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3112B1 - 육묘용 통 - Google Patents

육묘용 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3112B1
KR930003112B1 KR1019910001416A KR910001416A KR930003112B1 KR 930003112 B1 KR930003112 B1 KR 930003112B1 KR 1019910001416 A KR1019910001416 A KR 1019910001416A KR 910001416 A KR910001416 A KR 910001416A KR 930003112 B1 KR930003112 B1 KR 9300031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ling
barrel
seedlings
ordinary body
protrus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1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2013A (ko
Inventor
고오헤이 야마모또
Original Assignee
후꾸오까마루모또 가부시끼가이샤
고오헤이 야마모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꾸오까마루모또 가부시끼가이샤, 고오헤이 야마모또 filed Critical 후꾸오까마루모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002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20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3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3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5Units comprising two or more connected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육묘용 통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육묘용 통을 나타낸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I-I선에서 본 단면도이고,
제3도는 모종 육성중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육묘용 통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제4(a)도는 외부통에 내부통을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며, 제4(b)도는 내부통을 나타낸다.
제5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육묘용 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6도는 모종 육성중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7도 및 제8도는 종래의 육묘용 용기의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6,7 : 육묘용 통 2,8 : 지지틀
3 : 원포기 4 : 포복경(葡匐莖)
5 : 모종 11 : 통상체
12 : 돌기줄 13,63 : 홈줄
14,65 : 플랜지 61 : 외부통
62 : 내부통 64 : 구멍
71 : 이음테두리 81 : 보조틀
A,B,C : 육묘용 용기 D : 상토(床土)
본 발명은 과일, 야채의 모종을 육성하기 위한 육묘용 통에 관한 것이다.
딸기등의 과일, 가지등의 야채의 모종을 육성하기 위하여, 종래부터 여러 육묘용 용기가 이용되고 있다. 그 대표적인 것으로는 제7도에 나타난 바와같은식목 화분형 용기 A, 제8(a)도에 나타난 바와 같은 원통형의 용기 B, 제8(b)도에 나타난 바와 같은 상자형의 용기 C가 있다. 이들 용기 A,B,C에 상토(床土)D를 넣어 도시되어 있지 않은 원포기로부터 포복경(葡匐莖)이고 불리우는 덩굴을 상토D에 꽂아 모종을 육성하는 것이다.
종래의 육묘용 용기의 형상은 일반적으로 횡단면적이 크고 높이가 낮아, 상기예의 용기 A,B,C와 같은 용기의 경우, 직경 또는 변의 길이는 약 10~15㎝로 이에 대한 높이의 비는 1~1.5정도이다. 이와 같은 형상이기 때문에 종래의 육묘용 용기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1) 제자리에 옮겨 심을때 큰 구멍을 파야하므로 작업성이 나쁘다.
2) 성장한 모종의 뿌리가 용기의 바닥벽을 따라 구부러져서 복잡하게 얽혀 경단모양이 되며, 제자리에 옮겨 심은 후 자리잡은 때까지 7~10일간의 긴 날짜가 필요하다.
3) 용기의 내용적이 크므로 다량의 상토가 필요하다.
4) 1개당 용기가 차지하는 면적이 크므로 다수의 모종을 육성하는데 넓은 면적의 토지를 필요로 한다.
5) 모종을 냉장 보관, 수송할 때 커다란 공간을 필요로 하여 보관, 수송의 효율이 낮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제자리에 옮겨 심을 때의 작업성 및 옮겨 심은 후의 활착을 좋게 하는 것과, 모종 육성시의 토지의 사용효율 및 모종의 보관과 수송의 효율을 높이는 것이다.
본 발명의 육묘용 통은 단면형상이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이고, 길이가 원형의 직경, 타원형의 장경 또는 다각형의 내접원의 직경의 2.5배 이상이며, 또한 내용적이 80~200㎤의 통상체로 성형한 합성수지제품이다.
통상체의 긴 쪽으로는 끝이 가는 모양으로 테이퍼를 형성하고, 또는 상단에는 외방으로 내뻗은 플랜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통상체를 개폐식으로 할 수 있으며, 혹은 통상체를 외부통과 측벽에 다수의 구멍을 뚫은 내부통의 이중통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통상체의 내면에는 긴 쪽으로 복수개의 돌기줄을 형성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육묘용 통에 있어서는, 통상체의 횡단면적에 대하여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므로, 모종의 뿌리는 측벽을 따라 하방으로 자라서 서로 얽히는 일이 없다. 특히 내면의 긴쪽으로 돌기줄을 형성한 경우에는 뿌리가 이 돌기줄을 따라 자라기 때문에 뿌리가 얽히는 일은 더욱 더 적어진다.
통상체에 테이퍼를 형성한 경우에는, 통상체로부터 모종을 뽑아내기가 용이해지고, 또한 통상체를 개폐식으로 한 경우에는 모종의 인출이 한층 용이하다.
육묘용 통을 지지틀에 지지시킬 때에는 통상체 상단의 플랜지를 지지틀에 걸어지지시킨다.
또한 냉장보관시나 수송시에 차지하는 용적도 작아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통상체의 길이를 원형의 직경, 타원형의 장경, 또는 단면다각형의 외접원의 직경의 2.5배 이상으로 하는 것은 통상체내에서 모종의 뿌리가 가능한 한 똑바로 자라서 구부러지지 않게 하기 위한 것이다. 통상체의 길이가 상기한 비보다 짧으면 자란 뿌리가 통상체의 바닥에 닿아서 반전하여 구부러지면서 서로 얽히게 된다.
통상체의 내용적은 키우는 모종의 종류에 따라 달라, 인삼이나 무의 경우에는 80~100㎤정도, 딸기나 가지의 경우에는 100~200㎤정도가 적당하다. 통상체의 내용적을 상기한 이상으로 크게 하면 크게 한 만큼 상토를 많이 필요로 하며, 또한 육묘시에 넓은 면적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관한 육묘용 통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제2도는 제1도의 I-I선에서 본 단면도이며, 제3도는 모족육성중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육묘용 통(1)은 딸기 육묘용이다. 통상체(11)은 합성수지제품으로 상부의 직경이 약 4㎝, 길이가 약 18㎝의 원통상체로, 긴 쪽으로는 끝이 가는 모양의 2단 테이퍼를 형성하고 있다. 통상체(11)의 내면에는 내주의 4개소에 거의 전길이에 걸쳐서 돌기줄(12)을 형성하고 있다. 이 돌기줄(12)의 형성부는 통상체(11)의 외면에서는 홈줄(13)로 나타나 있다. 통상체(11)의 상단에는 플랜지(14)를 형성하고 있다. 이플랜지(14)는 육묘시에 육묘용 통(1)을 지지틀(2)에 지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통상체(11)의 하단은 본실시예에서는 전부를 개구하고 있는데, 상토의 탈락을 막기 위하여 십자형등의 걸림부를 형성해도 된다.
모종의 육성은 제3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상토를 넣은 육묘용 통(1)을 지지틀(2)에 의해 지지하고, 원포기(3)로 부터의 포복경(葡匐莖)(4)을 육묘용 통(1)의 상토에 꽂아 뿌리내리게 한다. 혹은 원포기(3)로 부터의 포복경(4)을 부근 흙 속에 꽂은후 거기서 발근한 뿌리를 육묘용 통(1)의 상토에 옮겨서 계속 뿌리내리게 한다.
발근한 뿌리는 육묘용 통1의 내면을 따라 하방으로 자란다. 이때 내면에 형성한 돌기줄(12)에 의해 뿌리가 구부러지는 것이 억제되어, 뿌리는 거의 똑바로 자란다. 하방으로 자란 통상체(11)의 하단의 개구부에서 나온 뿌리는 외기에 닿음으로써 시들고 차례차례로 새로운 뿌리가 내린다. 이렇게 하여 뿌리의 얽힘이 적은 모종(5)이 육성된다. 또한 육묘용 통(1)의 횡단면적이 작으므로 일차근으로부터 발생하는 2차근의 성장이 억제되고, 일차근이 내부에서 외부를 향하여 나오기 쉬어, 제자리로 옮겨 심은후의 성장이 좋은 모종(5)이 얻어진다.
본 실시예의 육묘용 통(1)의 경우, 필요한 상토는 1개당 약 150㏄로, 종래의 육묘용 용기의 약 700㏄에 비해
Figure kpo00001
이 된다. 또한 제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육묘용 통1을 다수개 배치해도 넓은 장소를 필요로 하지 않고, 종래의 육묘용 용기의 경우의
Figure kpo00002
정도의 면적으로도 충분하다.
제자리에 옮겨 심을 때에는 통상체(11)로부터 모종(5)을 상토와 함께 뽑아서 도시하지 않은 밭이랑등에 이식한다. 이때, 이식을 위한 구멍은 작아도 되므로 구멍파기 및 이 구멍을 메꾸기가 간단하며, 종래의 육묘용 용기로 육성한 모종의 이식의 경우와 비교하여 작업능률은 약 10배로 향상된다. 특히, 뿌리의 발육이 좋아져서 수확량이 늘어나는 것으로 알려진 경사심기의 경우에, 종래의 육묘용 용기로 육성한 모종은 둥글게 된 뿌리를 수세하여 펴서 이 뿌리를 손으로 받치면서 심어야 하지만, 본 실시예의 육묘용 통(1)로 육성한 모종은 굳어진 뿌리를 그대로 꽂아 넣기만 하면 되므로 대단히 작업성이 좋다.
이 식후의 모종은 뿌리가 얽혀있지 않으므로 흙에 잘 융합하여 성장하기 쉽고 2~3일만에 활착한다.
또한 육성후의 모종을 냉장보관할 때나 수송할 때, 같은 공간내에 약 4배의 개수의 모종이 심어진 육묘용통을 수납할 수 있기 때문에 보관이나 수송이 효율이좋다.
제 4도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의 이중통식의 육묘용 통을 나타낸 정면도이고,동도면(a)는 외부통에 내부통을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며, 동도면(b)는 내부통을 나타낸다.
본 실시에의 육묘용 통(6)은 외부통(61)과 내부통(62)으로 이루어진다.
외부통(61)은 제1도에 나타난 제1도의 실시예의 육묘용 통(1)에서 돌기줄(12)과 홈줄(13)을 제거한 형상을 하고 있다.
내부통(62)은 외부통(61)내에 끼워 넣는 것으로, 외면치수를 외부통(62)의 내면치수보다 약간 작게 하고 있다. 이 내부통(62)에는 제 1실시예의 육묘용 통(1)과 같은 모양의 내면의 돌기줄(도시하지 않음)과 외면의 홈출(63)을 형성함과 함께 측벽에 다수의 구멍(64)을 형성하고 있다. 이 구멍(64)은 외부통(61)으로부터 때어낸 모종이 달린 내부통(62)을 그대로 옮겨 심을 때에, 이 구멍(64)에서 곁뿌리가 흙속으로 뻗어 나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외부통(61)에서 뽑아낸 모종이 달린 대부통(62)을 냉장보관할때, 이 구멍(64)에서 냉기가 내부통(62)내로 침입하여 모종의 냉각효과를 높인다. 이 육묘용 통(6)에 모종의 육성은 제1실시예의 육묘용 통(1)의 경우와 같지만, 육성의 냉장보관이나 수송및 제자리에 옮겨 심은 일은 외부통(61)에서 내부통(62)을 뽑아낸 상태에서 행한다.
본 실시예의 육묘용 통(6)에 의하면, 모종 육성후 내부통(62)을 외부통(61)에서 빼내기만 하여 모종을 내부통(62)에서 꺼내지 않고 그대로 옮겨 심을 수가 있으므로 작업이 두드러지게 용이해지고, 또한 옮겨 심는 작업의 기계화가 용이해진다. 단, 수확후에 내부통(62)을 회수하는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제5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인 개폐식의 육묘용 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제 6도는 모종육성중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육묘용 통(7)은 제1실시예의 육묘용 통(1)을 긴 쪽으로 절개한 상태로 형성한 것으로, 닫힌 상태에 있어서는 제1도에 나타낸 제1실시예의 육묘용 통(1)과 같은 외관을 보인다. 육묘용 통(7)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제5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이음테두리(71),(71)가 열린 상태이다. 이 육묘용 통(7)을 모종의 육성용으로 사용할 때에는 제6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육묘용 통(7)을 닫아 지지틀(8)에 의해 지지시키고, 육묘용 통(7)에 상토를 넣어 원포기(3)로부터의 포복경(4)을 육묘용 통(7)의 상토에 꽂아 뿌리내기게 한다. 지지틀(8)에는 보조틀(81)을 설치하여 육묘용 통(7)이 열리지 않도록 중간부를 지지시킨다.
본 실시예의 육묘용 통(7)은 육묘후에 지지틀(8)로부터 때면 육묘용 통(7)이 열리므로 모종을 꺼내기가 쉽다.
또한, 이상의 실시예는 통상체의 단면을 원형으로 한 예인데, 단면형상은 원형에 한하는 것이 아니라, 삼각형, 사각형, 기타 다각형, 혹은 타원형등으로 해도 괜찮다.
본 발명의 육묘용 통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육묘시에 모종의 뿌리가 측벽을 따라 하방으로 자라 서로 얽히는 일이 적으므로 제자리에 옮겨 심은 후의 활착이 좋다.
2) 통상체에 테이퍼를 형성한 경우에는 통상체로부터 모종을 뽑기가 쉽고, 또한 통상체를 개폐식으로 한 경우에는 통상체를 열기만 해도 모종을 간단히 꺼낼수가 있다.
3) 측벽에 다수의 구멍을 뚫은 내부통을 외부통에 끼워 넣은 이중통으로 한 경우에는 모종을 넣는 내부통을 그대로 옮겨 심을수가 있기 때문에 작업이 현저하게 용이해진다.
4) 용기가 작아서 상토의 필요량이 적어도 되고, 또한 다수의 모종을 육성할 때라도 넓은 면적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5) 냉장보관시나 수송시에 차지하는 용적이 작아도 되므로 보관이나 수송에 효율이 높다.
6) 제자리에 옮겨 심을때 밭이랑등에 뚫는 구멍이 작아도 되므로 작업능률이 좋다.
7) 육묘용 통 자체를 제자리에 옮겨 심을때의 구멍파기 도구로 이용할 수도있다.

Claims (13)

  1. 단면형상이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이며 길이가 원형의 직경, 타원형의 장경 또는 다각형의 내접원직경의 2.5배이며, 또한 내용적이 80~200㎤의 통상체로 성형한 합성수지제의 육묘용 통.
  2. 제1항에 있어서, 통상체의 긴쪽으로 끝이 가는 모양의 테이퍼를 형성한 육묘용 통.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상체의 상단에 외방으로 내뻗는 플랜지를 형성한 육묘용 통.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상체를 개폐식으로 한 육묘용 통.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상체를, 측벽에 다수의 구멍을 뚫은 내부통을 외부통에 끼워 넣은 이중통으로 한 육묘용 통.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상체를 내면에, 긴쪽으로 복수개의 돌기줄을 형성한 육묘용통.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상체의 내면에, 긴쪽으로 복수개의 돌기줄을 형성한 육묘용 통.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상체의 내면에, 긴쪽으로 복수개의 돌기줄을 형성한 육묘용 통.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상체의 내면에, 긴쪽으로 복수개의 돌기줄을 형성한 육묘용 통.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상체를 개폐식으로 한 육묘용 통.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상체의 내면에, 긴쪽으로 복수개의 돌기줄을 형성한 육묘용 통.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상체를, 측벽에 다수의 구멍을 뚫은 내부통을 외부통에 끼워 넣은 이중통으로 한 육묘용 통.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통상체의 내면에, 긴쪽으로 복수개의 돌기줄을 형성한 육묘용 통.
KR1019910001416A 1990-07-25 1991-01-28 육묘용 통 KR9300031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0079425U JPH0438244U (ko) 1990-07-25 1990-07-25
JP90-79425 1990-07-25
JP79425(U) 1990-07-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2013A KR920002013A (ko) 1992-02-28
KR930003112B1 true KR930003112B1 (ko) 1993-04-19

Family

ID=13689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1416A KR930003112B1 (ko) 1990-07-25 1991-01-28 육묘용 통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0438244U (ko)
KR (1) KR930003112B1 (ko)
NL (1) NL910044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9394B1 (ko) * 2009-11-11 2012-06-27 대한민국 육묘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115527B1 (es) * 1996-04-16 1999-02-01 Lechuga Roberto Imizcoz Sistema para la propagacion de plantas por estolones y elementos utilizables en dicho sistema.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45708A (en) * 1975-06-04 1976-12-14 Toshio Takayama Growing implement for nursery plant for planting
JPS5918842B2 (ja) * 1976-12-16 1984-05-01 三菱電機株式会社 雲母塑造抵抗体の製造方法
JPS6322118A (ja) * 1986-03-11 1988-01-29 株式会社 寿楽園 蘭苗の育成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9394B1 (ko) * 2009-11-11 2012-06-27 대한민국 육묘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L9100443A (nl) 1992-02-17
KR920002013A (ko) 1992-02-28
JPH0438244U (ko) 1992-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53037A (en) Plant growing method and container
CN1020248C (zh) 幼苗的栽植方法
JPS6310974B2 (ko)
US5339566A (en) Seedling container
KR930003112B1 (ko) 육묘용 통
KR101498983B1 (ko) 육묘용 생분해성 용기
JP2597544Y2 (ja) 育苗用筒
JP2542982Y2 (ja) 育苗用筒
KR100336632B1 (ko) 육묘용 용기
JP2563249Y2 (ja) 育苗用筒
KR200359219Y1 (ko) 활엽수용 양묘 포트
JP3074673U (ja) 育苗・深植え移植容器
KR200227662Y1 (ko) 육묘용 포트
KR100531562B1 (ko) 재배방법 및 육묘용 용기
JP2019004716A (ja) 栽培容器
JP3022696U (ja) 野菜用育苗トレイ
KR200359218Y1 (ko) 침엽수용 양묘 포트
JP3021937U (ja) 育苗用筒
JPS60338Y2 (ja) 護岸植栽用植木鉢
JP2513083Y2 (ja) 育苗ポット固定用プレ―ト
JP3058231U (ja) 園芸用トレイ
JP3030939U (ja) 育苗ポット
KR960001059Y1 (ko) 육묘상자(포트)
KR20230139105A (ko) 감초번식줄기 억제용 서포트 및 이를 이용한 재배방법
KR960010442Y1 (ko) 육묘 포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823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