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5703B1 - 조절이 용이한 파종기용 작동구 - Google Patents

조절이 용이한 파종기용 작동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5703B1
KR102115703B1 KR1020190106295A KR20190106295A KR102115703B1 KR 102115703 B1 KR102115703 B1 KR 102115703B1 KR 1020190106295 A KR1020190106295 A KR 1020190106295A KR 20190106295 A KR20190106295 A KR 20190106295A KR 102115703 B1 KR102115703 B1 KR 1021157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guide
opening
operating lev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6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진섭
구기현
Original Assignee
구진섭
구기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진섭, 구기현 filed Critical 구진섭
Priority to KR1020190106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57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5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5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5/00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005Undercarriages, tanks, hoppers, stirrers specially adapted for seeders or 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006Hopp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8Broadcast seeders; Seeders depositing seeds in rows
    • A01C7/10Devices for adjusting the seed-box ; Regulation of machines for depositing quantities at interv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6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절이 용이한 파종기용 작동구에 관한 것으로 육묘상자가 이송되는 컨베이어 상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회전력을 공급받으며, 컨베이어 상에 하부가 고정되는 한 쌍의 측면프레임과, 측면프레임의 상부에 씨앗 또는 흙을 보관 및 공급하는 호퍼와, 호퍼의 전방 하부측에 하부로 공급되는 씨앗 또는 흙의 양을 조절하는 개폐판과, 개폐판과 연결되어 개폐판의 개폐를 도모하는 링크와, 링크와 연결되어 링크의 작동을 도모하는 개폐축과, 개폐판의 전방 하부에 이격 위치되는 공급롤러와, 공급롤러의 전방 하부에 이격 위치되는 브러시롤러를 갖는 파종기의 개폐축에 연결 구비되어 개폐판을 조절 및 고정하도록 구비되는 조절이 용이한 파종기용 작동구에 있어서, 상기 측면프레임 상에 연결 구비되며,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게 형성됨과 아울러 하부가 개방된 ‘ㄷ’형상으로 형성되고, 측면프레임의 반대 방향 내측에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게 관통된 장공 형상의 가이드공이 형성되며, 가이드공 상에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각각 이격되어 상하부에 각각 관통되는 다수개의 조절공이 형성되고, 일측 상부 전후방에는 각각 일측으로 연장되는 이탈방지돌기가 형성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개폐축의 일측에 판형으로 형성된 하부가 연결 구비되며, 상부는 가이드부를 지나 연장되고, 연장된 내측에는 장공 형상으로 관통된 슬라이딩공이 형성되는 작동레버와, 상기 가이드부의 내측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삽입되며, 내측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관통공의 타측에는 내측으로 내입되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가이드판과, 상기 가이드부의 내측에 구비됨과 아울러 헤드부가 가이드판의 고정홈에 안착되며, 나사부가 가이드판의 관통공, 가이드부의 가이드공 및 작동레버의 슬라이딩공을 관통하여 일측으로 연장되는 고정볼트와, 상기 가이드부와 작동레버 사이에 이격 구비되며, 타측에는 가이드공 및 조절공에 대응되게 돌출되어 가이드공 및 조절공에 끼움되는 삽입부가 형성되고, 삽입부의 일측에는 외측으로 연장되는 파지부가 형성되며, 파지부의 일측에는 내측으로 내입되는 스프링안착홈이 형성되는 고정구와, 상기 작동레버의 일측에 구비되며, 고정볼트의 나사부에 결합되고, 일측에는 내측으로 내입되는 스프링결속공이 형성되는 조절구와, 상기 작동레버의 슬라이딩공 상에 구비되며, 양측이 각각 스프링안착홈 및 스프링결속공에 안착되고, 고정구에 타측 방향의 장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조절이 용이한 파종기용 작동구{Easy adjustable operation for seeding machine}
본 발명은 조절이 용이한 파종기용 작동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파종기를 통해 흙 또는 씨앗을 육묘상자로 공급할 시에 흙 또는 씨앗의 공급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종기의 진동 또는 파종기가 안착되는 컨베이어의 진동에도 흙 또는 씨앗의 공급량이 변화되지 않고 작업자가 원하는 양에 맞춰 일정하게 육묘상자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조절이 용이한 파종기용 작동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도작(水稻作, 벼농사)에 사용되는 수도용 볍씨 등과 같은 논작물과, 양파나 파 등과 같은 밭작물을 경작하기 위해 조성한 이랑에 종자의 파종과 추비를 간편하고 정확히 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파종기를 사용한다.
이러한 파종기는 육묘상자를 투입하여 그 육묘상자 내에 흙과 씨앗을 공급하고, 씨앗이 파종된 육묘상자는 파종기로부터 배출되어 발아장소로 이송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육묘상자에 흙 또는 씨앗을 공급하기 위한 그 일 예로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특허등록 받은 기술인 밭작물 씨앗을 파종하기 위한 상자에 밭작물 씨앗을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육묘상자를 운반하는 컨베이어 상의 양측에 각각 측면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측면프레임의 상부에 파종용 씨앗을 보관하여 하부측으로 공급하는 호퍼가 구비되며, 상기 호퍼의 전방 하부측에 구비되어 작동레버에 의해 개폐되면서 하부측으로 씨앗을 배출하는 개폐판으로 구성되어 육묘상자 내에 파종용 씨앗을 공급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의 전방 하부측에 이격 위치되고, 측면프레임의 내측으로 축연결되며, 외주연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안착홈이 형성되는 동일 형태의 다수의 원형회전판이 일측면에 다수의 돌부가 형성되고, 타측면에 다수의 돌부에 대응되는 다수의 홈부가 형성되어 상호간에 끼움방식으로 체결되어지되, 체결된 양측에 결합측 내측부에만 안착홈이 형성된 사이드커버가 각각 구비 체결되는 공급롤러와, 상기 측면프레임의 내측으로 고정 설치된 두개의 지지축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공급롤러의 하부측에서 씨앗공급방향 측으로 치우쳐 설치되며, 상기 공급롤러의 하부측에 공급롤러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다수의 원형회전판 사이 마다에 구비되어 공급롤러에 달라붙은 씨앗을 이탈시키는 씨앗제거날과, 상기 공급롤러의 상부에 이격 설치되어 측면프레임의 내측으로 축연결되며, 공급롤러에 연결되어 공급롤러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브러시와,상기 공급롤러에 연결되어 공급롤러 및 브러시를 축회전시키도록 일측 측면프레임의 외측으로 공급롤러의 축에 구비되는 스프로킷과, 상기 스프로킷에 연결되는 체인과, 상기 체인을 구동시키는 제1모터가 구성되고, 타측 측면프레임의 외측으로 공급롤러의 축에 구비되는 스프로킷과, 상기 스프로킷에 연결되는 체인과, 상기 체인에 연결되며 컨베이어가 설치된 프레임을 따라 상호간에 체인 연결 설치되는 다수의 스프로킷과, 상기 다수의 스프로킷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그 스프로킷을 구동시키는 제2모터가 구성되어 제1모터 또는 제2모터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구동수단과, 상기 공급롤러의 외주연에 이격되어 반원형으로 설치되어지되, 공급롤러의 하부측에서부터 회전방향 상부측에 이르기까지 형성되는 롤러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기술인 등록특허공보 제10-1191465호 및 밭작물 씨앗을 파종하기 위한 육묘상자에 밭작물 씨앗을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며 육묘상자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양측에 각각 측면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측면프레임의 상부에 파종용 씨앗을 보관 및 공급하는 호퍼가 연결 구비되며, 일측 측면프레임에 부착된 작동레버를 통해 호퍼의 전방 하부측에 구비된 개폐판을 개폐 작동시켜 씨앗을 측면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컨베이어에 의해 운반되는 육묘상자에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파종용 씨앗공급기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의 하부측에 이격 구비되고 양측 측면프레임의 내측으로 축연결되며 외주연에 빙둘러 다수의 안착홈이 형성되는 동일 형태의 다수 원형 회전판이 상호간에 틈부가 형성되게 끼움방식으로 체결되는 공급롤러와, 상기 공급롤러의 회전판 하부측 사이의 틈부 마다에 각각 삽입 구비되며 측면프레임의 내측으로 연결된 지지축에 고정되는 씨앗분리날과, 상기 공급롤러와 벨트로 연결되어 동일축방향으로 회전하며 호퍼의 하부 배출로측에 구비되어 씨앗의 배출을 안내하는 안내롤러와, 상기 공급롤러와 체인으로 연결되어 공급롤러 및 안내롤러를 축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전원을 인가하고 속도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기술인 특허등록공보 제10-1042773호가 공지된 바 있다.
하지만, 상기에 본 출원인이 특허등록 받은 선행기술문헌들에서는 흙 또는 씨앗의 공급량 조절하는 작동레버를 고정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지 않아 기계의 진동이나 작업자의 부주의 등으로 인해 작동레버의 위치가 수시로 변경됨으로써 흙 또는 씨앗이 일정한 양으로 육묘상자에 공급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한 조절이 용이한 파종기용 작동구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1. 등록특허공보 제10-1191465호 2. 특허등록공보 제10-104277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육묘상자에 공급되는 흙 또는 씨앗의 공급량 조절하는 작동레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여 작동레버가 파종기 및 컨베이어의 작동 진동이나 작업자의 부주의 등으로 인해 작동레버의 위치가 수시로 변경되어 흙 또는 씨앗의 공급량이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조절이 용이한 파종기용 작동구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육묘상자가 이송되는 컨베이어 상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회전력을 공급받으며, 컨베이어 상에 하부가 고정되는 한 쌍의 측면프레임과, 측면프레임의 상부에 씨앗 또는 흙을 보관 및 공급하는 호퍼와, 호퍼의 전방 하부측에 하부로 공급되는 씨앗 또는 흙의 양을 조절하는 개폐판과, 개폐판과 연결되어 개폐판의 개폐를 도모하는 링크와, 링크와 연결되어 링크의 작동을 도모하는 개폐축과, 개폐판의 전방 하부에 이격 위치되는 공급롤러와, 공급롤러의 전방 하부에 이격 위치되는 브러시롤러를 갖는 파종기의 개폐축에 연결 구비되어 개폐판을 조절 및 고정하도록 구비되는 조절이 용이한 파종기용 작동구에 있어서, 상기 측면프레임 상에 연결 구비되며,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게 형성됨과 아울러 하부가 개방된 ‘ㄷ’형상으로 형성되고, 측면프레임의 반대 방향 내측에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게 관통된 장공 형상의 가이드공이 형성되며, 가이드공 상에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각각 이격되어 상하부에 각각 관통되는 다수개의 조절공이 형성되고, 일측 상부 전후방에는 각각 일측으로 연장되는 이탈방지돌기가 형성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개폐축의 일측에 판형으로 형성된 하부가 연결 구비되며, 상부는 가이드부를 지나 연장되고, 연장된 내측에는 장공 형상으로 관통된 슬라이딩공이 형성되는 작동레버와, 상기 가이드부의 내측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삽입되며, 내측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관통공의 타측에는 내측으로 내입되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가이드판과, 상기 가이드부의 내측에 구비됨과 아울러 헤드부가 가이드판의 고정홈에 안착되며, 나사부가 가이드판의 관통공, 가이드부의 가이드공 및 작동레버의 슬라이딩공을 관통하여 일측으로 연장되는 고정볼트와, 상기 가이드부와 작동레버 사이에 이격 구비되며, 타측에는 가이드공 및 조절공에 대응되게 돌출되어 가이드공 및 조절공에 끼움되는 삽입부가 형성되고, 삽입부의 일측에는 외측으로 연장되는 파지부가 형성되며, 파지부의 일측에는 내측으로 내입되는 스프링안착홈이 형성되는 고정구와, 상기 작동레버의 일측에 구비되며, 고정볼트의 나사부에 결합되고, 일측에는 내측으로 내입되는 스프링결속공이 형성되는 조절구와, 상기 작동레버의 슬라이딩공 상에 구비되며, 양측이 각각 스프링안착홈 및 스프링결속공에 안착되고, 고정구에 타측 방향의 장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이 용이한 파종기용 작동구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조절이 용이한 파종기용 작동구는 육묘상자에 공급되는 흙 또는 씨앗의 공급량 조절하는 작동레버를 조절구를 조절하여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동레버를 가이드부 상에 고정볼트, 가이드판 및 조절구로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으므로 파종기 및 컨베이어의 작동 진동 등에도 작동레버의 위치가 변경되지 않으므로 흙 또는 씨앗의 공급량이 변화되지 않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절이 용이한 파종기용 작동구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조절이 용이한 파종기용 작동구의 일부분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조절이 용이한 파종기용 작동구의 일부분 개략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 의한 조절이 용이한 파종기용 작동구의 개략 사시도,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 의한 조절이 용이한 파종기용 작동구의 일부분 개략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 의한 조절이 용이한 파종기용 작동구의 개략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의한 조절이 용이한 파종기용 작동구는 육묘상자가 이송되는 컨베이어 상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회전력을 공급받으며, 컨베이어 상에 하부가 고정되는 한 쌍의 측면프레임(10)과, 측면프레임(10)의 상부에 씨앗 또는 흙을 보관 및 공급하는 호퍼(12)와, 호퍼(12)의 전방 하부측에 하부로 공급되는 씨앗 또는 흙의 양을 조절하는 개폐판(14)과, 개폐판(14)과 연결되어 개폐판(14)의 개폐를 도모하는 링크(16)와, 링크(16)와 연결되어 링크(16)의 작동을 도모하는 개폐축(18)과, 개폐판(14)의 전방 하부에 이격 위치되는 공급롤러(20)와, 공급롤러(20)의 전방 하부에 이격 위치되는 브러시롤러(22)를 갖는 파종기(2)의 개폐축(18)에 연결 구비되어 개폐판(14)을 조절 및 고정하도록 구비되는 조절이 용이한 파종기용 작동구에 있어서, 상기 측면프레임(10) 상에 연결 구비되며,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게 형성됨과 아울러 하부가 개방된 ‘ㄷ’형상으로 형성되고, 측면프레임(10)의 반대 방향 내측에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게 관통된 장공 형상의 가이드공(30)이 형성되며, 일측 상부 전후방에는 각각 일측으로 연장되는 이탈방지돌기(32)가 형성되는 가이드부(34)와, 상기 개폐축(18)의 일측에 판형으로 형성된 하부가 연결 구비되며, 상부는 가이드부(34)를 지나 연장되고, 연장된 내측에는 장공 형상으로 관통된 슬라이딩공(36)이 형성되는 작동레버(38)와, 상기 가이드부(34)의 내측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삽입되며, 내측에는 관통공(40)이 형성되고, 관통공(40)의 타측에는 내측으로 내입되는 고정홈(42)이 형성되는 가이드판(44)과, 상기 가이드부(34)의 내측에 구비됨과 아울러 헤드부(46)가 가이드판(44)의 고정홈(42)에 안착되며, 나사부(48)가 가이드판(44)의 관통공(40), 가이드부(34)의 가이드공(30) 및 작동레버(38)의 슬라이딩공(36)을 관통하여 일측으로 연장되는 고정볼트(50)와, 상기 작동레버(38)의 일측에 구비되며, 고정볼트(50)의 나사부(48)에 결합되는 조절구(52)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파종기(2)는 종래에 본 출원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등록특허공보 제10-1191465호 및 특허등록공보 제10-1042773호를 사용하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조절이 용이한 파종기용 작동구는 상기 제시된 파종기(2)를 제외하고도 다른 파종기(2) 및 별도의 장치에 응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므로 제시된 선행기술문헌에 한정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아닌 것이다.
한편, 상기 측면프레임(10) 상에 연결 구비되며,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게 형성됨과 아울러 하부가 개방된 ‘ㄷ’형상으로 형성되고, 측면프레임(10)의 반대 방향 내측에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게 관통된 장공 형상의 가이드공(30)이 형성되며, 일측 상부 전후방에는 각각 일측으로 연장되는 이탈방지돌기(32)가 형성되는 가이드부(34)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34)의 상부에는 도 1에서와 같이 씨앗 또는 흙이 공급되는 양을 나타내는 숫자패드(68)가 형성됨이 바람직한 것이나 숫자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씨앗 또는 흙이 공급되는 양을 나타내어도 무방한 것이다.
한편, 상기 이탈방지돌기(32)는 후술되는 작동레버(38)가 가이드부(34) 상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개폐축(18)의 일측에 판형으로 형성된 하부가 연결 구비되며, 상부는 가이드부(34)를 지나 연장되고, 연장된 내측에는 장공 형상으로 관통된 슬라이딩공(36)이 형성되는 작동레버(38)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작동레버(38)는 개폐축(18)과 하부가 연결되어 링크(16)로 연결된 개폐판(14)의 개폐를 도모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부(34)의 내측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삽입되며, 내측에는 관통공(40)이 형성되고, 관통공(40)의 타측에는 내측으로 내입되는 고정홈(42)이 형성되는 가이드판(44)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판(44)의 전후방은 각각 타측 방향으로 만곡지게 형성되어 가이드판(44)이 가이드부(34)의 내측 일측과 닿는 면적을 줄여 가이드판(44)이 가이드부(34) 상에서의 이동이 원활하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상기 가이드판(44)은 금속재로 형성되는 것이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도 무방한 것이다.
상기 가이드부(34)의 내측에 구비됨과 아울러 헤드부(46)가 가이드판(44)의 고정홈(42)에 안착되며, 나사부(48)가 가이드판(44)의 관통공(40), 가이드부(34)의 가이드공(30) 및 작동레버(38)의 슬라이딩공(36)을 관통하여 일측으로 연장되는 고정볼트(5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작동레버(38)의 일측에 구비되며, 고정볼트(50)의 나사부(48)에 결합되는 조절구(5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조절구(52)는 외면이 합성수지재로 형성됨과 아울러 파지가 용이하도록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절이 용이한 파종기용 작동구의 작동 방법은 조절구(52)를 고정볼트(50)의 나사부(48)에 꽉 조으거나 살짝 풀어줌으로써 작동레버(38)를 용이하게 고정하거나 움직이는 등의 조작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 의한 조절이 용이한 파종기용 작동구는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하기와 같이 설명한다.
먼저, 상기 파종기(2)는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생략한다.
상기 측면프레임(10) 상에 연결 구비되며,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게 형성됨과 아울러 하부가 개방된 ‘ㄷ’형상으로 형성되고, 측면프레임(10)의 반대 방향 내측에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게 관통된 장공 형상의 가이드공(30)이 형성되며, 가이드공(30) 상에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각각 이격되어 상하부에 각각 관통되는 다수개의 조절공(54)이 형성되고, 일측 상부 전후방에는 각각 일측으로 연장되는 이탈방지돌기(32)가 형성되는 가이드부(34)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34)에 형성되는 조절공(54)에는 도 5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후술되는 고정구(62)의 삽입부(56)가 끼움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개폐축(18)의 일측에 판형으로 형성된 하부가 연결 구비되며, 상부는 가이드부(34)를 지나 연장되고, 연장된 내측에는 장공 형상으로 관통된 슬라이딩공(36)이 형성되는 작동레버(38)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34)의 내측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삽입되며, 내측에는 관통공(40)이 형성되고, 관통공(40)의 타측에는 내측으로 내입되는 고정홈(42)이 형성되는 가이드판(44)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부(34)의 내측에 구비됨과 아울러 헤드부(46)가 가이드판(44)의 고정홈(42)에 안착되며, 나사부(48)가 가이드판(44)의 관통공(40), 가이드부(34)의 가이드공(30) 및 작동레버(38)의 슬라이딩공(36)을 관통하여 일측으로 연장되는 고정볼트(50)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부(34)와 작동레버(38) 사이에 이격 구비되며, 타측에는 가이드공(30) 및 조절공(54)에 대응되게 돌출되어 가이드공(30) 및 조절공(54)에 끼움되는 삽입부(56)가 형성되고, 삽입부(56)의 일측에는 외측으로 연장되는 파지부(58)가 형성되며, 파지부(58)의 일측에는 내측으로 내입되는 스프링안착홈(60)이 형성되는 고정구(6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고정구(62)는 삽입부(56)로 인해 가이드부(34) 상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조절공(54)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작동레버(38)의 일측에 구비되며, 고정볼트(50)의 나사부(48)에 결합되고, 일측에는 내측으로 내입되는 스프링결속공(64)이 형성되는 조절구(52)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작동레버(38)의 슬라이딩공(36) 상에 구비되며, 양측이 각각 스프링안착홈(60) 및 스프링결속공(64)에 안착되고, 고정구(62)에 타측 방향의 장력을 제공하는 스프링(66)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66)으로 인해 고정구(62)의 삽입부(56)가 가이드부(34)의 조절공(54) 상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며, 고정구(62)의 삽입부(56)를 조절공(54) 상에서 이탈시키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파지부(58)를 파지하여 일측으로 고정구(62)를 당겨줌으로써, 작동레버(38)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조절이 용이한 파종기용 작동구는 육묘상자에 공급되는 흙 또는 씨앗의 공급량 조절하는 작동레버(38)를 조절구(52) 또는 고정구(62)를 조절하여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동레버(38)를 가이드부 상에 용하게 고정할 수 있으므로 파종기(2) 및 컨베이어의 작동 진동 등에도 작동레버(38)의 위치가 변경되지 않으므로 흙 또는 씨앗의 공급량이 변화되지 않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2 : 파종기 10 : 측면프레임
12 : 호퍼 14 : 개폐판
16 : 링크 18 : 개폐축
20 : 공급롤러 22 : 브러시롤러
30 : 가이드공 32 : 이탈방지돌기
34 : 가이드부 36 : 슬라이딩공
38 : 작동레버 40 : 관통공
42 : 고정홈 44 : 가이드판
46 : 헤드부 48 : 나사부
50 : 고정볼트 52 : 조절구
54 : 조절공 56 : 삽입부
58 : 파지부 60 : 스프링안착홈
62 : 고정구 64 : 스프링결속공
66 : 스프링 68 : 숫자패드

Claims (5)

  1. 삭제
  2. 육묘상자가 이송되는 컨베이어 상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회전력을 공급받으며, 컨베이어 상에 하부가 고정되는 한 쌍의 측면프레임(10)과, 측면프레임(10)의 상부에 씨앗 또는 흙을 보관 및 공급하는 호퍼(12)와, 호퍼(12)의 전방 하부측에 하부로 공급되는 씨앗 또는 흙의 양을 조절하는 개폐판(14)과, 개폐판(14)과 연결되어 개폐판(14)의 개폐를 도모하는 링크(16)와, 링크(16)와 연결되어 링크(16)의 작동을 도모하는 개폐축(18)과, 개폐판(14)의 전방 하부에 이격 위치되는 공급롤러(20)와, 공급롤러(20)의 전방 하부에 이격 위치되는 브러시롤러(22)를 갖는 파종기(2)의 개폐축(18)에 연결 구비되어 개폐판(14)을 조절 및 고정하도록 구비되는 조절이 용이한 파종기용 작동구에 있어서,
    상기 측면프레임(10) 상에 연결 구비되며,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게 형성됨과 아울러 하부가 개방된 ‘ㄷ’형상으로 형성되고, 측면프레임(10)의 반대 방향 내측에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게 관통된 장공 형상의 가이드공(30)이 형성되며, 가이드공(30) 상에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각각 이격되어 상하부에 각각 관통되는 다수개의 조절공(54)이 형성되고, 일측 상부 전후방에는 각각 일측으로 연장되는 이탈방지돌기(32)가 형성되는 가이드부(34);
    상기 개폐축(18)의 일측에 판형으로 형성된 하부가 연결 구비되며, 상부는 가이드부(34)를 지나 연장되고, 연장된 내측에는 장공 형상으로 관통된 슬라이딩공(36)이 형성되는 작동레버(38);
    상기 가이드부(34)의 내측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삽입되며, 내측에는 관통공(40)이 형성되고, 관통공(40)의 타측에는 내측으로 내입되는 고정홈(42)이 형성되는 가이드판(44);
    상기 가이드부(34)의 내측에 구비됨과 아울러 헤드부(46)가 가이드판(44)의 고정홈(42)에 안착되며, 나사부(48)가 가이드판(44)의 관통공(40), 가이드부(34)의 가이드공(30) 및 작동레버(38)의 슬라이딩공(36)을 관통하여 일측으로 연장되는 고정볼트(50);
    상기 가이드부(34)와 작동레버(38) 사이에 이격 구비되며, 타측에는 가이드공(30) 및 조절공(54)에 대응되게 돌출되어 가이드공(30) 및 조절공(54)에 끼움되는 삽입부(56)가 형성되고, 삽입부(56)의 일측에는 외측으로 연장되는 파지부(58)가 형성되며, 파지부(58)의 일측에는 내측으로 내입되는 스프링안착홈(60)이 형성되는 고정구(62);
    상기 작동레버(38)의 일측에 구비되며, 고정볼트(50)의 나사부(48)에 결합되고, 일측에는 내측으로 내입되는 스프링결속공(64)이 형성되는 조절구(52);
    상기 작동레버(38)의 슬라이딩공(36) 상에 구비되며, 양측이 각각 스프링안착홈(60) 및 스프링결속공(64)에 안착되고, 고정구(62)에 타측 방향의 장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스프링(66)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이 용이한 파종기용 작동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구(52)는 외면이 합성수지재로 형성됨과 아울러 파지가 용이하도록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이 용이한 파종기용 작동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34)의 상부에는 씨앗 또는 흙이 공급되는 양을 나타내는 숫자패드(68)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이 용이한 파종기용 작동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44)의 전후방은 각각 타측 방향으로 만곡지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이 용이한 파종기용 작동구
KR1020190106295A 2019-08-29 2019-08-29 조절이 용이한 파종기용 작동구 KR1021157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295A KR102115703B1 (ko) 2019-08-29 2019-08-29 조절이 용이한 파종기용 작동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295A KR102115703B1 (ko) 2019-08-29 2019-08-29 조절이 용이한 파종기용 작동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5703B1 true KR102115703B1 (ko) 2020-05-26

Family

ID=70915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6295A KR102115703B1 (ko) 2019-08-29 2019-08-29 조절이 용이한 파종기용 작동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57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3908B1 (ko) 2020-10-08 2021-04-23 구진섭 육묘상자 강제 이송장치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0345Y1 (ko) * 2005-12-12 2006-03-08 구진섭 파종기용 상토공급호퍼의 출구개폐판 조정장치
KR200449730Y1 (ko) * 2008-05-29 2010-08-04 구진섭 파종기에서 복토용 흙의 공급량 조절장치
KR20100087875A (ko) * 2009-01-29 2010-08-06 구진섭 육모상자용 흙공급장치
KR101042773B1 (ko) 2011-05-04 2011-06-20 구기현 파종용 씨앗공급기
KR101191465B1 (ko) 2010-12-24 2012-10-15 구기현 파종용 씨앗공급장치
KR20120119680A (ko) * 2011-04-22 2012-10-31 대동공업주식회사 이앙기의 묘탑재대 위치 조절구조
KR101564893B1 (ko) * 2015-08-13 2015-10-30 구기현 파종기의 육묘상자용 가이드장치
KR20160003927U (ko) * 2015-05-08 2016-11-16 김경환 카운터 기능을 가진 파종기
KR20170143473A (ko) * 2017-11-02 2017-12-29 정지현 파종기용 흙 및 종자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0345Y1 (ko) * 2005-12-12 2006-03-08 구진섭 파종기용 상토공급호퍼의 출구개폐판 조정장치
KR200449730Y1 (ko) * 2008-05-29 2010-08-04 구진섭 파종기에서 복토용 흙의 공급량 조절장치
KR20100087875A (ko) * 2009-01-29 2010-08-06 구진섭 육모상자용 흙공급장치
KR101191465B1 (ko) 2010-12-24 2012-10-15 구기현 파종용 씨앗공급장치
KR20120119680A (ko) * 2011-04-22 2012-10-31 대동공업주식회사 이앙기의 묘탑재대 위치 조절구조
KR101042773B1 (ko) 2011-05-04 2011-06-20 구기현 파종용 씨앗공급기
KR20160003927U (ko) * 2015-05-08 2016-11-16 김경환 카운터 기능을 가진 파종기
KR101564893B1 (ko) * 2015-08-13 2015-10-30 구기현 파종기의 육묘상자용 가이드장치
KR20170143473A (ko) * 2017-11-02 2017-12-29 정지현 파종기용 흙 및 종자 공급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3908B1 (ko) 2020-10-08 2021-04-23 구진섭 육묘상자 강제 이송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58996B2 (en) Planter with seed delivery apparatus
KR101419417B1 (ko) 마늘파종기
KR101982027B1 (ko) 파종기용 흙 공급장치
KR101592170B1 (ko) 파종기용 복토장치
KR102072336B1 (ko) 육묘상자 이송용 컨베이어장치
KR102115703B1 (ko) 조절이 용이한 파종기용 작동구
KR20160007470A (ko) 마늘파종기
KR100924307B1 (ko) 버킷 조절형 마늘파종기
KR101734787B1 (ko) 파종기의 컨베이어용 롤러
KR200422867Y1 (ko) 파종기용 육묘상자 공급장치의 출구조정구
KR101564891B1 (ko) 파종기용 레일고정장치
US782459A (en) Seed-planter.
KR200410345Y1 (ko) 파종기용 상토공급호퍼의 출구개폐판 조정장치
KR200365829Y1 (ko) 접철식 종자직파기
KR101564893B1 (ko) 파종기의 육묘상자용 가이드장치
KR200334764Y1 (ko) 이앙기용 종자직파기
KR101826098B1 (ko) 이앙기용 착탈식 종자공급장치
KR101869462B1 (ko) 이식부의 위치 조절이 가능한 모종 이식기
US2777613A (en) Adjustable coupling attachment for shafts
KR101566676B1 (ko) 씨앗이탈방지구를 갖는 파종용 씨앗공급장치
KR101590304B1 (ko) 잔존씨앗 제거가 용이한 씨앗파종기
KR102251436B1 (ko) 볍씨 파종기의 상토흙 회수기
KR102604174B1 (ko) 파종기용 상토 및 복토 공급장치
US1319952A (en) Cotton-planter
US1097064A (en) Plan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