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3438B1 - 대나무통을 이용한 근주이식공법 - Google Patents

대나무통을 이용한 근주이식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3438B1
KR100333438B1 KR1019990058224A KR19990058224A KR100333438B1 KR 100333438 B1 KR100333438 B1 KR 100333438B1 KR 1019990058224 A KR1019990058224 A KR 1019990058224A KR 19990058224 A KR19990058224 A KR 19990058224A KR 100333438 B1 KR100333438 B1 KR 100333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mboo
bamboo barrel
root
barrel
pla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8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6659A (ko
Inventor
김경훈
김학영
Original Assignee
허 태 학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 태 학,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허 태 학
Priority to KR1019990058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3438B1/ko
Publication of KR20010056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6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3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34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3/00Forestry
    • A01G23/02Transplanting, uprooting, felling or delimbing trees
    • A01G23/04Transplanting trees; Devices for grasping the root ball, e.g. stump forceps; Wrappings or packages for transporting tree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1/00Other organic fertil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1/00Other organic fertilisers
    • C05F11/02Other organic fertilisers from peat, brown coal, and similar vegetable deposits
    • C05F11/04Horticultural earth from pea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나무통을 이용한 근주이식공법에 관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비탈면 식재공법은 묘목을 식재할 부분의 구덩이를 파고 묘목을 이식한 후 복토를 하는 방법으로 진행되나, 이 방법은 대부분 인력에 의존하기 때문에 인부가 개개의 묘목이나 수목을 식재하기 위해서는 삽이나 괭이 등의 도구를 필요로 하며, 시공성도 용이하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일정직경을 갖는 대나무를 소정규격에 맞게 절단하는 대나무통(1) 제작단계와; 상기 대나무통(1)의 하부에 그물망(4)을 설치하고 이식코자 하는 식물근주(2)들을 심음과 동시에 피트모스와 퇴비 및 보습재를 일정비율로 혼합한 식생기반재(3)를 채우는 단계와; 상기 대나무통(1)내에 심어진 근주(2)들을 일정기간 동안 특정장소에서 양묘하는 단계와; 근주(2)들이 심어져 일정기간 동안 양묘된 상태에 있는 대나무통(1)들을 사면(5)의 정해진 식재 위치에 꽂아 설치하되, 각 지점의 사면에 대하여 중력방향과 수평상태를 이루도록 하여 대나무통(1)을 꽂는 단계를 통해 기존의 근주이식공법이나 묘목식재공법보다 시공성이 뛰어나고, 지금까지 조성이 어려웠던 갈대나 조릿대 수림을 효과적으로 조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대나무통을 이용한 근주이식공법 {Stump transplanting method using a bamboo pipe}
본 발명은 대나무통을 이용한 근주이식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저면을 경사지게 절단시킨 대나무통내에 식물의 근주부분을 채워넣은 뒤 이들을 토사비탈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꽂아주는 방식을 통해 식생의 정착을 유도시켜 기존의 근주이식공법이나 묘목식재공법보다 시공성이 뛰어나고 인건비를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지금까지 조성이 어려웠던 갈대나 조릿대 수림을 효과적으로 조성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종래에는 사면의 식생녹화를 위한 방법으로는 파종공법과 식재공법이 널리 알려져 있다.
이때, 상기 파종공법에는 기계력을 이용한 종자뿜이붙이기공법과, 종비토뿜어붙이기공법 및 인력에 의한 조파, 점파, 산파 등의 방법이 있고, 식재공법으로는 인력에 의한 식재구덩이 조성 후 개개의 수목이나 묘목을 넣고 다지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한편, 과거부터 수행되어온 근주이식공법으로서 식물의 근주부분을 굴취하여 인력으로 잔디밭을 조성하듯이 식재하는 방법도 알려져 있다.
즉, 종래에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비탈면 식재공법들은 대부분 묘목을 식재할 부분에 구덩이를 파고 묘목을 이식한 후 복토를 하는 방법으로 진행되고 있는데, 이와같은 방법은 대부분 인력에 의존하기 때문에 인부가 개개의 묘목이나 수목을 식재하기 위해서는 삽이나 괭이 등의 도구를 필요로 하며, 시공성도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인건비가 많이 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천연소재인 대나무를 이용하여 식물의 근주부분을 사면에 직접 꽂아서 식생을 조성시킬 수 있도록 하여 조경수나 묘목을 이식하고자할시 별도의 장비가 필요하지 않고, 또 수목식재 공사비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인건비의 부담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어 효과적인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이식된 식물의 근주부분을 보호하면서 자체적인 수분보유능력을 개선하여 묘목의 유실을 방지하고 식생의 활착을 도와 효과적인 식생조성이 이루어질 수 있는 대나무통을 이용한 근주이식공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일정직경을 갖는 대나무를 소정규격에 맞게 절단하는 대나무통 제작단계와; 상기 대나무통의 하부에 그물망을 설치하고 이식코자 하는 식물근주들을 심음과 동시에 피트모스와 퇴비 및 보습재를 일정비율로 혼합한 식생기반재를 채우는 단계와; 상기 대나무통내에 심어진 근주들을 일정기간 동안 양묘하는 단계와; 근주들이 심어져 일정기간 동안 양묘된 상태에 있는 대나무통들을 사면의 정해진 식재 위치에 꽂아 설치하되 각 지점의 사면에 대한 중력방향과 수평상태를 이루도록 하여 대나무통을 꽂는 단계로 실시하므로써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면에 조경수 및 초본류를 이식할 경우 시공비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인건비의 비율을 대폭 절감시킬 수 있고, 또 지금까지 조성이 어려웠던 억새 및 조릿대 군락도 효과적으로 조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의 (a)는 본 발명 공법에 사용되는 대나무통의 사시도.
(b)는 대나무통내에 식생기반재를 넣어 식물근주를 이식한 상태의 측단면도.
도 2의 (a)(b)는 토사비탈면에 대나무통을 배치한 상태의 평면 및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대나무통 2 : 근주
3 : 식생기반재 4 : 그물망
5 : 사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의 (a)는 본 발명 공법에 사용되는 대나무통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b)는 대나무통내에 식생기반재를 넣어 식물근주를 이식한 상태의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2의 (a)(b)는 토사비탈면에 대나무통을 배치한 상태의 평면 및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일정직경을 갖는 대나무를 소정규격에 맞게 절단하는 대나무통(1) 제작단계와;
상기 대나무통(1)의 하부에 그물망(4)을 설치하고 이식코자 하는 식물근주(2)들을 심음과 동시에 피트모스와 퇴비 및 보습재를 일정비율로 혼합한 식생기반재(3)를 채우는 단계와;
상기 대나무통(1)내에 심어진 근주(2)들을 일정기간 동안 특정장소에서 양묘하는 단계와;
근주(2)들이 심어져 일정기간 동안 양묘된 상태에 있는 대나무통(1)들을 사면(5)의 정해진 식재 위치에 꽂아 설치하되, 각 지점의 사면에 대한 중력방향과 수평상태를 이루도록 하여 대나무통(1)을 꽂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대나무통(1)의 직경은 대략 직경 7∼10㎝를 갖는 것이 좋고, 또 저부는 경사지게 절단한 것으로 그 길이는 대략 장축이 12㎝ 정도를 갖고 단축은 8㎝를 갖도록 절단한다.
또, 식물의 근주(2)는 조경수 및 초본류로써 조릿대와 억새 및 띠 등을 포함하며, 이와같은 근주(2)를 대나무통(1)에 심을시에는 대략 2∼3 포기를 한다발로 하여 심되, 뿌리부분은 대략 5㎝ 정도의 길이로 절단하여 심는 것이 좋다.
이와같은 단계로 이루어진 본 발명 공법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식물의 근주(2)를 채워넣기 위한 대나무통(1)을 제작할시에는 직경이 대략 7∼10㎝정도 되는 대나무를 장축이 약 12㎝정도 되고 단축이 약 8㎝정도가 되도록 하여 절단하여 토사비탈면에 대나무통(1)들을 꽃을시 저부 절단면이 경사져 있는 관계로 인해 뾰쪽하여 잘 박혀지게 된다.
이와같이 일정한 크기의 대나무무를 소정규격에 맞게 절단하여서 된 대나무통(1)내에는 조릿대, 억새, 띠 등과 같은 식물 근주(2)를 2∼3 포기 다발로 채우되 그 뿌리는 약 5㎝ 정도의 길이를 갖도록 절단한다,
또한, 상기 대나무통(1)에는 자체적으로 수분의 보유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피트모스와 퇴비, 보습재를 일정비율로 혼합한 식생기반재(3)를 채우게 되는데, 이때 상기 대나무통(1)을 그대로 둘 경우 근주(2) 및 식생기반재(3)가 유실될 우려가 있으므로 대나무통(1)의 하부에는 그물망(4)을 설치한다.
이와같이 대나무통(1)내에 식생기반재(3)와 함께 채워진 근주(2)들은 소정장소로 옮겨 일정기간 동안 양묘한다.
이후 일정기간이 경과되면 상기와 같이 그 내부에 심어져 근주(2)가 양묘된 상태에 있는 대나무통(1)들은 설계도서에 따라서 사면(5)에 설치하면 되는데, 통상설치하는 간격은 초본의 경우 50㎝ 정도, 목본의 경우는 약 100㎝ 간격으로 설치하는 것이 좋다.
물론, 상기 대나무통(1)을 각 지점의 사면에 꽂을시에는 중력방향에 대해 수평방하게 꽂아 초본 및 목본과 같은 식물근주가 바르게 자라도록 하는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음을 자명한 일이다.
이상에서 발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면에 조경수 및 초본류를 이식할 경우 시공비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인건비의 비율을 대폭 절감할 수 있고, 또 지금까지 조성이 어려웠던 억새 및 조릿대 군락을 효과적으로 조성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5)

  1. 일정직경을 갖는 대나무를 소정규격에 맞게 절단하는 대나무통(1) 제작단계와;
    상기 대나무통(1)의 하부에 그물망(4)을 설치하고 이식코자 하는 식물 근주(2)들을 심음과 동시에 식생기반재(3)를 채우는 단계와;
    상기 대나무통(1)내에 심어진 근주(2)들을 일정기간 동안 특정장소에서 양묘하는 단계와;
    근주(2)들이 심어져 일정기간 동안 양묘된 상태에 있는 대나무통(1)들을 사면(5)의 정해진 식재 위치에 꽂아 설치하되, 각 지점의 사면에 대한 중력방향과 수평상태를 이루도록 하여 대나무통(1)을 꽂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통을 이용한 근주이식공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나무통(1)의 직경은 대략 직경 7∼10㎝를 갖고, 장축의 길이는 약 12㎝ 정도를 가지며, 단축의 길이는 약 8㎝ 정도가 되도록 절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통을 이용한 근주이식공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근주(2)는 조경수 및 초본류로써 조릿대와 억새 및띠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통을 이용한 근주이식공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근주(2)를 대나무통(1)에 심을시에는 대략 2∼3 포기를 한다발로 하여 심되, 뿌리부분은 대략 5㎝ 정도의 길이를 갖도록 절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통을 이용한 근주이식공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식생기반재(3)는 피트모스와 퇴비 및 보습재를 일정비율로 혼합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통을 이용한 근주이식공법.
KR1019990058224A 1999-12-16 1999-12-16 대나무통을 이용한 근주이식공법 KR1003334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8224A KR100333438B1 (ko) 1999-12-16 1999-12-16 대나무통을 이용한 근주이식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8224A KR100333438B1 (ko) 1999-12-16 1999-12-16 대나무통을 이용한 근주이식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6659A KR20010056659A (ko) 2001-07-04
KR100333438B1 true KR100333438B1 (ko) 2002-04-25

Family

ID=19626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8224A KR100333438B1 (ko) 1999-12-16 1999-12-16 대나무통을 이용한 근주이식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34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3169B1 (ko) 2009-01-15 2011-12-19 김동일 배롱나무의 단기 생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63324A (en) * 1987-09-01 1989-03-09 Kunio Uehara Seedling supporting material
KR910002330A (ko) * 1989-07-31 1991-02-25 한경구 수목이식용 조립분틀
JP3030115U (ja) * 1996-04-12 1996-10-18 株式会社ホクブ 植栽用円形ポット
JPH114631A (ja) * 1997-06-17 1999-01-12 Erimochiyou Shinrin Kumiai 植林ポット
JPH11103690A (ja) * 1997-10-06 1999-04-20 Twistringer Rbm Draenfilter Gmbh & Co Kg 栽培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63324A (en) * 1987-09-01 1989-03-09 Kunio Uehara Seedling supporting material
KR910002330A (ko) * 1989-07-31 1991-02-25 한경구 수목이식용 조립분틀
JP3030115U (ja) * 1996-04-12 1996-10-18 株式会社ホクブ 植栽用円形ポット
JPH114631A (ja) * 1997-06-17 1999-01-12 Erimochiyou Shinrin Kumiai 植林ポット
JPH11103690A (ja) * 1997-10-06 1999-04-20 Twistringer Rbm Draenfilter Gmbh & Co Kg 栽培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3169B1 (ko) 2009-01-15 2011-12-19 김동일 배롱나무의 단기 생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6659A (ko) 2001-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1225421A (ja) 苗木の植付方法
CN102301895B (zh) 一种樱花的培植方法
CN101715708B (zh) 一种坡面植树造林方法
CN103556642B (zh) 一种高陡岩质边坡覆绿地境的再造方法
CN106797864A (zh) 一种南方红豆杉不同生长期与相应作物套种的栽培方法
CN110692453A (zh) 一种适合黄河三角洲地区种植管花肉苁蓉的方法
CN105145255A (zh) 一种苹果矮化自根砧苗木繁育方法
CN102523891B (zh) 一种大型丛生竹以苗繁苗的方法
CA2017945C (en) Seedling container
CN104770270A (zh) 一种边坡防护中的灌木建植方法及其护苗罩
CN104160862A (zh) 一种扦插定植一体化的杉树栽培方法
CN110169300A (zh) 降香黄檀修复石漠化植被的方法
KR100333438B1 (ko) 대나무통을 이용한 근주이식공법
CN109601229A (zh) 一种厚朴和金佛山方竹复合种植方法
CN109548547A (zh) 一种苹果树重茬栽植方法
CN110050661B (zh) 大树(苗木)移植就地包袋方法
AU632745B2 (en) Method and device for planting seedlings
CN110169299A (zh) 石漠化植被修复后林下套种金花茶的方法
CN109673462A (zh) 大油茶树的移栽方法
KR100329981B1 (ko) 자생식물을 이용한 뗏장묘 재배방법
CN110352803A (zh) 一种金银草直接扦插种植方法
CN115486312B (zh) 一种薄壳山核桃嫁接苗营养钵二段育苗方法
JP2004135520A (ja) 挿し木用穂木、根付き穂木、並びにそれを用いた緑化方法
Whitcomb Seedling development: the critical first days
JPH11266714A (ja) 育苗筒並びに植林植菜用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