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4276Y1 - 옥상 녹화용 조경수 재배 용기 - Google Patents

옥상 녹화용 조경수 재배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4276Y1
KR200464276Y1 KR2020100004573U KR20100004573U KR200464276Y1 KR 200464276 Y1 KR200464276 Y1 KR 200464276Y1 KR 2020100004573 U KR2020100004573 U KR 2020100004573U KR 20100004573 U KR20100004573 U KR 20100004573U KR 200464276 Y1 KR200464276 Y1 KR 2004642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portion
side wall
protrusion
slot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45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0454U (ko
Inventor
김종진
윤택승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201000045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276Y1/ko
Publication of KR201100104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04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2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27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33Flat containers for turf, lawn or the like, e.g. for covering roof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32Roof garden systems

Abstract

평판형 바닥부와 측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부의 반대쪽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통형 용기로서, 바닥부의 테두리는 제1 곡률 반지름을 가지며 제1 길이를 갖는 호(arc)가 N개 연결되어 형성된 모양이고, 바닥부의 테두리의 변곡부는 제2 곡률 반지름을 갖는 원주 상에 배치되어 있고, 제1 곡률 반지름은 제2 곡률 반지름보다 작으며, N개의 호는 원주의 바깥 쪽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모양이며, 측벽부는 N개의 호에 대응되는 N개의 측벽 부재들로 구성되고, 측벽부의 수평 단면의 모양은 바닥부의 테두리의 모양과 동일하고, 각각의 측벽 부재에는 하나 이상의 제1 슬롯이 형성되어 있는 조경수 재배 용기가 공개된다.

Description

옥상 녹화용 조경수 재배 용기{POT FOR ROOFTOP PLANTING}
본 고안은 조경수 재배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건물의 옥상 등 뿌리가 자라는 토양이 매우 얕은 인공 지반에 식재할 수 있는 옥상형 컨테이너 조경수를 생산하는데 사용되는 조경수 재배 용기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옥상에 녹화할 때 토양(일반 토양 또는 인공생육상토)이 필요한데, 토양이 건물에 큰 하중을 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최소한의 토양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얕은 인공 토양에 식재할 조경수의 모나무의 뿌리의 수직 길이가 식재할 토양의 깊이보다 길면 뿌리를 일정한 양만큼 절단하여 이식해야 한다. 따라서 조경수의 모나무를 재배할 때에 이식될 토양이 깊이를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재배 용기의 높이가 낮게 설계될 수 있다.
모나무의 잔뿌리가 많이 발달할수록 이식한 후에 더 잘 성장할 수 있다. 일반적인 용기에서는 모나무의 뿌리가 재배 용기의 측벽부에 도달하면 뿌리가 재배 용기의 측벽부를 따라 나선형으로 성장하여 비이상적인 뿌리가 발생할 수 있다. 이상 성장한 뿌리를 갖는 모나무를 재배 용기로부터 분리하여 이식하게 되면, 이식한 후에 모나무가 잘 성장하지 못하며, 심한 경우에는 죽을 수도 있다. 또한 뿌리가 성장하면서도 계속 나선형으로 자라나므로 사방으로 성장하지 못하고 뭉치기 때문에 나무가 태풍 등과 같은 거센 바람에 쓰러질 수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얕은 인공 토양에 이식하기 적합한 모나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설계된 조경수 재배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때 모나무의 잔뿌리가 잘 발달될 수 있으며 모나무의 뿌리가 사방으로 잘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의 범위가 상술한 본 고안이 해결하려는 과제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이 해결하려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조경수 재배 용기가 제공된다. 이 용기는 평판형 바닥부와 측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부의 반대쪽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통형 용기(桶形 容器)로서, 상기 바닥부의 테두리는 다수 개의 변곡점을 가지며, 상기 변곡점들은 소정 지름의 원주 상에 존재하고, 상기 변곡점들 사이의 테두리 부분은 상기 원주의 바깥쪽으로 볼록한 형상을 갖는다. 상기 측벽부의 수평 단면의 모양은 상기 바닥부의 테두리의 모양과 동일하고, 상기 각각의 측벽 부재에는 하나 이상의 제1 슬롯이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양상에 의한 조경수 재배 용기가 제공된다. 이 용기는 평판형 바닥부와 측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부의 반대쪽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통형 용기(桶形 容器)로서, 상기 바닥부의 테두리는, 제1 곡률 반지름을 가지며 제1 길이를 갖는 호(arc)가 N(단, N은 3 이상의 자연수)개 연결되어 형성된 모양이고, 상기 바닥부의 테두리의 변곡부는 제2 곡률 반지름을 갖는 원주 상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 곡률 반지름은 상기 제2 곡률 반지름보다 작으며, 상기 N개의 호는 상기 원주의 바깥 쪽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모양이며, 상기 측벽부는 상기 N개의 호에 대응되는 N개의 측벽 부재들로 구성되고, 상기 측벽부의 수평 단면의 모양은 상기 바닥부의 테두리의 모양과 동일하고, 상기 각각의 측벽 부재에는 하나 이상의 제1 슬롯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측벽부의 안쪽에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1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슬롯은 상기 제1 돌출부에 인접하여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방향은 수직 방향이며, 상기 제1 돌출부의 개수는 N개이며, 상기 N개의 제1 돌출부는 각각 상기 측벽 부재들의 사이의 경계선을 따라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슬롯은 상기 제1 돌출부의 양쪽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돌출부의 수평 방향 단면은 상기 조경수 재배 용기의 중앙부로 갈수록 넓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양상에 의한 조경수 재배 용기가 제공된다. 이 용기는, 평판형 바닥부와 측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부의 반대쪽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통형 용기로서, 상기 바닥부의 테두리는, 제1 곡률 반지름을 가지며 제1 길이를 갖는 호(arc)가 N(단, N은 3 이상의 자연수)개 연결되어 형성된 모양이고, 상기 바닥부의 테두리의 변곡부는 제2 곡률 반지름을 갖는 원주 상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 곡률 반지름은 상기 제2 곡률 반지름보다 작으며, 상기 N개의 호는 상기 원주의 바깥 쪽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모양이며, 상기 측벽부는 상기 N개의 호에 대응되는 N개의 측벽 부재들로 구성되고, 상기 측벽부의 수평 단면의 모양은 상기 바닥부의 테두리의 모양과 동일하고, 상기 각각의 측벽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돌출부와 상기 제1 돌출부의 양쪽에 인접하여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1 슬롯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닥부의 내면에는 상기 바닥부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까지 연장된 제2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측벽부의 아래쪽 가장자리에는 제2 슬롯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돌출부의 바깥쪽 단부는 상기 제2 슬롯의 테두리와 연결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조경수 재배 용기를 사용하면 얕은 인공 토양에 식재하기 적합한 모나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때 모나무의 잔뿌리가 잘 발달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의 범위가 상술한 본 고안의 효과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경수 재배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경수 재배 용기의 바닥부의 모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조경수 재배 용기의 측벽부를 구성하는 측벽 부재의 모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경수 재배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의 수평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바닥부에 형성된 제2 돌출부의 종단면을 간략히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의 명세서에는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번호가 제공된다. 이 참조번호는 본 고안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도시되어 있으며,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갖는다.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서 참조번호는 괄호 안에 표시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경수 재배 용기(1)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경수 재배 용기의 바닥부(10)의 모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조경수 재배 용기의 측벽부(20)를 구성하는 측벽 부재(20, 21)의 모양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경수 재배 용기(1)를 설명한다.
조경수 재배 용기(1)는 바닥부(10) 및 측벽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부(10)의 테두리(40)는 여러 개의 변곡부(P)를 가질 수 있으며, 바닥부(10)의 테두리(40) 중 인접하는 변곡부(P) 사이의 부분은 바닥부(10)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볼록한 형상을 할 수 있다. 이러한 모양을 다음과 같이 다시 설명할 수 있다.
즉, 바닥부(10)의 테두리(40)는 제1 곡률 반지름(R1)을 가지며 제1 길이(L1)를 갖는 호(arc)(41~48)가 여러 개(N 개, 단, N>2 정수) 연결되어 형성된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이때 N개의 호가 연결되어 폐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서는 N=8로서 예시하였다. 본 고안의 범위가 N의 값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N개의 호(41~48)가 연결되면 N개의 변곡부(P)가 형성될 수 있다. N개의 변곡부(P)는 점으로서 존재하거나 또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선일 수 있다. N개의 변곡부는 제2 곡률 반지름(R2)을 갖는 원주(V) 상에 실질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실질적이라는 말의 의미는 N개의 변곡부의 위치가 제2 곡률 반지름(R2)을 갖는 원주(V)에서 약간 벗어나는 모양을 갖는 바닥부(10)를 포함하는 조경수 재배 용기(1)라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함을 의미한다.
여기서 원주(V)는 조경수 재배 용기(1)에 의해 겉으로 표출되지 않는 가상의 선이며,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경수 재배 용기(1)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해 도입된 개념임을 이해할 수 있다.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원주(V)의 제2 곡률 반지름(R2)은 N개의 호(41~48)의 제1 곡률 반지름(R1)보다 클 수 있다. N개의 호(41~48)는 원주(V)의 바깥쪽을 향해 볼록하게 돌출된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측벽부(20)는 바닥부(10)의 테두리(40)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측벽부(20)는 바닥부(10)에 대해 수직 위쪽으로 신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측벽부(20)는 다수 개(N 개)의 측벽 부재들(21~28)로 구성될 수 있다. 측벽 부재(21~28)들은 각각 따로 제조되어 나중에 조립되거나 또는 일체로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측벽부(20)와 바닥부(10)는 각각 따로 제조되어 나중에 조립되거나 또는 일체로서 형성될 수 있다.
측벽부(20)의 횡단면의 모양은 바닥부(10)의 테두리(40)와 동일한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측벽 부재, 예컨대 측벽 부재(21)에는 제1 슬롯(51)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슬롯은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로 길게 연장되거나 또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슬롯(52)이 측벽부(20)와 바닥부(10)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슬롯(52)은 제1 슬롯(51)의 바로 아래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슬롯(52)은 조경수 재배 용기(1) 내에 있는 물이 빠져나갈 수 있는 배수구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조경수 재배 용기(1)에서 자라는 모나무의 뿌리가 제 2 슬롯(52) 바깥으로 빠져나가면 공기와 접촉하여 단근될 수 있다. 변형된 실시예에서 제2 슬롯(52)은 측벽부(20)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바닥부(10)의 내면에는 바닥부(10)의 중심으로부터 바닥부(10) 테두리(40)의 변곡부(P)까지 연장되는 제2 돌출부(62)가 여러 개(N 개) 형성될 수 있다. 제2 돌출부(62)는 모나무 뿌리가 제2 슬롯(52)으로 빠져나가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도 6에 관한 설명에서 상세히 기술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경수 재배 용기(1)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조경수 재배 용기(1)의 변형된 실시예에다.
도 4를 살펴보면, 제1 돌출부(61)가 측벽부(20)의 내면에 다수 개(N 개) 형성되어 있다. 제1 돌출부(61)는 상향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측벽 부재(21~28)들 사이의 경계선을 따라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도 4 참조).
제1 슬롯(51)은 측벽부(20)에서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돌출부(61)의 양 옆에 근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 슬롯(52)은 제1 돌출부(61)의 바로 아래에서 수평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슬롯(52)은 바닥부(10)와 측벽부(20)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변형된 실시예에서 제2 슬롯(52)은 측벽부(20)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돌출부(62)는 바닥부(10)의 중심으로부터 측벽 부재(21~28)들의 경계선, 즉, 바닥부(10) 테두리(50)의 변곡부(P) 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렇게 연장된 제2 돌출부(62)는 제2 슬롯(52)과 만날 수 있다.
조경수 재배 용기(1)에서 측벽부(20)의 내면을 따라 자라는 뿌리는 제1 슬롯(51)을 통과해 공기와 접촉하여 단근될 수 있다.
측벽부(20) 내면의 제1 슬롯(51) 근처에서 제1 슬롯(51) 바깥으로 빠져나가지 못한 뿌리는 중력에 의해 제1 돌출부(61)를 따라 아래로 자랄 수 있다. 일반 용기에서는 뿌리가 측벽에 도달하면 한쪽 방향으로만 나선형을 그리면서 자라는 경향을 보이지만, 본 고안의 도 4에 의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돌출부(61)에 도달한 뿌리는 제1 돌출부(61)를 수평방향으로 넘어가지 못하고 제1 돌출부(61)의 연장방향을 따라 아래 방향으로 성장할 수 있다. 아래 방향으로 성장한 뿌리는 제2 슬롯(52)을 통해 바깥으로 나아가 공기에 의해 단근될 수 있다.
바닥부(10)에 도달한 뿌리는 바닥부(10)를 따라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자라날 수 있다. 이때, 뿌리가 제2 슬롯(62)까지 도달하면, 제2 슬롯(62)을 타고 넘어가지 못하고 제2 슬롯(62)의 연장 방향을 따라 바깥쪽으로 성장할 수 있다. 바깥쪽으로 성장한 뿌리는 제2 슬롯(52)을 통해 바깥으로 나아가 공기에 의해 단근될 수 있다.
제2 슬롯(52)는 상술한 기능 외에 조경수 재배 용기(1) 내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구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도 5는 도 4의 A-A'의 수평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살펴보면, 측벽부(20)에는 제1 돌출부(61) 및 제1 슬롯(51)이 형성되어 있으며, 도 5의 (a), (b), (c)에는 측벽부(20)에 경사면(116)이 더 형성되어 있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모나무의 뿌리는 조경수 재배 용기(1)의 내부에서 성장하다가 측벽부(20)의 내면에 도달한 후에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한쪽 방향을 따라 성장할 수 있다. 뿌리는 경사면(116)을 타고 제1 슬롯(51)의 바깥으로 빠져나가 단근될 수도 있지만, 경사면(116)을 타지 않고 제1 돌출부(61)에 도달할 수도 있다. 이하, 뿌리가 제1 돌출부(61)에 도달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 5의 (a)의 구조를 갖는 경우에, 제1 돌출부(61)에 도달한 뿌리는 계속하여 자라나던 방향을 따라 성장하여 제1 돌출부(61)를 타고 넘어갈 수 있다. 이 경우 뿌리가 나선형으로 성장하는 것을 방지할 수 없다.
도 5의 (b)의 구조를 갖는 경우에, 제1 돌출부(61)에 도달한 뿌리는 계속하여 자라나던 방향을 따라 성장하여 제1 돌출부(61)를 넘어갈 수도 있지만, 이와 달리 제1 돌출부(61)에 막혀 제1 슬롯(51)으로 유도되어 조경수 재배 용기(1) 바깥으로 빠져나갈 수도 있다. 이 경우 뿌리가 공기에 의해 단근되고, 그 주변에 잔뿌리 및/또는 곁뿌리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의 (c)의 구조를 갖는 경우에, 제1 돌출부(61)에 도달한 뿌리는 제1 돌출부(61)에 막혀 제1 슬롯(51)으로 유도되어 조경수 재배 용기(1) 바깥으로 빠져나갈 수 있다. 이 경우 뿌리가 공기에 의해 단근되고, 그 주변에 잔뿌리 및/또는 곁뿌리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의 (d)의 경우에는, 도 5의 (a) 내지 도 4의 (c)에 도시된 경사면(116)이 형성되지 않았기 때문에, 측벽부(20)의 내면을 따라 좌우 한쪽 방향으로 성장하는 뿌리가 제1 돌출부(61)를 만나기 전에 제1 슬롯(115)으로 유도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뿌리가 제1 돌출부(61)를 타고 넘어갈 확률이 커진다.
도 6의 (a), (b), (c)는 바닥부(10)에 형성된 제2 돌출부(62)의 종단면의 실시예들을 간략히 나타낸 것이다.
도 6의 (a)는 제2 돌출부(62)의 폭이 바닥부(10)에 가까워질수록 넓어지고 바닥부(10)로부터 멀어질수록 좁아지는 경우이다. 도 6의 (b)는 제2 돌출부(62)의 폭이 바닥부(10)로부터의 높이에 상관없이 일정한 경우이다. 도 6의 (c)는 제2 돌출부(62)의 폭이 바닥부(10)에 가까워질수록 좁아지고 바닥부(10)로부터 멀어질수록 커지는 경우이다.
도 6의 (a)와 같은 경우에는 바닥부(10)까지 성장한 뿌리가 방향(A)을 따라 제2 돌출부(62)를 타고 넘어갈 수 있다. 따라서, 뿌리가 제2 돌출부(62)의 바깥쪽 단부와 접하는 제2 슬롯(52) 쪽으로 유도되지 않고,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상생장을 할 수 있다. 그러나 도 6의 (b)와 같은 경우, 특히 도 6의 (c)와 같은 경우에는 바닥부(10)까지 성장한 뿌리가 방향(A)을 따라 제2 돌출부(62)를 타고 넘어갈 확률이 작아지며, 따라서 뿌리가 제2 돌출부(62)의 바깥쪽 단부와 접하는 제2 슬롯(52) 쪽으로 유도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뿌리가 나선형으로 이상 성장하는 것을 막을 수 있으며 제2 슬롯(52)에서의 단근을 유도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 바닥부(10)의 테두리(30)가 여러 개의 호(arc)가 서로 연결될 모양을 한다고 설명하였으나, 테두리(30)의 각 부분이 호(arc)와 유사한 형상을 갖는 경우에는 본 고안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본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설명하도록 의도된 것이며, 본 고안에 따라 구현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본 고안의 용이한 이해를 위하여 특정 용어를 사용하여 서술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특정 용어에 의해 본 고안의 범위가 제한되도록 의도한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본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상술한 실시예들은 각각 본 고안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이 소정 형태로 결합된 것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본 고안의 사상에 반하지 않는다면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당업자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공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본 고안의 범위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합리적 해석을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하고, 본 고안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고안의 기술 분야에 속하는 기술자라면 본 고안의 실시예들 및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로부터 본 고안의 사상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산림청의 관목?덩굴형 조경수목의 대량생산 및 규격화 기술개발에 따른 산림과학개발사업의 과제번호 S120707L0201004(연구기간 2007년 5월 16일부터 2010년 5월 15일)을 건국대학교가 주관하여 진행하는 과정에서 도출된 것으로서, 관목?덩굴형 조경수목의 생산 및 산업화에 사용될 수 있다.
1: 조경수 재배 용기 10: 바닥부
20: 측벽부 21: 측벽 부재
40: 테두리 41~48: 호
51: 제1 슬롯 52: 제2 슬롯
61: 제1 돌출부 62: 제2 돌출부
P: 변곡부 V: 원주

Claims (6)

  1. 평판형 바닥부와 측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부의 반대쪽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통형 용기(桶形 容器)로서,
    상기 바닥부의 테두리는, 제1 곡률 반지름을 가지며 제1 길이를 갖는 호(arc)가 N(단, N은 3 이상의 자연수)개 연결되어 형성된 모양이고,
    상기 바닥부의 테두리의 변곡부는 제2 곡률 반지름을 갖는 원주 상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 곡률 반지름은 상기 제2 곡률 반지름보다 작으며, 상기 N개의 호는 상기 원주의 바깥 쪽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모양이며,
    상기 측벽부는 상기 N개의 호에 대응되는 N개의 측벽 부재들로 구성되고, 상기 측벽부의 수평 단면의 모양은 상기 바닥부의 테두리의 모양과 동일하고,
    상기 각각의 측벽 부재에는 하나 이상의 제1 슬롯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벽부의 안쪽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1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슬롯은 상기 제1 돌출부에 인접하여 상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제1 슬롯의 일측면은 상기 제1 돌출부 중 상기 통형 용기 바깥방향 단부로부터 시작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돌출부의 수평 방향 단면은 상기 통형 용기의 중앙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조경수 재배 용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의 개수는 N개이며, 상기 N개의 제1 돌출부는 각각 상기 측벽 부재들의 사이의 경계선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조경수 재배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롯은 상기 제1 돌출부의 양쪽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는, 조경수 재배 용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의 내면에는 상기 바닥부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까지 연장된 제2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측벽부의 아래쪽 가장자리에는 제2 슬롯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돌출부의 바깥쪽 단부는 상기 제2 슬롯의 테두리와 연결되어 있는,
    조경수 재배 용기.
KR2020100004573U 2010-04-30 2010-04-30 옥상 녹화용 조경수 재배 용기 KR2004642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573U KR200464276Y1 (ko) 2010-04-30 2010-04-30 옥상 녹화용 조경수 재배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573U KR200464276Y1 (ko) 2010-04-30 2010-04-30 옥상 녹화용 조경수 재배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454U KR20110010454U (ko) 2011-11-07
KR200464276Y1 true KR200464276Y1 (ko) 2012-12-21

Family

ID=72887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4573U KR200464276Y1 (ko) 2010-04-30 2010-04-30 옥상 녹화용 조경수 재배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427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9104A (ko) 2015-09-07 2017-03-15 (주)케이엠피 유실수 재배용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7161Y1 (ko) 2001-11-20 2002-03-09 박정연 이중 화분
KR200359219Y1 (ko) 2004-05-17 2004-08-16 종 우 최 활엽수용 양묘 포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7161Y1 (ko) 2001-11-20 2002-03-09 박정연 이중 화분
KR200359219Y1 (ko) 2004-05-17 2004-08-16 종 우 최 활엽수용 양묘 포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9104A (ko) 2015-09-07 2017-03-15 (주)케이엠피 유실수 재배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454U (ko) 2011-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69598A (en) Container element combination for seed sprouting or plant culture
US10477781B2 (en) Plant tray
US20080190022A1 (en) Plant container and method
US20160037735A1 (en) Plant Tray
US20190261586A1 (en) A plate-shaped structure, a reservoir and method
CN106234051A (zh) 贫瘠地用底面灌溉式植物栽植容器
KR200464276Y1 (ko) 옥상 녹화용 조경수 재배 용기
KR200471719Y1 (ko) 공기층을 갖는 식물 재배 이중 용기
KR100761546B1 (ko) 육묘용 용기
US20040237390A1 (en) Anti-tangling plant pot
CN103957690A (zh) 用于植物的容器
US20190177046A1 (en) Plate-shaped structure, a reservoir and method
KR101498983B1 (ko) 육묘용 생분해성 용기
US20080216400A1 (en) Plant culture container structure
US11304379B2 (en) Plant growing assembly
KR101540258B1 (ko) 이중 용기로 된 구근식물용 컨테이너
KR20140004927U (ko) 식물 재배용기
KR200466079Y1 (ko) 덩굴류 조경수 재배 용기
KR20090011460U (ko) 육묘용 용기
CN102422792A (zh) 一种节水抑草型连盖营养钵
KR200461768Y1 (ko) 난대 조경수 재배 용기
KR200468807Y1 (ko) 식물 재배 이중 용기
KR101653557B1 (ko) 척박지용 저면관수 식물식재 용기
EP2792233A1 (en) Transplantation cone for nurseries
RU211763U1 (ru) Рассадная кассет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