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1826B1 - 파종기 - Google Patents

파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1826B1
KR101861826B1 KR1020160135995A KR20160135995A KR101861826B1 KR 101861826 B1 KR101861826 B1 KR 101861826B1 KR 1020160135995 A KR1020160135995 A KR 1020160135995A KR 20160135995 A KR20160135995 A KR 20160135995A KR 101861826 B1 KR101861826 B1 KR 1018618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seeding
seeder
machine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5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3103A (ko
Inventor
하종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다
Priority to KR1020160135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1826B1/ko
Publication of KR20180043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31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1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18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8Broadcast seeders; Seeders depositing seeds in row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49/00Combined machines
    • A01B49/04Combinations of soil-working tools with non-soil-working tools, e.g. planting tools
    • A01B49/06Combinations of soil-working tools with non-soil-working tools, e.g. planting tools for sowing or fertilis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71/00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setting or adjusting mechanisms, of implement or tool drive or of power take-off; Means for protecting parts against dust, or the like; Adapting machine elements to or for agricultural purposes
    • A01B71/06Special adaptations of coupling means between power take-off and transmission shaft to the implement or machi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종기에 관한 것으로서, 이앙기에 연결되어 이앙기의 동력을 전달받아 종자를 공급하는 배종부와, 종자를 파종하는 파종부가 동시에 작동되는 파종기에 있어서, 이앙기의 PTO 장치와 연결되어 동력이 입력되는 PTO 축; PTO 축과 연결되어 연동되는 기어박스; 기어박스와 연결되어 연동 회전되는 제 1 축; 제 1 축과 연결되어 연동 회전되는 한편 파종컵을 회전시켜 종자를 파종하는 파종축; 및 제 1 축과 연결되어 연동 회전되는 한편 배종컵을 회전시켜 종자를 파종컵으로 공급하는 배종축;을 포함하는 파종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파종기{seeding machine}
본 발명은 파종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마늘을 파종하는 파종기로서, 파종기의 자체 동력없이 승용 이앙기의 동력을 이용하여 구동되는 파종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물의 종자를 파종지에 파종할 때, 종자가 지면에 일정 깊이로 묻힐 수 있도록 농기구를 이용하여 파종홈을 형성하고, 종자를 투입한 후 복토한다.
이러한 파종 작업은 파종기에 의해 자동화된다. 즉, 파종기는 종자를 직접 파종하는 파종장치와, 파종장치에 종자를 공급하는 배종장치를 구비하고, 작업자는 이와 같은 파종기를 이용하여 파종 작업을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파종기는 파종하는 작물의 종자에 따라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마늘파종기를 그 일례로 예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마늘파종기는 트랙터나 이앙기 등과 같은 주행성이 있는 농기계에 장착되어 주행되고, 이의 주행력에 연동하여 자동으로 마늘 종자를 낱개씩 분배하여 파종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마늘파종기의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 제10-1419417호(이하 '선행기술문헌'이라 한다)에 마늘파종기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문헌에 개시된 마늘파종기는, 프레임은 좌,우측면패널과 이를 가로방향으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결합프레임으로 구성되어 마늘파종기의 각 구성들이 그 내,외부에 설치되고, 프레임의 전방에 형성되어 트랙터(미도시)의 제1,2결합부에 조립되는 견인부와, 견인부의 하측에 형성되어 트랙터의 동력연결축(미도시)과 연결되는 스플라인축과, 구름바퀴에 연결되어 마늘이송수단과 파종수단 및 진동수단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 1 종동축이 형성된다.
제 1 종동축과 연결된 구름바퀴는 지면과의 마찰에 의해 회전되면서 이의 회전력이 마늘이송수단과 파종수단 및 진동수단에 전달되어, 구름바퀴의 회전과 더불어 마늘이송수단과 파종수단 및 진동수단이 동시에 작동되면서 마늘을 파종하게 된다.
하지만, 선행기술문헌에 개시된 종래의 마늘파종기는 지면과 접하여 구름되는 구름바퀴의 동력에 의해 마늘이 공급되고 공급된 마늘을 파종하는 방식이므로, 일정한 파종을 위해서는 양 구름바퀴의 수평을 맞춰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즉, 토양의 높낮이가 불규칙한 굴곡지에서는 구름바퀴의 높이를 조정하여 양 구름바퀴의 수평을 맞춘 상태로 구름바퀴가 주행해야만 파종수단의 파종깊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토양의 상태에 따라 구름바퀴의 수평을 맞춰야 일정한 파종을 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 및 생산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마늘파종기 및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419417호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바퀴에 의한 자체 동력없이 이앙기의 PTO(Power Take Off : 동력 인출장치)의 동력으로 마늘을 배종 및 파종할 수 있도록 한 마늘파종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파종기에서 바퀴가 없어짐에 따라 파종기의 무게가 경량화되고, 이로 인해 파종기를 소형 농기계인 이앙기에 연결할 수 있는 마늘파종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파종기는, 이앙기에 연결되어 이앙기의 동력을 전달받아 종자를 공급하는 배종부와, 종자를 파종하는 파종부가 동시에 작동되는 파종기에 있어서, 이앙기의 PTO 장치와 연결되어 동력이 입력되는 PTO 축; PTO 축과 연결되어 연동되는 기어박스; 기어박스와 연결되어 연동 회전되는 제 1 축; 제 1 축과 연결되어 연동 회전되는 한편 파종컵을 회전시켜 종자를 파종하는 파종축; 및 제 1 축과 연결되어 연동 회전되는 한편 배종컵을 회전시켜 종자를 파종컵으로 공급하는 배종축;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 1 축에는 제 1 축과 함께 회전되는 타이밍기어가 고정되게 구비되고, 배종축에는 이에 연결되어 연동 회전되는 제 2 축이 구비되며, 제 2 축에는 제 1 축의 타이밍기어와 치합되는 타이밍기어가 고정되게 구비되어, 배종축과 파종축을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다.
또, 파종기에는 이앙기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장치가 구비되되, 연결장치는 파종기로 종자를 공급하는 호퍼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상부 연결부; 및 상부 연결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파종기에 결합되어 구비되고 그 전면은 이앙기와 결합 고정되는 하부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연결장치의 하부 연결부는 기어박스에서 돌출되는 삽입축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관; 이앙기에 걸림되어 견인되는 견인축; 이앙기와 적어도 두 곳 이상이 결합되는 고정판; 및 고정판과 이격되어 이앙기와 결합되는 고정축;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파종기와 마주하는 연결장치에는 이격된 양 측판을 갖는 조정브라켓이 구비되고, 조정브라켓의 양 측판에 관통 결합되는 한편 그 일단부가 파종기에 결합 고정되고 타단부에는 너트가 체결되는 링볼트가 구비되어, 링볼트에 너트가 체결 또는 풀어짐에 따라 연결장치가 회전되어 수평을 맞출 수 있다.
그리고, 파종기는 그 전,후방에 각각 파종지에 멀칭된 비닐을 눌러 가압한 상태에서 파종할 수 있도록 한 전방 롤러와 후방 롤러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전방 롤러는 파종기에 구성되는 높이조절수단에 의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되, 높이조절수단은, 파종기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되는 회전축;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한편 회전축의 축방향으로는 회전축과 독립되게 단독 회전되는 작동레버; 회전축에 상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링크; 및 수직링크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한편 그 일측부에는 전방 롤러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되는 회전링크;를 포함하여, 회전축이 정.역회전 됨에 따라 전방 롤러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게다가, 파종기에 고정되는 한편 그 일측에는 다수의 고정홈이 상하로 형성되어 있는 높이조절판이 구비되고, 작동레버에는 높이조절판의 고정홈에 출입되어 걸림 또는 해제되는 스톱퍼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회전링크 상부의 수직링크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고정브라켓; 고정브라켓과 회전링크에 관통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정바; 및 고정바에 끼워져 결합되고 그 양단부가 각각 고정브라켓과 회전링크에 접하여 구비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탄성부재가 회전링크를 탄력 지지하여 회전링크에 텐션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파종기에 따르면, 파종기 바퀴에 의한 동력없이 이앙기의 PTO(Power Take Off : 동력 인출장치)의 동력으로 마늘을 배종 및 파종할 수 있으므로 파종기의 구조가 심플화되고, 일정한 간격으로 마늘을 파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파종기에서 바퀴와, 바퀴의 수평을 조절하는 수평조절장치를 없애므로 인해 파종기의 무게를 경량화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파종기를 소형 농기계인 이앙기에 장착하여 작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파종기의 전,후방에 각각 파종지에 멀칭된 비닐을 눌러 가압한 상태로 구름되는 각 롤러가 구비됨으로써 마늘을 일정한 파종깊이로 파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종기와 결합되는 이앙기의 마운팅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종기의 전면을 일방향에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종기의 전면을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종기의 후면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파종기와 연결장치의 분리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와 전방 롤러의 높이조절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후방 롤러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면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파종기의 전방 롤러의 높이조절수단의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방 롤러의 높이조절수단의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고, "하나 이상"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복수를 의미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1" 및 "제2" 등과 같은 선택적인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파종기 및 이에 구비되는 각종 구성들과, 이앙기의 마운팅부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에서는 파종기의 실시예로서 마늘 종자를 파종하는 마늘파종기를 일례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국한되거나 한정되지 않고 모든 파종기에 적용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파종기(1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수평 및 수직 단위프레임과, 플레이트가 상호 결합되어 형성된 베이스프레임(101)과, 베이스프레임(101)의 상부에 구비되어 그 내부에 마늘 종자가 저장되는 배종부와, 배종부에 저장된 마늘 종자를 공급받아 후술될 파종부로 마늘 종자를 공급하는 중간컵(130)과, 배종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공급된 마늘 종자를 파종지에 파종하는 파종부를 포함한다.
배종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101)의 상부에 그 상면이 개구된 호퍼(110)와, 호퍼(110) 후면의 베이스프레임(101)에 파종기(100)의 폭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배종축(120)과, 배종축(120)에 일정 간격마다 고정되게 구비되어 배종축(120)과 같이 회전되면서 마늘 종자를 공급받아 파종부 측으로 배출시켜 공급하는 배종판(122)을 포함한다.
한편, 배종축(120)은 호퍼(110)와 이격되게 구비되고, 그 일단부에는 배종기어(121)가 고정되게 구비되어 일체로 회전된다.
그리고, 배종판(122)에는 그 외주연부에 다수의 배종컵(123)이 방사상으로 고정되게 구비되고, 배종컵(123)은 배종판(122)과 같이 일체로 회전되면서 최고점에서 호퍼(110)로부터 마늘 종자를 공급받으며, 마늘 종자가 공급된 배종컵(123)은 배종판(122)과 같이 더 회전되면서 그 상,하부가 뒤집혀 최저점에서는 공급된 마늘 종자가 중간컵(130)으로 배출시켜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중간컵(130)은 배종부와 파종부 사이의 베이스프레임(101)에 고정된 상태로 구비되는 한편 배종부의 배종판(122)과 같은 개수로 구비된다.
한편, 호퍼(110) 전방의 베이스프레임(101)에는 연동축(124)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배종축(120)과 연동되면서 호퍼(110) 내의 마늘 종자를 하나씩 배출시켜 배종컵(123)으로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연동축(124)의 일단부에는 배종축(120)의 배종기어(121)와 체인이나 벨트(이하 '체인'으로 통칭한다)로 연결되어 연동되는 연동기어(125)가 고정되게 구비되어 연동축(124)과 같이 일체로 회전된다.
그리고, 파종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종부 하부의 베이스프레임(101)에 회전가능한 상태로 구비된다.
즉, 파종부는, 베이스프레임(101)의 후방 하부에 파종기(100)의 폭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파종축(140)과, 파종축(140)의 양측부에 각각 고정되게 구비되어 파종축(140)과 같이 일체로 회전되는 회전판(142)과, 양 회전판(142) 사이에 회전판(142)의 원주를 따라 일정 간격마다 구비되는 다수의 연결축(143)과, 각 연결축(143)마다 배종판(122)과 동일한 개수와 동일한 위치로 고정되게 구비되어 마늘 종자를 공급받아 파종지에 파종하는 다수의 파종컵(144)을 포함한다.
특히, 파종축(140)의 일단부에는 배종축(120)과 같이 동시에 회전되는 파종기어(141)가 고정되게 구비되어 파종축(140)과 같이 일체로 회전된다.
그리고, 연결축(143)은 그 양단부가 회전판(142)에 공회전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회전판(142)의 회전시는 다수의 연결축(143)이 회전판(142)에 의해 이동되어 원을 그리며 회전되지만, 각 연결축(143)이 회전판(142)에서 공회전되므로 파종컵(144)은 항상 연결축(143)에서 수직한 상태로 유지되어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파종컵(144)은 연결축(143)과 같이 회전되면서 최고점에서는 중간컵(130)에 부딪쳐 중간컵(130)을 개방시키므로 마늘 종자를 공급받게 되고, 최저점에서는 파종지에 박혀 개방되면서 마늘 종자를 파종지에 파종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배종부와 파종부가 구성되는 파종기(100)는 그 전면부(이앙기의 후면과 마주하는 면)에 파종기(100)를 이앙기(1)에 연결하는 연결장치(300)가 탈착가능하게 구비된다.
먼저, 이앙기(1)는 승용 이앙기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후면부에 파종기(100)의 연결장치(300)에 결합되어 장착되는 마운팅부(1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마운팅부(10)는 그 상단부에 형성되어 후술될 연결장치(300)의 견인축(321)을 견인하는 견인고리(11)와, 견인고리(11) 하부에 구비되어 연결장치(300)의 고정판(322)에 결합 고정되는 고정판(12)과, 고정판(12)의 하부에 구비되어 연결장치(300)의 고정축(323)에 결합 고정되는 결합구(13)를 포함한다.
특히, 고정판(12)은 연결장치(300)의 고정판(322)과 접한 상태로 적어도 두 곳 이상이 체결되되, 본 실시예에서는 서로 접한 양 고정판(12)(322)의 양측부가 볼트와 너트로서 체결 고정되고, 결합구(13)는 고정축(323)과 접한 상태에서 볼팅되어 체결 고정됨으로써 이앙기(1)와 연결장치(300)는 3점 지지된 상태로서 결합 고정된다.
따라서, 이앙기(1)는 파종기(100)를 견고한 견인력으로 견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이앙기(1)와 파종기(100)를 수평 상태로 정확히 연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이앙기(1)의 마운팅부(10)에 대응한 연결장치(30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종부의 호퍼(110)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상부 연결부(310)와, 상부 연결부(310)에서 하향 연장되게 형성되어 파종기(100)에 결합되고 그 전면은 이앙기(1)와 결합 고정되는 하부 연결부(320)를 포함한다.
특히, 연결장치(300)의 하부 연결부(320)는 후술될 기어박스(200)에서 돌출되는 삽입축(201)과 회전가능한 상태로 결합되어 연결장치(300)를 파종기(100)에 구속되게 하는 연결관(324)과, 연결관(324)의 상부에 구비되어 이앙기(1)의 고정판(12)과 적어도 두 곳 이상이 체결되어 결합 고정되는 고정판(322)과, 고정판(322)의 상부에 구비되어 이앙기(1)의 견인고리(11)에 견인되는 견인축(321)과, 연결관(324)의 하부에 구비되어 이앙기(1)의 결합구(13)와 결합 고정되는 고정축(323)을 포함한다.
연결관(324)은 중공관으로서, 그 내부에 부싱을 개재한 상태로 기어박스(200)의 삽입축(201)과 결합되어 회전가능한 상태로 구비된다. 이때, 부싱은 베어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고정판(322)은 연결장치(300)에 직교하도록 구비되어 그 양측부에 이앙기(1)의 고정판(12)과 동일한 관통공이 형성되고, 양 관통공에 볼트를 관통시킨 상태에서 너트를 체결함으로써 양 고정판(12)(322)을 결합 고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결합되는 양 고정판(12)(322)은 최소 두 곳 이상이 체결된 상태로 결합 고정된다.
고정축(323)은 연결장치(300)의 전면에 돌출 형성되고, 그 끝단면에는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어, 이앙기(1)의 결합구(13)에 볼트를 관통시켜 고정축(323)의 나사홈에 체결함으로써 고정판(322)과 더불어서 이앙기(1)의 마운팅부(10)를 연결장치(300)에 결합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결합 고정되는 이앙기(1)의 마운팅부(10)와 연결장치(300)는 고정판(12)(322)에서 두 곳, 고정축(323)에서 한 곳이 결합되어 3점 지지된 상태로 결합됨으로써, 견고하면서도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앙기(1)를 제조하는 제조사나 이앙기(1)의 제원 또는 종류에 따라 견인고리(11)와 고정판(12)의 위치가 달라질 수 있는데, 이에 대응한 연결장치(300) 역시도 견인축(321)과 고정판(322)의 위치가 각기 다르게 구비된 여러 종류의 연결장치(300)가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연결장치(300)의 후면부에는 도 5를 기준으로 하여 "⊃"자 형상의 조정브라켓(325)이 구비되고, 조정브라켓(325)의 양 측판에는 링볼트(400)가 관통 결합된다.
이때, 링볼트(400)의 링부는 파종기(100)의 전면에 볼팅되어 결합 고정되고, 이와 같이 고정되는 링볼트(400)는 파종기(100)의 전면에 횡설되는 후술될 회전링크(510)와 평행하게 구비된다.
따라서, 연결장치(300)의 조정브라켓(325)을 관통한 링볼트(400)에 너트(410)가 체결됨에 따라 연결장치(300)가 기어박스(200)의 삽입축(201)을 기준으로 회전되어 연결장치(300)의 설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각도 조절되는 연결장치(300)는 고정판(322)을 회전링크(510)에 평행하게 위치시킴으로써 파종기(100)에 정위치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연결장치(300)를 통해 이앙기(1)에 견인되는 본 발명의 파종기(100)는 승용 이앙기의 약한 견인력을 고려하여, 기존의 파종기에 구비되어 구름되면서 이의 구름력을 파종기에 작동력으로 제공하던 바퀴를 없애 파종기(100)를 경량화하고, 파종기(100)의 작동은 이앙기(1)의 동력을 이용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파종기(100)에는 이앙기(1)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이 구성되고, 이 동력전달수단은 이앙기(1)의 PTO 동력을 파종기(100)에 전달하여 파종기(100)의 배종부와 파종부가 동시에 작동되도록 한다.
이러한 동력전달수단은 도 2 내지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종기(100)에 구비되어 이앙기(1)의 PTO 장치와 연결되어 PTO 동력이 입력되는 PTO 축(210)과, PTO 축(210)과 연결되어 연동되는 기어박스(200)와, 기어박스(200)에 연결되어 기어박스(200)로 입력된 동력을 출력시키는 커플러(220)와, 커플러(220)에 연결되어 연동 회전되는 기어축(230)과, 기어축(230)과 연결되어 연동 회전되는 제 1 축(240)과, 제 1 축(240)과 연결되어 연동 회전되는 한편 파종컵(144)을 회전시켜 종자를 파종하는 파종축(140)과, 제 1 축(240)과 연결되어 연동 회전되는 한편 배종컵(123)을 회전시켜 종자를 파종컵(144)으로 공급하는 배종축(120)을 포함한다.
파종기(100)의 PTO 축(210)은 연결장치(300)와 이격된 전면 하측에 돌출되게 구비되고, 기어박스(200)에 연결된다.
그리고, 기어박스(200)는 그 내부에 입력된 PTO 동력을 다른 방향 즉 직교하는 방향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복수개 이상의 기어가 구비되고, 이러한 기어박스(200)에 구비되는 기어들은 감속비 또는 증속비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기어박스(200)의 출력축에는 기어박스(200)와 기어축(230)을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커플러(220)가 구비된다.
또한, 기어박스(200)의 전면부에는 연결장치(300)의 연결관(324)에 삽입되어 연결장치(300)를 파종기(100)의 전면에 위치 고정시키는 삽입축(201)이 돌출 형성되고, 삽입축(201)은 기어박스(200) 내의 기어들과는 무관하게 구비된다.
한편, 커플러(220)에 연결되는 기어축(230)은 PTO 축(210)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비되고, 기어축(230)의 일단부에는 기어축(230)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구동기어(231)가 구비되어, 기어축(230)과 일체로 회전된다.
기어축(230)과 연결되는 제 1 축(240)에는 제 1,2 기어(241)(242)가 고정되게 설치되어 제 1 축(240)과 같이 일체로 회전되고, 제 1 축(240)의 제 1 기어(241)는 기어축(230)의 구동기어(231)와 체인으로 연결되어 제 1 축(240)과 기어축(230)이 연동 회전되며, 제 1 축(240)의 제 2 기어(242)는 파종축(140)의 파종기어(141)와 체인으로 연결되어 파종축(140) 역시도 기어축(230) 및 제 1 축(240)과 같이 연동 회전된다. 즉, 기어축(230)이 회전되면 구동기어(231)와 제 1 기어(241)에 의해 제 1 축(240)이 기어축(230)과 같이 회전되고, 제 2 기어(242)와 파종기어(141)에 의해 파종축(140) 역시도 제 1 축(240)과 같이 회전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 1 축(240)의 일단부에는 제 1 축(240)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제 1 축(240)과 같이 일체로 회전되는 제 1 타이밍기어(243)가 구비되고, 제 1 타이밍기어(243)는 후술될 제 2 타이밍기어(252)와 치합되어 배종축(120)을 제 1 축(240)과 같이 연동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제 1 축(240)과 근접한 하부의 베이스프레임(101)에는 제 2 축(250)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제 2 축(250)의 양단부에는 각각 제 2 축(250)과 고정되게 설치되어 제 2 축(250)과 같이 일체로 회전되는 제 3 기어(251)와 제 2 타이밍기어(252)가 구비된다. 특히, 제 2 타이밍기어(25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축(240)의 제 1 타이밍기어(243)와 치합되어 제 2 축(250)을 제 1 축(240)과 연동시켜 회전시킬 수 있고, 제 2 축(250)의 제 3 기어(251)는 배종부에 구비되는 연동축(124)의 연동기어(125)와 배종축(120)의 배종기어(121)에 체인으로 연결되어 연동축(124)과 배종축(120)이 제 2 축(250)과 같이 연동 회전된다.
따라서, 이앙기(1)의 PTO 동력이 파종기(100)의 PTO 축(210)으로 전달되고, 이는 다시 기어박스(200)와 커플러(220)를 통해 기어축(230)으로 전달되어 기어축(230)이 회전되고, 전달된 동력은 다시 기어축(230)의 구동기어(231)와 제 1 축(240)의 제 1 기어(241)에 의해 제 1 축(240)으로 전달되어 제 1 축(240)이 기어축(230)과 같이 연동 회전된다.
그리고, 제 1 축(240)으로 전달된 동력은 다시 제 1 축(240)의 제 2 기어(242)와 파종축(140)의 파종기어(141)를 통해 파종축(140)으로 전달되어 파종축(140)이 제 1 축(240)과 같이 연동 회전되면서 파종이 이루어지고, 이와 동시에 제 1 축(240)의 제 1 타이밍기어(243)와 제 2 타이밍기어(252)에 의해 제 1 축(240)의 동력은 다시 제 2 축(250)으로 전달되어 제 2 축(250)이 제 1 축(240)과 같이 연동 회전되며, 제 2 축(250)의 제 3 기어(251)에 연결된 연동축(124)의 연동기어(125)와 배종축(120)의 배종기어(121)가 제 2 축(250)과 같이 연동 회전되면서 마늘 종자를 배종컵(123)으로 공급하게 되고 배종컵(123)으로 공급된 마늘 종자는 다시 파종컵(144)으로 공급되어 파종된다.
이로써, 파종기(100)의 배종부와 파종부가 이앙기(1)의 PTO 동력에 의해 동시에 작동되면서 마늘 종자를 파종지에 파종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파종기(100)는 도 7에 도시된 비와 같이, 그 전,후방 하부에 각각 파종지에 멀칭(mulching)된 비닐을 눌러 가압한 상태에서 파종할 수 있도록 한 전방 롤러(500)와 후방 롤러(600)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특히, 전방 롤러(500)는 파종기(100)의 전면에 구성되는 높이조절수단에 구비되어, 상하로 이동되면서 높이가 조절된다.
이러한 전방 롤러(500)의 높이조절수단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종기(100)의 전면부에 구속된 상태로 회전되게 구비되는 회전축(520)과, 회전축(520)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게 구비되어 회전축(520)과 같이 일체로 회전되는 제 1 회전바(521)와, 각 제 1 회전바(521)에 그 상단부가 각각 상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링크(530)와, 양 수직링크(530)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한편 양 수직링크(530)에 그 양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링크(540)와, 연결링크(540)의 양측부에 각각 고정되게 구비되고 그 후단부에는 전방 롤러(500)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ㄴ"자 형상의 회전링크(510)를 포함한다.
즉, 회전축(520)은 그 양단부가 파종기(100)의 전면부에 브라켓을 매개로 하여 전면부와 이격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축(520)의 양단부에는 이앙기(1) 측(파종기(100) 반대편 측)으로 돌출되는 제 1 회전바(521)가 고정되게 구비된다.
그리고, 양측의 제 1 회전바(521)에는 수직링크(530)의 상단부가 각각 상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수직링크(530)의 하부 일측에는 제 2 회전바(522)의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되, 제 2 회전바(522)는 그 선단부가 수직링크(53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후단부는 파종기(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된다.
또한, 수직링크(530)의 하단부에는 연결링크(540)의 양단부가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양 수직링크(530)를 연결하고, 연결링크(540)의 양측부에는 회전링크(510)의 일측부가 고정되게 구비된다.
게다가, 회전축(520)에는 작동레버(550)가 결합되어 구비되되, 작동레버(550)는 회전축(520)의 축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된다. 따라서, 작동레버(550)를 상하로 회전시키면 작동레버(550)와 같이 회전축(520)이 파종기(100)에 구속된 상태로 회전되고, 작동레버(550)를 좌우(회전축(520)의 축방향)로 회전시키면 회전축(520)이 고정된 상태에서 작동레버(550)만이 좌우로 회전된다.
그리고, 작동레버(550)와 근접한 파종기(100)의 전면부에는 높이조절판(560)이 구비되고, 이 높이조절판(560)은 그 일단부가 파종기(100)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한편 그 일측에는 다수의 고정홈(561)이 상하로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며, 이에 대응한 작동레버(550)의 일측에는 높이조절판(560)의 고정홈(561)에 출입되어 걸림 또는 해제되는 스톱퍼(551)가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작동레버(550)에 의해 회전축(520)이 정회전 또는 역회전되면 이에 연동하여 수직링크(530)와 연결링크(540) 및 회전링크(510)가 작동하여 전방 롤러(500)를 상하로 이동시켜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작동레버(550)의 스톱퍼(551)를 높이조절판(560)의 일측 고정홈(561)에 삽입시켜 고정시킴으로써 전방 롤러(500)를 높이 조절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게다가,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회전링크(510)에는 텐션을 부여하여 파종지에 멀칭된 비닐을 가압하는 전방 롤러(500)가 상하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즉, 회전링크(510)와 이격된 수직링크(530)의 일측부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고정브라켓(580)과, 고정브라켓(580)과 회전링크(510)에 관통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정바(570)와, 고정바(570)에 끼워져 결합되고 그 양단부가 각각 고정브라켓(580)과 회전링크(510)에 접하여 구비되는 탄성부재(590)를 포함하여, 탄성부재(590)가 회전링크(510)를 탄력 지지함으로써 회전링크(510)에 텐션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고정바(570)에는 다수의 조절구멍(571)이 상하로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고, 고정브라켓(580)과 회전링크(510)의 외측에 위치되는 조절구멍(571)에 고정핀(572)을 결합함으로써 고정바(570)를 고정브라켓(580)과 회전링크(510)에 고정시킬 수 있고, 고정바(570) 상에서 고정브라켓(580)과 회전링크(51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고정브라켓(580)과 회전링크(510)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부재(590)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회전링크(510)의 텐션을 조절할 수도 있다.
한편, 탄성부재(590)는 회전링크(510)를 탄력 지지할 수 있는 구성이면 모두 만족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압축 코일스프링을 탄성부재의 일례로 예시하여 설명한다.
따라서, 파종지에 접한 상태로 구름되는 전방 롤러(500)가 파종지의 두둑 높이에 따라 상하로 유동되고, 유동되는 전방 롤러(500)와 더불어 회전링크(510)가 고정바(570)의 관통부를 기준으로 지렛대와 같이 회전되면서 탄성부재(590)를 압축시키게 되며, 탄성부재(590)의 인장력이 회전된 회전링크(510)에 복원력으로 작용함으로써 두둑의 높이에 따라 상하로 유동되는 전방 롤러(500)에는 항상 원위치로 복귀되려는 텐션이 작용되므로 전방 롤러(500)는 파종지의 높이에 관계없이 항상 파종지에 견고하게 접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후방 롤러(600)는 베이스프레임(10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후방 회전링크(610)의 후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전방 롤러(500)와 더불어 파종지의 두둑에 접한 상태로 구름된다.
이와 같은 후방 롤러(600)는 그 자중에 의해 후방 회전링크(610)를 회전시켜 파종지의 두둑에 접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파종기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먼저, 파종기(100)의 전면부에 연결장치(300)를 구비한다. 즉, 연결장치(300)의 하부 연결부(320)에 형성된 연결관(324)을 파종기(100)에 구비된 기어박스(200)의 삽입축(201)에 삽입하여 구비하고, 연결장치(300) 후면부의 조정브라켓(325)에는 파종기(100)에 수평하게 구비된 링볼트(400)를 관통시켜 결합한다.
이 상태에서 조정브라켓(325)을 관통한 링볼트(400)에 너트(410)를 체결하고, 체결되는 너트(410)가 조정브라켓(325)에 접한 상태로 링볼트(400)에서 이동됨으로써 연결장치(300)가 그 하단부의 삽입축(201)을 기준으로 회전되면서 파종기(100)의 전면부에 정위치로 구비되며, 이후 상부 연결부(310)를 파종기(100)의 호퍼(110)에 볼팅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연결장치(300)를 파종기(100)의 전면부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파종기(100)의 전면부에 고정되게 구비된 연결장치(300)에 이앙기(1)의 마운팅부(10)를 연결하는데, 마운팅부(10)의 견인고리(11)를 연결장치(300)의 견인축(321)에 걸면서 결합구(13)를 연결장치(300)의 고정축(323)에 구비하고, 마운팅부(10)의 고정판(12)과 연결장치(300)의 고정판(322)을 일치시켜 구비한 상태에서 볼트와 너트로서 양 고정판(12)(322)을 결합 고정시키며, 결합구(13)에 또 다른 볼트를 관통시켜 고정축(323)의 나사홈에 체결함으로써, 이앙기(1)의 마운팅부(10)를 파종기(100)의 연결장치(300)에 3점 지지된 상태로 고정시키게 된다.
게다가, 상기와 같이 이앙기(1)의 마운팅부(10)를 연결장치(300)에 연결하면서 파종기(100)의 PTO 축(210)을 이앙기(1)의 PTO 장치에 연결하여 구비함으로써 이앙기(1)에 의해 파종기(100)가 견인되면서 이앙기(1)의 PTO 동력이 파종기(100)로 전달되어 파종기(100)의 작동력으로 이용되게 된다.
즉, 이앙기(1)로부터 출력되는 PTO 동력은 파종기(100)의 PTO 축(210)으로 전달되고, PTO 축(210)으로 전달된 동력은 다시 기어박스(200)와 커플러(220)를 통해 기어축(230)으로 전달되어 기어축(230)을 회전시키게 되며, 기어축(230)으로 전달된 동력은 다시 기어축(230)의 구동기어(231)와 제 1 축(240)의 제 1 기어(241)에 의해 제 1 축(240)으로 전달되어 제 1 축(240)을 기어축(230)과 같이 연동 회전시키게 된다.
제 1 축(240)으로 전달된 동력은 다시 제 1 축(240)의 제 2 기어(242)와 파종축(140)의 파종기어(141)를 통해 파종축(140)으로 전달되어 파종축(140)을 제 1 축(240)과 같이 연동 회전시켜 파종하고, 이와 동시에 제 1 축(240)의 제 1 타이밍기어(243)와 제 2 타이밍기어(252)에 의해 제 1 축(240)의 동력은 다시 제 2 축(250)으로 전달되어 제 2 축(250)을 제 1 축(240)과 같이 연동 회전시키며, 제 2 축(250)의 제 3 기어(251)에 연결된 연동축(124)의 연동기어(125)와 배종축(120)의 배종기어(121)가 제 2 축(250)과 같이 연동 회전되면서 마늘 종자를 배종컵(123)으로 공급하게 되고 배종컵(123)으로 공급된 마늘 종자는 다시 파종컵(144)으로 공급되어 파종된다.
따라서, 파종기(100)의 배종부와 파종부는 이앙기(1)의 PTO 동력에 의해 동시에 작동되면서 마늘 종자를 파종지에 파종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이앙기(1)에 의해 견인되는 파종기(100)는 전,후방 롤러(500)(600)가 파종기(100)에 멀칭된 비닐을 가압한 상태로 구름된다.
따라서, 파종지에 멀칭된 비닐은 전,후방 롤러(500)(600)에 의해 가압된 상태로 파종이 이루어짐으로써 파종시 비닐을 관통하였다가 인출되는 파종컵(144)을 따라 비닐이 딸려 올라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어, 비닐의 멀칭 상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전방 롤러(500)는 파종지의 두둑 높이에 따라 그 높이를 조절하여 멀칭된 비닐을 가압할 수 있고, 후방 롤러(600)는 롤러의 자중에 의해 멀칭된 비닐을 가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전방 롤러(500)의 높이조절은 작동레버(550)를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회전시켜 회전축(520)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면, 이에 연동하여 수직링크(530)와 연결링크(540)가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이동되고, 연결링크(540)의 이동에 연동하여 회전링크(510)가 이동되면서 전방 롤러(500)를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이동시켜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높이조절 후에는 작동레버(550)를 좌측(높이조절판(560) 측)으로 회전시켜 작동레버(550)의 스톱퍼(551)를 높이조절판(560)의 일측 고정홈(561)에 삽입시켜 고정함으로써 높이 조절된 전방 롤러(500)를 고정시키게 된다.
게다가, 상기와 같이 높이 조절된 전방 롤러(500)는 파종지의 두둑 높이에 따라 상하로 유동되는데, 이때 전방 롤러(500)가 구비된 회전링크(510)가 고정바(570)의 관통부를 기준으로 지렛대와 같이 회전되면서 탄성부재(590)를 압축시키게 되고, 이에 발생되는 탄성부재(590)의 반력 즉 인장력이 회전된 회전링크(510)에 복원력으로 작용됨으로써 두둑의 높이에 따라 상하로 유동되던 전방 롤러(500)는 항상 파종지에 접한 상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 : 이앙기 10 : 마운팅부
11 : 견인고리 12 : 고정판
13 : 결합구 100 : 파종기
101 : 베이스프레임 110 : 호퍼
120 : 배종축 121 : 배종기어
122 : 배종판 123 : 배종컵
124 : 연동축 125 : 연동기어
130 : 중간컵 140 : 파종축
141 : 파종기어 142 : 회전판
143 : 연결축 144 : 파종컵
200 : 기어박스 201 : 삽입축
210 : PTO 축 220 : 커플러
230 : 기어축 231 : 구동기어
240 : 제 1 축 241,242 : 제 1,2 기어
243 : 제 1 타이밍기어 250 : 제 2 축
251 : 제 3 기어 252 : 제 2 타이밍기어
300 : 연결장치 310 : 상부 연결부
320 : 하부 연결부 321 : 견인축
322 : 고정판 323 : 고정축
324 : 연결관 325 : 조정브라켓
400 : 링볼트 410 : 너트
500 : 전방 롤러 510 : 회전링크
520 : 회전축 521,522 : 회전바
530 : 수직링크 540 : 연결링크
550 : 작동레버 551 : 스톱퍼
560 : 높이조절판 561 : 고정홈
570 : 고정바 571 : 조절구멍
572 : 고정핀 580 : 고정브라켓
590 : 탄성부재 600 : 후방 롤러
610 : 회전링크

Claims (9)

  1. 이앙기에 연결되어 이앙기의 동력을 전달받아 종자를 공급하는 배종부와, 종자를 파종하는 파종부가 동시에 작동되는 파종기에 있어서,
    이앙기의 PTO 장치와 연결되어 동력이 입력되는 PTO 축;
    PTO 축과 연결되어 연동되는 기어박스;
    기어박스와 연결되어 연동 회전되는 제 1 축;
    제 1 축과 연결되어 연동 회전되는 한편 파종컵을 회전시켜 종자를 파종하는 파종축; 및
    제 1 축과 연결되어 연동 회전되는 한편 배종컵을 회전시켜 종자를 파종컵으로 공급하는 배종축;을 포함하고,
    파종기에는 이앙기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장치가 구비되되,
    연결장치는 파종기로 종자를 공급하는 호퍼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상부 연결부; 및
    상부 연결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파종기에 결합되어 구비되고 그 전면은 이앙기와 결합 고정되는 하부 연결부;를 포함하며,
    연결장치의 하부 연결부는 기어박스에서 돌출되는 삽입축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관;
    이앙기에 걸림되어 견인되는 견인축;
    이앙기와 적어도 두 곳 이상이 결합되는 고정판; 및
    고정판과 이격되어 이앙기와 결합되는 고정축;을 포함하는 파종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 1 축에는 제 1 축과 함께 회전되는 타이밍기어가 고정되게 구비되고,
    배종축에는 이에 연결되어 연동 회전되는 제 2 축이 구비되며,
    제 2 축에는 제 1 축의 타이밍기어와 치합되는 타이밍기어가 고정되게 구비되어, 배종축과 파종축을 동시에 회전시키는 파종기.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파종기와 마주하는 연결장치에는 이격된 양 측판을 갖는 조정브라켓이 구비되고,
    조정브라켓의 양 측판에 관통 결합되는 한편 그 일단부가 파종기에 결합 고정되고 타단부에는 너트가 체결되는 링볼트가 구비되어, 링볼트에 너트가 체결 또는 풀어짐에 따라 연결장치가 회전되어 수평을 맞출 수 있는 파종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파종기는 그 전,후방에 각각 파종지에 멀칭된 비닐을 눌러 가압한 상태에서 파종할 수 있도록 한 전방 롤러와 후방 롤러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파종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전방 롤러는 파종기에 구성되는 높이조절수단에 의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되,
    높이조절수단은, 파종기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되는 회전축;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한편 회전축의 축방향으로는 회전축과 독립되게 단독 회전되는 작동레버;
    회전축에 상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링크; 및
    수직링크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한편 그 일측부에는 전방 롤러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되는 회전링크;를 포함하여,
    회전축이 정.역회전 됨에 따라 전방 롤러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구비되는 파종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파종기에 고정되는 한편 그 일측에는 다수의 고정홈이 상하로 형성되어 있는 높이조절판이 구비되고,
    작동레버에는 높이조절판의 고정홈에 출입되어 걸림 또는 해제되는 스톱퍼가 돌출 형성되는 파종기.
  9. 청구항 7에 있어서,
    회전링크 상부의 수직링크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고정브라켓;
    고정브라켓과 회전링크에 관통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정바; 및
    고정바에 끼워져 결합되고 그 양단부가 각각 고정브라켓과 회전링크에 접하여 구비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탄성부재가 회전링크를 탄력 지지하여 회전링크에 텐션을 부여하는 파종기.
KR1020160135995A 2016-10-19 2016-10-19 파종기 KR1018618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995A KR101861826B1 (ko) 2016-10-19 2016-10-19 파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995A KR101861826B1 (ko) 2016-10-19 2016-10-19 파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3103A KR20180043103A (ko) 2018-04-27
KR101861826B1 true KR101861826B1 (ko) 2018-05-29

Family

ID=62081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5995A KR101861826B1 (ko) 2016-10-19 2016-10-19 파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18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41695B (zh) * 2018-09-17 2023-11-17 中国农业大学 一种小麦精量播种的计量装置与方法
KR102408603B1 (ko) 2021-05-27 2022-06-15 토농 주식회사 잔디씨앗 파종홈 성형기구 및 파종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94690B2 (ja) * 1994-01-24 2004-02-09 八鹿鉄工株式会社 湛水直播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94690B2 (ja) * 1994-01-24 2004-02-09 八鹿鉄工株式会社 湛水直播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3103A (ko) 2018-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86313B2 (en) Dual material agricultural delivery system for seeder
JP4948043B2 (ja) 畝立て同時播種機
JP6040072B2 (ja) 直播機の覆土装置
US9179593B2 (en) Row unit of an agricultural implement with multiple locations for mounting a gauge wheel
US3951306A (en) Planter apparatus
US20140116306A1 (en) Two-row planter assembly
JP2013141427A (ja) 播種機
KR101861826B1 (ko) 파종기
JP2008022721A (ja) 施肥装置付き湛水直播機
KR20160007470A (ko) 마늘파종기
CN105659994A (zh) 一种气力式玉米精量免耕播种机
US5158411A (en) Seed planting device
KR20120064027A (ko) 다조 농용 작업기
KR101727638B1 (ko) 관리기 부착형 파종장치
JP3295512B2 (ja) マルチ同時播種機
KR102111298B1 (ko) 마늘 파종기
US3886875A (en) Planter apparatus
JP5451783B2 (ja) 播種機の動力伝達装置
CN104756650B (zh) 背负式免耕宽幅施肥播种机
KR101564891B1 (ko) 파종기용 레일고정장치
KR101545783B1 (ko) 트랙터용 파종기의 다짐롤러 완충구조
JP5667583B2 (ja) 播種装置
JP2017131114A (ja) 直播機における播種溝拡幅装置、及び当該直播機による大サイズの種子の播種方法
JP6120795B2 (ja) 水田作業機
US1181930A (en) Seed-dri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