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6218B1 - 육묘상자 및 이의 투입장치 - Google Patents

육묘상자 및 이의 투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6218B1
KR101886218B1 KR1020160173691A KR20160173691A KR101886218B1 KR 101886218 B1 KR101886218 B1 KR 101886218B1 KR 1020160173691 A KR1020160173691 A KR 1020160173691A KR 20160173691 A KR20160173691 A KR 20160173691A KR 101886218 B1 KR101886218 B1 KR 101886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ing
roller
frame
feed roller
f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3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4920A (ko
Inventor
정지현
Original Assignee
정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지현 filed Critical 정지현
Priority to KR1020160173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6218B1/ko
Publication of KR20170004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9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6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6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3Seed or shoot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9Handling or transporting of soil blocks or seedlin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So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육묘상자 및 이의 투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흙과 씨앗이 공급되어 파종되는 본체; 본체의 외주면 상단부에 외향 돌출되게 형성되는 상부 플랜지; 본체의 장변에 형성된 상부 플랜지의 상면에 상향 돌출되게 형성되는 가이드레일; 및 상부 플랜지 하부의 본체 외주면에 외향 돌출되게 형성되어, 적층된 상부 본체의 가이드레일이 그 상면에 안착되어 구비되는 하부 플랜지;를 포함하는 육묘상자를 제공하고, 이 육묘상자를 파종기 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롤러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는 베이스프레임; 베이스프레임 상에 구비되고, 그 내부에는 육묘상자가 적층된 상태로 구비되는 투입프레임; 투입프레임 하부의 베이스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투입프레임에 적층된 육묘상자를 하나씩 차례로 인출시켜 공급하는 투입롤러; 투입프레임 하부의 베이스프레임에 투입롤러보다 높게 위치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투입프레임 내에 적층된 육묘상자를 경사지게 구비하여 공급하는 공급롤러; 및 공급롤러 및 투입롤러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육묘상자 투입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육묘상자 및 이의 투입장치{Seeding box and loading apparatus}
본 발명은 육묘상자 및 이의 투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씨를 파종하기 위한 육묘상자를 파종기 측으로 하나씩 차례로 자동 공급하는 육묘상자 및 이의 투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도작(水稻作, 벼농사)에 사용되는 수도용 볍씨 등과 같은 논작물과, 양파나 파 등과 같은 밭작물을 경작하기 위해 조성한 이랑에 종자의 파종과 추비를 간편하고 정확히 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파종기를 사용한다.
이러한 파종기는 육묘상자를 투입하여 그 육묘상자 내에 흙과 씨앗을 공급한다.
이때, 파종기는 연속적으로 육묘상자가 공급되도록 해야 하는데, 하나씩 작업되는 공정상 작업자가 손으로 공급 측에서부터 하나씩 공급하여 작업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으로 작업하게 되면, 작업자 한 명이 늘 그 육묘상자의 공급위치에 있어야 하므로 일손이 부족한 농촌 현실에 적합하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종래에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22866호(이하 '선행기술문헌1'이라 한다)와,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22867호(이하 '선행기술문헌2'라 한다)에서 파종기용 육묘상자의 공급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이와 같이 제시된 선행기술문헌1,2에서는, 프레임 위에 구비된 육묘상자적층부재에 내에 다수의 육묘상자가 적층되되, 적층된 육묘상자는 육묘상자적층부재의 전면부에 경사지게 구비된 육묘상자지지부에 의해서 경사진 상태로 적층되어 구비된다.
이와 같이 육묘상자적층부재 내에 경사진 상태로 적층된 육묘상자는 프레임과 육묘상자지지부 사이에 이격되게 형성된 출구를 통해 배출되어 파종기로 공급되는 것이다.
한편, 육묘상자적층부재 내에 적층되는 육묘상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의 플레이트에서 그 중앙부가 함몰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테두리부(11)가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육묘상자(200)의 하면 양측에는 하향 돌출된 복수의 결합돌부(12)가 형성되고, 결합돌부(12)에 대응한 육묘상자(200)의 테두리부(11) 상면 양측에는 결합돌부(12)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복수의 결합홈부(13)가 형성된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결합돌부(12)가 테두리부(11) 하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테두리부(11) 상면의 결합홈부(13)에 삽입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육묘상자(200)의 적층시는 상부 육묘상자(200)의 결합돌부(12)가 하부 육묘상자(200)의 결합홈부(13)에 삽입된 상태로 적층되어 구비된다.
한편, 도 1에서와 같이, 결합돌부(12)와 결합홈부(13)가 결합된 상태로 적층된 육묘상자(200)는 선행기술문헌1,2에 개시된 육묘상자적층부재 내에 구비된 상태에서 하부의 육묘상자(200)가 이송롤러에 의해 육묘상자적층부재의 출구를 통해 이송되는데, 이때 이송롤러에 의해 이송되는 하부의 육묘상자(200)는 그 상면의 결합홈부(13)에 상부 육묘상자(200)의 결합돌부(12)가 삽입되어 있으므로 결합홈부(13)가 결합돌부(12)에 걸림되므로 인해 육묘상자(200)의 이송이 원활치 못하게 되고, 이로 인해 육묘상자(200)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육묘상자의 결합홈부는 육묘상자의 내주연 측으로는 개구되어 있지만, 외주연 측으로 막혀 있기 때문에, 결합된 결합돌부와 결합홈부를 상하로 이격시켜 분리하지 않는 한, 육묘상자가 적층된 상태에서는 결합돌부와 결합홈부가 걸림되므로 인해 적층된 육묘상자를 하나씩 차례로 수평(육묘상자의 적층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이동시킬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결합돌부와 결합홈부가 서로 결합되어 적층되는 육묘상자는 적층된 육묘상자를 자동 공급하는데에 있어 많은 어려움이 따르고, 육묘상자의 자동 공급장치가 매우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육묘상자 및 육묘상장의 공급장치에 대한 기술은 아래의 선행기술문헌들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22866호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22867호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육묘상자를 단순한 구조로 규격화하여 상,하의 육묘상자가 얹혀진 상태로만 적층되게 구비함으로써 육묘상자를 하나씩 차례로 용이하게 이송시켜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육묘상자 및 이의 투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파종기 측으로 차례로 공급되는 육묘상자의 이송이 일정시간 동안 정지되면, 이를 오작동으로 판단하여 투입장치의 작동을 중지시키도록 한 육묘상자 및 이의 투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육묘상자는, 내부에 흙과 씨앗이 공급되어 파종되는 본체; 본체의 외주면 상단부에 외향 돌출되게 형성되는 상부 플랜지; 본체의 장변에 형성된 상부 플랜지의 상면에 상향 돌출되게 형성되는 가이드레일; 및 상부 플랜지 하부의 본체 외주면에 외향 돌출되게 형성되어, 적층된 상부 본체의 가이드레일이 그 상면에 안착되어 구비되는 하부 플랜지;를 포함한다.
또,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육묘상자 투입장치는, 상기와 같은 육묘상자를 적층되게 구비한 상태에서 육묘상자를 하나씩 차례로 이송시켜 파종기로 공급하는 육묘상자 투입장치로서, 육묘상자를 파종기 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롤러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는 베이스프레임; 베이스프레임 상에 구비되고, 그 내부에는 육묘상자가 적층된 상태로 구비되는 투입프레임; 투입프레임 하부의 베이스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투입프레임에 적층된 육묘상자를 하나씩 차례로 인출시켜 공급하는 투입롤러; 투입프레임 하부의 베이스프레임에 투입롤러보다 높게 위치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투입프레임 내에 적층된 육묘상자를 경사지게 구비하여 공급하는 공급롤러; 및 공급롤러 및 투입롤러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한다.
그리고, 공급롤러와 투입롤러, 이송롤러에는 각각의 스프로킷휠이 구비되고, 각 스프로킷휠은 체인으로 연결되어 연동 회전되되, 이송롤러, 투입롤러, 공급롤러 순으로 갈수록 롤러의 직경이 크게 구비되어, 이송롤러, 투입롤러, 공급롤러 순으로 갈수록 그 회전속도가 더 빠르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공급롤러와 투입롤러, 이송롤러에는 각각의 스프로킷휠이 구비되고, 각 스프로킷휠은 체인으로 연결되어 연동 회전되되, 이송롤러의 스프로킷휠, 투입롤러의 스프로킷휠, 공급롤러의 스프로킷휠 순으로 갈수록 스프로킷휠의 직경이 작게 구비되어, 이송롤러, 투입롤러, 공급롤러 순으로 갈수록 그 회전속도가 더 빠르게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공급롤러는 육묘상자와 접하는 그 외주면에 철이나 우레탄이 도포되어 형성되고, 투입롤러는 그 외주면에 고무가 도포되어 형성될 수 있다.
게다가, 베이스프레임에는 공급롤러와 연동되는 브러쉬롤러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공급롤러의 외주면을 청소할 수 있고, 공급롤러와 브러쉬롤러는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게 구비되어, 접촉면에서의 마찰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투입프레임에는 투입프레임에서 인출되어 이송되는 육묘상자를 검출하는 리미트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고, 리미트스위치에서 이송되는 육묘상자가 일정시간 이상 감지되면, 투입장치의 작동을 중지시키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투입프레임의 각 코너부위에는 투입프레임 내에 적층된 육묘상자를 지지 및 가이드하는 수직프레임이 각각 구비되고, 수직프레임 중 일측편의 수직프레임은 반대편의 수직프레임보다 낮은 높이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각 수직프레임의 내측에는 수직프레임의 각 면에 대응한 가이드봉이 각각 구비되고, 가이드봉은 그 단부가 수직프레임의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외향 절곡된 절곡부로 형성되어, 육묘상자를 가이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육묘상자 및 이의 투입장치에 따르면, 육묘상자를 가이드레일과, 가이드레일에 안착되어 접하는 플랜지를 갖는 단순한 구조로 규격화하는 한편 육묘상자가 가이드레일과 플랜지의 접촉만으로 적층되게 구비됨으로써 적층된 육묘상자가 자동으로 분리될 뿐 아니라 자동 분리된 육묘상자를 차례로 인출 이송시켜 파종기로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투입장치의 투입부에서 파종기 측으로 차례로 공급되는 육묘상자가 일정시간 동안 이송이 정지되면 투입장치의 작동을 중지시켜 롤러의 마모 및 투입장치의 손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육묘상자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육묘상자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육묘상자의 적층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육묘상자 투입장치의 일측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육묘상자 투입장치의 타측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투입장치의 투입부에 육묘상자가 적층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투입장치에서 육묘상자가 공급되는 과정을 보인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육묘상자 및 육묘상자를 파종기로 공급하는 투입장치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육묘상자(2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의 플레이트 중앙부가 함몰된 박스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내부에 흙과 씨앗을 공급하여 파종할 수 있는 본체(210)와, 본체(210)의 외주면 상단부에 외향 돌출되게 형성되는 상부 플랜지(220)와, 본체(210)의 장변(긴 변)(L)에 형성된 상부 플랜지(220)의 상면에 상향 돌출되게 형성되는 가이드레일(221)과, 상부 플랜지(220)와 이격된 본체(210) 하부의 장변(L) 외주면에 외향 돌출되게 형성되어, 적층된 상부 본체(210)의 가이드레일(221)이 그 상면에 안착되어 구비되는 하부 플랜지(230)를 포함한다.
한편, 상부 플랜지(220)는 본체(210)의 외주면 상단부에 원주 방향을 따라 외향 돌출되게 형성되고, 하부 플랜지(230)는 상부 플랜지(220)와 이격된 본체(210) 하부의 외주면 양 장변(L) 측에서만 상부 플랜지(220)와 평행하도록 외향 돌출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 플랜지(220)의 양측 장변(L)의 상면에는 장변(L)의 길이를 따라 돌출되는 가이드레일(221)이 각각 형성되고, 이러한 가이드레일(221)은 상부 플랜지(220)의 상면에 다양한 형태와 구조로 돌출 형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가이드레일(221)을 삼각형상 또는 원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즉, 가이드레일(221)을 삼각형상 또는 원형으로 형성하면, 적층된 육묘상자(200) 사이에서 하부 육묘상자(200)의 가이드레일(221) 위에 상부 육묘상자(200)의 하부 플랜지(230)가 선접촉된 상태로 적층됨으로써 하부 육묘상자(200)의 인출시 마찰 저항이 최소화되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형성된 육묘상자(200)는 하부 육묘상자(200)의 가이드레일(221) 위에 상부 육묘상자(200)의 하부 플랜지(230)가 선접촉된 상태로 안착되어 적층됨으로써 하부 육묘상자(200)의 공급시 하부 육묘상자(200)의 가이드레일(221)이 상부 육묘상자(200)의 하부 플랜지(230)에 접한 상태에서 슬라이드 이동되어 분리되므로 상부 육묘상자(200)와의 간섭없이 하부 육묘상자(200)를 간편하게 인출시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부 플랜지(220)의 양측 단변(짧은 변)(l)의 하면에는 작업자가 육묘상자(200)를 용이하게 파지하여 운반할 수 있도록 된 파지부(240)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육묘상자 투입장치(10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육묘상자(200)를 적층된 상태로 구비하여 적층된 육묘상자(200)를 하나씩 차례로 인출시켜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육묘상자 투입장치(100)는, 육묘상자(200)를 파종기 측으로 이송시키는 다수의 이송롤러(112)가 일정 간격마다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는 베이스프레임(110)과, 베이스프레임(110) 상에 구비되는 한편 그 내부에는 육묘상자(200)가 적층된 상태로 구비되어 하부의 육묘상자(200)부터 하나씩 차례로 인출시켜 파종기 측으로 공급하는 투입부(150)를 포함한다.
베이스프레임(110)은, 복수의 수평한 프레임이 나란하게 구비되고, 양 프레임 사이에는 복수의 이송롤러(112)가 일정 간격마다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복수의 이송롤러(112)가 하나의 회전축(111)에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되게 구비된다.
이와 같이 회전축(111)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이송롤러(112)는 육묘상자(200)의 하면에 접하여 육묘상자(200)를 이송시키는 바, 본 실시예에서는 외주면에 요철이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이송롤러(112)를 일례로 예시하였지만, 이에 국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게다가, 베이스프레임(110) 외측으로 돌출되는 회전축(111)의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는 후술될 구동모터(120)의 동력을 이송롤러(112)로 전달하기 위한 스프로킷휠(111a)이 구비되고, 이 스프로킷휠(111a)은 회전축(111)에 의해 이송롤러(112)와 같이 회전된다.
그리고, 베이스프레임(110)의 상면 양측에는 이송되는 육묘상자(200)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113)이 각각 구비된다.
또한, 베이스프레임(110)의 일단부에는 구동모터(120)가 구비되고, 구동모터(120)의 일단부에는 구동모터(120)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구동스프로킷휠(121)이 구비되며, 이 구동스프로킷휠(121)은 후술될 투입부(150) 하부의 투입축(191) 중 일측의 투입축에 고정되어 구비되는 스프로킷휠(192)과 체인(140)으로 연결되어 동력전달이 가능하게 되고, 나머지 투입축(191)과 회전축(111)들도 또 다른 체인(140)으로 연결되어 동력전달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구동모터(120)가 작동되면, 구동스프로킷휠(121)과 체인(140), 스프로킷휠(192)을 매개로 하여 투입부(150) 하부의 투입축(191)들이 연동 회전되고, 이와 같이 회전되는 투입축(191)들은 모두 동일한 방향을 회전된다.
그리고, 투입부(150)와 파종기 사이에 구비되는 회전축(111)들은 2개 또는 3개를 한 개조로 묶어 베이스프레임(110)의 양측에서 각각 교번되게 체인(140)으로 연결한다. 이와 같이 연결된 회전축(111)들은 구동모터(120)의 동력이 각 스프로킷휠(111a)(121)(192)과 체인(140)을 통해 전달되어 연동 회전될 수 있다. 특히, 3개 이상의 회전축(111)이 연결된 부위에서는 체인(140)이 직접 걸림된 양측의 회전축(111)은 구동모터(120)의 동력에 의해 회전되지만, 양 회전축(111) 사이에 위치한 회전축(111)은 아이들 상태로서 이송되는 육묘상자(200)와의 마찰력에 의해 회전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작용하는 마찰력과 후술될 기어비 또는 롤러비 등에 의해 투입부(150)의 투입롤러(190)보다 이송롤러(112)의 회전속도가 느려 투입부(150) 측에서 파종기 측으로 이송되는 육묘상자(200)의 이송속도가 느려지므로 파종기 내로 공급되는 육묘상자(200)는 서로 밀착되어 접한 상태로 차례로 공급됨으로써 육묘상자(200)에 안정적인 파종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구동모터(120)가 구비된 베이스프레임(110)의 일단부 상면에는 적층된 육묘상자(200)를 하나씩 인출시켜 공급하는 투입부(150)가 구성된다.
투입부(150)는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110)의 상면에 고정되게 구비되고 그 내부에 육묘상자(200)가 적층된 상태로 구비되는 투입프레임(160)을 포함한다.
투입프레임(160)은 그 상,하면이 개구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투입프레임(160)의 상단부 각 코너부에는 투입프레임(160) 내에 적층되는 육묘상자(200)를 가이드하는 한편 육묘상자(200)의 이탈을 방지하는 수직프레임(162)(162a)이 각각 돌출 형성된다.
이 수직프레임(162)(162a)은 육묘상자(200)의 코너부에 대응한 "ㄱ"자 또는 "ㄴ"자 형상으로 절곡된 프레임으로서, 육묘상자(200)의 코너부와 접하여 투입프레임(160)에서 하강하는 육묘상자(2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4개의 수직프레임(162)(162a) 중 일측편의 수직프레임(162a)은 반대편의 수직프레임(162)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됨으로써, 육묘상자(200)를 낮은 수직프레임(162a) 측으로 공급하면 투입프레임(160) 내에 육묘상자(200)를 간편하게 적층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ㄱ"자 또는 "ㄴ"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수직프레임(162)(162a)의 내측면에는 수직프레임(162)(162a)의 각 면에 대응한 가이드봉(164)(164a)이 각각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가이드봉(164)(164a)은 2개조가 한 쌍으로 하나의 수직프레임(162)(162a) 양 내측면에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가이드봉(164)(164a)은 그 상단부가 해당 수직프레임(162)(162a)의 상부로 더 돌출되고, 수직프레임(162)(162a)의 상부로 돌출된 가이드봉(164)(164a)의 상단부는 외향(수직프레임(162)(162a)의 외측 방향) 절곡된 절곡부(164-1)(164a-1)로 형성된다.
따라서, 가이드봉(164)(164a)의 절곡부(164-1)(164a-1)에 의해서 육묘상자(200)가 투입되는 투입프레임(160)의 입구부 직경이 더 넓어지는 효과가 있으므로 육묘상자(200)의 투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투입된 육묘상자(200)의 하강시는 환봉으로 이루어진 가이드봉(164)(164a)의 특성상 육묘상자(200)와 가이드봉(164)(164a) 간의 접촉면적이 극소화되어 마찰 저항이 최소화됨으로써 육묘상자(200)는 가이드봉(164)(164a)에 의해 원활하면서도 안정적으로 하강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투입프레임(160) 하부의 베이스프레임(110)에는 다수의 투입롤러(190)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투입프레임(160)에 적층된 육묘상자(200)를 하나씩 인출시켜 파종기 측으로 차례로 이송시켜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투입프레임(160) 하부의 베이스프레임(110)에는 투입프레임(160) 내에 적층된 육묘상자(200)를 하부 육묘상자(200)부터 하나씩 차례로 이송시켜 공급하는 다수의 투입롤러(190)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투입롤러(190)와 이격된 투입프레임(160) 내의 베이스프레임(110)에는 투입롤러(190)보다 높게 위치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투입프레임(160) 내에 적층된 육묘상자(200) 중 하부의 육묘상자(200)를 투입프레임(160)에서 인출시켜 공급하는 공급롤러(170)가 구비된다.
따라서, 투입롤러(190)보다 높게 구비되는 공급롤러(170)에 의해서 투입프레임(160)에 적층된 육묘상자(200)를 경사진 상태로 적층됨으로써 상,하 육묘상자(200)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공급롤러(170)에 의해 투입프레임(160) 내에 적층된 육묘상자(200)는 선단부보다 후단부가 위로 들려 경사진 상태로 적층되어 구비되고, 이와 같이 적층된 육묘상자(200)는 하부 육묘상자(200)의 가이드레일(221) 위에 상부 육묘상자(200)의 하부 플랜지(230)가 안착되어 선접촉된 상태로 경사지게 적층됨으로써 공급롤러(170)에 의해 하부 육묘상자(200)가 상부 육묘상자(200)와 간섭없이 자연스럽게 슬라이드 이동되어 분리되면서 투입프레임(160)에서 인출되어 공급된다.
이러한 투입롤러(190)와 공급롤러(170)는 베이스프레임(110)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투입축(191)과 공급축(171)에 고정되게 구비되어 일체로 회전 구동된다.
그리고, 각 투입축(191)에는 복수의 투입롤러(190)가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채로 고정되게 구비되고, 공급축(171)에는 하나의 환봉으로 된 공급롤러(170)가 고정되게 구비된다.
이와 같은 공급롤러(170)의 길이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양 투입롤러(190) 사이의 거리를 포함하는 길이보다는 크고 베이스프레임(110)의 내부 폭보다는 작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급롤러(170)는 육묘상자(200)와의 접촉면적이 극대화되어 적층된 육묘상자(200)를 용이하게 인출시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베이스프레임(110) 외측으로 돌출되는 투입축(191)의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는 구동모터(120)의 동력을 투입축(191)의 투입롤러(190)에 전달하여 위한 스프로킷휠(192)이 고정되게 구비되고, 스프로킷휠(192)은 투입축(191)에 의해 투입롤러(190)와 같이 각각 회전된다.
또한, 베이스프레임(110) 외측으로 돌출되는 공급축(171)의 일단부에는 구동모터(120)의 동력을 공급축(171)의 공급롤러(170)에 전달하여 위한 스프로킷휠(172)이 고정되게 구비되고, 반대편의 타단부에는 제 1 기어(173)가 고정되게 구비된다. 따라서, 베이스프레임(110) 외측으로 돌출되는 공급축(171)의 양단부에는 각각 스프로킷휠(172)과 제 1 기어(173)가 고정되게 구비되어 공급롤러(170)와 같이 회전된다.
특히, 상기와 같이 투입부(150)에 구성되는 공급롤러(170)와 투입롤러(190) 및 투입부(150) 외측에 구성되는 이송롤러(112)의 회전속도는 다르게 구성된다. 즉, 공급롤러(170)의 회전속도가 제일 빠르고, 투입롤러(190), 이송롤러(112) 순으로 회전속도가 점차 느려지게 구성된다(공급롤러(170)>투입롤러(190)>이송롤러(112)).
이는, 투입부(150)에서 공급롤러(170)와 투입롤러(190)에 의해 인출되는 육묘상자(200)는 빠르게 이송되고, 투입부(150) 외측에서 이송롤러(112)에 의해 파종기 측으로 이송되는 육묘상자(200)는 전술한 인출 속도보다 느리게 이송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파종기 측으로 공급되는 육묘상자(200)들이 정체되어 서로 밀착된 상태로 차례로 파종기 내부로 공급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공급되는 육묘상자(200)의 이송 속도를 투입부(150) 측보다 파종기 측에서 더 느리게 제어함으로서 파종기 내부로 육묘상자(200)를 밀착된 상태로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파종기 내부에서는 흙과 씨앗을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전 육묘상자(200)에 고루 파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각 롤러의 속도차는 이송롤러(112), 투입롤러(190), 공급롤러(170) 순으로 갈수록 롤러의 직경을 크게 구비하거나 또는 이송롤러(112)의 스프로킷휠(111a), 투입롤러(190)의 스프로킷휠(192), 공급롤러(170)의 스프로킷휠(172) 순으로 갈수록 스프로킷휠의 직경을 작게 구비하거나 또는 양자를 병행함으로써, 이송롤러(112), 투입롤러(190), 공급롤러(170) 순으로 갈수록 그 회전속도가 점차 더 빠르게 구비할 수 있다.
즉, 투입부(150) 내에 적층된 육묘상자(200)는 하부의 육묘상자(200)부터 인출되어 공급되는데, 이때 적층된 육묘상자(200)는 상부의 육묘상자(200)보다 하부의 육묘상자(200)에 더 큰 하중이 작용되므로 하부의 육묘상자(200)를 적층된 육묘상자(200)에서 인출시켜 공급하는데에는 큰 힘이 요구되는바, 이를 하부의 육묘상자(200)와 직접 접하여 구비된 공급롤러(170)를 빠르게 회전시켜 발생되는 큰 힘의 회전력으로 적층된 하부 육묘상자(200)를 밀어내 인출시키므로 육묘상자(200)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공급롤러(170)는 육묘상자(200)와의 사이에서 큰 마찰력이 작용되므로 그 외주면에 철이나 우레탄이 도포된 층을 구성하여 공급롤러(170)의 마모를 방지하고, 투입롤러(190)는 육묘상자(200)를 신속하게 이송시켜야 하므로 그 외주면에 밀착력이 우수한 고무 또는 압축고무가 도포된 층을 구성할 수 있다.
특히, 공급롤러(170)의 경우에는 오작동으로 인해 육묘상자(200)의 이송이 정지된 경우에도 계속 회전되기 때문에, 육묘상자(200)와 접한 공급롤러(170)의 외주면이 쉽게 마모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공급롤러(170)의 외주면에는 내구성이 좋은 철이나 우레탄을 도포하여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공급롤러(170)의 외주면을 기어이와 같은 요철이 있는 철심롤러의 환봉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공급롤러(170) 하부의 베이스프레임(110)에는 그 외주면에 브러쉬가 설치되어 있는 브러쉬롤러(180)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브러쉬롤러(180)의 브러쉬는 공급롤러(170)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브러쉬롤러(180)는 베이스프레임(11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브러쉬축(181)에 고정되어 브러쉬축(181)과 같이 일체로 회전 구동되고, 브러쉬축(181)에는 공급롤러(170)와 마찬가지로 공급롤러(170)에 대응한 하나의 환봉으로 형성된 브러쉬롤러(180)가 고정되게 구비된다. 따라서, 브러쉬롤러(180)의 브러쉬는 공급롤러(170)의 전 외주면에 접하여 공급롤러(170)의 외주면을 깨끗히 청소하게 된다.
한편, 베이스프레임(110) 외측으로 돌출되는 브러쉬축(181)의 일단부에는 공급축(171)의 제 1 기어(173)와 체인(140)으로 연결되는 제 2 기어(182)가 고정되게 구비된다.
따라서, 제 1,2 기어(173)(182)와 체인(140)에 의해 브러쉬롤러(180)는 공급롤러(17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고, 공급롤러(170)와 브러쉬롤러(180)의 근접부(공급롤러(170)의 하부와 브러쉬롤러(180)의 상부)에서는 브러쉬롤러(180)가 공급롤러(170)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작동을 하기 때문에, 브러쉬롤러(180)의 브러쉬가 마주하는 공급롤러(170)의 외주면에 접하여 큰 마찰력으로 공급롤러(170)의 외주면을 쓸어내는 효과를 가지므로 공급롤러(170)의 외주면에 묻은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깨끗하게 제거하여 청소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투입부(150)에는 투입프레임(160) 외측의 베이스프레임(110)에는 투입프레임(160)에서 인출되어 이송되는 육묘상자(200)를 감지하는 리미트스위치(151)가 구비된다.
이러한 리미트스위치(151)는 타이머 기능이 부여될 수도 있고, 또는 리미트스위치(151)에 별도의 타이머를 구비하여 연결할 수도 있다.
따라서, 투입프레임(160)에서 인출되어 파종기 측으로 이송되는 육묘상자(200)가 리미트스위치(151)에 의해 일정시간 이상 감지되면, 이를 제어부에서 오작동으로 인식하여 투입장치(100)의 작동을 중지시키게 된다.
이로써, 투입장치(100)의 과부하를 방지하여 투입장치(100)의 손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고, 공급롤러(170)의 불필요한 마모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리미트스위치(151)는 이송되는 육묘상자(200)의 본체(210)를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파종기 측으로 공급되는 육묘상자(200)가 밀착된 상태로 이송되는데, 이때 밀착된 양측의 육묘상자(200)는 플랜지(220)(230)끼리는 서로 접촉될 수 있지만, 플랜지(220)(230)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본체(210)는 서로 이격되어 떨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리미트스위치(151)의 스위칭부가 이송되는 육묘상자(200)의 본체(210)와 접촉되면 접점 온(on)되고, 본체(210) 사이의 공간에 위치되면 접점 오프(off)된다. 이러한 작동에 기인하여 리미트스위치(151)의 접점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가 일정시간 이상 지속되면, 육묘상자(200)의 이송이 정지된 상태이므로 이를 제어부에서는 투입장치(100)의 오작동으로 판단하여 작동을 중지시키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육묘상자 투입장치의 투입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가 육묘상자(200)를 투입부(150)의 투입프레임(160) 내로 삽입하여 적층한다.
이때, 투입프레임(160) 내로 제일 먼저 투입된 육묘상자(200)는 그 하면 선단부와 후단부가 각각 선단부의 투입롤러(190)와 후단부의 공급롤러(170)에 각각 접하면서 후단부가 위로 들린 상태로 경사지게 구비되고, 이후에 투입되는 육묘상자(200)는 하부 육묘상자(200)의 가이드레일(221) 위에 상부 육묘상자(200)의 하부 플랜지(230)가 안착되어 선접촉된 상태로 경사진 채로 적층되며, 이후 투입되는 육묘상자(200)들은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도 7에서와 같이, 경사진 상태로 적층된다.
이 상태에서 투입장치(100)의 구동모터(120)를 작동시키면, 구동스프로킷휠(121)과 체인(140)으로 연결된 스프로킷휠(192)이 있는 후방의 투입축(191)이 회전되고, 후방 투입축(191)의 회전에 의해 이에 각 스프로킷휠(172)(192)과 체인(140)으로 연결된 공급축(171)과 전방의 다른 투입축(191)들이 상호 연동되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공급축(171)에 구비된 공급롤러(170)는 투입축(191)에 구비된 투입롤러(190)보다 더 빠르게 회전되고, 빠른 회전속도에 의해 공급롤러(170)는 큰 회전력으로 적층된 육묘상자(200)의 하부 육묘상자(200)를 투입프레임(160)의 전방으로 밀어내 인출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인출되는 하부 육묘상자(200)는 가이드레일(221)이 상부 육묘상자(200)의 하부 플랜지(230)에 선접촉된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됨으로써 원활한 인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적층된 육묘상자(200)를 공급하는 공급롤러(170)와 동시에 브러쉬롤러(180)가 제 1,2 기어(173)(182)에 의해 연동되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서로 근접한 부위 즉 공급롤러(170)의 하부와 브러쉬롤러(180)의 상부에서는 브러쉬롤러(180)가 공급롤러(170)와 반대로 회전되기 때문에, 육묘상자(200)와 접촉되었던 공급롤러(170)의 외주면을 브러쉬롤러(180)의 브러쉬가 큰 마찰력으로 쓸어내 공급롤러(170)의 외주면에 묻은 이물질을 깨끗히 제거함으로써 공급롤러(170)는 육묘상자(200)와의 마찰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지속적으로 육묘상자(200)를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공급롤러(170)에 의해 인출되는 육묘상자(200)는 공급롤러(170)를 벗어나는 순간 투입롤러(190) 위에 수평하게 안착되어 이송되고, 투입롤러(190)에 의해 이송되는 육묘상자(200)는 도 8에서와 같이, 투입프레임(160)의 출구부를 통해 투입프레임(160) 외측으로 인출되어 이송되고, 육묘상자(200)가 투입프레임(160)에서 완전히 인출되면 도 9에서와 같이 공급롤러(170)와 선단부의 투입롤러(190)에는 새로운 육묘상자(200)가 안착되어 경사지게 구비된다.
이와 같이 인출되는 육묘상자(200)는 투입프레임(160) 내에 가이드레일(221)과 하부 플랜지(230)가 서로 선접촉된 상태로 적층되고, 이와 같이 적층된 육묘상자(200)가 전방으로 기울어지게 구비됨으로써 공급롤러(170)와 투입롤러(190)의 회전에 의해 육묘상자(200)가 투입프레임(160)에서 신속하게 인출되어 이송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투입프레임(160)의 외측으로 인출된 육묘상자(200)는 베이스프레임(110) 상의 이송롤러(112)에 의해 파종기 측으로 이송되는데, 이송롤러(112)는 투입롤러(190)보다 느린 회전속도로 회전되면서 육묘상자(200)를 이송시키므로 결국 육묘상자(200)는 서로 밀착된 상태로 파종기로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공급되는 육묘상자(200)는 투입부(150) 측보다 파종기 측에서 더 느리게 이송됨으로써 육묘상자(200)를 파종기 내부로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공급되는 모든 육묘상자(200)에 흙과 씨앗을 고루 파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투입프레임(160)에서 인출되어 파종기 측으로 이송되는 육묘상자는 리미트스위치(151)에 의해 감지된다.
이때, 육묘상자(200)의 이송이 정지되는 오작동이 발생될 시는 리미트스위치(151)의 감지신호가 일정시간 이상 동일한 신호를 유지하게 되고, 제어부에서 이를 오작동으로 판단하여 투입장치(100)의 작동을 중지시키게 된다.
따라서, 투입장치(100)의 과부하를 방지하여 투입장치(1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공급롤러(170)의 불필요한 마모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투입장치 110 : 베이스프레임
111 : 회전축 111a : 스프로킷휠
112 : 이송롤러 113 : 가이드레일
120 : 구동모터 121 : 구동스프로킷휠
140 : 체인 150 : 투입부
151 : 리미트스위치 160 : 투입프레임
162,162a : 수직프레임 164,164a : 가이드봉
164-1,164a-1 : 절곡부 170 : 공급롤러
171 : 공급축 172 : 스프로킷휠
173 : 제 1 기어 180 : 브러쉬롤러
181 : 브러쉬축 182 : 제 2 기어
190 : 투입롤러 191 : 투입축
192 : 스프로킷휠 200 : 육묘상자
210 : 본체 220 : 상부 플랜지
221 : 가이드레일 230 : 하부 플랜지
240 : 파지부
L : 장변 l : 단변

Claims (11)

  1. 육묘상자를 적층되게 구비한 상태에서 육묘상자를 하나씩 차례로 이송시켜 파종기로 공급하는 육묘상자 투입장치로서,
    육묘상자를 파종기 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롤러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는 베이스프레임;
    베이스프레임 상에 구비되고, 그 내부에는 육묘상자가 적층된 상태로 구비되는 투입프레임;
    투입프레임 하부의 베이스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투입프레임에 적층된 육묘상자를 하나씩 차례로 인출시켜 공급하는 투입롤러;
    투입프레임 하부의 베이스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투입프레임 내에 적층된 육묘상자를 공급하는 공급롤러; 및
    공급롤러 및 투입롤러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고,
    베이스프레임에는 투입프레임에서 인출되어 이송되는 육묘상자를 검출하는 리미트스위치가 구비되어, 이송되는 육묘상자가 리미트스위치에서 일정시간 이상 감지되면 투입장치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육묘상자 투입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투입프레임 하부의 베이스프레임에 구비되는 공급롤러는 투입롤러보다 높게 위치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투입프레임 내에 적층된 육묘상자를 선단부보다 후단부가 들려진 상태로 경사지게 공급하는 육묘상자 투입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공급롤러와 투입롤러, 이송롤러에는 각각의 스프로킷휠이 구비되고, 각 스프로킷휠은 체인으로 연결되어 연동 회전되되,
    이송롤러, 투입롤러, 공급롤러 순으로 갈수록 롤러의 직경이 크게 구비되어, 이송롤러, 투입롤러, 공급롤러 순으로 갈수록 그 회전속도가 더 빠르게 구비되는 육묘상자 투입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공급롤러와 투입롤러, 이송롤러에는 각각의 스프로킷휠이 구비되고, 각 스프로킷휠은 체인으로 연결되어 연동 회전되되,
    이송롤러의 스프로킷휠, 투입롤러의 스프로킷휠, 공급롤러의 스프로킷휠 순으로 갈수록 스프로킷휠의 직경이 작게 구비되어, 이송롤러, 투입롤러, 공급롤러 순으로 갈수록 그 회전속도가 더 빠르게 구비되는 육묘상자 투입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공급롤러는 육묘상자와 접하는 그 외주면에 철이나 우레탄이 도포되어 형성되고, 투입롤러는 그 외주면에 고무가 도포되어 형성되는 육묘상자 투입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베이스프레임에는 공급롤러와 연동되는 브러쉬롤러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공급롤러의 외주면을 청소하는 육묘상자 투입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공급롤러와 브러쉬롤러는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게 구비되어, 접촉면에서의 마찰을 극대화하는 육묘상자 투입장치.
  8. 삭제
  9. 삭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투입프레임의 각 코너부위에는 투입프레임 내에 적층된 육묘상자를 지지 및 가이드하는 수직프레임이 각각 구비되고, 수직프레임 중 일측편의 수직프레임은 반대편의 수직프레임보다 낮은 높이로 구비되는 육묘상자 투입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각 수직프레임의 내측에는 수직프레임의 각 면에 대응한 가이드봉이 각각 구비되고, 가이드봉은 그 단부가 수직프레임의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외향 절곡된 절곡부로 형성되어, 육묘상자를 가이드하는 육묘상자 투입장치.
KR1020160173691A 2016-12-19 2016-12-19 육묘상자 및 이의 투입장치 KR101886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3691A KR101886218B1 (ko) 2016-12-19 2016-12-19 육묘상자 및 이의 투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3691A KR101886218B1 (ko) 2016-12-19 2016-12-19 육묘상자 및 이의 투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920A KR20170004920A (ko) 2017-01-11
KR101886218B1 true KR101886218B1 (ko) 2018-08-07

Family

ID=57833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3691A KR101886218B1 (ko) 2016-12-19 2016-12-19 육묘상자 및 이의 투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621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1053B1 (ko) 2022-05-06 2022-11-25 구진섭 다수의 육묘상자공급기를 갖는 육묘상자 공급용 컨베이어의 육묘상자 공급 공정
KR102471050B1 (ko) 2022-05-06 2022-11-25 구진섭 다수개의 육묘상자공급기가 구비되는 육묘상자 공급용 컨베이어
KR102522401B1 (ko) 2022-10-14 2023-04-18 구진섭 육묘상자 공급수단이 이중으로 구비되는 육묘상자 공급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6627B1 (ko) * 2012-11-29 2013-02-28 구기현 파종기용 육묘상자의 투입대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005B2 (ja) * 1987-01-07 1996-02-07 井関農機株式会社 ポツト型育苗器の反転装置
JP3312292B2 (ja) * 1996-06-28 2002-08-05 日本甜菜製糖株式会社 土詰播種装置用苗箱供給装置
KR200422867Y1 (ko) 2006-05-20 2006-08-02 구진섭 파종기용 육묘상자 공급장치의 출구조정구
KR200422866Y1 (ko) 2006-05-20 2006-08-02 구진섭 파종기용 육묘상자의 공급장치
KR101191465B1 (ko) * 2010-12-24 2012-10-15 구기현 파종용 씨앗공급장치
KR101865478B1 (ko) * 2016-08-23 2018-06-08 정지현 육묘상자 투입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6627B1 (ko) * 2012-11-29 2013-02-28 구기현 파종기용 육묘상자의 투입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1053B1 (ko) 2022-05-06 2022-11-25 구진섭 다수의 육묘상자공급기를 갖는 육묘상자 공급용 컨베이어의 육묘상자 공급 공정
KR102471050B1 (ko) 2022-05-06 2022-11-25 구진섭 다수개의 육묘상자공급기가 구비되는 육묘상자 공급용 컨베이어
KR102522401B1 (ko) 2022-10-14 2023-04-18 구진섭 육묘상자 공급수단이 이중으로 구비되는 육묘상자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920A (ko) 2017-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8835B1 (ko) 육묘상자 적재 및 인출장치
KR101886218B1 (ko) 육묘상자 및 이의 투입장치
KR101865478B1 (ko) 육묘상자 투입장치
KR101592170B1 (ko) 파종기용 복토장치
KR101796901B1 (ko) 육묘상자 적층이송장치
KR101928247B1 (ko) 육묘상자 적재 및 인출장치
KR200469522Y1 (ko) 육묘상자 공급기
KR20160137923A (ko) 육묘상자 적재장치
KR200422866Y1 (ko) 파종기용 육묘상자의 공급장치
KR20160057604A (ko) 과일 씨앗 제거장치
JP2018191526A (ja) 苗移植機
CN201639962U (zh) 一种磁吸式烟草穴盘播种机
KR101902148B1 (ko) 육묘상자 스토퍼를 갖는 육묘상자 적층이송장치
WO2006068518A1 (en) Seedling transplanting head
CN112850000B (zh) 一种托盘靠紧流水线装置
KR102434692B1 (ko) 고효율 모니터링 감자파종기
CN210374482U (zh) 一种牧草烘干装置
JP4472060B2 (ja) 農作物搬送コンベア
CN213548307U (zh) 一种均匀高效的农业播种装置
JP6299950B2 (ja) つみれパック詰装置
CN216674300U (zh) 一种应用于园内禽类养殖的投料机
CN213140430U (zh) 一种生物肥料的传送装置
JPS61130112A (ja) ポットシート用播種装置の収納箱供給装置
KR200479536Y1 (ko) 육묘상자 이단 적층 및 적출기
CN206634773U (zh) 仓库玉米运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