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6632B1 - 육묘용 용기 - Google Patents

육묘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6632B1
KR100336632B1 KR1019950039391A KR19950039391A KR100336632B1 KR 100336632 B1 KR100336632 B1 KR 100336632B1 KR 1019950039391 A KR1019950039391 A KR 1019950039391A KR 19950039391 A KR19950039391 A KR 19950039391A KR 100336632 B1 KR100336632 B1 KR 1003366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main
seedlings
seedling
main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9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40132A (ko
Inventor
야마모토고헤이
Original Assignee
후쿠오카 마루모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쿠오카 마루모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쿠오카 마루모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60040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40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6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66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1Planting receptacles specially adapted for remaining in the soil after plan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3Seed or shoot receptac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육묘(育苗)용 용기는, 선단쪽으로 가늘어지는 테이퍼를 갖는 원통형 본체 11의 하부 주벽에, 원통형 본체 11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관통하는 복수개의 개구 12가 형성된, 합성수지로 된 주(主) 용기 1과; 주 용기 1의 개구 12가 형성된 영역을 덮는 형상으로 형성된 바닥이 있는, 합성수지로 된 부(副) 용기 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육묘용 용기는, 육묘중에는 부 용기를 주 용기에 장착한 상태로 사용하고, 정식시에는 부 용기를 주 용기로부터 제거한 후 묘종을 주 용기에서 들어내지 않은 상태로 정식할 수 있다. 정식후에 성장한 뿌리는, 주 용기 하단의 구멍과 하부 주벽의 개구를 통해 땅속으로 뻗어나올 수 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뿌리의 성장이 양호하고, 땅속으로부터 양분의 흡수도 양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육묘(育苗)용 용기
본 발명은 과일이나 채소의 묘종을 육성하는데 사용되는 육묘(育苗)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딸기 등의 과일, 가지 등의 채소의 묘종을 육성하기 위하여 종래 여러가지 육묘용 용기나 사용되어 왔으며, 예를 들어, 딸기의 묘종의 육성에 알맞는 육묘용 용기로서, 제 6도에 나타낸 육묘용 용기가 널리 사용되어 왔다.
제 6도에 나타낸 육묘용 용기 3은, 본체부 31의 단면형상이 원형이고, 길이가 원형의 직경의 2.5배이상이며, 내용적이 100∼200cm3인 원통형으로 성형된, 합성 수지로 된 용기로서, 본체부 31의 길이 방향은 선단쪽으로 가늘어지는 테이퍼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단에는 바깥쪽으로 연장된 플랜지 32가 형성되고, 하단의 바닥판에는 제 7도에서 보는 바와 같은 구멍 33이 형성되어 있다. 바닥판의 구멍 33은, 본체부 31 내의 배토가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성형된 것이며, 본체부 31 내에서 성장한 뿌리가 용기 밖으로 뻗어나갈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러한 육묘용 용기 3에 의하면, 육묘시 배토가 적어도 되며, 뿌리의 성장이 좋고, 또 정식(定植 : 묘판에서 밭으로 옮겨 심기)할 때 작업성이 좋고, 정식후의 활착성(活着性)도 양호하며, 나아가서 보관, 수송의 효율도 좋다는 잇점이 있다.
상기한 육묘용 용기 3을 딸기의 재배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육묘용 용기 3에 배토를 충전시킨 후, 친주(親株)로부터의 포복경(runner)를 접붙인 상태로 육성하고, 잎이 2장정도 돋았을 때 포복경을 자른 후, 제 8도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육묘용 용기 3의 상단에 물을 뿌리거나(살수; 撒水)나 비료를 주는데(시비; 施肥) 사용되는 보조구(살수ㆍ시비용 보조구) 4를 장착한 상태로, 제 8도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지장치 5의 프레임 51에 장착된 상태에서 묘종의 육성을 계속 실시할 수 있다.
육묘용 용기 3 안에서의 묘종의 육성 과정에서, 뿌리는 원통형의 본체부 31 안에서 곧게 아래로 자라서 서로 얽히는 일 없이 성장한다. 묘종이 소정의 크기로 육성된 단계에서 정식이 행해진다.
정식의 방법으로서, 육묘용 용기 3으로부터 묘종을 들어내어, 묘종만을 정식하는 방법과, 묘종을 들어내는 일 없이 육묘용 용기 3와 함께 정식하는 방법 등이 있다. 묘종을 들어내어 정식하는 방법은, 정식작업에 시간 등이 많이 소요되지만, 이후의 묘종의 성장은 양호하게 이루어진다. 육묘용 용기 3와 함께 정식하는 방법은, 정식작업은 간단하지만 성장한 묘종의 뿌리의 출구가 육묘용 용기 3의 하단의 구멍 33 뿐이기 때문에, 정식후의 묘종의 성장은 육묘용 용기 3으로부터 묘종을 들어내어 정식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불량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육묘후의 묘종을 용기에서 들어내지 않고 용기와함께 정식하는 경우에도 정식후의 묘종의 성장이 양호한 육묘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육묘용 용기는, 선단쪽으로 가늘어지는 테이퍼를 갖는 원통형 본체의 하부 주벽에, 전기한 원통형 본체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관통하는 복수개의 개구가 형성된, 합성수지로 된 주(主) 용기와; 전기한 주 용기의 개구가 형성된 영역을 덮는 형상으로 형성된 바닥이 있는, 합성 수지로 된 부(副) 용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전기한 주 용기의 선단쪽으로 가늘어지는 테이퍼를 갖는 원통형 본체는, 용기 자체의 취급 및 제작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단면형상을 원형으로 하는 것이 최적이지만, 다른 형상, 예를 들어, 타원형, 사각형, 반원형 등도 무방하다. 테이퍼는, 길이방향으로 동(同)형의 테이퍼를 형성하여도 좋고, 길이 방향으로 이(異)형의 테이퍼를 형성하여도 좋다. 원통형 본체의 하단은, 성장한 뿌리가 잘 빠져나올 수 있도록 개방단으로 하거나, 또는 구멍이 형성된 바닥판으로 한다.
전기한 원통형 본체의 하부 주벽의 개구는, 육묘후의 묘종을 주 용기에서 들어내지 않은 상태로 정식하는 경우, 정식 후에 성장한 뿌리가 원통형 본체 하단의 개방단 또는 구멍을 통해 땅속으로 뻗어나가는 것과 동시에, 하부 주벽의 개구를 통해서도 땅속으로 뻗어나갈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며, 하부 주벽의 거의 전체에 걸쳐 균등하게 슬리트(slit)형, 지그재그형, 그물형 등으로 형성된다.
전기한 부 용기는, 육묘중에, 즉 정식하기 전까지 주 용기의 하부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주 용기인 원통형 본체의 하단은 개방단이거나 구멍이 형성된바닥판이고, 하부 주벽에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주 용기에 공급한 물이나 배토가 이들 개구를 통해 빠져나가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육묘중에는 주 용기에 부 용기를 장착하여 사용한다. 정식할 때에는, 주 용기에서 부 용기만 제거한 후, 묘종은 주 용기에서 들어내지 않은 상태로 정식한다. 부 용기의 형상은, 주 용기의 원통형 본체 하부의 형상에 맞추어서, 원통형 본체의 하단과 하부 주벽의 개구 영역을 덮는 형상으로 형성한다.
이때, 부 용기를 주 용기에 장착했을 때, 부 용기가 주 용기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을 막기 위하여, 부 용기의 내면에 오목(凹)부 또는 볼록(凸)부를 형성하고, 주 용기의 외면에서 부 용기 내면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볼록(凸)부 또는 오목(凹)부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육묘용 용기는, 원통형 본체의 하부 주벽에 개구가 형성된 주(主) 용기와, 전기한 주 용기의 개구가 형성된 영역을 덮는 형상으로 형성된 바닥이 있는 부(副) 용기로 구성된 것으로서, 육묘중에는 부 용기를 주 용기에 장착하여 사용함으로써, 종래의 육묘용 용기와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주 용기와 부 용기에 서로 맞물림할 수 있도록 요철(凹凸)부를 형성함으로써, 주 용기와 부 용기는 서로 탄성 변형하여 오목부와 볼록부가 맞물리게 되며, 따라서 부 용기가 주 용기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묘종을 주 용기에서 들어내지 않은 상태에서 정식하는 경우에도, 주 용기에는 하단의 개방단 또는 바닥판의 구멍 외에도, 하부 주벽에 개구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묘종의 뿌리가 하부 주벽의 개구를 통해 땅속으로 뻗어나갈 수 있으며, 따라서 뿌리의 성장이 촉진된다.
제 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육묘용 용기의 주 용기의 일부를 절개한 정면도이며, 제 2도는 제 1도의 주 용기에 장착되는 부 용기의 일부를 절개한 정면도이고, 제 3도는 제 1도의 A-A선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육묘용 용기는, 주 용기 1과, 주 용기 1에 장착되는 부 용기 2로 구성된다. 주 용기 1은, 제 1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면형상이 원형이며 선단 쪽으로 가늘어지는 2단 테이퍼를 갖는 합성수지로 된 원통형 본체 11의 하부 주벽에, 슬리트형의 8개의 개구 12를 형성한 것이다. 원통형 본체 11의 크기는, 전체 길이가 약 20cm이며, 상부의 내경이 약 4cm이고, 내용적이 약 180cm3이다.
딸기등을 재배하는 경우, 주 용기 1을 이와 같이 선단쪽으로 가늘어지는 테이퍼를 갖는 원통형 본체 11로 함으로써, 묘종의 육성, 특히 뿌리의 성장이 좋고, 뿌리가 곧게 아래로 자랄 수 있어 서로 얽히는 일이 적어진다. 원통형 본체 11의 하단은 구멍 13이 형성된 바닥판으로 되어 있고, 상단에는 플랜지 14가 형성된다.
개구 12는, 정식후에 묘종의 뿌리가 용기에서 땅속으로 쉽게 뻗어나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제 1도와 제 3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통형 본체 11의 하부에서, 하단의 테이퍼 형성부분 15에, 폭 약 3mm, 길이 약 20mm의 8개의 슬리트형의 개구를, 원주방향으로 균등하게 형성한다.
부 용기 2는, 제 2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컵 형상으로 성형되며, 그의 치수와 형상은, 제 1도에 일점쇄선(一點鎖線)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주 용기 1에 장착했을 때, 원통형 본체 11의 하부의 하단 테이퍼 형성 부분 15에 맞물리도록 되어있다.
또, 부 용기 2를 주 용기 1에 장착했을 때 부 용기 2가 주 용기 1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부 용기 2의 내면의 상, 하부에는 오목부 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주 용기 1의 하부 외면에는 부 용기 2 내면의 오목부 21에 대응하는 위치에 볼록부 1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육묘용 용기는, 육묘중에는, 주 용기 1에 부 용기 2를 장착하여 사용한다. 주 용기 1의 원통형 본체 11의 하단은 구멍이 형성된 바닥판으로 되어 있고 하부 주벽에는 개구 12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부 용기 2를 장착하지 않으면, 이들 개구를 통해 주 용기 1에 공급한 물이나, 배토가 쉽게 빠져나갈 수 있으므로, 부 용기 2를 장착함으로써 관수와 배토가 주 용기 1에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주 용기 1에 부 용기 2를 장착했을 때, 주 용기 1과 부 용기 2에는 서로 맞물림하는 볼록부 16과 오목부 21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주 용기 1과 부 용기 2는 상호간에 탄성 변형하여 볼록부 16과 오목부 21가 맞물리게 되며, 따라서 부 용기 2가 주 용기 1로부터 이탈되는 일이 없다.
육묘를 시작할 때는, 주 용기 1에 부 용기 2를 장착한 상태로, 주 용기 1에 배토를 충전한 후, 딸기의 경우에는, 친주로부터의 포복경을 접붙인 상태로 육성하고, 잎이 2장정도 돋았을 때(제 4도의 (a)), 포복경을 자른 후, 종래의 육묘용 용기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 8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지장치로 유지하여 묘종의 육성을 실시하며, 소정의 크기로 묘종이 자란 후(제 4도의 (b)), 정식을 실시한다.
정식을 할 때는, 주 용기 1에서 부 용기 2를 제거한 후, 묘종은 주 용기 1에서 들어내지 않은 상태로 주 용기 1과 함께 정식한다. 정식 후, 성장한 뿌리는 원통형 본체 11 하단의 구멍 13을 통해서 땅속으로 뻗어나옴과 아울러, 원통형 본체 11의 하부 주벽의 개구 12를 통해서 땅속으로 뻗어나올 수 있기 때문에(제 4도의 (c)), 전체적으로 뿌리의 성장이 양호하고, 땅속으로부터 양분의 흡수도 양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주 용기 1로서, 단면형상이 원형이며 선단쪽으로 가늘어지는 2단 테이퍼를 갖는 원통형 본체 11로 하였으나, 단면형상은 원형에 한정되지 않으며, 타원형, 4각형 등 각종의 형상으로 할 수 있고, 테이퍼는 균일한 테이퍼로 해도 되고, 3단 테이퍼로 할 수도 있다. 이때, 부 용기 2는 주 용기 1에 맞추어서 그의 치수와 형상을 결정하면 된다. 또, 원통형 본체 11 하부 주벽의 개구 12로서, 8개의 슬리트형 개구를 형성하였으나, 개구의 형상은 슬리트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묘종의 뿌리가 뻗어나오기 쉬운 형상이라면 어떤 형상이라도 좋고, 그 개수나 배설 조건도 적절하게 결정할 수 있다.
제 5도는 원통형 본체 11의 하부 주벽의 개구 12의 다른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제 5도의 (a)는 지그재그형으로 개구를 형성한 예이고, (b)는 그물형으로 개구를 형성한 예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1) 원통형 본체의 하부 주벽에 개구가 형성된 주(主) 용기와, 전기한 주 용기의 하부를 덮는 형상으로 형성된 부(副) 용기를 서로 맞물림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육묘중에는 부 용기를 주 용기에 장착한 상태로 사용하고, 정식시에는 부 용기를 주 용기로부터 제거한 후 묘종을 주 용기에서 들어내지 않은 상태로 정식할 수 있다.
(2) 육묘후의 묘종을 주 용기에서 들어내지 않고 주 용기와 함께 정식하는 경우에도, 정식후에 성장한 뿌리는, 주 용기 하단의 구멍과 하부 주벽의 개구를 통해 땅속으로 뻗어나올 수 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뿌리의 성장이 양호하고, 땅속으로부터 양분의 흡수도 양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육묘(育苗)용 용기의 주(主) 용기의 일부 절개 정면도이다.
제 2도는 제 1도의 주 용기에 장착되는 부(副) 용기의 일부 절개 정면도이다.
제 3도는 제 1도의 A-A선 단면도이다.
제 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육묘용 용기에 묘종을 육성하는 동안과 정식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5도는 원통형 본체의 하부 주벽의 개구의 다른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 6도는 종래의 육묘용 용기의 일례를 보여주는 일부 절개 정면도이다.
제 7도는 제 5도의 B-B선 단면도이다.
제 8도의 (a)는 제 6도의 육묘용 용기에 살수ㆍ시비용의 보조구를 장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b)는 유지장치에 유지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주(主) 용기 2 …부(副) 용기
11 …원통형 본체 12 …개구
13 …바닥판의 구멍 14 …플랜지
15 …하단 테이퍼 형성 부분 16 …주 용기의 볼록(凸)부
21 …부 용기의 오목(凹)부

Claims (2)

  1. 선단쪽으로 가늘어지는 테이퍼를 갖는 원통형 본체의 하부 주벽에, 전기한 원통형 본체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관통하는 복수개의 개구가 형성된, 합성수지로된 주(主) 용기와; 전기한 주 용기의 개구가 형성된 영역을 덮는 형상으로 형성된 바닥이 있는, 합성수지로 된 부(副) 용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育苗)용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전기한 부 용기의 내면에 오목(凹)부 또는 볼록(凸)부를 형성하고; 전기한 주 용기의 외면에, 전기한 부 용기 내면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볼록(凸)부 또는 오목(凹)부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용 용기.
KR1019950039391A 1995-05-02 1995-11-02 육묘용 용기 KR1003366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132728A JPH08298876A (ja) 1995-05-02 1995-05-02 育苗用容器
JP1995-132728 1995-05-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0132A KR960040132A (ko) 1996-12-17
KR100336632B1 true KR100336632B1 (ko) 2004-12-23

Family

ID=15088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9391A KR100336632B1 (ko) 1995-05-02 1995-11-02 육묘용 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8298876A (ko)
KR (1) KR1003366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77163A (ja) * 2014-10-10 2016-05-16 守信 新野 横置き型水耕栽培装置
CN104813864B (zh) * 2015-05-12 2017-06-20 沃华农业科技(江苏)股份有限公司 一种便于拿取的育苗盘
KR102045705B1 (ko) * 2019-05-28 2019-11-18 영 성 왕 생육활성화가 가능한 이식용 식물재배관리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57233A (ja) * 1984-12-28 1986-07-16 株式会社東芝 発電系列自動運転装置
JPH01225421A (ja) * 1988-03-04 1989-09-08 Yoshihide Ito 苗木の植付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0132A (ko) 1996-12-17
JPH08298876A (ja) 1996-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92096A (en) Plant container for growing plants which are to be transplanted
US547178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planting plant material
US4336669A (en) Planting container
US3931694A (en) Planting flat
US6085462A (en) Molded plant tray
US3962822A (en) Planting containers
EP0958736A1 (en) Assembly of stacked plant containers
US4317311A (en) Adjustable plant receptacle
US4159597A (en) Planting system including articles of manufacture
CA2017945C (en) Seedling container
KR100336632B1 (ko) 육묘용 용기
US4216621A (en) Planting system including articles of manufacture
GB1580934A (en) Plant growing euipment
JP2000139233A (ja) 植物栽培容器
CA1067290A (en) Planting system including articles of manufacture
US4256046A (en) Plant cultivation devices and methods
JP4116023B2 (ja) 育苗ポット及び苗床
JP3021937U (ja) 育苗用筒
KR930003112B1 (ko) 육묘용 통
KR200227662Y1 (ko) 육묘용 포트
JP3022696U (ja) 野菜用育苗トレイ
KR100336631B1 (ko) 고설 재배용 용기
KR200236621Y1 (ko) 모종포트
CA1258977A (en) Container for growing and subsequent transplanting of seedlings
KR970002364Y1 (ko) 채소육묘자동탈피포트(po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