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7377B1 - 파종기용 상토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파종기용 상토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7377B1
KR102387377B1 KR1020210142733A KR20210142733A KR102387377B1 KR 102387377 B1 KR102387377 B1 KR 102387377B1 KR 1020210142733 A KR1020210142733 A KR 1020210142733A KR 20210142733 A KR20210142733 A KR 20210142733A KR 102387377 B1 KR102387377 B1 KR 102387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top soil
spaced apart
planter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2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진섭
구기현
Original Assignee
구진섭
구기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진섭, 구기현 filed Critical 구진섭
Priority to KR1020210142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73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7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7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8Broadcast seeders; Seeders depositing seeds in rows
    • A01C7/085Broadcast seed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60Apparatus for preparing growth substrates or culture med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8Devices for filling-up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Devices for setting plants or seeds in pots
    • A01G9/081Devices for filling-up po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종기용 상토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파종기를 갖는 컨베이어의 파종기 하부에 이격 구비되어 육묘상자에 잉여 공급되어 하부로 낙하되는 상토를 회수함과 아울러 회수된 상토 및 대형백에 담겨 있는 상토를 파종기 상에 공급하는 파종기용 상토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종기의 하부에 이격 구비되며, 전후방으로 이격되어 각각 제1프레임이 구비되고, 제1프레임의 사이 양측에는 상호 이격되어 제1프레임 상에서 축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이송롤러가 구비되며, 이송롤러 외측에는 이송롤러 간의 상호 회전력을 동기화하는 컨베이어벨트가 구비되고, 이송롤러 사이에는 다수개가 상호 양측으로 이격되어 제1프레임 상에서 축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컨베이어벨트가 하부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는 벨트지지롤러가 구비되며, 제1프레임의 상부에는 파종기에서 낙하되는 상토를 포집하여 컨베이어벨트로 공급하는 제1호퍼가 구비되고, 제1프레임의 일측에는 각각 연장판이 구비되며, 연장판 사이에는 전후방이 각각 연장판 상에 고정됨과 아울러 타측에는 컨베이어벨트 방향으로 연장되는 솔을 갖는 상토이탈방지구가 구비되고, 제1프레임 각각의 하부 일측에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하부로 연장됨과 아울러 하부에는 내측으로 내입되는 고정홈이 각각 형성되는 고정판이 각각 구비되며, 제1프레임 각각의 하부 타측에는 바퀴를 갖는 제1이동바퀴가 구비되는 회수컨베이어와, 상기 회수컨베이어의 일측에 구비되며, 하부에는 타측이 개방 형성되어 회수된 상토를 회수컨베이어로부터 내측으로 공급받는 상토회수부가 구비되고, 상토회수부 상에는 전후방으로 축 연결되어 고정판의 고정홈이 걸림되는 연결축이 구비됨과 아울러 연결축의 양단에는 각각 제2이동바퀴가 구비되며, 상토회수부의 일측에는 내측에 수용가능한 공간이 형성됨과 아울러 양측이 개방 형성되고, 상부가 하부에 비해 회수컨베이어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토승강부가 구비되며, 상토승강부의 일측에는 타측이 상토승강부의 일측 하부와 연결됨과 아울러 상부가 개방 형성되고, 내측에 수용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는 제2호퍼가 구비되며, 상토승강부의 후방 상부에는 회전력을 공급하는 모터가 구비되고, 모터의 전방에는 상토승강부 내측 전후방으로 축 연결되어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음과 아울러 내측에는 전후방으로 상호 이격되는 한 쌍의 제1기어를 갖는 제1회전축이 구비되고, 제1회전축과 이격된 하부 상토승강부 상에는 전후방으로 축 연결됨과 아울러 내측에 전후방으로 상호 이격되어 제1기어로부터 한 쌍의 제1체인을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는 한 쌍의 제2기어를 갖는 제2회전축이 구비되며, 제2회전축의 전방 상에는 제2기어와 이격된 제3기어가 구비되고, 제2회전축의 상부에는 상토승강부 상에 축 연결됨과 아울러 전방에 상호 이격되어 다단으로 제3기어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4기어 및 제5 기어를 갖는 제3회전축이 구비되며, 제2호퍼 상에는 전후방으로 축 연결됨과 아울러 전방에 제6기어가 구비되어 제5기어로부터 제2체인을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4회전축이 구비되고, 제4회전축 상에는 외측으로 연장되어 뭉쳐진 상토를 파쇄하는 교반구가 구비되며, 제1체인 상에는 제1체인의 이동에 따라 상토를 상부로 이송하기 위해 구비됨과 아울러 다수개가 구비되어 등간격으로 제1체인 상에 연결되는 상토이송부재가 구비되고, 상토승강부의 타측 상부에는 상토이송부재에 의해 승강된 상토를 내측으로 공급받음과 아울러 타측이 파종기의 상부로 연장되어 상토를 파종기로 공급하는 배출구가 구비되며, 제4기어 및 이송롤러 상에는 제3체인이 구비되어 제4기어의 회전력을 이송롤러에 제공하는 상토공급기와, 상기 상토승강부 상에 구비되어 모터의 회전력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파종기용 상토 공급장치{Soil supply apparatus for seeding machine}
본 발명은 파종기용 상토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파종기 상에서 육묘상자로 공급되고 남은 잉여 상토를 회수하여 재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형 백에 담겨있는 상토를 작업자가 설정한 양으로 파종기에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파종기용 상토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논, 밭 등에 씨앗을 직파하여 농작물을 재배하였으나, 최근에는 작업성, 발육성, 내병성 및 내환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육묘상자에 파종하여 일정기간 생장시킨 뒤에 옮겨 심는 이식재배방법이 일반적이며, 이러한 육묘상자에 공급되는 상토는 상토제조회사로부터 톤 단위의 대형 상토백에 담겨진 상태로 구입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토제조회사로부터 구입한 상토는 상토백의 부피와 무게 때문에 파종기 직접 공급되지 못하고, 작업장 빈공간에 대형 상토백에 담겨 있는 상토를 쏟은 후에 작업자가 삽으로 퍼서 파종기에 공급하거나 작은 용기에 담아 공급하였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대형 상토백에 담겨있는 상토를 파종기에 직접 공급하지 못하고, 일단 상토백에서 쏟은 후에 작업자가 소량씩 공급하게 되므로 노동력의 소비가 많을 뿐만 아니라 파종기에 자체적으로 수납될 수 있는 상토의 양이 한정적이어서 파종작업이 중단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다수의 작업자가 계속해서 상토를 파종기에 공급해야 하였으며, 농촌사회의 인구가 감소하고 고령화된 현 농촌실정에서는 큰 문제가 아닐 수 없는 실정이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토(像土)가 담겨있는 대형 상토백이 얹혀지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을 지지하는 다리를 포함 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상부프레임 중앙에 구비되고, 하부로 내려가면서 직경이 작아지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단부에 연설되며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배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상토백의 개봉부를 통해 상토가 상기 가이드부로 유입되고, 유입된 상토는 상기 배출부를 통해 육묘상자용 파토(播土)기로 배출되는 상토배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기술이 등록특허공보 제10-0790005호에서와 같이 공지된 바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기술은 상토를 작업자가 원하는 일정한 양으로 지속 공급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상토백에서 상토가 원활히 배출되지 않을 시에는 육묘상자에 상토가 공급되지 않는 문제점 또한 있는 것이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기술은 파종기 상에서 육묘상자로 공급되고 남은 잉여 상토를 회수하여 재사용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바닥에 떨어진 상토를 수작업으로 재차 공급하여야 하는 문제점 또한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한 파종기용 상토 공급장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079000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파종기 상에서 육묘상자로 공급되고 남은 잉여 상토를 회수하여 재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형 백에 담겨있는 상토를 작업자가 설정한 양으로 파종기에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파종기용 상토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파종기를 갖는 컨베이어의 파종기 하부에 이격 구비되어 육묘상자에 잉여 공급되어 하부로 낙하되는 상토를 회수함과 아울러 회수된 상토 및 대형백에 담겨 있는 상토를 파종기 상에 공급하는 파종기용 상토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종기의 하부에 이격 구비되며, 전후방으로 이격되어 각각 제1프레임이 구비되고, 제1프레임의 사이 양측에는 상호 이격되어 제1프레임 상에서 축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이송롤러가 구비되며, 이송롤러 외측에는 이송롤러 간의 상호 회전력을 동기화하는 컨베이어벨트가 구비되고, 이송롤러 사이에는 다수개가 상호 양측으로 이격되어 제1프레임 상에서 축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컨베이어벨트가 하부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는 벨트지지롤러가 구비되며, 제1프레임의 상부에는 파종기에서 낙하되는 상토를 포집하여 컨베이어벨트로 공급하는 제1호퍼가 구비되고, 제1프레임의 일측에는 각각 연장판이 구비되며, 연장판 사이에는 전후방이 각각 연장판 상에 고정됨과 아울러 타측에는 컨베이어벨트 방향으로 연장되는 솔을 갖는 상토이탈방지구가 구비되고, 제1프레임 각각의 하부 일측에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하부로 연장됨과 아울러 하부에는 내측으로 내입되는 고정홈이 각각 형성되는 고정판이 각각 구비되며, 제1프레임 각각의 하부 타측에는 바퀴를 갖는 제1이동바퀴가 구비되는 회수컨베이어와, 상기 회수컨베이어의 일측에 구비되며, 하부에는 타측이 개방 형성되어 회수된 상토를 회수컨베이어로부터 내측으로 공급받는 상토회수부가 구비되고, 상토회수부 상에는 전후방으로 축 연결되어 고정판의 고정홈이 걸림되는 연결축이 구비됨과 아울러 연결축의 양단에는 각각 제2이동바퀴가 구비되며, 상토회수부의 일측에는 내측에 수용가능한 공간이 형성됨과 아울러 양측이 개방 형성되고, 상부가 하부에 비해 회수컨베이어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토승강부가 구비되며, 상토승강부의 일측에는 타측이 상토승강부의 일측 하부와 연결됨과 아울러 상부가 개방 형성되고, 내측에 수용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는 제2호퍼가 구비되며, 상토승강부의 후방 상부에는 회전력을 공급하는 모터가 구비되고, 모터의 전방에는 상토승강부 내측 전후방으로 축 연결되어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음과 아울러 내측에는 전후방으로 상호 이격되는 한 쌍의 제1기어를 갖는 제1회전축이 구비되고, 제1회전축과 이격된 하부 상토승강부 상에는 전후방으로 축 연결됨과 아울러 내측에 전후방으로 상호 이격되어 제1기어로부터 한 쌍의 제1체인을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는 한 쌍의 제2기어를 갖는 제2회전축이 구비되며, 제2회전축의 전방 상에는 제2기어와 이격된 제3기어가 구비되고, 제2회전축의 상부에는 상토승강부 상에 축 연결됨과 아울러 전방에 상호 이격되어 다단으로 제3기어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4기어 및 제5 기어를 갖는 제3회전축이 구비되며, 제2호퍼 상에는 전후방으로 축 연결됨과 아울러 전방에 제6기어가 구비되어 제5기어로부터 제2체인을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4회전축이 구비되고, 제4회전축 상에는 외측으로 연장되어 뭉쳐진 상토를 파쇄하는 교반구가 구비되며, 제1체인 상에는 제1체인의 이동에 따라 상토를 상부로 이송하기 위해 구비됨과 아울러 다수개가 구비되어 등간격으로 제1체인 상에 연결되는 상토이송부재가 구비되고, 상토승강부의 타측 상부에는 상토이송부재에 의해 승강된 상토를 내측으로 공급받음과 아울러 타측이 파종기의 상부로 연장되어 상토를 파종기로 공급하는 배출구가 구비되며, 제4기어 및 이송롤러 상에는 제3체인이 구비되어 제4기어의 회전력을 이송롤러에 제공하는 상토공급기와, 상기 상토승강부 상에 구비되어 모터의 회전력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지는 파종기용 상토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파종기용 상토 공급장치는 회수컨베이어로 인해 파종기 상에서 육묘상자로 공급되고 남은 잉여 상토를 회수하여 용이하게 재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형 백에 담겨있는 상토를 작업자가 모터를 제어부로 제어함으로써 상토의 양을 조절하여 파종기에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토의 뭉쳐짐으로 인해 파종기에 상토가 공급이 안되는 문제도 교반구에 의해 상토를 분쇄하여 용이하게 공급함으로써 해결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파종기용 상토 공급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파종기용 상토 공급장치의 일부분 개략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파종기용 상토 공급장치의 일부분 개략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파종기용 상토 공급장치의 일부분 개략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의한 파종기용 상토 공급장치는 파종기(2)를 갖는 컨베이어(4)의 파종기(2) 하부에 이격 구비되어 육묘상자에 잉여 공급되어 하부로 낙하되는 상토를 회수함과 아울러 회수된 상토 및 대형백에 담겨 있는 상토를 파종기(2) 상에 공급하는 파종기용 상토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종기(2)의 하부에 이격 구비되며, 전후방으로 이격되어 각각 제1프레임(10)이 구비되고, 제1프레임(10)의 사이 양측에는 상호 이격되어 제1프레임(10) 상에서 축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이송롤러(12)가 구비되며, 이송롤러(12) 외측에는 이송롤러(12) 간의 상호 회전력을 동기화하는 컨베이어벨트(14)가 구비되고, 이송롤러(12) 사이에는 다수개가 상호 양측으로 이격되어 제1프레임(10) 상에서 축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컨베이어벨트(14)가 하부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는 벨트지지롤러(16)가 구비되며, 제1프레임(10)의 상부에는 파종기(2)에서 낙하되는 상토를 포집하여 컨베이어벨트(14)로 공급하는 제1호퍼(18)가 구비되고, 제1프레임(10)의 일측에는 각각 연장판(20)이 구비되며, 연장판(20) 사이에는 전후방이 각각 연장판(20) 상에 고정됨과 아울러 타측에는 컨베이어벨트(14) 방향으로 연장되는 솔을 갖는 상토이탈방지구(22)가 구비되고, 제1프레임(10) 각각의 하부 일측에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하부로 연장됨과 아울러 하부에는 내측으로 내입되는 고정홈(24)이 각각 형성되는 고정판(26)이 각각 구비되며, 제1프레임(10) 각각의 하부 타측에는 바퀴를 갖는 제1이동바퀴(28)가 구비되는 회수컨베이어(30)와, 상기 회수컨베이어(30)의 일측에 구비되며, 하부에는 타측이 개방 형성되어 회수된 상토를 회수컨베이어(30)로부터 내측으로 공급받는 상토회수부(32)가 구비되고, 상토회수부(32) 상에는 전후방으로 축 연결되어 고정판(26)의 고정홈(24)이 걸림되는 연결축(34)이 구비됨과 아울러 연결축(34)의 양단에는 각각 제2이동바퀴(36)가 구비되며, 상토회수부(32)의 일측에는 내측에 수용가능한 공간이 형성됨과 아울러 양측이 개방 형성되고, 상부가 하부에 비해 회수컨베이어(30)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토승강부(38)가 구비되며, 상토승강부(38)의 일측에는 타측이 상토승강부(38)의 일측 하부와 연결됨과 아울러 상부가 개방 형성되고, 내측에 수용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는 제2호퍼(40)가 구비되며, 상토승강부(38)의 후방 상부에는 회전력을 공급하는 모터(42)가 구비되고, 모터(42)의 전방에는 상토승강부(38) 내측 전후방으로 축 연결되어 모터(42)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음과 아울러 내측에는 전후방으로 상호 이격되는 한 쌍의 제1기어(44)를 갖는 제1회전축(46)이 구비되고, 제1회전축(46)과 이격된 하부 상토승강부(38) 상에는 전후방으로 축 연결됨과 아울러 내측에 전후방으로 상호 이격되어 제1기어(44)로부터 한 쌍의 제1체인(48)을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는 한 쌍의 제2기어(50)를 갖는 제2회전축(52)이 구비되며, 제2회전축(52)의 전방 상에는 제2기어(50)와 이격된 제3기어(54)가 구비되고, 제2회전축(52)의 상부에는 상토승강부(38) 상에 축 연결됨과 아울러 전방에 상호 이격되어 다단으로 제3기어(54)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4기어(56) 및 제5 기어(58)를 갖는 제3회전축(60)이 구비되며, 제2호퍼(40) 상에는 전후방으로 축 연결됨과 아울러 전방에 제6기어(62)가 구비되어 제5기어(58)로부터 제2체인(64)을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4회전축(66)이 구비되고, 제4회전축(66) 상에는 외측으로 연장되어 뭉쳐진 상토를 파쇄하는 교반구(68)가 구비되며, 제1체인(48) 상에는 제1체인(48)의 이동에 따라 상토를 상부로 이송하기 위해 구비됨과 아울러 다수개가 구비되어 등간격으로 제1체인(48) 상에 연결되는 상토이송부재(70)가 구비되고, 상토승강부(38)의 타측 상부에는 상토이송부재(70)에 의해 승강된 상토를 내측으로 공급받음과 아울러 타측이 파종기(2)의 상부로 연장되어 상토를 파종기(2)로 공급하는 배출구(72)가 구비되며, 제4기어(56) 및 이송롤러(12) 상에는 제3체인(74)이 구비되어 제4기어(56)의 회전력을 이송롤러(12)에 제공하는 상토공급기(76)와, 상기 상토승강부(38) 상에 구비되어 모터(42)의 회전력 제어하는 제어부(78)로 이루어진다.
먼저, 파종기(2)를 갖는 컨베이어(4)의 파종기(2) 하부에 이격 구비되어 육묘상자에 잉여 공급되어 하부로 낙하되는 상토를 회수함과 아울러 회수된 상토 및 대형백에 담겨 있는 상토를 파종기(2) 상에 공급하는 파종기용 상토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종기(2)의 하부에 이격 구비되며, 전후방으로 이격되어 각각 제1프레임(1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프레임(10)의 사이 양측에는 상호 이격되어 제1프레임(10) 상에서 축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이송롤러(1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이송롤러(12)는 미도시된 후술되는 제3체인(74)을 통해 제4기어(56)로부터 회전력을 공급받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이송롤러(12) 외측에는 이송롤러(12) 간의 상호 회전력을 동기화하는 컨베이어벨트(14)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컨베이어벨트(14)가 이격된 내측에는 도 4에서와 같이 판형으로 형성되어 컨베이어벨트(14) 상의 상토를 제거하도록 구비됨과 아울러 전후방이 각각 사선방향으로 연장되며, 전후방 각각의 단부는 하부로 연장되어 제1프레임(10) 상에 고정되는 상토제거구(90)가 구비되어 컨베이어벨트(14)의 오작동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송롤러(12) 사이에는 다수개가 상호 양측으로 이격되어 제1프레임(10) 상에서 축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컨베이어벨트(14)가 하부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는 벨트지지롤러(16)가 구비되며, 제1프레임(10)의 상부에는 파종기(2)에서 낙하되는 상토를 포집하여 컨베이어벨트(14)로 공급하는 제1호퍼(18)가 구비되고, 제1프레임(10)의 일측에는 각각 연장판(20)이 구비되며, 연장판(20) 사이에는 전후방이 각각 연장판(20) 상에 고정됨과 아울러 타측에는 컨베이어벨트(14) 방향으로 연장되는 솔을 갖는 상토이탈방지구(2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프레임(10) 각각의 하부 일측에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하부로 연장됨과 아울러 하부에는 내측으로 내입되는 고정홈(24)이 각각 형성되는 고정판(26)이 각각 구비되며, 제1프레임(10) 각각의 하부 타측에는 바퀴를 갖는 제1이동바퀴(28)가 구비되는 회수컨베이어(3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고정판(26)에 형성되는 고정홈(24)은 후술되는 연결축(34) 상에 끼움 안착되어 회수컨베이어(30)가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회수컨베이어(30)의 일측에 구비되며, 하부에는 타측이 개방 형성되어 회수된 상토를 회수컨베이어(30)로부터 내측으로 공급받는 상토회수부(32)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상토회수부(32) 상에는 전후방으로 축 연결되어 고정판(26)의 고정홈(24)이 걸림되는 연결축(34)이 구비됨과 아울러 연결축(34)의 양단에는 각각 제2이동바퀴(36)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이동바퀴(28) 및 제2이동바퀴(36)로 인해 각각 회수컨베이어(30) 및 후술되는 상토공급기(76)의 이동이 용이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토회수부(32)의 일측에는 내측에 수용가능한 공간이 형성됨과 아울러 양측이 개방 형성되고, 상부가 하부에 비해 회수컨베이어(30)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토승강부(38)가 구비되며, 상토승강부(38)의 일측에는 타측이 상토승강부(38)의 일측 하부와 연결됨과 아울러 상부가 개방 형성되고, 내측에 수용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는 제2호퍼(4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2호퍼(40) 상에는 도 1에서와 같이 더욱 많은 상토를 수용하기 위해 제2호퍼(40)의 상부에 상하부가 개방 형성되어 상부로는 상토를 공급받음과 아울러 하부가 제2호퍼(40)의 내측 상부에 삽입되며, 각각의 모서리에는 하부로 연장되는 지지대(86)를 갖는 제3호퍼(88)가 구비되어 사용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토승강부(38)의 후방 상부에는 회전력을 공급하는 모터(4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모터(42)는 후술되는 제어부(78)의 제어에 의해 작동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모터(42)의 전방에는 상토승강부(38) 내측 전후방으로 축 연결되어 모터(42)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음과 아울러 내측에는 전후방으로 상호 이격되는 한 쌍의 제1기어(44)를 갖는 제1회전축(46)이 구비되고, 제1회전축(46)과 이격된 하부 상토승강부(38) 상에는 전후방으로 축 연결됨과 아울러 내측에 전후방으로 상호 이격되어 제1기어(44)로부터 한 쌍의 제1체인(48)을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는 한 쌍의 제2기어(50)를 갖는 제2회전축(52)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2회전축(52)의 전방 상에는 제2기어(50)와 이격된 제3기어(54)가 구비되고, 제2회전축(52)의 상부에는 상토승강부(38) 상에 축 연결됨과 아울러 전방에 상호 이격되어 다단으로 제3기어(54)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4기어(56) 및 제5 기어(58)를 갖는 제3회전축(6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2호퍼(40) 상에는 전후방으로 축 연결됨과 아울러 전방에 제6기어(62)가 구비되어 제5기어(58)로부터 제2체인(64)을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4회전축(66)이 구비되고, 제4회전축(66) 상에는 외측으로 연장되어 뭉쳐진 상토를 파쇄하는 교반구(68)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본 발명에서의 교반구(68)는 도 3에서와 같이 형성되는 것이나 뭉쳐진 상토를 파쇄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를 사용하여도 무방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체인(48) 상에는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제1체인(48)의 이동에 따라 상토를 상부로 이송하기 위해 구비됨과 아울러 다수개가 구비되어 등간격으로 제1체인(48) 상에 연결되는 상토이송부재(7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상토승강부(38)의 타측 상부에는 상토이송부재(70)에 의해 승강된 상토를 내측으로 공급받음과 아울러 타측이 파종기(2)의 상부로 연장되어 상토를 파종기(2)로 공급하는 배출구(72)가 구비되며, 제4기어(56) 및 이송롤러(12) 상에는 미도시된 제3체인(74)이 구비되어 제4기어(56)의 회전력을 이송롤러(12)에 제공하는 상토공급기(76)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상토승강부(38)의 양측에는 각각 커버(80)가 구비되며, 일측 커버(80)의 하부에는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일측 커버(80)와 연결되어 상토이송부재(70)를 통해 상부로 이동되는 상토의 양을 조절하는 조절커버(82)가 구비되어 사용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때, 상기 조절커버(82)는 커버(80) 상에서 작업자가 원하는 상토의 양에 따라 상하로 이동 고정되며, 이에, 상토이송부재(70)가 상토를 상부로 옮길 수 있는 양이 가변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상토승강부(38)의 일측에는 파종기(2)의 상부에 잔존하는 상토의 양을 측정하여 제어부(78)로 신호를 전달하는 센서(84)가 구비되어 사용됨이 바람직하며, 센서(84)의 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78)는 모터(42)의 작동을 센서(84)의 신호를 전달받은 후로부터 5~30초 이후에 작동하도록 제어함으로써, 모터(42)가 파종기(2)의 상부에 잔존하는 상토의 양에 따라 수시로 작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모터(42)의 수명을 증대시킴은 물론이거니와 파종기(2)의 상부에 상토가 과잉 공급되는 것 또한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상토승강부(38) 상에 구비되어 모터(42)의 회전력 제어하는 제어부(78)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파종기용 상토 공급장치는 회수컨베이어(30)로 인해 파종기(2) 상에서 육묘상자로 공급되고 남은 잉여 상토를 회수하여 용이하게 재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형 백에 담겨있는 상토를 작업자가 모터(42)를 제어부로 제어함으로써 상토의 양을 조절하여 파종기(2)에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토의 뭉쳐짐으로 인해 파종기(2)에 상토가 공급이 안되는 문제도 교반구(68)에 의해 상토를 분쇄하여 용이하게 공급함으로써 해결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2 : 파종기 4 : 컨베이어
10 : 제1프레임 12 : 이송롤러
14 : 컨베이어벨트 16 : 벨트지지롤러
18 : 제1호퍼 20 : 연장판
22 : 상토이탈방지구 24 : 고정홈
26 : 고정판 28 : 제1이동바퀴
30 : 회수컨베이어 32 : 상토회수부
34 : 연결축 36 : 제2이동바퀴
38 : 상토승강부 40 : 제2호퍼
42 : 모터 44 : 제1기어
46 : 제1회전축 48 : 제1체인
50 : 제2기어 52 : 제2회전축
54 : 제3기어 56 : 제4기어
58 : 제5기어 60 : 제3회전축
62 : 제6기어 64 : 제2체인
66 : 제4회전축 68 : 교반구
70 : 상토이송부재 72 : 배출구
74 : 제3체인 76 : 상토공급기
78 : 제어부 80 : 커버
82 : 조절커버 84 : 센서
86 : 지지대 88 : 제3호퍼
90 : 상토제거구

Claims (6)

  1. 파종기(2)를 갖는 컨베이어(4)의 파종기(2) 하부에 이격 구비되어 육묘상자에 잉여 공급되어 하부로 낙하되는 상토를 회수함과 아울러 회수된 상토 및 대형백에 담겨 있는 상토를 파종기(2) 상에 공급하는 파종기용 상토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종기(2)의 하부에 이격 구비되며, 전후방으로 이격되어 각각 제1프레임(10)이 구비되고, 제1프레임(10)의 사이 양측에는 상호 이격되어 제1프레임(10) 상에서 축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이송롤러(12)가 구비되며, 이송롤러(12) 외측에는 이송롤러(12) 간의 상호 회전력을 동기화하는 컨베이어벨트(14)가 구비되고, 이송롤러(12) 사이에는 다수개가 상호 양측으로 이격되어 제1프레임(10) 상에서 축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컨베이어벨트(14)가 하부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는 벨트지지롤러(16)가 구비되며, 제1프레임(10)의 상부에는 파종기(2)에서 낙하되는 상토를 포집하여 컨베이어벨트(14)로 공급하는 제1호퍼(18)가 구비되고, 제1프레임(10)의 일측에는 각각 연장판(20)이 구비되며, 연장판(20) 사이에는 전후방이 각각 연장판(20) 상에 고정됨과 아울러 타측에는 컨베이어벨트(14) 방향으로 연장되는 솔을 갖는 상토이탈방지구(22)가 구비되고, 제1프레임(10) 각각의 하부 일측에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하부로 연장됨과 아울러 하부에는 내측으로 내입되는 고정홈(24)이 각각 형성되는 고정판(26)이 각각 구비되며, 제1프레임(10) 각각의 하부 타측에는 바퀴를 갖는 제1이동바퀴(28)가 구비되는 회수컨베이어(30);
    상기 회수컨베이어(30)의 일측에 구비되며, 하부에는 타측이 개방 형성되어 회수된 상토를 회수컨베이어(30)로부터 내측으로 공급받는 상토회수부(32)가 구비되고, 상토회수부(32) 상에는 전후방으로 축 연결되어 고정판(26)의 고정홈(24)이 걸림되는 연결축(34)이 구비됨과 아울러 연결축(34)의 양단에는 각각 제2이동바퀴(36)가 구비되며, 상토회수부(32)의 일측에는 내측에 수용가능한 공간이 형성됨과 아울러 양측이 개방 형성되고, 상부가 하부에 비해 회수컨베이어(30)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토승강부(38)가 구비되며, 상토승강부(38)의 일측에는 타측이 상토승강부(38)의 일측 하부와 연결됨과 아울러 상부가 개방 형성되고, 내측에 수용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는 제2호퍼(40)가 구비되며, 상토승강부(38)의 후방 상부에는 회전력을 공급하는 모터(42)가 구비되고, 모터(42)의 전방에는 상토승강부(38) 내측 전후방으로 축 연결되어 모터(42)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음과 아울러 내측에는 전후방으로 상호 이격되는 한 쌍의 제1기어(44)를 갖는 제1회전축(46)이 구비되고, 제1회전축(46)과 이격된 하부 상토승강부(38) 상에는 전후방으로 축 연결됨과 아울러 내측에 전후방으로 상호 이격되어 제1기어(44)로부터 한 쌍의 제1체인(48)을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는 한 쌍의 제2기어(50)를 갖는 제2회전축(52)이 구비되며, 제2회전축(52)의 전방 상에는 제2기어(50)와 이격된 제3기어(54)가 구비되고, 제2회전축(52)의 상부에는 상토승강부(38) 상에 축 연결됨과 아울러 전방에 상호 이격되어 다단으로 제3기어(54)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4기어(56) 및 제5 기어(58)를 갖는 제3회전축(60)이 구비되며, 제2호퍼(40) 상에는 전후방으로 축 연결됨과 아울러 전방에 제6기어(62)가 구비되어 제5기어(58)로부터 제2체인(64)을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4회전축(66)이 구비되고, 제4회전축(66) 상에는 외측으로 연장되어 뭉쳐진 상토를 파쇄하는 교반구(68)가 구비되며, 제1체인(48) 상에는 제1체인(48)의 이동에 따라 상토를 상부로 이송하기 위해 구비됨과 아울러 다수개가 구비되어 등간격으로 제1체인(48) 상에 연결되는 상토이송부재(70)가 구비되고, 상토승강부(38)의 타측 상부에는 상토이송부재(70)에 의해 승강된 상토를 내측으로 공급받음과 아울러 타측이 파종기(2)의 상부로 연장되어 상토를 파종기(2)로 공급하는 배출구(72)가 구비되며, 제4기어(56) 및 이송롤러(12) 상에는 제3체인(74)이 구비되어 제4기어(56)의 회전력을 이송롤러(12)에 제공하는 상토공급기(76);
    상기 상토승강부(38) 상에 구비되어 모터(42)의 회전력 제어하는 제어부(78);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용 상토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토승강부(38)의 양측에는 각각 커버(80)가 구비되며, 일측 커버(80)의 하부에는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일측 커버(80)와 연결되어 상토이송부재(70)를 통해 상부로 이동되는 상토의 양을 조절하는 조절커버(82)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용 상토 공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토승강부(38)의 일측에는 파종기(2)의 상부에 잔존하는 상토의 양을 측정하여 제어부(78)로 신호를 전달하는 센서(84)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용 상토 공급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호퍼(40)의 상부에는 상하부가 개방 형성되어 상부로는 상토를 공급받음과 아울러 하부가 제2호퍼(40)의 내측 상부에 삽입되며, 각각의 모서리에는 하부로 연장되는 지지대(86)를 갖는 제3호퍼(88)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용 상토 공급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벨트(14)가 이격된 내측에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컨베이어벨트(14) 상의 상토를 제거하도록 구비됨과 아울러 전후방이 각각 사선방향으로 연장되며, 전후방 각각의 단부는 하부로 연장되어 제1프레임(10) 상에 고정되는 상토제거구(90)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용 상토 공급장치.
KR1020210142733A 2021-10-25 2021-10-25 파종기용 상토 공급장치 KR102387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2733A KR102387377B1 (ko) 2021-10-25 2021-10-25 파종기용 상토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2733A KR102387377B1 (ko) 2021-10-25 2021-10-25 파종기용 상토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7377B1 true KR102387377B1 (ko) 2022-04-15

Family

ID=81211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2733A KR102387377B1 (ko) 2021-10-25 2021-10-25 파종기용 상토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737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0005B1 (ko) 2006-09-28 2008-01-02 (주)렉셈 상토공급장치
KR101592170B1 (ko) * 2015-10-19 2016-02-05 구진섭 파종기용 복토장치
KR101857409B1 (ko) * 2018-03-13 2018-05-11 구진섭 파종기용 잉여 복토 회수장치
KR101890552B1 (ko) * 2018-04-26 2018-08-21 구진섭 파종기용 상토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0005B1 (ko) 2006-09-28 2008-01-02 (주)렉셈 상토공급장치
KR101592170B1 (ko) * 2015-10-19 2016-02-05 구진섭 파종기용 복토장치
KR101857409B1 (ko) * 2018-03-13 2018-05-11 구진섭 파종기용 잉여 복토 회수장치
KR101890552B1 (ko) * 2018-04-26 2018-08-21 구진섭 파종기용 상토 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0552B1 (ko) 파종기용 상토 공급장치
US3951306A (en) Planter apparatus
CN205017828U (zh) 带有玉米籽粒清选机构的小型玉米播种机
JP2013141427A (ja) 播種機
KR20100087875A (ko) 육모상자용 흙공급장치
CN109156126A (zh) 一种播种均匀的农用播种机
KR102387377B1 (ko) 파종기용 상토 공급장치
KR200219524Y1 (ko) 트랙터 견인용 파종기
KR101298212B1 (ko) 모종 식재장치
CN107396662A (zh) 一种小麦玉米两用智能精准施肥播种机
JP6666833B2 (ja) 播種機
CN217428670U (zh) 一种牡丹种子自动播种机
CN105075467A (zh) 带有玉米籽粒清选机构的小型玉米播种机
KR102403968B1 (ko) 기어박스를 갖는 마늘 파종기
KR20010035185A (ko) 직립형 마늘 파종기
KR100790005B1 (ko) 상토공급장치
US1618958A (en) Contour cane-planting machine
JP6718572B2 (ja) 播種機
JP4662836B2 (ja) 播種装置
CN207269335U (zh) 一种小麦玉米两用智能精准施肥播种机
JP2010142132A (ja) 野菜移植機
CN216491918U (zh) 一种水稻播种机的下秧盘装置
KR20160022063A (ko) 볍씨 선별 및 파종기
KR102271385B1 (ko) 모판 이송 하역장치
JP2016123352A (ja) 施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