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9680A - 이앙기의 묘탑재대 위치 조절구조 - Google Patents

이앙기의 묘탑재대 위치 조절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9680A
KR20120119680A KR1020110037803A KR20110037803A KR20120119680A KR 20120119680 A KR20120119680 A KR 20120119680A KR 1020110037803 A KR1020110037803 A KR 1020110037803A KR 20110037803 A KR20110037803 A KR 20110037803A KR 20120119680 A KR20120119680 A KR 201201196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ling mounting
seedling
rice transplanter
connecting portion
horizontal f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7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수
Original Assignee
대동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동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동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37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19680A/ko
Publication of KR20120119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96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6Other parts or details or plant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인 플로트 및 좌우 양측의 사이드 플로트에 탑재되어 부양된 상태로 논 위를 주행할 수 있도록 주행기체가 구비되고, 상기 주행기체의 후방에는 예비묘가 식재된 복수의 묘판이 탑재되는 묘 탑재대 및 예비묘의 이앙을 위한 식부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묘탑재대의 후방에는 주행 및 이앙작업을 조작하는 운전조작부가 형성되는 보행 이앙기로서, 상기 묘탑재대의 측단부와 묘탑재대의 기체측 전방에 평행하게 설치되는 이송축 사이를 가로이송지지쇠를 이용해 지지되도록 하되, 상기 가로이송지지쇠는 묘탑재대 측과 연결되는 탑재대 연결부와, 이송축에 연결되는 이송축 연결부를 형성하며, 상기 탑재대 연결부는 묘탑재대와의 사이를 볼트 및 너트부재를 이용해 결합하기 위한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 중 하나를 이용해 탑재대 연결부의 가로 이송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간격조절볼트부재 및 간격조절너트부재가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앙기의 묘탑재대 위치 조절구조{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본 발명은 이앙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앙기의 묘탑재대의 위치를 좌우 횡방향 위치를 쉽고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이앙 깊이 조절시 해당 부속품간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 이앙기의 묘탑재대 위치조절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앙기는 승용형 이앙기와 보행형 이앙기로 구분되며, 그 중 보행형 이앙기는 작업자가 이앙기의 후방에 서서 보행하면서 이앙기의 주행조작 및 이앙작업을 조작하도록 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보행 이앙기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1을 참조하면, 보행 이앙기는 엔진 및 밋션을 탑재하여 주행이 가능한 주행기체(10)가 마련된다.
상기 주행기체(10)는 메인 플로트(11) 및 좌우 양측의 사이드 플로트(12)에 탑재되어 부양된 상태로 논 위를 주행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주행기체(10)의 후방에는 예비묘가 식재된 복수의 묘판이 탑재되는 묘 탑재대(20) 및 예비묘의 이앙을 위한 식부장치(3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묘탑재대(20)의 후방에는 주행 및 이앙작업을 조작하는 운전조작부(40)가 형성된다.
상기 운전조작부(40)는 엔진에서 각부로 전달되는 동력을 단속하는 주클러치레버, 식부장치의 작동과 차륜의 승하강을 조작하는 이앙클러치레버, 엔진에서 차륜으로 전달되는 회전속도와 회전방향을 조작하는 변속레버, 핸들손잡이에 달려있는 레버로서, 차축에 전달되는 동력을 좌, 우 각각 별개로 끊어 주행방향을 결정하는 조향클러치레버, 엔진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조속레버, 식부장치에 공급되는 모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모공급량 조절레버 및 모가 심겨지는 깊이를 조절하는 이앙깊이 조절레버 등이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 진다.
이때, 예비묘가 이앙되는 깊이는 2~3cm를 표준으로 하는데, 예비묘의 크기 차이에 따른 이앙 깊이의 조절이 필요하게 된다. 이를 이앙깊이 조절레버의 조작을 통해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앙깊이 조절레버는 레버의 조작위치에 따라 묘탑재대(20)의 승/하강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이앙 깊이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 이앙깊이 조절레버의 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축부재가 운전조작부(40)의 하부 가로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축부재의 회전력은 링크부재 및 캠부재를 통해 묘탑재대(20)로 전달되어 승/하강 작동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묘탑재대(20)는 모 종류가 치묘인지 또는 중묘인지에 따라 가로방향 이송량을 조절하게 된다.
이때, 종래의 보행 이앙기는 묘탑재대(20)의 좌/우 위치를 조절하기 위하여 묘탑재대(20)의 중앙 및 사이드에 형성된 브라켓 결합부를 통해서 조절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좌/우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작업 공간이 협소하여 작업에 어려움이 있고, 부품의 분해 조립이 번거러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은 묘탑재대(20)의 좌/우 위치조절시 이를 가이드하도록 된 가로이송지지쇠 및 이송축이 상호 고정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이앙깊이 조절레버 작동에 의한 묘탑재대(20)의 승하강시 함께 위치가 가변되는 가로이송지지쇠와 위치가 상대적으로 고정된 이송축 사이에 응력이 발생되어 응력부위가 변형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묘탑재대의 좌/우 양측단부에 형성되는 가로이송지지쇠의 탑재대연결부 측에 가로이송지지쇠의 고정위치를 가변 조정하는 간격조절볼트부재 및 간격조절너트부재를 형성함으로써, 묘탑재대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작업 공간을 넓게 확보하여 작업이 편리한 이앙기의 묘탑재대 위치조절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로이송지지쇠의 이송축 연결부의 관통홀의 형태를 수직방향의 장공홈으로 형성함으로써, 이앙깊이 조절시 묘탑재대의 승강에 연동하여 함께 승강되는 가로이송지지쇠와 이송축 사이에 기구적인 구속력이 작용되지 않아 구성요소간 간섭에 따른 변형문제를 예방할 수 있는 이앙기의 묘탑재대 위치조절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메인 플로트 및 좌우 양측의 사이드 플로트에 탑재되어 부양된 상태로 논 위를 주행할 수 있도록 주행기체가 구비되고, 상기 주행기체의 후방에는 예비묘가 식재된 복수의 묘판이 탑재되는 묘 탑재대 및 예비묘의 이앙을 위한 식부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묘탑재대의 후방에는 주행 및 이앙작업을 조작하는 운전조작부가 형성되는 보행 이앙기에 있어서,
상기 묘탑재대의 측단부와 묘탑재대의 기체측 전방에 평행하게 설치되는 이송축 사이를 가로이송지지쇠를 이용해 지지되도록 하되, 상기 가로이송지지쇠는 묘탑재대 측과 연결되는 탑재대 연결부와, 이송축에 연결되는 이송축 연결부를 형성하며, 상기 탑재대 연결부는 묘탑재대와의 사이를 볼트 및 너트부재를 이용해 결합하기 위한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 중 하나를 이용해 탑재대 연결부의 가로 이송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간격조절볼트부재 및 간격조절너트부재가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의 묘탑재대 위치 조절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간격조절볼트부재는 운전조작부 하부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고정축 프레임 측과 결합 지지되며, 묘탑재대의 이송 시, 간격조절볼트부재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가로이송 지지쇠의 관통홀이 관통되어 이동되고, 상기 간격조절볼트부재 축 상에는 가로이송 지지쇠의 관통홀을 사이에 두고 한 쌍의 간격조절너트부재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로이송지지쇠의 이송축 연결부는 이송축이 관통 결합되는 관통홀을 형성하되, 상기 관통홀의 형상은 수직방향의 장공홈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은 묘탑재대의 좌/우 양측단부에 형성되는 가로이송지지쇠의 탑재대연결부 측에 가로이송지지쇠의 고정위치를 가변 조정하는 간격조절볼트부재 및 간격조절너트부재를 형성함으로써, 묘탑재대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작업 공간을 넓게 확보하여 작업이 편리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가로이송지지쇠의 이송축 연결부의 관통홀의 형태를 수직방향의 장공홈으로 형성함으로써, 이앙깊이 조절시 묘탑재대의 승강에 연동하여 함께 승강되는 가로이송지지쇠와 이송축 사이에 기구적인 구속력이 작용되지 않아 구성요소간 간섭에 따른 변형문제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보행 이앙기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 이앙기 구조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 이앙기 구조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요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묘탑재대의 위치조절구조를 도시한 요부확대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 이앙기 구조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 이앙기 구조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2,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 이앙기는 엔진 및 밋션을 탑재하여 주행이 가능한 주행기체(110)가 마련된다.
상기 주행기체(110)는 메인 플로트(111) 및 좌우 양측의 사이드 플로트(112)에 탑재되어 부양된 상태로 논 위를 주행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주행기체(110)의 후방에는 예비묘가 식재된 복수의 묘판이 탑재되는 묘 탑재대(120) 및 예비묘의 이앙을 위한 식부장치(미도시)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묘탑재대(120)의 후방에는 주행 및 이앙작업을 조작하는 운전조작부(14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운전조작부(140)에는 운전자가 양손으로 잡고 운전할 수 있는 핸들손잡이(141)가 묘탑재대(120)의 후방 좌/우 양측에 마련된다.
이때, 상기 핸들손잡이(141)에는 엔진으로부터 차축으로 전달되는 동력을 좌, 우 각각 별개로 끊어서 주행방향을 결정하는 조향클러치레버(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핸들손잡이(141) 사이에는 엔진에서 각부로 전달되는 동력을 단속하는 주클러치레버(143) 및 식부장치(미도시)의 작동과 차륜(113)의 승하강을 조작하는 이앙클러치레버(145)가 설치된다.
그리고, 운전조작부(140)는 주클러치레버(143) 및 이앙클러치레버(145)의 하부에 모공급량 조절레버(147)와, 이앙깊이 조절레버(149)가 설치된다.
이때, 도 3을 참조하면, 운전조작부(140)의 좌측에 모공급량 조절레버(147)가 설치되고, 우측에 이앙깊이 조절레버(149)가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모공급량 조절레버(147)는 식부장치(미도시)에 공급되는 모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상기 이앙깊이 조절레버(149)는 묘탑재대(120)를 승/하강 조작시켜 모가 심겨지는 깊이를 조절하게 된다.
이때, 예비묘가 이앙되는 깊이는 2~3cm가 바람직하며, 예비묘의 성장 크기 차이에 따른 조절이 필요하게 되며, 이를 이앙깊이 조절레버(149)의 조작을 통해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앙깊이 조절레버(149)는 레버의 조작위치에 따라 묘탑재대(120)의 승/하강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이앙 깊이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 이앙깊이 조절레버(149)의 조작구조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운전조작부(140)의 하부를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고정축 프레임(151)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축 프레임(151) 상에는 이앙깊이 조절레버(149)가 공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고정축 프레임(151)의 전방 즉, 고정축 프레임(151)과 묘탑재대(120) 사이의 공간에 고정축 프레임(151)과 평행한 상태로 크랭크 샤프트(153)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크랭크 샤프트(153)는 이앙깊이 조절레버(149)의 하단과 연동되도록 링크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크랭크 샤프트(153)는, 자전거나 재봉틀에서 발의 상하운동을 나 의 으로 바꿀 때 사용되는 크랭크 기구와 동일한 원리로 이루어진다.
상기 크랭크 샤프트(153)는 이앙깊이 조절레버(149)를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축지지되어 설치되는 축고정부(153a)와, 상기 축고정부(153a)에 연장선상의 일정구간을 축고정부(153a)의 회전반경으로 절곡시켜 연장한 선회부(153b)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선회부(153b)는 크랭크 샤프트(153)의 중앙부와 양측 끝단부에 각각 형성되도록 하는데, 상기 중앙부의 선회부(153b)는 이앙깊이 조절레버(149)와 링크 연결되어 이앙깊이 조절레버(149)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축고정부(153a)를 기준으로 크랭크 샤프트(153)를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양측 끝단부에 형성된 선회부(153b)는 묘탑재대(120)의 하부와 연결되어 이앙깊이 조절레버(149)의 작동력에 의해 묘탑재대(120)가 승하강되도록 한다.
즉, 이앙깊이 조절레버(149)의 조작에 연동되어 크랭크 샤프트(153)의 양측 끝단부에 형성된 축고정부(153a)가 선회 운동되고, 상기 축고정부(153a)에 결합된 묘탑재대(120)가 연동하여 승하강 작동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묘탑재대(120)의 좌우 양측의 하단부를 고정축 프레임(151) 상에 링크 연결부(155)를 이용해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예비묘가 치묘인지 또는 중묘인지에 따라서 상기 묘탑재대(120)의 가로방향 이송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묘탑재대(120) 측단부에 가로이송지지쇠(121)가 형성되며, 상기 가로이송지지쇠(121)의 일단부가 묘탑재대(120) 측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가 이송축(123)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이송축(123)은 주행기체(110) 쪽에 지지되는데, 묘탑재대(120)의 좌우 이동시 가로이송지지쇠(121)와 함께 이동하게 된다.
도 4는 도 3의 요부 확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묘탑재대의 위치조절구조를 도시한 요부확대도이다.
도 4, 도 5를 참조하면, 가로이송지지쇠(121)의 결합구조가 개시된다.
상기 가로이송지지쇠(121)는 묘탑재대(120) 측과 연결되는 탑재대 연결부(121a)와, 이송축(123)에 연결되는 이송축 연결부(121b)를 형성한다.
상기 탑재대 연결부(121a)는 도 5에서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관통홀들은 가로이송지지쇠(121)의 탑재대 연결부(121a)와 묘탑재대(120) 사이를 볼트 및 너트부재를 이용해 결합하기 위한 용도로 이용된다.
이때, 상기 관통홀 중 하나를 이용해 탑재대 연결부(121a)의 가로 이송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간격조절볼트부재(125) 및 간격조절너트부재(127)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간격조절볼트부재(125)는 묘탑재대(120)가 아닌 고정축 프레임(151)과 결합되며, 묘탑재대(120)의 이송 시, 간격조절볼트부재(125)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가로이송 지지쇠(121)의 관통홀이 관통되어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간격조절볼트부재(125) 축 상에는 가로이송 지지쇠(121)의 관통홀을 사이에 두고 한 쌍의 간격조절너트부재(127)이 체결된다.
상기 한 쌍의 간격조절너트부재(127)는 묘탑재대(120)의 가로 이송위치 조절량에 맞춰 간격조절볼트부재(125)의 축 방향으로 나선 이동되며, 양측에서 가로이송지지쇠(121)를 조여서 압착 고정시킴으로써, 묘탑재대(120)가 좌우측 가로방향으로 임의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로이송지지쇠(121)의 이송축 연결부(121b)는 이송축(123)이 관통 결합되는 관통홀을 형성하되, 상기 관통홀의 형상은 수직방향의 장공홈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이는, 가로이송지지쇠(121)가 묘탑재대(120)과 함께 수직방향으로 승하강될 때, 이송축(123)에 구속되지 않고 장공홈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기존 구성에 따른 이송축(123)과 가로이송지지쇠(121)의 고정구조로 인한 이 응력집중으로 인한 변형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묘탑재대(120)의 좌/우 양측단부에 형성되는 가로이송지지쇠(121)의 탑재대연결부(121a) 측에 가로이송지지쇠(121)의 고정위치를 가변 조정하는 간격조절볼트부재(125) 및 간격조절너트부재(127)를 형성함으로써, 묘탑재대(120)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작업 공간을 넓게 확보하여 작업이 편리한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가로이송지지쇠(121)의 이송축 연결부(121b)의 관통홀의 형태를 수직방향의 장공홈으로 형성함으로써, 이앙깊이 조절시 묘탑재대(120)의 승강에 연동하여 함께 승강되는 가로이송지지쇠(120)와 이송축(123) 사이에 기구적인 구속력이 작용되지 않아 구성요소간 간섭에 따른 변형문제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110: 주행기체 111: 메인 플로트
112: 사이드 플로트 113: 차륜
120: 묘탑재대 121: 가로이송지지쇠
121a: 탑재대 연결부 121b: 이송축 연결부
123: 이송축 125: 간격조절볼트부재
127: 간격조절너트부재 130: 식부장치
140: 운전조작부 141: 핸들손잡이
143: 주클러치레버 145: 이앙클러치레버
147: 모공급량 조절레버 149: 이앙깊이 조절레버
151: 고정축 프레임 153: 크랭크 샤프트
153a: 축고정부 153b: 선회부
155: 링크 연결부

Claims (3)

  1. 메인 플로트(111) 및 좌우 양측의 사이드 플로트(112)에 탑재되어 부양된 상태로 논 위를 주행할 수 있도록 주행기체(110)가 구비되고, 상기 주행기체(110)의 후방에는 예비묘가 식재된 복수의 묘판이 탑재되는 묘 탑재대(120) 및 예비묘의 이앙을 위한 식부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묘탑재대(120)의 후방에는 주행 및 이앙작업을 조작하는 운전조작부(140)가 형성되는 보행 이앙기에 있어서,
    상기 묘탑재대(120)의 측단부와 묘탑재대(120)의 기체측 전방에 평행하게 설치되는 이송축(123) 사이를 가로이송지지쇠(121)를 이용해 지지되도록 하되,
    상기 가로이송지지쇠(121)는 묘탑재대(120) 측과 연결되는 탑재대 연결부(121a)와, 이송축(123)에 연결되는 이송축 연결부(121b)를 형성하며, 상기 탑재대 연결부(121a)는 묘탑재대(120)와의 사이를 볼트 및 너트부재를 이용해 결합하기 위한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 중 하나를 이용해 탑재대 연결부(121a)의 가로 이송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간격조절볼트부재(125) 및 간격조절너트부재(127)가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의 묘탑재대 위치 조절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볼트부재(125)는 운전조작부(140) 하부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고정축 프레임(151) 측과 결합 지지되며, 묘탑재대(120)의 이송 시, 간격조절볼트부재(125)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가로이송 지지쇠(121)의 관통홀이 관통되어 이동되고, 상기 간격조절볼트부재(125) 축 상에는 가로이송 지지쇠(121)의 관통홀을 사이에 두고 한 쌍의 간격조절너트부재(127)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의 묘탑재대 위치 조절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이송지지쇠(121)의 이송축 연결부(121b)는 이송축(123)이 관통 결합되는 관통홀을 형성하되, 상기 관통홀의 형상은 수직방향의 장공홈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의 묘탑재대 위치 조절구조.
KR1020110037803A 2011-04-22 2011-04-22 이앙기의 묘탑재대 위치 조절구조 KR201201196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7803A KR20120119680A (ko) 2011-04-22 2011-04-22 이앙기의 묘탑재대 위치 조절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7803A KR20120119680A (ko) 2011-04-22 2011-04-22 이앙기의 묘탑재대 위치 조절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9680A true KR20120119680A (ko) 2012-10-31

Family

ID=47286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7803A KR20120119680A (ko) 2011-04-22 2011-04-22 이앙기의 묘탑재대 위치 조절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1968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12226A (zh) * 2013-03-01 2014-09-03 井关农机株式会社 苗移植机以及栽种方法
CN108496489A (zh) * 2017-02-28 2018-09-07 株式会社久保田 步行式插秧机
KR102115703B1 (ko) * 2019-08-29 2020-05-26 구진섭 조절이 용이한 파종기용 작동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12226A (zh) * 2013-03-01 2014-09-03 井关农机株式会社 苗移植机以及栽种方法
CN108496489A (zh) * 2017-02-28 2018-09-07 株式会社久保田 步行式插秧机
CN108496489B (zh) * 2017-02-28 2021-08-27 株式会社久保田 步行式插秧机
KR102115703B1 (ko) * 2019-08-29 2020-05-26 구진섭 조절이 용이한 파종기용 작동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82946B (zh) 带苗箱延伸板位置调节结构的手扶插秧机
KR20120119680A (ko) 이앙기의 묘탑재대 위치 조절구조
JP2009072112A (ja) 移植機
JP4872271B2 (ja) 苗移植機
JP2007053939A5 (ko)
JP2008054581A (ja) 苗植機
WO2019092992A1 (ja) 田植機
JP2007312674A (ja) 苗植機
CN202153850U (zh) 带苗箱延伸板位置调节结构的手扶插秧机
JP2010075087A (ja) 苗移植機の走行装置
JP2000270620A (ja) 水田作業機
JP2010029073A (ja) 畝溝植付用苗移植機
JP2010046029A (ja) 移植機
JP3394361B2 (ja) 苗載台の送り軸の支持構造
JP2009153403A (ja) 移植機の伝動装置
JP3632418B2 (ja) 苗移植機
JP6471554B2 (ja) 作業車両
JP2009261297A (ja) 移植機
JP5103261B2 (ja) 移植機
JP2009262720A (ja) 移植機
JP4360042B2 (ja) 奇数条植え苗移植機
JP6229353B2 (ja) 苗移植機
JP2010035493A (ja) 移植機
JPH08228525A (ja) 苗移植機の植付装置
JPH05161409A (ja) 歩行田植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