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420A - 웨어러블 디바이스, 그와 통신하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디바이스, 그와 통신하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420A
KR20180000420A KR1020160078358A KR20160078358A KR20180000420A KR 20180000420 A KR20180000420 A KR 20180000420A KR 1020160078358 A KR1020160078358 A KR 1020160078358A KR 20160078358 A KR20160078358 A KR 20160078358A KR 20180000420 A KR20180000420 A KR 201800004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nformation
vehicle
wearable device
drows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8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6724B1 (ko
Inventor
황준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78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6724B1/ko
Priority to US15/343,290 priority patent/US10112621B2/en
Priority to CN201611028264.3A priority patent/CN107539126B/zh
Publication of KR20180000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6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6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0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 B60K28/06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responsive to incapacity of driver
    • B60K28/066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responsive to incapacity of driver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0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 B60K28/06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responsive to incapacity of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2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steer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60W40/105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50/16Tactile feedback to the driver, e.g. vibration or force feedback to the driver on the steering wheel or the accelerator peda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6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indicating a condition of sleep, e.g. anti-dozing al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18Inactivity or incapacity of driver
    • B60W2040/0827Inactivity or incapacity of driver due to sleepi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72Driver physiolo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special location or mounting of sensors
    • B60W2422/5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special location or mounting of sensors on a steering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0Longitudinal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8Steering ang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221Physiology, e.g. weight, heartbeat, health or special ne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26Incapac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1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710/20Steering systems
    • B60W2710/207Steering angle of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차량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 통신부를 통해 차량의 속도 정보가 수신되면 절전 모드를 수행하고, 절전 모드의 수행 중 통신부를 통해 졸음 운전 1차 판정 정보가 수신되면 일반 모드로 전환하고, 일반 모드 시에 검출된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졸음 운전 여부를 2차로 판단하고, 졸음 운전으로 2차 판정되면 차량에 졸음 운전 2차 판정 정보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웨어러블 디바이스, 그와 통신하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Wearable Device, vehicle for communicating with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졸음 운전을 방지하기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그와 통신하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사람 또는 화물을 운송할 목적으로 차륜을 구동시켜 주행하는 기기로, 도로 위를 주행한다.
이러한 차량을 이용하여 도심을 운전할 경우에는 도심의 운전 패턴이 다양하기 때문에, 운전자의 졸음운전의 우려가 크지 않으나, 고속도로나 국도와 같이, 단조로운 구간을 장시간 운전하는 경우에는 운전자가 집중력을 상실하면서 졸음 운전을 하기 쉽다.
이와 같은 운전자의 졸음운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운전자가 자각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다양한 생체정보들을 측정 및 분석하여, 운전자가 졸음에 빠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운전자가 졸음 상태에 빠지려고 할 경우, 이를 경고하는 기술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졸음운전 감지 방법은 운전자의 신체에 센서를 장착하여 생체신호를 획득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일 측면은 졸음 운전에 대한 1차 정보를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졸음 운전에 대한 2차 정보가 수신되면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측면은 차량의 운전 중 절전 모드를 수행하여 제1센서부만을 활성화시키고 제1센서부를 이용하여 졸음 운전 여부를 1차적으로 판단하고, 졸음 운전으로 판단되면 일반 모드를 수행하여 제2센서부를 활성화시키고, 제2센서부를 이용하여 졸음 운전 여부를 2차적으로 판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차량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 통신부를 통해 차량의 속도 정보가 수신되면 절전 모드를 수행하고, 절전 모드의 수행 중 통신부를 통해 졸음 운전 1차 판정 정보가 수신되면 일반 모드로 전환하고, 일반 모드 시에 검출된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졸음 운전 여부를 2차로 판단하고, 졸음 운전으로 2차 판정되면 차량에 졸음 운전 2차 판정 정보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졸음 운전으로 2차 판정되면 졸음 운전에 대한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출력부는, 알림 정보를 영상으로 출력하는 표시부와, 졸음 운전으로 2차 판정되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를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통신부, 검출부, 제어부 및 출력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절전 모드이면 통신부와 제어부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전원부를 제어하고, 일반 모드이면 통신부, 검출부, 제어부 및 출력부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전원부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팔의 움직임 정보를 검출하는 제1센서부; 사용자의 생체 반응 정보를 검출하는 제2센서부; 제1센서부에 검출된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의 주행 여부를 판단하고, 차량의 주행 상태라고 판단되면 절전 모드를 수행하고, 절전 모드의 수행 중 제1센서부에 검출된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졸음 운전 여부를 1차 판단하고, 졸음운전으로 1차 판정되면 일반 모드로 전환하고, 일반 모드 중 제2센서부에서 검출된 생체 반응 정보에 기초하여 졸음 운전 여부를 2차로 판단하고, 졸음 운전으로 2차 판정되면 알림 정보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출력부는, 알림 정보를 영상으로 출력하는 표시부와, 알림 정보를 사운드로 출력하는 사운드부와, 졸음 운전으로 2차 판정되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를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제1센서부, 제2센서부, 제어부 및 출력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절전 모드이면 제1센서부와 제어부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전원부를 제어하고, 일반 모드이면 제1센서부, 제2센서부, 제어부 및 출력부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전원부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차량의 주행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움직임의 정보와, 졸음 운전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움직임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내비게이션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스티어링 휠의 조작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 내비게이션 장치에서 전송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위치가 고속도로라고 판단되면 검출부에서 검출된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졸음 운전 여부를 1차로 판단하고, 졸음운전으로 1차 판정되면 졸음 운전의 1차 판정 정보를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은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졸음 운전의 2차 정보가 수신되면 알림 정보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은 차선 이탈을 인식하는 차선 이탈 인식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졸음 운전 여부를 1차로 판단할 때 차선 이탈 여부를 확인하고 자 차로 주변의 차선에 위치하면 졸음 운전을 1차로 판정하고 자 차로에 위치하면 졸음 운전의 오판정으로 판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조작 정보는, 스티어링 휠에 인가된 압력과, 스티어링 휠의 회전 각도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스티어링 휠에 인가된 압력이 기준 압력 이하이고, 회전 각도가 기준 각도 이하이면 졸음 운전으로 1차 판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검출부는 주행 속도를 더 검출하고, 제어부는, 검출된 주행 속도의 정보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차량 주행 중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절전 모드로 제어함으로써 차량의 스티어링 휠의 조작에 의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모션센서가 반응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표시부를 동작(즉, 화면 온오프)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에 의해 졸음 운전으로1차 판단되었을 때만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동작시켜 졸음 운전을 2차 판단하기 때문에 졸음 운전 판단 시에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배터리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 시간을 최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차량을 연동하여 졸음 운전 여부를 2차 판단함으로써 차량을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위험한 고속도로 구간에서 졸음 운전 방지 기능을 작동시킴으로써 주행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와의 통신 기능을 가진 차량의 품질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나아가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리성 및 차량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차량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차량의 외부 예시도이다.
도 2는 도1에 도시된 차량의 내부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의 운전자가 착용하고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예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차량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차량의 제어 순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순서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9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차량의 외부 예시도이고, 도 2는 도1에 도시된 차량의 내부 예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의 운전자가 착용하고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예시도이다.
차량(1)은 사람 또는 화물을 운송할 목적으로 차륜을 구동시켜 주행하는 기기로, 도로 위를 이동한다.
이러한 차량(1)은 외장과 내장을 갖는 차체(Body)와, 차체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으로 주행에 필요한 기계 장치가 설치되는 차대(Chassis)를 포함한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의 외장(110)은 프론트 패널(111), 본네트(112), 루프 패널(113), 리어 패널(114), 트렁크(115), 전후좌우 도어(116) 등을 포함한다.
차체의 외장은 프론트 패널, 본네트, 루프 패널, 리어 패널, 트렁크, 전후좌우 도어(116), 전후좌우 도어(116)에 마련된 윈도우 글래스(117), 전후좌우 윈도우 글래스(117) 사이의 경계에 마련된 필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전후좌우 도어에 설치된 윈도우 글래스는, 사이드 윈도우 글래스와, 필러와 필러 사이에 설치되되 개폐 불가능하게 설치된 쿼터 윈도우 글래스와, 후방 측에 설치된 리어 윈도우 글래스와, 전방 측에 설치된 프런트 윈도우 글래스를 더 포함한다.
차체의 외장은 운전자에게 차량(1)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미러(118)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차체의 외장은 전면과 후면에 마련되고, 운전자가 전방시야를 주시할 수 있도록 하면서 차량의 모든 정보를 쉽게 볼 수 있도록 하는 조명 기능뿐 아니라 다른 차량과 보행자에 대한 신호 및 커뮤니케이션의 기능을 수행하는 램프부(119)를 더 포함한다.
램프부(119)는 상향 램프, 하향 램프, 비상 램프, 안개용 램프 및 방향 지시 램프를 포함하고, 차량의 폭의 경계를 표시하는 사이드 램프와,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가압했을 때 후방의 타 차량에게 제동을 경고하는 제동 램프와, 후진할 때 후방의 타 차량이나 보행자에게 경고하기 위한 백업 램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의 내장(120)은 탑승자가 앉는 시트(121: 121a, 121b)와, 대시 보드(122)와, 대시 보드 상에 배치되고 타코미터, 속도계, 냉각수 온도계, 연료계, 각종 램프의 표시등, 경고등, 안전벨트 경고등, 주행 거리계, 주행 기록계, 자동변속 선택레버 표시등, 도어 열림 경고등, 엔진 오일 경고등, 연료부족 경고등이 배치된 계기판(즉 클러스터, 123)과, 차량의 진행 방향을 조작하는 스티어링 휠(124)과, 대시 보드(122) 중에서 운전석(121a)과 조수석(121b) 사이에 위치하고 오디오 장치와 공기 조화 장치의 조절판이 있는 센터 페시아(125)를 포함한다.
시트(121)는 운전자가 앉는 운전석(121a), 동승자가 앉는 조수석(121b), 차량 내 후방에 위치하는 뒷좌석을 포함한다.
센터 페시아(125)에는 오디오 장치, 공기 조화 장치 및 시트의 열선을 제어하는 헤드 유닛과, 송풍구, 시거잭, 멀티단자 등이 마련될 수 있다.
차량(1)은 각종 기능의 수행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제1입력부(1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1입력부(126)는 센터페시아(125)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입력부(126)는 각종 기능의 동작 수행 온 오프 버튼, 각종 기능의 설정값을 변경하기 위한 버튼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인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입력부(126)는 차량용 단말기(130)에 표시된 커서의 이동 명령 및 선택 명령 등을 입력하기 위한 조그 다이얼(미도시) 또는 터치 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차량(1)은 내비게이션 기능, 디엠비 기능, 오디오 기능, 비디오 기능 또는 경고 기능에 대한 정보를 영상으로 출력하는 제1표시부(127)와, 내비게이션 기능, 디엠비 기능, 오디오 기능, 비디오 기능 또는 경고 기능에 대한 정보를 사운드로 출력하는 제1사운드부(1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에 대응하는 결과를 출력하는 차량용 단말기(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량용 단말기(130)는 내비게이션 기능, 디엠비 기능, 오디오 기능, 비디오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고 외부의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며, 외부 단말기와의 송수신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차량용 단말기는 내비게이션을 주로 수행하는 내비게이션 장치일 수 있다.
아울러 차량용 단말기(130)는 터치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이 일체화된 터치 스크린으로 마련될 수 있다.
외부의 단말기는, 노트북, 태블릿, 스마트폰, USB 메모리,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의 차대는 동력 발생 장치, 동력 전달 장치, 주행 장치, 조향 장치, 제동 장치, 현가 장치, 변속 장치, 연료 장치, 전후좌우의 휠 등 및 탑승자의 안전을 위한 여러 가지 안전장치(예, 에어백 제어 장치 및 차량 자세 안정 제어 장치 등)와, 이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제어 유닛(ECU: Electronic Control Unit)을 포함한다.
이외에도 차량(1)은 후방 또는 측방의 장애물 내지 다른 차량을 감지하는 근접센서, 강수 여부 및 강수량을 감지하는 레인 센서, 차량의 휠의 속도를 검출하는 휠 속도 센서, 차량의 가속도를 검출하는 가속도 센서, 차량의 각속도의 변화를 검출하는 요레이트 센서, 자이로 센서, 차량의 스티어링 휠의 회전을 검출하는 조향각 센서 등의 제1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차량(1)은 운전자의 편의를 위해 설치된 차선 이탈 인식 장치, 내비게이션 장치, 핸즈프리 장치, 오디오 장치 및 블루투스 장치, 후방 카메라, 외부 단말기의 충전 장치, 하이패스 장치 등의 전자 장치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내비게이션 장치는 차량에 매립 또는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차량용 단말기일 수 있다.
이러한 차량(1)은 시동모터(미도시)에 동작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시동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차량(1)은 시동 버튼이 온 되면 시동모터(미도시)를 동작시키고 시동 모터의 동작을 통해 동력 발생장치인 엔진(미도시)을 구동시킨다.
차량(1)은 차량용 단말기, 오디오 장치, 실내 등, 시동 모터, 그 외 전자장치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배터리는 주행 중 자체 발전기 또는 엔진의 동력을 이용하여 충전을 수행한다.
또한 차량(1)은 루프 패널(113)에 마련되고 라디오 신호, 방송 신호, 위성 신호를 수신하고, 다른 차량, 지능형 교통 시스템의 서버, 인프라(즉 기지국)의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장치를 더 포함하고, 복수의 위성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를 더 포함한다.
차량은 타 차량, 외부의 서버, 외부의 인프라 및 외부의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1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의 제1 통신부는 차량 내부의 전자 장치 간의 통신을 수행하기도 한다.
이러한 제1통신부는 캔 통신, USB통신, 와이파이 통신 및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고, DMB 등의 TPEG, SXM, RDS와 같은 브로드캐스팅 통신과, 2G, 3G, 4G 및 5G통신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차량(1)은 외부의 단말기 중 웨어러블 디바이스(2)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1)는 사용자가 신체 또는 의류에 착용할 수 있는 각종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2)는 예를 들어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밴드, 웨어러블 컴퓨터(Wearable Computer), 구글 글래스(google glass), 블루투스 헤드셋(Bluetooth Headset), 스마트 웨어(Smart wear) 등일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2)는 사용자의 몸에 착용된 상태에서 차량 내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때 차량(1)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2)는 사용자의 신체와 관련된 각종 생체 상태를 검출할 수 있고 검출된 정보를 이용하여 졸음 운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치 타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즉 스마트 워치(2)는 사용자인터페이스를 갖는 본체(2a)와, 본체(2a)에 연결되어 손목에 착용 가능하도록 형성된 밴드(2b)를 포함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고, 본체의 전면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밴드(2b)는 손목에 착용되어 손목을 감싸도록 이루어지며, 착용이 용이하도록 플렉서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예로서, 밴드(2b)는 가죽, 고무, 실리콘, 합성수지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밴드(2b)는 본체(2a)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사용자가 취향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밴드로 교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밴드(2b)에는 파스너(fastener)가 구비될 수 있다. 파스너는 버클(buckle), 스냅핏(snap-fit)이 가능한 후크(hook) 구조 또는 벨크로(velcro; 상표명) 등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신축성이 있는 구간 또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2)는 차량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하여 차량에 특정 기능이 실행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2)는 통신을 통해서 웨어러블 디바이스(2)에서 출력되는 화상 정보 및 음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차량에 구비된 A/V(Audio/Video) 출력 장치(예를 들어 내비게이션 장치)로 송신해줄 수 있다.
이러한 차량과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구성을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아울러 차량(1)과 웨어러블 디바이스(2) 간의 동일 이름을 가진 구성부의 구별을 위해, 차량의 구성부에 '제1'을 기재하고,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구성부에 '제2'를 기재하도록 한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차량의 제어 구성도이다.
차량은 램프부(119), 제1입력부(126), 제1표시부(127), 제1사운드부(128), 내비게이션 장치(130), 제1검출부(140), 제1제어부(150), 제1통신부(151), 제1저장부(152)를 포함하고, 차선 이탈 인식부(160)의 영상부(161), 제1인식부(162) 및 제2인식부(1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램프부(119)는 차량의 전후좌후에 마련된 방향 지시 램프를 포함할 수 있고, 사이드 미러에 마련된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방향 지시 램프는 차량의 전후의 좌측에 마련되고 좌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알리는 좌측 방향 지시 램프와, 차량의 전후의 우측에 마련되고 우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알리는 우측 방향 지시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입력부(126)는 오디오 기능, 비디오 기능, 내비게이션 기능, 라디오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고, 졸음 운전 방지 기능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다.
제1입력부(126)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의 페어링 명령을 입력받는다.
여기서 졸음 운전 방지 기능의 동작 명령 및 페어링 명령을 입력받는 제1입력부는, 헤드 유닛에 마련된 버튼들 중 하나이거나, 차량용 단말기(130)에 표시된 입력 버튼일 수 있다.
제1입력부(126)는 졸음 운전에 대한 알림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것도 가능하다.
제1표시부(127)는 제1제어부(150)의 명령에 기초하여 주행정보, 적어도 하나의 기능의 동작 정보 및 졸음 운전에 대한 알림 정보를 영상으로 출력한다.
여기서 졸음 운전에 대한 영상은, 미리 저장된 경고 문자 또는 이모티콘의 영상일 수 있고, 이 경고 문자 또는 이모티콘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제1표시부(127)는 경고 램프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고 램프는 제1제어부(150)의 명령에 기초하여 온 되거나, 점멸될 수 있다.
이러한 제1표시부(127)는 클러스터(123)에 마련된 LED 또는 LCD를 포함할 수 있고, 헤드 유닛에 마련된 디스플레이(예, LCD)를 포함할 수 있으며, 윈도우 글래스에 투영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유닛(HUD)을 포함할 수 있고, 차량용 단말기(130)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표시부(127)는 통신을 수행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사운드부(128)는 제1제어부(150)의 명령에 기초하여 주행정보, 적어도 하나의 기능의 동작 정보 및 졸음 운전에 대한 알림 정보를 사운드로 출력한다.
여기서 졸음 운전에 대한 사운드는, 미리 저장된 사운드이거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사운드일 수 있다.
제1사운드부(128)는 통신을 수행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를 사운드로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사운드부(128)는 차량에 마련된 스피커일 수 있고, 차량용 단말기(130)에 마련된 스피커일 수 있다.
차량용 단말기(13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대응하는 영상을 출력한다.
차량용 단말기(130)는 졸음 운전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차량용 단말기(130)는 내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하는 내비게이션 장치일 수 있다.
즉 차량용 단말기(130)인 내비게이션 장치는, 수신기와 통신을 수행하고 수신기에 수신된 GPS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를 인식하고, 저장된 지도 정보에 현재 위치를 매칭시켜 표시한다.
이러한 내비게이션 장치는 목적지가 입력되면 현재 위치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안내한다.
또한 내비게이션 장치는 확인된 현재 위치와 지도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위치가 고속도로인지를 판단하고 현재 위치가 고속도로라고 판단되면 현재 위치가 고속도로임을 알리는 진입 정보를 제1제어부(150)에 전송하고 현재 위치가 고속도로에서 벗어났다고 판단되면 고속도로 이탈을 알리는 이탈 정보를 제1제어부(150)에 전송한다.
즉 내비게이션 장치(130)는 고속도로에 진입하였다고 판단되면 졸음 운전 방지 기능의 활성화 정보를 제1제어부(150)에 전송하고, 현재 위치가 고속도로에서 벗어났다고 판단되면 졸음 운전 방지 기능의 비활성화 정보를 제1제어부(150)에 전송한다.
제1검출부(140)는 차량의 주행 정보와, 스티어링 휠을 조작 정보를 검출한다.
이러한 제1검출부(140)는 차량의 주행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로서, 차량의 주행 속도를 검출하는 휠 속도 센서 또는 차량의 주행 가속도를 검출하는 가속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검출부(140)는 스티어링 휠의 조작 정보 중 스티어링 휠의 회전을 검출하는 조향각 센서와, 스티어링 휠에 마련되어 스티어링 휠에 인가되는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제어부(150)는 제1입력부(126)로부터 웨어러블 디바이스(2)와의 페어링 명령이 수신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2)와의 페어링을 수행하고, 웨어러블 디바이스(2)와의 페어링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페어링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의 식별 정보를 제1저장부(152)에 저장한다.
제1제어부(150)는 제1입력부(126)를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2)와의 통신 연결 명령이 수신되면 페어링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검색하고 페어링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가 검색되면 검색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제1제어부(15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가 통신으로 연결되면 차량의 속도에 기초하여 차량이 주행상태인지 판단하고 차량이 주행 상태이면 웨어러블 디바이스(2)에 절전 모드 명령을 전송하고, 차량이 주정차 상태라고 판단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일반 모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아울러 제1제어부(150)는 차량의 주행 속도 정보를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전송함으로써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절전 모드 또는 일반 모드를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제1제어부(15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의 동작 모드의 정보가 제1표시부 및 제1사운드부 중 적어도 하나로 출력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를 용이하게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제1제어부(150)는 제1입력부(126)로부터 내비게이션 기능의 수행 명령이 수신되면 수신기와 내비게이션 장치(130)의 동작을 활성화시켜 내비게이션 장치(130)에서 내비게이션 기능이 수행되도록 한다.
제1제어부(150)는 검출된 차량의 속도가 기준 속도 이상이면 졸음 운전 방지 기능을 자동으로 실행시킨다.
아울러 제1제어부(150)는 제1입력부(126)로부터 졸음 운전 방지 기능의 수행 명령이 수신되면 졸음 운전 방지 기능을 실행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제1제어부(150)는 졸음 운전 방지 기능이 실행되면 내비게이션 장치(130)와의 통신을 수행하고, 내비게이션 장치(130)로부터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는, 현재 위치가 고속도로임을 알리는 미리 정해진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정해진 정보는 졸음 운전 방지 기능의 활성화 정보일 수 있다.
아울러 제1제어부(150)는 졸음 운전 방지 기능이 실행된 상태에서 내비게이션 장치(130)가 오프된 상태이면 내비게이션 장치(130)의 동작을 활성화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제1제어부(150)는 차량의 현재 위치가 고속도로이면 제1검출부(140)에서 검출된 스티어링 휠(124)의 압력과 스티어링 횔(124)의 회전 각도를 확인하고, 스티어링 휠의 압력이 기준 압력 이하이고, 스티어링 휠의 회전 각도가 기준각도 이하이면 졸음 운전이라고 1차 판정하며, 졸음 운전에 대한1차 판정 정보를 웨어러블 디바이스(2)에 전송한다.
제1제어부(150)는 스티어링 휠의 회전 각도가 기준 각도 이하인지 확인할 때,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되는 스티어링 휠의 회전 각도가 기준 각도 이하로 변화하는지를 확인한다.
제1제어부(150)는 스티어링 휠의 회전 각도가 기준 각도를 초과하거나, 스티어링 휠에 인가된 압력이 기준 압력을 초과하면 졸음 운전이 아니라고 판단한다.
제1제어부(150)는 졸음 운전 방지 기능이 실행되는 동안 기준 시간 간격으로 졸음 운전 여부를 1차 판정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시간은 30분일 수 있다.
제1제어부(15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로부터 졸음 운전에 대한 2차 판정 정보가 수신되면 제1표시부(127) 및 제1사운드부(128)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졸음 운전에 대한 알림 정보의 출력을 제어한다.
제1제어부(150)는 졸음 운전에 대한 알림 정보를 출력한 상태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2)로부터 졸음 운전에 대한 2차 판정 정보가 다시 수신되는지 판단하고, 2차 판정 정보가 다시 수신되면 알림 정보를 다시 출력한다.
제1제어부(15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로부터 졸음 운전에 대한 2차 판정 정보가 수신되면 내비게이션 장치(130)의 내비게이션 정보(현재 위치 및 지도 정보)에 기초하여 졸음 쉼터 또는 휴게소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정보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제어부(150)는 2차 판정 정보 재수신 여부 확인 시 차량의 현재 위치와 스티어링 휠의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졸음 운전 여부를 판정하는 동작을 일시 정지할 수 있다.
제1제어부(15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에1차 판정 정보를 송신한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판단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졸음 운전에 대한 2차 판정 정보가 미수신되었다고 판단되면 1차 판정 정보를 무시하고 차량의 현재 위치와 스티어링 휠의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졸음 운전 여부를 다시 판정한다.
제1통신부(151)는 수신기를 포함하고 복수의 위성과 통신을 수행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GPS 정보를 획득한다.
제1통신부(151)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수행하고, 웨어러블 디바이스와의 정보를 송수신한다.
제1통신부(151)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블루투스 통신, USB통신, 와이파이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저장부(152)는 페어링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고, 졸음 운전에 대한 알림 정보인 사운드 정보 및 표시 정보를 저장하며, 졸음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기준 정보는 스티어링 휠에 인가되는 기준 압력, 스티어링 휠이 조작되는 기준 각도를 저장하고, 졸음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기간에 대한 기준 시간을 포함한다.
제1저장부(152)는 졸음 운전 방지 기능을 자동으로 실행하기 위한 차량의 기준 속도를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저장부(152)는 고속도로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차량의 제1제어부는 내비게이션 장치의 내비게이션 정보 없이 수신기에 수신된 GPS 정보만을 이용하여 고속도로 여부를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차량은 차량이 위치한 차로를 기준으로 차량과 근접한 차선을 인식하는 차선 이탈 인식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선 이탈 인식부(160)는 영상부(161), 제1인식부(162) 및 제2인식부(163)를 포함한다.
영상부(161)는 차량의 전면에 마련될 수 있고, 차량의 전방 및 좌우 측방의 도로 위의 영상을 수집하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인식부(162)는 영상부(161)에서 수집된 영상에 기초하여 차량의 차로 및 차선을 인식한다.
제2인식부(163)는 방향 지시 램프의 온 오프 여부를 인식한다.
제2인식부(163)는 차량의 좌측 방향 지시 램프가 온되었는지, 차량의 우측 방향 지시 램프가 온되었는지를 인식한다.
아울러, 제2인식부(163)는 좌측 방향 지시 램프 또는 우측 방향 지시 램프를 온오프시키기 위한 방향 지시 레버(미도시)의 동작을 인식함으로써 차량의 좌측 방향 지시 램프가 온되었는지, 우측 방향 지시 램프가 온되었는지를 인식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차량에 차선 이탈 인식부(160)가 마련된 경우, 제1제어부(150)의 1차 판정에 대해 설명한다.
제1제어부(150)는 제1입력부(126)로부터 차선 이탈 인식 기능의 수행 명령이 수신되면 영상부(161), 제1인식부(162) 및 제2인식부(164)의 동작을 활성화시켜 차선 이탈 인식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고, 차선 이탈로 인식되면 차선 이탈에 대한 경고 정보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제1제어부(150)는 제1인식부(162)에서 인식된 차선 정보를 확인하고, 차량이 자 차로가 아닌 자 차로 주변의 차선에 위치한다고 판단되면 제2인식부(163)에서 인식된 방향 지시 램프의 점등 정보를 확인하고, 방향 지시 램프가 소등된 상태이라고 판단되면 차선 이탈로 판단하고, 방향 지시 램프가 점등된 상태이라고 판단되면 정상 주행으로 판단한다.
아울러, 제1제어부(150)는 자 차로 주변의 차선에 위치한다고 판단할 때, 차량이 위치하는 차선이 자 차로를 기준으로 좌측 차선인지 우측 차선인지 판단하고 좌측 차선이라고 판단되면 좌측 방향 지시 램프가 점등되었는지 판단하고, 우측 차선이라고 판단되면 우측 방향 지시 램프가 점등되었는지 판단한다.
제1제어부(150)는 졸음 운전 방지 기능의 수행 명령이 수신되면 영상부(161), 제1인식부(162) 및 제2인식부(163)의 동작을 활성화시켜 차선 이탈을 인식하고, 차량의 현재 위치가 고속도로이면 차선 이탈 여부를 확인하고, 차선 이탈로 확인되면 제1검출부(140)에서 검출된 스티어링 휠(124)의 압력과 스티어링 횔(124)의 회전 각도를 확인하고, 스티어링 휠의 압력이 기준 압력 이하이고, 스티어링 휠의 회전 각도가 기준 각도 이하이면 졸음 운전이라고 1차 판정하며, 졸음 운전에 대한1차 판정 정보를 웨어러블 디바이스(2)에 전송한다.
제1제어부(150)는 스티어링 휠의 회전 각도가 기준 각도 이하인지 확인할 때,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되는 스티어링 휠의 회전 각도가 기준 각도 이하로 변화하는지를 확인한다.
제1제어부(150)는 졸음 운전 방지 기능이 실행되는 동안 기준 시간 간격으로 졸음 운전 여부를 1차 판정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시간은 30분일 수 있다.
제1제어부(150)는 주변의 타 차량과 통신이 수행되면 주변의 타 차량에게 졸음 운전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고 차량에 마련된 윈도우 글래스를 개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구성도이다.
웨어러블 디바이스(2)는 제1입력부(210), 제2검출부(220), 제2제어부(230), 제2통신부(231), 제2저장부(232), 출력부(240) 및 전원부(250)를 포함한다.
제1입력부(210)는 복수의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의 수행 명령을 입력받는다.
제1입력부(210)는 차량과의 페어링 명령을 입력받고, 졸음 운전 방지 기능의 수행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으며 차량의 운전 모드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러한 제1입력부(210)는 터치 패널을 포함할 수 있고, 물리적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패널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본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마련될 수 있고, 물리적 버튼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본체에 마련될 수 있다.
제2검출부(220)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검출한다.
여기서 생체 정보는,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와, 사용자의 졸음 시에 사용자의 몸에서 발생하는 생체의 반응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검출부(220)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모션 센서와, 사용자의 졸음에 대한 생체 반응을 검출하는 생체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모션 센서는 가속도센서, 중력센서 및 자이로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생체 센서는 사용자의 맥박을 검출하기 위한 맥박센서(또는 심박센서) 또는 사용자의 근전도를 검출하기 위한 근전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맥박 센서는 광센서, 전극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광센서는 특정 주파수 스팩트럼(즉 적외선)을 갖는 발광다이오드(LED)로 손목에 빛을 조사하고 포토트랜지스에 입사된 반사 신호를 출력한다.
전극센서는 손목에 인접한 전극에서 발생된 인체 전위의 변화에 따른 신호를 출력한다.
가속도 센서는 심장의 물리적인 움직임에 따라 생기는 손목의 움직임인 심장탄동도(BCG, ballistocardiogram)에 대한 신호를 출력한다.
근전도 센서는 전극을 포함하고, 전극을 이용하여 손목 부위의 근육에서 발생하는 근육의 활동 전위에 대한 신호를 출력한다.
제2제어부(23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의 기능의 실행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기능은 전화 통화 기능, 문자 송수신(SMS) 기능, 활동량 체크 기능, 졸음 운전 판정 기능, SNS 기능, 인터넷 검색 기능, 오디오 기능, 라디오 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제어부(230)는 차량과의 페어링 명령이 입력되면 차량(1)과의 페어링을 제어하고, 차량과의 페어링이 완료되면 페어링된 차량의 식별 정보를 제2저장부(232)에 저장한다.
제2제어부(23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가 일반 모드이면 제2검출부에서 검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2표시부(241), 제2사운드부(242) 및 진동부(243)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2제어부(230)는 일반 모드 중 팔의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팔이 사용자의 얼굴을 향하는 움직임인지 판단하고, 사용자의 얼굴을 향하는 움직임이라 판단되면 제2표시부(241)를 제어하여 제2표시부(241)에 현재 시각의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2제어부(230)는 일반 모드 중 제2검출부(220)의 출력 신호인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활동량을 실시간으로 체크하고 제2저장부(232)에 저장하며, 미리 설정된 주기로 활동량 정보를 제2표시부에 표시한다.
아울러 제2제어부(230)는 제2입력부(210)에 활동량 표시 명령이 입력되면 제2저장부에 저장된 활동량 정보를 제2표시부에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제어부(230)는 제2통신부(231)를 통해 차량의 속도 정보가 수신되거나 제2입력부(210)를 통해 운전 모드가 입력되면 절전 모드를 수행하고, 통신 기능만을 활성화시킨다.
아울러 제2제어부(230)는 자동으로 차량과 통신이 연결되면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것은, 제2검출부(220) 및 제2표시부(241)의 동작을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즉, 제2제어부(23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가 일반 모드인지 또는 절전 모드인지에 따라 각 구성부에 공급되는 전력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도록 전원부(250)를 제어한다.
제2제어부(230)는 절전 모드 중 제2통신부(231)를 통해 1차 판정 정보가 수신되면 동작 모드를 일반 모드로 전환하고, 제2검출부(220)를 활성화시키며 제2검출부의 생체 센서에서 검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졸음 운전 여부를 2차로 판정한다.
제2제어부(230)는 졸음 운전이라고 2차로 판정되면 2차 판정 정보를 차량(1)에 송신하고, 졸음 운전에 대한 알림 정보가 출력되도록 출력부(240)를 제어한다.
여기서 출력부(240)를 제어하는 것은, 제2표시부(241)에 알림 정보를 표시하고, 제2사운드부(242)를 통해 경고 사운드를 출력하며, 진동부(243)를 통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제어부(230)는 졸음 운전으로 2차 판정되면 기준 시간 간격으로 생체 센서에서 출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졸음 운전 여부의 재판정을 반복한다.
제2제어부(230)는 졸음 운전으로 재판정되면 2차 판정 정보를 차량(1)에 다시 송신하고, 졸음 운전에 대한 알림 정보가 다시 출력되도록 출력부(240)를 다시 제어한다.
제2제어부(230)는 졸음 운전으로 재판정되지 않으면 절전 모드를 수행하고, 통신 기능만을 활성화시킨다.
제2제어부(230)는 졸음 운전으로 2차 판정 시에 미리 등록된 전화번호로 사용자의 졸음 운전에 대한 문자 정보를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통해 본 실시 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소모되는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고, 졸음 운전의 판정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졸음 운전으로 인한 사고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2제어부(230)의 졸음 운전을 2차 판정하는 구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2제어부(230)는 맥박 센서에서 검출된 HRV(heart rate variable) 신호를 추출하여 주파수 분석을 수행하고, 맥박을 주파수 대역별로 분해한다.
즉 제2제어부(230)는 HRV 신호에 대하여 파워 스펙트럼 분석(power spectrum analysis)을 수행하여 주파수 성분별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HRV 신호에 대한 파워 스펙트럼 분석을 수행하면, 분석된 신호는 주파수 대역에 따라0.05Hz 미만의 저주파(L/F) 성분과, 0.05~0.15Hz 사이의 중주파(M/F) 성분 및0.15Hz 이상의 고주파(H/F) 성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저주파(L/F) 성분은 체온조절과 관계된 성분이며, 중주파(M/F) 성분은 교감신경과 관련된 성분이고, 고주파(H/F) 성분은 부교감 신경과 관련된 성분이다.
따라서, 제2제어부(230)는 검출된 맥박이 점차 감소하면서, HRV 신호에서 고주파(H/F) 성분이 증가하면, 졸음 운전을 하고 있는 상황으로 판정한다.
제2제어부(230)는 근전도 센서로부터 전달된 근전도 신호를 분석하기 위해서 근전도 신호의 유효성을 검사한다. 즉, 제2제어부(230)는 근전도 신호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으로 변화를 가지는지 확인함으로써, 근전도 신호가 사용자의 졸음 상태를 나타내는지 확인하고 졸음 상태라고 판단되면 졸음 운전으로 2차 판정한다.
아울러 미리 설정된 기준치는, 근전도 신호를 신경망 알고리즘을 통해 학습함으로써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신경망에서의 학습이란 원하는 결과의 노드가 최대값이 나오도록 적절히 가중치를 설정하는 과정이다.
예를 들면, 근전도 신호는 신경망 알고리즘을 통하여 손목의 경직 정도와 근육의 피로도에 대한 졸음 상태에서의 판단 기준을 결과로서 출력할 수 있다.
제2통신부(231)는 차량과 통신을 수행하며, 외부의 장치와도 통신을 수행한다.
이러한 제2통신부(231)는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은 무선 통신, USB(Universal Serial Bus) 단자 등과 같이 유선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제2통신부(231)는 2G, 3G, 4G 및5G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한다.
제2저장부(232)는 졸음 운전으로 판정하기 위한 주파수 성분별 신호 또는 근전도 신호를 저장한다.
제2저장부(232)는 페어링된 차량의 식별 정보를 저장한다.
제2저장부(232)는 졸음 운전 시 연락할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출력부(240)는 제2제어부의 명령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 정보를 출력하는 제2표시부(241), 제2사운드부(242) 및 진동부(243)를 포함한다.
제2표시부(241)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수행 중인 기능에 대한 정보를 영상으로 출력한다.
제2표시부(241)는 1차 판정 정보가 수신되면 일반 모드로의 모드 전환 정보를 표시하고, 2차로 판정된 졸음 운전에 대한 알림 정보를 영상으로 출력한다.
제2표시부(241)는 절전 모드 시 화면을 오프시키고 일반 모드 시 화면을 온 시킨다.
여기서 제2표시부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2표시부(241)는 2입력부(210)와 일체로 형성된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2사운드부(242)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수행 중인 기능에 대한 정보를 사운드로 출력한다.
제2사운드부(242)는 2차로 판정된 졸음 운전에 대한 알림 정보를 사운드로 출력한다.
제2사운드부(242)는 1차 판정 정보가 수신되면 일반 모드로의 모드 전환 정보를 사운드로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진동부(243)는 진동 모드에서 전화가 수신되면 진동을 발생시킨다.
진동부(243)는 졸음 운전으로 2차 판정되면 진동을 발생시킨다.
전원부(250)는 제2제어부(230)의 제어에 의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각 구성부에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한다.
예를 들어, 전원부(25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절전 모드이면 제2제어부와 제2통신부에만 전력을 공급하고, 제2저장부, 제2검출부와 제2표시부에는 전력을 공급하지 않으며, 일반 모드이면 모든 구성부에 전력을 공급한다.
아울러 전원부(250)는 절전 모드 시에 제2입력부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사용자의 요구에 대응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전원부(25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이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일 수 있다.
또한, 전원부(250)는 연결포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원부(250)는 연결포트를 이용하지 않고 무선방식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원부(250)는 외부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 방식이나 전자기적 공진 현상에 기초한 공진 결합(Magnetic Resonance Coupling)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차량의 제어 순서도이다.
차량은 제1입력부(126)를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와의 통신 연결 명령이 입력되면 페어링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검색하고, 검색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통신으로 연결되도록 한다(301).
차량은 검출된 주행 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이 주행 상태인지 주정차 상태인지 판단(302)하고, 차량이 주행 상태라고 판단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절전 모드 명령을 전송한다.
또는 차량은 주행 속도 정보를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직접 전송함으로써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주행 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절전 모드의 전환을 제어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차량은 차량이 주행상태이면 내비게이션 장치와 통신을 수행(303)하고 내비게이션 장치로부터 고속도로의 진입 정보가 수신되는지 판단(304)하고, 고속도로 진입 정보가 수신되었다고 판단되면 제1검출부에서 검출된 스티어링 휠의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졸음 운전 여부를 판단(305)한다.
아울러 차량은 내비게이션 장치가 마련되지 않고 수신기만이 마련된 경우, 수신기에 수신된 GPS 정보와 제1저장부(132)에 저장된 고속도로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현재 위치가 고속도로인지를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졸음 운전 여부의 판단의 일 예는, 현재 위치가 고속도로이면 제1검출부(140)에서 검출된 스티어링 휠(124)의 압력과 스티어링 횔(124)의 회전 각도를 확인하고, 스티어링 휠의 압력이 기준 압력 이하인지 판단하고, 스티어링 휠의 압력이 기준 압력 이하이면 시간 변화에 따른 스티어링 휠의 회전 각도의 변화가 기준각도 이하로 변화하는지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즉 차량은 스티어링 휠의 압력이 기준 압력 이하이고 시간 변화에 따른 스티어링 휠의 회전 각도의 변화가 기준각도 이하이면 졸음 운전이라고 1차로 판정(306)하며, 졸음 운전에 대한 1차 판정 정보를 웨어러블 디바이스(2)에 전송(307)한다.
졸음 운전 여부의 판단의 다른 예는, 현재 위치가 고속도로이면 영상부(161)를 통해 수집된 영상에 기초하여 차량의 차로와 차선을 인식하고, 차량이 자 차로의 좌측 차선 위에 있다고 판단되면 좌측 방향 지시 램프의 점등 상태를 인식하고 좌측 방향 지시 램프가 점등 상태이면 졸음 운전이 아니라고 판단하고, 좌측 방향 지시 램프가 소등 상태이면 제1검출부(140)에서 검출된 스티어링 휠(124)의 압력과 스티어링 횔(124)의 회전 각도를 확인하고, 스티어링 휠의 압력이 기준 압력 이하인지 판단하고, 스티어링 휠의 압력이 기준 압력 이하이면 시간 변화에 따른 스티어링 휠의 회전 각도의 변화가 기준각도 이하로 변화하는지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차량이 자 차로의 우측 차선 위에 있다고 판단되면 우측 방향 지시 램프의 점등 상태를 인식하고 우측 방향 지시 램프가 점등 상태이면 졸음 운전이 아니라고 판단하고, 우측 방향 지시 램프가 소등 상태이면 제1검출부(140)에서 검출된 스티어링 휠(124)의 압력과 스티어링 횔(124)의 회전 각도를 확인하고, 스티어링 휠의 압력이 기준 압력 이하인지 판단하고, 스티어링 휠의 압력이 기준 압력 이하이면 시간 변화에 따른 스티어링 휠의 회전 각도의 변화가 기준각도 이하로 변화하는지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즉 차량은 차선 위에 위치한 상태에서 방향 지시 램프의 소등 상태이고 스티어링 휠의 압력이 기준 압력 이하이며 시간 변화에 따른 스티어링 휠의 회전 각도의 변화가 기준각도 이하이면 졸음 운전이라고 1차로 판정(306)하며, 졸음 운전에 대한 1차 판정 정보를 웨어러블 디바이스(2)에 전송(307)한다.
다음 차량은 웨어러블 디바이스(2)에 1차 판정 정보를 송신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여도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졸음 운전에 대한 2차 판정 정보가 미수신되면 1차 판정 정보를 무시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차량의 현재 위치와 스티어링 휠의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졸음 운전 여부를 판정한다.
반면 차량은 웨어러블 디바이스(2)로부터 졸음 운전에 대한 2차 판정 정보가 수신(308)되면 제1표시부(127) 및 제1사운드부(128)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졸음 운전에 대한 알림 정보를 출력(309)한다.
다음 차량은 졸음 운전에 대한 알림 정보를 출력한 상태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2)로부터 졸음 운전에 대한 2차 판정 정보가 다시 수신되는지 판단하고, 2차 판정 정보가 다시 수신되면 알림 정보를 다시 출력한다.
아울러 차량은 2차 판정 정보 재수신 여부 확인 시 차량의 현재 위치와 스티어링 휠의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졸음 운전 여부를 판정하는 동작을 일시 정지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순서도이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동작 모드가 일반 모드이면 제2검출부(220)에서 검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2표시부(241), 제2사운드부(242) 및 진동부(243)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일반 모드 수행 중 팔의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팔이 사용자의 얼굴을 향하는 움직임인지 판단하고, 사용자의 얼굴을 향하는 움직임이라 판단되면 제2표시부(241)를 통해 현재 시각을 표시한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일반 모드 수행 중 제2검출부(220)의 출력 신호인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활동량을 실시간으로 체크하고 제2저장부(232)에 저장하며, 미리 설정된 주기로 활동량 정보를 제2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차량과의 통신 연결 명령이 입력되면 차량(1)과의 통신 연결을 수행(311)하고, 차량과 통신이 연결되면 차량의 주행 속도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주행 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이 주행 상태인지 판단(312)하고, 차량이 주행 상태라고 판단되면 절전 모드를 수행(313)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제2입력부에 운전 모드가 입력되면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고, 차량과의 통신이 연결되면 자동으로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것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마련된 제2통신부(231) 및 제2제어부(230)에 전력을 공급하고, 제2검출부(220) 및 제2표시부(241)에 전력을 차단함으로써 제2검출부(220) 및 제2표시부(241)의 동작이 비활성화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아울러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절전 모드로 전환되기 전에 제2표시부를 통해 절전 모드로의 전환 정보를 표시하고, 절전 모드로의 전환 정보 표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제2표시부를 비활성화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절전 모드 중 제2통신부(231)를 통해 1차 판정 정보가 수신(314)되면 동작 모드를 일반 모드로 전환(315)하고, 제2검출부(220)에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제2검출부(220)를 활성화시켜 사용자의 생체 반응 정보를 검출(316)한다.
아울러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일반 모드로 전환되면 제2표시부를 활성화시켜 제2표시부에 일반 모드의 전환 정보를 표시하고, 생체 반응 정보의 검출 수행 정보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제2검출부의 생체 센서에서 검출된 생체 반응 정보에 기초하여 졸음 운전 여부를 2차로 판단(317)하고, 졸음 운전이라고 2차로 판정되면 졸음 운전에 대한 알림 정보를 출력하고 2차 판정 정보를 차량(1)에 송신(319) 한다.
여기서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것은, 제2표시부(241)에 알림 정보를 영상으로 표시하고, 제2사운드부(242)를 통해 경고 사운드를 출력하며, 진동부(243)를 통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실시예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졸음에서 깰 수 있도록 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졸음 운전으로 2차 판정되면 기준 시간 간격으로 생체 센서에서 출력된 생체 반응 정보에 기초하여 졸음 운전 여부의 재판정을 반복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졸음 운전으로 재판정되면 2차 판정 정보를 차량(1)에 다시 송신하고, 졸음 운전에 대한 알림 정보가 다시 출력되도록 출력부(240)를 다시 제어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졸음 운전으로 재판정되지 않으면 절전 모드로 전환하고, 통신 기능만을 활성화시킨다.
이를 통해 본 실시 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소모되는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고, 졸음 운전의 판정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졸음 운전으로 인한 사고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8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구성도이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2)는 입력부(210), 검출부(220), 제어부(260), 통신부(261), 저장부(262), 출력부(240) 및 전원부(250)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 예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마련된 입력부(210), 출력부(240) 및 전원부(250)는, 일 실시 예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1입력부(210), 출력부(240) 및 전원부(250)와 동일하여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한 도면 부호를 기재하도록 한다.
검출부(220)는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를 검출하는 제1센서부(221)와, 사용자의 졸음 시에 사용자의 몸에서 발생하는 생체의 반응 정보를 검출하는 제2센서부(222)를 포함한다.
즉 검출부(220)의 제1센서부(221)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모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모션 센서는 가속도센서, 중력센서 및 자이로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센서부(222)는 사용자의 맥박을 검출하기 위한 맥박센서(또는 심박센서) 또는 사용자의 근전도를 검출하기 위한 근전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맥박 센서는 광센서, 전극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광센서는 특정 주파수 스팩트럼(즉 적외선)을 갖는 발광다이오드(LED)로 손목에 빛을 조사하고 포토트랜지스에 입사된 반사 신호를 출력한다.
전극센서는 손목에 인접한 전극에서 발생된 인체 전위의 변화에 따른 신호를 출력한다.
가속도 센서는 심장의 물리적인 움직임에 따라 생기는 손목의 움직임인 심장탄동도(BCG, ballistocardiogram)에 대한 신호를 출력한다.
근전도 센서는 전극을 포함하고, 전극을 이용하여 손목 부위의 근육에서 발생하는 근육의 활동 전위에 대한 신호를 출력한다.
아울러 검출부의 제1센서부(221)는 제2센서부(222)보다 검출 동작 시에 소모되는 전력이 더 작은 센서를 포함한다.
제어부(26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의 기능의 실행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기능은 전화 통화 기능, 문자 송수신(SMS) 기능, 활동량 체크 기능, 졸음 운전 판정 기능, SNS 기능, 인터넷 검색 기능, 오디오 기능, 라디오 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가 일반 모드이면 검출부의 제1센서부(221)와 제2센서부(222)에서 검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부(241), 사운드부(242) 및 진동부(243)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60)는 일반 모드 중 팔의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팔이 사용자의 얼굴을 향하는 움직임인지 판단하고, 사용자의 얼굴을 향하는 움직임이라 판단되면 표시부(241)를 제어하여 표시부(241)에 현재 시각의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60)는 일반 모드 중 검출부(220)의 출력 신호인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활동량을 실시간으로 체크하고 저장부(262)에 저장하며, 미리 설정된 주기로 활동량 정보를 표시부(241)에 표시한다.
아울러 제어부(260)는 입력부(210)에 활동량 표시 명령이 입력되면 저장부(262)에 저장된 활동량 정보를 표시부(241)에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260)는 제1센서부(221)에 검출된 손의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의 주행 여부를 판단하고 차량의 주행으로 판단되면 절전 모드를 수행한다.
여기서 주행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제1센서부(221)에 검출된 손의 움직임 정보가 주행 중의 스티어링 휠의 회전 동작에 대응하는 움직임인지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주행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제1센서부(221)에 검출된 손의 움직임 정보가 주행 중의 스티어링 휠의 그립 동작에 대응하는 움직임 정보인지 판단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주행 중의 스티어링 휠의 회전 동작 및 그립 동작에 대응하는 움직임 정보는 실험에 의해 미리 획득된 정보일 수 있다.
제어부(260)는 입력부(210)를 통해 운전 모드가 입력되면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것은, 제2센서부(222) 및 표시부(241)의 동작을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즉, 제어부(26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가 일반 모드인지 또는 절전 모드인지에 따라 각 구성부에 공급되는 전력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도록 전원부(250)를 제어한다.
제어부(260)는 절전 모드 중 제1센서부(221)에서 검출된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졸음 운전 여부를 1차적으로 판단하고, 졸음 운전이라고 1차로 판정되면 동작 모드를 일반 모드로 전환하고, 제2센서부(222)를 활성화시키며 제2센서부(222)에서 검출된 생체 반응 정보에 기초하여 졸음 운전 여부를 2차로 판정한다.
제어부(260)는 졸음 운전이라고 2차로 판정되면 2차 판정 정보가 출력되도록 출력부(240)를 제어한다.
여기서 출력부(240)를 제어하는 것은, 표시부(241)에 알림 정보를 표시하고, 사운드부(242)를 통해 경고 사운드를 출력하며, 진동부(243)를 통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졸음 운전으로 2차 판정되면 기준 시간 간격으로 생체 센서에서 출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졸음 운전 여부의 재판정을 반복한다.
제어부(260)는 졸음 운전으로 재판정되면 2차 판정 정보가 다시 출력되도록 출력부(240)를 다시 제어한다.
제어부(260)는 졸음 운전으로 재판정되지 않으면 절전 모드를 수행하고, 제1센서부(221)만을 활성화시킨다.
제어부(260)는 졸음 운전으로 2차 판정 시에 미리 등록된 전화번호로 사용자의 졸음 운전에 대한 문자 정보를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통해 본 실시 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소모되는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고, 졸음 운전의 판정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졸음 운전으로 인한 사고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260)는 저장부(262)에 고속도로의 위치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면, 수신기에 수신된 GPS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위치를 인식하고, 인식된 현재 위치와 고속도로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고속 도로에 위치하는지 판단하고, 고속 도로에 위치한다고 판단되면 졸음 운전 방지 기능을 실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졸음 운전 방지 기능을 실행하는 것은, 제1센서부를 이용하여 1차적으로 졸음운전을 판정하고 1차적으로 졸음운전이 판정되면 제2센서부를 이용하여 2차적으로 졸음 운전을 판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센서부(221)에서 검출된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졸음 운전 여부를 1차적으로 판단하는 것은, 제1센서부(221)에 검출된 손의 움직임 정보가 졸음 운전 중의 스티어링 휠의 회전 동작 및 그립 동작에 대응하는 움직임 정보인지 판단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졸음 운전 중의 스티어링 휠의 회전 동작 및 그립 동작에 대응하는 움직임 정보는, 실험에 의해 미리 획득된 정보일 수 있다.
제2센서부에서 검출된 생체 반응 정보에 기초하여 졸음 운전을 2차 판단하는 구성은, 일 실시 예의 졸음 운전의 2차 판정 구성과 동일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통신부(261)는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은 무선 통신, USB(Universal Serial Bus) 단자 등과 같이 유선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통신부(261)는 2G, 3G, 4G 및 5G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한다.
통신부(261)는 복수의 위성과 통신을 수행하여 GPS 정보를 수신하는 GPS 수신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62)는 졸음 운전을 판정하기 위한 맥박 센서의 주파수 성분별 신호 또는 근전도 센서의 근전도 신호를 저장한다.
저장부(262)는 고속도로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저장부(262)는 주행을 판단하기 위한 스티어링 휠의 그립 동작 및 회전 동작에 대응하는 제1센서부(222)의 움직임 정보와, 졸음 운전을 판단하기 위한 스티어링 휠의 그립 동작 및 회전 동작에 대응하는 제1센서부(221)의 움직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32)는 졸음 운전 시 연락할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원부(250)는 제어부(260)의 제어에 의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각 구성부에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한다.
즉, 전원부(26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절전 모드이면 제어부(260), 제1센서부(221) 및 저장부(262)에만 전력을 공급하고, 제2센서부(222)와 표시부(214)에는 전력을 공급하지 않으며, 일반 모드이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모든 구성부에 전력을 공급한다.
도 9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순서도이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차량과 통신이 불가능한 상태에서의 절전 모드 전환 및 졸음 운전 방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방법이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동작 모드가 일반 모드이면 검출부(220)의 제1센서부(221)와 제2센서부(222)에서 검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부(241), 사운드부(242) 및 진동부(243)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제1센서부(221)에 검출된 움직임의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의 주행 상태인지 판단(321)하고 차량의 주행상태라고 판단되면 절전 모드로 전환(322)한다.
아울러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입력부에 운전 모드가 입력되면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것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마련된 제1센서부(221), 저장부(262) 및 제어부(260)에 전력을 공급하고, 제2센서부(222) 및 표시부(241)에 전력을 차단함으로써 제2센서부(222) 및 표시부(241)의 동작이 비활성화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아울러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절전 모드로 전환되기 전에 표시부(241)를 통해 절전 모드로의 전환 정보를 표시하고, 절전 모드로의 전환 정보 표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표시부(241)를 비활성화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절전 모드 중 제1센서부에서 검출된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졸음 운전 여부를 판단(323)하고, 졸음운전으로 1차 판정(324)되면 동작 모드를 일반 모드로 전환(325)하고, 제2센서부(222)에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제2센서부(222)를 활성화시켜 사용자의 생체 반응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생체 반응 정보에 기초하여 졸음 운전 여부를 2차 판단(326)한다.
아울러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일반 모드로 전환되면 표시부(241)를 활성화시켜 표시부(241)에 일반 모드의 전환 정보를 표시하고, 생체 반응 정보의 검출 수행 정보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졸음 운전이라고 2차로 판정(327)되면 졸음 운전에 대한 알림 정보를 출력(328)한다.
여기서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것은, 표시부(241)에 알림 정보를 영상으로 표시하고, 사운드부(242)를 통해 경고 사운드를 출력하며, 진동부(243)를 통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실시예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졸음에서 깰 수 있도록 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졸음 운전으로 2차 판정되면 기준 시간 간격으로 생체 센서에서 출력된 생체 반응 정보에 기초하여 졸음 운전 여부의 재판정을 반복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졸음 운전으로 재판정되면 졸음 운전에 대한 알림 정보를 출력부(240)를 통해 다시 출력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졸음 운전으로 재판정되지 않으면 절전 모드로 전환하고, 제1센서부를 활성화시킨다.
이를 통해 본 실시 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소모되는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고, 졸음 운전의 판정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졸음 운전으로 인한 사고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1: 차량 2: 웨어러블 디바이스

Claims (14)

  1. 차량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차량의 속도 정보가 수신되면 절전 모드를 수행하고, 상기 절전 모드의 수행 중 상기 통신부를 통해 졸음 운전 1차 판정 정보가 수신되면 일반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일반 모드 시에 상기 검출된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졸음 운전 여부를 2차로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졸음 운전으로 2차 판정되면 졸음 운전에 대한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알림 정보를 영상으로 출력하는 표시부와,
    상기 졸음 운전으로 2차 판정되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 검출부, 제어부 및 출력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절전 모드이면 상기 통신부와 제어부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고, 상기 일반 모드이면 상기 통신부, 검출부, 제어부 및 출력부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전원부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졸음 운전으로 2차 판정되면 상기 차량에 졸음 운전 2차 판정 정보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6. 사용자의 팔의 움직임 정보를 검출하는 제1센서부;
    사용자의 생체 반응 정보를 검출하는 제2센서부;
    상기 제1센서부에 검출된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의 주행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차량의 주행 상태라고 판단되면 절전 모드를 수행하고, 상기 절전 모드의 수행 중 상기 제1센서부에 검출된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졸음 운전 여부를 1차 판단하고, 졸음운전으로 1차 판정되면 일반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일반 모드 중 상기 제2센서부에서 검출된 생체 반응 정보에 기초하여 졸음 운전 여부를 2차로 판단하고, 졸음 운전으로 2차 판정되면 알림 정보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알림 정보를 영상으로 출력하는 표시부와,
    상기 알림 정보를 사운드로 출력하는 사운드부와,
    상기 졸음 운전으로 2차 판정되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센서부, 제2센서부, 제어부 및 출력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절전 모드이면 상기 제1센서부와 제어부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고, 상기 일반 모드이면 상기 제1센서부, 제2센서부, 제어부 및 출력부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전원부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움직임의 정보와, 상기 졸음 운전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움직임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0.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내비게이션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스티어링 휠의 조작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에서 전송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위치가 고속도로라고 판단되면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된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졸음 운전 여부를 1차로 판단하고, 졸음운전으로 1차 판정되면 졸음 운전의 1차 판정 정보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11. 제 10 항에 있어서,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졸음 운전의 2차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알림 정보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12. 제 10 항에 있어서,
    차선 이탈을 인식하는 차선 이탈 인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졸음 운전 여부를 1차로 판단할 때 상기 차선 이탈 여부를 확인하고 자 차로 주변의 차선에 위치하면 졸음 운전을 1차로 판정하고 상기 자 차로에 위치하면 졸음 운전의 오판정으로 판단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정보는, 상기 스티어링 휠에 인가된 압력과, 상기 스티어링 휠의 회전 각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티어링 휠에 인가된 압력이 기준 압력 이하이고, 상기 회전 각도가 기준 각도 이하이면 졸음 운전으로 1차 판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주행 속도를 더 검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주행 속도의 정보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KR1020160078358A 2016-06-23 2016-06-23 웨어러블 디바이스, 그와 통신하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101866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8358A KR101866724B1 (ko) 2016-06-23 2016-06-23 웨어러블 디바이스, 그와 통신하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US15/343,290 US10112621B2 (en) 2016-06-23 2016-11-04 Wearable device, vehicle for communicating with the wearable device
CN201611028264.3A CN107539126B (zh) 2016-06-23 2016-11-21 可穿戴设备和用于与可穿戴设备通信的车辆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8358A KR101866724B1 (ko) 2016-06-23 2016-06-23 웨어러블 디바이스, 그와 통신하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420A true KR20180000420A (ko) 2018-01-03
KR101866724B1 KR101866724B1 (ko) 2018-06-15

Family

ID=60675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8358A KR101866724B1 (ko) 2016-06-23 2016-06-23 웨어러블 디바이스, 그와 통신하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112621B2 (ko)
KR (1) KR101866724B1 (ko)
CN (1) CN107539126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17303A (zh) * 2018-06-29 2018-12-18 威马智慧出行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汽车减速系统控制方法
KR20220021998A (ko) * 2020-08-14 2022-02-23 주식회사 만도모빌리티솔루션즈 운전자 보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404236B1 (ko) * 2021-12-08 2022-06-02 주식회사 쎄보모빌리티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능동형 칵핏 모듈 제어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40663B2 (ja) 2016-11-18 2019-07-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システム
US11076766B2 (en) * 2017-04-19 2021-08-03 Beijing Shunyuan Kaihua Technology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user insights based on heart rate variability
JP7043845B2 (ja) * 2018-01-17 2022-03-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表示連携制御装置
US10843710B2 (en) * 2018-04-11 2020-11-24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notification of control authority transition in vehicle
KR102645050B1 (ko) * 2018-12-12 2024-03-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주행 제어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차량 시스템
WO2020120177A1 (en) * 2018-12-12 2020-06-18 Volvo Truck Corporation A method for estimating the attitude of a vehicle
KR102209534B1 (ko) 2019-03-26 2021-01-29 (주)파트론 생체신호 측정 및 경고 장치
CN110047158B (zh) * 2019-03-26 2021-08-06 西安理工大学 一种车灯反射式双向通信的安全支付方法
KR102232478B1 (ko) 2019-03-29 2021-03-26 (주)파트론 웨어러블 기기
US10822000B1 (en) * 2019-04-23 2020-11-03 Toyota Research Institute, Inc. Adaptive localized notifications
CN110083245B (zh) * 2019-04-29 2023-11-03 西藏创煌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动态信息处理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210111558A (ko) * 2020-03-03 2021-09-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운전자 보조 장치 및 그의 경고 방법
CN111619651A (zh) * 2020-06-05 2020-09-04 延锋汽车饰件系统有限公司 方向盘的集成控制器
KR20220060355A (ko) * 2020-11-04 2022-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인증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CN114694390B (zh) * 2020-12-30 2023-11-14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交通指示灯切换时间的判断方法及系统
GB2608627A (en) * 2021-07-07 2023-01-11 Continental Automotive Gmbh A power management system for a motor vehicle and method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2982U (ko) * 1997-06-30 1999-01-25 양재신 자동차의 졸음운전 경보장치
KR20130029985A (ko) * 2011-09-16 2013-03-26 주식회사 만도 차선유지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2014102539A (ja) * 2012-11-16 2014-06-05 Honda Motor Co Ltd 運転者状態推定装置
KR20150043663A (ko) * 2013-10-15 2015-04-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안전운전 지원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8425A (ja) * 1994-08-23 1996-03-05 Riichi Naoi 車両の居眠り運転防止装置
JP3440600B2 (ja) * 1995-01-31 2003-08-25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居眠り警告装置
KR20000017475U (ko) 1999-02-26 2000-09-25 이종수 아날로그 입력 변환 회로의 오프셋 보정 장치
JP4581356B2 (ja) * 2003-09-10 2010-11-17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ドライバの心身状態判定装置及びドライバの運転支援装置
KR20090022909A (ko) 2007-08-31 2009-03-04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운전자 졸음 방지장치
KR20100046305A (ko) * 2008-10-27 2010-05-07 한국과학기술원 졸음운전을 감지하는 장치 및 방법
JP2011248850A (ja) * 2010-04-28 2011-12-08 Imasen Electric Ind Co Ltd 居眠り防止装置
JP2014094708A (ja) 2012-11-12 2014-05-22 Koito Mfg Co Ltd 車室照明システム
US9658243B2 (en) * 2012-11-16 2017-05-23 Honda Motor Co., Ltd. System for alarming a driver using a driver state estimation device
JP5940972B2 (ja) * 2012-12-21 2016-06-29 ダイムラー・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Daimler AG 居眠り運転警報装置および居眠り運転警報方法
KR20150076797A (ko) 2013-12-27 2015-07-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졸음운전 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54188B1 (ko) * 2014-06-05 2015-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1575051B1 (ko) 2014-06-13 2015-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US9283847B2 (en) 2014-05-05 2016-03-15 State Farm Mutual Automobile Insurance Company System and method to monitor and alert vehicle operator of impairment
KR101659027B1 (ko) * 2014-05-15 2016-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차량 제어 장치
JP6274983B2 (ja) * 2014-06-23 2018-02-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運転補助装置、運転補助方法、及び運転補助プログラム
KR101570430B1 (ko) * 2014-08-11 2015-1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것의 동작 방법
US9302584B2 (en) * 2014-08-25 2016-04-05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Drowsy driver prevention systems and methods
MX2017002988A (es) * 2014-09-09 2018-02-01 Torvec Inc Métodos y aparato para monitorear el nivel de alerta de una persona que utiliza un dispositivo portátil, y proporcionar una notificación.
KR20170036428A (ko) * 2015-09-24 201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운전자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2982U (ko) * 1997-06-30 1999-01-25 양재신 자동차의 졸음운전 경보장치
KR20130029985A (ko) * 2011-09-16 2013-03-26 주식회사 만도 차선유지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2014102539A (ja) * 2012-11-16 2014-06-05 Honda Motor Co Ltd 運転者状態推定装置
KR20150043663A (ko) * 2013-10-15 2015-04-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안전운전 지원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17303A (zh) * 2018-06-29 2018-12-18 威马智慧出行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汽车减速系统控制方法
KR20220021998A (ko) * 2020-08-14 2022-02-23 주식회사 만도모빌리티솔루션즈 운전자 보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11840223B2 (en) 2020-08-14 2023-12-12 Hl Klemove Corp. Driver assistant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404236B1 (ko) * 2021-12-08 2022-06-02 주식회사 쎄보모빌리티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능동형 칵핏 모듈 제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539126B (zh) 2021-06-15
US10112621B2 (en) 2018-10-30
KR101866724B1 (ko) 2018-06-15
CN107539126A (zh) 2018-01-05
US20170369075A1 (en) 2017-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6724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그와 통신하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CN112041910B (zh) 信息处理装置、移动设备、方法和程序
KR102469467B1 (ko) 차량 안전 지원 장치 및 방법
US10192171B2 (en) Method and system using machine learning to determine an automotive driver's emotional state
KR101509596B1 (ko) 차량 원격 시동 및 관리용 이동 단말 시스템
EP3247605B1 (en) Apparatus for switching driving mode of vehicle and method thereof
CN113568509A (zh) 便携式电子设备及其操作方法
JP7324716B2 (ja) 情報処理装置、移動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WO2016067593A1 (ja) 車両制御装置
CN109878527A (zh) 分心感测系统
US9473919B2 (en) System and method for anti texting in cell phones during vehicle driving
CN110892351A (zh) 车辆控制装置和车辆控制方法
JP2017157196A (ja) 運転者監視システム
CN205302652U (zh) 智能行车安全模组
US20170355379A1 (en) Driving support device
CN105752086A (zh) 辅助控制装置、驾驶辅助控制装置及其控制方法
CN107953886B (zh) 车辆以及车辆的安全行驶方法
EP2750951B1 (en) System for monitoring the driving modes of a vehicle
CN112204630A (zh) 疲劳驾驶干涉系统及具有其的车辆、疲劳驾驶干涉方法
JP2006172315A (ja) 視認力向上支援装置
JP2010018055A (ja) 車両用乗員覚醒装置
CN115019289A (zh) 用于识别驾驶员疲劳状态的方法以及电子疲劳识别系统和机动车
KR101798528B1 (ko)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차량 작동 시스템
JP2005211239A (ja) 居眠り検出器、居眠り防止装置及び自動車
CN219115336U (zh) 个人信息保护系统及具有其的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