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4780B1 - 이앙기용 시비겸용점파기 - Google Patents

이앙기용 시비겸용점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4780B1
KR101514780B1 KR1020130029131A KR20130029131A KR101514780B1 KR 101514780 B1 KR101514780 B1 KR 101514780B1 KR 1020130029131 A KR1020130029131 A KR 1020130029131A KR 20130029131 A KR20130029131 A KR 20130029131A KR 101514780 B1 KR101514780 B1 KR 1015147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tilizer
plate
seed
seeding
cov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9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2188A (ko
Inventor
전형기
Original Assignee
전형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형기 filed Critical 전형기
Publication of KR20140092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21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4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4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49/00Combined machines
    • A01B49/04Combinations of soil-working tools with non-soil-working tools, e.g. planting tools
    • A01B49/06Combinations of soil-working tools with non-soil-working tools, e.g. planting tools for sowing or fertilis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6Seeders combined with fertilis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9/00Harrows with non-rotating tools
    • A01B19/02Harrows with non-rotating tools with tools rigidly or elastically attached to a tool-fram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앙기의 후방 상부에 설치되면서 이앙기의 동력부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구동축이 회전되고 상기 구동축에 일정간격으로 축설된 복수개의 종자공급롤러가 상부에 구비된 각 종자공급호퍼로부터 종자를 공급받아 하부로 일정량씩 점파하는 종자점파부와, 상기 종자점파부의 전방에 설치되는 베이스틀이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틀의 하부에는 복수개의 종자공급롤러와 전후로 대응되게 복수개의 종자파종골형성판이 설치되며 상기 각 종자파종골형성판은 베이스틀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 상태로 탄성스프링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면서 탄성지지되게 설치되어 종자가 점파되는 위치마다 지면위에 종자파종골을 형성하는 종자파종골형성부와, 상기 종자점파부의 전방에 구동축과 구동수단으로 연결되어 함께 회전되는 피동축이 구비되며 상기 피동축에 일정간격으로 축설된 복수개의 비료공급롤러가 상부에 구비된 각 비료공급호퍼로부터 비료를 공급받아 하부로 일정량씩 분산살포하는 비료살포부와, 경사판과 하부정지판으로 이루어지고 이앙기의 후방 하부에 연결장착되어 지면을 정지작업하면서 배수골을 형성하며 비료가 살포되는 위치마다 비료파종골을 형성하고 복토처리하는 써레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용 시비겸용점파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앙기용 시비겸용점파기{A sowing and fertilization machine for a rice transplanter}
본 발명은 볍씨 등과 같은 각종 농작물의 종자를 농경지에 여러줄로 점파하면서 점파된 종자 사이에는 비료를 분산살포하고 비료가 살포된 부분은 복토처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앙기의 후방 상부에 설치되면서 이앙기의 동력부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구동축이 회전되고 상기 구동축에 일정간격으로 축설된 복수개의 종자공급롤러가 상부에 구비된 각 종자공급호퍼로부터 종자를 공급받아 하부로 일정량씩 점파하는 종자점파부와, 상기 종자점파부의 전방에 설치되는 베이스틀이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틀의 하부에는 복수개의 종자공급롤러와 전후로 대응되게 복수개의 종자파종골형성판이 설치되며 상기 각 종자파종골형성판은 베이스틀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 상태로 탄성스프링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면서 탄성지지되게 설치되어 종자가 점파되는 위치마다 지면위에 종자파종골을 형성하는 종자파종골형성부와, 상기 종자점파부의 전방에 구동축과 구동수단으로 연결되어 함께 회전되는 피동축이 구비되며 상기 피동축에 일정간격으로 축설된 복수개의 비료공급롤러가 상부에 구비된 각 비료공급호퍼로부터 비료를 공급받아 하부로 일정량씩 분산살포하는 비료살포부와, 경사판과 하부정지판으로 이루어지고 이앙기의 후방 하부에 연결장착되어 지면을 정지작업하면서 배수골을 형성하며 비료가 살포되는 위치마다 비료파종골을 형성하고 복토처리하는 써레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용 시비겸용점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파기는 이앙기나 트랙터 등의 견인장치에 의해 견인되면서 농경지에 직접 볍씨 등과 같은 농작물의 종자를 뿌려 농작물을 재배하는 장치로서, 농경지에 뿌려진 종자를 그대로 파종하도록 되어 있어 노동력 절감에 많은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다.
종래에도 이와 같이 농경지에 종자를 직접 점파할 수 있는 직파기가 본 출원인에 의해 고안되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 20-0334764호로 등록되었으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이앙기용 종자직파기는 농경지에 볍씨 등의 종자만 일정간격으로 점파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종자를 일정간격으로 점파한 다음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상기 종자가 점파된 사이마다 비료를 일정간격으로 뿌려주도록 되어 있어 종자 점파 후 비료를 추가적으로 시비(施肥)하는 과정에서 많은 시간과 노동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에 의해 고안되어 선등록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 20-0461002호에서는 이앙기에 의해 견인되면서 종자를 점파하고 지면을 정지작업하는 이앙기용 점파기에 있어서, 상기 이앙기의 후방에 구비된 지지프레임 상부에 연결장착되어 이앙기의 동력부에서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축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축에는 원주둘레면을 따라 복수개의 종자삽입홈이 형성된 종자공급롤러가 일정간격으로 복수개 축설되고 상기 복수개의 종자공급롤러 사이에는 각각 원주둘레면을 따라 복수개의 비료삽입홈이 형성된 비료공급롤러가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구동축에 축설되어 함께 회전되도록 되어 있되 상기 각 종자공급롤러의 상부에는 종자공급호퍼부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각 종자공급호퍼부로부터 일정개수의 종자를 공급받아 종자공급롤러의 회전시마다 종자삽입홈을 통해 지면에 점파하고 상기 각 비료공급롤러의 상부에는 이앙기의 후방 상부에 설치되는 비료저장통과 비료공급호스로 연결된 비료공급부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각 비료공급부로부터 일정량의 비료를 공급받아 비료공급롤러의 회전시마다 비료삽입홈을 통해 종자가 점파되는 부분 사이마다 일정간격 이격되게 비료를 점파하는 종자비료점파장치와, 상기 이앙기의 후방 하부에 연결장착되어 지면을 정지작업하면서 상기 종자가 점파되는 위치에는 종자파종골을 형성하고 상기 비료가 점파되는 위치에는 비료파종골을 형성하는 써레판으로 구성된 이앙기용 종자 및 비료점파기가 개시되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이앙기용 종자 및 비료점파기는 하나의 판으로 된 써레판의 후방끝부분에 하방으로 굴곡진 복수개의 종자파종골형성홈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어 이앙기에 의해 견인되는 써레판의 종자파종골형성홈이 지면을 스쳐지나가면서 복수개의 종자파종골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지면위의 어느 한 곳에 돌이나 단단하게 뭉쳐진 토양이 돌출되어 있는 경우 써레판이 상기 돌이나 토양에 부딪치면서 써레판의 후방이 상방으로 들어올려져 돌이나 토양이 있는 부분에는 전체적으로 종자파종골이 형성되지 않을 뿐 아니라 충격이 써레판 전체에 그대로 전달되어 써레판이 쉽게 손상되거나 용접 부착부분이 깨져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종래의 써레판에는 비료파종골형성홈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비료파종골형성홈에 의해 비료파종골이 형성된 부분에 점파되는 비료는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유지되어 바람이 부는 경우 통상적으로 작은 입자상태의 가루성분으로 된 비료가 쉽게 바람에 날려 외부로 유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종자를 일정간격으로 여러줄 점파하는 종자점파부의 전방에는 종자가 점파되는 위치마다 지면위에 종자파종골을 형성하는 종자파종골형성부를 구비하되, 상기 종자파종골형성부는 좌우로 긴 장방형의 틀형상으로 이앙기의 지지프레임에 고정설치되는 베이스틀의 하부에 복수개의 종자공급롤러와 전후로 대응되게 복수개의 종자파종골형성판을 설치하여 지면위의 돌이나 단단하게 뭉쳐진 토양에 어느 한 곳의 종자파종골형성판이 부딪치는 경우에도 다른 종자파종골형성판은 안정되게 종자파종골을 형성하고, 상기 각 종자파종골형성판은 베이스틀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 상태로 탄성스프링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면서 탄성지지되게 설치하여 돌이나 토양에 부딪치는 경우에도 충격이 완충되어 손상되지 않게 하며, 또한 상기 써레판의 후방끝부분에 관통설치된 복수개의 비료투입관 좌우양측에는 각각 제1,2비료복토판을 설치하여 비료가 살포된 비료파종골을 좌우양측에서 모아 1,2차로 중복되게 복토하여 가루성분으로 된 비료가 바람에 날려 유실되지 않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앙기의 후방 상부에 설치되면서 이앙기의 동력부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구동축이 회전되고 상기 구동축에 일정간격으로 축설된 복수개의 종자공급롤러가 상부에 구비된 각 종자공급호퍼로부터 종자를 공급받아 하부로 일정량씩 점파하는 종자점파부와, 상기 종자점파부의 전방에 설치되는 베이스틀이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틀의 하부에는 복수개의 종자공급롤러와 전후로 대응되게 복수개의 종자파종골형성판이 설치되며 상기 각 종자파종골형성판은 베이스틀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 상태로 탄성스프링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면서 탄성지지되게 설치되어 종자가 점파되는 위치마다 지면위에 종자파종골을 형성하는 종자파종골형성부와, 상기 종자점파부의 전방에 구동축과 구동수단으로 연결되어 함께 회전되는 피동축이 구비되며 상기 피동축에 일정간격으로 축설된 복수개의 비료공급롤러가 상부에 구비된 각 비료공급호퍼로부터 비료를 공급받아 하부로 일정량씩 분산살포하는 비료살포부와, 경사판과 하부정지판으로 이루어지고 이앙기의 후방 하부에 연결장착되어 지면을 정지작업하면서 배수골을 형성하며 비료가 살포되는 위치마다 비료파종골을 형성하고 복토처리하는 써레판으로 구성된 것에 본 발명의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종자를 일정간격으로 여러줄 점파하는 종자점파부의 전방에는 종자가 점파되는 위치마다 지면위에 종자파종골을 형성하는 종자파종골형성부가 구비되어 있되, 상기 종자파종골형성부는 좌우로 긴 장방형의 틀형상으로 이앙기의 지지프레임에 고정설치되는 베이스틀의 하부에 복수개의 종자공급롤러와 전후로 대응되게 복수개의 종자파종골형성판이 설치되어 있어 지면위의 돌이나 단단하게 뭉쳐진 토양에 어느 한 곳의 종자파종골형성판이 부딪치는 경우에도 다른 종자파종골형성판은 안정되게 종자파종골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각 종자파종골형성판은 베이스틀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 상태로 탄성스프링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면서 탄성지지되게 설치되어 있어 돌이나 토양에 부딪치는 경우에도 충격이 완충되어 손상되지 않으며, 또한 상기 써레판의 후방끝부분에 관통설치된 복수개의 비료투입관 좌우양측에는 각각 제1,2비료복토판이 설치되어 있어 비료가 살포된 비료파종골을 좌우양측에서 모아 1,2차로 중복되게 복토하여 가루성분으로 된 비료가 바람에 날려 유실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앙기용 시비겸용점파기가 통상의 이앙기 후방에 장착된 상태의 측면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앙기용 시비겸용점파기에서 종자점파부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사시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앙기용 시비겸용점파기에서 종자파종골형성부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사시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앙기용 시비겸용점파기에서 비료살포부의 분해상태를 사시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앙기용 시비겸용점파기의 써레판을 도시한 사시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앙기용 시비겸용점파기가 통상적인 이앙기의 후방에 장착된 상태의 배면개략도
도 7은 도 6의 "A"부분을 확대한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앙기용 시비겸용점파기에서 하부정지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앙기용 시비겸용점파기에서 다른 실시예의 하부정지판이 통상적인 이앙기의 후방에 장착된 상태의 배면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이앙기용 시비겸용점파기에 의해 지면위에 종자가 점파되고 그 사이에 비료가 살포된 상태의 평면개략도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구성을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이앙기용 시비겸용점파기(1)는 도 1 내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이앙기(2)와 같은 이동수단에 의해 견인되면서 볍씨 등과 같은 각종 농작물의 종자를 농경지에 여러줄로 점파하면서 점파된 종자 사이에는 비료를 분산살포하고 비료가 살포된 부분은 복토처리가 한꺼번에 이루어지게 하는 장치로서, 이앙기(2)의 후방 상부에 설치되면서 이앙기(2)의 동력부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구동축(7a)(7b)이 회전되고 상기 구동축(7a)(7b)에 일정간격으로 축설된 복수개의 종자공급롤러(11)가 상부에 구비된 각 종자공급호퍼(12)로부터 종자를 공급받아 하부로 일정량씩 점파하는 종자점파부(3)와, 상기 종자점파부(3)의 전방에 설치되는 베이스틀(20)이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틀(20)의 하부에는 복수개의 종자공급롤러(11)와 전후로 대응(對應)되게 복수개의 종자파종골형성판(21)이 설치되며 상기 각 종자파종골형성판(21)은 베이스틀(20)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 상태로 탄성스프링(28)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면서 탄성지지되게 설치되어 종자가 점파되는 위치마다 지면위에 종자파종골을 형성하는 종자파종골형성부(19)와, 상기 종자점파부(3)의 전방에 구동축(7a)(7b)과 구동수단(15b)으로 연결되어 함께 회전되는 피동축(35a)(35b)이 구비되며 상기 피동축(35a)(35b)에 일정간격으로 축설된 복수개의 비료공급롤러(37)가 상부에 구비된 각 비료공급호퍼(38)로부터 비료를 공급받아 하부로 일정량씩 분산살포하는 비료살포부(33)와, 경사판(49)과 하부정지판(53)으로 이루어지고 이앙기(2)의 후방 하부에 연결장착되어 지면을 정지작업하면서 배수골을 형성하며 비료가 살포되는 위치마다 비료파종골을 형성하고 복토처리하는 써레판(48)으로 구성된다.
상기 종자점파부(3)는 도 1, 2,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이앙기(2)의 후방에 구비된 지지프레임(4)의 상부에 고정설치되며 일정수량의 종자를 일정간격으로 지면위에 점파하는 부분으로, 상기 이앙기(2) 후방의 지지프레임(4) 상부에 구비된 받침대(5a)의 상면부에 좌우로 위치된 상태로 고정설치되는 본체프레임(6)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본체프레임(6)은 좌우로 긴 장방형의 사각틀형상으로 수평으로 눕혀져 있으며 상기 본체프레임(6)의 내측 가운데부분에는 이앙기(2)의 동력부(도시하지 않음)에서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축(7a)(7b)이 위치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구동축(7a)(7b)은 2개로 나뉘어진 상태로 좌우 일렬로 나란히 배열되어 있으며 각각 구동스프라켓(8)과 연동스프라켓(9)과 레디얼베어링(10a)과 복수개의 종자공급롤러(11)가 일정간격으로 축설되어 있어 상기 복수개의 종자공급롤러(11)가 구동축(7a)(7b)과 함께 일체로 회전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각 종자공급롤러(11)의 상부에는 종자공급호퍼(12)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각 종자공급호퍼(12)로부터 일정수량의 종자를 공급받아 지면에 점파하도록 되어 있고 각 종자공급롤러(11)의 하부에는 종자가이드관(13)이 설치되어 종자공급롤러(11)의 수직하방으로 종자가 점파되게 가이드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구동스프라켓(8)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4)의 회전축(14)과 체인이나 벨트 등의 구동수단(15a)으로 연결되어 있어 상기 이앙기(2)의 동력부(도시하지 않음)에서 전달된 동력이 회전축(14)을 통해 구동축(7a)(7b)을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연동스프라켓(9)은 비료살포부(33)의 피동축(35a)(35b)에 축설된 피동스프라켓(36)과 체인이나 벨트 등의 구동수단(15b)으로 연결되어 있어 구동축(7a)(7b)의 회전력이 피동축(35a)(35b)에 전달되어 함께 회전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레디얼베어링(10a)은 통상적으로 축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하중을 받을 경우 원활한 회전을 위해 사용되는 베어링으로 도 2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축(7a)(7b)의 좌우양측 끝부분에 각각 축설된 상태로 구동축(7a)(7b)을 지탱하여 구동축(7a)(7b)이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동축(7a)(7b)이 2개로 나뉘어져 있어 이앙기(2)에서 각각의 구동축(7a)(7b)을 별도로 구동시킴으로써 농경지의 폭이 좁은 경우에는 어느 한쪽의 구동축(7a)(7b)만을 구동시켜 지면에 중복되게 종자가 점파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복수개의 종자공급롤러(11)는 도 1, 2,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축(7a)(7b)에 일정간격으로 착탈가능하게 축설되며 각 종자공급롤러(11)의 원주둘레면에는 일정간격으로 복수개의 종자삽입홈(16)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종자삽입홈(16)의 내측에 종자공급호퍼(12)로부터 공급되는 종자가 일정수량 삽입되면서 종자공급롤러(11)의 회전에 따라 하방으로 점파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종자공급호퍼(12)는 도 1, 2,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종자공급롤러(11) 상부에 각각 위치되어 내부에 저장된 종자들이 종자공급롤러(11)에 일정하게 수량조절된 상태로 공급되도록 하는 부분으로, 상,하부가 모두 개방된 상태로 상부는 넓고 하부는 좁은 통상의 호퍼형상으로 내부에는 일정량의 종자가 투입 저장되도록 되어 있어 하부에 연결 설치되는 종자공급롤러(11)에 종자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도록 되어 있되, 상기 종자공급호퍼(12)의 하부에는 본체프레임(6)의 상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고정판(17a)이 위치된 상태로 일체로 고정체결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종자공급호퍼(12)와 하부고정판(17a) 사이에는 전후로 위치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종자공급롤러(11)의 종자삽입홈(16)에 삽입되는 종자의 수량을 조절하는 공급량조절판(18a)이 개재(介在)되도록 되어 있어 상기 종자공급호퍼(12)의 내부에 투입저장된 종자가 공급량조절판(18a)에 의해 일정수량 조절된 상태에서 각 종자공급롤러(11)의 종자삽입홈(16)에 삽입되어 종자가이드관(13)을 거치면서 지면위의 종자파종골에 점파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종자파종골형성부(19)는 도 1, 3, 6,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자점파부(3)에 의해 여러줄로 점파되는 종자가 파종되는 파종골을 형성하는 부분으로, 상기 종자점파부(3)의 전방에 설치되는 베이스틀(20)이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틀(20)의 하부에는 복수개의 종자공급롤러(11)와 전후로 대응(對應)되게 복수개의 종자파종골형성판(21)이 설치되며 상기 각 종자파종골형성판(21)은 베이스틀(20)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 상태로 탄성스프링(28)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면서 탄성지지되게 설치되어 종자가 점파되는 위치마다 지면위에 일정깊으로 종자파종골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틀(20)은 좌우로 긴 장방형의 사각틀형상으로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도 3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틀(20)의 상부 좌우양측에 각각 내측 하방으로 장착바(22)가 돌출형성되어 있어 상기 장착바(22)가 이앙기(2) 후방의 지지프레임(4) 상부에 올려진 상태로 고정설치되고, 상기 베이스틀(20)의 하부에는 종자점파부(3)에 설치된 복수개의 종자공급롤러(11)와 각각 전후로 나란하게 대응되도록 복수개의 종자파종골형성판(21)이 좌우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각 종자파종골형성판(21)은 전방으로 상향경사진 상태로 후방에는 하부쪽으로 골곡진 종자파종골형성홈(23)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는 전방으로 상향경사진 상태로 상부가 전후수평방향으로 절곡된 상부연장판(24)이 일체로 고정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연장판(24)은 베이스틀(20)의 하부에 좌우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고정부착된 한쌍의 체결편(25) 사이에 전후방향으로 위치되면서 상부연장판(24)의 끝부분 좌우양측에 고정부착된 돌출편(26)이 개재(介在)된 상태로 한쌍의 체결편(25)과 돌출편(26)을 힌지축(27)이 관통개재되어 상기 힌지축(27)을 중심으로 종자파종골형성판(21)이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힌지축(27)에는 도 3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스프링(28)이 끼워진 상태로 상기 탄성스프링(28)의 일단은 상부연장판(24)의 상면부에 탄성지지되고 탄성스프링(28)의 타단은 체결편(25)의 상부에 전후 일정간격으로 천공된 복수개의 체결공(29) 중 어느 한곳에 탄성지지되도록 결합되어 있어 농경지의 토질(土質)에 따라 탄성스프링(28)의 탄성력을 조절하면서 종자파종골형성판(21)의 상부연장판(24)이 탄성스프링(28)에 의해 하방으로 일정한 힘으로 탄성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한쌍의 체결편(25)은 하면부에 받침판(30)이 일체로 고정부착되어 있고 상기 받침판(30)은 상부연장판(24)과 상하 일정간격 이격된 하부에 위치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연장판(24)에는 너트(31)가 매설되어 있어 상기 너트(31)에 조절볼트(32)가 나사체결식으로 결합되면서 조절볼트(32)의 하단부가 너트(31)를 관통하여 받침판(30) 위에 맞닿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조절볼트(32)를 풀거나 조임에 따라 상부연장판(24)의 경사각이 조절되어 상부연장판(24) 하부에 연결된 종자파종골형성판(21)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비료살포부(33)는 도 1, 4, 6,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자점파부(3)의 전방에 설치되어 종자가 점파되는 부분 사이에 일정량의 비료를 지면에 분산되게 살포하는 부분으로, 상기 이앙기(2) 후방의 지지프레임(4) 전방 상부에 구비된 받침대(5b)의 상면부에 좌우로 위치된 상태로 고정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34)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프레임(34)은 종자점파부(3)의 본체프레임(6)에 부합되는 폭과 길이를 지닌 좌우수평방향으로 긴 장방형의 사각틀형상으로 본체프레임(6) 전방 상부에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로 설치되며 베이스프레임(34)의 내측 가운데부분에는 종자점파부(3)의 구동축(7a)(7b)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피동축(35a)(35b)이 위치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피동축(35a)(35b)은 2개로 나뉘어진 상태로 일렬로 나란히 배열되어 있으며 각각 피동스프라켓(36)과 레디얼베어링(10b)과 복수개의 비료공급롤러(37)가 일정간격으로 축설되어 피동축(35a)(35b)과 함께 일체로 회전되고 상기 피동축(35a)(35b)에 축설된 복수개의 비료공급롤러(37)는 그 사이에 각각 종자점파부(3)의 종자공급롤러(11)가 위치되게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각 비료공급롤러(37)의 상부에는 비료공급호퍼(38)가 설치되어 있어 비료공급호퍼(38)로부터 일정량의 비료를 공급받도록 있고 상기 각 비료공급롤러(37)의 하부에는 이앙기(2)의 상부에 설치되는 브로워(39)와 에어토출호스(40)로 연결된 비료가이드관(41)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비료공급롤러(37)의 회전시마다 일정량씩 하방으로 떨어지는 비료를 에어토출호스(40)에서 토출되는 에어로 분산시켜 종자가 점파되는 부분 사이에 고르게 분산 살포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피동스프라켓(36)은 도 4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자점파부(3)의 구동축(7a)(7b)에 축설된 연동스프라켓(9)과 체인이나 벨트 등의 구동수단(15b)으로 연결되어 있어 구동축(7a)(7b)의 회전력이 피동축(35a)(35b)에 전달되어 함께 회전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레디얼베어링(10b)은 통상적으로 축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하중을 받을 경우 원활한 회전을 위해 사용되는 베어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동축(35a)(35b)의 좌우양측 끝부분에 각각 축설된 상태로 피동축(35a)(35b)을 지탱하여 피동축(35a)(35b)이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피동축(35a)(35b)이 2개로 나뉘어져 있어 이앙기(2)에서 각각의 피동축(35a)(35b)을 별도로 구동시킴으로써 농경지의 폭이 좁은 경우에는 어느 한쪽의 피동축(35a)(35b)만을 구동시켜 지면에 중복되게 비료가 살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복수개의 비료공급롤러(37)는 도 1, 4,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종자공급롤러(11) 사이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위치되도록 상기 피동축(35a)(35b)에 일정간격으로 착탈가능하게 축설되며 각 비료공급롤러(37)의 원주둘레면에는 일정간격으로 복수개의 비료삽입홈(42)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비료삽입홈(42)의 내측에 비료공급호퍼(38)로부터 공급되는 비료가 일정량 삽입되면서 비료공급롤러(37)의 회전에 따라 하방으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각 비료공급롤러(37)는 하부에 각각 비료가이드관(41)이 설치되어 비료공급롤러(37)의 수직 하부로 일정량씩 떨어지는 비료를 분산시켜 지면위에 골고루 살포되게 가이드하도록 되어 있되, 상기 비료가이드관(41)은 도 1, 4, 5,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가 개방된 원통형관으로 상부에는 하부수납부(43)가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수납부(43)는 상부가 개구된 반원형의 통형상으로 개구된 투입구(44)를 통해 내측에 비료공급롤러(37)의 하부가 삽입되도록 되어 있어 상기 비료공급롤러(37)의 하부 전후좌우가 하부수납부(43)에 의해 가려지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수납부(43)의 전방 하부에는 도 1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앙기(2)의 상부에 설치되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브로워(39)의 에어공급덕트(45)와 연결된 에어토출호스(40)의 일측끝단이 관통 개재(介在)되어 있고, 상기 하부수납부(43)의 상단부에는 베이스프레임(34)의 하단면에 볼트나 나사못 등으로 고정체결되는 연결브라켓(46)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비료가이드관(41)의 하부수납부(43)에 비료공급롤러(37)의 하부가 삽입되도록 위치시키고 연결브라켓(46)을 베이스프레임(34)의 하단면에 맞닿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볼트나 나사못 등의 체결수단으로 고정체결하여 상기 각 비료공급롤러(37)의 비료삽입홈(42)에 삽입된 비료가 하부로 떨어지는 과정에서 에어토출호스(40)로부터의 에어에 의해 덩이리상태로 뭉쳐지지 않고 고르게 분산되면서 각각의 비료가이드관(41) 내부를 통해 일정위치의 수직 하부로 살포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브로워(39)는 통상의 에어공급장치로서 도 1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앙기(2)의 후방 상부에 하나 또는 복수개가 설치되어 각 에어토출호스(40)에 에어를 공급하도록 되어 있되, 상기 브로워(39)에는 에어공급덕트(45)가 연결설치되어 있고 상기 에어공급덕트(45)에 각각 복수개의 에어토출호스(40)가 연결되어 브로워(39)로부터의 에어가 에어공급덕트(45)로 보내지면서 각각의 에어토출호스(40)를 통해 비료가이드관(41)의 내측으로 토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 에어토출호스(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료가이드관(41)의 하부수납부(43)에 관통 개재된 일측끝단이 하방으로 비스듬히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어 각 에어토출호스(40)로부터 토출되는 에어가 비료가이드관(41)의 내측 하방으로 토출되어 비료공급롤러(37)로부터의 비료가 상부쪽으로 역류하지 않고 하방으로 안정되게 분산 살포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 비료가이드관(41)은 도 1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주름관으로 된 하부연결관(47)이 수직하방으로 끼움장착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각 하부연결관(47)의 하부는 써레판(48)의 하부정지판(53) 후방끝부분에 좌우일정간격으로 수직으로 관통설치된 복수개의 비료투입관(54) 상부에 각각 연결되도록 되어 있어 상기 하부정지판(53)에서 복수개의 비료투입관(54)이 관통 개재된 부분의 하면부 전방에 각각 고정부착되어 있는 비료파종골형성판(55)에 의해 지면위에 비료파종골이 형성되면서 곧바로 비료공급롤러(37)로부터의 비료가 비료가이드관(41)과 하부연결관(47)과 비료투입관(54)을 통해 지면위로 분산 살포되도록 하여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줄로 점파된 종자 사이의 중앙부분을 따라 비료가 고르게 분산살포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비료공급호퍼(38)는 도 1, 4,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비료공급롤러(37)의 상부에 각각 위치되어 내부에 저장된 입자상태의 비료가 비료공급롤러(37)에 일정량씩 공급되도록 하는 부분으로, 상,하부가 모두 개방된 상태로 상부는 넓고 하부는 좁은 통상의 호퍼형상으로 내부에는 일정량의 비료가 투입 저장되도록 되어 있어 하부에 연결 설치되는 비료공급롤러(37)에 비료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도록 되어 있되, 상기 비료공급호퍼(38)의 하부에는 베이스프레임(34)의 상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고정판(17b)이 위치된 상태로 일체로 고정체결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비료공급호퍼(38)와 하부고정판(17b) 사이에는 상기 비료공급롤러(37)의 비료삽입홈(42)에 삽입되는 비료의 량을 조절하는 공급량조절판(18b)이 개재(介在)되도록 되어 있어 상기 비료공급호퍼(38)의 내부에 투입저장된 비료가 공급량조절판(18b)에 의해 일정량씩 조절된 상태에서 각 비료공급롤러(37)의 비료삽입홈(42)에 삽입되어 비료가이드관(41)을 거치면서 써레판(48)에 의해 형성되는 지면위의 비료파종골에 분산 살포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써레판(48)은 도 1, 5, 6,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료살포부(33)의 하부에 위치되며 이앙기(2)의 후방 하부에 연결장착되어 지면을 정지작업하면서 배수골을 형성하고 비료가 살포되는 위치마다 비료파종골을 형성하면서 비료가 살포된 부분을 복토처리하는 부분으로,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있는 상태로 이앙기(2)가 진행되는 방향의 지면을 1차적으로 정지(整地)작업하는 경사판(49)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경사판(49)의 상면부에는 한쌍의 연결편(50)이 일정간격으로 복수개 용접부착되어 있어 상기 연결편(50)과 이앙기(2)의 후방프레임(51) 하단부에 돌출형성된 연결구(52)가 통상의 볼트나 고정핀 등으로 체결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경사판(49)의 하부끝단에는 수평방향으로 용접부착된 하부정지판(53)이 일체로 구비되어 있고 상기 하부정지판(53)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끝단이 종자파종골형성부(19)의 종자파종골형성판(21)보다 전방에 위치되도록 되어 있으며 하부정지판(53)의 후방끝부분에는 도 5,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일정간격으로 복수개의 비료투입관(54)이 관통 개재(介在)되어 있어 각 비료가이드관(41)의 하부에 연결설치되는 하부연결관(47)으로부터의 비료가 비료투입관(54)을 통해 비료파종골이 형성되는 지면위에 분산 살포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복수개의 비료투입관(54)은 상하부 및 후방이 개구된 관형상으로 비료살포부(33)의 각 비료공급롤러(37)가 설치된 부분의 수직하방에 위치되어 있는 하부정지판(53)에 각각 관통 개재(介在)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부는 하부정지판(53)의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부연결관(47)의 하부가 연결되도록 되어 있고 하부는 하부정지판(53)의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정지판(53)에서 각 비료투입관(54)이 설치된 부분의 하면부 전방에는 각각 전방끝단이 뾰족하게 형성된 비료파종골형성판(55)이 고정부착되어 있어 상기 비료파종골형성판(55)에 의해 지면위에 비료파종골이 형성되면서 비료투입관(54)을 통해 투입되는 일정량의 비료가 비료투입관(54)의 개구된 하부 및 후방을 통해 비료파종골에 분산 살포되면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줄로 점파된 종자 사이의 중앙부분을 따라 비료가 전후 일렬로 고르게 분산 살포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부정지판(53)은 각 비료투입관(54)이 관통 개재된 부분의 좌우양측에 각각 제1비료복토판(56)과 제2비료복토판(57)이 설치되어 있어 비료가 살포된 비료파종골 부근의 토양을 좌우양측에서 긁어 모아 1,2차로 중복되게 복토하여 가루성분으로 된 비료가 바람에 날려 유실되지 않도록 되어 있되, 상기 하부정지판(53)에서 각 비료투입관(54)이 설치된 부분의 좌우양측 상면부에는 도 5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수직으로 세워진 좌우측 측면판(58)이 전후방향으로 일체로 고정부착되어 있고 좌측 측면판(58)의 후방끝부분에는 제1비료복토판(56)이 연결축(59)에 의해 힌지식으로 연결되며 우측 측면판(58)의 후방끝부분에는 제2비료복토판(57)이 연결축(59)에 의해 힌지식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2비료복토판(56)(57)은 하부정지판(53)의 후방외측으로 하향경사지게 돌출설치되며 전방에는 호형상의 각도조절홈(6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도조절홈(60)에는 나비볼트(61)가 관통되면서 측면판(58)에 나사체결되도록 되어 있어 농경지의 토질에 따라 나비볼트(61)를 푼 상태에서 제1,2비료복토판(56)(57)을 각각 연결축(59)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일정각도로 조절한 후 나비볼트(61)를 조여 제1,2비료복토판(56)(57)을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2비료복토판(56)(57)은 후방끝부분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일정각도로 절곡형성되어 있고 제1비료복토판(56)의 길이가 제2비료복토판(57)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어 비료파종골 위로 분산살포된 비료를 비료투입관(54)의 후방에 위치된 제1,2비료복토판(56)(57)이 하부정지판(53)의 견인에 따라 지면을 끌면서 주위의 토양을 모아 제1비료복토판(56)이 1차 복토하고 다시 제2비료복토판(57)이 2차 복토하여 입자상태의 가루성분으로 된 비료가 고르게 복토처리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부정지판(53)은 비료투입관(54) 사이의 하면부에 하나 또는 복수개의 배수골형성판(62)이 하방으로 일정길이 돌출된 상태로 고정부착되어 있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복수개의 비료파종골 사이에 배수골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경사판(49)은 좌우양측면에 각각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측면가이드판(63)이 구비되어 있되 상기 각 측면가이드판(63)은 경사판(49)의 좌우양측면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측면연결판(64)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어 있어 상기 경사판(49)에 의해 정지(整地)작업되면서 발생되는 지면의 진흙이나 물 등을 상기 측면가이드판(63)이 막아줌으로써 써레판(48)의 양측면 외측으로 진흙이나 물 등이 넘쳐흘러 옆쪽의 지면에 이미 파종된 종자나 비료가 덮혀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부정지판(53)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8 및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비료투입관(54)이 관통 개재된 부분의 좌우양측에 각각 제1비료복토판(56)과 제2비료복토판(57)이 토션스프링(65)에 의해 탄성지지되게 설치되면서 제1,2비료복토판(56)(57)의 후방은 하부정지판(53)의 후방외측으로 하향경사지게 돌출설치되어 비료가 살포된 비료파종골 부근의 토양을 좌우양측에서 긁어 모아 1,2차로 중복되게 복토하여 가루성분으로 된 비료가 바람에 날려 유실되지 않도록 되어 있되, 상기 하부정지판(53)에서 각 비료투입관(54)이 설치된 부분의 좌우양측 상면부에는 도 8 및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수직으로 세워진 좌우측 측면판(58)이 전후방향으로 일체로 고정부착되어 있고 좌측 측면판(58)의 후방끝부분에는 제1비료복토판(56)이 연결축(59)에 의해 힌지식으로 연결되며 우측 측면판(58)의 후방끝부분에는 제2비료복토판(57)이 연결축(59)에 의해 힌지식으로 연결되어 있고, 각 연결축(59)의 가운데부분에는 토션스프링(65)이 각각 끼워져 있으며 각 토션스프링(65)의 일단은 좌우측 측면판(58)에 연결되고 각 토션스프링(65)의 타단은 제1,2비료복토판(56)(57)에 연결되어 제1,2비료복토판(56)(57)이 토션스프링(65)에 의해 하방으로 일정한 힘으로 탄성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2비료복토판(56)(57)은 전방 외측면에 각각 조절너트(66)가 일체로 용접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조절너트(66)에는 상하방향으로 각도조절볼트(67)가 나사체결된 상태로 관통개재되어 있으며 각도조절볼트(67)의 하단면은 하부정지판(53)의 상면부에 맞닿아 지지되도록 되어 있어 각도조절볼트(67)를 풀거나 조임에 따라 상기 조절너트(66)의 하방으로 돌출되는 각도조절볼트(67)의 길이가 변화되면서 연결축(59)을 중심으로 제1,2비료복토판(56)(57)의 경사각도가 조절되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이앙기용 시비겸용점파기(1)를 사용하여 농경지에 종자를 일정간격으로 점파하면서 동시에 상기 종자가 점파된 부분 사이마다 일정간격으로 비료를 고르게 분산살포하고 비료가 살포된 부분에 복토처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앙기(2)의 동력부에서 전달된 동력에 의해 이앙기(2)의 지지프레임(4)에 구비된 회전축(14)이 회전되고 상기 회전축(14)에 체인이나 벨트 등의 구동수단(15a)으로 연결된 종자점파부(3)의 구동축(7a)(7b)이 회전구동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축(7a)(7b)과 체인이나 벨트 등의 구동수단(15b)으로 연결된 비료살포부(33)의 피동축(35a)(35b)이 구동축(7a)(7b)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구동축(7a)(7b)에 일정간격으로 축설된 복수개의 종자공급롤러(11)와 상기 복수개의 종자공급롤러(11) 사이의 피동축(35a)(35b)에 일정간격으로 축설된 복수개의 비료공급롤러(37)가 함께 회전구동되는데, 상기 각 종자공급롤러(11)의 회전에 따라 각 종자공급호퍼(12)에 저장되어 있는 종자가 종자공급롤러(11)의 원주둘레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종자삽입홈(16)에 일정수량 채워지면서 각 종자공급롤러(11)의 하부에 장착되는 종자가이드관(13)을 통해 수직하방으로 점파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각 비료공급롤러(37)의 회전에 따라 각 비료공급호퍼(38)에 저장되어 있는 비료가 비료공급롤러(37)의 원주둘레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비료삽입홈(42)에 일정량 채워지면서 각 비료공급롤러(37)의 하부에 장착되는 비료가이드관(41)으로 보내지되, 도 1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료가이드관(41)의 하부수납부(43) 전방 하부에 일측끝단이 관통개재된 에어토출호스(40)가 이앙기(2)의 후방 상부에 설치된 하나 또는 복수개의 브로워(39)의 에어공급덕트(45)로부터 에어를 공급받아 비료가이드관(41) 내부에 에어를 토출하면서 상기 각 비료공급롤러(37)의 비료삽입홈(42)에 삽입된 비료가 하부로 떨어지는 과정에서 에어토출호스(40)로부터의 에어에 의해 덩어리로 뭉쳐진 상태로 떨어지지 않고 골고루 분산된 상태로 각각의 비료가이드관(41) 내부를 통해 하방으로 분산 살포되며, 상기 각 비료가이드관(41)의 하부에 끼움결합된 하부연결관(47)을 통해 써레판(48)의 하부정지판(53) 후방끝부분에 좌우 일정간격으로 관통 개재된 비료투입관(54)을 거쳐 지면위에 고르게 분산 살포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종자점파 및 비료살포시 종자파종골형성부(19)에 구비된 복수개의 종자파종골형성판(21)이 이앙기(2)의 이동에 따라 각 종자공급롤러(11)의 하방에서 지면위를 지나가면서 복수개의 종자파종골을 형성하여 상기 종자파종골을 따라 각 종자공급롤러(11)로부터 일정량의 종자가 일정간격으로 점파되어 종자와 지면의 접착율을 높이게 되며, 또한 복수개의 종자파종골형성판(21)이 각각 베이스틀(20)의 하부에 고정부착된 한쌍의 체결편(25) 사이에 힌지축(27)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로 탄성스프링(28)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면서 탄성지지되어 지면위의 돌이나 단단하게 뭉쳐진 토양에 어느 한 곳의 종자파종골형성판(21)이 부딪치는 경우에도 다른 종자파종골형성판(21)은 안정되게 종자파종골을 형성할 뿐 아니라 단단한 돌이나 토양에 충돌시 종자파종골형성판(21)이 상방으로 들어올려지면서 충격이 완충되어 종자파종골형성판(21)이 손상되지 않게 된다.
또한, 써레판(48)에 의해 지면을 정지작업함과 동시에 하부정지판(53)의 하면부에 고정부착된 하나 또는 복수개의 배수골형성판(62)에 의해 배수골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정지판(53)에서 복수개의 비료투입관(54)이 관통개재된 부분의 하면부 전방에 각각 고정부착되어 있는 비료파종골형성판(55)에 의해 지면위에 비료파종골이 형성되면서 곧바로 비료공급롤러(37)로부터의 비료가 비료가이드관(41)과 하부연결관(47)과 비료투입관(54)을 통해 지면위로 분산 살포되도록 하여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줄로 점파된 종자 사이의 중앙부분에 비료가 고르게 분산 살포되도록 하며, 도 1 및 5, 6,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료투입관(54)을 통해 비료파종골 위로 분산 살포된 비료를 상기 하부정지판(53)에서 각 비료투입관(54)이 관통 개재된 부분의 좌우양측에 하부정지판(53)의 후방 외측으로 하향경사지게 돌출설치된 제1,2비료복토판(56)(57)이 하부정지판(53)의 견인에 따라 지면을 끌면서 주위의 토양을 좌우양측에서 모아 1,2차로 중복되게 차례로 복토하여 입자상태의 가루성분으로 된 비료가 바람에 날려 외부로 유실되지 않게 한다.
1. 이앙기용 종자점파 및 비료살포기 2. 이앙기
3. 종자점파부 4. 지지프레임
5a, 5b. 받침대 6. 본체프레임
7a, 7b. 구동축 8. 구동스프라켓
9. 연동스프라켓 10a, 10b. 레디얼베어링
11. 종자공급롤러 12. 종자공급호퍼
13. 종자가이드관 14. 회전축
15a, 15b. 구동수단 16. 종자삽입홈
17a, 17b. 하부고정판 18a, 18b. 공급량조절판
19. 종자파종골형성부 20. 베이스틀
21. 종자파종골형성판 22. 장착바
23. 종자파종골형성홈 24. 상부연장판
25. 체결편 26. 돌출편
27. 힌지축 28. 탄성스프링
29. 체결공 30. 받침판
31. 너트 32. 조절볼트
33. 비료살포부 34. 베이스프레임
35a, 35b. 피동축 36. 피동스프라켓
37. 비료공급롤러 38. 비료공급호퍼
39. 브로워 40. 에어토출호스
41. 비료가이드관 42. 비료삽입홈
43. 하부수납부 44. 투입구
45. 에어공급덕트 46. 연결브라켓
47. 하부연결관 48. 써레판
49. 경사판 50. 연결편
51. 후방프레임 52. 연결구
53. 하부정지판 54. 비료투입관
55. 비료파종골형성판 56. 제1비료복토판
57. 제2비료복토판 58. 측면판
59. 연결축 60. 각도조절홈
61. 나비볼트 62. 배수골형성판
63. 측면가이드판 64. 측면연결판
65. 토션스프링 66. 조절너트
67. 각도조절볼트

Claims (11)

  1. 이앙기(2)의 후방 상부에 설치되면서 이앙기(2)의 동력부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구동축(7a)(7b)이 회전되고 구동축(7a)(7b)에 일정간격으로 축설된 복수개의 종자공급롤러(11)가 상부에 구비된 각 종자공급호퍼(12)로부터 종자를 공급받아 하부로 일정량씩 점파하는 종자점파부(3)와, 수직으로 세워진 좌우로 긴 장방형의 사각틀형상으로 종자점파부(3)의 전방에 설치되는 베이스틀(20)이 구비되고 베이스틀(20)의 상부 좌우양측에는 각각 내측 하방으로 장착바(22)가 돌출형성되어 있어 장착바(22)가 이앙기(2) 후방의 지지프레임(4) 상부에 올려진 상태로 고정설치되며 베이스틀(20)의 하부에는 복수개의 종자공급롤러(11)와 각각 전후로 나란하게 대응되도록 복수개의 종자파종골형성판(21)이 좌우일정간격으로 설치되고 각 종자파종골형성판(21)은 베이스틀(20)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 상태로 탄성스프링(28)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면서 탄성지지되게 설치되어 종자가 점파되는 위치마다 지면위에 종자파종골을 형성하는 종자파종골형성부(19)와, 상기 종자점파부(3)의 전방에 구동축(7a)(7b)과 구동수단(15b)으로 연결되어 함께 회전되는 피동축(35a)(35b)이 구비되며 피동축(35a)(35b)에 일정간격으로 축설된 복수개의 비료공급롤러(37)가 상부에 구비된 각 비료공급호퍼(38)로부터 비료를 공급받아 하부로 일정량씩 분산살포하는 비료살포부(33)와, 경사판(49)과 하부정지판(53)으로 이루어지고 이앙기(2)의 후방 하부에 연결장착되어 지면을 정지작업하면서 배수골을 형성하며 비료가 살포되는 위치마다 비료파종골을 형성하고 복토처리하는 써레판(48)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용 시비겸용점파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종자파종골형성판(21)은 전방으로 상향경사진 상태로 후방에는 하부쪽으로 골곡진 종자파종골형성홈(23)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전방으로 상향경사진 상태로 상부가 전후수평방향으로 절곡된 상부연장판(24)이 일체로 고정부착되며 상부연장판(24)은 베이스틀(20)의 하부에 고정부착된 한쌍의 체결편(25) 사이에 전후방향으로 위치되면서 상부연장판(24)의 끝부분 좌우양측에 고정부착된 돌출편(26)이 개재된 상태로 한쌍의 체결편(25)과 돌출편(26)을 힌지축(27)이 관통개재되어 힌지축(27)을 중심으로 종자파종골형성판(21)이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힌지축(27)에는 탄성스프링(28)이 끼워진 상태로 탄성스프링(28)의 일단은 상부연장판(24)의 상면부에 탄성지지되며 탄성스프링(28)의 타단은 체결편(25)의 상부에 전후 일정간격으로 천공된 복수개의 체결공(29) 중 어느 한곳에 탄성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용 시비겸용점파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체결편(25)은 하면부에 받침판(30)이 일체로 고정부착되어 있고 상기 받침판(30)은 상부연장판(24)과 상하 일정간격 이격된 하부에 위치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연장판(24)에는 너트(31)가 매설되어 있어 너트(31)에 조절볼트(32)가 나사체결식으로 결합되면서 조절볼트(32)의 하단부가 너트(31)를 관통하여 받침판(30) 위에 맞닿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조절볼트(32)를 풀거나 조임에 따라 상부연장판(24)의 경사각이 조절되어 상부연장판(24) 하부에 연결된 종자파종골형성판(21)의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용 시비겸용점파기.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정지판(53)은 후방끝부분에 좌우 일정간격으로 관통 개재된 각 비료투입관(54)의 좌우양측에 제1비료복토판(56)과 제2비료복토판(57)이 설치되어 있어 비료가 살포된 비료파종골을 좌우양측에서 모아 1,2차로 중복되게 복토하되, 상기 하부정지판(53)에서 각 비료투입관(54)이 설치된 부분의 좌우양측 상면부에는 각각 수직으로 세워진 좌우측 측면판(58)이 전후방향으로 고정부착되고 좌측 측면판(58)의 후방끝부분에는 제1비료복토판(56)이 연결축(59)에 의해 힌지식으로 연결되며 우측 측면판(58)의 후방끝부분에는 제2비료복토판(57)이 연결축(59)에 의해 힌지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2비료복토판(56)(57)은 하부정지판(53)의 후방외측으로 하향경사지게 돌출설치되며 전방에는 호형상의 각도조절홈(60)이 형성되고 각도조절홈(60)에는 나비볼트(61)가 관통되면서 측면판(58)에 나사체결식으로 관통개재되어 각도조절된 제1,2비료복토판(56)(57)을 고정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용 시비겸용점파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정지판(53)은 후방끝단이 종자파종골형성부(19)의 종자파종골형성판(21)보다 전방에 위치되며 하부정지판(53)의 후방끝부분에는 좌우일정간격으로 복수개의 비료투입관(54)이 관통 개재되어 있어 각 비료가이드관(41)의 하부에 연결설치되는 하부연결관(47)의 하부가 비료투입관(54) 상부에 연결장착되고, 상기 하부정지판(53)에서 각 비료투입관(54)이 설치된 부분의 하면부 전방에는 각각 전방끝단이 뾰족하게 형성된 비료파종골형성판(55)이 고정부착되어 있어 비료파종골형성판(55)에 의해 지면위에 비료파종골이 형성되면서 비료투입관(54)을 통해 투입되는 일정량의 비료가 비료투입관(54)의 개구된 하부 및 후방을 통해 비료파종골에 분산 살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용 시비겸용점파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비료복토판(56)(57)은 후방끝부분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일정각도로 절곡형성되어 있고 제1비료복토판(56)의 길이가 제2비료복토판(57)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용 시비겸용점파기.
  8. 이앙기(2)의 후방 상부에 설치되면서 이앙기(2)의 동력부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구동축(7a)(7b)이 회전되고 상기 구동축(7a)(7b)에 일정간격으로 축설된 복수개의 종자공급롤러(11)가 상부에 구비된 각 종자공급호퍼(12)로부터 종자를 공급받아 하부로 일정량씩 점파하는 종자점파부(3)와, 상기 종자점파부(3)의 전방에 구동축(7a)(7b)과 구동수단(15b)으로 연결되어 함께 회전되는 피동축(35a)(35b)이 구비되며 상기 피동축(35a)(35b)에 일정간격으로 축설된 복수개의 비료공급롤러(37)가 상부에 구비된 각 비료공급호퍼(38)로부터 비료를 공급받아 하부로 일정량씩 분산살포하는 비료살포부(33)와, 경사판(49)과 하부정지판(53)으로 이루어지고 이앙기(2)의 후방 하부에 연결장착되어 지면을 정지작업하면서 배수골을 형성하며 비료가 살포되는 위치마다 비료파종골을 형성하고 복토처리하는 써레판(48)으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정지판(53)은 후방끝부분에 좌우일정간격으로 비료투입관(54)이 관통개재되고 각 비료투입관(54)의 좌우양측에는 제1비료복토판(56)과 제2비료복토판(57)이 설치되어 있되, 상기 제1,2비료복토판(56)(57)은 하부정지판(53)의 후방외측으로 하향경사지게 돌출설치되고 상기 제1,2비료복토판(56)(57)의 후방끝부분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일정각도로 절곡형성되어 있으며 제1비료복토판(56)의 길이가 제2비료복토판(57)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용 시비겸용점파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정지판(53)은 각 비료투입관(54)이 설치된 부분의 좌우양측 상면부에 각각 수직으로 세워진 좌우측 측면판(58)이 전후방향으로 고정부착되어 있고 좌측 측면판(58)의 후방끝부분에는 제1비료복토판(56)이 연결축(59)에 의해 힌지식으로 연결되며 우측 측면판(58)의 후방끝부분에는 제2비료복토판(57)이 연결축(59)에 의해 힌지식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2비료복토판(56)(57)은 전방에 호형상의 각도조절홈(6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도조절홈(60)에는 나비볼트(61)가 관통되면서 측면판(58)에 나사체결식으로 관통개재되어 각도조절된 제1,2비료복토판(56)(57)을 고정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용 시비겸용점파기.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정지판(53)은 각 비료투입관(54)이 설치된 부분의 좌우양측 상면부에 각각 수직으로 세워진 좌우측 측면판(58)이 전후방향으로 고정부착되어 있고 좌측 측면판(58)의 후방끝부분에는 제1비료복토판(56)이 연결축(59)에 의해 힌지식으로 연결되며 우측 측면판(58)의 후방끝부분에는 제2비료복토판(57)이 연결축(59)에 의해 힌지식으로 연결되어 있고, 각 연결축(59)에는 토션스프링(65)이 각각 끼워져 있으며 각 토션스프링(65)의 일단은 좌우측 측면판(58)에 연결되고 각 토션스프링(65)의 타단은 제1,2비료복토판(56)(57)에 연결되어 제1,2비료복토판(56)(57)의 후방이 토션스프링(65)에 의해 하방으로 탄성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용 시비겸용점파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비료복토판(56)(57)은 전방 외측면에 각각 조절너트(66)가 용접부착되고 상기 조절너트(66)에는 상하방향으로 각도조절볼트(67)가 나사체결된 상태로 관통개재되어 있으며 각도조절볼트(67)의 하단면은 하부정지판(53)의 상면부에 맞닿아 지지되도록 되어 있어 각도조절볼트(67)를 풀거나 조임에 따라 연결축(59)을 중심으로 제1,2비료복토판(56)(57)의 경사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용 시비겸용점파기.
KR1020130029131A 2013-01-15 2013-03-19 이앙기용 시비겸용점파기 KR1015147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4505 2013-01-15
KR20130004505 2013-01-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2188A KR20140092188A (ko) 2014-07-23
KR101514780B1 true KR101514780B1 (ko) 2015-04-23

Family

ID=51739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9131A KR101514780B1 (ko) 2013-01-15 2013-03-19 이앙기용 시비겸용점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47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53594A (zh) * 2018-04-18 2018-08-03 山东省农业科学院生物技术研究中心 一种平种花生分层施肥播种机
CN116076178A (zh) * 2022-12-26 2023-05-09 贵州农业职业学院 一种农业机械的平土播种施肥装置
CN116420483B (zh) * 2023-04-21 2024-01-09 塔里木大学 一种内置下料轨双层均匀投放的排肥机
CN117480903B (zh) * 2023-12-28 2024-04-09 淄博市农业科学研究院 一种小麦穗行开沟装置
CN117546663B (zh) * 2024-01-12 2024-03-29 安徽省农业科学院园艺研究所 一种甜瓜种植用挖坑施肥装置
CN117643213B (zh) * 2024-01-25 2024-04-05 海诚人居环境建设(云南)集团有限公司 一种人工湿地水生植物栽种装置
CN117678385B (zh) * 2024-02-02 2024-04-12 安徽农业大学 一种农业多地形施肥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3636Y1 (ko) * 2004-07-19 2004-10-02 전형기 건답직파기의 파종골형성장치
KR200461002Y1 (ko) 2009-08-24 2012-06-21 전형기 이앙기용 종자 및 비료점파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3636Y1 (ko) * 2004-07-19 2004-10-02 전형기 건답직파기의 파종골형성장치
KR200461002Y1 (ko) 2009-08-24 2012-06-21 전형기 이앙기용 종자 및 비료점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2188A (ko) 2014-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4780B1 (ko) 이앙기용 시비겸용점파기
RU190018U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посевной агрегат
US20240032448A1 (en) Tilling apparatus
RU190286U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посевной агрегат
CN210381833U (zh) 一种综合播种装置
KR200471849Y1 (ko) 이앙기용 종자점파 및 비료살포기
RU190288U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посевной агрегат
RU190283U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посевной агрегат
RU190876U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посевной агрегат
KR102003266B1 (ko) 비료를 균형살포할 수 있는 줄뿌림 비료살포기
US11963484B2 (en) Covering soil mulching apparatus having soil clogging prevention function
CN108781639A (zh) 一种定向播种机的轮式投送结构
KR101727638B1 (ko) 관리기 부착형 파종장치
KR200461002Y1 (ko) 이앙기용 종자 및 비료점파기
RU190304U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посевной агрегат
KR100740046B1 (ko) 유기질·부산물 퇴비의 두둑 줄 뿌림 장치
RU190025U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посевной агрегат
KR20190021109A (ko) 줄뿌림 비료살포기
KR100740044B1 (ko) 비료의 두둑 줄 뿌림 장치
KR20160150133A (ko) 파종모니터링이 가능한 이앙기용 종자점파기
RU190284U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посевной агрегат
RU190969U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посевной агрегат
JP2002369608A (ja) 畝立て局所散布機
RU190874U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посевной агрегат
RU190285U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посевной агрега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