 재료 스트립의 영역이 이웃하는 재료 영역으로부터 섹션 방식으로 분리되고, 그 아래에 놓인 재료 스트립의 평면으로 변위 됨으로써, 이와 같은 변위에 의해서는 언더컷에 의한 기계적인 고정 및 이로써 형상 결합 방식의 연결이 이루어진다. 이렇게 함으로써, 종 방향으로 연속하는 재료 스트립들이 중첩 영역 내부에서 신뢰할만하게 연결되고, 압출기에 중단 없이 공급될 수 있다. 스탬프용 하부 지지대로서는, 버팀벽으로서의 평평한 면 외에 윤곽이 형성된 다이(die)도 적합하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분리선이 특히 스탬프의 원주 윤곽의 80%를 초과하지 않는, 바람직하게는 50%를 초과하지 않는 일 부분 영역에 한정되어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스탬프 면이 재료 스트립으로부터 완전히 떨어지는 것이 피해지고, 상기 부분 영역이 적어도 일 영역에서는 재료 스트립과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로 인해, 기계적인 고정이 더욱 최적화되고, 원치 않은 재료 손실이 피해진다.
마찬가지로 특히 성공을 약속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는, 스플라이싱 장치가, 스탬프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고 스탬프를 재료 스트립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카운터 홀더를 구비함에 의해서 구현된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의해서는, 천공을 형성한 후에 스탬프를 뒤로 당길 때 원치 않게 달라붙는 상황 및 그 결과로 재료 스트립이 들어 올려지는 상황이 피해진다. 이 목적을 위해, 카운터 홀더는, 예를 들어 스탬프를 링 모양으로 둘러싸고 예를 들어 평평한 지지 면을 갖는 칼라(collar) 형상의 방사 방향 돌출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천공을 형성한 후에는, 스탬프가 완전히 뒤로 당겨질 때까지, 카운터 홀더가 표면에 접하는 자신의 고정 위치를 유지한다.
그밖에,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접착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가열 요소가 국부적인 가열을 위해 스플라이싱 장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실시예들을 허용한다. 본 발명의 기본 원리를 더욱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실시예들 중 일 실시예가 도면에 도시되어 있고, 이하에서 기술된다. 도면은 압출기에 장입하기 위한 장치를 각각 개략도로 보여준다.
도 1은 역전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는 압력면을 구비하여 깔때기 형상의 공급 영역 내부에 배치된 이송 장치를 도시하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되어 있고 역주행 잠금 장치를 구비하는 이송 장치를 도시하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되어 있고 무한으로 순환하는 이송 벨트를 구비하는 이송 장치의 일 변형예를 도시하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되어 있고 구동되는 복수의 개별 롤러를 구비하는 이송 장치의 일 변형예를 도시하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되어 있으며, 함께 압력면을 형성하고 역전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으며 회전 방향이 제한된 롤러를 구비하는 이송 장치의 일 변형예를 도시하고;
도 6은 스크루 형상의 제한 면을 갖는 공급 요소의 깔때기 형상 섹션을 도시하며;
도 7은 2개의 재료 스트립을 연결하기 위한 스탬프를 갖춘 스플라이싱 장치를 도시한다.
고무 혼합물 또는 플라스틱 혼합물로 이루어진 재료 스트립(2)을 스크루 압출기에 장입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1)가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재료 스트립(2)은 먼저 지그재그 형상으로 또는 위그-왜그 형상으로 접힌 배열 상태로 제공되고, 압출기(6)에 하나 이상의 컨베이어 벨트(3)에 의해서 적어도 섹션 방식으로 깔때기 형상인 공급 요소(5)의 공급 영역(4)에 공급된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공급 영역(4) 내부에서 유입구와 압출기(6)의 공급 롤러 사이에는 모터에 의해서 구동되는 재료 스트립(2)용 이송 장치(7)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 이송 장치는 재료 스트립(2)의 표면을 향해 밀착할 수 있는 그리고 역전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는 압력면(8)을 구비한다. 이 압력면은 오로지 이송 방향(9)으로만 재료 스트립(2)의 표면을 향해 접하고, 이송 방향(9)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는 다만 파선으로만 도시된, 재료 스트립(2)의 표면에 대해 이격된 복귀 위치를 취한다. 또한, 더 폭 넓게 이격된, 마찬가지로 다만 파선으로만 도시된 대기 위치도 설정될 수 있으며, 이 대기 위치에서는 이송 장치(7)에 더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다.
동작 시퀀스는 실질적으로 4개의 병진 운동 단계(a, b, c, d)를 갖는 사이클을 따르며, 이 경우에는 압력면(8)이 자신의 톱니 형태의 프로파일링(12)에 의해서 먼저 전달 운동에 의해 재료 스트립(2)의 방향으로 이동하고, 그 다음에는 병진 운동식으로 이송 방향(9)에 대해 평행하게 예정된 거리만큼 압출기(6)의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운송을 위해 필요한 압력(F) 혹은 그로부터 도출되는 마찰력이 재료 스트립(2)으로 전달되고, 이로 인해 재료 스트립이 이송 방향(9)으로 운송된다. 압력면(8)을 재료 스트립(2)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하여, 역전 운동은 전달 운동과 반대인 복원 운동에 따라 이루어진다.
재료 스트립(2)용 버팀벽으로서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유롭게 회전 운동할 수 있는 복수의 롤러(10)에 의해 형성된 지지면(11)이 이용된다.
도 2에는, 이송 장치(7)에 역주행 잠금 장치(13)가 추가로 더 설치되어 있으며, 이 역주행 잠금 장치는 이송 방향(9)으로 공급되는 재료 스트립(2)에 의해 스프링 요소(14)의 복원력에 대항해서 편향될 수 있는 잠금 플랩(15)을 구비한다. 이로 인해, 재료 정체시에 공급 요소(5)가 넘치는 상황이 신뢰할만하게 피해진다.
도 1에 도시된 이송 장치(7)의 도 3에 도시된 변형예에서는, 이송 장치에 역전 방식의 이송 수단이 설치된 것이 아니라, 오히려 무한으로 순환하는 컨베이어 벨트(16)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컨베이어 벨트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재료 스트립(2)을 위한 압력면(8)을 형성한다. 물론, 이와 같은 변형예에서도, 재료 스트립(2)에 작용하는 압력(F)에 매칭시키기 위해 조절 가능한 전달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이송 장치(7)의 도 4에 도시된 변형예에서는, 일렬로 배치되어 각각 개별적으로 또는 공동으로 구동되는 복수의 개별 롤러(17)가 제공되어 있으며, 이들 롤러에는 각각 쌍으로 배치된 프리휠 롤러(10)가 버팀벽으로서 할당되어 있다. 개별 롤러(11)는 자신들의 둘레에서 적합한 표면 성질을 갖고/갖거나 또한 템퍼링 가능하게 구현될 수도 있다.
그에 비해, 도 5에는, 공동으로 압력면(8)을 형성하는, 화살표 방향(18)으로 역 병진 방식으로 이동하는 그리고 회전 방향이 제한된 롤러(19)를 구비하는, 도 1에 도시된 이송 장치(7)의 일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롤러(19)에 프리휠이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롤러(19)가 차단되고 이로 인해 상응하는 마찰력이 재료 스트립(2)으로 전달될 수 있는 이송 방향(9)으로만 종동 효과가 작용한다. 반대 방향으로는, 롤러(19)가 재료 스트립(2) 상에서 롤링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재료 스트립에 대해 다만 매우 적은 힘 작용만이 생성된다.
도 6에서는, 스크루 형상의 제한 면(20)을 갖는 공급 요소(5)의 깔때기 형상의 공급 영역(4)을 확인할 수 있으며, 그 제한 면이 공급 요소(5)의 벽면에 의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재료 스트립(2)의 제1 에지는 재료 스트립(2)의 마주 놓인 에지 아래로 시프트한다. 이로 인해, 에지들이 상호 충돌하지 않는 재료 스트립(2)의 콤팩트한 와인딩 작업이 달성된다.
마지막으로 도 7에는, 중첩 영역에서 연속하는 2개 재료 스트립(2a, 2b)을 연결하기 위한 스탬프(22)를 갖춘 스플라이싱 장치(21)가 더 도시되어 있다. 이송 방향(9)으로 앞에 놓여 있는 부분 영역에 리세스를 형성하는 분리선(23)을 따라 천공 면(24)이 형성되고, 이 천공 면은 스탬프(22)에 의해서 상부 재료 스트립(2a)으로부터 하부 재료 스트립(2b)으로 프레싱 되고, 그곳에서 다이(25)의 도움으로 기계적으로 고정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재료 스트립(2)이 신뢰할만하게 연결되고, 압출기(6)에 중단 없이 공급될 수 있다.
1: 장치
2: 재료 스트립
3: 컨베이어 벨트
4: 공급 영역
5: 공급 요소
6: 압출기
7: 이송 장치
8: 압력면
9: 이송 방향
10: 롤러
11: 지지면
12: 프로파일링
13: 역주행 잠금 장치
14: 스프링 요소
15: 잠금 플랩
16: 컨베이어 벨트
17: 개별 롤러
18: 화살표 방향
19: 롤러
20: 제한 면
21: 스플라이싱 장치
22: 스탬프
23: 분리선
24: 천공 면
25: 다이(die)
F: 압력
a, b, c, d: 운동 단계

Claims (13)

  1. 압출기(6)에 하나 이상의 이송 수단에 의해서, 적어도 섹션 방식으로 깔때기 형상인 공급 요소(5)의 공급 영역(4)에 공급될 수 있는 고무 혼합물 및/또는 플라스틱 혼합물로 이루어진 재료 스트립(2)을, 특히 스크루 압출기로서 구현된 압출기(6)에 장입하기 위한 장치(1)로서,
    상기 공급 영역(4) 내부에 모터에 의해서 구동되는, 하나 이상의 재료 스트립(2)을 위한 이송 장치(7)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이송 장치(7)가 재료 스트립(2)의 표면을 향해 밀착할 수 있는 그리고 역전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는 압력면(8)을 구비하며, 상기 압력면은 이송 방향(9)으로는 이동하는 경우에는 재료 스트립(2)의 표면에 접하고, 이송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는 상기 재료 스트립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스트립을 압출기에 장입하기 위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에 의해서 구동되는 이송 장치(7)가 공급 영역(4) 내부에서 유입구와 압출기(6)의 공급 롤러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스트립을 압출기에 장입하기 위한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장치(7)가 이송 방향(9)으로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 2개 이상의 압력면(8)을 구비하며, 상기 압력면이 역-순환식으로 작동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압력면(8)은 재료 스트립(2)과 교대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스트립을 압출기에 장입하기 위한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면(8)이 역-병진 방식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될 수 있으며, 상기 압력면(8)은 프리휠이 설치된 복수의 롤러(19)에 의해서 적어도 섹션 방식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스트립을 압출기에 장입하기 위한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면(8)이 특별한 톱니 형태의 프로파일링(1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스트립을 압출기에 장입하기 위한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장치(7)가 프리휠형 롤러(10)를 갖춘 재료 스트립(2)용 지지면(1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스트립을 압출기에 장입하기 위한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면(8)이 모터에 의해서 구동되는 복수 롤러(17)의 원주 섹션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스트립을 압출기에 장입하기 위한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장치(7)가 무한으로 순환하는 컨베이어 벨트(1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스트립을 압출기에 장입하기 위한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장치(7)가 역주행 잠금 장치(1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스트립을 압출기에 장입하기 위한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영역(4)이 적어도 섹션 방식으로 스크루 형상으로 구현된 제한 면(20), 특히 상기 공급 요소(5)의 벽면에 의해 제한되어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재료 스트립(2)의 제1 에지가 재료 스트립(2)의 마주 놓인 에지 아래로 시프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스트립을 압출기에 장입하기 위한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1)가, 서로 위·아래로 적층된 2개 이상의 재료 스트립(2) 내부로 분리선(23)을 삽입하기 위한 스탬프(22)를 갖춘 스플라이싱 장치(2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스트립을 압출기에 장입하기 위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선(23)이 특히 스탬프(22)의 원주 윤곽의 80%를 초과하지 않는, 바람직하게는 50%를 초과하지 않는 일 부분 영역에 한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스트립을 압출기에 장입하기 위한 장치.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라이싱 장치(21)가, 스탬프(22)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고 상기 스탬프(22)를 재료 스트립(2)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카운터 홀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스트립을 압출기에 장입하기 위한 장치.
KR1020170102432A 2016-08-12 2017-08-11 압출기에 장입하기 위한 장치 KR1023626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115049.5A DE102016115049B3 (de) 2016-08-12 2016-08-12 Vorrichtung zum Beschicken eines Extruders
DE102016115049.5 2016-08-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8447A true KR20180018447A (ko) 2018-02-21
KR102362634B1 KR102362634B1 (ko) 2022-02-11

Family

ID=59592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2432A KR102362634B1 (ko) 2016-08-12 2017-08-11 압출기에 장입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695969B2 (ko)
EP (1) EP3281765A3 (ko)
JP (1) JP2018024248A (ko)
KR (1) KR102362634B1 (ko)
CN (1) CN107718489A (ko)
DE (1) DE102016115049B3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21783A (zh) * 2020-03-25 2020-07-17 上安实业江苏有限公司 一种cpe防水止水带挤出导料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111735A1 (de) * 2018-05-16 2019-11-21 KraussMaffei Extrusion GmbH Verfahren zum Beschicken eines Extruders mit Kautschuk-Materialstreifen und Kautschuk-Extrusionsmaschinensystem
FR3089846A3 (fr) * 2018-12-14 2020-06-19 Michelin & Cie Système d’aboutage de bandes de caoutchouc pour alimenter une extrudeuse
CN110843187A (zh) * 2019-10-14 2020-02-28 青岛科技大学 一种宽幅聚合物铺网自动收拢喂料装置
CN110682513A (zh) * 2019-10-17 2020-01-14 青岛科技大学 一种轻质宽幅网料的连续收拢喂料挤出一体装置
CN110757754A (zh) * 2019-11-07 2020-02-07 青岛科技大学 一种连接宽幅卷料和挤料的等拉力连续收卷装置及工作方法
CN110757755A (zh) * 2019-11-13 2020-02-07 青岛科技大学 一种垂直分布式网料等拉力连续收卷进料装置及工作方法
DE102020207754A1 (de) * 2020-06-23 2021-12-23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Vorrichtung zum kontinuierlichen Speisen von Extrusions- und/oder Walzmaschinen mit einem Kautschukmischungsfell, Extrudersystem umfassend die Vorrichtung und deren Verwendungen
CN113085134A (zh) * 2021-04-08 2021-07-09 桂林橡胶设计院有限公司 一种橡胶挤出机的喂料装置
CN114602932B (zh) * 2022-03-14 2023-09-29 重庆市永川区植成家俱厂 一种棕垫生产的边料回收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96429A (en) * 1966-08-01 1968-08-13 Uniroyal Inc Self-feed ram for extrusion equipment
US3750923A (en) * 1969-09-15 1973-08-07 N Klein Coating apparatus
JPS53160475U (ko) * 1977-05-20 1978-12-15
JPH065934U (ja) * 1992-07-02 1994-01-25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スクリュー押出機
JPH0679521U (ja) * 1993-04-23 1994-11-08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フィードゴム強制噛込み装置
KR20010062230A (ko) * 1999-12-08 2001-07-07 래이너 힐케 압출 성형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8015A (en) * 1877-12-11 Improvement in railway air-brakes
US1980154A (en) * 1932-09-28 1934-11-06 American Brass Co Means for connecting strips of sheet metal
US2384521A (en) * 1940-04-16 1945-09-11 Celanese Corp Method for extruding thermoplastic compositions
US2829714A (en) * 1954-11-08 1958-04-08 Kalb Lennart Reinhold Strapping machine
US3396459A (en) 1964-11-25 1968-08-13 Gen Dynamics Corp Method of fabricating electrical connectors
DE1928293C3 (de) * 1969-06-03 1981-04-02 Paul Troester Maschinenfabrik, 3000 Hannover Verfahren zu Beschicken von Schneckenpressen mit einem fortlaufenden Streifen aus plastisch verformaben Materialien und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DE1961632C3 (de) * 1969-12-09 1974-01-31 Continental Gummi-Werke Ag, 3000 Hannover Vorrichtung zum Zuführen eines Kautschuk- oder Kunststoffstreifens in den Aufgabetrichter von Strangpressen oder ähnlichen Verarbeitungsmaschinen
US3768800A (en) * 1972-01-13 1973-10-30 Veluwsw N Machine Ind Apparatus for stacking a sheet-like flexible material
DE2244059C3 (de) * 1972-09-08 1975-11-06 Werner & Pfleiderer, 7000 Stuttgart Vorrichtung zum gewichtsdosierten gleichförmigen Zuführen von streifenförmig vorliegenden Gummigrundmischungen in eine Schneckenmaschine
DE2250542A1 (de) * 1972-10-14 1974-04-18 Continental Gummi Werke Ag Vorrichtung zum beschicken von strangpressen und aehnlichen gummi- oder kunststoffverarbeitungsmaschinen
DE2364539A1 (de) * 1973-12-24 1975-07-10 Berstorff Gmbh Masch Hermann Einrichtung zum zufuehren eines zusammenhaengenden materialstreifens
DE2659525A1 (de) * 1976-12-30 1978-07-06 Continental Gummi Werke Ag Beschickungstrichter fuer gummi- oder kunststoffverarbeitende maschinen
DE7710535U1 (de) * 1977-04-02 1977-08-18 Paul Troester Maschinenfabrik, 3000 Hannover Vorrichtung zum beschicken von schneckenextrudern
CH621515A5 (ko) * 1977-09-02 1981-02-13 Schiesser Ag
DE2746187C2 (de) * 1977-10-14 1979-12-06 Werner & Pfleiderer, 7000 Stuttgart Vorrichtung zum gesteuerten Zuführen einer streifenförmigen Kautschukmischung in die Eingabeöffnung einer Schneckenmaschine
DE3320203C2 (de) * 1983-06-03 1985-10-24 Hermann Berstorff Maschinenbau Gmbh, 3000 Hannover Verfahren und Anlage zum Beschicken einer Ein- oder Mehrextruderanlage für die Herstellung von Profilen aus Kautschuk oder thermoplastischen Kunststoffen
DE3505128A1 (de) * 1985-02-14 1986-08-14 Windmöller & Hölscher, 4540 Lengerich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folien aus einer traegerbahn aus thermoplastischem kunststoff und einer klebeschicht aus nichtvernetzbarem elastomer
DD232876A1 (de) * 1984-12-27 1986-02-12 Berlin Gummiwerke Vorrichtung zum beschicken eines elastextruders
JP2936907B2 (ja) * 1992-09-03 1999-08-23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転削工具
DE19639735A1 (de) * 1996-09-27 1998-04-02 Uth Gmbh Extruder
US6129872A (en) * 1998-08-29 2000-10-10 Jang; Justin Process and apparatus for creating a colorful three-dimensional object
WO2000058190A1 (en) * 1999-03-31 2000-10-05 John Anthony Sullivan Apparatus for feeding sheet material
US7604148B2 (en) * 2006-11-15 2009-10-20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Device for reducing the tension on an elastomeric feed
CN101081539A (zh) * 2007-06-30 2007-12-05 张家港美星三和机械有限公司 挤出机中的喂料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96429A (en) * 1966-08-01 1968-08-13 Uniroyal Inc Self-feed ram for extrusion equipment
US3750923A (en) * 1969-09-15 1973-08-07 N Klein Coating apparatus
JPS53160475U (ko) * 1977-05-20 1978-12-15
JPH065934U (ja) * 1992-07-02 1994-01-25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スクリュー押出機
JPH0679521U (ja) * 1993-04-23 1994-11-08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フィードゴム強制噛込み装置
KR20010062230A (ko) * 1999-12-08 2001-07-07 래이너 힐케 압출 성형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21783A (zh) * 2020-03-25 2020-07-17 上安实业江苏有限公司 一种cpe防水止水带挤出导料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6115049B3 (de) 2018-02-15
EP3281765A3 (de) 2018-04-18
EP3281765A2 (de) 2018-02-14
KR102362634B1 (ko) 2022-02-11
US20180044118A1 (en) 2018-02-15
US10695969B2 (en) 2020-06-30
JP2018024248A (ja) 2018-02-15
CN107718489A (zh) 2018-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18447A (ko) 압출기에 장입하기 위한 장치
DE2907203C2 (de) Vorrichtung zum Umhüllen von Gegenständen
DE1303475C2 (de) Vorrichtung zum voruebergehenden stillsetzen eines teils einer laufenden materialbahn
NZ270035A (en) Food packaging tube formed from folded web
US20190091916A1 (en) Filtration device and filtration method for polymer extrusion
WO2015043987A1 (de) Stapelvorrichtung
US20130233137A1 (en) Web product cutting and screening machine and method
EP005438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ycling plastics waste
DE1509878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nbringung von Abdichtungsstreifen
US5114307A (en) Apparatus for stacking slices
ES2096162T3 (es) Maquina para fabricar un producto en forma de hojas.
EP1530540B1 (de) Vorrichtung zur bearbeitung von flachen gegenständen, insbesondere zum verpacken von druckprodukten
DE2039949C3 (de) Rotationsvakuiimformmaschine für thermoplastische Kunststoff- bzw. Schaumstoffbahnen
US319229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cessing plastic waste material
JP2846918B2 (ja) 布製品反転装置
EP1332997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ntsorgung von Bahnmaterial
EP3041671B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kreuzboden-säcken
JP2002053105A (ja) 自動充填包装方法及び装置
CN109968682A (zh) 输送带接头覆盖胶及钢丝绳芯胶的多驱动除胶装置及方法
JP2012196172A (ja) 麺帯圧延システム
EP084521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a continuous dough strip
CN208326777U (zh) 一种印花自动送料装置
DE2011668A1 (de) Heftmaschine für Schachteln
EP0638504B1 (en) Device for cooling and stacking a sheet of rubber
RU67017U1 (ru) Шнековое отбор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к валковым машина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