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0382A - 아실전이효소의 활성을 갖는 미생물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아실전이효소의 활성을 갖는 미생물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0382A
KR20180010382A KR1020160092228A KR20160092228A KR20180010382A KR 20180010382 A KR20180010382 A KR 20180010382A KR 1020160092228 A KR1020160092228 A KR 1020160092228A KR 20160092228 A KR20160092228 A KR 20160092228A KR 20180010382 A KR20180010382 A KR 201800103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ionine
acetyl
gly
microorganism
gl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2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1745B1 (ko
Inventor
홍소연
박진승
박혜민
최수진
문준옥
이성근
전진우
Original Assignee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60092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1745B1/ko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제일제당 (주) filed Critical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to CN201780057839.0A priority patent/CN110168091B/zh
Priority to ES17831346T priority patent/ES2946513T3/es
Priority to BR112019001067-0A priority patent/BR112019001067B1/pt
Priority to EP17831346.6A priority patent/EP3489361B1/en
Priority to HUE17831346A priority patent/HUE063574T2/hu
Priority to JP2019502580A priority patent/JP6959978B2/ja
Priority to CA3031318A priority patent/CA3031318C/en
Priority to NZ750131A priority patent/NZ750131B2/en
Priority to PCT/KR2017/007770 priority patent/WO2018016873A1/ko
Priority to PL17831346.6T priority patent/PL3489361T3/pl
Priority to US16/319,511 priority patent/US20190264215A1/en
Publication of KR20180010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03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1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1745B1/ko
Priority to US17/452,565 priority patent/US20220042000A1/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9/00Enzymes; Pro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for preparing, activating, inhibiting, separating or purifying enzymes
    • C12N9/10Transferases (2.)
    • C12N9/1025Acyltransferases (2.3)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0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 coli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4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rokaryotic hosts other than E. coli, e.g. Lactobacillus, Micromonospora
    • C12N15/77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rokaryotic hosts other than E. coli, e.g. Lactobacillus, Micromonospora for Corynebacterium; for Brevibacterium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9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 C12N15/80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for fungi
    • C12N15/81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for fungi for yeas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9/00Enzymes; Pro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for preparing, activating, inhibiting, separating or purifying enzymes
    • C12N9/10Transferases (2.)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9/00Enzymes; Pro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for preparing, activating, inhibiting, separating or purifying enzymes
    • C12N9/10Transferases (2.)
    • C12N9/1025Acyltransferases (2.3)
    • C12N9/1029Acyltransferases (2.3) transferring groups other than amino-acyl groups (2.3.1)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3/00Preparation of nitro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13/04Alpha- or beta- amino acids
    • C12P13/12Methionine; Cysteine; Cystin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203/00Acyltransferases (2.3)
    • C12Y203/01Acyltransferases (2.3) transferring groups other than amino-acyl groups (2.3.1)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07Bacillus
    • C12R2001/125Bacillus subtilis ; Hay bacillus; Grass bacillu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15Corynebacterium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38Pseudomonas
    • C12R2001/40Pseudomonas putida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203/00Acyltransferases (2.3)
    • C12Y203/01Acyltransferases (2.3) transferring groups other than amino-acyl groups (2.3.1)
    • C12Y203/01001Amino-acid N-acetyltransferase (2.3.1.1)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Enzymes And Modification Thereof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본원은 신규 아실전이효소의 폴리펩타이드 또는 이를 포함하는 미생물; 상기 폴리펩타이드 또는 미생물을 포함하는 N-아세틸-L-메티오닌의 제조용 조성물; 상기 폴리펩타이드 또는 미생물을 이용한 N-아세틸-L-메티오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원은 상기 폴리펩타이드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발현 벡터에 관한 것이다.
본원의 신규 아실전이효소를 포함하는 미생물은 아실전이효소의 활성이 강화되는 바, 본원의 미생물은 L-메티오닌을 아세틸화시켜 N-아세틸-L-메티오닌을 생산하는 데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아실전이효소의 활성을 갖는 미생물 및 이의 용도{Microorganisms having an acyltransferase activity and the use thereof}
본원은 아실전이효소 활성을 갖는 폴리펩타이드 또는 이를 포함하는 미생물; 상기 폴리펩타이드 또는 미생물을 포함하는 N-아세틸-L-메티오닌의 제조용 조성물; 상기 폴리펩타이드 또는 미생물을 이용한 N-아세틸-L-메티오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원은 상기 폴리펩타이드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발현 벡터에 관한 것이다.
N-아세틸메티오닌은 메티오닌의 유도체로 메티오닌과 효능은 비슷하나, 메티오닌 특유의 향을 감소시켜 식품에 첨가시 메티오닌 대비 다량첨가가 가능하다. 또한 반추위를 가지는 동물의 경우 메티오닌을 사료첨가제로 사용할 경우 반추위미생물에 의해 선이용되어 동물에게 흡수되지 않는데 반해, N-아세틸메티오닌의 경우 반추위를 통과하여 장에 도달 후 흡수되는 보호아미노산(rumen-protected amino acid)이다. N-아세틸-DL-메티오닌의 반추위에서의 분해 저항성은 공지된 바 있다(Amos et al., Journal of Animal Science, 1974, 39(3), pp. 612-617). 따라서 N-아세틸메티오닌의 생산은 산업적인 가치를 가지며, 특히 사료첨가제로 쓰이는 경우 흡수 속도가 빠르고 생체내 이용율이 높은 L형 아미노산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N-아세틸-L-메티오닌에 대한 연구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기존에 메티오닌을 N-아세틸메티오닌으로 전환한다고 보고된 효소의 경우 대장균의 YncA가 유일하다(US 8,143,031 B2). 상기 문헌의 경우, YncA의 비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DTNB 분석법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아세틸 조효소에이(acetyl-coA)를 사용하는 것을 확인하였을 뿐, 실제 N-아세틸메티오닌의 생산을 확인하지 못했다. 또한, YncA에 의해 형질전환된 형질전환체에 의해 실제 N-아세틸메티오닌을 생성되는지도 확인된 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미생물 발효나 효소반응을 통한 N-아세틸-L-메티오닌을 생산하고자 하는 지속적인 노력으로, N-아세틸-L-메티오닌 생산능이 있는 미생물을 탐색하여 신규 6종의 아실전이효소를 발굴하였고, 본 발명의 신규 아실전이효소 또는 이를 발현하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공지된 아실전이효소에 비해 N-아세틸-L-메티오닌을 고농도 및 경제적으로 생산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은 완성하였다.
본원의 하나의 목적은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6 중 어느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 또는 이와 90% 이상의 상동성을 가진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되는 폴리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아실전이효소의 활성을 갖는 미생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의 다른 목적은 L-메티오닌에 아세틸 전이 활성을 가지는,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6 중 어느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 또는 이와 90% 이상의 상동성을 가진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되는 폴리펩타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폴리펩타이드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발현 벡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의 또 다른 목적은 (i) 상기 미생물 또는 이의 배양물; (ii) 상기 폴리펩타이드; 또는 이들의 조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L-메티오닌으로부터 N-아세틸-L-메티오닌의 제조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의 또 다른 목적은 (i) 상기 미생물 또는 이의 배양물; (ii) 상기 폴리펩타이드;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L-메티오닌을 아세틸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N-아세틸-L-메티오닌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의 일 양태는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6 중 어느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 또는 이와 90% 이상의 상동성을 가진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되는 폴리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아실전이효소 활성을 갖는 미생물을 제공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아실전이효소(acyltransferase)"는 공여자로부터 아실기(acyl group)를 수용체로 전달하는 활성을 지닌 효소를 의미한다. 본원에서 상기 공여자는 아실기를 수용체에 제공할 수 있는 한 제한되지 않으나, 구체적으로 아세틸 조효소에이(acetyl-coA)일 수 있다. 또한, 본원에서 상기 수용체는 공여자로부터 아실기를 받을 수 있는 한 제한되지 않으나, 구체적으로 L-메티오닌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아실전이효소는 슈도모나스 속, 바실러스 속, 엔테로박터 속, 슈도비브리오 속, 야로위아 속, 또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유래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슈도모나스 푸티다,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엔테로박터 sp. 638, 슈도비브리오 sp. FO-BEG1, 야로위아 리포라이티카, 또는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유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아실전이효소는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6 중 어느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폴리펩타이드일 수 있다. 또한,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6 중 어느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과 70 % 이상, 구체적으로는 80 % 이상, 보다 구체적으로는 90% 이상의 상동성을 가지며, 실질적으로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6 중 어느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과 동일하거나 상응하게 아실전이효소 활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폴리펩타이드일 수 있다. 또는 이러한 상동성을 갖는 서열로서 실질적으로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6 중 어느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과 동일하거나 상응하게 아실전이효소 활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에서, 일부 서열이 결실, 변형, 치환 또는 부가된 아미노산 서열일 수 있으며, 이의 경우도 본원의 범주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상동성"이란, 폴리펩타이드를 코딩하는 유전자의 아미노산 서열 또는 염기 서열에 있어서, 특정 비교 영역에서 양 서열을 최대한 일치되도록 정렬 (align)시킨 후 서열 간의 염기 또는 아미노산 잔기의 동일한 정도를 의미한다. 상동성이 충분히 높은 경우 해당 유전자의 발현 산물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활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서열 동일성의 퍼센트는 공지의 서열 비교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일례로 BLAST(NCBI), CLC Main Workbench (CLC bio), MegAlignTM(DNASTAR Inc) 등을 들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아실전이효소 활성을 갖는 미생물"은 생물체 내 및/또는 생물체 밖으로 아실전이효소를 생산하는 미생물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본원의 미생물은 상기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6 중 어느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폴리펩타이드를 포함하고 있어 아실전이효소의 활성을 가지는 바, 수용체에 아실기를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원의 미생물은 L-메티오닌에 아세틸 전이 활성을 가져 N-아세틸-L-메티오닌을 생산할 수 있다. 본원에서 N-아세틸-L-메티오닌과 N-아세틸메티오닌은 혼용된다.
또한, 본원의 미생물은 상기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6 중 어느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폴리펩타이드를 내재적으로 포함하고 있는 미생물뿐만 아니라, 상기 폴리펩타이드의 활성이 내재적 활성에 비해 강화된 미생물도 포함한다. 즉, 아실전이효소의 생산 능력은 천연 또는 인위적 돌연변이 또는 종 개량에 의해 부여되거나 증진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폴리펩타이드 활성의 "강화"는, 미생물이 보유하고 있는 폴리펩타이드의 활성 상태를 향상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폴리펩타이드의 활성의 강화는 목적 폴리펩타이드의 활성의 강화와 같이 각 폴리펩타이드의 활성을 천연의 자연상태 또는 당해 폴리펩타이드의 비변이 상태보다 강화시킬 수 있는 한, 제한되지 않는다. 그 예로, i) 각 폴리펩타이드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카피수 증가, ii)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의 발현이 증가하도록 발현 조절 서열의 변형, iii) 각 폴리펩타이드의 활성이 강화되도록 염색체 상의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의 변형 및 iv)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 폴리펩타이드를 코딩하는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염색체에 삽입하는 방법,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를 벡터 시스템에 도입하여 미생물에 도입하는 방법, 각 폴리펩타이드를 코딩하는 염기 서열의 상류에 개량된 활성을 나타내는 프로모터를 도입하거나 프로모터에 변이를 준 각 폴리펩타이드를 도입하는 방법, 5'-UTR 지역의 염기 서열을 변형시키는 방법 및 각 폴리펩타이드를 코딩하는 염기 서열의 변이체를 도입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원에서 아실전이효소 활성을 갖는 미생물은 아실전이효소 활성을 가지는 한 미생물 유래에 상관없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에스체리치아 속(Escherichia sp.), 코리네박테리움 속(Corynebacterium sp.), 사카로마이세스 속( Saccharomyces sp.) 또는 야로위아 속(Yarrowia sp.)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대장균(Escherichia coli),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Corynebacterium glutamicum),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Saccharomyces cerevisiae) 또는 야로위아 리포라이티카(Yarrowia lipolytica)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원에서 아실전이효소 활성을 갖는 미생물은 공여자 및/또는 수용체의 세포막 투과성을 높인 미생물일 수 있다. 세포막의 투과성을 높이는 방법은 기존 공지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미생물을 동결 및 해동시키는 단계를 반복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원에서 아실전이효소 활성을 갖는 미생물은 배지에 아실기의 공여자 대신 포도당 등 미생물에서 공여자의 생합성 경로에 관련된 기질을 첨가하여 아실기가 전이된 산물을 생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원의 미생물을 아세틸조효소 에이 대신 포도당이 첨가된 배지에서 배양하여 N-아세틸-L-메티오닌을 생산할 수 있다.
또한, 본원에서 아실전이효소 활성을 갖는 미생물은 공여자로부터 아실기가 전달되는 수용체를 생합성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본원의 미생물은 아실기의 수용체인 L-메티오닌 생산능을 가져 L-메티오닌이 첨가되지 않은 배지에서 배양되더라도 N-아세틸-L-메티오닌을 생산할 수 있다.
또한, 본원에서 아실전이효소 활성을 갖는 미생물은 상기 아실전이효소와 별개로 N-아세틸-L-메티오닌 생산능을 증진시키기 위해 생합성 관련 경로나 기질 배출능력 관련 기작 등의 관련 기작에 대해 기존 공지의 변이가 추가적으로 도입된 변이 미생물일 수 있다.
본원의 일 양태는 아실전이효소의 활성을 가지는,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6 중 어느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 또는 이와 90% 이상의 상동성을 가진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되는 폴리펩타이드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아실전이효소의 활성은 L-메티오닌에 대한 아세틸 전이 활성일 수 있다.
상기 폴리펩타이드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원의 일 양태는 아실전이효소의 활성을 가지는,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6 중 어느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 또는 이와 90% 이상의 상동성을 가진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되는 폴리펩타이드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제공한다. 상기 폴리펩타이드는 전술한 바와 같다.
예를 들어,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서열번호 7 내지 서열번호 12 중 어느 하나의 염기 서열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유전 암호의 축퇴성(genetic code degeneracy)에 기인하여 동일 아미노산 서열을 코딩하는 염기 서열 및 이의 변이체 또한 본원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사용되는 미생물에 따라 최적인 코돈을 갖도록 개변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염기 서열과 70 % 이상, 구체적으로는 80 % 이상, 보다 구체적으로는 90% 이상의 상동성을 가지며, 실질적으로 상기 염기 서열과 동일하거나 상응하게 아실전이효소의 활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코딩하는 염기 서열일 수 있다. 또는 공지의 유전자 서열로부터 조제될 수 있는 프로브, 예를 들면, 상기 염기 서열의 전체 또는 일부에 대한 상보 서열과 엄격한 조건하에 하이드리드화하여, 아실전이효소의 활성을 갖는 폴리펩타이드을 암호화하는 서열이어도 좋다. 「엄격한 조건」이란, 소위 특이적인 하이브리드가 형성되고, 비특이적 하이브리드가 형성되지 않는 조건을 말한다. 일례를 나타내면, 상동성이 높은 유전자끼리, 예를 들면, 80% 이상, 구체적으로는 90% 이상, 보다 구체적으로는 95% 이상, 더욱 구체적으로는 97% 이상, 특히 구체적으로는 99% 이상의 상동성을 갖는 유전자끼리 하이브리드화하고, 그보다 상동성이 낮은 유전자끼리 하이브리드화하지 않는 조건, 또는 통상의 써던 하이브리드화의 세척 조건인 60℃, 1×SSC, 0.1% SDS, 구체적으로는 60℃, 0.1×SSC, 0.1% SDS, 보다 구체적으로는 68℃, 0.1×SSC, 0.1% SDS에 상당하는 염 농도 및 온도에서, 1회, 구체적으로는 2회 내지 3회 세정하는 조건을 열거할 수 있다(Sambrook et al.,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3rd Ed.,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Cold Spring Harbor, N.Y. (2001)).
상기 하이브리드화에 사용된 프로브는, 염기 서열의 상보 서열의 일부이어도 좋다. 이러한 프로브는, 공지의 서열에 근거하여 작제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를 프라이머로 하여, 이러한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유전자 단편을 주형으로 하는 PCR에 의해 작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브로서는, 300bp 정도 길이의 유전자 단편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프로브로서, 300bp 정도 길이의 유전자 단편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하이브리드화의 세척 조건으로서는, 50℃, 2×SSC 및 0.1% SDS가 열거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유전자, 이들이 코딩하는 폴리펩타이드 서열 및 프로모터 서열 등은 공지의 데이터 베이스에서 얻을 수 있으며, 그 예로 NCBI의 GenBank 등에서 얻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원의 일 양태는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발현 벡터를 제공한다.
본원의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발현 벡터는 적당한 숙주 세포에서 목적 단백질을 발현할 수 있는 발현 벡터로서, 폴리뉴클레오티드 삽입물이 발현되도록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필수적인 조절 요소를 포함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작제물을 말한다. 상기 제조된 재조합 벡터를 숙주 세포에 형질전환(transformation) 또는 형질감염(transfection) 시킴으로써, 목적하는 단백질들을 수득할 수 있게 된다.
본원에서 제공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발현 벡터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대장균 유래 플라스미드(pYG601BR322, pBR325, pUC118 및 pUC119),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유래 플라스미드(pUB110 및 pTP5), 효모-유래 플라스미드(YEp13, YEp24 및 YCp50) 및 아그로박테리움 매개 형질전환에 사용할 수 있는 Ti-플라스미드를 포함한다. 파아지 DNA의 구체적인 예로는 λ-파아지(Charon4A, Charon21A, EMBL3, EMBL4, λgt10, λgt11 및 λZAP)가 있다. 또한, 레트로바이러스(retrovirus), 아데노바이러스(adenovirus) 또는 백시니아 바이러스(vaccinia virus)와 같은 동물 바이러스, 배큘로바이러스(baculovirus)와 같은 곤충 바이러스, 이중 가닥 식물 바이러스(예, CaMV), 단일가닥 바이러스 또는 게미니 바이러스로부터 유래된 바이러스 벡터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벡터로서, 핵산 발현 활성화 단백질(예를 들어, B42같은)이 연결된 융합 플라스미드(fusion plasmid, 예를 들어, pJG4-5)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회수되는 목적 단백질의 정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플라스미드 벡터는 필요에 따라 다른 서열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융합 플라스미드에는 GST, GFP, His-tag, Myc-tag 등을 태그(tag)로 포함할 수 있으나, 상기 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융합 플라스미드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융합 단백질의 제조에 있어, 크로마토그래피 공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융합 단백질은 특히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될 수 있다. 예컨대, 글루타티온-S-트랜스퍼라제가 융합된 경우에는 이 효소의 기질인 글루타티온을 이용할 수 있고, 헥사히스티딘이 이용된 경우에는 Ni-NTA His-결합 레진 컬럼(Novagen, USA)을 이용하여 원하는 목적 단백질을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다.
본원의 폴리뉴클레오티드를 벡터로 삽입하기 위해, 정제된 DNA를 적당한 제한효소로 절단하여 적당한 벡터 DNA의 제한 부위 또는 클로닝 부위에 삽입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본원의 폴리펩타이드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벡터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본원의 벡터는 프로모터 및 본원의 핵산 외에 인핸서(enhancer)와 같은 시스 요소(cis element), 스플라이싱 시그널(splicing signal), 폴리 A 추가 시그널(poly A addition signal), 선택 마커(selection marker), 라이보좀 결합 서열(ribosome binding sequence, SD sequence)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선택 마커의 예로, 클로람페니콜 저항 핵산, 암피실린 저항 핵산, 디하이드로폴레이트 환원효소(dihydrofolate reductase), 네오마이신 저항 핵산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상기 예들에 의해 작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추가적 구성요소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본 발명에서 용어, "형질전환"은 DNA를 숙주로 도입하여 DNA가 염색체의 인자로서 또는 염색체 통합 완성에 의해 복제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외부의 DNA를 세포 내로 도입하여 인위적으로 유전적인 변화를 일으키는 현상을 의미한다.
상기 형질전환으로 본원의 폴리펩타이드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발현 벡터 또는 상기 발현 벡터의 일부를 숙주 세포 내에 도입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발현 벡터의 일부란, 숙주 세포 내에 상기 아실전이효소의 활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본원의 폴리펩타이드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부분을 포함하는 발현 벡터의 부분을 의미한다. 예컨대, 아그로박테리아 매개 형질전환법에서 숙주 세포 내로 전달되는 Ti 플라스미드의 T-DNA를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형질전환 방법은 임의의 형질전환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당업계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형질전환 방법에는 CaCl2 침전법, CaCl2 방법에 DMSO(dimethyl sulfoxide)라는 환원물질을 사용함으로써 효율을 높인 Hanahan 방법, 전기천공법(electroporation), 인산칼슘 침전법, 원형질 융합법, 실리콘 카바이드 섬유를 이용한 교반법, 아그로박테리아 매개된 형질전환법, PEG를 이용한 형질전환법, 덱스트란 설페이트, 리포펙타민 및 건조/억제 매개된 형질전환 방법 등이 있다. 본원의 폴리펩타이드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벡터를 형질전환시키기 위한 방법은 상기 예들에 국한되지 않으며,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형질전환 또는 형질감염 방법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서 형질전환체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숙주 세포의 종류는 본원의 폴리뉴클레오티드를 발현하도록 하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숙주의 특정한 예로는 대장균(E. coli)과 같은 에스케리키아(Escherichia) 속 세균;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같은 바실러스(Bacillus) 속 세균; 슈도모나스 푸티다(Pseudomonas putida)같은 슈도모나스(Pseudomonas) 속 세균;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 스키조사카로마이세스 폼베(Schizosaccharomyces pombe)와 같은 효모; 동물세포, 식물세포 및 곤충 세포가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대장균 균주의 구체적인 예로는 CL41(DE3), BL21 또는 HB101이,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의 구체적인 예로는 WB700 또는 LKS87이 있다.
본원의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발현 벡터가 도입된 형질전환체는 형질전환세포 또는 생물체의 형태일 수 있다.
본원에서 프로모터는, 본원의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숙주에서 발현하도록 하는 한 어떠한 프로모터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trp 프로모터, lac 프로모터, PL 프로모터 또는 PR 프로모터 같은 대장균 또는 파아지-유래 프로모터; T7 프로모터 같은 대장균 감염 파아지-유래 프로모터, CaMV35S, MAS 또는 히스톤 프로모터, cj7 프로모터(한국 공개 공보 제10-2004-0107215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tac 프로모터 같은 인공적으로 변형된 프로모터도 사용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양태는 (i) 본원의 미생물 또는 이의 배양물; (ii) 본원의 폴리펩타이드;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L-메티오닌을 아세틸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N-아세틸-L-메티오닌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조방법은 (i) 본원의 미생물 또는 이의 배양물; (ii) 본원의 폴리펩타이드;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L-메티오닌을 아세틸화하는 단계; 및 상기 아세틸화된 L-메티오닌인, N-아세틸-L-메티오닌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배양"은 상기 미생물을 적당히 조절된 환경 조건에서 생육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의 배양과정은 당업계에 알려진 적당한 배지와 배양조건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배양 과정은 선택되는 균주에 따라 당업자가 용이하게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을 배양하는 단계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공지된 회분식 배양방법, 연속식 배양방법, 유가식 배양방법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원의 미생물의 배양에 사용되는 배지 및 기타 배양 조건은 통상의 미생물의 배양에 사용되는 배지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으나, 구체적으로는 본원의 미생물을 적당한 탄소원, 질소원, 인원, 무기화합물, 아미노산 및/또는 비타민 등을 함유한 통상의 배지 내에서 호기성 조건 하에서 온도, pH 등을 조절하면서 배양할 수 있다.
본원에서 상기 탄소원으로는 글루코오스, 프룩토오스, 수크로오스, 말토오스, 만니톨, 소르비톨 등과 같은 탄수화물; 당 알코올, 글리세롤, 피루브산, 락트산, 시트르산 등과 같은 알코올; 유기산, 글루탐산, 메티오닌, 리신 등과 같은 아미노산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전분 가수분해물, 당밀, 블랙스트랩 당밀, 쌀겨울, 카사버, 사탕수수 찌꺼기 및 옥수수 침지액 같은 천연의 유기 영양원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글루코오스 및 살균된 전처리 당밀(즉, 환원당으로 전환된 당밀) 등과 같은 탄수화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외의 적정량의 탄소원을 제한 없이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들 탄소원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종 이상이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질소원으로는 암모니아, 황산암모늄, 염화암모늄, 초산암모늄, 인산암모늄, 탄산안모늄, 질산암모늄 등과 같은 무기질소원; 글루탐산, 메티오닌, 글루타민 등과 같은 아미노산, 펩톤, NZ-아민, 육류 추출물, 효모 추출물, 맥아 추출물, 옥수수 침지액, 카세인 가수분해물, 어류 또는 그의 분해생성물, 탈지 대두 케이크 또는 그의 분해 생성물 등과 같은 유기 질소원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질소원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종 이상이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인원으로는 인산 제1칼륨, 인산 제2칼륨, 또는 이에 대응되는 소디움-함유 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무기화합물로는 염화나트륨, 염화칼슘, 염화철, 황산마그네슘, 황산철, 황산망간, 탄산칼슘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외에 아미노산, 비타민 및/또는 적절한 전구체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배지 또는 전구체는 배양물에 회분식 또는 연속식으로 첨가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원에서, 미생물의 배양 중에 수산화암모늄, 수산화칼륨, 암모니아, 인산, 황산 등과 같은 화합물을 배양물에 적절한 방식으로 첨가하여, 배양물의 pH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배양 중에는 지방산 폴리글리콜 에스테르와 같은 소포제를 사용하여 기포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배양물의 호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배양물 내로 산소 또는 산소 함유 기체를 주입하거나 혐기 및 미호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기체의 주입 없이 혹은 질소, 수소 또는 이산화탄소 가스를 주입할 수 있다.
배양물의 온도는 본원 미생물에 따라 다르며, 구체적으로, 20℃ 내지 50℃, 보다 구체적으로는 25℃ 내지 40℃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배양 기간은 원하는 유용 물질의 생성량이 수득될 때까지 계속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10 시간 내지 100 시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원에서 용어, "배양물"은 본원의 미생물을 배양한 다음 수득한 산물을 의미한다. 상기 배양물은 미생물을 포함하는 형태 및 상기 미생물을 포함하는 배양액에서 원심분리 등으로 미생물을 제거한 형태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본원에서 L-메티오닌은 본원의 미생물이 생산하거나 또는 배지에 첨가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원에서 N-아세틸-L-메티오닌을 회수하는 단계는 본원의 미생물의 배양 방법, 예를 들어 회분식, 연속식 또는 유가식 배양 방법 등에 따라 당해 기술 분야에 공지된 적합한 방법을 이용하여 배양액으로부터 목적하는 N-아세틸-L-메티오닌을 회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심분리, 여과, 음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 결정화 및 HPLC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당해 분야에 공지된 적합한 방법을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회수 단계는 분리 공정 및/또는 정제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양태는 (i) 본원의 미생물 또는 이의 배양물; (ii) 본원의 폴리펩타이드; 또는 이들의 조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L-메티오닌으로부터 N-아세틸-L-메티오닌의 제조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미생물, 배양물, 폴리펩타이드 및 N-아세틸-L-메티오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원의 신규 아실전이효소를 포함하는 미생물은 아실전이효소의 활성이 강화되는 바, 본원의 미생물은 L-메티오닌을 아세틸화시켜 N-아세틸-L-메티오닌을 생산하는 데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원을 하기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원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원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N-아세틸메티오닌 생산 신규효소 선별
실시예 1-1. N-아세틸 L-메티오닌 생산 미생물 선별
N-아세틸-L-메티오닌 생산능을 갖는 미생물로, 무작위적으로 선별된 6종의 미생물 배양액 (슈도모나스 푸티다,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엔테로박터 sp. 638, 슈도비브리오 sp. FO-BEG1, 야로위아 리포라이티카 PO1f (ATCC MYA-2613TM),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ATCC 13032)에서 생성물인, N-아세틸메티오닌 스팟(spot)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슈도모나스 푸티다,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엔테로박터 sp. 638, 야로위아 리포라이티카 PO1f의 경우 YPD (1% yeast extract, 2% bacto-peptone, 2% glucose) 액체배지 3 ml을 함유하는 14 ml의 1 회용 배양 튜브에 접종하여 30 ℃, 200 rpm의 조건으로 24시간 동안 진탕 배양하여 종배양액을 확보하였다. 메치오닌 0.5% (5g/L)가 포함된 YPD 액체배지 24 ml을 함유하는 250 ml 코너-바플 플라스크에 상기 종배양액 1 ml을 접종하고, 30 ℃, 200 rpm에서 24시간 동안 진탕 배양하였다.
또한, 슈도비브리오 sp. FO-BEG1의 경우, BACTO Marine broth (Difco 2216) 액체배지 3 ml을 함유하는 14 ml의 1회용 배양 튜브에 접종하여 28 ℃, 200 rpm의 조건으로 24시간 동안 진탕 배양하여 종배양액을 확보하였다. 메치오닌 0.5% (5g/L)가 포함된 BACTO Marine broth 액체배지 24 ml을 함유하는 250 ml 코너-바플 플라스크에 상기 종배양액 1 ml을 접종하고, 28 ℃, 200 rpm에서 24시간 동안 진탕 배양하였다.
또한,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ATCC 13032의 경우, 전용 복합 액체배지 (성분 하기 표시) 3 ml을 함유하는 14 ml의 1회용 배양 튜브에 접종하여 30 ℃, 200 rpm의 조건으로 24시간 동안 진탕 배양하여 종배양액을 확보하였다. 메치오닌 0.5% (5g/L)가 포함된 복합 액체배지 24 ml을 함유하는 250 ml 코너-바플 플라스크에 상기 종배양액 1 ml을 접종하고, 37 ℃, 200 rpm에서 24시간 동안 진탕 배양하였다.
<복합 액체배지>
포도당 20g, 펩톤 10g, 효모추출물 5g, 요소 1.5g, KH2PO4 4g, K2HPO4 8g, MgSO47H2O 0.5g, 바이오틴 100㎍, 티아민 HCl 1000㎍, 칼슘-판토텐산 2000㎍, 니코틴아미드 2000㎍, 카나마이신 25 mg (증류수 1 리터 기준)
배양을 종료한 후, 50 ℃ 오븐에서 밤새 정치하여 배양액을 농축하고, 농축된 배양액 1 μl를 박층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조군으로 10 mM N-아세틸-L-메티오닌 시약(Sigma Aldrich 01310)의 1 μl을 사용하였다. 상기 6종의 미생물의 배양액 농축액에서 대조군과 같은 스팟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로부터 N-아세틸-L-메티오닌 생산능을 가지는 6종의 미생물은 L-메티오닌을 기질로 하는 아실전이효소가 있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실시예 1-2. 신규 아실전이효소 서열 확인
실시예 1-1에서 선별된 미생물 6종에서 메티오닌 아실전이효소를 선별하였다. 선별된 단백질은 기존 메티오닌 아실전이효소로 공지된 YncA와의 아미노산 서열을 기준으로 상기 미생물의 종으로 데이터베이스를 제한하여 각각 이종 상동성 검색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탐색된 6종의 효소 모두 YncA 아미노산 서열과의 상동성이 낮은 편으로, 가장 높은 엔테로박터 sp. 638 유래의 아실전이효소 서열의 상동성이 82 %였다. 각 효소의 YncA와의 상동성을 표 1에 기재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상기 6종의 폴리펩타이드는 기존 아실전이효소와 상동성이 낮은 신규한 아실전이효소 활성을 갖는 폴리펩타이드이며, 이를 포함하는 미생물 역시, 기존에 알려져 있지 않은 신규한 아실전이효소 활성을 갖는 미생물임을 시사하는 것이다.
Figure pat00001
실시예 2. 신규한 아실전이효소 이용 in vitro 효소 전환 방법을 통한 N- 아세틸메티오닌 생산
실시예 2-1. 신규 아실전이효소 유전자 도입 대장균 제작
슈도모나스 유래, 바실러스 유래, 엔테로박터 유래, 슈도비브리오 유래의 신규 아실전이효소 유전자(서열번호 7, 8, 9, 10)는 각 효소의 아미노산 서열 (서열번호 1, 2, 3, 4)에 근거해 대장균에 최적화된 코돈으로 합성되었다.
야로위아 유래의 신규 아실전이효소 유전자 획득을 위하여 야로위아 리포라이티카 PO1f (ATCC MYA-2613TM)의 gDNA를 추출하였다. 상기 gDNA를 주형으로 하고 프라이머 1과 2를 이용한 연쇄중합반응을 시행하여 원하는 크기의 유전자(서열번호 11) 및 아미노산 서열(서열번호 5)를 수득하였다.
코리네박테리움 유래의 신규 아실전이효소 유전자 획득을 위하여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Corynebacterium glutamicum) ATCC 13032를 고체 배지에 획선으로 도말한 후 밤새 배양하여 콜로니를 얻었다. 한 콜로니를 주형으로 하고 프라이머 3과 4를 이용한 PCR (연쇄중합반응)법을 시행하여 0.5 Kb 정도 크기의 유전자(서열번호 12) 및 아미노산 서열(서열번호 6)을 수득하였다. 이때, PCR법은 94℃에서 5분간 변성 후, 94℃/30초 변성, 56℃/30초 어닐링, 72℃/1분 중합을 30회 반복한 후, 72℃에서 7분간 중합반응시켜서 수행되었다.
상기 6종의 DNA를 제한효소 NdeI, XbaI으로 처리한 후, 동일한 제한효소로 처리된 pUCtk 벡터에 라이게이션하였다. 상기 제작된 재조합 플라스미드를 대장균 DH5α에 42 ℃, 90초 열충격을 가해 형질전환시킨 후, 이를 카나마이신 함유 LB 고체 배지에 도말하여 37 ℃에서 밤새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에서 얻어진 콜로니 하나를 카나마이신 함유 LB 액체 배지 3 ml에 접종하여 밤새 배양한 후, 플라스미드 미니프렙키트 (Bioneer, Korea)를 이용하여 재조합 플라스미드를 회수하였다. 회수한 재조합 플라스미드의 서열정보를 시퀀싱 (Macrogen, Korea)을 통하여 확인하였고, 각각 pUCtk-ppmat, pUCtk-bsmat, pUCtk-entmat, pUCtk-pvmat, pUCtk-ylmat, pUCtk-cgmat로 명명하였다.
상기 재조합 플라스미드를 대장균 BL21(DE3)에 열충격법을 이용해 도입하여 카나마이신 함유 LB 고체 배지에 도말한 후 살아남은 콜로니를 형질전환체로 선택하였다. 선택된 형질전환체를 각각 BL21(DE3)/pUCtk-ppmat(또는, E. coli CC03-9001), BL21(DE3)/pUCtk-bsmat(또는, E. coli CC03-9002), BL21(DE3)/pUCtk-entmat(또는, E. coli CC03-9003), BL21(DE3)/pUCtk-pvmat(또는, E. coli CC03-9004), BL21(DE3)/pUCtk-ylmat(또는, E. coli CC03-9005), BL21(DE3)/pUCtk-cgmat(또는, E. coli CC03-9006)로 명명하였다. 또한, 상기 형질전환체를 부다페스트 조약하에 2016년 7월 15일자로 한국미생물보존센터(Korean Culture Center of Microorganisms, KCCM)에 기탁하여 상기 기재 순서에 따라 각각 기탁번호 KCCM11863P, KCCM11864P, KCCM11865P, KCCM11866P, KCCM11867P, KCCM11868P를 부여 받았다.
선택된 형질전환 대장균의 N-아세틸메티오닌 생산 능력을 사전 조사하기 위해 콜로니 하나를 카나마이신 25mg/L, 포도당 0.2% (w/v)이 함유된 LB 액체 배지 3 ml에 접종하여, 37 ℃에서 5시간 배양 후, 메티오닌을 2% (w/v) 되도록 첨가하여 3시간 더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액 1 μl를 시용하여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LC) 분석을 통해 N-아세틸메티오닌 생산 여부를 사전조사하였다. 상기 배양액 모두에서 N-아세틸메티오닌으로 추정되는 스팟이 발견되었고, 스팟의 진하기는 BL21(DE3)/pUCtk-ppmat, BL21(DE3)/pUCtk-entmat, BL21(DE3)/pUCtk-bsmat, BL21(DE3)/pUCtk-cgmat, BL21(DE3)/pUCtk- pvmat, BL21(DE3)/pUCtk-ylmat 순이었다.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실시예 2-2. 신규 아실전이효소를 이용한 N- 아세틸메티오닌 생산능 확인
상기 실시예 2-1에서 제작한 형질전환 대장균의 콜로니 하나를 카나마이신 25mg/L, 포도당 0.2% (w/v)이 함유된 LB 액체 배지 3 ml에 접종하여 37 ℃에서 8시간 배양한 후, 동일배지 50 ml에 접종하여 밤새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펠렛을 얻고 pH 7.0의 50 mM 인산버퍼 5 ml에 현탁한 후 sonication을 이용해 세포를 파쇄하였다. 세포 debris는 14,000 rpm에서 30분 원심분리하여 제거하고 상등액을 수득하였다. 신규 아실전이효소의 크기가 모두 19 kDa 근처임을 감안해 Amicon Ultra (Milipore, Ireland) 30-kDa cut-off membrane을 통과한 여과액을 10-kDa cut-off membrane에 통과시켜 필터 위에 남은 농축액을 얻었다. 상기 농축액을 Q sepharose가 충진된 HiTrap Q FF 칼럼(GE, USA)에 충진하고 NaCl 농도 gradient(80, 100, 150, 200, 300, 500 mM 순서)를 이용하여 신규 아실전이효소를 순수하게 분리하였다. 희석된 효소는 Amicon Ultra 10-kDa cut-off membrane을 통하여 재농축하였다. 신규 아실전이효소의 과발현 정도와 정제 정도는 SDS-PAGE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상기 정제된 신규 아실전이효소의 활성 정도를 분석하기 위해, 20 mM 아세틸조효소 에이, 20 mM 메티오닌을 함유한 pH 7.0 인산버퍼 50 mM에 효소 농축액을 넣고, 37 ℃에서 10분간 반응한 후 생성된 N-아세틸메티오닌 양을 HPLC(Shimadzu, system controller CBM-20A 및 기타 악세서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상기 정제된 신규 아실전이효소의 농도를 Bradford 분석법을 통하여 측정한 후, 생성된 N-아세틸메티오닌 값을 효소의 농도로 나누어 효소의 비활성을 비교하였다(표 3).
정제된 신규 아실전이효소 중 슈도모나스 푸티다 유래 효소가 3.8 U/mg으로 가장 높은 비활성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문헌상의 YncA의 비활성이 0.745 U/mg인 것을 비교할 때(US 8143031 B2, Table 3), 5배가 높은 활성이다. 이 밖에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유래 효소와 엔테로박터 sp. 638 유래 효소는 각각 1.6 U/mg, 1.7 U/mg의 비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이 역시 YncA 대비 2배 이상의 활성이다. 슈도비브리오 sp. FO-BEG1, 야로위아 리포라이티카,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유래의 신규 아실전이효소의 비활성은 1 U/mg에 미치지 못하게 낮았으나, SDS-PAGE 상 발현량이 적지 않아 숙주 내에서의 발현량 정도에 따라 형질전환체의 N-아세틸메티오닌 생산능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표 3).
Figure pat00004
실시예 3. 슈도모나스 푸티다 유래 신규 아실전이효소를 이용한 N- 아세틸메티오닌 전환반응
3-1. 슈도모나스 푸티다 유래 정제된 신규 아실전이효소를 이용한 N- 아세틸메티오닌 전환반응
상기 실시예 2에서 비활성이 가장 높았던 슈도모나스 푸티다의 정제 효소 1 mg을 이용하여 메티오닌 전환반응을 수행하였다. 반응액으로 20 mM 메티오닌과 20 mM 아세틸조효소 에이를 함유한 pH 7.0의 50 mM 인산버퍼 3 ml을 사용하였다. 37 ℃, 150 rpm 조건에서 3시간 반응 후 반응액을 HPLC(SHIMADZU, SYSTEM CONTROLLER CBM-20A 및 기타 악세서리)로 분석하였을 때, 3.1 g/L의 N-아세틸메티오닌의 생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반응액 중의 메티오닌과 아세틸조효소 에이를 75% 이상 전환한 값이다.
3-2. 슈도모나스 푸티다 유래 아실전이효소를 도입한 세포의 세포막 투과성 증가에 따른 N-아세틸메티오닌 전환반응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슈도모나스 푸티다 유래 신규 아실전이효소 유전자를 도입하여 만든 형질전환 대장균 BL21(DE3)/pUCtk-ppmat의 콜로니 하나를 카나마이신 25mg/L, 포도당 1% (w/v)이 함유된 LB 액체 배지 3 ml에 접종하여 37 ℃에서 8시간 배양한 후, 배양액 500 μl를 카나마이신 25mg/L, 포도당 0.2 % (w/v)가 함유된 LB 액체 배지 50 ml에 접종하여 밤새 배양하였다. 배양액을 원심분리를 이용하여 세포 펠렛을 얻어 영하 20 ℃ 냉동고에서 얼렸다. 완전히 얼은 세포 펠렛을 상온에서 다시 녹이고 얼리는 과정을 3회 반복하여 세포막에 고투과성을 부가하였다. pH 7.0의 50 mM 인산버퍼를 더하여 총 부피가 5 ml이 되게 재현탁하여 배양액을 농축하였다. 15 ml 시험관에 메티오닌 2% (w/v)이 함유된 50 mM 인산버퍼 (pH 7.0) 1.8 ml; 메티오닌 2 % (w/v), 아세틸조효소 에이 20 mM이 함유된 50 mM 인산버퍼 (pH 7.0) 1.8 ml; 및 메티오닌 2 % (w/v), 포도당 2 % (w/v)이 함유된 50 mM 인산버퍼 (pH 7.0) 1.8 ml을 각각 넣고, 상기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세포막 투과성이 증가된 효소균 200 μL씩을 혼합하여 각각 총 2 ml가 되게 조제한 후 37 ℃, 150 rpm에서 10시간 반응하였다. 상기 반응액에 포도당을 첨가하는 목적은 반응과정에서 부족해질 수 있는 아세틸조효소 에이의 생성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으로, 대장균의 생존을 위한 것은 아니다. 반응액을 HPLC(SHIMADZU, SYSTEM CONTROLLER CBM-20A 및 기타 악세서리)로 분석한 결과를 표 4에 기재하였다. 발효 때보다 아세틸조효소 에이를 첨가했을 때, 미첨가시보다 몰전환율이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또한 아세틸조효소 에이 대신 포도당만을 첨가해도 몰전환율이 증가되는 것을 보아, 포도당 첨가가 아세틸조효소 에이의 증가분을 만드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고투과성 세포막을 가진 균주를 이용한 결과 N-아세틸메티오닌의 고농도 생산이 가능하였으며, 아세틸조효소 에이 대신 포도당만을 배지에 첨가해도 N-아세틸메티오닌을 고농도로 생산하였다.
Figure pat00005
실시예 4. 신규 아실전이효소를 도입한 형질전환체의 발효를 통한 N-아세틸-L-메티오닌 생산
실시예 4-1. 신규 아실전이효소를 도입한 대장균을 통한 N-아세틸-L-메티오닌 생산
실시예 2에서 제작한 형질전환체 6종의 각 콜로니 하나를 카나마이신 25mg/L, 포도당 1 % (w/v) 함유된 LB 액체 배지 3 ml에 접종하여 37 ℃에서 8시간 배양한 후, 배양액 500 μl를 카나마이신 25mg/L, 포도당 0.2 % (w/v), 메티오닌 2 % (w/v) 함유된 LB 액체 배지 50 ml에 접종하여 밤새 배양하였다. 이때 대조군으로 pUCtk 공벡터를 BL21 (DE3)에 형질전환하여 사용하였다. 배양액 내 세포를 원심분리로 제거하고 HPLC(SHIMADZU, SYSTEM CONTROLLER CBM-20A 및 기타 악세서리)를 이용해 생성된 N-아세틸메티오닌을 분석하였다. BL21(DE3)/pUCtk-ppmat의 경우 가장 높은 3.03 g/L의 농도로 N-아세틸메티오닌을 생산하였고, BL21(DE3)/pUCtk-entmat가 2.23 g/L로 두번째로 높은 N-아세틸메티오닌 농도를 보였다. 공벡터의 경우도 미량의 N-아세틸메티오닌이 검출되었는데 이는 대장균이 보유하고 있는 YncA 효소의 역할인 것으로 추정된다(표 5).
Figure pat00006
실시예 4-2. 신규 아실전이효소를 도입한 코리네박테리움을 통한 N-아세틸-L-메티오닌 생산
4-2-1. 코리네박테리움속 미생물 도입용 아실전이효소 과발현 벡터 제작
상기 실시예 1로부터 확인된 신규 아실전이효소(서열번호 1, 2, 3, 4, 5, 6)의 N-아세틸-L-메티오닌 생산 효과를 코리네박테리움속 미생물에서 확인하고자 해당 유전자를 과발현하기 위한 벡터를 제작하였다. 염기 서열 7, 8, 9, 10, 11, 12에 근거하여 5' 말단에 EcoRV 제한효소 부위를 삽입한 프라이머와 3' 말단에 PstI 부위를 삽입한 프라이머를 합성하였다.
염기 서열 7 기반의 유전자는 상기 실시예 1의 벡터 pUCtk-ppmat를 주형으로 하고 프라이머 5와 6을 이용한 PCR법을 통하여 중합되었다. 염기 서열 8 기반의 유전자는 상기 실시예 1의 벡터 pUCtk-bsmat를 주형으로 하고 프라이머 7과 8을 이용한 PCR법을 통하여 중합되었다. 염기 서열 9 기반의 유전자는 상기 실시예 1의 벡터 pUCtk-entmat를 주형으로 하고 프라이머 9와 10을 이용한 PCR법을 통하여 중합되었다. 염기 서열 10 기반의 유전자는 상기 실시예 1의 벡터 pUCtk-pvmat를 주형으로 하고 프라이머 11과 12을 이용한 PCR법을 통하여 중합되었다. 염기 서열 11 기반의 유전자는 상기 실시예 1의 벡터 pUCtk-ylmat를 주형으로 하고 프라이머 13과 14를 이용한 PCR법을 통하여 중합되었다. 염기 서열 12 기반의 유전자는 상기 실시예 1의 벡터 pUCtk-cgmat를 주형으로 하고 프라이머 15와 16 을 이용한 PCR법을 통하여 중합되었다.
아실전이효소의 프로모터는 cj7 프로모터(한국 공개 공보 제10-2004-0107215호)를 사용하였다. 프로모터 cj7 DNA 단편을 획득하기 위해서 5' 말단에 KpnI 제한효소를 삽입한 프라이머와 3' 말단에 EcoRV 부위를 삽입한 프라이머를 합성하고, p117-cj1-gfp를 주형으로 한 PCR법을 통하여 cj7 프로모터를 증폭하였다(한국 공개 특허 제10-2004-0107215호). 이때, PCR법은 94℃에서 5분간 변성 후, 94℃/30초 변성, 56℃/30초 어닐링, 72℃/1분 중합을 30회 반복한 후, 72℃에서 7분간 중합 반응시켜서 수행되었다.
증폭된 6종의 아실전이효소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제한효소 PstI으로 처리하여 DNA 절편을 획득하고, 프로모터 cj7 폴리뉴클레오티드는 KpnI과 EcoRV로 처리하여 DNA 절편을 획득하였다. 6개의 DNA 절편을 획득한 후, 에세리키아와 코리네박테리움의 셔틀 벡터인 pECCG117벡터의 KpnI, PstI 부위에 연결하여 대장균 DH5α에 형질전환하고 카나마이신(25mg/L)이 포함된 LB 고체배지에 도말하였다. PCR을 통해 유전자가 삽입된 벡터로 형질전환된 콜로니를 선별한 후, 통상에 알려진 플라스미드 추출법을 이용하여 플라스미드를 획득하여 각각 pECCG117-Pcj7-ppmat, pECCG117-Pcj7-bsmat, pECCG117-Pcj7-entmat, pECCG117-Pcj7-pvmat, pECCG117-Pcj7-ylmat, pECCG117-Pcj7-cgmat라고 명명하였다.
4-2-2. 신규 아실전이효소 과발현 벡터 도입 균주 제작 및 N-아세틸-L-메치오닌 생산능 확인
상기 실시예 4-2-1에서 제조한 벡터 pECCG117-Pcj7-ppmat, pECCG117-Pcj7-bsmat, pECCG117-Pcj7-entmat, pECCG117-Pcj7-pvmat, pECCG117-Pcj7-ylmat, pECCG117-Pcj7-cgmat와 실험 대조군의 pECCG117 벡터를 각각 전기펄스법을 이용하여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ATCC13032에 도입한 후, 카나마이신 (25 mg/L) 이 포함된 복합평판 배지에 도말하고 30 ℃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콜로니를 획득하였다. 획득한 균주는 13032/pECCG117-Pcj7-ppmat, 13032/pECCG117-Pcj7-bsmat, 13032/pECCG117-Pcj7-entmat, 13032/pECCG117-Pcj7-pvmat, 13032/pECCG117-Pcj7-ylmat, 13032/pECCG117-Pcj7-cgmat, 13032/pECCG117로 명명하였다. 형질전환체의 N-아세틸메치오닌 생산능을 확인하기 위해 카나마이신(25 mg/L)이 포함된 복합액체배지 3 ㎖을 함유하는 14 ㎖의 1회용 배양 튜브에 상기 균주를 접종하고, 30 ℃, 200 rpm의 조건으로 24시간 동안 진탕 배양하여 종배양액을 확보하였다. 카나마이신(25 mg/L)과 메치오닌 2% (20g/L)가 포함된 복합액체배지 24 ㎖을 함유하는 250 ㎖ 코너-바플 플라스크에 상기 종배양액 1 ml을 접종하고, 37 ℃, 200 rpm에서 24시간 동안 진탕 배양하였다. 배양을 종료한 후, HPLC(SHIMADZU, SYSTEM CONTROLLER CBM-20A 및 기타 악세서리)를 이용하여 N-아세틸메치오닌 농도를 분석하였다(표 6).
대조군으로 제작한 형질전환체 13032/pECCG117의 경우 1.07 g/L의 N-아세틸메티오닌을 생산했는데 이는 모균주인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이 보유한 아실전이효소의 능력으로 보이고, 6종의 신규아실전이효소를 과발현시킨 결과 원래 능력보다 더 많은 N-아세틸메티오닌을 생산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복합평판배지>
포도당 20g, (NH4)2SO4 50g, 펩톤 10g, 효모추출물 5g, 요소 1.5g, KH2PO4 5g, K2HPO4 10g, MgSO4·7H2O 0.5g, 바이오틴 100㎍, 티아민 염산염 1000㎍, 칼슘-판토텐산 2000㎍, 니코틴아미드 2000㎍, 한천 20g, 카나마이신 25 mg (증류수 1L 기준)
<복합액체배지>
포도당 20g, 펩톤 10g, 효모추출물 5g, 요소 1.5g, KH2PO4 4g, K2HPO4 8g, MgSO4·7H2O 0.5 g, 바이오틴 100㎍, 티아민 HCl 1000㎍, 칼슘-판토텐산 2000㎍, 니코틴아미드 2000㎍, 카나마이신 25 mg (증류수 1L 기준)
Figure pat00007
실시예 4-3. 신규 아실전이효소가 도입된 사카로마이세스를 통한 N-아세틸-L-메티오닌 생산
실시예 4-3-1. 사카로마이세스용 아실전이효소 과발현 벡터 제작
상기 실시예 1로부터 확인된 신규 아실전이효소(서열번호 1, 2, 3, 4, 5, 6)의 N-아세틸-L-메티오닌 생산 효과를 사카로마이세스에서 확인하고자 해당 유전자를 과발현하기 위한 벡터를 제작하였다. 염기 서열 7, 8, 9, 10, 11, 12에 근거하여 5' 말단에 SpeI 제한효소 부위를 삽입한 프라이머와 3' 말단에 XhoI 부위를 삽입한 프라이머를 합성하였다.
염기 서열 7 기반의 유전자는 상기 실시예 1의 벡터 pUCtk-ppmat를 주형으로 하고 프라이머 17과 18을 이용한 PCR법을 통하여 중합되었다. 염기 서열 8 기반의 유전자는 상기 실시예 1의 벡터 pUCtk-bsmat를 주형으로 하고 프라이머 19와 20을 이용한 PCR법을 통하여 중합되었다. 염기 서열 9 기반의 유전자는 상기 실시예 1의 벡터 pUCtk-entmat를 주형으로 하고 프라이머 21과 22을 이용한 PCR법을 통하여 중합되었다. 염기 서열 10 기반의 유전자는 상기 실시예 1의 벡터 pUCtk-pvmat를 주형으로 하고 프라이머 23과 24을 이용한 PCR법을 통하여 중합되었다. 염기 서열 11 기반의 유전자는 상기 실시예 1의 벡터 pUCtk-ylmat를 주형으로 하고 프라이머 25와 26을 이용한 PCR법을 통하여 중합되었다. 염기 서열 12 기반의 유전자는 상기 실시예 1의 벡터 pUCtk-cgmat를 주형으로 하고 프라이머 27과 28을 이용한 PCR법을 통하여 중합되었다. 이때, PCR법은 94℃에서 5분간 변성 후, 94℃/30초 변성, 56℃/30초 어닐링, 72℃/1분 중합을 30회 반복한 후, 72℃에서 7분간 중합반응시켜서 수행되었다.
증폭된 6종의 아실전이효소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제한효소 SpeI과 XhoI으로 처리하여 DNA 절편을 획득하였다. 6개의 DNA 절편을 획득한 후, 에세리키아와 사카로마이세스 셔틀 벡터인 p414ADH의 SpeI, XhoI 부위에 연결하여 대장균 DH5α에 형질전환하고 엠피실린(100mg/L)이 포함된 LB 고체배지에 도말하였다. PCR을 통해 유전자가 삽입된 벡터로 형질전환된 콜로니를 선별한 후, 플라스미드 미니프렙키트 (Bioneer, Korea)를 이용하여 플라스미드를 획득하여 각각 p414ADH-ppmat, p414ADH-bsmat, p414ADH-entmat, p414ADH-pvmat, p414ADH-ylmat, p414ADH-cgmat라고 명명하였다.
실시예 4-3-2. 아실전이효소 과발현 벡터 도입 균주 제작 및 N-아세틸-L-메치오닌 생산능 확인
상기 실시예 4-3-1에서 제조한 벡터 p414ADH-ppmat, p414ADH-bsmat, p414ADH-entmat, p414ADH-pvmat, p414ADH-ylmat, p414ADH-cgmat와 실험대조군의 p414ADH 벡터 각각을 EUROSCARF에서 분양받은 야생형 효모 중 대표적인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Saccharomyces cerevisiae) CEN.PK2-1D(한국 등록 특허 제10-1577134)에 효모형질전환법을 이용하여 도입하였다.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 CEN.PK2-1D에 도입한 후, YPD (1% yeast extract, 2% bacto-peptone, 2% glucose) 평판배지에 도말하여 30 ℃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콜로니를 획득하였다. 획득한 균주는 ScCEN/p414ADH-ppmat, ScCEN/p414ADH-bsmat, ScCEN/p414ADH-entmat, ScCEN/p414ADH-pvmat, ScCEN/p414ADH-ylmat, ScCEN/p414ADH-cgmat, ScCEN/p414ADH로 명명하였다. 형질전환체의 N-아세틸메치오닌 생산능을 확인하기 위해 엠피실린 (100 mg/L)이 포함된 YPD 액체배지 3㎖을 함유하는 14 ㎖ 1회용 배양 튜브에 상기 균주를 접종하고, 30 ℃, 200 rpm의 조건으로 24시간 동안 진탕 배양하여 종배양액을 확보하였다. 메치오닌 0.5% (5g/L)가 포함된 YPD액체배지 24 ㎖을 함유하는 250 ㎖ 코너-바플 플라스크에 상기 종배양액 1 ml을 접종하고, 30 ℃, 200 rpm에서 24시간 동안 진탕 배양하였다. 배양을 종료한 후, HPLC(SHIMADZU, SYSTEM CONTROLLER CBM-20A 및 기타 악세서리)를 이용하여 N-아세틸-L-메치오닌 농도를 분석하였다 (표 7)
형질전환체 ScCEN/p414ADH에서 알 수 있듯이,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는 자체적으로 N-아세틸메티오닌을 생산하지 않는 것으로 보이나, 6종의 신규 아실전이효소가 과발현된 균주의 경우 N-아세틸메티오닌 생산능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Figure pat00008
실시예 4-4. 신규 아실전이효소가 도입된 야로위아를 통한 N-아세틸-L-메티오닌 생산
실시예 4-4-1. 야로위아용 아실전이효소 과발현 벡터 제작
상기 실시예 1 로부터 확인된 신규 아실전이효소(서열번호 1, 2, 3, 4, 5, 6)의 N-아세틸-L-메티오닌 생산 효과를 야로위아에서 확인하고자 해당 유전자를 과발현하기 위한 벡터를 제작하였다. 염기 서열 7, 8, 9, 10, 11, 12에 근거하여 5' 말단과 3' 말단에 KpnI 제한효소 부위를 삽입한 프라이머를 합성하였다.
염기 서열 7 기반의 유전자는 상기 실시예 1의 벡터 pUCtk-ppmat를 주형으로 하고 프라이머 29와 30을 이용한 PCR법을 통하여 중합되었다. 염기 서열 8 기반의 유전자는 상기 실시예 1의 벡터 pUCtk-bsmat를 주형으로 하고 프라이머 31과 32을 이용한 PCR법을 통하여 중합되었다. 염기 서열 9 기반의 유전자는 상기 실시예 1의 벡터 pUCtk-entmat를 주형으로 하고 프라이머 33과 34를 이용한 PCR법을 통하여 중합되었다. 염기 서열 10 기반의 유전자는 상기 실시예 1의 벡터 pUCtk-pvmat를 주형으로 하고 프라이머 35와 36을 이용한 PCR법을 통하여 중합되었다. 염기 서열 11 기반의 유전자는 상기 실시예 1의 벡터 pUCtk-ylmat를 주형으로 하고 프라이머 37과 38을 이용한 PCR법을 통하여 중합되었다. 염기 서열 12 기반의 유전자는 상기 실시예 1의 벡터 pUCtk-cgmat를 주형으로 하고 프라이머 39와 40을 이용한 PCR법을 통하여 중합되었다. 이때, PCR법은 94℃에서 5분간 변성 후, 94℃/30초 변성, 56℃/30초 어닐링, 72℃/1분 중합을 30회 반복한 후, 72℃에서 7분간 중합반응시켜서 수행되었다.
증폭된 6종의 아실전이효소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제한효소 KpnI으로 처리하여 DNA 절편을 획득하였다. 6개의 DNA 절편을 획득한 후, 에세리키아와 야로위아 셔틀 벡터 pIMR53_AUX (FEMS Microbiology LettersVolume 199, Issue 1, pages 97-102, May 2001)의 KpnI 부위에 연결하여 대장균 DH5α에 형질전환하고 엠피실린 (100mg/L)이 포함된 LB 고체배지에 도말하였다. PCR법을 통해 유전자가 삽입된 벡터로 형질전환된 콜로니를 선별한 후, 플라스미드 미니프렙키트(Bioneer, Korea)를 이용하여 플라스미드를 획득하여 각각 pIMR53U-ppmat, pIMR53U-bsmat, pIMR53U-entmat, pIMR53U-pvmat, pIMR53U-ylmat, pIMR53U-cgmat라고 명명하였다.
4-4-2. 아실전이효소 과발현 벡터 도입 균주 제작 및 N-아세틸-L-메치오닌 생산능 확인
상기 실시예 4-4-1에서 제조한 벡터 pIMR53U-ppmat, pIMR53U-bsmat, pIMR53U-entmat, pIMR53U-pvmat, pIMR53U-ylmat, pIMR53U-cgmat와 실험대조군의 pIMR53_AUX 벡터 각각을 미국생물자원센터(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로부터 구매한 야로위아 리포라이티카 PO1f (ATCC MYA-2613TM)에 효모 형질전환법을 이용하여 도입되었다. 야로위아 리포라이티카 PO1f에 도입한 후, YPD (1% yeast extract, 2% bacto-peptone, 2% glucose) 평판배지에 도말하여 30 ℃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콜로니를 획득하였다. 획득한 균주는 Yl/pIMR53U-ppmat, Yl/pIMR53U-bsmat, Yl/pIMR53U-entmat, Yl/pIMR53U-pvmat, Yl/pIMR53U-ylmat, Yl/pIMR53U-cgmat, Yl/pIMR53U로 명명하였다. 형질전환체의 N-아세틸메치오닌 생산능을 확인하기 위해, YPD액체배지 3 ㎖을 함유하는 14 ㎖ 1회용 배양 튜브에 상기 균주를 접종하고, 30 ℃, 200 rpm의 조건으로 24시간 동안 진탕 배양하여 종배양액을 확보하였다. 메치오닌 0.5 % (5g/L)이 포함된 YPDm 액체배지 (포도당 10 g, Na2HPO4 3.28 g, NaH2PO4 3.22 g, yeast extract 2 g, Proteose-peptone 50 g / 1L 기준) 24 ㎖을 함유하는 250 ㎖ 코너-바플 플라스크에 상기 종배양액 1 ml을 접종하고, 30 ℃, 200 rpm에서 24시간 동안 진탕 배양하였다. 배양을 종료한 후, HPLC(SHIMADZU, SYSTEM CONTROLLER CBM-20A 및 기타 악세서리)를 이용하여 N-아세틸-L-메치오닌 농도를 분석하였다(표 8)
야로위아 리포라이티카의 야생형이 보유하고 있는 아실전이효소의 효과로 형질전환체 Yl/pIMR53U에서도 N-아세틸메티오닌이 생산된 것으로 보이나, 6종의 신규아실전이효소가 과발현된 균주의 경우 더 나은 N-아세틸메티오닌 생산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ure pat00009
상기와 같은 결과들은 본 발명에서 새롭게 개발한 아실전이효소 및 이를 포함하는 미생물이 기존에 알려진 아실전이효소인 YncA보다 우수하게 N-아세틸-L-메치오닌을 생산하는 것을 시사한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원이 그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국미생물보존센터 KCCM11863P 20160715 :한국미생물보존센터 KCCM11864P 20160715 :한국미생물보존센터 KCCM11865P 20160715 :한국미생물보존센터 KCCM11866P 20160715 :한국미생물보존센터 KCCM11867P 20160715 :한국미생물보존센터 KCCM11868P 20160715
<110> CJ CHEILJEDANG CORPORATION <120> Microorganisms having an acyltransferase activity and the use thereof <130> KPA161021-KR <160> 52 <170> KopatentIn 2.0 <210> 1 <211> 171 <212> PRT <213> Pseudomonas putida <400> 1 Met Ser His Glu Ile Arg Asp Ala Leu Pro Ala Asp Val Pro Gly Ile 1 5 10 15 Leu Asp Ile Tyr Asn Asp Ala Val Arg Asn Thr Thr Ala Ile Trp Asn 20 25 30 Glu Thr Pro Val Asp Leu Gly Asn Arg Gln Ala Trp Phe Glu Ala Arg 35 40 45 Ala Gln Gln Gly Tyr Pro Ile Leu Val Ala Val Asp His Ser Gly Val 50 55 60 Leu Gly Tyr Ala Ser Phe Gly Asp Trp Arg Pro Phe Glu Gly Phe Arg 65 70 75 80 Asn Thr Val Glu His Ser Val Tyr Ile Arg Gly Asp Gln Arg Gly Lys 85 90 95 Gly Leu Gly Pro Gln Leu Met Thr Ala Leu Ile Ala Arg Ala Arg Gly 100 105 110 Cys Gly Lys His Val Met Val Ala Ala Ile Glu Ser Gly Asn Ala Ala 115 120 125 Ser Val Arg Leu His Glu Arg Leu Gly Phe Val Val Thr Gly Gln Met 130 135 140 Pro Gln Val Gly Val Lys Phe Gly Arg Trp Leu Asp Leu Thr Phe Met 145 150 155 160 Gln Leu Val Leu Asp Pro Gly Ala Glu Pro Ala 165 170 <210> 2 <211> 163 <212> PRT <213> Bacillus subtilis <400> 2 Met Thr Leu Arg Leu Ala Glu His Arg Asp Leu Glu Ala Val Val Ala 1 5 10 15 Ile Tyr Asn Ser Thr Ile Ala Ser Arg Met Val Thr Ala Asp Thr Glu 20 25 30 Pro Val Thr Pro Glu Asp Arg Met Glu Trp Phe Ser Gly His Thr Glu 35 40 45 Ser Arg Pro Leu Tyr Val Ala Glu Asp Glu Asn Gly Asn Val Ala Ala 50 55 60 Trp Ile Ser Phe Glu Thr Phe Tyr Gly Arg Pro Ala Tyr Asn Lys Thr 65 70 75 80 Ala Glu Val Ser Ile Tyr Ile Asp Glu Ala Cys Arg Gly Lys Gly Val 85 90 95 Gly Ser Tyr Leu Leu Gln Glu Ala Leu Arg Ile Ala Pro Asn Leu Gly 100 105 110 Ile Arg Ser Leu Met Ala Phe Ile Phe Gly His Asn Lys Pro Ser Leu 115 120 125 Lys Leu Phe Glu Lys His Gly Phe Ala Glu Trp Gly Leu Phe Pro Gly 130 135 140 Ile Ala Glu Met Asp Gly Lys Arg Tyr Asp Leu Lys Ile Leu Gly Arg 145 150 155 160 Glu Leu Ser <210> 3 <211> 171 <212> PRT <213> Enterobacter sp. 638 <400> 3 Met Ile Ile Arg His Ala Ser Lys Glu Asp Cys Ala Ala Ile Gly Glu 1 5 10 15 Ile Tyr Asn His Ala Val Val His Thr Ala Ala Ile Trp Asn Asp Thr 20 25 30 Thr Val Asp Thr Glu Asn Arg Ile Ala Trp Phe Glu Ala Arg Thr Leu 35 40 45 Met Gly Tyr Pro Val Leu Val Ser Glu Glu Asn Gly Val Val Thr Gly 50 55 60 Tyr Ala Ser Phe Gly Asp Trp Arg Ala Phe Asp Gly Phe Arg His Thr 65 70 75 80 Val Glu His Ser Val Tyr Val His Pro Asp His Gln Gly Lys Gly Ile 85 90 95 Gly Arg Glu Leu Met Lys Ala Leu Ile Gly Glu Ala Arg Asn Ile Gly 100 105 110 Lys His Val Met Val Ala Gly Ile Glu Ala Gln Asn His Gly Ser Ile 115 120 125 His Leu His Lys Thr Leu Gly Phe Val Ile Thr Gly Gln Met Pro Gln 130 135 140 Val Gly Thr Lys Phe Gly Arg Trp Leu Asp Leu Thr Phe Met Gln Leu 145 150 155 160 Gln Leu Asp Glu Arg Ile Asp Pro Asp Ala Ile 165 170 <210> 4 <211> 175 <212> PRT <213> Pseudovibrio sp. FO-BEG1 <400> 4 Met Lys Leu Arg Gln Ala Thr Lys Ser Asp Leu Pro Thr Leu Leu Glu 1 5 10 15 Ile His Asn Asp Ala Val Lys Thr Leu Ala Ala Ile Trp Thr Asp Thr 20 25 30 Leu Glu Thr Leu Glu Asp Arg Val Ser Trp Phe Glu Lys Arg Ile Ala 35 40 45 Gly Gly Phe Pro Ile Ile Val Ala Glu Asp Glu Asn Gly Asp Val Leu 50 55 60 Gly Tyr Gly Ser Tyr Gly Ser Phe Arg Glu Lys Ser Gly Tyr Asp Lys 65 70 75 80 Thr Val Glu His Ser Val Tyr Val Thr Pro Gln Ser Arg Gly Asn Gly 85 90 95 Ala Gly Ser Val Leu Leu Glu Lys Leu Ile Glu Leu Ala Lys Gln Asp 100 105 110 Asp Arg His Val Leu Ile Gly Ala Ile Asp Ser Glu Asn Lys Gly Ser 115 120 125 Ile Arg Leu His Glu Arg Tyr Gly Phe Arg Ile Thr Gly Glu Leu Pro 130 135 140 Gln Val Gly Phe Lys Phe Gly Arg Trp Leu Asp Leu Thr Leu Met Thr 145 150 155 160 Leu Ile Leu Asn Asp Asp Glu Ala Pro Thr Ala Leu Ala His Glu 165 170 175 <210> 5 <211> 154 <212> PRT <213> Yarrowia lipolytica PO1f <400> 5 Met Lys Ile Ser Pro Glu Pro Tyr Thr Ala Asp Leu Tyr Lys Leu Val 1 5 10 15 Arg Lys Asn Met Lys Gly Met Tyr Glu Gly Ser Gly Met Gly Trp Asn 20 25 30 Arg Val Asp Lys Ile Asp Glu Met Glu Asp Glu Glu Leu Ala Tyr His 35 40 45 Val Ala Arg Glu Asn Gly Glu Met Leu Gly Phe Val Ser Phe Met His 50 55 60 Thr Val Glu Asp Asp Val Glu Val Val Tyr Leu Tyr Glu Leu Gln Val 65 70 75 80 Ala Lys Gly Arg Gln Gly His Gly Val Gly Lys Glu Leu Met Arg Val 85 90 95 Val Ile Asp Glu Ala Arg Ala Cys Gly Arg Pro Ile Met Leu Thr Val 100 105 110 Phe Leu Met Asn Glu Arg Ala Ile Gly Phe Tyr Arg Arg Tyr Gly Phe 115 120 125 Glu Arg Val Gly Arg Gly Pro Gln Glu Gly Lys Arg Val Arg Gly Trp 130 135 140 Met Gln Met Arg Arg Asp Thr Arg Ser Asp 145 150 <210> 6 <211> 179 <212> PRT <213> Corynebacterium glutamicum ATCC 13032 <400> 6 Met Val Glu Arg Asp Phe Thr Ile Arg Pro Ile Arg Glu Gly Asp Phe 1 5 10 15 Pro Gln Val Arg Asp Ile Tyr Glu Leu Gly Leu Glu Thr Gly His Ala 20 25 30 Thr Tyr Glu Thr Ser Gly Pro Thr Trp Asp Gln Phe Ser Gln Ser Lys 35 40 45 Ile Met Asp Thr Val Met Val Ala Val Glu Asn Asn Asp Pro Asp Phe 50 55 60 Ile Leu Gly Trp Val Ser Ala Ala Pro Ile Ser Ser Arg Gln Val Phe 65 70 75 80 His Gly Val Val Glu Asp Ser Ile Tyr Ile His Pro Gln Gly Gln Gly 85 90 95 Arg Gly Ile Gly Gly Ala Leu Leu Asp Ala Leu Ile Thr Tyr Cys Glu 100 105 110 Ser Asn Gly Ile Trp Ser Ile His Ser Trp Ile Phe Pro Glu Asn Leu 115 120 125 Gly Ser Ala Lys Leu His Glu Ser Lys Gly Phe Val Lys Val Gly Thr 130 135 140 Met His Gln Met Ala Arg Met Pro Tyr Gly Glu Met Glu Gly Gln Trp 145 150 155 160 Arg Asp Cys Asp Leu Trp Glu Cys Leu Leu Ser Val Pro Glu Gln Ala 165 170 175 Gln Ser Ser <210> 7 <211> 516 <212> DNA <213> Pseudomonas putida <400> 7 atgagccatg aaattcgcga tgcgctgccg gcggatgtgc cgggcattct ggatatttat 60 aacgatgcgg tgcgcaacac cacggcgatt tggaacgaaa ccccggtgga tctgggcaac 120 cgccaggcgt ggtttgaagc gcgcgcgcag cagggctatc cgattctggt ggcggtggat 180 catagcggcg tgctgggcta tgcgagcttt ggcgattggc gcccgtttga aggctttcgc 240 aacaccgtgg aacatagcgt gtatattcgc ggcgatcagc gcggcaaagg cctgggcccg 300 cagctgatga ccgcgctgat tgcgcgcgcg cgcggctgcg gcaaacatgt gatggtggcg 360 gccattgaaa gcggcaacgc ggcgagcgtg cgcctgcatg aacgcctggg ctttgtggtg 420 accggccaga tgccgcaggt gggcgtgaaa tttggccgct ggctggatct gacctttatg 480 cagctggtgc tggatccggg cgcggaaccg gcgtga 516 <210> 8 <211> 492 <212> DNA <213> Bacillus subtilis <400> 8 atgaccctgc gcctggcgga acatcgcgat ctggaagcgg tggtggcgat ttataacagc 60 accattgcga gccgcatggt gaccgcggat accgaaccgg tgaccccgga agatcgcatg 120 gaatggttta gcggccatac cgaaagccgc ccgctgtatg tggcggaaga tgaaaacggc 180 aacgtggcgg cgtggattag ctttgaaacc ttttatggcc gcccggcgta taacaaaacc 240 gcggaagtga gcatttatat tgatgaagcg tgccgcggca aaggcgtggg cagctatctg 300 ctgcaggaag cgctgcgcat tgcgccgaac ctgggcattc gcagcctgat ggcgtttatt 360 tttggccata acaaaccgag cctgaaactg tttgaaaaac atggctttgc ggaatggggc 420 ctgtttccgg gcattgcgga aatggatggc aaacgctatg atctgaaaat tctgggccgc 480 gaactgagct ga 492 <210> 9 <211> 516 <212> DNA <213> Enterobacter sp. 638 <400> 9 atgatcatcc gccatgccag taaagaagat tgcgccgcta tcggcgagat ttataaccac 60 gccgttgtgc acactgccgc tatctggaat gacaccaccg ttgataccga gaaccgcatt 120 gcgtggtttg aagctcgcac gttgatgggg tatccggtgc tggtcagtga agaaaatggc 180 gtggtcacgg gctatgcgtc atttggcgac tggcgtgcat ttgacggatt tcgccatacg 240 gtcgaacatt cggtctacgt tcaccccgac catcagggca aaggaattgg ccgtgagctg 300 atgaaagcgc tgattggtga agcgcgaaac atcggcaaac acgttatggt ggcgggaatt 360 gaggcacaaa atcacggctc aattcacctg cataagacgc tcggatttgt gattaccggg 420 caaatgccgc aggtcgggac caaatttggc cgctggctgg atctcacctt tatgcagctc 480 cagcttgacg agcgcatcga cccggacgct atctga 516 <210> 10 <211> 528 <212> DNA <213> Pseudovibrio sp. FO-BEG1 <400> 10 atgaaactgc gtcaggcaac caaatctgat cttccgacac ttctggaaat tcacaatgat 60 gccgttaaga cactagctgc gatttggacg gatactttag agacgctgga agatcgagtg 120 agttggttcg aaaagcggat cgcaggcggg tttccgatca ttgtagctga agatgagaac 180 ggcgatgtac ttggctacgg cagttacgga tcttttcgtg aaaaatctgg ttacgataag 240 acggtggagc attctgtcta cgtaaccccg caatcacgcg gtaacggtgc tggctccgtt 300 ttgctggaaa agctgatcga actggcaaaa caggatgatc gccatgtcct tattggcgca 360 atcgacagtg aaaacaaagg ctcaatccgc ctccatgaac gctatggctt caggatcacc 420 ggagaactcc cacaagtcgg cttcaaattc ggccgctggc tggatctcac cctgatgacg 480 cttatcttaa acgatgatga agcaccaaca gcactcgcgc atgaataa 528 <210> 11 <211> 465 <212> DNA <213> Yarrowia lipolytica PO1f <400> 11 atgaagatat ctccagaacc ctacaccgcc gatttgtaca aattggtgcg caaaaacatg 60 aagggaatgt acgagggttc ggggatgggg tggaataggg ttgacaagat tgacgagatg 120 gaggacgagg agctggcgta tcacgtggct cgcgaaaatg gagagatgct aggattcgtc 180 tcgttcatgc atacggttga agacgacgtg gaggtggtat atctgtatga gcttcaggtg 240 gccaagggtc gccagggtca cggtgtgggt aaggagctca tgagggttgt gatagacgag 300 gctagggctt gtggtcgtcc gatcatgttg actgtttttc tcatgaatga gcgggccatt 360 ggtttctaca ggcggtatgg ttttgagcgg gtggggcggg gtcctcagga gggcaagcgg 420 gtgaggggat ggatgcagat gaggcgagac acgaggagtg actag 465 <210> 12 <211> 540 <212> DNA <213> Corynebacterium glutamicum ATCC 13032 <400> 12 atggttgaaa gagacttcac tatccgacca atccgcgagg gtgatttccc tcaggtgagg 60 gacatctacg aattgggcct ggagacggga catgcgactt atgagacttc tggtcccacg 120 tgggaccagt tctcccaatc taaaatcatg gataccgtca tggtggcggt agaaaacaac 180 gacccggact tcatcctcgg atgggtgtct gctgctccaa tttcaagccg acaggttttc 240 catggagtgg tggaagattc catctatatc cacccccagg gccaaggccg aggaatcggc 300 ggcgctttgc tcgacgccct tatcacctac tgcgaaagca acggcatctg gtcgatccac 360 tcctggatct tcccggaaaa cctcggttct gcgaaactgc atgaatcgaa gggcttcgtg 420 aaggtgggca ccatgcacca aatggcaagg atgccctacg gcgagatgga aggacaatgg 480 cgcgattgtg atctgtggga gtgcctctta tccgttccag agcaagctca aagttcctaa 540 540 <210> 13 <211> 2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1 <400> 13 atccatatga agatatctcc agaaccc 27 <210> 14 <211> 2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2 <400> 14 tactctagac tagtcactcc tcgtgtc 27 <210> 15 <211> 2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3 <400> 15 atccatatgg ttgaaagaga cttcac 26 <210> 16 <211> 2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 <400> 16 tactctagat taggaacttt gagcttg 27 <210> 17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5 <400> 17 atcatgagcc atgaaatt 18 <210> 18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6 <400> 18 gcactgcagt cacgccggtt ccgc 24 <210> 19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7 <400> 19 atcatgaccc tgcgcctg 18 <210> 20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8 <400> 20 gcactgcagt cagctcagtt cgcg 24 <210> 21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9 <400> 21 atcatgatca tccgccat 18 <210> 22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10 <400> 22 gcactgcagt cagatagcgt ccgg 24 <210> 23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11 <400> 23 atcatgaaac tgcgtcag 18 <210> 24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12 <400> 24 gcactgcagt tattcatgcg cgag 24 <210> 25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13 <400> 25 atcatgaaga tatctcca 18 <210> 26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14 <400> 26 gcactgcagc tagtcactcc tcgt 24 <210> 27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15 <400> 27 atcatggttg aaagagac 18 <210> 28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16 <400> 28 gcactgcagt taggaacttt gagc 24 <210> 29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17 <400> 29 tgcactagta tgagccatga aatt 24 <210> 30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18 <400> 30 tgcctcgagt cacgccggtt ccgc 24 <210> 31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19 <400> 31 tgcactagta tgaccctgcg cctg 24 <210> 32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20 <400> 32 tgcctcgagt cagctcagtt cgcg 24 <210> 33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21 <400> 33 tgcactagta tgatcatccg ccat 24 <210> 34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22 <400> 34 gcactgcagt cagatagcgt ccgg 24 <210> 35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23 <400> 35 tgcactagta tgaaactgcg tcag 24 <210> 36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24 <400> 36 tgcctcgagt tattcatgcg cgag 24 <210> 37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25 <400> 37 tgcactagta tgaagatatc tcca 24 <210> 38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26 <400> 38 tgcctcgagc tagtcactcc tcgt 24 <210> 39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27 <400> 39 tgcactagta tggttgaaag agac 24 <210> 40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28 <400> 40 tgcctcgagt taggaacttt gagc 24 <210> 41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29 <400> 41 tgcggtacca tgagccatga aatt 24 <210> 42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30 <400> 42 ctaggtacct cacgccggtt ccgc 24 <210> 43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31 <400> 43 tgcggtacca tgaccctgcg cctg 24 <210> 44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32 <400> 44 ctaggtacct cagctcagtt cgcg 24 <210> 45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33 <400> 45 tgcggtacca tgatcatccg ccat 24 <210> 46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34 <400> 46 ctaggtacct cagatagcgt ccgg 24 <210> 47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35 <400> 47 tgcggtacca tgaaactgcg tcag 24 <210> 48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36 <400> 48 ctaggtacct tattcatgcg cgag 24 <210> 49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37 <400> 49 tgcggtacca tgaagatatc tcca 24 <210> 50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38 <400> 50 ctaggtaccc tagtcactcc tcgt 24 <210> 51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39 <400> 51 tgcggtacca tggttgaaag agac 24 <210> 52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 <400> 52 ctaggtacct taggaacttt gagc 24

Claims (9)

  1.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6 중 어느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 또는 이와 90% 이상의 상동성을 가진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되는 폴리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아실전이효소의 활성을 갖는 미생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은 에스체리치아 속(Escherichia sp.), 코리네박테리움 속(Corynebacterium sp.), 사카로마이세스 속( Saccharomyces sp.) 및 야로위아 속(Yarrowia sp.)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미생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은 L-메티오닌에 아세틸 전이 활성을 가져 N-아세틸-L-메티오닌을 생산하는 미생물.
  4. L-메티오닌에 아세틸 전이 활성을 가지는,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6 중 어느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 또는 이와 90% 이상의 상동성을 가진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되는 폴리펩타이드.
  5. 제4항의 폴리펩타이드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6. 제5항의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발현 벡터.
  7. (i)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미생물 또는 이의 배양물; (ii) 제4항의 폴리펩타이드; 또는 이들의 조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L-메티오닌으로부터 N-아세틸-L-메티오닌의 제조용 조성물.
  8. (i)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미생물 또는 이의 배양물; (ii) 제4항의 폴리펩타이드;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L-메티오닌을 아세틸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N-아세틸-L-메티오닌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아세틸화된 L-메티오닌인, N-아세틸-L-메티오닌을 회수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제조방법.
KR1020160092228A 2016-07-20 2016-07-20 아실전이효소의 활성을 갖는 미생물 및 이의 용도 KR1019417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2228A KR101941745B1 (ko) 2016-07-20 2016-07-20 아실전이효소의 활성을 갖는 미생물 및 이의 용도
NZ750131A NZ750131B2 (en) 2016-07-20 2017-07-19 Microorganism having acyltransferase activity and uses thereof
BR112019001067-0A BR112019001067B1 (pt) 2016-07-20 2017-07-19 Microorganismo que tem atividade de aciltransferase e usos do mesmo
EP17831346.6A EP3489361B1 (en) 2016-07-20 2017-07-19 Microorganism having activity of acyltransferase and use thereof
HUE17831346A HUE063574T2 (hu) 2016-07-20 2017-07-19 Acil-transzferáz aktivitással rendelkezõ mikroorganizmus és annak felhasználása
JP2019502580A JP6959978B2 (ja) 2016-07-20 2017-07-19 アシル転移酵素の活性を有する微生物及びその用途
CN201780057839.0A CN110168091B (zh) 2016-07-20 2017-07-19 具有酰基转移酶活性的微生物及其用途
ES17831346T ES2946513T3 (es) 2016-07-20 2017-07-19 Microorganismo que tiene actividad de aciltransferasa y uso del mismo
PCT/KR2017/007770 WO2018016873A1 (ko) 2016-07-20 2017-07-19 아실전이효소의 활성을 갖는 미생물 및 이의 용도
PL17831346.6T PL3489361T3 (pl) 2016-07-20 2017-07-19 Mikroorganizm posiadający aktywność acylotransferazy i jego zastosowanie
US16/319,511 US20190264215A1 (en) 2016-07-20 2017-07-19 Microorganism having acyltransferase activity and uses thereof
CA3031318A CA3031318C (en) 2016-07-20 2017-07-19 Microorganism having acyltransferase activity and uses thereof
US17/452,565 US20220042000A1 (en) 2016-07-20 2021-10-27 Methods for preparing n-acetyl-l-methion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2228A KR101941745B1 (ko) 2016-07-20 2016-07-20 아실전이효소의 활성을 갖는 미생물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0382A true KR20180010382A (ko) 2018-01-31
KR101941745B1 KR101941745B1 (ko) 2019-01-24

Family

ID=60992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2228A KR101941745B1 (ko) 2016-07-20 2016-07-20 아실전이효소의 활성을 갖는 미생물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2) US20190264215A1 (ko)
EP (1) EP3489361B1 (ko)
JP (1) JP6959978B2 (ko)
KR (1) KR101941745B1 (ko)
CN (1) CN110168091B (ko)
BR (1) BR112019001067B1 (ko)
CA (1) CA3031318C (ko)
ES (1) ES2946513T3 (ko)
HU (1) HUE063574T2 (ko)
PL (1) PL3489361T3 (ko)
WO (1) WO20180168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926139A (zh) * 2022-04-12 2023-10-24 元素驱动(杭州)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n-乙酰-d-氨基酸、d-氨基酸、d-氨基酸衍生物的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2383A (ko) * 2008-08-22 2011-04-26 메타볼릭 익스플로러 N―아실트랜스퍼라제 효소적 활성이 증진된 미생물을 사용한 n―아실화된 황―함유 아미노산의 생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7094A (ko) * 1999-06-25 2007-08-27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스트레스 저항성 및 내성 단백질을 코딩하는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유전자
KR101821050B1 (ko) * 2015-10-14 2018-03-09 씨제이제일제당 (주) 바이오-기반 n-아세틸-l-메티오닌 및 이의 용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2383A (ko) * 2008-08-22 2011-04-26 메타볼릭 익스플로러 N―아실트랜스퍼라제 효소적 활성이 증진된 미생물을 사용한 n―아실화된 황―함유 아미노산의 생산
US8143031B2 (en) * 2008-08-22 2012-03-27 Metabolic Explorer Production of N-acylated sulphur-containing amino acids with microorganisms having enhanced N-acyltransferase enzymatic activity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ochemistry, 46:1829-1839 (2007) *
ECMDB, N-Acetyl-L-methionine (ECMDB23042) (M2MDB003432) (2015.09.13.) *
NCBI Reference Sequence: WP_012316437.1 (2013.05.25.) *
NCBI Reference Sequence: WP_039602721.1 (2015.01.11.)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9001067A2 (pt) 2019-07-09
NZ750131A (en) 2021-05-28
JP2019520845A (ja) 2019-07-25
HUE063574T2 (hu) 2024-01-28
PL3489361T3 (pl) 2023-07-17
US20220042000A1 (en) 2022-02-10
EP3489361B1 (en) 2023-03-08
CN110168091B (zh) 2024-02-23
ES2946513T3 (es) 2023-07-20
KR101941745B1 (ko) 2019-01-24
US20190264215A1 (en) 2019-08-29
EP3489361A4 (en) 2020-02-19
WO2018016873A1 (ko) 2018-01-25
JP6959978B2 (ja) 2021-11-05
EP3489361A1 (en) 2019-05-29
CA3031318A1 (en) 2018-01-25
CA3031318C (en) 2021-03-30
BR112019001067B1 (pt) 2022-10-25
CN110168091A (zh) 2019-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70464C1 (ru) Новая аденилосукцинат-синтетаза и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нуклеотидов пурина с ее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JP6469874B2 (ja) 新規プロモーター及びその用途
RU2732815C1 (ru) Модифицированный полипептид с пониженной активностью цитратсинтазы и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L-аминокислоты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этого полипептида
KR101720836B1 (ko) 피드백 저항성 아세토하이드록시산 신타아제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l-발린의 생산방법
KR20190058413A (ko) 신규한 이소프로필말레이트 신타제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l-류신의 생산 방법
WO2010111344A2 (en) Methods and microorganisms for production of c4-dicarboxylic acids
CN112292452B (zh) 生产霉孢菌素样氨基酸的微生物及利用其生产霉孢菌素样氨基酸的方法
RU2736362C1 (ru) Микроорганизм для продуцирования микоспорин-подобной аминокислоты и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микоспорин-подобной аминокислоты с его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CN111491946A (zh) cAMP受体蛋白变体和使用其生产L-氨基酸的方法
KR102078732B1 (ko) 변형된 막 투과성
RU2747493C1 (ru) Новый вариант О-сукцинилгомосеринтрансферазы и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О-сукцинилгомосерина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этого варианта
RU2694729C2 (ru) Микроорганизм, обладающий способностью продуцировать L-лизин, и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L-лизина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этого микроорганизма
RU2720522C1 (ru) Микроорганизм рода Corynebacterium, продуцирующий L-лизин, и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L-лизина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этого микроорганизма
KR101941745B1 (ko) 아실전이효소의 활성을 갖는 미생물 및 이의 용도
CN111295446B (zh) 引入高活性苹果酸脱氢酶用以生产琥珀酸的突变型微生物及使用其生产琥珀酸的方法
KR101836719B1 (ko) O-아세틸호모세린 설피드릴라제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l-메치오닌 제조 방법
KR101859276B1 (ko) O-아세틸-호모세린을 생산하는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하여 o-아세틸-호모세린을 생산하는 방법
CN114058560B (zh) 甘氨酸的生产方法
NZ750131B2 (en) Microorganism having acyltransferase activity and uses thereof
KR102031886B1 (ko) 신규한 프로모터 및 이의 용도
JP2024014657A (ja) L-アルギニンまたはl-シトルリン生産能が向上したコリネバクテリウム属微生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l-アルギニンまたはl-シトルリンの生産方法
KR20060111012A (ko) 남세균 시네코시스티스 속의 이소코리스메이트 합성효소유전자 및 이를 이용하여 코리스메이트로부터이소코리스메이트를 생합성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