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1768Y1 - 난대 조경수 재배 용기 - Google Patents

난대 조경수 재배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1768Y1
KR200461768Y1 KR2020100000412U KR20100000412U KR200461768Y1 KR 200461768 Y1 KR200461768 Y1 KR 200461768Y1 KR 2020100000412 U KR2020100000412 U KR 2020100000412U KR 20100000412 U KR20100000412 U KR 20100000412U KR 200461768 Y1 KR200461768 Y1 KR 2004617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slot
side wall
present
roo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04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7261U (ko
Inventor
김종진
윤택승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201000004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1768Y1/ko
Publication of KR201100072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72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17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176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3/00Forestry
    • A01G23/02Transplanting, uprooting, felling or delimbing trees
    • A01G23/04Transplanting trees; Devices for grasping the root ball, e.g. stump forceps; Wrappings or packages for transporting trees

Abstract

바닥부와 측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부의 반대쪽이 개방되어 있는 통형의 재배 용기가 공개된다. 재배 용기의 측벽부의 안쪽에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1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제1 돌출부에 인접하여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1 슬롯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난대 조경수 재배 용기{POT FOR RAISING WARM-TEMPARATURE LANDSCAPE TREES}
본 고안은 모나무(苗木)를 재배하기 위한 재배 용기(容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더 큰 재배 용기, 밭, 대지 등에 옮겨 심게 될 모나무를 재배하기 위한 용기에 관한 것이다.
모나무 재배 용기(이하, 재배 용기)는 각종 조경수의 모나무를 키우는데 사용될 수 있다. 모나무가 어느 정도 자란 후에는 더 큰 재배 용기, 화단, 밭 또는 대지에 옮겨 심을 수 있다. 침엽수, 활엽수 및 관상용 꽃나무의 모나무를 포함하는 다양한 식물을 모나무 재배 용기에 심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난대 조경수(暖帶 造景樹)는 넓은 잎을 가진다. 따라서 재배 용기에 난대 조경수의 모나무를 재배하는 경우, 재배 용기 안으로 물과 비료가 잘 들어가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난대 조경수의 모나무를 재배하가 위한 재배 용기의 상부 직경은 일반적인 재배 용기에 비해 크다. 또한, 난대 조경수의 유묘(幼苗)는 일반적으로 밭에 식재하기 때문에 재배 용기의 높이가 낮게 설계된다.
모나무의 잔뿌리가 많이 발달할수록 이식한 후에 더 잘 성장할 수 있다. 대부분의 난대 조경수는 얇은 뿌리가 발달하며, 일반적인 용기에서는 모나무의 뿌리가 재배 용기의 측벽부에 도달하면 뿌리가 재배 용기의 측벽부를 따라 나선형으로 성장하여 비이상적인 뿌리가 발생할 수 있다. 이상 성장한 뿌리를 갖는 모나무를 재배 용기로부터 분리하여 이식하게 되면, 이식한 후에 모나무가 잘 성장하지 못할 수 있다. 심한 경우에는 죽을 수도 있다. 또한 뿌리가 성장하면서도 계속 나선형으로 자라나므로 사방으로 성장하지 못하고 뭉치기 때문에 나무가 태풍 등과 같은 거센 바람에 쓰러질 수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모나무의 잔뿌리가 잘 발달될 수 있으며 모나무의 뿌리가 사방으로 잘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재배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위의 목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양상에 따른 재배 용기는, 바닥부와 측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부의 반대쪽이 개방되어 있는 통형 용기(桶形 容器)이다. 측벽부의 안쪽에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1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제1 돌출부에 인접하여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1 슬롯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방향은 상하 방향일 수 있다. 한 쌍의 제1 슬롯이 상기 제1 돌출부의 양쪽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돌출부의 수평 방향 단면은 재배 용기의 중앙부로 갈수록 넓어질 수 있다. 바닥부는 재배 용기의 중심부를 향하여 볼록하게 솟아 있으며, 바닥부의 중심부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양상에 따른 재배 용기는, 바닥부와 측벽부를 포함하며 바닥부의 반대쪽이 개방되어 있는 통형 용기이다. 바닥부의 위쪽 면에는 바닥부의 중심부로부터 가장자리까지 연장된 제2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측벽부의 아래쪽 가장자리에는 제2 슬롯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돌출부 중 일부 또는 전부의 바깥쪽 단부는 제2 슬롯의 테두리와 연결되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양상에 따른 재배 용기는, 바닥부와 측벽부를 포함하는 통형 용기이다. 이 통형 용기에서 바닥부의 반대쪽은 개방되어 있다. 이때, 측벽부의 안쪽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1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측벽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1 슬롯이 형성되어 있다.
위의 제1 슬롯은 복수 개가 존재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1 슬롯들은 한 쌍씩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위의 제1 돌출부는 한 쌍을 이루는 제1 슬롯들 사이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슬롯의 테두리 쪽으로 갈수록 측벽부의 두께가 얇게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양상에 따른 재배 용기는 바닥부와 측벽부를 포함하는 통형 용기로서 이 바닥부의 반대쪽은 개방되어 있다. 이때, 측벽부의 안쪽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1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바닥부의 위쪽에는 그 중심부로부터 가장자리까지 연장된 제2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돌출부는 복수 개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측벽부의 아래쪽 가장자리에는 제2 슬롯이 형성되어 있고, 제2 슬롯은 복수 개의 제1 돌출부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제2 돌출부는 복수 개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제1 돌출부의 개수보다 많을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제2 돌출부 중 일부의 바깥쪽 단부는 제1 돌출부의 아래쪽 단부와 연결되어 있고, 복수 개의 제2 돌출부 중 나머지의 바깥쪽 단부는 제2 슬롯의 테두리와 연결된다.
본 고안의 각 양상에 있어서, 바닥부는 통형 용기의 안쪽을 향하여 볼록하게 솟아 있으며, 바닥부의 중심부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본 고안의 해결 수단에 따르면 모나무의 잔뿌리가 잘 발달될 수 있으며 모나무의 뿌리가 사방으로 골고루 자라게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효과가 위의 효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배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배 용기의 전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배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 방향의 수평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1 내지 도 3에 따른 바닥부의 최대 지름 부분의 수직 단면과 그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의 명세서에는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번호가 제공된다. 이 참조번호는 본 고안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도시되어 있으며,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갖는다.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서 참조번호는 괄호 안에 표시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배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배 용기의 전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배 용기(100)는 바닥부(140)와 측벽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닥부(140)의 맞은 편에 있는, 재배 용기(100)의 상부는 흙과 모나무를 수납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다. 바닥부(140)와 측벽부(110)는 흙이 흩어지지 않도록 차단하는 기능을 갖는다. 바닥부(140)의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는 측벽부(110)의 아래쪽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와 접합되어 결합되어 있거나 또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재배 용기(100)는 재배 용기(100)를 지지할 수 있는 물체, 예컨대 테이블 위에 놓일 수 있다. 이때, 바닥부(140)와 연결되어 있는 측벽부(110)의 가장자리는 재배 용기(100)의 아래쪽이 되고 측벽부(110)의 반대쪽 가장자리는 재배 용기(100)의 위쪽이 된다. 또한, 재배 용기(100)가 수평 지지면(支持面) 상에 놓일 때에 바닥부(140)는 수평 방향과 나란히 놓일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바닥부(140)와 위의 상부는 사각형, 원형, 타원형 또는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지만,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원형을 갖는 경우를 설명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측벽부(110)는 바닥부(140)와 상부의 형상에 따라 원통형, 사각통형, 타원통형 등 다양한 입체적 구조를 가질 수 있지만,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원통형을 갖는 경우를 설명한다.
이때, 본 고안에 따르면, 바닥부(140)의 직경이 측벽부(110)의 위쪽 가장자리의 직경과 동일할 수 있지만,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바닥부(140)의 직경이 측벽부(110)의 위쪽 가장자리의 직경보다 작은 경우를 설명한다. 모나무가 적당히 자란 경우에는 모나무를 옮겨 심기 위해 재배 용기(100)에서 모나무를 분리하여야 하는데,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경우에 더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재배 용기(100)의 높이가 재배 용기(100)의 좌우 폭, 예컨대 바닥부(140)의 직경 또는 측벽부(110)의 위쪽 가장자리의 직경보다 더 크거나 같을 수 있지만,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재배 용기(100)의 높이가 재배 용기(100)의 좌우 폭보다 더 작은 경우를 설명한다.
측벽부(110)의 위쪽 가장자리에는 테두리(111)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테두리(111)의 두께는 측벽부(110)의 두께보다 더 클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테두리(111)가 뼈대 구조의 기능을 하기 때문에 측벽부(110)의 위쪽 부분에 구조적인 안정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비해, 측벽부(110)의 아래쪽 부분은 바닥부(140)에 의해 구조적인 안정을 유지할 수 있다.
테두리(111)는 측벽부(110)의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이동을 위해 재배 용기(100)를 들어올릴 때에 이 돌출된 부분의 하면을 손이나 리프팅(lifting) 기구로 지지함으로써 재배 용기(100)가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반해 테두리(111)가 측벽부(110)의 안쪽으로 돌출되는 경우에는 재배 용기(100)에 담겨 있는 흙을 재배 용기(100)로부터 분리할 때에 이 돌출부에 의해 흙이 잘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테두리(111)의 아래쪽에서, 측벽부(110) 안쪽에 식별 띠(112)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식별 띠(112)는 재배 용기(100)에 흙을 담을 때에 적절한 높이를 제시해줄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나무가 자라고 있는 재배 용기(100)에 물을 줄 때에 물이 흙 안으로 스며드는 데에는 일정한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재배 용기(100)에 담겨 있는 흙 표면 위에 일정시간 동안 물이 고여 있을 수 있다. 이때 고여 있는 물이 재배 용기(100) 바깥쪽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울타리가 필요하다. 식별 띠(112)에 맞추어 흙을 담으면 식별 띠(112) 위쪽의 측벽부(110)가 이러한 울타리 역할을 해줄 수 있다. 식별 띠(112)는 일정한 간격을 갖는 두 줄에 의해 그 상하 폭이 결정될 수 있다.
측벽부(110)의 안쪽에는 상하로 연장된 제1 돌출부(120, 12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돌출부(120, 120')는 소정의 폭을 가지며, 측벽부(110)의 안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1 돌출부(120, 120')의 상단부는 테두리(111)로부터 아래쪽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제1 돌출부(120, 120')의 하단부는 바닥부(140)로부터 위쪽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에 위치할 수 있지만,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 돌출부(120, 120')의 하단부가 바닥부(140)의 위쪽 면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즉, 제1 돌출부(120, 120')가 측벽부(110)의 아래쪽 가장자리까지 연장된 경우를 설명한다.
측벽부(110)에는 복수 개의 제1 돌출부(120, 120')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에, 복수 개의 제1 돌출부(120, 120')는 측벽부(110)의 둘레를 따라 서로 동일한 간격만큼 떨어져서 배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제1 돌출부(120)가 4개 형성되어 있고, 제1 돌출부(120')가 4개 형성된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이 개수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제1 돌출부(120, 120')는 재배 용기(100)의 상하 방향으로 뼈대 역할을 하기 때문에 상하 방향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재배 용기(100)에서 재배되는 모나무 뿌리가 자라는 방향이 제1 돌출부(120, 120')에 의해 분산될 수 있다. 모나무 뿌리가 성장하여 측벽부(110)에 도달하면 제1 방향으로만, 예컨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자랄 수 있다. 측벽부(110)에 접촉한 상태로 제1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자라는 모나무 뿌리가 제1 돌출부(120, 120')에 도달하면, 제1 돌출부(120, 120')에 의해 제1 방향으로의 성장이 차단되어 더 이상 제1 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제1 돌출부(120)에 도달한 뿌리는 굴지성에 의해 제1 돌출부(120)를 따라 아래쪽으로 자랄 수 있다. 아래쪽으로 자라는 뿌리로부터 잔뿌리가 더 형성될 수 있고 잔뿌리는 제1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성장할 수 있다.
제1 돌출부(120, 120')에 의해 뿌리가 제1 방향으로만 회전하여 자라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따라서 모나무를 재배 용기(100)로부터 분리하여 더 큰 재배 용기, 밭, 또는 대지에 이식하더라도 뿌리가 엉키거나 이상 생육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제1 돌출부(120')는 제1 돌출부(120)들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돌출부(120')의 하단부는 제2 슬롯(118)의 위쪽 테두리와 접할 수 있다. 추가로 형성된 제1 돌출부(120')에 의해 재배 용기(100)가 구조적으로 더 안정화될 수 있다.
제1 돌출부(120, 120')의 수평 방향 단면은 사각형, 삼각형, 마름모꼴 등 다양한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도 4에 더 설명한다.
측벽부(110)에는 제1 슬롯(115)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슬롯(115)은 재배 용기(100)의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따라서 제1 슬롯(115)의 상하 방향의 길이는 수평 방향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모나무의 뿌리가 제1 슬롯을 통해 재배 용기(100) 바깥으로 빠져나오게 되면 공기와 접촉하게 된다. 흙을 빠져 나와 대기와 접촉한 뿌리는 더 이상 자라지 못하고 단근될 수 있다. 단근된 부분의 근처에는 곁뿌리 및/또는 잔뿌리의 발달이 촉진된다.
단근은 단근삽 또는 단근낫 등을 이용한 인력(人力) 또는 트랙터용 단근기 및 경운기용 단근기 등과 같은 기계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에 따른 제1 슬롯(115)에 의해 별도의 작업 없이 자연스럽게 단근이 이루어지고 곁뿌리 및/또는 잔뿌리의 발달이 촉진될 수 있다.
뿌리는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퍼지면서 자란다. 상하 방향으로 퍼진 뿌리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슬롯(115)을 통해 공기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골고루 단근될 수 있다.
제1 슬롯(115)의 상단부는 테두리(111)로부터 아래쪽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제1 슬롯(115)의 하단부는 바닥부(140)로부터 위쪽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에 위치할 수 있지만,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제1 슬롯(115)의 하단부가 바닥부(140)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즉, 제1 슬롯(115)이 측벽부(110)의 아래쪽 가장자리까지 연장된 경우를 설명한다. 이 경우, 재배 용기(100) 내에 뿌려진 물이 제1 슬롯(115)의 하단부를 통해 재배 용기(100) 아래 쪽으로 빠져나갈 수 있다.
제1 슬롯(115)은 측벽부(110)를 관통하는 구멍이기 때문에 이 부분을 통해서 흙이 재배 용기(100) 바깥으로 빠져나올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흙이 쉽게 빠져 나오지 못하도록 제1 슬롯(115)의 폭의 크기를 결정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때, 흙의 입자의 크기, 종류, 및 입자 간의 점착도를 고려할 수 있다.
제1 슬롯(115)은 측벽부(1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도 1에서 '둘레 방향'은 원주를 따라 진행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둘레 방향'이라는 용어는 '수평 방향' 또는 '좌우 방향'이라는 용어로 대체될 수 있으며, '좌측 방향'은 재배 용기(100)의 위에서 내려다 보았을 때에 반시계 방향을 의미하고 '우측 방향'은 시계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슬롯(115)의 개수는 짝수일 수 있으며, 이때 두 개의 제1 슬롯(1151, 1152)이 하나의 쌍을 이룰 수 있다. 하나의 쌍을 이루는 두 개의 제1 슬롯(1151, 1152) 간의 간격은 다른 제1 슬롯(1153)과의 간격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즉, 한 쌍을 이루는 두 개의 제1 슬롯(1151, 1152)은 측벽부(1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매우 가까이 배치될 수 있다. 각 쌍은 측벽부(1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제1 슬롯(115)이 쌍을 이루어 형성된 경우에, 제1 돌출부(120)는 하나의 쌍을 이루는 제1 슬롯(115)들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하면, 제1 돌출부(1201)는 하나의 쌍을 이루는 제1 슬롯(1153, 1154)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이에 비해, 제1 돌출부(120')의 양 옆에는 제1 슬롯(115)이 형성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즉, 제1 돌출부(120, 120')의 일부의 양 옆에만 제1 슬롯(115)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슬롯(115)을 통해 바깥으로 빠져나가 단근된 뿌리의 근처에서는 잔뿌리 및/또는 곁뿌리가 활발히 생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슬롯(115) 근처에 있는 뿌리가 제1 슬롯(115)을 통해 바깥으로 빠져나가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슬롯(115)의 바로 옆에 제1 돌출부(120)가 형성된 경우에, 제1 슬롯(115)을 통해 바깥으로 빠져나가지 못했지만 제1 돌출부(120)에 도달한 뿌리가 제1 돌출부(120)에 의해 바로 옆에 있는 제1 슬롯(115) 방향으로 유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길게 연장된 슬롯 바로 옆에 길게 연장된 돌출부를 나란히 형성하면 이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1과 같이 제1 돌출부(120)의 양쪽에 한 쌍의 제1 슬롯(115)을 배치할 수 있다. 다르게는 제1 돌출부(120)의 한쪽에만 하나의 제1 슬롯(115)을 배치할 수도 있다.
측벽부(110) 중 제1 슬롯(115)의 좌측 방향 테두리 및/또는 우측 방향 테두리와 인접한 부분의 두께는 측벽부(110)의 평균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측벽부(110)의 안쪽 벽은 제1 슬롯(115)의 좌우 테두리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좌우 테두리 방향의 경사는 경사면(116)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도 4에서 더 자세히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두 개의 제1 슬롯(1153, 1154)이 쌍을 이루고, 제1 돌출부(1201)가 하나의 쌍을 이루는 제1 슬롯(1153, 1154)들 사이에 형성되는 경우에, 도 1과 같이 경사면(116)은 제1 슬롯(1153)의 오른쪽 그리고 제1 슬롯(1154)의 왼쪽에만 형성될 수 있다.
측벽부(110)의 아래쪽 가장자리에는 제2 슬롯(118)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슬롯(118)의 형성됨으로써 측벽부(110)의 아래쪽 가장자리에 다리(130)가 형성될 수 있다. 측벽부(110)와 바닥부(140)는 다리(130) 부분에서 연결될 수 있다.
제2 슬롯(118)을 통해 재배 용기 내에 있는 물이 빠져나올 수 있고, 또한 모나무의 뿌리가 제2 슬롯(118)을 통해 빠져나올 수 있다. 제2 슬롯(118)을 통해 빠져나온 뿌리는 공기에 접촉되어 단근될 수 있으며, 단근된 부위에서는 잔뿌리 및/또는 곁뿌리가 형성될 수 있다.
측벽부(110)에 형성된 제2 슬롯(118)은 바닥부(140)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도 1 및 도 2 참조).
제2 슬롯(118)은 제1 돌출부(120)들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두 개의 제1 슬롯(115)들이 하나의 쌍을 이루고 제1 돌출부(120)가 이 두 개의 제1 슬롯(115)들 사이에 배치되는 경우에, 제2 슬롯(118)은 제1 슬롯(115)의 각 쌍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돌출부(120')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제2 슬롯(118)의 위쪽 경계선은 제1 돌출부(120')의 하단과 접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배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2와 도 3에는 바닥부(140)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바닥부(140)는 대체로 원의 형상을 하고 있으나, 그 가장자리의 일부는 절단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절단된 부분은 측벽부(110)와 함께 제2 슬롯(118)을 형성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바닥부(140)의 위쪽 면으로부터 제2 돌출부(150)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돌출부(150)는 바닥부(150)의 중심부로부터 바닥부(150)의 가장자리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바닥부(140)는 원형이기 때문에 제2 돌출부(150)가 중심으로부터 방사형으로 연장된다. 제2 돌출부(150)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8개가 형성될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 및 도 3과 같이 제2 돌출부(150)의 개수(8개)는 제1 돌출부(120)의 개수의 2배이거나, 또는 제1 돌출부(120, 120')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제2 돌출부(150) 중 일부(151)는 바닥부(140)의 가장자리에서 제1 돌출부(120)의 하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돌출부(150)의 다른 일부(152)는 바닥부(140)의 가장자리에서 제2 슬롯(118)의 아래쪽 경계선과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가 바닥부(140)의 둘레를 따라 교대로 형성될 수 있다.
모나무의 뿌리가 제2 돌출부(120)에 도달하면, 뿌리는 제2 돌출부(120)를 따라 바닥부(140)의 가장자리 쪽으로 성장할 수 있다. 이렇게 성장하는 뿌리는 제2 돌출부(150)의 가장자리 쪽 단부와 연결된 제2 슬롯(118)의 경계선을 넘어 제2 슬롯(118) 바깥으로 빠져나갈 수 있다. 즉, 제2 돌출부(120)는 뿌리가 제2 슬롯(118) 방향으로 성장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A-A'의 수평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측벽부(110)에는 제1 돌출부(120) 및 제1 슬롯(115)이 형성되어 있고, 도 4의 (a), (b), (c)에는 경사면(116)이 더 형성되어 있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모나무의 뿌리는 재배 용기(100)의 내부에서 성장하다가 측벽부(110)의 안쪽 지점(B)에 도달한 후에, 방향 C를 따라 성장할 수 있다. 뿌리는 경사면(116)을 타고 제1 슬롯(115)의 바깥으로 빠져나가 단근될 수도 있지만, 경사면(116)을 타지 않고 제1 돌출부(120)에 도달할 수도 있다. 이하, 뿌리가 제1 돌출부(120)에 도달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 4의 (a)의 구조를 갖는 경우에, 제1 돌출부(120)에 도달한 뿌리는 계속하여 방향 C를 따라 성장하여 제1 돌출부(120)를 넘어갈 수 있다. 이 경우 뿌리가 나선형으로 제1 방향을 따라 성장하는 것을 방지할 수 없을 수 있다.
도 4의 (b)의 구조를 갖는 경우에, 제1 돌출부(120)에 도달한 뿌리는 계속하여 방향 C를 따라 성장하여 제1 돌출부(120)를 넘어갈 수도 있지만, 이와 달리 제1 돌출부(120)에 막혀 제1 슬롯(115)으로 유도되어 재배 용기(100) 바깥으로 빠져나갈 수도 있다.
도 4의 (c)의 구조를 갖는 경우에, 제1 돌출부(120)에 도달한 뿌리는 제1 돌출부(120)에 막혀 제1 슬롯(115)으로 유도되어 재배 용기(100) 바깥으로 빠져나갈 수 있다. 이 경우 뿌리가 공기에 의해 단근되고, 그 주변에 잔뿌리 및/또는 곁뿌리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의 (d)의 경우에는, 도 4의 (a) 내지 도 4의 (c)에 도시된 경사면(116)이 형성되지 않았기 때문에, 지점(B)에서부터 방향 C를 따라 성장하는 뿌리가 제1 돌출부(120)를 만나기 전에 자연스럽게 제1 슬롯(115)으로 유도되지 않을 수 있다.
도 5는 도 1 내지 도 3에 따른 바닥부의 최대 지름 부분의 수직 단면과 그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5의 (a)를 살펴보면, 바닥부(140)의 위쪽 면으로부터 제2 돌출부(150)가 형성되어 있다.
도 5의 (b)는 도 5의 (a)의 변형예로서, 바닥부(140)의 중앙부가 위쪽으로 상승되어 있고, 중앙부에 관통구멍(160)이 뚫려 있는 구조를 나타낸다.
도 5의 (b)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경우에, 모나무의 뿌리가 관통구멍(160)을 통해 바깥으로 빠져나가면 재배 용기(100)를 지지하는 땅바닥과 직접 닿지 않고 대기 중에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관통구멍(160) 부근에 있는 뿌리가 단근되어 잔뿌리 및/또는 곁뿌리가 많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재배 용기는 후박나무, 담팔수, 후피향나무 등 상대적으로 넓은 잎을 가진 상록활엽수인 난대 조경수 유묘를 생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의 용도가 난대 조경수 유묘의 생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설명하도록 의도된 것이며, 본 고안에 따라 구현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본 고안의 용이한 이해를 위하여 특정 용어를 사용하여 서술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특정 용어에 의해 본 고안의 범위가 제한되도록 의도한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본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상술한 실시예들은 각각 본 고안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이 소정 형태로 결합된 것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본 고안의 사상에 반하지 않는다면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당업자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공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본 고안의 범위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합리적 해석을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하고, 본 고안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고안의 기술 분야에 속하는 기술자라면 본 고안의 실시예들 및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로부터 본 고안의 사상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산림청의 난대조경수목의 생산체계 개발 및 산업화 전략에 따른 임업기술연구개발사업의 과제번호 S120909L080000(연구기간 2009년 3월 1일부터 2010년 2월 28일)을 건국대학교가 주관하여 진행하는 과정에서 도출된 것으로서, 난대조경수목의 생산 및 산업화에 사용될 수 있다.
100: 재배 용기 110: 측벽부
111: 테두리 112: 식별띠
115: 제1 슬릿 116: 경사면
118: 제2 슬릿 120, 120': 제1 돌출부
130: 다리 140: 바닥부
150, 151, 152: 제2 돌출부 160: 관통구멍

Claims (6)

  1. 바닥부와 측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부의 반대쪽이 개방되어 있는 통형 용기(桶形 容器)로서,
    상기 측벽부의 안쪽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에 인접하여 상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슬롯
    을 포함하며,
    상기 슬롯의 일측면은 상기 돌출부 중 상기 통형 용기 바깥방향 단부로부터 시작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롯의 수평방향 폭은 상기 슬롯의 상하 방향 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배 용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슬롯이 상기 돌출부의 양쪽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는, 재배 용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상기 재배 용기의 중심부를 향하여 볼록하게 솟아 있으며, 상기 바닥부의 중심부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재배 용기.
  6. 삭제
KR2020100000412U 2010-01-14 2010-01-14 난대 조경수 재배 용기 KR2004617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0412U KR200461768Y1 (ko) 2010-01-14 2010-01-14 난대 조경수 재배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0412U KR200461768Y1 (ko) 2010-01-14 2010-01-14 난대 조경수 재배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261U KR20110007261U (ko) 2011-07-20
KR200461768Y1 true KR200461768Y1 (ko) 2012-08-06

Family

ID=45597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0412U KR200461768Y1 (ko) 2010-01-14 2010-01-14 난대 조경수 재배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176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9104A (ko) 2015-09-07 2017-03-15 (주)케이엠피 유실수 재배용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6753Y1 (ko) * 1999-07-07 2000-02-15 김두호 육묘용재배용기
KR200359219Y1 (ko) * 2004-05-17 2004-08-16 종 우 최 활엽수용 양묘 포트
KR100761546B1 (ko) 2006-05-08 2007-10-04 (주)수프로 육묘용 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6753Y1 (ko) * 1999-07-07 2000-02-15 김두호 육묘용재배용기
KR200359219Y1 (ko) * 2004-05-17 2004-08-16 종 우 최 활엽수용 양묘 포트
KR100761546B1 (ko) 2006-05-08 2007-10-04 (주)수프로 육묘용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9104A (ko) 2015-09-07 2017-03-15 (주)케이엠피 유실수 재배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261U (ko) 2011-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53330B2 (en) Plant container assembly
KR101817591B1 (ko) 딸기육묘용 포트
US11553653B2 (en) Plant pot
KR200444397Y1 (ko) 통기성이 우수한 난 재배용 화분
KR200461768Y1 (ko) 난대 조경수 재배 용기
KR200467477Y1 (ko) 화분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화분 제조용 부재
KR101829989B1 (ko) 잡초 성장억제용 덮개
WO2015183188A1 (en) Seedling iron-supplement and root-control container
KR101498983B1 (ko) 육묘용 생분해성 용기
KR101685568B1 (ko) 스크린컵이 구성된 수경재배용 베드 세트
KR200466148Y1 (ko) 채소 재배용 용기
KR101540258B1 (ko) 이중 용기로 된 구근식물용 컨테이너
US11363762B2 (en) Fabric pot
KR200370417Y1 (ko) 가정용 식물 재배화분
KR101653557B1 (ko) 척박지용 저면관수 식물식재 용기
KR200477085Y1 (ko) 수목 채소용 컨테이너
KR200466079Y1 (ko) 덩굴류 조경수 재배 용기
KR200470194Y1 (ko) 이중 화분
KR200359219Y1 (ko) 활엽수용 양묘 포트
WO2019020212A1 (de) Pflanzenbehälter mit wasserspeicher
KR200464276Y1 (ko) 옥상 녹화용 조경수 재배 용기
CN207948276U (zh) 组合花盆
KR101555671B1 (ko) 식물 재배기
KR200469255Y1 (ko) 뿌리돌기 방지 및 통기ㆍ배수 기능을 갖는 화분
JP3036789U (ja) 園芸用トレ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