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3473A - 파종기용 흙 및 종자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파종기용 흙 및 종자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3473A
KR20170143473A KR1020170145396A KR20170145396A KR20170143473A KR 20170143473 A KR20170143473 A KR 20170143473A KR 1020170145396 A KR1020170145396 A KR 1020170145396A KR 20170145396 A KR20170145396 A KR 20170145396A KR 20170143473 A KR20170143473 A KR 201701434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hopper
roller
seed
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5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2027B1 (ko
Inventor
정지현
Original Assignee
정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지현 filed Critical 정지현
Priority to KR1020170145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2027B1/ko
Publication of KR20170143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3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2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2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8Broadcast seeders; Seeders depositing seeds in rows
    • A01C7/12Seeders with feeding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5/00Making or covering furrows or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 A01C5/06Machines for making or covering drills or furrows for sowing or planting
    • A01C5/066Devices for covering drills or furrow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8Broadcast seeders; Seeders depositing seeds in rows
    • A01C7/16Seeders with other distributing devices, e.g. brushes, discs, screws or sli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6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종기용 흙 및 종자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육묘상자가 이송되는 프레임 상에 구비되어 흙 또는 종자가 저장되는 호퍼와, 호퍼의 하부에 구비되어 호퍼에서 토출되는 흙 또는 종자를 받아 이송되는 육묘상자에 공급하는 흙(종자) 이송벨트를 포함하는 파종기용 흙 및 종자 공급장치로서, 흙 이송벨트와 같이 연동되어 회전되고 그 표면에는 롤러바가 이송되는 뭉친 흙을 분쇄하는 회전롤러; 회전롤러의 양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한편 호퍼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플레이트; 승강플레이트에 상하 방향으로 고정되게 구비되는 랙기어; 및 호퍼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한편 랙기어와 치합되어 정.역 회전됨에 따라 회전롤러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기어;를 포함하는 파종기용 흙 및 종자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파종기용 흙 및 종자 공급장치{Soil and seed supply apparatus for seedtime}
본 발명은 파종기용 흙 및 종자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흙 및 종자의 공급시 흙이나 종자에 존재하는 줄기 등의 걸림을 방지하는 한편 공급되는 흙과 종자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파종기용 흙 및 종자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종기에 육묘상자를 공급하면, 육묘상자가 상토 호퍼를 지나면서 일정양의 흙(상토)이 공급되고, 관수 호퍼를 지나면서 육묘상자에 공급된 흙(상토) 위에 물이 뿌려지며, 종자 호퍼를 지나면서 육묘상자에 공급된 흙 위로 종자가 파종되고, 복토 호퍼를 지나면서 육묘상자에 파종된 종자 위에 복토용 흙이 공급된다. 이러한 파종기는 볍씨 파종과 고추, 담배, 콩, 가지 등 각종 밭작물의 파종에 사용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파종기는 육묘상자를 공급하여 흙(상토)을 채우고 관수를 뿌린 후 종자를 파종하고, 그 위에 복토용 흙으로 복토하게 되는데, 이때 육묘상자 위에 공급하는 복토용 흙은 복토 호퍼 하방에 위치한 흙 이송밸브가 복토 호퍼의 흙을 이동시켜서 파종기에서 진행되는 육묘상자 위로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복토용 흙을 공급하는 복토 호퍼와 그 아래 위치하는 흙 이송 밸트 사이에는 흙이 통과되는 출구에 브러쉬(또는 칼날)를 구비하고, 브러쉬(또는 칼날)의 높이를 조절하여 흙 이송밸트 위로 공급되는 흙의 공급량을 조절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복토 호퍼는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20-0194184호(등록일 : 2000.06.19. 이하 '선행기술문헌1'이라 한다)에서 볍씨 파종기로 제안된 바 있다.
선행기술문헌1에는, 그 하단부에 브러쉬부가 구비된 브러쉬조정판을 호퍼의 하측에 구비하고, 브러쉬조정판을 호퍼의 하측에서 수동으로 이동시키는 조정로드를 구비하여, 조정로드를 통해 호퍼의 장공을 따라 이동시킴에 따라 브러쉬조정판을 수동으로 이동시켜 흙 이송벨트로 토출되는 흙의 공급양을 조절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선행기술문헌1에서는 파종기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조정로드가 고정되지 못하고 이동되므로 인해 복토용 흙의 공급량을 정밀하게 조절하기 어렵다는 결점이 있다.
이런 선행기술문헌1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449730호(등록일 : 2010.07.28. 이하 '선행기술문헌2'라 한다)에는, 복토 호퍼의 출구지점에 위치되는 개폐판을 지지대를 이용하여 지지축에 연결하고, 지지축에는 레버를 연결하여, 레버를 회전시킴에 따라 개폐판의 위치가 회전되어 출구의 개도량을 조절하게 됨으로써, 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복토용 흙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선행기술문헌2에서는 회전된 레버가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 회전된 상태로 구비되기 때문에, 선행기술문헌1과 마찬가지로 파종기의 작동시에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레버가 고정되지 못하고 회전되므로 인해 복토용 흙의 공급량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없다는 문제가 그대로 내재되어 있다.
또한, 현재에는 레버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판이 호퍼에 구비되고, 고정판의 전면에는 고정홈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어 레버가 고정판의 고정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데, 레버에 의한 개폐판이 고정홈의 간격에 의해서만 결정되므로 레버에 의한 개폐판의 조절폭이 좁아지고, 투입량 조절에 정밀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게다가, 선행기술문헌1,2에서와 같이 브러쉬를 이용한 복토 작업시는 호퍼에 저장된 복토에 퇴비의 줄기 등이 섞여 있고, 이러한 줄기는 호퍼에서 토출되는 복토와 같이 토출되어 육묘상자로 공급되는데, 이 과정에서 줄기가 브러쉬에 걸림되고, 줄기가 걸림된 브러쉬의 일측부에서는 육묘상자로 흙의 공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해 씨앗의 발아가 저해되므로 인해 발아율이 저조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은 종자가 저장된 호퍼에서도 동일하게 발생된다. 즉, 종자 호퍼에서 토출된 종자가 육묘상자로 공급되는 과정에서 종자의 발아 과정에서 엉키거나 종자 물빠짐이 덜되어 브러쉬에 걸림되어 육묘상자로 공급되지 못하는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된다.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20-0194184호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449730호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호퍼의 하측에 흙 이송벨트와 같이 회전되는 회전롤러를 구성함으로써 호퍼에서 흙 이송벨트로 토출되어 육묘상자로 공급되는 흙의 공급양을 조절할 수 있고, 흙의 공급시 발생되는 줄기의 걸림을 방지하여 육묘상자로 흙을 일정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한 파종기용 흙 및 종자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호퍼에서 회전롤러의 높이를 조절하는 작동바를 견고히 고정되게 구성함으로써 파종기의 작동시에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서도 작동바가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하여 흙의 공급량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한 파종기용 흙 및 종자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파종기용 흙 및 종자 공급장치는, 육묘상자가 이송되는 프레임 상에 구비되어 흙 또는 종자가 저장되는 호퍼와, 호퍼의 하부에 구비되어 호퍼에서 토출되는 흙 또는 종자를 받아 이송되는 육묘상자에 공급하는 흙(종자) 이송벨트를 포함하는 파종기용 흙 및 종자 공급장치로서, 흙 이송벨트와 같이 연동되어 회전되고 그 표면에는 롤러바가 이송되는 뭉친 흙을 분쇄하는 회전롤러; 회전롤러의 양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한편 호퍼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플레이트; 승강플레이트에 상하 방향으로 고정되게 구비되는 랙기어; 및 호퍼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한편 랙기어와 치합되어 정.역 회전됨에 따라 회전롤러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기어;를 포함한다.
그리고, 구동기어에는 구동기어를 회전시키는 작동바가 고정되게 구비되고, 호퍼에는 작동바가 관통되게 구비되어 작동바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고정브라켓이 구비되며, 고정브라켓을 관통한 작동바의 단부에는 고정캡이 체결되게 구비되어, 고정캡을 작동바에 체결하면 고정캡이 고정브라켓에 가압 고정되어 작동바를 고정브라켓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흙 이송벨트에는 구동스프로킷휠이 고정되게 구비되고, 호퍼에는 구동스프로킷휠과 체인으로 연결되어 연동 회전되는 종동스프로킷휠이 구비되며, 회전롤러에는 체인에 접하여 연동 회전되는 연동기어가 고정되게 구비되어, 흙 이송벨트와 회전롤러가 연동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구동스프로킷휠과 종동스프로킷휠을 연결하는 체인은 경사지게 구비되고, 회전롤러의 연동기어는 경사진 체인의 상측부에 외접되게 구비되어, 회전롤러의 상하 이동시에도 연동기어와 체인의 외접 상태가 유지되게 구성될 수 있다.
게다가, 승강플레이트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지지판과, 지지판에 그 일단부가 고정되게 구비되는 한편 타단부는 회전롤러에 접하여 구비되는 브러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파종기용 흙 및 종자 공급장치에 따르면, 호퍼의 하측에 흙 이송벨트와 같이 회전되는 회전롤러가 구성되고, 회전롤러의 표면에는 다수의 롤러바가 돌출 형성되어, 호퍼에서 흙 이송벨트로 토출되어 공급되는 흙의 공급양을 조절할 수 있고, 흙의 공급시 회전롤러의 롤러바가 회전됨에 따라 롤러바에는 줄기 등과 같은 줄기가 걸림되지 않아 흙을 육묘상자로 일정하게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호퍼에서 회전롤러를 상하로 이동시켜 회전롤러의 높이를 조절하는 작동바를 호퍼에 견고히 고정되게 구성함으로써 파종기의 작동에 의한 진동에 의해서도 작동바가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흙의 공급량을 정밀하게 제어하여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롤러를 승강시키는 작동바가 회전롤러와 기어수단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작동바의 회전시 회전롤러의 높이를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어, 흙의 투입량을 정밀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종기용 흙 및 종자 공급장치가 적용된 호퍼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호퍼의 전방부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호퍼에 구성되는 흙 및 종자 공급장치를 구동시키는 동력전달부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호퍼에 구성되는 흙 및 종자 공급장치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의 구성도이다.
도 5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부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따라 높이 조절된 흙 및 종자 공급장치용 구동기어의 높이 조절상태의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흙 및 종자 공급장치가 높이 조절된 상태의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파종기용 흙 및 종자 공급장치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파종기용 흙 및 종자 공급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묘상자(1)가 이송되는 파종기의 프레임(10) 상에 구비되는 호퍼(100)에 구성된다.
상기한 호퍼(100)는 파종기의 프레임(10) 상에서 이송되는 육묘상자(1)에 일정량의 흙(상토)을 공급하는 상토 호퍼와, 육묘상자의 흙 위로 종자를 파종하는 종자 호퍼(100)와, 파종된 종자 위로 복토용 흙을 공급하는 복토 호퍼(100)를 포함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호퍼(100) 중 본 발명에 따른 흙 및 종자 공급장치가 상토 호퍼 및 복토 호퍼(이하 "호퍼"라 통칭한다)에 구성되는 것을 일례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흙 및 종자 공급장치(이하 "흙 공급장치"라 한다)를 종자 호퍼에도 구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와 같은 호퍼(100)에는 후술될 회전롤러(110)와 롤러브러쉬(130)의 승강시 지지판(121)과 회전축(131)을 가아드하는 안내공(101)(102)이 각각 형성된다.
파종기의 프레임(10) 상에 구비되는 호퍼(100)는 개구된 상부를 통해 그 내부로 흙이 공급되고 하부로 토출되며, 호퍼(100)의 하부에는 호퍼(100)에서 토출되는 흙을 받아 육묘상자(1)에 공급하는 흙 이송벨트(340)가 구비된다.
그리고, 흙 이송벨트(340) 상부의 호퍼(100)에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퍼(100)에서 토출되는 흙을 육묘상자(1) 측으로 밀어 보내는 회전롤러(110)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회전롤러(110)의 외측 표면에는 다수의 롤러바(111)가 수직하게 돌출 형성된다.
이와 같은 다수의 롤러바(111)는 회전롤러(110)의 외측면에 회전롤러(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열로 구비되되, 이러한 롤러바(111)는 직선 형태 열이나 또는 물결 형태의 열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호퍼(100)에서 흙 이송벨트(340) 상으로 토출되어 이송되는 흙은 회전롤러(110)에 의해 육묘상자(1)로 공급되는 공급량이 결정되고, 회전롤러(110)의 롤러바(111)에 의해서는 뭉친 흙이 분쇄되는 한편 흙 속에 포함되어 있는 줄기 등을 흙의 이송방향으로 밀어내 줄기의 걸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회전롤러(110)의 상부에는 브러쉬(120)가 구비되고, 브러쉬(120)의 상부에는 브러쉬(120)의 상단부가 고정되는 지지판(121)이 구비된다.
특히, 브러쉬(120)는 회전롤러(110)의 표면에 접하도록 구비되어, 회전롤러(110)의 표면이나 롤러바(111)에 묻은 흙을 털어내 청소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호퍼(100)에서 토출된 흙이 회전롤러(110)의 상부로 배출되는 것을 막아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회전롤러(110)와 브러쉬(120) 및 지지판(121)은 호퍼(100)의 외측에 구비되는 후술될 승강플레이트(250)에 의해 하나로 모듈화되어 호퍼(100)에서 일체로 승강되게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승강되는 회전롤러(11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호퍼(100)에서 흙 이송벨트(340)로 토출되어 이송되는 흙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흙 이송벨트(340) 전방의 호퍼(100)에는 육묘상자(1)로 공급된 흙을 설정 높이로 고르게 펼쳐주는 롤러브러쉬(130)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롤러브러쉬(130) 전방의 호퍼(100)에는 육묘상자(1)에서 고르게 펴진 흙을 눌러주는 누름롤러(140)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롤러브러쉬(130)는 그 양단부의 회전축(131)이 호퍼(100)의 안내공(102)을 관통한 상태로 안내공(102)에 베어링을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호퍼(100) 외측에 위치한 회전축(131)의 단부에는 후술될 동력전달부(300)와 벨트(313)로서 연결되어 회전되는 종동풀리(132)가 고정되게 구비된다.
이러한 종동풀리(132)는 양 회전축(131)에 모두 구비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일측의 회전축에만 구비된 것을 일례로 예시하여 설명한다.
한편, 호퍼(100)를 관통한 롤러브러쉬(130)의 양 회전축(131)에는 지지볼트(133)가 결합되고, 이 지지볼트(133)는 호퍼(100)의 외측면에 너트(134)로서 체결되어 고정된다.
지지볼트(133)는 그 일단부에 롤러브러쉬(130)의 회전축(131)이 관통 결합되는 링형상의 결합부(133a)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결합부(133a)의 외주면에서 수직하게 돌출되어 호퍼(100)를 관통한 상태로 너트(134)가 체결되는 볼트축(133b)이 형성된다. 게다가, 지지볼트(133)의 결합부(133a) 내에는 회전축(131)과의 마찰저항을 최소화하여 지지볼트(133) 상에서 롤러브러쉬(130)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베어링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지지볼트(133)의 결합부(133a)에 롤러브러쉬(130)의 회전축(131)이 관통되어 결합된 상태에서 호퍼(100)에 관통 결합된 볼트축(133b)에 너트(134)를 체결하면 지지볼트(133)는 호퍼(100)에 고정된 상태로 구비된다. 이 상태에서 너트(134)를 볼트축(133b)에서 풀어낸 후, 지지볼트(133)를 상하로 이동시켜 위치 조절한 후 볼트축(133b)에 너트(134)를 재차 체결하면, 지지볼트(133)와 롤러브러쉬(130)의 위치를 조절한 상태로 호퍼(100)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위치 조절되는 롤러브러쉬(130)는 육묘상자(1)에 공급된 흙을 설정 높이에 따라 조절되며, 육묘상자(1)에 담긴 흙이 설정 높이보다 많게 되면 회전하는 롤러브러쉬(130)가 육묘상자(1) 내의 흙을 육묘상자(1)의 진행방향과 다른 후방으로 밀어냄으로써 육묘상자(1) 내의 흙은 설정 높이를 유지한 상태로 구비된다.
그리고, 누름롤러(140)는 그 양단부가 롤러브러쉬(130) 전방의 호퍼(100) 양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지지아암(14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누름롤러(140)는 그 자중에 의해 하측 즉 프레임(10) 측으로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지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지지아암(141)과 호퍼(100)의 결합부(133a)에 토션스프링을 구비하여 누름롤러(140)를 하측으로 회전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따라서, 육묘상자(1)가 롤러브러쉬(130)를 통과하게 되면, 양 지지아암(141)에 연결된 누름롤러(140)가 육묘상자(1)에 담긴 흙을 누름롤러(140)의 하중으로 눌러주게 되고, 누름롤러(140)의 하부에 육묘상자(1)의 테두리가 위치되면 누름롤러(140)가 탄력적으로 상방향으로 들렸다가 다시 하강되면서 이송되어온 다른 육묘상자(1)에 담긴 흙을 다시 눌러주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호퍼(100)의 양측부에는 흙 이송벨트(340)와, 회전롤러(110), 롤러브러쉬(130)를 회전시키는 동력전달부(300)와, 회전롤러(11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200)가 각각 구성된다.
동력전달부(300)는 프레임(10) 상에 구동모터(310)가 구비되고, 구동모터(310)의 양측에는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구동풀리(311)(312)가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양 구동풀리(311)(312)에는 각각의 벨트(313)(314)가 구비되고, 일측의 벨트(314)는 흙 이송벨트(340)용 종동풀리(341)에 연결되며, 타측의 벨트(313)는 롤러브러쉬(130)의 종동풀리(132)에 연결되어 구비된다.
따라서, 구동모터(311)(312)가 구동되면, 양 구동풀리(311)(312)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에 연결된 각 벨트(313)(314)를 통해 흙 이송벨트(340)와 롤러브러쉬(130)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회전되는 흙 이송벨트(340)와 롤러브러쉬(130) 역시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흙 이송벨트(340)에 구비되는 축의 일단부에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314)가 연결되는 종동풀리(341)가 고정되게 구비되고, 축의 타단부에는 종동풀리(341)와 일체로 회전되는 구동스프로킷휠(342)이 고정되게 구비된다.
그리고, 구동스프로킷휠(342)에는 호퍼(10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종동스프로킷휠(330)이 체인(320)으로 연결되어 연동 회전되게 구비되고, 종동스프로킷휠(330)은 구동스프로킷휠(342)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어, 구동스프로킷휠(342)과 종동스프로킷휠(330)을 연결하는 체인(320)은 사선방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된다.
게다가, 상기와 같은 체인(320)의 상측부에는 회전롤러(110)에 고정되게 구비된 연동기어(112)가 외접되게 구비된다. 이와 같이 회전롤러(110)의 연동기어(112)를 체인(320)의 상측부에 외접되게 구비함으로써 회전롤러(110)의 상하 이동(승강)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뿐 아니라 상하 이동된 연동기어(112)가 체인(320)에 계속해서 외접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회전롤러(110)의 연동기어(112)는 통상의 텐셔너와 같은 기능을 하는 것으로, 회전롤러(110)가 하강된 상태에서는 연동기어(112)가 체인(320)의 상측을 하방으로 눌러 체인(320)의 장력이 최대로 긴장된 상태가 되고, 회전롤러(110)가 상승된 상태에서는 체인(320)의 장력이 하강시보다는 느슨한 상태가 된다. 이때, 느슨한 상태의 체인(320)은 그 처짐이 체인(320)의 하측에서 발생되고 상측은 하측으로 처진 체인(320)의 자중에 의해 팽팽하게 펼쳐진 상태가 됨으로써 회전롤러(110)의 연동기어(112)는 도 7에서와 같이 체인(320)의 상측부에 외접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체인(320)의 상측부는 구동스프로킷휠(342)과 종동스프로킷휠(330)을 연결한 경사진 체인(320)에서 위쪽에 위치된 체인(320)의 상부를 말하는 것이고(도 6을 기준으로 오른쪽 부분), 체인(320)의 하측부는 아래쪽에 위치된 체인(320)의 하부를 말하는 것이다(도 6을 기준으로 왼쪽 부분).
따라서, 구동모터(310)가 구동되어 흙 이송벨트(340)와 롤러브러쉬(130)가 회전될 때, 흙 이송벨트(340)의 종동풀리(341)와 구동스프로킷휠(342)이 동시에 회전됨으로써 구동스프로킷휠(342)과 종동스프로킷휠(330)을 연결한 체인(320)이 회전되고, 체인(320)의 회전에 의해 이에 외접한 회전롤러(110)의 연동기어(112)가 회전되면서 회전롤러(110)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회전롤러(110)는 흙 이송벨트(340)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높이조절부(200)는 도 2 및 도 4,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퍼(100)의 양 외측면에 가이드브라켓(240)이 고정되게 구비되고, 이 가이드브라켓(240)에는 승강플레이트(250)가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승강플레이트(250)에는 회전롤러(110)의 양단부가 베어링을 매개로 관통되게 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승강플레이트(250)가 상하로 이동됨에 따라 회전롤러(110)가 상하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승강플레이트(250)에는 랙기어(251)가 상하로 구비되어 고정되고, 호퍼(100)에는 랙기어(251)와 치합되어 정.역 회전되는 구동기어(230)와 연결기어(231)가 각각 구비되며, 구동기어(230)와 연결기어(231)는 동일한 축으로 연결되어 일체로 회전되게 구비된다.
여기서, 구동기어(230)에는 이를 수동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작동바(220)가 고정되게 구비되고, 이러한 작동바(220)는 연결기어(231)에도 구비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기어(230)에만 구비된 것을 일례로 예시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작동바(220)에 대응한 호퍼(100)에는 작동바(220)의 상부가 관통 결합되어 작동바(220)의 회전을 가이드함과 동시에 제한하는 고정브라켓(210)이 고정되게 구비되고, 고정브라켓(210)을 관통한 작동바(220)의 상단부에는 고정캡(221)이 나사 결합되어 체결된다.
따라서, 작동바(220)를 회전시키면 작동바(220)의 회전방향으로 구동기어(230)와 연결기어(231)가 일체로 회전되고, 구동기어(230)와 연결기어(231)의 회전에 의해 랙기어(251)가 상하로 이동되며, 랙기어(251)의 이동에 의해 승강플레이트(250)가 상하로 이동되면서 회전롤러(110)의 높이를 도 7에서와 같이 조절하게 된다.
이후, 회전롤러(110)의 높이 조절 후에는 작동바(220)에서 풀려있던 고정캡(221)을 다시 작동바(220)에 체결하여 고정캡(221)의 하면이 고정브라켓(210)의 상면에 접하여 가압되면, 작동바(220) 및 구동기어(230)를 회전된 상태로 고정시키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파종기용 흙 및 종자 공급장치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파종기를 작동시켜 프레임(10) 상에서 육묘상자(1)를 이송시키고, 프레임(10) 상의 구동모터(310)를 작동시켜 프레임(10) 상에서 이송되어 오는 육묘상자(1)에 흙을 공급한다.
즉, 구동모터(310)가 작동되면, 구동모터(310)의 양 구동풀리(311)(312)에 벨트(313)(314)로서 각각 연결된 흙 이송벨트(340)와 롤러브러쉬(130)의 각 종동풀리(341)(132)가 회전 구동되어 흙 이송벨트(340)와 롤러브러쉬(130)가 회전된다.
그리고, 흙 이송벨트(340)의 회전에 의해 이의 구동스프로킷휠(342)이 회전되고, 구동스프로킷휠(342)과 종동스프로킷휠(330)을 연결한 체인(320)이 회전되면서 체인(320)에 외접한 회전롤러(110)의 연동기어(112)가 회전된다.
따라서, 구동모터(310)가 구동됨에 따라 흙 이송벨트(340)와 회전롤러(110) 및 롤러브러쉬(130)가 동시에 회전된다.
이 상태에서 호퍼(100) 내의 흙은 흙 이송벨트(340) 상으로 토출되고, 흙 이송벨트(340)로 토출되어 이송되는 흙은 회전롤러(110)를 통과하면서 일정량으로 공급되며, 회전롤러(110)와 같이 회전되는 롤러바(111)에 의해 뭉친 흙은 분쇄되고 흙에 포함된 줄기 등은 롤러바(111)에 걸림되지 않고 그대로 이송된다.
한편, 흙 이송벨트(340)에 의해 이송되는 흙은 하부의 프레임(10) 상에서 이송되는 육묘상자(1) 내로 배출되어 공급되고, 육묘상자(1)로 배출된 흙은 롤러브러쉬(130)에 의해 설정 높이로 고르게 펼쳐지며, 롤러브러쉬(130)를 통과한 육묘상자(1)의 흙은 누름롤러(140)에 의해 평탄하게 눌림되어 이송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작동되는 회전롤러(110) 및 브러쉬(120)의 높이를 조절하고자 할 시는, 높이조절부(200)의 작동바(220)에 체결된 고정캡(221)을 일정량 풀어내 고정캡(221)의 고정상태를 해제한 후, 작동바(220)를 회전시킨다.
그러면, 작동바(220)에 고정된 구동기어(230)와 연결기어(231)가 호퍼(100) 상에서 작동바(220)와 같이 일방향으로 회전되고, 구동기어(230)와 연결기어(231)의 회전에 의해 이에 치합된 랙기어(251)가 승강하게 되며, 랙기어(251)의 승강작동에 의해 랙기어(251)가 고정된 승강플레이트(250)가 가이드브라켓(240)에 가이드되면서 승강된다.
따라서, 승강플레이트(250)에 고정된 지지판(121)이 호퍼(100)의 안내공(101)을 따라 승강됨에 따라 브러쉬(120)가 승강되고, 회전롤러(110)는 승강플레이트(25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상태로 승강플레이트(250)와 같이 승강된다.
이때, 회전롤러(110)의 연동기어(112) 역시도 호퍼(100)의 외측에서 승강되는데, 회전롤러(110)의 하강시는 연동기어(112)가 체인(320)을 하방으로 눌러 체인(320)의 장력이 최대로 긴장되고, 회전롤러(110)의 상승시는 체인(320)의 장력이 하강시보다는 느슨하게 되지만, 이때 느슨한 상태의 체인(320)은 그 처짐이 체인(320)의 하측에서 발생되고 상측은 하측으로 처진 체인(320)의 자중에 의해 팽팽하게 펼쳐지게 됨으로써 회전롤러(110)의 연동기어(112)는 도 7에서와 같이 체인(320)의 상측부에 외접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회전롤러(110)에 동력전달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 : 육묘상자 10 : 프레임
100 : 호퍼 101,102 : 안내공
110 : 회전롤러 111 : 롤러바
112 : 연동기어 120 : 브러쉬
121 : 지지판 130 : 롤러브러쉬
131 : 회전축 132 : 종동풀리
133 : 지지볼트 133a : 결합부
133b : 볼트축 134 : 너트
140 : 누름롤러 141 : 지지아암
200 : 높이조절부 210 : 고정브라켓
220 : 작동바 221 : 고정캡
230 : 구동기어 231 : 연결기어
240 : 가이드브라켓 250 : 승강플레이트
251 : 랙기어 300 : 동력전달부
310 : 구동모터 311,312 : 구동풀리
313,314 : 벨트 320 : 체인
330 : 종동스프로킷휠 340 : 흙 이송벨트
341 : 종동풀리 342 : 구동스프로킷휠

Claims (5)

  1. 육묘상자가 이송되는 프레임 상에 구비되어 흙 또는 종자가 저장되는 호퍼와, 호퍼의 하부에 구비되어 호퍼에서 토출되는 흙 또는 종자를 받아 이송되는 육묘상자에 공급하는 흙(종자) 이송벨트를 포함하는 파종기용 흙 및 종자 공급장치로서,
    흙 이송벨트와 같이 연동되어 회전되고 그 표면에는 롤러바가 이송되는 뭉친 흙을 분쇄하는 회전롤러;
    회전롤러의 양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한편 호퍼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플레이트;
    승강플레이트에 상하 방향으로 고정되게 구비되는 랙기어; 및
    호퍼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한편 랙기어와 치합되어 정.역 회전됨에 따라 회전롤러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기어;를 포함하는 파종기용 흙 및 종자 공급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구동기어에는 구동기어를 회전시키는 작동바가 고정되게 구비되고,
    호퍼에는 작동바가 관통되게 구비되어 작동바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고정브라켓이 구비되며,
    고정브라켓을 관통한 작동바의 단부에는 고정캡이 체결되게 구비되어, 고정캡을 작동바에 체결하면 고정캡이 고정브라켓에 가압 고정되어 작동바를 고정브라켓에 고정시키는 파종기용 흙 및 종자 공급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흙 이송벨트에는 구동스프로킷휠이 고정되게 구비되고,
    호퍼에는 구동스프로킷휠과 체인으로 연결되어 연동 회전되는 종동스프로킷휠이 구비되며,
    회전롤러에는 체인에 접하여 연동 회전되는 연동기어가 고정되게 구비되어, 흙 이송벨트와 회전롤러가 연동 회전되는 파종기용 흙 및 종자 공급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구동스프로킷휠과 종동스프로킷휠을 연결하는 체인은 경사지게 구비되고, 회전롤러의 연동기어는 경사진 체인의 상측부에 외접되게 구비되어, 회전롤러의 상하 이동시에도 연동기어와 체인의 외접 상태가 유지되는 파종기용 흙 및 종자 공급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승강플레이트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지지판과, 지지판에 그 일단부가 고정되게 구비되는 한편 타단부는 회전롤러에 접하여 구비되는 브러쉬를 포함하는 파종기용 흙 및 종자 공급장치.
KR1020170145396A 2017-11-02 2017-11-02 파종기용 흙 공급장치 KR101982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5396A KR101982027B1 (ko) 2017-11-02 2017-11-02 파종기용 흙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5396A KR101982027B1 (ko) 2017-11-02 2017-11-02 파종기용 흙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3473A true KR20170143473A (ko) 2017-12-29
KR101982027B1 KR101982027B1 (ko) 2019-05-24

Family

ID=60939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5396A KR101982027B1 (ko) 2017-11-02 2017-11-02 파종기용 흙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202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5703B1 (ko) * 2019-08-29 2020-05-26 구진섭 조절이 용이한 파종기용 작동구
CN112119801A (zh) * 2020-10-20 2020-12-25 浙江揭迪智能科技有限公司 育苗插扦装置
CN114793697A (zh) * 2022-04-07 2022-07-29 朱邦全 一种农业育种设备
KR102540262B1 (ko) * 2022-10-11 2023-06-08 정경일 독립 구동이 가능한 자동 파종장치
CN117397406A (zh) * 2023-11-30 2024-01-16 西藏自治区农牧科学院 一种草地生态修复用种植装置
CN117397406B (zh) * 2023-11-30 2024-06-04 西藏自治区农牧科学院 一种草地生态修复用种植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6219B1 (ko) * 2019-12-30 2020-04-01 구진섭 복토장치용 흙 공급량 조절 부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4184Y1 (ko) 2000-03-18 2000-09-01 구진섭 볍씨 파종기
KR200287482Y1 (ko) * 2002-05-16 2002-09-05 구진섭 볍씨파종기
KR200449730Y1 (ko) 2008-05-29 2010-08-04 구진섭 파종기에서 복토용 흙의 공급량 조절장치
KR20100087875A (ko) * 2009-01-29 2010-08-06 구진섭 육모상자용 흙공급장치
KR101592170B1 (ko) * 2015-10-19 2016-02-05 구진섭 파종기용 복토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4184Y1 (ko) 2000-03-18 2000-09-01 구진섭 볍씨 파종기
KR200287482Y1 (ko) * 2002-05-16 2002-09-05 구진섭 볍씨파종기
KR200449730Y1 (ko) 2008-05-29 2010-08-04 구진섭 파종기에서 복토용 흙의 공급량 조절장치
KR20100087875A (ko) * 2009-01-29 2010-08-06 구진섭 육모상자용 흙공급장치
KR101592170B1 (ko) * 2015-10-19 2016-02-05 구진섭 파종기용 복토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5703B1 (ko) * 2019-08-29 2020-05-26 구진섭 조절이 용이한 파종기용 작동구
CN112119801A (zh) * 2020-10-20 2020-12-25 浙江揭迪智能科技有限公司 育苗插扦装置
CN114793697A (zh) * 2022-04-07 2022-07-29 朱邦全 一种农业育种设备
KR102540262B1 (ko) * 2022-10-11 2023-06-08 정경일 독립 구동이 가능한 자동 파종장치
CN117397406A (zh) * 2023-11-30 2024-01-16 西藏自治区农牧科学院 一种草地生态修复用种植装置
CN117397406B (zh) * 2023-11-30 2024-06-04 西藏自治区农牧科学院 一种草地生态修复用种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2027B1 (ko) 2019-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2027B1 (ko) 파종기용 흙 공급장치
KR101592170B1 (ko) 파종기용 복토장치
RU2642118C1 (ru) Сеялка с устройством подачи семян
JP5667582B2 (ja) 播種機
KR102072336B1 (ko) 육묘상자 이송용 컨베이어장치
KR101890552B1 (ko) 파종기용 상토 공급장치
KR20160007470A (ko) 마늘파종기
US2755002A (en) Grain drill
KR20140083161A (ko) 양파 정식기
KR200422867Y1 (ko) 파종기용 육묘상자 공급장치의 출구조정구
KR102115703B1 (ko) 조절이 용이한 파종기용 작동구
JP6666833B2 (ja) 播種機
KR101564891B1 (ko) 파종기용 레일고정장치
KR200194270Y1 (ko) 종자 파종기에 있어서 육묘상자의 이송장치
KR101861826B1 (ko) 파종기
KR100942135B1 (ko) 파종기의 롤러 브러쉬 높이조절장치
US2852166A (en) Dispenser for granular or powdered material
KR101869462B1 (ko) 이식부의 위치 조절이 가능한 모종 이식기
KR102251436B1 (ko) 볍씨 파종기의 상토흙 회수기
JP5416791B2 (ja) 土供給装置
KR200391685Y1 (ko) 파종기용 동력전달장치
KR200363636Y1 (ko) 건답직파기의 파종골형성장치
JP2019122322A (ja) 土供給装置
WO2017145428A1 (ja) 育苗箱用播種機
KR200417427Y1 (ko) 파종기의 상토왕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