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1546B1 - 육묘용 용기 - Google Patents

육묘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1546B1
KR100761546B1 KR1020060041033A KR20060041033A KR100761546B1 KR 100761546 B1 KR100761546 B1 KR 100761546B1 KR 1020060041033 A KR1020060041033 A KR 1020060041033A KR 20060041033 A KR20060041033 A KR 20060041033A KR 100761546 B1 KR100761546 B1 KR 100761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s
legs
side wall
ribs
row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1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택승
Original Assignee
(주)수프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수프로 filed Critical (주)수프로
Priority to KR1020060041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15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1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15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3Seed or shoot receptac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육묘용 용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와 하부가 개구된 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복수의 행과 열로 제1 홀들이 형성된 측벽; 제1 홀들의 열과 열 사이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측벽의 하단으로부터 각각 연장 형성된 다리들; 상기 측벽의 하측에서 상기 다리들과 결합된 것으로, 상기 다리들과, 상기 다리들 사이에 위치한 상기 측벽 하단 사이에 제2 홀들이 형성되게 하는 바닥 판; 측벽의 내면으로부터 각각 돌출 형성되며, 제1 홀들의 열과 열 사이에서 각각 상하로 길게 연장 형성된 제1 리브(rib)들; 및 바닥 판의 상면으로부터 각각 돌출 형성되며, 다리들에 각각 연결되고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된 제2 리브들;을 구비함으로써, 소나무와 참나무류 등의 묘목을 양육함에 있어 묘목의 잔뿌리를 발달시키고 뿌리가 나선형으로 감기면서 성장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육묘용 용기{Pot for raising seed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묘용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육묘용 용기에 대한 전개도.
도 3은 도 1의 육묘용 용기에 대한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 영역에 대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10..측벽 115..제1 홀
118..제2 홀 120..제1 리브
140..바닥 판 150..제2 리브
본 발명은 육묘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나무와 참나무류 등의 묘목을 양육함에 있어 묘목의 잔뿌리를 발달시키고 뿌리가 나선형으로 감기면서 성장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육묘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경이나 조림 등의 관상용 또는 녹화용으로 묘목을 공급하기 위해 육묘용 용기가 많이 이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육묘용 용기로 묘목을 양육함에 있어 직면하는 심각한 문제 중 하나가 비정상적으로 뿌리가 발달하는 나선형 뿌리의 발생이다. 나선형 뿌리란 뿌리의 직진성에 의해 뿌리가 용기 내에서 내벽을 타고 나선형으로 감기면서 성장한 것을 일컫는다. 이처럼 묘목의 뿌리가 나선형 뿌리로 성장하게 되면, 뿌리가 서로 엉켜 잔뿌리가 발달하지 못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나선형 뿌리는 묘목이 양육되는 동안에는 큰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잔뿌리가 발달하지 못한 묘목을 식재한 후에는 묘목이 영양 공급을 제대로 받지 못해 성장이 잘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며, 심한 경우에는 죽을 수도 있다. 또한, 뿌리가 생육하면서도 계속 나선형으로 자라나므로 뿌리가 사방으로 자라지 못하고 뭉치기 때문에 태풍 등과 같은 거센 바람에 쓰러질 수 있어 큰 문제가 될 수 있다.
한편, 육묘용 용기로 묘목을 양육하는 과정에서, 뿌리가 용기의 하측 배수구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와 땅속에서 계속 성장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양육이 끝난 후 묘목을 용기로부터 분리하기가 힘들게 되며, 분리하는 과정에서 묘목의 뿌리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용기를 지면보다 높게 위치시킬 수 있도록 별도의 용기 받침대가 필요하다. 그런데, 이 경우에는 용기 받침대를 별도로 마련하여야하므로 비경제적일 뿐 아니라, 설치 장소에도 제약이 될 수 있는바 묘목을 어디서나 손쉽게 양육하기가 힘들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묘목의 잔뿌리를 발달시키고 뿌리가 나선형으로 감기면서 성장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장 소의 제약 없이 어디서나 묘목을 손쉽게 양육할 수 있는 육묘용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육묘용 용기는,
상부와 하부가 개구된 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복수의 행과 열로 제1 홀들이 형성된 측벽; 상기 제1 홀들의 열과 열 사이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측벽의 하단으로부터 각각 연장 형성된 다리들; 상기 측벽의 하측에서 상기 다리들과 결합된 것으로, 상기 다리들과, 상기 다리들 사이에 위치한 상기 측벽 하단 사이에 제2 홀들이 형성되게 하는 바닥 판; 상기 측벽의 내면으로부터 각각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 홀들의 열과 열 사이에서 각각 상하로 길게 연장 형성된 제1 리브(rib)들; 및 상기 바닥 판의 상면으로부터 각각 돌출 형성되며, 상기 다리들에 각각 연결되고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된 제2 리브들;을 구비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육묘용 용기는,
상부와 하부가 개구되고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각각이 좌우로 길게 형성된 슬롯 형상을 갖고 복수의 행과 열로 제1 홀들이 형성된 측벽; 상기 제1 홀들의 열과 열 사이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측벽의 하단으로부터 각각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1 홀들의 상하 폭보다 각각 길게 연장 형성된 다리들; 상기 측벽의 하측에서 상기 다리들과 결합된 것으로, 상기 다리들과, 상기 다리들 사이에 위치한 상기 측벽 하단 사이에 제2 홀들이 형성되게 하는 바닥 판; 상기 측벽의 내면으로부터 각각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 홀들의 열과 열 사이에서 각각 상하로 길게 연장 형성되되 각각의 하단이 상기 바닥 판의 상면에 위치하게 연장 형성된 제1 리브(rib)들; 및 상기 바닥 판의 상면으로부터 각각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 리브들과 각각 연결되고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된 제2 리브들;을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묘용 용기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육묘용 용기에 대한 전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의 육묘용 용기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묘용 용기(100)는 상부와 하부가 개구되고 내부 공간을 갖는 통 형상의 측벽(110)을 구비한다.
측벽(110)은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용기(100)로부터 양육이 끝난 묘목을 용기(100)와 손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측벽(110)은 생육 상토(床土)가 채워져 묘목이 양육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측벽(110)의 상단에는 구조적인 보강을 위해 테두리(111)가 형성될 수 있는데, 테두리(111)의 형태는 측벽(110)을 보강할 수 있는 범주에서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측벽(110)의 내면 상측에는 용기(100) 내부에 생육 상토를 채울 때 그 양을 식별하여 균일하게 채울 수 있게 식별 띠(112)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식별 띠(112)는 측벽(110)의 내면으로부터 측벽(110)의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한 줄 이상, 도시된 바에 따르면 두 줄로 돌출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측벽(110)에는 제1 홀(115)들이 복수의 행과 열로 형성되는데, 제1 홀(115)들은 용기 내에서 자라나는 묘목의 뿌리가 외부로 쉽게 빠져나오게 하여 공기에 노출되게 함으로써, 공기 단근(root pruning)의 효과가 적극적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제1 홀(115)들은 묘목에 공기 단근이 유도되게 함으로써 잔뿌리가 왕성하게 발달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발달한 잔뿌리로 인하여 묘목의 생장도 좋게 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제1 홀(115)들은 뿌리가 수평으로 유도되어 자라날 수 있도록, 좌우로 길게 형성된 슬롯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상기 제1 홀(115)들로 뿌리가 더욱 원활하게 유도될 수 있도록, 측벽(110)의 내면에는 제1 홀(115)들의 각 상측에 인접한 부위마다 경사면(116)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경사면(116)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단이 제1 홀(115)들의 각 내측으로 인입되게 하방으로 경사진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홀(115)들의 하면도 뿌리가 외부로 유도될 수 있도록, 외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 홀(115)들은 측벽(110)이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된 것에 상응하여, 상위 행으로부터 하위 행으로 갈수록 좌우 폭이 점차 짧아지게 형성된다.
상기 측벽(110)의 내면으로부터는 제1 리브(rib)(120)들이 각각 돌출 형성되는데, 제1 리브(120)들은 상하로 길게 소정 폭과 높이로 각각 연장 형성되며, 소정 간격으로 이격이 되어 배치된다. 여기서, 제1 리브(120)들은 각각의 하단이 후술할 바닥 판(140)의 상면에 위치할 정도로 연장 형성됨으로써 후술할 제2 리브(150)들과 각각 연결 가능하게 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 리브(120)들은 뿌리가 용기(100) 내에서 측벽(110)의 내면을 타고 감기지 않고 하방으로 뻗어나 자랄 수 있게 하여 뿌리가 나선형으로 감기면서 자라는 현상, 즉 나선형 뿌리로 자라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제1 리브(120)들은 제1 홀(115)들의 열과 열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데, 이에 따라 제1 리브(120)들은 그 사이에 각각 위치한 제1 홀(115)들로 뿌리가 자연스럽게 유도되게 하여 공기 단근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한편, 제1 리브(120)들은 각각의 상단이 전술한 식별 띠(112)보다 하측에 위치되게 연장 형성되는 한편 곡면 처리된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용기(100)로부터 양육이 끝난 묘목을 손쉽게 분리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제1 리브(120)들과 제1 홀(115)들은 뿌리가 나선형으로 자라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공기 단근을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게 하는데, 이에 따라 잔뿌리와 곁뿌리의 발달이 촉진될 수 있다. 그 결과, 잔뿌리와 곁뿌리가 발달한 묘목을 식재하여 성목으로 재배한 후 분재 작업을 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분재 작업이 용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이식한 후에도 활착 및 생육이 좋은 결과가 얻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벽(110)의 하단으로부터는 다리(130)들이 각각 연장 형성되며, 소정 간격으로 이격이 되게 배치된다. 여기서, 다리(130)들은 후술할 바닥 판(140)과, 상기 다리(130)들 사이에 위치한 상기 측벽(110) 하단과 함께 제2 홀(118)들을 각각 형성되게 하는 경우, 제2 홀(118)들이 전술한 제1 홀(115)들과 각각 동일한 열에 위치될 수 있도록, 제1 홀(115)들의 열과 열 사이에 각각 대응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리(130)들의 하측에는 바닥 판(140)이 배치되는데, 바닥 판(140)은 측벽(110)의 하측에서 상기 다리(130)들과 결합된 것으로, 상기 다리(130)들과, 상기 다리(130)들 사이에 위치한 상기 측벽(110) 하단 사이에 제2 홀(118)들이 형성되게 하고, 측벽(110)의 하부를 막을 수 있게 한다. 상술하면, 바닥 판(140)은 다리(130)들과 함께 제2 홀(118)들이 형성되도록 하되 제2 홀(118)들이 측방으로 개구되게 함과 동시에, 측벽(110)의 하부를 막아서 용기(100) 내부가 지면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용기(100) 내에서 자라나는 뿌리가 제2 홀(118)들을 통해 측방으로 유도되어 외부로 빠져나올 수 있게 되며, 이렇게 빠져나온 뿌리가 지면에 바로 닿아서 땅속으로 자라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하부가 개구된 용기를 지면보다 높게 위치시키기 위해 별도의 용기 받침대를 마련할 필요가 없어 경제적이며, 설치 장소에도 제약이 없어 묘목을 온실이든 노지든 어디서나 손쉽게 양육하는 것이 가능해질 수 있다.
이러한 바닥 판(140)의 상면으로부터는 제2 리브(150)들이 각각 돌출 형성되는데, 제2 리브(150)들은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되되, 바닥 판(140)의 외측을 향한 각각의 단부가 다리(130)들에 각각 대응되어 연결된다. 이러한 제2 리브(150)들은 뿌리가 측방으로 뻗어나가 자라게 하는 한편, 그 사이에 위치한 제2 홀(118)들로 뿌리가 자연스럽게 유도되게 하여 공기 단근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이 바닥 판(140) 및 다리(130)들에 의해 한정된 제2 홀(118)들은, 용기(100) 내로 공급된 수분이 과도하게 되면 외부로 쉽게 배출할 수 있게 함과 동 시에, 전술한 제1 홀(115)들과 마찬가지로 뿌리가 외부로 빠져나와 공기에 노출되게 함으로써 공기 단근이 유도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제2 홀(118)들은 수분 배출과 공기 유통이 원활할 수 있도록, 제1 홀(115)들의 상하 폭보다 각각 넓은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 다리(130)들은 제1 홀(115)들의 상하 폭보다 각각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육묘용 용기(100)는 독립된 용기로서 다양한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일 예로, 양육이 끝난 묘목의 분리가 용이하고 취급이 편리할 수 있게, 대략 상부 지름이 19㎝, 하부 지름이 13㎝, 높이가 20㎝인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육묘용 용기에 의하면, 측벽이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용기로부터 양육이 끝난 묘목을 손쉽게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측벽에 제1 홀들이 복수의 행과 열로 형성되는 한편, 측벽의 최 하측에 제2 홀이 형성됨으로써, 용기 내에서 자라나는 묘목의 뿌리에 공기 단근이 유도될 수 있어 잔뿌리가 왕성하게 발달할 수 있다.
또한, 측벽의 내면으로부터 제1 리브들이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하로 연장 형성되는 한편 제1 홀들의 열과 열 사이에 각각 대응되게 배치됨으로써, 뿌리가 나선형으로 감기면서 자라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제1 리브들 사이에 각각 위치한 제1 홀들로 뿌리가 자연스럽게 유도되어 공기 단근이 이루어질 수 있 다.
게다가, 측벽의 하부가 바닥 판에 의해 막히며, 바닥 판의 상면으로부터 제2 리브들이 각각 돌출 형성되고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편 다리들에 각각 대응되어 연결됨으로써, 뿌리가 측방으로 뻗어나가 자랄 수 있을 뿐 아니라, 제2 리브들 사이에 각각 위치한 제2 홀들로 뿌리가 자연스럽게 유도되어 공기 단근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상부와 하부가 개구된 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복수의 행과 열로 제1 홀들이 형성된 측벽;
    상기 제1 홀들의 열과 열 사이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측벽의 하단으로부터 각각 연장 형성된 다리들;
    상기 측벽의 하측에서 상기 다리들과 결합된 것으로, 상기 다리들과, 상기 다리들 사이에 위치한 상기 측벽 하단 사이에 제2 홀들이 형성되게 하는 바닥 판;
    상기 측벽의 내면으로부터 각각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 홀들의 열과 열 사이에서 각각 상하로 길게 연장 형성된 제1 리브(rib)들; 및
    상기 바닥 판의 상면으로부터 각각 돌출 형성되며, 상기 다리들에 각각 연결되고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된 제2 리브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용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브들은 상기 제2 리브들과 각각 연결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용 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들은 각각 좌우로 길게 형성된 슬롯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다리들은 상기 제2 홀들이 상기 제1 홀들의 상하 폭보다 각각 넓은 폭을 가질 수 있게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용 용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의 내면에는 상기 제1 홀들의 각 상측에 인접한 부위마다 상기 제1 홀들의 각 내측으로 하단이 인입되게 하방으로 경사진 경사면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용 용기.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은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용 용기.
  6. 상부와 하부가 개구되고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각각이 좌우로 길게 형성된 슬롯 형상을 갖고 복수의 행과 열로 제1 홀들이 형성된 측벽;
    상기 제1 홀들의 열과 열 사이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측벽의 하단으로부터 각각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1 홀들의 상하 폭보다 각각 길게 연장 형성된 다리들;
    상기 측벽의 하측에서 상기 다리들과 결합된 것으로, 상기 다리들과, 상기 다리들 사이에 위치한 상기 측벽 하단 사이에 제2 홀들이 형성되게 하는 바닥 판;
    상기 측벽의 내면으로부터 각각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 홀들의 열과 열 사이에서 각각 상하로 길게 연장 형성되되 각각의 하단이 상기 바닥 판의 상면에 위치하게 연장 형성된 제1 리브(rib)들; 및
    상기 바닥 판의 상면으로부터 각각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 리브들과 각각 연결되고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된 제2 리브들;을 구비하는 육묘용 용기.
KR1020060041033A 2006-05-08 2006-05-08 육묘용 용기 KR1007615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1033A KR100761546B1 (ko) 2006-05-08 2006-05-08 육묘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1033A KR100761546B1 (ko) 2006-05-08 2006-05-08 육묘용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1546B1 true KR100761546B1 (ko) 2007-10-04

Family

ID=39418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1033A KR100761546B1 (ko) 2006-05-08 2006-05-08 육묘용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154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768Y1 (ko) 2010-01-14 2012-08-06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난대 조경수 재배 용기
KR101498983B1 (ko) * 2012-10-16 2015-03-19 주식회사 에코폴리 육묘용 생분해성 용기
CN105248194A (zh) * 2015-11-26 2016-01-20 贵州省辣椒研究所 一种漂浮育苗防鼠虫害的拱棚结构
CN105830610A (zh) * 2016-05-09 2016-08-10 新安县二龙种植农民专业合作社 一种旋转式取苗装置
KR102263635B1 (ko) * 2020-09-28 2021-06-11 (주)수프로 수직벽 녹화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1101B1 (ko) * 1997-06-18 1999-07-15 왕희지 육묘용기
KR200166753Y1 (ko) * 1999-07-07 2000-02-15 김두호 육묘용재배용기
KR200221590Y1 (ko) * 1998-04-16 2001-05-02 왕희지 육묘용기(container to grow seedli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1101B1 (ko) * 1997-06-18 1999-07-15 왕희지 육묘용기
KR200221590Y1 (ko) * 1998-04-16 2001-05-02 왕희지 육묘용기(container to grow seedling)
KR200166753Y1 (ko) * 1999-07-07 2000-02-15 김두호 육묘용재배용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768Y1 (ko) 2010-01-14 2012-08-06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난대 조경수 재배 용기
KR101498983B1 (ko) * 2012-10-16 2015-03-19 주식회사 에코폴리 육묘용 생분해성 용기
CN105248194A (zh) * 2015-11-26 2016-01-20 贵州省辣椒研究所 一种漂浮育苗防鼠虫害的拱棚结构
CN105248194B (zh) * 2015-11-26 2018-07-27 贵州省辣椒研究所 一种漂浮育苗防鼠虫害的拱棚结构
CN105830610A (zh) * 2016-05-09 2016-08-10 新安县二龙种植农民专业合作社 一种旋转式取苗装置
KR102263635B1 (ko) * 2020-09-28 2021-06-11 (주)수프로 수직벽 녹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68154B2 (en) Tower planter growth arrangement and method
KR100761546B1 (ko) 육묘용 용기
US20150342130A1 (en) Root guide for lengthening roots of a plant in a pot
US20080190022A1 (en) Plant container and method
CA2821917C (en) Hydroponics attachment and hydroponics kit
CN209964749U (zh) 一种植物幼苗栽培容器
US20030233787A1 (en) Seed-starter cell and tray for starting plants
US20050223639A1 (en) Plant container base with root-directing channels
JP3146679U (ja) プランター
KR101363362B1 (ko) 수목 재배용 용기
KR20090011460U (ko) 육묘용 용기
KR20100042615A (ko) 육묘용 용기
KR20140004927U (ko) 식물 재배용기
KR20100004168U (ko) 공기통공을 구비한 육묘용 연결포트
JP5538782B2 (ja) 直根性樹木の育苗方法、および直根性樹木の定植方法
KR930003112B1 (ko) 육묘용 통
JP4116023B2 (ja) 育苗ポット及び苗床
KR200359219Y1 (ko) 활엽수용 양묘 포트
KR200466079Y1 (ko) 덩굴류 조경수 재배 용기
US20030192239A1 (en) Planter pot with air pruning
KR200493718Y1 (ko) 식물 재배용 파이프형 화분
KR200464276Y1 (ko) 옥상 녹화용 조경수 재배 용기
KR100211101B1 (ko) 육묘용기
KR200469255Y1 (ko) 뿌리돌기 방지 및 통기ㆍ배수 기능을 갖는 화분
JP2005229873A (ja) 育苗法及び育苗用ポ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