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4764Y1 - 이앙기용 종자직파기 - Google Patents

이앙기용 종자직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4764Y1
KR200334764Y1 KR20-2003-0027344U KR20030027344U KR200334764Y1 KR 200334764 Y1 KR200334764 Y1 KR 200334764Y1 KR 20030027344 U KR20030027344 U KR 20030027344U KR 200334764 Y1 KR200334764 Y1 KR 2003347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
roller
guide
groov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73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형기
Original Assignee
전형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형기 filed Critical 전형기
Priority to KR20-2003-00273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47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47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476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8Broadcast seeders; Seeders depositing seeds in rows
    • A01C7/085Broadcast seed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6Other parts or details or plant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9/00Arrangements for driving working parts of fertilisers or seeders
    • A01C19/02Arrangements for driving working parts of fertilisers or seeders by a mot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8Broadcast seeders; Seeders depositing seeds in rows
    • A01C7/12Seeders with feeding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20Parts of seeders for conducting and depositing se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w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볍씨 등과 같은 농작물의 종자를 농경지에 직접 파종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앙기의 후면에 연결 장착되어 이앙기의 동력부에서 전달된 동력에 의해 구동축이 회전되고 종자공급호퍼에 공급된 종자가 원주둘레면에 다수개의 종자삽입홈이 형성된 종자공급로울러에 의해 파종되도록 되어 있는 직파기에 있어서, 가이드프레임의 상부가이드 및 하부가이드에 의해 항상 일정한 갯수로 그 수량이 조절된 종자가 일정 간격마다 정확한 위치에 자동적으로 파종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종자공급로울러가 구동축에 용이하게 착탈 가능하도록 되어 있어 농경지의 폭에 따라 종자공급로울러의 수량을 임의대로 조절하도록 되어 있으며, 종자의 파종시 지면의 정지작업과 함께 파종골을 형성하면서 이 파종골을 따라 종자를 일정 간격으로 파종하도록 되어 있어 종자와 지면의 접착율 및 종자의 발아율을 높일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이앙기용 종자직파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앙기용 종자직파기{A sowing machine for a rice transplanter}
본 고안은 볍씨 등과 같은 농작물의 종자를 농경지에 직접 파종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앙기의 후면에 연결 장착되어 이앙기의 동력부에서 전달된 동력에 의해 구동축이 회전되고 종자공급호퍼에 공급된 종자가 원주둘레면에 다수개의 종자삽입홈이 형성된 종자공급로울러에 의해 파종되도록 되어 있는 직파기에 있어서, 가이드프레임의 상부가이드 및 하부가이드에 의해 항상 일정한 갯수로 그 수량이 조절된 종자가 일정 간격마다 정확한 위치에 자동적으로 파종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종자공급로울러가 구동축에 용이하게 착탈 가능하도록 되어 있어 농경지의 폭에 따라 종자공급로울러의 수량을 임의대로 조절하도록 되어 있으며, 종자의 파종시 지면의 정지작업과 함께 파종골을 형성하면서 이 파종골을 따라 종자를 일정 간격으로 파종하도록 되어 있어 종자와 지면의 접착율 및 종자의 발아율을 높일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이앙기용 종자직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파기는 이앙기나 트랙터 등의 견인장치에 의해 견인되면서 농경지에 직접 종자를 뿌려 농작물을 재배하는 장치로서, 농경지에 뿌려진 종자를 그대로 파종하기 때문에 노동력 절감에 많은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다.
종래에도 이와 같이 농경지에 다수개의 종자를 점파할 수 있는 직파기가 널리 이용되고 있는데, 그 중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 제 20-0297230호에서는 파종하는 볍씨의 양을 필요에 따라 조정하여 기구적인 작동으로 출구홈에 있는 종자들을 정확하게 모두 파종할 수 있도록 회동로울러의 몸체에 형성된 각각의 출구홈에 스프링으로 탄지된 푸쉬부가 각각 설치되어 있되, 이 푸쉬부의 밀대는 몸체와 이격설치된 지지판의 고정 조정캠에 의해 작동되고 상기 출구홈의 깊이 조정은 밀대의 와셔에 연결된 간격 조정수단에 의해 조절되도록 되어 있는 '담수직파기의 종자 로울러장치'가 개시되었으나, 이러한 직파기는 피동축에 종자를 파종하는 다수개의 회동로울러가 모두 고정 장착되어 있어 회동로울러의 개수를 임의로 조정할 수 없고 이로 인하여 농경지의 폭에 따라 회동로울러의 갯수를 임의대로 조절하면서 정확한 파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없으며, 또 회동로울러의 푸쉬부가 내측의 고정 조정캠에 의해 작동됨으로써 장기간 무리한 작동시 푸쉬부의 밀대나 고정 조정캠이 쉽게 파손되며 착탈이 어려워 수리 및 보수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종자공급로울러가 구동축과 용이하게 착탈되도록 되어 있어 농경지의 폭에 따라 단시간내에 종자공급로울러를 수량 및 간격을 조절하도록 되어 있으며, 항상 일정한 갯수로 그 수량이 조절된 종자가 정확한 위치에 자동적으로 파종되도록 되어 있고, 종자의 파종시 지면의 정지작업과 함께 파종골을 형성하면서 이 파종골을 따라 종자를 일정 간격으로 파종하도록 되어 있어 종자와 지면의 접착율 및 종자의 발아율을 높일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직파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앙기의 후면에 연결 장착되어 이앙기의 동력부에서 전달된 동력에 의해 구동축이 회전되고 종자공급호퍼에 공급된 종자가 원주둘레면에 다수개의 종자삽입홈이 형성된 종자공급로울러에 의해 파종되도록 되어 있는 직파기에 있어서, 종자점파장치와 써레판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종자점파장치의 종자공급로울러는 가이드프레임의 로울러삽입홈에 상부가 삽입된 상태로 상부가이드와 하부가이드에 의해 종자의 수량조절 및 점파 위치가 정확히 가이드되고 구동축과 착탈식으로 조립 분해되도록 되어 있으며, 종자점파장치 하부의 써레판에 의해 지면을 1차적으로 정지작업되고 파종골 및 배수골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는 것에 본 고안의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종자직파기가 통상의 이앙기 후면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종자직파기가 통상의 이앙기 후면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배면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종자직파기의 종자점파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종자직파기의 써래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3의 A-A'선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종자직파기의 종자점파장치에 있어서 종자공급로울러와 가이드프레임의 결합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종자직파기의 종자점파장치에 있어서 종자공급로울러와 가이드프레임의 결합상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종자직파기 2. 종자점파장치
3. 써레판 4. 이앙기
5. 지지프레임 6. 본체프레임
7, 7'. 구동축 8. 종자공급로울러
9. 가이드프레임 10. 종자공급호퍼
11. 점파장치고정판 12. 스프라켓
13. 레디얼베어링 14. 체인
15. 회전축 16. 종자삽입홈
17, 17'. 로울러고정구 18. 숫나사부
19, 19'. 절개홈 20. 와셔
21. 고정너트 22. 로울러고정편
23. 나사홈 24. 연장부
25. 고정볼트 26. 몸체판
27. 로울러삽입홈 28, 28'. 측면판
29. 상부가이드 30. 하부가이드
31. 종자소제구 32. 후방프레임
33. 이앙기고정축 34. 경사판
35. 하부정지판 36. 연결편
37. 연결구 38. 파종골형성홈
39. 고정체결구 40. 고정편
41. 배수골형성판 42. 가이드판
43. 간격조절홈 44. 상단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구성을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이앙기용 종자직파기(1)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이앙기(4)의 후면부에 연결장착되며 이앙기(4)의 동력부(도시하지 않음)에서 전달된 동력에 의해 구동축(7)(7')이 회전되며 이 구동축(7)(7')에 착탈가능하도록 설치된 다수개의 종자공급로울러(8)가 동시에 회전하면서 종자를 지면에 점파하도록 되어 있는 종자점파장치(2)와, 상기 종자점파장치(2)의 하부에 위치하며 지면을 정지(整地)작업하면서 상기 다수개의 종자공급로울러(8)에 의해 점파되는 종자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의 지면에 파종골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는 써레판(3)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종자점파장치(2)는 이앙기(4) 후면부에 구비된 지지프레임(5)의 상부에 고정설치되며 일정 갯수의 종자를 지면에 점파는 장치로서, 본체프레임(6)과 구동축(7)(7')과 종자공급로울러(8)와 가이드프레임(9)과 종자공급호퍼(10)로 되어 있다.
상기 본체프레임(6)은 긴 장방형으로 종자점파장치(2)의 골조가 되는 프레임으로서, 상기 이앙기(4)의 지지프레임(5) 상부에 구비된 점파장치고정판(11)의 상면부에 고정 부착되어 있다.
상기 구동축(7)(7')은 2개로 나뉘어져 있고 일렬로 배열되어 본체프레임(6)의 내측 가운데부분에 위치하며 각각 스프라켓(12)과 다수개의 종자공급로울러(8)와 레디얼베어링(13)이 축설되어 있는데, 상기 스프라켓(12)에 체인(14)으로 연결된 지지프레임(5)의 회전축(15)을 통하여 이앙기(4)의 동력부에서 전달된 동력이 전달되면서 각각의 구동축(7)(7')을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레이얼베어링(13)은 통상적으로 축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하중을 받을 경우 원활한 회전을 위해 사용되는 베어링으로서 각 구동축(7)(7')의 양측에 구비되어 구동축(7)(7')이 원활히 회전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동축(7)(7')이 2개로 나뉘어져 있어 이앙기(4)에서 각각의 구동축(7)(7')을 별도로 구동시킴으로써 농경지의 폭이 좁은 경우에는 한쪽의 구동축(7)(7')만 구동시켜 지면에 중복된 파종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종자공급로울러(8)는 다수개가 일정간격으로 배열되어 구동축(7)(7')에 착탈식으로 축설되어 있어 농경지의 폭에 따라 종자공급로울러(8)의 개수를 임의대로 조절하거나 배열간격을 간편하게 분해 조립할 수 있고, 상기 종자공급로울러(8)의 원주둘레면에는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종자삽입홈(16)이 형성되어 있어 이 종자삽입홈(16)에 항상 일정 갯수의 종자가 삽입되어 점파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종자삽입홈(16)은 반구형으로 되어 있으며 원주둘레면에 90°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종자공급로울러(8)는 구동축(7)(7')과 용이하게 분리 결합되도록 착탈식 구조로 되어 있는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자공급로울러(8)와 로울러고정구(17)가 분리된 형태는 종자공급로울러(8)의 중심부분에 로울러고정구(17)가 삽입되도록 되어 있되, 상기 로울러고정구(17)는 내부가 빈 원통형으로 외주면이 테이퍼진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일측끝단의 외주면에는 숫나사부(18)가 형성되어 있고 횡방향으로 절개홈(19)이 형성되어 있어 종자공급로울러(8)의 중심부분에 로울러고정구(17)가 삽입되어 끼워진 상태로 로울러고정구(17)의 숫나사부(18)에 와셔(20)와 고정너트(21)가 차례로 나사체결되어 있고 상기 고정너트(21)로 로울러고정구(17)를 조여줌으로써 로울러고정구(17)의 절개홈(19)이 조여져구동축(7)(7')에 로울러고정구(17)가 밀착됨과 동시에 종자공급로울러(8)의 중심부분이 테이퍼진 로울러고정구(17)에 꽉 끼어 밀착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종자공급로울러(8)의 또 다른 실시형태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자공급로울러(8)와 로울러고정구(17')가 일체로 된 형태는 종자공급로울러(8)의 중심부분 양측으로 로울러고정구(17')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이 로울러고정구(17')에는 횡방향으로 절개홈(19')이 형성되어 있고 로울러고정구(17')의 외주면에 로울러고정편(22)이 체결되도록 되어 있는데, 상기 로울러고정편(22)은 태엽형식으로 말려져 있고 외주면에 나사홈(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 끝단의 연장부(24)에는 고정볼트(25)가 구비되어 있어 이 나사홈(23)과 나사결합되면서 로울러고정편(22)을 조여주도록 되어 있어 상기 로울러고정편(22)으로 로울러고정구(17')의 외측면을 조여줌으로써 로울러고정구(17')의 절개홈(19')이 조여지면서 구동축(7)(7')에 밀착 고정되어 종자공급로울러(8)가 고정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프레임(9)은 종자공급로울러(8)와 동일한 수로 구비되며 도 3, 5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프레임(6)의 상단부에 고정체결되고 상부에는 종자공급호퍼(10)가 놓여지며 하부에는 상기 종자공급로울러(8)가 구비되어 종자공급호퍼(10) 내부의 종자들이 종자공급로울러(8)를 따라 일정갯수로 수량이 제한되어 점파되도록 하는 부분으로서, 몸체판(26)의 가운데 부분에는 종자공급로울러(8)의 상부(대략 1/3 정도가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가 삽입되는 로울러삽입홈(27)이 형성되어 있으며, 몸체판(26)의 양측면에는 측면판(28)(28')이 형성되어 있어 상부에 놓여지는 종자공급호퍼(10)가 흔들리거나 종자공급호퍼(10)의 외측으로 종자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고, 로울러삽입홈(27)의 일측끝단에는 가이드판(42)이 구비되어 있되 상기 가이드판(42)은 긴 장방형의 간격조절홈(43)이 형성되어 있어 이 간격조절홈(43)에 나사를 체결하여 가이드판(42)을 몸체판(26)에 고정시킴으로써 종자공급로울러(8)와 가이드판(42)의 간격을 임의대로 조절하여 종자삽입홈(16)에 삽입되는 종자의 수량을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판(42)은 상부가이드(29)와 하부가이드(30)로 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가이드(29)는 종자공급로울러(8)의 외주면 일부와 동일한 호(弧)형상으로 상부쪽으로 라운드져 있어 종자공급로울러(8)의 종자삽입홈(16)에 삽입된 종자의 수량을 1차적으로 제한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가이드(30)는 상기 상부가이드(29)의 하부에 고정부착되어 있고 종자공급로울러(8)의 외주면 일부와 동일한 호(弧)형상으로 하부쪽으로 라운드져 있으며 하부가이드(30)의 상단부(44)에서 2차적으로 종자의 수량을 다시 제한하여 일정 갯수로 정확히 수량조절된 종자만 종자삽입홈(16)에 삽입되어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은 상태로 가이드되어 이송되면서 종자공급로울러(8)가 회전하여 하부가이드(30)가 끝나는 위치를 지나면 종자삽입홈(16)에 삽입되었던 종자가 아래쪽으로 이탈되어 일정한 위치의 지면에 점파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종자공급호퍼(10)는 상기 가이드프레임(9)의 상단부에 고정부착되는 부분으로 상부는 넓고 하부는 좁게 개방되어 있으며 하부에 연설된 종자공급로울러(8)에 종자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도록 되어 있고, 일측면 하부에는 종자소제구(31)가 형성되어 있어 작업 후 남아있는 종자를 용이하게 제거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써레판(3)은 도 1, 2,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종자점파장치(2)의 하부에 위치되며 이앙기(4)의 후방프레임(32) 하단부에 연설된 연결구(37)와 이앙기고정축(33)에 고정 설치되는 부분으로, 경사판(34)과 하부정지판(35)으로 되어 있다.
경사판(34)은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있는 상태로 이앙기(4)가 진행되는 방향의 지면을 1차적으로 정지(整地)작업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면부에는 연결편(36)이 용접부착되어 있어 이 연결편(36)과 이앙기(4)의 후방프레임(32) 하단부에 형성된 연결구(37)와 체결되도록 되어 있다.
하부정지판(35)은 수평방향으로 놓여져 있으며 일측끝단이 경사판(34)의 하부끝단과 일체로 용접 부착되어 있고 타측에는 상기 종자공급로울러(8)가 배열된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하부정지판(35)의 하부쪽으로 굴곡진 파종골형성홈(38)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어 상기 경사판(34)에 의해 1차적으로 정지된 지면을 따라 소정 깊이의 파종골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 파종골에 상기 종자공급로울러(8)로부터 일정갯수의 종자가 파종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하부정지판(35)의 상면부에는고정체결구(39)가 형성되어 있어 이앙기고정축(33)에 고정편(40)으로 고정체결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부정지판(35)의 가운데 부분의 하단면에는 배수골형성판(41)이 형성되어 있어 지면에 파종골을 형성함과 동시에 배수골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이앙기(4)의 동력부에서 전달된 동력에 의해 이앙기(4)의 지지프레임(5)에 구비된 회전축(15)이 회전하게 되고 이 회전축(15)과 체인(14)으로 연결된 각 구동축(7)(7')이 구동되면서 종자점파장치(2)의 종자공급로울러(8)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종자공급로울러(8)의 회전에 의해 종자삽입홈(16)에 종자가 채워지게 되고 가이드프레임(9)의 종자삽입홈(16) 일측에 나사체결된 가이드판(42)의 상부가이드(29)에서 종자삽입홈(16) 외측의 종자를 1차적으로 수량 제한하고 다시 하부가이드(30)의 상단부(44)에서 2차적으로 종자의 수량을 정확히 제한하여 종자삽입홈(16)에 삽입된 상태로 이송하여 종자들이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은 상태로 가이드하면서 하부로 이송하여 일정위치의 지면에 종자를 점파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종자의 점파시 종자공급로울러(8)의 하부에 구비된 써레판(3)에 의해 지면의 정지작업과 함께 파종골을 형성하게 되며, 이 파종골을 따라 종자가 일정 간격으로 점파되면서 종자와 지면의 접착율이 높아지고 종자의 발아율이 향상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종자공급로울러가 구동축과 용이하게 착탈되도록 되어 있어 농경지의 폭에 따라 짧은 시간내에 종자공급로울러의 수량 및 종자공급울러 사이의 배열 간격을 임의대로 조절할 수 있으며, 항상 일정한 갯수로 그 수량이 정확히 조절된 종자가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은 상태로 가이드되어 정확한 위치의 파종골에 자동적으로 파종하도록 되어 있고, 종자의 파종시 써레판으로 지면의 정지작업과 함께 파종골을 형성하면서 이 파종골을 따라 종자를 일정 간격으로 파종하도록 되어 있어 종자와 지면의 접착율 및 종자의 발아율을 높일 수 있도록 되어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이앙기의 동력부에서 전달된 동력에 의해 구동축이 회전되고 상기 구동축에 축설되어 상부의 종자공급호퍼에 공급된 종자가 다수개의 종자삽입홈이 형성된 종자공급로울러에 의해 파종되도록 되어 있는 종자점파장치와 지면을 정지작업하는 써레판이 구비된 직파기에 있어서, 상기 종자점파장치(2)의 종자공급로울러(8)는 상기 구동축(7)(7')과 착탈식으로 분리결합되고 가이드프레임(9)의 몸체판(26)에 형성된 로울러삽입홈(27)에 상부가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프레임(9)은 본체프레임(6)의 상단부에 고정체결되고 몸체판(26)의 양측면에는 측면판(28)(28')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로울러삽입홈(27)의 일측끝단에는 장방형의 간격조절홈(43)이 형성된 가이드판(42)이 나사체결되어 있어 종자공급로울러(8)과 가이드판(42)사이의 간격이 조절되어 종자삽입홈(16)에 삽입되는 종자의 수량을 조절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써레판(3)은 지면을 1차 정지작업하는 경사판(34)과 상기 경사판(34)의 일측끝단에 수평방향으로 놓여져 일체로 용접부착되어 있고 종자공급로울러(8)가 배열된 간격과 동일 간격으로 하부쪽으로 굴곡진 다수개의 파종골형성홈(38) 및 중앙에 배수골형성판(41)이 형성된 하부정지판(35)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용 종자직파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42)은 상부가이드(29)와 하부가이드(30)로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가이드(29)는 종자공급로울러(8)의 외주면 일부와 동일한 호(弧)형상으로 상부쪽으로 라운드져 있어 종자공급로울러(8)의 종자삽입홈(16)에 삽입된 종자의 수량을 1차적으로 제한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가이드(30)는 상기 상부가이드(29)의 하부에 고정부착되어 있고 종자공급로울러(8)의 외주면 일부와 동일한 호(弧)형상으로 하부쪽으로 라운드져 있으며 하부가이드(30)의 상단부(44)에서 2차적으로 다시 수량 제한하여 일정 갯수로 정확히 수량조절된 종자만 종자삽입홈(16)에 삽입되어 가이드되면서 이송되어 지면에 점파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용 종자직파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종자공급로울러(8)는 중심부분에 로울러고정구(17)가 삽입되어 구동축(7)(7')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되, 상기 로울러고정구(17)는 내부가 빈 원통형으로 외주면이 테이퍼진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외주면의 일측끝단에는 숫나사부(18)가 형성되어 있고 횡방향으로 절개홈(19)이 형성되어 있어 종자공급로울러(8)의 중심부분에 로울러고정구(17)가 삽입되어 끼워진 상태로 로울러고정구(17)의 숫나사부(18)에 와셔(20)와 고정너트(21)가 차례로 나사체결되어 있고 상기 고정너트(21)로 로울러고정구(17)를 조여줌으로써 로울러고정구(17)의 절개홈(19)이 조여져 구동축(7)(7')에 로울러고정구(17)가 밀착됨과 동시에 종자공급로울러(8)의 중심부분이 테이퍼진 로울러고정구(17)에 꽉 끼어 밀착 고정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용 종자직파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종자공급로울러(8)는 중심부분의 양측으로 로울러고정구(17')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로울러고정구(17')에는 횡방향으로 절개홈(19')이 형성되어 있고 로울러고정구(17')의 외주면에는 로울러고정편(22)이 체결되도록 되어 있는데, 상기 로울러고정편(22)은 태엽형식으로 말려져 있고 외주면에 나사홈(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 끝단의 연장부(24)에는 상기 나사홈(23)과 나사결합되면서 로울러고정편(22)를 조여주는 고정볼트(25)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로울러고정편(22)으로 로울러고정구(17')의 외측면을 조여줌으로써 로울러고정구(17')의 절개홈(19')이 조여지면서 구동축(7)(7')에 밀착 고정되어 종자공급로울러(8)가 고정 설치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용 종자직파기.
KR20-2003-0027344U 2003-08-26 2003-08-26 이앙기용 종자직파기 KR2003347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7344U KR200334764Y1 (ko) 2003-08-26 2003-08-26 이앙기용 종자직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7344U KR200334764Y1 (ko) 2003-08-26 2003-08-26 이앙기용 종자직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4764Y1 true KR200334764Y1 (ko) 2003-12-01

Family

ID=49420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7344U KR200334764Y1 (ko) 2003-08-26 2003-08-26 이앙기용 종자직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4764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002Y1 (ko) * 2009-08-24 2012-06-21 전형기 이앙기용 종자 및 비료점파기
KR101233767B1 (ko) 2010-10-18 2013-02-15 한국농수산대학 산학협력단 시비장치가 구비된 무논 복토점파기
KR200471849Y1 (ko) 2011-04-28 2014-03-20 전형기 이앙기용 종자점파 및 비료살포기
CN110393061A (zh) * 2019-07-15 2019-11-01 安徽农业大学 一种用于播种机的行距调节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002Y1 (ko) * 2009-08-24 2012-06-21 전형기 이앙기용 종자 및 비료점파기
KR101233767B1 (ko) 2010-10-18 2013-02-15 한국농수산대학 산학협력단 시비장치가 구비된 무논 복토점파기
KR200471849Y1 (ko) 2011-04-28 2014-03-20 전형기 이앙기용 종자점파 및 비료살포기
CN110393061A (zh) * 2019-07-15 2019-11-01 安徽农业大学 一种用于播种机的行距调节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93898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agricultural field seeding
KR101514780B1 (ko) 이앙기용 시비겸용점파기
KR102072336B1 (ko) 육묘상자 이송용 컨베이어장치
KR100924307B1 (ko) 버킷 조절형 마늘파종기
KR200334764Y1 (ko) 이앙기용 종자직파기
CN108781639A (zh) 一种定向播种机的轮式投送结构
KR200461002Y1 (ko) 이앙기용 종자 및 비료점파기
US20200060072A1 (en) Manual granule spreader
KR200365829Y1 (ko) 접철식 종자직파기
KR102115703B1 (ko) 조절이 용이한 파종기용 작동구
KR20120002232U (ko) 종자누름부가 구비된 이앙기용 종자직파기
CN211630809U (zh) 一种可旋转施肥的播种机
KR100758772B1 (ko) 인삼 씨앗 직파기
KR200363636Y1 (ko) 건답직파기의 파종골형성장치
KR960003330Y1 (ko) 담수 직파용 파종기
KR910010013B1 (ko) 파종기
KR200214872Y1 (ko) 건답직파기
KR0126261Y1 (ko) 복식 파종기
KR100427780B1 (ko) 직파기의 점파간격조절장치
KR200186271Y1 (ko) 마늘 파종기
CN109548420A (zh) 一种小麦种植用播种旋耕一体机
JPH02222605A (ja) 穴播き式施肥播種機
KR200232978Y1 (ko) 파종기
KR200292417Y1 (ko) 점파식 직파기
KR200216390Y1 (ko) 인삼씨앗 파종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