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4893B1 - 파종기의 육묘상자용 가이드장치 - Google Patents

파종기의 육묘상자용 가이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4893B1
KR101564893B1 KR1020150114319A KR20150114319A KR101564893B1 KR 101564893 B1 KR101564893 B1 KR 101564893B1 KR 1020150114319 A KR1020150114319 A KR 1020150114319A KR 20150114319 A KR20150114319 A KR 20150114319A KR 101564893 B1 KR101564893 B1 KR 101564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roller
box
guide
re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4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기현
Original Assignee
구기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기현 filed Critical 구기현
Priority to KR1020150114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48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4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4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20Parts of seeders for conducting and depositing seed
    • A01G9/10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종기의 육묘상자용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1컨베이어 및 제1컨베이어와 연결되어 제1컨베이어로부터 육묘상자를 공급받아 이송하는 제2컨베이어가 구비됨과 아울러 제1컨베이어 및 제2컨베이어 상에는 육묘상자에 복토를 공급하는 제1복토기 및 제2복토기가 서로 이격 구비되고, 제1복토기 및 제2복토기의 사이에는 육묘상자에 볍씨를 공급하는 볍씨파종기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파종기의 육묘상자용 가이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컨베이어 및 제2컨베이어가 연결되는 상부 양측에 각각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며, 제1컨베이어 측에는 장공이 관통형성되고, 제2컨베이어측에는 관통된 통공이 형성되어 각각의 장공 및 통공이 제1고정볼트 및 제2고정볼트에 의해 제1컨베이어 및 제2컨베이어에 결합 고정되는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의 제2고정볼트 각각의 축 상에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축 회전 가능하도록 각각 결합 구비되며, 원통형의 외주면이 마주하는 측이 육묘상자의 외면에 각각 닿도록 형성되는 롤러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파종기의 육묘상자용 가이드장치{Guide apparatus for seeding box of seedingmachine}
본 발명은 파종기의 육묘상자용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다양한 크기를 갖는 육묘상자가 컨베이어를 통과할 시에 컨베이어의 중앙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다수개의 컨베이어가 이어져 사용될 시에도 다수개의 컨베이어를 통과하는 육묘상자가 다수개의 컨베이어 중앙으로 통과될 수 있도록 하는 파종기의 육묘상자용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종기는 농작물의 종자를 농지의 이랑에 파종하는 직파 파종기와, 육묘상자에 일정 두께의 상토(흙)를 채우고 그 위에 종자를 균일한 밀도로 파종한 후 복토하고 급수시키는 작업기를 의미하는 육묘상자용 파종기로 구분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육묘상자용 파종기는 육묘상자를 운반하는 컨베이어 상에 설치되어 육묘상자 내에 파종용 씨앗을 공급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상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쌍의 측면프레임,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의 내측으로 축연결되어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되며, 표면에 씨앗을 담도록 공급롤러의 공급회전방향 전방측에 공급롤러의 외주면에 내측방향 수직으로 형성되어 씨앗이 안착 걸림되는 지지턱과, 상기 지지턱의 후방측으로 외향 대각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후방측으로 공급롤러의 외주면에까지 만곡지게 연장 형성되는 만곡부로 된 다수의 안내홈이 형성되는 공급롤러, 상기 공급롤러의 상부측에 이격 위치되며,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의 내측으로 연결되어 씨앗의 과잉공급을 방지하도록 일측 측면프레임의 외측에 연결 구비되어 기어가 구비된 핸들축을 갖는 핸들에 의해 공급롤러와의 간격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후면에 기어에 맞물리는 기어레일이 설치되며, 공급롤러에 근접 위치되는 하단부에 브러쉬가 구비되는 단속판, 상기 공급롤러의 공급회전방향으로 단속판의 후방측에 위치되어 상기 단속판과 공급롤러의 이격거리에 상응한 거리로 이격 위치되며,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의 내측으로 연결되어 씨앗의 후방 이탈을 방지하도록 일측 측면프레임의 외측에 연결 구비되어 기어가 구비된 핸들축을 갖는 핸들에 의해 공급롤러와의 간격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후면에 기어에 맞물리는 기어레일이 설치되며, 공급롤러에 근접 위치되는 하단부에 브러쉬가 구비되는 후방지지판, 상기 후방지지판의 하부측에 수평 이격 위치되어 고정되며, 힌지 구조로 구성되어 상판은 측면프레임에 고정되고, 상판의 단부에 힌지 연결된 하판은 하방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보조판으로 구성되는 기술이 등록특허공보 제10-1158634호에서와 같이 공지된 바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기술은 다양한 폭을 갖는 육묘상자가 컨베이어에서 이송될 시에 육묘상자가 컨베이어 중앙에서 이탈되어 한쪽으로 편중되게 이송됨으로써 육묘상자 내에 씨앗 또는 흙이 파종 또는 복토될 시에 육묘상자에 골고루 파종 또는 복토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한 파종기의 육묘상자용 가이드장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1158863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다양한 크기를 갖는 육묘상자가 컨베이어를 통과할 시에 컨베이어의 중앙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다수개의 컨베이어가 이어져 사용될 시에도 다수개의 컨베이어를 통과하는 육묘상자가 다수개의 컨베이어 중앙으로 통과될 수 있도록 하는 파종기의 육묘상자용 가이드장치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컨베이어 및 제1컨베이어와 연결되어 제1컨베이어로부터 육묘상자를 공급받아 이송하는 제2컨베이어가 구비됨과 아울러 제1컨베이어 및 제2컨베이어 상에는 육묘상자에 복토를 공급하는 제1복토기 및 제2복토기가 서로 이격 구비되고, 제1복토기 및 제2복토기의 사이에는 육묘상자에 볍씨를 공급하는 볍씨파종기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파종기의 육묘상자용 가이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컨베이어 및 제2컨베이어가 연결되는 상부 양측에 각각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며, 제1컨베이어 측에는 장공이 관통형성되고, 제2컨베이어측에는 관통된 통공이 형성되어 각각의 장공 및 통공이 제1고정볼트 및 제2고정볼트에 의해 제1컨베이어 및 제2컨베이어에 결합 고정되는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의 제2고정볼트 각각의 축 상에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축 회전 가능하도록 각각 결합 구비되며, 원통형의 외주면이 마주하는 측이 육묘상자의 외면에 각각 닿도록 형성되는 롤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의 육묘상자용 가이드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파종기의 육묘상자용 가이드장치는 원통형의 외주면이 마주하는 측이 육묘상자의 양측 외면에 각각 닿도록 형성되는 롤러로 인해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다양한 크기를 갖는 육묘상자가 컨베이어를 통과할 시에 컨베이어의 중앙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다수개의 컨베이어가 이어져 사용될 시에도 다수개의 컨베이어를 통과하는 육묘상자가 다수개의 컨베이어 중앙으로 통과됨으로써 육묘상자에 씨앗 또는 흙이 파종 또는 복토 될 시에 육묘상자에 골고루 파종 또는 복토 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파종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가이드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가이드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가이드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가이드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가이드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가이드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의한 파종기의 육묘상자용 가이드장치는 제1컨베이어(10) 및 제1컨베이어(10)와 연결되어 제1컨베이어(10)로부터 육묘상자(11)를 공급받아 이송하는 제2컨베이어(12)가 구비됨과 아울러 제1컨베이어(10) 및 제2컨베이어(12) 상에는 육묘상자(11)에 복토를 공급하는 제1복토기(13) 및 제2복토기(14)가 서로 이격 구비되고, 제1복토기(13) 및 제2복토기(14)의 사이에는 육묘상자(11)에 볍씨를 공급하는 볍씨파종기(15)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파종기의 육묘상자용 가이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컨베이어(10) 및 제2컨베이어(12)가 연결되는 상부 양측에 각각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며, 제1컨베이어(10) 측에는 장공(16)이 관통형성되고, 제2컨베이어측(12)에는 관통된 통공(17)이 형성되어 각각의 장공(16) 및 통공(17)이 제1고정볼트(18) 및 제2고정볼트(19)에 의해 제1컨베이어(10) 및 제2컨베이어(12)에 결합 고정되는 고정구(20)와, 상기 고정구(20)의 제2고정볼트(19) 각각의 축 상에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축 회전 가능하도록 각각 결합 구비되며, 원통형의 외주면이 마주하는 측이 육묘상자(11)의 외면에 각각 닿도록 형성되는 롤러(21)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제1컨베이어(10) 및 제2컨베이어(12)가 연결되는 상부 양측에 각각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며, 제1컨베이어(10) 측에는 장공(16)이 관통 형성되고, 제2컨베이어측(12)에는 관통된 통공(17)이 형성되어 각각의 장공(16) 및 통공(17)이 제1고정볼트(18) 및 제2고정볼트(19)에 의해 제1컨베이어(10) 및 제2컨베이어(12)에 결합 고정되는 고정구(2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고정구(20)의 장공(16) 및 통공(17)은 제1컨베이어(10) 및 제2컨베이어(12) 중 어느측에 위치되어도 무방한 것이며, 고정구(20)에 형성되는 장공(16)에 의해 제1컨베이어(10) 및 제2컨베이어(12)가 어느정도 유격이 형성되어도 고정구(20)를 안정적으로 제1컨베이어(10) 및 제2컨베이어(12)에 결합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구(20)의 제2고정볼트(19) 각각의 축 상에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축 회전 가능하도록 각각 결합 구비되며, 원통형의 외주면이 마주하는 측이 육묘상자(11)의 외면에 각각 닿도록 형성되는 롤러(21)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롤러(21)는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롤러(21)의 내측에는 롤러(21)의 회전이 원활하도록 롤러(21)의 축 상으로 결합 되는 베어링(26)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베어링(26)은 롤러(21)의 회전이 원활하도록 구비되는 것이며, 베어링(26)의 상부 및 하부에는 롤러(21)가 베어링(26)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원판형의 지지구(27)가 구비되어 사용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본 발명에 의한 파종기의 육묘상자용 가이드장치의 다른 일 실시예는 하기와 같다.
상기 제1컨베이어(10) 및 제2컨베이어(12)가 연결되는 상부 양측에 각각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며, 제1컨베이어(10) 측에는 장공(16)이 관통형성되고, 제2컨베이어(12)측에는 관통된 통공(17)이 형성되어 각각의 장공(16) 및 통공(17)이 제1고정볼트(18) 및 제2고정볼트(19)에 의해 제1컨베이어(10) 및 제2컨베이어(12)에 결합 고정되는 고정구(2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고정구(20)는 전술된 바와 같이 고정구(20)의 장공(16) 및 통공(17)은 제1컨베이어(10) 및 제2컨베이어(12) 중 어느 측에 위치되어도 무방한 것이며, 고정구(20)에 형성되는 장공(16)에 의해 제1컨베이어(10) 및 제2컨베이어(12)가 어느 정도 유격이 형성되어도 고정구(20)를 안정적으로 제1컨베이어(10) 및 제2컨베이어(12)에 결합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구(20)의 통공(17) 각각의 상부에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며, 제2고정볼트(19)에 의해 축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이격구(2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이격구(22)는 육묘상자(11)의 외면에 롤러(21)의 외면이 같은 높이로 밀착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격구(22)는 금속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한 것이나 후술되는 가이드바(24)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합성수지재로 형성하여도 무방한 것이며, 육묘상자(11)의 높이에 따라 다양한 높이로 제작되어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이격구(22) 각각의 상부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며, 양측에 각각 관통된 가이드공(23)이 각각 형성되고, 일측의 가이드공(23)은 제2고정볼트(19)의 축 상에 축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가이드바(24)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바(24)는 다양한 폭으로 형성되는 육묘상자(11)에 대응되도록 가이드바(24)를 회전시켜 롤러(21)가 육묘상자(11)에 밀착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바(24) 각각의 타측 가이드공(23) 상부에 각각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며, 각각은 축 회전 가능하도록 가이드볼트(25)에 의해 결합 구비되고, 원통형의 외주면이 마주하는 측이 육묘상자(11)의 외면에 각각 닿도록 형성되는 롤러(21)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롤러(21)의 내측에는 롤러(21)의 회전이 원활하도록 롤러(21)의 축 상으로 결합 되는 베어링(26)이 구비되며, 롤러(21)는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베어링(26)의 상부 및 하부에는 롤러(21)가 베어링(26)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원판형의 지지구(27)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파종기의 육묘상자용 가이드장치는 원통형의 외주면이 마주하는 측이 육묘상자(11)의 양측 외면에 각각 닿도록 형성되는 롤러(21)로 인해 제1컨베이어(10) 및 제2컨베이어(12)를 통해 이송되는 다양한 크기를 갖는 육묘상자(11)가 제1컨베이어(10) 및 제2컨베이어(12)를 통과할 시에 제1컨베이어(10) 및 제2컨베이어(12)의 중앙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육묘상자(11)에 씨앗 또는 흙이 파종 또는 복토 될 시에 육묘상자(11)에 골고루 파종 또는 복토 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10 : 제1컨베이어 11 : 육묘상자
12 : 제2컨베이어 13 : 제1복토기
14 : 제2복토기 15 : 볍씨파종기
16 : 장공 17 : 통공
18 : 제1고정볼트 19 : 제2고정볼트
20 : 고정구 21 : 롤러
22 : 이격구 23 : 가이드공
24 : 가이드바 25 : 가이드볼트
26 : 베어링 27 : 지지구

Claims (6)

  1. 제1컨베이어(10) 및 제1컨베이어(10)와 연결되어 제1컨베이어(10)로부터 육묘상자(11)를 공급받아 이송하는 제2컨베이어(12)가 구비됨과 아울러 제1컨베이어(10) 및 제2컨베이어(12) 상에는 육묘상자(11)에 복토를 공급하는 제1복토기(13) 및 제2복토기(14)가 서로 이격 구비되고, 제1복토기(13) 및 제2복토기(14)의 사이에는 육묘상자(11)에 볍씨를 공급하는 볍씨파종기(15)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파종기의 육묘상자용 가이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컨베이어(10) 및 제2컨베이어(12)가 연결되는 상부 양측에 각각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며, 제1컨베이어(10) 측에는 장공(16)이 관통형성되고, 제2컨베이어측(12)에는 관통된 통공(17)이 형성되어 각각의 장공(16) 및 통공(17)이 제1고정볼트(18) 및 제2고정볼트(19)에 의해 제1컨베이어(10) 및 제2컨베이어(12)에 결합 고정되는 고정구(20);
    상기 고정구(20)의 제2고정볼트(19) 각각의 축 상에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축 회전 가능하도록 각각 결합 구비되며, 원통형의 외주면이 마주하는 측이 육묘상자(11)의 외면에 각각 닿도록 형성되는 롤러(2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의 육묘상자용 가이드장치.
  2. 제1컨베이어(10) 및 제1컨베이어(10)와 연결되어 제1컨베이어(10)로부터 육묘상자(11)를 공급받아 이송하는 제2컨베이어(12)가 구비됨과 아울러 제1컨베이어(10) 및 제2컨베이어(12) 상에는 육묘상자(11)에 복토를 공급하는 제1복토기(13) 및 제2복토기(14)가 서로 이격 구비되고, 제1복토기(13) 및 제2복토기(14)의 사이에는 육묘상자(11)에 볍씨를 공급하는 볍씨파종기(15)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파종기의 육묘상자용 가이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컨베이어(10) 및 제2컨베이어(12)가 연결되는 상부 양측에 각각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며, 제1컨베이어(10) 측에는 장공(16)이 관통형성되고, 제2컨베이어(12)측에는 관통된 통공(17)이 형성되어 각각의 장공(16) 및 통공(17)이 제1고정볼트(18) 및 제2고정볼트(19)에 의해 제1컨베이어(10) 및 제2컨베이어(12)에 결합 고정되는 고정구(20);
    상기 고정구(20)의 통공(17) 각각의 상부에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며, 제2고정볼트(19)에 의해 축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 구비되는 이격구(22);
    상기 이격구(22) 각각의 상부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며, 양측에 각각 관통된 가이드공(23)이 각각 형성되고, 일측의 가이드공(23)은 제2고정볼트(19)의 축 상에 축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 구비되는 가이드바(24);
    상기 가이드바(24) 각각의 타측 가이드공(23) 상부에 각각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며, 각각은 축 회전 가능하도록 가이드볼트(25)에 의해 결합 구비되고, 원통형의 외주면이 마주하는 측이 육묘상자(11)의 외면에 각각 닿도록 형성되는 롤러(2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의 육묘상자용 가이드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21)의 내측에는 롤러(21)의 회전이 원활하도록 롤러(21)의 축 상으로 결합 되는 베어링(26)이 구비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의 육묘상자용 가이드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21)는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의 육묘상자용 가이드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구(22)는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의 육묘상자용 가이드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26)의 상부 및 하부에는 롤러(21)가 베어링(26)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원판형의 지지구(27)가 구비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의 육묘상자용 가이드장치.
KR1020150114319A 2015-08-13 2015-08-13 파종기의 육묘상자용 가이드장치 KR101564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4319A KR101564893B1 (ko) 2015-08-13 2015-08-13 파종기의 육묘상자용 가이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4319A KR101564893B1 (ko) 2015-08-13 2015-08-13 파종기의 육묘상자용 가이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4893B1 true KR101564893B1 (ko) 2015-10-30

Family

ID=54431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4319A KR101564893B1 (ko) 2015-08-13 2015-08-13 파종기의 육묘상자용 가이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48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5709B1 (ko) 2019-11-04 2020-05-26 구진섭 육묘상자 이송 컨베이어용 클러치장치
KR102115703B1 (ko) * 2019-08-29 2020-05-26 구진섭 조절이 용이한 파종기용 작동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5457Y1 (ko) 1999-07-23 2000-02-15 구진섭 볍씨 파종기
KR200194270Y1 (ko) 2000-04-11 2000-09-01 구진섭 종자 파종기에 있어서 육묘상자의 이송장치
KR200244136Y1 (ko) 2001-03-13 2001-10-08 정성원 볍씨용 파종기
KR101247035B1 (ko) 2013-01-16 2013-03-25 구기현 파종기용 육묘상자의 자동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5457Y1 (ko) 1999-07-23 2000-02-15 구진섭 볍씨 파종기
KR200194270Y1 (ko) 2000-04-11 2000-09-01 구진섭 종자 파종기에 있어서 육묘상자의 이송장치
KR200244136Y1 (ko) 2001-03-13 2001-10-08 정성원 볍씨용 파종기
KR101247035B1 (ko) 2013-01-16 2013-03-25 구기현 파종기용 육묘상자의 자동 공급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5703B1 (ko) * 2019-08-29 2020-05-26 구진섭 조절이 용이한 파종기용 작동구
KR102115709B1 (ko) 2019-11-04 2020-05-26 구진섭 육묘상자 이송 컨베이어용 클러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2336B1 (ko) 육묘상자 이송용 컨베이어장치
JP5667582B2 (ja) 播種機
KR20160148273A (ko) 스마트 종자파종기
KR101564893B1 (ko) 파종기의 육묘상자용 가이드장치
KR101191465B1 (ko) 파종용 씨앗공급장치
KR101560362B1 (ko) 감자 파종기
KR101857409B1 (ko) 파종기용 잉여 복토 회수장치
KR101734787B1 (ko) 파종기의 컨베이어용 롤러
KR101564891B1 (ko) 파종기용 레일고정장치
CN105532145A (zh) 轮盘式马铃薯播种器
KR20190043690A (ko) 파종모듈 및 이를 이용한 점파식 파종장치
KR101691160B1 (ko) 슬라이딩되는 씨앗공급패널을 구비한 파종기 및 그 운용방법
KR102115703B1 (ko) 조절이 용이한 파종기용 작동구
KR101590304B1 (ko) 잔존씨앗 제거가 용이한 씨앗파종기
KR20210045041A (ko) 중력 정렬식 마늘 파종기
JP5416791B2 (ja) 土供給装置
KR20120034342A (ko) 밭작물 씨앗의 파종용 씨앗공급장치
KR101566676B1 (ko) 씨앗이탈방지구를 갖는 파종용 씨앗공급장치
JPH0333223Y2 (ko)
JPH0132828Y2 (ko)
KR200232978Y1 (ko) 파종기
BR102012030501A2 (pt) Dosador de adubo e sementes miúdas com sistema de distribuição através de esteiras rolantes
KR200417427Y1 (ko) 파종기의 상토왕겨장치
JPS6137208Y2 (ko)
JPH11253014A (ja) 移植機の苗トレイ載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