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2615A - 육묘용 용기 - Google Patents

육묘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2615A
KR20100042615A KR1020100020959A KR20100020959A KR20100042615A KR 20100042615 A KR20100042615 A KR 20100042615A KR 1020100020959 A KR1020100020959 A KR 1020100020959A KR 20100020959 A KR20100020959 A KR 20100020959A KR 20100042615 A KR20100042615 A KR 201000426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eedlings
side wall
roots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0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택승
김종진
장광은
Original Assignee
(주)수프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수프로 filed Critical (주)수프로
Priority to KR1020100020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42615A/ko
Publication of KR20100042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26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5Units comprising two or more connected receptac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육묘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묘용 용기는 바닥판의 가장자리와 연결되어 상부가 개구된 통으로 형성된 측벽, 측벽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하로 길게 연장 형성된 제1 론지, 측벽의 내부로 인입된 판 형태로 측벽을 계단 모양으로 형성시키는 레지 및 레지의 복수의 열 및 행 간격으로 형성된 제1 홀을 포함한다. 이에 의해 묘목을 쉽게 잘 기를 수 있다.

Description

육묘용 용기 {receptacles for raising seeding}
본 발명은 용기(容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육묘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육묘용 용기는 조경이나 조림 등의 관상 또는 녹화용으로 묘목을 키우기 위해 이용된다. 이러한 용기로 묘목을 기르는 경우 묘목의 뿌리가 비정상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나선형 뿌리가 형성될 수 있는데, 나선형 뿌리란 뿌리가 지면에 대해 일정한 각을 이루면서 직진함에 따라 용기 내면에 부딪히는 경우 내벽을 타고 나선형으로 감기면서 성장하는 것을 말한다.
묘목의 뿌리가 나선형 뿌리로 성장하게 되면 서로 엉켜 잔뿌리가 발달하지 못하는 원인이 된다. 이때 잔뿌리가 발달하지 못한 묘목을 식재하면 묘목이 영양 공급을 제대로 받지 못해 성장이 잘 이루어지지 않거나, 심한 경우에 죽을 수도 있다. 또한 뿌리가 생육하면서도 계속 나선형으로 자라나므로 사방으로 성장하지 못하고 뭉치기 때문에 묘목이 태풍 등과 같은 거센 바람에 쓰러질 수 있다.
한편 용기로 묘목을 기르는 과정에서 뿌리가 용기의 하측 배수구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와 땅속에서 계속 성장할 수 있다. 이 경우 다 성장되면 용기로부터 묘목을 분리하기 힘들며, 분리하는 과정에서 묘목의 뿌리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용기를 지면보다 높게 위치시키도록 별도의 용기 받침대를 구비할 수 있으나, 용기 받침대를 별도로 마련해야 하므로 비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설치 장소에도 제약이 될 수 있어 묘목을 기르기 어렵다.
일 양상에 따라 묘목을 쉽게 잘 기를 수 있는 육묘용 용기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바닥판, 바닥판의 가장자리와 연결되어 상부가 개구된 통으로 형성된 측벽, 측벽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하로 길게 연장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론지(longi), 측벽의 내부로 인입된 판 형태로 측벽을 계단 모양으로 형성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레지(ledge) 및 적어도 하나의 레지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홀을 포함하는 육묘용 용기를 제안한다.
이때 바닥판의 상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론지 및 측벽의 하측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 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론지는 직선형 또는 V자형 형태일 수 있으며, 제1 홀은 좌우로 길게 형성된 슬롯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제2 론지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론지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묘목을 쉽게 잘 기를 수 있는 육묘용 용기가 제공된다.
즉 뿌리가 나선형으로 감기는 현상이 방지되고, 용기 내에서 자라나는 묘목의 뿌리에 공기 단근이 유도됨에 따라 잔뿌리 또는 곁뿌리가 발달하여 묘목을 손쉽게 기를 수 있다. 나아가 잔뿌리와 곁뿌리가 발달한 묘목을 식재하여 성목으로 재배한 후 분뜨기 작업이 용이하며 이식한 후에도 활착 및 생육이 우수하다. 한편 용기의 특정 영역에 응력이 집중되는 현상이 완화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묘용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육묘용 용기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육묘용 용기의 평면도,
도 4는 도 1의 육묘용 용기의 참고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묘용 용기의 제1 론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육묘용 용기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묘용 용기(1)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육묘용 용기(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육묘용 용기(1)의 평면도, 도 4는 도 1의 육묘용 용기(1)의 참고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묘용 용기(1)는 바닥판(10), 측벽(20), 제1 론지(longi, 30), 레지(ledge, 40) 및 제1 홀(50)을 포함하며, 제2 론지(32) 및 제2 홀(5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묘용 용기(1)는 바닥판(10)과 측벽(20)이 결합되어 용기 형태를 이루며, 제1 론지(30)가 측벽(20)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연장 형성되고, 레지(40)가 측벽(20)의 내부로 인입되어 측벽(20)을 계단 모양으로 형성시킨다.
구체적으로 바닥판(10)은 지면과 같은 지지 공간에 놓여지는 판으로써, 원 형태일 수 있으나 사각형 형태 등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측벽(20)은 바닥판(10)의 가장자리와 연결되어 상부가 개구된 통으로 형성되어 생육 상토(床土)가 채워지면 묘목이 자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때 측벽(20)은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어 육묘용 용기(1)로부터 묘목이 손쉽게 분리될 수 있다.
바닥판(10)과 측벽(20)이 결합되어 형성된 육묘용 용기(1)는 도 1과 같이 원통 형상일 수 있으나, 사각통 형상 등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이때 원통 형상일 경우 육묘용 용기(1)는 역립된 원뿔 피라미드 형태이며, 사각통 형상일 경우 역립된 사각뿔 피라미드 형태를 이룬다.
한편 제1 론지(longi, 30)는 측벽(20)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하로 길게 연장 형성되며, 복수 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론지(30)들은 측벽(20)의 내부에 미리 설정된 폭과 높이 내에서 상하로 길게 연장 형성되며, 미리 설정된 간격에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론지(30)들에 의해 묘목의 뿌리가 용기(1) 내에서 측벽(20)의 내면을 타고 감기지 않으면서 하방으로 뻗어 성장할 수 있다.
제1 론지(30)들은 그 사이에 각각 위치한 제1 홀(50)들로 뿌리가 자연스럽게 유도된다. 이때 묘목의 뿌리가 제1 홀(50)들로 쉽게 빠져나와 공기에 노출됨으로써, 빠져나온 뿌리들이 고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묘목의 곁뿌리(側根)와 잔뿌리(細根)의 발달이 촉진되고 지상부의 생장이 억제되어 균형잡힌 우량형질의 묘목이 생산된다.
또한 제1 론지(30)는 육묘용 용기(1)의 구조적 강도를 증가시킨다. 이 경우 변형력이 부분적으로 특정 영역에 급격히 커지는 현상인 응력집중(stress concentration)이 분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론지(30)들의 구성을 통해 용기의 계단식 모서리에 응력이 집중되는 현상이 완화될 수 있다.
나아가 제1 론지(30)들은 곡면으로 처리되어 육묘용 용기(1)로부터 묘목이 쉽게 분리될 수 있다. 제1 론지(30)들은 도 1과 같은 직선형 또는 후술되는 도 5와 같은 브이(V)자형 형태일 수 있으나, 이 외의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은 당업자에 있어서 자명하다. 또한 제1 론지(30)들은 각각의 하단이 바닥판(10)의 상면에 위치할 정도로 연장 형성됨으로써 후술할 제2 론지(32)들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지(ledge, 40)는 측벽(20)의 내부로 인입된 판 형태로 측벽(20)을 계단 모양으로 형성시켜 육묘용 용기(1)로부터 묘목이 쉽게 분리되도록 한다. 레지(40)는 정해진 열 간격으로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레지(40)는 직선형 형태뿐만 아니라 사선형 형태 등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제1 홀(50)은 레지(40)들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구멍 형태로서, 복수 개일 수 있다. 이때 제1 홀(50)을 통해 육묘용 용기(1) 내에서 성장하는 묘목의 뿌리가 외부로 쉽게 빠져나올 수 있다. 이러한 제1 홀(50)들은 뿌리가 수평으로 유도되어 자라날 수 있도록 좌우로 길게 형성된 슬롯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측벽(20)의 내면에는 제1 홀(50)들의 각 상측에 인접한 부위마다 경사면(미도시)이 형성되어 제1 홀(50)들로 뿌리가 더욱 원활하게 유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경사면은 그 하단이 제1 홀(50)들의 각 내측으로 인입되게 하방으로 경사진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홀(50)들의 하면도 뿌리가 외부로 유도될 수 있도록 외부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한편 제1 홀(50)들은 측벽(20)이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된 것에 상응하여 상위 행으로부터 하위 행으로 갈수록 좌우 폭이 점차 짧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홀(52)은 측벽(20)의 하측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구멍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제2 홀(52)들이 전술한 제1 홀(50)들과 각각 동일한 열에 위치될 수 있도록 제1 홀(50)들의 열과 열 사이에 각각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나아가 제2 홀(52)들이 측방으로 개구됨과 동시에 측벽(20)의 하부를 막아서 육묘용 용기(1) 내부가 지면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육묘용 용기(1) 내에서 자라나는 뿌리가 제2 홀(52)들을 통해 측방으로 유도되어 외부로 빠져나올 수 있으며 이렇게 빠져 나온 뿌리가 지면에 바로 닿아서 땅속으로 자라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하부가 개구된 용기를 지면보다 높게 위치시키기 위해 별도의 용기 받침대를 마련할 필요가 없어 경제적이며 설치 장소에도 제약이 없어 묘목을 온실이든 노지든 어디서나 쉽게 기를 수 있다.
제2 홀(52)들은 육묘용 용기(1) 내로 공급된 수분이 과도하면 이를 외부로 쉽게 배출되도록 함과 동시에 전술한 제1 홀(50)들과 마찬가지로 뿌리가 외부로 빠져나와 공기에 노출되게 함으로써 공기 단근을 유도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홀(52)들은 수분 배출과 공기 유통이 원활하도록 제1 홀(50)들의 상하 폭보다 각각 넓은 폭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바닥판(10)의 상면으로부터 제2 론지(32)들이 각각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론지(32)들은 묘목의 뿌리가 측방으로 뻗어나가 자라게 하며, 그 사이에 위치한 제2 홀(52)들로 뿌리가 자연스럽게 유도되도록 형성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묘용 용기(1)는 측벽(20)의 상단에 구조적인 보강을 위해 테두리(60)가 추가 형성될 수 있다. 테두리(60)의 형태는 측벽(20)을 보강할 수 있는 범주에서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측벽(20)의 내면 상측에는 육묘용 용기(1) 내부에 생육 상토를 채울 때 그 양을 식별하여 균일하게 채울 수 있도록 식별 띠(7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식별 띠(70)는 측벽(20)의 내면으로부터 측벽(20)의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한 줄 이상, 예를 들면 도 1과 같이 두 줄로 돌출 형성되는 구조일 수 있으나 이 외의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은 당업자에 있어서 자명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묘용 용기의 제1 론지(30a)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론지는 도 1과 같이 직선형(30)일 수 있으나 도 5와 같이 브이(V)자형 형태(30a)일 수 있다. 제1 론지(30a)가 V자형 형태일 경우 제1 론지(30a)의 양 방향 사이에 형성된 제1 홀을 통해 뿌리가 외부로 빠져나와 공기에 노출됨으로써 공기 단근이 잘 유도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육묘용 용기(1b)의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묘용 용기는 도 1과 같이 독립된 용기 형태 내에서 다양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6과 같이 복수 개의 용기가 연결된 하나의 육묘용 용기(1b)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많은 양의 여러 묘목을 동시에 기르거나 관리할 수 있다.
요약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묘용 용기는 뿌리가 나선형으로 감기는 현상이 방지되고, 용기 내에서 성장하는 묘목의 뿌리에 공기 단근이 유도될 수 있다. 나아가 잔뿌리와 곁뿌리가 발달한 묘목을 식재하여 성목으로 재배하면 분뜨기 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이식한 후에도 활착 및 생육이 우수하다. 나아가 용기의 계단식 모서리 등의 특정 영역에 응력이 집중되는 현상이 완화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육묘용 용기 10 : 바닥판
20 : 측벽 30 : 제1 론지
32 : 제2 론지 40 : 레지
50 : 제1 홀 52 : 제2 홀
60 : 테두리 70 : 식별 띠

Claims (6)

  1.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가장자리와 연결되어 상부가 개구된 통으로 형성된 측벽;
    상기 측벽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하로 길게 연장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론지(longi);
    상기 측벽의 내부로 인입된 판 형태로, 상기 측벽을 계단 모양으로 형성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레지(ledge);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레지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홀을 포함하는 육묘용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의 상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론지를 더 포함하는 육묘용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의 하측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 홀을 더 포함하는 육묘용 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론지는 직선형 또는 V자형 형태인 육묘용 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홀은 좌우로 길게 형성된 슬롯 형태인 육묘용 용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론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론지와 각각 연결되게 형성된 육묘용 용기.
KR1020100020959A 2010-03-09 2010-03-09 육묘용 용기 KR201000426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0959A KR20100042615A (ko) 2010-03-09 2010-03-09 육묘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0959A KR20100042615A (ko) 2010-03-09 2010-03-09 육묘용 용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5993U Division KR20090011460U (ko) 2008-05-07 2008-05-07 육묘용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2615A true KR20100042615A (ko) 2010-04-26

Family

ID=42217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0959A KR20100042615A (ko) 2010-03-09 2010-03-09 육묘용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4261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3362B1 (ko) * 2012-01-19 2014-02-17 (주)장원조경 수목 재배용 용기
KR20180060593A (ko) 2016-11-29 2018-06-07 김지훈 조립식 화분
WO2023277278A1 (ko) * 2020-08-31 2023-01-05 주원준 육묘 용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3362B1 (ko) * 2012-01-19 2014-02-17 (주)장원조경 수목 재배용 용기
KR20180060593A (ko) 2016-11-29 2018-06-07 김지훈 조립식 화분
WO2023277278A1 (ko) * 2020-08-31 2023-01-05 주원준 육묘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01700B2 (en) Combination planter
US20140366444A1 (en) Propagation container for plants and propagation plate having several such propagation containers
US20110247269A1 (en) Plant starter kit and method
KR100894143B1 (ko) 육묘용기
KR20100042615A (ko) 육묘용 용기
KR20090011460U (ko) 육묘용 용기
CN109310054B (zh) 园艺设备
KR100761546B1 (ko) 육묘용 용기
JP3213705U (ja) 育苗用プランター
JP2001148944A (ja) 育苗セット及び育苗方法
JP2004275190A (ja) 改良された植物トレイ
GB1586781A (en) Containers for plants or bulbs
KR101292176B1 (ko) 육묘판 및 육묘판 생장 프레임
JP6138672B2 (ja) 育苗セットと、トレイと、育苗ポットと、苗のスペーシング方法と、育苗方法
KR20140004927U (ko) 식물 재배용기
KR101698112B1 (ko) 격자형 셀이 형성된 육묘 상자 및 블록매트형 상토를 포함하는 육묘 장치
KR200359219Y1 (ko) 활엽수용 양묘 포트
KR20100004168U (ko) 공기통공을 구비한 육묘용 연결포트
KR200242455Y1 (ko) 산파모용 볍씨 육묘상자
KR200227662Y1 (ko) 육묘용 포트
KR100423104B1 (ko) 산파모용 볍씨 육묘상자
JP2014207868A (ja) 植物育成装置および植物育成方法
KR102558057B1 (ko) 고설 재배용 딸기화분 개별 분리 및 취출 기능을 갖는 화분거취대
KR200461604Y1 (ko) 육묘상자
JP6425202B2 (ja) 育苗用の栽培容器および樹木の苗木の栽培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