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9105A - 감초번식줄기 억제용 서포트 및 이를 이용한 재배방법 - Google Patents

감초번식줄기 억제용 서포트 및 이를 이용한 재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9105A
KR20230139105A KR1020220037335A KR20220037335A KR20230139105A KR 20230139105 A KR20230139105 A KR 20230139105A KR 1020220037335 A KR1020220037335 A KR 1020220037335A KR 20220037335 A KR20220037335 A KR 20220037335A KR 20230139105 A KR20230139105 A KR 202301391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corice
support
suppressing
soil
propag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7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완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루트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루트팜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루트팜
Priority to KR1020220037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9105A/ko
Publication of KR20230139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910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37Devices for protecting a specific part of a plant, e.g. roots, trunk or fr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43Protective shelters for young plants, e.g. tubular sleev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4Cloches, i.e. protective full coverings for individual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초번식줄기 억제용 서포트 및 이를 이용한 재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감초의 번식줄기를 억제하여 감초의 상품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량재배가 가능하며 노동력을 감소시켜주는 감초번식줄기 억제용 서포트 및 이를 이용한 재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감초번식줄기 억제용 서포트 및 이를 이용한 재배방법{Supports for inhibiting a creeping stem elongation of licorice and cultivation method of licor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감초번식줄기 억제용 서포트 및 이를 이용한 재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감초의 번식줄기를 억제하여 감초의 상품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량재배가 가능하며 노동력을 감소시켜주는 감초번식줄기 억제용 서포트 및 이를 이용한 재배방법에 관한 것이다.
뿌리작물 특히 감초재배에 있어서 번식줄기의 억제는 감초재배 농사에 있어서 결과를 좌우하는 중요한 문제이다. 구체적으로, 감초는 직근 형성과 굵은 주근의 크기가 상품성에서 중요하다. 감초는 발아 후 3개월 정도부터 수평방향으로 뇌두에서 가느다란 다수개의 번식줄기들이 생긴다. 이때, 상기 줄기를 포복경, 기능줄기, 번식줄기, 러너, 지하경 등으로 표현하나, 본 명세서에서는 번식줄기로 표현하도록 한다. 감초 재배시 번식줄기가 많이 발생하면 영양의 분산으로 인해 주근의 굵기 성장이 저하되고 재배환경을 혼란스럽게 만드는 문제점이 있다. 감초는 종자를 파종한 수개월내에 주근하나에 십여 개의 번식줄기가 발생할 수 있다. 감초 재배 시 번식줄기를 억제하는 방법으로 머리부분인 뇌두를 노출시키는 방법이 있다. 감초 모종을 노지에 파종하거나 흙에 심었을 경우, 감초의 뇌두를 각각 노출시켜주는 작업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노출시켜 준다해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노출되었던 뇌두가 다시 흙으로 덮히는 문제가 발생한다.
감초를 많이 생산하는 충북의 경우, 기존 토경재배에서 종묘이식방법을 하면서 뇌두를 노출시켜 아주심기를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감초를 1년 재배 후 길게 성장한 감초를 옮겨심기하고 옮겨심기과정에서 머리 부분을 노출시키는 방식으로 번식줄기를 억제하는 재배를 하고 있다. 이러한 재배방법은 감초의 특성상 직근으로 길게 뻗는 감초를 수확하듯 캐내어야하고, 캐내어진 감초를 종근으로 사용하여 이식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되는데 노동력의 과잉으로 인해 대량재배가 불가능하다.
또한, 씨앗을 파종하는 용기재배에서는 번식줄기를 억제하기 위해 감초의 뇌두 부분의 흙을 파내어 주기도 하는데 이 또한 엄청난 노동력이 투입되고, 감초의 성장에 따라 밀려 올라오거나 무너져 내리는 흙이 감초의 상태를 무효화하게 되므로 번식줄기 억제 효과가 상쇄된다.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69941호 “곧은 뿌리의 신장을 촉진하는 식물의 재배 방법 및 재배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재배방법은 번식줄기의 억제방법이 되지 못한다.
또한, 기본적인 토양이나 재배용기에 씨앗을 파종할 경우 씨앗이 땅속에서 발아를 하게 되므로 번식줄기가 발생한다. 이처럼, 토경재배나 용기재배 모두 씨앗이 땅속에서 발아를 하는 경우에는 번식줄기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감초의 번식줄기를 억제하여 감초의 상품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량재배가 가능하며 노동력을 감소시켜주는 감초번식줄기 억제용 서포트 및 이를 이용한 재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감초번식줄기 억제용 서포트는 상광하협의 형태로 형성되되,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토가 채워진 뒤, 종자가 파종되거나 조직배양모종이 이식되는 수용부; 상기 몸체의 하부에 형성되어 토양에 매립되는 매립부 및 상기 몸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토양 밖으로 노출되는 노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는, 높이 80 내지 90㎜, 윗지름 35 내지 40㎜, 아랫지름 20 내지 25㎜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에 채워진 상토가 하측으로 흘러내리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는, 상기 노출부 및 매립부를 구분하도록 형성되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매립부가 토양에 매립될 시 흔들리지 않고 고정되도록 하는 토양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는, 상단에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돌출부 및 외주에 나선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돌출부를 외측으로 잡아당겨 절취되도록 형성된 절취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는, 내주면에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되, 상단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제거수단 및 외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되, 대칭되도록 형성된 한 쌍의 분리선을 포함하며, 상기 감초번식줄기 억제용 서포트를 제거할 시, 상기 제거수단을 외측으로 잡아당겨 상기 분리선을 따라 상기 몸체가 분리되도록 하고 상측으로 잡아당겨 제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감초번식줄기 억제용 서포트를 이용한 재배방법은 감초번식줄기 억제용 서포트에 상토를 채운 뒤, 상기 감초번식줄기 억제용 서포트의 상부의 노출부가 토양 밖으로 노출되도록 하부의 매립부를 토양에 매립하는 서포트설치단계; 상기 감초번식줄기 억제용 서포트의 상토에 감초의 종자를 파종하거나, 조직배양모종을 이식하는 재배준비단계; 상기 파종 또는 이식된 감초를 3 내지 4개월동안 생장시키는 생장단계; 상기 생장단계를 거친 뒤, 상기 감초번식줄기 억제용 서포트를 제거하는 서포트제거단계 및 상기 서포트제거단계를 거친 뒤, 감초를 생장시키고 수확하는 수확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감초번식줄기 억제용 서포트 및 이를 이용한 재배방법은 감초의 번식줄기를 억제하여 감초의 상품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량재배가 가능하며 노동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감초번식줄기 억제용 서포트의 토양지지부를 통해 흔들리지 않고 토양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감초번식줄기 억제용 서포트의 돌출부 및 절취선을 통해 토양에서 감초번식줄기 억제용 서포트의 제거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감초번식줄기 억제용 서포트의 제거수단 및 분리선을 통해 토양에서 감초번식줄기 억제용 서포트의 제거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만 한정되지 않고, 명세서 및 도면으로부터 예측 가능한 모든 효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초번식줄기 억제용 서포트가 재배용기에 적용된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초번식줄기 억제용 서포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저면사시도.
도 4는 도 2에 토양지지부가 추가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예시도.
도 6은 도 2에 돌출부 및 절취선이 포함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2에 제거수단 및 분리선이 포함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초번식줄기 억제용 서포트를 이용한 재배방법의 흐름도.
도 9는 도 8의 서포트제거단계 이후의 재배용기의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 1을 기준으로 전면을 향하는 방향을 '전방'이라 하고, 그 반대 방향을 '후방'이라 한다. 이에 따라 '좌측', '우측', '상방' 및 '하방'과 같은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들은 상기 전방 및 후방을 기준으로 각각의 방향을 지시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또한, 도 2 및 도 3의 점선은 매립부 및 노출부를 구분하기 위한 구획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초번식줄기 억제용 서포트가 재배용기에 적용된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초번식줄기 억제용 서포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저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초번식줄기 억제용 서포트(1)는 직근이 길다란 구조를 가져 뿌리길이가 긴 작물인 감초를 재배할 경우 사용되는 재배용 서포트일 수 있다.
또한, 도 1과 같이 재배용기(C)를 이용한 사경약액 재배 방식에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재배용기(C)는 감초가 성장함에 따라 부피가 점차 커지게 됨으로써, 용기에 채워진 토양(S)을 점점 밀어내어 재배용기(C)가 깨지거나 재배용기(C)의 모양이 팽창하는 일명 용기 배부름 형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재배용기(C)가 팽창되면서 내부에 채워진 토양(S)은 점차 압력이 증가하게 되고, 더 이상 용기의 팽창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면, 감초의 뇌두(머리부분)를 덮으면서 상부로 토양(S)이 쌓여가게 된다. 이처럼 뇌두에 토양(S)이 덮히면 번식줄기가 발생하여 상품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감초 재배에 사용되는 감초번식줄기 억제용 서포트 및 이를 이용한 재배방법에 대한 발명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초번식줄기 억제용 서포트(1)는 번식줄기를 억제하여 주근의 성장을 도울 수 있다. 이를 위해 감초번식줄기 억제용 서포트(1)는 몸체(10), 수용부(20), 매립부(30) 및 노출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10)는 상광하협의 형태로 형성되되, 상부와 하부가 개방될 수 있다. 몸체(10)는 원통관, 삼각관, 사각관, 오각관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원통관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구체적으로, 몸체(10)는 높이 80 내지 90㎜, 윗지름 35 내지 40㎜, 아랫지름 20 내지 25㎜로 형성되어 상광하협한 형태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몸체(10)는 상광하협한 형태로 형성되어 수용부(20)에 채워진 상토(B)가 하측으로 흘러내리지 않고, 상토(B)가 채워진 상태로 토양(S)에 매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몸체(10)는 윗지름 및 아랫지름이 같은 원통형으로 형성될 경우, 수용부(20)에 채워지는 상토(B)가 흘러내리므로 토양(S)에 감초번식줄기 억제용 서포트(1)를 배치하고 상토(B)를 채워야하는 불편함이 생길 수 있다.
몸체(10)는 개방된 상부를 통해 상토(B) 및 감초의 종자 또는 조직배양모종(R)이 수용부(20)로 수용되도록 하고, 개방된 하부를 통해 감초의 뿌리가 하측으로 성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몸체(10)는 종이, 플라스틱 시트 등과 같은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몸체(10)는 하기에 설명할 생장단계(S3)의 감초 생장기간(3 내지 4개월) 동안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강도를 가지도록 코팅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몸체(10)는 상토(B)가 수분을 머금게 하기 위해, 내면을 코팅하여 수분이 증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몸체(10)에 코팅되는 코팅액은 역할에 따라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몸체(10)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감초의 종자 또는 조직배양모종(R)을 보호할 수 있다.
수용부(20)는 몸체(10)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토(B)가 채워진 뒤, 종자가 파종되거나 조직배양모종(R)이 이식될 수 있다. 수용부(20)는 몸체(10)가 상광하협의 형태로 형성되어 이와 동일한 형태이므로 상토(B)가 채워진 뒤, 상토(B)가 흘러내리지 않을 수 있다.
매립부(30)는 몸체(10)의 하부에 형성되어 토양(S)에 매립될 수 있다. 매립부(30)는 토양(S)에 묻히는 부분으로, 상토(B)와 토양(S)이 매립부(30)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매립부(30)는 상토(B)가 수용부(20)에 채워진 상태로 재배용기(C)의 토양(S)에 매립되므로, 상토(B)없이 토양(S)에 매립되었을 때 보다 형태가 잘 유지되어 토양(S)에 고정될 수 있다.
노출부(40)는 몸체(10)의 상부에 형성되어 토양(S) 밖으로 노출될 수 있다. 노출부(40)는 매립부(30)가 토양(S)에 매립된 뒤, 외부로 노출된 몸체(10)의 상부를 나타내며, 나중에 감초번식줄기 억제용 서포트(1)가 제거된 뒤, 노출부(40)의 대응되는 위치에 있던 상토(B)가 지상에 노출되어 번식줄기의 성장을 억제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노출부(40)는 토양(S)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감초의 번식줄기의 성장을 억제하고, 감초의 뿌리가 직근으로 매립부(30) 하부를 통해 곧게 자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20), 매립부(30) 및 노출부(40)의 구체적인 설명은 하기의 본 발명의 감초번식줄기 억제용 서포트를 이용한 재배방법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4는 도 2에 토양지지부가 추가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예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몸체(10)는 토양(S)에 더욱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토양지지부(11)를 포함할 수 있다.
토양지지부(11)는 노출부(40) 및 매립부(30)를 구분하도록 형성되되, 몸체(1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토양지지부(11)는 매립부(30)가 토양(S)에 매립될 시 흔들리지 않고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토양지지부(11)는 하광상협한 형태로 형성되어 외부의 충격을 완화시키고 토양(S)과 더욱 밀착되어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양지지부(11)는 몸체(10)가 기울어지지 않고 정자세로 토양(S)에 고정될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다.
이에, 토양지지부(11)는 감초가 수직방향으로 직근으로 생장하도록 할 수 있다.
토양지지부(11)의 소재는 몸체(10)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도 6은 도 2에 돌출부 및 절취선이 포함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몸체(10)는 감초번식줄기 억제용 서포트(1)의 제거가 용이하도록 돌출부(12) 및 절취선(13)을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2)는 몸체(10)의 상단에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2)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잡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절취선(13)은 몸체(10)의 외주에 나선형태로 형성되되, 돌출부(12)를 외측으로 잡아당겨 절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절취선(13)은 홈 또는 홀로 구성되되, 상기의 홈 또는 홀이 동일한 이격거리를 가지도록 배열될 수 있다. 절취선(13)의 홈 또는 홀의 형태는 원형, 삼각, 사각 및 다각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절취선(13)은 돌출부(12)의 잡아당김으로써 파지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감초번식줄기 억제용 서포트(1)는 돌출부(12)를 외측으로 잡아당겨 절취선(13)을 따라 절취되면서 제거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12) 및 절취선(13)은 감초번식줄기 억제용 서포트(1)의 제거를 손쉽게 하므로 사용자가 감초번식줄기 억제용 서포트(1)의 제거를 위해 몸체(10)의 상부를 찢거나 들어올리는 노동력 및 노동시간을 줄일 수 있고, 감초의 어린 주근에 외상이나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다.
도 7은 도 2에 제거수단 및 분리선이 포함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몸체(10)는 감초번식줄기 억제용 서포트(1)의 제거가 용이하도록 제거수단(14) 및 분리선(15)을 포함할 수 있다.
제거수단(14)은 몸체(10)의 내주면에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되, 상단에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거수단(14)은 한 쌍으로 형성되되,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거수단(14)은 양측에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분리선(15)은 몸체(10)의 외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되, 한 쌍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분리선(15)은 전후방향으로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제거수단(14)을 외측으로 잡아당겼을 때 파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분리선(15)은 상기에서 설명한 절취선(13)과 마찬가지로 홈 또는 홀로 구성되되, 상기의 홈 또는 홀이 동일한 이격거리를 가지도록 배열될 수 있다. 분리선(15)의 홈 또는 홀의 형태는 원형, 삼각, 사각 및 다각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몸체(10)는 생분해성 종이 또는 생분해성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어, 감초번식줄기 억제용 서포트(1)를 제거할 때, 분리선(15)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몸체(10)는 재질의 생분해성 성능에 따라 조직배양모종(R)의 생장기간이 끝날 때쯤 분해되어 제거수단(14)만 상측으로 들어올려 토양(S)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또한, 몸체(10)는 생분해성 재질로 형성되어, 토양과의 융화력을 향상시키고, 자연비료로 활용되어 감초에 양분공급을 하여 양질의 생장환경을 조성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종래 합성수지 제조되었던 포트로 인한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감초번식줄기 억제용 서포트(1)는 제거수단(14)을 외측으로 잡아당겨 분리선(15)을 따라 몸체(10)가 분리되도록 하고 상측으로 잡아당겨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제거수단(14) 및 분리선(15)은 감초번식줄기 억제용 서포트(1)의 제거를 손쉽게 하므로 사용자가 감초번식줄기 억제용 서포트(1)의 제거를 위해 몸체(10)의 상부를 찢거나 들어올리는 노동력 및 노동시간을 줄일 수 있고, 감초의 어린 주근에 외상이나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초번식줄기 억제용 서포트를 이용한 재배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9는 도 8의 서포트제거단계 이후의 재배용기의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초번식줄기 억제용 서포트를 이용한 재배방법은 서포트설치단계(S1), 재배준비단계(S2), 생장단계(S3), 서포트제거단계(S4) 및 수확단계(S5)를 포함할 수 있다.
서포트설치단계(S1)는 감초번식줄기 억제용 서포트(1)에 상토(B)를 채운 뒤, 감초번식줄기 억제용 서포트(1)의 상부의 노출부(40)가 토양(S) 밖으로 노출되도록 하부의 매립부(30)를 토양에 매립할 수 있다.
서포트설치단계(S1)는 수용부(20)의 70 내지 85%가 상토(B)로 채워지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수용부(20)는 상부의 15 내지 30%가 빈 공간으로 남게되어 감초에 물이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수용부(20)에 상토(B)가 채워지는 비율이 70% 미만일 경우, 상토(B)의 양이 적어 감초의 종자 또는 조직배양모종(R)이 성장하기 어려울 수 있고, 85% 초과일 경우, 수용부(20)의 빈공간이 충분치 않아 감초에 물 공급이 어려울 수 있다.
여기서, 상토(B)는 감초의 종자 또는 조직배양모종(R)의 생장원으로, 토양(S)과 동일하거나, 토양(S)에 감초의 초기 생장을 위한 비료가 혼합된 복합 토양일 수 있다.
또한, 매립부(30)는 토양(S)에 약 30 내지 45㎜ 매립될 수 있다. 매립부(30)가 토양(S)에 묻히는 깊이가 45㎜ 초과일 경우, 노출부(40)의 높이가 줄어들어 번식줄기의 억제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30㎜ 미만일 경우, 토양(S)에 고정되지 못하고 감초번식줄기 억제용 서포트(1)가 쓰러질 수 있다.
여기서, 토양(S)은 부식질이 많고 비옥한 모래참흙 또는 질참흙으로서 경토가 깊고 배수가 잘 되는 흙이여야 하고, 사경양액재배시 순수 모래만을 사용할 수 있다. 이는 감초가 전형적인 사막성 식물로서 건조하고 일조량이 풍부한 지역에서 서식하기 때문이다.
서포트설치단계(S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배용기(C)에 서로 인접하게 다수가 설치될 수 있다.
재배준비단계(S2)는 감초번식줄기 억제용 서포트(1)의 상토(B)에 감초의 종자를 파종하거나, 도 1과 같이, 조직배양모종(R)을 이식할 수 있다. 재배준비단계(S2)는 감초번식줄기 억제용 서포트(1)가 토양(S)에 설치되어 개방된 상면의 상토(B)에 감초의 종자를 파종하거나, 조직배양모종(R)을 이식할 수 있다.
생장단계(S3)는 파종 또는 이식된 감초를 3 내지 4개월동안 생장시킬 수 있다. 이때, 감초의 생장기간이 3개월 미만일 경우, 다음 재배단계인 서포트제거단계(S4)에서 감초번식줄기 억제용 서포트 (1)를 제거하는 시기가 빨라 어린 주근에 피해를 줄 수 있고, 4개월 초과일 경우, 번식줄기의 발생이 진행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포트제거단계(S4)는 생장단계(S3)를 거친 뒤, 감초번식줄기 억제용 서포트(1)를 제거할 수 있다. 서포트제거단계(S4)는 감초의 뇌두(머리부분)이 지상에 노출되도록 하여 번식줄기가 생장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수확단계(S5)는 서포트제거단계(S4)를 거친 뒤, 감초를 생장시키고 수확할 수 있다. 수확단계(S5)는 감초를 판매할 수 있을 정도로 주근을 생장시키는 것으로, 감초의 뿌리가 수직방향으로 직근의 형태로 60 내지 100㎝ 길이와 2 내지 5㎝의 굵기로 재배할 수 있다. 수확단계(S5)는 재배된 감초를 재배용기(C)의 토양(S)으로부터 뽑아 수확할 수 있다. 수확단계(S5)에서 수확하는 방식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사용하는 방식은 모두 사용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는 감초의 재배에 본 발명의 감초번식줄기 억제용 서포트 및 이를 이용한 재배방법을 설명하였지만 감초 외의 뿌리작물의 재배에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감초 외의 뿌리작물에 대한 적용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할 것이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 : 감초번식줄기 억제용 서포트
10 : 몸체
11 : 토양지지부
12 : 돌출부
13 : 절취선
14 : 제거수단
15 : 분리선
20 : 수용부
30 : 매립부
40 : 노출부
B : 상토
C : 재배용기
R : 조직배양모종
S : 토양

Claims (6)

  1. 상광하협의 형태로 형성되되,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토가 채워진 뒤, 종자가 파종되거나 조직배양모종이 이식되는 수용부;
    상기 몸체의 하부에 형성되어 토양에 매립되는 매립부 및
    상기 몸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토양 밖으로 노출되는 노출부를 포함하는 감초번식줄기 억제용 서포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높이 80 내지 90㎜, 윗지름 35 내지 40㎜, 아랫지름 20 내지 25㎜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에 채워진 상토가 하측으로 흘러내리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초번식줄기 억제용 서포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노출부 및 매립부를 구분하도록 형성되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매립부가 토양에 매립될 시 흔들리지 않고 고정되도록 하는 토양지지부를 포함하는 감초번식줄기 억제용 서포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단에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돌출부 및
    외주에 나선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돌출부를 외측으로 잡아당겨 절취되도록 형성된 절취선을 포함하는 감초번식줄기 억제용 서포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내주면에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되, 상단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제거수단 및
    외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되, 대칭되도록 형성된 한 쌍의 분리선을 포함하며,
    상기 감초번식줄기 억제용 서포트를 제거할 시, 상기 제거수단을 외측으로 잡아당겨 상기 분리선을 따라 상기 몸체가 분리되도록 하고 상측으로 잡아당겨 제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초번식줄기 억제용 서포트.
  6. 감초번식줄기 억제용 서포트에 상토를 채운 뒤, 상기 감초번식줄기 억제용 서포트의 상부의 노출부가 토양 밖으로 노출되도록 하부의 매립부를 토양에 매립하는 서포트설치단계;
    상기 감초번식줄기 억제용 서포트의 상토에 감초의 종자를 파종하거나, 조직배양모종을 이식하는 재배준비단계;
    상기 파종 또는 이식된 감초를 3 내지 4개월동안 생장시키는 생장단계;
    상기 생장단계를 거친 뒤, 상기 감초번식줄기 억제용 서포트를 제거하는 서포트제거단계 및
    상기 서포트제거단계를 거친 뒤, 감초를 생장시키고 수확하는 수확단계를 포함하는 감초번식줄기 억제용 서포트를 이용한 재배방법.
KR1020220037335A 2022-03-25 2022-03-25 감초번식줄기 억제용 서포트 및 이를 이용한 재배방법 KR202301391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7335A KR20230139105A (ko) 2022-03-25 2022-03-25 감초번식줄기 억제용 서포트 및 이를 이용한 재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7335A KR20230139105A (ko) 2022-03-25 2022-03-25 감초번식줄기 억제용 서포트 및 이를 이용한 재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9105A true KR20230139105A (ko) 2023-10-05

Family

ID=88294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7335A KR20230139105A (ko) 2022-03-25 2022-03-25 감초번식줄기 억제용 서포트 및 이를 이용한 재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910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85864B1 (en) Planting device and system and method of growing plants utilizing bags of growing medium
KR101210850B1 (ko) 종자발아 및 재배용 스펀지
US6173531B1 (en) Perforated container
JP4231542B1 (ja) 自然薯の栽培方法および栽培装置
JP5260121B2 (ja) 自然薯の増殖方法
KR101498983B1 (ko) 육묘용 생분해성 용기
KR20230139105A (ko) 감초번식줄기 억제용 서포트 및 이를 이용한 재배방법
JP3536126B2 (ja) 育苗具
US10136585B1 (en) In-ground seed starting apparatus and method
KR20130118591A (ko) 수경재배용 연결포트 및 이를 이용한 육묘방법
KR200375590Y1 (ko) 육묘용 포트
WO2016040477A1 (en) Methods for guayule stand establishment by direct field seeding
JP2014039496A (ja) 芝の育苗方法、ポット芝苗及び芝苗の移植方法
CN217117044U (zh) 一种高丹草的育苗装置
JP2007244265A (ja) 苗木ポ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植栽方法
KR101217936B1 (ko) 보호커버가 구비된 용기묘
KR100333438B1 (ko) 대나무통을 이용한 근주이식공법
JP2017131196A (ja) 軟質ポットへの培地充填を効率的に行うための器具及び方法
JP4384534B2 (ja) 育苗具並びに育苗方法
JPS60338Y2 (ja) 護岸植栽用植木鉢
KR200201409Y1 (ko) 수족관용 수초 육묘 포트
JPS5860918A (ja) 根深葱の栽培法及びその栽培用定植具
JP4026997B2 (ja) 育苗装置及び育苗方法
JP2001178276A (ja) 苗用プラグ
JPH0970231A (ja) 育苗容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