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0552B1 - 파종기용 상토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파종기용 상토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0552B1
KR101890552B1 KR1020180048658A KR20180048658A KR101890552B1 KR 101890552 B1 KR101890552 B1 KR 101890552B1 KR 1020180048658 A KR1020180048658 A KR 1020180048658A KR 20180048658 A KR20180048658 A KR 20180048658A KR 101890552 B1 KR101890552 B1 KR 101890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belt
fixing
lower portion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8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진섭
구기현
Original Assignee
구진섭
구기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진섭, 구기현 filed Critical 구진섭
Priority to KR1020180048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05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0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05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8Broadcast seeders; Seeders depositing seeds in rows
    • A01C7/085Broadcast seed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60Apparatus for preparing growth substrates or culture med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8Devices for filling-up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Devices for setting plants or seeds in pots
    • A01G9/081Devices for filling-up po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6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So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종기용 상토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사각 프레임으로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사각 프레임으로 연결 구비됨과 아울러 일측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케이스와, 상기 경사케이스의 일측 전후방에 경사케이스가 상향 경사진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각각 대칭 구비되며, 각각에는 내측이 전후방으로 관통되는 슬라이딩가이드가 구비되고, 슬라이딩가이드의 내측에는 슬라이딩가이드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판형의 슬라이딩구가 구비되며, 슬라이딩구 및 슬라이딩가이드 사이에는 슬라이딩가이드에 관통 결합 됨과 아울러 슬라이딩구의 외측에 닿도록 구비되어 슬라이딩구를 고정하는 슬라이딩구고정볼트를 갖는 피동풀리텐션조절구와, 상기 케이스 및 경사케이스의 하부에 사각 프레임으로 연결 구비됨과 아울러 일측에는 상부로 연장되어 경사케이스의 하부에 연결되는 연결대가 구비되며, 하부에는 다수개의 바퀴가 구비되는 지지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하부가 내입 구비되며, 상하부가 개방 형성됨과 아울러 내측에 상토가 수용될 수 있도록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부에서 하부로 이격된 내측에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다수개가 서로 이격 구비됨과 아울러 각각은 전후방으로 축 연결되고 각각의 외주연에는 다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교반날을 갖는 교반축이 형성되며, 교반축의 전방에는 교반기어가 연결 구비되고, 내측 하부에는 망 형상의 거름망이 구비되는 호퍼와, 상기 호퍼의 내측에 중앙이 관통된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됨과 아울러 교반날의 상부에 이격 구비되는 걸림대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전후방으로 축설되는 이송풀리와, 상기 피동풀리텐션조절구 한 쌍 사이에 축 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피동풀리와, 상기 이송풀리 및 피동풀리의 외면을 감싸도록 연결되어 상부에서 낙하되는 상토를 이송하도록 구비되며, 외면에는 전후방으로 각각 이격되어 대칭 형성되며 각각은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외측으로 연장되는 벨트가이드가 형성되고, 벨트가이드 사이에는 각각 이격되어 판형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부가 일측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토이송대를 갖는 이송벨트와, 상기 경사케이스의 내측에 전후방으로 축설되어 다수개가 각각 이격 구비됨과 아울러 각각은 이송벨트의 내측에 구비되어 이송벨트가 하부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는 벨트내면지지롤러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 전후방에 각각 대칭 구비됨과 아울러 이송벨트의 상부에 구비되며, 각각에는 일측이 케이스와 연결됨과 아울러 타측으로 연장되는 판형의 고정대가 구비되고, 고정대 각각에는 고정대 한 쌍이 마주하는 방향에 각각 구비되며 내측에는 상하로 길게 관통된 장공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고정대가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형의 높이조절대가 구비되며, 높이조절대 각각의 하부에는 각각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하부가 이송벨트의 상부에 안착되는 누름풀리가 축설되고, 고정대 각각에는 고정대에 각각 나사 결합됨과 아울러 연장되어 높이조절대의 장공에 관통되는 고정볼트가 구비되며, 고정볼트 각각에는 고정볼트와 나사 결합되어 높이조절대를 고정하는 고정너트가 구비되고, 높이조절대의 상부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나사 결합됨과 아울러 하부가 고정볼트에 닿도록 형성되는 높이조절볼트를 갖는 벨트텐션조절구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구비되어 이송벨트의 내측을 하부로 누르도록 구비되며,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이송벨트의 내측에 구비되는 누름축이 구비되고, 누름축의 내측 외주연에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누름축 상에서 축 회전됨과 아울러 하부가 이송벨트의 내측에 닿는 누름롤러가 구비되며, 누름축의 전후방에는 각각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일측이 케이스에 고정됨과 아울러 내측에 상하로 길게 관통된 누름장공이 형성되어 누름축이 내입 관통되는 연결구가 구비되고, 연결구 각각의 상부에는 연결구가 마주하는 반대로 연장되는 판형의 연장부가 형성되며, 연장부 각각에는 연장부와 나사 결합됨과 아울러 하부로 연장되어 단부가 누름축에 닿도록 형성되는 누름볼트를 갖는 벨트누름구와, 상기 이송풀리의 전방에 구비되며, 이송풀리와 축 연결됨과 아울러 교반기어와 체인으로 연결되어 이송풀리 및 교반기어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모터와, 상기 케이스의 전방에 구비되어 모터의 회전력을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파종기용 상토 공급장치{Soil supply for seeding machine}
본 발명은 파종기용 상토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형 백에 담겨있는 상토를 작업자가 설정한 양으로 파종기에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파종기용 상토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논, 밭 등에 씨앗을 직파하여 농작물을 재배하였으나, 최근에는 작업성, 발육성, 내병성 및 내환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육묘상자에 파종하여 일정기간 생장시킨 뒤에 옮겨 심는 이식재배방법이 일반적이며, 이러한 육묘상자에 공급되는 상토는 상토제조회사로부터 톤 단위의 대형 상토백에 담겨진 상태로 구입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토제조회사로부터 구입한 상토는 상토백의 부피와 무게 때문에 파종기 직접 공급되지 못하고, 작업장 빈공간에 대형 상토백에 담겨 있는 상토를 쏟은 후에 작업자가 삽으로 퍼서 파종기에 공급하거나 작은 용기에 담아 공급하였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대형 상토백에 담겨있는 상토를 파종기에 직접 공급하지 못하고, 일단 상토백에서 쏟은 후에 작업자가 소량씩 공급하게 되므로 노동력의 소비가 많을 뿐만 아니라 파종기에 자체적으로 수납될 수 있는 상토의 양이 한정적이어서 파종작업이 중단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다수의 작업자가 계속해서 상토를 파종기에 공급해야 하였으며, 농촌사회의 인구가 감소하고 고령화된 현 농촌실정에서는 큰 문제가 아닐 수 없는 실정이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토(像土)가 담겨있는 대형 상토백이 얹혀지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을 지지하는 다리를 포함 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상부프레임 중앙에 구비되고, 하부로 내려가면서 직경이 작아지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단부에 연설되며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배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상토백의 개봉부를 통해 상토가 상기 가이드부로 유입되고, 유입된 상토는 상기 배출부를 통해 육묘상자용 파토(播土)기로 배출되는 상토배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기술이 등록특허공보 제10-0790005호에서와 같이 공지된 바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기술은 상토를 작업자가 원하는 일정한 양으로 지속 공급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상토백에서 상토가 원활히 배출되지 않을 시에는 육묘상자에 상토가 공급되지 않는 문제점 또한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한 파종기용 상토 공급장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079000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대형 백에 담겨있는 상토를 작업자가 설정한 양으로 파종기에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파종기용 상토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박스 형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사각 프레임으로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사각 프레임으로 연결 구비됨과 아울러 일측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케이스와, 상기 경사케이스의 일측 전후방에 경사케이스가 상향 경사진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각각 대칭 구비되며, 각각에는 내측이 전후방으로 관통되는 슬라이딩가이드가 구비되고, 슬라이딩가이드의 내측에는 슬라이딩가이드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판형의 슬라이딩구가 구비되며, 슬라이딩구 및 슬라이딩가이드 사이에는 슬라이딩가이드에 관통 결합 됨과 아울러 슬라이딩구의 외측에 닿도록 구비되어 슬라이딩구를 고정하는 슬라이딩구고정볼트를 갖는 피동풀리텐션조절구와, 상기 케이스 및 경사케이스의 하부에 사각 프레임으로 연결 구비됨과 아울러 일측에는 상부로 연장되어 경사케이스의 하부에 연결되는 연결대가 구비되며, 하부에는 다수개의 바퀴가 구비되는 지지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하부가 내입 구비되며, 상하부가 개방 형성됨과 아울러 내측에 상토가 수용될 수 있도록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부에서 하부로 이격된 내측에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다수개가 서로 이격 구비됨과 아울러 각각은 전후방으로 축 연결되고 각각의 외주연에는 다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교반날을 갖는 교반축이 형성되며, 교반축의 전방에는 교반기어가 연결 구비되고, 내측 하부에는 망 형상의 거름망이 구비되는 호퍼와, 상기 호퍼의 내측에 중앙이 관통된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됨과 아울러 교반날의 상부에 이격 구비되는 걸림대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전후방으로 축설되는 이송풀리와, 상기 피동풀리텐션조절구 한 쌍 사이에 축 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피동풀리와, 상기 이송풀리 및 피동풀리의 외면을 감싸도록 연결되어 상부에서 낙하되는 상토를 이송하도록 구비되며, 외면에는 전후방으로 각각 이격되어 대칭 형성되며 각각은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외측으로 연장되는 벨트가이드가 형성되고, 벨트가이드 사이에는 각각 이격되어 판형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부가 일측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토이송대를 갖는 이송벨트와, 상기 경사케이스의 내측에 전후방으로 축설되어 다수개가 각각 이격 구비됨과 아울러 각각은 이송벨트의 내측에 구비되어 이송벨트가 하부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는 벨트내면지지롤러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 전후방에 각각 대칭 구비됨과 아울러 이송벨트의 상부에 구비되며, 각각에는 일측이 케이스와 연결됨과 아울러 타측으로 연장되는 판형의 고정대가 구비되고, 고정대 각각에는 고정대 한 쌍이 마주하는 방향에 각각 구비되며 내측에는 상하로 길게 관통된 장공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고정대가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형의 높이조절대가 구비되며, 높이조절대 각각의 하부에는 각각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하부가 이송벨트의 상부에 안착되는 누름풀리가 축설되고, 고정대 각각에는 고정대에 각각 나사 결합됨과 아울러 연장되어 높이조절대의 장공에 관통되는 고정볼트가 구비되며, 고정볼트 각각에는 고정볼트와 나사 결합되어 높이조절대를 고정하는 고정너트가 구비되고, 높이조절대의 상부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나사 결합됨과 아울러 하부가 고정볼트에 닿도록 형성되는 높이조절볼트를 갖는 벨트텐션조절구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구비되어 이송벨트의 내측을 하부로 누르도록 구비되며,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이송벨트의 내측에 구비되는 누름축이 구비되고, 누름축의 내측 외주연에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누름축 상에서 축 회전됨과 아울러 하부가 이송벨트의 내측에 닿는 누름롤러가 구비되며, 누름축의 전후방에는 각각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일측이 케이스에 고정됨과 아울러 내측에 상하로 길게 관통된 누름장공이 형성되어 누름축이 내입 관통되는 연결구가 구비되고, 연결구 각각의 상부에는 연결구가 마주하는 반대로 연장되는 판형의 연장부가 형성되며, 연장부 각각에는 연장부와 나사 결합됨과 아울러 하부로 연장되어 단부가 누름축에 닿도록 형성되는 누름볼트를 갖는 벨트누름구와, 상기 이송풀리의 전방에 구비되며, 이송풀리와 축 연결됨과 아울러 교반기어와 체인으로 연결되어 이송풀리 및 교반기어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모터와, 상기 케이스의 전방에 구비되어 모터의 회전력을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제어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용 상토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파종기용 상토 공급장치는 작업자가 모터의 회전수를 제어부로 제어함으로써 상토의 양을 조절하여 파종기에 지속적으로 이송벨트를 통해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토의 뭉쳐짐으로 인해 파종기에 상토가 공급이 안되는 문제도 교반축에 형성된 교반날에 의해 상토를 분쇄하여 용이하게 공급함으로써 해결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파종기용 상토 공급장치의 개략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파종기용 상토 공급장치의 개략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송벨트의 일부분을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호퍼 및 교반축에 형성된 교반날을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벨트텐션조절구의 개략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벨트누름구의 개략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벨트내면지지롤러의 개략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벨트외면지지롤러의 개략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파종기용 상토 공급장치의 상부를 보여주는 개략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의한 파종기용 상토 공급장치(2)는 박스 형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사각 프레임으로 형성되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일측에 사각 프레임으로 연결 구비됨과 아울러 일측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케이스(12)와, 상기 경사케이스(12)의 일측 전후방에 경사케이스(12)가 상향 경사진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각각 대칭 구비되며, 각각에는 내측이 전후방으로 관통되는 슬라이딩가이드(14)가 구비되고, 슬라이딩가이드(14)의 내측에는 슬라이딩가이드(14)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판형의 슬라이딩구(16)가 구비되며, 슬라이딩구(16) 및 슬라이딩가이드(14) 사이에는 슬라이딩가이드(14)에 관통 결합 됨과 아울러 슬라이딩구(16)의 외측에 닿도록 구비되어 슬라이딩구(16)를 고정하는 슬라이딩구고정볼트(18)를 갖는 피동풀리텐션조절구(20)와, 상기 케이스(10) 및 경사케이스(12)의 하부에 사각 프레임으로 연결 구비됨과 아울러 일측에는 상부로 연장되어 경사케이스(12)의 하부에 연결되는 연결대(22)가 구비되며, 하부에는 다수개의 바퀴(24)가 구비되는 지지케이스(26)와, 상기 케이스(10)의 상부에 하부가 내입 구비되며, 상하부가 개방 형성됨과 아울러 내측에 상토가 수용될 수 있도록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부에서 하부로 이격된 내측에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다수개가 서로 이격 구비됨과 아울러 각각은 전후방으로 축 연결되고 각각의 외주연에는 다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교반날(28)을 갖는 교반축(30)이 형성되며, 교반축(30)의 전방에는 교반기어가(32) 연결 구비되고, 내측 하부에는 망 형상의 거름망(34)이 구비되는 호퍼(36)와, 상기 호퍼(36)의 내측에 중앙이 관통된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됨과 아울러 교반날(28)의 상부에 이격 구비되는 걸림대(38)와, 상기 케이스(10)의 내측에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전후방으로 축설되는 이송풀리(40)와, 상기 피동풀리텐션조절구(20) 한 쌍 사이에 축 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피동풀리(42)와, 상기 이송풀리(40) 및 피동풀리(42)의 외면을 감싸도록 연결되어 상부에서 낙하되는 상토를 이송하도록 구비되며, 외면에는 전후방으로 각각 이격되어 대칭 형성되며 각각은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외측으로 연장되는 벨트가이드(44)가 형성되고, 벨트가이드(44) 사이에는 각각 이격되어 판형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부가 일측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토이송대(46)를 갖는 이송벨트(48)와, 상기 경사케이스(12)의 내측에 전후방으로 축설되어 다수개가 각각 이격 구비됨과 아울러 각각은 이송벨트(48)의 내측에 구비되어 이송벨트(48)가 하부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는 벨트내면지지롤러(50)와, 상기 케이스(10)의 내측 전후방에 각각 대칭 구비됨과 아울러 이송벨트(48)의 상부에 구비되며, 각각에는 일측이 케이스(10)와 연결됨과 아울러 타측으로 연장되는 판형의 고정대(52)가 구비되고, 고정대(52) 각각에는 고정대(52) 한 쌍이 마주하는 방향에 각각 구비되며 내측에는 상하로 길게 관통된 장공(54)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고정대(52)가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형의 높이조절대(56)가 구비되며, 높이조절대(56) 각각의 하부에는 각각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하부가 이송벨트(48)의 상부에 안착되는 누름풀리(58)가 축설되고, 고정대(52) 각각에는 고정대(52)에 각각 나사 결합됨과 아울러 연장되어 높이조절대(56)의 장공(54)에 관통되는 고정볼트(60)가 구비되며, 고정볼트(60) 각각에는 고정볼트(60)와 나사 결합되어 높이조절대(56)를 고정하는 고정너트(62)가 구비되고, 높이조절대(56)의 상부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나사 결합됨과 아울러 하부가 고정볼트(60)에 닿도록 형성되는 높이조절볼트(64)를 갖는 벨트텐션조절구(66)와, 상기 케이스(10)의 내측에 구비되어 이송벨트(48)의 내측을 하부로 누르도록 구비되며,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이송벨트(48)의 내측에 구비되는 누름축(68)이 구비되고, 누름축(68)의 내측 외주연에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누름축(68) 상에서 축 회전됨과 아울러 하부가 이송벨트(48)의 내측에 닿는 누름롤러(70)가 구비되며, 누름축(68)의 전후방에는 각각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일측이 케이스(10)에 고정됨과 아울러 내측에 상하로 길게 관통된 누름장공(72)이 형성되어 누름축(68)이 내입 관통되는 연결구(74)가 구비되고, 연결구(74) 각각의 상부에는 연결구(74)가 마주하는 반대로 연장되는 판형의 연장부(76)가 형성되며, 연장부(76) 각각에는 연장부(76)와 나사 결합됨과 아울러 하부로 연장되어 단부가 누름축(68)에 닿도록 형성되는 누름볼트(78)를 갖는 벨트누름구(80)와, 상기 이송풀리(40)의 전방에 구비되며, 이송풀리(40)와 축 연결됨과 아울러 교반기어(32)와 체인으로 연결되어 이송풀리(40) 및 교반기어(32)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모터(82)와, 상기 케이스(10)의 전방에 구비되어 모터(82)의 회전력을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제어부(84)로 이루어진다.
먼저, 박스 형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사각 프레임으로 형성되는 케이스(1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10)는 사방이 관통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케이스(10)의 일측에 사각 프레임으로 연결 구비됨과 아울러 일측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케이스(1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경사케이스(12)는 사방이 관통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경사케이스(12)의 일측 전후방에 경사케이스(12)가 상향 경사진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각각 대칭 구비되며, 각각에는 내측이 전후방으로 관통되는 슬라이딩가이드(14)가 구비되고, 슬라이딩가이드(14)의 내측에는 슬라이딩가이드(14)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판형의 슬라이딩구(16)가 구비되며, 슬라이딩구(16) 및 슬라이딩가이드(14) 사이에는 슬라이딩가이드(14)에 관통 결합 됨과 아울러 슬라이딩구(16)의 외측에 닿도록 구비되어 슬라이딩구(16)를 고정하는 슬라이딩구고정볼트(18)를 갖는 피동풀리텐션조절구(2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피동풀리텐션조절구(20)는 후술되는 피동풀리(42)의 위치를 조절하여 이송벨트(48)에 일정한 장력이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것이며, 나사 결합되는 슬라이딩구고정볼트(18)를 조절함으로써 슬라이딩구(16)를 슬라이딩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케이스(10) 및 경사케이스(12)의 하부에 사각 프레임으로 연결 구비됨과 아울러 일측에는 상부로 연장되어 경사케이스(12)의 하부에 연결되는 연결대(22)가 구비되며, 하부에는 다수개의 바퀴(24)를 갖는 지지케이스(26)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지지케이스(26)에 구비되는 지지대(22)는 경사케이스(12)의 하부에 연결됨으로써 경사케이스(12)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되며, 하부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바퀴(24)로 인해 파종기용 상토 공급장치(2)의 이동이 용이한 것이다.
한편, 상기 케이스(10), 경사케이스(12) 및 지지케이스(26)는 사방이 관통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나 전후방에 평판형의 커버를 구비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함이 더욱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 케이스(10)의 상부에 하부가 내입 구비되며, 상하부가 개방 형성됨과 아울러 내측에 상토가 수용될 수 있도록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부에서 하부로 이격된 내측에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다수개가 서로 이격 구비됨과 아울러 각각은 전후방으로 축 연결되고 각각의 외주연에는 다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교반날(28)을 갖는 교반축(30)이 형성되며, 교반축(30)의 전방에는 교반기어가(32) 연결 구비되고, 내측 하부에는 망 형상의 거름망(34)을 갖는 호퍼(36)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호퍼(36)의 내측에는 중앙이 관통된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됨과 아울러 교반날(28)의 상부에 이격되는 걸림대(38)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걸림대(38)는 상토가 담겨진 대형 백을 지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며, 내측이 외측에 비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상토가 자연스럽게 하부로 낙하되도록 형성됨이 더욱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호퍼(36)에 형성되는 교반날(28) 및 교반축(30)은 후술되는 모터(82)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것이며, 교반날(28)로 인해 상토가 잘게 파쇄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거름망(34)은 상토의 종류 및 상토의 상태에 따라 망의 간격을 자유롭게 조절하여 사용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 케이스(10)의 내측에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전후방으로 축설되는 이송풀리(4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이송풀리(40)는 후술되는 모터(82)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것이다.
상기 피동풀리텐션조절구(20) 한 쌍 사이에 축 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피동풀리(4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피동풀리(42)는 후술되는 이송벨트(48)에 의해 이송풀리(4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것이며, 전술된 피동풀리텐션조절구(20)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것이고, 피동풀리(42)의 이동에 따라 이송벨트(48)의 장력이 조절되는 것이다.
상기 이송풀리(40) 및 피동풀리(42)의 외면을 감싸도록 연결되어 상부에서 낙하되는 상토를 이송하도록 구비되며, 외면에는 전후방으로 각각 이격되어 대칭 형성되며 각각은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외측으로 연장되는 벨트가이드(44)가 형성되고, 벨트가이드(44) 사이에는 각각 이격되어 판형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부가 일측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토이송대(46)를 갖는 이송벨트(48)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이송벨트(48)에 형성되는 벨트가이드(44)는 지그재그 형성됨으로써 이송벨트(48)가 이송풀리(40) 및 피동풀리(42) 상에서 회전될 시에 벨트가이드(44)가 원활히 늘어나 손상되지 않음과 아울러 상토가 이송벨트(48) 상에서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송벨트(48)에 형성되는 상토이송대(46)로 인해 상토가 경사케이스(12) 내측을 지나갈 때 하부로 낙하되지 않고 이송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호퍼(36)의 일측 하부 및 경사케이스(12)의 일측에는 각각 이송벨트(48) 방향으로 연장되어 이송벨트(48)에 의해 이송되는 잔여 상토를 제거하는 브러시(86)가 구비됨이 바람직한 것이며, 브러시(86)가 구비됨으로써 일정한 양의 상토 공급이 이루어짐과 아울러 이송밸트(48)의 외측으로 상토가 낙하되지 않는 것이다.
이때, 상기 브러시(86)에 의해 제거되는 잔여 상토는 이송벨트(48)의 벨트가이드(44) 상부에 안착된 상토를 말하는 것이다.
상기 케이스(10) 및 이송벨트(48)의 내측에 구비됨과 아울러 전방에서 후방으로 타측 경사지게 구비되며, 내측에는 하부로 연장되어 이송벨트(48)의 내측에 닿는 제거브러시(88)가 구비되고, 제거브러시(88)의 전후방은 각각 연장되어 케이스(10)에 고정되는 흙제거브러시(9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흙제거브러시(90)는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이송벨트(48) 내측의 이물질을 이송벨트(48)의 외측으로 배출하게 되는 것이며, 이송벨트(48)가 회전하는 힘에 의해 이물질이 흙제거브러시(90)의 경사에 따라 자연스레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 경사케이스(12)의 내측에 전후방으로 축설되어 다수개가 각각 이격 구비됨과 아울러 각각은 이송벨트(48)의 내측에 구비되어 이송벨트(48)가 하부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는 벨트내면지지롤러(50)가 구비된다.
상기 이송벨트(48)의 하부 경사케이스(12)의 내측 전후방에 각각 다수개가 이격 구비되며, 각각은 내측에 길게 관통된 지지장공(94)을 갖는 지지롤러연결판(95)이 구비되고, 지지롤러연결판(95)의 일측은 경사케이스(12)에 지지롤러고정볼트(96)에 의해 고정되며, 지지롤러연결판(95)의 타측에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지지롤러연결판(95)에 축 연결됨과 아울러 이송벨트(48)의 하부에 닿는 지지롤러(97)를 갖는 벨트외면지지롤러(98)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벨트외면지지롤러(98)의 지지롤러(97)는 이송벨트(48)에 형성되는 벨트가이드(44)의 외측을 지지하는 것이며, 이송벨트(48)가 하부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벨트외면지지롤러(98)는 지지장공(94)에 의해 이송벨트(48)를 지지하는 힘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케이스(10)의 내측 전후방에 각각 대칭 구비됨과 아울러 이송벨트(48)의 상부에 구비되며, 각각에는 일측이 케이스(10)와 연결됨과 아울러 타측으로 연장되는 판형의 고정대(52)가 구비되고, 고정대(52) 각각에는 고정대(52) 한 쌍이 마주하는 방향에 각각 구비되며 내측에는 상하로 길게 관통된 장공(54)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고정대(52)가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형의 높이조절대(56)가 구비되며, 높이조절대(56) 각각의 하부에는 각각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하부가 이송벨트(48)의 상부에 안착되는 누름풀리(58)가 축설되고, 고정대(52) 각각에는 고정대(52)에 각각 나사 결합됨과 아울러 연장되어 높이조절대(56)의 장공(54)에 관통되는 고정볼트(60)가 구비되며, 고정볼트(60) 각각에는 고정볼트(60)와 나사 결합되어 높이조절대(56)를 고정하는 고정너트(62)가 구비되고, 높이조절대(56)의 상부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나사 결합됨과 아울러 하부가 고정볼트(60)에 닿도록 형성되는 높이조절볼트(64)를 갖는 벨트텐션조절구(66)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벨트텐션조절구(66)는 도 2 및 도 5에서와 같이 이송벨트(48)의 각도를 변경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며, 높이조절대(56) 및 높이조절볼트(64)에 의해 이송벨트(48)를 누르는 압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케이스(10)의 내측에 구비되어 이송벨트(48)의 내측을 하부로 누르도록 구비되며,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이송벨트(48)의 내측에 구비되는 누름축(68)이 구비되고, 누름축(68)의 내측 외주연에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누름축(68) 상에서 축 회전됨과 아울러 하부가 이송벨트(48)의 내측에 닿는 누름롤러(70)가 구비되며, 누름축(68)의 전후방에는 각각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일측이 케이스(10)에 고정됨과 아울러 내측에 상하로 길게 관통된 누름장공(72)이 형성되어 누름축(68)이 내입 관통되는 연결구(74)가 구비되고, 연결구(74) 각각의 상부에는 연결구(74)가 마주하는 반대로 연장되는 판형의 연장부(76)가 형성되며, 연장부(76) 각각에는 연장부(76)와 나사 결합됨과 아울러 하부로 연장되어 단부가 누름축(68)에 닿도록 형성되는 누름볼트(78)를 갖는 벨트누름구(8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벨트누름구(80)는 도 2 및 도 6에서와 같이 이송벨트(48)의 각도를 변경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며, 누름장공(72) 및 누름볼트(78)에 의해 이송벨트(48)를 누르는 압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이송풀리(40)의 전방에 구비되며, 이송풀리(40)와 축 연결됨과 아울러 교반기어(32)와 체인으로 연결되어 이송풀리(40) 및 교반기어(32)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모터(82)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0)의 전방에 구비되어 모터(82)의 회전력을 제어하는 제어부(84)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84)에 의해 모터(82)의 회전 속도가 조절되는 것이며, 모터(82)의 회전 속도에 의해 상토가 공급되는 양이 용이하게 조절되는 것이다.
상기 피동풀리(42)의 일측에 이격 구비됨과 아울러 경사케이스(12)에 타측이 연결되며, 일측이 일측 방향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내측이 관통 형성되어 이송벨트(48)에 의해 이송된 상토를 외부로 배출하는 토출부(9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토출부(92)는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짧게 형성되어도 무방한 것이나 용도 및 위치에 따라 휨 또는 연장이 가능한 주름관 형태를 갖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되어도 무방한 것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파종기용 상토 공급장치(2)는 작업자가 모터(82)의 회전수를 제어부(84)로 제어함으로써 상토의 양을 조절하여 파종기에 지속적으로 이송벨트(48)를 통해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토의 뭉쳐짐으로 인해 파종기에 상토가 공급이 안되는 문제도 교반축(30)에 형성된 교반날(28)에 의해 상토를 분쇄하여 용이하게 공급함으로써 해결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2 : 파종기용 상토 공급장치 10 : 케이스
12 : 경사케이스 14 : 슬라이딩가이드
16 : 슬라이딩구 18 : 슬라이딩구고정볼트
20 : 피동풀리텐션조절구 22 : 연결대
24 : 바퀴 26 : 지지케이스
28 : 교반날 30 : 교반축
32 : 교반기어 34 : 거름망
36 : 호퍼 38 : 걸림대
40 : 이송풀리 42 : 피동풀리
44 : 벨트가이드 46 : 상토이송대
48 : 이송벨트 50 : 벨트내면지지롤러
52 : 고정대 54 : 장공
56 : 높이조절대 58 : 누름풀리
60 : 고정볼트 62 : 고정너트
64 : 높이조절볼트 66 : 벨트텐션조절구
68 : 누름축 70 : 누름롤러
72 : 누름장공 74 : 연결구
76 : 연장부 78 : 누름볼트
80 : 벨트누름구 82 : 모터
84 : 제어부 86 : 브러시
88 : 제거브러시 90 : 흙제거브러시
92 : 토출부 94 : 지지장공
95 : 지지롤러연결판 96 : 지지롤러고정볼트
97 : 지지롤러 98 : 벨트외면지지롤러

Claims (5)

  1. 박스 형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사각 프레임으로 형성되는 케이스(10);
    상기 케이스(10)의 일측에 사각 프레임으로 연결 구비됨과 아울러 일측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케이스(12);
    상기 경사케이스(12)의 일측 전후방에 경사케이스(12)가 상향 경사진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각각 대칭 구비되며, 각각에는 내측이 전후방으로 관통되는 슬라이딩가이드(14)가 구비되고, 슬라이딩가이드(14)의 내측에는 슬라이딩가이드(14)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판형의 슬라이딩구(16)가 구비되며, 슬라이딩구(16) 및 슬라이딩가이드(14) 사이에는 슬라이딩가이드(14)에 관통 결합 됨과 아울러 슬라이딩구(16)의 외측에 닿도록 구비되어 슬라이딩구(16)를 고정하는 슬라이딩구고정볼트(18)를 갖는 피동풀리텐션조절구(20);
    상기 케이스(10) 및 경사케이스(12)의 하부에 사각 프레임으로 연결 구비됨과 아울러 일측에는 상부로 연장되어 경사케이스(12)의 하부에 연결되는 연결대(22)가 구비되며, 하부에는 다수개의 바퀴(24)가 구비되는 지지케이스(26);
    상기 케이스(10)의 상부에 하부가 내입 구비되며, 상하부가 개방 형성됨과 아울러 내측에 상토가 수용될 수 있도록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부에서 하부로 이격된 내측에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다수개가 서로 이격 구비됨과 아울러 각각은 전후방으로 축 연결되고 각각의 외주연에는 다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교반날(28)을 갖는 교반축(30)이 형성되며, 교반축(30)의 전방에는 교반기어가(32) 연결 구비되고, 내측 하부에는 망 형상의 거름망(34)이 구비되는 호퍼(36);
    상기 호퍼(36)의 내측에 중앙이 관통된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됨과 아울러 교반날(28)의 상부에 이격 구비되는 걸림대(38);
    상기 케이스(10)의 내측에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전후방으로 축설되는 이송풀리(40);
    상기 피동풀리텐션조절구(20) 한 쌍 사이에 축 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피동풀리(42);
    상기 이송풀리(40) 및 피동풀리(42)의 외면을 감싸도록 연결되어 상부에서 낙하되는 상토를 이송하도록 구비되며, 외면에는 전후방으로 각각 이격되어 대칭 형성되며 각각은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외측으로 연장되는 벨트가이드(44)가 형성되고, 벨트가이드(44) 사이에는 각각 이격되어 판형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부가 일측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토이송대(46)를 갖는 이송벨트(48);
    상기 경사케이스(12)의 내측에 전후방으로 축설되어 다수개가 각각 이격 구비됨과 아울러 각각은 이송벨트(48)의 내측에 구비되어 이송벨트(48)가 하부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는 벨트내면지지롤러(50);
    상기 케이스(10)의 내측 전후방에 각각 대칭 구비됨과 아울러 이송벨트(48)의 상부에 구비되며, 각각에는 일측이 케이스(10)와 연결됨과 아울러 타측으로 연장되는 판형의 고정대(52)가 구비되고, 고정대(52) 각각에는 고정대(52) 한 쌍이 마주하는 방향에 각각 구비되며 내측에는 상하로 길게 관통된 장공(54)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고정대(52)가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형의 높이조절대(56)가 구비되며, 높이조절대(56) 각각의 하부에는 각각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하부가 이송벨트(48)의 상부에 안착되는 누름풀리(58)가 축설되고, 고정대(52) 각각에는 고정대(52)에 각각 나사 결합됨과 아울러 연장되어 높이조절대(56)의 장공(54)에 관통되는 고정볼트(60)가 구비되며, 고정볼트(60) 각각에는 고정볼트(60)와 나사 결합되어 높이조절대(56)를 고정하는 고정너트(62)가 구비되고, 높이조절대(56)의 상부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나사 결합됨과 아울러 하부가 고정볼트(60)에 닿도록 형성되는 높이조절볼트(64)를 갖는 벨트텐션조절구(66);
    상기 케이스(10)의 내측에 구비되어 이송벨트(48)의 내측을 하부로 누르도록 구비되며,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이송벨트(48)의 내측에 구비되는 누름축(68)이 구비되고, 누름축(68)의 내측 외주연에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누름축(68) 상에서 축 회전됨과 아울러 하부가 이송벨트(48)의 내측에 닿는 누름롤러(70)가 구비되며, 누름축(68)의 전후방에는 각각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일측이 케이스(10)에 고정됨과 아울러 내측에 상하로 길게 관통된 누름장공(72)이 형성되어 누름축(68)이 내입 관통되는 연결구(74)가 구비되고, 연결구(74) 각각의 상부에는 연결구(74)가 마주하는 반대로 연장되는 판형의 연장부(76)가 형성되며, 연장부(76) 각각에는 연장부(76)와 나사 결합됨과 아울러 하부로 연장되어 단부가 누름축(68)에 닿도록 형성되는 누름볼트(78)를 갖는 벨트누름구(80);
    상기 이송풀리(40)의 전방에 구비되며, 이송풀리(40)와 축 연결됨과 아울러 교반기어(32)와 체인으로 연결되어 이송풀리(40) 및 교반기어(32)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모터(82);
    상기 케이스(10)의 전방에 구비되어 모터(82)의 회전력을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제어부(8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용 상토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36)의 일측 하부 및 경사케이스(12)의 일측에는 각각 이송벨트(48) 방향으로 연장되어 이송벨트(48)에 의해 이송되는 잔여 상토를 제거하는 브러시(86)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용 상토 공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 및 이송벨트(48)의 내측에 구비됨과 아울러 전방에서 후방으로 타측 경사지게 구비되며, 내측에는 하부로 연장되어 이송벨트(48)의 내측에 닿는 제거브러시(88)가 구비되고, 제거브러시(88)의 전후방은 각각 연장되어 케이스(10)에 고정되는 흙제거브러시(90)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용 상토 공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동풀리(42)의 일측에 이격 구비됨과 아울러 경사케이스(12)에 타측이 연결되며, 일측이 일측 방향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내측이 관통 형성되어 이송벨트(48)에 의해 이송된 상토를 외부로 배출하는 토출부(92)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용 상토 공급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벨트(48)의 하부 경사케이스(12)의 내측 전후방에 각각 다수개가 이격 구비되며, 각각은 내측에 길게 관통된 지지장공(94)을 갖는 지지롤러연결판(95)이 구비되고, 지지롤러연결판(95)의 일측은 경사케이스(12)에 지지롤러고정볼트(96)에 의해 고정되며, 지지롤러연결판(95)의 타측에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지지롤러연결판(95)에 축 연결됨과 아울러 이송벨트(48)의 하부에 닿는 지지롤러(97)를 갖는 벨트외면지지롤러(98)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용 상토 공급장치.
KR1020180048658A 2018-04-26 2018-04-26 파종기용 상토 공급장치 KR1018905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8658A KR101890552B1 (ko) 2018-04-26 2018-04-26 파종기용 상토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8658A KR101890552B1 (ko) 2018-04-26 2018-04-26 파종기용 상토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0552B1 true KR101890552B1 (ko) 2018-08-21

Family

ID=63453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8658A KR101890552B1 (ko) 2018-04-26 2018-04-26 파종기용 상토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055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7377B1 (ko) * 2021-10-25 2022-04-15 구진섭 파종기용 상토 공급장치
KR102411707B1 (ko) * 2022-02-04 2022-06-23 문태익 종자 파종 시스템
KR20220168341A (ko) * 2021-06-16 2022-12-23 경기도 화분 분배 및 상토 투입 장치
KR102604174B1 (ko) * 2023-05-12 2023-11-22 구진섭 파종기용 상토 및 복토 공급장치
CN117716853A (zh) * 2024-01-09 2024-03-19 临沂市农业科学院 一种水稻种植辅助施肥机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9861Y1 (ko) * 2006-03-22 2006-06-26 정귀현 컨베이어벨트의 표면 클리닝 장치
KR20070070826A (ko) * 2005-12-29 2007-07-04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이송용 타이밍 벨트 및 이를 이용한 이송장치
KR100790005B1 (ko) 2006-09-28 2008-01-02 (주)렉셈 상토공급장치
KR101260865B1 (ko) * 2010-07-06 2013-05-06 정길동 상토 이송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0826A (ko) * 2005-12-29 2007-07-04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이송용 타이밍 벨트 및 이를 이용한 이송장치
KR200419861Y1 (ko) * 2006-03-22 2006-06-26 정귀현 컨베이어벨트의 표면 클리닝 장치
KR100790005B1 (ko) 2006-09-28 2008-01-02 (주)렉셈 상토공급장치
KR101260865B1 (ko) * 2010-07-06 2013-05-06 정길동 상토 이송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8341A (ko) * 2021-06-16 2022-12-23 경기도 화분 분배 및 상토 투입 장치
KR102643414B1 (ko) * 2021-06-16 2024-03-06 경기도 화분 분배 및 상토 투입 장치
KR102387377B1 (ko) * 2021-10-25 2022-04-15 구진섭 파종기용 상토 공급장치
KR102411707B1 (ko) * 2022-02-04 2022-06-23 문태익 종자 파종 시스템
KR102604174B1 (ko) * 2023-05-12 2023-11-22 구진섭 파종기용 상토 및 복토 공급장치
CN117716853A (zh) * 2024-01-09 2024-03-19 临沂市农业科学院 一种水稻种植辅助施肥机构
CN117716853B (zh) * 2024-01-09 2024-05-17 临沂市农业科学院 一种水稻种植辅助施肥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0552B1 (ko) 파종기용 상토 공급장치
KR101592170B1 (ko) 파종기용 복토장치
KR101982027B1 (ko) 파종기용 흙 공급장치
US3489321A (en) Feeding mechanism for seed
KR20160073645A (ko) 마늘 파종기
KR200471849Y1 (ko) 이앙기용 종자점파 및 비료살포기
CN108029293A (zh) 一种播种均匀的小型播种机
KR20100087875A (ko) 육모상자용 흙공급장치
WO2012007964A2 (en) A direct seed sowing machine for multiple type of seeds with adjustable seed distances
CN209170882U (zh) 一种可精量取种的播种装置
KR20090082529A (ko) 종균 혼합기
KR20110002046U (ko) 이앙기용 종자 및 비료점파기
KR101861826B1 (ko) 파종기
EP1380200B1 (en) Dispenser of substances for agricultural uses
CN212629169U (zh) 谷子绿豆间作播种机
KR101564891B1 (ko) 파종기용 레일고정장치
CN209914582U (zh) 一种水稻育苗装置
KR20220043341A (ko) 농기계 견인용 다열 파종기
CN209628067U (zh) 一种马铃薯播种机
KR0140109B1 (ko) 자주식 용토 혼합/산포 장치
KR101869462B1 (ko) 이식부의 위치 조절이 가능한 모종 이식기
CN111656919B (zh) 一种多点施肥播种盘及具有其的施肥播种一体机
CN108293342A (zh) 一种均匀撒肥装置
US552000A (en) Poison and fertilizer distributer
KR102387377B1 (ko) 파종기용 상토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