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4270Y1 - 종자 파종기에 있어서 육묘상자의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종자 파종기에 있어서 육묘상자의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4270Y1
KR200194270Y1 KR2020000010248U KR20000010248U KR200194270Y1 KR 200194270 Y1 KR200194270 Y1 KR 200194270Y1 KR 2020000010248 U KR2020000010248 U KR 2020000010248U KR 20000010248 U KR20000010248 U KR 20000010248U KR 200194270 Y1 KR200194270 Y1 KR 2001942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ling box
shaft
guide shaft
pulley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02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진섭
Original Assignee
구진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진섭 filed Critical 구진섭
Priority to KR20200000102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42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42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42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8Broadcast seeders; Seeders depositing seeds in rows
    • A01C7/10Devices for adjusting the seed-box ; Regulation of machines for depositing quantities at interv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49/00Combined machines
    • A01B49/04Combinations of soil-working tools with non-soil-working tools, e.g. planting tools
    • A01B49/06Combinations of soil-working tools with non-soil-working tools, e.g. planting tools for sowing or fertilis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5/00Making or covering furrows or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 A01C5/04Machines for making or covering holes for sowing or plan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8Devices for filling-up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Devices for setting plants or seeds in pots
    • A01G9/088Handling or transferring po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w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종자파종기에 있어서 육묘상자의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며 종자파종기의 육묘상자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육묘상자가 상토공급장치에서 상토가 공급되고 이를 회전되는 브러쉬에서 육묘상자의 흙을 균일하게 조성할 때 육묘상자가 후퇴되지 않도록 하고 변형된 육묘상자도 원활히 이송될 수 있도록 함에 목적이 있는 것이며 전후 프레임에 육묘상자 이송통로를 구성하고 프레임 위로는 상토공급장치 종자 파종장치, 복토장치를 구비하는 종자파종기에있어서 프레임에는 다수개의 회전축을 풀리와 밸트로 연결하고 이송통로에 위치되는 회전축에는 이송로울러를 형성하며 프레임의 상부 일단에는 측판을 형성 가이드축에 베어링을 끼워 베어링 지지구로 지지하고 축봉에 스프링을 끼워 측판에 위치시켜 나비나사로 결합하고 이송통로에 위치하는 가이드축에는 가압로울러를 형성하여 가이드축의 풀리와 회전축의 풀리간에 밸트로 연결하여서 된 구성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육묘상자가 이송통로로 공급되면 프레임의 이송로울러와 가이드축의 가압로울러 사이로 통과되면서 변형된 육묘상자의 경우에는 교정되면서 공급되고 상토 공급장치로 강제 이송하게 되므로 상토가 수납된 육묘상자가 회전 브러쉬의 역방향회전으로 밀려나오는 폐단을 해소하므로 육묘상자의 파송작업을 원활히 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종자 파종기에 있어서 육묘상자의 이송장치{ The flat's transter equipment in seed sowing machine }
본 고안은 종자파종기에 있어서 육묘상자의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며 종자파종기에 공급되는 육묘상자가 전진하면서 육묘상자를 교정하여 이송되도록하고 육묘상자가 상토공급장치에 이르면 육묘상자 위에 상토가 공급되고 이를 회전되는 브러쉬가 육묘상자에 수납된 상토를 균일하게 조성할 때 회전되는 브러쉬에 의해 육묘상자가 후퇴되지 않고 원활히 이송되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종자파종기는 육묘상자를 상자공급장치에 적재시켜 파종기를 작동시키면 상자공급장치에서 0.5kg정도의 육묘상자가 체인 또는 밸트로 구성된 컨베이어 위에 낙하되고 체인 또는 밸트에 구성된 돌편이 육묘상자의 후부벽면에 걸려 육묘상자를 전진시켜 상토공급장치에 이르면 육묘상자에 상토공급장치에서 상토가 낙하되어 전진하게 되면서 회전되는 브러쉬가 육묘상자 위의 상토를 균일하게 펼쳐 주게된다.
이 때 육묘상자는 0.5kg에서 상토가 수납되면 5kg에 이르게 되고 상토가 수납된 육묘상자가 회전브러쉬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브러쉬의 회전 방향이 육묘상자의 전진과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육묘상자의 흙을 균일하게 펼치게 되면서 육묘상자의 진행에 장애가 되어 육묘상자의 진행이 정지되면 육묘상자 공급장치에서는 또 다른 빈 육묘상자가 자동으로 계속 공급되므로서 빈상자와 상토가 수납된 상자간에는 부딪히면서 이송통로에서 가벼운 빈상자가 이탈되거나 본체에 끼어져 고장이 발생되는 결점이 있어 왔다.
또 육묘상자는 수분과 태양광선에서 장기간의 노출로 수회 사용하게 되면 변형이 발생되어 육묘상자가 공급장치에서 균일하게 적재되지 못하고 수작업으로 공급하게되나 육묘상자의 후부 벽면이 컨베이어의 돌기에 닿지 못하여 정상적인 공급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이로 인한 종자파종기는 공급부와 상토공급 및 브러쉬작업 지점에서 고장이 잦아 작업이 비능률적인 결함이 있어 왔다.
이에 본 고안은 종자파종기에서 육묘상자를 상부에서 가압시켜 교정하고 이송을 안내하여 원활한 파종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개선한 육묘상자의 이송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정면도
도2는 도1의 A-A선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의 요부인 도2를 분해한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의 전체를 보인 정면도
도5는 본 고안에 사용되는 육묘상자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1a : 프레임 2 : 육묘상자 이송통로
3 : 상토공급장치 10,10a : 회전축
11,11a : 풀리 12,30 : 밸트
13 : 이송로울러 20 : 측판
21 : 스프링 지지돌편 22 : 승강홈
23 : 가이드축 24 : 베어링
25 : 베어링지지구 25a : 축봉
26 : 스프링 27 : 나비너트
28 : 가압로울러 29 : 풀리
전후 프레임(1)(1a) 사이에 육묘상자 이송통로(2)를 구성하고 프레임(1)(1a) 위로는 상토공급장치(3), 종자씨파종장치(4), 복토장치(5)를 구비하는 통상의 종자파종기에 있어서 프레임(1)(1a)에 구성되는 다수개의 회전축(10)에는 풀리(11)와 밸트(12)로 연결하여 일방향으로 회전되도록하고 육묘상자 이송통로(2) 내에 위치되는 회전축(10)에는 이송로울러(13)를 형성하며, 프레임(1)(1a)의 상부 일단에는 스프링지지돌편(21)과 승강홈(22)을 구비한 측판(20)형성, 가이드축(23)을 승강홈 (22)으로 끼운 양측에 베어링(24)을 수납시킨 베어링지지구(25)와 결합하고 베어링 지지구(25)의 축봉(25a)에는 스프링(26)을 끼워 스프링지지돌편(21)내에 위치시켜 나비너트(27)로 결합하고 육묘상자 이송통로(2)에 위치되는 가이드축(23)에는 가압로울러(28)를 형성하고, 프레임(1)(1a) 일단의 회전축(10a)을 연장하여 형성한 풀리(11a)와 가이드축(23)의 풀리(29)간을 밸트(30)로 연결하여서 된 구성이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50은 육묘상자, 51은 결합나사, 52는 간격유지축봉, 53은 회전브러쉬, 54는 구동모터, 55는 다리를 표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종자파종기에 육묘상자 이송장치를 구성하고 사용시의 구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자파종기의 상토공급장치(3)와 종자파종장치(4) 및 복토장치(5)의 각호퍼에 상토와 종자 및 복토용 흙을 각 수납하고 구동모터(54)를 동작시키면서 육묘상자(50)를 프레임(1)(1a) 사이의 육묘상자이송통로(2)로 공급하게 되면 육묘상자 (50)는 프레임(1)(1a)에 위치되는 회전축(10)의 회전으로 육묘상자(50)는 이송로울러(13)에 의해 전진하면서 상토공급장치(3)와 종자파종장치(4) 및 복토장치(5)를 통과하여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 때 육묘상자(50)에 흙이 채워지지 않은 상태의 육묘상자 중량은 0.5kg 정도이고 수회 사용한 경우에는 변형이 발생된 경우도 있으며 공급부의 이송로울러 (13) 위에 육묘상자(50)를 공급하게 되면 회전축(10)의 회전으로 육묘상자(50)는 전진하게 되면서 프레임(1)(1a)의 상부일단에 위치되는 측판(20)부에 이르면 육묘상자(50) 상부에는 가이드축(23)이 회전되면서 가압로울러(28)가 육묘상자(50)의 양측면 상부를 가압하고 육묘상자(50) 저부는 회전축(10)의 이송로울러(13)가 위치되어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육묘상자(50) 상하에서 이송로울러(13)와 가압로울러 (28)가 육묘상자(50)를 가이드하면서 이송하게 되므로 변형된 육묘상자의 경우에는 교정된 상태에서 상토공급장치(3)로 이송시키게 된다.
또 상토공급장치(3)를 통과하여 상토가 육묘상자(50)에 담겨지면 육묘상자는 중량이 5kg정도가 되며 동 육묘상자(50)가 회전브러쉬(53) 지점에 이르면 회전브러쉬(53)가 육묘상자(50) 위의 흙을 균일상태로 펴기 위해 육묘상자(50)의 진행과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회전브러쉬(53)에 의해 육묘상자(50)는 진행의 역방향으로 작용하는 힘과 하중으로 인하여 육묘상자(50)가 후퇴하게 되나 육묘상자(50)의 공급지점에 위치하는 회전축(10)의 이송로울러(13)와 가이드축(23)의 가압로울러 (28)가 육묘상자(50)를 상하에서 가압한 상태에서 진행방향으로 회전되어 전진시키게 되면 회전브러쉬(53) 지점의 육묘상자(50)의 전진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종자파종장치(4)와 복토장치(5)로 전진하면서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 육묘상자(50)가 다소 변형상태에 있더라도 프레임(1)(1a)의 하부에 위치하는 이송로울러(13)와 상부에 위치하는 가압로울러(28) 사이에 육묘상자(50)가 위치되어 상하에서 가압하여 교정되면서 공급되고 육묘상자의 정확한 전진을 유도하게 된다.
또 위와 같이 사용함에 있어 육묘상자의 크기와 상태에 따라 육묘상자(50) 상부에 위치하는 가이드축(23)의 가압로울러(28)의 하강압력을 조정하고자 할 때에는 나비너트(27)를 풀면 스프링(26)의 지지거리가 길어져 하강압력이 약해지고 조이면 하강압력이 강해지게 되고 가이드축(23)은 측판(20)의 승강홈(22)의 길이에 의한 승강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 프레임(1)(1a)에 형성되는 회전축(10a)과 가이드축(23)의 회전방향이 같은 경우에는 도1과 같이 회전축(10a)과 가이드축(23)간의 회전력 전달을 평방향으로 연결하면 되고 회전방향이 다르게되면 밸트를 X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게 되고 또 체인이나 기어에 의해서 회전방향과 상태를 변화하거나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또 회전축(10)간을 연결하는 풀리(11)와 밸트(12)를 프레임(1)(1a)의 공간부에 위치시키면 돌출되지 않아 편리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종자파종기의 상토공급장치(3)의 전방측의 프레임 (1)(1a)상부일단에 육묘상자(50)의 상부에 위치되어 이송시키는 이송장치를 구비하므로서 육묘상자를 원활하고 정확하게 공급하여 상토의 수납과 종자의 파종을 원활하게 하고 고능률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종자파종기에서 상토공급장치로 공급되는 육묘상자를 상토공급장치에 설치된 회전브러쉬에 의한 장애 없이 원활히 공급할 수 있고 또 변형된 육묘상자의 경우에는 장애없이 원활히 파종할 수 있는 매우 실용적이고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전후 프레임(1)(1a) 사이에 육묘상자 이송통로(2)를 구성하고 프레임(1)(1a) 위로는 상토공급장치(3), 종자파종장치(4), 복토장치(5)를 구비하는 통상의 종자파종기에 있어서 프레임(1)(1a)에 구성되는 다수개의 회전축(10)에는 풀리(11)와 밸트(12)로 연결하여 일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고 육묘상자이송통로(2)내에 위치되는 회전축 (10)에는 이송로울러(13)를 형성하며, 프레임(1)(1a)의 상부 일단에는 스프링지지돌편(21)과 승강홈(22)을 구비한 측판(20)형성, 가이드축(23)을 승강홈(22)으로 끼운 양측에 베어링(24)을 수납시킨 베어링지지구(25)와 결합하고 베어링 지지구(25)의 축봉(25a)에는 스프링(26)을 끼워 스프링지지돌편(21)내에 위치시켜 나비너트(27)로 결합하고, 육묘상자 이송통로(2)에 위치되는 가이드축(23)에는 가압로울러(28)를 형성하고, 프레임(1)(1a) 일단의 회전축(10a)을 연장하여 형성한 풀리(11a)와 가이드축(23)의 풀리(29) 간을 밸트(30)로 연결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 종자파종기에 있어서 육묘상자의 이송장치(독립항)
KR2020000010248U 2000-04-11 2000-04-11 종자 파종기에 있어서 육묘상자의 이송장치 KR2001942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0248U KR200194270Y1 (ko) 2000-04-11 2000-04-11 종자 파종기에 있어서 육묘상자의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0248U KR200194270Y1 (ko) 2000-04-11 2000-04-11 종자 파종기에 있어서 육묘상자의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4270Y1 true KR200194270Y1 (ko) 2000-09-01

Family

ID=19651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0248U KR200194270Y1 (ko) 2000-04-11 2000-04-11 종자 파종기에 있어서 육묘상자의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4270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6627B1 (ko) 2012-11-29 2013-02-28 구기현 파종기용 육묘상자의 투입대
KR101564893B1 (ko) 2015-08-13 2015-10-30 구기현 파종기의 육묘상자용 가이드장치
KR102072336B1 (ko) 2019-08-29 2020-01-31 구진섭 육묘상자 이송용 컨베이어장치
KR102115710B1 (ko) * 2019-12-30 2020-05-26 구진섭 육묘포트용 흙 및 물 공급장치
KR200495792Y1 (ko) * 2020-02-10 2022-08-19 박종수 육묘상자 공급장치
KR102438876B1 (ko) 2022-01-24 2022-09-01 정경일 자동 파종장치
KR102604173B1 (ko) 2023-02-23 2023-11-22 구진섭 그룹제어 및 개별제어가 가능한 육묘상자용 파종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6627B1 (ko) 2012-11-29 2013-02-28 구기현 파종기용 육묘상자의 투입대
KR101564893B1 (ko) 2015-08-13 2015-10-30 구기현 파종기의 육묘상자용 가이드장치
KR102072336B1 (ko) 2019-08-29 2020-01-31 구진섭 육묘상자 이송용 컨베이어장치
KR102115710B1 (ko) * 2019-12-30 2020-05-26 구진섭 육묘포트용 흙 및 물 공급장치
KR200495792Y1 (ko) * 2020-02-10 2022-08-19 박종수 육묘상자 공급장치
KR102438876B1 (ko) 2022-01-24 2022-09-01 정경일 자동 파종장치
KR102604173B1 (ko) 2023-02-23 2023-11-22 구진섭 그룹제어 및 개별제어가 가능한 육묘상자용 파종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67582B2 (ja) 播種機
KR101738835B1 (ko) 육묘상자 적재 및 인출장치
KR101982027B1 (ko) 파종기용 흙 공급장치
KR200194270Y1 (ko) 종자 파종기에 있어서 육묘상자의 이송장치
KR102072336B1 (ko) 육묘상자 이송용 컨베이어장치
KR200422866Y1 (ko) 파종기용 육묘상자의 공급장치
KR200469522Y1 (ko) 육묘상자 공급기
JP5092499B2 (ja) 播種ユニット及び播種方法
CN211745667U (zh) 一种秧盘自动化播种装置
JP5451783B2 (ja) 播種機の動力伝達装置
JP6666833B2 (ja) 播種機
JP5761145B2 (ja) 播種機
JP5416791B2 (ja) 土供給装置
JP5176712B2 (ja) 播種機
JP6718572B2 (ja) 播種機
JP2013141428A (ja) 播種装置
JP6503325B2 (ja) 苗箱用播種機
JP2009296971A5 (ko)
KR102088208B1 (ko) 육묘상자 랩핑장치
JPH0142971Y2 (ko)
JP3963882B2 (ja) 育苗箱用土入装置
JPH0123255Y2 (ko)
JPH0132828Y2 (ko)
JPH0123209Y2 (ko)
KR200244136Y1 (ko) 볍씨용 파종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