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1266Y1 - 육묘상자 - Google Patents

육묘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1266Y1
KR200451266Y1 KR2020080002240U KR20080002240U KR200451266Y1 KR 200451266 Y1 KR200451266 Y1 KR 200451266Y1 KR 2020080002240 U KR2020080002240 U KR 2020080002240U KR 20080002240 U KR20080002240 U KR 20080002240U KR 200451266 Y1 KR200451266 Y1 KR 2004512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ling box
seedling
box
edge
lower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22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8512U (ko
Inventor
구진섭
Original Assignee
구진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진섭 filed Critical 구진섭
Priority to KR20200800022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1266Y1/ko
Publication of KR200900085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85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12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126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3Seed or shoot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8Devices for filling-up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Devices for setting plants or seeds in pots
    • A01G9/085Devices for setting seeds in po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육묘상자에 관한 것이며 파종기에 육묘상자를 적층하고, 이를 컨베이어로 공급할 때 적층 된 육묘상자가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은 육묘상자에서 길이가 짧은측인 세로변(좌측변과 우측변)의 테두리 하측변을 바닥지점까지 길게 연장하고, 리브는 하방 변부까지 연장하고, 연장된 하측변의 모서리는 라운드지게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파종기에서 육묘상자 수납대에 육묘상자를 적층하고 파종기를 작동시켜서 하부측의 육묘상자를 컨베이어로 공급되게 하면 육묘상자는 컨베이어를 타고 진행하게 되고, 이때 상부측 육묘상자 좌우측 하부변의 리브에서 가이드 되어 이송중인 육묘상자 상부변은 걸림 현상이 해소되므로 파종기에서 육묘상자의 공급이 원활하게 되고 사용이 편리하게 되는 특징이 있다.
육묘상자, 테두리, 걸림, 고장, 파손

Description

육묘상자{Box for seedling culture}
본 고안은 육묘상자에 관한 것이며 볍씨 파종에 사용되는 육묘상자를 파종기의 육묘상자 수납대에 적층시켜서 파종기를 가동할 때 육묘상자를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자의 파종에 사용하는 육묘상자는 벼, 채소류, 두류, 화훼 등 작물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육묘상자가 있고, 상기에서 볍씨 파종에 사용되는 육묘상자는 육묘상자에 흙을 채운 후 볍씨를 파종하고, 이를 일정기간을 발아 생육시킨 다음 이앙기를 이용하여 육묘상자에서 생육 된 육묘를 농지에 이양을 하게 되는 일련의 과정을 기계화 또는 자동화하게 된다.
상기 파종기에 사용되는 육묘상자는 규격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상기 육묘상자의 구성은 직사각이고 상부가 개방되며 상자의 바닥에는 복수개의 타공부를 형성하고, 상부변에는 상자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Figure 112010020783623-utm00001
형 테두리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육묘상자에 관련된 선행수단은 아래와 같다.
·일본국 공개 특허공보 소47-15510호(공개일자 : 1972. 10. 23.)
·국내 실용신안등록제229272호(등록일자 : 2001. 04. 20.)
·국내 특허등록제411726호(등록일자 : 2003. 12. 05.)
. 국내특허등록제581411호(등록일자 : 2006. 05. 11)
상기 선행수단의 육묘상자는
Figure 112010020783623-utm00002
형 테두리와 벽체 사이의 공간에는 등간격으로 보강되는 리브가 형성된다.
상기 육묘상자에 흙을 채우고 볍씨를 파종하기 위하여 육묘상자를 파종기의 육묘상자 수납부에 적층시켜서 한개씩 컨베이어로 공급되는 과정에서 진행하는 육묘상자의 세로변에 구비되는 테두리는 적층되어 고정된 육묘상자 세로변의 테두리에서 부딪히고, 또 상부에 위치하는 육묘상자의 테두리 하연이 하부에 위치하는 육묘상자의 상부변에 걸려서 이송되는 육묘상자가 정상적으로 진행하지 못하고 파종기의 컨베이어에서 이탈되거나 또는 파종기 본체에 부딪혀 파종기 본체 또는 육묘상자의 손상이 발생 되는 결점과, 육묘상자를 사용한 후에 적층 보관하거나 또는 차량 등지에 적재하여 이동할 때 육묘상자의 상부변에 구성된 테두리가 서로 부딪히거나 걸려서 육묘상자가 손상되는 등의 결점이 발생 되고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점을 해소하고 육묘상자의 세로변 테두리를 하측으로 길게 연장하고, 테두리와 육묘상자 벽면 사이의 요홈에 구비하는 리브는 육묘상자의 저부로 연장시키고 모서리는 라운드지게 하여 육묘상자를 적층하거나 파종기에서 육묘상자가 이송되는 과정에서 육묘상자간에 걸림 현상이나 이송에 장애요인을 해소할 수 있는 육묘상자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서 보인 도1은 육묘상자의 전체 사시도
도2는 육묘상자의 저부를 보인 사시도
도3은 육묘상자의 일부를 파절한 사시도
도4는 육묘상자의 일부를 파절한 저부 사시도
도5는 육묘상자의 종단면의 사시도
도6은 육묘상자의 횡단면의 사시도
도7은 육묘상자의 중앙 지점의 단면도
도8은 육묘상자의 전후 지점의 단면도
도9는 육묘상자를 파종기에 적재한 사용상태도
도10은 파종기에서 육묘상자의 적층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11은 파종기에서 육묘상자의 이송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본 고안은 도1 및 도2와 같이 직사각이고, 상부가 개방되며 바닥에는 타공부(2)와 리브(3)가 형성되고, 벽면(4)의 외측 상부에는 테두리(5)가 구성되는 통상의 육묘상자(1)에 있어서 도3 내지 도8과 같이 상기 육묘상자(1) 길이가 짧은측인 세로변(좌측변과 우측변) 테두리(A)(B)의 하측변을 바닥지점까지 길게 연장하고 테두리 내벽과 육묘상자 외벽 사이의 공간에 등간격으로 구비되는 리브(6)는 하방 변부까지 연장시키고 테두리가 연장된 하측변의 모서리는 라운드지게 구성한 것이다.
도면 중 미설명된 부호 20은 파종기, 21은 육묘상자 적재부, 22는 흙 공급호퍼, 23은 컨베이어 밸트, 24는 이송로울러를 표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육묘상자는 길이가 짧은지점에 위치하는 상부 세로변(좌측변과 우측변) 테두리의 하측변을 바닥까지 길게 연장하고, 상기 테두리 내벽과 육묘상자 외벽 사이에 보강을 위하여 구비하는 리브는 하방 변부까지 연장하고, 테두리가 연장된 하측변의 모서리는 라운드지게 구성하여서 파종기의 육묘상자 적재부에 적재하여 사용하게 되면 상기 육묘상자는 파종기의 컨베이어 밸트에 공급되는 과정에서 테두리와 리브에서 가이드 되어 육묘상자간에 걸림 현상이 해소되어 파종기에서 육묘상자 공급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육묘상자는 제조에 아무런 장애가 없고 보관이나 이동할 때 외력에 의한 손상요인이 해소되므로 사용이 편리한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은 도1 내지 도2과 같이 직사각이고, 상부가 개방되며 바닥에는 타공부(2)와 리브(3)가 형성되고, 벽면(4)의 외측 상부에는 테두리(5)가 구비되는 통상의 육묘상자(1)에 있어서 상기 육묘상자(1)의 길이가 짧은지점에 위치하는 세로변(좌측변과 우측변) 테두리(A)(B) 하측변을 바닥까지 길게 연장하고, 상기 테두리 내벽과 육묘상자 외벽 사이의 공간에 구비되는 리브(6)는 하부변까지 연장하고 테두리가 연장된 하측변의 모서리는 라운드지게 구성되도록 금형을 제조한 다음 합성수지재를 소재로 하는 사출성형기에서 사출성형으로 제조하게 되면 육묘상자는 양산제조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와 같이 제조된 육묘상자(1)는 도9와 같이 파종기(20)의 육묘상자 적재부(21)에 적층하고, 파종기(20)를 가동시켜 이송로울러(24)를 구동시키면 컨베이어 밸트(23)가 가동되면서 육묘상자(1)를 흙 공급호퍼(22)로 이송시켜서 상기 육묘상자(1)에 흙을 채우고 종자호퍼를 통과하면 종자가 파종 되는 과정으로 동작하게 된다.
상기에서 육묘상자 적재부(21)에 적재된 육묘상자(1)는 도10과 같이 적층 되어진 상태에서 하방의 육묘상자(1)가 컨베이어 밸트(23)를 타고 진행하게 되면 상부의 육묘상자는 도11과 같이 하중에 의해서 하강 되고 하측에서 이송중인 육묘상자(1)의 상부와 마찰이 발생 되고, 또 마찰의 초기 발생 지점과 끝부지점은 이송되는 육묘상자에서 길이가 짧은지점에 위치하는 세로변(좌측변과 우측변)의 상부변과 상부 육묘상자의 저부변에서 강한 마찰이 형성된다.
이때 하측에 위치하는 육묘상자 상부는 좌우 세로변에 위치되는 테두리(5)의 외측변이 길게 구성된 지점에 상부측 육묘상자(1) 하측의 세로변 지점에 리브(6)가 위치되어 마찰과정에서 걸림이 해소되므로 파종기(20)에서 육묘상자의 이송이 용이하게 된다.
또 본 고안의 육묘상자는 육묘재배장에서 육묘가 재배되고 이앙 장소로 이동하기 위하여 육묘상자를 이동하거나 사용을 완료하고 적재할 때 육묘상자(1) 벽면(4)에서 외측으로 구비되는 테두리(5)의 세로변(좌측변과 우측변) 외벽이 하방으로 길게 연장되고, 또 하측에는 변부가 라운드지는 리브(6)에 의해서 보강되고 테두리가 연장된 모서리에는 돌출부가 없어 육묘상자는 외부 충격에서 파손이 없어지게 된다.
도1은 본 고안 육묘상자의 전체 사시도
도2는 본 고안 육묘상자의 저부를 보인 사시도
도3은 본 고안 육묘상자의 일부를 파절한 사시도
도4는 본 고안 육묘상자의 일부를 파절한 저부 사시도
도5는 본 고안 육묘상자의 종단면의 사시도
도6은 본 고안 육묘상자의 횡단면의 사시도
도7은 본 고안 육묘상자의 중앙 지점의 단면도
도8은 본 고안 육묘상자의 전후 지점의 단면도
도9는 본 고안 육묘상자를 파종기에 적재한 사용상태도
도10은 파종기에서 육묘상자의 적층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11은 파종기에서 육묘상자의 이송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육묘상자 2 : 타공부
3,6 : 리브 4 : 벽면
5 : 테두리 A : 좌측변 테두리
B : 우측변 테두리

Claims (1)

  1. 바닥에는 타공부(2)와 리브(3)가 형성되고 벽면(4)의 외측 상부에는 보강되는 테두리(5)가 구성되는 통상의 육묘상자(1)에 있어서 육묘상자(1)의 길이가 짧은측인 세로변(좌측변과 우측변) 테두리(A)(B)의 하측변을 바닥지점까지 길게 연장하고, 테두리 내벽과 육묘상자 외벽 사이의 공간에 등간격으로 구비되는 리브(6)는 하방 변부까지 연장하고 테두리가 연장된 하측변의 모서리는 라운드지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육묘상자
KR2020080002240U 2008-02-20 2008-02-20 육묘상자 KR2004512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2240U KR200451266Y1 (ko) 2008-02-20 2008-02-20 육묘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2240U KR200451266Y1 (ko) 2008-02-20 2008-02-20 육묘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512U KR20090008512U (ko) 2009-08-25
KR200451266Y1 true KR200451266Y1 (ko) 2010-12-06

Family

ID=41294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2240U KR200451266Y1 (ko) 2008-02-20 2008-02-20 육묘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126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770U (ko) 2015-08-21 2017-03-02 오윤석 행거 일체형 수납장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3104B1 (ko) 2001-12-29 2004-03-22 기광물산 주식회사 산파모용 볍씨 육묘상자
KR100501767B1 (ko) 2004-06-22 2005-07-18 기광물산 주식회사 바닥면에 골 및/또는 산이 형성되고 바닥면 외부에리브살이 구비된 육묘상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3104B1 (ko) 2001-12-29 2004-03-22 기광물산 주식회사 산파모용 볍씨 육묘상자
KR100501767B1 (ko) 2004-06-22 2005-07-18 기광물산 주식회사 바닥면에 골 및/또는 산이 형성되고 바닥면 외부에리브살이 구비된 육묘상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512U (ko) 2009-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70378B2 (en) Biodegradable horticulture container
CN203691917U (zh) 钵体育苗精量播种流水线
KR101865478B1 (ko) 육묘상자 투입장치
CA2829417A1 (en) Propagation container for plants and propagation plate having several such propagation containers
KR20160073645A (ko) 마늘 파종기
CN101006765B (zh) 钵形毯状秧苗育秧盘
KR200451266Y1 (ko) 육묘상자
JP5319449B2 (ja) 種蒔き装置
CN101278633A (zh) 套盘式钵形毯状秧苗育秧盘及起秧方法
WO2015183188A1 (en) Seedling iron-supplement and root-control container
JP2020195338A (ja) カセット式苗木育成コンテナ
JP2006254787A (ja) 催芽苗の育苗方法、催芽苗の播種方法及び播種装置及び出芽苗移植機
KR101360222B1 (ko) 수경재배용 연결포트 및 이를 이용한 육묘방법
CN201267128Y (zh) 套盘式钵形毯状秧苗育秧盘
CN203040165U (zh) 一种农作物插播机
CN201029341Y (zh) 水稻秧苗育秧盘
KR20130007216U (ko) 엽채류 수경재배시 스폰지배지 육묘의 정식용 포트
JP4116023B2 (ja) 育苗ポット及び苗床
KR20100042615A (ko) 육묘용 용기
KR20170056357A (ko) 파종기
CN206620445U (zh) 双套管两用盘育苗轻型播种机
CN202722127U (zh) 多功能工厂化育苗托盘
KR200309796Y1 (ko) 산파용 개량 육묘상자
CN211982862U (zh) 育苗钵盘
CN117819067B (zh) 一种蔬菜运输储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7

Year of fee payment: 7

EXPY Expiration of term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