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5478B1 - 육묘상자 투입장치 - Google Patents

육묘상자 투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5478B1
KR101865478B1 KR1020160149728A KR20160149728A KR101865478B1 KR 101865478 B1 KR101865478 B1 KR 101865478B1 KR 1020160149728 A KR1020160149728 A KR 1020160149728A KR 20160149728 A KR20160149728 A KR 20160149728A KR 101865478 B1 KR101865478 B1 KR 1018654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tacked
seedling
striking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9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7460A (ko
Inventor
정지현
Original Assignee
정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지현 filed Critical 정지현
Publication of KR20160137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7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5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54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01C11/025Transplanting machines using seedling trays; Devices for removing the seedlings from the tray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3Seed or shoot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11Rolle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9/00De-stacking of articles
    • B65G59/06De-stacking from the bottom of the stack
    • B65G59/061De-stacking from the bottom of the stack articles being separated substantially along the axis of the stack
    • B65G59/062De-stacking from the bottom of the stack articles being separated substantially along the axis of the stack by means of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escapement-like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99Conveyor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8Destack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So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육묘상자 투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외주연부에 외측으로 돌출된 테두리부를 갖는 육묘상자를 적층된 상태에서 하나씩 차례로 배출시켜 파종기 측으로 공급하는 육묘상자 투입장치로서, 육묘상자를 이송시키는 회전축이 일정간격마다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는 베이스프레임; 베이스프레임에 구비되어 회전축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 회전축과 이격되게 베이스프레임 상에 구비되고, 그 내부에는 육묘상자가 적층된 상태로 구비되는 투입프레임; 및 투입프레임에 관통되게 구비되어 적층된 육묘상자를 받쳐 지지하는 한편 적층된 육묘상자를 베이스프레임의 회전축 상으로 하나씩 차례로 공급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육묘상자 투입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육묘상자 투입장치{Loading apparatus of seeding box}
본 발명은 육묘상자 투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씨를 파종하기 위한 육묘상자를 파종기 측으로 하나씩 차례로 자동 공급하는 육묘상자 투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도작(水稻作, 벼농사)에 사용되는 수도용 볍씨 등과 같은 논작물과, 양파나 파 등과 같은 밭작물을 경작하기 위해 조성한 이랑에 종자의 파종과 추비를 간편하고 정확히 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파종기를 사용한다.
이러한 파종기는 육묘상자를 투입하여 그 육묘상자 내에 흙과 씨앗을 공급한다.
이때, 파종기는 연속적으로 육묘상자가 공급되도록 해야 하는데, 하나씩 작업되는 공정상 작업자가 손으로 공급 측에서부터 하나씩 공급하여 작업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으로 작업하게 되면, 작업자 한 명이 늘 그 육묘상자의 공급위치에 있어야 하므로 일손이 부족한 농촌 현실에 적합하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종래에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22866호(이하 '선행기술문헌1'이라 한다)와,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22867호(이하 '선행기술문헌2'라 한다)에서 파종기용 육묘상자의 공급장치를 제안된 바 있다.
이와 같이 제시된 선행기술문헌1,2에서는, 프레임 위에 구비된 육묘상자적층부재에 내에 다수의 육묘상자가 적층되되, 적층된 육묘상자는 육묘상자적층부재의 전면부에 경사지게 구비된 육묘상자지지부에 의해서 경사진 상태로 적층되어 구비된다.
이와 같이 육묘상자적층부재 내에 경사진 상태로 적층된 육묘상자는 프레임과 육묘상자지지부 사이에 이격되어 형성되는 출구를 통해 배출되어 파종기로 공급된다.
하지만, 선행기술문헌1,2에 개시된 육묘상자 공급장치는, 프레임과 육묘상자지지부 사이에 형성되는 출구가 육묘상자의 높이에 맞게 형성되어 적층된 2단의 육묘상자가 1단의 육묘상자와 같이 배출되어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는데, 이는 한 종류의 육묘상자가 경사지게 적층된 경우에만 가능하고, 겹치게 되면 투입 자체가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즉, 농가에서는 다양한 제조사에서 만들어진 각종 육묘상자를 혼합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육묘상자의 제조사가 다른 경우에는 육묘상자의 결합돌부와 결합홈부(도 1 참조)가 제각기 다르기 때문에, 선행기술문헌1,2에서처럼 특정 높이의 육묘상자를 기준으로 형성되는 프레임과 육묘상자지지부 사이의 출구를 통해서는 육묘상자가 하나씩 차례대로 배출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육묘상자의 공급시 공급되는 육묘상자의 높이에 따라 그때마다 육묘상자지지부의 높이를 변경하여 출구의 높이를 조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겹쳐져 투입될 경우는 작업 중 오작동이 발생되어 연속작업을 중단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육묘상자 공급장치 및 이에 대한 기술은 아래의 선행기술문헌들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22866호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22867호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육묘상자의 규격 즉 높이가 서로 다른 육묘상자가 혼합되어 적층 높이가 다르게 적층된 경우에도 적층된 육묘상자를 하나씩 차례로 자동 공급할 수 있는 육묘상자 투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적층된 상,하의 육묘상자가 끼임된 경우에도 하부 육묘상자를 상부 육묘상자에서 분리시켜 하나씩 차례로 자동 공급할 수 있는 육묘상자 투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육묘상자 투입장치는, 외주연부에 외측으로 돌출된 테두리부를 갖는 육묘상자를 적층된 상태에서 하나씩 차례로 배출시켜 파종기 측으로 공급하는 육묘상자 투입장치로서, 육묘상자를 이송시키는 회전축이 일정간격마다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는 베이스프레임; 베이스프레임에 구비되어 회전축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 회전축과 이격되게 베이스프레임 상에 구비되고, 그 내부에는 육묘상자가 적층된 상태로 구비되는 투입프레임; 및 투입프레임에 관통되게 구비되어 적층된 육묘상자를 받쳐 지지하는 한편 적층된 육묘상자를 베이스프레임의 회전축 상으로 하나씩 차례로 공급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한다.
그리고, 액츄에이터는, 투입프레임의 양측 상,하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부 액츄에이터는 적층된 2단 육묘상자의 테두리부를 받쳐 지지하고, 하부 액츄에이터는 적층된 최하단 육묘상자의 하면을 받쳐 지지할 수 있으며, 상,하 액츄에이터는, 투입프레임의 외측에 각각 고정되게 구비되는 실린더; 각 실린더에 출입가능하게 구비되는 피스톤; 및 각 피스톤에 구비되어 투입프레임을 관통하면서 적층된 육묘상자의 테두리부와, 최하단 육묘상자의 하면을 각각 받쳐 지지하는 받침판;을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육묘상자 투입장치는, 상,하 실린더에 각각 구비되어 각 실린더에서 왕복 이동되는 피스톤의 행정 및 작동 시간을 조절하는 조절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조절수단은 각 실린더의 선,후단부에 각각 감지센서를 구비하여 각 피스톤의 행정을 조절할 수 있고, 각 감지센서에 타이머를 연결하여 이동되는 피스톤의 작동 시간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투입프레임에는 투입프레임에서 배출되어 공급되는 육묘상자를 검출하는 리미트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리미트스위치에서 공급되는 육묘상자가 검출되면, 하부 실린더의 피스톤이 인출되어 받침판이 투입프레임 내부로 돌출되고, 상부 실린더의 피스톤은 인입되어 받침판이 투입프레임 외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적층된 육묘상자가 하강되면서 하부 실린더의 받침판에 최하단 육묘상자의 하면이 받쳐져 지지되며, 상부 실린더의 피스톤이 다시 인출되어 받침판이 투입프레임 내부로 돌출되면서 적층된 2단 육묘상자의 테두리부를 받쳐 지지하고, 리미트스위치에서 육묘상자가 검출되지 않으면, 하부 실린더의 피스톤이 인입되어 받침판이 투입프레임 외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받치고 있던 최하단의 육묘상자를 베이스프레임의 회전축으로 하강시켜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상,하 받침판 사이의 간격은 적층되는 육묘상자 간의 최대 간격을 포함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투입프레임에서 배출되어 공급되는 육묘상자의 이동속도보다 파종기 측으로 공급되는 육묘상자의 이동속도가 느리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투입프레임의 각 코너부위에는 투입프레임 내에 적층된 육묘상자를 지지 및 안내하는 수직프레임이 각각 구비되고, 수직프레임 중 일측편의 수직프레임은 반대편의 수직프레임보다 낮은 높이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각 수직프레임의 내측에는 수직프레임의 각 면에 대응한 가이드봉이 각각 구비되고, 가이드봉은 그 단부가 수직프레임의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외향 절곡된 절곡부로 형성되어, 육묘상자를 가이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육묘상자 투입장치는, 투입프레임에 구비되어 투입프레임 내부에 적층된 육묘상자를 타격하여 분리시키는 타격링크를 포함할 수 있으며, 타격링크는 투입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양 타격링크는 작동바로 연결되어 구비되며, 작동바는 하부 받침판에 고정되게 구비되어, 하부 받침판이 투입프레임의 외측으로 이동될 때 타격링크가 회전되면서 적층된 육묘상자를 타격할 수 있다.
게다가, 타격링크에는 투입프레임에서 타격링크를 회전시켜 육묘상자를 타격하는 타격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될 수 있으며, 타격링크는 투입프레임에 적층된 최하단 육묘상자의 테두리부 상면을 타격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규칙 및 불규칙 등의 적층 상태에 관계없이 적층된 모든 육묘상자를 하나씩 차례로 공급할 수 있고, 적층된 상태로 끼임된 육묘상자를 타격에 의해 분리시켜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육묘상자 투입장치에 따르면, 육묘상자의 규격 및 형태가 서로 다른 육묘상자가 혼합되어 적층 높이가 다르게 적층된 경우에도 적층된 육묘상자를 하나씩 차례로 자동 공급할 수 있으므로 육묘상자의 호환성 및 범용성이 향상되고, 적층된 육묘상자를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어 파종 작업의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적층된 상,하의 육묘상자가 끼임된 경우에도 상부 육묘상자로부터 하부 육묘상자를 용이하게 분리시켜 하나씩 차례로 자동 공급하므로, 원활한 파종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투입장치에 구비되는 육묘상자의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투입장치와 육묘상자의 분리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육묘상자 투입장치의 결합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육묘상자 투입장치의 평면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육묘상자 투입장치에 구성되는 투입부의 구성도로서, 도 5a 및 도 5b는 하부 받침판과 연동되는 타격링크의 작동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육묘상자 투입장치의 투입과정을 보인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육묘상자 및 육묘상자 투입장치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육묘상자(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의 플레이트 중앙부가 함몰된 박스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상단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테두리부(11)가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육묘상자(10)의 하면에는 하향 돌출된 결합돌부(12)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고, 결합돌부(12)에 대응한 육묘상자(10)의 테두리부(11) 상면에는 결합돌부(12)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결합홈부(13)가 형성된다.
따라서, 육묘상자(10)의 적층시는 상부 육묘상자(10)의 결합돌부(12)가 하부 육묘상자(10)의 결합홈부(13)에 삽입된 상태로 적층됨으로써 정렬된 적층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적층된 육묘상자(10)는 결합돌부(12)와 결합홈부(13)의 결합으로 인해 상,하 육묘상자(10)의 각 테두리부(11)가 서로 이격된 상태로 구비됨으로써 후술될 액츄에이터 즉 실린더(170)(180)의 피스톤(171)(181)에 구비된 받침판(172)(182) 중 상부 받침판(172)은 적층된 1,2단(1,2층) 육묘상자(10)의 테두리부(11) 사이로 진입되어 상부 즉 2단 육묘상자(10)의 테두리부(11)를 받쳐 지지하고, 하부 받침판(182)은 적층된 최하단 즉 1단(1층)의 육묘상자(10) 하부로 진입되어 최하단의 육묘상자(10) 하면을 받쳐 지지함으로써, 적층된 상,하의 육묘상자(10)를 각각 받쳐 지지할 수 있으므로 적층된 육묘상자(10)를 하나씩 차례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육묘상자 투입장치(1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조사에 관계없이 혼용되어 적층된 육묘상자(10)를 하나씩 차례로 배출시켜 공급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육묘상자 투입장치(100)는, 육묘상자(10)를 이송시키는 회전축(111)이 일정간격마다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는 베이스프레임(110)과, 베이스프레임(110) 상에 구비되는 한편 그 내부에는 육묘상자(10)가 적층된 상태로 구비되어 하부의 육묘상자(10)부터 하나씩 차례로 배출시켜 공급하는 투입부(150)를 포함한다.
베이스프레임(110)은, 복수의 수평한 프레임이 나란하게 구비되고, 양 프레임 사이에는 다수의 회전축(111)이 일정간격마다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구비된다.
이러한 회전축(111)에는 육묘상자(10)의 하면에 접하여 마찰력으로 육묘상자(10)를 이송시키는 이송롤러(112)가 구비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이송롤러(112)의 일례로서 그 외측면에 기어이와 같은 요철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지만, 이에 국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베이스프레임(110)의 상면에는 이송되는 육묘상자(10)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113)이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프레임(110)의 일단부에는 구동모터(120)가 구비되고, 구동모터(120)의 일단부에는 구동모터(120)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구동휠(121)(스프로킷휠)이 구비되며, 이 구동휠(121)은 다수의 회전축(111) 중 일측의 회전축에 고정되어 구비된 종동휠(130)과 체인(140)으로 연결되어 동력전달이 가능하게 되며, 나머지 회전축(111)들 역시도 체인(140)으로 상호 연결되어 회전 구동된다.
이때, 구동모터(120)는 후술될 투입부(150)의 하부에 위치된 회전축(111)과 체인(140)으로 연결되고, 파종기(미도시) 측으로 갈수록 3개 이상의 회전축(111)을 한 개조로 묶어 체인(140)으로 연결한다. 그러면, 3개 이상의 회전축(111)이 연결된 부위에서는 체인(140)이 직접 걸림된 양측의 회전축(111)은 구동모터(120)의 동력에 의해 회전되지만, 양 회전축(111) 사이에 위치한 회전축(111)은 아이들 상태로서 이송되는 육묘상자(10)와의 마찰력에 의해 회전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작용하는 마찰력에 의해 투입부(150) 측보다 파종기 측으로 갈수록 육묘상자(10)의 이송속도가 더 느려짐으로써 파종기 내로 공급되는 육묘상자(10)는 서로 밀착되어 접한 상태로 차례로 공급되므로 육묘상자(10)에 안정적인 파종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구동모터(120)가 구비된 베이스프레임(110)의 일단부 상면에는 적층된 육묘상자(10)를 하나씩 공급하기 위한 투입부(150)가 구비된다.
투입부(150)는 도 5a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회전축(111)과 이격되게 베이스프레임(110)의 상면에 고정되게 구비되고, 그 내부에는 육묘상자(10)가 적층된 상태로 구비되는 투입프레임(160)과, 투입프레임(160)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어 적층된 육묘상자(10)를 받쳐 지지하는 한편 적층된 육묘상자(10)를 베이스프레임(110)의 회전축(111) 상으로 하나씩 차례로 공급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한다.
투입프레임(160)은 그 상,하면이 모두 개구된 박스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상면 코너부에는 그 내부에 적층되는 육묘상자(10)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육묘상자(10)의 하강을 가이드하는 수직프레임(162)(162a)이 구비된다.
이 수직프레임(162)(162a)은 육묘상자(10)의 코너부에 대응한 "ㄱ"자 또는 "ㄴ"자 형상으로 절곡된 프레임으로서, 육묘상자(10)의 코너부와 접하여 투입프레임(160)에서 하강하는 육묘상자(1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4개의 수직프레임(162)(162a) 중 일측편의 수직프레임(162a)은 반대편의 수직프레임(162)보다 낮은 높이로 구비되어, 투입프레임(160) 내로 육묘상자(10)를 공급할 때 적층 상태의 육묘상자(10)를 낮은 수직프레임(162a) 측으로 간편하게 투입할 수 있는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ㄱ"자 또는 "ㄴ"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수직프레임(162)(162a)의 내측면에는 수직프레임(162)(162a)의 각 면에 대응한 가이드봉(164)(164a)이 각각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가이드봉(164)(164a)은 2개조가 한 쌍으로 하나의 수직프레임(162)(162a)에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가이드봉(164)(164a)은 그 상단부가 해당 수직프레임(162)(162a)의 상부로 더 돌출되게 구비되고, 수직프레임(162)(162a)의 상부로 돌출된 가이드봉(164)(164a)의 상단부는 외향(수직프레임(162)(162a)의 외측 방향) 절곡된 절곡부(164-1)(164a-1)로 형성된다.
따라서, 가이드봉(164)(164a)의 절곡부(164-1)(164a-1)에 의해서 육묘상자(10)가 투입되는 투입프레임(160)의 입구부 직경이 더 넓어짐으로써 육묘상자(10)의 투입이 용이하게 되고, 투입된 육묘상자(10)의 하강시는 환봉으로 이루어진 가이드봉(164)(164a)의 특성상 육묘상자(10)와 가이드봉(164)(164a) 간의 접촉면적이 극소화되어 마찰 저항이 최소화됨으로써 육묘상자(10)는 가이드봉(164)(164a)에 의해 신속하면서도 안정적으로 하강되어 공급된다.
그리고, 액츄에이터가 구비되는 투입프레임(160)의 양측면에는 후술될 받침판(172)(182)이 투입프레임(160) 내측으로 출입할 수 있도록 된 관통공(161)이 상,하측에 각각 형성된다.
한편, 액츄에이터는 투입프레임(160)의 양측 상,하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부 액츄에이터는 적층된 2단(2층)의 육묘상자(10)를 받쳐 지지하고, 하부 액츄에이터는 적층된 최하단의 육묘상자(10) 즉 1단(1층)의 육묘상자(10)를 받쳐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하 액츄에이터는, 투입프레임(160)의 양측면에 각각 가이드브라켓(163)을 개재하여 고정되게 구비되는 실린더(170)(180)와, 각 실린더(170)(180)에 출입가능하게 구비되는 피스톤(171)(181)과, 각 피스톤(171)(181)에 구비되어 투입프레임(160)을 관통하면서 육묘상자(10)를 받쳐 지지하는 받침판(172)(182)을 포함한다.
가이드브라켓(163)은 투입프레임(160)의 양측면 즉 관통공(161)이 있는 측면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그 전면에는 투입프레임(160)의 관통공(161)에 대응한 관통공(163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가이드브라켓(163)의 외측면에는 실린더(170)(180)가 고정되어 구비되고, 가이드브라켓(163)과 마주하는 실린더(170)(180)의 단부에는 피스톤(171)(181)이 각각 출입가능하게 구비되며, 피스톤(171)(181)의 선단부에는 판상의 받침판(172)(182)이 각각 구비되어 피스톤(171)(181)과 같이 이동된다.
또한, 상,하 실린더(170)(180)에는 각 실린더(170)(180)에서 왕복 이동되는 피스톤(171)(181)의 행정 및 작동 시간을 조절하는 조절수단이 더 구비되고, 이 조절수단은 감지센서(173)(183)와 타이머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각 실린더(170)(180)에는 도 5a 및 도 5b에서와 같이, 실린더(170)(180)에서 출입되는 피스톤(171)(181)의 행정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173)(183)가 구비되고, 이러한 감지센서(173)(183)는 하나의 실린더에 복수개로 구비되는 것으로, 실린더(170)(180)의 선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피스톤(171)(181)이 실린더(170)(180)에서 충분한 행정을 이동했는지를 감지하게 된다.
가령, 피스톤(171)(181)이 실린더(170)(180)에서 충분한 행정으로 출입되지 못하는 경우, 피스톤(171)(181)의 선단부에 구비되는 받침판(172)(182)이 투입부(150) 내부로 인출되지 못하거나 또는 투입부(150)에서 완전히 빠져나오지 못하게 됨으로써 투입부(150)에 적층된 육묘상자(10)를 정상적으로 받치지 못하거나 또는 투입부(150) 내에서 하강되는 육묘상자(10)와 간섭되어 육묘상자(10)의 정상적인 공급을 방해하는 오작동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실린더(170)(180)에 복수의 감지센서(173)(183)를 구비하여 피스톤(171)(181)의 행정을 감지함으로써 오작동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2 및 도 3에서는 투입장치(100)의 전체 구성을 명확히 나타내기 위해 감지센서(173)(183)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게다가, 상기와 같이 실린더(170)(180)에 구비된 감지센서(173)(183)에 타이머(미도시)를 연결하면, 피스톤(171)(181)의 행정을 감지할 뿐 아니라 실린더(170)(180)에서 왕복 이동되는 피스톤(171)(181)의 작동 시간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피스톤(171)(181)의 작동 시간을 타이머에 입력되는 시간에 따라 조절할 수 있으므로 투입프레임(160)에서 배출되어 파종기 측으로 공급되는 육묘상자(10)의 공급 속도를 작동 시간에 비례하여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실린더(170)(180)에 구비되는 피스톤(171)(181)과 받침판(172)(182)은 가이드브라켓(163)의 관통공(163a)을 관통하여 이동되고, 받침판(172)(182)은 그 선단부가 가이드브라켓(163)의 관통공(163a) 뿐만 아니라 투입프레임(160)의 관통공(161)까지 관통하여 이동되면서 투입프레임(160) 내에 적층된 육묘상자(10)를 받쳐 지지하게 된다.
특히, 받침판(172)(182) 중 상부 받침판(172)은 그 선단부 중앙이 함몰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투입부(150)에 적층된 1,2단(1,2층) 육묘상자(10)의 테두리부(11) 사이로 진입되어 상부 즉 2단 육묘상자(10)의 테두리부(11)를 받쳐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하부 받침판(182)은 직사각형의 판형으로 형성되어, 투입부(150)에 적층된 최하단 즉 1단(1층)의 육묘상자(10) 하부로 진입되어 최하단의 육묘상자(10) 하면을 받쳐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상,하부 받침판(172)(182)에 의해서 투입부(150)에 적층된 상,하의 육묘상자(10)를 각각 안정적으로 받쳐 지지할 수 있으므로 적층된 육묘상자(10)를 하나씩 차례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상,하부 받침판(172)(182) 사이의 간격은, 결합돌부(12)와 결합홈부(13)가 결합되어 적층된 육묘상자(10)의 간격보다 결합돌부(12)와 결합홈부(13)가 서로 어긋나게 적층된 육묘상자(10)의 간격이 더 넓음으로써, 이에 맞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적층된 육묘상자(10)의 적층 상태 즉 규칙 및 불규칙의 적층 상태에 관계없이 적층된 모든 육묘상자(10)를 하나씩 일정하게 차례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투입프레임(160)의 외측 하단부 즉 육묘상자(10)가 공급되는 출구부 측에 리미트스위치(190)가 구비되어 투입프레임(160)에서 배출되어 공급되는 육묘상자(10)를 검출하게 된다.
이때, 리미트스위치(190)에서 공급되는 육묘상자(10)가 검출되면, 하부 실린더(180)의 피스톤(181)이 인출되어 이의 받침판(182)을 투입프레임(160) 내부로 돌출시키고, 상부 실린더(170)의 피스톤(171)은 인입되어 이의 받침판(172)을 투입프레임(160) 외측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상부 실린더(170)의 받침판(172)에 받쳐져 지지되던 적층된 육묘상자(10)가 하강되면서 하부 실린더(180)의 받침판(182)에 최하단 육묘상자(10)의 하면이 받쳐져 지지되며, 이후 상부 실린더(170)의 피스톤(171)이 다시 인출되어 이의 받침판(172)이 투입프레임(160) 내부로 돌출되면서 하부 받침판(182)에 의해 받쳐진 적층된 육묘상자(10)의 1단과 2단의 육묘상자(10) 사이로 진입되면서 2단 육묘상자(10)의 테두리부(11) 하면에 접하여 구비됨으로써 상부 실린더(170)의 받침판(172)이 2단 이상의 적층된 육묘상자(10)를 받쳐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이송되는 육묘상자(10)가 리미트스위치(190)를 지나 리미트스위치(190)에서 육묘상자(10)가 검출되지 않으면, 하부 실린더(180)의 피스톤(181)이 인입되어 이의 받침판(182)이 투입프레임(160) 외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받치고 있던 1단 육묘상자(10) 하나가 베이스프레임(110)의 회전축(111) 상으로 떨어져 파종기 측으로 이송 공급된다.
특히, 결합돌부(12)와 결합홈부(13)가 상호 결합되어 규칙적으로 적층된 육묘상자(10)는 물론, 제조사마다 결합돌부(12)와 결합홈부(13)의 위치가 서로 다르게 제조된 육묘상자(10)가 혼용되어 적층되는 경우에는 적층된 육묘상자(10) 간의 결합돌부(12)와 결합홈부(13)의 위치가 서로 달라 적층된 육묘상자(10) 간의 높이가 서로 다르게 불규칙적으로 적층될 수 있지만, 상기와 같이 작동되는 본 발명의 상,하 액츄에이터에 의해서 규칙 및 불규칙적으로 적층된 모든 육묘상자(10)를 하나씩 차례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이때 적층된 육묘상자(10) 중 상,하의 육묘상자(10)가 어떠한 이유에서든 끼임된 경우에는 하부 육묘상자(10)가 상부 육묘상자(10)로부터 분리되지 못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적층된 상태로 끼임된 상,하 육묘상자(10)를 분리시킬 수 있는 타격수단이 더 구성되고, 이러한 타격수단은 투입부(15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액츄에이터와 연동되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타격수단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프레임(160)에 구비되어 투입프레임(160) 내부에 적층된 육묘상자(10)를 타격하여 분리시키는 타격링크(200)를 포함한다.
특히, 타격링크(200)는 "ㄱ"자 형상으로, 그 중앙부는 투입프레임(160)의 외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되고, 돌출된 상단부는 투입프레임(160)을 관통하여 투입프레임(160) 내부에 적층된 육묘상자(10)를 타격하는 타격돌부(201)로 형성되며, 하단부에는 후술될 탄성부재(210)가 연결되는 연결공(203)이 형성된다.
따라서, 타격링크(200)는 그 중앙부의 힌지부(202)를 축으로 회전되면서 상단부의 타격돌부(201)가 투입프레임(160) 내부로 출입되면서 육묘상자(10)를 타격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타격링크(200)는 투입프레임(160)의 외측면 양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양 타격링크(200)는 하나의 작동바(220)로 연결되어 구비되며, 작동바(220)의 중앙부는 하부 받침판(182)에 고정되게 연결되어 구비된다. 여기서, 작동바(220)는 양 타격링크(200)의 힌지부(202) 하부에 접하여 구비된다.
이러한 각 타격링크(200)에는 타격돌부(201)를 투입프레임(160)의 내측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력(타격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210)가 구비되고, 탄성부재(210)는 인장 코일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탄성부재(210)는 그 일단부가 타격링크(200)의 연결공(203)에 연결되어 구비되고 타단부는 투입프레임(160)에 돌출되게 설치된 고정브라켓(165)에 연결되어 구비된다.
따라서, 하부 받침판(182)이 투입프레임(160)의 내측으로 이동되면, 하부 받침판(182)과 같이 이동되는 작동바(220)가 양 타격링크(200)를 투입프레임(160) 측으로 가압하여 타격링크(200)를 회전시키고 회전되는 타격링크(200)에 의해 타격돌부(201)가 투입프레임(160) 외측으로 회전되며, 하부 받침판(182)이 투입프레임(160)의 외측으로 이동되면, 작동바(220)가 투입프레임(160)에서 이격됨과 동시에 탄성부재(210)의 압축력이 타격링크(200)에 작용하여 양 타격링크(200)가 역회전되고 역회전되는 타격링크(200)에 의해 타격돌부(201)는 다시 투입프레임(160)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투입프레임(160) 내에 적층된 육묘상자(10)를 타격하게 된다.
이때, 적층된 육묘상자(10)를 타격하는 타격돌부(201)는 투입프레임(160) 내에 적층된 최하단 육묘상자(10)의 테두리부(11) 상면을 타격하게 되고, 이와 같이 테두리부(11) 상면이 타격된 육묘상자(10)는 상부의 육묘상자(10)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다.
이로써, 적층된 육묘상자(10)가 끼임된 경우에도 최하단의 육묘상자(10)를 상부 육묘상자(10)로부터 쉽게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육묘상자(10)를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타격링크(200)의 타격돌부(201)는 육묘상자(10)의 테두리부(11) 상면을 타격할 수 있도록 투입프레임(160) 내부로 충분히 인입되고, 타격돌부(201)의 인출시는 타격돌부(201)가 수직프레임(162)(162a) 내측에 구비된 가이드봉(164)(164a)보다 더 외측으로 인출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타격돌부(201)가 가이드봉(164)(164a) 외측으로 더 인출됨으로써 가이드봉(164)(164a)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하강되는 육묘상자(10)의 공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육묘상자 투입장치의 투입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가 육묘상자(10)를 투입부(150)의 투입프레임(160) 내로 삽입하여 적층한다.
그러면, 투입프레임(160) 내에서 적층되는 육묘상자(10)는 동일한 제조사의 경우는 하면의 결합돌부(12)와 테두리부(11) 상면의 결합홈부(13)가 결합된 상태로 규칙적으로 적층되고, 제조사가 다른 경우에는 결합돌부(12)와 결합홈부(13)가 각기 다른 위치로 형성되어, 불규칙하게 적층될 수 있다.
또한, 이때 투입프레임(160) 내에는 상부 액츄에이터가 작동된 상태로서, 상부 실린더(170)로부터 피스톤(171)이 인출되어 상부 받침판(172)이 투입프레임(160) 내부로 돌출된 상태이므로 투입프레임(160) 내로 제일 먼저 삽입된 육묘상자(10)의 테두리부(11)가 상부 받침판(172)에 걸림된 상태로 구비되고, 이와 같이 걸림된 최하단의 육묘상자(10) 위로 다수의 육묘상자(10)가 쌓여 적층된다.
이 상태에서 투입프레임(160) 외측의 리미트스위치(190)를 작동시켜 육묘상자(10)가 검출된 것과 같은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러면, 하부 액츄에이터의 하부 실린더(180)에 인입되어 있던 피스톤(181)이 인출되고, 피스톤(181)의 인출로 인해 이의 하부 받침판(182)이 투입프레임(160) 내부로 돌출된다.
이후, 투입프레임(160) 내에서 적층된 육묘상자(10)를 지지하고 있던 상부 실린더(170)의 피스톤(171)은 실린더(170) 내로 인입되고, 피스톤(171)의 인입으로 인해 투입프레임(160) 내에 돌출되어 있던 이의 상부 받침판(172)이 투입프레임(160)의 외측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상부 받침판(172) 위에 적층되어 있던 육묘상자(10)는 하부로 이동되면서 최하단 육묘상자(10)의 하면이 하부 받침판(182) 위에 안착되어 구비된다(도 8 참조).
이 상태에서 상부 실린더(170) 내에 인입되어 있던 피스톤(171)이 다시 인출되고, 피스톤(171)의 인출로 인해 이의 상부 받침판(172)이 하부 받침판(182)에 받쳐진 적층된 육묘상자(10) 중 최하부의 1단과 2단의 육묘상자(10) 사이로 진입되면서 2단 육묘상자(10)의 테두리부(11) 하면을 받쳐 지지하게 된다(도 6 참조).
이후, 리미트스위치(190)가 원상태로 복귀되어 육묘상자(10)가 검출되지 않는 상태가 되면, 하부 피스톤(181)이 하부 실린더(180)에 인입되면서 이의 하부 받침판(182)을 투입프레임(160)의 외측으로 이동시켜 받치고 있던 최하단 즉 1단 육묘상자(10) 하나를 베이스프레임(110)의 회전축(111) 위로 떨어뜨려 공급하게 된다(도 7 참조).
그러면, 베이스프레임(110)의 회전축(111) 상에 놓여진 육묘상자(10)는 구동모터(120)에 의해 회전되는 다수의 회전축(111)에 의해 파종기 측으로 이송되어 공급되고, 이때 투입부(150) 측에서 공급되는 육묘상자(10)의 이송 속도보다 파종기 측에서의 이송 속도가 더 느리게 진행되므로 결국에는 파종기 측으로 이송되어 온 각각의 육묘상자(10)가 서로 접촉된 상태로 간격없이 차례로 파종기 내부로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공급되는 육묘상자(10)의 이송 속도를 투입부(150) 측보다 파종기 측에서 더 느리게 제어함으로서 육묘상자(10)를 파종기 내부로 간격없이 연속하여 공급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육묘상자(10)에 흙과 씨앗을 고르게 파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공급되는 육묘상자(10)는 투입프레임(160) 내에서 결합돌부(12)와 결합홈부(13)가 결합되어 규칙적으로 적층된 경우 뿐만 아니라 결합돌부(12)와 결합홈부(13)의 위치가 어긋나 서로 다른 높이로 불규칙하게 적층된 경우에도 적층된 육묘상자(10) 중 최하단의 육묘상자(10)는 하부 받침판(182)에 그 하면이 받쳐져 지지되고, 그 위에 적층된 2단의 육묘상자(10)는 상부 받침판(172)에 그 테두리부(11)가 받쳐져 지지됨으로써 투입부(150)에 어떠한 형태로 육묘상자(10)가 적층되더라도 적층된 육묘상자(10)를 하나씩 차례로 파종기 측으로 이송시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규칙적으로 적층되는 육묘상자(10)는 결합돌부(12)와 결합홈부(13)가 서로 결합된 상태이므로 상,하 육묘상자(10)의 양 테두리부(11) 사이의 간격이 제일 좁고, 결합돌부(12)와 결합홈부(13)가 서로 어긋나 불규칙하게 적층된 육묘상자(10)는 규칙적인 경우보다 상,하 육묘상자(10)의 양 테두리부(11) 간의 간격이 더 넓게 형성되므로, 불규칙하게 적층되는 상,하 육묘상자(10) 간의 최대 간격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 받침판(172)과 하부 받침판(182) 사이의 간격을 구비하면, 규칙 및 불규칙 등의 적층 상태에 관계없이 적층된 모든 육묘상자(10)를 하나씩 차례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적층된 육묘상자(10)의 최하단 육묘상자(10)와 상부의 2단 육묘상자(10)가 끼임되어 결합된 경우에는 최하단의 육묘상자(10) 하면을 받치고 있던 하부 받침판(182)이 제거됨에도 불구하고 최하단의 육묘상자(10)가 2단의 육묘상자(10)에서 분리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고, 이는 본 발명의 타격링크(200)에 의해 해결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타격링크(200)는 하부 받침판(182)에 고정되게 구비된 작동바(220)에 의해서 하부 받침판(182)과 연동되어 작동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 받침판(182)이 도 8에서와 같이 투입프레임(160)의 내측으로 이동되면, 작동바(220)가 하부 받침판(182)과 같이 이동되면서 양 타격링크(200)의 힌지부(202) 하부를 투입프레임(160) 측으로 가압하여 탄성부재(210)를 인장시키며 타격링크(200)를 회전시키고, 회전되는 타격링크(200)에 의해 타격돌부(201)는 투입프레임(160) 외측으로 회전되어 투입프레임(160) 내의 육묘상자(10)로부터 분리되어 이격된다.
이후, 도 7에서와 같이, 상부 받침판(172)이 투입프레임() 내에서 2단의 육묘상자(10)를 받쳐 지지한 상태에서 하부 받침판(182)이 투입프레임(160)의 외측으로 이동되면, 작동바(220)가 하부 받침판(182)과 같이 이동되어 투입프레임(160)에서 이격됨과 동시에 인장되어 있던 탄성부재(210)의 압축력이 타격링크(200)에 작용하여 양 타격링크(200)를 역회전시키고, 역회전되는 양 타격링크(200)에 의해 각각의 타격돌부(201)는 다시 투입프레임(160)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2단의 육묘상자(10)에 끼임된 최하단 육묘상자(10)의 테두리부(11) 상면을 타격하게 된다.
따라서, 테두리부(11)의 상면이 각각의 타격돌부(201)에 의해 타격된 최하단의 육묘상자(10)는 상부의 2단 육묘상자(10)로부터 분리되어 베이스프레임()의 회전축() 위로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 : 육묘상자 11 : 테두리부
12 : 결합돌부 13 : 결합홈부
100 : 투입장치 110 : 베이스프레임
111 : 회전축 112 : 이송롤러
113 : 가이드레일 120 : 구동모터
121 : 구동휠 130 : 종동휠
140 : 체인 150 : 투입부
160,160a : 투입프레임 161 : 관통공
162 : 수직프레임 163 : 가이드브라켓
163a : 관통공 164,164a : 가이드봉
164-1,164a-1 : 절곡부 165 : 고정브라켓
170,180 : 실린더 171,181 : 피스톤
172,182 : 받침판 173,183 : 감지센서
190 : 리미트스위치 200 : 타격링크
201 : 타격돌부 202 : 힌지부
203 : 연결공 210 : 탄성부재
220 : 작동바

Claims (15)

  1. 외주연부에 외측으로 돌출된 테두리부를 갖는 육묘상자를 적층된 상태에서 하나씩 차례로 배출시켜 파종기 측으로 공급하는 육묘상자 투입장치로서,
    육묘상자를 이송시키는 회전축이 일정간격마다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는 베이스프레임;
    베이스프레임에 구비되어 회전축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
    회전축과 이격되게 베이스프레임 상에 구비되고, 그 내부에는 육묘상자가 적층된 상태로 구비되는 투입프레임; 및
    투입프레임에 관통되게 구비되어 적층된 육묘상자를 받쳐 지지하는 한편 적층된 육묘상자를 베이스프레임의 회전축 상으로 하나씩 차례로 공급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고,
    액츄에이터는, 투입프레임의 양측 상,하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부 액츄에이터는 적층된 2단 육묘상자의 테두리부를 받쳐 지지하고, 하부 액츄에이터는 적층된 최하단 육묘상자의 하면을 받쳐 지지하며,
    상,하 액츄에이터는, 투입프레임의 외측에 각각 고정되게 구비되는 실린더;
    각 실린더에 출입가능하게 구비되는 피스톤; 및
    각 피스톤에 구비되어 투입프레임을 관통하면서 적층된 육묘상자의 테두리부와, 최하단 육묘상자의 하면을 각각 받쳐 지지하는 받침판;을 포함하고,
    상,하 실린더에 각각 구비되어 각 실린더에서 왕복 이동되는 피스톤의 행정 및 작동 시간을 조절하는 조절수단을 포함하며,
    조절수단은 각 실린더의 선,후단부에 각각 감지센서를 구비하여 각 피스톤의 행정을 조절할 수 있고, 각 감지센서에 타이머를 연결하여 이동되는 피스톤의 작동 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육묘상자 투입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투입프레임에는 투입프레임에서 배출되어 공급되는 육묘상자를 검출하는 리미트스위치가 구비되는 육묘상자 투입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리미트스위치에서 공급되는 육묘상자가 검출되면, 하부 실린더의 피스톤이 인출되어 받침판이 투입프레임 내부로 돌출되고, 상부 실린더의 피스톤은 인입되어 받침판이 투입프레임 외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적층된 육묘상자가 하강되면서 하부 실린더의 받침판에 최하단 육묘상자의 하면이 받쳐져 지지되며, 상부 실린더의 피스톤이 다시 인출되어 받침판이 투입프레임 내부로 돌출되면서 적층된 2단 육묘상자의 테두리부를 받쳐 지지하고,
    리미트스위치에서 육묘상자가 검출되지 않으면, 하부 실린더의 피스톤이 인입되어 받침판이 투입프레임 외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받치고 있던 최하단의 육묘상자를 베이스프레임의 회전축으로 하강시켜 공급하는 육묘상자 투입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하 받침판 사이의 간격은 적층되는 육묘상자 간의 최대 간격을 포함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육묘상자 투입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투입프레임에서 배출되어 공급되는 육묘상자의 이동속도보다 파종기 측으로 공급되는 육묘상자의 이동속도가 느리게 구비되는 육묘상자 투입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투입프레임의 각 코너부위에는 투입프레임 내에 적층된 육묘상자를 지지 및 안내하는 수직프레임이 각각 구비되고, 수직프레임 중 일측편의 수직프레임은 반대편의 수직프레임보다 낮은 높이로 구비되는 육묘상자 투입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각 수직프레임의 내측에는 수직프레임의 각 면에 대응한 가이드봉이 각각 구비되고, 가이드봉은 그 단부가 수직프레임의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외향 절곡된 절곡부로 형성되어, 육묘상자를 가이드하는 육묘상자 투입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투입프레임에 구비되어 투입프레임 내부에 적층된 육묘상자를 타격하여 분리시키는 타격링크를 포함하는 육묘상자 투입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타격링크는 투입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양 타격링크는 작동바로 연결되어 구비되며, 작동바는 하부 받침판에 고정되게 구비되어, 하부 받침판이 투입프레임의 외측으로 이동될 때 타격링크가 회전되면서 적층된 육묘상자를 타격하는 육묘상자 투입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타격링크에는 투입프레임에서 타격링크를 회전시켜 육묘상자를 타격하는 타격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육묘상자 투입장치.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타격링크는 투입프레임에 적층된 최하단 육묘상자의 테두리부 상면을 타격하도록 구비되는 육묘상자 투입장치.
KR1020160149728A 2016-08-23 2016-11-10 육묘상자 투입장치 KR1018654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107065 2016-08-23
KR1020160107065 2016-08-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7460A KR20160137460A (ko) 2016-11-30
KR101865478B1 true KR101865478B1 (ko) 2018-06-08

Family

ID=57707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9728A KR101865478B1 (ko) 2016-08-23 2016-11-10 육묘상자 투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547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4012A (ko) 2019-01-21 2019-02-11 정지현 육묘상자 공급장치
KR102150362B1 (ko) * 2020-04-10 2020-09-01 함영식 용기 공급장치
KR20210072390A (ko) 2019-12-09 2021-06-17 박종병 육묘상자 공급장치
KR20210001861U (ko) 2020-02-10 2021-08-19 박종병 육묘상자 공급장치
KR20220034408A (ko) * 2020-09-11 2022-03-18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생분해성 포트트레이 자동공급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6218B1 (ko) * 2016-12-19 2018-08-07 정지현 육묘상자 및 이의 투입장치
CN109230519B (zh) * 2018-10-25 2024-04-05 广州明森合兴科技有限公司 一种芯片烧录设备的芯片上料装置
KR101988924B1 (ko) * 2018-12-20 2019-06-13 재단법인 중소조선연구원 연안통발어선의 통발 투승용 이동식 작업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37614B2 (ja) * 1994-11-21 2005-04-13 井関農機株式会社 苗箱供給装置
KR101247035B1 (ko) * 2013-01-16 2013-03-25 구기현 파종기용 육묘상자의 자동 공급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27U (ja) * 1992-06-11 1994-01-11 セイレイ工業株式会社 育苗箱供給装置
KR200422866Y1 (ko) 2006-05-20 2006-08-02 구진섭 파종기용 육묘상자의 공급장치
KR200422867Y1 (ko) 2006-05-20 2006-08-02 구진섭 파종기용 육묘상자 공급장치의 출구조정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37614B2 (ja) * 1994-11-21 2005-04-13 井関農機株式会社 苗箱供給装置
KR101247035B1 (ko) * 2013-01-16 2013-03-25 구기현 파종기용 육묘상자의 자동 공급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특허공보 특허 제 3637614호(2005.04.13.) 1부. *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4012A (ko) 2019-01-21 2019-02-11 정지현 육묘상자 공급장치
KR20210072390A (ko) 2019-12-09 2021-06-17 박종병 육묘상자 공급장치
KR20210001861U (ko) 2020-02-10 2021-08-19 박종병 육묘상자 공급장치
KR102150362B1 (ko) * 2020-04-10 2020-09-01 함영식 용기 공급장치
KR20220034408A (ko) * 2020-09-11 2022-03-18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생분해성 포트트레이 자동공급장치
KR102515376B1 (ko) * 2020-09-11 2023-03-29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생분해성 포트트레이 자동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7460A (ko) 2016-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5478B1 (ko) 육묘상자 투입장치
KR101738835B1 (ko) 육묘상자 적재 및 인출장치
KR20190014012A (ko) 육묘상자 공급장치
KR101928244B1 (ko) 적층 공급된 육묘상자의 정렬 및 상승장치
KR101443433B1 (ko) 육묘공정 자동화 설비 시스템
KR101936280B1 (ko) 육묘상자 인출장치
KR102347573B1 (ko) 육묘상자 공급장치
KR200451729Y1 (ko) 육묘용 파종기
KR200472722Y1 (ko) 육묘상자 적층 및 적출기
KR102192663B1 (ko) 굼벵이 선별기
US10750675B2 (en) Vertical hydroponic tower plant container handling system
KR101961071B1 (ko) 적층 공급된 육묘상자의 정렬 및 상승장치
KR101904696B1 (ko) 육묘상자 적재 및 인출장치
US10765064B2 (en) Vertical hydroponic tower harvesting system
KR20160137923A (ko) 육묘상자 적재장치
KR200469522Y1 (ko) 육묘상자 공급기
KR101886218B1 (ko) 육묘상자 및 이의 투입장치
EP3826452B1 (en) Plant cultivation system and apparatuses therefor
KR102132839B1 (ko) 육묘상자 적재장치
KR102000345B1 (ko) 육묘상자의 적층장치
KR101698297B1 (ko) 육묘상자 적재장치
JP3300568B2 (ja) 仮植装置
JP2003116307A (ja) 鉢上げ装置
KR200451266Y1 (ko) 육묘상자
JP3111155B2 (ja) 育苗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