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2170B1 - 파종기용 복토장치 - Google Patents

파종기용 복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2170B1
KR101592170B1 KR1020150145050A KR20150145050A KR101592170B1 KR 101592170 B1 KR101592170 B1 KR 101592170B1 KR 1020150145050 A KR1020150145050 A KR 1020150145050A KR 20150145050 A KR20150145050 A KR 20150145050A KR 101592170 B1 KR101592170 B1 KR 101592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hopper
shaft
support
low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5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진섭
구기현
Original Assignee
구진섭
구기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진섭, 구기현 filed Critical 구진섭
Priority to KR1020150145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21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2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2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5/00Making or covering furrows or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 A01C5/06Machines for making or covering drills or furrows for sowing or planting
    • A01C5/066Devices for covering drills or furrow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종기용 복토장치에 관한 것으로 씨앗파종용 파종기의 이송레일 상에 구비되어 흙을 육묘상자로 공급하기 위해 구비되는 파종기용 복토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레일 상에 다수개가 구비되어 상부로 육묘상자를 이송하도록 구비되며, 각각은 이송체인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동작되는 이송롤러와, 상기 이송레일의 상부에 구비되며, 내측에는 흙이 수용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호퍼와, 상기 호퍼의 전방에 연결 구비되며, 내측에는 모터가 수용되고, 일측에는 모터와 연결되어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공급기어가 구비되며, 전방에는 모터와 연결되어 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속도조절부가 구비되고, 속도조절부의 일측에는 모터의 작동을 on/off 시키도록 하는 작동스위치가 구비되는 제어부와, 상기 호퍼의 내측에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된 원통형의 축으로 형성 구비되어 호퍼로 공급되는 흙을 교반하도록 구비되며, 외주면에는 서로 이격되어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교반날이 형성되고, 교반날의 단부에는 연장 절곡된 교반날개가 형성되는 제1교반구와, 상기 호퍼의 일측에 구비됨과 아울러 제1교반구와 연결되며, 제어부의 공급기어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제1기어와, 상기 제1교반구의 하부에 이격 구비되며,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된 원통형의 축으로 형성 구비되어 호퍼로 공급되는 흙을 교반하도록 구비되며, 외주면에는 원판형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교반판이 축 상에서 기울어지게 구비되는 제2교반구와, 상기 호퍼의 일측에 구비됨과 아울러 제1교반구와 연결되며, 제어부의 공급기어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제2기어와, 상기 제어부의 공급기어 및 제1기어, 제2기어와 연결되어 구비되는 체인과, 상기 호퍼의 내측 후방 하부에 한 쌍이 축 회전 가능하도록 서로 이격 구비되며, 각각은 상부에 기어가 형성된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각각은 전방이 서로 연장되어 연결되는 출구개폐판이 형성되며, 출구개폐판의 하부에는 브러쉬가 형성되는 회전기어와, 상기 호퍼의 내측 후방 하부에 구비되며, 회전기어의 기어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조절기어가 형성되어 회전기어를 축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고, 조절기어는 외측으로 연장되어 호퍼의 외면에서 손으로 파지하여 조절기어를 회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조절레버와, 상기 호퍼의 하부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각각의 상부는 호퍼와 연결됨과 아울러 하부가 이송레일의 상부에 각각 연결 고정되어 호퍼를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지지구와, 상기 호퍼의 하부 지지구 내측에 서로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격되어 축 회전 가능하도록 제1축 및 제2축이 각각 구비되며, 제1축 및 제2축의 외면에는 벨트가 연결 구비되는 컨베이어와, 상기 지지구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각각은 컨베이어의 제1축 양측에 각각 연결되어 제1축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비되는 장력조절구와, 상기 지지구의 내측에 축 연결되어 구비되며, 타측에는 지지구의 외측으로 상향 연장되는 핸들레버와, 상기 지지구의 일측에 구비되며, 핸들레버의 일측에 연결되어 핸들레버의 조작에 의해 회동되는 회동판과, 상기 이송롤러의 일측에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하부가 이송롤러에 축 연결 구비되며, 일측 하부에는 이송롤러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이송기어가 구비되고, 상부에는 타측에서 일측으로 적층되는 한 쌍의 피동기어가 구비되며, 이송기어 및 일측의 피동기어에는 회전력을 전달하는 피동체인이 연결되는 연결대와, 상기 회동판 및 연결대의 상부와 양측이 각각 연결되어 회동판의 움직임에 따라 연결대의 상부를 전후방으로 움직이도록 구비되는 회동대와, 상기 연결대의 타측 피동기어에 대응되게 지지구의 일측에 구비되며, 연결대의 타측 피동기어의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구비되는 연결기어와, 상기 지지구의 일측에 구비되며, 컨베이어의 제2축과 연결되고, 연결기어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연결기어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컨베이어가 구동되도록 하는 컨베이어기어와, 상기 지지구의 내측 후방에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며, 후방 경사지게 구비되고, 하부에는 육묘상자에 복토된 흙의 상부를 정리하도록 합성수지재의 정리브러쉬가 구비되는 정리판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파종기용 복토장치{Soil covering apparatus for sowing seed}
본 발명은 파종기용 복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파종기에 사용되는 복토장치에서 육묘상자로 흙을 공급할 시에 공급되는 흙의 양을 용이하게 조절하여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토장치에 공급된 흙을 용이하게 교반 할 수 있음과 아울러 파종기에 육묘상자가 공급되지 않거나 파종기에 이상이 발생하였을 시에는 복토장치에서 육묘상자로 공급되는 흙을 용이하게 중단할 수 있도록 하는 파종기용 복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벼나 밭작물을 경작하기 위해 육묘상자를 이용하여 씨앗의 초기 육묘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육묘상자에 씨앗을 뿌리기 전에 육묘상자에 흙을 공급하는 작업을 하게 되고, 그 이후 씨앗을 뿌린 다음 다시 씨앗을 상부에 흙을 공급하여 씨앗을 덮는 작업을 하게 된다.
이때, 육묘상자에 흙을 공급하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상부에 흙을 보관할 수 있는 호퍼를 구비하고, 호퍼를 통해 배출되는 흙을 이송시키기 위해 이송벨트를 구비하며, 그 하부에 육묘상자가 이동되는 구조로 복토장치를 구현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로는 파종용 흙공급장치의 호퍼 배출부측에 설치되는 흙이송롤러와, 흙이송롤러의 하부에서 이동되는 육묘상자 사이에 구비되어 흙이송롤러에서 육묘상자로 공급되는 흙이 육묘상자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흙이탈방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흙이송롤러의 회전축이 설치되는 양 측면프레임의 내측에 마주하게 고정판이 수직 고정설치되고, 고정판의 하부측에 양 측면프레임의 중심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경사판이 연장 형성되어 흙이송롤러의 양측부에서 낙하하는 흙이 경사판에 접촉 되어지는 한 쌍의 상부 흙이탈방지구와, 상기 한 쌍의 상부 흙이탈방지구 하부측의 측면프레임 상에 이격 설치되며, 양 측면프레임의 중심측으로 하향 형성된 내측 경사면에 상부측이 접촉되게 탄력판이 구비되어 흙이송롤러의 양측부에서 낙하하는 흙이 탄력판에 접촉되어지고, 탄력판의 하부측에 하향 수직상태로 지지판이 연결되어 지지판의 내측면이 육묘상자의 외측면에 밀착되어지는 한 쌍의 하부 흙이탈방지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이 등록특허공보 제10-1145481호에서와 같이 공지된 바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기술은 육묘상자로 흙을 공급할 시에 공급되는 흙의 양을 조절하여 공급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호퍼에 공급된 흙을 교반 할 수 없어 흙이 뭉칠 시에는 한꺼번에 많은 흙이 육묘상자로 공급되는 문제점 또한 있는 것이었으며, 아울러 파종기에 육묘상자가 공급되지 않거나 파종기에 이상이 발생하였을 시에도 흙의 공급을 멈출 수 없는 문제점 또한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한 파종기용 복토장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114548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파종기에 사용되는 복토장치에서 육묘상자로 흙을 공급할 시에 공급되는 흙의 양을 용이하게 조절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복토장치에 공급된 흙을 용이하게 교반 할 수 있도록 하고, 파종기에 육묘상자가 공급되지 않거나 파종기에 이상이 발생하였을 시에는 복토장치에서 육묘상자로 공급되는 흙을 용이하게 중단할 수 있도록 하는 파종기용 복토장치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씨앗파종용 파종기의 이송레일 상에 구비되어 흙을 육묘상자로 공급하기 위해 구비되는 파종기용 복토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레일 상에 다수개가 구비되어 상부로 육묘상자를 이송하도록 구비되며, 각각은 이송체인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동작되는 이송롤러와, 상기 이송레일의 상부에 구비되며, 내측에는 흙이 수용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호퍼와, 상기 호퍼의 전방에 연결 구비되며, 내측에는 모터가 수용되고, 일측에는 모터와 연결되어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공급기어가 구비되며, 전방에는 모터와 연결되어 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속도조절부가 구비되고, 속도조절부의 일측에는 모터의 작동을 on/off 시키도록 하는 작동스위치가 구비되는 제어부와, 상기 호퍼의 내측에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된 원통형의 축으로 형성 구비되어 호퍼로 공급되는 흙을 교반하도록 구비되며, 외주면에는 서로 이격되어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교반날이 형성되고, 교반날의 단부에는 연장 절곡된 교반날개가 형성되는 제1교반구와, 상기 호퍼의 일측에 구비됨과 아울러 제1교반구와 연결되며, 제어부의 공급기어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제1기어와, 상기 제1교반구의 하부에 이격 구비되며,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된 원통형의 축으로 형성 구비되어 호퍼로 공급되는 흙을 교반하도록 구비되며, 외주면에는 원판형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교반판이 축 상에서 기울어지게 구비되는 제2교반구와, 상기 호퍼의 일측에 구비됨과 아울러 제1교반구와 연결되며, 제어부의 공급기어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제2기어와, 상기 제어부의 공급기어 및 제1기어, 제2기어와 연결되어 구비되는 체인과, 상기 호퍼의 내측 후방 하부에 한 쌍이 축 회전 가능하도록 서로 이격 구비되며, 각각은 상부에 기어가 형성된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각각은 전방이 서로 연장되어 연결되는 출구개폐판이 형성되며, 출구개폐판의 하부에는 브러쉬가 형성되는 회전기어와, 상기 호퍼의 내측 후방 하부에 구비되며, 회전기어의 기어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조절기어가 형성되어 회전기어를 축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고, 조절기어는 외측으로 연장되어 호퍼의 외면에서 손으로 파지하여 조절기어를 회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조절레버와, 상기 호퍼의 하부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각각의 상부는 호퍼와 연결됨과 아울러 하부가 이송레일의 상부에 각각 연결 고정되어 호퍼를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지지구와, 상기 호퍼의 하부 지지구 내측에 서로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격되어 축 회전 가능하도록 제1축 및 제2축이 각각 구비되며, 제1축 및 제2축의 외면에는 벨트가 연결 구비되는 컨베이어와, 상기 지지구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각각은 컨베이어의 제1축 양측에 각각 연결되어 제1축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비되는 장력조절구와, 상기 지지구의 내측에 축 연결되어 구비되며, 타측에는 지지구의 외측으로 상향 연장되는 핸들레버와, 상기 지지구의 일측에 구비되며, 핸들레버의 일측에 연결되어 핸들레버의 조작에 의해 회동되는 회동판과, 상기 이송롤러의 일측에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하부가 이송롤러에 축 연결 구비되며, 일측 하부에는 이송롤러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이송기어가 구비되고, 상부에는 타측에서 일측으로 적층되는 한 쌍의 피동기어가 구비되며, 이송기어 및 일측의 피동기어에는 회전력을 전달하는 피동체인이 연결되는 연결대와, 상기 회동판 및 연결대의 상부와 양측이 각각 연결되어 회동판의 움직임에 따라 연결대의 상부를 전후방으로 움직이도록 구비되는 회동대와, 상기 연결대의 타측 피동기어에 대응되게 지지구의 일측에 구비되며, 연결대의 타측 피동기어의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구비되는 연결기어와, 상기 지지구의 일측에 구비되며, 컨베이어의 제2축과 연결되고, 연결기어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연결기어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컨베이어가 구동되도록 하는 컨베이어기어와, 상기 지지구의 내측 후방에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며, 후방 경사지게 구비되고, 하부에는 육묘상자에 복토된 흙의 상부를 정리하도록 합성수지재의 정리브러쉬가 구비되는 정리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용 복토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파종기용 복토장치는 파종기에 사용되는 복토장치에서 육묘상자로 흙을 공급할 시에 공급되는 흙의 양을 용이하게 조절하여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토장치에 공급된 흙을 용이하게 교반 할 수 있음과 아울러 파종기에 육묘상자가 공급되지 않거나 파종기에 이상이 발생하였을 시에는 복토장치에서 육묘상자로 공급되는 흙을 용이하게 중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파종기용 복토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파종기용 복토장치의 후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파종기용 복토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파종기용 복토장치의 일부분단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파종기용 복토장치의 핸들레버가 동작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의한 파종기용 복토장치는 씨앗파종용 파종기의 이송레일(10) 상에 구비되어 흙을 육묘상자(11)로 공급하기 위해 구비되는 파종기용 복토장치(2)에 있어서, 상기 이송레일(10) 상에 다수개가 구비되어 상부로 육묘상자(11)를 이송하도록 구비되며, 각각은 이송체인(12)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동작되는 이송롤러(13)와, 상기 이송레일(10)의 상부에 구비되며, 내측에는 흙이 수용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호퍼(14)와, 상기 호퍼(14)의 전방에 연결 구비되며, 내측에는 모터(15)가 수용되고, 일측에는 모터(15)와 연결되어 모터(15)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공급기어(16)가 구비되는 제어부(17)와, 상기 호퍼(14)의 내측에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된 원통형의 축(18)으로 형성 구비되어 호퍼(14)로 공급되는 흙을 교반하도록 구비되며, 외주면에는 서로 이격되어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교반날(19)이 형성되는 제1교반구(20)와, 상기 호퍼(14)의 일측에 구비됨과 아울러 제1교반구(20)와 연결되며, 제어부(17)의 공급기어(16)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제1기어(21)와, 상기 제1교반구(20)의 하부에 이격 구비되며,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된 원통형의 축(22)으로 형성 구비되어 호퍼(14)로 공급되는 흙을 교반하도록 구비되며, 외주면에는 원판형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교반판(23)이 축(22) 상에서 기울어지게 구비되는 제2교반구(24)와, 상기 호퍼(14)의 일측에 구비됨과 아울러 제1교반구(20)와 연결되며, 제어부(17)의 공급기어(16)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제2기어(25)와, 상기 제어부(17)의 공급기어(16) 및 제1기어(21), 제2기어(25)와 연결되어 구비되는 체인(26)과, 상기 호퍼(14)의 내측 후방 하부에 한 쌍이 축 회전 가능하도록 서로 이격 구비되며, 각각은 상부에 기어(27)가 형성된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각각은 전방이 서로 연장되어 연결되는 출구개폐판(28)이 형성되며, 출구개폐판(28)의 하부에는 브러쉬(29)가 형성되는 회전기어(30)와, 상기 호퍼(14)의 내측 후방 하부에 구비되며, 회전기어(30)의 기어(27)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조절기어(31)가 형성되어 회전기어(30)를 축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고, 조절기어(31)는 외측으로 연장되어 호퍼(14)의 외면에서 손으로 파지하여 조절기어(31)를 회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조절레버(32)와, 상기 호퍼(14)의 하부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각각의 상부는 호퍼(14)와 연결됨과 아울러 하부가 이송레일(10)의 상부에 각각 연결 고정되어 호퍼(14)를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지지구(33)와, 상기 호퍼(14)의 하부 지지구(33) 내측에 서로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격되어 축 회전 가능하도록 제1축(34) 및 제2축(35)이 각각 구비되며, 제1축(34) 및 제2축(35)의 외면에는 벨트(36)가 연결 구비되는 컨베이어(37)와, 상기 지지구(33)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각각은 컨베이어(37)의 제1축(34) 양측에 각각 연결되어 제1축(34)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비되는 장력조절구(38)와, 상기 지지구(33)의 내측에 축(39) 연결되어 구비되며, 타측에는 지지구(33)의 외측으로 상향 연장되는 핸들레버(40)와, 상기 지지구(33)의 일측에 구비되며, 핸들레버(40)의 일측에 연결되어 핸들레버(40)의 조작에 의해 회동되는 회동판(41)과, 상기 이송롤러(13)의 일측에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하부가 이송롤러(13)에 축 연결 구비되며, 일측 하부에는 이송롤러(13)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이송기어(42)가 구비되고, 상부에는 타측에서 일측으로 적층되는 한 쌍의 피동기어(43)가 구비되며, 이송기어(42) 및 일측의 피동기어(43)에는 회전력을 전달하는 피동체인(44)이 연결되는 연결대(45)와, 상기 회동판(41) 및 연결대(45)의 상부와 양측이 각각 연결되어 회동판(41)의 움직임에 따라 연결대(45)의 상부를 전후방으로 움직이도록 구비되는 회동대(46)와, 상기 연결대(45)의 타측 피동기어(43)에 대응되게 지지구(33)의 일측에 구비되며, 연결대(45)의 타측 피동기어(43)의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구비되는 연결기어(47)와, 상기 지지구(33)의 일측에 구비되며, 컨베이어(37)의 제2축(35)과 연결되고, 연결기어(47)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연결기어(47)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컨베이어(37)가 구동되도록 하는 컨베이어기어(48)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이송레일(10) 상에 다수개가 구비되어 상부로 육묘상자(11)를 이송하도록 구비되며, 각각은 이송체인(12)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동작되는 이송롤러(13)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이송롤러(13)는 미도시된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이송체인(12)에 의해 축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이송레일(10)의 상부에 구비되며, 내측에는 흙이 수용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호퍼(14)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호퍼(14)는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며, 흙이 호퍼(14)에 내입되는 중량에 따라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호퍼(14)의 전방에 연결 구비되며, 내측에는 미도시된 모터(15)가 수용되고, 일측에는 모터(15)와 연결되어 모터(15)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공급기어(16)가 구비되는 제어부(17)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17)의 전방에는 모터(15)와 연결되어 모터(15)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속도조절부(49)가 구비됨과 아울러 모터(15)의 작동을 on/off 시키도록 하는 작동스위치(5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17)에 구비되는 속도조절부(49) 및 작동스위치(50)는 호퍼(14)에 공급되는 흙의 양이나 뭉침 정도에 따라 후술 되는 제1교반구(20) 및 제2교반구(24)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거나 또는 육묘상자(11)의 공급 여하에 따라 멈추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호퍼(14)의 내측에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된 원통형의 축(18)으로 형성 구비되어 호퍼(14)로 공급되는 흙을 교반하도록 구비되며, 외주면에는 서로 이격되어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교반날(19)이 형성되는 제1교반구(2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교반구(20)의 교반날(19) 각각의 단부에는 연장 절곡된 교반날개(51)가 형성됨으로써 호퍼(14)에 공급되는 흙이 더욱 잘 교반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호퍼(14)의 일측에 구비됨과 아울러 제1교반구(20)와 연결되며, 제어부(17)의 공급기어(16)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제1기어(21)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교반구(20)의 하부에 이격 구비되며,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된 원통형의 축(22)으로 형성 구비되어 호퍼(14)로 공급되는 흙을 교반하도록 구비되며, 외주면에는 원판형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교반판(23)이 축(22) 상에서 기울어지게 구비되는 제2교반구(24)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2교반구(24)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교반판(23)은 축(22) 상에서 기울어지게 형성됨으로써 호퍼(14)에 공급된 흙이 잘 교반됨은 물론이거니와 호퍼(14)의 하부로 흙이 잘 배출되도록 하는 역할도 하는 것이다.
상기 호퍼(14)의 일측에 구비됨과 아울러 제1교반구(20)와 연결되며, 제어부(17)의 공급기어(16)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제2기어(25)가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17)의 공급기어(16) 및 제1기어(21), 제2기어(25)와 연결되어 구비되는 체인(26)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체인(26)은 공급기어(16)의 회전력을 제1기어(21) 및 제2기어(25)에 전달함으로써 제1교반구(20) 및 제2교반구(24)가 회전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호퍼(14)의 내측 후방 하부에 한 쌍이 축 회전 가능하도록 서로 이격 구비되며, 각각은 상부에 기어(27)가 형성된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각각은 전방이 서로 연장되어 연결되는 출구개폐판(28)이 형성되며, 출구개폐판(28)의 하부에는 브러쉬(29)가 형성되는 회전기어(3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회전기어(30)는 후술 되는 조절레버(32)에 의해 회전기어(30)에 형성되는 출구개폐판(28)의 브러쉬(29)가 컨베이어(37)의 벨트(36) 상에서 이격되는 거리가 조절되는 것이며, 브러쉬(29)와 컨베이어(37)의 벨트(36)가 이격된 거리에 따라서 육묘상자(11)로 공급되는 흙의 양이 용이하게 조절되는 것이다.
상기 호퍼(14)의 내측 후방 하부에 구비되며, 회전기어(30)의 기어(27)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조절기어(31)가 형성되어 회전기어(30)를 축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고, 조절기어(31)는 외측으로 연장되어 호퍼(14)의 외면에서 손으로 파지하여 조절기어(31)를 회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조절레버(32)가 구비된다.
상기 호퍼(14)의 하부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각각의 상부는 호퍼(14)와 연결됨과 아울러 하부가 이송레일(10)의 상부에 각각 연결 고정되어 호퍼(14)를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지지구(33)가 구비된다.
상기 호퍼(14)의 하부 지지구(33) 내측에 서로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격되어 축 회전 가능하도록 제1축(34) 및 제2축(35)이 각각 구비되며, 제1축(34) 및 제2축(35)의 외면에는 벨트(36)가 연결 구비되는 컨베이어(37)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구(33)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각각은 컨베이어(37)의 제1축(34) 양측에 각각 연결되어 제1축(34)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비되는 장력조절구(38)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장력조절구(38)는 컨베이어(37)의 제1축(34) 양측에 각각 연결 구비되어 벨트(36)의 장력이 약해지거나 장력이 너무 강할 시에 제1축(34)을 전후방으로 이송하여 장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지지구(33)의 내측에 축(39) 연결되어 구비되며, 타측에는 지지구(33)의 외측으로 상향 연장되는 핸들레버(4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핸들레버(40)에 형성되는 축(39)은 일측이 후술 되는 지지구(33)의 일측에 구비되는 회동판(41)과 연결되어 핸들레버(40)의 조작에 따라 회동판(41)이 축 회전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구(33)의 일측에 구비되며, 핸들레버(40)의 일측에 연결되어 핸들레버(40)의 조작에 의해 회동되는 회동판(41)이 구비된다.
상기 이송롤러(13)의 일측에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하부가 이송롤러(13)에 축 연결 구비되며, 일측 하부에는 이송롤러(13)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이송기어(42)가 구비되고, 상부에는 타측에서 일측으로 적층되는 한 쌍의 피동기어(43)가 구비되며, 이송기어(42) 및 일측의 피동기어(43)에는 회전력을 전달하는 피동체인(44)이 연결되는 연결대(45)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연결대(45)에 구비되는 한 쌍의 피동기어(43)는 각각 피동체인(44)과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음과 아울러 후술 되는 연결기어(47)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회동판(41) 및 연결대(45)의 상부와 양측이 각각 연결되어 회동판(41)의 움직임에 따라 연결대(45)의 상부를 전후방으로 움직이도록 구비되는 회동대(46)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회동대(46)는 회동판(41)과 연결되어 핸들레버(40)의 조작에 의한 움직임을 연결대(45)에 전달함으로써 핸들레버(40)의 조작에 따라 연결대(45)의 피동기어(43)가 후술 되는 연결기어(47)에 닿아 회전력을 전달하거나 또는 연결대(45)의 피동기어(43)가 후술 되는 연결기어(47)에 닿지 않도록 하여 회전력의 전달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연결대(45)의 타측 피동기어(43)에 대응되게 지지구(33)의 일측에 구비되며, 연결대(45)의 타측 피동기어(43)의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구비되는 연결기어(47)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구(33)의 일측에 구비되며, 컨베이어(37)의 제2축(35)과 연결되고, 연결기어(47)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연결기어(47)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컨베이어(37)가 구동되도록 하는 컨베이어기어(48)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컨베이어기어(48)는 핸들레버(40)의 조작에 따라 연결대(45)의 피동기어(43)가 연결기어(47)에 닿아 회전력을 전달받을 시에만 컨베이어(48)가 작동되는 것이며, 핸들레버(40)의 조작에 의해 연결대(45)의 피동기어(43)가 연결기어(47)에 닿지 않을 시에는 컨베이어(48)가 작동되지 않는 것이다.
상기 지지구(33)의 내측 후방에는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며, 후방 경사지게 구비되고, 하부에는 육묘상자(11)에 복토된 흙의 상부를 정리하도록 합성수지재의 정리브러쉬(52)를 갖는 정리판(53)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정리판(53)의 정리브러쉬(52)는 육묘상자(11)에 공급된 흙의 상부가 균일한 높이를 갖도록 함과 아울러 육묘상자(11)의 상부테두리에 남아 있을 수 있는 흙을 제거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며, 정리판(53)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다양한 높이로 제작되는 육묘상자(11)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파종기용 복토장치(2)는 파종기에 사용되는 복토장치(2)에서 육묘상자(11)로 흙을 공급할 시에 공급되는 흙의 양을 용이하게 조절하여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토장치(2)에 공급된 흙을 용이하게 교반 할 수 있음과 아울러 파종기에 육묘상자(11)가 공급되지 않거나 파종기에 이상이 발생하였을 시에는 복토장치(2)에서 육묘상자(11)로 공급되는 흙을 용이하게 중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2 : 복토장치 10 : 이송레일
11 : 육묘상자 12 : 이송체인
13 : 이송롤러 14 : 호퍼
15 : 모터 16 : 공급기어
17 : 제어부 18 : 축
19 : 교반날 20 : 제1교반구
21 : 제1기어 22 : 축
23 : 교반판 24 : 제2교반구
25 : 제2기어 26 : 체인
27 : 기어 28 : 출구개폐판
29 : 브러쉬 30 : 회전기어
31 : 조절기어 32 : 조절레버
33 : 지지구 34 : 제1축
35 : 제2축 36 : 벨트
37 : 컨베이어 38 : 장력조절구
39 : 축 40 : 핸들레버
41 : 회동판 42 : 이송기어
43 : 피동기어 44 : 피동체인
45 : 연결대 46 : 회동대
47 : 연결기어 48 : 컨베이어기어
49 : 속도조절부 50 : 작동스위치
51 : 교반날개 52 : 정리브러쉬
53 : 정리판

Claims (5)

  1. 씨앗파종용 파종기의 이송레일(10) 상에 구비되어 흙을 육묘상자(11)로 공급하기 위해 구비되는 파종기용 복토장치(2)에 있어서,
    상기 이송레일(10) 상에 다수개가 구비되어 상부로 육묘상자(11)를 이송하도록 구비되며, 각각은 이송체인(12)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동작되는 이송롤러(13);
    상기 이송레일(10)의 상부에 구비되며, 내측에는 흙이 수용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호퍼(14);
    상기 호퍼(14)의 전방에 연결 구비되며, 내측에는 모터(15)가 수용되고, 일측에는 모터(15)와 연결되어 모터(15)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공급기어(16)가 구비되는 제어부(17);
    상기 호퍼(14)의 내측에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된 원통형의 축(18)으로 형성 구비되어 호퍼(14)로 공급되는 흙을 교반하도록 구비되며, 외주면에는 서로 이격되어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교반날(19)이 형성되는 제1교반구(20);
    상기 호퍼(14)의 일측에 구비됨과 아울러 제1교반구(20)와 연결되며, 제어부(17)의 공급기어(16)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제1기어(21);
    상기 제1교반구(20)의 하부에 이격 구비되며,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된 원통형의 축(22)으로 형성 구비되어 호퍼(14)로 공급되는 흙을 교반하도록 구비되며, 외주면에는 원판형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교반판(23)이 축(22) 상에서 기울어지게 구비되는 제2교반구(24);
    상기 호퍼(14)의 일측에 구비됨과 아울러 제1교반구(20)와 연결되며, 제어부(17)의 공급기어(16)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제2기어(25);
    상기 제어부(17)의 공급기어(16) 및 제1기어(21), 제2기어(25)와 연결되어 구비되는 체인(26);
    상기 호퍼(14)의 내측 후방 하부에 한 쌍이 축 회전 가능하도록 서로 이격 구비되며, 각각은 상부에 기어(27)가 형성된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각각은 전방이 서로 연장되어 연결되는 출구개폐판(28)이 형성되며, 출구개폐판(28)의 하부에는 브러쉬(29)가 형성되는 회전기어(30);
    상기 호퍼(14)의 내측 후방 하부에 구비되며, 회전기어(30)의 기어(27)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조절기어(31)가 형성되어 회전기어(30)를 축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고, 조절기어(31)는 외측으로 연장되어 호퍼(14)의 외면에서 손으로 파지하여 조절기어(31)를 회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조절레버(32);
    상기 호퍼(14)의 하부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각각의 상부는 호퍼(14)와 연결됨과 아울러 하부가 이송레일(10)의 상부에 각각 연결 고정되어 호퍼(14)를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지지구(33);
    상기 호퍼(14)의 하부 지지구(33) 내측에 서로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격되어 축 회전 가능하도록 제1축(34) 및 제2축(35)이 각각 구비되며, 제1축(34) 및 제2축(35)의 외면에는 벨트(36)가 연결 구비되는 컨베이어(37);
    상기 지지구(33)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각각은 컨베이어(37)의 제1축(34) 양측에 각각 연결되어 제1축(34)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비되는 장력조절구(38);
    상기 지지구(33)의 내측에 축(39) 연결되어 구비되며, 타측에는 지지구(33)의 외측으로 상향 연장되는 핸들레버(40);
    상기 지지구(33)의 일측에 구비되며, 핸들레버(40)의 일측에 연결되어 핸들레버(40)의 조작에 의해 회동되는 회동판(41);
    상기 이송롤러(13)의 일측에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하부가 이송롤러(13)에 축 연결 구비되며, 일측 하부에는 이송롤러(13)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이송기어(42)가 구비되고, 상부에는 타측에서 일측으로 적층되는 한 쌍의 피동기어(43)가 구비되며, 이송기어(42) 및 일측의 피동기어(43)에는 회전력을 전달하는 피동체인(44)이 연결되는 연결대(45);
    상기 회동판(41) 및 연결대(45)의 상부와 양측이 각각 연결되어 회동판(41)의 움직임에 따라 연결대(45)의 상부를 전후방으로 움직이도록 구비되는 회동대(46);
    상기 연결대(45)의 타측 피동기어(43)에 대응되게 지지구(33)의 일측에 구비되며, 연결대(45)의 타측 피동기어(43)의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구비되는 연결기어(47);
    상기 지지구(33)의 일측에 구비되며, 컨베이어(37)의 제2축(35)과 연결되고, 연결기어(47)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연결기어(47)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컨베이어(37)가 구동되도록 하는 컨베이어기어(48)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용 복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7)의 전방에는 모터(15)와 연결되어 모터(15)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속도조절부(49)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용 복토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7)의 전방에는 모터(15)와 연결되어 모터(15)의 작동을 on/off 시키도록 하는 작동스위치(50)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용 복토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교반구(20)의 교반날(19) 각각의 단부에는 연장 절곡된 교반날개(51)가 형성되어 이루어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용 복토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33)의 내측 후방에는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며, 후방 경사지게 구비되고, 하부에는 육묘상자(11)에 복토된 흙의 상부를 정리하도록 합성수지재의 정리브러쉬(52)가 구비되는 정리판(5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용 복토장치.
KR1020150145050A 2015-10-19 2015-10-19 파종기용 복토장치 KR101592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5050A KR101592170B1 (ko) 2015-10-19 2015-10-19 파종기용 복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5050A KR101592170B1 (ko) 2015-10-19 2015-10-19 파종기용 복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2170B1 true KR101592170B1 (ko) 2016-02-05

Family

ID=55353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5050A KR101592170B1 (ko) 2015-10-19 2015-10-19 파종기용 복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2170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43473A (ko) * 2017-11-02 2017-12-29 정지현 파종기용 흙 및 종자 공급장치
CN107896598A (zh) * 2017-11-14 2018-04-13 鲁校斌 一种蔬菜种植用固体肥料施肥装置
CN109479420A (zh) * 2018-12-26 2019-03-19 武威天牧草业发展有限公司 一种苜蓿草新型播种机
CN110972613A (zh) * 2019-12-31 2020-04-10 湖北楚清渔耕农业开发有限公司 育苗用流水线
KR102243908B1 (ko) 2020-10-08 2021-04-23 구진섭 육묘상자 강제 이송장치
KR102387377B1 (ko) * 2021-10-25 2022-04-15 구진섭 파종기용 상토 공급장치
KR20220129771A (ko) * 2021-03-17 2022-09-26 유한회사 광원기계 일괄 파종장치
CN115968686A (zh) * 2022-12-27 2023-04-18 湖北尖兵农业科技服务有限公司 一种播种机用的自动覆土机构
KR102627654B1 (ko) * 2023-07-21 2024-01-24 진종서 레일 기반의 새싹채소 재배시설 및 그 시설을 이용한 새싹채소 영농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67138A (ja) 2010-02-19 2011-09-01 Kubota Corp 播種プラン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67138A (ja) 2010-02-19 2011-09-01 Kubota Corp 播種プラント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43473A (ko) * 2017-11-02 2017-12-29 정지현 파종기용 흙 및 종자 공급장치
KR101982027B1 (ko) * 2017-11-02 2019-05-24 정지현 파종기용 흙 공급장치
CN107896598A (zh) * 2017-11-14 2018-04-13 鲁校斌 一种蔬菜种植用固体肥料施肥装置
CN109479420A (zh) * 2018-12-26 2019-03-19 武威天牧草业发展有限公司 一种苜蓿草新型播种机
CN110972613A (zh) * 2019-12-31 2020-04-10 湖北楚清渔耕农业开发有限公司 育苗用流水线
KR102243908B1 (ko) 2020-10-08 2021-04-23 구진섭 육묘상자 강제 이송장치
KR20220129771A (ko) * 2021-03-17 2022-09-26 유한회사 광원기계 일괄 파종장치
KR102641168B1 (ko) * 2021-03-17 2024-02-27 유한회사 광원기계 일괄 파종장치
KR102387377B1 (ko) * 2021-10-25 2022-04-15 구진섭 파종기용 상토 공급장치
CN115968686A (zh) * 2022-12-27 2023-04-18 湖北尖兵农业科技服务有限公司 一种播种机用的自动覆土机构
CN115968686B (zh) * 2022-12-27 2024-03-26 湖南田味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播种机用的自动覆土机构
KR102627654B1 (ko) * 2023-07-21 2024-01-24 진종서 레일 기반의 새싹채소 재배시설 및 그 시설을 이용한 새싹채소 영농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2170B1 (ko) 파종기용 복토장치
JP5667582B2 (ja) 播種機
KR100912755B1 (ko) 양어 양식용 사료 급이 장치
KR101740876B1 (ko) 육묘상자 적층장치
KR101982027B1 (ko) 파종기용 흙 공급장치
KR101890552B1 (ko) 파종기용 상토 공급장치
CN205366077U (zh) 一种撒粉装置及飞行撒粉装置
KR101191465B1 (ko) 파종용 씨앗공급장치
KR200469522Y1 (ko) 육묘상자 공급기
KR101734787B1 (ko) 파종기의 컨베이어용 롤러
KR101886218B1 (ko) 육묘상자 및 이의 투입장치
KR101042773B1 (ko) 파종용 씨앗공급기
CN112189580A (zh) 一种适用于畜牧养殖的饲料定量投放装置
JP5612868B2 (ja) 播種プラント
JP6666833B2 (ja) 播種機
CN109349065A (zh) 育苗盘营养基铺设播种系统
KR101564891B1 (ko) 파종기용 레일고정장치
KR102115703B1 (ko) 조절이 용이한 파종기용 작동구
KR101566676B1 (ko) 씨앗이탈방지구를 갖는 파종용 씨앗공급장치
JP6718572B2 (ja) 播種機
KR101564893B1 (ko) 파종기의 육묘상자용 가이드장치
JP5416791B2 (ja) 土供給装置
WO2017145428A1 (ja) 育苗箱用播種機
KR101590304B1 (ko) 잔존씨앗 제거가 용이한 씨앗파종기
CN217241363U (zh) 一种藜麦专用播种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