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8418A - 음향감쇠장치를 포함하는 전기모터 - Google Patents

음향감쇠장치를 포함하는 전기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8418A
KR20180018418A KR1020170101572A KR20170101572A KR20180018418A KR 20180018418 A KR20180018418 A KR 20180018418A KR 1020170101572 A KR1020170101572 A KR 1020170101572A KR 20170101572 A KR20170101572 A KR 20170101572A KR 20180018418 A KR20180018418 A KR 201800184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opening
acoustic
fan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1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필립 뒤비아
토마스 마스
안드리-마미 란드리아
미셸 셰레
장-피에르 룸바르드
Original Assignee
알스톰 트랜스포트 테크놀로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스톰 트랜스포트 테크놀로지스 filed Critical 알스톰 트랜스포트 테크놀로지스
Publication of KR20180018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84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24Casings; Enclosures;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suppression or reduction of noise or vibr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9/00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 H02K9/02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 H02K9/04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having means for generating a flow of cooling mediu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0094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lectrical or electronic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0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with channels or ducts for flow of cooling medium
    • H02K5/207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with channels or ducts for flow of cooling medium with openings in the casing specially adapted for ambient ai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9/00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 H02K9/02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 H02K9/04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having means for generating a flow of cooling medium
    • H02K9/06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having means for generating a flow of cooling medium with fans or impellers driven by the machine shaf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5/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2205/09Machines characterised by drain passages or by venting, breathing or pressure compens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Motor Or Generator Cooling System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음향감쇠장치를 포함하는 전기모터를 개시한다. 상기 전기모터(10)는 회전자(14), 고정자(16) 및 팬(30)을 수용하는 내부공간(VI)이 형성되는 프레임(12)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12)은 상기 내부공간(VI)을 외부와 유체적으로 연통시키는 제1 개구(22) 및 상기 회전자의 회전축(X)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사축(R)에 따라 상기 내부공간(VI)을 상기 외부와 유체적으로 연통시키는 제2 개구(24)를 포함하고, 상기 팬(30)은 상기 제2 개구(24)에 인접하여 가스 유체의 흐름(F)을 생성한다. 적어도 하나의 음향감쇠장치(40)가 상기 제2 개구(24) 내에 수용되어 상기 제2 개구(24)를 부분적으로 폐쇄한다.

Description

음향감쇠장치를 포함하는 전기모터{ELECTRIC MOTOR COMPRISING A STRONG ACOUSTIC ATTENUATION DEVICE}
본 발명은 음향감쇠장치를 포함하는 철도 차량용 전기견인모터에 관한 것이다.
전기모터의 최적화를 위해서는 더욱 컴팩트한 크기의 전기모터와 효율적인 냉각이 필요하다.
특히, 냉각은 모터의 고정자 및/또는 회전자를 냉각시키기 위해 냉기를 모터에 주입하는 전기모터의 내부 또는 외부 팬에 의해 수행된다. 냉각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팬의 크기 및/또는 유속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팬의 크기 및/또는 유속을 증가시키는 것은 전기모터에 의해 방출되는 소음 레벨을 증가 시키며, 전기모터가 사용되는 국가의 법률에 따라 시행되는 규정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이 레벨이 소정의 임계 소음 레벨보다 낮아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전기모터에 의해 방출되는 소음 레벨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음향감쇠장치가 사용된다.
이러한 음향감쇠장치를 포함하는 전기모터는, 예컨대, US 5,124,600 및 US 4,150,313에 기재되어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기모터의 구조는 완전하게 만족스럽지는 못하다. 사실, 이들 모터는 부피가 크고, 그 음향감쇠장치는 전기모터의 정기 유지·보수를 복잡하게 만든다.
US 5,124,600 A US 4,150,313 A
본 발명의 목적 중 하나는, 부피가 매우 크지 않고 정기 유지·보수가 용이한 음향감쇠장치를 포함하는 전기모터를 제안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회전자, 고정자 및 팬을 수용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을 외부와 유체적으로 연통시키는 제1 개구 및 상기 회전자의 회전축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사축에 따라 상기 내부공간을 상기 외부와 유체적으로 연통시키는 제2 개구를 갖는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팬은 상기 제2 개구에 인접하여 가스 유체의 흐름을 생성하는 전기모터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음향감쇠장치가 상기 제2 개구 내에 수용되어 상기 제2 개구를 부분적으로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모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전기모터는 단독으로 또는 임의의 기술적으로 가능한 조합으로 고려되는 다음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 상기 팬은 원심 팬이다.
- 상기 제2 개구는 상기 가스 유체를 통과시키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1 통로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통로는 상기 음향감쇠장치에 의해 폐쇄된다.
- 상기 음향감쇠장치는 다층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다층구조는 실질적으로 방음기능을 갖는 저층, 상기 저층상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캐비티층 및 상기 캐비티층상에 형성된 음향통로층을 포함한다.
- 상기 캐비티층은, 상기 저층과 상기 음향통로층 사이의 소정 거리에 걸쳐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육각형 실린더를 포함한다.
- 상기 다층구조는 복수의 중첩된 캐비티층을 포함한다.
- 상기 저층은 밀폐형 금속 시트로 형성된다.
- 상기 음향통로층은 마이크로홀을 포함하는 금속 시트로 형성된다.
- 상기 음향감쇠장치는 케이싱에 고정되며, 상기 케이싱은 상기 음향통로층이 상기 팬을 향해 지향되도록 상기 프레임상에 장착된다.
- 상기 케이싱은, 상기 제2 개구를 부분적으로 덮는 적어도 2개의 부분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전기모터의 여러 장점들은 아래와 같이 개략적으로 요약된다.
전기모터의 프레임의 제2 개구에 수용된 음향감쇠장치는 전기모터의 초기 용적을 실질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전기모터의 크기는 상기 감쇠장치에 의해 증가되지 않는다.
제2 개구를 부분적으로 폐쇄함으로써, 전기모터의 소음이 소정 레벨에 놓이도록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다음의 도면을 참조하여 하나의 예로서 제공되는 하기의 설명을 읽음으로써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모터의 회전자의 회전축(X)에 따라 도시된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기모터의 회전자의 회전축(X)에 수직한 평면(P1)에 따라 도시된 부분 단면도이다.
도 3는 도 1의 음향감쇠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모터(10)가 도시된다. 전기모터(10)는 내부공간(VI)을 형성하는 프레임(12)을 포함하는데, 이 공간 내에 회전자(14) 및 고정자(16)가 수용된다. 상기 회전자(14)는 상기 프레임(12) 내부의 회전샤프트(18)상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 장착되며, 이때 상기 고정자(16) 및 프레임(12)에 대해 회전축(X)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고정자(16)는 상기 회전자(14)를 둘러싸면서 상기 프레임(12) 내부에 상기 회전자(14)와 동축으로 구비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회전자(14) 및 고정자(16)는 전기 에너지를 상기 회전자(14)의 샤프트(18)에 의해 전달되는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이러한 모터의 작동은 공지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더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12)은 상기 프레임(12)의 내부공간(VI)을 외부와 유체적으로 연통시키는 제1 개구(22)를 포함한다. 제1 개구(22)는, 예컨대, 상기 회전축(X)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축을 따라 배향된다.
상기 프레임(12)은 상기 회전축(X)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사축(R)에 따라 상기 내부공간(VI)을 상기 외부와 유체적으로 연통시키는 제2 개구(24)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2)은 상기 제1 개구(22)로부터 상기 제2 개구(24)로 외부 가스 유체의 흐름(F), 예컨대, 외기의 흐름을 안내할 수 있는 냉각회로(20)를 포함한다.
더 구체적으로,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냉각회로(20)는 상기 프레임(12)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외부 가스 유체가 제1 개구(22)로 유입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외부 가스 유체는, 예컨대, 상기 고정자(16)를 냉각시키기 위해 상기 고정자(16) 및/또는 상기 고정자(16)의 주변부를 통과하도록 구비된 상기 냉각회로(20)에 의해, 상기 프레임(12)의 내부공간(VI)을 통해 안내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2 개구(24)를 통해, 가열된 외부 가스 유체는 상기 프레임(12)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12) 및 상기 고정자(16)는 상기 모터(10)의 주변 환경으로부터 공급되는 외기에 의해 효율적으로 냉각된다.
상기 제2 개구(24)는 소음을 감쇠시키기 위하여 음향감쇠장치(40)를 포함한다. 상기 음향감쇠장치(40)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상기 음향감쇠장치(40)를 상기 제2 개구(24) 내의 제 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한 케이싱(50)이 상기 제2 개구(24)를 덮는다. 상기 케이싱(50)은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상기 제2 개구(24)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통로(26)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통로(28)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통로(26)는 제1 방사축(R1)을 따라 연장된다. 방사축은 상기 회전축(X)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평면으로 연장되는 축을 의미한다. 상기 제1 통로(26)를 통해 상기 가스 유체의 흐름(F)은 상기 프레임(12)의 내부공간(VI)과 상기 프레임(12)의 외부 사이를 유동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통로(26)는 상기 음향감쇠장치(40)에 의해 폐쇄된다.
상기 제2 통로(28)는 상기 제1 방사축(R1)과 다른 제2 방사축(R2)을 따라 연장된다. 또한, 상기 제2 통로(28)를 통해 상기 가스 유체의 흐름(F)은 상기 프레임(12)의 내부공간(VI)과 상기 프레임(12)의 외부 사이를 유동한다.
상기 제2 개구(24)가 2개 이상의 제1 통로(26) 및/또는 2개 이상의 제2 통로(28)를 포함하는 경우, 각각의 통로는 상이한 방사축을 따라 연장된다.
이러한 예로서, 각각의 방사축(R1 내지 R8)을 갖는 총 8개의 제1 통로(26) 및 제2 통로(28)가 도 2에 상기 회전자의 회전축(X)에 수직한 평면(P1)에 따라 단면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류" 및 "하류"라는 용어는 상기 전기모터(10) 내의 가스 유체 흐름(F)의 순환 방향에 대해 상대적으로 정의된다.
상기 회전자(14)의 샤프트(18)에는, 상기 프레임(12) 내부의 상기 냉각회로(20)에 상기 가스 유체의 흐름(F)을 생성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32)를 포함하는 팬(30)이 장착된다. 즉, 상기 팬(30)은 상기 냉각회로(20)에서 상기 가스 유체의 순환을 촉진시키기 위해 배치된다.
상기 팬(30)은 상기 제2 개구(24)에 인접한다.
상기 팬(30)은 회전 방향(RV)을 따라 회전 가능하다. 상기 회전 방향(RV)은, 상기 프레임(12)과 케이싱(50) 사이에서 상기 모터(10)의 주변부를 순환하는 상기 가스 유체 흐름(F)의 방향에 영향을 미친다. 상기 회전 방향(RV)이 반전되면, 상기 가스 유체 흐름(F)의 방향도 반전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팬(30)의 회전 방향(RV)이 시계 방향인 경우, 상기 흐름(F)은 상기 프레임(12)과 케이싱(50) 사이에서 상기 모터(10)의 주변부를 실질적으로 시계 방향으로 순환하며,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상기 내부공간(VI) 내에서, 상기 가스 유체 흐름(F)의 방향은 상기 팬(30)의 회전과는 무관하다. 즉, 상기 프레임(12)의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외부 가스 유체는 상기 제1 개구(22)로 유입되고 상기 제2 개구(24)를 통해 배출된다.
도 2에 도시된 예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RV)이 시계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팬(30) 및 상기 팬(30)의 회전축(X)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유동하는 가스 유체 흐름(F)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팬(30)의 블레이드(들)(32)는, 예컨대, 상기 제2 개구(24)로부터 상류에 위치한다. 따라서, 가스의 흐름은, 상기 제1 개구(22)를 통해 상기 모터의 외부로부터 공급된 가스 유체가 흡입됨으로써, 그리고 상기 제2 개구(24)를 통해 상기 가스 유체가 배출됨으로써 상기 프레임(12) 내부에 발생된다.
상기 팬(30)은, 예컨대, 상기 모터(10)의 프레임(12)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원심 팬이다. 상기 프레임(12) 내부에 원심 팬을 사용하는 것은 외부 팬을 사용하는 것에 비해 상기 전기모터(10)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전기모터(10)는 상기 팬(30)에 인접한 상기 음향감쇠장치(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음향감쇠장치(40)는 상기 제2 개구(24) 내에 수용된다. 따라서, 상기 음향감쇠장치(40)는 상기 제2 개구(24)를 부분적으로 폐쇄한다.
상기 음향감쇠장치(40)는 상기 제1 통로(26)를 완전히 폐쇄하기 위하여 상기 제1 통로(26)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도 2의 예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제2 통로(28)는 상기 음향감쇠장치(40)에 의해 폐쇄되지 않는다.
상기 음향감쇠장치(40)는 도 3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으며, 실질적으로 방음기능을 갖는 저층(44)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층구조(42)를 구비한다. 상기 저층(44)은, 예컨대, 스테인리스 스틸로 이루어지는, 예컨대, 금속 시트로 형성된다. 상기 저층(44)은, 예컨대, 실질적으로 0.5 mm 내지 5 mm의 두께(FE)를 갖는다.
상기 다층구조(42)는 상기 저층(44)상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캐비티층(46)을 포함한다. 상기 캐비티층(46)은,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실린더(47)를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47)의 베이스는 상기 저층(44)과 접촉한다. 상기 실린더(47)는, 예컨대, 육각형 베이스를 갖는다. 상기 실린더(47)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47)는 상기 저층(44)에 의해 형성된 평면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축을 따라 연장된다.
상기 실린더(47)는 상기 저층(44)과 음향통로층(48) 사이에서 상기 실린더의 축을 따라 측정된 소정 거리(D)에 걸쳐 연장된다.
상기 소정 거리(D)는, 예컨대, 5 mm 내지 100 mm이다.
도 3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벌집형 캐비티층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캐비티층(46)은 복수의 인접한 실린더(47)를 포함한다.
상기 음향통로층(48)은 상기 캐비티층(46)상에 형성되며, 마이크로홀(49)을 포함한다. 상기 마이크로홀(49)은, 예컨대, 0.5 mm 내지 5 mm의 직경을 갖는다.
상기 음향통로층(48)은 상기 저층(44)에 평행한다.
상기 음향통로층(48)은, 예컨대, 스테인리스 스틸 시트로 형성된다. 상기 음향통로층(48)은, 예컨대, 0.5 mm 내지 5 mm의 두께(CE)를 갖는다.
상기 음향통로층(48)에 의해, 상기 가스 유체의 흐름(F)은 상기 마이크로홀(49)을 통해 상기 캐비티층의 적어도 하나의 실린더 내부로 유동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음향감쇠장치(40)는 상기 가스 유체의 흐름(F)이 상기 음향통로층(48)을 만나도록 배향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음향통로층(48)은 상기 팬(30)을 향하도록 지향되며, 이때 상기 저층(44)은 상기 모터의 외부를 향하도록 지향된다.
상기 가스 유체의 흐름(F)이 상기 음향통로층(48)에 접촉하거나 상기 음향통로층(48)에 침투할 때, 상기 가스 유체의 흐름(F)에 의해 방출되는 음파는 상기 음향통로층(48)의 마이크로홀(49)을 통과하여 상기 캐비티층(46) 내로 침투한다.
상기 캐비티층(46)의 내부에서, 상기 음파는 상기 실린더(47)의 벽에 의해 유도되고 상기 저층(44)에 의해 반사되며, 유도된 음파와 반사된 음파 사이의 상호작용은 헬름홀츠 원리에 따라 감쇠를 일으킨다.
이러한 다층구조(42)는 헬름홀츠 유형의 샌드위치에 상응한다.
따라서, 상기 회전자(14), 상기 팬(30), 그리고 상기 회전자(14) 및 고정자(16)의 상호작용 중에 발생된 자기장에 의해 생성되는 소음은 상기 음향감쇠장치(40)에 의해 효율적으로 감쇠될 수 있다.
상기 음향감쇠장치(40)의 소음 감쇠는 약 2 dB 내지 5 dB이다.
상기 소음의 음향 주파수의 감쇠는 주로 0 kHz 내지 2 kHz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캐비티층은 소정의 음향 주파수를 감쇠시킬 수 있다. 상기 소정의 음향 주파수는 상기 저층과 상기 음향통로층(48) 사이의 상기 소정 거리(D)에 따라 미리 선택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감쇠될 음향 주파수는 상기 마이크로홀(49)의 직경 및/또는 상기 음향통로층(48)의 두께(CE)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전기모터(10) 내부에서 발생되어 상기 제2 개구(24)를 통과하는 소음은 효율적으로 감쇠된다.
상기 케이싱(50)은 나사(도시되지 않음)를 사용하여 상기 프레임(12)에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케이싱(50)은 상기 전기모터(10)의 유지·보수 중에 쉽게 분해되고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50)은 적어도 하나의 방음영역(52) 및 적어도 하나의 공기통로영역(54)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싱(50)의 방음영역(52)은 상기 케이싱(50)이 상기 프레임(12)에 체결될 때 상기 제1 통로(26)에 대면하여 배치된다. 상기 방음영역(52)은 가스 유체의 흐름(F)을 통과시키지 않는다.
상기 방음영역(52)은 상기 회전축(X)에 평행한 평면으로 연장된다. 상기 방음영역(52)은, 예컨대, 스테인리스 스틸 시트 또는 내부식성의 다른 금속으로 형성된다.
상기 케이싱(50)의 방음영역(52)은 상기 음향감쇠장치(40)를 지지한다. 따라서, 상기 음향감쇠장치(40)는 상기 제2 개구(24)의 제1 통로(26)에서 제 위치에 유지된다.
상기 공기통로영역(54)은 상기 케이싱(50)이 상기 프레임(12)에 체결될 때 상기 제2 통로(28)와 대면하여 배치된다. 상기 공기통로영역(54)은 상기 회전축(X)에 평행한 평면으로 연장된다. 상기 공기통로영역(54)은, 예컨대, 홀을 포함하는 금속 시트로 형성된다.
상기 공기통로영역(54)의 홀을 통해, 상기 가스 유체의 흐름(F)은 상기 케이싱(50)의 공기통로영역(54)을 가로지를 수 있다. 즉, 상기 프레임(12)의 내부공간(VI)으로부터 나오는 상기 가스 유체의 흐름(F)은, 상기 제2 개구(24)의 제2 통로(28) 및 상기 케이싱(50)의 공기통로영역(54)을 통해 상기 전기모터(10)의 외부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50)은, 상기 제2 개구(24)를 부분적으로 덮는 적어도 2개의 부분(50a, 50b)으로 형성된다.
제1 부분(50a) 및 제2 부분(50b)은 독립적으로 상기 프레임(12)으로부터 분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기모터(10)의 유지·보수 중에, 상기 제2 개구(24)를 통해 상기 프레임(12)의 내부로 접근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싱(50)을 부분적으로 분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12)의 내부에 접근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싱(50)을 완전히 분해해야 하는 유지·보수에 비해, 상기 전기모터(10)의 유지·보수가 용이해진다.
상기 케이싱(50)은, 예컨대, 20 mm 내지 200 mm의 두께(E)에 걸쳐 상기 회전축(X)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케이싱(50)은 상기 전기모터(10)의 프레임(12)의 반경 치수를 초과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전기모터(10)의 크기는 컴팩트하게 유지된다.
상기 가스 유체 흐름(F)의 전체 경로는 다음과 같다. 상기 가스 유체의 흐름(F)은, 상기 프레임(12) 외부의 상기 가스 유체를 상기 제1 개구(22)를 통해 상기 프레임(12)의 내부공간(VI) 내로 흡입하는 상기 팬(30)에 의해 발생된다. 그 다음, 상기 흐름(F)은 상기 프레임(12) 내부의 상기 냉각회로(20)를 통과한다. 다음으로, 상기 팬(30)은 상기 제2 개구(24)를 통해 상기 흐름(F)을 배출한다. 상기 흐름(F)의 배출 중에, 상기 흐름(F)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제2 개구(24)의 제1 통로(26)를 차단하는 상기 음향감쇠장치(40)를 만난다. 마지막으로, 상기 흐름(F)은 상기 제2 개구(24)의 제2 통로(28) 및 상기 케이싱(50)의 상기 공기통로영역(54)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전기모터(10)의 외부로 유동한다.
복수의 제1 통로(26)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통로(28)를 포함하는 일 실시예에서, 제1 방사축 및 상기 제1 방사축과 상이한 제2 방사축 사이에 형성된 방사상 부채꼴 영역 내에 복수의 인접한 제1 통로(26)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부채꼴 영역에서 상기 전기모터(10)에 의해 방출되는 소음은 감소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음향감쇠장치(40)는 상기 제2 통로(28)에 수용되고, 상기 제1 통로(26)는 음향감쇠장치(40)를 갖지 않는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음향감쇠장치(40)는 부분적으로 상기 제1 통로(26)에 수용되고, 부분적으로 상기 제2 통로(28)에 수용된다.
전술한 실시예들과 결합될 수 있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다층구조(42)는 각 캐비티층(46) 사이에 천공된 플레이트 또는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복수의 중첩된 캐비티층(46)을 포함한다. 이 경우에, 주파수 범위 내에서 소음을 감쇠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개구(22)는 상기 회전축(X)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와 같이 상기 음향감쇠장치에 대해 적용된 사항을 상기 제1 개구(22)에도 적용할 수 있다.
10: 전기모터 12: 프레임
14: 회전자 16: 고정자
22: 제1 개구 24: 제2 개구
26: 제1 통로 28: 제2 통로
30: 팬 40: 음향감쇠장치
42: 다층구조 44: 저층
46: 캐비티층 47: 육각형 실린더
48: 음향통로층 49: 마이크로홀
50: 케이싱 50a, 50b: 부분
VI: 내부공간 X: 회전축
R: 방사축 F: 가스 유체 흐름

Claims (10)

  1. 회전자(14), 고정자(16) 및 팬(30)을 수용하는 내부공간(VI)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VI)을 외부와 유체적으로 연통시키는 제1 개구(22) 및 상기 회전자의 회전축(X)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사축(R)에 따라 상기 내부공간(VI)을 상기 외부와 유체적으로 연통시키는 제2 개구(24)를 갖는 프레임(12)을 포함하며,
    상기 팬(30)은 상기 제2 개구(24)에 인접하여 가스 유체의 흐름(F)을 생성하는 전기모터(10)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음향감쇠장치(40)가 상기 제2 개구(24) 내에 수용되어 상기 제2 개구(24)를 부분적으로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모터(1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팬(30)은 원심 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모터(10).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구(24)는 상기 가스 유체를 통과시키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1 통로(26)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통로(28)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통로(26)는 상기 음향감쇠장치(40)에 의해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모터(10).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감쇠장치(40)는 다층구조(42)로 형성되며,
    상기 다층구조(42)는 실질적으로 방음기능을 갖는 저층(44), 상기 저층(44)상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캐비티층(46) 및 상기 캐비티층(46)상에 형성된 음향통로층(4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모터(10).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층(46)은, 상기 저층(44)과 상기 음향통로층(48) 사이의 소정 거리(D)에 걸쳐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육각형 실린더(4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모터(10).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구조(42)는 복수의 중첩된 캐비티층(4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모터(10).
  7.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저층(44)은 밀폐형 금속 시트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모터(10).
  8.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통로층(48)은 마이크로홀(49)을 포함하는 금속 시트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모터(10).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감쇠장치(40)는 케이싱(50)에 고정되며,
    상기 케이싱은 상기 음향통로층(48)이 상기 팬(30)을 향해 지향되도록 상기 프레임(12)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모터(10).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50)은, 상기 제2 개구(24)를 부분적으로 덮는 적어도 2개의 부분(50a, 50b)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모터(10).
KR1020170101572A 2016-08-11 2017-08-10 음향감쇠장치를 포함하는 전기모터 KR201800184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657730A FR3055071B1 (fr) 2016-08-11 2016-08-11 Moteur electrique comprenant un dispositif d'attenuation acoustique
FRFR1657730 2016-08-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8418A true KR20180018418A (ko) 2018-02-21

Family

ID=57286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1572A KR20180018418A (ko) 2016-08-11 2017-08-10 음향감쇠장치를 포함하는 전기모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855139B2 (ko)
EP (1) EP3282562B1 (ko)
KR (1) KR20180018418A (ko)
CN (1) CN107742944B (ko)
FR (1) FR3055071B1 (ko)
ZA (1) ZA20170535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120379A1 (de) * 2018-08-21 2020-02-27 Carcoustics Techconsult Gmbh Abschirmelement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21903U (ko) * 1974-03-19 1975-10-04
US4435877A (en) * 1982-09-30 1984-03-13 Shop-Vac Corporation Noise reducing means for vacuum cleaner
EP0261295A1 (fr) * 1986-08-22 1988-03-30 S.A. Acec Transport Moteur électrique autoventilé
DE69804284T3 (de) * 1997-09-26 2009-07-23 DENSO CORPORATION, Kariya-shi Fahrzeugsgenerator
AU5457199A (en) * 1999-08-11 2001-03-05 Turk Elektrik Endustrisi A.S. Perforated acoustic silencer for electrical motors
JP4785674B2 (ja) * 2006-08-25 2011-10-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駆動式作業機
GB2468299B (en) * 2009-03-03 2012-06-20 Dyson Technology Ltd Noise reduction arrangement for a cleaning appliance.
CN201563022U (zh) * 2009-11-27 2010-08-25 金莱克电气股份有限公司 吸尘器电机的降噪结构
JP6376981B2 (ja) * 2015-01-20 2018-08-22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回転装置
FR3051988B1 (fr) * 2016-05-25 2019-10-11 Valeo Equipements Electriques Moteur Machine electrique tournante munie d'un chignon
US11139718B2 (en) * 2017-07-21 2021-10-05 Siemens Industry, Inc. Electric machine with auxiliary blower mounting arrangement and/or modular exhaust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ZA201705357B (en) 2021-08-25
CN107742944A (zh) 2018-02-27
US20180048211A1 (en) 2018-02-15
EP3282562B1 (fr) 2020-10-28
FR3055071B1 (fr) 2018-09-07
EP3282562A1 (fr) 2018-02-14
CN107742944B (zh) 2021-03-12
US10855139B2 (en) 2020-12-01
FR3055071A1 (fr) 2018-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95603B2 (ja) ガスタービン発電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る消音装置
JP4772272B2 (ja) 音響ライナー、流体圧縮装置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2010084768A (ja) 音響減衰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9121244A (ja) 防音密閉型発電機
JP5896982B2 (ja) 消音装置
JP2006228924A (ja) 電子機器収容箱
JP2019100335A (ja) 防音装置を備える真空ポンピングシステム
JP2007111308A (ja) 消音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JP3421947B2 (ja) エンジン駆動発電装置
KR20180018418A (ko) 음향감쇠장치를 포함하는 전기모터
JP2012147543A (ja) 電気機器の消音型空冷装置
KR102484539B1 (ko) 강력한 음향감쇠장치를 포함하는 전기모터
KR20180112310A (ko) 내연기관용 저배압 소음기
JP4690735B2 (ja) ファン騒音低減装置及びファン騒音低減方法
JP2009123990A (ja) 発熱体収納箱冷却装置
CN105864111A (zh) 一种火力发电厂风机噪声治理方法
KR102251367B1 (ko) 저소음 공기 순환 장치
JP5521648B2 (ja) 消音ボックス付送風機
JP2000213369A (ja) 発電装置
KR101802195B1 (ko) 소음저감형 선박용 공조장치
JP3974456B2 (ja) 発電装置
JP2000107642A (ja) 遠心分離機
KR20170100896A (ko) 소음기
JP2004011490A (ja) 発電装置
KR102046428B1 (ko) 저소음형 파워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